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5 13:1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325
2023 년 3 월 15 일 | ||
회 사 명 : | 위더스제약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성 대 영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12길 9(위더스빌딩) | |
(전 화) 02-3486-7474 | ||
(홈페이지)http://www.withuspharm.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 사 장 | (성 명) 권 광 영 |
(전 화) 02-3486-7474 | ||
(제19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1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2조 2항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03월 30일 (목) 오전 09시
2. 장 소 : 경기도 안성시 미양로 786-2 더에이더블유웨딩컨벤션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제19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
제 2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 3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의 인감날인, 주주의 인 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 코로나 19 감염 예방하기 위하여 입장하기 앞서 체온 측정이 이뤄질 예정이며, 측정결과 발열(37.5℃ 이상)이 있는 경우 또는 마스크 미착용 시에는 참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성대영 (100%) | 권광영 (100%) | 안종태 (100%) | 이용주 (9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2.10 | 제1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차입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 2022.03.02 | 제1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현금 배당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 2022.04.27 | 신규 자입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2.06.10 | 차입 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5 | 2022.07.21 | 시설 및 공장증축에 대한 투자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6 | 2022.12.09 | 차입 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7 | 2023.02.06 | 제19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차입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8 | 2023.03.06 | 제1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내이사 | 3 | 3,000,000,000 | 807,154,000 | 269,051,000 | - |
사외이사 | 1 | 12,000,000 | 12,000,000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개요
제약 산업은 기술집약적이며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는 특성과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보건산업으로 21세기 고도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이며 신약개발 연구에서부터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 등 모든 과정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의약품은 크게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으로 나눌 수 있으며, 완제의약품은 다시 전문의약품(Ethical drug: ETC)과 일반의약품(Over the counter drug: OTC)으로 나뉩니다. 전문의약품이란 제형, 약리 작용의 특성상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되어야 하는 의약품으로서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되지 않을 경우 의료상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적응증을 갖는 의약품을 말합니다. 마약, 향정신성 의약품, 독약, 극약 등도 전문의약품의 범주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전문의약품 외의 의약품을 일반의약품이라고 합니다.
2) 산업의 특성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한 고부가가치와 지식기반의 산업으로서 원료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에서부터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 등 모든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술집약도가 높고 신제품 개발 여부에 따라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성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제약산업은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투자의 결과가 기업의 성과와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신제품 및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비용 및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관계로 타 업종에 비하여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3) 산업의 성장성
(1) 글로벌 제약시장
IQVIA의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규모는 2022년 1조 4,820억 달러에서 연평균 3~6% 증가하여 2027년에는 1조 9,170억 달러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시아태평양 시장 역시 2027년까지 연평균 5.5~8.5%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며, 특히 한국시장은 4.5~7.5%로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보일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술별로는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연평균 7.5~10.5% 큰 폭으로 성장하여 2027년 6,660억 달러로 전체의약품 시장의 35% 비중을 차지할 것이며, 질환별로는 항암제(연평균 13~16%, 면역치료제(연평균 3~6%), 비만치료제(연평균 10~13%)가 크게 성장하여 글로벌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출처:Global Use of Medicines 2023, outlook to 2027, IQVIA instiute, 2023.1)
시장 동향은 신약개발에 투자되는 비용의 증가 등으로 점차 세계적으로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이 공조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또 글로벌 신약들의 연이은 특허만료와 각국의 약품비 통제강화 등에 따른 제네릭의약품 비중 강화 등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출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2) 국내 제약시장
국내 의약품시장은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가 진행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국내 의약품 생산액은 2021년 기준 약 25조원으로 전년대비 3.76% 증가하였고, 수출액은 11.3조원으로 전년대비 14.04%, 수입액은 11.2조원으로 전년대비 31.46% 증가하였습니다.(출처:22년 제약바이오산업,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에 따라 향후 국내 의약품시장은 경제수준 향상에 따른 의료 서비스의 기대치 상승과 급속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성장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마케팅에 의해 제약사들의 성장이 지속되어 왔으나, 약가인하와 리베이트 규제 정책으로 인하여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면 차별적인 임상데이터나 효능을 마케팅할 수 있는 업체, 신약 R&D 역량, 우수 의약품의 품목 경쟁력, 글로벌 시장경쟁력, 정확한 수요예측에 따른 제네릭 의약품의 개발 등이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핵심역량이자 핵심경쟁요소로 예측됩니다.
4)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의약품 시장은 경기변동 및 계절적 변동에 비탄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의약품은 가격이 높아지더라도 비용을 지불하고 구매하려는 속성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약산업은 경기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대표적인 산업입니다. 당사 제품의 주된 시장인 전문의약품 시장은 의약분업 이후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의약품에 비해 경기변동 등에 대한 영향이 적습니다.
다만, 환율 등 원료 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일괄 약가 인하 등과 같은 정부의 정책변화 등에 따라 매출 및 수익구조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5) 국내외 시장여건 및 경쟁요소
각국의 약제비 억제정책에 따른 제네릭 의약품 사용권장과 글로벌 신약의 잇따른 만료 등으로 제네릭 의약품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오리지널과 비교시 효능과 안전성 등은 동일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보험정책상 선호되고 있습니다. 2016년 IMS Health의 각 국가별 제네릭 의약품 처방비중 조사에 따르면 최대 제약시장인 미국의 경우 제네릭 의약품의 처방 비중이 8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나 한국은 제네릭의약품의 사용 비중이 54%로 선진국 대비 낮아 추가적인 성장의 여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 방향은 약제비 절감 및 재정절감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으며, 부수적으로 난립하는 제네릭 의약품의 수적 통제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자체 생동 능력을 갖추지 못한 제약사의 의약품은 약가를 보존하기가 어려워 시장에서 퇴출 될 가능성이 높아질것으로 예상됩니다. 때문에 자체 생동 능력이 약가 우위등을 통해 제품 경쟁력의 기반 요건으로 자리잡게 될 전망입니다.
당사는 ETC를 중심으로 완제의약품을 생산하는 제약회사로서 주요 제품에 대해 자체 생산 설비를 완비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및 만성질환의 주요 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순환기계, 근골격계, 소화기계, 항생제, 중추신경계 의약품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하고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자체 R&D의 강화와 동종업계 기업들과 전략적인 협업을 통하여 지속적인 복합제의약품과 이중정의약품 제조 및 제제 기술을 확보하고 발전시키며 퍼스트제네릭 출시 및 추후 출시할 제품들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여 시장의 높은 진입장벽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당사의 제품을 크게 분류하면, 순환기용제, 근골격용제, 소화기관용제, 항생제, 중추신경용제, 호흡 기관, 피부용제, 내분비용제, 화학요법제, 비뇨생식기관용제, 항바이러스제, 부신호르몬제, 비타민 A및 D제의 제품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매출의 중요도에 따라서는 크게 다음 다섯 가지로 주요 제품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1) 순환계용제, 2) 근골격용제 3) 소화기관용제, 4)항생제 5)기타처방의약품(중추신경계용제, 호흡기관용제, 피부용제, 내분비용제, 화학요법제, 비뇨생식기관용제, 항바이러스제, 부신호르몬제, 비타민 A및 D제)
당사는 13개 제품군 중에서 순환기계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순환기용제는 당사의 총 매출액 대비 28% 이상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순환기용제는 고혈압 치료제와 고지혈증 치료제로 세분됩니다. 이 중 화이자의 블록버스터 제품 리피토의 제네릭인 고지혈증치료제 아토렌정(성분명: 아트로바스타틴)은 당사의 주요 매출 품목이며, 동맥경화용제인 피도그린정과 고혈압치료제인 브이디핀정 등의 당사 순환기용제는 지속적으로 매출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전문의약품 생산 및 판매 및 CMO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CMO사업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CMO사업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품목을 하기에 서술하였습니다. 당사는 직접판매를 위한 제품 생산 외에도 CMO사업의 매출 증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퍼스트제네릭 출시와 특수제형 및 신규제형의 출시를 통해 위탁생산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것입니다.
3. 시장의 특성
각국의 약제비 억제정책에 따른 제네릭 의약품 사용권장과 글로벌 신약의 잇따른 만료 등으로 제네릭 의약품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오리지널과 비교시 효능과 안전성 등은 동일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보험정책상 선호되고 있습니다. 2016년 IMS Health의 각 국가별 제네릭 의약품 처방비중 조사에 따르면 최대 제약시장인 미국의 경우 제네릭 의약품의 처방 비중이 8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나 한국은 제네릭의약품의 사용 비중이 54%로 선진국 대비 낮아 추가적인 성장의 여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일괄약가인하 정책 등 어려운 상황들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대응을 통한 회사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투자 및 사업다각화를 위하여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개량신약 등 연구개발에도 투자 및 성장시킬 계획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_전체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9(당) 기 2022.12.31 현재 |
제 18(전) 기 2021.12.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19 기 | 제18 기 |
---|---|---|
자산 | ||
Ⅰ. 유동자산 | 59,450,729,531 | 76,427,245,071 |
현금및현금성자산 | 9,011,848,135 | 13,830,514,121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23,371,800,119 | 24,227,622,454 |
단기금융상품 | 10,500,000,000 | 2,5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7,044,186,822 | 25,450,857,706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 | 696,377,834 |
재고자산 | 9,021,410,712 | 8,140,607,395 |
기타유동자산 | 501,483,743 | 1,581,265,561 |
Ⅱ. 비유동자산 | 59,944,067,380 | 42,551,825,366 |
비유동기타채권 | 493,874,431 | 476,124,669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9,636,759,568 | 8,733,310,291 |
유형자산 | 39,843,370,418 | 25,379,002,495 |
무형자산 | 8,421,051,134 | 6,583,048,850 |
이연법인세자산 | 1,549,011,829 | 1,380,339,061 |
자산총계 | 119,394,796,911 | 118,979,070,437 |
부채 | ||
Ⅰ. 유동부채 | 25,572,492,936 | 23,975,372,265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8,557,567,521 | 7,485,747,809 |
단기차입금 | 12,518,815,440 | 12,838,769,271 |
유동성장기차입금 | 2,000,000,000 | 1,000,000,000 |
기타유동부채 | 475,503,083 | 725,626,987 |
유동리스부채 | 172,306,705 | 280,269,293 |
반품충당부채 | 1,202,361,077 | 883,656,859 |
당기법인세부채 | 645,939,110 | 761,302,046 |
Ⅱ. 비유동부채 | 10,786,150,375 | 14,098,474,304 |
장기차입금 | 6,600,000,000 | 8,700,000,000 |
비유동리스부채 | 175,649,914 | 285,608,350 |
순확정급여부채 | 4,010,500,461 | 5,112,865,954 |
부채총계 | 36,358,643,311 | 38,073,846,569 |
자본 | ||
Ⅰ. 자본금 | 2,638,555,600 | 2,637,724,400 |
Ⅱ. 자본잉여금 | 14,997,266,551 | 14,948,117,735 |
Ⅲ. 자본조정 | 664,500,960 | 677,608,984 |
Ⅳ. 이익잉여금 | 64,735,830,489 | 62,641,772,749 |
자본총계 | 83,036,153,600 | 80,905,223,868 |
자본과부채총계 | 119,394,796,911 | 118,979,070,437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9(당)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
제 18(전)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19 기 | 제18 기 |
---|---|---|
1. 매출액 | 64,680,375,722 | 57,418,806,107 |
2. 매출원가 | 26,345,304,972 | 23,894,153,176 |
3. 매출총이익 | 38,335,070,750 | 33,524,652,931 |
4. 판매비와관리비 | 33,457,352,674 | 28,638,679,939 |
5. 영업이익 | 4,877,718,076 | 4,885,972,992 |
6. 기타수익 | 78,500,874 | 39,895,510 |
7. 기타비용 | 502,120,913 | 734,013,647 |
8. 금융수익 | 1,473,277,179 | 1,394,594,977 |
9. 금융비용 | 1,769,252,533 | 346,581,745 |
1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158,122,683 | 5,239,868,087 |
11. 법인세비용 | 1,678,958,558 | 976,066,601 |
12. 당기순이익 | 2,479,164,125 | 4,263,801,486 |
13. 기타포괄손익 | 247,829,439 | (79,655,954)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247,829,439 | (79,655,954)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47,829,439 | (79,655,954) |
14. 총포괄손익 | 2,726,993,564 | 4,184,145,532 |
15. 주당이익 | ||
기본맟희석주당이익 | 188 | 323 |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19(당)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
제 18(전)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단위: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조정 | 이익잉여금 | 자본총계 |
2021.01.01 (전기초) | 1,758,483,000 | 15,845,608,835 | 393,343,063 | 58,879,663,137 | 76,877,098,035 |
Ⅰ. 총포괄이익 | |||||
당기순이익 | 4,263,801,486 | 4,263,801,486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79,655,954) | (79,655,954) | |||
Ⅱ.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
무상증자 | 879,241,400 | (897,491,100) | (18,249,700) | ||
배당금지급 | (422,035,920) | (422,035,920) | |||
자기주식 취득 | (35,655,500) | (35,655,500) | |||
주식선택권 부여 | 319,921,421 | 319,921,421 | |||
2021.12.31 (전기말) | 2,637,724,400 | 14,948,117,735 | 677,608,984 | 62,641,772,749 | 80,905,223,868 |
2022.01.01 (당기초) | 2,637,724,400 | 14,948,117,735 | 677,608,984 | 62,641,772,749 | 80,905,223,868 |
Ⅰ. 총포괄이익 | |||||
당기순이익 | 2,479,164,125 | 2,479,164,125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47,829,439 | 247,829,439 | |||
Ⅱ.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
배당금지급 | (632,935,824) | (632,935,824) | |||
주식선택권 행사 | 831,200 | 49,148,816 | (13,108,024) | 36,871,992 | |
2022.12.31 (당기말) | 2,638,555,600 | 14,997,266,551 | 664,500,960 | 64,735,830,489 | 83,036,153,600 |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19(당)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
제 18(전)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19 기 | 제18기 |
Ⅰ. 영업활동현금흐름 | 5,379,612,401 | 8,020,940,014 |
당기순이익 | 2,479,164,125 | 4,263,801,486 |
조정 | 4,957,724,812 | 3,008,083,704 |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 126,020,370 | 924,711,694 |
이자의 수취 | 477,960,908 | 393,217,827 |
이자의 지급 | (632,384,839) | (326,614,932) |
법인세의 납부 | (2,028,872,975) | (242,259,765) |
Ⅱ. 투자활동현금흐름 | (7,891,721,791) | (14,934,521,056) |
대여금의 감소 | 804,481,700 | 1,101,552,600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감소 | 98,415,407,737 | 18,133,683,078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2,500,000,000 | 3,500,000,000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감소 | 695,617,000 | 4,182,945,960 |
유형자산의 처분 | 11,818,181 | - |
기타의무형자산 처분 | 50,000,000 | - |
보증금의 감소 | - | 8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증가 | (81,264,901,936) | (28,573,178,636)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10,500,000,000) | (2,500,000,000) |
유형자산의 취득 | (15,331,877,273) | (6,666,638,058) |
무형자산의 취득 | (2,492,267,200) | (3,626,886,000) |
대여금의 증가 | (750,000,000) | (480,000,000) |
보증금의 증가 | (30,000,000) | (86,000,000) |
Ⅲ. 재무활동현금흐름 | (2,306,556,596) | 5,253,678,581 |
주식선택권행사 | 37,536,992 |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18,648,974,433 | 11,916,849,350 |
장기차입금의 차입 | 2,800,000,000 | 4,700,000,000 |
배당금지급 | (632,935,824) | (422,035,920) |
신주발행비 지급 | (665,000) | (18,249,700) |
단기차입금의 상환 | (18,968,928,264) | (9,667,195,594)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1,000,000,000) | (900,000,000) |
리스부채의 상환 | (290,538,933) | (320,034,055) |
자기주식의 취득 | (35,655,500) | |
장기차입금의 조기상환 | (2,900,000,000)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 (32,549) | |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 (4,818,665,986) | (1,659,935,010) |
Ⅵ.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13,830,514,121 | 15,490,449,131 |
Ⅶ.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9,011,848,135 | 13,830,514,121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19 (당)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18 (전) 기 2021년 7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30일 | 처분확정일 2022년 3월 25일 |
(단위 : 원) |
과 목 | 제 19 기 | 제 18 기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63,793,295,407 | 61,762,531,249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1,066,301,843 | 57,578,385,717 |
중간배당금 | - | - |
기타포괄손익 | 247,829,439 | (79,655,954) |
당기순이익 | 2,479,164,125 | 4,263,801,486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 696,229,406 |
이익준비금 | - | 63,293,582 |
현 금 배 당 | - | 632,935,824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3,793,295,407 | 61,066,301,843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제 18기 : 48월(시가배당율 0.47%)
제 17기 : 48원(시가배당율 0.23%)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19,154,000 |
최고한도액 | 3,000,000,000 |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0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3,900,000 |
최고한도액 | 1,000,000,000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22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홈페이지 주소 : http://withuspharm.com
-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 입니다.
- 주주총회에서 부결/수정이 발생할 경우 정정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공시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
<코로나19 감염 예방 안내> 코로나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장에 입장하기에 앞서 체온 측정이 이뤄질 예정이며, 측정결과 발열(37.5℃ 이상)이 있는 경우 또는 마스크 미착용 시에는 참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발열(37.5도 이상 고열) 및 호흡기 증상(기침, 목아픔 등), 자가격리대상, 감염증 밀접접촉 등에 해당하시는 주주분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