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5-21 17:0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21000291
2024년 05월 21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TS트릴리온 | |
대 표 이 사 : | 이 남 용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96, 1층,6층,8층(양평동4가, TS빌딩) | |
(전 화)02-785-8296 | ||
(홈페이지)http://www.tstrillion.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이 상 영 |
(전 화)02-6269-6805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8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발행주식 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4년 06월 05일(수)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 96, TS빌딩 7층 본사 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① 제1-1호 의안: 제2조 사업목적 추가의 건
② 제1-2호 의안: 제35조 이사의 수 변경의 건
-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① 제2-1호 의안: 사내이사 김용채 후보자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5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장기영주주 제안]
① 제5-1호 의안: 사내이사 김춘배 후보자 선임의 건
② 제5-2호 의안: 사내이사 임지순 후보자 선임의 건
③ 제5-3호 의안: 사내이사 조학래 후보자 선임의 건
④ 제5-4호 의안: 사외이사 김태훈 후보자 선임의 건
⑤ 제5-5호 의안: 사외이사 권도중 후보자 선임의 건
⑥ 제5-6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양영상 후보자 선임의 건
- 제6호 의안: 감사 선임의 건 [장기영주주 제안]
① 제6-1호 의안 : 감사 김혁 후보자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 상법 제542조의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 2019년 0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 서명 또는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7. 기타사항
가. 본 의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첨의 기재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05월 21일
주식회사 TS트릴리온
대표이사 이 남 용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사외이사 |
양준형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1.10 | 경영지배인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2 | 2024.01.31 | 자금인출(수표)인출의 건(압류대비) | 가결 | 찬성 |
3 | 2024.02.07 | 자금유치 컨설팅계약의 건 | 가결 | 찬성 |
4 | 2024.02.14 | 제5기 별도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5 | 2024.02.15 | 유형자산(토지 및 건물)처분의 건 | 가결 | 찬성 |
6 | 2024.02.16 | 신한은행 예금가입 및 담보제공의 건 | 가결 | 찬성 |
7 | 2024.02.21 | 유형자산양도관련 확인서 발급의 건 | 가결 | 찬성 |
8 | 2024.02.23 | 자금유치 컨설팅계약 부속합의서체결의 건 | 가결 | - |
9 | 2024.03.06 | [정정]제3자배정유상증자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10 | 2024.03.06 | [정정]전환사채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11 | 2024.03.13 |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 | 가결 | 찬성 |
12 | 2024.03.14 | [정정]제3자배정유상증자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13 | 2024.03.15 | [정정]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 | 가결 | 찬성 |
14 | 2024.03.21 | [정정]제3자배정유상증자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15 | 2024.04.04 | [정정]제3자배정유상증자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16 | 2024.04.08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17 | 2024.04.15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확정) | 가결 | 찬성 |
18 | 2024.04.17. | 전환사채 발행결정 철회 | 가결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주)공시서류 작성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지 않습니다.
기준일 : 2024.03.31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 | 6 | 2 | - |
기준일 : 2024.03.31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금전차입 | 장기영 (최대주주) | 2023년 07월 04일 ~ 채무 상환시까지 | 110 | 15.9 |
주)상기 비율(%)는 제6기(2024년.03)연결재무제표의 자산총액 대비 비율을 기재하였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가) 화장품 및 화장품 산업의 정의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ㆍ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품을 의미합니다. 화장품은 질병을 진단ㆍ치료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과는 구분됩니다. 화장품은 의약품과 비교하여 안전성은 높지만 유효성이 낮다는 특성이 있고, 안전성과 유효성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그림으로 나타내볼 수 있습니다.
화장품과의약품비교 |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 산업이란 화장품을 제조, 수입, 판매하는 산업을 말합니다. 화장품 산업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한 문화산업으로서 이미지추구와 브랜드가치에 따라 가치가 극대화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또한 국가브랜드 이미지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이며, 미래의 국가 경제 발전을 견인할 성장 동력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산업의 성장촉진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치ㆍ경제적 측면 | ▶ 과거 획일적 권위적 지배체제에서 억압되었던 자기표현의 욕구 분출 - 미니멀리즘(획일화, 간소화 대변) 퇴조와 맥시멀리즘(다양성, 개성 강조) 도래 ▶ 전통 제조산업이 성장한계와 다원화 사회로의 진전 - 전통 제조산업의 한계 극복 - 민주화ㆍ개방화ㆍ지방화가 급진전 |
사회ㆍ문화적 측면 | ▶ 가치인식의 변화와 생활문화 환경의 급격한 변화 - 여성권한 및 경제력 강화로 여성위주의 소비시장인 뷰티관련 산업 급팽창 ▶ 사회적 환경구조의 변화와 다양한 욕구변화 - 고령화사회 도래로 안티에이징 욕구 강화와 여가문화 일상화 - N세대, 독신세대, 맞벌이 세대 증가 및 소비자 권한 강화 |
산업ㆍ기술적 측면 | ▶ 대량생산시스템이 대량맞춤시스템으로 변화 - 개성추구의 차별화 욕구가 뷰티지향적 욕구에 적극 부응 - 대량 맞춤화 체제의 적극적 도입 ▶ 지속적인 정보디지털, 바이오 등의 신기술 과학혁명 - 산업의 융복합화, 산업구조의 개편이 일상화 - 상품의 패키지화 및 기능화로 신상품이 지속적으로 창출 |
국제ㆍ세계사적 측면 | ▶ 서양 및 선진국 중심의 유행과 세계질서 기조 퇴보 - 화장에 대한 개념이 서구적 사고의 색조화장 중심에서 동양적 사고의 기능화장으로 전환 - 뷰티에 대한 개념도 서구의 이미지 중심적 가치에서 동양의 아시아적 균형가치가 새로운 관심으로 부각 - 글로벌화에 대한 반감 가속화 기계에 대한 인간소외감 증폭 |
(나) 화장품의 유형분류
화장품은 화장품법에 의거하여 화장품 포장에 세부 유형별로 구분하여 기재ㆍ표시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세부 유형 |
---|---|
영ㆍ유아용 제품류 | 영ㆍ유아용 샴푸, 린스, 로션, 크림, 오일, 인체 세정용 제품, 목욕용 제품 |
목욕용 제품류 | 목욕용 오일ㆍ정제ㆍ캡슐, 목욕용 소금류, 버블바스, 그 밖의 목욕용 제품류 |
인체 세정용 제품류 | 폼 클렌저, 바디 클렌저, 액체 비누, 외음부 세정제, 그밖의 인체세정용 제품류 |
눈 화장용 제품류 | 아이 라이너, 아이 섀도, 마스카라, 아이 메이크업 리무버, 그 밖의 눈 화장용 제품류 |
방향용 제품류 | 향수, 분말향, 향낭, 코롱, 그 밖의 방향용 제품류 |
두발 염색용 제품류 | 헤어 틴트, 헤어 컬러스프레이, 그 밖의 두발 염색용 제품류 |
색조 화장용 제품류 | 볼연지, 페이스 파우더, 페이스 케이크, 리퀴드ㆍ크림ㆍ케이크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메이크업 픽서티브, 립스틱, 립라이너, 립글로스, 립밤, 바디페인팅, 페이스페인팅, 분장용 제품, 그 밖의 색조 화장용 제품류 |
두발용 제품류 | 헤어 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그루밍 에이드, 헤어크림ㆍ로션, 헤어 오일, 포마드, 헤어 스프레이ㆍ무스ㆍ왁스ㆍ젤, 샴푸, 퍼머넌트 웨이브, 헤어 스트레이트너, 그 밖의 두발용 제품류 |
손발톱용 제품류 | 베이스코트, 언더코트, 네일 크림ㆍ로션ㆍ에센스, 네일폴리시, 네일에나멜, 탑코트, 네일폴리시ㆍ네일에나멜 리무버, 그 밖의 손발톱용 제품류 |
면도용 제품류 | 애프터쉐이브 로션, 남성용 탤컴, 프리 쉐이브 로션, 쉐이빙 크림, 쉐이빙 폼, 그 밖의 면도용 제품류 |
기초화장용 제품류 | 수렴ㆍ유연ㆍ영양 화장수, 마사지 크림, 에센스, 오일, 파우더, 바디제품, 팩, 마스크, 눈 주위 제품, 로션, 크림, 손ㆍ발의 피부연화 제품, 클렌징 워터, 클렌징 오일,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등 메이크업 리무버, 그 밖의 기초화장용 제품류 |
체취방지용 제품류 | 데오도란트, 그 밖의 체취 방지용 제품류 |
체모 제거용 제품류 | 제모제, 제모왁스, 그 밖의 체모 제거용 제품류 |
(자료: 식약처 고시, 화장품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및 알레르기 유발성분 표시에 관한 규정 [별표 1])
국내 화장품 분류는 크게 일반화장품과 기능성화장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일반
화장품은 유형별 효능 및 효과에 따라 기초화장용 제품류, 색조화장용 제품류 등 12
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오다가, 2017년 7월 화장품 유형과 사용 시의 주의사항을 개
정하여 13개의 분류체계로 확대되었으며, 기능성화장품은 일반적인 세정, 미용 목적
외의 특수한 기능(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미백, 모발 보호 등)이 부과된 것을 의미합
니다.
현재 식약처는 기능성화장품의 경우 고시되어 있는 원료일 경우 서류심사를 통하여 고시한 성분들을 기준함량을 함유할 경우 해당 성분들을 인증하고 있으며 식약처에 신고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비고시 기능성 화장품 원료나 완제품에 대한 기능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효능 시험을 실시해야 하는데, 시험에 걸리는 시간과 요건이 까다로워 고시형으로 제품이 개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탈모관련 기능성 화장품은 모두 비고시 기능성화장품으로 사전 허과 과정을 진행해야 하는 까다로운 절차를 진행하여 허가를 받아야만 가능합니다.
화장품 시장은 화장품에 대한 필수재 인식 고취, 여성 경제활동 인구의 증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소비 계층의 확대, 온/오프라인 공유 플랫폼 확산, 고령화 시대 진입 등에 힘입어 화장품산업은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개발과 시장 세분화에 따른 혁신 제품개발은 국내시장 확대와 더불어 글로벌화를 가속화하여 지속적인 시장 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더불어 코스메슈티컬, 염모제 등 화장품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방 산업의 확대 및 호황은 화장품 업계 내 기업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 주요 목표시장
동사는 천연원료 기반의 프리미엄 헤어케어 시장을 주요 목표 시장으로 삼고 있습니다.
(라) 산업의 연혁
국내 화장품 산업은 해방 이후 계속해서 성장해 왔습니다. 1960년대 초반 생산총액 1억원이었던 국내 화장품 시장은 2015년 말 기준 12조 6천억원에 달하며 세계 10위권의 규모로 성장 하였습니다. 산업의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용 |
---|---|
1960년 ~ 1980년 (방문판매 시대) | 방문판매 방식의 유통은 1982년 쥬리아화장품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1980년대 초반 아모레퍼시픽, 한국화장품 등 다수의 기업이 방문판매 시장에 참여하면서 급성장했습니다. |
1980년 ~ 1990년 (종합화장품 전문점 시대) | 색조화장품 시장이 확대 되면서 경쟁이 격화되었습니다. 또한 종합화장품 전문점이 등장하면서 주요 유통경로로 자리잡았습니다. |
2000년~2010년 (브랜드샵 시대) | 2000년 이후 저가격 고품질을 내새우는 새로운 컨셉의 브랜드가 나오면서 화장품 시장의 판도가 완전히 바뀌게 되었습니다. |
2010년 이후 | 다양한 유통채널의 확장, 한류효과로 인한 해외관광객의 지속적인 증가 등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마) 수요 변동요인
국내에서 화장품의 수요는 필수 소비재의 성격으로 연간 소비량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경제상황, 계절적인 요소, 국가적 재난 등에 있어서는 수요의 변동요인이 존재합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소비자들의 하향구매 경향이 나타나 중저가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전통적으로 동절기에 화장품 사용량의 증가로 인하여 판매가 향상되고, 상대적으로 하절기에 판매량이 감소하는 계절적 요인이 있습니다.
(바) 경기변동의 특징
화장품산업은 대체로 경기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이나, 브랜드 충성도 유무에 따라 상이한 반응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활용품산업은 필수 소비재의 성격상 수요의 변동성은 낮으나, 진입장벽 역시 낮아 경쟁강도가 높은 산업입니다. 탈모 완화를 위한 기능성 두발류 제품은 생활용품과 화장품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 경기동향에 민감한 산업에 속하는 편입니다.
온라인 채널, 멀티브랜드숍 채널에서의 구매가 확대되면서 유통채널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비자의 니즈 또한 세분화되면서 기능성 및 프리미엄 제품, 친환경 소재 활용 제품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한 제품 출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비자 니즈의 빠른 변화와 불황의 장기화로 인해 최근 경기변동의 영향을 더 민감하게 받고 있습니다.
(사) 규제환경
1) 화장품법
화장품법은 2000년 7월 국민보건 향상과 화장품 산업 발전에 목적을 두고 발효되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습니다. 2001년 7월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고시를 제정하여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안전과 화장품 업계의 발전을 이룩하였고, 2002년 8월 '화장품 품질검사 위탁검사 기관 지정'을 제정하여 화장품에 대한 품질검사 체계를 마련하고, 어린이의 화장품 중독 사고를 예방하고자 2007년 1월 '안전용기 포장대상 품목 및 기준'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2008년 10월부터 전성분 표시를 시행, 화장품의 모든 성분을 표시하도록 의무화하여 소비자의 권리를 충족시켰으며, 2012년 2월 화장품법이 전면 개정되고 2013년 2월 5일 시행됨에 따라 제조와 판매에 대한 영역 구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2014년 12월 업계의 화장품 자진 회수, 페기 처리 의무화를 위해 개정사항을 공포 하였고, 2015년 7월 화장품법 시행규칙이 개정되어 회수 대상, 계획, 절차, 행정처분을 마련함으로써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품 업계의 책임이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2) 표시 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상품 또는 용역에 관한 표시ㆍ광고를 할 때 소비자를 속이거나 소비자로 하여금 잘못 알게 하는 부당한 표시ㆍ광고를 방지하고 소비자에게 바르고 유용한 정보의 제공을 촉진함으로써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고 소비자를 보호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표시광고 공정화에 관한 법률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표시·광고 관련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정 되었으며,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소관합니다.
3) 중국정부의 규제
중국으로 화장품을 직접 수출하기 위해서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총국(National Medical Products Administration, NMPA)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위생허가는 표본 검사를 받은 뒤 심사를 받아야 하며, 검사비용이 일반 화장품은 100만원대, 특수 화장품은 400만원대에 이르고 품목에 따라 임상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 비용이 소요됩니다. 기간 또한 6개월에서 1년이상 소요됩니다.
4) 나고야 의정서 및 EU REACH, 국내 화평법
화장품 소재 관련하여 생물 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나고야 의정서, EU REACH 및 국내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약칭:화평법) 등으로 친환경, 천연원료, 바이오원료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5) 기타
동사는 타인이 상표, 디자인, 특허를 침해할 경우 판매금지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 할 수도 있으며, 등록되지 않은 상표, 디자인의 경우라도 국내에 널리 인식된 것일 경우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약칭: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화장품 업계의 형태 모방제품의 문제로 인하여 부정경쟁방지법의 적용이 지속적으로 문제되고 있습니다.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1) 세계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아름다움에 대한 인류의 욕구, 산업의 발달과 여성 경제활동 증가, 인터넷 발달에 따른 온라인/오프라인 공유 플랫폼 확산, 화장품 소비층 다양화 및 확대에 따라서 화장품 시장은 계속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시장 조사 기관인 Euromonitor에 따르면 2019년 글로벌 화장품 시장 규모는 4,203억달러로 추산되며, 2024년에는 5,263억 달러로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글로벌 화장품시장 규모 |
(자료: Euromonitor International 2021(Feb) 및 대한화장품협회 2020 화장품산업 분석보고서)
지역별 시장규모는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미(美)의 대한 관심 증가로 화장품 소비가 늘면서 아시아/태평양이 1,587억 달러로 가장 크며, 이어서 아메리카 지역이 1,380억 달러, 유럽이 1,048억 달러 순으로 나타납니다.
2015년과 2019년 지역별 시장규모를 비교해보면 화장품 선진시장인 미주 및 유럽 지역에서는 전체 시장대비 점유율이 하락한 반면 아시아/태평양과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은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미(美)에 대한 관심 증가로 화장품 소비가 늘면서 전체 세계시장 대비 점유율이 상승하였습니다.
[지역별 화장품 시장규모]
(단위: 백만달러, %)
지역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CAGR ('15~'19) | |
---|---|---|---|---|---|---|---|
시장규모 | YoY | ||||||
아시아/태평양 | 122,495 | 129,169 | 137,610 | 147,716 | 158,707 | 7.4 | 6.7 |
미주 | 118,632 | 123,790 | 128,758 | 134,038 | 138,074 | 3.0 | 3.9 |
유럽 | 95,159 | 97,490 | 100,140 | 102,599 | 104,868 | 2.2 | 2.5 |
중동/아프리카 | 15,403 | 16,286 | 16,908 | 17,826 | 18,668 | 4.7 | 4.9 |
합계 | 351,688 | 366,735 | 383,415 | 402,180 | 420,317 | 4.5 | 4.6 |
(자료: Euromonitor International 2021(Feb) 및 대한화장품협회 2020 화장품산업 분석보고서)
2) 국내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국내 화장품 산업은 전형적인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으로 유행에 민감한 대표적인 패션상품입니다. 2012년부터 경기 침체로 인한 가처분 소득의 감소가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다수의 소비재 시장 성장이 정체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화장품 시장은 필수소비재 이상의 성격을 보이며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총 생산규모 비교]
(단위: 십억원, %)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YoY | CAGR | |
---|---|---|---|---|---|---|---|---|
국내총생산 | 1,658,020 | 1,740,779 | 1,835,698 | 1,898,192 | 1,919,039 | 1.10 | 3.74 | |
제조업 총생산 | 441,133 | 458,830 | 494,644 | 505,650 | 485,945 | -3,90 | 2.54 | |
화장품 총생산 | 10,733 | 13,051 | 13,515 | 15,503 | 16,263 | 4.90 | 11.19 | |
화장품 산업비중 | 국내총생산 대비 | 0.65 | 0.75 | 0.74 | 0.82 | 0.85 | 3.66 | 7.13 |
제조업 총생산 대비 | 2.43 | 2.84 | 2.73 | 3.07 | 3.35 | 9.12 | 8.64 |
(자료: 대한화장품협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19년 기준 국내 화장품산업 총생산규모는 16조 2,633억 원으로 전년대비 4.9% 증가했으며, 화장품산업 총 생산비중은 국내 GDP 대비 0.85%, 제조업 GDP대비 3.35%이며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 산업의 수출 성장세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2019년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는 5조 7,285억원으로 전년도 5조 3,739억원 대비 6.6%로 증가했습니다. 화장품 수출은 7조 6,359억원으로 전년대비 4.2%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15~'19) 평균성장률도 22.2%로 가파른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신한류와 더불어 K-뷰티의 품질과 인지도 향상으로 기존 중화권 중심의 수출에서 미주, 유럽 등 선진시장으로의 진출, 동남아/신남·북방 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출국 다변화로 화장품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화장품 수입규모는 2019년에 1조 9,073억원으로 2018년 1조 9,519억원 대비 2.3% 소폭 감소 하였습니다.
3) 국내 헤어케어 제품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두발용제품생산실적추이 |
(자료 : 대한화장품협회)
한국의 두발용 제품 규모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두발용 제품 생산실적을 살펴보면 2015년 1조 3,942억원에서 2019년 1조 8,800억원으로 35%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두발용 제품 하위 카테고리인 샴푸시장 규모 역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15년 이후 연평균 4% 성장하며 2019년 약 6,636억원의 규모로 성장 했습니다. 또한, 그 중 탈모케어샴푸시장은 꾸준한 수요 증가로 인해 2019년 기준 전체 샴푸시장의 40%를 차지하며 향후 샴푸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헤어케어시장규모 |
(자료 : KISTI 데이터분석으로 본 탈모화장품산업)
㉮ 국내 탈모증 환자 현황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기동민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성북을)이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 받은 탈모증 진료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탈모증으로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은 국민은 110만 명에 달하며, 같은 기간 탈모 치료를 위해 지출한 진료비만 1,200억원 이상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탈모증 환자 진료비 현황]
(단위: 천원)
구 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합 계 | 21,277,288 | 21,738,701 | 23,447,907 | 26,788,739 | 30,281,826 |
남 자 | 10,638,644 | 11,759,257 | 12,791,451 | 14,705,217 | 16,677,888 |
여 자 | 9,171,964 | 9,979,444 | 10,656,456 | 12,083,522 | 13,603,938 |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병원 진료받은 국내 탈모 환자수]
(단위: 명, %)
구 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환자수 | 비율 | |||||
소 계 | 208,534 | 212,916 | 215,025 | 224,688 | 233,628 | 100.0 |
0_9세 | 5,307 | 5,778 | 5,864 | 5,516 | 5,576 | 1.72 |
10_19세 | 17,273 | 17,273 | 17,431 | 17,425 | 17,791 | 6.81 |
20_29세 | 41,809 | 43,419 | 43,767 | 46,623 | 48,744 | 18.07 |
30_39세 | 51,445 | 51,961 | 51,702 | 52,919 | 54,068 | 22.20 |
40_49세 | 47,725 | 47,885 | 48,114 | 49,904 | 51,474 | 23.49 |
50_59세 | 32,730 | 33,316 | 33,940 | 36,299 | 38,176 | 18.22 |
60_69세 | 11,658 | 12,442 | 13,314 | 14,843 | 16,640 | 7.47 |
70_79세 | 3,578 | 3,759 | 3,851 | 4,375 | 4,678 | 1.76 |
80세이상 | 450 | 560 | 640 | 642 | 703 | 0.26 |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하지만 본 수치는 공식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수일 뿐, 탈모를 질환으로 인식하지 않는 추가 인원을 고려했을 때 국내 탈모증 환자는 해당 증가율을 훨씬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성별 진료환자 통계 결과 여성 환자가 45%를 차지할 만큼 최근 젊은 여성들도 사회진출 확대, 과도한 다이어트 및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령별로는 40대, 30대, 50대, 20대 순이며, 10대 이하의 환자수도 2019년 8.53%로 5년간 치료를 받은 환자수가 11.5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같이 탈모는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 일종의 스트레스성 질병으로 인식됨에 따라 탈모시장 및 관련 산업의 성장세는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회사의 주요사업은 탈모증상완화샴푸 및 헤어케어 제품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연결종속회사는 광고대행, 휴게음식점(커피판매)을 영위하고 있고, 제5기 3분기말 연결종속회사를 포함한 전체 매출액은 296억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원가 효율성과 탄력적인 시장대응을 위하여 외주가공을 통해 생산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요제품 등의 특성 및 기타 세부내용은 "II. 사업의 내용"의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회사의 제6기 1분기말 현재 주요 제품 등은 GS홈쇼핑, CJ홈쇼핑 등의 홈쇼핑업체 및군마트(PX), 온라인마켓 등의 판매경로를 통하여 국내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회사의 매출실적은 주요 제품인 탈모증상완화샴푸 및 헤어케어 제품 외 상품, 기타 매출로 구성되며, 제6기 1분기말 연결 기준 내수 및 수출 실적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매출 실적 요약표>
기준일 : 2024년 03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 제품 | 상품 | 기타 | 합계 |
내수 | 7,367 | 82 | 38 | 7,487 |
수출 | 277 | 3 | - | 280 |
합계 | 7,644 | 85 | 38 | 7,767 |
주) 연결재무제표 기준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 사업내용 |
---|---|
헤어뷰티,케어제품 | 샴푸, 트리트먼트, 염색약, 에센스, 흑채&헤어쿠션 외 |
헬스케어 | 마스크, 건강기능식품(관절건강) 외 |
펫케어 | 애견용 간식외, 애견용 의약외품 |
(2) 시장점유율
당사는 탈모증상완화샴푸와 헤어케어 제품제조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있습니다.
2019년 글로벌마케팅 리서치기업인 칸타와 CMN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대한민국 베스트 화장품 상반기 41.3%를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탈모케어시장이 지속성장하는 만큼 당사의 제품 또한 시장의 성장성에 맞춰나갈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대한모발학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탈모 환자의 자가치료 횟수는 4.2회로 해외(미국 3.4회, 프랑스 2.1회, 독일 2.3회, 일본 3.1회)에 비해 병원 방문 전 자가치료를 시도하는 환자가 많은 편에 속하며, 초기 탈모 치료 선택제로는 ‘헤어제품’이 58%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자료- 대한모발학회 |
이러한 수요에 발맞춰 국내에는 탈모예방 효과가 있는 샴푸와 트리트먼트, 헤어팩은 물론 남성/여성 전용 탈모제품 등 기능성 제품이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발모제와 염색약 등 헤어와 두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품 또한 천연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선호하는 등 제품 선택에 있어 보다 더 신중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특히 탈모는 발병 후 치료가 힘든 질환이기에 '관리' 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는 인식 증가로 향후 수 년 간 국내외 탈모시장은 장기간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동물의약외품
2022년 3월 한국동물약품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동물용의약품, 동물용 의약외품, 동물용 의료기기 등을 포함한 동물약품 시장규모는 1조 3,481억 원으로, 전년대비 10%증가하였습니다.
글로벌 시장은 더 빠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미국의 동물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11조 원이고, 이는 세계 시장 점유율 41.3%에 달하며, 유럽의 경우 약 8조 원으로 세계 시장 점유율 29.1%입니다.
이와 더불어 동물 의약외품 시장도 급성장할 것이라고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0년 반려견을 위한 동물 의약외품인 'TS써니애견샴푸'를 출시하여 판매 중입니다. 2021년 'TS써니애견미스트', 'TS써니애견트리트먼트'으로 애견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였고,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을 위한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여 제품인지도를 높여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출시된 써니애견 라인 제품들은 모두 동물 의약외품 신고를 마친 제품입니다.
□화장품 원부자재 도소매업
최근 경제적인 성장과 함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산업은 전체적으로 다른 제조업에 비해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도 날로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 진출 역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화장품 부자재 산업은 트렌드에 민감해 다품종 소량 생산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화장품, 기능성 화장품 등이 인기를 끌어 기능성 화장품 용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재 당사는 필요에 의해 화장품 부자재를 납품, 판매하고 있습니다. 해외나 소형 브랜드사 등에서 원자재 공급의 니즈가 계속 요청되는 바, 사업성과 적정성을 검토하고 적정한 마진 구조와 관리가 가능하다면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및 관련 시스템과 소재의 개발, 제조, 가공, 판매, 임대업 및 서비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 전 세계는 배터리 산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각 국가가 배터리 분야에서 경쟁하는 분야를 정의한다면 산업적으로는 전기차용 배터리, 화학 성분으로 보면 리튬이온 배터리가 있습니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제 사회의 관심이 증대되는 과정에서 배터리 시장이 주목받게 되었고, 미래 산업의 발전 방향성인 전동화, 무선화를 달성하기 위해 배터리가 핵심 동력원으로 사용한다는 점 등에서 배터리 산업에 전 세계가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2015년 파리협정에서 국제 사회의 기후 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을 널리 공유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각 국가는 탄소 감축 목표를 정해서 발표하였고, 이를 달성할 방안 중 하나로 화석연료를 동력원으로 하는 내연기관차를 금지하고 전기차 산업을 육성할 것을 밝혔습니다.
해당 관련 사업 진출을 모색하고 있으며, 최근 2023년 6월 경영권 양수도 계약을 체결한 양수인측 또한 다양한 옵션을 가지고 해당 사업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결제서비스 개발 및 공급업
2022년 일평균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온라인 전자 지급 결제 규모가 1조 원을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코로나 이후 온라인 거래가 전반적으로 간편결제 이용금액이 하루 평균 7,000억 원을 돌파하였습니다.
한국은행의 2022년 상반기 중 전자 지급 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상반기 전자 지급 결제대행 서비스 이용건수는 일평균 2,321만 건, 이용금액은 1조 209억 원이라고 발표하였고, 이용건수와 금액 모두 사상 최대를 기록하였습니다.
또 아파트 관리비, 전기, 가스 요금 등 전자고지결제서비스 또한 증가세에 있습니다.
당사는 자사몰을 통해 제품을 쇼핑할 수 있는 TS샴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모발이식 전문 플랫폼 MO를 개발하여 출시하였습니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쇼핑 전자결제 서비스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고객들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출시하였으며, 비대면 모발이식 전문플랫폼을 개발하여 출시하였습니다.
MO플랫폼은 코로나시기에 비대면 탈모진료서비스를 선보여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비대면 진료라는 분야는 코로나 펜데믹 시기에 정부에서 임시로 허가한 진료방식으로 2023년 정부의 코로나 종식 선언으로 시대에 맞지 않는 서비스라는 판단으로 보고서 제출일 현재(23년8월14일)서비스가 종료되었습니다.
□건물, 시장 등 부동산에 대한 종합관리, 컨설팅업
□부동산 개발, 컨설팅, 위탁분양업, 분양업
□창고업
□부동산의 취득, 관리, 개량 및 처분
□체육시설의 설치, 회원모집, 운영 및 위탁 운영업, 스크린골프 사업
□식품, 생활용품 및 각종 물품을 제조 가공 판매하는 종합 도소매 유통업
□골프의류, 용품등의 제조, 판매, 서비스, 유통사업
- 2021년 3월 취득한 파주 물류부지의 토지자산을 활용하여 추가된 부동산 및 해당 토지 부지에서 영위할 사업목적을 추가하였고, 해당 부지는 건축 허가 승인이 2023년 8월 중순 경 완료될 예정입니다. 건축허가 승인 완료 후 토지 활용 사업 계획에 맞춰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가공식품
가공식품은 식품원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거나 그 원형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변형시키거나 이와 같이 변형시킨 것을 서로 혼합 또는 이 혼합물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 포장한 식품입니다.
당사는 마케팅 노하우, 유통과 판매 플랫폼 채널을 보유하고 있어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개발 출시하여 보다 빠른 시장 점유력을 갖추고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2022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최초로 100조 원을 돌파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 중입니다. 2022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대비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대비 19.1%입니다. 식품 관련 모든 업종이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민 건강을 위한 다양한 가공식품을 개발하여 판매할 예정입니다.
□애완동물 사료, 간식
애견 간식 출시(TS써니냠냠쿠키)하여 소비자들의 호의적인 반응에 힘입어 2023년 3월 2차 추가 생산에 돌입하였으며 온라인, 오프라인 입점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제품을 뜻합니다.
건강기능식품과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차이점은 건강식품의 경우 건강에 좋다고 인식되는 제품을 통칭하고, 건강보조식품은 보조 역할을 하는 식품으로 이 두 가지는 법에서 정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이 아니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고된 제품으로 제품에 '건강기능식품'마크가 표기돼 있는 차이가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은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의 장기간 유행으로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트렌드가 전 연령대로 확산되면서 이러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지속적인 상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시장 규모는 6조 원을 돌파하였고, 2019년 약 4조 8천억 원에서 4년 만에 25% 가까이 시장규모가 커졌습니다.
2022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구매율은 82.6%로 이는 10가구 중 8가구는 구매를 경험한 것입니다.
특히 건강한 노후를 준비하는 5060세대의 증가, 소비자 스스로 건강을 챙기는 셀프 메디케이션(Self-medication)트랜드가 급부상하여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3년 관절 건강기능식품인 '관절미남, 관절미녀'출시 완료하였으며, 2023년 하반기 본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시장에 판매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폐기물의 친환경 재활용
순환 경제는 탄소중립의 첫걸음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자에게 판매한 후 그 쓰임이 다하면 단순 폐기하는 선형 경제 구조를 띄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천연자원 고갈과 폐기물 증가라는 환경 피해가 큰 단점으로 부각되면서 새로운 방안인 '순환 경제'가 떠올랐습니다.
순환 경제는 자원 채취 후 전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경제구조입니다. 소비된 제품을 재활용해 자원을 만들고, 이 자원을 통해 또 다른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폐기물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내놓으면서 국내에서도 폐기물을 재활용한 소재 사업이 대기업 석유화학 기업들을 중심으로 본격 추진되고 있습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중견, 중소기업에서도 재활용한 소재 사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폐기물의 친환경적 재활용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ESG경영을 실천하고 있어 해당 사업목적을 추가하였습니다.
향후 시장 상황에 맞춰 적극적인 시장 참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 | 제2조(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69. 보툴리눔 및 기타 물질의 검출 및 진단키트 제조업 70. 생물의학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제조판매무역업 | 신규사업 진출 |
제35조(이사의 수) ①회사의 이사는 3 명 이상으로 하고 사외이사를 이사총수의 4분의 1 이상으로 한다 | 제35조(이사의 수) ① 회사의 이사는 3 명 이상 5명이내로 하고, 이사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사외이사를 둘 수 있다. | 조문 정비 |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용채 | 1975.03 | 부 | 부 | 관계없음 | 이사회 |
김춘배 | 1962.11 | 부 | 부 | 관계없음 | 장기영 |
임지순 | 1970.01 | 부 | 부 | 관계없음 | 장기영 |
조학래 | 1969.08 | 부 | 부 | 관계없음 | 장기영 |
김태훈 | 1964.07 | 여 | 부 | 관계없음 | 장기영 |
권도중 | 1974.06 | 여 | 부 | 관계없음 | 장기영 |
양영상 | 1967.08 | 부 | 부 | 관계없음 | 장기영 |
총 ( 7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용채 | 경영인 | 2000 | 전남대학교 | 해당사항 없음 |
2001~2013 | 前) 이랜드 그룹 잡화 부문장 | |||
2016~2018 | 前)CJ E&M자회사 루비콘컴퍼니 대표/CJ그룹이사 | |||
2023~현재 | 現)TS트릴리온 총괄사장 | |||
김춘배 | 회사원 | 1987 |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 해당사항 없음 |
1997~2004 | 前) (주)윌텍정보통신 관리부문 부사장 | |||
2005~2006 | 前) (주)성광 경영총괄 부사장 | |||
2023~현재 | 現) (주)지오솔루션즈 관리부문 총괄 | |||
임지순 | 경영인 | 1997 | 서강대 불문과 | 해당사항 없음 |
2011~현재 | 現) (주)올댓 비즈 대표이사 | |||
2005~2008 | 前) (주)파인디지털 영업팀장 | |||
2020~2022 | 前) (주)호텔에어시티 제주 대표이사 | |||
조학래 | 경영인 | 1996 | 가천대학교 경영학과 | 해당사항 없음 |
1997~2015 | 前) GS칼텍스 두실주유소 대표 | |||
2015~2020 | 前) (주)캠퍼존 관리본부장 | |||
2020~현재 | 現) (주)동성에이치앤에스 대표이사 | |||
양영상 | 경영인 | 1986~1995 | 한양대학교 경기지도학과 | 해당사항 없음 |
1995~2002 | 前) (주)서울광연 AE(종합광고대행사) | |||
2002~현재 | 現) (주)레진마트(LG화학 협력업체) | |||
2009~2012 | 前) (주)에이모션 자전거사업본부장 | |||
2019~현재 | 現) (주)오스힐 공동대표이사 | |||
김태훈 | 변호사 | 1987 | 고려대학교 법학과 | 해당사항 없음 |
2012 | 前) 서울고등검찰청 검사 | |||
2011 | 前) 서울남부지방검찰청 부장검사 | |||
2012 | 前) 법무법인 인 대표변호사 | |||
현재 | 現) 법무법인 아이엠 대표변호사 | |||
권도중 | 변호사 | 2016 |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법학박사 | 해당사항 없음 |
2017~2018 | 前) (주)솔리드이엔지 미래정책본부장 | |||
2018~2021 | 前) 법무법인 시헌 변호사 | |||
2021~현재 | 現) 법무법인 정률 변호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용채 | - | - | - |
김춘배 | - | - | - |
임지순 | - | - | - |
조학래 | - | - | - |
양영상 | - | - | - |
김태훈 | - | - | - |
권도중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
확인서
권도중 확인서_240521 |
김용채 확인서_240521 |
김춘배 확인서_240521 |
김태훈 확인서_240521 |
양영상 확인서_240521 |
임지순 확인서_240521 |
조학래 확인서_240521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 |
※ 상기 이사의 수는 현재 재직중인 이사 기준입니다.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7(4)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80 |
최고한도액 | 1,500 |
※ 상기 지급된 보수총액은 전기 총 지급액 기준입니다.
※ 상기 이사의 수는 전기 말일자 기준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백만원)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 |
(전 기)
감사의 수 | 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 |
최고한도액 | 200 |
※ 상기 지급된 보수총액은 전기 총 지급액 기준입니다.
※상기 감사의 수는 전기 말일자 기준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혁 | 1977.06 | 해당사항 없음 | 장기영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혁 | 회계사 | 1995~2003 2008~2012 2013~2019 2023~현재 | -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졸업 - 前) 동아송강회계법인/ 국제부 - 前) 대주회계법인본부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혁 | - | -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
확인서
김혁 확인서_240521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명) |
※ 기타 참고사항
없습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주)해당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주)해당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신분증 미지참 시 주주총회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521000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