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3 14:2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0513
2024년 3월 13일 | ||
회 사 명 : | 솔트웨어(주) | |
대 표 이 사 : | 이 정 근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4길 55, 901호(구로동, 코오롱싸이언스밸리2차) | |
(전 화)02-2025-0066 | ||
(홈페이지)http://www.saltware.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상무이사 | (성 명)김 덕 호 |
(전 화)02-2025-0066 | ||
(제5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1조에 의거 제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28일(목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 서울시 영등포구 도림천로 437, 원광디지털대 서울캠퍼스 4F, 중형강의장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및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5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사와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고, 금융위원회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참석 또는 서면으로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본 인 : 본인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여권만 인정)
- 대리인 :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인감날인), 인감증명서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① 위임인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② 대리인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③ 위임인의 인감날인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시 주주총회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4년 3월 13일
솔트웨어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 정 근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이금석 (출석률: 100%) | 신문식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3.02.13 | 1. 2022년도 결산 개별 및 연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2 | 2023.03.06 | 1. 제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3 | 2023.04.25 | 1. 타법인주식(솔트에이앤비) 취득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4 | 2023.06.19 | 1. 소규모 합병 결정의 건(솔트에이앤비) | 찬성 | 찬성 |
5 | 2023.07.20 | 1. 소규모 합병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6 | 2023.07.31 | 1. 여신 약정 체결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7 | 2023.08.21 | 1. 엘로테크 출자의 건 | 찬성 | 찬성 |
8 | 2023.08.29 | 1. 흡수합병 보고 및 공고의 건 2. 여신 약정 체결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9 | 2023.11.23 | 1. 종속회사 투자주식 매각 결정의 건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500,000 (이사보수총액) | 36,000 | 18,000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가) 데이터 산업 분류
데이터산업은 데이터의 생산, 수집, 처리, 분석, 유통, 활용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상품 과 서비스를 생산 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됩니다. 데이터의 생명주기(또는 가치사슬) 상에 나타난 데이터와 관련된 제반 활동을 포함해 데이터로부터 가치가 창출되는 일련의 모든 과정, 이와 연관된 활동을 포함합니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발간한 자료에 의하면 데이터산업의 비즈니스 유형은 크게 데이터와 관련한 제품을 판매하거나 기술을 제공하는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구축,데이터컨설팅 비즈니스와 데이터를 판매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정보제공 및 분석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 비즈니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공공기관 및 기업 등 정보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클라우드 전문서비스 제공하고 있으며 전산시스템 구축과 자체개발 소프트웨어패키지를 활용한 고객사 포털(Portal)시스템을 구축서비스에도 사업을 영위중이며 소비자 트렌드에 맞는 클라우드환경으로의 변화 및 관련 IT 인프라 및 솔루션 수요 확대에 따라 인프라서비스(Infra as a Service, 이하 IaaS), 소프트웨어서비스(Software as a Service, 이하 SaaS), 플랫폼서비스(Platform as a Service, 이하 PaaS)를 On-premise, Private, Public, 하이브리드 등 고객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 중입니다.
[데이터 산업 범위] |
구분 | 비즈니스 유형 |
---|---|
데이터 솔루션 | DBMS, 데이터 수집, 데이터모델링, 데이터분석, 검색엔진, 데이터품질, 데이터통합, 데이터보안, 빅데이터플랫폼 등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제품을 판매하는 비즈니스를 의미하며, 주로 라이선스, 개발/커스터마이징, 유지보수를 통해 매출이 발생 |
데이터구축 /컨설팅 | DB시스템 구축, 기존 DB 정제 및 재구축을 위한 데이터이행, 데이터가공/구축 등 데이터/DB 관련 SI 용역 및 컨설팅 비즈니스를 의미하며, 구축/개발, 유지보수/운영관리, 컨설팅, 제품판매 등을 통해 매출 발생 |
데이터 서비스 | 데이터/DB를 원천데이터나 분석 및 활용이 가능한 상태, 또는 수요 맞춤형 데이터/DB를 판매, 중개하거나, 데이터를 가공/활용/분석해 온 오프라인(모바일, 앱 등 포함)으로 주제분야별 정보제공서비스나 분석정보제공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의미하며, 데이터 이용료/수수료 등의 직접매출과 광고료 등의 간접매출로 수익이 발생 |
데이터 인프라 | 데이터 기반 솔루션 구축과 서비스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를 직접 수요자에게 공급하거나 클라우드(IaaS, PaaS, DaaS) 비즈니스를 통해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의미하며, 데이터인프라 부문에서는 HW판매, 클라우드 구축비/이용료 등을 통한 매출 발생 |
(Source: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산업백서)
당사는 상기 데이터산업 범위에서 “데이터 솔루션”, “데이터구축 및 컨설팅”, “데이터 인프라” 산업 내에서 영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인프라 서비스 시장
인프라 시스템 공급 방식은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왔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양해지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변화되는 추세입니다. 특히, 과거 임대형 공급 방식에서 진화하여 클라우드 서버 운영 방식에 적합한 소비형(구독형) 서버 공급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고객의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이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을 앞당기고는 있으나 애플리케이션 연동, 데이터 관리, 보안, 컴플라이언스, 비용 등의 이슈로 약 70%의 애플리케이션이 여전히 퍼블릭 클라우드 외 별도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비즈니스 환경을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데 아직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전환이 가속화되어 가면서, 인프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장은 줄어들고 IT 서비스 시장의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2020년의 큰 충격에서 벗어나, 연기되었던 투자 수요가 회복되면서 반등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과 그에 따른 적극적인 투자로 정부,공공 부문의 디지털 혁신 및 전환의 확산으로 지능형 정부 및 사회간접자본의 디지털화 추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고, 금융권의 정보계 중심의 차세대 구축, Open Banking 서비스에 따른 핀테크-금융권-ICT 기업 간 복합경쟁체제, 제2금융권 중심으로 차세대 구축 등 관련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듀테크(교육 IT)부분에서 비대면 학습이 보편화되면서 이어지는 기술 개발로 시장규모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이하 클라우드)은 사용자가 필요한 IT인프라(스토리지, 네트워크, 서버 등)를 직접 물리적으로 구축하여 소유, 관리하는 기존 방식(On premise)과는 달리,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구축해 놓은 가상화 된 IT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빌려서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의 서비스로, 소유와 관리가 분리된 방식입니다.
클라우드를 활용하면 개별 사용자의 즉각적인 요구에 따라(On-demand) 최적화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므로, 시간과 장소, 기기의 제약이 없고 급격한 이용량 증가에도 유연한 확장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온라인 서비스의 확대로 성장 중인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는 후방산업(데이터센터)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와 클라우드 파트너사의 협업으로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사업구조의 Value Chain의 중심에 있는 주요 기업들은 설비투자를 통해 자체데이터센터를 확보하거나, 내외부에 있는 데이터센터를 대여하여 대 고객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클라우드 파트너사는 엔드유저에게 클라우드 구축 및 운영 등의 공급과 특화된솔루션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게 자격을 취득하여 클라우드 사업을 수행합니다. 최근 IaaS에서는 선두업체의 과점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IaaS·PaaS 통합 플랫폼화와 SaaS분야의 참여자 확대도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클라우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클라우드 파트너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라)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온라인 서비스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며, 클라우드 파트너사를 통한 구축형 프로젝트로 서비스를 개발합니다. IaaS분야는 시장 선점을 위해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IT 인프라 대상으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분야로 자본력을 갖춘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과점해 가는 상황이며, 최근에는 대규모 IT 인프라 구축을 기본으로 데이터베이스, 분산처리, AI 등의 PaaS 플랫폼이 결합되는 형태로 경쟁방식이 다양해지는 상황입니다.
SaaS분야는 SW솔루션 기업들이 기존 구축형 제품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변형하면서자연스럽게 참여가 이루어지는 분야로 다양한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IaaS의 경쟁력 강화에 SaaS솔루션 도입의 효용성이 입증됨에 따라 IaaS기업과 다양한 Third Party 솔루션 개발사의 연계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마)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서비스의 발전
IaaS의 과점화와 SaaS솔루션의 다양화는 클라우드 도입기업 입장에서 최적화 문제를 야기함에 따라 적합한 클라우드 사용환경을 제시해 줄 수 있는 MSP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IaaS 기업들이 경쟁력 확보를 위해 PaaS, SaaS서비스를 확대한 결과 AWS가 100개가 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기업들의 선택권은 확대되었으나, IT예산제약을 가진 기업은 도입 장애 요인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등장한 MSP는 도입 기업의 안정적인 클라우드운영을 보장함에 따라 클라우드 최적화 및 운영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비즈니스를 발전시키게 됩니다. MS 분야의 성장에 따라, 기존의 웹/서버 호스팅 업체, IT컨설팅 업체(Accenture) 등 다양한 기반의 MPS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경쟁에서 뒤쳐진 IaaS 후발주자(Rackspace 등)까지 참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IaaS 사업자 입장에서도 대규모 IT 인프라를 관리하면서 지역, 언어, 통화 등을감안한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가 있어 MSP와의 파트너십이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Managed Service 내용]
자원관리 | 서버(컴퓨팅)자원, 패치관리 (최신 업데이트, 패치 적용), 액세스관리 (여러 인증 체계의 복잡성을 관리) |
보안관리 | 침입탐지, 침입방지시스템 등을 통한 정보자산 보호 |
연속성관리 | 비즈니스 장애 및 중단 시 복원, 예약 백업 등 실시 |
보고 | 모든 유형의 인프라를 기업이 통합된 형태로 파악할 수 있도록 IT 서비스 관리도구와 통합서비스 제공 |
(Source: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산업백서)
(바) 엔터프라이즈 포털 솔루션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사용 패턴은 바뀌고 있습니다. 솔루션에 대한 투자 비용은 감소하는 반면,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시장은 확대되고 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의 기능이 대폭적으로 확장되었고 이는 구성 솔루션 및 업무용 솔루션에 대한 "구매자 시장"으로 이어져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성과를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체 소프트웨어 비용 지출에서 패키지 앱과 소프트웨어(SaaS)의 비중이 커지고, 미들웨어 및 맞춤개발 앱을 포함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 부문의 매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지고 있으며,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아이콘 기반 인터페이스, 디자인 개선 등 많은 소비자급 일반 기능을 갖추어 발전하고 있습니다.
최근까지 엔터프라이즈 포털은 인트라넷과 인터넷에서 특정업무만을 대상으로 온프레미스 솔루션으로 대규모 사용자 시스템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또한 ERP, KMS, DW, 데이터관리시스템(DMS) 등 진화된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은 포털의 많은 기능이 포함하고 있어 시장의 수요가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도입과 AI, 머신러닝 등에 의한 데이터 증가로 흩어진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방안으로 엔터프라이즈 포털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사) 스마트팜
로봇, 인공지능 등의 4차산업혁명 기술이 농업에 융합된 스마트농업은 최근 국내 농업의 현안문제 극복 및 생산성,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적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스마트농업은 유연하고 안정적인 농산업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기후변화(재배적지 변화, 자연재해), 농산물 수급 악화(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농산물, 식품수요 다변화, 농촌인력부족 등의 농업 현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공공기관, 대학,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 전문업체입니다. 클라우드사업 이외에도 HW/SW구축 및 기술서비스 사업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H/W분야 사업에서는 중대형 서버와 PC급 서버, 스토리지장치, 네트워크장치와 이들 장치들을 운영하는 OS, DBMS, WAS 등 시스템 소프트웨어들을 이용한 전산시스템 구축 서비스를 수행합니다. S/W분야 사업에서는 2007년부터 BIPS(Business Information Platform Service)라는 자체 개발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활용해 고객사의 업무포털(Enterprise Portal)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창업 초기, 국내 H/W·S/W 인프라시장은 IBM, HP, ORACLE 등 거대 글로벌 IT업체들의 제품들이 주도하는 상황에서 당사는 IBM 주전산기, 중형서버, 스토리지장치를 중심으로 H/W납품과 구축서비스 위주로 사업을 영위하였습니다. 기업 정보화의 가속화와 시스템의 복잡도 증가 등으로 기업내 S/W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당사도 S/W사업 진출을 위해 2005년부터 자체 S/W솔루션 개발에 착수하여 2007년 최초의 BIPS enView 을 출시하여 기업정보화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사회 각 분야의 변화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정보시스템의 구축과 서비스의 변화도 동일한 속도를 요구받음에 따라 수분안에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바로 서비스할 수 있는 클라우드 형태의 사업이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이에 당사도 세계적인 정보시스템 발전 추세에 맞춰서 2014년부터 클라우드 사업에 진출하여 전세계 클라우드 시장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AWS(아마존웹서비스)와의 파트너쉽을 계약하고 금융, 게임업체, 일반기업, 스타트업 등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컨설팅, 구축·운영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IT 시장은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시너지를 내는 비즈니스 탄생이 예상되고 있으며 그 중에 한 분야로 당사는 2010년부터 “스마트팜”분야에 기술개발을 하여 2019년 카타르에 수출한 컨테이너형 육묘기와 사막형 그린하우스 제품들을 기반으로 국내 스마트팜 시장에 본격적인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문 | 주요 사업 내용 |
---|---|
시스템통합사업부문 | 하드웨어적인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축된 인프라에 사용자의업무환경에 맞는 솔루션을 구현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성에 필요한 각종장비(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와 장비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 |
클라우드사업부문 | 당사가 개발한 FitCloud를 통해 컨설팅/구축/운영관리등 클라우드 라이프 사이클을 커버하는 서비스를 제공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리소스 활용도 분석, 최적의 요금제 추천, 보안서비스 등을 제공 |
포털솔루션사업부문 | 자체 개발한 포털엔진(BIPS enView)솔루션을 기반으로 공공기관, 대학, 기업의 엔터프라이즈 포털구축과 기 구축한 포털시스템들의 유지보수 사업을 수행 |
스마트팜사업부문 | 컨테이너형 육묘기와 그린하우스 등 시설물과 스마트팜 운영기술을접목하는 플랫폼 서비스, DIY(Do It Yourself)형 스마트팜 기기등 차별화된 제품을 접목하여 스마트팜 환경 구축 및 플랫폼 서비스 제공 |
(2) 시장점유율
당사는 점유율 추정에 있어 당사와 밀접한 사업영역을 세분화해 점유율을 제시하고 있는 시장 조사기관 자료가 없어 점유율 산정이 불가능합니다.
(3) 시장의 특성
시스템 통합시장은 고객사의 니즈(e.g 고도화, 신규구축 등) 및 예산, 경기 상황에 따라 변동이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3~5년 주기로 IT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인프라시스템 구축의 신규영역인 프라이빗클라우드 구축 사업이 온프레미스 중심의 기존시스템통합과 클라우드(프라이빗+퍼블릭)를 통합관리하는 사업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을 예상합니다.
클라우드 시장은 행정안전부의 향후 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의 연도별 클라우드 전환계획에 따르면 정부내 기존 10,000개의 정보시스템들을 2025년까지 클라우드로 전환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매년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 가고 있습니다.
포털사업부문은 과거 경험에 따르면 약 5년 주기로 기존고객사의 포털사이트 Renewal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공기관 및 대학에서 포털사이트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역거점 협력사를 활용하여 매출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스마트팜 사업은 이상기후현상의 증가에 따라 매년 농산물 작황의 변동이 크게 발생하고 있으며, 농산물생산시장의 상황과 단위면적 당 생산량이 일반노지대비 3배 수준으로 기후변동에 무관하게 일정한 생산량을 기대할 수 있는 시장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내부적으로 신규사업을 검토하고 있으나 보고서 제출일 현재 구체적으로 추진계획이 확정된 내용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제표
※ 해당 사업연도의 당사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감사전 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4년 3월 20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별도 재무제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5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4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회사명 : 솔트웨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 5(당) 기말 | 제 4(전) 기말 | ||
---|---|---|---|---|
자 산 | ||||
I. 유동자산 | 26,786,239,191 | 25,222,722,631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12,473,356,438 | 11,744,660,766 | ||
2. 매출채권 | 2,202,387,257 | 1,196,972,484 | ||
3. 단기금융상품 | 5,000,000,000 | 8,982,616,438 | ||
4. 기타유동금융자산 | 4,255,145,891 | 2,429,189,108 | ||
5.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23,840,000 | - | ||
6. 재고자산 | 1,198,782,000 | 444,231,750 | ||
7. 기타유동자산 | 1,432,437,860 | 385,182,805 | ||
8. 당기법인세자산 | 100,289,745 | 39,869,280 | ||
II. 비유동자산 | 9,469,633,935 | 8,033,122,185 | ||
1.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58,721,751 | 450,973,957 | ||
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55,776,940 | 295,612,224 | ||
3. 유형자산 | 7,897,776,412 | 6,270,317,773 | ||
4. 무형자산 | 452,863,187 | 233,706,476 | ||
5. 사용권자산 | 59,651,327 | 85,952,675 | ||
6. 이연법인세자산 | 744,844,318 | 696,559,080 | ||
자 산 총 계 | 36,255,873,126 | 33,255,844,816 | ||
부 채 | ||||
I. 유동부채 | 11,406,184,810 | 6,053,890,931 | ||
1. 매입채무 | 6,464,645,651 | 2,838,676,755 | ||
2. 단기차입금 | - | 2,000,000 | ||
3. 기타유동금융부채 | 3,120,086,628 | 1,864,976,755 | ||
4. 유동성리스부채 | 29,770,600 | 56,863,947 | ||
5. 기타유동부채 | 1,791,681,931 | 1,291,373,474 | ||
II. 비유동부채 | 1,969,452,998 | 7,187,774,192 | ||
1. 장기차입급 | - | 2,967,539,856 | ||
2. 전환사채 | - | 2,220,343,097 | ||
3. 비유동리스부채 | 26,890,877 | 22,000,437 | ||
4. 기타비유동부채 | 391,077,076 | 462,164,600 | ||
5. 확정급여부채 | 1,432,976,801 | 1,427,877,082 | ||
6.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 118,508,244 | 87,849,120 | ||
부 채 총 계 | 13,375,637,808 | 13,241,665,123 | ||
자 본 | ||||
I. 지배기업주주지분 | 22,880,235,318 | 20,026,358,245 | ||
자본금 | 3,426,277,800 | 3,189,477,800 | ||
자본잉여금 | 17,790,960,590 | 13,072,167,171 | ||
자본조정 | (9,177,258) | 2,759,842,568 | ||
이익잉여금 | 1,672,174,186 | 1,004,870,706 | ||
II. 비지배주주지분 | - | (12,178,552) | ||
자 본 총 계 | 22,880,235,318 | 20,014,179,693 |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36,255,873,126 | 33,255,844,816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5(당)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4(전)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회사명 : 솔트웨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 5(당) 기 | 제 4(전) 기 | ||
---|---|---|---|---|
I. 매 출 액 | 49,340,647,407 | 31,349,477,155 | ||
II. 매 출 원 가 | 44,373,617,075 | 27,005,454,748 | ||
III. 매출총이익 | 4,967,030,332 | 4,344,022,407 | ||
IV. 판매비와관리비 | 5,127,887,288 | 4,957,237,298 | ||
V. 영업이익(손실) | (160,856,956) | (613,214,891) | ||
VI. 영업외손익 | 659,361,688 | (4,594,502,283) | ||
금융수익 | 1,237,950,607 | 421,222,255 | ||
금융비용 | 579,957,798 | 241,846,181 | ||
기타수익 | 3,248,319 | 52,700,416 | ||
기타비용 | 1,879,440 | 4,826,578,773 | ||
VI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498,504,732 | (5,207,717,174) | ||
VIII. 법인세비용(수익) | (73,443,216) | (326,021,588) | ||
IX. 당기순이익(손실) | 571,947,948 | (4,881,695,586) |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571,947,948 | (4,881,124,245) | ||
비지배지분 | - | (571,341) | ||
X. 기타포괄손익 | 95,355,532 | (48,017,509)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95,355,532 | (48,017,509) | ||
XI. 총포괄이익(손실) | 667,303,480 | (4,929,713,095) |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667,303,480 | (4,929,141,754) | ||
비지배주주지분 | - | (571,341) | ||
XII. 주당이익 | ||||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손실) | 17 | (174) |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5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4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회사명 : 솔트웨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지배기업주주지분 | 비지배 주주지분 | 합 계 | |||
---|---|---|---|---|---|---|
자 본 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익잉여금 | |||
2022.01.01 (전기초) | 2,541,277,800 | (452,995,539) | - | 5,934,012,460 | (11,607,211) | 8,010,687,510 |
1.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자기주식의 취득 | (9,177,258) | - | (9,177,258) | |||
합병으로 인한 신주의 발행 | 648,200,000 | 13,525,162,710 | - | - | - | 14,173,362,710 |
합병으로 인한 전환사채의 취득 | - | - | 2,769,019,826 | - | - | 2,769,019,826 |
2.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실 | - | - | - | (4,881,124,245) | (571,341) | (4,881,695,586)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48,017,509) | - | (48,017,509) |
2022.12.31 (전기말) | 3,189,477,800 | 13,072,167,171 | 2,759,842,568 | 1,004,870,706 | (12,178,552) | 20,014,179,693 |
2023.01.01 (당기초) | 3,189,477,800 | 13,072,167,171 | 2,759,842,568 | 1,004,870,706 | (12,178,552) | 20,014,179,693 |
1.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전환사채의 전환 | 236,800,000 | 4,760,971,971 | (2,769,019,826) | - | - | 2,228,752,145 |
비지배지분과의 거래-주식취득 | - | (42,178,552) | - | - | 12,178,552 | (30,000,000) |
2.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 | - | - | - | 571,947,948 | - | 571,947,948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95,355,532 | - | 95,355,532 |
2023.12.31 (당기말) | 3,426,277,800 | 17,790,960,590 | (9,177,258) | 1,672,174,186 | - | 22,880,235,318 |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5(당)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4(전)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회사명 : 솔트웨어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 5(당) 기 | 제 4(전) 기 | ||
---|---|---|---|---|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717,258,748 | (1,012,714,655)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1,219,060,070 | (1,011,517,499) | ||
2. 이자의 수취 | 633,923,090 | 301,015,024 | ||
3. 이자의 지급 | (75,114,252) | (85,258,747) | ||
4. 법인세 납부 | (60,610,160) | (216,953,433)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101,933,203 | 2,744,293,902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 | 17,750,101,021 | 18,865,266,357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 | 17,737,715 | ||
단기대여금의 감소 | 134,834,583 | 40,466,907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17,482,616,438 | 4,000,000,000 | ||
보증금의감소 | 9,350,000 | 12,406,140 | ||
종속기업투자주식 처분 | 100,000,000 | - | ||
기타보증금의 감소 | 23,300,000 | - | ||
합병으로 인한 현금유입 | - | 14,794,655,595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 | (15,648,167,818) | (16,120,972,455)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13,500,000,000 | 12,982,616,438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81,273,708 | 41,250,500 | ||
유형자산의 취득 | 1,671,428,110 | 3,068,255,517 | ||
무형자산의 취득 | 232,942,781 | 9,500,000 | ||
보증금의 증가 | 62,523,219 | 19,350,000 | ||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100,000,000 | -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064,863,224) | 2,695,497,398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 | 989,179,952 | 2,969,539,856 | ||
장기차입금의 증가 | 989,179,952 | 2,967,539,856 | ||
단기차입금의 증가 | - | 2,000,000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 | (4,054,043,176) | (274,042,458) | ||
단기차입금의 감소 | 2,000,000 | 200,000,000 | ||
장기차입금의 감소 | 3,956,719,808 | - | ||
리스부채의 감소 | 65,323,368 | 64,865,200 | ||
주식매입선택권의 증가 | - | 9,177,258 | ||
종속기업주식의 취득 | 30,000,000 | -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754,328,727 | 4,427,076,645 | ||
V.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1,744,660,766 | 7,356,070,934 | ||
Ⅵ.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25,633,055) | (38,486,813) | ||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2,473,356,438 | 11,744,660,766 |
※ 재무제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k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5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
제 4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
(단위 :원 ) |
구분 | 당기 | 전기 | ||
---|---|---|---|---|
(처분예정일 : 2024년 3월 28일) | (처분확정일 : 2023년 3월 28일)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 | 1,669,174,186 | - | 988,645,338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988,645,338 | 5,892,076,738 | ||
당기순이익 | 571,947,948 | (4,855,413,891) | ||
합병으로 인한 조정 | 13,225,368 |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95,355,532 | (48,017,509) | ||
II. 이익잉여금처분액 | - | - | ||
이익준비금 | - | - | ||
현금배당 | - | - | ||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669,174,186 | 988,645,338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3조(본점의 소재지) ① 본점은 서울특별시내에 둔다. ②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국내외에 지점, 출장소, 사무소 및 현지 법인을 둘 수 있다. | 제3조(본점의 소재지) ① 본점은 경기도 과천시내에 둔다. ②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국내외에 지점, 출장소, 사무소 및 현지 법인을 둘 수 있다. | 본점이전 |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2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16백만원 |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8백만원 |
최고한도액 | 50백만원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03.20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제출
및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www.saltware.co.kr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