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T (9002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9-27 16:42: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27000809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9월     27일

회   사   명 : 그레이트리치과기유한공사
대 표 이 사 : 주영남(ZHOU YONGNAN)
본 점 소 재 지 : Room 01, 21/F, Prosper Commercial Building, 9 Yin Chong Street,
Kowloon, Hong Kong

(전   화) 852-36458129

(홈페이지) http://grt-tongli.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CFO (성  명) 우세흘

(전  화) 0510-30633311
(공시대리인 연락처) 02-782-0562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1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38조에 의하여 제 1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우리회사 정관 제 39조 (8)항에 의거하여 전자적 방법으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10월 25일 (수) 오전 10시
2. 장 소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소교육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안건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제11기(2022.07.01~2023.06.30)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일반결의)
제2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_보수한도 250만RMB (일반결의)

제3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_보수한도 10만RMB (일반결의)
제4호 의안: 홍콩법정감사인 선임의 건_홍원회계사무소유한공사<GLOBAL VISION CPA LIMITED> (일반결의)
제5호 의안: 제12기(2023.07.01~2024.06.30) 외부감사인 선임에 관한 결정 권한 이사회에 위임하는 건 (일반결의)
제6호 의안: 자회사 증자권한의 이사회 부여의 건(특별결의)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제5항 단서규정에 의거하여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법인 주주의 경우 대표자가 직접 참석하는 경우 법인등기부 등본 및 대표자 신분증 지참, 대리인이 참석하는 경우 대표자의 위임장을 지참(법인인감 증명 및 신분증)

6. 기타사항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년  09월  27일
                            그레이트리치과기유한공사
                         대표이사     주영남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황신혜
(출석율: 100%)
리신다
(출석율: 100%)
오충혁
(출석율: 100%)
허개력
(출석율: 90%)
박지웅
(출석율: 88%)
찬 반 여 부
7기
1차
2018.08.23

① 제6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보고사항

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②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2차 2018.09.28 ① 제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② 제6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결정의 건
- 제1호: 제6기(2017.07.01~2018.06.30) 재무제표 승인
- 제2호: 이사 재선임의 건
- 제3호: 사외이사 재선임의 건
- 제4호: 감사 선임의 건
- 제5호: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6호: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7호: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 제8호: 홍콩법정감사인 재선임의 건
- 제9호: 회사정관 변경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차 2018.10.31 ① 자회사 설립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4차 2018.11.19 ① 제7기 1분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5차 2019.02.20 ① 제7기 반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6차 2019.05.16 ① 제7기 3분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7차 2019.06.14 ① 제7기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8기
1차
2019.07.01 ① 자회사 타법인 주식 취득 결정의 건
② 제8기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 제1호: 자회사 타법인 주식 취득 승인의 건
③ 제8기 임시주주총회 개최를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반대
-

-
2차 2019.09.09

① 제7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보고사항

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②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의 건

- - 찬성



찬성



-



3차 2019.10.01 ① 제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② 제7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결정의 건
- 제1호: 제7기(2018.07.01~2019.06.30) 재무제표 승인
- 제2호: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3호: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 제5호: 홍콩법정감사인 선임의 건
- 제6호: 제9기 외부감사인 선임에 관한 권한 위임의 건
- - 찬성
찬성






불참
불참






-
-






9기
1차
2020.10.05 ① 제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② 제8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결정의 건
- 제1호: 제8기(2019.07.01~2020.06.30) 재무제표 승인
- 제2호: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3호: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홍콩법정감사인 선임의 건
- 제5호: 제10기(2021.07.01~2022.06.30) 외부감사인
선임에 관한 권한 위임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2차 2021.06.03 ①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의 건 - - 찬성 찬성
10기
1차
2021.10.01 ① 제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② 제9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결정의 건
- 제1호: 제9기(2020.07.01~2021.06.30) 재무제표 승인
- 제2호: 이사 선임의 건
- 제3호: 감사 선임의 건
- 제4호: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5호: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2차 2021.11.16 ①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의 건 찬성 찬성 - - -
11기
1차
2022.09.20 ①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② 제10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결정의 건
- 제1호: 제10기(2021.07.01~2022.06.30) 재무제표 승인
- 제2호: 정관 변경의 건
- 제3호: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5호: 홍콩법정감사인 선임의 건
- 제6호: 제11기(2022.07.01~2023.06.30) 외부감사인 선임에 관한 결정 권한 이사회에 위임하는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







12기
1차
2023.07.24 ① 2023 사업연도 내부결산용 재무제표 승인의 건 불참 불참 - - -
12기
2차
2023.08.16 ① 자회사 설립의 건 찬성 찬성 - - -
12기
3차
2023.09.27 ①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정의 건
② 제11기 정기주주총회 회의 목적사항 결정의 건
- 제1호: 제11기(2022.07.01~2023.06.30) 재무제표 승인
- 제2호: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3호: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홍콩법정감사인 선임의 건
- 제5호: 제12기(2023.07.01~2024.06.30) 외부감사인 선임에 관한 결정 권한 이사회에 위임하는 건
찬성 찬성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CNY)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2,500,000 - - -

주)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만을 위한 주총승인금액이 아니며, 당사 전체 이사에 대한 주총승인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영위하고 있는 사업
당사의 주요 사업영역으로는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및 고분자 박막자재 개발, 생산, 판매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란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코팅 소재와 서로 다른 종류의 기자재로 정밀 코팅 복합을 진행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접착, 보호, 항균, 방폭, 방사선 방호 등 각종 기능성을 갖춘 신소재의 통칭입니다. 이에는 전기, 자성, 빛, 열 등 본연특유의 기능성 광학 필름(휘도 강화 필름, 확산판, 편광판 등)을 포함되지 않습니다. 본 항에서 연구하는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크게 정밀 코팅 접착 소재 및 정밀 코팅 보호 소재, 기능성 코팅 소재, 고분자 박막 소재 4가지가 포함됩니다.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기능성(항균, 방폭, 방사선 방호 등)을 갖추고 있고 접착 및 표면 보호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제품 각 항목의 요구와 사용 편의성 등 방면의요구를 보다 잘 만족시켜줍니다. 또한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탁월한 사용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자제품, 자동차, 건축 에너지 절약 등의 분야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 소재입니다.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통상적으로 비교적 높은 기술적 함량, 비교적 효율적인 경제 효율, 비교적 강력한 시장 경쟁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전자제품, 반도체, 자동차, 건축 에너지 절약, IoT 등 각종 영역에서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웨어러블 기기 등 새로운 스마트 단말기, 로봇, 무인 자동차, 항공우주, 스마트 가구, 스마트 시티 등의 영역까지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고분자 박막 소재란 폴리머 또는 고분자 복합 소개로 만들어진 일정한 기능성을 지닌박막 소재로, 해당 타입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높은 차단성, 제습성, 정전기 방지, 김 서림 방지, 열 수축, 개봉 용이성 등의 기능 및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포장 및 보호 분야에 사용됩니다.

(2) 시장의 특성

당사의 목표시장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품 및 고분자 박막 소재로서, 향후 발전 전략으로는 현재 제품보다 더욱 향상된 제품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제품은 단순한 식품 및 의약 포장 소재 등 생활소비재 전자산업부터 전자제품, IT 기기 등 IT 영역에까지 생활 전역에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원화된 신형 코팅 소재의 등장으로 IoT 시대의 스마트 라이프라는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그 시장의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목표 시장은 크게 생활소비재와 전자제품 및 IT 영역의 전자재료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고분자 박막 소재 및 정밀코팅접착소재는 식품 및 의약, 기타 소비품 등의 연포장 재료의 주요 소재로서, 소비자의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전방산업 내에서 중요한 섹터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식품 포장의 경우, 제품의 품질 보존율 등을 높여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성 이외에 외형적 투명도 등 소비 구매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디자인적 기능도 구현될 수 있어야 하는 바, 이미 단순 포장 기능 이상의 기술적 기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경제의 성장 기조가 둔화되어 저성장에 머물 것으로 예측되고 있고, 최근 10년간 고도 성장을 이어오던 중국의 경우에도 6% 대로 그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으나, 소비 문화의 구조에있어서는 소비 수준 및 의식,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생활소비재 시장에 있어서도 양적인 성장 외에 구조변화에 따른 질적인 성장으로의 턴이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더욱이 중국은 식품 및 의약 등 생활소비재 산업이 그동안 단순한 양적성장 패턴에서 벗어나 소득수준 및 경제 규모에 걸맞는 고급화와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바, 완제품으로서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포장물과 포장재의 수직적 산업발전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어 기능성 소재에 대한 수요 시장 성장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기능성 코팅 및 필름 시장
                          <세계 기능성 코팅 및 필름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달러)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CAGR(%)
물리화학적 코팅 8,685 9,465 10,260 11,122 12,056 13,069 14,167 8.4%
광, 전자 및 열적 코팅 2,805 3,425 4,011 4,697 5,500 6,441 7,542 17.1%
전도성필름 51,945 55,010 58,256 61,693 65,333 69,188 73,270 5.9%
이형필름 1,466 1,612 1,773 1,950 2,145 2,360 2,596 10.0%
윈도우필름 690 918 1,239 1,673 2,259 3,050 4,118 35.0%

자료 출처: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2018-2020_화학 및 섬유소재 (중소벤처기업부 발간)


당사의 주력 제품인 정밀기능성신소재의 경우, 새로운 기술과 소재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어 세계 경기 변동과는 다르게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단순 기술력을 요하는 제품군이 아니라, High-end 급의 전자 산업과 연관성이 있고, 스마트 제품 등 소비 구조 변화에 따른 시장 수요 변화와 연관된 특성상 단순한 경기 양적 변동보다는 시장 구조의 재편과 연관성이 높은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에도 이러한 시장 특성이 반영되어 경기 변동과의 단순한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타 저가제품군 대비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세계  기능성 코팅 및 필름 시장은 일본, 미국과 유럽의 다국적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지만 고도의 기술을 보유한 한국, 대만, 중국 등이 뒤쫓아가능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전체 경제 구조가 전환기에 접어듬에 따라 향후 신기술분야 및 전략적 신규 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한 투자 및 장려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전방산업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반도체, FPCB, 무인 자동차, 로봇, 항공우주, IoT, 스마트 가전제품, 스마트 시티 등 분야가 미래 중점 육성 산업이 되어 높은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정밀 코팅 접착 소재, 정밀 코팅 보호 소재, 기능성 코팅 소재, 고분자 박막 소재 등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향후 전략적 신규 산업 및 첨단 기술 산업의 발전에 힘입어 동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4) 시장 경쟁 현황

기능성 코팅 소재, 정밀 코팅 접착 소재와 정밀 코팅 보호 소재를 대표로 하는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분야는 기술 집약형 및 규모의 경제를 시현하기 위한 자금 집약형의 특성을가지고 있어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높은 산업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업계에 새로 진출하는 기업은 비교적 강력한 자금력과 관리 및 기술 능력을 구비해야 하며, 또한 비교적 긴 시간을 할애하여 대형 고객의 구매 인증을 통한 순조로운 구매 및 판매망을 구축해야 합니다. 동 시장의 진입장벽을 각 요소별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내         용

기술력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의 생산은 비교적 높은 기술 수준을 요구하며, 제품의 성능과 정밀에 대한 요건이 비교적 높습니다. 각 제품 응용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의 연구개발 생산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기술 요건이 있으며, 접착 소재의 화학성능, 물리성능, 사용환경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제품을 주문 제작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생산 속도를 가속화하고 생산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업계 내의 기업은 매우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신설비를 연구제작하고 신공정을 모색하며 표준을 제정하여 신속하고 우수한 품질의 생산능력에 도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주로 각 회사가 장악한 핵심기술의 수량과 질에서 구현됩니다.

Down stream 기업의 설비, 기술, 생산 방식과 필요한 제품 종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박막 제품의 품질과 적용성에 대한 요건이 비교적 높습니다.충분한 자금을 투입하여야 다운스트림 수요에 적합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품질과 적용성의 제고는 장기적인 기술 축적과 반복적인 실기를 필요로 합니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기술 축적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생산기업의 생존과 발전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신형 복합 소재 업계에 속합니다. 다운스트림 신흥 산업의 기술 변화가 급변하고 발전이 신속하기 때문에, 매우 강력한 기술 연구개발 실력을 갖추어야만 Down stream 산업의 발전을 따라가 Down stream 고객의 제품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조는 새로 진출한 기업에 대해 기술 요구가 비교적 높습니다. 

업계 기술의 선진화와 특징은 주로 유연한 연구개발 모델, 생산설비의 주문제작과 선진화, 그리고 생산공정의 신뢰성과 선진화에서 구현됩니다. 기술 도입 문제가 존재하고, 업계 기술 장벽이 높아서 기술 도입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또한 새로 진출한 기업은 설비 주문제작에서 정상적인 운영까지 통상적으로 약 3년의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자금 외에도 공정기술 문턱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물자 등 측면에서 진출 기업은 고객 요구에 따라 각 제품의 주문 제작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런 과정에서 다량의 기초소재를 응용하게 됩니다. 단순한 구매에 의존한다면 성능과 품질이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원가가 비교적 높습니다. 그래서 물자 생산 공급업체도 비교적 높은 장벽을 형성하였습니다.

자금 능력

정밀 코팅 접착 소재와 정밀 코팅 보호 소재 업계의 경우 기업의 초기 비용 투입은 주로 생산설비 구매와 생산라인 건설에서 발생합니다. 현재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계 제품 생산은 대형 수입 설비, 고정밀 생산 및 코팅 설비를 많이 채용하고 있으며, 제어시스템 자동화 수준과 기술 수준이 높습니다. 모든 프로젝트는 거액을 투자합니다. 1세트 설비는 천만 위안, 특히 CPP기초소재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분야는 초기에 억 위안을 투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밀 코팅 접착 소재와 정밀 코팅 보호 소재의 클린 요건이 매우 엄격합니다. 공장 환경 건설에 대한 요건이매우 높으며, 고등급의 클린 생산 환경을 필요로 합니다. 동시에 원자재 원가가 비교적 높으며, 테스트 자체가 적지 않은 원가입니다. 또한 관련 제품 연구개발과 생산투입에 있어 원가가 비교적 높고 업계 자금 장벽이 높습니다. 

체계적인 관리
운영 능력

최종 제품의 변화 속도가 가속화되고 업계 내 생산관리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다운스트림 고객은 가능하면 최대한 재고를 낮추고 완벽한 생산을 진행할 것입니다. 그래서 다운스트림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체가 신속하고 대량의 납품 능력을 구비할 수 있도록 요구합니다. 이런 추세는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체로 하여금 매우 강력하고 신속한 대응 능력, 신속한 생산 능력과 업스트림 공급업체와의 협력 능력을 구비하도록 하였습니다. 고객의 주문서를 받기만 하면, 업체는 최단시간 내에 고객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샘플을 연구개발하여 제품을 양산해야 합니다.

제품의 우수성의 높고 낮음은 단위 제품의 원가와 역비례 관계를 이룹니다. 우수성이 높을수록 단위 제품의 원가는 낮습니다. 업계 내 회사가 생산관리수준이 충분하지 않아 우수성이 낮으면 그 생산한 제품은 시장에서가격경쟁력을 갖지 못합니다. 결론적으로,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계의 특징은 업체의 관리능력과 경험에 상당히 높은 요구를 제기하였으며, 이후에 진출하는 업체에 대해도 관리 능력 장벽을 구성하였습니다.

시장 내 인지도:
수요처 구매 인증 등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계의 거액 주문서는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와 전자제품 등 분야의 대형 외자 혹은 글로벌 기업에 집중됩니다. 최종고객은 매우 엄격한 원자재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런 우수한 고객의 공급업체 대열에 진입하려면 일반적으로 장기적이고 엄격한 인증 과정을 겪어야 합니다. 따라서, 업계 특성상 오랜 기간 시장 내에서 검증된 업체를 선택하고자하는 보수성이 존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일반적인 과정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체는 연합 개발, 샘플발송 등 방식을 통해 자신 혹은 슬리팅 업체의 브랜드 최종업체 소개와 추천을 통해 브랜드 최종업체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에 대한 인증을 진행합니다. 인증을 통과하기만 하면, 해당 소재의 특성 매개변수는 해당 원자재구매 시의 규범 요건으로 설정됩니다. 인증 과정에서 회사 제품의 품질, 가격, 납기에 대해 요건이 비교적 높은 것 외에도, 회사의 설비, 환경, 내부제어시스템, 재무상황 심지어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표준을 설정합니다. 그러므로 다운스트림의 우수한 대형 고객의 인증을 통과하여 합격하거나 우수한 공급업체가 되기만 하면, 일반적인 상황에서 이런 업·다운스트림 협력은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새로 진출한 업체의 경우, 우수한 대형 고객의 주문서를 확보하여 중·고급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려우며, 대형 고객 구매 인증 장벽이 존재합니다.


(5) 경쟁업체 현황

(가) 정밀 코팅 접착 소재 분야

중국내에서 정밀 코팅 접착 소재 업종은 3M, TESA, NITTO DENKO과 Soken Chemical 등 선도적인 기업과 더불어 중국 내 기업들이 경쟁을 하고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시장내 주요 경쟁 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명

기업 현황

기술 수준 등 주요 비교 사항

3M

3M사(정식명칭: Minnesota Minningand Manufacturing)는 1902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본사는 미국 미네소타주의 세인트폴시에 있으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제품이 다원화된 글로벌기업입니다. 3M사는 100여년 동안 6만여 고품질 제품을 개발하여 운송, 건축에서 비즈니스, 교육과 전자, 통신에 이르기까지 각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3M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품은 품목의 포토폴리오가 구비되어 있어 시장의 다양한 needs를 적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양면 테이프 소재, 표시 소재, 차폐 소재, 포장 소재, 보호 소재 등 소재 산업의 전분야를 포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M 중국유한회사는 1984년 11월 상하이에 설립되어 경제특구 밖에 설립된 중국 최초 외국인독자기업입니다. 3M사는 중국에 12개의 회사, 11개의 생산기지, 27개의 오피스, 4개의 기술센터와 1개의 연구센터를 설립하였습니다.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계에 있어서 업력 및 브랜드 파워, 인지도 등에 있어 높은 상대적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랜 업력에 걸맞게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비하고 있는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OCA광학 접착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앞서 있는 분야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TESA

TESA테이프회사는 공업, 소매상과 소비자에게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품과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 선두 제조업체 중 하나입니다. TESA는Beiersdorf회사의 전액출자 자회사입니다. 제품은 전 세계 10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1995년 중국 시장에 진출하여 1999년 독자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TESA의 중국 본사 TESA테이프(상하이)유한회사는 북경, 광저우, 심천 등지에 지사와 오피스를 설립하였다. 

코팅 소재의 기술 역량은 세계적으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부 테이프 분야는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TESA가 생산한 제품은 이미 전기공사와 전자, 자동차, 인쇄 및 제지와 제약, 태양에너지와 풍력에너지, 보안 응용 및 위조방지의 기타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NITTO DENKO

NITTO DENKO주식회사는 1918년 10월 25일 설립되었습니다. 본사는 일본 오사카 이바라키시에 위치한 글로벌기업입니다. 전 세계에 매우 많은 생산공장과 연구기관을 두었으며, 전 세계에 100개 이상의 지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NITTO DENKO은 고분자 합성기술, 접착기술과 코팅기술을 바탕으로각종 첨단기술을 응용하여 새로운 성능의 신소재를개발하여 고성능 박막 등 제품을 생산하였습니다. NITTO DENKO는 1985년 중국에 진출하였으며 1995년 처음으로 중국 상하이에 공장을 설립하였습니다. 2002년 설립한 NITTO DENKO(중국)투자유한회사는 그룹의 중국 지구 본사입니다. NITTO DENKO는 중국의 북경, 상하이 송강, 상하이 푸동신구, 하문, 홍콩, 심천과 대만에 지사를 설립하고 습니다. 

NITTO DENKO는 세계적으로 가장 앞선  생산설비와공정절차, 연구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NITTO DENKO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중 양면 테이프, OCA광학 테이프 분야의 기술은 매우 앞서 있습니다. NITTO DENKO의 제품 품질은 3M, Soken Chemical, Hitachi Chemical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


(나) 정밀 코팅 보호 소재 분야

중국의 광학 보호막 분야에 있어 주요한 생산기업은 당사를 포함하여 DAMEI, SIDIKE, BYE등이 있습니다.


이중에 당사 및 SIDIKE와 DAMEI는 각 세분 제품에서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웨이퍼 절단용 보호막, 항불화수소산 보호막 CPP광학 보호필름 분야에서 당사는 중국내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여 이미 시장 평균 수준을 선도하였으며 업계를 리더하고 있습니다. PET광학 보호필름에 있어 SIDIKE, DAMEI, BYE 등 기업의 점유율이 비교적 큽니다. 


OCA이형필름에 있어 국제시장은 SKC, 후지모리, 율촌화학과 DuPont Teijin 등 4개기업이 독점하고 있습니다. 이들 4개 기업의 점유율은 90%를 넘습니다. 현재 이 분야에서 당사는 기본적인 기술적 장벽은 극복한 상황이며, OCA이형필름 생산에 착구한 상태입니다. 이것은 중국의 국가 산업 측면에세도 수입 대체의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기업명

기업 현황

기술 수준 등 주요 비교 사항

소주SIDIKE
신소재

과학기술

주식유한회사

2006년 설립되었으며 주요 제품은 전자, 자동차, 건축 등 3대 영역을 커버하고 있습니다. 제품 규격은 천여 종에 이르러 자체적인 기술 우위를 통해 고객에게 고품질, 고성능의 정밀 코팅 소재 제품과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장쑤성 첨단기술기업에 속하며 정밀 코팅 보호 소재 측면 기술은 국내에서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광동DAMEI

신소재

유한회사

광동DAMEI신소재유한회사는 1983년에 설립된 국가급 첨단기술기업으로 표면 보호 시리즈 정밀 코팅 보호 소재를 전문 연구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제품은 자동차 보호 필름, 심 가공 보호 필름, 고급 전자 보호 필름, 건축류 보호 필름, 보호용지가 있습니다. 전자, 의료, 화공, 교통운송, 건축, 통신, 반도체 제조와 항공우주 관련 분야에 고품질 제품과 업계 선두의 기술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지금까지 24년 동안 표면 보호 시리즈 제품의 개발과 생산 경험을 보유하여, 회사는 표면 보호 제품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고급 엔지니어, 박사, 석사로 구성된 실험, 분석, 검측, 기술팀이 표면 보호 제품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고, 동시에 유명한 대학교와 함께 과학연구 프로젝트협력을 진행하였습니다. 자체적으로 연구개발을 성공한20여 건의 발명특허를 획득한 상태입니다.

소주 TAILUN

전자소재
유한회사

소주 TAILUN전자소재유한회사는 2008년에 설립된 정밀 코팅 보호 소재 전문 생산 기업입니다. 주요 제품은 PET 보호 필름, PP보호 필름, 정전기 방지 보호 필름, 자동 흡착 보호 필름, 실리콘 접착 보호 필름, 초저 접착 보호 필름, 저접착 보호 필름, 중고 접착 보호 필름 등이 있으며, 전자제품과 LCD액정디스플레이 보호, EPE보호, 따내기(Die cutting) 보호, 플라스틱 재질 보호, 금속 재질 보호 등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TAILUN 보호 필름 브랜드 제품은 주로 수입 원자재와 선진 설비를 채용하여 첨단기술 심 가공 제조를 통해 제작하며, 시리즈 공업과 광전 디스플레이 IT업용 보호 필름을 커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정밀 코팅 보호 소재 분야에서 다년간 제품연구개발 경험과 전문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의 선진적인 디지털화 코팅 전문 설비를 채용하고 있으며, 10세트의 세계 일류의 코팅 전자동 코팅 생산라인과 실험라인, 32,000평방미터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곤산Boyixincheng

고분자소재

유한회사

Boyixincheng고분자소재유한회사는 2001년 심천에 설립하였으며, 본사는 2007년 장쑤성 곤산시 고신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 생산, 판매를 통합한 곤산 Boyixincheng고분자소재유한회사, 곤산시 Boyixincheng 고분자소재유한회사를 설립하여 기능성 박막소재와 코팅기술의 연구 및 생산에 최선을 다하는 국가 횃불계획 중점 첨단기술기업입니다. 현재 제품은 소비류 전자 업계의 액정화면/터치스크린/인쇄회로 산업 분야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집약형 기능성 박막 소재와 고급 코팅형 박막 소재기술의 경우 국내 동종 업계에서 기술 혁신에서 앞서고 있습니다. 

발명 특허로는 클린 먼지접착롤러, 제조방법 및 정척 절단 롤링기, 무광택 클린 롤러제조방법, 먼지접착롤러 및 제조방법, 감압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과 해당감압접착제 응용 보호 필름, 평면디스플레이 제조공정용PET보호 필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공정용PET보호 필름 생산방법, 평판디스플레이 제조공정용PET보호필름의 감압접착제 및 생산방법, 핫멜팅 감압접착제와 보호필름과의 제조방법이 있습니다.

삼지플라스틱

제품(곤산)

유한회사 

삼지산업주식회사는 1989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삼지산업 주식회사는 현재 정밀 코팅 보호 소재를 생산하는 한국 최대 공장 중 하나입니다. 2002년 11월 중국에 중국 지사인 삼지플라스틱제품(곤산) 유한회사를 설립하여 PE, PET, CPP, EVA 등 보호 필름 등 제품을 전문 생산 가공하고 있습니다. 

삼지는 현대식 생산설비를 채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클린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삼지산업주식회사의 정밀 코팅 보호 소재 분야에서의 생산 경험에 의존하여, 현재 기술 수준은 국내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에 있습니다.


(다) 기능성 코팅 소재 분야

기능성 코팅 소재는 주로 3D필름, 안티 블루 필름, 에너지 절약 방폭 필름, 모방 소재필름 등 소재를 포함합니다. 현재 국내 기능성 코팅 소재 업계는 신흥 발전 세분 분야에서 출발하여, 발전 단계에 있어 본격적인 성장 단계에 접어 들고 있습니다. 또한 Down stream 응용 시장의 잠재 시장 규모가 방대하여 시장 발굴이 기대됩니다. 


현 발전 단계에 있어 업계 경쟁은 치열하지 않으며 시장 내 기업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합니다. 현재 시장 내에서 당사 외에 Kangdexin복합소재주식유한회사가 육안 3D필름, 에너지 절약 방폭 필름에 있어 연구개발과 생산을 시작한 단계입니다.


(라) 고분자 박막 분야

고분자 박막 업계 발전 단계에 있어 성숙기에 접어듬에 따라 업계 경쟁에 있어 규모의경제와 더불어 기술력이 중요한 경쟁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선두기업이 풍부한 자금,안정된 생산 및 혁신능력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위험대처능력과 규모경쟁 우위가 갈수록 뚜렷해지고있습니다.

기업명

기업 현황

기술 수준 등 주요 비교 사항

장수쌍성

컬러플라스틱

신소재주식

유한회사

장쑤쌍성컬러플라스틱신소재주식유한회사는 1997년에 설립된 과학 연구, 포장 소재 가공, 수출입 무역을 통합한 국가급 첨단기술기업입니다. 각종 포장 박막과 복합포장소재,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 등시리즈 제품을 주로 경영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4개의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현재 수입 도금 필름 설비 5개, 다양한 수입 폴리에스테르 박막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형 기능성 폴리에스테르 박막 20만톤, 알루미늄 도금 필름 1.5만톤을 연간 생산합니다. 또한 수축필름 1만톤을 연간 생산하며, 수축율은 50%를 넘습니다.  

회사는 국가급 첨단기술기업으로 포장 필름 분야 기술에 있어서는 중국내에서 선두권에 속해 있습니다.

절강대동남

포장주식

유한회사

절강대동남포장주식유한회사는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중국 절강대동남그룹에 속한 회사입니다. 모회사 대동남그룹은 1975년 설립되어 절강 대동남그룹유한회사가 주요 발기인으로 중국 포장 수출입 총회사 등 7개 발기인과 공동 발기하여 설립하였습니다. 회사는 주로 플라스틱 박막과 전기 도금 필름을 생산합니다. 

회사의 기술력에 있어서는 시장 내에서 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모회사 설립 이후 최근 40년 동안 박막 생산 업력을 통해 풍부한 생산 경험을 쌓았으며,산업체와 연구기관 협력의 개방식 기술 경영 플랫폼을 구축하여 연구개발 혁신 능력을 높힌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불산Dupont

Hongji박막

유한회사

불산DuPont Hongji박막유한회사는 DuPont Teijin박막중국유한회사와 불산 Fosu과학기술그룹주식 유한회사가 합자하여 설립되었으며, 현재 국내의 생산 판매 규모가 최대이고 세계 일류 기술 수준을 갖춘 양방향 인장 폴리에스테르 박막 생산기업 중 하나입니다. 녕파에 자회사 녕파 DuPont Teijin Hongji박막유한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회사는 국제 선진 수준인 7개의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가장 완벽한 차별화된 폴리에스테르 박막 산업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회사의 제품은 포장 필름, 공업 필름, 전자 소재, 영상 필름, 특종 필름, 자성 소재 등6가지로 분류되고, 포장, 공업, 전자, 전기 등 용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글로벌 기업의 현지법인으로서 조직 체계 및 시스템 등에 있어 선진화된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박막 분야 기술에서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단위 : 백만원)
상호 설립일 주소 주요사업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
지배관계 근거 주요종속
회사 여부
강소통리
광학신재료집단
유한공사
(구 강소준휘
광전과학기술
유한공사)
2013.07.05 중국 강소성 강음시
장경진 통항로 26호
비금융
중간지주회사
451,675 기업의결권의
과반수 소유
해당
(직전연도 자산총액이 지배회사
자산총액의 10% 이상인 종속회사)
강음통리
광전과학기술
유한공사
2002.01.18 중국 강소성 강음시
장경진 통항로 26호

정밀코팅
기능성신소재

593,083 기업의결권의
과반수 소유
해당
(직전연도 자산총액이 지배회사
자산총액의 10% 이상인 종속회사)
강소혜지
신재료과기
유한공사
2018.11.09 중국 강소성 연운항시
연운항경제기술개발구
화과산대로601호
정밀코팅
기능성신소재
794,438 기업의결권의
과반수 소유
해당
(직전연도 자산총액이 지배회사
자산총액의 10% 이상인 종속회사)
상해쟈니시
신재료과기
유한공사
1997.10.09 상해시  민항구
신홍로 683 농1호
자동차
필름 판매
9,788 기업의결권의
과반수 소유
미해당
(직전연도 자산총액이 지배회사
자산총액의 10% 미만인 종속회사)

주1) 당사는 국제회계기준에 의해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으며, 종속회사의 지분을  의결권의 과반수를 소유하여 지배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에 언급된 피투자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2)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은 서울외국환중개가 고시한 2022년 6월 30일 기준 환율인 192.75원/RMB를 적용하였습니다.

(나) 비교우위 사항

(ㄱ) 기초소재 및 설비 우위

기초소재 측면에서 당사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스트림 원자재는 주로 PE, PP, PET 등 플라스틱 재료, 원 필름 소재 및 접착제입니다. 특히 원 필름 소재와 접착제 배합 측면에서 2가지 우위를 갖는 기업 경쟁력이 뚜렷합니다. 통리광전은 10여 년의기초소재 필름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원 필름을 자체적으로 생산하였습니다. 또한 각종 기초 박막을 주문제작하며 성능이 독특한 배합은 고객의 수요 만족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동시에 당사는 접착제 배합 연구제작을 진행하고, 친환경 고분자 접착제 설계, 합성 및 접착배합 기술의 연구 및 혁신을 통해 각종 성능의 접착제 기초소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설비 측면에서 당사의 공정 배합은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일,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수 대의 흡입막(Blow Membrane), 캐스트(Cast)와 코팅 생산라인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18대의 흡입막 설비, 4대의 캐스트설비, 21대의 정밀 코팅 설비를 보유하여 정밀 코팅 업계 모든 제품의 생산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당사의 제 2공장은 2016년 10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갔습니다. 회사의 코팅 설비는 모두 주문제작 설비이며 원 필름, 접착제와 연결하여 제품의 품질을 더욱 보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다년간의 코팅 경험을 보유하고 있고 다층 코팅 제품은 1차 성형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대대적인 투자를 통해 일본의 클린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100만급 클린 시스템 작업장을 건설하였습니다. 생산 작업장은 제품 요구에 따라 온도와 습도를엄격히 제어하여 생산 환경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3년 ISO9001:2000 국제 품질관리시스템 인증과 ISO14001-2004국제 환경관리시스템 인증을 통과하였으며, ISO9001과 ISO14000을 기본 모델로 하여 회사의 품질과 환경 시스템을 구축,시장조사연구, 제품설계, 보조소재 구입 입고에서 제품 출고까지, 모든 단계별로 상응하는 과학적이고 엄격한 조작 규범과 관리 요구를 수행하고, 여러 단계의 범위별 내부 품질시스템 심사를 통해 그리고 각종 수입 정밀 기기를 보조로 하여 각 검사검측을 진행하여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통리' 브랜드 시리즈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품은 SGS검측을 통과하였으며, 환경보호 측면은 국제 표준에 부합하고 잇습니다.


(ㄴ) 기술 및 연구개발 우위

당사는 성도 전자과학기술대학교, 소주 대학교 등 대학교와 장기적으로 산학연 협력을 진행하여 필름 소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통리광전은 성시(省市) 두 급의 프로젝트 공정 기술 연구센터 '장쑤성 평판디스플레이 기능성 광학 테이프 공정기술연구센터'와 '무석시 평판디스플레이 기능기술연구센터'를 설립하였으며, 국가급의 성능테스트실험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4년 국가급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연구센터를 설립하였습니다. 당사는 국가 횃불계획의 여러 항목의 프로젝트, 국가 중점 신제품 및 성급 고급제품의 여러 항목을 수주하여 각종 기술상을 수상하였으며,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분야에서 풍부한 생산 경험이 있으며, 다년간의 정밀 코팅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기술 축적, 방향성 있는 연구 능력을 통해 높은 대량, 다양화, 주문제작 생산이 가능합니다. 당사는 시장의 정밀 코팅 국제첨단기술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국내외 기술과 인재를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여러 지역에 여러 업계 선두기업과 함께 공동으로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여 기능성 신소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다른 지역에서 관련 연구기관 설립을통해 첨단 제품 연구개발을 진행할 것입니다.


당사는 임베디드 연합 연구 모델을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운스트림 고객은 대부분 전략적 신흥 세분 산업, 예를 들어 항공우주, 신에너지 자동차, 로봇, 사물인터넷, 스마트홈 등 분야의 과학기술 수준과 기술 집약형 업계에 속합니다. 제품 기술은 변화가 빠르고, 업계의 파급효과가 매우 높습니다. 업계 내에 연구개발 실력이 있는 기업 대다수는 유연한 연구개발 모델을 채용하여 업계 특징을 적응하고 다운스트림 고객 제품 설계에 깊이 관여하여 제품의 선발 우위를 갖습니다. 당사는 매년마다 영업수입 5%의 경비를 제품 연구개발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보그룹산업군과 기타 이미 관계를 구축한 고객 기업을 중심으로 시리즈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품을 주문제작 개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신속하게 각 제품에 응용하여 생산방향을 확정하여 회사의 모든 제품의 발전을 촉진시키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혁신 능력, 개성화 제품은 신속한 반응 능력을 필요로 하며, 기업의 계속성에 있어 중용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다운스트림 신흥 업계 고객의 신속한 변화의 시장 수요에 직면하여, 유연하고 신속한 반응의 연구개발 메커니즘을 구비해야만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습니다. 당사와 다운스트림 고객이 연합하여 제품의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시장 반응에 유연해야 고객과 함께 신형 주문제작 제품을 공동 개발하고 고객의 특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ㄷ) 제품 및 종합 서비스 우위

당사는 다년간의 발전을 통해 정밀 코팅 접착 소재, 정밀 코팅 보호 소재, 기능성 코팅 소재, 고분자 박막 소재 등 분야에서 선진적인 우위를 갖는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종합 솔루션 공급업체로 성장하였습니다. 응용 분야는 평판디스플레이, 소비전자,자동차, 연성 플라스틱 포장 및 건축 에너지 절약 등 분야이며, 웨어러블 스마트 설비류 소비전자, 플렉시블 소비전자제품, 사물인터넷, 로봇, 항공우주, 스마트홈, 스마트도시 등 영역까지 연장됩니다. 당사는 고객에게 전방위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선진적인 설비, 새로운 코팅 공정을 채용하고, 제품 코팅의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현대 신형 소재의 끊임없는 혁신과 공정의 상승에 대응하여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더욱 새로운 제품과 기능 지원 제공에 필요하며, 이렇게 해야 시장에 진출하여 안정적인 시장 지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가 기술 축적, 원료 공급 분야 통합, 생산공정 통합 등으로부터 규모 효과를 구비하여야 시장 수요와 상호 지원하고 상호 호응하는 최적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중국내 대부분 기업은 기술력과 자금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또한 다운스트림 대형 제조업체의 전체적인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당사는 다년간의 코팅 제품의 신속한 발전을 거듭하며지금은 다종 모델, 다양한 규격, 다용도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소비전자, 자동차, 건축 에너지 절약, 사물인터넷, 로봇, 항공우주에 필요한 대부분의 소재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자체적인 연구개발 우위를 이용하여 최신 공정기술 연구개발 성과를 최신 제품에 융합할 수 있으며 고객에게 '원스톱'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당사 제품 구조 우위는 뚜렷하고, 동시에 종합 서비스 능력은 매우 강력한 경쟁 우위를 갖습니다.


(ㄹ) 경영 및 관리 우위

당사는 세계적인 브랜드 제품을 대체하는 발전 전략을 세우고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중국 소비전자, 자동차, 건축 에너지 절약, 로봇, 항공우주, 사물인터넷, 스마트홈, 스마트 시티 등 분야의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는 여전히 높은 수입 대체 여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당사는 대체 기업으로서의 지위를 점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있습니다.


당사의 관리층은 많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계 경험, 기술연구개발 경력을 구비하고있습니다. 업계 발전 특징과 추세에 익숙하여 시장 발전 동태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시장 상황에 따른 대처능력이 높아 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당사는 고객 수요 개성화와 제품 품종 다양화 특징에 따라 선진적인 ERP관리소프트웨어를 응용하여 생산을 합리적으로 배치하였습니다. 생산 능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생산 효율을 높이고 생산 소모를 낮추었습니다. 동시에 당사는 고객의 비포서비스와 애프터서비스에 대한 관리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것을 직원의 성과관리와 장려의 범위에 포함시켰으며 고객 만족도를 크게 높이고자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년간의 발전을 거듭하며 각계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장쑤성 첨단기술기업', '장쑤성 민영과학기술기업', 'AAA급 신용기업', '무석시 첨단기술기업', '강음시 정보화 및 공업화 융합 시범기업', '중국 유명 브랜드' 등 영예 칭호를 받았습니다. 동시에 제품은 '국가 과학기술성과상', '국가 중점 신제품', '국가 횃불계획산업화 시범 프로젝트','장쑤성첨단기술제품', '무석시 과학기술진보상' 등 제품 인증을 획득하여 국가급 재정 보조와 세수정책 혜택을 받았습니다. 


(ㅁ) 마케팅 우위

당사가 위치한 장강삼각주 지역은 경제 발전이 빠르고 전 세계 제조업이 모여있는 지역입니다. 양호한 산업 환경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제품의 마케팅 진행에 양호한 환경을 제공하여 마케팅 우위를 갖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 세계 최고의 광전업계 소재 업체, 생산업제와 투명한 전략 마케팅 협력을 형성하였고, 기술협력을 통한 공급수요망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고객에게 애프터서비스를 긴밀히 제공합니다. 장쑤, 광동, 대만, 한국도 서비스망을 두어 고객에게 가장 빠르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설립 이래로 고객중심의 서비스 이념과 우수한 제품 품질, 신속한 애프터서비스로 인한 시장 파악을 통해 정밀 코팅 기능 신소재 업계에서 양호한 시장 명성을 얻었습니다. 현재 당사는 시장을 이끄는 다채널 입체식 판매 서비스 모델을 형성하였습니다. 중국내 시장에서 완벽한 판매망을 구축하여 점차로 국제 시장을 확대하였습니다. 


(ㅂ) 인재 우위

당사는 6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이중에는 석사 학력자가 50명을 넘고, 박사 학력 연구인원이 2명, 고급엔지니어는 1백명을 넘습니다. 당사의 일선 노동자는 5년 이상의 코팅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회사 관리층 핵심 임원의 근무경험은 10년을 넘습니다. 

또한 당사는 한국과 대만에 대표처를 두어 고객과 기술적으로 소통하고 있고 동시에 회사가 현지 인재를 유치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현재 당사는 이미 국내외 3D위조방지 코팅 분야의 기술 전문가를 통합하였으며 기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분야에서매우 강력한 인재 흡인력과 호소력을 갖추었습니다. 


(ㅅ) 자금 우위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계는 제품 연구개발, 생산 투입 원가로 인해 자금 장벽은 높은 편에 속합니다. 당사의 전체적인 규모는 업계 내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에 속하며 풍부한 현금자금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안정적인 거래처 확보를 통해 자금 우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ㅈ) 고객 우위

당사의 전체적인 생산시스템은 전 세계 중점 기업의 인정을 받았으며 관련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정보 공유를 통해 신속히 고객의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객은 중금마태, 캉스푸, 징동팡, 중강광전, 서의광전, Hisense, 인보그룹, 우달광전, 팍스콘, 광요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인보그룹 투자기금은 회사 주주입니다. 향후 그 응용되는 관련 소재 계획을 완전히 대체함과 동시에 인보그룹산업군 주변 기업과 관련 기업이 당사에 중대한 발전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사는 인보그룹과 함께 기술과 수요 연결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입과 동시에, 당사는 인보그룹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최신 제품 수요와 공정 요구를 소통하여 다운스트림 수요에 대해 신속히 반응할 수 있습니다. 


위의 경쟁력 분석을 통해 기초소재 및 설비, 기술 및 연구개발, 제품 및 종합서비스, 경영 및 관리, 마케팅, 인재, 자금과 고객 등 8가지 측면에서 볼 때, 당사의 각 항목의 우위가 뚜렷하며, 당사의 전체적인 종합 실력은 정밀 코팅 기능성 신소재 업계에서 선두 수준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신규 사업 계획
앞서 기술하였듯 중국은 전체 경제 구조가 전환기에 접어듬에 따라 향후 신기술분야 및 전략적 신규 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한 투자 및 장려 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방산업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반도체, FPCB, 전기차,  IoT, 스마트 가전제품 등 분야가 미래 중점 육성 산업이 되어 높은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정밀코팅의 전방산업


현재 당사의 제 1공장이 완전 가동중이고 2016년 가동을 시작한 제2공장 가동률도 70%대를 상회함에 따라 생산 능력 확대가 필요한 시기가 도래하였으며, 상술한 전방 제품의 중국 내 수요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가) 신규 사업 분야 및 시장 규모
기존의 광학필름, 윈도우필름 & 기능성 필름에서 제 4차 산업 필름 코팅소재로의 포트폴리오 확장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 MLCC(적층세라믹콘덴서)용 이형필름
MLCC 제조공정에서 세라믹 성형 공정 기재로 사용되며, 균일한 박리력 및 무결점 이 요구됩니다.  MCLL는 주로 스마트 전자제품 뿐만 아니라 2차전지의 핵심 요소로 중국내 전방 시장 규모 및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mlcc 시장 규모 전망

Source : 중국 산업망

- OLED 생산용 필름
OLED 내구성 향상 용도로 패널이 감기는 Curl 현상 방지하며, OLED 소자 및 봉지층 보호합니다. 중국내 전방 시장 규모 및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oled 시장규모 전망

Source :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연구원

- FCCL(연성동박적층필름)
FCCL은 전자제품 경박단소화에 필수적인 FPCB 핵심 원재료로 스마트 기기 Zero-bezel 구현에 필수적입니다. 구동부에 적용 가능합니다. 중국내 전방 시장 규모 및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국 fpcb 수요전망

Source : 중국 Zhiyan컨설팅

(나) 진행상황
당사는 중국의 4차산업 소재 생산/물류 거점지역인 강소성 연운항시에 제 3공장 건립을 위한 자회사 "강소혜지신재료과기유한공사"를 2018년 11월 9일 설립 등기하였습니다.

(3) 조직도

grt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안건 : 제11기(2022.07.01~2023.06.30)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Ⅲ.경영참고사항 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연결재무상태표ㆍ연결포괄손익계산서ㆍ연결자본변동표ㆍ연결현금흐름표


 - 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11 기 2023. 06. 30 현재
제 10 기 2022. 06. 30 현재
(단위 : CNY)
과 목 제 11 기 제 10 기
자산    
 I. 유동자산    
   현금및예치금 309,485,271  1,507,649,225 
   단기금융상품 50,000,000  250,00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160,796,100  762,338,077 
   재고자산 118,453,476  126,206,904 
   기타유동자산 211,119,658  9,229,063 
  유동자산 합계 1,849,854,505  2,655,423,268 
 II. 비유동자산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204,077,811  202,915,699 
   장기금융상품 50,000,000 
   관계기업투자 62,228,739  62,225,639 
   유형자산 5,942,353,536  4,236,625,019 
   사용권자산 91,655,015  71,860,985 
   무형자산 45,045,865  49,722,152 
   이연법인세자산 3,313,780  9,135,888 
  비유동자산 합계 6,348,674,745  4,682,485,383 
자 산 총 계 8,198,529,250  7,337,908,651 
부채    
 I. 유동부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949,667,532  411,762,370 
   단기차입금 195,300,000  164,1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1,300,000,000 
   특수관계자차입금 29,775,813  26,776,561 
   당기법인세부채 18,322,585  22,622,624 
   이연수익 689,788  1,110,796 
   기타유동부채 3,919,370  20,748,047 
  유동부채 합계 2,497,675,088  647,120,398 
 II. 비유동부채    
   장기차입금 1,446,000,000  2,746,000,000 
   장기이연수익 2,400,000  2,938,888 
  비유동부채 합계 1,448,400,000  2,748,938,888 
부 채 총 계 3,946,075,088  3,396,059,286 
자본    
 I. 지배기업소유주지분    
  자본금 770,089,223  770,089,223 
  자본잉여금 410,213,421  410,213,421 
  이익잉여금 2,641,686,909  2,354,909,589 
 II. 비지배지분 430,464,609  406,637,131 
자 본 총 계 4,252,454,163  3,941,849,365 
부 채 및 자 본 총 계 8,198,529,250  7,337,908,651 


 - 연결손익계산서

                                           <연 결 손 익 계 산 서>

제 11 기 (2022. 07. 01 부터 2023. 06. 30 까지)
제 10 기 (2021. 07. 01 부터 2022. 06. 30 까지)
(단위 : CNY)
과 목 제 11 기 제 10 기
매출액 4,041,639,278 2,310,536,095
매출원가 3,402,175,368 1,865,481,081
매출총이익 639,463,909 445,055,014
판매및유통비 61,354,595 43,378,369
관리비 및 손상차손 163,594,002 119,437,271
영업이익 414,515,312 282,239,373
금융수익 14,225,273 16,613,128
금융비용 49,105,587 24,283,968
기타수익 3,201,018 5,143,786
기타비용 7,963,241 1,515,322
관계기업투자손익 3,100 196,279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374,875,875 278,393,276
법인세비용 65,501,208 44,467,926
연결당기순이익 309,374,667 233,925,350


 
연결당기순이익 및 총포괄이익의 귀속: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286,777,320 237,871,097
 비지배지분 22,597,347 -3,945,747

   
기본주당이익 및 희석주당이익 4 4


 - 연결자본변동표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11 기 (2022. 07. 01 부터 2023. 06. 30 까지)
제 10 기 (2021. 07. 01 부터 2022. 06. 30 까지)
(단위 : CNY)
과     목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총 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합계
2021년 7월 1일 770,089,223  410,213,421  2,117,038,492  3,297,341,136  410,582,878  3,707,924,015 
당기순이익 및 포괄이익 237,871,097  237,871,097  (3,945,747) 233,925,350 
2022년 6월 30일 770,089,223  410,213,421  2,354,909,589  3,535,212,234  406,637,131  3,941,849,365 
2022년 7월 1일 770,089,223  410,213,421  2,354,909,589  3,535,212,234  406,637,131  3,941,849,365 
종속회사 신규 편입 1,230,131  1,230,131 
당기순이익 및 포괄이익 286,777,320  286,777,320  22,597,347  309,374,667 
2023년 6월 30일 770,089,223  410,213,421  2,641,686,909  3,821,989,554  430,464,609  4,252,454,163 


 - 연결현금흐름표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11 기 (2022. 07. 01 부터 2023. 06. 30 까지)
제 10 기 (2021. 07. 01 부터 2022. 06. 30 까지)
(단위 : CNY)
과 목 제 11 기 제 10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당기순이익 309,374,667 233,925,350
  조정사항:  197,227,782 121,705,694
   법인세비용 65,501,208 44,467,926
   금융비용 46,999,840 23,119,199
   금융수익 (14,192,780) (16,613,128)
   유형자산상각비 85,230,444 68,966,884
   이연수익 상각액 (959,896) (1,110,796)
   무형자산상각비 675,663 624,510
   무형자산손상차손 4,578,795 -
   사용권자산상각비 2,315,833 1,655,419
   대손상각비(환입) 3,478,980 (385,060)
   관계기업투자손실(이익) (3,100) (196,279)
   외화환산손실(이익) 2,073,254 1,177,020
   유형자산처분손실 1,529,542 -
  운전자본의 변동 (238,147,989) (185,282,290)
    - 재고자산의 증가 7,753,427 (62,447,995)
    -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증가 (401,937,003) (108,955,387)
    -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증가 (1,162,113) (202,915,699)
    - 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201,890,595) 56,364,664
    -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증가 375,916,972 122,050,643
    - 기타유동부채의 증가 (16,828,677) 10,621,484
  영업활동으로부터 발생한 현금흐름 268,454,460 170,348,753
  법인세 지급액 (63,979,139) (57,939,954)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204,475,322 112,408,80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금융수익 수취 14,213,385 16,613,128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250,000,000)
  단기금융상품의 회수 250,000,000 -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 (50,000,000)
  종속기업의 취득 (23,840,040) -
  유형자산의 취득 (1,631,128,630) (1,485,611,947)
  유형자산의 처분 628,319 -
  무형자산의 취득 (110,620) (236,034)
  특수관계자대여금의 감소 - 11,531,859
  사업결합으로 인한 현금증가 2,492,759 -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1,387,744,827) (1,757,702,994)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금융비용 지급 (46,999,840) (23,119,199)
  단기차입금의차입 202,800,000 171,600,000
  단기차입금의상환 (171,600,000) (141,900,000)
  장기차입금의차입 - 2,101,000,000
  특수관계자차입금의 증가 925,997 24,639,953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14,873,843) 2,132,220,754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순증가 (1,198,143,348) 486,926,561
기초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1,507,649,225 1,021,899,684
  외화환산효과 (20,606) (1,177,020)
기말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309,485,271 1,507,649,225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제 10기 제 9 기
주당 현금배당금(원) - -
현금배당금 총액(원) - -
시가배당률(%) - -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2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 2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500,000 CNY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 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642,122 CNY
최고한도액 2,500,000 CNY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3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 CNY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최고한도액 100,000 CNY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제4호 의안 : 홍콩법정감사인 선임의 건

- 의안의 요지
회사는 홍원회계사무소유한공사<GLOBAL VISION CPA LIMITED>를 홍콩법정감사인으로 선임하며 기간은 다음 주주총회까지입니다.


제5호 의안 : 제12기(2023.07.01~2024.06.30) 외부감사인 선임에 관한 결정 권한 이사회에 위임하는 건

- 의안의 요지
한국 코스닥 상장규정 개정규정에 따라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외부감사인 선임을 공시해야 하므로 공시의 시의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제6호 의안 : 자회사 증자권한의 이사회 부여의 건

- 의안의 요지
자회사 자금조달의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10월 30일 -

주) 당사는 외국기업이기 때문에 주총전 통지를 하지 않습니다. 또한 법정 제출기한인 10월 30일까지 제출할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2023년 9월 26일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27000809

GRT (9002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