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이뮨텍 (95022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6 15:5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0871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3월     16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네오이뮨텍(NeoImmuneTech, Inc.)
대 표 이 사 : 양세환
본 점 소 재 지 : 2400 Research Blvd., Suite 250 Rockville, MD 20850, USA

(전   화) +1-240-801-9068

(홈페이지) http://neoimmunetech.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양세환

(전  화) +1-240-801-9068, 031-709-585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 09 기 정기)


KDR 소유자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부속정관 제4조, 제10조 및 제16조 등에 의거 제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 542조의4 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주총회는 한국예탁결제원과 당사간 2020년 7월 22일 체결한 예탁계약서 제16조1항에 의거하여 증권예탁증권(KDR) 기준일 현재 (2022년 12월 31일) 한국예탁결제원의 소유자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소유자에게 의결권을 부여하며, 이에 따라서 동 기준일의 소유자명부상 소유자를 기준으로 당사 KDR 소유자분들을 소집하는 것입니다.

                                                  - 아        래 -

1. 일 시: 2023년 3월 31일 (금) 오전 10시 (한국시간)

2. 장 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53, 이노밸리 C동, 지하1층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안:
제 1호 의안 : 2022 회계연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이사 재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우정원, 사외이사: 강진형)
제 3호 의안 : 이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미화 5,000,000 달러)
제 4호 의안 : 감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미화 100,000 달러)
제 5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이사회 부여분)
제 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별첨1) 이사 재선임의 건 세부 내용

성명

출생년월

신규선임

여부

임기

주요경력(현직포함)

우정원 1960-01

재선임

(기타비상무이사)

3년 現 (주)제넥신 사내이사
前 서울성모병원 연구교수
강진형 1960-09 재선임
(사외이사)
3년 現 서울성모병원 내과학교실 교수
前 강남성모병원 내과학교실 부교수


4. 경영참고사항 등의 비치 및 게재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 본점에 비치하고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예탁계약서 제 34조 및 KSD의 사전 일괄 위임에 의거하여 KDR 소유자는 아래방법 중 어느 하나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한다.

나. KSD를 통하여 의결권 행사를 신청한다.

나. 의 경우,「의결권행사신청서」에 찬반을 표시한 후, 2023년 3월 24일 18시까지 의결권행사신청서에 기재된 수신처로 보내주십시오.

*「의결권행사신청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게재된 주주총회소집공고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기간 내에 서면을 통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않았을경우에는 의결권 행사를 상실하게 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본인의 신분증
나. 대리행사
- 개인인 경우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기재, 인감날인 또는 서명), 인감증명서 또는 신분증 사본, 대리인의 신분증
- 법인인 경우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기재, 인감날인), 법인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사항

코로나19 감염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하여 서면 의결권행사를 활용한 비대면적 의결권 행사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라며, 당사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께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라며 감염 예방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8. 기타사항
1) 정관 제10조 제1항에 의거하여 정기주주총회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총회 소집통지서에 기재되는 한국 내 장소에서 개최됩니다.
2) 주차장이 매우 협소한 관계로 대중교통 이용을 정중히 권고 드립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3월 16일

                                         주식회사 네오이뮨텍 

                                           대표이사 양 세 환


[별첨2] 정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신청서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의결현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강수형
(출석률:100%)
강병조
(출석률:100%)
강진형
(출석률:100%)
찬 반 여 부
22-01 2022.02.15 - 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보고 찬성 찬성 찬성
- 2021년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 보고 찬성 찬성 찬성
- 2021 회계연도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외부감사인 선임 위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2-02 2022.02.15 - COO, CSO, CFO 고용 계약 변경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2-03 2022.05.28 - CCO 해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2-04 2022.07.05 - CSO 고용 계약 변경 승인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2-05 2022.09.30 - Chief Officer 임명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스톡옵션 행사시침 변경안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승인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22-06 2022.12.14 - 제9기 정기주주총회 기준일 설정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Senior Vice President 임명건 (Chief Regulatory Officer)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당사는 현재 이사회 내에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USD)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5,000,000 49,357 16,452

※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를 포함한 총 이사의 보수한도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USD)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NT-I7 매입거래
(1K DS/DP)
제넥신 2022.1.1~
2022.12.31
       10,496,923 9.51

당기 중 특정인과의 단일 거래 규모가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의 10분의 1이상의 해당하는 거래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USD)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제넥신 이자비용 2022.1.1~
2022.12.31
          15,429  0.01
NT-I7 매입거래
(1K DS/DP)
2022.1.1~
2022.12.31
10,496,923 9.51
공동연구개발비 2022.1.1~
2022.12.31
451,527 0.41

당기 중 특정인과의 거래총액이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의 10분의 5이상의 해당하는 거래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암의 치료는 1800년대 근치적 절제술, 1900년대 초부터 방사선 치료가 가능해졌으며 1차 세계대전 이후에 화학항암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3가지 치료법의 병행에도 부작용이 심하고 치료 효과가 낮아 암세포만을 표적할 수 있는 표적치료제가 개발되었습니다. 표적치료제는 부작용이 없지만 제한된 형태의 암에만 효능이 있어 최근에는 인체 내 면역 반응을 높이도록 도와주는 물질을 투여해 면역력을 높임으로써 암을 제거하는 면역항암치료방법이 새롭게 암을 정복할 수 있는 차세대 치료법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암치료요법의 발전과정]

구분

수술

방사선

화학치료

표적치료

면역치료

접근 방식

종양의 성장과 전이를 막기위해 제거

고선량 X선 또는 방사선으로 종양세포를 사멸

세포독성 화학물로 암세포를 죽이거나 억제

종양세포만을 선별적으로 억제

면역계의 강화로 종양세포를 제거

치료 시기

1800년

1900년 초

1940년 후반

2000년

2010년

특성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는 암세포에 의해 쉽게 재발

종양이 전이된 경우 치료가 어려우며 종양주변 정상조직의 손상 발생

독성이 매우 심하고 일부 암세포를 제거하지 못해 높은 재발율을 보임

제한된 형태의 종양만 치료 가능하고 효능기간이 짧아 높은 재발율을 보임

전이암을 포함하는 모든 암에 적용가능하고, 치료효능이 길게 유지되며, 병용시 효과가 높아짐

출처: Cancer Research Institute



당사 대표 신약은 NT-I7(rhIL-7-hyFc 기술)은 기존 IL-7에 hyFc 플랫폼 기술과 IL-7 Engineering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되었고 당사는 이를 면역항암제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IQVIA 보고서에 따르면 항암제 지출은 2021년 전 세계적으로 1,850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자가면역질환, 당뇨, 항혈전 등 상위 10개 치료분야 중 가장 큰 규모입니다. 또한, 전 세계 항암제 지출은 코로나 대유행의 여파가 줄어든 2022년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연평균 10.7%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오는 2026년 3,0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항암제 지출]

출처: IQVIA, 2022


항암제 시장 중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 시장 점유율은 74%였으며, 이 중 미국은 750억 달러로 전체 항암제 지출에서 41%를 차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입니다. 이러한 성장은 다양한 파이프라인이 임상에 돌입하여 있는 미국 시장에 항암 신약의 지속적 출시로 인하여 시장 성장이 예측되고 있으며, 무엇보다 면역항암제가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면역항암제 중에서 면역관문 억제제는 350억 달러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670억 달러로 두 배 가까이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적응증에서 높은 사망률과 함께 충족되지 않은 니즈가 여전히 남아있다고 전망하고 있으며, Cancer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면역관문 억제제인 키트루다와의 병용 요법을 위한 임상시험은 2021년 1,481건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가 개발 중인 면역항암치료제는 의약 및 보건건강 관련 제품이므로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삶의 질'과 관련된 제품의 경우 경기가 나빠지면 위축되는 경향이 있으나, 의약 및 보건 건강 관련 제품은 건강을 중요시하는 특성상 일반 소비재 제품에 비해서 경기 영향을 덜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주요 수요 변동 요인

노인 인구의 증가와 각종 환경적 영향으로 인한 암 환자들의 발생은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본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매년 약 22만명의 암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7만 4천여명이 사망하여 사망원인 1위를(총 사망자의 27.6% 해당) 차지하고 있으며, WHO는 2020년에 전 세계에서 약 천만 명이 사망한 전 세계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암 치료 방법들에 따르는 부작용은 항암제 분야의 주요한 장애물이 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작용은 줄이고 효능은 증가시키는 면역항암치료제의 개발은 암의 재발이나 전이를 차단하는 데 있어 기존의 약물 치료와 비교할 때 강점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면역항암치료제는 최근 기존의 화학 및 표적 치료제 위주의 항암제 시장의 판도를 바꾸었으며, 현재 항암제 분야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면역항암치료제는 의사의 관리하에 선택/처방되는 전문의약품이므로 환자 자신의 선택보다는 안전성과 약효에 기반한 의사의 추천이 치료제 선택의 중요한 변수입니다. 따라서 면역항암치료제 회사와 제품에 대한 의사들의 신뢰도가 중요한 수요 변동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14년 1월에 설립된 차세대 면역항암제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현재 미국동부 메릴랜드 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한국 법인, 그리고 포항공대 생명공학 연구센터에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 대표 신약인 NT-I7(rhIL-7-hyFc 기술)은 T 세포 증폭(Amplification) 기능을 보유한 First-in-Class 차세대 면역항암제로서 단독요법의 효능뿐만 아니라 기존 항암제 및 면역항암제 간 병용투여 시 항암 치료 효과의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당사를 설립 이후 2015년 제넥신과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NT-I7의 아메리카(북미, 중미, 남미) 및 유럽 전역에 대한 전용 실시권을 확보하였습니다. 이후 NT-I7의 단독요법,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와의 병용 요법, 면역관문억제제(Checkpoint Inhibitor)와의 병용요법, CAR-T 세포치료제와의 병용요법, 그리고 감염질환 백신과의 병용요법을 포함한 총 5개의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임상연구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당사 보유 파이프라인 개요]

기술

제품 설명

개발 단계

개발 계획

주요 개발 제품

NT-I7

T cell Amplifier

임상1b/2a

§ 5개의 프로그램(Mono-7, CR-7, Check-7, CAR-7, VAX-7)으로 구분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글로벌 선진 제약사(Roche/Genentech, Merck, BMS)와 면역항암제 병용투여 효능 확인을 위한 공동 임상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임상에서 효능 관련 개념 입증 시 기술이전(라이센싱)을 논의 예정임
§ Mono-7 프로그램 내 희귀질환 적응증(희귀질환 및 틈새 시장)을 중심으로 자체 임상 진행 및 최종 제품 상용화를 진행할 예정임
§ 미국 NIAID와 급성방사선증후군 치료제 개발 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비임상 시험을 진행중이며, 효능 입증 시 추가 영장류 시험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납품 계약 체결을 할 예정임

§ 비소세포폐암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소세포폐암 (Small Cell Lung Cancer, SCLC)

§ 췌장암 (Pancreatic Cancer)

§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

§ 삼중음성유방암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

§ 메켈세포암 (Merkel-cell carcinoma, MCC)

§ 피부편평세포암 (Cutaneous squamous-cell carcinoma, cSCC)

§ 흑색종 (melanoma)

§ 전이성 위암 (Advanced/Metastatic Gastric Cancer)

§ 위,식도 접합부암 (Gastro-esophageal Junction cancer, GEJ)

§ 식도선암 (Esophageal Adenocarcinoma, EAC)

§ 교모세포종 (Glioblastoma, GBM)

§ CD4 림프구감소증 (Idiopathic CD4 Lymphopenia, ICL)

§ 카포시 육종 (Kaposi’s Sarcoma)

§ 거대B세포림프종 (Large B-cell lymphoma, LBCL)

§ 노인대상 감염병 (Vaccine adjuvant: elderly cancer survivors)

§ 진행성 다발초점성 백질뇌병증 (Progressive Multifocal Leukoencephalopathy, PML)

§ 급성 방사선증후군 (Acute Radiation Syndrome, ARS)

§ 골수 줄기세포 동원 (Stem Cell Mobilization)

기타

Degraducer

(T cell Suppressor Blockade)

전임상

§ PROTAC 기술 도입

§ NIT 자체 전임상(비임상) 연구를 통한 작용기전 규명 예정

§ 임상/사업 개발은 당사가 주도 

§ 혈액암 (Hematological cancer)

§ 고형암 (Solid cancer)

CAR-T

(T cell Activator)

Discovery

§ 종양 내에서 산화스트레스에 강한 NRF2 KO CAR-T 제조기술에 대한 특허 보유

§ CAR-T 개발사와 공동연구협력 모색중

§ 미국국립보건원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CRADA Fund 과제 진행 중

§ 고형암 (Solid Cancer)

Bispecific Antibody

(T cell Engager)

Discovery

§ NT-I7과 Bispecific Antibody 병용 용법 특허 출원 완료

§ 2023년 제품 선정 물질 서열 확보 예정

§ 혈액암 (Hematological cancer)

§ 고형암 (Solid cancer)


특히 NT-I7 제품의 특성상 현재까지 상용화된 모든 항암 치료요법과 병용투여가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기존 의약품 대비 차별화된 작용 기전을 보유한 First-in-Class 약물이라는 점은 NT-I7의 임상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핵심 요인들입니다. 이 같은 기술의 사업성과 혁신성을 높게 평가한 Top-tier 글로벌 제약사 Roche/Genentech, Merck(Merck, Sharp & Dohme; MSD) 및 BMS(Bristol-Myers Squibb)가 공동연구개발을 제안해온 바, 당사는 각 제약사와 공동 임상 연구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그 외 각종 의료 기관 및 정부 보건당국과 각 개발 프로그램 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당사 글로벌 임상 공동개발 현황


출처: 당사 내부자료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 부문은  T세포 중심의 면역치료제 개발 회사로서 면역항암제 및 감염질환 치료제에 대한 발굴, 임상 개발 및 제조, 판매하는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가) 경쟁 상황

기존의 면역항암제는 대부분 면역관문억제제와 T cell Activator로서 연구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당사는 면역항암제로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안정화된 지속형 IL-7을 임상 단계에서 개발 중인 전 세계적으로 최초이자 유일한 회사입니다.

[NT-I7의 포지셔닝]


nt-i7의 포지셔닝


T cell의 증식이라는 독특한 기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양에 의해 억제된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을 가진 면역관문억제제, 암세포의 세포외기질을 허물어트리는 등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는 TME (tumor microenvironment; 종양미세환경) modulator, 키메릭 항원수용체 T 세포를 조작해 암세포만 공격하는 CAR-T 세포치료제, 암 치료백신 등 다양한 면역항암제와 병용치료 시 높은 항암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진입해 있는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당사의 경쟁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대부분의 회사들은 경쟁사인 동시에 협력업체가 될 수도 있는 관계입니다. 특히 Roche의 티센트릭과 Merck의 키트루다 등의 대표적인 면역관문억제제의 경우, NT-I7과의 병용투여 임상이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등 글로벌제약사에서도 당사 제품의 가치에 주목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anti PD-1. anti PD-L1 시장규모]
 (단위: 백만 USD)


anti pd-1, anti pd-l1 시장규모

출처: EvaluatePharma 2023


당사가 경쟁을 하고 있는 면역항암제 시장은 성장기에 있는 시장이며 새로운 제품들의 출시와 기존 면역항암제들의 적응증에 대한 추가로 인해 정확한 경쟁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현재 출시되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은 PD-1과 PD-L1 수용체를 억제하는 면역관문억제제이며, 이는 Evaluate Pharma(2023) 기준, 2022년 전체 면역항암제 시장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Merck, BMS 등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해당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수 많은 후발주자들이 anti PD-1, anti PD-L1 면역관문억제제를 개발 중에 있으나, 상위 6개의 제품이 여러 암종에 대한 대규모 임상 실험과 조건부 인허가를 통해 빠르게시장을 선점해가고 있기 때문에 면역관문억제제를 개발하는 후발주자들이 미국, 유럽에서 시장에 진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면역관문억제제의 아메리카 및 유럽 인허가 현황]

신약

Opdivo

Keytruda

Tecentriq

Imfinzi

Bavencio

Cemiplimab

성분

nivolumab

pembrolizumab

atezolizumab

durvalumab

avelumab

REGN-2810

제조사

BMS

Merck

Roche /
Genentech

AstraZeneca

Pfizer/Merck

Sanofi

적응증

EMA

FDA

EMA

FDA

EMA

FDA

EMA

FDA

EMA

FDA

EMA

FDA

Cervical

 

 

 

 

 

 

 

 

 

 

 

Colorectal












cSCC

 

 

 

 

 

 

 

 

 

 

Gastric

 

 

 

 

 

 

 

 

 

 

 

 

Head & Neck

 

 

 

 

 

 

 

 

Hepatocellular
Carcinoma



 

 

 

 

 

 

 

 

Hodgkin Lymphoma

 

 

 

 

 

 

 

 

Melanoma

 

 

 

 

 

 

 

 

MCC











MSI-High / dMMR












NSCLC





Primary Mediastinal
B-cell Lymphoma












Renal Cell Carcinoma











Urothelial Carcinoma





출처: Global Data, 2018.06


위 표는 EMA 및 FDA에 승인신청 또는 승인이 된 적응증을 표시하였으며, 옵디보와키트루다가 현재 가장 많은 적응증에 승인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Roche의 티센트릭, AstraZeneca의 임핀지가 그 다음으로 다양한 적응증에 대하여 승인 신청 또는 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이러한 반면에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종에 따라서 10~87%의 객관적 반응률(ORR: Objective Response Rate)을 보이며, 폐암, 위암, 간암, 신장암 등 아직도 치료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암들이 많고, 교모세포종, 대장암, 췌장암 등과 같은 암종에서는 매우 낮은 객관적 반응률을 보여 아직 인허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피부암과같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가 비교적 높은 암의 경우도, 면역관문억제제의 효과가 저조하거나 치료 후 재발이 된 환자의 경우에는 여전히 새로운 치료요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학계와 산업계에서는 면역관문억제제를 중심으로 신규 면역항암제 및 표준치료제의 다제 병용요법을 통해서 이러한 치료효과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당사 역시 현재 면역항암제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매출을 발생시키고,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투여로 인한 약효를 증명하는 것이 1차적인 목표이고, 이를 위하여 글로벌 제약사 Merck, Roche, BMS와 임상 협업을 진행 중입니다. 


[Anti PD-1 / PD-L1의 ORR 및 병용투여로 인한 생존율 증가]

FDA 승인 적응증

ORR

Melanoma

17~50%

Lung Cancer

10~30%

Kidney Cancer

12~29%

Bladder Cancer

15~30%

Head and Neck Cancer

20~25%

Hodgkin lymphoma

65~87%

Merkel cell cancer

32~64%

MSI-High solid tumors

~50%

Hepatocellular cancer

~15%

Gastric Cancer

13~25%

Cervical Cancer

14%

Primary mediastinal large B-cell lymphoma

45%

Small cell lung cancer

12~33%

cSCC

47%

TNBC

56% (with chemo)



병용투여로 인한 생존율 증가


출처: AACR 2019 presentation - Suzanne Topalian,  "PD-1 blockade in cancer therapy: mechanism-based biomarkers and new frontiers", Chen, Q., Li, T., & Yue, W. (2018), OncoTargets and therapy, 11, 4673 ; Sharma P1, Allison JP, Cell. 2015 Apr 9;161(2):205-14.)



(나) 경쟁업체 현황

1) 경쟁업체 현황

면역관문억제제는 T 세포 비활성화에 관여하는 면역관문 수용체(ex. PD-1 등)와 리간드(ex. PD-L1 등)의 결합을 차단하여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원리의 항암제입니다. 하지만, T세포의 수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거나, T 세포가 암 부위에 침투하지 못할 경우 치료 효과를 발휘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학자들은 종양미세환경 (Tumor Microenvironment)의 특성에 따라, "Hot tumor", "Altered tumor (immune exclusion or immune suppression)", "Cold tumor" 등으로 암환자의 상태를 구분하고 있으며, 이러한 종양미세환경의 특성에 따라 특화된 면역항암 병용요법 (IO combination) 전략이 추구되고 있습니다. 

 

Anti-PD-1/PD-L1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요법을 통하여 항암치료효과를 높이려는 전략을 가진 제품군에는 사이토카인류, 2세대 면역관문억제제, Co-stimulatory molecule, 이중항체(BiTE), TME modulator 등 다양한 치료제들이 개발 중에 있습니다. 한편, 면역항암제 분야 주요 경쟁업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경쟁업체]

구분

회사이름

핵심 파이프라인

구분

적응증

임상단계

사이토카인

Nektar Therapeutics

NKTR-214
(Bempegaldesleukin)

CD122 biased agonist cytokine

Melanoma, Merkel cell carcinoma,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renal cell carcinoma, colorectal cancer, urothelial carcinoma, sarcoma

Phase III 진행중

기타
면역항암제

NKTR-262

TLR agonist

Melanoma, Merkel cell carcinoma,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ovarian cancer, renal cell carcinoma, colorectal cancer,
urothelial carcinoma, sarcoma

Phase I/II 진행중

사이토카인

Alaunos Therapeutics

Ad-RTS-hIL-12

IL-12

Recurrent GBM, Pediatric brain tumor,
Undisclosed New indications

Phase II 완료

기타
면역항암제

Dynavax Technologies

SD-101

SYNERGY-001:
SD-101(TLR9 agonist) + anti-PD-1

Metastatic Melanoma or Recurrent or
Metastati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Phase I/II 준비중

Ibrutinib
+Radiation Therapy
+TLR9 Agonist SD-101

Grade 1/2/3a/R/R Follicular Lymphoma,
Mantle Cell Lymphoma,
Marginal Zone Lymphoma

Phase I/II 진행중

TLR9 Agonist SD-101
+ Anti-OX40 Antibody BMS 986178
+ Radiation Therapy

Low-Grade B-Cell Non-Hodgkin Lymphomas

Phase I/II 준비중

기타
면역항암제

Forty Seven

5F9
(Hu5F9-G4)

Anti-CD47 antibody

Solid tumors and lymphomas, non-Hodgkin’s lymphoma, colorectal cancer, ovarian cancer and acute myeloid leukemia

Phase I/II 진행중

출처: 당사 자체 조사



2) 주요 경쟁업체 대비 당사 기술의 우수성

NT-I7과 위 주요 경쟁업체 기술의 장단점을 비교한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와 같은 제품들은 대부분 T 세포 활성화제(T cell activator)이거나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을 증대하는 접근 방법으로써, T 세포 증폭제(T cell Amplifier)이자 적응면역(adaptive immunity)과 선천면역을 모두 조절하는 NT-I7은 경쟁사 제품들과 확연한 차별화 포인트를 가집니다.

 [주요 경쟁업체 제품 비교]

구분

제품

기전

효능 (임상)

안전성
(임상)

상업성

독보성

단점

T세포

증폭제

NT-I7

T세포 수 증대, 

TIL 증대, 

T세포 생존율 증대

단독치료제,

용량의존적으로 T 세포 수 증대 (건강피험자 및 암환자)

높음.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성장인자)

높음

(안정화된 지속형 단백질, 높은 생산성)

안정화된 지속형 단백질로서는 유일, 

강한 특허 전략 

타 사이토카인 개발사보다 늦은 임상 개시

T세포

활성화제

NKTR-214
(Bempegaldesleukin)

Killer T 세포 활성화,

TIL 활성화

Opdivo combo ORR = 50% (진행성/전이성 흑색종)

중간

(비교적 낮은 dose에서 독성 발생)

중간

(6개의 pegylation site로 공정과 기전이 비교적 복잡함)

다수의 IL-2 경쟁제품 존재

(Roche, Alkermes 등)

IL-2 대비 낮은 약물 노출도, 독성, 기대보다 낮은 임상효능, 유사제품의 개발 경쟁 등

Ad-RTS-hIL-12

TIL 유도,

면역관문 발현 증대

Keytruda combo mOS = 12.5개월 (재발 GBM)

중간

(유전자 치료제)

중간

(낮은 범용성, 최근 FDA Fast Track Designation 승인)

IL-12을 개발 중인 회사들 경쟁 (OncoSec, Celsion, 등)

종양투여의 어려움, 용량의존적 반응 안보임

선천면역

조절제

SD-101

TLR 선천면역 활성화,

T세포 및 B세포 활성화 유도

Keytruda combo ORR = 70% (anti-PD-1 naive 흑색종)

중간

(약한 유사독감증후군)

높음 (단클론항체)

TLR agonist 보유사 다수 존재 (Nektar, CheckMate Pharmaceutical 등) 

여러 유사 제품의 개발 경쟁, 독성.

최근 Keytruda 병용 투여 결과 불명확

5F9
(Hu5F9-G4)

대식세포 항암기능 강화, 

종양 내 CD47 항원 타겟

Rituxan combo ORR = 71% (43% CR, Follicular lymphoma),

ORR = 40% (33% CR, DLBCL)

중간

(혈소판 파괴 독성)

높음

(단클론항체,

최근 FDA Fast Track Designation 승인)

Anti-CD47 항체 개발 경쟁사 다수 존재 

(Arch Oncology, I-Mab 등, 

현 임상진도는 약간 앞서 있지만 경쟁사 개발 속도 빠름)

여러 biobetter 제품들 개발 가속화, 독성


T 세포 활성화제는 당장 T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는 있으나 활성화에 의해 세포 사멸이 유도되며(activation-induced cell death, AICD), 이렇게 활성화된 T 세포가 오래 생존하기 어려워서, 항암 면역 반응도 지속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NT-I7은 AICD를 유도하지 않으며, 오히려 세포사멸(apoptosis)를 억제하여 T 세포의 생존을 연장하는 기능을 가지며, 기억 T 세포(memory T cell) 반응에 의해 장기적인 면역항암 반응을 유도합니다. 

 

또한, 암환자에게 자주 발생하는 림프구감소증을 치료하고, 종양 외부로부터 T세포를 유입시켜 종양침윤세포를 증가시킴으로써 항암효과를 강화시키는 기전은 IL-7만이 가지는 T세포 증폭제로서의 고유기전이며, 그 기능을 다른 물질로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이와 같이 NT-I7이 경쟁제품의 기전과 겹치지 않고 제품의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면역관문억제제 및 화학/방사선치료법과 병용투여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면역항암분야의 경쟁제품과도 이중, 삼중 또는 그 이상의 다중 병용요법을 통해 최적의 치료요법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집니다. 

 

최근 많은 항암신약품들이 업계의 관심하에 개발되고 있으나, 암 정복이라는 목표가 아직 요원하고 몇몇 성공적인 제품만으로서 그 목표 달성이 불가한 것이 자명합니다.그러한 관점에서, 여기서 규정한 경쟁제품들은 경쟁제품이라기 보다 오히려 병용요법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파트너 후보라 할 수 있습니다. 과학적 이론에 기반한다양한 다중 항암 병용요법의 시도와 동시다발적으로 발표되는 학계와 업계의 새로운 성과들, 그리고 증대되는 기대감으로 이루어지는 대규모 투자를 통하여 항암업계는 하루가 다르게 그 지형이 바뀌고 있습니다. 인류가 암 정복을 향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변혁의 시대를 만나, 대부분의 암환자들에게 필수적인 혜택을 주는 NT-I7이여러 면역항암 병용요법의 핵심적인 공통분모이자 표준치료법으로서 적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는 anti-PD-1/anti-PD-L1 면역관문억제제를 중심으로 수많은 임상 개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NT-I7가 개념검증 임상에 성공한 후, 곧이어 가속 심사를 통한 조기 승인을 받는다면, NT-I7은 면역항암제의 중요한 병용파트너가 될 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 anti-PD-1/PD-L1 면역관문억제제와 같이 면역항암제 병용투여의 중요한한 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게 되면, 여러 회사들이 NT-I7의 약물 공급과 공동연구개발을 요청하게 되면서 NT-I7의 시장성이 높이 평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면역항암제 시장규모 및 성장잠재력

WHO의 GLOBOCAN 2020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 암 발병 건수는 약 1,930만 건에 이르며, 사망자 수는 약 1,000만 명에 이릅니다. 암은 신약개발과 의학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재발과 전이 가능성이 높아 완치판정이 어려워 여전히 미충족 의료수요가 많은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입니다.

 

또한, 동사의 주요 목표시장인 아메리카 및 유럽 지역의 2020년 암 발생건수는 6,054,695건으로 전세계 발병건수 19,292,789건에 비교하여 전세계 시장의 약 31.4% 정도로 추산됩니다. WHO의 분석에 따르면 선진국일수록 암의 발병률이 높으며, 그에 따른 치료 및 진단 시장이 더욱 발전한다고 합니다.

[2020년 전세계 암 발병 및 사망자 수]
(단위: 명)

구분

발병건 수

사망자 수

Eastern Asia

6,008,355 

3,617,104 

South-Central Asia

2,556,862 

1,258,683 

Northern America

1,951,843 

699,274 

Central and Eastern Europe

1,424,394 

695,828 

South-Eastern Asia

1,314,193 

689,093 

Western Europe

1,100,037 

559,671 

South America

1,095,348 

521,389 

Southern Europe

953,048 

423,090 

Northern Europe

706,808 

276,642 

Western Asia

443,475 

244,551 

Eastern Africa

331,233 

222,189 

Northern Africa

307,507 

191,081 

Western Africa

261,646 

164,930 

Central America

247,611 

126,071 

Middle Africa

235,955 

71,570 

Caribbean

116,391 

65,954 

Southern Africa

113,280 

61,659 

Australia and New Zealand

106,467 

58,744 

Melanesia

15,658 

9,022 

Polynesia

1,668 

927 

Micronesia

1,010 

661 

World

19,292,789 

9,958,133 

출처: WHO, International Research on Cancer



EvaluatePharma(2021)에 따르면, 글로벌 항암제 시장은 키트루다와 옵디보를 선두로한 면역항암제 분야의 급성장으로 인해 2026년에는 3,228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항암제 매출액 규모 및 전망]
(단위: 십억달러)

구 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글로벌 

항암제 시장 

144.5

157.6

180.6

200.9

226

256.6

290.1

322.8

11%

출처: EvaluatePharma, 2021


한편, 항암제 중에서도 3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체계의 기능을 조절하거나 강화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거나 암세포를 직접 사멸시키는 치료제입니다. 기존 1세대 세포독성화학항암제 및 2세대 표적항암제와는 다른 새로운 개념과 기전의 치료제로, 치료효과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별성과 우월성을 보이고 있어 암을 정복할 수 있는 차세대 치료법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면역항암제로는 면역관문억제제, 면역세포치료제, 항암바이러스치료제 등이 있으며, 현재 시장에서 매출은 옵디보(Opdivo, 비엠에스), 키트루다(Keytruda, 머크) 등 면역관문억제제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2017년 미국 FDA가 최초로 CD19 항원 수용체를 타겟하는 CAR-T 치료제인 킴리아(Kymriah, 노바티스), 예스카타(Yescarta, 길리어드)를 재발성/불응성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대상으로 허가하면서 면역세포치료제도 다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EvaluatePharma의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은 키트루다, 옵디보, 티센트릭 등 면역관문억제제들의 적응증 확대, 신규 면역관문억제제, CAR-T 치료제의 등장, 단독투여에서 병용요법, 수술전/후 보조요법으로 확대됨에 따라, 2018년 이후 연평균 19%로 고성장하여 2024년에는 48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면역항암치료제 시장 현황 및 전망]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 현황 및 전망

주) 출처: EvaluatePharma, 한화투자증권리서치센터 재인용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면역항암제 연구개발에 따른 기술이전 혹은 자체출시와 같은 기존 사업계획 이외에 신규사업을 계획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5) 조직도


동사의 양세환 대표이사는 회사의 경영철학인 '높은 수준의 업무역량 및 성과를 낼수있는 역량, 스스로 동기부여 할 수있는 긍정과 열정, 그리고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일하여 시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람'이 중요하다는 데에 뜻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항상 좋은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기존 조직원들의 역량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동사의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조직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 조직도]


nit_organizational chart_updated_12-31-2022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의 영업상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연결/별도재무상태표ㆍ연결/별도포괄손익계산서ㆍ연결/별도자본변동표


해당 사업연도의 당사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ㆍ 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 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연결재무상태표

                                                연결재무상태표

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USD)
과      목  당기말 전기말
자산

유동자산 93,088,374 140,634,664
  현금및현금성자산 91,241,592 130,114,116
  기타유동금융자산 1,139,929 185,819
  기타유동자산 706,853 10,334,729
비유동자산 17,276,499 17,127,787
  유형자산 3,781,173 2,850,331
  사용권자산 3,633,776 4,788,418
  무형자산
5,171,369 5,559,291
  기타비유동금융자산 1,274,879 958,838
  기타비유동자산 3,415,302 2,930,584
  순확정급여자산 - 40,325
자  산  총  계 110,364,873 157,762,451
부채

유동부채 12,938,708 17,217,253
  미지급금 1,568,137 1,276,544
  유동성장기리스부채 1,009,465 1,082,918
  기타유동금융부채 9,522,688 14,073,039
  기타유동부채 838,418 784,752
비유동부채 2,981,865 3,858,206
  장기리스부채 2,818,711 3,804,987
  기타비유동부채 50,767 53,219
  순확정급여부채 112,387 -
 부  채  총  계  15,920,573 21,075,459
자본

  자본금 1,977 1,972
  자본잉여금 229,341,467 228,833,366
  기타자본항목 15,825,049 11,572,34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64,961) (151,473)
  결손금 (150,259,232) (103,569,213)
자  본  총  계 94,444,300 136,686,992
부채와 자본 총계 110,364,873 157,762,451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결포괄손익계산서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단위: USD)

과       목

당기

전기

영업수익 - -
영업비용 45,034,317 45,355,669
영업손실 (45,034,317) (45,355,669)
  기타수익 15,116 13,510
  기타비용 10,859 91,508
  금융수익 1,090,308 441,898
  금융비용 2,725,530 806,862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46,665,282) (45,798,631)
  법인세비용 90,107 60,701
당기순손실 (46,755,389) (45,859,332)
기타포괄손익 (248,118) (280,85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65,370 (16,058)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313,488) (264,798)
총포괄손실 (47,003,507) (46,140,188)
주당손실

  기본주당손실 (2.37) (2.41)
  희석주당손실 (2.37) (2.41)


- 연결자본변동표

                                               연결자본변동표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단위: USD)

구       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결손금

총계

2021.01.01(전기초) 1,655 130,926,775 4,066,296 113,325 (57,693,823) 77,414,228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실 - - - - (45,859,332) (45,859,33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16,058) (16,058)
  해외사업환산손실 - - - (264,798) - (264,798)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313 97,113,005 - - - 97,113,318
  주식선택권의 행사 4 793,586 (258,090) - - 535,500
  주식기준보상 - - 7,764,134 - - 7,764,134
2021.12.31(전기말) 1,972 228,833,366 11,572,340 (151,473) (103,569,213) 136,686,992
2022.01.01(당기초) 1,972 228,833,366 11,572,340 (151,473) (103,569,213) 136,686,992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실 - - - - (46,755,389) (46,755,389)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65,370 65,370
  해외사업환산손실 - - - (313,488) - (313,488)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주식선택권의 행사 5 508,101 (190,458) - - 317,648
  주식기준보상 - - 4,443,167 - - 4,443,167
2022.12.31(당기말) 1,977 229,341,467 15,825,049 (464,961) (150,259,232) 94,444,300

 

-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USD)
과      목  당기말 전기말
자산

유동자산 90,703,285 138,185,518
  현금및현금성자산 89,126,770 127,951,841
  기타유동금융자산 1,110,988 13,203
  기타유동자산 465,527 10,220,474
비유동자산 19,746,760 21,464,847
  유형자산 2,610,914 1,983,095
  사용권자산 1,244,305 1,485,664
  무형자산
5,171,369 5,559,291
  종속기업투자 6,896,688 9,443,37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408,182 62,843
  기타비유동자산 3,415,302 2,930,584
자  산  총  계 110,450,045 159,650,365
부채

유동부채 12,955,826 17,030,442
  미지급금 2,554,445 2,120,286
  유동성장기리스부채 315,427 309,286
  기타유동금융부채 9,522,688 14,073,039
  기타유동부채 563,266 527,831
비유동부채 1,199,627 1,417,956
  장기리스부채 1,199,627 1,417,956
 부  채  총  계  14,155,453 18,448,398
자본

  자본금 1,977 1,972
  자본잉여금 229,341,467 228,833,366
  기타자본항목 15,825,049 11,572,340
  결손금 (148,873,901) (99,205,711)
자  본  총  계 96,294,592 141,201,967
부채와 자본 총계 110,450,045 159,650,365


-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단위: USD)

과       목

당기

전기

영업수익 - -
영업비용 40,520,764 41,688,374
영업손실 (40,520,764) (41,688,374)
  기타수익 143 7,444
  기타비용 7,607,071 5,545
  금융수익 864,030 413,501
  금융비용 2,404,528 760,079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49,668,190) (42,033,053)
  법인세비용 - -
당기순손실 (49,668,190) (42,033,053)
  기타포괄손익 - -
총포괄손실 (49,668,190) (42,033,053)
주당손실

  기본주당손실 (2.51) (2.21)
  희석주당손실 (2.51) (2.21)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단위: USD)

구       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결손금

총계

2021.1.1(전기초) 1,655 130,926,775 4,066,296 (57,172,658) 77,822,068
총포괄손실




  당기순손실 - - - (42,033,053) (42,033,053)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313 97,113,005 - - 97,113,318
  주식선택권의 행사 4 793,586 (258,090) - 535,500
  주식기준보상 - - 7,764,134 - 7,764,134
2021.12.31(전기말) 1,972 228,833,366 11,572,340 (99,205,711) 141,201,967
2022.1.1(당기초) 1,972 228,833,366 11,572,340 (99,205,711) 141,201,967
총포괄손실




  당기순손실 - - - (49,668,190) (49,668,190)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선택권의 행사 5 508,101 (190,458) - 317,648
  주식기준보상 - - 4,443,167 - 4,443,167
2022.12.31(당기말) 1,977 229,341,467 15,825,049 (148,873,901) 96,294,59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우정원 1960.01.26 기타비상무이사 미해당 최대주주의 사내이사 이사회
강진형 1960.09.14 사외이사 미해당 -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우정원 現 (주)제넥신 사내이사 23년 1월 ~ 현재 (주)제넥신 사내이사 없음
13년 05월 ~ 23년 01월 (주)제넥신 사장, 단백질생산기술연구소장
11년 10월 ~ 13년 04월 서울성모병원 연구교수
강진형  現  서울성모병원 교수 04년 04월 ~ 현재 서울성모병원 내과학교실 교수 없음
99년 03월 ~ 04년 03월 강남성모병원 내과학교실 부교수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우정원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강진형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 강진형
본 후부자는 현재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내과학 교수로 재직중이고 의사로서 오랫동안 근무를 해 왔습니다. 특히, 종양학 박사로서 종양에 대한 전문성과 통찰력이 축척되어 온 전공을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회사의 지속 성장과 발전에 기여 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후보 강진형
27년 이상 의사로로서 경험을 통해 종양 전반에 대한 전문성과 통찰력이 축척되어 있어, 폭넓은 자문 제공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함. 특히 당사에 필요한 국내외 기술도입 확대에 대해 독립적인 자문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하였으며, 경영전반에 대한 주요 의사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하여 추천함.

기타비상무이사 후보 우정원
제넥신의 주요 임원으로서 바이오사업의 통찰력이 뛰어나며, 약학과 미생물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보유함. 이에 따라 이사회 기타비상무이사로서 당사의 기업가치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여 선임을 추천함. 


확인서

첨부3) 확인서(강진형)_signed


첨부3) 확인서(우정원)_signed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US$ 5,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US$ 332,600
최고한도액 US$ 5,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US$ 1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US$ 62,308
최고한도액 US$ 100,000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경영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에 대한 보상과 회사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부여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1) 이사회를 통해 기 부여된 자에 대한 승인
당사는 아래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2022년도 9월 30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주식매수선택권 총 62,913주(314,565 KDR)를 부여하였으며 그 부여의 내용을 금번 제 0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을 받고자 합니다.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이병하 미등기임원 CSO 보통주 33,500
DaOO 등 15 명 직원 - 보통주 29,413
총 16 명 - - - 62,913


2) 제09기 당기 주주총회에서 부여 및 승인받을 자의 명단
당사는 아래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금번 제 0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식매수선택권 총 142,844주(714,220 KDR)을 부여하고자 합니다.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강수형 임원 사외이사 보통주 1,943
강병조 임원 사외이사 보통주 1,943
김선민 감사 감사 보통주 1,943
김태우 미등기임원 CFO 보통주 9,715
남궁진 미등기임원 COO 보통주 9,715
최동훈 미등기임원 CTO 보통주 9,715
주지영 미등기임원 CQO 보통주 9,715
이하영 미등기임원 CIRO 보통주 9,715
RiOO 등 38 명 직원 - 보통주 88,440
총 46 명 - - - 142,844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발행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1) 주식의 종류 : 보통주
2) 교부 주식수 :  205,757주 (1,028,785 KDR)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1. 2022.09.30 (미국시간 9월 29일)이사회 부여
1) 행사가격 : 4,220 원 (1KDR)
2) 행사기간 :
20,100 주 : 2024.09.30 ~ 2032.09.30
42,813 주 : 2025.09.30 ~ 2032.09.30

2. 2023.03.31 주주총회 부여
1) 행사가격 : 주주총회 전일 결정
2) 행사기간 :
96,614 주 : 2025.03.31 ~ 2035.03.31
46,230 주 : 2026.03.31 ~ 2035.03.31

-
기타 조건의 개요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 이후 행사일 이전에 유 ·무상증자, 주식배당,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주식액면분할, 주식 병합, 준비금의 자본감소, 이익소각, 상환주식의 상환으로 발행주식총수가 감소하는 경우 ,회사의 합병, 분할, 분할합병 등 매수권의 가치를 희석시키는 사정이 발생한 경우에는 행사가격 및 수량 조정 가능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부여가능
주식수
잔여
주식수(*)
19,765,493 발행주식  총수의 10% 보통주 1,976,549 1,107,723

(*) 2022년 12월말 기준 잔여 주식매수선택권이며, 12월 말부터 현재까지 실효 및 행사 된 사항은 없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
종류
부여
주식수
행사
주식수
실효
주식수
잔여
주식수
2020년 - - - - - - -
2021년 2021.03.16 25 보통주 470,888 - 129,775 341,113
2021.03.31 3 보통주 101,500 - - 101,500
2021.09.28 13 보통주 67,700 - - 67,700
2022년 2022.03.31 24 보통주 101,600 - 21,800 79,800
2022.09.30 16 보통주 62,913 - - 62,913
- 총 81 명 - 804,601 - 151,575 653,026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3일 1주전 전자문서 발송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이며,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당사 홈페이지(http://www.neoimmunetech.com)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2023년 03월 31일 제09기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예상)일 개최사유
당사는 코스닥협회의 주주총회 집중예상일 발표 이전에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포함한 주요경영활동의 일정을 사전에 확정하였습니다.

코스닥협회의 주주총회 집중예상일 발표 후 주주총회 일자를 변경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종속회사의 연결결산일정과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 이사진의 일정등을 고려하여 불가피하게 당초 결정한 2023년 3월 31일(금)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 코로나19(COVID-19) 관련 안내에 관한 사항

- 코로나19(COVID-19) 확산과 관련하여 주주총회 개최일에는 체온측정 결과에 따라 발열 등 증상이 의심되는 주주에 대해서는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분들께서는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당사는 질병 예방을 위하여 주주총회 참석시 보건용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손소독제 비치 등 방역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은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6000871

네오이뮨텍 (9502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