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입푸드 (90034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29 17:3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29001441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3월   29일


회   사   명 : 윙입푸드홀딩스
대 표 이 사 : 왕현도(Wang XianTao)
본 점 소 재 지 : 17/F WINSAN TOWER, 98 THOMSON ROAD, WANCHAI, HK

(전   화) 86-760-23215457

(홈페이지)http://wingyip-food.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왕정풍(Wang TingFeng)

(전  화) 86-760-23215457
(공시대리인) 02-3443-571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8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35조에 의하여 제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관 제38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래 -

1. 일 시 : 2023년 04월 20일(목요일) 오전10:00

2. 장 소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2층 회의실2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8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2-1호 의안 : 왕정풍 사내이사 재선임의 건
      2-2호 의안 : 김호진 사외이사 신규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3-1호 의안: 량리산 감사 재선임의 건

   제4호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_보수한도 1000만RMB

   제5호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_보수한도 100만RMB

   제6호의안: 감사 후 재무제표 등 미통지 승인의 건

   제7호의안: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의결권 행사방법

가. 본인 또는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의 행사

- 직접행사: 신분증

- 대리행사:
  ①개인: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인감날인), 주주(위임인) 개인인감증명서(3개월 이내 발급분)
  ②법인: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법인인감날인), 주주(위임인) 법인인감증명서(3개월 이내 발급분), 사업자등록증 사본

7. 2022년도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http://www.wingyip-food.co.kr/)에 게재할 예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사항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2년  03월  29일

윙입푸드홀딩스  대표이사 왕현도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호진
기타비상무이사
(출석률: 100%)
박종길
사외이사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4.04 2021사업연도 내부결산 이사회결의 찬성 찬성
2 2022.04.04 정기주주총회소집결의 찬성 찬성
3 2022.10.14 기준일설정 및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 찬성 찬성
4 2022.12.16 정기주주총회 기준일 설정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814,400 21,773 21,773 -
기타비상무이사 1 - - -

주1) 상기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 지급액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이며 당사 기타비상무 이사는 보수를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주2) 상기 주총승인금액(10,000,000RMB), 사외이사 지급총액
(120,000RMB) 및 1인당 평균 지급액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 서울외국환중개(주)에서 고시한 기준환율 181.44원/위안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당사는 한국 표준산업 분류 기준 대분류상 식료품 제조업 산업에 세세분류상 가금류 가공 및 저장 처리업과 육류 기타 가공 및 저장처리업에 속하여 되지고기 및 가금류를 건조ㆍ훈연ㆍ염장ㆍ조리 및 기타 방법으로 가공 또는 저장 처리하여 식용 가능한 고기 가공품을 제조하는 육가공 업체입니다.

1) 산업의 특성
(1) 주요 목표시장 

당사는 육가공 식품 생산업체로써 식품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의 제품은 1) 중국식 살라미(전통 소시지), 2) 간편식품(간편 소시지), 3) 중국식 베이컨(납육), 4) 기타식품 크게 4가지로 분류 됩니다. 중국은 아래 그림과 같이 크게 6개의 지역으로 분류되는데 지역별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전통소시지 및 납육의 경우 화남, 화동, 서남지역이며 주 고객층은 30대 이상 성인 및 주부입니다. 이 같은 이유는 당사의 전통소시지의 조리 특성상 단 맛이 나는 식품이어서 단맛을 선호하는 화남, 화동 지역에 주요 시장이 형성 되어 있으며, 식품의 구매 선택권이 요리를 하는 주부에 치중 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향후 중국 전 지역으로의 매출 확대 및 대형마트 및 편의점 등으로의 유통경로 다변화를 위하여 간편소시지를 개발하였습니다. 간편소시지의 경우, 다양한 맛의 제품 시리즈가 상품화 되어있어 지역별 맛의 선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아동에서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즐기고 있습니다.

중국지역

(2) 산업의 연혁

가) 육가공 식품의 탄생 (약 3000년전 ~ 1980년대) 

중국 육가공 식품 역사는 약 3000년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중국에서는 남, 북조시대(B.C. 420~589)에 이미 갈은 염소고기나 양고기에 소금, 간장 등을 첨가하여 창자에 충전하여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러한 제조 방식은 서양식 건조소시지인 살라미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중국의 육가공 식품은 큰 산업으로 발전하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육류의 건조문제로 인하여 바람이 잘 부는 가을, 겨울에만 생산이 가능하였고, 유통문제로 인하여 생산 지역과 지리적 위치가 가까운 특정 지역에서만 섭취가 가능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과거 중국의 육가공 시장은 타 국가와 마찬가지로 생산 및 유통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계절적, 지역별 식품으로서만 성장하였습니다. 


나) 생산 및 유통 기술의 발전 (1980년대 ~ 2000년대) 

1980년대부터 2000년대에는 냉장고의 발명 등 전반적인 산업의 발전과 함께 중국의 육가공 산업도 큰 발전을 이룹니다. 육가공 식품 생산 방식의 일부가 기계화되고, 식품의 저장 기술의 발전 특히, 냉장고의 가정화로 인하여 육가공 시장은 점차 사계절 식품으로 자리잡기 시작하였습니다. 나아가, 중국 전역에 포장 도로 등의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하였고 유통기술 및 유통시장이 발전 됨에 따라 육가공 식품은 특정 지역의 특산품이 아닌 전국적인 식품 종류 중 하나로써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발전에 힘입어, 가족업체 규모 위주의 육가공 생산업체 산업에 기업형태의 전문 육가공 업체들이 설립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다) 육가공 산업의 규모화 및 통합 (2000년대 ~ 현재) 

현재 중국의 육가공 시장은 생산 방식이 자동화 되면서 몇몇 기업들이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였습니다. 가족 사업위주의 업체들에서 중소 규모의 기업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소규모의 기업들은 통합 및 자본투자로 대규모 기업으로 탈바꿈 하고 있습니다. 


생산 방식의 기계화 및 자동화가 가능해지면서 중국의 육가공 산업은 점차 대규모 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몇몇 기업들은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였고, 이러한 기업들은 시장의 지배적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산업 통합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족단위 기업이 잇따라 영업을 중단하고 있으며 소규모 기업들이 합병되어 OEM생산방식으로 점차 전환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육가공 산업의 진입 장벽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 세계 식품 시장 및 전망 

글로벌 식품 시장은 2012년 약 49,837억 달러(약 6,023조원)에서 2015년 55,639억 달러(약 6,724조원)로 연평균 3.74%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대륙 별로는 2012년 기준 유럽이 17,289억 달러(약 2,089조원)로 전체 식품 시장 규모의 34.7%를 차지하는 가장 큰 규모의 식품시장이었으나, 아시아 식품시장이 다른 대륙의 식품시장 성장을 추월하며 2015년 기준 아시아 식품 시장 규모는 약 19,482억 달러(약 2,354조원)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대륙 별 세계 식품시장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전 세계 식품시장의 3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5년 기준 대륙 별 식품 시장 중 아시아 다음으로 큰 시장은 전통적으로 큰 시장이었던 유럽 시장이며 18,471억 달러(약 2,232조원)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이어서 북미 지역이 약 11,235억 달러(약 1,358조원)의 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동 및 아프리카는 인구 및 경제적 이유로 세계 식품 시장에서 약 1.7%에 달하는 작은 식품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세계 식품 시장 대륙별 규모】

구 분

지역

2012

2013

2014

2015

2016E

2017E

2018E

USD

(십억)

세계

4,983.7

5,158.5

5,347.7

5,563.9

5,788.2

6,030.8

6,291.0

유럽

1,728.9

1,764.1

1,802.5

1,847.1

1,891.6

1,939.6

1,988.3

아시아

1,649.7

1,737.3

1,834.2

1,948.2

2,068.4

2,196.6

2,338.0

북미

1,056.2

1,081.4

1,102.9

1,123.5

1,143.4

1,162.4

1,179.5

중남미

464.9

487.5

516.1

549.1

586.0

628.2

676.5

중동/아프리카

84.1

88.1

92.0

95.9

99.8

104.0

108.7

KRW

(조원)

세계

6,022.8

6,234.0

6,462.7

6,724.0

6,995.0

7,288.2

7,602.7

유럽

2,089.4

2,131.9

2,178.3

2,232.2

2,286.0

2,344.0

2,402.9

아시아

1,993.7

2,099.5

2,216.6

2,354.4

2,499.7

2,654.6

2,825.5

북미

1,276.4

1,306.9

1,332.9

1,357.7

1,381.8

1,404.8

1,425.4

중남미

561.8

589.1

623.7

663.6

708.2

759.2

817.6

중동/아프리카

101.6

106.5

111.2

115.9

120.6

125.7

131.4

출처: Datamonitor, 전국경제인연합회

유럽은 2013년까지 세계 1위 식품 시장을 유지해오고 있었으나, 아시아의 경제 성장, 특히중국과 인도의 급격한 경제적 성장으로 2015년 1위 자리를 아시아에 내어주게 되었습니다. 유럽 및 북미 식품 시장의 식품 시장 점유율은 2018년까지 계속하여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아시아 식품 시장은 2018년까지 4.2%의 성장률을 이어가 다른 대륙들의 성장 속도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8년 아시아 식품시장은 23,380억 달러(약 2,826조원)의 규모로 성장하여 글로벌 식품 시장의 37.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식품 시장의 대륙별 점유율】

지역

2012

2013

2014

2015

2016E

2017E

2018E

유럽

34.7%

34.2%

33.7%

33.2%

32.7%

32.2%

31.6%

아시아

33.1%

33.7%

34.3%

35.0%

35.7%

36.4%

37.2%

북미

21.2%

21.0%

20.6%

20.2%

19.8%

19.3%

18.7%

중남미

9.3%

9.5%

9.7%

9.9%

10.1%

10.4%

10.8%

중동/아프리카

1.7%

1.7%

1.7%

1.7%

1.7%

1.7%

1.7%

출처: Datamonitor

(2) 중국 식품 시장 및 전망 

중국 식품시장은 중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격하게 성장하였습니다. 2011년 약 8,200억달러(약 991조원)였던 중국 식품시장 규모는 연 평균 약 7.8%씩 성장하여 2015년 기준 11,040억 달러(약 1,334조원)로 추정되며 전세계 식품시장 규모의 19.8%를 차지하는 단일 국가로는 가장 큰 시장입니다. 중국의 이 같은 성장은 더욱 가속도를 가하여 2018년까지 연평균 8.5%의 성장률로 14,084억 달러(약 1,702조원)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식품시장 규모 및 전망

출처: Datamonitor, 하나대투

이 같은 급격한 중국 식품시장의 성장의 원인으로는 중국 경제의 발전에 따른 중국인들의 식품소비 변화를 꼽을 수 있습니다. 중국인들은 인당 GDP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양과 더좋은 질의 식품을 선호하게 되었고 이는 소비자의 더 많은 식품 소비로 이어졌습니다. 중국의 인당 GDP는 2011년 기준 약 5,583달러에서 2015년8,141달러로 연간 약 9.9% 증가하였고 동기간 도시인구 기준 인당 식품 소비액은 2011년 약789달러 에서 2015년 912달러로 연평균 약 3.7% 증가하였습니다.  

gdp증가에 따른 음식소비액

출처: 중국 국가통계청, IMF

3) 경기변동의 특성
(1) 경기변동과의 관계
GDP가 낮은 또는 급격하게 성장중인 개발도상국 육가공 산업의 경우 인당 GDP 상승과 함께 육류 소비량도 함께 성장하며 서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소득증대에따라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전 보다 더 많은 고기 섭취를 원한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중국의 경우도 이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에서 보시다시피, 1990년대 중국인의 연간 육류소비량은 약 30kg에 불과 하였으나 급격한 인당 GDP의 상승과 함께 현대에는 연간 약 50kg의 육류를 섭취하게 되었습니다.

인당 GDP가 일정 수준에 오른 서양 국가들의 경우에는 육가공 산업은 일반적인 공산품과달리 경기침체에도 고기 소비량은 소폭 감소에 그치는 등 일반경기의 변동에 따라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 GDP 변동에 따른 연간 육류 소비량】
(단위 : Kg(좌), USD(우))

연간 육류소비량

출처: IMF,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Edition 2016

(2) 계절성

과거 당사의 주력 제품인 전통소시지 및 납육의 경우, 1990년대 이전 생산 및 보관상의 기술 문제 때문에 가을 및 겨울에만 한정적으로 공급되는 계절성 식품이었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절인 상태로 건조되어야 하는데 다온다습한 광동성 기후 특성과 전통적인 생산공정으로는 낙후된 건조기술과 진공기술의 문제로 가을에만 생산이 가능하였고 저장 및 운송기술 문제로 인하여 공급할 수 있는 지역도 한정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여름철 고온의 광동성 지역에서는 "겨울바람이 불면 납육(중국식 베이컨)을 먹을 수 있다" 라는 말도 있었습니다. 


현대에는 생산기술과 공정의 발전에 따라 전통소시지 및 납육식품은 사계절에 상관없이 생산, 소비되는 일반 식품으로 변하였지만, 아직도 전통적인 식습관 문화가 있어 전통소시지 및 납육은 10월에서 1월인 가을 겨울에 소비가 증가하는 패턴이 있습니다. 


4) 경쟁현황

(1) 경쟁상황 

중국의 육가공 시장은 2016년 매출액 기준 1등 기업이 전체 시장의 약 4.9% 수준만 차지할 정도로 완전 경쟁 상태입니다. 2016년 기준 중국 육가공 업체수는 5만개가 넘는 것으로추정되며 대부분이 가족 대대로 전통을 이어온 가족 형태의 기업이며 특정 지역의 입맛에만 맞는 특산품 위주의 제품을 생산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이러한 육가공 업체의 생산방식은 수가공이며 이런 가족형태의 업체 중 약 100개의 업체들만이 생산량과 생산방식을대규모, 자동화함에 따라 기업화되었습니다. 


중국 육가공 시장은 생산방식 및 생산관리체계(위생, 환경, 규모 등)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첫번째 그룹은 연 매출 약 3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자동화 생산 시스템 구축은 물론 제품을 수출까지 고려할 수 있는 업체로써 2016년 기준 약 8개사 가 있으며, 두번째 그룹은 생산의 일부 자동화 및 기계화가 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식품 안전 인증인 ISO인증 등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약1000개 기업이 있으며, 나머지 약 5만개의 기업이 수가공을 하는 가족형 업체입니다. 


현재, 당사는 두번째 그룹인 중소규모 기업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생산은 일부 자동화 및 기계화가 되어있습니다. 나아가, 식품안전 인증인 ISO22000을 2015년에 최초 취득하였으며 2017년 3월식품 수출의 필수 인증인 HACCP 인증 또한 취득하였고, 육가공 제품의 대규모 생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2) 경쟁형태 

중국의 육가공 시장은 2016년 매출액 기준 1등 기업이 전체 시장의 약 4.9% 수준만 차지할 정도로 완전 경쟁 상태입니다. 2016년 기준 중국 육가공 업체수는 5만개가 넘는 것으로추정되며 대부분이 가족 대대로 전통을 이어온 가족 형태의 기업이며 특정 지역의 입맛에만 맞는 특산품 위주의 제품을 생산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이러한 육가공 업체의 생산방식은 수가공이며 이런 가족형태의 업체 중 약 100개의 업체들만이 생산량과 생산방식을대규모, 자동화함에 따라 기업화되었습니다. 


중국 육가공 시장은 생산방식 및 생산관리체계(위생, 환경, 규모 등)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첫번째 그룹은 연 매출 약 3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자동화 생산 시스템 구축은 물론 제품을 수출까지 고려할 수 있는 업체로써 2016년 기준 약 8개사 가 있으며, 두번째 그룹은 생산의 일부 자동화 및 기계화가 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식품 안전 인증인 ISO인증 등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약1000개 기업이 있으며, 나머지 약 5만개의 기업이 수가공을 하는 가족형 업체입니다. 


매출 지역별 경쟁형태로는 대규모 기업들은 전국적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기업이 위치한 성과 그 주위의 성 위주로 판매하고 있고, 나머지 5만여개의 가족 형 업체들은 특정지역에서 특산품으로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대형마트, 체인점, 전자상거래 등 여러가지의 유통경로로 전국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3) 진입장벽 

중국 육가공 시장의 진입장벽은 대부분의 나라와 마찬가지로 정부의 허가, 법률 등의 제도적 진입장벽은 없으나, 위에서 분류한 바와 같이 생산규모와 정부차원의 식품규제 및 인증에 의거해 세 가지의 경쟁구조 별 진입장벽은 각각 존재합니다. 


첫째, 소규모 가족기업 형태로의 진출은 오랜 전통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필요로 합니다. 지역별 입맛과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식품 생산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나아가, 오랜 전통의 업체들은 그 지역에서 인지도가 높아 특정 지역에서의 인지도도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 중소규모 기업 단계의 진입장벽은 자본력과 기업의 인식변화가 요구됩니다. 대부분의 소규모 가족업체들은 수공업 위주여서 위생문제, 열악한 업체 환경, 낙후된 설비 장치로 인하여 다음 진출 단계인 ISO 인증 등의 식품 안전인증을 소유한 기업형태로 발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를 바꾸려는 인식변화와 위생적인 생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자본력이 필요합니다. 나아가, 특정 지역이 아닌 타 지역에서 매출을 발생시키기 위에서는 높은 수준의 품질과 이를 인정하는 여러 대리상과의 끈끈한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셋째, 대규모 기업그룹으로의 진출에는 막대한 자본력과 네트워크의 다각화가 진입장벽으로 존재합니다. 위생은 물론 공장규모의 생산capa를 갖출 수 있는 큰 자본력이 필요로 하며 전국 각지에 판매할 수 있는 유통채널의 다각화가 필수입니다. 과거 육가공시장의 유통채널은 농산품시장 위주였으나, 2010년 이후부터 대형마트, 농산품시장, 슈퍼마켓, 전자상거래 등 유통채널의 경로가 다양해졌습니다. 대규모 기업으로의 진출에는 이 모든 유통경로가 있어야 한다고 사료됩니다. 

【중국 육가공 시장의 주요 유통채널 변화】

구분

유통 채널

1995년 이전

특정지역, 농산품시장 위주 60%

1995년 ~ 2000년

농산품시장(49%). 대형마트(27%)

2000년 ~ 2010년

농산품시장(39%). 대형마트(33%), 슈퍼마켓(14%)

2010년 이후

유통채널 다양화

출처: 중연보화


육가공시장 유통채널별 판매비중

출처: 중연보화

5) 산업내 주요 경쟁력 및 회사의 강점과 단점 

첫째, 당사는 100여년의 전통을 이어온 기업으로 광동지역 전통소시지를 대표하는 기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동에서 4대째 가업을 이어왔으며, 광동의 풍미를 담은 전통소시지를 생산하여 광동지역에서 높은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째, 당사는 육가공 기업 최초로 전통소시지 맛을 내는 간편제품(간편소시지)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는 젊은 소비자층의 수요를 증가시켰을 뿐 아니라 중국 각 지역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5가지 맛을 출시함에 따라 판매망을 확장 시켰습니다. 또한, 2017년 현재 차의 향을 내는 납육(중국식 절인고기)의 제조방법의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향후, 간편 납육식품 및 웰빙소시지 개발 등 지속적으로 기술 및 제품개발을 통하여 시장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셋째, 당사는 제품의 품질향상과 생산설비의 기계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17년 3월 16일 식품안전 인증 ISO22000 취득, 2017년 3월 17일 식품 수출의 필수인증 HACCP을 취득하여 안전한 제품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회전건조 설비의 실용신안 특허를 취득하였으며 열 건조실 등 기계화된 생산설비를 구비하여 생산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넷째, 4대째 체계적으로 구축한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총 72개의 대리상과 중국 최대 온라인 유통사인 텐마오몰과 징동으로 유통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형마트 진출을 통한 판매망 확대로 당사의 브랜드 인지도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또한, 직영점 형태의 영업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구분

당인신그룹주식회사

광주황상황그룹주식회사

광주주가집단이구복

식품유한공사

제품

주요제품

서양식소시지, 전통소시지, 납육

전통소시지, 납육, 월병,
과자류

딤섬, 전통소시지, 납육,

과자류

주요원료

돼지고기, 소고기 등 

돼지고기, 가금류 등

돼지고기, 가금류 등

브랜드

당인신

황상황, 전통소시지선생, 공왕기

추지풍

판매

판매루트

대리상, 직영점, 온라인

대리상, 직영점, 온라인

대리상, 직영점, 온라인

주요 

매출처

보보고상업체인주식회사

가윤도슈퍼주식회사

광홍식품그룹주식회사

월마트(중국)

생산

생산방식

자체생산

OEM, 자체생산

OEM, 자체생산

기술

R&D

적외선건조기술

태양광 건조 및 시스템통제

생산기술

독일 한트만에서 들여온 

선진화된 충진설비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 중국 육가공 시장 및 규모 

중국 육가공 시장은 가금류와 돼지고기 가공 위주로 약 3,000년이 넘는 긴 역사를 자랑하지만 과거 1) 낮은 소득, 2) 발달되지 않은 유통 기술, 3) 농촌문화로 인하여 서양 육가공 시장에 비하여 그 규모가 크게 발전되어 오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1) 소득의 증가, 2) 발달된 유통 기술, 3) 서구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중국인들의 육류 섭취가 늘었으며 이에 따라 중국 육가공 시장의 규모도 같이 커지고 있습니다. 1995년 중국인의 인당 년간 평균 육류 섭취량은 약 30kg정도였으며 2011년에는 약 46kg, 2015년에는 약 50kg이나 섭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11년 57.7조원 이었던 중국 육가공 시장도 연평균5.64%의 성장으로 2015년 71.8조원의 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 중국 육가공 시장 전망 

중국 육가공 시장은 1) 소득의 증가 2) 서양화 및 도시화 3) 인구의 증가를 이유로 더욱 커질것으로 예상됩니다. 2016년기준 약 79.4조원으로 예상되는 중국의 육가공 시장은 연평균 5.75%로 성장하여 2020년 99.3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RMB)
구분 2022년 3분기 2021년 3분기 2021년 2020년
매출 비중 매출 비중 매출 비중 매출 비중
전통식품 433,141,325 66.96% 455,768,353 71.27% 616,058,036 71.24% 551,678,668 72.26%
간편식품 181,607,570 28.08% 164,556,071 25.73% 222,186,266 25.69% 209,292,919 27.42%
냉동식품 32,089,625 4.96% 19,130,899 2.99% 26,560,095 3.07% 2,448,360 0.32%
합계 646,838,520 100.00% 639,455,324 100.00% 864,804,396 100.00% 763,419,946 100.00%

주) 전통식품에 중국식 살라미, 중국식 베이컨, 기타제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중국 육제품 시장 점유율 추이】
(단위: 억 RMB)

2014년

2015년

2016년

기업명

매출

점유율

기업명

매출

점유율

기업명

매출

점유율

쌍회발전

251.2

5.95%

쌍회발전

226.0

5.15%

쌍회발전

226.0

4.93%

금라집단

56.4

1.33%

금라집단

61.4

1.40%

금라집단

63.2

1.38%

새희망육합

43.2

1.02%

새희망육합

31.7

0.72%

새희망육합

36.5

0.80%

중품식업

24.5

0.58%

중품식업

28.2

0.64%

중품식업

28.7

0.63%

절미식품

22.4

0.53%

절미식품

25.2

0.57%

절미식품

27.2

0.59%

우윤식품

22.1

0.52%

주흑압

22.1

0.50%

주흑압

25.7

0.56%

상해매림

18.7

0.44%

상해매림

20.8

0.47%

상해매림

19.5

0.43%

주흑압

16.6

0.39%

우윤식품

20.5

0.47%

우윤식품

18.1

0.39%

호멜푸드(중국)

8.7

0.21%

호멜푸드(중국)

10.7

0.24%

호멜푸드(중국)

12.4

0.27%

광주주가집단
이구복식품유한공사

4.6

0.11%

광주주가집단
이구복식품유한공사

5.4

0.12%

온씨주식회사

7.8

0.17%

광주황상황

그룹주식회사

4.5

0.11%

온씨주식회사

5.2

0.12%

광주주가집단
이구복식품유한공사

6.4

0.14%

당인신그룹주식회사

3.8

0.09%

광주황상황

그룹주식회사

5.1

0.12%

광주황상황

그룹주식회사

6.0

0.13%

득이사

3.7

0.09%

당인신그룹주식회사

4.4

0.10%

당인신그룹주식회사

5.4

0.12%

윙입푸드

2.3

0.05%

윙입푸드

3.2

0.07%

윙입푸드

4.4

0.09%

기타

3,742.3

88.57%

기타

3,920.2

89.30%

기타

4,095.7

89.37%

합계

4,225.0

100.00%

합계

4,390.0

100.00%

합계

4,583.0

100.00%

자료: 중연보화, 윙입푸드
주) 상기 매출은 육가공제품의 매출액에 대하여 작성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중국 육가공 시장은 가금류와 돼지고기 가공 위주로 약 3,000년이 넘는 긴 역사를 자랑하지만 과거 1)낮은 소득, 2) 발달되지 않은 유통 기술, 3)농촌문화로 인하여 서양 육가공 시장에 비하여 그 규모가 크게 발전되어 오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1)소득의 증가, 2) 발달된 유통 기술, 3) 서구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중국인들의 육류 섭취가 늘었으며 이에 따라 중국 육가공 시장의 규모도 같이 커지고 있습니다. 1995년 중국인의 인당 년간 평균 육류 섭취량은 약 30kg정도였으며 2011년에는 약 46kg, 2015년에는 약 50kg이나 섭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11년 57.7조원 이었던 중국 육가공 시장도 연평균5.64%의 성장으로 2015년 71.8조원의 시장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중국 인당 육류 소비량】
(단위: kg)


중국 인당 육류소비량

출처: OECD

【중국 육가공 시장 규모】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억 RMB

3,525

3,283

3,954

4,225

4,390

조원

57.7 53.7 64.7 69.1 71.8

출처: 중연보화

중국 육가공 시장 성장의 첫 번째 이유는 중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입니다. 중국 인당 GDP는 2011년 약 5,583달러에서 2015년 약 8,141달러로 연 평균 9.2% 로 성장 추세이며, 이러한 소득의 증가는 삶의 질의 향상으로 이어져 식품소비의 증가를 불러 일으켰습니다. 중국 식품시장이 발달하고 중국인들의 육류 섭취량이 늘어남에 따라 중국 육가공 시장도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중국 인당 GDP】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USD

5,583

6,329

7,081

7,719

8,141

KRW(천원)

6,747.0

7,649.1

8,557.3

9,327.9

9,838.4

성장율

23.4%

13.4%

11.9%

9.0%

5.5%

출처: IMF

둘째, 과거 중국의 전통소시지등의 육가공 제품은 특정 지역과 특정 계절에만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육가공 제품은 절인 상태로 건조되어야 하는데 전통적인 건조공정은 밀봉 및 습도의 문제로 가을에만 생산이 가능하였고 저장 및 운송기술 문제로 인하여 공급할 수 있는 지역도 한정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여름철 고온의 광동성 지역에서는 "겨울바람이 불면 납육(절인고기)식품을 먹을 수 있다" 라는 말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유통기술의 발달로 과거 한정적 지역과 계절에만 먹을 수 있었던 육가공 제품이 다계절ㆍ다지역 식품으로 발달하였습니다.

【2015년 중국 지역별 인구 분포 및 육가공 제품 소비 현황】
(단위: RMB)

지방

도시

성시합계
(개)

소비

인구

인당

소비금액

금액
(억)

비율

인구수
(억)

비율

화남

광둥, 광시, 하이난, 홍콩

5

614.6

14.0%

1.6

11.9%

384.1

서남

쓰촨, 구이저우, 윈난, 시짱

5

702.4

16.0%

2.0

14.8%

351.2

화북

베이징, 텐진, 허베이, 산시

4

491.7

11.2%

1.4

10.4%

351.2

화동

산둥, 장쑤, 안후이, 상하이

7

1404.8

32.0%

4.2

30.4%

334.5

동북

헤이룽장, 길림, 랴오닝

3

373.2

8.5%

1.1

8.1%

339.3

화중

허난, 후베이, 후난

3

561.9

12.8%

2.2

16.3%

255.4

서북

산시, 신장, 간수, 칭하이

6

241.5

5.5%

1.1

8.1%

219.5

전국

33

4390.0

100.0%

13.8

100.0%

290.9

자료: 중국 국가통계국, 중연보화

셋째, 서구화로 인하여 육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었고 도시화로 인하여 사람들이 조리시간이 긴 생고기 류보다 상대적으로 조리시간이 덜 걸리거나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육가공 제품을 찾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경우에도 과거 점차 도시화 됨에 따라 육류 섭취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1995년 한국의 도시화율이 78.2% 였을 때 한국인의 연간 평균 육류섭취량은 약 30kg에 불과하였으나, 2015년 한국의 도시화율은 82.5%에 달하였고 평균 육류섭취량은 무려 52.4kg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에서도 일어나고 있으며, 중국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51.3%에 불과하였던 중국의 도시화 율은 2015년 56.1%로써 중국도 점차 도시화 되어 가고 있습니다.

【한국 도시화에 따른 육류섭취량 변화】
(단위: kg(좌), %(우))

한국 도시화에 따른 육류섭취량 변화

출처: OECD, 중국 국가통계국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 주력 제품인 전통소시지 및 납육은 그 맛과 특색으로 인하여 화남, 화동지역에 집중 되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지역적 집중도를 분산시키기 위해 제품의 다변화를 모색하였고 2016년 3월 간편식품(간편소시지)의 개발/판매를 시작으로 중국 전지역으로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아가 유통경로의 다변화도 실시 및 모색 중에 있습니다. 과거 당사는 특정채널에 매출이 편중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대형마트 및 온라인 등 다양한 경로로 유통 채널을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향후 간편식품에 대한 여러 제품라인을 연구개발 및 생산 할 계획이며, 웰빙소시지 및 채식주의자를 위한 제품 개발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2018년 11월 상장 후 사업다각화를 위하여 여러 분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첫째, 2019년 12월 30일 코스닥 상장사인 푸드나무와 JVC 설립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푸드나무의 닭고기 건강 식품을 윙입푸드의 공장에서 생산해 JVC의 자회사를 통해 윙입푸드의 유통망을 이용할 예정입니다.
둘째, 2020년 8월 자회사 광동영업식품유한공사의 출자로 500만위안 자본금의 하이난영업식품유한공사를 설립하였습니다. 원재료 가공을 목적으로 설립한 손자회사는 향후 윙입푸드의 원가경쟁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상기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해당 재무제표는 연결 내부 결산자료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8 기 2022. 12. 31 현재
제 7 기 2021. 12. 31 현재
(단위 : RMB)
과 목 제 8 기 제 7 기
자산

비유동자산 554,318,906  453,688,709 
 유형자산 544,516,005  440,438,995 
 사용권자산 8,070,118  11,382,458 
 무형자산 368,688  472,440 
 보증금 1,364,095  1,394,816 
유동자산 585,780,954 599,707,363 
 보증금 963,000  963,000 
 재고자산 53,307,402  37,696,273 
 매출채권 34,717,670  45,712,772 
 기타유동자산 31,965,098  26,146,578 
 현금및현금성자산 464,827,784  489,188,740 
자산총계 1,140,099,860  1,053,396,072 
자본  
지배기업주주지분  
 자본금 257,462,501  257,462,501 
 이익잉여금 667,587,930  583,698,094 
지배기업주주지분 계 925,050,431  841,160,595 
비지배지분 -
자본총계 925,050,431  841,160,595 
비유동부채 99,193,623 26,331,737 
 장기차입금 86,051,938  12,486,897 
 이연수익 618,580  710,725 
 리스부채 1,955,252  2,613,166 
 이연법인세부채 10,567,853  10,520,949 
유동부채 115,855,806 185,903,740 
 매입채무 49,075,207  83,841,004 
 미지급금 14,857,982  12,749,040 
 미지급비용 10,721,895  12,420,960 
 환불부채 6,740,320  5,681,906 
 리스부채 1,425,166  4,127,227 
 기타유동부채 18,327  735,595 
 단기차입금 27,000,000  65,25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4,200,000  500,000 
 당기법인세부채 1,816,909  598,008 
 전환사채
부채총계 215,049,429  212,235,477 
자본과 부채총계 1,140,099,860  1,053,396,072 

주) 상기 제8기 데이터는 당사의 내부결산자료이므로 감사보고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결과는 감사보고서를 기준으로 합니다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8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제 7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단위 : RMB)
과 목 제 8 기 제 7 기
매출 880,081,908  864,804,396 
매출원가   581,680,689  546,259,064 
매출총이익 298,401,219  318,545,332 
판매비 132,512,419  129,128,610 
일반관리비 52,837,892  65,164,127 
영업이익 113,050,908  124,252,595 
기타수익 797,555  4,700,628 
기타비용 11,437,682  1,238,235 
금융수익 1,645,705  1,515,612 
금융비용 5,145,260  1,159,63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98,911,226  128,070,970 
법인세비용 15,021,390  21,025,091 
당기순이익 83,889,836  107,045,879 
기타포괄이익(손실)
총포괄이익(손실) 83,889,836  107,045,879 

주) 상기 제8기 데이터는 당사의 내부결산자료이므로 감사보고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결과는 감사보고서를 기준으로 합니다.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8 기 (2022.01.01 부터 2022.12.31까지)
제 7 기 (2021.01.01 부터 2021.12.31까지)
(단위 : RMB)
과 목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 자본항목 이익잉여금 총계
2021년 1월 1일(보고금액) 257,462,501  479,493,951  736,956,452 
 당기순이익 107,045,879  107,045,879 
 연차배당 (2,841,736)  (2,841,736) 
2021년 12월 31일(보고금액) 257,462,501  583,698,094  841,160,595 
2022년 1월 1일(보고금액) 257,462,501  583,698,094  841,160,595 
 당기순이익 83,889,836  83,889,836 
 연차배당
2022년 12월 31일(보고금액) 257,462,501  667,587,930  925,050,431 

주) 상기 제8기 데이터는 당사의 내부결산자료이므로 감사보고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결과는 감사보고서를 기준으로 합니다.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8 기 (2022.01.01 부터 2022.12.31까지)
제 7 기 (2021.01.01 부터 2021.12.31까지)
(단위 : RMB)
과 목 제 8 기 제 7 기
1.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98,911,226  128,070,970 
(2) 비현금항목조정 39,919,256  17,999,772 
 가.감가상각비 26,239,753  23,349,498 
 다.무형자산상각비 103,753  38,631 
 라.이자비용 4,319,829  681,861 
 마.유형자산처분손실 11,226,948  90,647 
 자.외화환산손실 471,206  51,898
 바.유형자산폐기손실 -
 바.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평가손실 -
 바.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평가이익 -
 바.이자수익 (1,644,678) (1,487,858)
 사.유형자산처분이익 (24,277)
 아.외화환산이익 -
 차.자산수증이익 -
 차.정부보조금수익 (797,555) (4,700,628)
(3) 운전자본변동전 영업현금흐름 138,830,482  146,070,742 
(4) 운전자본의 조정 (44,666,585) 26,993,613 
 가.매출채권의 감소(증가) 10,995,102  11,703,712 
 나.재고자산의 감소(증가) (15,611,129) (3,337,043)
 다.미수금의 감소(증가) (10,904,245) 6,108,975 
 라.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5,085,725  (13,543,041)
 마.장기선급비용의 감소(증가) -
 바.매입채무의 증가(감소) (34,765,796) 19,911,552 
 사.미지급금의 증가(감소) 2,108,942  (627,558)
 아.미지급비용의 증가(감소) (1,916,330) 6,883,750 
 자.환불부채의 증가(감소) 1,058,414  (817,869)
 자.기타부채의 증가(감소) (717,268) 711,135 
 자.기타비유동부채의 증가(감소) -
(5)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94,163,897  173,064,355 
(6) 법인세의 지급 (13,755,586) (25,145,434)
(7) 이자의 수취 1,644,678  1,487,858 
(8) 이자의 지급 (4,102,564) (545,443)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액 77,950,425  148,861,336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 유형자산의 취득 (112,213,075) (2,536,992)
(2) 건설중인자산의 증가 (26,018,295) (168,942,240)
(3) 무형자산의 취득 (371,168)
(3) 단기대여금의 증가 -
(4) 장기대여금의 증가 -
(5) 유형자산의 처분 -
(6) 단기대여금의 감소 -
(7) 장기대여금의 감소 -
(8) 보증금의 증가 (14,554) (67,000)
(9) 보증금의 감소 28,894  955,000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액 (138,217,030) (170,962,400)
3.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 단기차입금의 차입 66,250,000  75,250,000 
(2) 장기차입금의 차입 80,000,000  16,636,106 
(3) 유상증자 -
(4) 전환사채의 발행 -
(5) 정부보조금의 수령 705,410  4,577,768 
(5) 단기차입금의 상환 (104,500,000) (55,000,000)
(6)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3,189,783) (14,071,350)
(7) 리스부채의 상환 (3,359,978) (4,118,861)
(7) 배당금의 지급 (2,841,736)
(8) 전환사채의 상환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액 35,905,649  20,431,927 
4.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886)
5. 현금및현금성자산 순증감액 (24,360,956) (1,670,023)
6.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489,188,740  490,858,763 
7.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464,827,784  489,188,740 

주) 상기 제8기 데이터는 당사의 내부결산자료이므로 감사보고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최종결과는 감사보고서를 기준으로 합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왕정풍 1982년 06월 - - 본인 이사회
김호진 1986년 1월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왕정풍 윙입푸드 홀딩스
사내이사
2007.04-2007.12
2008.04-2013.11
2013.12-2014.11
2014.11-현재
2016.12-현재
홍콩역무통집단 고객서비스부 주임
불산시존위조명전기유한공사 국제부 판매경리 및 판매 부총경리
광동영업식품유한공사 인사행정부 경리
광동영업식품유한공사 이사/기업사업발전부 총괄
윙입푸드홀딩스(윙입푸드)이사
-
김호진 유진투자증권
부장
2009.10-2010.07
2010.08
2018.10
메리츠종금증권 근무
유진투자증권 부장
윙입푸드홀딩스 기타비상무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왕정풍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김호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제3항 및 제542조의8제2항에 따른 사외이사 부적격 사유에 해당하는 사실이 없으며, 전문성 및 독립적인 직무를 수행할 계획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들의 폭넓은 경험과 노하우,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경영인으로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


확인서

사내이사 확인서

사외이사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량리산 1975년 11월 - 이사회
총 (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량리산 윙입푸드홀딩스
감사 후보자
1999.02-2006.12
2007.02-2010.12
2011.01-2014.11
2015.01-2019.12
2020.04-현재
중산시 강산경공유한공사 회계보조
중산시 해방조명전기유한공사 주관회계
중산시 일가일상업체인유한공사 회계담당
광동장정전기그룹주식유한공사 재무총괄
윙입푸드홀딩스 감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량리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재무회계, 세무회계 분야의 전문가로서, 실무적으로 풍부한 현장 경험을 보유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상근 감사로써 독립적이고 공정한 역할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확인서

감사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만RMB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85.2만RMB
최고한도액 1,000만RMB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만RMB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9.44만RMB.
최고한도액 100만RMB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제6호 의안: 감사 후 재무제표 등 미통지 승인의 건


가. 의안 제목

감사후 재무제표 등 미통지 승인의 건


나. 의안의 요지

- 회사가 정기주주총회 21일전에 감사 받은 재무제표를 주주에게 제출하지 못하는 것을 승인하는 것으로, 이번 정기주주총회 소집통지발송 시 감사인의 감사 받은 재무제표를 제출하지 못한 것에 대해서 홍콩법률에 따라 사후 승인을 받기 위한 것입니다.
다.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제7호 의안: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가. 의안 제목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나. 의안의 요지

- 본 회사는 RMS코리아(Shinhan Accounting Corporation,A member firm of RSM international)를 본 회사의 한국법정감사인으로 위임합니다.
- 본 회사는 MCI CPA LIMITED를 본 회사의 홍콩법정감사인으로 위임합니다.

다.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4월 12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전(2023년 4월 12일)까지 회사 홈페이지(http://www.wingyip-food.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이 있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관련 주총 참석 안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당일 발열 또는 기침 증상이 있으실 경우 주주총회장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실 경우 출입을 제한할 예정이오니 주주총회장 입장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29001441

윙입푸드 (90034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