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머릿지 (90010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4-13 10:2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413000357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4월   13일


회   사   명 : 애머릿지코퍼레이션(Ameridge Corporation)
대 표 이 사 : Thomas Park
본 점 소 재 지 : 222 S Harbor Blvd, #820, Anaheim CA 92805, USA

(전   화)+1-323-218-0003

(홈페이지)http://www.ameridgecorp.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대표이사 (성  명)Thomas Park

(전  화)+1-323-218-0003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45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15조에 의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19조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04월 28일 (금) 오전 10시


2. 장    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91길 18, 4층(동현빌딩)


3. 정기주주총회 보고사항 및 부의안건

  가. 보고사항 

    1) 영업보고

    2) 감사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1) 제1호 의안 : 제45기(2022.1.1~2022.12.31)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3)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당사 정관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은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 대리인의 신분증[*법인주주 : 위임장, 법인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 대리인 신분증]


                                     2023년   04월   13일

                                    애머릿지코퍼레이션

                                    대표이사  Thomas Park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회차 개최일자 의 안 내 용 가결
여부
사외이사
Scott Yoon Young Choi Jay Kim 하봉우
(출석률:91.7%) (출석률:100%) (출석률:100%) (출석률:62.5%)
찬반여부
1 2022-01-13 종속회사에 대한 자금 대여 가결 불참 참석/찬성 참석/찬성 해당
사항
없음
(신규선임)
2 2022-02-22 제44기(2021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3 2022-04-13 제44기(2021년)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4 2022-04-13 제44기(2021년)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5 2022-06-29 제24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사모 전환사채 만기연장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불참
6 2022-08-10 제25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사모 전환사채 만기연장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7 2022-09-20 내부감사규정 개정의 건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8 2022-10-20 채권매각의 건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불참
9 2022-11-01 투명경영위원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선임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10 2022-11-23 제24회/제25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사모 전환사채 만기 재연장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11 2022-12-09 제25회 전환사채 취득후 일부 재매각의건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12 2022-12-31 채권매각의 건 가결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불참

(*) 2022. 04. 28. 이사 선임 : 하봉우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투명경영
위원회
Young Choi
Jay Kim
Robert Lennon

2022-01-12 종속회사에 대한 자금 대여 가결
2022-03-30 2022년 1분기 정기위원회 개최 가결
2022-06-28 제24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사모 전환사채 만기연장 가결
2022-06-28 2022년 2분기 정기위원회 개최 가결
2022-08-09 제25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사모 전환사채 만기연장 가결
2022-09-29 2022년 3분기 정기위원회 개최 가결
2022-10-19 채권매각의 건 가결
2022-11-22 제24회/제25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사모 전환사채 만기 재연장 가결
2022-12-08 제25회 전환사채 취득후 일부 재매각의건 가결
2022-12-30 채권매각의 건 가결
2022-12-30 2022년 4분기 정기 위원회 개최 가결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
Seoung Hyun Yoo
Scott Yoon
Young Choi

2022-04-11 1. 사외이사 1인 추천 가결

(*) 개최일자는 미국 현지일자 기준일 입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USD)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4 USD4,000,000 USD137,980 USD34,495 '22년 1월 ~ 12월

※ 인원수는 주총 소집공고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USD)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USD)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Yanbin Zhixin Real Estate (종속회사) 대여 2022.01.01~2022.12.31 160,000 0.29
NWLA Holdings, LLC (종속회사) 대여 2022.01.01~2022.12.31 130,815 0.24
NWLA Holdings, LLC (종속회사) 매출 2022.01.01~2022.12.31 360,000 0.88

※상기 비율은 2022년도 별도재무제표 기준 자산총액 대비 비율 및 매출총액 대비 비율임.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 의류 소매 사업부문 】

(1) 의류 산업 특성

미국 의류시장은 Online Store들로 인하여 Off-Line Store들이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의류의 특성상 실제 제품의 착용감 및 원단의 특성 등을 직접 만져보고 구입해야 하는데, Online 구매의 경우에는 이렇게 하지 못한 상황에서 구매를 하기 때문에 반품률이 평균 30-40%에 육박하는 등 쇼핑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떨어져 많은 소비자들이 의류 구매시 Off-Line Store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 유명 경제지인 포브스(Forbes)의 설문결과에 따르면 매장에서 쇼핑할 때 쇼핑객의 71%가 50달러 이상을 지출하는 반면, 온라인 쇼핑 시에는 54%가 50달러 이상을 지출하여 온라인 의류쇼핑에 비해 매장에서 직접 쇼핑할 때 더 많은 돈을 소비한다고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일부 충성도 및 신뢰도가 높은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의 Value를 바탕으로 Online 판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의류시장은 Luxury Line(Hermes, Gucci, Chanel 등), Premium Line(Coach, Michael Kors, Ralph Lauren 등), Medium Trend Line(H&M, Zara 등) 및 Affordable Line(Forever 21, Papaya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2000년도 초반에서 2010년까지는 Premium Line이 미국 의류업계를 주도하고, 이러한 Premium Line의 인기로 인해 많은 Off-Line Store 들이 호황을 누렸으나, 미국의 불경기로 인하여 미국 소비자들은 좀 더 값싸고 실용적인 의류들을 찾게 되었습니다.
이때부터 미국 의류업계에는 많은 양의 중국산 의류들이 값싸게 미국시장으로 밀려들어오게 되었고, 그로 인해 대부분의 Premium 의류업체들이 사라지고, Medium Trend Line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Medium Trend Line은 Premium Line과 달리 더 빠른 시간 안에 기반이 붕괴되었고, 그 동안 의류업계에서 주목받지 않았던 Affordable Line이 급부상하면서 기존에 저가 의류를 판매하는 Off-Line Store들이 점점 많은 매출을 내며 지속적인 흑자를 내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많은 Medium Trend Line Store들도 Line을 Affordable Line으로 교체함과 동시에 저가 의류 스토어의 이미지로 탈바꿈하게 되었습니다.

 

미국 의류 소비자들의 구매형태는 과거 소비패턴과 대비해 볼 때 좀 더 실용적이며 활용도가 높은 의류를 선호하게 되었고, 이른바 Smart Buy를 추구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rice-off Store나 저가에 유행을 적절히 접목한 의류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카나비스 사업부문]

(1) 카나비스 산업 특성

카나비스(Cannabis/Marijuana)의 원재료가 되는 식물은 온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삼(대마, Cannabis Sativa L)'이라고 불리는 한해살이풀로, 섬유(삼베), 약품, 식품(한약재 등) 등 다양한 제품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카나비스에서 추출되는 물질은 신체의 카나비노이드 수용체(Cannabinoid receptor)를 자극해 신경 전달물질을 방출케하는 카나비노이드라는 물질로, 대마에 존재하는 카나비노이드는 약 60여가지로, 이 중 핵심이 되는 물질은 향정신성 물질인 THC와 진통 효과 등의 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CBD이며,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나비스에서 추출되는 주요 물질]
구 분 내 용





THC

ㆍTHC(델타-9-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delta-9 Tetrahydrocannabinol)는 통증 치료 및 뇌 질환, 신경성질환 등의 치료 목적으로 처방되며, 기호용으로도 사용됨. 카나비스의 꽃봉우리 및 잎, 씨앗 껍질에 함유량이 높음

ㆍ의료용(Medical), 기호용(Recreational) 카나비스의 주 성분

CBD

ㆍCBD(카나비디올, Cannabidiol)는 주로 의료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통증 치료 및 뇌 질환, 신경성질환 등의 치료 목적으로 처방되며, 카나비스의 씨앗, 뿌리 및 줄기부분에 함유량이 높음

ㆍ의료용(Medical) 카나비스의 주성분

주) 카나비노이드(Cannabionoid)는 신체의 카나비노이드 수용체(Cannabinoid receptor)를 자극하여 정신과 신체를 활성화시키는 신경 전달 물질을 방출케하는 다양한 화합물 집단을 의미하며, 카나비스(Cannabis)에서 처음 확인되었습니다.


카나비스 산업은 합법적인 재배자 및 생산자, 소비자, 독립 산업 표준 기구, 보조 제품과 서비스, 규제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품군으로는 의료 및 기호용의 테트라 하이드로카나비놀(THC) 성분이 주를 이루는 카나비스(Marijuana)와 의료용의 카나비디올(CBD) 성분이 주를 이루는 헴프(hemp)로 분류됩니다.

                                [마리화나와 헴프의 비교 및 사용 용도]

마리화나와 햄프의 비교



(2) 카나비스 산업 성장성
미국 카나비스 전문 리서치 기관인 뉴프론티어데이터 (http://www.newfrontierdata.

com)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합법 카나비스 시장의 2022년 전체매출은 약 300억달러로 집계되었으며, 2023년은 35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연방정부의 개혁없이, 주 차원의 합법화 속도가 계속 이어진다면 2030년까지 미국의 연간 합법 카나비스 시장 매출이 최소 580억달러에서 710억달러(CAGR 14%)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한 약 5,400만명의 미국 성인이 2023년에서 카나비스 소비를 하고, 2030년에는 그 수가 6,900만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카나비스산업 성장성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NSDUH)에 따르면, 미국 18세 이상 성인의 약 12%가 최소한 매달 카나비스를 사용했다고 보고했습니다.

NIH에 따르면, 미국의 일반 카나비스 사용자 수는 2010년 이후 1,500만 명 증가했습니다(2020년에는 3,100만 명 증가). 이러한 증가는 더 많은 주에서 의료 또는 기호용 카나비스를 합법화함에 따라 카나비스 사용을 보다 폭넓게 수용하고 사회화하는 등 수렴 요인이 작용하고 있으며, 더 많은 성인들이 카나비스 사용을 정부 조사에 보고하는 데 편안함을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인 10명 중 1명 이상이 정기적으로 카나비스를 소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상품의 수용은 미국 사회 전반에 걸쳐 카나비스의 존재와 가시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됩니다.

카나비스의 증가율은 미국 법률 카나비스 산업이 카나비스 소비자들을 그늘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있어 큰 진전을 보여주지만, 대중들의 카나비스 사용이 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주류에 비해 얼마나 낮은 빈도로 사용하는 지에 대해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미국 성인의 12%가 최소한 한 달에 한 번은 카나비스를 사용한다고 보고한 반면, 미국인의 절반 이상(55%)은 이러한 빈도로 음주를 하고 있습니다.

알코올 주류와 카나비스의 상호작용은 향후 10년 동안 모니터링해야 할 중요한 트렌드가 될 것이라는 판단 하에, 갤럽(Gallup)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카나비스를 사용하는 젊은 성인의 비율이 2018년 이후 5%증가한데 반해 일반 담배 흡연은 지난 3년간 최저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Civic Science에서 올해 1월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1%가 알코올 대신 카나비스로 대체하였다고 하였는데, 특히 젊은 층일 수록 알코올보다 카나비스를 선호하는 추세를 보여, 21-24세가 34%, 25-34세가 2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카나비스 소비자의 수가 증가하고 규제되고 고품질 제품에 대한 접근이 보편화됨에 따라 주류에서 카나비스로 대체되는 경향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추세는 젊은 성인들 사이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며, 카나비스가 알코올만큼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환경에서 성장하게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러한 추세가 주류에서 드러나는 데는 앞으로 10년 이상이 걸릴 수 있지만 합법화된 카나비스 산업의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을 끼칠 것임에는 틀림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작년 메릴랜드, 미주리, 로드아일랜드 주가 기호용 카나비스 사용을 합법화하면서, 23년 4월 현재 미국의 21개주와 워싱턴 DC 및 괌에서의 기호용/의료용 카나비스 사용이 합법이며, 의료용 카나비스는 현재 37개 주 및 워싱턴 DC에서 합법입니다.

 

카나비스 산업이 성숙함에 따라 의료용 카나비스가 처음 합법화되었을 때부터 첫번째 기호용 카나비스 판매 합법화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점 빨라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리화나 비즈니스 데일리(Marijuana Business Daily)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 의료용 카나비스 합법화에서부터 기호용 카나비스 합법화까지 약 7,308일 걸린 반면, 매사추세츠는 단 1,463일이 걸렸습니다. 

 

미국 대다수의 주정부들은 카나비스 합법화 프로세스를 촉진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으며 세수 확보 및 카나비스의 양지화를 위해 합법적인 카나비스 판매를 원하는 분위기입니다.

 

Urban Institute 보고서에 의하면, 2022년 카나비스 소비세가 캘리포니아 7억 7,400만달러, 워싱턴 5억 1,700만달러, 일리노이 4억 6,600만 달러가 징수되는 등, 12개 주에서 약 30억달러의 카나비스 소비세가 징수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23년에는 오하이오, 오클라호마, 펜실베니아, 미네소타 4개의 주가 카나비스 합법화 추진을 위한 여론 조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의류 소매 사업부문]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의류소매 사업부분에서는 미국 각 주의 의류 매장에서 'PAPAYA' 브랜드 등의 의류 및 악세사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매장 수

매장면적

비고

제곱피트(ft2)

제곱미터(㎡)

캘리포니아

20

141,497

13,146


플로리다

11

65,772

6,110


조지아

4

25,475

2,367


매릴랜드

1

6,000

557


노스캐롤라이나

1

5,701

530


뉴저지

1

6,745

627


뉴욕

1

4,783

444


텍사스

12

71,910

6,681


버지니아

1

5,873

546


소계

52

333,756

31,008



PAPAYA 매장


의류판매 영업개황



(나) 의류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의류사업은 Affordable Line의 저가 의류상품의 호황에 발맞춰 구매동기가 높은 10~20대 젊은 여성을 주 타깃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의류 매장은 주로 Sun Belt 지역에 위치하여 계절적 변화가 없는 특성상 유행에 대한 민감도가 낮고 계절상품에 대한 관리 리스크가 없어 재고 관리가 용이한지역입니다. 특히 멕시코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대부분의 Sun Belt 주(State)의 특성상 라틴계 미국인들의 거주 비율이 타 주(State)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이들의 소득대비 구매력 또한 미국인 평균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라틴계 미국인들은 미국 저가 소매시장(Retail)의 주요한 고객이며, 이들을 고객으로 유입시키는 것이 소매시장에서의 성패에 주요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의류 소매사업을 포함한 미국 소매시장의 계절에 따른 특성상 매년 11월~12월에는 추수감사절 및 블랙 프라이데이와 크리스마스의 특수로 인하여 판매 실적이 가장 높으며, 이로 인하여 다음해인 1월~2월은 상대적으로 판매 실적이 가장 저조한 것이 일반적인 연간 매출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유로모니터의 시장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패션 시장의 경우 코로나 19 사태 이후 2022년 처음으로 오프라인 시장 성장률(5.9%)이 온라인 시장(3.7%)를 뛰어넘었습니다. 글로벌 오프라인 의류 시장규모는 지난해 1조 2,049억 달러 규모로 온라인 시장규모 5,296억달러보다 약 2.27배 더 큰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록 최근 금리 인상 및 미국 소매 업계의 위축 등으로 인해 다소 침체되었으나, 당사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시장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이 위기를 극복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와 유사한 의류 소매업을 영위하는 업체는 4업체 정도이며, 업체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업체명

Forever21

PacSun

Rainbow

Charlotte Russe

설립시기

1984

1982

1935

1975

본사

Los Angeles, CA

Newport Beach, CA

Brooklyn, NY

Carlsbad, CA

매장 수

623 (2020)

400 (2020)

1,300 (2018)

135 (2019)

매출

US$3.4B (2017)

US$798M (2014)

US$464M (2020)

US$795M (2018)

직원수

32,800 (2018)

8,200 (2020)

5,000

6,500

 

당사의 경쟁업체인 PacSun의 경우, boy와 girl을 대상으로 하지만 상품이 지나치게 한정되어 있으며, Forever21의 경우 어린이부터 성인 의류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지나치게 많은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Old Navy의 경우 당사와 비슷한 학생 위주의 브랜드이나 어린이, 남학생, 여학생 등의 다양한 의류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쟁력 있는 매장위치 선정, 정확한 고객 타겟팅 및 집중, 패스트 패션(Fast Fashion), 저가 시장 (Affordable Line) 공략이라는 4가지 핵심 경쟁요소를 바탕으로 핵심 고객층을 세분화하여 집중함으로써 여러 계층 고객의 다양한 상품 판매로 인한 비효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분화된 핵심 고객층만을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경쟁사와의 차별을 꾀하고 있습니다.

 

[경쟁력 있는 매장 위치 선정]

당사의 의류 매장의 92%는 Sun Belt 지역 내의 복합 쇼핑몰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소득대비 소비율은 93%로 미국 전체 평균인 82%를 훨씬 웃도는 지역입니다. 당사는 타 경쟁브랜드와는 달리 구매력이 높은 Sun Belt 지역에 매장을 집중함으로써 경영 자원 및 물류의 효율화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고객 타겟팅 (Targeting) 및 집중]

당사는 의류 사업의 핵심 고객층을 12~19세의 여학생 및 소녀를 타겟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 고객층은 성장 단계에 있는 여자 teenager로, 이들은 자주 옷을 구매해야 하는 연령대, 구매 시 본인의 의사가 절대적인 특성, 학교와 집을 제외한 만남의 장소로 주로 극장 및 엔터테인먼트 공간이 함께 있는 복합 쇼핑몰을 이용하며 구매하는 문화적인 요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빠른 신체 변화로 인하여 정확한 사이즈를 온라인에서 구매하기 어려워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구매하는 비율이 높은 연령대입니다. 

당사의 경쟁업체인 PacSun의 경우, boy와 girl을 대상으로 하지만 상품이 지나치게 한정되어 있으며, Forever21의 경우 어린이부터 성인 의류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지나치게 많은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Old Navy의 경우 당사와 비슷한 학생 위주의 브랜드이나 어린이, 남학생, 여학생 등의 다양한 의류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핵심 고객층을 세분화하여 집중함으로서 여러 계층 고객의 다양한 상품 판매로 인한 비효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분화된 핵심 고객층만을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함으로써 경쟁사와의 차별을 꾀하고 있습니다. 

 

[패스트 패션 (Fast Fashion)]

당사가 핵심 고객을 12~19세의 여학생 및 소녀로 한정 및 집중함에 따라 유행에 민감하고 트랜디한 상품을 빠르게 출시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연령대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경쟁사와의 차별화된 전략이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최소의 경영자원 투입으로도 시장의 트랜드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저가 시장 (Affordable Line) 공략]

미국의 양극화가 가속화 됨에 따라 미국 의류 소비자들의 구매행태는 실용적이며 활용도가 높은 의류를 선호하는 Smart Buy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당사의 주 구매계층인 12~19세의 여학생 및 소녀들의 접근이 용이한 복합 쇼핑몰에서 부모의 동행 없이도 구매 접근이 가능한 가격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미국의 빈부 양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미국 의류 소비자들의 구매행태는 실용적이며 활용도가 높은 의류를 선호하는 Smart Buy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당사의 주 구매계층인 12~19세의 여학생 및 소녀들의 접근이 용이한 복합 쇼핑몰에서 부모의 동행 없이도 구매 접근이 가능한 가격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당사가 핵심 고객을 12~19세의 여학생 및 소녀로 한정 및 집중함에 따라 유행에 민감하고 트렌디한 상품을 빠르게 출시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연령대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경쟁사와의 차별화된 전략이며, 선택과 집중을 통해 최소의 경영자원 투입으로도 시장의 트랜드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 사항 없음




(5) 조직도

조직도_의류사업



[카나비스 사업부문]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에서 2층 건물 전체를 사용하여 카나비스 제품 판매(온/오프라인), 배송, 재배, 제품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인 로열그랜스(Royal Greens)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주소는 5067 Washington Blvd., Los Angeles, CA 90016이며, 할리우드, 비벌리힐즈, 산타모니카 해변과 로스엔젤레스 다운타운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근에는 아프리카계와 라틴계 주민이 대부분 거주하고 있는데, 위 인종은 백인에 이어 카나비스 제품 구매율 2,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만, 위 인종들은 저렴한 물건을 자주 구입하는 성향이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 그들이 선호하는 낱개 단위의 저렴한 상품들을 주로 배치해 두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캘리포니아 남부 최고 부촌인 비벌리힐즈와 영화/드라마/아트 관련 종사자가 많은

할리우드, 젊은 신흥 부자들이 많은 산타모니카 해변에는 중산층 이상의 백인 주민이

다수 거주하고 있는데, 당사는 매장 판매와 별도로 당사의 온라인 판매 시스템인 BudzDeli 를 통해 제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차량을 이용하여 즉시 배송을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  요  사 업

1. 의료용 카나비스 제품

2. 기타 카나비스 제품



(2) 시장점유율


당사는 카나비스 재배, 추출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seed-to-sale 즉, 재배부터 판매까지의 모든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사업의 모든 과정이 자체적으로도 결정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의 움직임 및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유연하고 신속한 운영성, 제품의 신선도, 가격의 최적화가 모두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카나비스 시장이 현재 상당한 열기를 띄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여전히 한정적인 상황에서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카나비스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주정부 및 시정부에서 발행하는 라이선스를 반드시 받아야 하며, 이는 사업의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스앤젤레스의 경우 카나비스 판매용 라이선스를 400개로 제한한다고 발표하였으

며, 2022년 4월 227개, 2023년 4월 238개 의 라이선스가 발급된 상태로, 신규 카나비스 소매 라이선스 발급은 거의 전무한 상태입니다.

당사와 경쟁에 있는 업체들은 대부분 단일 라이선스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만들어진 상품을 판매하거나, 상품 제조만 하는 등 사업 영역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재배, 제조, 유통 및 판매에 걸친 카나비스 산업 전 과정에 대한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어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이나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신속하고 직접적인 상품개발 및 판매가 가능하기에, 소비자 패턴과 니즈 분석을 통해 섬세한 마케팅 전략이 가능합니다. 또한, 카나비스는 생약성분의 상품이 전체 판매상품의 70% 이상 차지하기 때문에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데, 당사는 제품의 재배 및 생산, 판매가 한곳에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항상 신선한 카나비스 상품을 공급할 수 있고, 트랜드 변화에 빠르게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적극 활용할 예정입니다.



(3) 시장의 특성


미국 카나비스 전문 리서치 기관인 뉴프론티어데이터 (http://www.newfrontierdata.

com)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합법 카나비스 시장의 2022년 전체매출은 약 300억달러로 2021년 대비 13%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카나비스 전문업체인 주쉬(Jushi)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의 압력과 비용 절감에 대한 압박감 때문이라고 분석되어지고 있는데, 실제 설문 참가자의 39%는 21년대비 22년에 더 저렴한 카나비스 상품을 구입했다고 응답하였지만, 73%는 실질적으로 거래당 더 많은 비용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CBD 상품은 미국성인의 14%가 사용하고, 29세 미만의 경우 20%까지 사용 범위가 늘었습니다. 의료전문 업체인 Single Care는 202년 4월에 유사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는데, 현재 CBD 사용자의 45%가 코로나사태 이후 CBD사용량이 늘어났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카나비스 산업에 대한 가치는 각 분석업체마다 약간 다를 수 있으나 대부분 매년 그 숫자는 기대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New Frontier Data는 합법적 카나비스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2020년에서 2030년 사이에 11%로 계산하여 2030년까지 업계의 가치가 570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하였고, Wallstreet는 이 산업이 2030년까지 훨씬 더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그 가치가 1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호용/의료용 카나비스가 모두 합법화된 주
알래스카,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코네티컷, 일리노이, 메인,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미시간, 미주리, 몬타나, 네바다, 뉴저지, 뉴 멕시코, 뉴욕, 오리건, 로드아일랜드, 버몬트, 버지니아, 워싱턴(Alaska (legalization passed in 2014), Arizona (2020), California (2016), Colorado (2012), Connecticut (2021), Illinois (2019), Maine (2016), Maryland(2022), Massachusetts (2016), Michigan (2018), Missouri(2022), Montana (2020), Nevada (2016), New Jersey (2020), New Mexico (2021), New York (2021), Oregon (2014),Rhode Island(2022), Vermont (2018), Virginia (2021), and Washington (2012), District of Columbia (2014), and Guam (2019))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음


(5) 조직도

조직도_카나비스 사업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 "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


※기타 참고사항
아래의 연결재무제표 및 별도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자료로서 감사 과정 및 정기주주총회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 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45(당)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44(전)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애머릿지코퍼레이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USD)
과               목 제 45(당) 기말 제 44(전) 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18,493,394 17,350,889
     현금및현금성자산 6,807,596 5,855,998
     유동금융자산 790,977 2,079,889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055,939 494,840
     재고자산 5,033,018 5,428,770
     기타유동자산 4,805,864 3,491,392
Ⅱ. 비유동자산 42,473,415 43,052,110
     비유동금융자산 828,496 628,496
     유형자산 32,908,669 33,687,364
     무형자산 8,736,250 8,736,250
자   산   총   계 60,966,809 60,402,999
부               채

Ⅰ. 유동부채 6,875,243 5,716,328
     유동금융부채 6,098,082 4,408,171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56,554
     기타유동부채 777,161 1,051,603
Ⅱ. 비유동부채 142,918 8,426,315
     비유동금융부채 142,918 8,426,315
부   채   총   계 7,018,161 14,142,643
자                본

Ⅰ. 지배회사 소유주지분 53,948,648 46,260,356
     자본금 505,058 468,744
     자본잉여금 183,757,084 174,904,399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389,657) (822,762)
     기타자본구성요소 (18,875,356) (17,171,252)
     이익잉여금(결손금) (110,048,481) (111,118,773)
Ⅱ. 비지배지분 - -
자   본   총   계 53,948,648 46,260,356
부채와자본총계 60,966,809 60,402,999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5(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44(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애머릿지코퍼레이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USD)
과      목 제 45(당) 기  제 44(전) 기 
Ⅰ. 매출액 51,095,676 71,406,175
Ⅱ. 매출원가 (25,611,909) (41,323,348)
Ⅲ. 매출총이익 25,483,767 30,082,827
     판매비와관리비 (24,511,619) (28,733,993)
Ⅳ. 영업이익(손실) 972,148 1,348,834
     기타영업외수익 1,118,834 5,035,702
     기타영업외비용 (59,076) (211,225)
     금융수익 59,149 67,297
     금융비용 (1,020,763) (1,901,081)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070,292 4,339,527
Ⅵ. 법인세비용 - -
Ⅶ. 계속사업이익(손실) 1,070,292 4,339,527
Ⅷ. 당기순이익(손실) 1,070,292 4,339,527
IⅩ. 법인세효과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566,895) 447,574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해외사업환산이익(손실) (566,895) 447,574
Ⅹ. 총포괄이익(손실) 503,397 4,787,101
ⅩI.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1,070,292 4,339,527
     지배회사소유주지분 1,070,292 4,339,527
     비지배지분 - -
ⅩII.  총포괄이익(손실)의 귀속 503,397 4,787,101
       지배회사소유주지분 503,397 4,787,101
       비지배지분 - -
ⅩⅢ. 기본주당이익(손실)

        계속사업주당이익(손실) 0.03 0.15
ⅩⅣ.  희석주당이익(손실)

        계속사업주당이익(손실) 0.03 0.15



- 연결자본변동표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45(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44(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애머릿지코퍼레이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USD)
과     목 지배회사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총   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결손금)
소   계
2021년 1월 1일(전기초) 375,693 153,571,067 (1,270,336) (8,190,873) (115,458,300) 29,027,251 188,329 29,215,580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 - 4,339,527 4,339,527 - 4,339,527
 해외사업환산이익 - - 447,574 - - 447,574 - 447,574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발행 18,952 3,557,598 - - - 3,576,550 - 3,576,550
 전환사채 전환 74,099 17,775,734 - (3,203,084) - 14,646,749 - 14,646,749
 전환사채 발행 - - - - - - - -
 자기주식 취득 - - - (5,246) - (5,246) - (5,246)
 연결실체의 변동 - - - (5,772,049) - (5,772,049) (188,329) (5,960,378)
2021년 12월 31일(전기말) 468,744 174,904,399 (822,762) (17,171,252) (111,118,773) 46,260,356 - 46,260,356
2022년 1월 1일(당기초) 468,744 174,904,399 (822,762) (17,171,252) (111,118,773) 46,260,356 - 46,260,356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 - 1,070,292 1,070,292 - 1,070,292
 해외사업환산이익 - - - - - - - -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전환사채 전환 36,314 8,852,685 (566,895) (1,704,104) - 6,618,000 - 6,618,000
2022년 12월 31일(당기말) 505,058 183,757,084 (1,389,657) (18,875,356) (110,048,481) 53,948,648 - 53,948,648



- 연결현금흐름표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45(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44(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애머릿지코퍼레이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USD)
과      목 제 45(당) 기  제 44(전)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231,219 (14,648,166)
(1) 당기순이익(손실) 1,070,292 4,339,527
(2) 당기순이익(손실) 조정을 위한 가감 2,375,662 (15,669,334)
     대손상각비(환입) (20,000) 20,506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151,788)
     감가상각비 3,663,422 3,044,438
     기타의대손상각비(환입) (696,994) (899,236)
     당기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평가손실 8,053 8,274
     이자비용 1,020,763 1,895,386
   사채상환손실 - 5,695
   손해배상금 - (30,081)
     외화환산손실 51,023 11,021
     이자수익 59,149 (67,297)
   종속기업주식처분이익 - (2,013,689)
   유형자산처분이익 - (276,062)
     외화환산이익 (421,614) (1,222,211)
     잡이익 - 131,282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감소(증가) 160,651 4,940,946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395,752 (1,609,708)
     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1,314,472) 554,990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의 증가(감소) (256,554) (15,913,461)
     기타유동부채의 증가(감소) (273,517) (4,098,339)
(3)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지급액 (214,735) (13,293)
     이자의 수취 (59,149) 67,297
     이자의 지급 (155,586) (80,590)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421,076) 754,870
     단기대여금의 회수 - 2,180,000
   종속회사의 처분 - 2,000,000
     유형자산의처분 - 4,400,000
     단기대여금의 증가 1,000,000 (922,273)
     장기대여금의 증가 25,244 (561,532)
     보증금의 증가 - (609,496)
     유형자산의 취득 (3,446,320) (5,726,583)
     자기주식의 증가 - (5,246)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46,815 1,492,011
   전환사채의 발행 149,450 -
     유상증자 - 3,576,550
     단기차입금의 상환 (2,635) (2,084,539)
Ⅳ. 연결실체의 변동 등 (5,302) 8,946,610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58) (88)
Ⅵ.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Ⅳ+Ⅴ+Ⅵ) 951,598 (149,697)
Ⅶ.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5,855,998 6,005,695
Ⅷ.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6,807,596 5,855,998




[별도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45(당)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44(전)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애머릿지코퍼레이션 (단위 : USD)
과               목 제 45(당) 기말  제 44(전) 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21,774,054 20,403,648
     현금및현금성자산 5,633,839 5,098,825
     유동금융자산 7,241,975 8,930,539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441,000 478,250
     재고자산 4,865,832 4,472,171
     기타유동자산 2,591,408 1,423,863
Ⅱ. 비유동자산 32,848,811 32,274,356
     비유동금융자산 994,407 663,592
     종속기업투자 5,036,250 5,036,250
     유형자산 26,818,154 26,574,514
자   산   총   계 54,622,865 52,678,004
부               채

Ⅰ. 유동부채 6,861,726 5,130,262
     유동금융부채 6,098,082 4,408,171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기타유동부채 763,644 722,091
Ⅱ. 비유동부채 142,918 8,426,315
     비유동금융부채 142,918 8,426,315
부   채   총   계 7,004,644 13,556,577
자                본

Ⅰ. 자본금 505,058 468,744
Ⅱ. 자본잉여금 183,757,084 174,904,399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1,352,030 3,056,134
Ⅳ. 이익잉여금(결손금) (137,995,951) (139,307,850)
자   본   총   계 47,618,221 39,121,427
부채와자본총계 54,622,865 52,678,004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5(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44(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애머릿지코퍼레이션 (단위 : USD)
과      목 제 45(당) 기  제 44(전) 기 
Ⅰ. 매출액 40,855,225 40,634,156
Ⅱ. 매출원가 (19,408,246) (18,643,775)
Ⅲ. 매출총이익 21,446,979 21,990,381
     판매비와관리비 (19,666,143) (19,260,533)
Ⅳ. 영업이익 1,780,836 2,729,848
     기타영업외수익 551,850 1,592,918
     기타영업외비용 (59,076) (1,006,805)
     금융수익 59,052 51,558
     금융비용 (1,020,763) (1,894,738)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311,899 1,472,781
Ⅵ. 법인세비용 - -
Ⅶ. 당기순이익(손실) 1,311,899 1,472,781
Ⅷ. 기타포괄이익(손실) - -
IⅩ. 총포괄손익 1,311,899 1,472,781
X. 주당이익(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0.04 0.05
    희석주당이익(손실) 0.04 0.05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45(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44(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애머릿지코퍼레이션 (단위 : USD)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결손금) 총   계
2021년 1월 1일(전기초) 375,693 153,571,067 6,264,464 (140,780,631) 19,430,593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손실) - - - 1,472,781  1,472,781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18,952 3,557,598 - - 3,576,550
 전환사채의 전환 74,099 17,775,734 (3,203,084) - 14,646,749
 자기주식 증감 - - (5,246) - (5,246)
2021년 12월 31일(전기말) 468,744 174,904,399 3,056,134 (139,307,850) 39,121,427
2022년 1월 1일(당기초) 468,744 174,904,399 3,056,134 (139,307,850) 39,121,427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 1,311,899  1,311,899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전환사채의 전환 36,314  8,852,685  (1,704,104)  - 7,184,895 
 자기주식 증감 - - - - -
2022년 12월 31일(당기말) 505,058  183,757,084  1,352,030  (137,995,951)  47,618,221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45(당) 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44(전) 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애머릿지코퍼레이션 (단위 : USD)
과      목 제 45(당) 기 제 44(전)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107,255 6,306,433
 (1) 당기순이익(손실) 1,311,899 1,472,781
 (2) 당기순이익(손실) 조정을 위한 가감 1,891,890 4,856,341
  대손상각비(환입) (20,000) 20,506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151,788)
  감가상각비 3,202,680 2,550,756
  기타의 대손상각비 (130,342) 795,580
      당기손익-공정가치 지분상품 평가손실 8,053 8,274
  이자비용 1,020,763 1,889,043
    사채상환손실 - 5,695
  손해배상금 - (30,081)
  외화환산손실 51,024 11,021
  이자수익 (59,052) (51,558)
  외화환산이익 (421,509) (1,138,147)
  채무면제이익 - (233,400)
  잡이익 - 131,282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의 감소(증가) (241,000) 2,807,561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393,661) (1,787,532)
  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1,167,545) 1,881,203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의 증가(감소) - (250,884)
  기타유동부채의 증가(감소) 42,479 (1,601,190)
 (3)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지급액 (96,534) (22,689)
      이자의 수취 59,052 51,558
      이자의 지급 (155,586) (74,247)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718,891) (9,016,347)
   단기대여금의 감소 1,000,000 4,105,353
   장기대여금의 감소 217,844 5,120,331
   보증금의 감소 - 1,500
   단기대여금의 증가 (167,000) (5,695,225)
   장기대여금의 증가 (323,415) (6,224,287)
   보증금의 증가 - (610,996)
   유형자산의 증가 (3,446,320) (5,707,777)
     자기주식의 증가 - (5,246)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46,815 3,154,851
     전환사채의 발행 149,450 -
   유상증자 - 3,576,550
   단기차입금의 상환 (2,635) (421,699)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165) (88)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Ⅳ) 535,014 444,849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5,098,825 4,653,976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5,633,839 5,098,825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4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USD4,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7( 4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USD412,480
최고한도액 USD4,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USD2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USD48,000
최고한도액 USD2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1. 당사의 주된 영업장소는 미국에 소재하고 있으며 본 주주총회에 당사 임원들이 참석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413000357

애머릿지 (90010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