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엘 (34057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1 13:4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23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3월     11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티앤엘
대 표 이 사 : 최 윤 소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수 신수로767, 에이동 24층

(전   화) 031-323-3113

(홈페이지)http:// www.tnl.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무이사 (성  명) 김 강 용

(전  화) 031-323-3113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6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제2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4년 3월 26일(화요일) 오전 10시

 

2. 장소 :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원암로 70-17, (주)티앤엘 안성공장 2층 세미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6기(2023.01.01 ~ 2023.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
                        서(안)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6기 현금 배당(안) : 1주당 550원

       제2호 의안 : 상근감사 선임의 건 (상근감사 후보 유한)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KB국민은행 증권 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당사 홈페이지에 공고될 예정 입니다.

 

5. 전자투표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2024년 3월 16일 09시 ~ 2024년 3월 25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인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
      권 처리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

    간접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날인 또는 서명),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주주가 법인인 경우)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유정환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3.01.31.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2 23.02.02. 내부회계관리제도운영보고서 승인의 건 찬성
3 23.02.17. 신규출자의 건 (티앤엘 유럽) 찬성
4 23.03.27. 신규출자의 건 (티앤엘 헬스케어) 찬성
5 23.04.25. 제26기 내부감사계획 승인의 건 찬성
6 23.09.07. 자회사 자금대여의 건 찬성
7 23.10.30. 자회사 자금여여의 건 찬성
8 23.12.20. 현금 배당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500,000,000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매출액대비
비율(%)
주식회사 코스메디텍
(최대주주 등 30% 이상 출자 법인)
매입/매출 2023.01.01~2023.12.31 69 6.0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연혁

(가) 산업의 특성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창상피복재 산업은 의료기기 산업으로 분류됩니다. '의료기기'란 사람 또는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ㆍ기계ㆍ장치ㆍ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서 질병의 진단ㆍ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구조 또는 기능의 검사ㆍ대체 또는 변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등을 포함하여 말합니다.

 

의료기기 산업의 특성은 첫째, 의료기기는 다양한 제품군으로 구성되며, 기술발전에 따라 점차 복잡해지고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는 제품설계 및 제조단계에서 임상의학, 전기ㆍ전자ㆍ기계ㆍ재료ㆍ광학 등 학제간 기술이 융합ㆍ응용되는 특성이 있으며 단순소모품에서 최첨단 전자의료기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으로 구성 됩니다. 의료기기는 주사기 등 소모품, 기초의료용품, MRI, CT, 의료용 로봇 및 수술기기 등 광범위한 기기와 장비를 포괄하며, 기술발전에 따라 점차 복잡화 및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둘째, 의료기기 산업은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입니다.

의료기기 제품 종류는 수천 가지가 넘고, 품목당 생산수량도 10만대를 초과하는 품목이 거의 없을 정도로 대표적인 다품종 소량 생산 산업입니다. 저가 또는 일부 시장에서는 전문 중소기업이 시장을 주도하며, 고가의 첨단 고부가제품은 소수의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셋째, 의료기기 산업은 정부의 의료정책 및 관리제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의료기기 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국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 등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부의 인허가 등 규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부는 의료기기 생산 및 제조, 임상시험 등 안전규제, 유통 및 판매 등 안전성ㆍ유효성 확보, 지적재산권 보장 등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허가 측면에서 국가간 인증 허가제도가 상이하여 국제 교역에서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 FDA의 인허가에 소요되는 기간이 평균 7.2개월, 중국은13개월이 소요되며, 이후 시장에 진입하는 소요 기간은 더 늘어나게 됩니다.

 

넷째, 의료기기 산업은 수요가 한정된 특징이 있습니다.

의료기기는 의료진단과 치료에 전문성을 가진 병원이 주요 수요처 입니다. 또한 건강보건과 관련되므로 제품의 안전성ㆍ신뢰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따라서 시장 수요자들은 기존 유명제품을 계속 사용하는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시장의 진입장벽이 높고 가격 탄력성은 낮습니다.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브랜드파워가 매우 중요한 산업이며, 마케팅 장벽 및 충성도가 매우 높아 경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다섯째,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의료기기 산업은 자본ㆍ기술 의존형 산업으로 제품의 개발부터 생산까지 약 3~5년 정도가 소요되어 비용 회수 기간이 장기적 입니다. 또한 개별 제품의 시장 규모가 작고 수명 주기가 짧아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요구되는 산업 입니다.

(나) 산업의 연혁

 

이상적인 드레싱제는 창상부위에 적절한 습윤환경을 제공해주고 세균 침범을 막아 창상부위의 세포들이 제 기능을 활발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창상치료시 창상이 닫힐 때까지 소독약제를 도포하고 거즈를 덮어주는 수동적인 처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는 창상의 습윤환경을 유지할 수 없고 세균의 침입을 막을 수 없어 회복이 더디고 심한 흉터가 남는 등 많은 부작용을 낳았습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습윤드레싱제가 탄생하게 되었으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습윤드레싱제 시장이 확대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국내의 습윤드레싱제 시장은 1990년대 초 콘바텍코리아가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을 처음으로 소개하면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습윤드레싱 제재의 시초가 유럽, 미국인 만큼 시장 초기에는 외산의 비중이 100%에 육박하였으나, 차츰 상처치료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티앤엘, 제네웰 같은 국내 업체가 생겨나기 시작하였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부터 창상피복재의 종류가 다양화 되었으며, 하이드로콜로이드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 폼, 진공음압창상처치 제품이 출시되며 현대적 의미의 창상피복재 초기 시장을 개척하였습니다.

 

창상피복재 시장은 최근 20년간 국민건강보험제도 차원에서 드레싱 제품에 대한 급여를 확대해가면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시장 성장에 힘입어 창상피복재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알지네이트, 실리콘, 하이드로겔 등으로소재가 다양화 되었으며 국내 업체의 기술력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내수 시장 점유율을 50%이상으로 끌어올렸을 뿐만아니라 해외로의 수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습니다.

 

한국은 이미 드레싱제의 글로벌 시장에서 발전된 시장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고, 국민건강보험이 지원하는 의료비 지불체계가 잘 갖춰져 있어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가운데 국내 의료진과 환자의 보다 좋은 드레싱제품에 대한 관심과 잠재수요는 매우 높습니다. 향후 이러한 잠재 수요가 시장화되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핵심 연구인력에 대한 니즈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시장 규모 및 성장성

2022년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규모는 최종 사용자 구입가 기준 약 3,319억원에 이른 것으로 추산 됩니다. 이 중 의료기관 구입금액이 약 2,982억원(건강보험급여 금액  약 1,579억원과 비급여 금액 약 1,403억원을 합한 금액), 일반소비자가 약국과 의료기기 등 소매점에서 구입한 금액이 약 337억원에 이르렀던 것으로 추산됩니다.

2022년 시장규모는 2018년 대비 51.4% 증가한 것이며, 연평균 10.9% 성장한 결과입니다. 이후에는 최소 연평균 7% 성장하여 2026년에는 약 3,856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년 기준 275곳의 제조사/수입사가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으며이는 2018년 218 곳에 비해 연평균 6.0% 이상씩 성장한 수치 입니다.  공급량 상위 10개사의 시장점유율이 시장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창상피복재의 품목별 규모는 2022년 의료기관이 건강보험으로부터 급여 청구한    창상피복재 구입금액 1,579억원, 6천26만여개를 품목별로 분석한 결과 폼드레싱   약 1,087억원(68.8%), 합성거즈드레싱 약 223억원(14.1%), 진공음압창상 처치용드레싱 약 49억원(3.1%), 하이드로콜로이드 약 36억원(2.3%), 알지네이트/하이드로파이버 약 25억원(1.6%) 순으로 추산됩니다.

총사용량 측면에서는 구입금액과 차이가 있는데 2022년 기준으로 거즈 약 2,489만개(41.3%), 폼드레싱 약 1,669만개(27.7%), 합성거즈드레싱 약 1,363만개(22.6%),  하이드로콜로이드 약 213만개(3.5%), 필름드레싱 약 186만개(3.1%) 순으로 사용량이 많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폼드레싱은 계속해서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2년 전체 창상피복재 급여 청구 금액 중 약 1,087억원(68.8%)을 차지했는데 이는전체 시장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액수입니다. 수년째 시장 점유율 1위인 폼드레싱에는 하이맘, 이지덤, 메디폼, 메디터치 등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은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점을 빼고 난 후붙이거나 레이저 시술 이후의 관리, 여드름 패치 등 특별히 미용 시술 분야에서 일반 소비자들이 꼭 필요한 필수 드레싱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앞으로도 안정적인 매출이 기대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의 주력 제품인 창상피복재는 의료기기 산업으로 계절적 수요의 변동이나 경기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다만, 경기호황에 따라 사람들의 외부 활동이나 여가 활동이 증가할 경우 그에 수반되는 부상(창상)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매출의 변화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상처치료에 대한 인식 변화 및 미(美)에 대한 관심 증가로 미용 목적으로 창상피복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코스메슈티컬 분야로 분류되어 일반 소비재에 가깝다고 볼 수 있으나, 최근 미용관련 분야는 필수 소비재로써의 인식이 강화되는 추세여서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창상피복재에 기반한 코스메슈티컬 분야는 선진국형 소비재 시장으로 미국, 일본,유럽 등에서 소비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 중국 및 동남아시아에서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경기변동에 따른 당사 매출의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쟁요소

국내 시장에서 창상피복재를 공급하는 주요 회사는 대부분 폼 드레싱제를 공급하고 있으며 따라서 폼 드레싱제 시장에서의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국내의료기관들 중 창상을 전문으로 하는 성형외과 의료진들이 재고 관리의 어려움 등을 사유로 취급 품목 최소화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더 이상 일반적인 제품은 병원 내 공급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신규기업이 국내 창상피복재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동일 품목 내 다른 제품과 비교하였을 때 차별화된 성분이나 특징을 가지지 않는다면 신규 진입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신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새로운 의료기술평가 절차를 거쳐야 국내 시장에 진입이 가능한 상황임을 감안하였을 때 신규기업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5) 규제환경

모든 의료기기는 시장 유통을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허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인체 위해성이 낮은 1등급 품목은 단순 신고만으로 허가를 받을 수 있고    그외 인체 위해성이 있거나 유효성이 요구되는 2~4등급의 품목은 일련의 심사 과정을 거쳐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등급

내용

예시

1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는 의료기기

의료용 칼, 가위, 영상 저장/조회용 소프트웨어 등

2

잠재적 위해성이 낮은 의료기기

전동식침대, 영상전송/출력용 소프트웨어 등

3

중증도의 잠재적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

엑스선촬영장치, CT, MRI 등

4

고도의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

심장박동기, 흡수성 봉합사 등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료기기 등급 분류기준]


등급분류는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제2조 및 [별표 1] 의료기기의 등급분류 및 지정에 관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분류합니다. 의료기기 품목의 분류는 기구/기계(Medical Instruments), 의료용품(Medical supplies), 치과 재료(DentalMaterials), 체외진단용 시약(IVD Reagents)으로 4개군으로 대분류하고, 중분류 142개, 다시 원자재, 제조공정 및 품질관리체계가 비슷한 품목군으로 분류하여 2,218개 소분류로 구성됩니다. 각 품목은 해당 의료기기가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을 바탕으로 4개 등급으로 분류되며,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료기기의 인체 삽입 여부

- 인체내 삽입/이식기간

- 의약품이나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는지 여부

- 환자에게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 체내(구강내를 제외한다)에서의 화학적 변화 유무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및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고분자 기술을 바탕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등의 창상피복재와 CAST, SPLINT의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생산하는 의료기기 제조 기업 입니다. 당사의 창상피복재는 거즈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건조드레싱에서 벗어나 습윤 형태로 상처를 치료하는 제품으로 선진국 시장뿐만 아니라 신흥국 시장에서도 각광받고 있으며, 정형외과용 고정재의 경우 높은 기술력으로 미국, 유럽 등으로의 수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노인성 질환인 욕창, 당뇨성 궤양, 정맥성 궤양 등의 만성적인 피부 손상 환자와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환자 역시 급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삶의 질적 향상이 여가활동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어 다양한 레포츠, 등산, 캠핑 등의 외부활동에서의 부상(창상, 골절) 또한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와 같은 인구 고령화 및 여가생활 증가 트렌드에 맞춰 상처 및 부상 치료재에 대한 니즈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상처치료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거즈 형태의 상처치료재 보다 상처 재생효과가 높고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습윤 창상피복재가 선호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높은 시장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와 같은 시장 트렌드를 선제적으로 파악하여 피부 손상의 원인, 정도,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상처에 적합한 드레싱제와 시술자 및 피시술자의 편의성을 강조하는 정형외과용 고정재를 제조 및 납품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의료기기 시장은 국내외 매우 많은 경쟁사들이 존재하며 점유율과 관련한 공식적인 자료가 부재하여 시장 점유율을 수치화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수요 변동요인

- 인구 고령화

당사의 사업은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질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으며, 따라서 인구 고령화는 창상피복재 및 정형외과용 고정재 시장에 향후 가장 큰 기회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구 고령화와 함께 생기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당뇨성 궤양, 욕창, 골다공증 등이 있으며, 이는 모두 창상피복재 및 정형외과용 고정재와 연관이 높은 질환들입니다. 따라서, 인구 고령화와 수명 연장, 소득증가가 기반이 되어 향후 전체적인 의료수요는꾸준히 증가할 것이며, 이로 인한 창상피복재 및 정형외과용 고정재에 대한 수요도동반하여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수술건수 증가

수술 상처에는 드레싱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창상피복재의 수요는 수술건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의료기관이 연간 시행하는 수술건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약 1,696만 건이었습니다. 코로나 19 의 영향을 받은 2020년에는 전년 대비 84만여 건이 감소했습니다. 2021년 이후로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은 1,688만여건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술의 절개부위가 상대적으로 넓어 창상피복재의 사용량이 많은 정형외과, 신경외과(척추수술관련), 일반외과, 성형외과, 흉부외과의 수술건수의 연평균 증가율이적게는 3%, 많게는 27% 선에 이르며 이는 창상피복재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미용 관련 용품으로의 인식 확산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창상피복재의 본래 기능인 상처 치료를 넘어 미용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보완, 피부과에서의 모반(점) 제거 시술후 회복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K뷰티와 맞물려 해외로의 판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당사는 제품이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점착성, 흡수성 등의 특성을 활용하여 피부미용의 마스크팩, 여드름 패치 등으로 본래의 기능인 의료목적에서 미용목적으로 그 제품 범위를 확대하는 연구 또한 진행 중에 있습니다.

(나) 주요 목표시장

당사는 모든 상처에 사용 가능한 드레싱제 및 고정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를 비롯하여 아시아 전역, 미국, 유럽 등 전세계 모든 유형의 창상피복재 및 정형외과용 고정재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 중 당사에서 특히 주목하고 있는 시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당뇨성 족부궤양

당뇨성 족부궤양은 장기간에 걸친 치료와 관리를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만성 창상으로, 환자가 정기적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게 되므로, 창상피복재가 많이소요되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의료기관이 창상피복재 구매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당뇨성 족부궤양을 주로 치료하는 진료과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욕창

욕창은 인구 고령화와 직결되어 있고, 창상피복재는 이 치료에 필수재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인구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에 국내의 욕창 인구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창상피복재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화상

화상에 대한 치료 또한 건조드레싱에서 습윤드레싱으로 지속적으로 옮겨가는 만큼, 화상관련 진료 건수가 늘어나는 만큼 창상피복재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 미용 (트러블케어)

최근에는 화장품과 경계가 모호해진 형태의 창상피복재가 속속 나오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으로 여드름패치라고 불리우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입니다.
또한 꿀, 요오드, 콜라겐, 해조류 추출물, 버섯 추출 키토산 등 창상피복재 안에 첨가하는 물질도 계속 다양해지져 기능성 화장품으로서의 역할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마이크로니들 (경피약물전달시스템, TDS)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장벽층인 각질층을 통과하여 피(血)내로 유효 성분을 전달하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주사기의 효능과 패치의 편의성을 결합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1997년에 미국 조지아 공대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 화장품, 의약, 백신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약물 전달 방법으로 개발되고 이용되고 있습니다.

의약품의 효과는 약물 자체의 효과뿐만 아니라 제형의 특성 및 어떤 투여경로를 이용할 것인가는 무척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의약품은 경구 투여 경로를 활용하던가 위장관 내의 불안정 및 간에서의 초회통과 효과로 인한 약효의 저하, 위장관 내에서의 흡수가 안 되는 경우 주사제형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주사제형은 투여기술이 있는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투여되어야 하고 통증이 있으며 경제적으로 비싸며 앰플이나 바이알 개봉 시 유리파편이나 고무마개의 파편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어서 새로운 투여경로를 통한 약물전달시스템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피부 각질층을 통증 없이 뚫을 수 있고, 피부를 통해 약물을 투여하기 때문에 경구투여경로로 전달하기 어려운 약물을 피부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약물의 혈류 흡수를 촉진시켜 보다 신속하게 작용 개시할 수 있고 피부 내에 존재하는 면역반응 세포(랑게르한스 셀)에 대한 면역반응을 증대시킬 수 있어 피부를 타겟으로 하는 약물전달에 사용가능하며 자가 투약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경피 약물전달시스템 입니다.
한국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전 세계 경피 약물전달 시스템 시장은 2018년 56억 7,73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4.5%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70억 6,88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니들 관련 기술 개발 업체 및 기관들로는 미국의 Georgia Tech.TheraJect, 3M, Zosano Pharma, Corium과 일본의 CosMED, Fuji film, 국내에는 라파스 등이 있으며 국내외의 마이크로니들의 상업화는 아직 초기단계로 화장품 시장에 집중되어 시장이 형성되어 가고 있는 단계입니다.

당사는 당사의 핵심역량인 고분자 소재기술을 활용하여 아직 국내외적으로 시장이 형성되어있지 않는 마이크로니들 시장에 진입함으로서 향후 당사의 핵심 사업군으로키우고자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2023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2023년 한해 전 임직원의 부단한 노력과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액은 전기 대비 41.5% 증가한 1,153억원을 달성하였고, 영업이익은 30.8% 증가한 315억원, 당기순이익은 29.9%증가한 274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2023년말 기준 당사의 자산총계는 1,425억원(유동자산 696억원, 비유동자산 729억원)으로 작년보다 247억원 증가하였고, 부채는 130억원으로 작년보다 13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자본총계는 1,295억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산총계의 증가는 당사의생산시설 확충을 위한 증설이 (유형)자산의 증가가 주된 원인 입니다.

 

당사의 주력 제품인 창상피복재, 정형외과용 고정재의 국내 성장이 둔화 될 것으로 판단하여, 의료용 목적의 창상피복재에서 미용목적의 트러블케어 시장으로 이동 및 용도 전개하여 해외시장으로의 영업 확대를 통해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당사는 이와 같은 시장 통찰력과 꾸준한 연구개발, 미래지향적 목표를 가지고 신소재개발 역량강화, 신제품 출시 확대를 위해 노력을 다 하고 있습니다.

 

올 한 해도 당사의 임직원은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 재무제표는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이며, 향후 회계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변동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26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25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티앤엘과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목 제 26(당) 기말

제 25(전) 기말

자산

I. 유동자산 72,046,789,776 58,811,713,798
    현금및현금성자산 19,271,422,412 20,579,751,357
    매출채권 9,875,548,522 13,265,707,652
    기타금융자산 29,194,210,778 13,063,900,153
    기타유동자산 830,814,479 1,292,001,241
    재고자산 12,874,793,585 10,610,353,395
II. 비유동자산 70,061,211,489 58,185,555,646
    기타금융자산 116,216,890 112,644,580
    유형자산 66,832,553,846 56,365,578,441
    무형자산 3,112,440,753 1,707,332,625
자산총계 142,108,001,265 116,997,269,444
부채

I. 유동부채 11,250,592,149 9,731,422,918
    매입채무 3,015,606,966 3,921,544,842
    기타금융부채 2,526,278,114 1,893,007,906
    기타유동부채 2,010,697,810 1,118,086,442
    당기법인세부채 3,614,113,442 2,685,497,365
    유동성장기리스부채 64,967,977 52,186,743
    충당부채 18,927,840 61,099,620
II. 비유동부채 1,304,295,036 1,193,436,652
    리스부채 47,254,746 67,326,690
    확정급여부채 305,472,952 114,556,616
    기타금융부채 362,893,766 431,745,328
    이연법인세부채 588,673,572 579,808,018
부채총계 12,554,887,185 10,924,859,570
자본

I. 자본금 4,464,000,000 4,464,000,000
II. 자본잉여금 27,979,671,300 27,979,671,300
III. 기타자본항목 (1,878,894,050) (1,878,858,350)
IV.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59,142,849 246,761,089
V. 이익잉여금 98,729,193,981 75,260,835,835
자본총계 129,553,114,080 106,072,409,874
부채 및 자본총계 142,108,001,265 116,997,269,444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6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25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티앤엘과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목 제 26(당) 기말

제 25(전) 기말

매출액 115,461,318,940  81,577,391,444
매출원가 70,307,852,630  47,369,658,263
매출총이익 45,153,466,310  34,207,733,181
   판매비와관리비 14,314,281,284  9,898,895,126
영업손익 30,839,185,026  24,308,838,055
   금융수익 1,928,658,066  1,008,593,779
   금융비용 393,754,689  38,770,999
   기타수익 2,114,948,536  1,432,082,786
   기타비용 1,429,322,755  1,149,645,55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33,059,714,184  25,561,098,068
   법인세비용 5,621,031,841 4,443,532,946
당기순이익 27,438,682,343 21,117,565,122
기타포괄손익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337,918,797) 71,000,999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337,918,797) 71,000,999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12,381,760  (75,343,070)
   해외사업환산손익 12,381,760  (75,343,070)
기타포괄손익합계 (325,537,037) (4,342,071)
총포괄이익 27,113,145,306 21,113,223,051
주당손익

   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 3,399 2,602



재 무 상 태 표
제 26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25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티앤엘 (단위: 원)
과목 제 26(당)기말

제 25(전)기말

자산

I. 유동자산 69,649,313,449 57,538,614,461
    현금및현금성자산 17,785,318,991 19,946,305,873
    매출채권 9,853,871,150 13,233,653,666
    기타금융자산 29,134,915,344 13,050,937,090
    기타유동자산 708,768,968 1,214,762,870
    재고자산 12,166,438,996 10,092,954,962
II. 비유동자산 72,919,191,854 60,272,512,241
    기타금융자산 445,399,554 85,247,140
    관계기업및종속기업투자 3,184,795,294 2,607,037,546
    유형자산 66,187,661,208 55,873,414,674
    무형자산 3,101,335,798 1,706,812,881
자산총계 142,568,505,303 117,811,126,702
부채

I. 유동부채 11,626,684,882 10,535,280,176
    매입채무 3,132,519,994 4,261,550,501
    기타금융부채 2,425,251,241 1,843,547,543
    기타유동부채 2,370,904,388 1,631,398,404
    당기법인세부채 3,614,113,442 2,685,497,365
    유동성장기리스부채 64,967,977 52,186,743
    충당부채 18,927,840 61,099,620
II. 비유동부채 1,388,706,341 1,203,436,652
    리스부채 47,254,746 67,326,690
    확정급여부채 279,449,722 114,556,616
    기타금융부채 473,328,301 441,745,328
    이연법인세부채 588,673,572 579,808,018
부채총계 13,015,391,223 11,738,716,828
자본

I. 자본금 4,464,000,000 4,464,000,000
II. 자본잉여금 27,979,671,300 27,979,671,300
III. 기타자본항목 (1,878,894,050) (1,878,858,350)
IV.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59,142,849 246,761,089
V. 이익잉여금 98,729,193,981 75,260,835,835
자본총계 129,553,114,080 106,072,409,874
부채 및 자본총계 142,568,505,303 117,811,126,702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6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25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티앤엘 (단위: 원)
과목 제 26(당)기

제 25(전)기

매출액 115,292,868,394 81,485,799,251
매출원가 70,680,473,471 47,980,288,204
매출총이익 44,612,394,923 33,505,511,047
   판매비와관리비 13,074,371,428 9,397,592,743
영업이익 31,538,023,495 24,107,918,304
   금융수익 1,935,517,725 1,007,867,297
   금융비용 393,754,689 38,770,999
   기타수익 2,199,513,935 1,337,996,371
   기타비용 1,598,261,143 1,098,421,320
   종속기업투자손익 (624,124,012) 234,816,607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33,056,915,311 25,551,406,260
   법인세비용 5,618,232,968 4,433,841,138
당기순이익 27,438,682,343 21,117,565,122
기타포괄손익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337,918,797) 71,000,999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337,918,797) 71,000,999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12,381,760 (75,343,070)
   지분법자본변동 12,381,760 (75,343,070)
기타포괄손익합계 (325,537,037) (4,342,071)
총포괄이익 27,113,145,306 21,113,223,051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 3,399 2,602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6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25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단위 : 천원)

과목 당기 전기
(처분예정일 : 2024년 03월 26일) (처분확정일 : 2023년 03월 29일)
1. 미처분이익잉여금
97,330,982
74,225,864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70,230,218
53,037,298
  순확정급여의재측정요소 (433,229)
71,001
  당기순이익 27,438,682
21,117,565
2. 이익잉여금처분액
4,883,567
3,995,646
  이익준비금 443,961
363,241
  배당금(현금)
(당기 : 보통주 550원(110%))
(전기 : 보통주 450원(90%))
4,439,606
3,632,405
3.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92,447,415
70,230,218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유한 1971.12.26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유한 기관투자자 2023~ 현재 이지앤투자파트너스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유한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투자파트너스 대표이사로서 30 년간 회계법인, 기관투자사, 증권사 등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사업 및 투명경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상근감사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5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741,513,370
최고한도액 2,5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51,500,000
최고한도액 3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03.18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     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DART-정기공시」에 제출된(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2024년 3월 18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www.tnl.co.kr [IR -> 공시])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주주총회 집중일 주주총회 개최 사유]
해당사항 없음


[전자투표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인터넷,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2024년 3월 16일 09시 ~ 2024년 3월 25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인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
      권 처리

[주주총회 소집 통지 안내]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게는 본 공고로 소집 통지를 갈음하오니 널리 양해 바랍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234

티앤엘 (34057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