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9 09:2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031
2023 년 3월 9일 | ||
회 사 명 : | 대모엔지니어링(주) | |
대 표 이 사 : | 이원해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시흥시 엠티브이26로 58번길 56 | |
(전 화) 031-488-6000 | ||
(홈페이지)http://www.daemo.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보 | (성 명) 김판우 |
(전 화) 031-488-6000 | ||
(제34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일익번창하심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4조에 의거하여 제 3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1. 일시 : 2023년 3월 24일(금요일) 오전 9시
2. 장소 : 경기도 시흥시 엠티브이26로 58번길 56 대모엔지니어링(주) 본사 3층 강당
3. 회의목적사항 :
[보고안건]
가. 감사보고
나. 영업보고
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라.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부의안건]
(1) 제1호 의안: 제34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 계산서(안)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3) 제3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사내이사 후보 이원해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사내이사 후보 이병기 선임의 건
(4) 제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5) 제5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http://kind.krx.co.kr)에서 조회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관련 안내사항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안전한 주주총회를 개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안내드리오니 주주 여러분의 협조 부탁드립니다.
- 발열(37.5도 이상) 및 호흡기 증상, 자가격리대상, 확진자 밀접접촉 등에 해당하 시는 주주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장 입장 시 마스크를 착용을 권고드립니다.
- 주주총회 소집시 코로나19(COVID-19) 관련하여 일시, 장소 등 세부 변경 사항 발생 시 소집결의 변경에 관한 승인 권한을 대표이사에게 위임하며, 변경 결정
즉시 정정공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1) 직접 행사: 신분증
(2) 대리 행사: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 (개인/법인)
7. 기타 :
(1) 금회 총회 시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년 3월9일
대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표이사 이원해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장지종 (출석률: 100%) | 최병구 (출석률: 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3.02 | 제3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결의사항> 제1호 의안: 제33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포함)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현금배당 결정의 건 제3호 의안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제4호 의안 : 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찬성 | - |
2 | 2022.03.25 | 제33기 정기주주총회 <보고사항> 가. 감사보고 나. 영업보고 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결의사항> 제1호 의안: 제33기(2021.01.01~2021.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현금배당 : 보통주 180원/주 ⇒ 원안대로 가결 제2호 의안: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자 : 사외이사 최병구 ⇒ 원안대로 가결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제4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찬성 | - |
3 | 2022.07.20 | 인도법인 자본금 추가 납입 결정의 건 | - | - |
* 제33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최병구 사외이사가 신규로 선임 되었습니다.
* 제33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장지종 사외이사는 임기 만료 되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300,000,000 | 27,000,000 | 27,000,000 |
* 제33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최병구 사외이사가 신규로 선임 되었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DAEMO Europe NV | 매출 및 매입 등 | 22년1월~22년12월 | 75 | 13.90 |
* 기재된 비율은 별도 매출액 기준입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유압어태치먼트산업은 건설기계장비의 암 끝단에 장착하여 도로파쇄, 건축물해체, 고철절단, 작업물 상하차, 도로다짐, 폐차 해체 등 다양한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유압으로 작동되는 어태치먼트를 포괄하는 분야로, 건설장비 부품의 생산에서 조립에 이르는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종합제조산업입니다.
유압어태치먼트는 도로를 파쇄하는 유압브레이커, 철 절단을 하는 쉐어, 건물을 파쇄하는 크러셔, 파지나 잡자재를 핸들링하는 그래플 등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의 성격이 강합니다. 따라서 기종별 일괄대량생산에 도달하기 위한 경제적 생산규모의 확보가 경쟁력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당사가 속한 유압어태치먼트는 건설기계산업에 해당합니다. 또한 굴삭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어 건설기계산업 내에서는 굴삭기의 시장규모로 어태치먼트의 시장 규모를 추산해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건설기계시장 수요의 상당부분은 중국, 북미, 유럽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선진국은 성숙시장의 특성상 교체수요를 통한 안정적인 수요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미국과 유럽 등은 도심 재개발, 재건축 등 대규모 공사보다는 소형장비 공사가 많은 편입니다. 반면 중국, 인도 등은 신도시개발에 따른 도로, 항만, 철도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이 활발해 중대형 장비 수요가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건설기계는 전방산업인 건설경기와 SOC 투자사업 등을 비롯한 전방 산업의 수요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사업 분야로서 전반적인 국내외 경기상황, 각 국가별 SOC 투자정책과 건설경기 동향 등에 따라 수요가 좌우됩니다. 또한 환율 변동에 의하여 국가별 가격 경쟁력이 결정되므로 미국의 달러화, 유럽의 유로화 및 당사의 경쟁업체가 집중된 일본의 엔화 추세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한편, 원자재 가격 상승 시 관련 투자 증가 및 기계 가동률 상승으로 수요가 증가하는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별 계절적 변동요인으로는 인도지역의 경우 건설작업에 불리한 7~8월 우기와 1~2월에는 수요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미국은 상반기에 수요가 집중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고, 유럽은 휴가기간인 여름과 겨울에 수요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1) 경쟁 상황
유압어태치먼트 산업은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으로서 고객의 다양한 사양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수준과 안정적인 품질 및 납기대응력, 신속한 A/S 능력이 중요한 경쟁력입니다. 시장별로 보면 선진시장은 품질이, 신흥시장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우선시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유압어태치먼트 분야는 완전 경쟁 체제로서, 다수의 글로벌 업체와 특정 지역내 기반을 둔 로컬 업체들의 시장 참여 확대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건설기계 시장은 글로벌 업체인 유럽의 Atlas Copco(Epiroc)과 Sandvik(Rammer)과 일본의 NPK, FURUKAWA, 국내의 당사, 수산중공업, 에버다임 등이 선도업체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건설기계 고객의 보수적인 구매 행태(품질에 대한 신뢰도, 내구성, A/S 용이성 등을 고려한 구매 행태)로 인하여 브랜드 이미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기에 선두업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고있습니다.
또한 폭넓은 제품 라인업을 갖추지 못한 경우 다양한 니즈를 지닌 고객에게 적합한 제품을 공급하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딜러의 경우, 폭넓은 제품 라인업을 보유한 브랜드 제품의 판매에 집중할 수밖에 없으며 이를 갖추지 못한 경우 딜러들의모집/유지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즉, 오랜 기간에 걸친 제품개발과 판매 채널 구축에 투자를 진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충분한 제품 라인업 구축이 수반되어야만적정 이익 수준을 기대할 수 있는 특성 상 신규업체의 진입 난이도는 높은 편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 제품군의 다양성
당사는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하여 국내 연구개발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브레이커외 퀵커플러와 다양한 기타어태치먼트를 모두 제조하고 있습니다. 브레이커 외 제품군을 다양화 한다는 것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타사 대비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취급함으로써 고객들의 다양한 어태치먼트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켜 전 세계 90여개 이상의 고객사와의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향후 특수목적 건설기계분야까지 준비가 된다면, 더 다양한 고객층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고객맞춤형 제품
다품종 소량생산 시대로 접어들면서 수요에 공급을 맞춰가는 변화에 얼마나 빠르게 적응하느냐가 고객층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오래전부터 고객의 작업현장에 맞는 제품으로의 개선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극대화 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그 결과 현대건설기계와 BTI에 독점 납품하고 있습니다
2) 기술 수준
구 분 | 주요사항 |
브레이커 | - Simulation X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압시스템 해석 기술 - 공타방지 회로설계 기술 - 유압식 3단 자동타격력조절장치(특허번호 : 10-2017-0111557) - 전자식 3단 자동타격력조절장치 |
기타 어태치먼트 | - 용접구조물 구조해석 조건정립 및 구조해석 기술 - 대형급 Shear 설계기술 - Car-Dismantler 및 Clamp 설계기술 - 3중 자동 안전장치 Quick Coupler 설계기술 및 특허보유 - Quick Change Multi-Processor 설계기술 및 특허보유 |
특수 중장비 | - Telescopic Leader System 설계기술 - 작업위치 안내용 LNS(Leader Navigation System) 기술 - 스마트 기반의 작업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AVS(Augmented Vision System) 기술 - 장비 및 작업상태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MDS(Maintenance & Dianostic System) 기술 - 특수장비용 ROPS Cabin ass'y 설계기술 - 특수장비용 Front 구조설계 기술 |
3) 브랜드 인지도
당사는 올해 굴삭기용 종합어태치먼트 전문회사로 성장해 온지 35주년을 맞았습니다.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교류, 상생협력을 통한 제품생산과 엄격한 품질관리로 유압브레이커의 Premium화를 선언한 alicon 브랜드로 세계 90여개국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또한 브랜드 홍보 및 제품홍보를 위한 세계 3대 건설장비 전시회에 독립부스를 꾸려 지속적으로 참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인지도 향상, 전세계 고객들과의 견고한 네트워크 활동과 신시장 개척 및 매출증대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당사는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 대모엔지니어링의 최근 3개년 시장점유율 ]
제품 | 2020년도(32기) | 2021년도(33기) | 2022년도(34기) | 비고 |
유압브레이커 | 13.24% | 10.78% | 11.39% | - |
주) 어태치먼트에 대한 통계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가장 많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유압브레이커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국내에서 해외로 수출되는 유압브레이커(H.S.CODE 8431,49,1000) 관세청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당사의 수출액 비중으로 시장점유율을 산정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1) 산업의 개요
유압어태치먼트산업은 건설기계장비의 암 끝단에 장착하여 도로파쇄, 건축물해체, 고철절단, 작업물 상하차, 도로다짐, 폐차 해체 등 다양한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유압으로 작동되는 어태치먼트를 포괄하는 분야로, 건설장비 부품의 생산에서 조립에 이르는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종합제조산업입니다.
유압어태치먼트는 도로를 파쇄하는 유압브레이커, 철절단을 하는 쉐어, 건물을 파쇄하는 크러셔, 파지나 잡자재를 핸들링하는 그래플 등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다품종소량생산의 성격이 강합니다. 따라서 기종별 일괄대량생산에 도달하기 위한 경제적 생산규모의 확보가 경쟁력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수요 변동요인
유압어태치먼트는 굴삭기의 암 끝부분에 장착되어 각 건설현장 및 도로공사, 토목공사, 광산개발공사, 자원재활용 현장 등 각 site에서 필요로 하는 용도에 맞춰 사용, 생산성을 높이는 제품으로, 건설중장비 즉 굴삭기의 수요경기에 영향을 받는 제품입니다.
굴삭기 수요의 변동은, 각 국가별 국가기간산업과 상호 연관성이 높은데, 이는 국가별 정부주관 SOC사업 및 인프라 투자계획, 환경규제 등 정부정책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유압어태치먼트 또한 굴삭기 수요와 같은 변동요인을 갖게 되는데, 주요 변동요인으로는 경기변동, 정부정책, 원자재가 변동, 환율변동을 들 수 있습니다.
환율변동의 경우 한국산과 직접적인 경쟁국이라 할 수 있는 일본의 달러당 엔화가치와 한국의 달러당 원화가치의 등락에 따라 수요변동에 일부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수입국 기준으로 엔화가치가 떨어졌을 경우에는 일본산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주요 목표시장
유압어태치먼트는 굴삭기에 부착되어 다양한 작업에 사용되는 부가 제품으로, 굴삭기 수요 와 큰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세계 굴삭기 수요를 기반으로 가장 큰 수요를 차지하는 중국(전체 Crawler Excavator 의 34% 차지)과, 선진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개념의 건설기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유럽(전체 Crawler Excavator의 22%)과 북미(전체 Cralwer Excavator의 16%), 무한한 미래 시장성장성을가지고 있는 인도(전체 Crawler Excavator의 5%)를 주요 목표시장으로 선정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산림장비 개발
현대건설기계의 오세아니아 산림장비 4개 모델(R210LC-9, R250LC-9, R290LC-9, R320LC-9)에 대한 개발업체 선정에 따른 산림장비를 개발 완료하였으며, 개발범위는 50톤급 허용기준에 ROPS CABIN 및 CABIN FRONT GUARD 제작. FRONT BOOM PIN 위치이동을 통한 작업범위 증대, SIDE COVER 보강 및 GUARD RAIL 설치, MAIN FRAME CAT WALK 설치를 통한 산림용 장비에 여건을 갖춘 장비를 개발하였습니다.
(5) 조직도
대표이사 | |||||||
경영총괄부회장 | |||||||
해외영업부문 | 국내영업 및 신사업부문 | R&D품질부문 | 생산기술부문 | 생산부문 | 울산사업부문 | 경영기획부문 | 재경부문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의 매출액은 연결기준 전년대비 11% 증가한 548억 원을, 영업이익은 307% 증가한 21억 3천만 원을, 당기 순이익은 전년대비 72% 감소한 12억 9천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2021년 구공장 매각에 따른 일시적 영향이 있었습니다.
당사는 생산 효율 극대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신규 사업을 본격화하여 경기 회복이 기대되는 인도를 비롯한 해외 부문의 매출 증대를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 또는 사업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하기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잠정수치로서 향후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34 (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33 (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단위 : 원) |
제 34기 | 제 33 기 | |
---|---|---|
자산 | ||
유동자산 | 33,538,487,705 | 41,097,694,118 |
현금및현금성자산 | 3,867,614,962 | 5,001,420,605 |
단기금융상품 | 5,180,000,000 | 14,210,000,000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8,754,155,839 | 8,186,850,578 |
재고자산 | 15,547,352,225 | 13,389,946,088 |
기타유동금융자산 | 77,177,247 | 113,618,026 |
기타유동자산 | 112,187,432 | 195,858,821 |
매각예정자산 | - | - |
유동파생상품금융자산 | - | - |
당기법인세자산 | - | - |
비유동자산 | 36,082,073,185 | 38,856,364,607 |
장기금융상품 | 4,000,000 | 1,724,000,000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 | - |
유형자산 | 34,156,049,047 | 35,322,360,229 |
무형자산 | 242,415,527 | 284,483,300 |
사용권자산 | 174,008,456 | 182,207,224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97,157,346 | 121,273,810 |
이연법인세자산 | 1,089,866,611 | 910,333,255 |
순확정급여자산 | 318,576,198 | 311,706,789 |
자산총계 | 69,620,560,890 | 79,954,058,725 |
부채 | ||
유동부채 | 12,189,671,565 | 14,994,981,756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8,373,599,623 | 9,601,195,677 |
단기차입금 | 725,760,000 | 745,040,000 |
유동성장기부채 | 2,000,000,000 | 2,900,000,000 |
유동성리스부채 | 97,145,491 | 110,845,156 |
기타유동부채 | 613,342,799 | 731,587,106 |
유동판매보증충당부채 | 270,187,769 | 267,716,401 |
당기법인세부채 | 109,635,883 | 638,597,416 |
비유동부채 | 9,871,913,477 | 17,185,328,025 |
장기차입금 | 9,500,000,000 | 16,675,000,000 |
비유동리스부채 | 79,025,701 | 70,522,791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141,337,500 | 80,644,000 |
기타비유동부채 | 151,550,276 | 359,161,234 |
순확정급여부채 | - | - |
부채 총계 | 22,061,585,042 | 32,180,309,781 |
자본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귀속되는 자본 | 47,558,975,848 | 47,773,748,944 |
자본금 | 4,162,210,000 | 4,162,210,000 |
자본잉여금 | 8,909,202,314 | 8,909,202,314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96,936,933 | 283,572,546 |
이익잉여금 | 34,090,626,601 | 34,418,764,084 |
비지배지분 | - | - |
자본 총계 | 47,558,975,848 | 47,773,748,944 |
부채와 자본 총계 | 69,620,560,890 | 79,954,058,725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34 (당)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33 (전)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제 34기 | 제 33 기 | |
---|---|---|
매출액 | 54,799,709,139 | 49,539,646,760 |
매출원가 | 41,516,147,923 | 38,971,036,714 |
매출총이익 | 13,283,561,216 | 10,568,610,046 |
판매비와관리비 | 11,149,694,885 | 10,044,192,107 |
영업이익 | 2,133,866,331 | 524,417,939 |
기타이익 | 78,425,336 | 4,603,020,323 |
기타비용 | 19,533,706 | 35,348,004 |
금융수익 | 1,444,549,916 | 1,019,292,499 |
금융원가 | 2,070,260,269 | 591,265,092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1,567,047,608 | 5,520,117,665 |
법인세비용 | 277,700,134 | 912,260,069 |
당기순이익 | 1,289,347,474 | 4,607,857,596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당기순이익 | 1,289,347,474 | 4,607,857,596 |
비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당기순이익 | - | - |
기타포괄손익 | (5,724,970) | 165,775,883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세후기타포괄손익) | (119,089,357) | 36,611,796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 (세후기타포괄손익) | (119,089,357) | 36,611,796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113,364,387 | 129,164,087 |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세후기타포괄손익) | 113,364,387 | 129,164,087 |
총포괄손익 | 1,283,622,504 | 4,773,633,479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단위 : 원) | 155 | 554 |
재 무 상 태 표 | |
제 34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33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단위 : 원) |
제 34기 | 제 33 기 | |
---|---|---|
자산 | ||
유동자산 | 30,341,662,991 | 37,385,558,353 |
현금및현금성자산 | 2,852,737,259 | 3,624,985,104 |
단기금융상품 | 5,180,000,000 | 14,210,000,000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9,429,455,214 | 8,076,437,401 |
재고자산 | 12,717,039,307 | 11,193,386,730 |
기타유동금융자산 | 77,177,247 | 113,618,026 |
기타유동자산 | 85,253,964 | 167,131,092 |
매각예정자산 | - | - |
유동파생상품금융자산 | - | - |
당기법인세자산 | - | - |
비유동자산 | 37,745,098,0877 | 40,444,481,806 |
장기금융상품 | 4,000,000 | 1,724,000,000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3,353,062,243 | 3,090,862,243 |
유형자산 | 32,873,643,307 | 34,090,313,077 |
무형자산 | 157,222,189 | 194,213,136 |
사용권자산 | 69,403,684 | 173,313,229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71,172,326 | 94,846,846 |
이연법인세자산 | 898,018,930 | 765,226,486 |
순확정급여자산 | 318,576,198 | 311,706,789 |
자산총계 | 68,086,761,868 | 77,830,040,159 |
부채 | ||
유동부채 | 11,174,515,218 | 13,844,485,431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8,135,370,177 | 9,219,404,874 |
단기차입금 | - | - |
유동성장기부채 | 2,000,000,000 | 2,900,000,000 |
유동성리스부채 | 63,209,354 | 101,631,287 |
기타유동부채 | 581,885,512 | 722,120,384 |
유동판매보증충당부채 | 270,187,769 | 267,716,401 |
당기법인세부채 | 123,862,406 | 633,612,485 |
비유동부채 | 9,800,201,213 | 17,185,328,025 |
장기차입금 | 9,500,000,000 | 16,675,000,000 |
비유동리스부채 | 7,313,437 | 70,522,791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141,337,500 | 80,644,000 |
기타비유동부채 | 151,550,276 | 359,161,234 |
순확정급여부채 | - | - |
부채 총계 | 20,974,716,431 | 31,029,813,456 |
자본 | ||
자본금 | 4,162,210,000 | 4,162,210,000 |
자본잉여금 | 8,909,202,314 | 8,909,202,314 |
이익잉여금 | 34,040,633,123 | 33,728,814,389 |
자본 총계 | 47,112,045,437 | 46,800,226,703 |
부채와 자본 총계 | 68,086,761,868 | 77,830,040,159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34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제 33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제 34기 | 제 33 기 | |
---|---|---|
매출액 | 54,123,259,785 | 47,496,611,324 |
매출원가 | 41,955,994,577 | 38,672,992,420 |
매출총이익 | 12,167,265,208 | 8,823,618,904 |
판매비와관리비 | 9,435,087,691 | 8,758,731,239 |
영업이익 | 2,731,177,517 | 64,887,665 |
기타이익 | 34,682,096 | 4,567,985,752 |
기타손실 | 7,088,827 | 217,216,482 |
금융수익 | 1,442,646,409 | 1,002,062,626 |
금융원가 | 1,963,097,890 | 537,271,625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239,319,305 | 4,880,447,936 |
법인세비용 | 310,015,614 | 876,095,905 |
당기순이익(손실) | 1,929,303,691 | 4,004,352,031 |
기타포괄손익 | (119,089,357) | 36,611,796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119,089,357) | 36,611,796 |
총포괄손익 | 1,810,214,334 | 4,040,963,827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단위 : 원) | 232 | 481 |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 | |
제 34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 33 기 :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단위 : 원) |
과목 | 제 34(당)기 | 제 33(전)기 | ||
I. 미처분 이익잉여금 | 32,411,848,594 | 32,249,869,420 | ||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30,601,634,260 | 28,208,905,593 | ||
2.회계변경의 누적효과 | ||||
3. 전기 오류 수정이익 | ||||
4. 전기 오류 수정손실 | ||||
5. 중간 배당금 | ||||
6. 당기 순이익 | 1,929,303,691 | 4,004,352,031 | ||
7.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119,089,357) | 36,611,796 | ||
II. 임의 적립금 등의 이입액 | ||||
1. 연구 인력 개발 준비금 | ||||
합 계 | 32,411,848,594 | 32,249,869,420 | ||
III. 이익 잉여금 처분액 | 824,117,580 | 1,648,235,160 | ||
1. 이익 준비금 | 74,919,780 | 149,839,560 | ||
2. 기업 합리화 적립금 | ||||
3. 배당금 | 749,197,800 | 1,498,395,600 | ||
가. 현금배당 | 749,197,800 | 1,498,395,600 | ||
나. 주식배당 | ||||
4. 사업 확장적립금 | ||||
5. 감채적립금 | ||||
6. 연구 인력개발 준비금 | ||||
IV. 차기 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31,587,731,014 | 30,601,634,260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제 34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33 기 : 2021년 12월 31일 현재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당기 |
제34기 | 제33기 | ||
주당액면가액(원) | 500 | 500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1,289 | 4,607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1,929 | 4,004 | |
(연결)주당순이익(원) | 155 | 554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749 | 1,498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90 | 180 |
우선주 | - | -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 2조(목적)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유압브레이카 및 건설장비류 제조판매업 2. 유압브레이카 및 건설장비류 수출입업 3. 기계 및 장비 생산 및 임대업 4. 기술관련 용역제공, 서비스 및 Know-How의 판매, 임대업 5. 전 각호에 관련되는 및 부대되는 사업 6. 부동산 매매업 및 임대, 컨설팅 | 제 2조(목적) 1~6 (현행과 같음) 7. 전자상거래를 통한 통신판매업 | - 온라인 판매를 도입하기 위함
|
<신설> - |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 - 부칙 신설 |
□ 이사의 선임
사내이사 후보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원해 | 1956.12.28 | - | - | 본인 | 이사회 |
이병기 | 1961.06.11 | - | - | -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원해 | 대모엔지니어링(주) 대표이사 | 1989.06~현재 | 대표이사 | 없음 |
이병기 | 대모엔지니어링(주) 경영총괄부회장 | 1989.06~현재 | 부회장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원해 | - | - | - |
이병기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이원해 사내이사 후보자 상기 후보자는 창업 이래 당사의 대표이사로 재직하며 관련 산업과 회사 가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지난 3년 간 당사 이사회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힘써당사의 신규 상장 등을 성공적으로 이끈 바 있습니다. □ 이병기 사내이사 후보자 상기 후보자는 창업 이래 계속 당사에 재직하며 관련 산업과 회사 경영 관리 전반에 대한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 3년 간 당사 이사회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힘써 안정적인 회사 관리에 이바지해 왔습니다. |
확인서
제34기_사내이사 후보 이원해 확인서_1 |
제34기_사내이사 후보 이병기 확인서_1 |
※ 기타 참고사항
상기 후보자 등은 당사 창업이래 줄곧 재직하며 회사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 상장을 통한 주주가치의 증대에 대해 높은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위 후보자 등은 향후 3년간 상장사로써 회사의 주주가치 이익 증대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300,000,000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556,603,000원 |
최고한도액 | 1,3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당사는 이사의 보수한도를 작년과 동일하게 동결하고자 합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9,000,000원 |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당사는 감사의 보수한도를 작년과 동일하게 동결하고자 합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03.16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는 2023년 3월 16일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2023년 3월 16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한 후 당사 홈페이지 (http://www.daemo.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로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관련 안내 사항]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9000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