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츠로시스 (05422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1-22 17:2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122000350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11월 22일


회   사   명 : (주)비츠로시스
대 표 이 사 : 이 기 재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24 7층 701호

(전   화) 02-460-2000

(홈페이지)http://www.vitzrosys.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이 기 재

(전  화) 02-460-20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6기 임시)


주식회사 비츠로시스는 상법 제363조 및 정관 23조에 의거하여 제36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시 : 2023년 12월 07일(목) 오전 09시 정각


2. 장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24, 7층 701호
             (가산동, 가산와이피피아르센타워)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사외이사  이진우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따른 승인의 건

4.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주 본인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 간접행사 : 위임장,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 위임장 기재사항 : 주주 및 대리인의 인적 사항, 인감날인 必

6.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 또는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기타사항

가,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23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당사는 금번 주주총회 시 참석 주주님을 위한 주주총회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주차공간이 협소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류덕식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3년 01월 03일 유상증자 신주 발행의 건 참석(찬성)
2 2023년 01월 13일 유상증자 신주 발행 일정 변경의건 참석(찬성)
3 2023년 02월 03일 유상증자 신주 발행 일정 변경의건 참석(찬성)
4 2023년 02월 15일 내부회계 평가보고서 보고의 건 참석(찬성)
5 2023년 02월 15일 제3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참석(찬성)
6 2023년 03월 03일 우리사주 조합 설립의 건 참석(찬성)
7 2023년 03월 15일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제도 채택의 건 참석(찬성)
8 2023년 03월 15일 제3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참석(찬성)
9 2023년 03월 17일 제3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참석(찬성)
10 2023년 03월 20일 타법인 주식 및 경영권 양수도 계약의 건 참석(찬성)
11 2023년 04월 06일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 참석(찬성)
12 2023년 04월 27일 금전대여 결정의 건 참석(반대)
13 2023년 05월 02일 금전대여 결정의 건 참석(반대)
14 2023년 05월 04일 주권 관련 사채권의 취득결정 참석(반대)
15 2023년 05월 12일 제36기 1분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참석(찬성)
16 2023년 08월 11일 제36기 2분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참석(찬성)
17 2023년 08월 22일 제36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참석(찬성)
18 2023년 09월 06일 대표이사 선임의 건 참석(찬성)
19 2023년 10월 25일 임시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주주명부폐쇄) 참석(찬성)
20 2023년 10월 25일 지점 소재지 이전의 건 참석(찬성)
21 2023년 10월 25일 소규모 합병 결정의 건 참석(찬성)
22 2023년 11월 15일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 참석(반대)
23 2023년 11월 15일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 참석(반대)
24 2023년 11월 22일 사외이사 이진우 선임의 건 참석(찬성)
25 2023년 11월 22일 정관 변경의 건 참석(찬성)
26 2023년 11월 22일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대한 승인의 건 참석(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 당사는 본 공시서류 작성일 현재 이사회내 위원회를 두고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000 10,000,000 10,000,000 -

- 지급총액은 공시서류제출일 기준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자금거래(유상증자) 종속기업 2023-04-10 900 3.19%
매입거래 중간지배기업 2023.05.17~2023.06.27 95 0.33%

- 상기의 비율은 자산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IT 융복합 사업


1) 전력자동화시스템 사업

IT의 네트워크화, 지능화, 내재화의 특성을 통해 주력산업과의 융복합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부가가치 제고를 촉진하고 있는 사업 분야입니다. 전력자동화 산업은 세계적인 부동산 경기침체 등 세계적인 경기하강이 진행됨에 따라 산업의 성장성에 중요한 요소인 건설경기 및 산업설비 투자침체는 당분간 계속 될 것이나, 정부의 공공안전부문 부양정책에 따라 사회안전사업은 더욱 더 활성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신규투자 및 정부중심의 사회안전분야의 활성화가 당 사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발전, 송변전, 배전설비 신설 및 증설, 사회안전사업 활성화, 제조업체들의 투자수요 확대 및 노후설비 교체를 통한 안정화, 대형건물에 대한 건설경기 등이 산업수요를 결정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존 전력분야의 자동화 시스템보다 지능화, 고신뢰, 고기능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채용하여 광범위하고 대용량의 산업설비를 효율적으로 감시/제어하는 인텔리전트 안전감시 제어시스템으로 발전, 송배전,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 및 대규모 플랜트의 전력계통, 지하철/철도공사 전철급전/고압배전 감시설비, Oil/Gas 공급설비 감시제어, 간척지 배수갑문 및 물관리자동화 시스템 감시제어에 적용하는 전력자동화 시스템과 배전반, 제어반 그리고 전력설비에 대한 감시제어시스템(GIS, 변압기, 케이블, 모터 진단 등) 등의 전력솔루션이 주력 사항입니다.


2) 스마트그리드 사업 


세계 10대 에너지 다소비 국가로서, 향후에도 에너지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안보 확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에너지 이용 효율성 향상이 다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스마트그리드 촉진법 제정을 통해 로드맵, 실증사업, 거점지구의 기술적, 제도적 연속성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실증단지 성과물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인력양성, 보급 등의 사업과 지속적으로 연계되어 관련 산업의 활성화 촉진이 절실합니다. 따라서 국가 단위 스마트그리드구축을 위해서는 국민적 공감대가 필수적이며 지능형 전력망의 구축 및 관련 사업을 통해 체계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 기본계획 : 정책목표, 기술개발, 실증/보급/확산, 산업진흥, 표준화, 정보보호, 제도개선 등

- 시행계획 : 해당년도 세부 실행계획 및 성과관리 등


주요제품으로는 스마트배전분야의 PLC 모뎀, DCU, Smart Meter(G-Type, E-Type, EA-Type 전자식 전력량계), 스마트 홈-HAN분야의 IHD/HEMS, Smart Plug, 기기간 사물인터넷(IoT) 분야(스마트센서, 게이트웨이, 플랫폼, 서비스)과 홈, 빌딩, 공장의 에너지관리시스템, 에너지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서비스 및 에너지저장장치 ESS(PCS, PMS, EMS, BMS, Battery Packing) 등이 있으며, 국책과제 및 보급사업, 확대사업 등의 지속적인 참여를 통해 에너지 및 스마트그리드 전문 기업으로서의 이미지 구축이 필요합니다.


3) 공공용 사회안전시스템 사업


개인, 기업 및 산업, 국가 안전과 관련된 시스템으로 세월호사건과 대구지하철 화재사건, 원전 보안유출 사건 등 각종 사건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재난안전관리분야의 관심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사회기반시설의 보안 및 안전뿐만 아니라 개인과 기업단위의 안전 분야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단기적으로는 ICT융합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내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신뢰성을 확보하여 글로벌시장 진출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주요 추진 프로젝트는 지하철의 승강장안전문(PSD), 비상문 등의 공공안전시스템시장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4) 차세대 무선통신 및 센서네트워크 사업


언제 어디서나 초고속, 고품질 이동 및 융복합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융복합 휴대 단말 사업으로서 글로벌 시장 선점에 유리한 성장 동력입니다. 또한 타 산업 분야로의 부가가치 및 파급효과가 큰 핵심 산업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RFID/USN기술을 지나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발달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사의 WCDMA/LTE망 및 지그비(Zigbee)통신망을 활용해 차세대 핵심부품인 스마트센서, 게이트웨이 기기를 ICT융합-산업 전 분야에 접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기술을 기존 사업과 연계하여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원격제어나 위험물품의 상시 제어, 감시 등의 분야에 적용되어 질 수 있는 전력/통신 기반 제조 및 서비스 창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변전소와 변전소간 송변전용 전송설비인 송변전용 광단말장치 사업과 정전이나 재난으로 인한 지상통신망 두절에 대비하여 위성통신망을 이용한 전력계통운영 통신시스템 개발을 통해 전력계통의 안정성 확보와 신속한 광역정전 복구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 첨단그린도시사업

1) 지능형 교통사업


지방자치단체별 지능형 교통체계분야시스템 구축에 따른 호환성 문제, 기술표준화 노력 미흡에 따른 중복투자 및 민간기업의 시장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시장 비전 제시가 미흡하나 정부와 민간기업의 거시적 안목으로 일반인의 이해와 편의를 위한 교통 공학적 측면에서 접근되어야 하는 특성이 있으며, 신도시와 혁신도시 및 기업도시의 성장으로 인해 기존 교통 정보 센터나 도시 통합 관제 센터 사업에 통합하여 사업이 추진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 U-City사업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시건설기술과 융합하여 효율적이고 쾌적한 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도적 기반 마련 및 표준화 영역은 정부주도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등 기술적인 영역과 도시운영의 경제성을 높이는 영역은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신도시 건설수출에 '한국적 Smart-City' 모델을 적용하여 지속적이며 안정적 국부 창출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3) 스마트 물환경 사업


수돗물의 최대 위협은 녹물 및 상수관로의 노후로 인한 누수가 심각하다는 것입니다.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관리가 소홀한 상수관망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물 부족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물 및 수생태 관리를 통해 쾌적하고 안전한 21세기 물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최대의 목표입니다. 고도처리를 통해 수질이 양호한 하수 처리수를 대체 수자원으로 개발하거나 해수담수화를 통해 산업전반에 필요한 각종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함은 물론 물 생산의 효율성뿐 아니라 유수율 제고사업을 통한 생산량의 효율적인 운영이 되어야 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주식회사 비츠로시스(이하 "회사"라 함)는 1989년 11월에 프랑스 CLEMESSY와 기술협력을 맺고 한불자동화 주식회사로 출범하여 1991년 1월에 주식회사 광명제어로, 2000년 7월에 주식회사 비츠로시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1년 12월에 코스닥시장에 등록하였습니다.

회사는 자동제어시스템 전문 제조업체로서 분산제어시스템, SCADA 시스템, 유ㆍ무선TM/TC, ITS시스템 등을 개발하여 정부/공공기관, 대형건설사, 지방자치단체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한편, 회사의 당분기말 자본금은 24,580,299천원으로서 주요 주주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주 식 수 지 분 율 비 고
(주)브이에이치1 9,386,175 19.09 중간지배기업
우수정기(주) 5,206,077 10.59 중간지배기업
기타 34,568,347 70.32 -
합 계 49,160,599 100.00 -


지능형 전력감시제어시스템을 확대한 IT 융복합 사업은 급속한 산업발전과 기술발전에 상응하는 지속적인 R&D투자가 필요하며 프로젝트 수행경험이 풍부한 기술 인력이 필요합니다. 당사 제품의 국내 자재비율은 대략 70%를 상회하는 수준이며, 특히 대부분의 전력기기 산업장비를 자체 양산하여 사용하고 있어 자재 수급에 유리한 고지에 있습니다.

국토 해양부 주관 하에 시행되는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광역 버스정보시스템(BIS)사업의 지속적인 사업 시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최첨단 신규 제품 출시를 위한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특히 차세대 교통정보시스템(C-ITS)사업이 향후 ITS시장에 새롭게 부각이 되고 있습니다. 일부 제품은 상용화가 이루어져 시범 구축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 될 경우 ITS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지방 분권화 정책과 구도심의 재개발 및 신규 택지 지구에 대한 개발이 꾸준한 가운데 다소 주춤하였던 U-City 구축 사업이 올해 들어서는 신도시와 혁신도시 및 기업도시의 꾸준한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인 투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 전력자동화시스템 사업

IT 융복합 사업의 시장범위는 특정한 분야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제품의 활용 가능한 분야에 의해 시장범위가 결정됩니다. 즉, 사회기반시설(철도, 방범, 화재, 한전), 석유화학플랜트공장, 전력설비, GAS기지, 농, 공업용수 공급설비 등적용 가능한 모든 분야가 대상범위에 속할 것이며, 산업설비의 자동화, 무인화, 첨단화, 안정화 추세에 의하여 계속적인 시장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막대한 투자설비로 인하여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책 방향, 사업 계획 및 투입 예산이 시장 규모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됩니다. 또한, 가격/기술수준 및 납품실적 등에 의해 제품공급자가 결정되며, 자체핵심기술의 유무가 제품 응용기능 확대와 첨단정보통신기술의 접목 및 원가절감과 부가가치 증대 등의 결과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습니다.


- 스마트그리드 사업

기존 전력망에 ICT기술을 접목하여 전력생산 및 소비정보를 양방향, 실시간으로 통신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그리드 사업은 국내 에너지 시장의 공급과 소비, 시장측면에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효율 향상, 신성장동력 창출을 목표로 2004년 전력 IT(지능형 전력망 기술)종합대책을 발표한 이후, 2010년 초 스마트그리드 국가 로드맵을 확정,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015년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에 따라 에너지관련 산업의 혁신을 촉발하고 자생적인 시장 생태계의 조성을 위한 대규모 시장창출 전략이 발표되었습니다.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 요구증대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등 친환경적 교통, 가전 등의 보급을 확대, 추진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하여 정부는 2030년까지 세계 최초의 국가 단위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목표로 사업을 계획, 진행 중에 있으며, 에너지 미래비전 달성을 위한 4대 분야(에너지프로슈머, 저탄소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공정) 에너지 신산업으로 확산 추진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는 스마트그리드 기반의 Green Race중이며, 주요 선진국의 경우 정부주도 R&D 전략을 통해 그린 에너지 시장 선점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추세에따라 우리나라 또한 정부 주도하에 초기 핵심기술 개발 및 신제품 시장 창출 지원, 공공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 확대에 따른 민간 기업들의 투자를 통하여 시장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공공용 사회안전시스템 사업

한국판 뉴딜정책의 시행으로 교통체계구축 분야는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당사는 ITS 센터가 구축된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회 안전시스템에 대한 진출에 대해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발표에 따르면, 전철승강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광역철도 승강장안전문(PSD) 및 비상문 사업과 관련하여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3)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진우 1971년 06월 26일 사외이사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진우 현) 법무법인 다일 변호사
현) 서울동부지방법원 조정위원
2017년 ~ 현재
2021년 ~ 현재
변호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진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이진우 사외이사 후보자]
- 당사와의 거래 내역이 없으므로 독립적이고 투명한 업무 수행이 가능하며, 사외이사로서의 엄중한 책임과 의무에 대하여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상법상 사외이사의 결격요건에 해당 사항이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진우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독립적이고 책임있는 의사결정을 통해 이사회의 투명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본인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사업 및 경영에 대하여 조언하고 감독하며, 회사가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고 주주의 가치를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확인서(사외이사)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

1. ~ 144. (생략)

145. 전 각호에 관련된 제조 설비, 도매, 수출입업 및 기타

146. 전 각호에 관련된 설비제조, 도매, 수출입업 및 기타 엔지니어링업

제2조(목적)

1. ~ 144. (현행과 같음)

145. 계장시스템 설계, 제작 및 엔지니어링

146. 환경산업용기기 제조 및 판매업

147. 프로세스제어반 제조 및 판매업

148. 분전반 제조업

149. 전동기 제어반 제조업

150. 폐쇄형 배전반 제조업

151. 기계설비공사업

152. 전동기 및 발전기 제조업

153. 커피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154. 커피관련 기기 용품 제조 및 도소매업

155. 커피 체인점, 직영점 및 대리점 운영업

156. 식품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157. 음식업

158. 식음료품 제조, 판매 및 유통업

159. 제품의 위탁생산 및 판매업

160. 프랜차이즈 가맹업

161. 에너지 저장장치 제조, 개발

162. 기타 전기 변환장치 제조업

163. 축전지 제조업

164. 기타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165. 트레일러 및 세미 트레일러 제조업

166. 배터리 보호장치 개발 및 판매업

167. 재사용(RE-USE) 배터리 제조 및 판매업

168. 위성통신장비 제조 및 판매업

169. 전 각호에 관련된 제조 설비, 도소매, 수출입업 및 기타

170. 전 각호에 관련된 설비제조, 도소매, 수출입업 및 기타 엔지니어링업

사업다각화

부 칙

<신설>

부 칙

이 정관은 2023년 12월 7일부터 시행한다.

부칙신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당사는 2021년 09월 08일 주주총회 승인을 통해 회사의 경영, 기술혁신 및 사업개발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주요 임직원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하여 높은 경영성과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실질적인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임직원 34명을 대상으로 총 976,800주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습니다.
또한 보고제출일 현재기준 부여 후 실효된 주식(195,100주)을 제외하고, 총 1,200,000주의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을 얻고자 합니다.
본 안건(제3호 의안)은 2023년 11월 22일 이사회에서 결의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내용을 제36기 임시주주총회에서 승인받기 위한 것입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박태준 사내이사 부문장 보통주 200,000
조대연 사내이사 부문장 보통주 500,000
외 1인 임직원 임직원 보통주 500,000
총(3)명 - - 보통주 총(1,200,000)주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교부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보통주 1,200,000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516원 / 2025.12.07 ~ 2027.01.06 -
기타 조건의 개요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부여가능
주식수
잔여
주식수
49,160,599 발행주식 총수의 15% 보통주 6,592,389 5,392,389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
종류
부여
주식수
행사
주식수
실효
주식수
잔여
주식수
2021년 2021.09.08 34 보통주 976,800 0 195,100 781,700

총(34)명 - 총(976,800)주 총(0)주 총(195,100)주 총(781,700)주

- 보고서 제출일 현재 실효주식수는 제외한 잔여주식수의 부여인원은 24명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122000350

비츠로시스 (0542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