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1-07 15:3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107000162
2023년 11월 07일 | ||
회 사 명 : | 씨비아이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오 경 원 | |
본 점 소 재 지 :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 208 | |
(전 화) 032-816-3550 | ||
(홈페이지)http://www.cheongbo.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이정직 |
(전 화) 032-816-3550 | ||
(제45기 임시) |
당사 정관 제19조의 규정에 의거 제45기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일시 : 2023년 11월 23일(목요일) 오전9시
2.장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 208 씨비아이(주) 회의실
3.회의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정관 변경 승인의건
사업 목적 추가 및 삭제
- 제2호 의안 : 이사 해임의 건
사내이사 김태훈 해임의 건
사내이사 권혁건 해임의 건
-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오경원 선임의 건
사내이사 이호준 선임의 건
사내이사 성봉두 선임의 건
사내이사 장육 선임의 건
사외이사 조재형 선임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감사 한희찬 선임의 건
- 제5호 의안 : 신규사업 투자승인의 건
4.주주총회소집통지 공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3 제3항에 의거하여 경영참고 사항등을 당사의 홈페이지
(http://www.cheongbo.co.kr)에 게재하고 당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 원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의결권 행사 방법 및 준비물
● 본인 또는 대리인의 주주총회 참석
- 본인참석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택일), 주주총회 참석장
- 대리인참석 : 대리인 신분증, 주주총회 참석자, 위임장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위임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 위임인의 날인 또는 서명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 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장정민 (출석률: 83%) | 김정만 (출석률: 93%) | 조재형 (출석률: 100%) | 변영주 (출석률: 100%) | 이성희 (출석률: 0%) | |||
찬 반 여 부 | |||||||
1 | 2023-01-04 | 신축건물에 대한 추가 담보 제공에 관한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2 | 2023-01-11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_납입일 변경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3 | 2023-01-11 | 주권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재정정(납입일 변경)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4 | 2023-01-19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결정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5 | 2023-01-30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6 | 2023-01-31 | 8회 신주인수권부사채 중도상환청구권 일부 조건 변경 진행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7 | 2023-02-02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평가 보고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8 | 2023-02-09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9 | 2023-02-15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결정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0 | 2023-02-15 | 운영자금 대출을 위한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1 | 2023-02-16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결정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2 | 2023-02-21 | 타법인 주식 취득 관련 대출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3 | 2023-02-20 | 7회 신주인수권부사채 재매각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4 | 2023-02-21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 결정의 건_납입일 변경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5 | 2023-02-22 |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양도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6 | 2023-02-23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잔금일 변경)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7 | 2023-02-28 | 8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 만기전 사채 취득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8 | 2023-03-03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도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19 | 2023-03-03 | 8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 만기전 사채 취득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20 | 2023-03-03 | 8회 신주인수권부사채 재매각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21 | 2023-03-08 | 주식(액면) 병합 결정의 건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22 | 2023-03-08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_정정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23 | 2023-03-15 | 운영자금 대출의 건_5억 | - | - | 출석 | 출석 | 불참 |
24 | 2023-03-28 | 운영자금 대출의 건_30억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25 | 2023-03-30 | 10인승 항공기 매각에 관한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26 | 2023-03-31 | 11회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27 | 2023-03-31 | 금전 대여 결정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28 | 2023-04-05 | 8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 만기전 사채 재매각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29 | 2023-04-06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결정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30 | 2023-04-11 | 제1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31 | 2023-04-20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32 | 2023-04-24 | 제1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33 | 2023-04-26 | 타법인 주식 양수의 건(케이티에스파트너스㈜)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34 | 2023-04-27 | 주식회사 디지피 전환사채 발행 채무 보증 결정의 건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35 | 2023-04-28 | 운영자금 대여의 건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36 | 2023-05-02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잔금일 변경)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37 | 2023-05-10 | 운영자금 대여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38 | 2023-05-30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잔금일 변경)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39 | 2023-05-31 | 타법인 투자 진행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40 | 2023-05-31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잔금일 변경)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41 | 2023-06-01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중도금일 변경)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42 | 2023-06-01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중도금일 변경)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43 | 2023-06-01 | 타법인 투자 진행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44 | 2023-06-02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중도금일 변경)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45 | 2023-06-02 | 제11회 전환사채 담보제공 계약 변경의 건 | 불참 | 출석 | 출석 | - | - |
46 | 2023-06-02 | 상상인저축은행 단기차입금 상환의건 | 출석 | 불참 | 출석 | - | - |
47 | 2023-06-02 | 타법인 주식 양도의건 | 출석 | 불참 | 출석 | - | - |
48 | 2023-06-14 | SBW생명과학 주식양수도 계약 철회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49 | 2023-06-15 |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발행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0 | 2023-06-15 | SBW생명과학 주식 매도 의결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1 | 2023-06-15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중도금일 변경)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2 | 2023-06-30 | 타법인 주식 양도의건(잔금일 변경)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3 | 2023-06-30 | 제11회 전환사채 담보제공 계약 변경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4 | 2023-06-30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에 관한 건_정정(잔금일 변경)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5 | 2023-07-19 | 하나은행 장외파생상품 대출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6 | 2023-07-27 | 주권 관련 사채권 양도 결정(잔금연장)에 관한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7 | 2023-07-27 | 타법인 주식 양도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8 | 2023-07-27 |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발행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59 | 2023-08-01 | 지점 설치의 건_(서울사무소)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0 | 2023-08-03 | 기업은행 장외파생상품 대출의 건 | 출석 | 불참 | 출석 | - | - |
61 | 2023-08-21 | 제 13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2 | 2023-08-21 | 9회 전환사채 100억원 만기전취득 및 담보제공 변경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3 | 2023-08-23 | 운영자금 대여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4 | 2023-09-18 | 유형자산 취득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5 | 2023-10-06 | 3자배정유상증자_정정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6 | 2023-10-10 | 타법인 증권 양도_(주)제이제이더웰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7 | 2023-10-11 | 타법인 투자 진행의 건_구보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8 | 2023-10-11 | 임시주주총회 소집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69 | 2023-10-13 | 제30회 CB 주권관련 사채권의 양도 결정_정정 | 출석 | 출석 | 출석 | - | - |
70 | 2023-10-24 | 제30회 CB 주권관련 사채권의 잔금인수 포기 | 출석 | 출석 | 출석 | ||
71 | 2023-11-01 | 운영자금 대여의 건 | 출석 | 출석 | 출석 | ||
72 | 2023-11-07 | 임시주주총회 소집 | 출석 | 출석 | 출석 |
- 변영주, 이성희 (2023.03.24) 사임 하였음.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800,000 | 37,316 | 12,439 | - |
- 작성기준일 현재 재임중인 사외이사의 지급총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세계 자동차 산업의 동향
지난 한 해 동안 전 세계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보다 5.4% 증가한 8,497만대를 기록했습니다. 상반기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과 차량용 반도체 부품 공급난 등으로 극심한 생산 차질이 빚어졌으나 하반기 이후 반도체 공급이 점차 완화되면서 전년보다 생산량이 늘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9,260만대) 수준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했습니다. 2022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자동차를 생산한 국가는 중국입니다. 중국은 내수 회복에 힘입어 전년 대비 3.6% 증가한 2,702만대를 생산해 14년 연속 1위를 달성했으며 세계 생산 점유율은 31.8%로 전년보다 0.6%포인트 감소했지만 수출은 처음으로 300만대를 돌파했습니다.
2위인 미국은 내수 판매가 7.7% 감소했으나 생산은 9.4% 증가해 1,002만대를 생산했습니다. 3위 일본은 상위 10위권 국가 중 유일하게 생산이 줄어 전년보다 0.2% 감소한 738만5,000대를 기록했습니다. 4위 인도는 지난해 545만 6,000대를 생산해 전년보다 24.1% 급증하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반도체 공급 완화와 함께 이어진 강한 수요 반등으로 내수 판매가 증가해 국가별 자동차 내수 순위에서 일본을 제치고 3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한국이 376만대로 5위를 기록했으며 독일(374만대), 멕시코(347만대), 브라질(237만대), 스페인(222만대), 태국(188만대)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코로나19 이후 자동차 생산국 순위가 변동없이 유지됐으나 신흥국의 약진과 회복이 두드러진 반면 선진국은 약세 국면이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며 "한국은 악재의 연속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공급망 관리, 친환경차 생산 확대 등 유연한 위기 대응으로 7위까지 하락했던 생산 순위가 2020년 이후 5위로 올라 3년 연속 유지하는 등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습니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전동화 전환 속도가 공통적으로 빨라지고 있어 자동차 생산의 주도권을 경쟁국·후발국에 내어줄 우려가 있다"며 "한국은 10% 수준의 전기차 생산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일부 업체에 편중돼 비중 확대가 제한적인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신흥국에 전기차 투자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독일 완성차업체 BMW는 전기차 생산을 위해 멕시코에 8억 유로를 투자하기로 했고,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는 멕시코 누에보레온주 몬테레이 지역에 새 공장을 짓기로 결정했습니다. 다국적 완성차기업 스텔란티스는 인도에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 공장 설립 계획을 검토 중이며 중국의 비야디(BYD)는 지난해 9월 태국 라용주에 첫 현지 전기차공장 건설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글로벌 전동화 전환 비율이 증가할수록, 국내보다는 해외투자 확대, 다국적기업들의 글로벌 생산거점간 경쟁에서 비교우위를 상실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정수준의 내수 규모를 유지함과 동시에 생산 인센티브, 균형적 노사 정책 등으로 국가 투자 매력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한곡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이 언급한 바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부품업체들에게는 이들 지역에 진출, 사업을 확대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향후 가장 중요한 생존 과제가 될 것입니다.
2) 국내 자동차 산업의 동향
2022년 우리나라 자동차 생산량이 전 세계에서 다섯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발간한 '2022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전년보다 8.5% 증가한 약 376만대를 생산해 3년 연속 글로벌 5위를 유지했습니다. 2022년 내수는 상반기 차량 반도체 수급문제로 인한 차량인도 지연 등으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반면, 수출은 대당 차량판매단가가 높은 친환경차 수출에 힘입어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 금액인 541억불로 전년 대비 13.3%로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자동차산업의 성장을 견인하였습니다. 2022년 자동차 부품수출액은 최대 수출국인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금액 기준으로 2021년 대비 2.4% 증가한 233.2억불을 기록하였습니다.
국내 전기차 시장은 현대차그룹의 주도 하에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모델 다양화 전략과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으로 2022년 국내 시장 점유율의 73.9%를 확보하며 독보적인 위상을 유지 중이고, 상대적으로 테슬라는 2022년에 줄곧 차량 가격을 인상함에 따라 보조금 혜택이 축소되며 판매량이 크게 감소하여 최근 다시 가격을 최대 14% 인하하면서 판매량 회복을 시도 중이나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모델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수입차 중 인기가 높은 독일 프리미엄 3사(벤츠,BMW,아우디)는 고급 전기차 모델 판매로 점유율을 높이는 반면, 국내 중견 3사(쉐보레,르노코리아,쌍용)는 전기차 라인업 부족 등으로 다소 부진한 판매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400만대 생산이 한국 자동차 산업의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국내 자동차 생산량이 계속 400만대 아래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완성차 업체는 물론 부품업체들은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올지도 모른다며, 저생산 고임금 상황에서 세계적인 원·부자재 가격상승은 국내 완성차의 가격상승을 야기, 수입차 브랜드 대비 경쟁력을 잃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산업계에서도 국내 미래차의 향후 4년이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기에 생태계 조성 및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한국자동차연구원의 한 위원은, “전기동력 자율주행차로 정의되는 미래차 부품의 70%를 차지하는 전장부품의 국내 부품업체 비중은 10% 미만이고, 2030년까지 총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용 SW 분야의 국내 인력은 미미한 수준이다”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의 구분
(가)영업개황
* 현대·기아차 및 Tier1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불안정과 코로나로 인한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현대차는 2022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7% 증가, 2010년 IFRS 회계기준 도입 이후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두었으며 올해는 2022년 성적을 발판 삼아 2023년 빅3자리를 굳히며 752만대의 자동차를 판매해 글로벌 완성차 톱티어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하였습니다.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전동화 전환 가속화,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지역별 생산·물류·판매 최적화 등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수익성 중심의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관련 부품의 수요도 상당 기간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인기 차종의 부품 수요는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이러한 흐름 속에 자동차 생태계에 있는 기존 부품업체들의 생산가동률은 유지되겠지만 자동차 산업에 불어 닥친 원부자재 가격 급등,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의 최대폭 상승,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제조인력 구인난 등은 대부분의 기업들에게 제조원가와 경영비용 상승이라는 큰 부담을 안겨주고 있고, 특히 중소규모의 제조업체들에게는 적자가 속출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그워너를 통해 공급 중인, 현대차 제네시스 엔진용 부품 ‘텐셔너 바디’를 비롯해 현대위아로 공급 중인 상용차 엔진용 타펫과 챔버도 꾸준한 수요를 보이며 내부적으로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 활동을 통해 안정적 공급과 수익성 제고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 GM 글로벌
GM 글로벌도 차량용 반도체 이슈 등을 겪으며 부진한 실적을 냈습니다. 올해 상반기 출시한 트랙스CUV를 앞세워 2023년 연간 50만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해당 CUV와 기존 주력 모델 트레일블레이저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올해 경영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주요 CKD 공급처인 우즈베키스탄의 구형 엔진 및 트랜스미션 공급기간도 2023년 6월까지 공급을 끝으로 EOP를 공식 확정함으로써 당사와 GM Korea간 거래는 AS공급을 제외하고, 사실상 거래가 종료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남미 GM 글로벌에도 승용 및 픽업트럭용 Global Emerging Market 플랫폼과 Global Small Vehicle 플랫폼모델 차량의 변속장치 부품을 공급 중으로, 남미시장 재편에 따른 고객사 부품재고 과잉으로 수요가 주춤하여 전년대비 소폭 감소한 수준의 매출이 전망됩니다. 남미시장은 COVID-19 Pandemic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신규 자동차 생산량이 감소하며 부품 시장 규모도 감소했었으나 코로나19가 지나가고 봉쇄도 완화, 원자재 가격인상 덕분에 브라질 경제가 회복하면서 한때는 자동차 수요도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수요 트랜드 변화 및 전동화로의 전환 시도 등으로 기존 내연기관 모델의 수요가 주춤하는 모습입니다. 여전히 남미시장은 2027년까지 매년 5%미만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더 많은 지속 가능성을 보이면서도 타 국가에 비해 전기차, 하이브리드 등 기술도입이 상대적으로 늦습니다. 사탕수수?옥수수 기반 에탄올 산업이 발전하였고 ‘화석-바이오 혼합연료’, ‘순수 바이오 연료’자체로 탄소배출 저감효과가 있기 때문에 향후 수십 년간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유럽,중국 등에서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 생태계가 축소될 동안, 브라질에서는 상당 기간 해당 산업이 유지될 전망이 우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각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움직임에 편승해 2022년 실적을 개선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와 함께 원자재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건설장비 수요가 계속 발생해온 점이 실적 증대의 주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사업 부문별 경영실적으로는, 엔진사업의 경우 건설기계 수요 증가세와 발전기·산업용 소형장비에 들어가는 엔진에 대한 수요가 회복된데 힘입어 전년 대비 164.7% 증가한 영업이익 1,256억원을 기록한 반면, 건설기계 사업에서는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등 비용이 인상됨에 따라 전년 대비 4.7% 감소한 2,06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건설기계 사업의 지역별 매출액으로 한국을 비롯해 라틴아메리카, 중동 등 신흥 시장에서 광물 채굴용 대형장비의 판매고를 올린 덕에 1조 8,393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4.6%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와 함께 북미, 유럽 등 시장에서 인프라, 렌탈 등 용도별 수요가 증대된 동시에 판매망을 확장하는 성과를 냄에 따라 전년 대비 24.1% 증가한 1조 2,82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전년 대비 45.9% 감소한 5,96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경기 침체기가 이어진 동시에 코로나 확산세에 따른 지역 봉쇄 조치의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는 2023년에도 긍정적인 실적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가 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인프라에 더욱 활발히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며 이와 동시에 광물, 원자재 등을 채굴하기 위한 건설기계 수요가 올해 들어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는 신제품을 출시하고 판매망을 확대하는 등 방안으로 실적을 높여 나갈 계획이며 이에 따라 올해 매출액은 업력상 처음 5조원을 넘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사업부문별 매출액 목표는 건설기계 4조 1,000억원, 엔진 1조 1,000억원 등으로 제시했습니다.
* 다임러 트럭
독일 다임러 트럭과 미국 디트로이트 디젤(DDC)에 공급 중인 HDEP, MDEG 엔진용 베어링 저널의 수요량이 올해초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바 있습니다. 다임러 트럭은 친환경 정책에 부합하는 엔진모델을 앞세워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 ‘완판’ 사태까지 벌어지는 등 시장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당사의 부품공급가격 현실화까지 더해 다임러 트럭 대상 매출은 역대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올해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지속 등의 이유로 다임러와 같은 고가(高價)의 트럭에 대한 시장 구매력이 일부 감소하여 전년과 유사한 수준 또는 소폭 감소한 수준의 부품 수요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2020년 중국이 외국 상용자동차 회사에 대한 자본 제한 조치를 해제하면서 막대한 시장 규모를 가진 중국에 고급화 전략으로 다임러 트럭이 유럽 트럭 브랜드 최초로 진출, 중국 현지에서 다임러 트럭 생산을 위해 BEIJING FOTON 공장을 인수, BFDA(BEIJING FOTON DAIMLER)를 설립하였습니다. BFDA공장의 연간 생산량은 6만대로 당사 또한 BFDA에 베어링저널 등 5개 품목을 독일과 미국 외에 중국으로도 내년초부터 직접 공급할 예정입니다.
* 기타 고객
보그워너 글로벌은 한국, 미국, 일본공장 모두 수요량이 증가하였으나 원부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안정적인 소재 수급의 어려움과 해상 수출 스케줄의 혼잡과 극심한 지연 등으로 최대생산량과 함께 최대 공급을 이룬 바 있으나 한정적인 생산능력으로 고객수요량을 100% 충족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사업 경쟁력이 낮은 아이템은 과감히 정리하고 나머지 아이템은 공급가격을 현실화하는 등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농기계 부품 수요량이 사상 최대치로 치솟으며 농기계 전문 고객사들과 상호 보완적 매출증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만이 보유한 내연기관 부문의 부품 가공기술력을 토대로 TYM, ㈜대동, LS엠트론 등 국내 유수의 농기계 전문 기업들과 거래하고 있으며, ㈜대동과 TYM은 ‘농슬라’라고 일컬어 질만큼, 미국 등 해외시장에서 흥행과 더불어 견고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공급물량 확대와 안정적인 품질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추가 인력 확보와 생산라인 재배치, 원가 경쟁력 제고를 통해 농기계 부문 매출에서 양호한 실적을 거두도록 업무추진 중입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 생산 품목의 대부분은 다국적 기업들이 글로벌 소싱을 통해 구매하던 부품을, 주조 및 금속가공 분야에서 축적된 독자 기술로 내제화(內製化)한 국내 독자 생산품(점유율 100%)으로 타사에서는 기술적 접근과 모방이 어렵고 가공설비 제조에 특화된 고유 기술 기반의 설비 투자도 시장진입을 노리는 잠재적인 경쟁사에게는 매우 큰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3) 시장의 특성
과거 대다수의 자동차부품업체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완성차 회사 및 Tier1 대기업에 수직적인 종속관계로서 매출을 의존해 왔으나, 당사는 현대차그룹 계열사, GM 글로벌,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다임러 트럭, 미국 디트로이트 디젤, 보그워너 글로벌, TYM, ㈜대동, LS엠트론 등 매출처가 다변화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판매계획은 전적으로 고객의 차종별 조립계획에 의존하고 있으며 일반시장을 상대로 영업활동을 하는 시장상품과는 구별됩니다. 그리고 당사의 주력품목인 Valve Tappet과 Tensioner Body(Housing), Bearing Journal 등은 수십 년간 축적된 가공 기술에 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미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공급계약 연장 및 글로벌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으며 당사 매출에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 안정적인 사업 영위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다임러 트럭 독일, 미국
신규사업명 : HDEP 2020엔진용 베이스 플레이트
내 용 : 독일 다임러 트럭 및 미국 디트로이트 디젤에서 생산 중인 HDEP엔진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HDEP2020 엔진용 베이스 플레이트 2종의 공급계약과 부품품질승인절차가 완료되어 양산단계에 진입하였으며 점차 수요증가세에 있어 관련 매출액도 계속 증가가 예상됩니다.
예상 매출 증가액 : 11억 원/년
계약 기간 : 2021. 5 - 2026. 12
* 다임러 중국 (BFDA-Beijing, Foton Daimler Automotive Co., Ltd)
신규사업명 : HDEP 베어링저널 4종, 베이스 플레이트 1종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자동차 부품 제조업 1. 주물 제조업 1. 자동차 부품 제작용 기계제조업 . 1. 부동산 임대업 1. 무역업 1. 통신기기 제조 및 판매업 1. 데이터베이스업 1. 전자·전기·제품제조 및 판매업 1. 전자 부품 판매업 1. 자율주행 차량 관련 사업 1. 자동차 부품 판매업 도심항공교통 플랫폼 개발사업 도심항공교통 플랫폼 운영사업 소형항공 운수사업 항공기사용사업 국내외항공운송업 항공기 개발 및 부품, 보조장치 제조업 항공관련 장비 연구 개발 및 판매 항공기를 이용한 자원조사, 학술조사 및 각종 기술용역업 항공기 비행(학교) 교육사업 항공기 임대업 및 판매업 항공용 기기의 제조 및 수리업 항공우주산업관련 연구개발사업 항공유 판매사업 수소연료전지 개발사업 물류 자동화 로봇 개발사업 유람선 운항사업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사업 블록체인을 활용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개발사업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보자료처리 전자화폐 지불 결제 서비스 사업 전자 지급 결제 대행, 직불 전자 지급 수단 발행 및 관리업 전자 금융업 온라인 금융 및 결제 관련 서비스업 1. 산업용 로봇과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자동화기기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항공기사용사업, 자동측정, 제어장치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전기, 전자기기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지능형 로봇과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지능형 자동화 장비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전동화 차량 등 각종차량 충전사업 및 기타 관련사업 1. 이차전지관련 소재 및 부품, 제품, 시스템 제조, 판매 1. 전기상용차 도,소매 1. 전력저장용 설비 및 관련 제품의 제조, 설치 및 매매 1. 전지CELL, 전지PACK, 전지소재 수입, 제조 및 매매 1. 이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1. 친환경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 1. 자동차 판매 튜닝 및 관련부품 판매업 1. 특장차 캠핑카 제조판매 대여 1. 소방차 제조판매 1. 1급 자동차 정비업 1. 유압크레인 장착 및 제조판매 1. 자동차 부품 및 내장품 판매업 1. 바이오 신약 관련 연구개발업 1. 면역학 및 생명공학 방식을 이용한 신약연구 및 개발업 1. 항암제 및 암치료기술 개발사업 1. 항바이러스 신약 관련 연구개발업 1. 의약품 연구개발업 1. 기술 용역 서비스업 1.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1.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1.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1. 바이오 신약 및 관련물질의 제조, 판매, 수출, 수출대행업 1. 특허권, 브랜드 및 상표권 및 지적재산권의 관리 및 라이센스업 1. 게임제작 및 유통판매 1. 컨텐츠사업 (IP 및 CP) 1. 컨텐츠 라이센스 판매업 1. 모바일컨텐츠,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판매업 1. 블록체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자동차 부품 제조업 1. 주물 제조업 1. 자동차 부품 제작용 기계제조업 1. 부동산 임대업 1. 무역업 1. 통신기기 제조 및 판매업 1. 데이터베이스업 1. 전자·전기·제품제조 및 판매업 1. 전자 부품 판매업 1. 자율주행 차량 관련 사업 1. 자동차 부품 판매업 1. 도심항공교통 플랫폼 개발사업 1. 도심항공교통 플랫폼 운영사업 1. 소형항공 운수사업 1. 항공기사용사업 1. 국내외항공운송업 1. 항공기 개발 및 부품, 보조장치 제조업 1. 항공관련 장비 연구 개발 및 판매 1. 항공기를 이용한 자원조사, 학술조사 및 각종 기술용역업 1. 항공기 비행(학교) 교육사업 1. 항공기 임대업 및 판매업 1. 항공용 기기의 제조 및 수리업 1. 항공우주산업관련 연구개발사업 1. 항공유 판매사업 1. 수소연료전지 개발사업 1. 물류 자동화 로봇 개발사업 1. 유람선 운항사업 1.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사업 1. 블록체인을 활용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구축 및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개발사업 1. 블록체인을 이용한 정보자료처리 1. 전자화폐 지불 결제 서비스 사업 1. 전자 지급 결제 대행, 직불 전자 지급 수단 발행 및 관리업 1. 전자 금융업 1. 온라인 금융 및 결제 관련 서비스업 1. 산업용 로봇과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자동화기기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항공기사용사업, 자동측정, 제어장치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전기, 전자기기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지능형 로봇과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지능형 자동화 장비와 동 부품 및 시스템의 제조 및 도,소매업 1. 전동화 차량 등 각종차량 충전사업 및 기타 관련사업 1. 이차전지관련 소재 및 부품, 제품, 시스템 제조, 판매 1. 전기상용차 도,소매 1. 전력저장용 설비 및 관련 제품의 제조, 설치 및 매매 1. 전지CELL, 전지PACK, 전지소재 수입, 제조 및 매매 1. 이차전지 소재의 제조 및 판매업 1. 친환경 자동차 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 1. 자동차 판매 튜닝 및 관련부품 판매업 1. 특장차 캠핑카 제조판매 대여 1. 소방차 제조판매 1. 1급 자동차 정비업 1. 유압크레인 장착 및 제조판매 1. 자동차 부품 및 내장품 판매업 1. 바이오 신약 관련 연구개발업 1. 면역학 및 생명공학 방식을 이용한 신약연구 및 개발업 1. 항암제 및 암치료기술 개발사업 1. 항바이러스 신약 관련 연구개발업 1. 의약품 연구개발업 1. 기술 용역 서비스업 1.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 1.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1.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1. 바이오 신약 및 관련물질의 제조, 판매, 수출, 수출대행업 1. 특허권, 브랜드 및 상표권 및 지적재산권의 관리 및 라이센스업 1. 비철금속, 합금철 제조 및 판매, 도매업 1. 철강제품의 가공 및 판매, 도매업 1. 광물의 가공, 판매 및 자원개발 산업 1. 광물처리 및 취급장비 제조 및 판매 1. 금속 및 비금속 원료 재생업 1. 폐기물 수집운반 및 처리업 1. 석회제품 제조 및 판매 1. 환경약품 제조 및 판매 1. 무기질비료 제조 및 판매 1.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일체 및 투자 |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신설(사업영역 확장) |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해임
가. 해임 대상자의 성명, 생년월일 및 최근 주요약력
해임대상자 성명 | 생년월일 | 최근 주요약력 | 예정임기만료일 |
---|---|---|---|
김태훈 | 1982.12. | (주)싸이월드제트 CEO | 2025년 01월 27일 |
권혁건 | 1985.05. | (주)싸이월드제트 대외협력이사 | 2025년 01월 27일 |
나. 해임하여야 할 사유
해임대상자 성명 | 해임하여야 할 사유 |
---|---|
김태훈 | 이사회 결의로 해임안건이 상정되었음. |
권혁건 | 이사회 결의로 해임안건이 상정되었음. |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오경원 | 1971.05 | - | -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이호준 | 1974.03 | - | -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성봉두 | 1959.05 | - | -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장육 | 1976.04 | - | -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조재형 | 1979.09 | 여 | - | 해당없음 | 이사회 |
총 ( 5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오경원 | 씨비아이(주) 대표이사 | - | 씨비아이(주) 대표이사 | 해당없음 |
이호준 | 씨비아이(주) 사장 | - | 씨비아이(주) 사장 | 해당없음 |
성봉두 | 씨비아이(주)부사장 | - | 씨비아이(주) 부사장 | 해당없음 |
장육 | 씨비아이(주) 상무이사 | - | 씨비아이(주) 상무이사 | 해당없음 |
조재형 | 씨비아이(주) 사외이사 | - | 씨비아이(주) 사외이사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오경원 | 없음 | 없음 | 없음 |
이호준 | 없음 | 없음 | 없음 |
성봉두 | 없음 | 없음 | 없음 |
장육 | 없음 | 없음 | 없음 |
조재형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로서의 전문성 및 독립성을 기초로 직무를 수행하겠으며, 상법 제382조제3항, 제542조의8 및 동 시행령 제34조에 의거하여 사외이사의 자격요건 부적격 사유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는 사외이사직을 상실합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이사 후보는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경영인으로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합니다. |
확인서
확인서1_오경원 |
확인서2_이호준 |
확인서3_장육 |
확인서4_성봉두 |
확인서5_조재형 |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한희찬 | 1966.06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한희찬 | 전)NH농협은행 용산금융센터장 | - | 전)NH농협은행 용산금융센터장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한희찬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폭넓은 경험과 노하우,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경영인으로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 |
확인서
확인서6_한희찬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1(명)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해당사항 없습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107000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