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츠로시스 (054220) 공시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2023-03-02 13:4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2000187


증권발행조건확정



금융위원회 귀중 2023년    03월   02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대   표     이   사 :

이 기 재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31길 20, 8층 802호
(구로동, 에이스테크노타워5차)

(전  화) 02-460-2000

(홈페이지) http://www.vitzrosys.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이 기 재

(전  화) 02-460-2000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1월 03일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제출일자 문서명 비고
2023년 01월 03일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최초 제출
2023년 01월 20일 [기재정정]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정정신고서 제출요구에 따른 정정(파란색)
2023년 02월 17일 [기재정정]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정정신고서 제출요구에 따른 정정(빨간색)
2023년 03월 02일 [발행조건확정] 증권신고서(지분증권)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초록색)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24,0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12,000,000,000원


4. 정정사유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5. 정정사항
※ 금번 정정사항은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으로, 정정사항 확인의 편의를 위해 정정사항은 '굵은 초록색'을 사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굵은 파란색'을 사용한 2023.01.20 정정사항, '굵은 빨간색'을 사용한 2023.02.17 정정사항과 구분하여 표시하였습니다. 

항  목 정 정 전 정 정 후
※ 요약정보는 본문의 정정사항을 반영하였으며, 정오표를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단순 오타인 경우 정오표를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공통 사항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739원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17,736,000,000원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500원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12,000,000,000원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1. 공모개요
[주1] 정정 전 [주1] 정정 후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주2] 정정 전 [주2] 정정 후
III. 투자위험요소 - 1. 사업위험
- 아. 연구개발 관련 위험
[주3] 정정 전 [주3] 정정 후
III. 투자위험요소 - 3. 기타위험
- 가.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및 지분 희석 위험
[주4] 정정 전 [주4] 정정 후
V. 자금의 사용목적 [주5] 정정 전 [주5] 정정 후


[주1] 정정 전

당사는 2023년 01월 03일 개최한 이사회 결의, 2023년 01월 13일 개최한 (정정)이사회 결의, 2023년 02월 03일 개최한 (정정)이사회 결의를 통해 기명식 보통주 24,000,000주를 주주배정 증자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금번 주주우선공모 유상증자의 발행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모 개요]

(단위: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모집(매출) 방법
기명식보통주 24,000,000 500 739  17,736,000,000 주주배정
주1) 기산일 : 이사회결의일 전일(2023년 01월 02일)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예정발행가액 기준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 시 가격 산정 절차 폐지 및 가격 산정의 자율화에 따라 발행가격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 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 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준용하여 아래와 같이 산정할 예정입니다.

■ 예정 발행가액의 산출 근거

예정 발행가액은 이사회결의일(2023년 01월 03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최근일 종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하여 아래의 산식에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할인율 적용에 따른 모집가액이 액면가액(500원)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하며, 호가 단위 미만은 절상합니다.

※ 예정 발행가액 = [기준주가 * (1- 할인율) ] / [ 1 + ( 증자비율 * 할인율 )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예정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이 산정될 예정입니다.

[예정 발행가액 산정표]
기산일: 2023년 01월 02일 (단위: 원, 주)
일수 일자 가중산술평균주가 거래량 거래대금
1 2023-01-02 1,219 192,848 235,174,455
2 2022-12-29 1,254 129,270 162,125,220
3 2022-12-28 1,221 333,677 407,487,295
4 2022-12-27 1,236 331,779 410,227,610
5 2022-12-26 1,309 198,266 259,554,455
6 2022-12-23 1,300 107,028 139,145,865
7 2022-12-22 1,321 149,535 197,493,445
8 2022-12-21 1,360 228,968 311,446,515
9 2022-12-20 1,404 102,954 144,517,540
10 2022-12-19 1,443 199,143 287,301,085
11 2022-12-16 1,475 148,410 218,955,330
12 2022-12-15 1,464 212,072 310,442,415
13 2022-12-14 1,432 145,164 207,935,345
14 2022-12-13 1,423 112,712 160,336,005
15 2022-12-12 1,399 141,108 197,454,735
16 2022-12-09 1,434 130,574 187,198,200
17 2022-12-08 1,456 258,187 375,841,865
18 2022-12-07 1,512 133,392 201,626,955
19 2022-12-06 1,518 387,349 587,936,630
20 2022-12-05 1,564 278,910 436,333,250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A) 1,345 -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B) 1,240 - -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C) 1,219 - -
A,B,C의 산술평균(D) 1,268 [A+B+C] / 3
기준주가[Min(C, D)] 1,219 C 와 D 중 낮은 금액
할인율 25%
증자비율 95.38%
예정발행가액 739원 기준주가 X (1-할인율)/(1+증자비율 X 할인율)
(단, 호가단위 미만은 절상하며,
액면가 미만인 경우에는 액면가로 합니다.)


(후략)


[주1] 정정 후

당사는 2023년 01월 03일 개최한 이사회 결의, 2023년 01월 13일 개최한 (정정)이사회 결의, 2023년 02월 03일 개최한 (정정)이사회 결의를 통해 기명식 보통주 24,000,000주를 주주배정 증자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금번 주주우선공모 유상증자의 발행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공모 개요]

(단위: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모집(매출) 방법
기명식보통주 24,000,000 500 500 12,000,000,000 주주배정
주1) 기산일 : 이사회결의일 전일(2023년 01월 02일)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1차 발행가액 기준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 시 가격 산정 절차 폐지 및 가격 산정의 자율화에 따라 발행가격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 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 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준용하여 아래와 같이 산정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의 산출 근거

1차 발행가액은 신주배정기준일(2023년 03월 06일) 전 제3거래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최근일 종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하여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할인율 적용에 따른 모집가액이 액면가액(500원)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하며, 호가 단위 미만은 절상합니다.

※ 1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 (1- 할인율) ] / [ 1 + ( 증자비율 * 할인율 )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1차 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이 산정될 예정입니다.

[1차 발행가액 산정표]
기산일: 2023년 02월 28일
(단위: 원, 주)
일수 일자 가중산술평균주가 거래량 거래대금
1 2023-02-28 815 306,169 249,399,347
2 2023-02-27 838 261,024 218,833,623
3 2023-02-24 847 254,688 215,827,095
4 2023-02-23 844 275,025 232,080,180
5 2023-02-22 847 551,596 467,219,551
6 2023-02-21 875 330,749 289,505,492
7 2023-02-20 884 474,429 419,553,611
8 2023-02-17 917 235,924 216,325,275
9 2023-02-16 930 190,878 177,514,742
10 2023-02-15 937 338,512 317,209,566
11 2023-02-14 979 197,545 193,397,515
12 2023-02-13 973 430,349 418,596,790
13 2023-02-10 1,015 884,795 897,961,059
14 2023-02-09 1,048 6,451,721 6,762,953,995
15 2023-02-08 932 397,257 370,233,672
16 2023-02-07 927 1,572,376 1,457,350,765
17 2023-02-06 871 209,454 182,409,595
18 2023-02-03 887 375,192 332,701,074
19 2023-02-02 892 325,480 290,250,503
20 2023-02-01 862 141,135 121,590,815
21 2023-01-31 862 150,161 129,503,329
22 2023-01-30 880 117,427 103,294,071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A) 972 -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B) 839 - -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C) 815 - -
A,B,C의 산술평균(D) 875 [A+B+C] / 3
기준주가[Min(C, D)] 815 C 와 D 중 낮은 금액
할인율 25%
증자비율 95.38%
1차 발행가액 500 기준주가 X (1-할인율)/(1+증자비율 X 할인율)
(단, 호가단위 미만은 절상하며,
액면가 미만인 경우에는 액면가로 합니다.)
주1: 기준주가 815원에 할인율 25%를 적용하여 산정한 발행가액은 493원이나, 해당 가액은 액면가액(500원) 미만이므로 액면가액(500원)을 1차 발행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후략)

[주2] 정정 전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항 목 내 용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24,000,000
주당 모집가액 예정가액 739
확정가액 -
모집총액 예정가액  17,736,000,000
확정가액 -
청 약 단 위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와 초과청약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를 합한 주식수입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주식관련사채의 권리행사, 자기주식의 변동, 주식매수매수선택권의 행사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단, 1주 미만은 절사)

청약기일 구주주 개시일 2023년 04월 10일
종료일 2023년 04월 11일
청약
증거금
구주주(신주인수권증서) 청약금액의 100%
초 과 청 약 청약금액의 100%
납 입 기 일 2023년 04월 13일
배당기산일(결산일) 2023년 01월 01일
주1)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후략)


[주2] 정정 후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항 목 내 용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24,000,000
주당 모집가액 예정가액 500
확정가액 -
모집총액 예정가액  12,000,000,000
확정가액 -
청 약 단 위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와 초과청약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를 합한 주식수입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주식관련사채의 권리행사, 자기주식의 변동, 주식매수매수선택권의 행사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단, 1주 미만은 절사)

청약기일 구주주 개시일 2023년 04월 10일
종료일 2023년 04월 11일
청약
증거금
구주주(신주인수권증서) 청약금액의 100%
초 과 청 약 청약금액의 100%
납 입 기 일 2023년 04월 13일
배당기산일(결산일) 2023년 01월 01일
주1)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후략)

[주3] 정정 전

(전략)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 중 약 28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금번 공시서류의 2순위 자금사용목적으로 당사가 기존에 영위하고 있는 종합예방진단시스템, SA 디지털변전소, 디지털 전력량계 등에 2023년 2분기부터 4분기까지 총 약 24억원을 투입할 계획임을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3순위 자금사용목적으로 과거에 영위하였으나 현재는 중단된 사업을 회복하면서, ITS, BIS, BMS 연구개발비용으로 2023년 4분기에 약 3억원을 사용할 예정임을 작성하였습니다. 당사가 공시서류에 작성한 자금사용목적 중 연구개발비용과 관련되어 있는 부분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금사용목적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사항은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금번 공모자금 중 연구개발비용 관련 사용 계획]
(단위: 백만원)
우선순위 상세 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순위 종합예방진단시스템 2023년 2분기
~2023년 4분기
693 367 194 132 - - - - - - -
- - - -
SA 디지털변전소 2023년 2분기
~2024년 4분기
750 70 89 174 169 136 60 52 - - -
- - - -
V-EYE 2024년 2분기
~2025년 3분기
550 - - - - 30 40 157 165 132 26
- - - -
디지털 전력량계(AMEGO) 2024년 1분기
~2024년 4분기
877 - - - 228 295 242 112 - - -
- - - -
PSD 제어반 등 2023년 2분기
~2024년 3분기
2,300 300 600 450 750 - 200 - - - -
- - - -
3순위 기존 사업 복구
(ITS, BIS 등)
2023년 4분기
~2026년 4분기
1,400 - - 200 - - 200 - - 300 - - 300 - - 400
기존 사업 복구
(BMS 등)
2023년 4분기
~2026년 4분기
1,200 - - 200 - - 200
- - 200
- - 300 - - 300
합 계 - 7,770 2,776 2,871 823 1,300
출처: 전자공시시스템


이처럼 당사는 2023년 2분기~4분기 중 약 
28억원에 달하는 연구개발비용을 집행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2020년 약 5억원, 2021년 약 4억원 대비 급격히 증가한 수치입니다. 당사가 2020년 10월 중 회생절차를 종결하기 전까지는 경영정상화 과정으로 연구개발에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연단위 연구개발비용이 2019년 약 0.1억원, 2020년 약 5억원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2020년의 경우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여 약 5억원 수준도 전체 매출액 대비 11.99%에 달하는 비용이었습니다. 그러나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당사는 회생절차를 종결하고 코스닥시장위원회에서 상장 유지 결정을 받아 2022년 07월부터 매매거래도 재개된 상황입니다. 향후 당사의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실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만큼, 당사는 2023년부터 연구개발에 보다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후략)

[주3] 정정 후

(전략)

당사는 
2023년에 금번 공모자금 중 약 27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사용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금번 공시서류의 2순위 자금사용목적으로 당사가 기존에 영위하고 있는 종합예방진단시스템, SA 디지털변전소, 디지털 전력량계 등에 2023년 2분기부터 4분기까지 총 약 24억원을 투입할 계획임을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3순위 자금사용목적으로 과거에 영위하였으나 현재는 중단된 사업을 회복하면서, ITS, BIS, BMS 연구개발비용으로 2023년 4분기에 약 3억원을 사용할 예정임을 작성하였습니다. 당사가 공시서류에 작성한 자금사용목적 중 연구개발비용과 관련되어 있는 부분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금사용목적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사항은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금번 공모자금 중 연구개발비용 관련 사용 계획]
(단위: 백만원)
우선순위 상세 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순위 종합예방진단시스템 2023년 2분기
~2023년 4분기
693 367 194 132 - - - - - - -
- - - -
SA 디지털변전소 2023년 2분기
~2024년 4분기
750 70 89 174 169 136 60 52 - - -
- - - -
V-EYE 2024년 2분기
~2025년 3분기
550 - - - - 30 40 157 165 132 26
- - - -
디지털 전력량계(AMEGO) 2024년 1분기
~2024년 4분기
877 - - - 228 295 242 112 - - -
- - - -
PSD 제어반 등 2023년 2분기
~2024년 3분기
2,300 300 600 450 750 - 200 - - - -
- - - -
3순위 기존 사업 복구
(ITS, BIS 등)
2023년 4분기
~2026년 4분기
1,400 - - 200 - - 200 - - 300 - - 300 - - 400
기존 사업 복구
(BMS 등)
2023년 4분기
~2026년 4분기
400 - - 100 - - 100 - - 100
- - 100
- - -
합 계 - 6,970 2,676 2,771 723 800
출처: 전자공시시스템


이처럼 당사는 2023년 2분기~4분기 중 약 
27억원에 달하는 연구개발비용을 집행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2020년 약 5억원, 2021년 약 4억원 대비 급격히 증가한 수치입니다. 당사가 2020년 10월 중 회생절차를 종결하기 전까지는 경영정상화 과정으로 연구개발에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연단위 연구개발비용이 2019년 약 0.1억원, 2020년 약 5억원 수준에 불과하였으며, 2020년의 경우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여 약 5억원 수준도 전체 매출액 대비 11.99%에 달하는 비용이었습니다. 그러나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당사는 회생절차를 종결하고 코스닥시장위원회에서 상장 유지 결정을 받아 2022년 07월부터 매매거래도 재개된 상황입니다. 향후 당사의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실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만큼, 당사는 2023년부터 연구개발에 보다 많은 인력과 비용을 투입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후략)

[주4] 정정 전

(전략)

최대주주의 청약 참여율을 30%로 가정한, 금번 주주배정 유상증자의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
(단위: 주, %, %p, 억원)
주주명 주식수 지분율 최대주주 청약률 30% 가정 시 최대주주 청약 미참여 가정 시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억원)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억원)
㈜브이에이치1 7,000,000주 27.82% 9,002,950 18.31% -9.51%p 14.80 7,000,000 14.24% -13.58%p                   - 
우수정기㈜ 2,793,608주 11.10% 2,793,608 5.68% -5.42%p - 2,793,608 5.68% -5.42%p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계 9,793,608주 38.92% 11,796,558 23.99% -14.93%p 14.80 9,793,608 19.92% -19.00%p                   - 
발행주식총수  25,162,883주 100.00% 49,162,883 100.00% - - 49,162,883 100.00% - -
출처: 당사 제시
주1: 구주주 배정비율: 보통주 1주당 0.9537857804주
주2: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청약률이 100% 이상을 기록하여 모집주식수 24,000,000주 전량 발행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주3: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의 부담금은 예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중략)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신주 이외에,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으로 보통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사채 잔액은 총 100억원입니다.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미상환 전환사채를 각각의 조정된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전환가능주식수를 산정할 경우, 총 6,662,224주가 추가적으로 발행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총발행주식수인 25,162,883주의 26.48%에 해당하는 물량이며, 해당 사채권이 전액 전환될 경우 최대주주 지분율이 하락하고 당사의 주식가치가 희석되는 등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가하락에 의한 전환가액 추가 조정으로 전환가능 주식수가 증가하여 최대주주 지배력이 더욱 약화되거나 최대주주가 변동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금번 유상증자에 최대주주가 배정분의 30% 수준의 청약을 진행하고, 당사의 미상환 전환사채의 전액 전환을 가정한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상환 전환사채 전환 가정 시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
(단위: 주, %, %p, 억원)
주주명 주식수 지분율 최대주주 30% 참여+전환사채 전액 전환 고려 최대주주 30% 참여+전환사채(Refixing 후) 전액 전환 고려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억원)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
㈜브이에이치1 7,000,000주 27.82% 9,002,950 16.13% -11.69%p 14.80 9,002,950 15.34% -12.48%p 14.80
우수정기㈜ 2,793,608주 11.10% 2,793,608 5.00% -6.10%p - 2,793,608 4.76% -6.34%p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계 9,793,608주 38.92% 11,796,558 21.13% -17.79%p 14.80 11,796,558 20.10% -18.82%p 14.80
발행주식총수 25,162,883주 100.00% 55,825,107 100.00% - - 58,677,629주 100.00% - -
출처: 당사 제시
주1: 구주주 배정비율: 보통주 1주당 0.9537857804주
주2: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청약률이 100% 이상을 기록하여 모집주식수 24,000,000주 전량 발행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주3: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의 부담금은 예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4: 최대주주((주)브이에이치1)가 배정분의 30% 수준으로 참여하고, 당사의 미상환 전환사채(11CB, 12CB)가 전액 전환되는 경우를 가정하였습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에 따라 최대주주의 지분율 하락, 기발행된 전환사채의 전환에 따른 추가적인 주식가치 희석 등 경영권과 관련한 위험이 잠재되어 있습니다.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최대주주인 (주)브이에이치1은 배정분의 약 30% 수준의 주식을 청약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으나 향후 청약 계획이 변경되어 청약률이 낮아질 경우 지분율이 더욱 하락하여, 당사의 안정적인 경영권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4] 정정 후

(전략)

최대주주의 청약 참여율을 30%로 가정한, 금번 주주배정 유상증자의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
(단위: 주, %, %p, 억원)
주주명 주식수 지분율 최대주주 청약률 30% 가정 시 최대주주 청약 미참여 가정 시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억원)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억원)
㈜브이에이치1 7,000,000주 27.82% 9,002,950 18.31% -9.51%p 10.01 7,000,000 14.24% -13.58%p -
우수정기㈜ 2,793,608주 11.10% 2,793,608 5.68% -5.42%p - 2,793,608 5.68% -5.42%p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계 9,793,608주 38.92% 11,796,558 23.99% -14.93%p 10.01 9,793,608 19.92% -19.00%p -
발행주식총수  25,162,883주 100.00% 49,162,883 100.00% - - 49,162,883 100.00% - -
출처: 당사 제시
주1: 구주주 배정비율: 보통주 1주당 0.9537857804주
주2: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청약률이 100% 이상을 기록하여 모집주식수 24,000,000주 전량 발행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주3: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의 부담금은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중략)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신주 이외에,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으로 보통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사채 잔액은 총 100억원입니다.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미상환 전환사채를 각각의 조정된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전환가능주식수를 산정할 경우, 총 6,662,224주가 추가적으로 발행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총발행주식수인 25,162,883주의 26.48%에 해당하는 물량이며, 해당 사채권이 전액 전환될 경우 최대주주 지분율이 하락하고 당사의 주식가치가 희석되는 등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가하락에 의한 전환가액 추가 조정으로 전환가능 주식수가 증가하여 최대주주 지배력이 더욱 약화되거나 최대주주가 변동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금번 유상증자에 최대주주가 배정분의 30% 수준의 청약을 진행하고, 당사의 미상환 전환사채의 전액 전환을 가정한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미상환 전환사채 전환 가정 시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
(단위: 주, %, %p, 억원)
주주명 주식수 지분율 최대주주 30% 참여+전환사채 전액 전환 고려 최대주주 30% 참여+전환사채(Refixing 후) 전액 전환 고려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억원) 주식수 지분율 증감율 부담금
㈜브이에이치1 7,000,000주 27.82% 9,002,950 16.13% -11.69%p 10.01 9,002,950 15.34% -12.48%p 10.01
우수정기㈜ 2,793,608주 11.10% 2,793,608 5.00% -6.10%p - 2,793,608 4.76% -6.34%p -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계 9,793,608주 38.92% 11,796,558 21.13% -17.79%p 10.01
11,796,558 20.10% -18.82%p 10.01
발행주식총수 25,162,883주 100.00% 55,825,107 100.00% - - 58,677,629주 100.00% - -
출처: 당사 제시
주1: 구주주 배정비율: 보통주 1주당 0.9537857804주
주2: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는 청약률이 100% 이상을 기록하여 모집주식수 24,000,000주 전량 발행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주3: 상기 지분율 변동 시나리오의 부담금은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4: 최대주주((주)브이에이치1)가 배정분의 30% 수준으로 참여하고, 당사의 미상환 전환사채(11CB, 12CB)가 전액 전환되는 경우를 가정하였습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에 따라 최대주주의 지분율 하락, 기발행된 전환사채의 전환에 따른 추가적인 주식가치 희석 등 경영권과 관련한 위험이 잠재되어 있습니다.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최대주주인 (주)브이에이치1은 배정분의 약 30% 수준의 주식을 청약할 것으로 예정되어 있으나 향후 청약 계획이 변경되어 청약률이 낮아질 경우 지분율이 더욱 하락하여, 당사의 안정적인 경영권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5]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구 분 금 액
모집 또는 매출총액(1) 17,736,000,000
발행제비용 (2) 271,372,480
순수입금 ((1)-(2)) 17,464,627,520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모집 또는 매출총액은 우선적으로 아래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하며, 발행제비용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주3: 상기 기재 금액은 구주주 청약률이 100%를 상회하여 모집주식수를 전량 발행하는 것을 가정하여 산정하였습니다.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구 분 금 액 계산 근거
발행분담금 3,192,480 총 모집금액 * 0.018%(10원 미만 절사)
모집주선수수료 177,360,000 납입총액의 1.0%
상장수수료 3,220,000 250만원+1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9만원
등기관련비용 48,000,000 등록세(증자자본금의 0.4%)(지방세법 제28조)
지방교육세 9,600,000 교육세(등록세의 20%)
기타비용 30,000,000 투자설명서 인쇄/발송비 등
합계 271,372,480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발행분담금과 상장수수료 등의 비용은 최종 발행금액과 상장신청일 직전일 주가수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3: 상기 금액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2. 자금의 사용 목적

가. 공모자금 사용 계획


(기준일 :  2023년 02월 16일 ) (단위 : 백만원)
시설자금 영업양수
자금
운영자금 채무상환
자금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기타
440 - 17,025 - - 271 17,736


나. 공모자금 세부 사용목적

금번 유상증자로 조달된 자금은 아래와 같은 우선순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상세현황 사용(예정)시기 금액 우선순위
운영자금 해외인프라 구축 사업 2023년 2분기~2026년 1분기 1,370 1순위
운영자금 기존사업 연구개발비 2023년 2분기~2025년 3분기
5,170 2순위
운영자금 사업확장(ITS, BIS, BMS) 관련 운영자금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6,711 3순위
운영자금 기존사업 운영자금 2023년 2분기~2026년 4분기 3,774 4순위
시설자금 본사 공간 확충 2023년 2분기~2025년 3분기
440 5순위
소 계 17,465 -
발행제 비용 271 -
합 계 17,736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우선순위는 금번 유상증자 진행에 소요되는 발행제 비용을 제외한 우선순위입니다.
주3: 발행제비용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금액이 당초 계획한 금액에 미달할 경우 당사는 상기한 우선순위에 따라 자금을 차례대로 집행할 계획이며, 부족분은 당사 자체자금 등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또한, 상기 내역은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으로 작성한 내용으로서 향후 실제 자금 집행 과정에서 그 금액 또는 사용 시기가 소폭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한 자금사용 목적 외에 타 용도로 사용 시 매 분기별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 실제 사용내역에 관하여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자금 조달로부터 사용시기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 또는 AA등급대(A1등급대)이상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1) 운영자금(1순위-해외인프라 구축 사업)

당사는 주로 공공기관을 상대로 영업을 하는 B2G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매출처가 한정되어 있고 특정 매출처에 대한 매출 편중도가 높은 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의 내수 시장에서 벗어나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자 해외 현지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 01월 03일 증권신고서 최초 제출 당시 해외법인 설립과 관련하여 인도네시아 현지 컨설팅 업체로부터 컨설팅을 받고, 해외법인 설립 일정이나 비용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한 상태임을 기재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금번 공모자금 중 약 9억원을 해외법인 설립 비용으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해외법인 설립이 당사 계획보다 빠르게 추진되어 금번 유상증자 납입 이전에 해외법인 설립 관련 비용을 지불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최초 공시서류 제출 당시에는 해외법인 설립 비용 약 9억원이 존재하였으나, 증자 납입 이전에 해당 비용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어 약 9억원의 1순위 운영자금을 4순위 운영자금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예정입니다(변경된 자금사용목적은 4순위 운영자금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해외사업 관련 운영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순위 운영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운영자금 해외인프라 구축
(인도네시아)
컨설팅 비용 등 2023년 2분기~2023년 4분기
120
사무실 임차 비용 2023년 2분기~2026년 1분기 1,000
현지인력 채용 비용 2023년 2분기~2026년 1분기 250
합 계 - 1,370
출처: 당사 제시


당사는 해외법인 설립을 위한 컨설팅 비용 등으로 약 1.2억원, 사무실 임차 비용 및 사업 예비비로 약 10억원, 현지 인력 채용 및 운영 비용으로 약 2.5억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1순위 운영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순위 운영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상세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컨설팅비용 등 기타제비용 2023년 2분기 ~ 2023년 4분기 120 40 40 40 - - - - - - - - -
사무실비용 등 2023년 2분기 ~ 2026년 1분기 1,000 1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현지인력채용비용 등 2023년 2분기 ~ 2026년 1분기 250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출처: 당사 제시


(2) 운영자금(2순위-기존사업 연구개발비)

당사는 스마트인프라사업 부문 내에서도 크게 전력과 인프라로 구분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력 사업은 주로 전력계통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시각화한 것을 운영자에게 전달하고 운영자가 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운영시스템, 변전소 및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취득한 후 비정상적인 상황을 감지하는 종합예방진단시스템,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디지털 전력량계(AMEGO)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프라 사업은 주로 철도에 사용되는 승강장 안전문 시스템을 개발 및 설치하는 사업과 철도운영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정보화 구축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스마트인프라사업은 S/W 구축, 디바이스 제조, 건설공사업 등 복합적인 기술 및 노하우를 필요로 합니다. 또한, 당사는 단순 제조업이 아닌 시스템 구축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기에 지속적으로 영업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전력, 인프라,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에 영위하고 있는 종합예방진단시스템, PSD 제어반 등과 관련하여 연구개발비로 금번 공모자금 중 약 52억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2순위 운영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순위 운영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운영자금  종합예방진단시스템 R&D 2023년 2분기~2023년 4분기
693
SA 디지털변전소 R&D 2023년 2분기~2024년 4분기
750
V-EYE R&D 2024년 2분기~2025년 3분기
550
디지털 전력량계(AMEGO)
R&D 2024년 1분기~2024년 4분기 877
 PSD 제어반 등  R&D 2023년 2분기~2024년3분기 2,300
합 계 - 5,170
출처: 당사 제시


전력 설비에 대한 종합예방진단시스템은 변전소 및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취득한 후 비정상적인 상황을 감지하는 시스템이며, 종합예방진단시스템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합예방진단시스템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외주 IEC61850 Ed2 Server/Client 40
딥 러닝 모듈
자체 개발 Modbus Master 344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제품 패키지 원격
업데이터 / 메니저
웹 서비스
개발비 (S/W) 소계 384
개발비
(H/W)
자체 개발 측정 장비
(PD, 차단기, OLTC)
20
CU 8
개발비 (H/W) 소계 28
자재비
(H/W)
개발환경 구축비 20
전류 센서 등 10
PD 패턴 데이터 구입비 20
잡자재 6
S/W 구입비 5
자재비 소계 141
시험
인증비용
PD 패턴 수집 시험비 50
환경시험(EMI, EMC등) 30
IEC 61850 시험 30
한전 전력연구원 시험 30
시험인증비용 소계 140
합 계 693
출처: 당사 제시


디지털변전소는 전력설비의 통신 규격인 국제표준 IEC61850(변전설비 자동화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련 국제 표준)에 따라 전력설비의 감시, 계측, 제어 및 보호 기능을 자동화한 변전소를 의미하며, SA 디지털변전소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SA 디지털변전소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자체 개발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450
제품 패키지 원격 
업데이터 / 메니저
웹 서비스
개발비 (S/W) 소계 450
개발비
(H/W)
자체 개발 측정 장비 150
CU 10
개발비 (H/W) 소계 160
자재비 개발환경 구축비 30
잡자재 20
자재비 소계 50
인증비용 환경시험(EMI, EMC등) 30
IEC 61850 시험 30
한전 전력연구원 시험 30
시험인증비용 소계 90
합 계 750
출처: 당사 제시


V-EYE는 산업자동화 시스템 전 분야에 적용가능한 HMI(Human-machine Interface, 사용자에게 기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대시보드) 프로그램으로, 정수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통합운영관리, 전력 등의 시스템 환경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V-EYE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V-EYE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자체 개발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450
제품 패키지 원격 
업데이터 / 메니저
웹 서비스
개발비 (S/W) 소계 450
자재비 개발환경 구축비 80
잡자재 20
자재비 소계 100
합 계 550
출처: 당사 제시


디지털 전력량계(AMEGO)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디지털 전력량계(AMEGO)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자체 개발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258
제품 패키지 원격  82
업데이터 / 메니저 58
서비스 기능 52
개발비 (S/W) 소계 450
개발비
(H/W)
자체 개발 펌웨어 100
PCB 50
SMT 40
케이스 24
개발비 (H/W) 소계 214
자재비 개발환경 구축비 80
잡자재 34
자재비 소계 114
인증비용 환경시험(EMI, EMC등) 30
신뢰성 시험 40
가속도 시험 30
시험인증비용 소계 100
합 계 877
출처: 당사 제시


PSD(승강장 안전문) 제어반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PSD 제어반 등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사용 예정 금액
PSD 주제어반 200
PSD SIL 취득 500
PSD 구동모터 100
승강장 안전발판 500
VLC 신호통신 시스템 200
승강장 물체 감지용 복합센서 시스템 500
광 신경망 센서 시스템 300
합 계 2,300
출처: 당사 제시


2순위 운영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2순위 운영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상세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종합예방진단시스템 2023년 2분기~2023년 4분기 693 367 194 132 - - - - - - -
SA 디지털변전소
2023년 2분기~2024년 4분기
750 70 89 174 169 136 60 52 - - -
V-EYE
2024년 2분기~2025년 3분기
550 - - - - 30 40 157 165 132 26
디지털 전력량계(AMEGO)
2024년 1분기~2024년 4분기
877 - - - 228 295 242 112 - - -
PSD 제어반 등 2023년 2분기~2024년 3분기 2,300 300 600 450 750 - 200 - - - -
출처: 당사 제시


(3) 운영자금(3순위-사업확장(ITS, BIS, BMS) 관련 운영자금)

당사는 과거에 지능형 교통 시스템인 ITS, 버스 운행정보 안내 시스템인 BIS, 배터리 관리 시스템인 BMS 사업 등을 영위하였으나, 과거 임직원 대거 퇴사 등으로 인해 해당 사업을 대폭 축소하였습니다. 회생절차가 종결되면서 당사의 경영 환경도 점차 정상화되었으며, 당사의 부실 경영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과거 사업을 다시 영위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 약 67억원을 투입하여 과거 영위 사업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순위 운영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3순위 운영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현황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운영자금 기존 사업 복구
(ITS, BI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1,575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400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276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기존 사업 복구
(BM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1,260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200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200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합 계 - 6,711
출처: 당사 제시


3순위 운영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3순위 운영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기존 사업 복구
(ITS, BI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1,5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 - - -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400 200 - - 200 - - 300 - - 300 - - 400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276 - - - - 100 - - - - - 100 - 76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40
기존 사업 복구
(BM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1,260 140 140 140 140 140 140 140 140 140 - - - -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200 200 - - 200 - - 200 - - 300 - - 300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200 - - - - 100 - - - - - - - 100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40
출처: 당사 제시


지능형 교통 시스템 ITS는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전자, 제어 및 통신 등의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교통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교통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버스 운행정보 안내 시스템 BIS는 버스 운행정보(실시간 위치, 운행상태 등)를 수집 및 가공하여, 정류장 안내단말기,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안내하는 시스템입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는 전기차 등의 이차전지 전류, 전압, 온도 등 여러가지 요소를 센서를 통하여 측정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전상태, 잔여량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2017년 온기 기준, 당사는 IT융복합사업부문(전력자동화시스템, 스마트그리드 등)에서 약 390억원, 첨단그린도시사업부문(지능형교통시스템, 스마트 물환경 등)에서 약 358억원 등의 매출을 창출한 바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BMS센터 개발 및 버스 내 장치 I/F 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진행한 바 있으며, 2020년까지 에너지 빅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및 에너지저장장치(PCS, PMS, EMS, BMS 등) 사업을 영위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부실 경영 등의 여파로 인해 해당 사업부를 일부 정리하였고, 2020년 별도 기준 매출액 약 41억원까지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에 영위하다가 재무 악화로 인해 정리하였던 사업부를 다시 복구함으로써, 당사의 매출액 및 수익성을 개선시키고자 합니다.

ITS, BIS 사업의 경우 총 15명(연구개발인력 1명당 인건비 7천만원으로 추산)의 신규 인력을 채용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을 위한 AI 기반 신호제어시스템 등을 중점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최소 5개의 인증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BMS 사업의 경우 총 10명(연구개발인력 1명당 인건비 7천만원으로 추산)의 신규 인력을 채용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전력저장시스템 개발, AGV 배터리용 충전기 개발, ESS용 배터리랙 개발 등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최소 4개의 인증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 사업을 복구하는 데 기타 제세공과비용, 출장비, 소모품 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소요될 예정이며, 해당 비용은 각각 약 3억원, 2억원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당사는 상기한 기존 사업부문 관련 인력을 신규 채용하여 당사 자체적으로 중단하였던 기존 사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관련 인력을 신규 채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것보다 관련 인력, 기술 및 노하우 등을 보유하고 있는 타법인을 인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경영진의 판단이 있을 경우, 타법인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기존 사업을 복구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존 사업 복구 방식이 변경될 경우, 당사는 매 분기별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의 실제 사용내역 및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 운영자금(4순위-기존사업 운영자금)

당사의 매출액은 2020년 별도 기준 약 41억원, 2021년 개별 기준 약 168억원으로 회생절차 종결 이후 매출액 규모 및 수익성 지표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 매출의 대부분이 공공기관 향 매출이므로 매출액 확대에 따른 계약이행보증 관련 출자금도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매출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계약이행보증 관련 출자금의 규모, ERP 개발 및 유지비, 사업운영비용 등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 중 약 38억원을 기존 사업 회복에 따른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4순위 운영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4순위 운영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현황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운영자금 기존 사업 운영자금 보증기관 출자금 2023년 4분기~2024년 4분기 600
ERP 개발 및 운영유지비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702
사업 운영비용(예비비) 2023년 2분기~2024년 4분기 1,472
합 계 - 3,774
출처: 당사 제시


4순위 운영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4순위 운영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상세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보증기관 출자금 2023년 4분기~2024년 4분기 600 - - 300 - - - 300 - - - - - - - -
ERP 개발 및 운영유지비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702 - - 554 554 54 54 54 54 54 54 54 54 54 54 54
사업 운영비용(예비비) 2023년 2분기~2024년 4분기 1,472 212 210 210 210 210 210 210 - - - - - - - -
출처: 당사 제시


(5) 시설자금(5순위-본사 공간 확충)

당사는 현재 본사 사무실(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1길 20, 8층)에서 전력량계, 제어장치 등을 직접 조립하여 판매하고 있으나, 당사의 매출 확대로 인해 추가적인 조립 공간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 중 약 4억원을 조립 공간 확충을 위한 임대료로 사용할 계획이며, 해당 자금은 매달 1,840만원의 임대료가 발생하는 것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5순위 시설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5순위 시설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현황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시설자금 본사 공간 확충 사업 확장 및 인력 충원에 따른 추가 임차 비용 2023년 2분기~2025년 3분기 440
합 계 - 440
출처: 당사 제시


5순위 시설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5순위 시설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상세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사업 확장 및 인력 충원에 따른 추가 임차 비용 2023년 2분기~2025년 3분기 440 44 44 44 44 44 44 44 44 44 44
출처: 당사 제시


다. 청약 미달 시 부족자금 마련 방안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된 자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집행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금번 유상증자 업무를 진행하는 중 당사의 경영실적이 저하되거나 주식시장이 급격하게 침체되어 공모규모가 축소될 수 있으며, 구주주 청약률이 부진할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당초 목표한 모집금액에 비해 최종 납입금액이 적을 경우, 당사는 상기한 우선순위에 따라 자금을 차례대로 집행할 계획이며, 부족분은 당사 자체자금 등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마련한 자금이 상기한 자금사용계획 대비 부족할 경우, 당사는 상기 서술한 자금 사용 계획 중 우선순위가 낮은 편에 속하는 3순위 운영자금 약 67억원, 4순위 운영자금 약 38억원, 5순위 시설자금 약 4억원에 대한 지출을 축소하거나, 추가 자금을 확보할 때까지 자금 집행을 연기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만약 상기 자금사용목적에 따라 자금을 긴급하게 지출해야 할 경우, 당사는 재무건전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외부로부터 신규 투자를 유치하거나 대출을 하여 경영 활동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 또한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대내외적 변수와 제약으로 인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자금 조달로부터 사용시기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 또는 AA등급대(A1등급대)이상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후략)


[주5]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구 분 금 액
모집 또는 매출총액(1) 12,000,000,000
발행제비용 (2) 212,440,000
순수입금 ((1)-(2)) 11,787,560,000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모집 또는 매출총액은 우선적으로 아래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하며, 발행제비용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주3: 상기 기재 금액은 구주주 청약률이 100%를 상회하여 모집주식수를 전량 발행하는 것을 가정하여 산정하였습니다.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구 분 금 액 계산 근거
발행분담금 2,160,000 총 모집금액 * 0.018%(10원 미만 절사)
모집주선수수료 120,000,000 납입총액의 1.0%
상장수수료 2,680,000 250만원+1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9만원
등기관련비용 48,000,000 등록세(증자자본금의 0.4%)(지방세법 제28조)
지방교육세 9,600,000 교육세(등록세의 20%)
기타비용 30,000,000 투자설명서 인쇄/발송비 등
합계 212,440,000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발행분담금과 상장수수료 등의 비용은 최종 발행금액과 상장신청일 직전일 주가수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3: 상기 금액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2. 자금의 사용 목적

가. 공모자금 사용 계획


(기준일 :  2023년 03월 01일 ) (단위 : 백만원)
시설자금 영업양수
자금
운영자금 채무상환
자금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기타
- - 11,788 - - 212 12,000


나. 공모자금 세부 사용목적

금번 유상증자로 조달된 자금은 아래와 같은 우선순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상세현황 사용(예정)시기 금액 우선순위
운영자금 해외인프라 구축 사업 2023년 2분기~2026년 1분기 1,370 1순위
운영자금 기존사업 연구개발비 2023년 2분기~2025년 3분기
5,170 2순위
운영자금 사업확장(ITS, BIS, BMS) 관련 운영자금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5,248 3순위
소 계 11,788 -
발행제 비용 212 -
합 계 12,000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상기 우선순위는 금번 유상증자 진행에 소요되는 발행제 비용을 제외한 우선순위입니다.
주3: 발행제비용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금액이 당초 계획한 금액에 미달할 경우 당사는 상기한 우선순위에 따라 자금을 차례대로 집행할 계획이며, 부족분은 당사 자체자금 등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또한, 상기 내역은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으로 작성한 내용으로서 향후 실제 자금 집행 과정에서 그 금액 또는 사용 시기가 소폭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한 자금사용 목적 외에 타 용도로 사용 시 매 분기별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 실제 사용내역에 관하여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자금 조달로부터 사용시기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 또는 AA등급대(A1등급대)이상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1) 운영자금(1순위-해외인프라 구축 사업)

당사는 주로 공공기관을 상대로 영업을 하는 B2G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매출처가 한정되어 있고 특정 매출처에 대한 매출 편중도가 높은 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의 내수 시장에서 벗어나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자 해외 현지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 01월 03일 증권신고서 최초 제출 당시 해외법인 설립과 관련하여 인도네시아 현지 컨설팅 업체로부터 컨설팅을 받고, 해외법인 설립 일정이나 비용 등에 대한 계획을 수립한 상태임을 기재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금번 공모자금 중 약 9억원을 해외법인 설립 비용으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해외법인 설립이 당사 계획보다 빠르게 추진되어 금번 유상증자 납입 이전에 해외법인 설립 관련 비용을 지불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해외사업 관련 운영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순위 운영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운영자금 해외인프라 구축
(인도네시아)
컨설팅 비용 등 2023년 2분기~2023년 4분기
120
사무실 임차 비용 2023년 2분기~2026년 1분기 1,000
현지인력 채용 비용 2023년 2분기~2026년 1분기 250
합 계 - 1,370
출처: 당사 제시


당사는 해외법인 설립을 위한 컨설팅 비용 등으로 약 1.2억원, 사무실 임차 비용 및 사업 예비비로 약 10억원, 현지 인력 채용 및 운영 비용으로 약 2.5억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1순위 운영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순위 운영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상세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컨설팅비용 등 기타제비용 2023년 2분기 ~ 2023년 4분기 120 40 40 40 - - - - - - - - -
사무실비용 등 2023년 2분기 ~ 2026년 1분기 1,000 1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75
현지인력채용비용 등 2023년 2분기 ~ 2026년 1분기 250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21
출처: 당사 제시


(2) 운영자금(2순위-기존사업 연구개발비)

당사는 스마트인프라사업 부문 내에서도 크게 전력과 인프라로 구분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력 사업은 주로 전력계통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시각화한 것을 운영자에게 전달하고 운영자가 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운영시스템, 변전소 및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취득한 후 비정상적인 상황을 감지하는 종합예방진단시스템,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디지털 전력량계(AMEGO)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프라 사업은 주로 철도에 사용되는 승강장 안전문 시스템을 개발 및 설치하는 사업과 철도운영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정보화 구축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스마트인프라사업은 S/W 구축, 디바이스 제조, 건설공사업 등 복합적인 기술 및 노하우를 필요로 합니다. 또한, 당사는 단순 제조업이 아닌 시스템 구축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기에 지속적으로 영업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전력, 인프라,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에 영위하고 있는 종합예방진단시스템, PSD 제어반 등과 관련하여 연구개발비로 금번 공모자금 중 약 52억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2순위 운영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순위 운영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운영자금  종합예방진단시스템 R&D 2023년 2분기~2023년 4분기
693
SA 디지털변전소 R&D 2023년 2분기~2024년 4분기
750
V-EYE R&D 2024년 2분기~2025년 3분기
550
디지털 전력량계(AMEGO)
R&D 2024년 1분기~2024년 4분기 877
 PSD 제어반 등  R&D 2023년 2분기~2024년3분기 2,300
합 계 - 5,170
출처: 당사 제시


전력 설비에 대한 종합예방진단시스템은 변전소 및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취득한 후 비정상적인 상황을 감지하는 시스템이며, 종합예방진단시스템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합예방진단시스템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외주 IEC61850 Ed2 Server/Client 40
딥 러닝 모듈
자체 개발 Modbus Master 344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제품 패키지 원격
업데이터 / 메니저
웹 서비스
개발비 (S/W) 소계 384
개발비
(H/W)
자체 개발 측정 장비
(PD, 차단기, OLTC)
20
CU 8
개발비 (H/W) 소계 28
자재비
(H/W)
개발환경 구축비 20
전류 센서 등 10
PD 패턴 데이터 구입비 20
잡자재 6
S/W 구입비 5
자재비 소계 141
시험
인증비용
PD 패턴 수집 시험비 50
환경시험(EMI, EMC등) 30
IEC 61850 시험 30
한전 전력연구원 시험 30
시험인증비용 소계 140
합 계 693
출처: 당사 제시


디지털변전소는 전력설비의 통신 규격인 국제표준 IEC61850(변전설비 자동화를 위한 통신 네트워크 및 시스템 관련 국제 표준)에 따라 전력설비의 감시, 계측, 제어 및 보호 기능을 자동화한 변전소를 의미하며, SA 디지털변전소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SA 디지털변전소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자체 개발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450
제품 패키지 원격 
업데이터 / 메니저
웹 서비스
개발비 (S/W) 소계 450
개발비
(H/W)
자체 개발 측정 장비 150
CU 10
개발비 (H/W) 소계 160
자재비 개발환경 구축비 30
잡자재 20
자재비 소계 50
인증비용 환경시험(EMI, EMC등) 30
IEC 61850 시험 30
한전 전력연구원 시험 30
시험인증비용 소계 90
합 계 750
출처: 당사 제시


V-EYE는 산업자동화 시스템 전 분야에 적용가능한 HMI(Human-machine Interface, 사용자에게 기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대시보드) 프로그램으로, 정수장,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통합운영관리, 전력 등의 시스템 환경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V-EYE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V-EYE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자체 개발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450
제품 패키지 원격 
업데이터 / 메니저
웹 서비스
개발비 (S/W) 소계 450
자재비 개발환경 구축비 80
잡자재 20
자재비 소계 100
합 계 550
출처: 당사 제시


디지털 전력량계(AMEGO)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디지털 전력량계(AMEGO)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금액
개발비
(S/W)
자체 개발 공통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258
제품 패키지 원격  82
업데이터 / 메니저 58
서비스 기능 52
개발비 (S/W) 소계 450
개발비
(H/W)
자체 개발 펌웨어 100
PCB 50
SMT 40
케이스 24
개발비 (H/W) 소계 214
자재비 개발환경 구축비 80
잡자재 34
자재비 소계 114
인증비용 환경시험(EMI, EMC등) 30
신뢰성 시험 40
가속도 시험 30
시험인증비용 소계 100
합 계 877
출처: 당사 제시


PSD(승강장 안전문) 제어반 관련 예상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PSD 제어반 등 관련 연구개발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사용 예정 금액
PSD 주제어반 200
PSD SIL 취득 500
PSD 구동모터 100
승강장 안전발판 500
VLC 신호통신 시스템 200
승강장 물체 감지용 복합센서 시스템 500
광 신경망 센서 시스템 300
합 계 2,300
출처: 당사 제시


2순위 운영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2순위 운영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상세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종합예방진단시스템 2023년 2분기~2023년 4분기 693 367 194 132 - - - - - - -
SA 디지털변전소
2023년 2분기~2024년 4분기
750 70 89 174 169 136 60 52 - - -
V-EYE
2024년 2분기~2025년 3분기
550 - - - - 30 40 157 165 132 26
디지털 전력량계(AMEGO)
2024년 1분기~2024년 4분기
877 - - - 228 295 242 112 - - -
PSD 제어반 등 2023년 2분기~2024년 3분기 2,300 300 600 450 750 - 200 - - - -
출처: 당사 제시


(3) 운영자금(3순위-사업확장(ITS, BIS, BMS) 관련 운영자금)

당사는 과거에 지능형 교통 시스템인 ITS, 버스 운행정보 안내 시스템인 BIS, 배터리 관리 시스템인 BMS 사업 등을 영위하였으나, 과거 임직원 대거 퇴사 등으로 인해 해당 사업을 대폭 축소하였습니다. 회생절차가 종결되면서 당사의 경영 환경도 점차 정상화되었으며, 당사의 부실 경영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과거 사업을 다시 영위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 약 52억원을 투입하여 과거 영위 사업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순위 운영자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3순위 운영자금 사용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현황 상세 구분 사용 예정 시기 사용 예정 금액
운영자금 기존 사업 복구
(ITS, BI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1,575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400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276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기존 사업 복구
(BM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945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150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02
합 계 - 5,248
출처: 당사 제시


3순위 운영자금의 사용시기별 세부 사용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3순위 운영자금 사용시기별 상세 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상세 구분 사용(예정)시기 총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기존 사업 복구
(ITS, BI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1,5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175 - - - -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400 200 - - 200 - - 300 - - 300 - - 400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276 - - - - 100 - - - - - 100 - 76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40
기존 사업 복구
(BMS 등)
신규 인력 채용 2023년 4분기~2025년 4분기 945 105 105 105 105 105 105 105 105 105 - - - -
R&D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400 100 - - 100 - - 100 - - 100 - - -
인증 취득 비용 2024년 4분기~2026년 4분기 150 - - - - - 100 - - - - - 50 -
기타 제반 비용 2023년 4분기~2026년 4분기 102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2 - -
출처: 당사 제시


지능형 교통 시스템 ITS는 교통수단 및 교통시설에 전자, 제어 및 통신 등의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교통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교통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버스 운행정보 안내 시스템 BIS는 버스 운행정보(실시간 위치, 운행상태 등)를 수집 및 가공하여, 정류장 안내단말기,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하여 안내하는 시스템입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는 전기차 등의 이차전지 전류, 전압, 온도 등 여러가지 요소를 센서를 통하여 측정하여 배터리의 충전, 방전상태, 잔여량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2017년 온기 기준, 당사는 IT융복합사업부문(전력자동화시스템, 스마트그리드 등)에서 약 390억원, 첨단그린도시사업부문(지능형교통시스템, 스마트 물환경 등)에서 약 358억원 등의 매출을 창출한 바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BMS센터 개발 및 버스 내 장치 I/F 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진행한 바 있으며, 2020년까지 에너지 빅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한 서비스 및 에너지저장장치(PCS, PMS, EMS, BMS 등) 사업을 영위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부실 경영 등의 여파로 인해 해당 사업부를 일부 정리하였고, 2020년 별도 기준 매출액 약 41억원까지 줄어들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기존에 영위하다가 재무 악화로 인해 정리하였던 사업부를 다시 복구함으로써, 당사의 매출액 및 수익성을 개선시키고자 합니다.

ITS, BIS 사업의 경우 총 15명(연구개발인력 1명당 인건비 7천만원으로 추산)의 신규 인력을 채용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을 위한 AI 기반 신호제어시스템 등을 중점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최소 5개의 인증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BMS 사업의 경우 총 6명(연구개발인력 1명당 인건비 7천만원으로 추산)의 신규 인력을 채용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전력저장시스템 개발, AGV 배터리용 충전기 개발, ESS용 배터리랙 개발 등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최소 4개의 인증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 사업을 복구하는 데 기타 제세공과비용, 출장비, 소모품 비용 등이 추가적으로 소요될 예정이며, 해당 비용은 각각 약 3억원, 2억원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당사는 상기한 기존 사업부문 관련 인력을 신규 채용하여 당사 자체적으로 중단하였던 기존 사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관련 인력을 신규 채용하여 사업을 영위하는 것보다 관련 인력, 기술 및 노하우 등을 보유하고 있는 타법인을 인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경영진의 판단이 있을 경우, 타법인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기존 사업을 복구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존 사업 복구 방식이 변경될 경우, 당사는 매 분기별 정기보고서에 공모자금의 실제 사용내역 및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성실하게 공시할 예정입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청약 미달 시 부족자금 마련 방안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된 자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집행될 예정입니다. 그러나 금번 유상증자 업무를 진행하는 중 당사의 경영실적이 저하되거나 주식시장이 급격하게 침체되어 공모규모가 축소될 수 있으며, 구주주 청약률이 부진할 수 있습니다. 그로 인해 당초 목표한 모집금액에 비해 최종 납입금액이 적을 경우, 당사는 상기한 우선순위에 따라 자금을 차례대로 집행할 계획이며, 부족분은 당사 자체자금 등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마련한 자금이 상기한 자금사용계획 대비 부족할 경우, 당사는 상기 서술한 자금 사용 계획 중 우선순위가 낮은 편에 속하는 3순위 운영자금 약 52억원에 대한 지출을 축소하거나, 추가 자금을 확보할 때까지 자금 집행을 연기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만약 상기 자금사용목적에 따라 자금을 긴급하게 지출해야 할 경우, 당사는 재무건전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외부로부터 신규 투자를 유치하거나 대출을 하여 경영 활동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 또한 당사가 예상하지 못한 대내외적 변수와 제약으로 인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자금 조달로부터 사용시기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 또는 AA등급대(A1등급대)이상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후략)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3년 02월 17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2000187

비츠로시스 (0542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