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4 10:2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4000180
2024년 3월 14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퀀타매트릭스 | |
대 표 이 사 : | 권성훈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비동 16층(가산동, 비와이씨하이시티) | |
(전 화) 02-6956-3458 | ||
(홈페이지) http://www.quantamatrix.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대표 | (성 명) 권재훈 |
(전 화) 02-6956-3458 | ||
(제14기 정기) |
퀀타매트릭스 주주님들께,
상법 제365조와 당사 정관 제25조의 규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7조제2항에 따라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하는 주주에게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이점 양지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
1. 일시 : 2024년 3월 29일(금) 오전 9시
2. 장소 : 경기도 과천시 문원청계2길 50, 로고스센터 201호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4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권성훈)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5. 기타
가. 당사는 주주총회시 참석주주님을 위한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당사는 상법 542조의4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당사 홈페이지(www.quantamatrix.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회사 퀀타매트릭스 대표이사 권 성 훈 (직인생략) |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설원희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3.03.14 | 1)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승인의 건 3)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2 | 2023.04.25 | QUANTAMATRIX EUROPE 추가출자 승인의 건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이이사 | 1 | 1,000 | 18 | 18 | - |
* 주총승인금액은 이사 전체에 대한 보수한도 금액입니다.
(단위 : 백만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매출거래 | SAS Uniq QuantaMatrix Europe (해당 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2023.01.01~2023.12.31 | 2,882 | 93.0 |
* 2023년 매출액 기준으로 산정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백만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SAS Uniq QuantaMatrix Europe (해당 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매출거래 | 2023.01.01~2023.12.31 | 2,912 | 94.0 |
* 2023년 매출액 기준으로 산정
가. 업계의 현황
(1) 체외진단
체외 진단기기는 질병의 진단과 예후, 건강 상태 판정, 질병 치료효과 판정, 예방 등의 목적으로 인체로부터 채취된 대상물을 이용한 검사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를 일컫습니다. 체외진단기기 산업은 품목 수가 매우 다양하며 BT, IT 등의 다양한 기술개발과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기가 출현하고 있는 융합적 첨단산업입니다.
체외 진단기기시장은 보건·의료분야의 트렌드 변화, 대상 국가의 확대, 인구 고령화 및 신종 전염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는 시장으로, 소형화, 자동화, 경제성, 사용자 편의성, 검사속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점점 효율성이 높은 체외진단 기기 제품과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2) 미생물 진단
미생물 진단은 혈액, 소변, 상처 등 환자 검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을 배양, 동정하고 세균의 항균제 감수성을 검사하여 감염원을 찾아내어 그 치료 약제의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분야입니다. 실제 병원에서는 각종 미생물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체액을 검사하여, 실제 특정 미생물에 의한 감염 유무 및 동정이 된 미생물이 어떤 항균제에 감수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역할을 합니다. 항균제에 대한 내성 문제가심각해지고 슈퍼 박테리아의 발현이 더욱 빈발함에 따라 임상 미생물 진단의 역할은 점차 강해지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중요 성과와는 반대로 임상 미생물 진단 분야는 짧게는 수십년 길게는 약 백년 가량 기존 검사 방식과 장비를 그대로 사용해온 시장으로서, 기술적 진보가 매우 지체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일례로 혈액 배양 장비는 30년 이상, 정제 배양은 100년 이상, MALDI-TOF 기반 ID는 20년 이상, Conventional ID/AST 장비는 30년 이상 시장에서 특별한 기술적 변화 없이 기존 장비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고착화는 검사 효율성의 지속적 향상을 통한 연구 인력 운영의 효율성이나 검사 정확도 등의 향상에서는 매우 후진적인 상황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미생물 진단 검사에서는 배양 검사를 중심으로 소수의 대형 글로벌 진단기업들이 오랜기간 전통적인 기술로 시장을 주도해 왔으나, 세계적으로 감염성 질환이 늘어나고 항균제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빠른 진단 기술에 대한 니즈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검사시간을 단축하고 그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 및 제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3) 분자면역진단
분자/면역진단의 경우, 여러가지 체액에서 단백질, DNA, RNA 등 다양한 종류의 바이오 마커를 분석하여, 단순히 질병의 유무를 떠나 위험도 측정과 치료에 대한 반응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밀·고감도의 다중 진단 플랫폼,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발굴, 빅데이터 및 알고리즘의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융합하여 새로운 진단 제품들과 서비스들이 상업화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질병의 예방과 진단, 예후예측, 건강 상태 및 치료효과의 판정 등을 목적으로 혈액, 분뇨, 체액, 침 등 인체 내부에서 채취된 대상물을 이용하는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s, IVD) 의료기기를 국내외 상급종합병원 및 검사수탁기관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 검사는 내시경 검사 및 조직검사 등으로 확인해야 했던 질병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어 환자의 임상 의사 결정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정밀 의학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어 바이오 산업 분야에서 전문화된 분야가 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시장은 검사의 유형에 따라 다음와 같이 면역화학, 자가혈당측정, 분자진단, 임상미생물학 진단 등 8개의 세분시장으로 분류됩니다. 당사는 주로 미생물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패혈증 및 균혈증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위한 체외진단기기의 개발과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자체 분자면역진단 검사 플랫폼을 기반으로 각종 질병의 조기진단 및 예후예측 등을 위한 의료기기의 상용화를 위해 경주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 시장]
구분 | 특징 및 진단가능 질병 | 당사 사업부문 |
---|---|---|
면역 화학적 진단 | - 조직 내 항원-항체의 면역 반응을 이용하여 각종 종양 마커, 감염성질환, 갑상선 기능, 빈혈, 알레르기, 임신, 약물남용 등의 매우 다양한 질환 진단과 추적에 이용 | - |
자가 혈당 측정 | - 당뇨환자가 혈당 자가 진단에 활용 | - |
현장진단 | - 주로 면역학, 임상화학 분야에서 검사하던 것을 환자 옆에서 즉각 검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이용 - 혈액가스 검사, 심근경색 검사, 혈액응고 검사 등에 이용 | - |
분자진단 | - 인체나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DNA, RNA)을 검사하는 것 -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등을 검사하거나 암유전자, 유전질환 검사 등에 이용 | O |
혈액진단 | - 혈액과 골수를 연구하는 분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헤모글로빈 등 혈액세포를 검사하는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나 응고 인자검사에 이용 - 백혈병, 빈혈, 자가면역질환 등을 진단하거나 치료 후 추적 및 항응고 치료 모니터링에 이용 | - |
임상 미생물학 진단 | - 인체에서 유래된 검사 대상물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을 배양, 동정하고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감염원을 찾아내어 그 치료 약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 - 각종 미생물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체액을 검사하여, 실제 특정 미생물에 의한 감염 유무 및 동정이 된 미생물이 어떤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는지 파악 | O |
조직진단 | - 유리판 위에 체액을 도말하거나 생체조직을 염색한 후 현미경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암 조직이나 세포를 관찰하여 진단 | - |
지혈진단 | - 출혈 및 혈전과 관련된 검사 등 각종 혈액 질환 진단에 필요한 검사 | - |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 사업부문별 주요제품]
사업부문 | 주요 서비스 | 주요 제품 |
---|---|---|
미생물진단 | (패혈증) 신속 항균제 감수성 검사 | 자동화장비(dRAST) 및 검사키트(dRAST GN S17 / GP S17) |
(결핵) 신속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 | 자동화장비(QDST) 및 검사키트(QMAC-DST13) | |
분자면역진단 | 다중 진단 고유 검사 플랫폼 | 분석 전용 장비(QMAP 2.0) 및 범용 자동화 장비(QMIA) |
뇌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는 체외진단 의료기기 | QPLEX Alz plus Assay 키트 |
당사는 미생물진단부문에서 항균제 감수성 검사의 속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신속 항균제 감수성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미징 기반 미세유체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액체 배양 검사보다 직접적이고 신속한 결과를 제공해주는 신개념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로 결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분자면역진단부문에서는 당사가 보유한 다중 진단 고유 검사 플랫폼을 기반으로, 노블바이오마커를 확보하여 뇌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 여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는 체외진단 의료기기인 Qplex Alz plus Assay 키트에 대해 파이프라인을 갖추고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신속항균제 감수성 검사제품인 dRAST는 패혈증 진단과 관련한 신규시장으로 시장조사 전문기관 등에서 발간된 공식 보고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며, 기존 전통적인 방식의 항균제 감수성 검사 제품과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1차 목표시장인 45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한 진입율로 점유율을 산정하였으며, 지난해까지 6개 병원에서 상용화되어 약 13.3%의 점유율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1) 신속 항균제 감수성 검사 시장
패혈증은 신체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한 미생물에 의해 혈류감염(균혈증)이 진행되어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 반응증상 등이 발현되는 질병으로, Global Sepsis Alliance에 따르면 적합한 항균제(항생제) 사용이 지체될 때마다 시간당 생존율이 7~9%씩 감소하는 위급한 질병입니다. 패혈증은 혈액에서 세균이 검출된 균혈증 환자의 패혈증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적 항균제(항생제)의 빠른 처방이 필수적입니다.
기존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혈류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배양, 분리배양, 동정 및 항균제 감수성 검사의 과정까지 60시간 이상(병원 업무일 기준 3일)이 소요되어, 패혈증 증상이 진행되고 있는 환자에게 최적 항균제를 처방하기까지 시간이 지체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시간의 지체는 결국 경험적 광범위 항균제 처방의 증가와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한 슈퍼 박테리아의 출현은 이미 전 세계 인류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신속 항균제 감수성 검사 시스템 dRAST(direct Rapi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는 패혈증 의심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배양하여, 혈액배양 양성 후 항균제 감수성 검사결과를 5~7시간 내로 제시함으로써 기존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대비 30-50시간(병원 업무일 기준, 2영업일)까지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입니다. 당사의 신속 항균제 감수성 검사 시스템을 통해 항균제 처방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시간과의 싸움인 세균 감염에 대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잘못된 항균제 사용을 줄여 항균제 내성 확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신속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 시장
결핵은 결핵균이 대기를 통해 호흡기로 전파되는 전염병으로 대부분의 경우 폐에 영향을 미치며, 미세한 침방울을 통해 전염되는 감염력이 높은 질환입니다. 결핵은 부적절한 항결핵제의 처방과 복약으로 결핵균이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게 되는 경우 결핵 치료효과가 낮아지며, 지역사회로 전파될 위험을 내포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결핵균의 출현은 표준화된 결핵제 처방을 통한 결핵 퇴치에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어 항결핵제의 감수성 검사에서도 패혈증과 같이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기존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가 결핵 양성판정 검체로부터 4주~6주가 소요되는 것에 반하여, 당사가 자체 개발한 신속항결핵제감수성검사 시스템인 QDST(QuantaMatrix Drug Susceptibility Test)는 약 1주일 만에 검사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진단 시장
현재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진단과 관련하여 활용되는 바이오마커는 크게 PET 영상 및 뇌척수액 바이오마커가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각 검사방식은 검사 비용 혹은 침습적 검사방법으로 인해 환자에게 거부감을 주고 있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편, 혈액 내 베타 아밀로이드 증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단백질 등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한 치매 조기진단방식의 경우 진단키트에 혈액을 떨어트려 측정하여 진단절차의 간소화와 진단 비용절감 효과를 높이는 방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인지장애 및 인지장애 고위험 대상자의 혈장에서 확보한 4종의 단백질을 당사의 QMAP 플랫폼을 통해 뇌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여부를 판단하여 뇌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 여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주는 체외진단 의료기기를 사업화 중에 있으며, 2020년 7월 식약처 허가를 득하였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없음
(5) 조직도
조직도23.12.31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연결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제 14 기 2023.12.31 현재 |
제 13 기 2022.12.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기 | 제 13 기 |
---|---|---|
자 산 | ||
I. 유동자산 | 13,995,558,197 | 35,852,540,101 |
현금및현금성자산 | 6,863,774,506 | 2,027,614,086 |
단기금융상품 | 3,000,000,000 | 30,550,000,000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613,511,381 | 612,864,373 |
재고자산 | 1,382,627,986 | 1,917,561,51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 |
기타유동자산 | 993,553,884 | 630,327,832 |
당기법인세자산 | 142,090,440 | 114,172,300 |
II. 비유동자산 | 8,670,555,432 | 9,744,650,901 |
기타채권 | 756,914,078 | 755,071,823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000,057,630 | 1,000,057,630 |
장기금융상품 | 402,470,548 | 503,888,306 |
유형자산 | 3,598,225,694 | 4,430,295,986 |
무형자산 | 1,853,416,572 | 1,630,633,873 |
사용권자산 | 842,595,910 | 1,424,703,283 |
기타비유동자산 | 216,875,000 | - |
자 산 총 계 | 22,666,113,629 | 45,597,191,002 |
부 채 | ||
I. 유동부채 | 3,037,949,547 | 4,117,926,160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2,309,372,698 | 3,135,457,124 |
기타유동부채 | 266,686,171 | 238,478,039 |
리스부채 | 438,074,746 | 743,990,997 |
판매보증충당부채 | 23,815,932 | - |
II. 비유동부채 | 1,508,358,226 | 1,599,779,875 |
기타채무 | 391,529,199 | 197,561,097 |
충당부채 | 541,113,577 | 517,006,663 |
순확정급여부채 | 53,204,674 | 27,933,452 |
리스부채 | 522,510,776 | 857,278,663 |
부 채 총 계 | 4,546,307,773 | 5,717,706,035 |
자 본 | ||
I.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 18,119,805,856 | 39,879,484,967 |
자본금 | 8,268,705,500 | 8,239,705,500 |
주식발행초과금 | 192,572,281,650 | 191,635,420,035 |
주식선택권 | 25,096,270 | 834,411,288 |
기타자본항목 | (55,365,701) | (23,211,089) |
이익잉여금(결손금) | (182,690,911,863) | (160,806,840,767) |
II. 비지배지분 | - | - |
자 본 총 계 | 18,119,805,856 | 39,879,484,967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22,666,113,629 | 45,597,191,002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14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
제 13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기 | 제 13 기 |
---|---|---|
Ⅰ.매출액 | 3,117,941,523 | 1,285,933,974 |
Ⅱ.매출원가 | 2,129,392,522 | 723,601,415 |
Ⅲ.매출총이익 | 988,549,001 | 562,332,559 |
Ⅳ.판매비와관리비 | 23,436,552,345 | 20,580,248,686 |
Ⅴ.영업이익(손실) | (22,448,003,344) | (20,017,916,127) |
금융수익 | 912,711,900 | 882,357,162 |
금융원가 | 181,007,127 | 203,879,912 |
기타수익 | 106,112,555 | 77,187,946 |
기타비용 | 19,376,522 | 44,952,141 |
VI.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1,629,562,538) | (19,307,203,072) |
VII.법인세비용(수익) | (73,545,822) | (69,974,296) |
VIII.당기순이익(손실) | (21,556,016,716) | (19,237,228,776) |
IX. 기타포괄손익 | (360,208,992) | 537,639,06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28,054,380) | 563,874,91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
해외사업환산손익 | (32,154,612) | (26,235,850) |
X. 총포괄손익 | (21,916,225,708) | (18,699,589,714) |
XI.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 ||
지배기업의 소유주 지분 | (21,556,016,716) | (19,237,228,776) |
XII. 총포괄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의 소유주 지분 | (21,916,225,708) | (18,699,589,714) |
XIII. 지배기업의 소유주 지분에 대한 주당손익 | ||
기본 및 희석주당손익 | (1,305) | (1,167) |
연 결 자 본 변 동 표 |
제 1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비지배지분 | 총계 | ||||
---|---|---|---|---|---|---|---|
자본금 | 주식발행 초과금 | 주식선택권 | 기타 자본항목 | 이익잉여금 | |||
2022.01.01(당기초) | 8,238,405,500 | 191,620,848,975 | 662,947,273 | 3,024,761 | (142,133,486,903) | - | 58,391,739,606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익 | - | - | - | - | (19,237,228,776) | - | (19,237,228,776)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563,874,912 | - | 563,874,912 |
해외사업환산손익 | - | - | - | (26,235,850) | - | - | (26,235,850)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소유주와의 거래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1,300,000 | 14,571,060 | (13,050,060) | - | - | - | 2,821,000 |
주식보상비용 | - | - | 184,514,075 | - | - | - | 184,514,075 |
2022.12.31(당기말) | 8,239,705,500 | 191,635,420,035 | 834,411,288 | (23,211,089) | (160,806,840,767) | - | 39,879,484,967 |
2023.01.01(당기초) | 8,239,705,500 | 191,635,420,035 | 834,411,288 | (23,211,089) | (160,806,840,767) | - | 39,879,484,967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익 | - | - | - | - | (21,556,016,716) | - | (21,556,016,716)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328,054,380) | - | (328,054,380) |
해외사업환산손익 | - | - | - | (32,154,612) | - | - | (32,154,612)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소유주와의 거래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29,000,000 | 936,861,615 | (888,280,815) | - | - | - | 77,580,800 |
주식보상비용 | - | - | 78,965,797 | - | - | - | 78,965,797 |
2023.12.31(당기말) | 8,268,705,500 | 192,572,281,650 | 25,096,270 | (55,365,701) | (182,690,911,863) | - | 18,119,805,856 |
연 결 현 금 흐 름 표 |
제 1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기 | 제 13 기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0,889,077,124) | (16,589,000,661) |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21,892,916,318) | (17,343,860,626) |
이자의 수취 | 958,211,512 | 735,404,437 |
이자의 지급 | - | (4,205,408) |
법인세 납부(환급) | 45,627,682 | 23,660,936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6,527,362,286 | 10,553,074,419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35,660,000,000 | 38,0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 | 7,700,068,192 |
보증금의 감소 | 5,000,000 | 59,892,286 |
무형자산의 처분 | 690,909,091 | 316,181,819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8,110,000,000) | (33,500,000,000)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110,000,000) | (503,888,306) |
유형자산의 취득 | (631,964,930) | (484,652,626) |
무형자산의 취득 | (971,067,268) | (943,712,446) |
보증금의 증가 | (5,514,607) | (90,814,500)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793,751,365) | (910,146,723) |
주식선택권의 행사 | 77,580,800 | 2,821,000 |
리스부채의 상환 | (871,332,165) | (848,788,652) |
차입금의 상환 | - | (64,179,071) |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 4,844,533,797 | (6,946,072,965) |
V.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2,027,614,086 | 9,014,536,937 |
VI. 외화표시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8,373,377) | (40,849,886) |
VII.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6,863,774,506 | 2,027,614,086 |
- 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
제 14 기 2023. 12. 31 현재 |
제 13 기 2022.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기 | 제 13 기 |
---|---|---|
자 산 | ||
I. 유동자산 | 12,208,873,938 | 34,429,899,239 |
현금및현금성자산 | 5,060,374,125 | 802,957,033 |
단기금융상품 | 3,000,000,000 | 30,550,000,000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804,566,734 | 719,440,659 |
재고자산 | 1,341,240,238 | 1,852,898,760 |
기타유동자산 | 860,602,401 | 390,430,487 |
당기법인세자산 | 142,090,440 | 114,172,300 |
II. 비유동자산 | 21,661,600,214 | 19,202,980,427 |
기타채권 | 731,369,600 | 731,369,6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000,057,630 | 1,000,057,630 |
장기금융상품 | 402,470,548 | 503,888,306 |
종속기업투자 | 13,725,839,972 | 10,085,589,972 |
유형자산 | 3,464,128,422 | 4,372,190,909 |
무형자산 | 1,704,310,427 | 1,504,564,629 |
사용권자산 | 416,548,615 | 1,005,319,381 |
기타비유동자산 | 216,875,000 | - |
자 산 총 계 | 33,870,474,152 | 53,632,879,666 |
부 채 | ||
I. 유동부채 | 2,649,595,007 | 3,685,795,760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1,675,567,450 | 2,529,582,612 |
기타유동부채 | 592,561,461 | 472,868,750 |
리스부채 | 357,650,164 | 683,344,398 |
판매보증충당부채 | 23,815,932 | - |
II. 비유동부채 | 1,060,730,819 | 1,179,926,526 |
기타채무 | 391,529,199 | 197,561,097 |
충당부채 | 541,113,577 | 517,006,663 |
리스부채 | 128,088,043 | 465,358,766 |
부 채 총 계 | 3,710,325,826 | 4,865,722,286 |
자 본 | ||
I. 자본금 | 8,268,705,500 | 8,239,705,500 |
II. 주식발행초과금 | 192,572,281,650 | 191,635,420,035 |
III. 주식선택권 | 25,096,270 | 834,411,288 |
IV. 이익잉여금(결손금) | (170,705,935,094) | (151,942,379,443) |
자 본 총 계 | 30,160,148,326 | 48,767,157,380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33,870,474,152 | 53,632,879,666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1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기 | 제 13 기 |
---|---|---|
Ⅰ.매출액 | 3,097,867,329 | 1,219,796,091 |
Ⅱ.매출원가 | 2,190,344,356 | 782,183,016 |
Ⅲ.매출총이익 | 907,522,973 | 437,613,075 |
Ⅳ.판매비와관리비 | 20,175,550,685 | 17,501,824,374 |
Ⅴ.영업이익(손실) | (19,268,027,712) | (17,064,211,299) |
금융수익 | 877,913,892 | 878,881,929 |
금융원가 | 131,372,828 | 152,750,271 |
기타수익 | 105,344,951 | 77,151,623 |
기타비용 | 19,359,574 | 44,952,141 |
VI.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이익(손실) | (18,435,501,271) | (16,305,880,159) |
VII.법인세비용 | - | - |
VIII.당기순손이익(손실) | (18,435,501,271) | (16,305,880,159) |
IX. 기타포괄손익 | (328,054,380) | 563,874,91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28,054,380) | 563,874,912 |
X. 총포괄손익 | (18,763,555,651) | (15,742,005,247) |
XI. 주당이익 | ||
기본 및 희석주당손익 | (1,116) | (989) |
자 본 변 동 표 |
제 1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주식발행 초과금 | 주식선택권 | 이익잉여금 | 총계 |
---|---|---|---|---|---|
2022.01.01(당기초) | 8,238,405,500 | 191,620,848,975 | 662,947,273 | (136,200,374,196) | 64,321,827,552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16,305,880,159) | (16,305,880,159)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563,874,912 | 563,874,912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소유주와의 거래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1,300,000 | 14,571,060 | (13,050,060) | - | 2,821,000 |
주식보상비용 | - | - | 184,514,075 | - | 184,514,075 |
2022.12.31(당기말) | 8,239,705,500 | 191,635,420,035 | 834,411,288 | (151,942,379,443) | 48,767,157,380 |
2023.01.01(당기초) | 8,239,705,500 | 191,635,420,035 | 834,411,288 | (151,942,379,443) | 48,767,157,380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18,435,501,271) | (18,435,501,271)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328,054,380) | (328,054,380)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소유주와의 거래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29,000,000 | 936,861,615 | (888,280,815) | - | 77,580,800 |
주식보상비용 | - | - | 78,965,797 | - | 78,965,797 |
2023.12.31(당기말) | 8,268,705,500 | 192,572,281,650 | 25,096,270 | (170,705,935,094) | 30,160,148,326 |
현 금 흐 름 표 |
제 1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기 | 제 13 기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8,158,600,444) | (14,288,782,165) |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19,054,095,808) | (14,974,650,822) |
이자의 수취 | 923,413,504 | 732,182,017 |
법인세 납부(환급) | (27,918,140) | (46,313,360)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3,062,109,353 | 7,213,907,583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35,660,000,000 | 38,0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 | 7,700,068,192 |
보증금의 감소 | 5,000,000 | 54,050,000 |
무형자산의 처분 | 690,909,091 | 316,181,819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8,110,000,000) | (33,500,000,000)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 | (3,640,250,000) | (3,420,500,000)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110,000,000) | (503,888,306) |
유형자산의 취득 | (515,826,539) | (468,515,916) |
무형자산의 취득 | (912,723,199) | (872,673,706) |
보증금의 증가 | (5,000,000) | (90,814,500)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76,189,230) | (737,773,213) |
주식선택권의 행사 | 77,580,800 | 2,821,000 |
리스부채의 상환 | (753,770,030) | (740,594,213) |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 4,227,319,679 | (7,812,647,795) |
V.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802,957,033 | 8,624,917,222 |
VI. 외화표시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30,097,413 | (9,312,394) |
VII.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5,060,374,125 | 802,957,033 |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
제 1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기 | 제 13 기 |
---|---|---|
미처리결손금 | (170,705,935,094) | (151,942,379,443) |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51,942,379,443) | (136,200,374,196) |
당기순손실 | (18,435,501,271) | (16,305,880,159)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28,054,380) | 563,874,912 |
합 계 | (170,705,935,094) | (151,942,379,443) |
결손금 처리액 | - | - |
차기이월 미처리결손금 | (170,705,935,094) | (151,942,379,443)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권성훈 | 1975.12.23 | 미해당 | - | 공동보유자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권성훈 | (주)퀀타매트릭스 대표이사 | 서울대학교 전기공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 석사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권성훈 | 미해당 | 미해당 | 미해당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회사의 창업자이자 개발자로서 탁월한 경영 역량과 리더십을 발휘해서 성공적으로 성장시켜왔고 회사가 필요로 하는 경험이 풍부한 후보자임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는 데 충분한 능력과 자질이 있다고 판단되어 추천함 |
확인서
이사후보자 확인서 |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기) | (단위 : 백만원)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 |
(전기) | (단위 : 백만원)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68 |
최고한도액 | 2,000 |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기) | (단위 : 백만원) |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 |
(전기) | (단위 : 백만원) |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8 |
최고한도액 | 100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21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당사는 상법 542조의4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간 전인 2024년 3월 21일까지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게재 예정인 홈페이지 주소 : http://www.quantamatrix.com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총 집중일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400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