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지텍 (06448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1 14:5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347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  년  3  월  11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브리지텍
대 표 이 사 : 신 경 식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2길32
여의도파이낸스타워 17,18층

(전   화) 02-3430-4114

(홈페이지)http://www.bridgetec.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최 화 경

(전  화) 02-3430-403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9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회사의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제2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 4 및 정관 24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4년 3월 26일(화) 오전9시
2. 장소 : 서울시 영등포구 은행로 30 (여의도동) 중소기업중앙회 2층 희망룸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 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9기(2023.1.1~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현금배당 예정내용 : 보통주 1주당 배당금 150원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사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없습니다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신분증

2024년 3월 11일

주식회사 브리지텍
대표이사 신 경 식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임훈
(출석률:
100%)
강성배
(출석률:
100%)
최준환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차 2023-01-25 제28기(2022년)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
2차 2023-02-13 현금배당에 관한 건 찬성 찬성 -
3차 2023-02-27 제2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찬성 -
4차 2023-03-29 이사회의장 선임의 건 (이사회의장 : 이상호) 찬성 찬성 찬성
5차 2023-03-29 대표이사 선임의 건 (대표이사 : 신경식) 찬성 찬성 찬성
6차 2023-04-01 이사(미등기) 신규선임 및 본부장 특별승진에 관한 건 찬성 찬성 찬성
7차 2023-12-14 제29기 현금배당을 위한 주주명부폐쇄 기준일 설정 찬성 찬성 찬성

※ 상기 최준환 사외이사는 제28기 정기주주총회(2023.3.29)에서 신규선임되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최화경
이임훈
강성배
2023-01-25 1. 제28기(2022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동표, 현금흐름표, 주석
2. 제28기(2022년) 재무제표 부속명세서 승인의 건
 - 각 계정에 대한 잔액명세서 등
가결
-
가결
-
2023-02-10 1. 2022년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의 의견서
2. 202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가결
가결
2023-03-08 1. 2022년 감사의 감사보고 이사회 제출의 건
2. 2022년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수령에 따른 의결
3. 외부감사인 커뮤니케이션 시행건 보고
4. 제28기(2022년) 사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가결
-
가결
2023-03-29 감사위원장 선임에 관한 건(위원장 : 최화경) 가결
2023-05-08 제29기(2023년)1분기 재무제표 및 분기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2023-08-07 제29기(2023년)반기 재무제표 및 분기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2023-11-06 제29기(2023년)3분기 재무제표 및 분기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1,200,000,000 49,650,000 16,550,000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및 비상무이사 5명을 포함한 총 6명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 사외이사 중 1인(최준환)은 제28기 정기주주총회(2023.3.29)에서 신규선임되었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업계의 개황
당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회사로 AI(인공지능) 콜센터와 음성봇, 화자인식, AICC, IPCC, 클라우드컨택센터(CSAP인증),보이는ARS,  IP기반의 유무선(지능망서비스, 무선이동통신)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공급하고, 당사가 보유한 제품을 활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한 후 기업고객에게 임대하고 사용하는 기간동안 비용을 지급받는 클라우드 환경의 소프트웨어 임대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전문업체로서 금융권, 통신사,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기업체 등을 대상으로 자체개발한 콜센터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영역은 콜센터, 음성인식, 통신사업, 서비스사업으로 구분합니다.

  콜센터 사업은 금융, 통신, 공공기관, 기업고객 등을 대상으로 자체기술로 개발한 제품들로 고객이 요구하는 콜센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유지해주는 사업입니다. 콜센터를 구성하는 제품은 약 20여 종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모든 솔루션으로 자체기술로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 콜센터 시장은 당사와 같은 국산 솔루션과 외산 솔루션을 취급하는 리셀러들과 경쟁구도이며 풀패키지, 가격경쟁력과 고객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수렴할 수 있는 기술지원 시스템이 타사대비 우월합니다.

  음성인식 사업은 스마트 디바이스 출시 이후 터치리스 인터페이스(Touchless Interface)로 음성인식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기술은 전 산업분야에 걸쳐 적용이 되겠지만 당사는 콜센터 솔루션인 음성인식 기반 대화형 자동응답시스템(ARS / IVR), 사용자의 발성한 말을 이해하고 가장 적절한 답을 제공하는 인공 지능 서비스, 녹취된 파일이나 통화내용, 실시간 발성내용을 텍스트로 전환하는 딕테이션 기술과 텍스트의 분석기술, 목소리로 본인을 확인하는 화자인증 등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편의성 제공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솔루션들을 개발하였으며 해당사업은 기술집약적이고 고부가가치 사업으로서  향후 신규 사업부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비대면 전화(음성인식)나 메신저(챗봇)를 이용하여 콜센터로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AI(인공지능) 콜센터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인공지능 콜센터는 학습된 AI 엔진의 성능에 따라 서비스가 좌우되는데 산업 도메인별로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와 이용자들의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학습시키고 모니터링 과정이 있다면 사용자는 아주 편리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AI 콜센터는 음성을 글자로 바꾸는 음성인식 (STT), 반대로 글자를 소리로 합성하는 음성합성 (TTS), 글자 인식을 넘어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자연어 이해 (NLU) 등 AI 언어 처리 기술을 종합해 고객 응대 업무에 적용한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콜센터는 일반적으로 음성, 이메일, 채팅 및 소셜 미디어를 비롯한 다양한 채널에서 대량의 고객 문의 및 지원 요청을 처리합니다. AI 콜센터는 챗봇과 가상 상담사를 활용해 계좌 잔고 조회나 약속 일정 잡기 등 간단한 고객 문의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합니다. 이러한 일상적인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콜센터 상담원은 고객과의 보다 복잡하고 가치 있는 상호 작용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만족도가 높아지고 판매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유무선통신 부가서비스, 지능망서비스, VoLTE 멀티미디어서비스 시스템 공급사업은 국내 기간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인터넷프로토콜(IP) 네트워크 기반의 광대역통합망에서의 유무선이동통신(음성/영상통화), VoLTE 가입자들을 위한 통화연결음 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부가솔루션 제공에 필요한 미디어서버, 어플리케이션서버 플랫폼과 그 곳에 탑재되는 응용프로그램을 공급합니다.
 

  서비스 사업부분문은  대용량 클라우드 콜센터 시스템을 구축하여 콜센터가 필요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임대해주는 사업으로 사용하는 회선에 따라 금액을 부담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기업에서는 초기 구축 부담이 없고 사용 규모에 따라 비용을 부담하는 합리적인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구축형으로 솔루션을 공급한 후 시스템의 정상 동작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유상 서비스 매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콜센터 사업
콜센터는 금융업(은행, 카드, 보험, 증권 등), 서비스업(병원, 기업, 유통 등), 대민지원 고객서비스를 위한 공공기관 또는 지자체, 기업(서비스업, 제조업, 판매업 등) 등에서 해당고객을 대상으로 전화, 팩스, 이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가상공간에서의 비대면 고객접점채널로써 e-비즈니스가 이뤄지는 곳입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가입자의 활성화와 더불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두드러지게 늘고 있습니다. 4천만명이 넘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음성과 영상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는 비주얼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아가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편리하고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도화된 콜센터 사업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콜센터는 고객관계관리(CRM)에서 중요한 고객과의 실시간 접점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제공 및 비지니스를 수행합니다. 특히, 전화, 팩스, 이메일, 문자서비스 및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 매체(미디어)를 통하여 고객과 접촉 및 상담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 분야입니다. 신규 콜센터는 IP환경에서 운용되는 IPCC(IP컨택센터)로 구축되고 있으며, 구성하는 솔루션은 IP-PBX(IP Based Private Branch eXchange, 교환기), CTI(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미들웨어, IP-IVR(IP-Interactive Voice Response, 자동응답시스템), 스마트폰 서비스(음성/화면), IP 통화녹취(Voice & Video Logging, 녹취장비), PDS(Predictive Dialing System, 지능형 자동전화발신시스템), WFM(Work-Force Management, 콜센터 운영전략 수립), ERMS(E-Mail Response Management System, 이메일 처리시스템), 통합OAM(Operating/Administrating/Management, 통합시스템 관리), 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 화자인증, TTS(Text To Speech, 문자발성), 기업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습니다.
콜센터 구축이란 단순히 하나의 단위 솔루션으로 공급하는 것보다 고객의 요구사항 및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고객의 업무를 분석한 뒤 기능별 필요한 솔루션을 선정한 후 공급되는 솔루션간 연동이 수반되어야하고 고객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들과 연계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 통합과정과 더불어 기업의 고유 비즈니스를 반영하여 콜센터를 구축합니다. 고객의 업무, 추가적인 고객의 요구사항 분석과 반영을 위한 컨설팅,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분석된 정보에 따라 시스템을 설계·개발해야 하며, 신기술까지도 선도적이면서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역량과 풍부하게 축적된 경험을 요구합니다.

[클라우드 콜센터 서비스 사업의 전개]
콜센터가 고객의 요구를 듣고 이행하는 고객만족 서비스 구현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지만 모든 기업들이 비용적, 기술적인 부담을 무시하고 콜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초기 구축 비용이 부담될 뿐더러 콜센터 운용 경험이 없는 경우에는 그 만큼 위험 부담도 크기 때문입니다. 자체 구축보다는 필요한 기능을 필요한 기간 동안 빌려쓰는 클라우드형 서비스가 유리한 고객이 많습니다.
클라우드 콜센터 서비스 사업의 성장속도는 완만하지만 안정적이며 꾸준한 성장곡선의 형태를 보이며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는 기업의 비지니스가 중단되지 않는 한 이탈고객이 적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객의 요구사항 및 환경에 따른 맞춤형 솔루션으로 제안]
고객은 자체적으로 콜센터를 구축 및 운영할 수 있는 고객,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없이 필요한 규모의 콜센터 도입하는 고객, 필수 기능만 도입하여 비용절감을 추구하는 고객 등으로 나누어 집니다. 따라서 당사는 구축형 고객과 임대형 고객을 구분하여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 음성인식 사업
음성인식 사업은 당사에서 가장 최근에 신규 사업분야로 추진하였고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사업분야입니다. 음성인식 관련 솔루션으로는 음성인식 기반의 자동응답시스템, 사람의 음성을 텍스트로 전환해주는 딕테이션 기술등을 적용한 음성분석, 목소리로 신원을 확인하는 생체인증 등의 솔루션을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음성분석은 단순히 텍스트 변환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점의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데이터 마이닝 기술과 접목하여 상담내용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고객의 트렌드까지 분석합니다.
화자인증은 금융, 공공, 기업들을 대상으로 시스템에 접근을 제어하는 보안기술로 거래시 본인인증을 위해 솔루션을 개발완료하였습니다. 국내 생체인증 중 지문, 홍채, 안면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음성으로 인증하는 기술을 가진 기업으로는 독보적이며 향후 인터넷전문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에서 온라인으로 본인을 인증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고 보안성이 우수한 기술로 개발하였습니다.

◆ IP기반 유무선 멀티미디어서비스 솔루션 공급사업
기간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는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 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입니다.
국내의 우수한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해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개인, 기업 모두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런 IP 통합망에서 인터넷전화 및 4G LTE, 5G 사용자들을 위해 음성 및 영상통화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증권정보, 날씨, 교통 등의 실시간 정보제공, 전화번호안내서비스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능망에서 라우팅서비스 (예:116과 같은 특수번호, 콜센터 대표전화번호 연결) 를 위한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사들이 새로이 부각되는 5G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품질의 음성과 영상 서비스 시스템들이 새롭게 요구되고 있습니다. 


(2) 향후 전망
◆ 콜센터 사업
국내 콜센터 산업은 1980년대 상담원 수 100석 내외 중소형 콜센터로 시작하여 1990년대 대부분의 기업들이 통합 콜센터 구축을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하면서 전국에 분산되어 있는 시스템과 인력을 하나의 콜센터로 집중시키는 통합작업을 통해 1,000석 이상 대규모 콜센터가 생겨나면서 꾸준히 발전하고 있습니다.
콜센터가 도입되어 지금까지 기업에 없어서는 안될 가장 기본적인 고객접점이 되었습니다. 기 구축된 콜센터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신규 서비스의 도입, 노후화된 장비의 교체, IP 통신환경에서 기능수용 등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규 콜센터 시장으로는 과거 은행, 공공기관 등 시장을 선도하는 업종외에도 병원, 일반기업에까지 콜센터 비지니스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기관 부문에서는 대국민서비스를 강화하면서 전국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콜센터 구축이 늘어나고 있으며 기존의 아날로그 통신환경을 IP 기반의 콜센터로 전환하는 움직임도 본격화되었습니다.

콜센터시장의 성장동력은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고객맞춤형 서비스 및 고객정보보안, 대기시간 최소화 등 고객 중심적 사고로 서비스를 제공하는것과 IP 콜센터의 신규구축과 업그레이드입니다. 또한 서비스의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 콜센터의 이원화, 업무프로세스와 기업망 통신환경의 개선에 따른 인프라 도입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인해 각광을 받고 있는 음성인식 기능이 콜센터에서도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 이용방법으로 활용되면서 금융권 콜센터에서 부터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한정된 인식율 때문에 사업활성화에 한계점에 부딪혔지만 이제는 일상대화와 같은 자연어 인식이 가능하여 활용도와 적용분야가 매우 넓어졌습니다.

◆ 음성인식 사업
터치리스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음성인식은 구글, MS 등 글로벌 기업들의 기본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
화자인증은 생체인증기술의 한 부분으로써 비대면 채널거래 활성화로 인터넷 전문은행이나 온라인 본인인증을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솔루션입니다.

◆ IP기반 유무선통화 멀티미디어 서비스 솔루션 공급 사업
우리나라는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사업을 통하여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망 인프라를 구축하였습니다. 이후 통신, 방송, 인터넷이 통합되는 차세대 정보인프라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고,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핵심기술 개발 및 적용을 통한 서비스 및 제어 플랫폼, 전달망과 가입자망 등의 고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콜센터 제품개발, 판매, 서비스사업은 당사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콜센터 제반 솔루션으로 금융권, 통신,공공기관, 기업고객들을 대상으로 콜센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콜센터 구축관련 사업은 은행권의 경우 독보적인 시장 점유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2금융권(카드, 보험, 증권 등)과 공공기관 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기업의 콜센터는 최근 비대면 거래 활성화로 규모가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사업은 시장에서 음성인식 솔루션 전문업체로써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소리를 텍스트로 전환하는 솔루션은 2016년 최초 공급이 시작되었고 그 외 다수 기업에서 현재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과 더불어 금융기관들의 온라인 본인인증 서비스가 새로운 요구로 부각되면서 회사가 보유한 화자인증 기술을 활용하여 핀테크 비즈니스에 큰 기여를 할것으로 예상하며 나아가 사용자 서비스 이용 및 상담내역을 학습시켜 상담원 코칭, 인공지능 무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 공급을 준비하였습니다.  
통신사를 대상으로 공급하는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고화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로 다른 통신망간의 호환성을 필요로 하는데 그에 부합한 제품들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임대사업의 종류로는 기업용 클라우드 콜센터 서비스, 개인사업자용 콜센터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부문은 콜센터 솔루션 및 통신관련 솔루션부문으로 한국산업표준산업분류표의 소분류에 의하여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업종코드:J58222)으로 구분됩니다.

(2) 시장점유율

콜센터는 여러 기능의 각기 시스템들의 연동, 개발업무 등이 투입되는  복합적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제품별로 전체시장 점유율 산정은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1) 콜센터 사업
콜센터 관련 업계는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자체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기업과 외산 솔루션을 취급하는 기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당사는 콜센터 관련 모든 제품을 자체기술에 의해 연구개발하여 확보하였습니다.
 
동사가 경쟁사와 비교하였을때 가지는 차별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번째, 콜센터 구축 시 하드웨어 플랫폼(서버, 네트워크 장비),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을 제외한 미들웨어, 통신 및 미디어처리 기능을 갖는 모듈, 기능별 어플리케이션 등 제반 솔루션을 모두 자체기술로 개발하였습니다.
두번째, 따라서 콜센터를 구성하는 방식의 유연성을 가집니다. 예를 들면, 고객사마다 요구사항과 비즈니스가 다르기 때문에 고객의 환경에 최적화된 모델을 풍부한 경험으로 적용합니다.
세번째, 합리적인 구축비용입니다. 자사 솔루션은 글로벌 벤더와 비교 시 뚜렷한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네번째, 구축된 솔루션은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국내 조직을 통해 철저한 최상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2) IP기반 유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 솔루션 공급 사업
당사는 기간통신사의 솔루션 공급업로 IP 환경과 이동통신 환경에서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인 어플리케이션 서버, 미디어 서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장비 공급뿐만이 아니라 기간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발용역의 공급,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AI(인공지능) 콜센터
콜센터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ARS안내를 기다릴 필요없이 음성봇과 챗봇을 통해 바로 궁금한 사항을 문의하고 답변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꼭 필요한 안내사항들도 신속하게 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콜센터에서 기업이 갖는 거래정보, 상품정보 등 학습된 인공지능 엔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 줄수 있는 플랫폼을 당사의 검증된 컨택센터 토털솔루션으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 콜센터 서비스사업
 컨택센터를 직접 구축하지 않고 임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은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최근 클라우드 기술이 발전되고 보편화되면서 소프트웨어 업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물리적인 제약에서 탈피한 'IaaS'환경에서 'SaaS'로 진화하는 트렌드에 따라 국내 컨택센터 솔루션 기업들도 비싼 구축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컨텍센터와 AICC 서비스가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컨택센터(CCaaS·Contact Center as a Service) 서비스 제공을 위해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컨택센터는 기획, 설계, 수행, 운영, 재구축의 사이클로 투자가 이뤄졌는데 클라우드 상에 컨택센터를 구성하면 사용한 만큼 비용을 내고 필요할 때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과 네크워크 등 하드웨어 자원들은 클라우드 사업자가 관리하는 만큼 기업 담당자는 서비스만 관리할 수 있어 운영부담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당사는 2021년 순수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된 IPRON Cloud를 서비스 런칭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외산 클라우드 서비스와는 다르게 기업여건에 최적화된 컨설팅,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제공하고 서비스 이용 시 안정적인 컨택센터 운영을 보장받으면서 궁극적으로 도입비용 절감효과를 드리고 있습니다.

획일화된 저가 서비스 모델과는 달리 프리미엄 구축형 사업과 동일한 기능, 성능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중입니다.


 2022년 12월 KT와 사업 협정을 통해 콜 인프라, 상담 어시스턴트, 보이스봇·챗봇 솔루션까지 '올인원'으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AI컨택센터(CCaaS)인 '에이센 클라우드(A'cen Cloud)'를 출시했습니다. 기존에도 보이스봇, 챗봇 등을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었지만 에이센 클라우드는 이를 SaaS 기반으로 표준화하고 다양한 유형의 AI솔루션까지 고객이 원하는 대로 신청해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에이센 클라우드(A'cen Cloud)서비스는 별도로 서버나 장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AICC를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합니다. 구축형 AICC를 만드는 데에는 수개월에서 1년이 걸렸으나, 에이센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빠르면 수 일만에 만들 수 있습니다. 생산성 향상과 TCO절감 효과가 검증된 실시간대화록, 상담어시스턴트, 보이스봇, 챗봇을 상담어플리케이션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All-In-One 컨택센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6년까지 행정, 공공기관이 개별적으로 운영중인 정보시스템을 민간클라우드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가운데(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2022-13))  공공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획득이 사실상 공공기관 콜센터 시장 참여를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으며 관심을 더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에서는 2023년 2월 16일 IPRON 공공클라우드(SaaS 간편등급)를 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하여 CSAP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따라서 공공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행정기관,공공기관,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가 보안 인증 받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2023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가입자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자정부법, 클라우드컴퓨팅법, 국가계약법 등을 근거로하여 공공부분 기존 구축형 고객을 클라우드로 전환할 뿐만아니라 신규 고객을 유치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5) 조직도

조직도(2023년 12월 31일 기준)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 - 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별도 재무제표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9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28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브리지텍 (단위 : 원)
과   목 제 29 기 제 28 기 
자            산



I.  유   동  자   산   40,723,759,313    32,463,752,484 
(1)현금및현금성자산 20,428,531,065    12,038,550,215   
(2)매출채권및기타채권 3,049,171,052    5,684,474,888   
(3)계약자산 3,930,234,750    1,901,954,809   
(4)기타금융자산 11,388,969,785    11,330,539,595   
(5)재고자산 892,151,665    1,014,844,458   
(6)당기법인세자산 104,606,580    25,381,750   
(7)기타자산 930,094,416    468,006,769   
II. 비  유 동 자  산   33,193,954,746    37,459,423,728 
(1)매출채권및기타채권 10,211,154    70,717,148   
(2)기타금융자산 24,058,077,916    27,456,705,362   
(3)유형자산 3,722,814,764    4,667,184,061   
(4)무형자산 4,795,924,014    4,494,171,943   
(5)이연법인세자산    
(6)기타자산 606,926,898    770,645,214   
자   산  총   계   73,917,714,059    69,923,176,212 
부            채



I. 유   동  부   채   18,328,309,896    12,059,995,186 
(1)매입채무및기타채무 14,880,540,973    8,100,591,761   
(2)당기법인세부채 89,411,073    83,684,656   
(3)계약부채 1,568,385,703    2,956,832,419   
(4)기타부채 1,789,972,147    918,886,350   
II.비  유 동 부  채   5,038,359,879    6,112,833,356 
(1)기타금융채무 2,497,222,653    3,199,921,472   
(2)퇴직급여충당부채   9,891,040   
(3)복구충당부채 265,864,230    251,362,733 
(4)이연법인세부채 757,358,255    726,766,223 
(5)기타부채 1,517,914,741    1,924,891,888 
부   채  총   계   23,366,669,775    18,172,828,542 
자            본
 
 
I. 납  입  자  본  금
9,953,470,340 
9,953,470,340 
II.기타자본구성요소
961,777,969 
961,777,969 
III.기타포괄손익누계액
5,624,045,945 
8,658,467,931 
Ⅳ.이  익 잉 여  금
34,011,750,030 
32,176,631,430 
자   본  총   계
50,551,044,284 
51,750,347,670 
부채 와 자본총계
73,917,714,059 
69,923,176,212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9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28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브리지텍 (단위 : 원)
과          목 제 29 기 제 28 기
Ⅰ. 매출액 53,543,737,975  58,935,626,488 
Ⅱ. 매출원가 (43,521,096,710)  (49,942,982,514) 
Ⅲ. 매출총이익 10,022,641,265  8,992,643,974 
Ⅳ. 판매비와관리비  (5,859,710,230)  (5,072,256,076) 
Ⅴ. 영업이익 4,162,931,035  3,920,387,898 
(1) 기타수익 127,501,155  167,134,534 
(2) 기타비용  (260,764,600)  (103,743,818) 
(3) 금융수익  726,100,850  416,559,444 
(4) 금융비용 (196,966,772)  (92,629,021) 
Ⅵ.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4,558,801,668  4,307,709,037 
Ⅶ. 법인세비용(효익) 985,114,968  926,835,206 
Ⅷ. 당기순이익 3,573,686,700  3,380,873,831 
Ⅸ. 기타포괄손익 (3,034,421,986)  9,619,938,123 
Ⅹ. 총포괄손익 539,264,714 13,000,811,954 
XI.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 308  293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
제 29 기 2023년  1월   1일 부터 제 28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2022년 12월 31일 까지
처분예정일 2024년  3월  26일
처분확정일 2023년  3월  29일
주식회사 브리지텍 (단위 : 원)
과            목 제 29 기 제 28 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31,470,922,547   29,809,660,757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7,897,235,847
26,428,786,926   
2. 당기순이익 3,573,686,700
3,380,873,831   
Ⅱ.임의적립금이입액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1,912,424,910   1,912,424,910 
1.이익준비금 173,856,810
173,856,810   
   2.배당금 (주당현금배당금(률):
당기: 150원(30%),전기: 150원(30%))
1,738,568,100
1,738,568,100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9,558,497,637   27,897,235,847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당기 결의(안) 포함)

 구      분  제29기(안)
(2023년)
제28기
(2022년) 
제27기
(2021년)
발행주식총수 11,952,500주 11,952,500주 11,952,500주
배당제외주식수
(최대주주차등배당)
- - -
배당제외주식수
(자사주)
362,046주 362,046주 447,046주
배당가능 주식수 11,590,454주 11,590,454주 11,505,454주
 1주당 배당금 (원) 150  150  120 
 총배당금 (천원) 1,738,568 1,738,568 1,380,654
 당기순이익(손실)
(천원) 
3,573,687 3,380,873 2,819,217
 배당성향  48.64% 51.42% 48.97%
 산술평균주가 (원) 6,963 4,185 5,886
 시가배당율
(현금배당수익율) 
2.15% 3.58% 2.04%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18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 제542조의4 및 상법시행령 제31조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s://www.bridgetec.co.kr

-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감
사보고서는 2024년 3월 11일 당사의 외부회계 감사법인(신한회계법인)으로부터 수령하여 즉시 공시완료하였으며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 정기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이 발생될 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제출될 정정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주주총회집중일개최 관련
당사는 주주들의 원활한 참석을 위해 주주총회 자율분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2024년 3월 26일(화)을 주주총회 개최일로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총 집중일 개최 사유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코스닥협회 지정 주주총회 집중일 :  3/22(금), 3/27(수), 3/29(금)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347

브리지텍 (06448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