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1 10:0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084
2024 년 3월 11일 | ||
회 사 명 : | (주)파이오링크 | |
대 표 이 사 : | 조 영 철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98 IT캐슬 1동 401호 | |
(전 화)02-2025-6900 | ||
(홈페이지)http://www.piolink.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엄재권 |
(전 화)02-2025-6900 | ||
(제24기 정기) |
주주님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 20조에 의거 제 2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4년 3월 26일(화) 오전 10:00
2. 장 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98, IT캐슬 1동,
파이오링크 8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 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4)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 안건
제 1 호 의안 : 제24기(2023.1.1~2023.12.31)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안) 승인의 건
※현금배당(1주당 배당금 300원, 배당총액 2,004,032,700원)
제 2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2-1호 의안: 사내이사 조영철 재 선임의 건
2-2호 의안: 사내이사 김동윤 재 선임의 건
2-3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구창환 신규 선임의 건
제 3 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 4 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동봉한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을 이용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주주님께서 직접 참석하실 경우에는 동봉한 참석장에 기명 날인하시고, 대리인을 참석시키실 경우에는 위임장에 기명 날인하여 접수처에 제출하여 주시기 바라며, 참석 하시는 본인 또는 대리인께서는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 주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6. 기타사항
- 상법 제542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31조,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사오니, 이점 양해 바랍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 (출석률: %) | B (출석률: %) | C (출석률: %) | D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해당사항 없음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해당사항 없음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해당사항 없음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당사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최적화를 위한 솔루션 개발 및 제조기업입니다. 데이터센터는 컴퓨터, 각종 저장장치, 네트워크 및 보안솔루션부터 전력공급 및 냉각기술에 이르기까지 현대 정보기술의 핵심 제품이 모두 집약되어 있는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데이터센터를 통해 현 인류가 누리는 정보기술의 모든 서비스와 혜택을 시간,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제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당사는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주요 솔루션을 연구 개발하고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대용량의 네트워크 요구사항을 빠르게 처리하고,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가치를 제공하며, 전송내용의 보안을 위한 다양한 보안성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영역은 보안장비, 애플리케이션 전송장치(ADC) 및 L2스위치, 데이터센터 인프라장비로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데이터센터의 구성은 외부의 다양한 고객들이 데이터센터 내부의 서버와 저장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계층별로 다양한 목적의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 컴퓨팅장비, 저장장치 등으로 구성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데이터센터는 크게는 구글, 애플 등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 기업에서 단독으로 운영하는 IDC(Internet Data Center)부터, 학교, 기업, 관공서/공공기관, 병원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전산실이라는 영역까지 업종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데이터센터의 규모에 따라 도입장비의 용량, 수량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 및 목적은 동일합니다.
이와 함께 2015년에 시작한 보안관제 서비스는 각 기업들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보안 침해/서비스 동향을 24시간 365일 모니터링하고, 사전 확인, 분석, 대응조치 등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18년 3월에는 보안컨설팅 사업부분을 양수하여 정보보안 전문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갖추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네트워크 장비 및 보안서비스 시장은 스마트폰/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확산, 다양한 영화/비디오/유튜브 등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멀티미디어 전송 서비스의 증가, 5G 6G 등 고속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 등과 연계되며 이와 관련된 네트워크 및 보안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네트워크 및 보안서비스는 도로/항만/전기/수도와 같이 현대사회의 핵심 인프라이며, 전통적인 인프라 시장과 달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시장입니다. 이에 따라 1회성의 투자 이후 침체/정체 된다거나, 경기변동에 따라 투자규모가 크게 흔들리지 않으며, 안정적이고 꾸준한 투자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경쟁요소
당사 영위 사업은 완전 경쟁시장이며, 사업영역별로 1~2개의 국내기업과 다수의 글로벌 해외기업과의 경쟁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네트워크 인프라 솔루션은 제품의 품질문제가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 높은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합니다. 또한 다양한 최신의 네트워크 표준을 준수하며, 타 네트워크 솔루션과의 호환성을 보장해야 하는 등, 신규 기업이 접근하기에는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제품 품질 및 안정성에 대한 시장의 오랜 신뢰구축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높은 부가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장 특성은 전형적인 B2B 산업으로, 고객과 밀착된 SI/NI 사업자 및 다양한 네트워크/IT 전문 유통 파트너의 확보가 기업의 큰 경쟁력이 됩니다.
보안관제 및 보안컨설팅 사업 시장은 보안의 위협 증가 및 법적인 제도로 인해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시장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안관제 전문 서비스 기업', '정보보호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지정된 보안 기업들이 경쟁하는 시장으로 진입 장벽은 다소 높은 편입니다.
보안관제 서비스, 보안컨설팅 서비스 등이 주로 국내 주요 보안기업들과 경쟁을 하는 구조이기는 하지만, 한번 고객을 확보하게 되면 고객정보의 기밀성 및 정책의 일관성 이유로, 고객이 쉽게 경쟁사로 변경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받는 경향을 가집니다. 보안관제서비스, 보안컨설팅 서비스가 보안 인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모델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인건비 창출 외에도 보안ISP, 클라우드 보안 컨설팅, 각종 전문가 서비스, 보안솔루션과의 결합 등의 다양한 사업 시너지를 통해, 상당한 수준의 수익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보안 Knowledge 확보에 재투자 하여, 고객에게 다시 양질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가 가장 큰 경쟁력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제품은 데이터센터/전산실의 주요 구성요소 중 애플리케이션 전송장비(ADC), L2스위치, 보안장비(웹 방화벽) 등 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전송장비는 트래픽의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하분산(로드밸런싱; Load Balancing) 기능과 함께 데이터의 빠른 전송을 위한 가속 기능 및 일부 보안기능까지 제공하는 등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L2스위치는 PC 등의 단말장비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목적지로 전송하는 관문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웹 방화벽은 웹(Web)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특화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전문 보안장비입니다.
당사의 정보보안 분야 제공서비스는 보안관제 서비스와 보안컨설팅 서비스입니다.
보안관제 서비스는 기업고객 및 일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당사의 관제센터를 통해 제공하는 원격관제와, 공공 및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적절한 보안 인력을 파견하여 고객의 보안관제 업무 전체를 수행하는 파견관제로 나누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안컨설팅 서비스는 국가 주요시설 통신망을 보유한 고객 및 ISMS 인증을 준비하는 공공기관 및 기업 고객, 그리고 전국 주요 상급병원을 대상으로 보안 취약점 진단, ISMS 인증 점검, 개인정보 컨설팅, 보안 마스터플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ADC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
ADC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중앙집중형 IT환경에서, 집중화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처리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가속기술 및 전송내용의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IT 인프라의 주요 핵심 솔루션입니다.
ADC의 대표적인 기능인 서버 부하 분산(Server Load Balancing-SLB)은 인터넷 트래픽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개의 서버들(서버 풀)에게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기능입니다. 서버 부하 분산 기능을 사용한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첫째, 서버 이용률과 네트워크 대역폭의 효율이 증가됩니다. 사용자의 세션 트래픽이서버 풀에 있는 현재 가용한 서버들 중에서 부하가 적은 서버를 통해 처리됩니다. 그러므로, 하나의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주고 서버의 트래픽 처리 지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역폭의 낭비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서버들에 의해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셋째, 서비스의 범용성(scalability)을 높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늘어나고 서버들의처리 용량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 기존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서버를 서버 풀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ADC 제품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ADC 전용의 운영체제(OS)인 PLOS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운영체제는 L2/3 영역의 스위칭 기능, L4/7영역의 부하분산 및 스위칭, 그리고 ADC로써 갖추어야 할 가속, 보안, 가상화 등의 기능을 모두 제공합니다.
2) 보안스위치 (TiFRONT)
보안스위치는 새로운 클라우드 보안스위치 컨셉이 다수의 레퍼런스 확보를 통해 고객의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한 바 있어, 클라우드 보안스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시장에서 클라우드 보안스위치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어,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3) 웹방화벽 (Web Application Firewall)
인터넷 및 네트워크의 진화, IT 산업의 발전은 웹(Web)서비스를 기반으로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증가는 보안위협 이라는 과제를 함께 동반하게 됩니다. 웹방화벽 (WAF, Web Application Firewall)은, 이러한 웹 서비스의 보안기능에 특화된 보안 솔루션으로, 고도화되고 복잡화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에 따라 필수 보안솔루션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습니다.
4) 보안서비스
보안관제 서비스는 기업의 IT 정보보안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보안전문가 또는 보안 전문 기업에게 업무 수행을 위탁하는 IT 서비스의 일종입니다. 고객의 보안 시스템 및 자산 정보를 기반으로 24시간 365일 보안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보안 대응 정책을 수립하며, 외부 공격자의 침입 시도에 대한 탐지, 분석, 대응 등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보안 업무를 위탁 받아 제공합니다.
현대 산업에서 보안 관제는 사업의 성패와 안정성,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기업이 보안과 관련하여 대처가 미흡할 경우 서비스 손실 및 기업 가치 하락 등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도 꾸준한 수요와 성장성 가치를 지닌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18년 3월 보안컨설팅 서비스 사업부분을 양수하였습니다.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는 정보보호 평가인증,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 개인정보보호 컨설팅, 정보감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내 보안 컴플라이언스와 관련해서 ISMS 의무화 및 공공기관 및 주요 통신기반시설을 보유한 고객들의 취약점 진단 대상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가) ADC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
ADC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서버 및 스토리지의 가상화와 이에 따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증가, 애플리케이션 전송 효율성에 대한 요구 증가로 인해 그 역할에 대한 기대와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최적화의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ADC는 시장규모, 기술 진입장벽 등의 요인으로 시장 참여에 사업참여자의 숫자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현재 글로벌시장에서는 F5네트웍스, 브로케이드, 라드웨어, 시트릭스 등이 활동하고 있으며, 국내기업으로는 파이오링크가 대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일본 및 중국시장에는 자국의 ADC 벤더가 일부 있으나 대부분 내수 시장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가트너 등의 시장조사 기관이 집계하는 의미 있는 시장경쟁력을 가진 ADC 벤더의 수는 10개 이내입니다.
국내에서는 당사가 40% 내외의 점유율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 외산 기업인 F5, 시트릭스, 라드웨어가 각 10~20% 수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기타 5%내외의 시장을 나머지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 보안스위치 (TiFRONT)
보안스위치 시장은 당사와 국내 기업인 한드림넷에서 보안기능 차별화를 통한 신규 시장 개척에 집중하며 기존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 내에서의 점유율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업체는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등이 있으며 해외 업체로는 시스코, HP 등 전통적인 네트워크 사업자와의 경쟁도 함께 존재하고 있습니다.
국내 L2/3 스위치 시장은 시스코를 선두로 HP, 알카텔루슨트, 브로케이드, 델 등 주요 네트워크 메이저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혹은 제품 특성에 따라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 등 국내 업체들이 소규모의 점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 웹방화벽 (WEBFRONT)
국내 웹방화벽 시장은 시장형성기에 다수의 업체가 경쟁하던 구도에서 파이오링크, 펜타시큐리티시스템, 모니터랩 등의 국내 기업과 바라쿠다시스템즈, 임퍼바 등 외산 벤더가 일부의 시장을 점유하는 형태로 변화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보안시장의 특수성과 각종 규제 등에 외산 벤더들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점과 빠른 기술대응/급변하는 보안환경에의 대응 등에 있어서 충분한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업체들의 자연스러운 도태와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이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내시장에서는 당사 및 펜타시큐리티시스템, 모니터랩 등이 시장의 60~70% 수준의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고 해외 기업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등의 시장이 나머지 20~30%를 점유하는 등 국내 기업이 전체 시장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라) 보안서비스
국내 보안관제 사업은 이글루코퍼레이션, 인포섹, 안랩, 윈스 등이 선도 기업으로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으며, 이외 다양한 중소/중견 기업에서 각자 차별화 된 서비스를 통해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보안관제의 형태로는 원격 관제센터에서 고객의 보안 동향을 관제하는 원격관제 서비스와 고객사에 직접 전문관제인력을 파견하는 파견관제 서비스로 구분됩니다. 관제 시장은 전체적으로 국내 업체들의 전문 영역으로 외국 기업과의 경쟁 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국내 보안컨설팅 시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보호 서비스 전문기업' 지정을 받은 기업들 위주로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보안 기업들 중에서 인포섹, 안랩, 윈스, 시큐아이 등이 주로 사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상기 외 다수의 정보보안 컨설팅 기업들도, 시장영역이나 특화된 보안컨설팅 서비스를 내세워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공공기관 및 다수의 기업시장입니다. 네트워크 솔루션이지만, 특정한 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인프라 구축에 일괄 납품되어 설치되는 방식이 아니라, 대규모 데이터센터부터, 소규모 전산실까지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한 학교, PC방, 소규모에서 대규모 기업의 데이터센터, 병원, 공공기관의 대민서비스, 은행/증권 금융 등의 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데이터센터의 서비스를 위한 전송, 보안의 고객가치를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특정 고객의 투자계획 및 예산 변동에 따라 당사의 매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사업영위가 가능합니다. 새로운 서비스의 개시 및 꾸준히 증가하는 네트워크 수요에 대한 대응을 위해 신규구매 및 기존 장기운용 제품의 교체/업그레이드 수요가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외 5,000여 고객사에서 이러한 신규수요 및 교체/재구매 수요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매출을 가능케 합니다.
보안서비스 시장의 경우 4차산업 혁명에서 보안서비스는 필수 요소로 작용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HCI (Hyper-Converged Infrastructure)-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당사는 데이터센터 최적화 솔루션 시장 확대 및 성장 전략으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를 선정하고, 해당 기술 및 제품 개발, 시장 확대 등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는 x86 서버만으로 분산 스토리지 및 고가용성 가상화 환경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기존 네트워크 장치, 보안장치 중심의 사업 영역에서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핵심인 서버와 스토리지의 사업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HCI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주목 받고 있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의 핵심 요소로 평가 받고 있으며, 클라우드로의 전환에 있어 필수적인 제품으로, 기존 당사의 네트워크 장치, 보안장치와 함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시장에서의 성장 전략의 핵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Ⅲ.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 나.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참고사항 ※ 하기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로서 추후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최종 확정된 재무제표 및 주석은 향후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재 무 상 태 표 | |
제 24 기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3 기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 (단위 : 원) |
과목 | 제24기 | 제23기 |
자산 | ||
유동자산 | 70,826,704,098 | 75,171,580,589 |
현금및현금성자산 | 38,075,972,077 | 24,992,491,371 |
매출채권 | 13,711,045,440 | 15,159,130,725 |
단기금융상품 | 966,947,946 | 21,470,199,053 |
당기법인세자산 | 155,613,590 | - |
기타수취채권(유동) | 1,116,887,881 | 1,174,828,972 |
재고자산 | 15,338,058,328 | 9,935,526,824 |
기타유동자산 | 655,060,721 | 1,758,980,681 |
계약자산 | 807,118,115 | 680,422,963 |
비유동자산 | 22,359,868,694 | 19,564,090,33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820,192,400 | 5,396,692,400 |
기타수취채권(비유동) | 1,049,578,096 | 854,308,999 |
유형자산 | 8,239,741,684 | 7,939,695,452 |
무형자산 | 3,084,710,526 | 1,766,835,859 |
이연법인세자산 | 4,049,924,784 | 3,452,730,646 |
기타비유동자산 | 115,721,204 | 153,826,981 |
자산총계 | 93,186,572,792 | 94,735,670,926 |
부채 | ||
유동부채 | 10,786,572,665 | 10,852,157,607 |
매입채무 | 2,606,672,322 | 2,221,180,430 |
기타지급채무(유동) | 2,163,802,108 | 1,724,472,260 |
충당부채 | 298,567,588 | 327,156,431 |
단기리스부채 | 497,629,717 | 328,751,514 |
기타유동부채 | 5,219,900,930 | 6,250,596,972 |
비유동부채 | 1,817,888,302 | 11,323,209,359 |
순확정급여부채 | - | 9,873,032,477 |
충당부채(비유동) | 60,060,417 | 57,183,250 |
장기리스부채 | 514,305,671 | 540,544,051 |
기타비유동부채 | 1,243,522,214 | 852,449,581 |
부채총계 | 12,604,460,967 | 22,175,366,966 |
자본 | ||
자본금 | 3,428,165,000 | 3,428,165,000 |
자본잉여금 | 28,297,346,818 | 28,297,346,818 |
기타자본항목 | (1,335,862,246) | (1,335,862,246)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013,598,432) | (1,437,098,432) |
이익잉여금 | 51,206,060,685 | 43,607,752,820 |
자본총계 | 80,582,111,825 | 72,560,303,960 |
부채와자본총계 | 93,186,572,792 | 94,735,670,926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 |
매출 | 59,017,753,144 | 61,637,231,707 |
매출원가 | 30,940,498,618 | 31,394,709,855 |
매출총손익 | 28,077,254,526 | 30,242,521,852 |
판매비와관리비 | 19,073,078,713 | 18,836,915,671 |
영업이익 | 9,004,175,813 | 11,405,606,181 |
기타수익 | 781,588,626 | 1,185,865,040 |
기타비용 | 27,189,067 | 22,000,005 |
금융수익 | 1,533,566,431 | 1,285,286,776 |
금융원가 | 818,932,631 | 580,007,531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10,473,209,172 | 13,274,750,461 |
법인세비용 | (98,250,883) | 1,129,582,647 |
당기순이익(손실) | 10,571,460,055 | 12,145,167,814 |
기타포괄손익 | (545,619,490) | 174,887,651 |
후속적 당기손익 재분류 항목 | (279,214) | |
지분법자본변동 | (279,214) | |
후속적 당기손익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545,619,490) | 175,166,865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 423,500,000 | (1,070,300,000)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969,119,490) | 1,245,466,865 |
총포괄손익 | 10,025,840,565 | 12,320,055,465 |
기본주당순이익 | 1,583원 | 1,818원 |
희석주당순이익 | 1,583원 | 1,818원 |
자 본 변 동 표 | |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 (단위 : 원) |
구 분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본총계 |
제23기 기초(2022.1.1) | 3,428,165,000 | 28,297,346,818 | (1,335,862,246) | (366,519,218) | 31,887,145,391 | 61,910,275,745 |
총포괄손익 : | ||||||
당기순이익 | 12,145,167,814 | 12,145,167,814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1,070,300,000) | (1,070,300,000) | ||||
지분법자본변동 | (279,214) | (279,214)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245,466,865 | 1,245,466,865 |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 ||||||
현금배당 | (1,670,027,250) | (1,670,027,250) | ||||
제23기 기말(2022.12.31) | 3,428,165,000 | 28,297,346,818 | (1,335,862,246) | (1,437,098,432) | 43,607,752,820 | 72,560,303,960 |
제24기 기초(2023.1.1) | 3,428,165,000 | 28,297,346,818 | (1,335,862,246) | (1,437,098,432) | 43,607,752,820 | 72,560,303,960 |
총포괄손익 : | ||||||
당기순이익 | 10,571,460,055 | 10,571,460,055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423,500,000 | 423,500,000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969,119,490) | (969,119,490) |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 ||||||
현금배당 | (2,004,032,700) | (2,004,032,700) | ||||
제24기 기말(2023.12.31) | 3,428,165,000 | 28,297,346,818 | (1,335,862,246) | (1,013,598,432) | 51,206,060,685 | 80,582,111,825 |
현 금 흐 름 표 | |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 (단위 : 원) |
구 분 | 제 24 (당) 기 | 제 23 (전) 기 | ||
I. 영업활동 현금흐름 | (2,058,663,963) | 8,794,030,281 |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2,992,291,829) | 8,236,487,315 | ||
(1) 당기순이익 | 10,571,460,055 | 12,145,167,814 | ||
(2) 조정사항 | 1,967,751,677 | 3,074,422,808 | ||
(3) 자산 및 부채의 증감 | (15,531,503,561) | (6,983,103,307) | ||
2. 이자의 수취 | 1,250,036,414 | 913,573,920 | ||
3. 이자의 지급 | (50,091,019) | (41,398,852) | ||
4. 배당금의 수취 | 138,600,000 | 123,200,000 | ||
5. 법인세의 납부 | (404,917,529) | (437,832,102) | ||
II. 투자활동 현금흐름 | 18,207,129,944 | (4,587,612,889)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7,734,159,995 | 25,033,078,085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26,948,192,839 | 20,433,879,040 | ||
관계기업주식의 감소 | - | 4,000,000,000 | ||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 294,491,940 | 344,722,740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257,225,545 | 180,900,000 | ||
기타투자자산의 감소 | 205,613,307 | 53,576,305 | ||
유형자산의 처분 | 28,636,364 | 20,000,000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9,527,030,051) | (29,620,690,974)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6,444,941,732 | 27,017,894,863 | ||
기타투자자산의 증가 | - | 999,992,400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396,542,360 | 350,630,000 | ||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 299,000,000 | 415,000,000 | ||
유형자산의 취득 | 993,434,119 | 822,250,320 | ||
무형자산의 취득 | 1,393,111,840 | 14,923,391 | ||
III. 재무활동 현금흐름 | (2,512,404,667) | (2,047,707,092)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 |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2,512,404,667) | (2,047,707,092) | ||
리스부채의 상환 | 508,371,967 | 377,679,842 | ||
배당금의 지급 | 2,004,032,700 | 1,670,027,250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 13,636,061,314 | 2,158,710,300 |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24,992,491,371 | 23,128,302,765 | ||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 (552,580,608) | (294,521,694) | ||
Ⅴ.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38,075,972,077 | 24,992,491,371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23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 (단위 : 원) |
구 분 | 24기 | 23기 | ||
처분예정일: 2024년 3월 26일 | 처분확정일: 2023년 3월 23일 | |||
미처분이익잉여금 | 50,600,800,275 | 43,202,895,680 | ||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40,998,459,710 | 29,812,261,001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969,119,490) | 1,245,466,865 | ||
당기순이익(손실) | 10,571,460,055 | 12,145,167,814 | ||
이익잉여금 처분액 | 2,204,435,970 | 2,204,435,970 | ||
이익준비금 | 200,403,270 | 200,403,270 | ||
<현금배당> 주당배당금 보통주: 당기 300원, 전기 300원 | 2,004,032,700 | 2,004,032,700 | ||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48,396,364,305 | 40,998,459,710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조영철 | 700611 | 사내이사 | - | - | 이사회 |
김동윤 | 660412 | 사내이사 | - | - | 이사회 |
구창환 | 650301 | 기타비상무이사 | - | 최대주주의 임원 | 이사회 |
총 ( 3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조영철 | 파이오링크 대표이사 | 2007~현재 2004~2006 2001~2004 | 現)파이오링크 대표이사 파이오링크 기획실장 파이오링크 연구소장 | 해당사항 없음 |
김동윤 | 파이오링크 경영지원본부장 | 2004~현재 | 現)파이오링크 경영지원 본부장 | 해당사항 없음 |
구창환 | 이글루코퍼레이션 연구개발본부장 | 2021~현재 2019~2021 2015~2019 | 現)이글루코퍼레이션 연구개발 본부장 코어트러스트 대표이사 인터파크 IT부문 CTO&CISO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조영철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동윤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구창환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조영철 사내이사 후보자(재선임) - 김동윤 사내이사 후보자(재선임) 김동윤 사내이사 후보자는 하이닉스반도체, LG전자의 금융팀, 재경팀을 거친 재무전문가로 2004년 파이오링크에 입사하여 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 구창환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신규선임) |
확인서
확인서_조영철 |
확인서_김동윤 |
확인서_구창환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02백만원 |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8백만원 |
최고한도액 | 5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18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주주총회개최 1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piolink.com
(회사소개 - 뉴스.행사안내)
-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 입니다.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