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믹스 (33192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3 15:0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3000416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3 월   13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셀레믹스
대 표 이 사 : 김효기, 이용훈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에이동 20층 2004호 외
(가산동, 비와이씨하이시티지식산업센터)

(전   화) 02-6746-8067

(홈페이지)http://www.celemics.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지원팀장 (성  명) 이상석

(전  화) 02-6966-012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3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가정의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 제13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2023년 3월 28일(화), 오전 10시 30분

2.  장   소: BYC하이시티 C동 305호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BYC하이시티 C동 3층 305호)

3.  회의목적사항


1)  보고사항: 제13기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의결사항

     제1호 의안: 제13기(2022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 제2-1호 의안: 사내이사 김효기 선임의 건(임기 만료에 따른 재선임)

성명

생년월일

주요약력

추천인

회사와의 거래내역

최대주주와의 관계

김효기 83.01.01 現 ㈜ 셀레믹스 대표이사
前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연구원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박사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석사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

이사회

해당사항 없음

없음

         -  제2-2호 의안: 사내이사 이용훈 선임의 건(임기 만료에 따른 재선임)

성명

생년월일

주요약력

추천인

회사와의 거래내역

최대주주와의 관계

이용훈 65.01.15

現 ㈜ 셀레믹스 대표이사
前 ㈜ 휴맥스홀딩스 신사업담당 임원
前 ㈜ 휴맥스 혁신담당 임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사

이사회

해당사항 없음

없음

     제3호 의안: 이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 10억 (기존과 동일 한도)

     제4호 의안: 감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 1억 (기존과 동일 한도)


4.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신분증

    - 대리행사: 위임장 [주주 개인 또는 법인 인감날인, 인감증명서(3개월 내 발급)
                     첨부], 대리인 신분증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 542조의 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7. 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20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최정민
(출석률: 92%)
찬 반 여 부
2019_3 2019-04-04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2019_4 2019-06-03 1. 신주발행의 건 찬성
2019_5 2019-06-11 1. 신주발행의 건 찬성
2019_6 2019-07-03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취소의 건 찬성
2019_7 2019-07-09 1. 무상증자 결의의 건 찬성
2019_8 2019-07-25 1. 무상증자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수량 및 행사가격 조정의 건 찬성
2019_9 2019-09-24 1. 명의개서 대리인 선임의 건 찬성
2019_10 2019-09-24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19_11 2019-10-02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취소의 건 찬성
2019_12 2019-11-01 1. 특수관계자 방두희와의 거래 사전 승인의 건 찬성
2020_1 2020-01-02 1. 사내규정 제정의 건 찬성
2020_2 2020-01-08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취소의 건 찬성
2020_3 2020-02-10 1. 정기 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0_4 2020-02-21 1.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 동의 건 찬성
2020_5 2020-03-05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취소의 건 찬성
2020_6 2020-06-22 1. 코스닥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
2. 신주인수권 부여에 관한 계약 승인의 건
찬성
2020_7 2020-11-23 1. 신주인수권 행사청구에 따른 신주발행의 건 불참
2021_1 2021-03-10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1_2 2021-05-24 1. 해외 바이오기업 지분투자의 건 찬성
2021_3 2021-12-20 1. 본점이전의 건 불참
2022_1 2022-03-04 1. 정기 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2_2 2022-04-15 1. 전자투표제도 시행의 건 찬성
2022_3 2022-04-18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3_1 2023-02-08 1. 외부감사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2023_2 2023-03-13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000 12 12 -

주)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2022년 3월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된 2022년 이사보수한도 총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단백질은 다양한 기관, 효소, 호르몬 등 신체를 이루는 주성분으로 생명체의 모든 생명 활동 기능을 담당하는데, DNA는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정보(청사진)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DNA를 잘 만들고 읽어내는 것은 생명공학이 적용되는 모든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되며 기반이 되는 기술입니다. 분자 수준에서 생명의 형성과 조절을 연구하는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은 1953년 DNA의 구조가 밝혀지면서 본격적으로 발전되었으며 DNA-RNA-단백질로 연결되는 중심이론(Central Dogma)를 확립하여 현대 의료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DNA의 변화는 단백질 기능의 변화를 가져옵니다. 암(Cancer)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DNA의 돌연변이를 검사함으로써 질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합성 DNA로 신약을 개발할 수 있고, 합성생물학에서는 새로운 단백질을 개발해 신물질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동식물 육종에서는 DNA와 우수한 형질의 상황관계를 밝혀 우수한 종자 개발에 활용할 수 있고, 장내 존재하는 매우 다양한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의 DNA 분석을 통해 의료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과 분자클로닝 기술 응용분야


분자클로닝(Cloning)과 DNA 염기서열 분석(Sequencing)은 분자생물학에서 가장 기반이 되는 기술로서, 생물에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하여 증식하는 기작을 통해 분자생물학이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데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분자클로닝은 원하는 DNA 분자를 복제하여 복수의 같은 서열을 갖는 DNA 분자들을 만드는 기술이고, DNA 시퀀싱은 서열을 모르는 DNA 분자의 서열 정보를 알아내는 기술입니다.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은 2000년대 중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ext Generation Sequencing, 이하 NGS)이 개발됨에 따라 단위 염기 서열 당 분석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낮아지고 생산량(Throughput)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혁신이 있었던 데 반해, 분자 클로닝 기술은 1970년대 초반 개발된 이래 비용과 생산량 측면에서 큰 혁신이 없었습니다. 분자 클로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클로닝 과정의 전과 후에서 DNA 분리(Separation), DNA 염기서열 분석(Sequencing), 클론 회수(Retrieval) 또는 DNA 합성(Synthesis) 과정이 필수적인데, 이 과정들이 각기 따로 존재한 채 통합되지 않아 큰 비용을 초래함은 물론이고 수작업에 의존함으로써 현대 의료 및 분자생물학 연구의 대량고속(High-throughput) 수요에 대응할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현 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DNA 소재 및 시약 개발 기술, 광학 기기 및 자동화 장비 개발 기술, 미세유체 및 반도체 공정 기술, Bioinformatics 알고리즘 개발,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기술 등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BT-NT-IT를 아우르는 다학제간 기술융합을 통한 혁신을 이뤘습니다. 그중에서도 NGS라는 메가트렌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DNA 분리, 증식, 분석, 회수를 통합한 혁신적 클로닝 기술을 개발했고 이를 MSSIC (Massively Separated and Sequence Identified Cloning)이라 명명하였으며, 이 혁신을 통해 분자클로닝의 ‘저비용, 대량고속 수요 대응’이라는 산업의 문제를 해결 하였습니다.

당사는 혁신적인 차세대 클로닝 기술인 MSSIC 기술뿐만 아니라 세 가지 제품화 기술을 개발하여 (1) Target Capture 키트, (2) 면역 레퍼토어 분석 솔루션, (3) 차세대 시퀀싱 솔루션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병원, 수탁검사기관, 제약사, 종자회사, 연구소 등 바이오산업의 주요 기관들에 공급되어 진단, 신약개발, 종자개발, 합성생물학, 마이크로바이옴, 학술연구 등 폭넓은 곳에서 가치를 만들어 내는 데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당사의 기술 역량을 살려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분야를 탐색하다가 NGS Target Capture 키트를 첫 사업 아이템으로 정하고 제품화에 착수했습니다. 당사의 Target Capture 키트의 사업화 결정 당시인 2012년 하반기에 정부의 다부처 유전체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타당성을 인정받아 약 5,800억원의 정부 연구비가 향후 수년에 걸쳐 투입될 예정이었습니다. 당사는 이때 여러 업계의 전문가들과 면담 및 논문 스터디 등을 통해, 향후 NGS가 실용화 되면 가장 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는 NGS Target Capture 키트 분야(현재 당사의 사업 영역)라고 판단했습니다.

  

그리고 해당 분야는 기술 진입 장벽으로 인해 당시 전 세계 시장에는 미국의 4개 회사만이 제품을 공급하고 있었으며, 국내 시장은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상황이었습니다. 당사는 당사 고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술 진입 장벽을 극복할 수 있겠다고 판단하였습니다. NGS 장비 시장에서는 한국이 한발 늦었지만, 시약(Target Capture 키트) 분야는 당사의 기술을 활용하면 제품 개발에 성공할 수 있고, 성능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사업 성공 확률이 높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전체 NGS 검사(Target Sequencing)에 사용되는 소재 중 가장 고가의 소재가 Target Capture 키트입니다. 전체 NGS 검사에 사용하는 소재 비용 중 Target Capture 키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70% 수준이며, 당사의 시장 조사 결과, 고객들은 Target Capture 키트의 조달 비용을 낮추는 것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일임을 확인 하였습니다.

[Target Sequencing 공정도 및 Target Sequencing 비용구조]


target 시퀀싱 공정도



타겟시퀀싱 비용 구조


출처: 당사자료


또한 이 Target Capture 키트의 성능은 검사 결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즉, Target Capture 키트의 캡춰 성능이 낮게 되면 실제 검체에는 돌연변이가 존재하지만 검사 결과에서는 음성으로 리포팅 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시퀀싱 양을 늘리게 되면 검사 기관의 원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당사는 고객들이 제품의 성능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품질 지표가 고객들의 검사 현장에서 손쉽게 모두 숫자로 표시된다는 점에 집중하였습니다.

  

즉, On-target ratio, Coverage, Uniformity와 같은 Capture 성능을 표현하는 지표는 고객들이 검사실에서 매 검체의 QC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당시 고객들은 해외 제조사의 제품들의 customized 제품 공급의 품질 정책 및 가격에 대해 불만이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소수의 공급회사만이 공급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제품 선택지가 없어 불만이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당사는 당사의 경쟁사들은 모두 규모가 큰 경쟁사들이지만 좋은 품질의 제품을 개발하여 합리적인 가격으로 공급하면 고객들은 당사 제품의 우수성을 손쉽게 숫자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승산이 있겠다는 판단을 하였습니다. 또, 이 Target Capture 키트 소재는 전 세계에서 4개사만이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시장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시장에도 당사 제품의 경쟁우위가 전달되면 진입이 가능하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당사는 기반 기술인 MSSIC기술을 활용하여 2013년 7월 전 세계에서는 5번째, 북미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최초로 Target Capture 키트 제품화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2013년 8월부터 Customized Target Sequencing 서비스를 개시하며 영업활동을 시작 하였습니다. 당사가 제품을 출시할 당시에는 전 세계적으로는 아직 NGS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고객들이 많지 않았고 오히려 검체를 보내줄 테니 검사 결과를 달라는 분석 서비스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당사의 Target Capture 키트 사업은 초기에는 서비스 형태로 공급이 되었습니다. 초창기에는 대학병원 연구소, 의과대학 연구소가 주 고객이었습니다.

  

[Target Capture 키트 상용화 회사 비교]


target capture 키트 비교자료



이후 2017년 국내 NGS 검사실 인증 제도와 NGS 검사가 건강보험에 적용가능한 항목으로 등록이 되면서 전국의 병원 및 수탁검사기관에서 NGS를 도입하게 되었고, 당사는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당사의 Target Capture 키트 제품을 공급하여 고객의 검사실에서 당사의 제품을 이용하여 직접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제품과 서비스는 국내 대형 대학병원 및 수탁검사기관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 기술/제품이 대상으로 하는 시장, 음영 부분은 현재 시장 진입 완료]

시장 분류

당사 제품

용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의료

진단

Germline

(생식세포돌연변이 검사)

유전질환

Target Capture 키트

환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질병의 진단 및 질병 발생 위험 예측

Somatic

(체세포 돌연변이 검사)

고형암

Target Capture 키트

암 유전자 분석을 통한 맞춤형 치료

예후 예측

액체생검

Target Capture 키트

재발 추적관찰

암 조기 진단

혈액암

Target Capture 키트

맞춤형 치료

면역 레퍼토어 분석 솔루션

치료 효과 모니터링

재발 모니터링

기존 PCR/Sanger 기술 시장

차세대 시퀀싱 솔루션 (BTSeq)

긴 길이의 DNA 서열분석

High-throughput 지노타이핑

코로나 19 등 호흡기 바이러스 전장서열분석

치료

항체 발굴

면역 레퍼토어 분석 솔루션

항체 발굴 과정 단축

바이오의약품 생산

(세포주 QC)

Target Capture 키트

유전체 내 삽입된 기능을 하는 DNA(Insert)의 위치 및 반복수의 정밀 분석

세포주 생산 QC

비의료

동식물 육종

Target Capture 키트

분자육종을 위한 High-throughput Genotyping

종자 개발 기간 단축, 비용 절감

연구 (유전자 분석이 필요한 모든 종류의 연구)

차세대 시퀀싱 솔루션 (BTSeq)

Sanger 시퀀싱 기술 대체

합성생물학

차세대 시퀀싱 솔루션(BTSeq)

Sanger 시퀀싱 기술 대체

  

1) Target Capture 키트

  

의료산업 중 진단에 있어서 정밀의료 트렌드가 파급됨에 따라 각 개인의 유전자형에 따른 (Germline) 진단과 종양 조직 별 특이적인 (Somatic) 진단이 메이저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약 10년 전부터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이 주 방법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당사는 NGS 플랫폼 상에서 위 두 가지 형태의 진단이 가능토록 당사 고유의 MSSIC기술과 차세대 유전자 포획 기술을 활용하여 고순도 합성 DNA가 핵심 원료인 Target Capture 키트를 개발, 생산하여 아래와 같은 시장 카테고리에 공급 및 공급 계획입니다.

  

구분

내용

Germline 진단

유전성 암, 선천적 유전질병 등을 진단하며 현재는 환자나 고위험군을 진단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은 국내에서는 까다롭고 수준 높은 주요 대학병원들 및 수탁검사기관에 진입하였습니다.

해외 경쟁사들과 동등한 비교 평가를 거쳐 당사의 제품이 선택되어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유전성암, 고지혈증, 뇌졸증 발병 위험을 사전에 알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검진 시장이 국내에서도 열려 본격적으로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규모가 큰 중국시장은 북경 지점에 주재원 및 현지직원들을 두어 시장진입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DTC (Direct To Customer) 형태로 큰 시장도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터키, 헝가리,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 유럽과 중동 시장에도 매출을 일으키며 진입하고 있습니다.

Somatic진단

암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정확한 항암제 혹은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입니다. 국내 주요 대학 병원을 대상으로 매출을 일으키고 있으며 국내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해외 시장도 진입 중입니다.

액체생검

암 발병의 경우 혈액에 종양 돌연변이 유전자가 극미량 떠돌아다니는데, 이를 당사 제품으로 진단하여 영상의학 대비 조기에 암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종양 임상 분야에서는 이미 확립된 방법론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국내 고객을 통해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QC솔루션

바이오제약사는 생산관리 분야에서 세포주의 품질 및 유지관리가 중요한데 이에 필수적인 QC솔루션을 구현하여 국내 복수의 바이오제약사와 테스트 및 상용 서비스를 수행하였습니다.

육종시장

분자 마커 스크리닝을 통하면 통상 6년 정도에 걸리는 육종 기간을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Target Capture 키트를 육종 시장에 진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2) 면역레퍼토어 분석 솔루션

  

바이오제약사는 매우 많은 수의 후보항체 중 적합한 항체들을 걸러내는 것이 관건이며 수차례의 반복적인 필터링 작업을 반복합니다. 각 과정마다 실험, DNA서열분석, DNA합성을 반복하는데 DNA서열분석 및 합성을 하나의 통합된 과정으로 대체하면 전체 필터링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로써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당사는 MSSIC 기술을 일부 변형하여 TrueRepetoire라는 서비스를 개발하여 바이오제약사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은 CRO(Contracted Research Organization) 및 바이오제약사이며 미국, 영국, 국내의 주요 업체로부터 문의 및 주문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TrueRepetoire와 관련된 일부 기술을 원용하여 Immune Profile을 분석하는 Immune Profiling 분석 서비스를 개발하여 국내 바이오제약사를 대상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던 바 응용분야를 혈액암 MRD(Minimal Residual Disease) 진단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고 현재 국내 메이저 수탁검사업체 및 대형병원, 혈액종양협회 협조를 얻어 제품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19년 서울시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과제에 지원하여 기술성과 제품성을 인정받았으며, 그 결과 해당 과제에 선정되어 연구비 지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해당 키트를 공동개발 완료한다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Acute Lymphocytic Leukemia)의 MRD 진단 키트화 하여 현재 유일한 키트인 미국 InvivoScribe社 제품을 대체할 것을 기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3) 차세대 시퀀싱 솔루션

  

MSSIC 기술의 일부를 변형, 활용하여 기존 DNA 시퀀싱 방법 중 하나였던 생어 시퀀싱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며 완료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당사는 이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시퀀싱 솔루션’인 BTSeq (Barcode-Tagged Sequencing) 제품을 출시하여 연구용 생어 시퀀싱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해당 시장은 이미 현존하는(Existing) 시장이며 시퀀싱의 성능 및 가격에 의해 바로 대체될 수 있는 시장이기 때문에 비교적 단기간에 매출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도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BTSeq을 활용하여 최근 국내외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돌연변이 전파를 1일 이내에 바이러스 전장염기서열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여 질병관리본부에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기존 RT-PCR법은 검사에 걸리는 시간이 빠르지만 돌연변이 유무를 검사할 수 없어 역학 계통 연구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기존 Sanger 시퀀싱 및 NGS 기술은 전장서열 분석을 할 수는 있지만 분석에 걸리는 시간이 수일에서 수주일으로 오래 걸립니다. 이에 당사는 BTSeq을 국내 뿐만 아니라 현재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유럽 및 중동 지역에 공급을 진행 중입니다.

(3) 시장의 특성

DNA의 염기서열에는 개인의 형질 및 질병과 관련된 유전적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분석하는 것은 생물학적 현상 및 질병의 발생기전을 이해하고 진단 및 치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데에는 1970년대 Sanger에 의해 개발된 직접염기서열분석 방식이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Sanger 방식의 경우 분석하고자 하는 부위를 PCR 증폭을 하여야 하므로, 여러 Target을 분석할 경우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어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존재하였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방식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DNA 가닥을 각각 분석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직접염기서열 분석 방식인 Sanger에 비해 매우 빠르고 저렴하게 염기서열 분석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Sanger 방식과 NGS 방식의 차이]


직접염기서열분석법(sanger sequencing)의 원리



차세대염기서열분석방식(ngs) 원리


자료: 식품안전의약처. NGS기반 유전자 검사의 이해


기존 Sanger를 활용한 인간게놈프로젝트에는 수십억 달러가 소요되었으나, 2008년 NGS를 이용한 인간게놈프로젝트에는 비슷한 분석 결과를 짧은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NGS 장비 및 기술의 개량 발전으로 기존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검사가 가능해 졌으며, 이에 따른 유전체 해독으로 진단, 치료, 농업, 수산, 식품, 환경 등 다양한 산업영역에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유전체를 활용한 연구 범위 및 활용 분야]

분자진단

(Molecular Diagnostics)

유전체에서 특정 DNA 서열을 확인하여 질병진단 후 경과를 예측하여 치료법을 선택, 그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

이러한 유전체 기반 분자진단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진단에 이용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개발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인간유전체에 포함된 분자경로에서 의약품 표적의 확인과 검증에 활용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신약개발 과정 단축 가능

정밀의료

(Precision Medicine)

질병의 예측, 예방,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 유전정보, 질병정보, 환경정보에 대한 통합적 통찰력을 사용하는 새로운 의료 접근법을 의미

농식품 및 가축 연구

(Agricultural and animal research)

농작물 및 가축에 유전가능한 특성을 보급하기 위한 유전적 변이· 선택의 영향성 연구를 의미
※ 작물육종 및 형질전환 기술에 활용되는 유전자 마커 포함

약물유전체학

(Pharmacogenomics)

약물반응 임상연구 시 유전체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약물 표적 수준, 약물반응 마커의 발견속도를 높이기 위해 유전체를 기반으로 영향성 분석

유전공학 / 유전변형

(Genetic Engineering/ Genetic Modification)

유전공학이란 생물체의 유전자변형을 통해 세포의 유전체구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

생물체 내 또는 종 경계를 넘어 유전자를 전달하여 개선되거나 새로운 생물을 생산하는 유전공학 연구에 활용

자료: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Global Genomics Industry Outlook, 2017-2023 (F&S 분석)

 

또한 유전체 분석 기술 등의 발전으로 인해 대량의 데이터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쏟아지고 있어, 데이터의 분석, 저장, 해석 등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딥러닝, 블록체인 등 새로운 데이터 분석 및 교환 기법이 발전하는 등 향후 4차 산업혁명과의 접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은 유전체 분석 산업의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선점하기 위해, 지난 수십년간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점차적으로 늘려왔으며, 이와 관련된 핵심 원천기술개발을 선점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으며, 그 관심 및 중요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Target Capture 키트 제품군

   

액체생검용 Target Capture 키트는 ‘19년부터 당사의 주요 협력사의 IVD 진입을 위한 ODM 제품 공급을 통해 일부 매출을 실현하였으며, 국내 및 글로벌 시장에 진입할 계획입니다. Cell Line QC용 Target Capture 키트는 ‘19년부터 프로토타입 형태의 서비스를 국내 주요 고객(셀트리온, 코오롱생명과학)에 공급하였으며,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시장 진입 계획입니다. 

  

1) 액체생검용 Target Capture 키트

액체생검용 Target Capture 키트의 핵심 기술력은 ‘미량의 시료에서 매우 낮은 비율로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가’ 입니다. 당사는 2017년부터 서울대학교 병원과의 공동연구로 대장암, 유방암, 폐암에 대해 패널 개발을 하였으며, 프로브 디자인기술, 노이즈 제거 기술, 시약 최적화 기술을 액체생검용으로 최적화하였습니다.

  

가) 제품 개요

Circulating tumor DNA (ctDNA)는 종양 세포로부터 유래되어 혈액 내에 돌아니는 DNA를 말합니다. 혈액을 채혈한 후 원심분리를 수행하면 외주혈단핵세포 (PBMC)와 혈장으로 분리되는데 이 중 혈장에서 세포 유리 DNA (cell free DNA)를 얻을 수 있고 이 중 일부가 종양 유래 ctDNA입니다. 본 Circulating tumor DNA test는 혈장 내에 존재하는 미량의 종양 유래 ctDNA를 분석하여 종양 유발 변이를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암 조기 진단 및 조직 검사 대체 검사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나) 제품의 필요성

구분

내용

조직검사

대체기술

침습적이고 위험도가 높으며 환자에게 부담을 주는 조직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검사 기술에 대한 수요가 존재합니다.
ctDNA를 이용한 액체 생검 방식의 종양 유전자 검사는 채혈로 검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환자에게 주어지는 육체적/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맞춤형 종양 치료

시스템 구축

종양 유전변이 분석 결과를 통해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치료 과정에서 약물 반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종양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암 환자 치료 후 재발 여부를 기존의 조직검사 혹은 CT, MRI 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채혈로 추적, 관찰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다) 제품 경쟁우위

제품군

내용

ctDNA 패널

유전변이 검출 성능 확인을 위하여 특정 비율로 변이가 포함된 DNA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유방암 패널의 성능을 검증하였습니다.

Seracare 사의 VAF 0.5%, 1% 두 가지 샘플 20 ng을 이용하여 변이 검출 여부를 확인한 결과 99.1%의 민감도로 변이를 대부분 발견했으며

VAF도 실제 값과 거의 유사하게 검출 성공하였습니다.

당사 고유의 MSSIC 기술을 활용하여 매우 높은 Coverage와 Unifomity 의 고객 맞춤형 cfDNA패널 개발 가능, 향후 개발 해외 시장 진입 시 고객 맞춤형 특징은 큰 경쟁 우위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타 Target Capture 키트를 공급하는 회사와 달리 당사 고유의 분자 바코드 기술과 분자바고트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제품과 함께 번들링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분자 바코드 시약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하여 공급하는 경쟁사는 Roche사만이 존재하는데, 가격 등의 이유로 아시아, 유럽 및 중동지역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와 같은 Data를 바탕으로 아시아, 유럽 및 중동 시장 진입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라) 사업화 전략

국내/외 모두 기존 Target Capture키트 대리점을 활용하여 각국의 병원, 임상기관 등에 납품할 예정입니다.

2) 세포주 QC용 Target Capture 키트


가) 제품 개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host genome 내에 원하는 유전자를 삽입하는 기술입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면 원래의 생물종에서 생산하지 않는 유용한 단백질 혹은 생화학 물질 등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Retrovirus는 RNA 바이러스의 한 종류로, 감염 후에 host genome 내에 자신의 genome을 삽입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Lentivirus는 이러한 retrovirus의 일종으로, 변형시킨 virus vector를 이용하여 원하는 유전자 서열을 host genome 내에 삽입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Lentivirus를 이용한 외부 DNA의 게놈 내 삽입 과정 모식도


lentivirus를 이용한 외부 dna의 게놈 내 삽입 과정 모식도



Lentivirus를 이용하는 경우 유전자의 삽입 위치를 특정할 수 없으며 host genome 내의 임의의 위치에 유전자 서열이 끼어들게 됩니다. 원하는 단백질 혹은 생화학 물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세포주를 만들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유전자가 host genome 내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사의 세포주 QC용 Target Capture 키트는 세포 내 삽입된 유전자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고객은 바이오신약 개발 및 생산 과정에서 세포주의 특성을 저렴한 비용으로 정확하게 QC 할 수 있습니다. 

 

나) 제품의 필요성

기존에 integration site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DNA fragment에 공통 primer site를 삽입한 후 vector서열에 결합할 수 있는 프라이머와 함께 PCR 증폭을 수행하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PCR 증폭을 이용하는 방식은 실험이 간단한 편이지만 유전자가 삽입된 경우에도 PCR 증폭이 일어나지 않거나, 프라이머와 유사한 서열을 갖는 host genome 위치에 결합하여 잘못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NGS를 이용한 integration site 분석법으로는 Whole genome sequencing을 통해 host genome 전체의 정보를 얻어낸 후 여기에 포함된 Non-host genome 정보를 이용하는 분석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 제품의 경쟁 우위

경쟁 기술인 WGS 기반 integration 분석법은 PCR 기반 방식에 비해 더 높은 감도와 정확도로 integration site를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정확한 integration site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시퀀싱 데이터를 생산해야 하므로 시퀀싱 비용이 매우 고가이며, 다뤄야 하는 데이터의 크기도 매우 크기 때문에 분석 비용 또한 고가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당사에서는 유전자 포획 기술을 integration site 분석에 접목하여 기존 WGS 기반 분석법 대비 분석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Integration site 분석을 위해서는 host genome의 크기 대비 수 천배 이상의 시퀀싱 데이터를 생산해야만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단순한 미생물의 경우에도 genome은 수백만 bp의 크기를 가지며, 인간의 경우 30억 bp에 달하기 때문에 시퀀싱 비용이 매우 고가입니다. 그러나 유전자 삽입에 이용하는 vector는 수만 bp에 불과하므로, 해당 vector content를 포함하는 DNA를 포획 후 주변 서열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integration site를 분석한다면 필요한 시퀀싱 데이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 제품은 경쟁 기술인 WGS에 비해 매우 저렴한 분석 비용 및 빠른 분석 시간의 경쟁 우위를 갖추고 있습니다.

  

라) 사업화 전략

당사의 세포주 QC용 Target Capture 키트의 고객은 제약사입니다. 당사는 국내외 주요 Reference 고객을 확보하였으며, 이 Reference를 바탕으로 고객 기반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해외의 경우에는 제약사 고객을 발굴하기 위해 제약 시장 전문 Consultant를 활용하여 고객 발굴 예정입니다.  


(나) 면역레퍼토어 솔루션 키트 제품군

 
1) MRD(Minimal Residual Disease, 미세잔존질환) 키트

  


가) 제품 개요

혈액암은 혈액, 골수, 림프계에 영향을 미치는 암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이며, 전 세계적으로 연간 90만명의 환자가 새롭게 혈액암으로 진단받고 있습니다. 혈액암에는 약 140 종의 서로 다른 암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3가지 암종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혈액암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치료에 대한 반응정도’인데, 관해유도 치료 후에 미세하게 남아있는 혈액암 세포의 수가 예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를 MRD(Minimal Residual Disease, 미세잔존질환)라고 합니다.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인 NGS는 세포의 표현형이나 기존의 분자생물학 기술로 진단해왔던 수준보다 더 높은 정밀도와 정확도를 나타내기에 환자의 치료예후 관찰 및 치료성적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NGS와 자체개발한 혈액암 환자 맞춤형 유전자 증폭 기술, 단일 세포 유전자 분석 (single cell sequencing) 기술을 융합하여 혈액암의 최적화된 치료를 위한 NGS 기반의 MRD 검출 키트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나) 제품의 필요성

백혈병 중 대표적인 사례인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이하 ALL,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은 골수 내에서 미성숙 림프구의 과다증식으로 생기는 혈액 암으로서, 연간 발생빈도는 인구 10만명 당 3~5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 소아의 경우, 국내에서 연간 250여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연간 약 700여명의 환자가 계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소아의 경우보다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성인 중 급성인 경우에는 생존율이 30~40%에 불과하고, 이 중 50%의 환자는 치료 중 재발하거나 기존 치료에 불응성을 보여 5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합니다.

  

이에 따라 의료계에서는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ALL 환자)의 치료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진단 및 치료 전략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상황이며 신기술 도입에도 긍정적입니다.

  

‘JAMA Oncology’에 따르면 급성림프모구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환자에서 MRD와 치료 결과와의 강력한 연관관계가 분석되었으며, 소아 ALL 환자에서 MRD 양성, 음성 여부에 따라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입니다. 10년 무사건 생존율이 MRD 음성인 경우 77%임에 반하여, MRD 양성인 경우 32% 밖에 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LL 환자에서 MRD와 생존율 연관관계]


all환자 mrd와의 생존율 관련 그래프


자료: Donald A. Berry et al. Association of Minimal Residual Disease With Clinical Outcome in Pediatric and Adult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 Meta-analysis. JAMA Oncol. 3(7), e170580 (2017).


MRD의 유무 및 양에 따라 위험도를 나누고 그에 적합한 맞춤치료를 행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하게 MRD를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다) 제품의 경쟁우위

MRD 키트를 공급하는 회사들은 크게 FDA 허가(FDA-cleared/FDA 510(k) clearance)를 받은 업체와 체외진단 의료기기 인증(CE-IVD)을 받은 업체로 나뉠 수 있습니다. 현재 해당 시장에서의 주요 경쟁사는 Asuragen, Adaptive Biotechnologies, Invivoscribe 가 있습니다.


Asuragen 사의 경우 RT-qPCR을 이용한 MRD 검출 방법이기에 NGS 기반의 차세대 MRD 검출법 대비 민감도, 편리성, 적용 가능한 질병의 종류 등에 있어 한계점을 갖습니다.

Adaptive Biotechnologies 사의 경우, 다발성골수종과 ALL 환자에 대해 MRD 관찰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제품인 clonoSEQⓡ을 2018년에 출시했습니다. 이는 현재 유일하게 FDA-cleared를 받은 유일한 NGS 기반의 MRD 관찰 및 모니터링 제품입니다. 다만 해당 제품은 키트 형식이 아닌 서비스이기에, 해당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국에 위치한 Adaptive Biotechnologies 회사에 직접 검체를 보내야만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Invivoscribe사의 경우, NGS 기반의 MRD 검진이 가능한 제품인 LymphoTrack®키트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본 제품은 FDA-cleared가 아닌 체외진단기기로써 CE-IVD를 받았습니다.  Invivoscribe사의 경우 FDA-cleared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진단 목적으로 판매되지 못하는 상황이며, 미국 내에서의 FDA 허가(510(k)) 허가를 진행할 것이라고 최근 밝힌 바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의 MRD 진단 제품보다 기술적인 향상 및 가격경쟁력을 갖춘 키트화 제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NGS 프랩 간소화 기술을 적용하면서 전체 실험 단계가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어 실험자에 관련없이 동등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키트를 제작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기술적 장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병원이나 수탁기관에서의 당사 제품 사용을 용이하도록 하며 시장 진입시 다양한 사업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 입니다.

  

또한 당사의 MRD 진단 기술 및 키트는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한국인 특이적 germline 정보를 더함으로써 경쟁사 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던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의 미세잔존질환이 당사의 기술로는 검출 가능함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림 ‘당사의 면역 레퍼토어 분석 결과 대비 경쟁 제품의 분석 결과’에서 볼수 있듯이 기존 경쟁 제품에서는 상대 빈도가 높은 급성림프모구백혈병 세포의 서열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위음성으로 진단) 당사의 면역 레퍼토어 분석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백혈병 암세포의 염기서열을 확인 가능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Ⅲ.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2022년도 결산실적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상세한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 무 상 태 표>

제13(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12(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13(당)기말  제12(전)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15,612,825,733 22,967,933,791
  현금및현금성자산 2,251,064,958 5,976,627,89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951,580,116 1,042,071,520
  기타금융자산 10,689,376,368 15,094,026,111
  재고자산 1,385,829,564 679,478,579
  기타유동자산 230,890,017 109,340,658
  당기법인세자산 104,084,710 66,389,030
Ⅱ. 비유동자산 6,598,603,082  3,929,835,448
  기타금융자산 3,405,744,105 402,395,725
  유형자산 1,805,086,184 1,645,378,485
  무형자산 134,464,287 179,093,017
  사용권자산 1,253,308,506 1,702,968,221
자     산     총     계 22,211,428,815 26,897,769,239
부                     채

Ⅰ. 유동부채 2,644,840,140 2,024,998,685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460,495,201 880,162,542
  기타금융부채 368,360,109 463,503,860
  기타유동부채 815,984,830 681,332,283
Ⅱ. 비유동부채 977,353,291 1,486,603,576
  매입채무및기타채무 78,866,544 225,476,478
  기타금융부채 868,128,461 1,231,845,948
  기타비유동부채 30,358,286 29,281,150
부     채     총     계 3,622,193,431 3,511,602,261
자                     본

Ⅰ. 자본금 4,082,074,000 4,082,074,000
Ⅱ. 자본잉여금 64,218,685,306 64,218,685,306
Ⅲ. 기타자본항목 37,818,554 37,818,554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102,973,749) (1,102,973,749)
Ⅴ. 결손금 (48,646,368,727) (43,849,437,133)
자     본     총     계 18,589,235,384 23,386,166,978
부 채 및 자 본 총 계 22,211,428,815 26,897,769,239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3(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제12(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13(당)기 제12(전)기
Ⅰ.매출액 8,728,940,013 8,084,278,965
  상품매출 2,089,747,907 1,821,853,506
  제품매출 3,532,307,624 3,164,113,719
  분석서비스매출 3,063,084,482 3,073,856,740
  기타매출 43,800,000 24,455,000
Ⅱ.매출원가 6,305,447,020 5,250,722,880
  상품매출원가 1,981,001,898 1,800,677,322
  제품매출원가 2,044,121,279 1,835,090,889
  분석서비스매출원가 2,269,573,425 1,609,778,460
  기타매출원가 10,750,418 5,176,209
Ⅲ.매출총이익 2,423,492,993 2,833,556,085
Ⅳ.판매비와일반관리비 8,157,395,319 8,813,070,523
Ⅴ.영업손실 (5,733,902,326) (5,979,514,438)
Ⅵ.영업외손익 936,970,732 741,625,758
  기타수익 297,417,903 304,003,364
  기타비용 (24,525,041) (51,007,470)
  금융수익 717,935,996 523,344,983
  금융비용 (53,858,126) (34,715,119)
Ⅶ.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796,931,594) (5,237,888,680)
Ⅷ.법인세비용 - -
Ⅸ.당기순이익(손실) (4,796,931,594) (5,237,888,680)
Ⅹ.기타포괄손익 - (1,102,973,749)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1,102,973,749)
 1.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1,102,973,749)
XI.당기총포괄손익 (4,796,931,594) (6,340,862,429)
XII.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588) (643)
  희석주당이익(손실) (588) (643)



                                     <이익잉여금(결손금) 처리계산서(안)>

제13(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제12(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단위 : 천원)
과 목 당기
 (처리예정일 : 2023년 3월 28일)
전기
 (처리확정일 : 2022년 3월 24일)
미처리결손금 48,646,369 43,849,437
 전기이월결손금 43,849,437 38,611,548
 당기순손실 4,796,932 5,237,889
결손금처리액 - -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48,646,369 43,849,437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 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효기 83.01.01 없음 이사회
이용훈 65.01.15 없음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효기 ㈜ 셀레믹스 대표이사 2012~
2010~2013
2010~2013
2008~2010
2001~2008
現 ㈜ 셀레믹스 대표이사
前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연구원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박사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석사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학사
해당사항없음
이용훈 ㈜ 셀레믹스 대표이사 2017~
2013~2017
1989~2013
1987~1989
1983~1987
現 ㈜ 셀레믹스 대표이사
前 ㈜ 휴맥스홀딩스 신사업담당 임원
前 ㈜ 휴맥스 혁신담당 임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원 석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사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효기
이용훈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 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사내이사): 김효기, 이용훈
위 두사람은 대표이사로서의 역활에 충실하고 당사의 고유한 업무영역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에 기여하며, 내부 구성원들에 대한 지도력 및 리더쉽 발휘


확인서

확인서_사내이사선임(김효기)


확인서_사내이사선임(이용훈)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76억원
최고한도액 10억원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00만원
최고한도액 1억원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6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상법 제542조의4 및 상법시행령 제31조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 및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 예정입니다.
※ 당사 홈페이지 주소 :  http://www.celemics.com (세부경로: 투자정보 -  공시)

(2)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로,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변경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드립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 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3000416

셀레믹스 (3319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