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4 16:22: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4001118
2024 년 3 월 14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하이딥 | |
대 표 이 사 : | 고 범 규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644번길 49 DTC타워 10층 | |
(전 화) 031-717-5775 | ||
(홈페이지)https://www.hideep.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고 태 훈 |
(전 화) 031-717-5775 | ||
(제4기 정기) |
제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통지(공고)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9조에 의하여 제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29조 2항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액주주에 대하여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29일 (금) 오전 11시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44번길 49 DTC타워 10층 ㈜하이딥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4기(2023.01.01~2023.12.31) 개별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회 결의로 기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 승인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를 위한 재직기간 관련 조문 정비)
제7호 의안 : 임원퇴직금지급규정 일부 개정 승인의 건
(경영성과급 퇴직연금 적립제도 도입)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참석
- 직접행사 : 신분증 지참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위임인의 인감날인),
위임인의 인감증명서(최근 3개월 이내),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사항
- 주주총회시 참석주주님을 위한 주총기념품은 별도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신현철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1 | 2023.03.15 | 1. 전기(2021년) 재무제표 정정 승인(안) | 찬성 |
2. 제3기 개별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안) | 찬성 | ||
3. 제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승인(안) | 찬성 | ||
2 | 2023.06.14 |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안) | 찬성 |
2. 공시정보관리규정 전부 개정(안) | 찬성 | ||
3. 주식매수선택권운영규정 전부 개정(안) | 찬성 | ||
4. 영업비밀관리규정 제정(안) | 찬성 | ||
3 | 2023.09.15 |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안) | 찬성 |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안) | 찬성 | ||
4 | 2023.09.20 |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안)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000,000 | 12,000 | 12,000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제3기 정기주주총회(2023년 3월 31일)에서 승인된 이사의 보수 한도금액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반도체 산업내 회사는 설계에서 생산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는 종합반도체 회사(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 IDM),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회사(Fabless), 팹리스 회사나 종합반도체 회사로 부터 위탁받아 반도체 제작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파운드리 회사(Foundry), 반도체 원판(웨이퍼) 조립이나 패키징 등 후공정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패키징 회사(Packaging) 또한 이를 전문적으로 테스트를 하는 테스트 회사(Tes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와 같은 팹리스 회사는 생산설비를 보유하지 않고 설계된 제품을 파운드리 회사(Foundry)에 위탁하여 양산하고 있습니다. 파운드리 회사(Foundry)를 통하여 가공된 웨이퍼는 검사전문업체에서 웨이퍼 테스트를 거친 후 조립전문업체(패키징 회사)에서 패키징 공정 후 검사전문업체(테스트 회사)의 테스트를 거쳐 제품이 출하가 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Digital Transformation 및 Metaverse등의 연결과 접점에 필요한 모바일기기에 사용 가능한 Digital Input Interface solution을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사용자들이 모바일 기기들을 사용하기 쉽고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UX/UI를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IC, 알고리즘, 센서, Stylus 등의 전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노트북 등의 글로벌 모바일 기기용 On-cell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에 대응 가능한 차세대 Touch Solution기술과 Stylus Solution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 686개의 국내 및 글로벌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여 당사만의 독자적인 개발 기술들에 대한 강력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고 또한 당사 개발 기술들에 대한 보호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현재 세계 최초로 On-cell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고객사의 2021년 스마트워치 모델 및 2022년 스마트워치 모델에 대해 공급자로 선정되어 제품을 공급해 오고 있으며, 2023년 연간 105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당사의 핵심역량은 전체인력의 약 76%에 해당하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연구인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2015년 Apple보다 앞서 스마트폰에서 압력을 인식하는 3D Touch기술의 상용화에 성공하였고 2014년 이후 프리미엄 태블릿 모델 들에서 당사의 Touch IC 로 1mm conductive 스타일러스 기능을 구현하여 양산 진행한 이력이 있습니다. 현재는 OLED 디스플레이의 최신 기술인 LTPO On-cell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에 대해 안정적인 터치 성능의 확보가 가능한 독자 기술을 개발하여 양산 적용 중이며 또한 최신 OLED 디스플레이에서 최고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당사 사업(기술)의 핵심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사는 연간 18억대 규모의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에게 보다 더 편리한 사용자 경험을 줄 수 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기술을 포함한 전체 솔루션을 개발해 왔습니다.
② 2025년 기준 약 10억대의 스마트폰에 적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OLED 디스플레이, 특히 프리미엄 모델들에 사용되고 있는 On-cell Flexible OLED디스플레이에 적용가능한 Touch Solution과 Stylus Solution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③ Sensor, Touch IC, Stylus 와 함께 구동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포함한 전체 솔루션을 개발합니다.
④ 당사의 솔루션들은 Foldable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최신의 On-cell Flexible OLED 디스플레이에서 요구되고 있는 모든 성능 지표를 만족할 수 있습니다.
⑤ 판매제품은 Touch IC와 Stylus이고, 기술 분야를 확대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반도체 IC 에 대한 공식 기관의 자료가 없으며, 발주량 또는 수주량 등의 수치를 확인하기 어렵고, 실질적인 시장점유율 추정이 불가능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및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① 시장의 특성
당사 기술들에 대한 주력 목표 시장은 전체 약 18억개 규모의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노트북 시장입니다. 특히 OLED를 사용하는 전체 모바일 기기를 목표로 합니다.
② 주요 목표시장
당사는 기술 우위를 이용한 사업화 전개를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회사의 운영 전략으로 하여 회사의 다음 단계를 결정합니다. 시장에서의 요구사항을 한발 앞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획, 개발과 마케팅 세부 전략을 확정하며 대응합니다. 향후 2-3년간 당사가 지향하는 목표 시장은 간단하지만 명확하게 아래의 표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구 분 | 주 요 현 황 | |
주요 | 1단계: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 연간 스마트폰 약 12억대, |
2단계: 태블릿, 노트북 | 연간 태블릿 약 1억6천만대, | |
3 단계: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 연간 차량용 디스플레이 약 250백만개 시장규모 |
③ 시장의 규모 및 성장성
ⅰ) 스마트폰용 Touch IC
Global Smartphone 시장규모는2023년1.16B unit 입니다. Smartphone에 Touch 기능이 기본 탑재되므로 Touch에 대한 시장 규모는 대략 $1.16B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Touch IC $1/개로 계산)
[ 2023 smartphone 출하량 ] |
2023년 기준 전체 스마트폰 예상 출하량 1.16B unit의 약 77%인 0.89B unit을 상위 6개사가 점유하고 있고, 상위 5개사는 Apple, Samsung, Xiaomi, OPPO, Transsion, VIVO입니다.
ⅰ-ⅰ) 스마트폰용 OLED 디스플레이 시장
2023년 Statista데이터에 따르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중 OLED디스플레이의 채택비율이 2021년 41%를 넘어서기 시작하여 2023년 50.4% 비율, 2025년 59.4% 로 10억대 이상의 규모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2018년 434백만대 대비 약 136% 증가되는 수치로, 당사가 OLED디스플레이용 Touch와 Stylus기술에 집중하는 이유가 설명될 수 있습니다.
[ Global smartphone unit shipments, by display technology ] |
ⅱ) 스마트워치용 Touch IC
Mordor Intelligence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워치 시장은 2021-2026년 동안 21.98%의 CAGR로 성장이 예상되고 2026년까지 2억3천만대 규모로 예측됩니다. 스마트워치에 Touch 기능이 기본 탑재되므로 Touch에 대한 시장 규모는 대략 $230M 규모로 추정됩니다. (Touch IC $1/개로 계산)
2023년 스마트워치 출하량은 1억3천만대로 추정됩니다. 2022년 1억5천만대 기준 13% 감소하였습니다.
[ 글로벌 스마트워치 시장 ] |
ⅱ-ⅰ) 스마트워치용 OLED 디스플레이 시장
2022년 Grand view research자료에 따르면, 스마트워치에는 OLED Display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 ] |
ⅲ) 스타일러스 지원 IC
아래 그림(삼성디스플레이 라인업, 2021 SID)은 2021 SID(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에서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의 발표 자료 중 삼성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라인업 내용에 대한 발췌 부분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는 폴더블폰 사이즈 이상의 모든 디스플레이에 Pen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 삼성디스플레이 라인업, Source : 2021 SID ] |
ⅳ) 차량 디스플레이용 Touch IC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2029년 약 250백만개의 수량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예측, Source : 2023 Omdia ] |
[ Omdia Automotive Display Intelligent Service ] |
특히 당사가 중점을 두고 있는 OLED디스플레이의 시장 규모는 2027년 약 4.7백만대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Source: 2023 Omdia)
(4)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4기(2023.01.01~2023.12.31) 개별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기 이전 회사의 가결산 추정치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 사항은 향후 제출될 감사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재 무 상 태 표 | |
제 4(당) 기말 :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3(전) 기말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단위 : 원) |
과 목 | 제 4(당) 기말 | 제 3(전) 기말 |
---|---|---|
자산 | ||
유동자산 | 19,309,258,669 | 32,254,856,894 |
현금및현금성자산 | 5,068,498,270 | 19,933,495,801 |
단기금융상품 | 9,289,400,000 | - |
매출채권 | 139,177,836 | 1,858,956,550 |
기타유동금융자산 | 686,172,071 | 1,099,058,712 |
재고자산 | 3,086,364,718 | 8,099,592,183 |
계약자산 | - | 431,108,823 |
유동성파생상품자산 | 392,672,000 | 54,614,000 |
기타유동자산 | 570,464,054 | 739,927,215 |
당기법인세자산 | 76,509,720 | 38,103,610 |
비유동자산 | 6,779,333,719 | 5,891,525,960 |
장기금융상품 | 77,385,134 | 72,370,442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480,645,662 | 387,976,292 |
유형자산 | 1,163,196,681 | 1,465,485,976 |
무형자산 | 2,766,176,695 | 2,864,719,881 |
순확정급여자산 | - | 60,464,943 |
기타비유동자산 | 1,291,929,547 | 1,040,508,426 |
자산 총계 | 26,088,592,388 | 38,146,382,854 |
부채 | ||
유동부채 | 10,349,849,820 | 6,318,237,582 |
매입채무 | 26,834,300 | 141,814,527 |
기타유동금융부채 | 399,550,391 | 525,418,520 |
계약부채 | - | 4,762,134,630 |
유동성전환사채 | 8,861,408,104 | - |
유동성리스부채 | 598,485,066 | 657,570,719 |
유동성충당부채 | 91,246,551 | - |
기타유동부채 | 372,325,408 | 231,299,186 |
비유동부채 | 337,133,421 | 13,620,990,094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97,770,043 | - |
순확정급여부채 | 120,500,095 | - |
전환사채 | - | 12,900,480,443 |
리스부채 | 32,788,831 | 569,436,793 |
충당부채 | - | 79,237,340 |
기타비유동부채 | 86,074,452 | 71,835,518 |
부채 총계 | 10,686,983,241 | 19,939,227,676 |
자본 | ||
자본금 | 14,352,391,600 | 13,745,735,200 |
자본잉여금 | 64,194,522,819 | 57,801,660,333 |
기타자본항목 | 2,611,246,541 | 2,671,824,495 |
결손금 | (65,756,551,813) | (56,012,064,850) |
자본 총계 | 15,401,609,147 | 18,207,155,178 |
자본 및 부채 총계 | 26,088,592,388 | 38,146,382,854 |
포괄손익계산서 |
제 4(당)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 3(전) 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당) 기 | 제 3(전) 기 |
---|---|---|
매출 | 10,483,522,724 | 18,145,498,845 |
매출원가 | 8,849,155,795 | 11,924,947,670 |
매출총이익 | 1,634,366,929 | 6,220,551,175 |
판매비와관리비 | 10,248,894,019 | 8,492,139,884 |
영업손실 | (8,614,527,090) | (2,271,588,709) |
기타수익 | 7,864,906 | 2,186,569 |
기타비용 | 192,497,057 | 5,107,833,011 |
금융수익 | 1,210,203,600 | 957,286,652 |
금융비용 | 1,490,976,841 | 1,091,057,378 |
법인세차감전순손실 | (9,079,932,482) | (7,511,005,877) |
법인세수익 | 297,508,508 | (528,104,982) |
당기순손실 | (9,377,440,990) | (6,982,900,895) |
기타포괄손익 | (367,045,973) | 79,817,687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포괄손익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재측정요소 | (367,045,973) | 79,817,687 |
당기 총포괄손실 | (9,744,486,963) | (6,903,083,208) |
주당손실 | ||
기본주당손실 | (67) | (53) |
희석주당손실 | (67) | (53) |
현 금 흐 름 표 | |
제 4(당)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3(전) 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구 분 | 제 4(당) 기 | 제 3(전) 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498,126,550) | (3,774,503,155)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3,891,484,561) | (3,948,872,666) |
이자의 수취 | 496,858,891 | 245,901,047 |
이자의 지급 | (65,094,770) | (35,100,416) |
법인세의 환급(납부) | (38,406,110) | (36,431,120)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1,012,258,995) | 9,570,426,890 |
합병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 - | 8,976,811,921 |
임차보증금의 감소 | 683,810,240 | 1,576,148,000 |
임차보증금의 증가 | (1,412,674,183) | (417,950,000) |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11,267,300,000 |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20,569,580,000) | - |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 - | 10,200,000 |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 - | (2,100,000) |
유형자산의 취득 | (453,907,000) | (31,324,000) |
무형자산의 취득 | (30,800,000) | (41,290,000) |
장기선급금의 증가 | (544,739,470) | (499,899,031) |
기타보증금의 증가 | - | (170,000) |
정부보조금의 수령 | 48,331,418 |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23,118,001) | 12,970,459,792 |
주식선택권의 행사 | 165,536,932 | 290,610,508 |
전환사채의 발행 | - | 14,000,000,000 |
주식발행비용 지급 | (18,341,716) | (139,201,650) |
자기주식의 취득 | - | (84,792) |
정부보조금의 수령 | 97,770,043 |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 | (1,000,000,000) |
리스부채의 상환 | (668,083,260) | (159,984,274) |
정부보조금의 상환 | - | (20,880,00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 (14,933,503,546) | 18,766,383,527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19,933,495,801 | 1,045,355,475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68,506,015 | 121,756,799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5,068,498,270 | 19,933,495,801 |
자 본 변 동 표 | |
제 4(당)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3(전) 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구 분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결손금 | 합 계 |
---|---|---|---|---|---|
2022.01.01(전기초) | 2,245,799,000 | 52,039,710,656 | 3,013,046,650 | (49,108,981,642) | 8,189,574,664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실 | - | - | - | (6,982,900,895) | (6,982,900,895)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재측정요소 | - | - | - | 79,817,687 | 79,817,687 |
소유주와의 거래: | |||||
합병으로 인한 변동 | 11,054,893,500 | 2,473,120,332 | (536,939,269) | - | 12,991,074,563 |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192,496,500 | (192,496,500) | - | - | - |
주식발행비용 | - | (139,201,650) | - | - | (139,201,650) |
주식선택권의 행사 | 252,546,200 | 1,278,270,833 | (1,093,357,894) | - | 437,459,139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84,792) | - | (84,792) |
주식보상비용 | - | - | 1,289,159,800 | - | 1,289,159,800 |
전환사채의 발행 | - | 2,342,256,662 | - | - | 2,342,256,662 |
2022.12.31(전기말) | 13,745,735,200 | 57,801,660,333 | 2,671,824,495 | (56,012,064,850) | 18,207,155,178 |
2023.01.01(당기초) | 13,745,735,200 | 57,801,660,333 | 2,671,824,495 | (56,012,064,850) | 18,207,155,178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실 | - | - | - | (9,377,440,990) | (9,377,440,990)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재측정요소 | - | - | - | (367,045,973) | (367,045,973) |
소유주와의 거래: | |||||
전환사채의 전환권 행사 | 470,548,600 | 4,922,486,225 | - | - | 5,393,034,825 |
주식선택권의 행사 | 136,107,800 | 1,488,717,977 | (1,258,762,142) | - | 366,063,635 |
주식발행비용 | - | (18,341,716) | - | - | (18,341,716) |
주식보상비용 | - | - | 1,198,184,188 | - | 1,198,184,188 |
2023.12.31(당기말) | 14,352,391,600 | 64,194,522,819 | 2,611,246,541 | (65,756,551,813) | 15,401,609,147 |
결손금처리계산서 |
제 4 기 (2023. 1. 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3 기 (2022. 1. 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당) 기 | 제 3(전) 기 | ||
1. 미처리결손금 | | 65,756,551,813 | | 56,012,064,850 |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56,012,064,850 | | 49,108,981,642 | |
순확정급여부채(자산) 재측정요소 | 367,045,973 | | (79,817,687) | |
당기순손실 | 9,377,440,990 | | 6,982,900,895 | |
2. 결손금 처리액 | | - | | - |
3.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 65,756,551,813 | | 56,012,064,850 |
※ 재무제표의 주석과 관련된 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62,725,001 |
최고한도액 | 1,000,000,000 |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000,000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000,000 |
최고한도액 | 50,000,000 |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제4호 의안 : 이사회 결의로 기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당사는 2023년 9월 15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경영 성과 창출, 경쟁력 확보 등 회사 경영에 기여 할수 있는 임직원에 대한 보상과 임직원의 동기부여를 위해 임직원 총 15명을 대상으로 총 1,300,000주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습니다.
본 안건은 2023년 9월 15일 이사회에서 결의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내용을 제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기 위한 것이며, 동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와 관련된 상세 내용은 2023년 9월 15일 공시된 주식매수선택권부여에 관한 신고 공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제5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의 단기,중장기 경영 성과 창출, 경쟁력 확보 등 회사 경영에 기여 할수 있는 임직원에 대한 보상과 임직원의 동기부여 등 적극적인 참여, 협조를 유도하고 우수 임직원의 확보를 목적으로 함.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조영호 | 등기임원 | 부사장 | 보통주 | 250,000 |
김윤정 | 등기임원 | 부사장 | 보통주 | 250,000 |
000외 31명 | 임직원 | - | 보통주 | 1,225,000 |
총 34명 | - | - | - | 총 1,725,000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교부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기명식 보통주 1,725,0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상법 제340조의2 제4항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의 규정(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 직전 2개월, 1개월 및 1주일간의 거래량 가중평균종가의 산술평균 가격)을 준용하여 산정 예정임. 2. 행사기간 2027.03.30~2032.03.29 | - |
기타 조건의 개요 |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는 주총승인 후 시행가능하므로, 시행일을 기준으로 그 부여대상,부여주식수 및 행사가격 등이 변동 될 수 있음. - 부여일 이후 행사일 이전에 유,무상증자,주식배당,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주식분할과 병합 등의 사유로 행사가격 및 수량의 조정이 가능함. - 관계법령 및 당사 정관등에 근거하여 상기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를 취소할 수 있음. - 기타 세부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법규 당사 정관 및 계약서 등의 정함에 따름.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 주식수 (주1) | 잔여 주식수 (주2) |
---|---|---|---|---|
143,523,916 |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범위내 | 기명식 보통주 | 21,528,587 | 12,931,626 |
주1) 부여가능주식수는 부여범위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교부할 수 있는 주식의 총수 입니다.
주2) 잔여주식수는 최근일 현재 기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을 제외하고 추가로 부여할 수 있는 주식매수선택권을 의미합니다.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 종류 | 부여 주식수 | 행사 주식수 | 실효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2023년 | 2023년 9월 15일 | 15명 | 기명식 보통주 | 1,300,000 | - | - | 1,300,000 |
2023년 | 2023년 3월 31일 | 34명 | 기명식 보통주 | 1,475,000 | - | - | 1,475,000 |
2021년 | 2021년 3월 31일 | 18명 | 기명식 보통주 | 1,177,828 | 248,714 | 155,805 | 773,309 |
계 | - | 총 67명 | 총 3,952,828주 | 총 248,714주 | 총 155,805주 | 총 3,548,309주 |
주1) 위 잔여주식수는 최근일 현재 미행사된 주식매수선택권을 의미합니다.
주2) 2022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내역이 없으므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주3) 2023년 09월 15일에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은 상법 제542조의 3 제3항 및 당사 정관 제12조에 의거하여 2023년 09월 15일 이사회에서 결의되었으며, 이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을 예정입니다.
주4) 부여인원은 각 사업년도별 부여인원의 단순합 입니다.
□ 정관의 변경
제6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 승인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장 주식 | 제2장 주식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대표이사가 별도로 정한 재임 또는 재직기간 이내에 사망하거나 그 밖에 본인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를 위한 재임 또는 재직기간의 요건을 명확히 함. |
※ 기타 참고사항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제7호 의안 : 임원퇴직금지급규정 일부 개정 승인의 건
가. 상법 제388조 및 당사 정관 제44조의 규정에 의한 임원퇴직금지급규정 일부 개정사항을 승인 받고자 함.
나. 임원퇴직금지급규정 내 신규항목 추가
제6조 (퇴직금)
③ 임원의 퇴직금은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규약',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 규약' 및 '혼합형퇴직연금제도 규약'에 따른 퇴직연금 제도를 통해 운영할 수 있다.
또한 혼합형과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임원은 경영성과급의 50%를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 계정에 납입할 수 있다.
④ 퇴직연금규약에 따라 혼합형 및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에 가입한 임원의 경우,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 계정으로 납입하는 금액의 기초임금은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서 정한 기준에 의해 산정하고, 임원별 적립비율은 제1항 각 호에 의한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21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당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당사 홈페이지(https://www.hideep.com) 공지사항 게시판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당사는 제4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시 코스닥협회의 주주총회 분산 개최 권고에 따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주주총회 개최를 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400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