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셀바이오 (3239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8 16:5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800062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3월   8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박셀바이오
대 표 이 사 : 이 제 중
본 점 소 재 지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산단길 12-55

(전  화) 061-373-0046

(홈페이지) http://www.vaxcell-bi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관리본부장 (성  명)  곽 내 신

(전  화) 061-373-0046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3기 정기)


1. 일  시 : 2023년 3월 24일(금) 오전 10시

2. 장  소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학포로 2698 하니움문화스포츠센터 (B2, 만연홀)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 감사보고
   - 영업보고
   - 내부회계관리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 

    - 제1호 의안 : 제1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결손금처리 계산서(안) 포함)         

    - 제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제3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회사는「상법」제368조의4에 따라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부터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으며,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3월 14일 오전 9시 ~ 2022년 3월 23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투표 가능(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전자투표시스템에서 본인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본인 인증 방법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행사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본인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만 본인신분증으로 인정되며, 신분증 미지참시 주주총회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대리행사: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위임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 위임인의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
    -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주주총회장내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바랍니다.

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안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직접 참석 없이 의결권 행사가 가능한 전자투표제도의 활용을 권장 드립니다.

주주총회에 참석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체온 측정 결과에 따라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및 마스크 미착용 등의 경우에는 주주총회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주주총회장을 운영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방역관리 지침에 따라 주주총회 개최 장소가 불가피하게변동될 수 있으며, 장소 변경 발생 시 정정공시 등을 통해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상법 제542조의4(주주총회 소집공고 등) 및 당사 정관 제22조(소집통지)에 의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는 전자적 방법으로 공고함으로써 갈음합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정성창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2.07. 1. 제1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1 2022.02.07.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2 2022.03.08. 1.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 2022.03.08.
2. 전자투표 도입 승인의 건 찬성
3 2022.03.28.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찬성
4 2022.07.15.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찬성
4 2022.07.15.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5 2022.12.15. 1. 명부폐쇄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당사는 이사회내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 12 12 급여

- 당사는 제1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만의 보수금액한도를 별도로 승인받지 않으며, 주총 승인금액은 1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전체 이사의 보수한도에 대해 승인받은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세포·유전자치료제 산업

 세포치료제는 기존 암 치료법 (화학치료, 방사선치료 등)에 비해 표적 정확성이 높고 부작용이 적어 암 발병률 증가와 함께 항암제 R&D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가장 ‘개인 맞춤형’에 근접한 치료제라는 점에서 매우 혁신적인 제품입니다. 바이오협회에서 발간한 ‘2023년 글로벌 세포유전자 치료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은 1,457개사로 전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의 세포치료 관련 기술 장벽들로 인해 의약품 개발에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지만, 스핀라자, 졸겐스마, 킴리아 등 치료제들이 매년 수억 달러 이상의 매출액을 달성하며 성공적으로 시장에 정착한 사례들을 보면 세포치료제 분야는 아주 유망한 수익 창출 분야임에 틀림 없습니다. 특히, 현재 글로벌 차원에서 절대적 경쟁 우위에 있는 기업들이 극히 소수라는 점을 볼 때, 후발 기업들도 충분히 진입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그림1. 전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사(한국바이오협회)


 2022년에만 미국과 유럽에서 세포·유전자치료제가 처음으로 허가되었고, CAR-T 치료제인 Breyanzi(BMS사), Kymriah(Novartis사), Yescarta(Kite Pharma사) 등 3개와 유전자치료제인 Zynteglo, Zynteglo 및 Skysona(Bluebird bio사) 등 2개 품목이 새로운 지역 또는 새로운 적응증으로 허가되었습니다.

 특히, ‘꿈의 항암제’라고 불리며 기대를 모았던 키메릭 항원수용체 T세포 (CAR-T) 치료제가 표적 및 항암 능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길리어드의 예스카타와 테카투스, 노바티스의 킴리아, BMS의 아베크마와 브레얀지 등을 필두로 현재 세계 여러 나라의 바이오 제약 회사들이 CAR-T치료제의 개발에 뛰어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난해와 올해 국가신약개발사업단 협약과제 227개 중에서 42.7%인 14개가 유전자치료제 과제였으며, 그 중 절반은 CAR-T 관련 연구로 나타났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Research and market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CAR-T 세포치료제 시장 규모는 10억 8500만 달러(약1조5700억원)으로 나타났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24.5%로 2028년에는 50억 3100만 달러(약7조26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림2 글로벌 CAR-T 시장 규모 (Research and market(2021))



 (나) 동물용의약품 산업

 반려동물을 키우는 1인가구 증가, 반려동물의 수명 증가, 반려동물은 가족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면서 반려동물 관련 의약품 시장도 덩달아 커져가는 양상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반려동물 관련 의약품 내수시장과 수출 규모도 늘어나, 자연스럽게 동물의약품 관련 유관된 기관과 제약사들이 산업 발전을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림3 동물용의약품 산업규모 (데일리개원 뉴스기사)


 하지만, 전체 반려견 중 25% 이상이 8살 이후 50% 확률로 암이 발생하는 높은 암 발병률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물 전용 항암제가 없어 인체용 항암제를 사용하여 낮은 약효와 부작용으로 반려견 전용 면역항암제의 수요가 발생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대목에서 당사는 반려견 전용 항암 면역치료제 플랫폼인 Vaxleukin-15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간암치료제 시장

 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개한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간암진료인원 80,853명 중 간세포암 진료인원이 64,525명으로 79.8%를 차지하고 있으며, 5년전 59,040명보다 9.3% 증가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림4 2021년 간암 유형별 진료인원 수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데이터(2021))


 세계 185개국의 데이터가 포함된 IARC의 ‘GLOBOCAN 2020 데이터베이스’에서 원발성 간암 발병 및 사망에 대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약 90만 5,700명이 간암을 진단받았으며, 83만 200명이 간암으로 사망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간암은 전 세계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46개국에서 암 사망의 3대 원인, 그 외 90개국에서는 5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추세가 계속될 경우 2020~2040년 사이 간암 발병 및 사망자 수가 5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만큼 간암치료제에 대한 옵션이 시급한 실정입니다.

 간암치료제는 바이엘의 ‘넥사바’는 2008년 국내에서 간세포암 치료제 적응증을 획득한 이후 10년간 간암시장을 독점했고, 2018년이 돼서야 두 번째 치료제인 에자이의 ‘렌비마’가 등장했을 정도로 그 동안의 간암치료제의 선택옵션이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 15년만에 ‘넥사바’를 뛰어넘는 효과를 보이는 로슈의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이 1차 치료제로 보험 급여가 적용되면서 수술이 불가능했던 3기 이상 말기 간암 환자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면역항암제가 등장하며 간암치료제 시장은 급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늘어나는 환자의 수에 비해 현재까지 간암의 근치적 치료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상황이라서, 간암치료제 시장은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나) 췌장암치료제 시장

 췌장암은 교모세포종과 함께 암 중에서도 최악의 암이라고 불리며 세계적으로 예후가 매우 나빠 유명한 암 중 하나입니다. 워낙 발견이 늦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술 가능한 환자는 전체 환자의 12.5%에 불과합니다. 수술을 받더라도 일정 기간동안 항암제를 통해 보조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췌장암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허가받은 면역항암제는 없는 실정이며, 국내에서는 GC셀의 이뮨셀엘씨주, 젬백스의 리아백스주, 크리스탈지노믹스의 아이발티노스타트가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근래에는 효과적인 항암제가 개발되면서 환자의 전신상태가 허락하는 경우라면 보다 적극적인 보조 항암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췌장암의 수술 후 보조적 치료에서 어느 약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입니다. 이러한 미충족 의료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유수의 제약 바이오기업들이 항암제 연구 및 개발에 몰두하고 있으며 Crystal Market Reseach, Pancreatic Cancer Treatment Market (2017)에 의하면 연평균 10.64%의 성장률로 꾸준하게 췌장암 치료 시장은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림5 세계 췌장암 치료시장 규모 및 전망 (crystal market research)


  (다) 소세포성폐암 시장

 폐암은 진단 결과에 따라 크게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나눌 수 있는데 소세포폐암은 비소세포성폐암에 비해 암세포의 크기가 작으며 신 경내분비 암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암세포의 성장이 아주 빠르며 초기 단계에서도 전이가 쉽게 일어나는 암으로 예후가 좋지 않은 암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5년 생존율도 5%~10% 사이로 매우 낮기 때문에 소세포폐암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다급한 실정임에 따라 소세포폐암 치료제 시장 규모 역시 해년마다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KISTI 추정에 따르면, 소세포 폐암(SCLC) 치료제 세계 시장은 2020년 기준 1,106백만 달러(약 1조 3천억 원) 규모에서 연평균성 장률 19.3%로 성장하여 2026년 3,188백만 달러(약 3조 6천억 원)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소세포폐암(SCLC)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 백만달러)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CAGR(%)

세계시장

1,106

1,361

1,595

1,760

1,903

2,414

3,188

19.3

 

  (라) 다발골수종치료제 시장

 Global Data(2019)에 따르면, 선진 8개국(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 중국)의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시장규모는 2017년 145억달러에서 2027년 278억달러로 연평균 6.7%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발골수종의 대표적인 치료제는 매출액 기준 Celgene의 Revlimid, Takeda / J&J의 Velcade, Celgene의 Pomalyst 가 주력 3개 제품이나, 이들 제품의 특허 만료에 따라 제네릭/바이오시밀러의 등장으로 시장 판도에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일 신규 제품으로 J&J(Janssen Biotech)의 Darzalex, Takeda의 Ninlaro, Amgen / Ono(Japan)의 Kyprolis가 새로운 주력 제품으로 교체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최근에 승인완료, 후기 임상을 진행 중인 제품들도 시장에 출시되어 다양한 치료 옵션이 제안될 것으로 전망되는바, 미충족 수요와 함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 다발골수종 치료제 시장규모]

(단위 : 백만달러)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다발골수종 치료제

14.5

15.5

16.5

17.6

18.8

20.1

21.4

22.9

24.4

26.1

27.88


 

 (마) 동물용의약품 시장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세계 동물의약품 시장 규모는 지난 2020년 기준 367억 달러 (한화 약 46조)로 2010년 약 200억 달러에 비해 10년만에 150%이상이 올랐고, 오는 2025년에는 4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역시 국내 동물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5년 한화 약 8,903억원에서 2021년에는 1조 3,481억원까지 증가했습니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을 7%로 계산했을 때 오는 2025년에는 약 1조 7668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림6 동물의약품 시장규모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항암면역세포치료제 개발 전문 회사로, 연구개발과 임상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NK세포를 이용한 Vax-NK세포치료제 플랫폼에서는 진행성 간암을 대상으로 Vax-NK/HCC 임상2a상 연구를 진행중이며, 진행성 췌장암과 확장병기 소세포폐암 등을 대상으로 Vax-NK의 신규 임상연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Vax-CARs치료제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고형암과 혈액암을 대상으로 연구개발과 비임상 시험을 진행중입니다. 또한 동물용의약품 플랫폼에서는 반려견용 면역증강제 및 항암면역치료제인 Vaxleukin-15(박스루킨-15)의 임상연구가 원활히 진행되고 있으며, 품목허가를 받은 후 국내외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신규임상과 제품판매 등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관련 기술개발 및 인력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있으며,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면역항암제에 대한 관심이 계속 커지고 있는 만큼 당사의 전망은 밝다고 여겨집니다.

박셀바이오 주요 파이프라인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 제1108호‘영업부문’에 따른 보고부문이 단일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문별 정보를 공시하지 않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는 항암면역치료제를 개발 중인 회사로, 제품의 판매에 의한 매출은 발생하지 않아 시장점유율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업계의현황’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Vax-NK 플랫폼 적응증 확대

 현재까지 수행한 Vax-NK 임상 결과와 Vax-NK의 다수의 응급임상시험 결과를 통해, 당사가 보유한 Vax-NK의 항암면역치료 플랫폼의 췌장암과 소세포폐암에서의 적응증 확대 가능성과 더불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였습니다, mFOLFIRINOX 병합 치료 요법을 통한 Vax-NK/PDAC (췌장암 대상)과 아테졸리주맙 병용 치료 요법을 통한 Vax-NK/SCLC (소세포폐암 대상)은 비임상 시험에서 높은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췌장암과 소세포폐암의 미충족 의료수요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23년 본격적인 임상시험 착수를 위해 신청 및 임상계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나) CAR-MILs 임상 진입

 급성 백혈병, 림프종과 함께3대 혈액암으로 꼽히는 혈액암인‘다발골수종’은 재발률이 약80%에 달하며 완치가 어렵다는 큰 특징이 있습니다. 미충족 의료수요를 극복하기 위하여2015년‘다잘렉스’가 시판되어 환자들의 생존성 향상에 기여했으며2022년에는‘카빅티’가 놀라운 임상실험 결과로CAR-T세포치료제로 기대감을 모으는 등 다발골수종 치료제 시장은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당사는 오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종양 항원에 대하여 특이성을 가진 메모리T세포가 풍부한MIL에CAR 기술을 접목한CAR-MILs 플랫폼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의MIL 치료제나CAR 세포 치료제보다 강력한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비임상 시험을 순항 중에 있으며, 이 역시2023년 내 임상시험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박셀바이오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 ⇒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ㆍ현금흐름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확정 전 재무제표로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와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 될 수 있으니 정보 이용자께서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석사항은 3월 15일(예정)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할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3월 15일(예정)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공시할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13(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12(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박셀바이오 (단위 : 원)
과           목 제13(당)기말 제12(전)기말
자           산



Ⅰ.유동자산   20,898,449,206
28,197,462,800
  현금및현금성자산 389,660,587   2,308,792,152
  단기금융상품 20,002,461,519   25,000,000,000
  기타금융자산 210,311,372   353,205,254
  기타유동자산 215,780,908   515,089,834
  당기법인세자산 80,234,820   20,375,560
Ⅱ.비유동자산   3,264,596,080
3,078,895,758
  유형자산 2,391,724,532   2,635,884,616
  사용권자산 149,387,572   168,518,182
  무형자산 229,458,479   147,623,970
  기타금융자산 431,153,904   109,882,620
  기타비유동자산 62,871,593   16,986,370
자  산  총  계   24,163,045,286
31,276,358,558
부            채    

Ⅰ.유동부채   307,041,990
392,301,472
  기타금융부채 176,832,481   159,502,817
  리스부채 46,514,819   183,046,105
  기타유동부채 83,694,690   49,752,550
Ⅱ.비유동부채   528,735,850
803,673,869
  기타금융부채 219,108,526   112,639,994
  리스부채 58,723,176   37,389,300
  순확정급여부채 250,904,148   653,644,575
부  채  총  계   835,777,840
1,195,975,341
자            본    

I. 자본금 7,611,500,000   7,611,500,000
II. 자본잉여금 48,888,442,989   48,888,442,989
III. 기타자본항목 210,354,661   85,394,010
IV. 결손금 (33,383,030,204)   (26,504,953,782)
자  본  총  계   23,327,267,446
30,080,383,217
부채및자본총계   24,163,045,286
31,276,358,558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3(당)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2(전)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박셀바이오 (단위 : 원)
과          목 제13(당)기 제12(전)기
I. 매출액
-
-
II. 매출원가
-
-
III. 매출총이익
-
-
IV. 판매관리비   8,212,602,189
5,904,060,364
V. 영업손실   (8,212,602,189)
(5,904,060,364)
VI. 금융수익   421,908,721
322,314,204
VII. 금융원가   16,679,129
26,896,571
VIII. 기타수익   1,009,683,780
868,998,499
IX. 기타비용
27,362,664
23,134,310
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6,825,051,481)
(4,762,778,542)
XI. 법인세비용

-
XII. 당기순손실
(6,825,051,481)
(4,762,778,542)
XIII. 기타포괄손익
(53,024,941)
(454,599,438)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53,024,941)   (454,599,438)
XIV. 총포괄손익
(6,878,076,422)
(5,217,377,980)
XV. 주당손실
 

  기본및희석주당손실   (448)
(315)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제13(당)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2(전)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박셀바이오 (단위 : 원)
구분 당기 전기
(처리예정일: 2023년 3월 24일)  (처리예정일: 2022년 3월 23일)
I. 미처리결손금   33,383,030,204
26,504,953,782
 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26,504,953,782 - 21,287,575,802 -
 2. 당기순손실 6,825,051,481 - 4,762,778,542  -
 3.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53,024,941 - 454,599,438 -
II. 결손금처리액 - -  - -
III.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33,383,030,204  - 26,504,953,78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5일 1주전 전자문서 발송

※ 상기 제출예정일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공시예정일이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2023년 3월 15일에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이고, 2023년 3월 15일에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당사 홈페이지(http://vaxcell-bio.co.kr, IR > Public Disclosures )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부터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ㆍ전자위임장 관리시스템
                  :「https://vote.samsungpop.com/」(PC와 모바일로 이용가능)

나. 전자투표 행사ㆍ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3월 14일 ~ 2023년 3월 23일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행사방법 :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舊증권거래전용 공인인증서, 舊전자거래 범용 공인인증서), 휴대폰 인증(pass), 카카오페이 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주주총회 개최 전,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나 주주총회 개최일자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을 통해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주주총회 집중일에 주총 개최 사유 :

- 당사는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여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을 위한 당사의 대내외 일정(회계결산일정 및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 이사회소집시기 등)을 고려하여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당사의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당사는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발표 2023년도 정기주주총회 집중일(3일):
 3월24일(금), 3월 30일(목), 3월 31일(금)

- 당사는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서 발표한 주총집중(예상)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서 주관한「주총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미참여 하였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8000624

박셀바이오 (3239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