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4-24 15:3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424000335
2023년 4월 24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 |
대 표 이 사 : | 김정열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327번길 11-35 | |
(전 화) 031-465-3366 | ||
(홈페이지) http://www.m2i.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박태훈 |
(전 화) 031-465-3366 | ||
(제25기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8조에 의거 제25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3년 5월 9일(화) 오전 9시
2. 장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327번길 11-35, 엠투아이빌딩 1층 회의실
3. 부의안건
1) 제 1 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의 건
2) 제 2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 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성용 선임의 건
제 2-2호 의안 : 사내이사 송종현 선임의 건
제 2-3호 의안 : 사외이사 최철웅 선임의 건
3) 제 3 호 의안 : 감사 정주영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이므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사항이 없습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 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4월 29일 ~ 2023년 5월 8일
- 기간 24시간 동안 시스템 접속 가능 (단, 시작일은 오전 9시부터 마지막 날은 오후 5시 까지만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하기 준비물 미지참 시 출입이 제한 됩니다.)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 인감 날인),
주주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7.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에 관한 안내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ㆍ밀집ㆍ밀접)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ㆍ합창ㆍ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주총회 참석시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기를 '적극 권고' 드립니다. COVID-19에 따른 정부 지침이 변경될 수 있어 주주총회 당일입장 규정도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등 비상사태 발생 시 일정/장소 변경 및 기타 집행 관련 세부사항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합니다.
2023년 4월 24일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대표이사 김 정 열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사외이사 이은철 (출석률: 100%) | 기타 비상무이사 최백용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22-1 | 2022.02.10 | 1) 제23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3기 현금배당 결의의 건 3) 전자투표제도 채택에 대한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 | - | ||
22-2 | 2022.03.10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안건 승인 및 소집 통지의 건 1)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정관 일부 개정의 건 3) 사외이사 선임의 건 4) 감사 중임의 건 5)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6)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22-3 | 2022.06.13 | 법인 연대보증에 관한 건(우리사주조합 관련) | 찬성 | 찬성 |
23-1 | 2023.02.08 | 1. 제24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4기 현금배당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23-2 | 2023.03.14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안건 승인 및 소집 통지의 건 1) 제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사내이사 김정열 중임의 건 3)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23-3 | 2023.03.29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23-4 | 2023.04.24 | 1. 전자투표제도 채택에 대한 결의의 건 2. 제25기 임시주주총회 안건 승인 및 소집 통지의 건 1) 정관 일부 개정의 건 2) 이사 선임의 건 3) 감사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5,000 | 24 | 24 | -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를 포함한 이사 보수한도에 대한 주주총회 승인 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주1) 최근 사업연도 기준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HMI는 산업 현장에서 PLC 및 서보, 모터, 모션컨트롤러, 센서, I/O 등의 각종 제어기기와 이를 사용하는 사람 간의 인터페이스로, 컴퓨터 기술과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각종 제어기기에 대한 모니터링, 명령, 제어 등의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혹은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과거에는 산업 현장에서 PLC 및 각종 제어기기를 운영하기 위해서 각종 램프와 스위치가 배치된 제어 판넬을 주로 사용하였습니다. 제어 판넬은 버튼을 추가하거나 변경이 어렵고, 복잡한 로직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에 현재와 같은 컴퓨터 기술과 통신 기술, 그리고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가 결합된 형태의 HMI 제품이 개발되면서 과거의 제어 판넬을 빠르게 대체해 왔습니다.
HMI를 사용함으로써 산업 현장의 사용자는 HMI 화면 상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다 확실한 제어기기의 모니터링과 제어기기의 보다 직관적인 운영이 가능해 졌으며, 경험이 많은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HMI 제조사의 교육을 통해 HMI 화면 구성을 자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사용자 수요에 적합한 HMI 화면 설계 및 HMI 운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당사의 스마트HMI는 기존 HMI와는 다른 차원의 성능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스마트팩토리 구축 시 요구되는 기기간의 연결성, 유연한 기능성, 안전성 및 보안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20년 이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제조사의 다양한 자동화 제어기기 통신 드라이버들을 라이브러리화 하여 축적하고 있어 IoT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구형 기기들도 당사 스마트HMI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IoT 시스템과 연동하여 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부문별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스마트HMI 부문
일반적인 자동화 공장에서의 HMI는 현장 자동화 제어기기로 주로 사용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한 다양한 제어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생산 현장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사용자 조작을 통해 현장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합니다.
당사는 기존 공장 자동화에 적용되는 전통적인 HMI의 역할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스마트팩토리에 최적화된 스마트HMI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기존 HMI와 차별화된 제품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네트워크, 보안 및 안전 기능을 지원하고 업계 최초로 쿼드코어 CPU에 최적화된 Runtime OS를 탑재한 TOPR 시리즈를 개발하여 출시하였으며, 로봇 분야 및 물류 현장과 같이 제어 대상의 이동과 배선의 제약이 존재하는 산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무선 HMI 기기인 TOPRH 시리즈를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폭발 위험성 가스가 있는 현장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방폭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염수와 진동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는 선박 분야 적용을 위해 선급 인증도 획득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의 산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이 당사의 스마트HMI(TOPR 시리즈)는 스마트팩토리 및 다양한 현장 상황에서 사용가능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모바일, 2차 전지, 바이오/제약 등 많은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당사는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 및 사양 등에 대한 선제적인 개발을 통해 관련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스마트SCADA 부문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는 원격 감시제어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으로 주로 발전시설, 석유화학플랜트, 제철공장시설, 수처리시설 등의 산업 현장을 중앙에서 감시 및 제어하고 현장의 공정처리에서 발생되는 로그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함으로써 설비 및 프로세스의 합리적인 운용 및 효율적인 관리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 최근에는 산업용 컴퓨터와 SCADA의 가격 하락이나 HMI의 고도화 등에 따라 대형 발전시설이나 수처리시설 뿐만 아니라 스마트팩토리 컨셉의 단위 프로젝트에도 SCADA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SCADA 기능에 당사 스마트HMI와의 데이터베이스 연동, 현장 데이터 분석 및 리포팅, IoT 시스템, 클라우드(Cloud) 및 MES/ERP와의 연동이 가능한 스마트SCADA 시스템으로 TOP-VIEW(소프트웨어)와 TOP-PCVIEW(소프트웨어 탑재 PC)를 개발하여 출시하였습니다. 당사의 스마트SCADA는 스마트HMI와의 원활한 연결성과 호환을 위해 통합된 Runtime 엔진과 개발 소프트웨어 도구를 지원하여 사용자가 쉽고 경제적으로 HMI, SCADA가 포함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스마트SCADA는 스마트팩토리의 필수 구성요소인 데이터베이스, IoT 시스템, 클라우드 등과의 연동에 필요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과의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과 현장의 단말 제어기기에서부터 상위의 클라우드, MES/ERP 등의 레거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빅데이터의 수집, 가공, 분석, 전달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 스마트팩토리솔루션 부문
당사의 스마트팩토리솔루션은 상위 시스템과 현장의 단말 제어기기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1999년부터 각 산업에 표준으로 사용되는 산업용 네트워크와 다양한 종류의 자동화 장비 및 I/O 장치들의 통신 드라이버를 개발하였고, 이런 개발 경험과 노하우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왔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 기술력을 기반으로 스마트HMI와 스마트SCADA 제품 판매 뿐만 아니라, 2019년부터 상위 시스템과 현장의 단말 제어기기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 시스템 구축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사업을 새롭게 시작하였습니다.
[스마트HMI, 스마트SCADA, 스마트팩토리솔루션의 역할] |
(라) 기타 사업 부문
① 자동소화시스템 사업
각종 산업 시설 및 설비에 대한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적, 물적 피해 대책으로 생산 현장에 대한 화재 감지 시스템이나 화재 소화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생산 시설은 공정 특성상 장비 내에 가연성 가스와 폭발성 유독 가스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가스가 누출될 경우 화재 뿐만 아니라 폭발로 이어질 수 있고 인명 피해와 고가 장비에 대한 피해는 물론 공장 전체로 확산되어 대형 피해로 번질 우려가 있습니다. 당사는 스마트HMI를 이용한 현장 상태 모니터링 기술, PLC를 통한 제어기술, 각종 센서 모니터링 기술 등을 활용한 자동소화시스템을 개발 및 출시하였습니다.
당사의 자동소화시스템은 여러 산업분야 중에서 반도체 생산 설비에 최적화된 자동소화시스템으로 반도체 생산 장비 및 설비에 일체화되는 형식으로 장착되는 구조입니다. 반도체 장비는 일반 산업용과는 달리 폭발성 유독 가스 유출로 인한 폭발 방지를 위해 당사는 방폭 인증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안전성과 폭발 방지가 보증되는 부품이 적용된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당사의 자동소화시스템은 반도체 장비 내에서 발생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 감지된 화재를 수신하고 소화에 필요한 각종 출력을 담당하는 메인 컨트롤러, 발생된 화재를 소화시키는 소화장비부로 구성됩니다.
자동소화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는 화재 신호의 수신, 소화기 작동 출력 제어, 주요 부품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및 사용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는 주요 이벤트에 대한 기록 관리를 담당하는 장치입니다. 메인 컨트롤러에서 사용자에게 화재 및 부품 정보를 표시해주는 장치는 당사의 스마트HMI 기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하기 편리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용이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당사 스마트HMI 기기의 강점 중 하나인 네트워크 연결성을 활용하여 현장에 설치된 자동소화시스템에 대한 전체 상태 및 화재 정보를 관제센터뿐만 아니라 모바일, 클라우드와 연결하여 전달 가능합니다. 즉, 일반 자동소화시스템의 경우 네트워크가 지원이 안되는 폐쇄적인 시스템인 것에 비해 당사 자동소화 시스템은 스마트HMI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로 확장이 가능하게 됩니다.
[자동소화시스템 제품] |
(2) 산업의 성장성
(가) 스마트팩토리 세계/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센서, 로봇, 머신비전, 3D프린터 등 하드웨어 컴포넌트 분야와 SCADA, MES, ERP 등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과 HMI, PLC 등의 장치로 구성된 테크놀로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 세부 분류] |
시장분석 전문기관인 Markets and Markets의 2021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팩토리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7년 1,316.3억 달러에서 연평균 9.3% 성장하여 2022년에는 2,054.2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해당 기간 동안 컴포넌트 분야가 연평균 10.4% 성장, 테크놀로지 분야가 7.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 시장규모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시아가 미주 및 유럽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주요 기업들의 제조 공장이 낮은 인건비의 아시아 내 개발 도상국에 구축되고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도입이 타 지역 대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글로벌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당사의 주력 분야인 HMI와 SCADA 시장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세계 HMI 시장은 2017년 38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9.1% 성장하여 2022년에는 58.6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 SCADA 시장은 2017년 49.2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5.1% 성장하여 2022년에는 63.1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마트팩토리의 국내 시장 규모는 2017년 72.1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2.1% 성장하여 2022년에는 127.6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스마트팩토리 시장은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전체 산업 내 제조업의 비중이 높으며, 제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지원 정책이 확대되고 제조업체들의 스마트팩토리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나) 전방산업 현황 및 전망
당사의 스마트HMI 및 스마트SCADA 제품은 조립기기, 포장기기, 공작기계, 사출성형기기 등 전통적인 제조업에서 사용되는 기기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의 첨단 사업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성장사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모바일, 2차전지, 바이오 산업 등에 적용되는 각종 생산설비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 향후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스마트HMI 및 스마트SCADA 제품의 주요 전방산업 별 시장규모 및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반도체 산업
[각 제품별 전체 반도체 시장 비중 추이 및 5년 연평균 성장률] |
반도체 산업은 자율주행 자동차,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5G 스마트폰 등의 시장 확대로 대용량 메모리 및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수요 증가가 이어져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세계 반도체 시장은 2020년 대비 25.1% 증가한 5,509억 달러 (약 700조 원) 규모로 전망되며 2022년은 10.1%의 성장이 예상되어 1년만에 역대 최대 기록을 갱신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국가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
2021년 기준 전세계 반도체 시장은 미국이 약 54% 점유율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에는 2013년 이후부터 시장점유율 기준 2위로, 2021년의 경우에는 22%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됩니다.
[2022년 전 세계 상위 10개 반도체 공급업체 매출 순위] |
세계 반도체 기업들의 개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2022년을 기준으로 삼성전자가 1위(656억 달러·10.9%), 2위 인텔(584억 달러·9.7%), 3위 SK하이닉스(362억 달러·6.0%), 4위 퀄컴(347억 달러·5.8%), 5위 마이크론(276억 달러·4.6%)순으로 집계됩니다.
글로벌 반도체 불황 속에서도 국내 반도체 회사들은 지속적인 투자를 통하여 반도체 시장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2022년 평택3공장 완공에 이어 평택4공장 건설 및 평택5~6공장을 계획 중이며, 미국에 170억 달러(약 22조 원)에 달하는 제2 파운드리 공장을 2024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공사 진행 중입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122조 원 규모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은 반도체 시장 중 시스템 반도체 시장 점유율이 3%에 불과해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시장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기관인 Gartner에 따르면, 국내 시스템 반도체 시장은 2018년 8조 4,156억 원 규모이며, 이후 연평균 4.11%의 성장률을 보이면서 2023년에는 10조 2,944억 원의 시장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 설비투자 규모]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축소가 전망되면서 반도체 업체들의 설비투자 규모가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인텔, 삼성전자,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2022년 설비투자 금액은 1,817억 달러 규모로 집계되었으며, 2023년 설비투자 규모는 2022년 대비 19% 감소한 1,466억 달러로 예상되었습니다.
② 2차전지 산업
[2020~2025년 2차전지 수요 공급 예상] |
[2020~2025년 전기차 판매량 및 침투율 예상] |
전세계 2차전지 수요는 2020년 300GWh에서 2025년 1,200GWh까지 매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차전지 수요 대부분은 Electric Mobility 부문의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예상됩니다. Electric Mobility 부문에서 친환경차 의무 판매 비중 확대 정책 및 소비자 인식의 변화로 전기차 보급은 계속해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세계 순수 전기차의 판매량은 2020년 380만대에서 2025년 1,800만대까지 증가하며 침투율도 2021년 8%에서 2025년 20%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상적으로 완성차 부품은 IT보다 개발 기간과 부품 수명 주기가 긴 특징으로 현재 배터리 업체 수주 물량은 2022년 이후 출시 예정인 모델을 타겟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2차전지 업체의 향후 증설계획은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신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에 따라 구조적으로 2차전지의 수요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통상 배터리 셀 업체가 1GWh Capa 증설에 필요한 공정장비 규모는 약 500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2차 전지 장비 시장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약 4년간 65조 원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차전지 셀 업체별 capa 전망] |
국내2차전지 업체들은 본격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습니다. 국내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2차전지 Capa는 2021년 235GWh에서 2025년 769GWh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2차전지 Capa는 2021년 155GWh에서 2025년 432GWh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폴란드와 중국에서 대규모 증설 중이며, 주요 고객사는 GM과 Volkswagen, Daimler, Renault, Ford, Volvo, 현대기아차 등이 있습니다.
삼성SDI의 2차전지 Capa는2021년 40GWh에서2025년 115GWh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헝가리와 국내를 중심으로 증설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BMW와Volkswagen, Audi, Chrysler 등이 있습니다.
SK온의 2차전지 Capa는2021년 40GWh에서2025년 222GWh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헝가리와 미국을 중심으로 증설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Volkswagen, Daimler, 현대기아차 등입니다.
③ 디스플레이 산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는 색 재현율과 응답속도가 높아 자연스러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바탕으로 TV, 스마트폰 분야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조명 등 적용 분야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DSCC의 조사에 따르면 2021년 OLED 패널 시장 규모는 425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OLED 패널 시장 규모는 연평균 8% 성장해 오는 2025년에는 6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OLED 시장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스마트폰용 OLED가 2025년까지 연평균 6% 성장하고 TV용 OLED 패널은 매년 평균 9%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 전망(2018~2025년)] |
OLED 디스플레이는 국내 기업인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시장 및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고, 중국 등의 업체가 추격하는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LG디스플레이는 TV 등 대형 OLED 패널 시장에서 전세계 점유율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2020년 기준 중소형 OLED 패널 시장에서 73%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9년 10월 10일 하반기 퀀텀닷(QD) OLED로의 전환 및 LCD 라인 전면 가동 중단 계획에 대해 알리면서 OLED 경쟁사들과의 기술 격차를 넓히기 위하여 2020년 하반기부터 2025년까지 QD-OLED에 13조 1,000억 원을 투입하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의 Q1라인의 기술을 QD-OLED라고 칭했으며, LCD 생산라인인 아산L8공장을 QD-OLED 디스플레이 생산라인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세워 시설 투자에 10조 원, 기술과 공정 개발에 3조 1,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전체 설비투자는 2021년 11.6조 원, 2022년 11.4조 원 규모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 연간 capex 전망(2013~2022)] |
자료: 삼성디스플레이,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삼성디스플레이 설비 투자 전망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21년, 6세대 중소형 OLED 생산라인 증설에 3년간(2021년 8월~2024년 3월) 약 3.3조 원을 투입하겠다는 중장기 플랜을 내놓았습니다. 지난해, 발표된 대규모 시설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면서 LG디스플레이의 중소형 OLED 시장 공략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라고 언론들은 보도했습니다.
LG디스플레이가 중소형 OLED 시설투자 관련하여 조 단위 규자 규모에 나선건 지난 2017년 이후 처음이며 당시에는 총 8조 원에서 중소형 OLED에만 5조 원 정도 투입되었습니다.
④ 자동차 산업
전문 시장조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전체 자동차 판매대수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할 것으로 예측되나 기존의 내연기관의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트렌드는 바뀔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세계 자동차 판매대수 예측(2015~2040년)] |
또한, 정부에서는 국내 전기차 및 수소차 판매비중이 2019년 2.6%에서 2030년 33.3%까지 약 13배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누적판매대수는 전기차 300만대, 수소차 85만대를 전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전기차 및 수소차 충전소 보급 계획을 전국적으로 수립하고 있습니다.
[내연 기술 개발 로드맵(2018~2026년)] |
현대자동차는 2019년 12월 투자 설명회에서 급격한 산업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주도하기 위하여 2025년까지 61조 원 이상의 자금을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래자동차를 중심으로 젊은 고객층 및 기업 고객 시장을 적극 공략해 빠르게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방침으로 2025년까지 배터리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의 연간 글로벌 판매를 총 67만 대(배터리 전기차 56만 대, 수소전기차 11만 대)로 확대해 글로벌 3대 전기차(배터리전기차, 수소전기차)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한편, 제네시스 브랜드는 2021년부터는 전용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2024년 이후부터 전기차 라인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할 계획으로 지속적인 투자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6개년 투자계획(2020~2025년)] |
⑤ 바이오 산업
바이오 의약품의 전세계 매출은 2019년 2,660억 달러로 전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29%의 비중을 차지하며 향후 6년(2020년~2026년)간 연평균 10.1% 성장해 2026년에는 시장 규모가 5,050억, 전체의약품 시장의 35%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환자 증가, 경제 성장에 따른 소득수준 향상 등으로 의료분야 지출이 확대되며 전체 의약품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의약품은 생물공학기술(유전자재조합 기술, 세포배양 기술 등)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단백질)을 원료 및 재료로 해서 만든 의약품을 말합니다. 바이오의약품은 합성의약품 대비 독성이 낮아 부작용이 적고, 표적 장기에 직접적 효능을 발휘하여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습니다. 최근 합성신약 성공빈도가 낮아져 R&D 투자 효율성이 낮아지고 있는 반면 바이오의약품은 생명 공학기술 발전 등으로 성공확률이 높아 제약업체들의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세계 바이오의약품 매출액 추이와 전망(2010~2024년)] |
정부는 2030년까지 바이오헬스케어를 5대 주력 수출산업으로 육성하는 동시에 세계 시장점유율을 2018년 3%에서 6%로 2배 증가, 수출금액은 500억 달러 달성, 일자리 창출은 추가로 30만개를 달성하는 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의약품,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은 미래 성장 가능성과 고용 효과가 크고, 국민 건강에 이바지하는 유망 신산업 중에 하나로 국내산업 경쟁력이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을 늘리고 있습니다. R&D 자금지원을 2025년까지 연간 4조 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바이오헬스 부문의 금융 및 세제 지원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국내 주요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업인 셀트리온 그룹은 2019년 5월 열린 투자설명회에서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25조 원, 화학합성의약품 사업에 5조 원, U-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에 10조 원 등 총 40조 원을 2030년까지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셀트리온은 총 19만L의 생산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6만L 규모의 3공장 투자가 진행중입니다. 셀트리온은 향후 1조 5천억 원을 추가 투입해 20만L의 신규 4공장을 건설하고 이를 기반으로 2030년까지 해외 공장 Capa를 포함, 총 60만L의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입니다.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규모를 보유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역시 기존의 3공장 주변에 약 1조 7400억 원 이상의 금액이 투입되는 4공장을 가동을 2023년 2분기에 앞두고 있습니다. 4공장이 완성되면 1·2·3공장과 합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 생산능력은 글로벌 CMO 기업 중 최대인 62만L로 늘어날 것입니다. 또한, 2조 5천억 원을 추가 투입해 2024년까지 5,6 공장을 증설, 38만L의 Capa를 확보해 향후 100만L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의 주력 제품인 스마트HMI, 스마트SCADA, 스마트팩토리솔루션은 단독 장비부터 대규모 생산 라인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방산업 및 산업전반 경기 흐름의 영향을 일부 받을 수는 있으나, 당사는 산업별 매출 비중이 적절하게 분산되어 있고, 활발한 신제품 개발을 통한 신규 시장 개척을 통하여 산업 경기 흐름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난 20년간 여러 차례의 경기 불안정성 환경이 있었음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왔으며, 전방산업의 향후 성장세와 HMI/SCADA 산업 성장세에 힘입어 지속적인 매출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당사 제품의 제품력, 영업력, 기술지원, 고객대응능력 및 최근 외산제품 대비 국산제품에 보다 유리하게 작용되고 있는 시장 분위기 등을 감안할 경우 향후에도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스마트SCADA 역시 뛰어난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신규 진입한 시장에서 높은 성장률을 시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당사의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사업은 단순한 시스템 통합 사업을 뛰어 넘어 현장에서 당사 제품(스마트HMI, 스마트SCADA)을 이용한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고객이 요구하는 니즈에 적합한 커스터마이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젝트별 노하우를 다시 제품 개발에 연결함으로써 스마트HMI, 스마트SCADA 제품 판매와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사업을 연계해 나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나가고 있고, 이를 통해 기존 제조공장의 스마트팩토리 전환에 필수적인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경기 변동에 유연하게 대처해 나가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가) 제품 경쟁력
당사의 스마트HMI 기술 경쟁력의 핵심은 다양한 PLC와 통신 가능한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으며, SW, OS 및 HW 개발 기술력 또한 타사 대비 우위에 있습니다.
다양한 PLC 제품의 비공개(일부 공개) 전용 통신 프로토콜과 관련해서 회사는 설립 이래 지속적인 기술력 축적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오고 있으며(300여종의 제어기 프로토콜 보유), 신규 PLC에 대해서도 경쟁업체 대비 신속하고 정확한 SW 구현 및 기술지원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출시한 신제품(TOPR 시리즈)의 경우 업계 최초로 쿼드코어 CPU를 채택하여 최상의 성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처리, 멀티플랫폼 지원(윈도우, 리눅스, 안드로이드), 멀티프로젝트 관리, 이메일 및 SMS 전송 등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입니다.
또한, 여러 화면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문제 상황의 인지에서 조치까지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VNC 프로토콜 지원으로 다양한 기기와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은 주요 경쟁사 제품 대비 CPU, 내장 인터페이스, 지원 네트워크 등 HW 사양에 있어서도 경쟁우위가 있습니다. 특히 최근 현장의 스마트팩토리화 추세에 따라 별도 기기로 구성하던 카메라 및 센서를 당사가 최초로 스마트HMI에 개발 적용하였으며, OPC UA를 포함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네트워크와 반도체 전용 네트워크인 SECS/GEM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함으로써 기술적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 기술 경쟁력
①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
스마트팩토리의 핵심적인 요소 중에 하나는 최하위 레벨의 현장 기기와 최상위 시스템인 MES/ERP간의 원활한 데이터 흐름인 연결성입니다. 기기와 공정간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는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해야 합니다. 기기와의 통신 연결은 제조사와 기기들이 제공하는 개별적인 전용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당사의 스마트HMI/SCADA는 20년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300여개의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여 현장의 다양한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당사에서 제어기기와의 통신을 위해 개발하는 전용 통신 프로토콜은 라이브러리 형태로 개발되어 스마트HMI 및 스마트SCADA에 탑재됩니다.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는 제어기기 제조사의 전용 통신 프로토콜 표준 자료를 기준으로 개발되며 일반적으로 제어기기 제조사는 자사의 기기와 외부 기기들과의 통신을 위해 자사의 전용 통신 프로토콜을 공개하고 통신 포트를 지원합니다. 다만 제어기기 제조사의 자사 제어기기에 대한 상태 모니터링, 제어 및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툴과 제어기기 간의 통신은 제조사의 전용 프로토콜과 전용 통신 포트를 사용하며 전용 통신 프로토콜은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실정입니다. 현장의 HMI 사용자는 제어기기 제조사의 공개 전용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포트를 사용하여 HMI와 통신 연결을 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제어기기 제조사의 별도 통신 모듈(컨버터)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 비용 상승이 불가피합니다. 따라서 현장 사용자는 개발 비용 절감을 위해 별도의 통신 모듈 필요 없이 제조사 전용 포트와 HMI 기기의 통신 연결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HMI 개발 업체는 공개된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뿐만 아니라 미공개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도 개발하여 지원해야 하며 얼마나 많은 미공개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지원하는지의 여부가 HMI 기술력과 시장성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당사는 전문 HMI/SCADA 업체로서 20년간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세계 주요 제어기기의 미공개 프로토콜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개발, 지원함으로써 HMI/SCADA 시장의 다양한 요구 사항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스마트HMI/SCADA는 제어기기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정해진 통신 하드웨어적인 속도내에서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각 제어기기의 프로토콜을 사용자가 구성하는 화면내 데이터의 내용에 맞춰 최적의 속도를 가질 수 있도록 내부 최적화 루틴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습니다. 이러한 통신 속도 최적화 과정을 적용하여 실제 반도체 부문에서는 타사 대비 최고의 통신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마트HMI/SCADA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 라이브러리 중 반도체 공정 분야에서 통합 운영되는 반도체 전용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SECS/GEM은 당사가 HMI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자체 개발하여 반도체 분야에 적용하고 있는 프로토콜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고가의 추가 설비 설치없이 원하는 바를 구현할 수 있어 반도체 현장의 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의 경우 PLC와 기타 제어기기를 같이 생산하는 업체는 전문 HMI 개발 업체가 아닌 관계로 해당 회사의 PLC와 제어기기에 특화된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여 전문 HMI 업체인 당사에 비해 지원되는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가 다소 부족한 편입니다.
한편 당사와 같은 전문 HMI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슈나이더일렉트릭의 경우 당사와 비슷한 수준의 전용 통신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으나, 연구개발 조직이 해외에 있는 관계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통신 라이브러리 개발, 기술지원 및 현장 커스터마이징 측면에서 당사가 우위에 있습니다.
② Operating System
OS(Operating System)는 당사의 HMI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당사 OS는 CPU와 주변 장치를 운영하는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와 사용자가 현장에 맞게 개발한 UI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및 멀티미디어와 USB, 바코드 등과 같이 외부 장치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사에서 개발한 OS는 기존 HMI인 ‘ATOP/XTOP’ 모델과 스마트HMI인 ‘TOPR’ 모델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기존 HMI인 ATOP/XTOP 모델에 적용된 OS는 HMI 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 개발을 위해 OS를 당사가 자체 개발하여 적용하였습니다. 당사가 자체 개발한 OS는 CPU와 주변 장치 운영을 최적화하고 그래픽 라이브러리,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능을 상호 연동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여 가볍고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OS입니다.
당사의 스마트HMI는 기존 HMI 기기의 역할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지원 등 스마트한 기능을 요구하는 최근의 추세에 따라 보다 안정적이고 다양한 고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OS를 개발, 적용하였습니다. 스마트HMI에 적용된 OS는 리눅스 OS를 기반으로 기존 HMI OS 개발 시 축적된 HMI 최적화 노하우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성능을 구현하는 스마트HMI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마트HMI에 적용되어 있는 리눅스 기반 OS는 일반적인 OS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 기반 OS의 일반 OS 대비 특장점 |
● 우수한 안정성: 전세계 리눅스 개발자와 사용자에 의해 검증을 거친 OS로 ● 탁월한 경제성: 리눅스는 OS가 무료로 배포되고 사용 제한이 없기 때문에 ● 뛰어난 성능 및 확장성: 리눅스는 다중 처리 시스템이며 다양한 네트워킹 ● 차별화된 보안성: 윈도우 OS에 비해 악성코드에 대한 보안성이 뛰어납니다. |
③ HMI/SCADA 개발 툴(SW)
일반적으로 HMI와 SCADA를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용 현장의 상황, 시스템 구성, 공정 프로세스, 데이터 관리 요소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직접 HMI/SCADA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성해야 합니다. HMI/SCADA의 UI 구성은 당사가 자체 개발한 UI 개발 툴을 사용하여 쉽게 구성이 가능합니다.
당사의 HMI/SCADA 개발 도구는 화면 인터페이스 구성과 데이터 수집, 제어, 처리 등의 현장 프로세스에 맞는 로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수치 표시, 터치 입력, 키 입력, 그래프 등을 별도의 라이브러리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메뉴에서 제공되는 라이브러리 중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드래그&드롭 방식과 별도의 설정 창을 통한 필요한 설정 값의 입력만으로 화면을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장 제어 기기의 통신 연결을 위해서는 HMI/SCADA 개발 도구에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대상 제어 기기를 선택하고 케이블을 연결하는 간단한 절차를 통해 통신 연결이 가능합니다.
HMI/SCADA 개발 도구는 산업 자동화 엔지니어가 당사가 제공하는 메뉴얼이나 짧은 기간의 교육을 통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쉬운 UI를 제공하며 마이크로소프트의 ‘파워포인트’와 비슷한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숙련도에 따라 간단한 동작을 하는 화면부터 로봇 제어, 애니메이션, DB 연동 등 복잡한 전문 프로그램 언어 수준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당사에서 제공하는 HMI/SCADA 개발 도구는 사용되는 HMI/SCADA 제품에 따라 2가지 제품으로 제공됩니다. 당사의 기존 HMI인 ATOP/XTOP 모델은 ‘XDesigner Plus’ 개발 도구를 사용하고 당사의 스마트HMI/SCADA 모델은 HMI와 SCADA의 통합 개발이 가능한 ‘TOP Design Studio’를 사용하여 개발합니다.
TOP Design Studio는 스마트HMI와 스마트SCADA에 최적화 되어 있는 개발 도구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GUI 오브젝트, 통신 드라이버, 이미지, 단위 기능 등이 모두 구현된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파워포인트 작성하듯이 마우스로 끌어다 사용할 수 있어 개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타사의 경우 HMI와 SCADA의 기능적 차이로 인해 HMI 개발 도구와 SCADA 개발 도구를 개별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현장에 HMI, SCADA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개발 도구의 사용 기술을 습득하여 개발해야 하며 HMI와 SCADA에서 개발된 UI 화면의 호환이 불가능합니다.
당사의 HMI/SCADA 개발 도구인 TOP Design Studio는 개발 초기부터 HMI와 SCADA의 통합 운영을 목적으로 개발된 SW 도구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TOP Design Studio 개발 도구의 사용 기술만 습득하면 HMI와 SCADA UI 화면을 통합하여 개발이 가능하고 HMI와 SCADA 상호간의 UI 화면을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당사는 타사와 달리 일정 시간동안 이용 가능한 TOP Design Studio 데모 버전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별도 비용없이 현장의 HMI 및 SCADA에서 바로 시험 운영이 가능합니다.
④ HW 설계 기술
당사의 스마트HMI는 업계 최초로 쿼드코어 CPU를 채택하여 현장에 최적화된 Embedded 시스템에 PC 수준의 처리 성능을 갖춘 HMI 제품입니다. 쿼드코어 CPU를 탑재하고 멀티 스레드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적용함으로써 HMI 운용에 필요한 그래픽 처리, 연산 능력, 외부 기기와의 통신, 로깅과 같은 데이터 저장 기능을 동시에 처리가 가능하여 최고 수준의 성능을 지닌 HMI를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그래픽 처리에 있어서 16M Full Color를 지원하고 벡터 이미지 라이브러리를 지원하여 선명하고 부드러운 형태의 그래픽 표시가 가능합니다.
스마트HMI는 전체 프레임을 알루미늄으로 적용하여 산업현장의 열악한 환경에 적합한 강력한 내구성과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갖는 제품으로 개발하였습니다. 전체적인 제품 디자인은 방폭 구조에 맞도록 설계하여 일반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폭발 위험이 있는 현장에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국내 최초로 가장 높은 등급의 온도 관리 규정인 T6 방폭 인증을 취득하여 현장에 적용하였습니다.
또한 국내 최초로 HMI에 무선 기술을 적용한 핸디(Handy)형 HMI를 개발하여 장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고정형 HMI 개념에서 로봇 및 물류 분야에 설치된 제어기기와 유연하게 접속하여 사용되는 무선형 HMI 개념으로 제품 영역을 확장시켰습니다.
(다) 영업 경쟁력
당사는 HMI 전문 개발 및 제조업체인 반면, 대부분의 경쟁사는 PLC 등 산업용 제어기기 전문업체로 해당 회사의 제어기기에 연결이 가능한 HMI를 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와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는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는 당사와 같은 전문 HMI 영업이 가능한 업체입니다. 2015년 한국프로페이스가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에 합병된 이후에는 전문 HMI 영업 및 판매도 지속하고는 있으나,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산업용 제어기기 전반의 많은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동 제품군의 판매를 촉진 내지 보조하는 방향의 영업을 보다 많이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분야의 경우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대응능력 및 기술지원 역량이 매우 중요한 시장인데 주요 경쟁사의 경우 연구개발 부문을 외국에 두고 있는 회사인 관계로 당사의 고객 대응 능력이 상당한 경쟁우위에 있습니다.
당사는 2007년부터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여 시장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반도체 시장의 엔드유저인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경우 최고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반도체 공정 특성상 동 공정에 적용되는 제품이나 부품의 문제로 인해 반도체 공정 라인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손실규모가 매우 큰 관계로 확실한 안정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제품만 채택될 수 있습니다. 이에 당사가 동 시장에 진입하는 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반도체 시장에는 당사 제품과 주요 경쟁사인 슈나이더일렉트릭 제품 정도만 채택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새로운 경쟁업체가 동 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추진할 경우에 이러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고, 진입을 추진할 경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당사는 지난 20년간의 브랜딩파워 및 대리점 영업 체계를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꾸준히 성장하는 매출 실적을 시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신제품의 개발, 출시뿐만 아니라 기술지원 및 교육 등을 통해 고객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5) 관련 법령 등 정부의 규제 등
당사의 스마트HMI, 스마트SCADA 제품이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있어서 특별한 규제 사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엔드유저의 설비에 대한 안전과 보안에 대한 요구 사항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방폭인증, 소방인증 등의 필요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와 같은 관련 인증 획득은 시장의 규제 환경이라기 보다는 해당 시장에 대한 사업을 전개하기 위한 필요 요소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품질경영시스템인증(ISO9001), 전기전자제품인증(KC, UL, CE), 방폭인증(ATEX(유럽), KCs(한국), NEPSI(중국))과 선급인증(KR(한국), DNV GL(노르웨이))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필요 시 적기에 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개발력 및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① 산업별 영업개황
당사는 최근 영업본부 조직 확대개편을 통해 당사가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 모바일, 2차전지, 제약/바이오 등 성장산업에 대한 영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내 HMI 시장은 특정업체에 독점되거나 과점되어 있는 시장은 아니나, 전문 HMI 업체인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와 당사 간의 경쟁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반도체
반도체 분야의 경우 특히 양사 간의 경쟁이 치열한 시장입니다. 당사가 반도체 시장에 최초 진입한 2007년에는 일본제품(일본 Digital Electronics Corporation)을 공급하는 한국프로페이스(현.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가 주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당사는 반도체 분야의 후발주자로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우수한 제품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기술영업, 고객 요구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개발, 신속한 기술지원 및 현장대응 등을 통해 시장에 진입할 수 있었습니다.
2014년 즈음에는 산업 현장의 방폭 환경이 주목받는 추세에 맞춰 반도체 분야에도 제품의 방폭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추세가 있었습니다. 이에 당사는 고객이 요구하는 방폭 제품에 대한 신속한 투자를 집중하여 방폭(Anti-Explosion) 인증을 획득하였고, 이러한 방폭 제품군의 우수성 및 기술지원, 고객 대응 능력 등을 기반으로 동 분야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HMI 시장에서 최고의 스펙과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차세대 스마트HMI인 ‘TOPR’ 제품이 열화상/IP 카메라 등 현장의 안전 및 보안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 등이 포함된 다기능, 고사양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동 제품에 반도체 전용 통신 프로토콜인 SECS/GEM을 적용함으로써 주요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관련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반도체의 경우 케미컬공급장치, 가스공급장치, 스크러버, 칠러 장비 등에 대해 주요 경쟁사 대비 우수한 제품력, 다양한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신속한 기술지원 및 현장 대응능력 등을 바탕으로 시장을 주도해 나가고 있습니다.
㉯ 2차전지
2차전지 분야의 경우 최근 전기차 사업 확대 등 2차전지 산업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9년부터 2차전지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영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그 결과 분리막, 양극재, 음극재 등 여러 장비업체들에 스펙인 되고 있으며, 나아가 SK이노베이션, 삼성SDI, LG화학, 포스코케미컬 등 엔드유저에 대한 영업도 활발하게 전개하여 초기물량 공급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의 경우 장비 대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물류 장비의 영업을 중점적으로 진행하여 성공적인 공급을 진행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부족한 판넬 공정의 장비, 모듈 공정의 장비업체에 대한 영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 삼성디스플레이가 QD-OLED 투자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동 투자와 관련하여 삼성디스플레이에 대한 당사 제품의 초도 공급이 완료되었으며, 후속 물량 공급이 예정되어 있는 등 관련 제품 매출 확대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 자동차
자동차 분야의 경우 반도체 분야에서 인정받은 제품력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비스, 만도 등 전문부품업체에 대해 공급을 해 왔습니다. 이러한 전문부품업체 공급을 기반으로 1차 주요 벤더에 대한 제품 공급을 확대해 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외산 제품을 국산 제품으로 대체해 나가는 움직임에 따라 당사의 동 산업 관련 매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모바일
모바일 분야의 경우 삼성전자 등의 스마트폰 실적에 따라 해당 시장의 투자 규모가 영향을 받는 편입니다. 또한 스마트폰 시장은 제품의 특성상 적기에 제조장비들이 투입되어야 하며, 이에 동 장비에 투입되어야 하는 HMI/SCADA를 포함한 각종 제어기기의 빠른 선정과 단기 제품 공급 및 기술지원 등이 이루어집니다. 최근 활발하게 진행된 삼성전자 신제품 투자와 관련한 장비에도 당사의 스마트HMI/SCADA가 채택되어 관련 매출이 시현되고 있습니다.
㉳ 제약/바이오
제약 생산 공장의 경우 FDA 규정인 ‘21 CFR Part 11’ 기준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21 CFR Part 11 규정에 맞는 기능을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약시장 매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 경우 바이오 산업 관련 SI 장비업체뿐만 아니라 엔드유저에 대해서도 당사 제품 공급 및 확대영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② 대리점 매출 확대 전략
전세계 및 국내 자동화 제어기기 관련 시장은 주로 대리점 체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36개의 대리점을 통해 당사 제품의 판매 및 고객 관리를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 영업본부에서 주로 중점 산업 분야에 대한 신규 영업을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36개 대리점과의 영업 공조 체계를 통해 해당 거래기업의 관리뿐만 아니라 신규 영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리점 신규 영업 확대를 위하여 전략 대리점(우수등급 대리점, SCADA 전문 대리점) 지정 및 관련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③ 마케팅 조직의 역량 강화를 통한 영업조직 지원 확대
당사 제품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익숙한 제품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마케팅 조직의 역량 강화를 통해 영업조직을 지원해 나가고 있습니다.
마케팅 | 역량 강화 계획 |
교육/기술지원 마케팅 | ● 고객 및 대리점 실무자 대상 교육 강화 - 고객 정기 교육 강화: 정기 교육 외, 주제별 고급 교육 진행 - 대리점 실무자 정기 교육 진행: 정기 대리점 실무자 교육으로 역량 강화 ● 기술 지원 조직 확대 - 기술 지원 채널 확대: 인원 확대 적용 - 온라인/모바일 지원과 연계: 유튜브, 메신저 등을 연동한 지원 |
커머셜 마케팅 | ● 제품 홍보 역량 강화 - 국내 및 해외 주요 전시회 참가 및 제품 홍보 강화 추진 - 주요 FA 잡지에 회사 인지도 지속 광고 - 세미나 개최를 통한 당사 제품/솔루션 소개, 성공사례 전달 - 분기별 뉴스레터 배포 |
④ 해외 판매전략
㉮ 대형 유통업체 매출 확대
당사는 글로벌 산업용 기기 온/오프라인 대형 유통업체인 미스미(MISUMI)에 당사 제품을 ODM 공급하고 있습니다. 미스미는 기존 일본 제품을 공급받아 판매하고 있었으나, 당사 제품이 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게 되어 거래가 시작되었습니다.
미스미는 당사 ODM 제품을 일본, 중국을 비롯하여 동남아 지역에 판매를 하고 있으며, 향후 미국 및 유럽 시장에도 공급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당사 최고 사양제품인 ‘TOPR’ 시리즈를 일본시장에 출시하는 등 향후 지속적인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기존 대리점 영업 확대
당사는 중국, 베트남, 싱가폴, 남아공 등 18개국에 대리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최근까지는 국내영업 기반 확대에 보다 중점을 두고 영업을 진행해 왔으며,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영업을 추진해 나가고 있습니다.
기존 대리점 중에 성장 가능성이 높은 대리점 및 중점 권역에 대한 집중적인 영업 관리를 통해 해당 매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중점 권역 총판 대리점 확보를 통한 매출 확대
기존 대리점 및 관계 기관을 통한 중점 권역 리서치를 통해 각 지역에 대한 당사 제품의 포지셔닝 분석 및 주요 유통 경로를 파악하여 중점 권역을 선정하고 해당 지역을 커버할 수 있는 총판급 대리점 계약을 통해 관련 매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소분류에 의한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기타 정밀기기 제조업 부문의 단일 영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업부문별 작성 및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2) 시장점유율
시장 점유율에 대한 통계는 신뢰성 있는 국내외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향후 객관성 있는 시장규모 자료를 확보한 시점에 해당자료를 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3) 시장의 특성
① 스마트HMI
당사의 스마트HMI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자동화 시스템에 반드시 사용되는 중요 제품으로, 소규모의 공장 자동화 설비에서부터 대규모의 생산 라인 및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모바일, 2차 전지, 제약/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목표 시장 별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반도체 시장
반도체 분야의 주요 고객은 최종 엔드유저인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에서 사용하는 케미컬공급장치, 가스공급장치, 스크러버, 칠러 등의 인프라장비를 공급하는 장비업체들입니다. 최근 반도체 산업은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가 활발한 시설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 스마트HMI 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 2차전지 시장
2차전지 분야의 경우 최근 전기차 사업 확대 등 2차전지 산업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9년부터 2차전지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영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그 결과 분리막, 양극재, 음극재 등 여러 장비업체들에 스펙인 되고 있으며, 나아가 SK이노베이션, 삼성SDI, LG화학, 포스코케미컬 등 엔드유저에 대한 영업도 활발하게 전개하여 초기물량 공급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 시장
디스플레이 분야의 경우 국내 주요 디스플레이 제조사 경기가 최근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당사의 제품은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에 적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장비업체를 통해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사인 HKC, Truly, CSOT, Visionox 등에 공급되는 등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당사 제품의 매출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자동차 부품 시장
자동차 제조 산업은 산업 특성상 수많은 부품 공급 업체가 존재하며, 공급 구조에 따라 1차, 2차 벤더 업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스마트HMI는 자동차 제조 산업의 주요 부품 공급업체인 모비스, 만도 등에 적용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1, 2차 벤더 시장에 대한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자동차 주요 부품 업체들이 기존 외산 장비의 국산화를 많이 추진하고 있는 등 당사 매출 확대에 긍정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 제약/바이오 시장
제약 생산 공장의 경우 FDA 규정인 ‘21 CFR Part 11’ 기준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스마트HMI는 21 CFR Part 11 규정에 맞는 기능을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약 시장 매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산업의 경우 산업 관련 SI 장비업체뿐만 아니라 엔드유저에 대해 스마트HMI 제품 공급 및 확대영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습니다.
②스마트SCADA
당사 스마트SCADA 제품은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IoT 시스템과의 연동에 필요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과의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고, 현장의 단말 제어기기에서부터 상위의 클라우드, MES/ERP 등의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빅데이터의 수집, 가공, 분석, 전달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 스마트SCADA는 스마트HMI와 연동하여 다양한 제어기기로부터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최상위 시스템인 클라우드, MES/ERP 등과 연결함으로써 스마트팩토리에서 필요한 최하위 레벨에서부터 최상위 레벨까지의 데이터와 현장 정보를 연결해주는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요소입니다.
당사 스마트SCADA 제품도 스마트HMI와 같이 다양한 산업 전반에 적용되고 있으며, 주요 목표 시장 별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반도체 시장
2019년부터 반도체 제조사의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 스마트화 사업 일환으로 케미컬공급장비에 당사 제품이 공급되기 시작하여 최하위 레벨의 현장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능을 추가한 바 있으며, 또한 반도체 제조사에 사용될 예정인 신규 인프라장비에 대한 당사 제품 적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되는 등 당사 스마트SCADA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 자동차 부품 시장
자동차 분야에서도 주요 자동차부품 제조사의 기존 생산현장 스마트화 사업의 일환으로 당사 제품을 적용하여 생산라인의 데이터 표준화, 분석 및 리포팅 기능을 추가한 바 있습니다. 또한 현대기아차, 지엠, 르노삼성자동차에 공급하는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부품조립 및 실러 장비업체 등에도 당사 제품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 제약/바이오 시장
제약/바이오 분야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FDA 규정인 ‘21 CFR Part 11’ 기준과 관련하여 당사의 스마트SCADA는 21 CFR Part 11 규정에 맞는 기능을 개발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약 및 바이오 시장 매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스마트SCADA는 방산업체인 A사의 스마트팩토리 전환에 적용되는 등 다양한 산업 전반에 결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2차전지, 바이오, 철강 업종을 포함한 산업 전반에 걸쳐 당사가 기 확보한 스마트HMI 고객 기반을 활용하여 공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③ 스마트팩토리솔루션
4차 산업혁명으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서는 사람, 디바이스, 설비, 공정, 공장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로서 이는 연결성으로 표현됩니다. 이러한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요소로서의 연결성은 IoT, 클라우드, 외부 제어기기와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국제 표준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는 최하위 레벨의 생산 현장 설비에서부터 최상위 MES/ERP 시스템까지의 모든 제조 정보를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로 통합하여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지능형 공장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모든 제조 정보와 제어와의 융합이 가능해야 하며, 현장의 개별 설비들을 손쉽게 하나로 통합하고 각각의 설비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당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스마트HMI 및 스마트SCADA는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연결성 확보를 위해 산업 전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표준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작업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는 PLC, 모션제어기, 로봇기기, 각종 센서 등과의 통신이 가능한 프로토콜이 300여종 이상 개발되어 국내외 거의 모든 디바이스, 제어기와의 연결이 가능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최적화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현장의 장치로부터 스마트HMI로 수집된 제조 정보는 현장 사용자에게 생산 정보와 장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상위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별하여 상위 시스템 전송이 가능합니다. 당사의 스마트SCADA 시스템은 스마트HMI로부터 선별된 생산, 장치 상태 정보를 수신 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를 하게 되고 필요한 정보를 최상위 시스템인 MES/ERP와 연동함으로써 전체 생산 프로세스의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기존 공장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있어 MES/ERP 등 상위시스템을 구축하고 하위레벨의 생산현장의 각종 제어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통합적인 감시 및 제어, 그리고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로그데이터의 모니터링, 수집, 분석, 데이터베이스化를 하는 과정에서 기존 공장의 각종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점은 기존 공장에서 사용하는 수많은 제조사별 제어기기의 통신 프로토콜 연결 문제와 IoT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제어기기의 상위 시스템 연결 문제입니다. 당사의 스마트HMI와 스마트SCADA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가지고 있는 제품인 관계로 향후 기존 공장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추진하는 많은 기업들에 대한 핵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로 방산업체인 A사의 경우, 오랜 업력을 가진 기업으로 기존 공장의 스마트팩토리 전환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습니다. 상위 시스템은 잘 구축이 되어 있었으나 하위 레벨의 생산 현장에 수많은 IoT 환경이 지원되지 않고 다양한 제조사의 PLC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생산 라인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과 현장 기술대응 과정을 통해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A사에 당사 스마트HMI 및 스마트SCADA 제품을 적용하여 생산 현장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생산 장비 및 기기 모니터링, 작업 지시, 작업자 관리 및 최상위 시스템인 ERP 연동 등을 포함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습니다.
다른 사례로, 반도체 장비업체인 B사와는 반도체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유독성 케미컬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관리, 제어하여 케미컬 누출로 인한 사고 및 공급 중단에 따른 생산 차질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한 생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주는 'CMS(Central Monitoring System)'를 수주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생활용품 제조업체인 C사와는 품질 지표 통계 분석 시스템 구축을 진행중입니다.
위의 사례와 같이 당사의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사업은 기업들의 니즈와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지원 정책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수많은 스마트팩토리 프로젝트를 목표시장으로 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Web HMI & SCADA 사업
① 개요
산업 제조 현장에 적용되어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는 주요 제어기기와의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장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어를 담당하는 기기로 주로 임베디드 형태의 HMI가 주종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원격 감시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는 기본적으로 HMI의 역할을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이며, 원거리에 있는 여러 생산 장비 및 기기들을 중앙 집중 감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산업 현장에서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이를 도입하려고 하는 기업 중 단일 공장 내에서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뿐만 아니라 이를 확대하여 공장과 공장 간의 또는 해외와 국내 본사 간의 제조 현장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Web 기반 HMI & SCADA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스마트 HMI와 스마트 SCADA의 차세대 버전으로 Web 환경에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제조 현장의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Web 기반 HMI & SCADA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Web 기반 HMI & SCADA를 적용하는 스마트팩토리 기업은 Web 브라우저가 지원되는 PC, 태블릿, 모바일폰을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제공되는 동시 접속 서비스에 따라 여러 명이 동시에 제조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Web 기반 HMI & SCADA는 신규 설비 구축은 물론 기존 설비의 경우에도 간단한 변환과 추가 작업을 통해 Web 기반 HMI & SCADA 시스템 구축이 가능합니다.
② 제품 현황
당사의 Web 기반 HMI & SCADA 제품은 기존 제품인 스마트 HMI & SCADA와 동일한 개발 소프트웨어 툴을 사용하는 관계로 기존 당사 제품 사용자의 경우 즉시 사용이 가능하며, 신규 사용자의 경우에도 매뉴얼을 따르거나 또는 간단한 교육을 통해 Web 환경의 HMI & SCADA 구축이 가능합니다.
당사의 스마트 HMI & SCADA 제품은 현재 VNC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 공장과 공장 간 또는 해외와 국내 본사 간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합니다. 다만, VNC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VNC Client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HMI와 SCADA 화면을 미러링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현황 파악에 다소 제한이 있습니다.
VNC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 Web 기반 HMI & SCADA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
별도의 VNC Client 프로그램 필요 | Web Browser 프로그램 필요 |
현장 HMI/SCADA 현재 화면에 대한 미러링 | 현장 HMI/SCADA와 별개의 화면 및 동작 |
실제 상황 모니터링 및 제어 | 실제 상황 모니터링 및 제어 뿐만 아니라 웹스크린/대쉬보드를 이용한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 |
다중 사용자 접속 불가 | 다중 사용자 접속 가능 |
[당사 Web 기반 HMI & SCADA 제품의 시스템 구성도] |
당사가 개발하는 Web 기반 HMI & SCADA 제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Web 환경과 브라우저를 이용한 제조 현장의 감시 및 제어 기능 제공 -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개별 화면 모니터링 가능 - 통합 개발 환경이 지원되어 기존 작화를 이용한 Web 서비스 가능 - Web 스크린과 대시보드 화면 동시 지원 - PC, 태블릿, 모바일폰 지원 - HTML5 / Web 표준 사양 지원 - Chrome / Microsoft Edge / Safari 브라우저 지원 |
당사의 Web기반 SCADA 제품은 제조 현장의 다양한 요구 사항에 맞게 스마트 SCADA와 동일한 화면을 구축할 수 있는 Web 스크린과 생산 현황이나 현장 상황에 대한 직관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대시보드 화면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나) 인공지능 기반 예지보전(SF-MAP) 사업
① 개요
당사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프로젝트에 있어 당사 스마트 HMI & SCADA 제품과의 연계가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예지보전 S/W 패키지(SF-MAP (Smart Factory Monitoring, Analytics & Prediction)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통해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생산 Loss의 최소화에 주력하고 있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존 현장 설비 정비의 경우 주로 고장 발생 이후 생산설비 가동을 중단하고 해당 부품을 교체하여 재가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생산설비 가동률 감소에 따른 매우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각 개별 부품 또는 제품에 대한 고장 발생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예측하여 정비와 교체 작업을 수행하는 예지보전 솔루션 도입을 통해 갑작스러운 설비 중단에 따른 Loss 및 불필요한 부품, 제품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스마트 HMI & SCADA제품을 기반으로 생산정보관리시스템과 현장 디바이스 간의 실시간 데이터 연결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시간 데이터 연결 솔루션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적용된 SF-MAP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스마트팩토리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② 제품 현황
당사가 개발하는 SF-MAP(Smart Factory Monitoring, Analytics, Prediction)은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 제어기기 및 설비 등으로부터 생성되는 생산설비 파라미터, 기기상태 데이터, 장애, 이벤트 등의 빅데이터를 수집 및 분류하여, 가시성(Visualization)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장비 및 현장 상황에 대해 모니터링 및 분석을 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비정상상태 검출 및 고장, 장애에 대한 예지보전(Predictive maintenance)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예지분석 S/W 패키지입니다.
[SF-MAP] |
SF-MAP의 주요 기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항목 | 주요 기능 | 내용 |
에지 컴퓨팅 | 데이터 수집, 분류, 처리, 분석, 전송 | - 현장 수집 Big Data에 대한 실시간 처리 - 최적화된 데이터 필터링, 분석, 분류, 전송 |
가시화 (Visualization) | Web Dashboard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 - 현장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 예측 분석 결과에 표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이벤트 검출 & 경보 | 실시간 검출 Algorithm에 의한 비정상 Event 검출 및 Alarm 제공 | - 실시간 검출 Algorithm에 의한 비정상 Event 검출 및 Alarm 제공 - Critical, Error, Emergency, Alarm 이벤트 지원 - Event별 상세 Level 분류, SMS, Email 전송 |
분석 및 해석 | 설비 결함에 대한 실시간 진단, 분석 | - Drill Down Approach - Data 비교 분석 - Trend(추이) 분석 - 분석 결과에 대한 Reporting |
예측 | - Deep Learning이 적용된 분석 알고리즘 - 미리 발생될 결함에 대한 예측 및 추이 분석 | - 90% 이상의 예측 분석 정확도 - 다양한 AI 분석 Algorithm을 통한 적용 분야의 극대화 |
당사 SF-MAP은 제조 설비 및 장비가 운영되고 있는 산업 현장에서 수집된 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예측 분석 모듈과 모니터링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예측 분석 모듈
예측 분석 모듈은 SF-MAP 내 인공지능 예측보전을 담당하는 솔루션입니다. 산업 현장의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서 본 SF-MAP에 있어 당사의 핵심적인 인공지능 모듈입니다.
당사 예측 분석 모듈의 주요 특징과 장점 |
1. Smart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 사용자 요구를 반영하는 데이터 처리 |
2. 실시간 이벤트 검출 및 경보(Alarm) ● 실시간 모니터링, 이벤트 검출 및 상세 분류로 장애 대응 지원 ● 심각도 등급 판정 및 Alarm 제공 |
3. 다양한 제품 Type 및 확장성 제공 ●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로 이용 가능 ● 범용 서버를 활용한 경제적인 확장 |
- Web Dashboard (Visualization)
Web Dashboard 예측 분석 모듈을 통해 분석된 예측 결과 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장소에서든 Web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Web Dashboard는 모니터링 및 분석을 원하는 데이터에 대해 Group별 관리가 가능하고 사용자 계정 관리를 통해 사용자별 데이터 접근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데이터 임의접근에 대한 보안 유지가 가능합니다
㈀ 상태 모니터링 화면
상태 모니터링 화면은 현장 제어기기 및 계측 값 정보를 카드 형태로 표시하고 설정된 경계 상,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지정된 색상으로 계측 값 상태를 직관적으로 나타내어 해당 장비의 유지보수나 환경 개선에 대한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상태 모니터링 표시 화면 예] |
[현장 기기의 상태값 추이 및 이력 그래프 예] |
㈁ 예측 분석 화면
예측 분석 화면에서는 학습을 통해 다양한 시간대의 예측 모델을 생성한 후 Dashboard에 실시간 입력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그래프를 통해 지정된 특성에 대한 실측 값과 예측 값을 비교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보여주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현장 기기의 실측값과 학습모델을 통한 예측값 비교 그래프 예] |
(다) 리모트 I/O 사업
① 개요
당사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많은 디지털 입출력 데이터와 아날로그 데이터 수집 및 제어를 위한 Remote I/O(Input/Output)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산업 현장이 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형태로 발전됨에 따라 상위 레벨에서 수집, 처리해야 할 데이터 양의 증가 및 다양한 현장 정보 수집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작업 현장과 상위 시스템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리모트 I/O는 현장 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당사에서 영위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솔루션 사업 상 최하위 레벨의 현장에서부터 최상위 MES/ERP 사이의 데이터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리모트 I/O 제품이 포함된 당사 제품 라인업 구성은 시장확대에 효과적인 요소입니다.
당사에서 개발 진행하고 있는 리모트 I/O는 독립형 리모트 I/O 제품과 당사 스마트HMI의 후면에 장착할 수 있는 I/O 일체형 HMI 제품이 있습니다.
② 제품 현황
- 독립형 리모트 I/O
당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독립형 리모트 I/O는 각각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는 모듈 형식 리모트 I/O입니다.
모듈 형식의 리모트 I/O는 작업현장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디바이스 및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Digital Input, Digital Output, Analog Input 및 온도센서 전용 Input 모듈과 상위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커플러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커플러 모듈은 현장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용 네트워크(Modbus, EtherCAT, CANOpen)를 지원하고 있으며, 빠른 데이터 처리를 위해 고성능 ARM 계열 CPU와 Real Time OS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독립형 리모트 I/O] |
- I/O 일체형 HMI
I/O일체형 HMI는 별도의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아닌 당사의 스마트HMI 기기 후면에 옵션 형식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동 제품은 사용자가 별도의 I/O를 구매 할 필요 가 없어 경제적이고 컴팩트 한 현장 활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스마트HMI에 의한 직접적인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장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며, 직접 수집한 현장 데이터를 스마트HMI가 지원하는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최상위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라) 스마트 IoT 센서 사업
① 개요
당사는 스마트팩토리에서 요구되는 제조현장 환경관리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 측정, 유해가스 검출 감지나 미세먼지 감지 뿐만 아니라 유통, 콜드체인 분야 등에 적용될 수 있는 GPS, 진동 및 도어개폐 감지 등이 가능한 스마트 IoT 센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스마트 IoT 센서는 제약, 바이오, 식품, 스마트팜 분야 등과 같이 제품 제조에 있어서 제조 환경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 관리가 필수적인 분야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환경 이력 관리 및 위치 추적 등이 필요한 농수산물 유통 및 콜드체인 분야 등에 적용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또한, 스마트 IoT 센서를 통해 수집, 처리된 환경 데이터는 당사의 스마트 HMI & SCADA 및 인공지능 기반 예지보전 솔루션(SF-MAP)과의 연계를 통해 제조현장 및 유통현장 환경 등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분석 및 예지보전이 가능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게 됩니다.
② 제품 현황
당사는 1) SCADA, 클라우드와 같은 외부 시스템과 직접 통신이 가능한 일체형 센서와, 2) 센서 기능과 외부 통신 기능이 분리되어야 하는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센서 모듈과 통신 게이트웨이가 분리된 분산형 스마트 IoT 센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 스마트 IoT 센서 연결도 예] |
- 일체형 스마트 IoT 센서
일체형 스마트 IoT 센서는 현장의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센서와 당사의 스마트 SCADA 또는 외부 클라우드로 무선 연결이 가능한 통신 모듈과 프로토콜이 내장되어 있는 제품으로 별도의 게이트웨이가 필요없이 스마트 IoT 센서와 외부 시스템과의 직접적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또한 일체형 스마트 IoT 센서는 다양한 현장의 상황과 인터페이스 환경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환경 센서와 통신 사양을 대처하기 위해서 화면, 센서, 통신 등과 같이 기능별 모듈 구조로 개발되어 향후 신규 기능 확장이 용이합니다.
스마트 IoT 센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는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 지원에 있습니다. 당사 스마트 IoT 센서는 다양한 현장 상황에 맞게 WiFi, 유선 LAN, LTE, Bluetooth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당사 인공지능 솔루션(SF-MAP)과의 연동에 최적화된 프로토콜과 클라우드를 포함한 외부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해 MQTT, Modbus/TCP 등에 대한 외부 확장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당사 일체형 스마트 IoT 센서에 대한 현장 사용에 필요한 일반적인 연결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체형 스마트 IoT 센서의 현장 연결도 예] |
[일체형 스마트 IoT 센서 모듈] |
- 분산형 스마트 IoT 센서
분산형 스마트 IoT 센서는 상기 일체형 스마트 IoT 센서를 적용할 수 있는 환경과 달리 센서 기능과 외부 통신 기능이 분리되어야 하는 현장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센서 모듈과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별도의 게이트웨이 모듈과 현장에 장착되어 수집된 현장 환경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독형 센서 모듈로 분리된 제품입니다.
[분산형 스마트 IoT 센서의 현장 연결도 예] |
분산형 IoT 게이트웨이 모듈은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AP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클라우드 또는 로컬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현장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현장에 설치되는 분산형 스마트 IoT 센서 노드와의 연결을 위한 다이나믹 페어링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스마트 IoT 센서 설치 시 별도의 센서 노드 설정 과정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현장 설치가 가능합니다.
분산형 스마트 IoT 센서 모듈은 수집된 현장 데이터를 2.4GHz RF 통신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기 때문에 별도의 WiFi 연결이 필요 없으며, 복잡한 현장 구조와 상황에서도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게이트웨이, 분산형 모듈] |
(5) 조직도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조직도] |
□ 정관의 변경
제 1 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 17 조 (소집권자) ① 주주총회의 소집은 법령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대표이사가 소집한다. ② 대표이사가 유고시에는 제32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제 17 조 (소집권자) ① 주주총회의 소집은 법령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이사회 의장이 소집한다. ② 이사회 의장이 유고시에는 제34조 제6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 주주총회 소집권자 변경 |
제 20 조 (의장) ① 주주총회의 의장은 대표이사로 한다. ② 대표이사가 유고시에는 제32조 제2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 제 20 조 (의장) ① 주주총회의 의장은 이사회 의장으로 한다. ② 이사회 의장이 유고시에는 제34조 제6항의 규정을 준용한다. | 주주총회 의장 변경 |
제 34 조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하며 회사업무의 중요사항을 결의한다. ③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집권자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이사는 소집권자인 이사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소집권자인 이사가 정당한 이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④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⑤ 이사회의 의장은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이사회의 소집권자로 한다. ⑥ 이사는 3개월에 1회 이상 업무의 집행상황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 제 34 조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하며 회사업무의 중요사항을 결의한다. ③ 이사회는 이사회 의장이 회일 7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④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집권자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이사는 소집권자인 이사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소집권자인 이사가 정당한 이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⑤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⑥ 이사회의 의장이 유고 시에는 이사회 의장이 지정한 자가 있으면 그 자가 이사회 의장 직무를 대행하고, 이사회 의장이 지정한 자가 없을 경우에는 이사회 결의로 이사회 의장을 대행할 이사의 순서를 정한다. ⑦ (변경)이사는 3개월에 1회 이상 업무의 집행상황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에 관한 세부내용 수정 |
부 칙 제 1 조 (시행일) 이 규정은 1999년 4월 8일부터 시행한다. (1999.4.8 제정) 이 규정은 2000년 4월 26일부터 시행한다 (2000.4.26 개정) 이 규정은 2000년 10월 12일부터 시행한다. (2000.10.12 개정) 이 규정은 2005년 4월 8일부터 시행한다. (2005.4.8 개정) 이 규정은 2005년 9월 22일부터 시행한다. (2005.9.22 개정) 이 규정은 2018년 10월 2일부터 시행한다. (2018.10.2 개정) 이 규정은 2019년 3월 14일부터 시행한다. (2019.3.14 개정) 이 규정은 2019년 9월 23일부터 시행한다. (2019.9.23 개정) 이 규정은 2020년 3월 27일부터 시행한다. (2020.3.27 개정) 이 규정은 2022년 3월 25일부터 시행한다. (2022.3.25 개정) | 부 칙 제 1 조 (시행일) 이 규정은 1999년 4월 8일부터 시행한다. (1999.4.8 제정) 이 규정은 2000년 4월 26일부터 시행한다 (2000.4.26 개정) 이 규정은 2000년 10월 12일부터 시행한다. (2000.10.12 개정) 이 규정은 2005년 4월 8일부터 시행한다. (2005.4.8 개정) 이 규정은 2005년 9월 22일부터 시행한다. (2005.9.22 개정) 이 규정은 2018년 10월 2일부터 시행한다. (2018.10.2 개정) 이 규정은 2019년 3월 14일부터 시행한다. (2019.3.14 개정) 이 규정은 2019년 9월 23일부터 시행한다. (2019.9.23 개정) 이 규정은 2020년 3월 27일부터 시행한다. (2020.3.27 개정) 이 규정은 2022년 3월 25일부터 시행한다. (2022.3.25 개정) 이 규정은 2023년 5월 9일부터 시행한다. (2023.5.9 개정) | - |
□ 이사의 선임
제 2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성용 | 1983년 06월 | 사내이사 | - | - | 이사회 |
송종현 | 1979년 12월 | 사내이사 | - | - | 이사회 |
최철웅 | 1986년 05월 | 사외이사 | - | - | 이사회 |
총 ( 3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성용 | 노틱인베스트먼트(주) 대표이사 | 2010~2017 2017~2018 2018~현재 2022~현재 | SK증권(주) PE 본부, 파트장 노틱스에쿼티파트너스(주), 이사 노틱인베스트먼트(주), 대표이사 NHN에듀(주), 기타비상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송종현 | 피티에이에쿼티파트너스(주) 부대표 | 2006~2013 2013~2016 2016~2018 2018~2021 2021~현재 2021~현재 | 삼일회계법인 TS-FAS PwC Istanbul Turkey Korea Desk, Manager EY New Delhi India Tax, Director 한화투자증권(주) PF, 차장 피티에이에쿼티파트너스(주), 부대표 한국펀드파트너스(주), 기타비상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최철웅 | 한국포스증권(주) 법무실장 | 2015~2022 2022~현재 2022~현재 |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변호사 (주)파운트, 임원 한국포스증권(주), 법무실장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성용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송종현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최철웅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최철웅 후보자
본 후보자는 법률전문가로서 쌓아온 기업 경영 및 관련 법률 전반에 관한 풍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외이사로서 ㈜엠투아이코퍼레이션의 중요한 경영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며, 더불어 경영 활동 전반에 대한 자문 및 관리 감독 역할을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엠투아이코퍼레이션 이사회의 전문성, 독립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성용 사내이사 후보자
투자 및 기업경영에 관한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회사의 사업 및 경영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향후 사내이사로서 탁월한 경영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여 추천하였습니다. |
- 송종현 사내이사 후보자
투자 및 재무 분야를 포함한 기업 경영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도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기반 구축 및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
- 최철웅 후보자
법률전문가로서의 전문성과 법무 및 공정 업무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이사회 활동을 잘 수행할 것으로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
확인서
확인서_김성용 |
확인서_송종현 |
확인서_최철웅 |
□ 감사의 선임
제 3 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정주영 | 1982년10월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정주영 | 피티에이에쿼티파트너스(주) 상무 | 2007~2010 2010~2015 2016~2021 2021~현재 | 미래에셋증권(주)(구 대우증권) IB사업추진부, 중견사원 미래에셋증권(주)(구 대우증권) PE부, Infra금융부, 과장 (주)이엔에프프라이빗에쿼티 투자1본부, 이사 피티에이에쿼티파트너스(주), 상무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정주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정주영 후보자
투자 및 기업경영에 관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회계와 경영전반을 감사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
확인서
확인서_정주영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이므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는 12월 결산 법인으로서 최근 사업연도인 제24기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였습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 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4월 29일 ~ 2023년 5월 8일 - 기간 24시간 동안 시스템 접속 가능 (단, 시작일은 오전 9시부터 마지막 날은 오후 5시 까지만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424000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