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닉스 (317120) 공시 - 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2024-03-11 16:5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689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4년  03월  11일
권 유 자: 성 명: 주식회사 라닉스
주 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135길 25
전화번호: 02-584-5516
작 성 자: 성 명: 박의순
부서 및 직위: 경영본부 / 전무이사
전화번호: 02-584-5516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요약>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가. 권유자 주식회사 라닉스 나. 회사와의 관계 본인
다. 주총 소집공고일 2024.03.11 라. 주주총회일 2024.03.26
마. 권유 시작일 2024.03.16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미위탁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가. 권유취지 원활한 주주총회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의사 정족수 확보
나. 전자위임장 여부 전자위임장 가능 (관리기관) 삼성증권
(인터넷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관리기관) 삼성증권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3. 주주총회 목적사항
□ 재무제표의승인
□ 이사의선임
□ 감사의선임
□ 이사의보수한도승인
□ 감사의보수한도승인


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1. 권유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주식회사 라닉스 보통주 0 0 본인 -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권유자와의
관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 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최승욱 최대주주 보통주 2,354,300  24.37 대표이사 -
정홍구 특수관계인 보통주 143,600 1.49 등기임원 -
박의순 특수관계인 보통주 113,500 1.17 등기임원 -
박주남 특수관계인 보통주 5,000 0.05 미등기임원 -
이병헌 특수관계인 보통주 5,000 0.05 미등기임원 -
이노형 특수관계인 보통주 801 0.01 미등기임원 -
장경희 특수관계인 보통주 300 0.00 등기임원 -
- 2,622,501 27.15 - -


2. 권유자의 대리인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
주식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최승욱 보통주 2,354,300 대표이사 최대주주 -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성명
(회사명)
구분 주식의
종류
주식
소유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 해당사항없음 - - - - -



3. 권유기간 및 피권유자의 범위


가. 권유기간

주주총회
소집공고일
권유 시작일 권유 종료일 주주총회일
2024.03.11 2024.03.16 2024.03.25 2024.03.26


나. 피권유자의 범위

주주 전체 (2023년 12월 31일 기준)


I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1. 의결권 대리행사의 권유를 하는 취지

원활한 주주총회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의사 정족수 확보


2. 의결권의 위임에 관한 사항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전자위임장 가능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2024년 03월 16일 오전 9시 ~ 2024년 03월 25일 오후 5시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삼성증권
전자위임장 수여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본인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O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O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O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X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
(발행인에 한함)
O


- 위임장용지 교부 인터넷 홈페이지

홈페이지 명칭 인터넷 주소 비고
주식회사 라닉스 http://www.ranix.co.kr 당사 홈페이지(http://www.ranix.co.kr) ▷ IR ▷ 공지사항에 게재할 예정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위임장 접수처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135길 25 (논현동) 4층,
  주주총회 담당자 앞 (우편번호 06053)
- 우편 접수 여부: 가능
- 연락처: 02-584-5516
- 접수 기간: 2024년 3월 16일~ 3월 26일 제21기 정기주주총회 개시 전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해당사항 없음.


3.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의 직접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일 시 2024년  03월  26일 오전  10시
장 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135길 25 지하1층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기간 2024년 03월 16일 오전 9시 ~ 2024년 03월 25일 오후 5시
전자투표 관리기관 삼성증권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http://vote.samsungpop.com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 본인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서면투표 가능 여부 해당사항 없음
서면투표 기간 -
서면투표 방법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 주주총회장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전자투표와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III.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자동차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핵심기술인 무선통신과 보안 및 보안 인증 관련 시스템 반도체 및S/W, H/W 솔루션 등의 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하는 토털 솔루션 업체입니다.

 

[사업부문별 주요제품]

사업부문

주요 제품

Autonomous Vehicle

V2X Modem

T-WAVE

V2X RSU/OBU

V2X RSU/OBU

V2X S/W Platform

RVP

Automotive MCU

Network

MCU, IMFAS

DSRC

MaaT-IV / V / VI, 

THoTH-I / II / III

Security

RS1111, RS1211,

RS2332, RS2522,
HSM, 양자보안

Smart Life

mPERS

RPM100

Radar Sensor

RMR602A, RMR241A

RMR051A

피부밀착형 복합센서

개발완료/상품화 진행 중

Smart Watch 

커스터마이징 개발


(1) Autonomous Vehicle

 

1) V2X Modem

V2X Communication이란 Vehicle to Everything으로, 도로 위에 자동차가 자율주행 및 교통안전을 위해 주변의 다른 자동차 및 사물들과 교통정보를 무선으로 주고받는 기술을 말합니다.

 

① 산업의 특성 등

첨단 교통시스템의 변천


차세대 협력-지능형 교통시스템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도로상의 자동차들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자동차, 사람, 자전거 그리고 인프라(기지국, 신호등 등)들과 서로의 위치 정보,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등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기술이 핵심기술로서 지원되어야 하며 WAVE-V2X → LTE-V2X → 5G-NR-V2X로 진일보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미국, 유럽, 일본 그리고 국내에서는 V2X 통신기술에 대한 기반기술 개발과 표준화 그리고 시범사업과 실증사업을 거쳐 실제 도로상으로 확대 구축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레벨구분


자율주행은 기술수준에 따라 0~5레벨로 구분되며 그 중 레벨 3~5의 자동화기술을 자율주행 단계로 규정합니다. 현재 레벨 0~2은 대부분의 차량에 양산 중이며, 레벨 3는 이미 테슬라와 같은 선도기업이 양산차량에 적용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국내외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전망


완전자율주행 기능을 가지는 자율주행차 국내 시장 규모는 2020년 15억 원에서 연평균 84.2% 성장하여 2035년에는 14조 7,183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V2X Communication)
기술은 초기 도로에서 돌발 상황 알림, 차량 정보 수집 및 제공 등의 교통안전 서비스 제공, 안전성과 편리성, 차량 연료를 감소를 주목표로 하였으나, 다가올 완전자율주행 시대에 발 맞추어 초저지연과 고신뢰도 통신기술을 이용한 차량 간 정보교환을 통한 AI기반 주행예측기술과 군집주행 및 무인원격 주행기술의 개발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미국, 유럽, 일본 및 한국은 지난 10여 년간 WAVE-V2X 통신 기술에 대한 개념 검증과 시범 및 시험 사업을 통해 기술에 대한 효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였으며, 현재는 실증사업을 통해 도로상에 WAVE-V2X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C-V2X통신 기술에 대해서는 일부 지자체에서 환경 구축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기술 검증과 사업화를 위한 서비스 개발이 초기단계에 있습니다.

교통인프라


중국의 경우, 국가 V2X 통신 시스템으로 C-V2X 통신 기술을 선정하고, 일부 지자체에서 기술 검증을 진행하고 있으나 지난 기간 동안 C-V2X 통신 기술에 대한 준비가 미비했습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 네이버는 자율주행차(토요타 프리우스), 3D기반 실내외지도,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의 기술을 발표하였고 인공지능 및 인지 기술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대모비스, HERE, Ericsson-LG, 자동차 부품연구원, 전자 부품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등에서 차세대 V2X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대ㆍ기아자동차의 경우, 이미 선행 개발을 통해 상용화 수준의 WAVE-V2X 통신 모듈을 확보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C-V2X 통신 모듈의 확보를 위해 선행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대ㆍ기아자동차는 2023년 출시되는 최고급형 신차부터 V2X 통신 모듈의 장착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따르면, 국내외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은 2030년이 지나면, 자율 주행과 인프라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의 자동차 시장의 규모를 역전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완전 주행 자동차 시장의 발전된 개별 요소 기술이 집약되면서 급격히 확대가 예상되고 있어 향후 미국, 유럽, 일본, 한국 시장은 물론 중국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중국기업과 C-V2X 솔루션 개발 협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협력사 MorningCore사(Datang 그룹 산하회사)의 C-V2X 솔루션과 자사의 WAVE를 융합한 Hybrid OBU 공동 개발 협력 Cooperation Agreement 체결 후 공동 개발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유럽, 중국 WAVE 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적 대응 및 해외 진출을 위한 다양한 루트를 확보 진행 중에 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유럽)

유럽시장에서는 2025 EuroNCAP 로드맵에 V2X가 추가되면 V2X가 모든 차량에 적용됩니다. 유럽에서 판매되는 신차의 97%는 EuroNCAP 등급이며, 신차의 89%는 별 4개 또는 5개 등급입니다. EuroNCAP에 추가된 모든 기술은 등급을 받은 후 몇 년 이내에 거의 모든 신차에 적용되었습니다. V2X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복제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모든 OEM은 EuroNCAP 등급을 높이기 위해 차량에 V2X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국)

중국시장에서는 모든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가 2022/2023년에 C-V2X를 배치하고 대량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며, 일부는 2020/2021년에 소규모 시험 생산을 시작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작한 '신규 인프라' 캠페인은 전국적으로 V2X 기반 인프라의 실질적인 성장을 촉진하고 있으며, 2024년 하반기에는 법제화를 진행하고 2026년 부터는 실행을 기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국내)

퀄컴과 오토톡스는 2023년 5G NR V2X 상용화칩에 대한 로드맵을 발표한 반면 국내 회사들은 상용화칩 출시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 않아 상용화 시점에 국내의 V2X통신 장치 업체들은 당사의 칩을 제외하면, 고가의 외산 칩을 제공받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당사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6월에 퀄컴의 오토토크 합병 추진이 발표되어, 라닉스는 향후 전세계적으로 5G NR V2X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 회사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v2x 기술개발 추진동향


당사는 사업 초기부터 첨단 교통시스템의 주요 기술 개발에 주력해 왔으며, 자율주행자동차의 핵심기술인 WAVE-V2X 통신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V2X 통신 통합 솔루션의 경우, 당사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시스템 반도체(통신 모뎀+보안 칩, RF 칩) 솔루션과 S/W, H/W 솔루션을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글로벌 5GAA 회원사 및 국내5G 포럼 회원사로 활동하며 5G-NR-V2X 표준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기술 표준의 안정화에 맞추어 IEEE802.11p + 5G-NR-V2X 토털 솔루션을 추가 개발을 추진중이며 2025년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V2X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잠재적인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연 및 프로모션을 통하여 제품 및 기술을 홍보하는 활동을 수행하였습니다.

[2023년 퓨처모빌리티산업 산학연 기술교류회]

당사는 본 행사에서 ▲5G-V2X 통신프로세서 ▲V2X 보안프로세서(RS2522) ▲Ranix V2X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을 선보였습니다. 통신, 보안, 플랫폼 등의 핵심 기술을 집적해 고성능 제품을 구현할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2023년 퓨처모빌리티산업 산학연 기술교류회


[5G V2X 테크포럼]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5G V2X 통합 솔루션' 을 주제로 5G V2X 테크포럼을 2023년 6월 16일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했습니다.

5G V2X 테크포럼은 당사의 차세대 5G V2X 칩 솔루션 개발 방향 및 제품 로드맵 발표를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행사입니다. 이 날 포럼에는 미래 모빌리티 산업 관련 산,학,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습니다.

5g v2x tech forum


[커넥티드 모빌리티 엑스포(COMEX)]

'초연결시대, 인류를 위한 모빌리티'라는 주제로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이번 전시회에서 라닉스는 차량사물통신(V2X) 전문 기업으로 참가하였습니다.

세계 최초 5G V2X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 송수신을 시연하였고 이 밖에도 하이브리드 V2X 차량단말기(OBU) 및 노변 기지국(RSU) 제품, V2X용 소프트웨어 풀스택인 RVP, 초고속 V2X 보안 솔루션(RS2522) 및 양자보안 기술 개발 로드맵을 선보였습니다.

커넥티드 모빌리티 엑스포(comex)


2) V2X RSU/OBU


① 산업의 특성 등

현재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자율주행 기술과 그 핵심 요소인 차세대 V2X 기술에 막대한 지원과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WAVE 뿐만 아니라, 특히 차세대 통신 시스템으로 주목받는 5G-NR 시스템은 최신 기술이 집약된 최고의 선도기술로서, 이를 기반으로 한 5G-NR V2X 기술의 개발은 이동 통신 기술과의 시너지 또한 기대할 수 있으며, 많은 지원과 투자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9년 미래자동차산업 발전 전략, 2020년 한국판 뉴딜 계획, 한국도로공사 2024년 C-ITS 본사업 설계 등 지속적인 C-ITS 사업발표를 시행 중에 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미국)

미국 미시건주에서 진행한 Safety Pilot Model Deployment(SPMD)프로젝트는 2,800대의 OBU와 80여개의 RSU를 설치하여 교통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통사고 감소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SPMD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미국에서는 향후 모든 신규 차량에 OBU를 의무 장착하는 법규를 추진하였습니다. 2021년부터 C-V2X 통신 방식을 단일 표준안으로 채택하여 현재까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지연되는 신규차량 의무 장착 법제화와는 달리 미국의 많은 주에서는 5.9 GHz DSRC 기반으로 RSU를 LTE 기반의 C-V2X RSU로 대체하여  C-ITS 및 Connected Vehicle 서비스에 대하여 발굴/테스트 중입니다.

 

(유럽)

유럽에서는 ITS-G5 통신을 기반으로 Day 1 서비스의 실증이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기지국에서 교통센터까지의 연결은 LTE 등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hybrid V2X 통신 형태로 많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향후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인 Day 3, 4 서비스 제공을 위한 C-V2X 등과 ITS-G5 통신을 융합한 hybrid V2X 통신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국내)

2021년 12월 대전시와 세종시를 잇는 고속도로, 국도, 시가지 도로 약 90.7km에서 진행한 C-ITS 시범사업이 완료되면서 C-ITS의 교통안전 효과와 각종 서비스 실현이 검증됐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시범사업 5년간 평균 사고건수는 19%, 사망자 수는 19.1%, 부상자 수는 19.8% 감소했고, 교통안내 등 우선 도입 서비스는 15개에서는 운전자 순응도(제공 정보에 따르는 정도) 47%를 기록했습니다. 실제로 KT가 지난해 실증 사업을 마무리한 제주도 C-ITS 사업에서는 관광 지역 특징을 반영해 렌터카를 중심으로 안전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제어를 통해서 응급차량 출동 시 우선 신호를 받아 통과할 수 있는 서비스도 구현함으로써 응급차 평균 도착 시간을 2분 30초 줄여 골든 타임을 확보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대부분의 Chip사의 S/W는 협력사, 코다 와이어리스, 컴시그니아 등을 통하여 V2X S/W STACK을 지원받고 있으며, HSM 또한 타사의 Chip을 활용하여 제품에 적용합니다. 라닉스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S/W 솔루션 뿐만 아니라 Chip 솔루션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기 때문에 타사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에서 자유로우며, 오류나 업데이트 등에서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강점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3) V2X S/W Platform 

V2X Software Platform인 RVP(Ranix V2X Platform)는 당사가 개발한 C-V2X (LTE-V2X, 5G-V2X) 와 WAVE를 동시에 구현 및 운용 가능한 V2X 통신 및 보안 소프트웨어 플랫폼입니다.


① 산업의 특성 등

V2X 규격은 크게 V2X 통신 프로토콜과 보안 규격이 포함된 V2X 스택 규격과 물리적인 통신 모뎀 규격(WAVE, C-V2X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V2X 스택 규격은 WAVE 또는 LTE-V2X, 5G-V2X 등의 물리적인 통신 모뎀 장치들을 이용하여 실제V2X 정보 메시지들을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및 보안 규격입니다. 이러한 통신 스택 규격은 한국과 미국에서는IEEE 1609 규격을 표준으로 채택하여 실증 운용을 하고 있고, WAVE 또는 C-V2X (LTE-V2X, 5G-V2X) 중 어느 것이 표준으로 제정이 되더라도 반드시 적용 및 운용을 하여야 하는 상위 통신 프로토콜 스택 규격입니다. 국내에서 V2X 제품을 제작 운용을 하려면 이러한 IEEE 1609의 V2X 스택 규격을 만족하는 스택 소프트웨어를 반드시 적용 하여야만 운용이 가능 합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현재 국내의 많은 V2X 제품 개발 업체들은 대부분 외산 V2X 스택 솔루션을 사용하여 V2X 제품을 개발하거나 C-ITS 실증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wave v2x 사업 추진동향


하지만, V2X 시장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업체들은 비싼 라이센스 비용과 외산 솔루션 업체들의 부족한 기술 지원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에 몇몇 V2X 제품 개발 업체들은 자체적으로 V2X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제품 개발 외에 추가적으로 표준 규격 구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메이커 등에서의 실제 상용화 제품들은 보통 자체적으로 필요한 사항들을 커스텀화한 기능들의 구현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으나, 외산 솔루션들은 이 같은 요청에 대응이 힘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라닉스와 같은 국내 메이커들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을 공급하는 솔루션 업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당사는 C-V2X (LTE-V2X, 5G-V2X)와 WAVE를 동시에 구현 및 운용 가능한 V2X 통신 및 보안 소프트웨어 플랫폼(이하RVP)을 개발하였습니다.

rvp 소프트웨어 구조도


당사의 RVP 솔루션은 표준 V2X 규격인 IEEE 1609 규격의 IEEE 1609.3 규격과 IEEE 1609.2 규격을 좀더 효율적으로 구현하여 고객사에서 빠르고 쉽게 V2X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한국과 미국 등지에서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V2X 정보 메시지 규격인 미국 자동차 공학회의 SAE-J2735 규격을 모두 지원하고 있으며, 더불어 국내 전 C-ITS 실증 구간에서 사용 중인 V2X 정보 메시지의 최신 표준 규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RVP 솔루션은 V2X의 물리적인 모뎀 규격인 WAVE, LTE-V2X, 5G-V2X를 모두 지원 가능 하여, V2X 모뎀 규격이 어떤 표준이 결정되더라도 모두 대응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서의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계속해서 5G 시대를 대비한 차세대 5G-V2X 모뎀 솔루션을 개발 중이며 이를 운용하기 위한 V2X 플랫폼은 이미 준비가 완료된 상황입니다. 꾸준한 개발을 통해 V2X 기반의 독자적 플랫폼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V2X 플랫폼 기술의 고도화에 만전을 다할 계획입니다.

 

(2) Automotive MCU

 

1)  Network 솔루션


① 산업의 특성 등

가까운 미래에 자율주행이 가능한 SOA(Software Oriented Architecture)의 자동차가 일반화될 경우 현재와는 다른 새로운 기능의 MCU가 필요할 것입니다. IP 보안 패킷으로 차량 내부로 초당 수십 기가 비트의 정보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외부 통신으로 OTA 가 이루어지는 미래 자동차에 적합한 MCU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지금 자동차용 MCU 시장은 제조사별로 살펴보면 인피니언, 르네사스, NXP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세계 차량용 반도체 매출의 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차량의 전장화 자동화 및 연결성 심화로 국내 반도체 업계의 자동차 밸류체인 참여도가 최근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차량의 각 기능별로 반도체를 설계 생산하던 수준에서 고성능 반도체, AI, ECU 및 모듈 시스템 통합까지 밸류체인 참여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MCU를 국산화하여 시장을 준비한다면 궁극적으로 자동차용 반도체 분야도 국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차량용 반도체 MCU 국산화를 목표로 연구개발 하고 있습니다. 첨단 안테나 및 RF솔루션 기업 에이스안테나와 합력하여 2024년 내에 상용 칩을 개발하고, 에이스안테나는 이를 적용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IMFAS)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이번 협력 개발을 통해 외산 제품 의존에서 벗어나 통신 및 안전성이 우수한 국산형 차량용 MCU를 개발 계획입니다. 목표 기간 내에 국산화에 성공하고 국내 차량 및 전기차 제작 회사에 납품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과거의 MCU는 차량용 신뢰성만을 추구하였으나, 최근에는 Security 기능이 기본으로 자리잡으며 WP.29등의 국제 법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차량용 반도체 중 수급 불균형이 가장 큰 제품은 고사양 MCU가 아닌 브레이크, 스티어링, 엔진 점화 기능 등을 관장하는 범용 MCU입니다. 범용 MCU는 현재 대부분 40/45nm 공정을 통해 생산되고 있는데, 글로벌 파운드리 업체들의 40/45nm 생산능력 증가율은 2020년 기준 -7%를 기록했으며, 반대로 7/6nm 생산능력 증가율은 45%를 기록했습니다. 파운드리 업체들의 투자가 선단공정에만 집중되며 차량용 반도체 shortage가 시작되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40/45nm 공정의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를 계기로 완성차 기업이 부품 공급사를 다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내 기업이 차량용 반도체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Low-end의 일반 MCU 조차도 전장을 위해서는 Security가 기본으로 반영되어야 자동차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대부분의 전장용 반도체를 새롭게 선정해야 하나 Security를 충분히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는 반도체 업체의 수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로서 전장용 반도체 업체들은 재편될 수밖에 없습니다. 인지도만으로 유사한 반도체를 제작 판매하는 시대에서 여러가지 기술을 보유하고 빠르게 적용 가능한 반도체 기업들 만이 생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DSRC 솔루션


① 산업의 특성 등

(한국) 

ETCS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의 한 기능으로, 전자요금징수시스템 또는 자동요금정산시스템(하이패스)라고 불리며, 우리나라의 고속도로와 유료도로의 통행료를 정차할 필요 없이 무선 통신으로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

한국 etc 도로구성도


ETCS의 통신프로토콜은 [TTAS.KO 06.0025, ITSK 00021] 표준을 따르며, 이 표준은 통신 표준화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ITS Korea)가 사용하는 5.8GHz 대역의 주파수의 단거리 전용 통신인 DSRC를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의 통신 프로토콜 표준으로 제정한 규약입니다. 당사는 ETC Modem SoC 칩에 신기술을 적용하여 MaaT-V에 이어 5.8Ghz 대역 DSRC RF 트랜시버를 자체 개발하였으며 MaaT-VI에 보안 및 RF 트랜시버를 포함한 One Chip화를 이룸으로써 ETCS 시장을 지속적으로 주도해 나가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중국)

중국DSRC(ETCS)도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도로교통시스템의 하나로, 유료도로를 이용할 때 요금소에서 정차할 필요 없이 통과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과 요금소의 시스템이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요금을 징수합니다. 통신규격을 비롯하여 환경과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의 ETCS와 유사합니다.

(출처: 중국NET EASY 뉴스사이트)

중국 etc 도로구성도


중국 국가 표준은 단거리 전용(DSRC) 통신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중국 실정에 맞게 표준화되었습니다. ETCS 단말기 표준인 Chinese Standard(GB/T 20851.X) 기준에 따르며, 실제 판매 환경에서의 등록(발급) 및 통신 운영 시험 등을 실시한 후 인증을 승인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다른 부분은 ESAM을 사용한 보안을 표준화하여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OBE-SAM이라고도 표현되며, 여러 가지 정보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중국 인민은행에서 승인된 DES/3DES(TDES)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으며, 차량별로 ESAM과 사용자 카드(IC 카드)를 각 1:1로만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한국)

(출처: 서울고속도로)

년도

전체교통량

하이패스교통량

일반차로교통량

하이패스이용률

2018

129,473,469

103,075,052

26,398,417

79.6%

2019

136,066,078

111,215,758

24,850,320

81.7%

2020

134,463,285

112,409,271

22,054,014

83.6%

2021

138,056,361

119,070,056

18,986,305

86.2%

2022

136,444,424

120,644,480

15,799,944

88.4%

하이패스 이용률


고속도로와 고속화 도로 확대로 국내 하이패스 이용률은 2009년 41%에서 2020년에약 85%에 도달하였으며, 하이패스 단말기 보급은 매년 10~20만대 이상 추가되다가 2015년부터 4종, 5종 차량의 단말기 보급으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2022년 6월 기준 총 2300만대 이상이 보급되었습니다.

 

(중국)

현재 자율주행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ETCS OBU 단말의 차량내 MCU들과 통신이 요구되고, 전기차의 효율을 위해 보안과 저전력 SoC Chip이 요구됩니다.

(출처: Moia Research)

중국 etcs 시장 전망


중국의 경우, ETCS 단말기 시장은 연간 2천만 대 이상의 시장으로 빠르게 성장하였으며 현재까지 100% After Market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After Market과 달리 Before Market의 ETCS 단말기에 전용 통신 칩이 탑재되기 위해서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표준 규격들을 모두 만족해야 하며, 자동차용 반도체 신뢰성 시험(AEC-Q100) 인증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중국의 ETCS 통신칩 업체들은 아직 각각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요구하는 규격을 충분히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반도체 신뢰성 시험 인증을 취득한 제품도 없는 상황입니다.

중국정부 네트워크 발표문


현재 예정된 전장 ETC 단말기 전면적 강제 공표가 중국 내 코로나 재확산 등의 영향으로 지연되어 전장 ETC 단말기 확산이 예정보다는 늦어지고 있으나 중국 자동차 및 T1 고객사와의 교류를 통해 중국 ETC 단말기 시장이 전장 시장으로 전환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현재 중국 고객사 및 관련 분석 데이터에 따르면 전장 ETC 단말기 시장은 2022년 하반기 궤도 진입, 2023년 본격적인 성장이 가시화되어 향후 최대 연간2,500만대 이상의 자동차 시장 규모에 걸맞은 중장기적 폭발적 성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오랜 기간 국내 Before Market 및 After Market ETCS 경험으로 자동차 OEM사의 요구에 맞는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을 갖추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ETCS시장에 우수한 성능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한국)

당사는 국내 표준에 준한 DSRC 통신 칩과 S/W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였습니다. 2008년 기아자동차 오피러스 차종에 ETCS 단말기 장착을 시작으로 현대ㆍ기아자동차, 그리고 주요 수입 자동차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ETCS(Hi-Pass) Before Market의 91% 이상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2019년 4월부터 하이패스 단말기 생산업체인 A社를 통해 시장에 판매하였으며 2019년 11월에 B社가 추가되었고, Before Market과 After Market 전체 석권을 목표로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MaaT 시리즈의 양산 제품은 MaaT- IV / V이며, 당사의 자체 RF Transceiver와 Modem, MCU가 함께 One chip으로 개발된 MaaT-VI는 제품 검증을 거쳐 양산 출시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MaaT-VI는 특히 WP.29 보안 규격에 대한 초기 대응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aaT-VI는 Chipsize와 가격면에서 이전 모델 대비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자체 RF Transceiver는 중국과 한국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각 통합 ETC SoC type으로 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중국)

중국시장 진입전략


당사는 10년 이상 한국 ETC Before Market에 특화된 경험 축적, 공고한 한국 시장 점유율 (91%이상), 차별화된 기술력 & 프로젝트 솔루션 제안 및 노하우를 인정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2021년 2분기부터는 중국 주요 글로벌 룸미러 업체 및 중국 주요 OBU 공급업체와 함께 구체적인 합작 프로젝트 수행 및 협업 중에 있으며, 중국 내 주요 OEM 양산수주 타겟으로 글로벌 룸미러 업체와 전장용 ETC 샘플제작을 위해 긴밀히 협의 중에 있습니다. 제작 완료된 융합형 전장용 ETC 샘플을 통해 2022년 1분기부터 현재까지 중국OEM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중국 ETC OBU 시장 점유율 3위 고객사의 차기 After Market OBU 제품모델에 당사의 ETC 모뎀칩 THoTH-III 적용을 위한 사업합작을 추진 중에 있으며, 중국시장 정식 진입을 위한 다양한 루트를 검토 중입니다.


3)  Security 솔루션

v2x 통신보안 및 보안인증 관리 체계(안)


① 산업의 특성 등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안전한 운영과 직결되므로 해킹, 메시지 위변조 등 사이버 보안 관점에서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방어 대책이 필요합니다. 보안이 강화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가장 근간 기술이 되는 것이 HSM이며,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 정보 공유를 위해서는 HSM은 필수적입니다. WP.29이 발효됨에 따라 앞으로 모든 차량이 보안 네트워크를 통해 소프트업데이트 및 차량 생산 단계에서부터 보안을 고려한 CSMS 프로세스를 갖추고 생산하고 차량이 판매, 운영, 폐기될 때까지 항상 보안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에 차량 내 모든 IT부품은 HSM을 갖춘 보안 기능이 구비된 ECU를 갖춰야 합니다.

(출처: IoT 공통 보안 가이드)


사물인터넷 보안영역


IoT 보안 분야에서 IoT 기기들은 인터넷 연결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모두 해킹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성능이 제한적인 IoT 기기에서는 저전력, 저성능 자원으로 보안 기능까지 구현해야 하므로, 설계 단계부터 보안성을 고려한 보안 내재화가 필수적입니다. 리소스가 작은 기기까지 보안을 내재화하기 위해서는 초경량 보안 기술이 필요합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최근 국방, 의료, 전력 등과 같은 정보 및 데이터 보안이 중요한 산업 분야에서는 선도적으로 정보보호를 위해 보안 기능의 탑재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국가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정보보호시스템은 KCMVP 인증을 받은 암호 모듈을 필수로 탑재해야 하며 2020년 5월 11일 라닉스 RS2332암호 칩은 하드웨어 칩 국내 최초로 전체 2등급 인증을 획득, 기존의 KCMVP 인증 제품과 비교해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번 인증 획득으로 강력한 IoT보안 칩이 탑재되어야 하는 전력, 수도, 가스 등 스마트 미터링 사업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현재 IoT 보안 지출은 전세계적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 국내외보안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생활 방역이라는 신시장을 개척하며 보안 시장이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국내의 경우 삼성전자 뿐만 아니라 IoT 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보안 칩 전문업체들이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당사를 비롯하여 3~4개 기업들이 보안 칩 솔루션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해외의 일부 보안 칩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향후 당사를 비롯한 IoT보안 칩 전문업체들이 약진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IoT 보안 칩 시장은 모든 산업 분야에 응용 디바이스별로 맞춤형 보안이 필요한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장으로 시장의 요구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당사와 같은 기업들에게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당사는 코로나19(COVID-19) 세계적 유행으로 비대면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국가의 공공산업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KCMVP 인증을2종(RS1211, RS2332)을 획득하였습니다.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IoT 기기에 적용 가능한 저전력으로 운영이 가능 하며 자체 IP 개발을 진행하였고, 특허를 출원하여 제품의 성능, 특성, 품질 완성도를 강화하여 시장 환경에 적기에 적용할 수 있게 할 계획입니다. 또한 자체 기술을 기반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여 시장 경쟁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V2X 고속 서명인증 지원을 위한 RS2522 제품이 2022년 4분기에 시제품이 출시되었고 2023년 V2X OBU에 적용되어 검증되었습니다.


(3) Smart Life


1) mPERS

mpers service configuration


mPERS(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는 다양한 센서 및 무선 모바일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노약자가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라닉스는 신체적으로 이상 증상을 느끼거나 도움이 필요할 때 SOS 버튼을 눌러서 콜센터와 통화를 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와 단말기를 제공합니다.

 

① 산업의 특성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본, 이탈리아, 독일, 스웨덴, 프랑스 등은 이미 초고령화사회에 진입을 하였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캐나다, 영국, 대만 등도 2030년 내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핵가족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노인 인구에 대한 응급구호, 의료 건강 서비스의 요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mPERS 시장은 미국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으며, 점차 유럽 등 선진국으로 확대해 나가는 추세입니다. 유선 기반의 시스템은 댁내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써 화재감지, 가스감지, 도어인식 등의 센서와 연동하여 서비스 중이고 무선 기반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대내외 구분없이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긴급통화, 위치추적, 낙상감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Global PERS 시장에서는 행동반경에 제한이 없는 무선기반의 서비스 증가 속도가 더욱 빠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미국 등 선진국에서 서비스 중인 Emergency Medical Alert System은 유무선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하며, 2020년 38.8억 달러에 달하며 2025년에는 50.5억 달러로 대폭 증가가 예상됩니다. (출처: Market Data Forecast 2020년)
국내에서는 아직 mPERS 서비스를 하지 않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주관으로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해서 노인, 장애인 등의 취약계층을 위한 유선 기반의 응급안전안심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0년부터 5년간 매년 10만 가입자를 선정하여 유선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였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mpers


당사는 미국ㆍ유럽향으로 노인층을 위한 Pendant 형태의 응급구호 단말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운용하기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도 함께 개발하여 고객사에게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시장에 나와 있는 제품과 차별화를 위해 방수ㆍ방진, 음성가이드의 기능 외에 카메라 기능을 탑재하여 고객사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초소형ㆍ초경량의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 고객의 니즈에 대응해 나아갈 계획입니다. 미국, 유럽향 외에 국내향 제품 개발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2) Radar Sensor

 

[CPD(Child Presence Detection)]

심박,호흡감지 레이더의 기술개발 방안


CPD는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을 레이더로 감지, 영유아 차량 방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치로 차량안에 사람이나 동물 호흡 및 맥박을 감지하여 차량 내의 생명체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입니다.


① 산업의 특성 등

미 보건당국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매년 24~49명(평균 37명)의 아이들이 차량에 갇혀 있다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이상고열 증상과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숨지고 있으며, 살아남더라도 신경계나 장기 손상으로 치명적인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합니다. 이 같은 일들을 방지하고자 의무화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유럽은 EURO-NCAP 2025 로드맵에 따라 2022년부터 유럽에 출시되는 신차는 어린이 존재 감지 기능을 탑재할 경우 가산점을 주기로 했고, 미국 완성차 업체들도 자발적으로 2025년까지 설치를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국내의 경우 현대자동차는 2022년까지 북미 판매 전 라인업에 CPD 기능을 기본 장착할 것으로 밝힌 바 있으며, 국내에서는 일부 모델을 시작으로 CPD를 기본사양으로 장착하였고 점차 확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CPD 시장 규모는 2019년에 약 2억 5,540만 달러로 연평균 20.0%씩 성장하고 2027년까지 10억 9,81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출처: Global Information, Inc. 2020. 10)
이처럼 국내외의CPD시장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당사는 이에 발맞추어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레이더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


현재 당사는 당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토대로 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차량 뒷좌석에 탑승한 사람의 호흡, 심박수, 생체움직임 등을 레이더센서가 파악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연구 중입니다. 사람의 생체 반응을 파악하고, 클러스터 계기판 알람 및 경보음, 그리고 휴대폰 문자 메시지 발송을 통해 운전자가 남아 있는 탑승자를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모듈과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중국 등 다수의 업체와 협업을 목표로 영업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높은 기술과 시장을 보유한 레이더 센서 전장 업체와 중국 CPD 시장 공동 진출 위해 전략적 협력을 결정하였고 중국 OEM 대상 공동 프로모션 및 중국 내 현장 데모추진 및 준비를 개시하였습니다. 

 

3) 동작감지기

동작감지기는60GHz FMCW Radar 방식이며, 비접촉·무구속 센서입니다. 사생활에 문제없이 자유로운 환경에서24시간Raw data 획득이 가능하며, Edge device 상에서AI Algorithm을 활용하여 자세감지, 침대이탈/배회알림, 낙상감지, 호흡수/심박수 등을 계산하고AI 학습에 따라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WiFi를 통해Platform Server로 정보를 전달하여 이상징후, 위험상황 등을Monitoring하여 보호자 및 서비스 담당자 등에게 경고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작감지기 작동 원리


① 산업의 특성 등

60GHz Radar Sensor는 60GHz Frequency 범위에서 작동하는 Sensor입니다.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Healthcare, Mobility Radar, 산업용 Detection 등 다양한 Application에 사용됩니다. Frequency 범위는 Millimeter-Wave 주파수 범위, 특히 약 57-64GHz에서 작동합니다. High resolution과 High data rates을 위한 Wide bandwidths 지원 등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Healthcare 분야에서 Vital signs monitoring, Occupancy detection, Gesture recognition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High angular resolution를 달성할 수 있어 작은 물체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정밀도와 정확도가 필수적인 Short Range Application에 사용됩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60GHz Radar Sensor은 특히 Automotive, Industrial, Healthcare, 가전제품과 같은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Automotive 산업분야에서는 Adaptive cruise control, Collision avoidance, Parking assistance와 같은 Application으로 인해 차량의 Radar Sensor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Industrial 환경분야에서는 Distance measurement, Object detection, Level sensing 등 다양한 Application에 사용됩니다. Vital signs monitoring을 위한 의료 분야의 Radar Sensor와 Occupancy detection, Gesture recognition을 위한 Smart Home의 Radar Sensor는 현재 관련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Miniaturization과 Integration Technologies의 개발 적용으로 Radar Sensor를 더 작은 Device에 융합하여 더 넓은 범위의 응용 분야에서의 사용을 확대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제조업체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AI Algorithm 적용, Range, Accuracy, Signal processing 개선과 같은 Radar Sensor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Angular Resolution, Detection Accuracy, Range, Signal processing, Reliability 기능의 개선을 포함한 Radar Sensor 기술의 지속적인 혁신으로 경쟁 우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장 요구 사항을 이해하고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Radar Sensor를 Customizing화 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재실센서
재실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써 밀리미터 웨이브 파장을 이용하여 감지 대상의 속도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감지 대상의 미세한 움직임을 먼 거리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정시간 동안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고 순간적인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대상의 감지에 매우 짧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재실센서 동작 원리


① 산업의 특성 등

기존의 재실센서는 적외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감지 거리가 짧고 온도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여름, 겨울철에 사용할 경우 오작동 확률이 높고, 실내의 온도변화, 가령 주방과 같은 발열기구가 사용되는 구역에서의 오작동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나 mmWAVE를 이용한 센서는 감지거리가 길고 아주 짧은 순간의 움직임도 감지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오작동 확률이 낮습니다. 특히 화재와 같은 특수 상황에서는 밀리미터 웨이브 센서를 사용하여 정확한 움직임 감지가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기술이 발달하면서 조명기기와 각종 센서, 유무선 통신, 운용 소프트웨어 등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제어 가능한 ICT 기반의 커넥티드 기술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재실센서는 다양한 곳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현재 국내는 스마트시티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세종시 스마트시티, 부산시 에코델타시티 등과 같은 AI와 기반의 산업단지들이 구성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건축된 아파트에도 최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주거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각종 센서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화재 감지기용 재실센서는 건물 화재 발생시 세대별 구조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소방 방제 시스템에 전달함으로써 구조대의 구조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재실센서는 거주용 아파트 공급으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특정 여건하의 복합기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바 다양한 환경 및 상황에 적용 가능한 센서 모듈의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당사는 24GHz의 mmWAVE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레이더 방식의 재실센서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5.8GHz CW Doppler 효과를 활용한 저가형 재실센서 모듈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건설사 및 감지시스템, 디바이스 개발/제조사들의 요구에 맞춰 여러 상황에 맞는 센서 모듈을 개발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자체적으로 설계한 재실센서 모듈은 당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별도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24GHz 재실센서 모듈은 KC 인증이 완료되어 국내 건설사에서 제품적용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당사의 재실센서는 홈 IoT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스마트조명, 월패드, 보안CCTV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5) 피부밀착형 복합센서 

피부밀착형 복합센서


라닉스의 피부밀착형 복합센서는 피부밀착형 유연압력/인장 복합센서로써 신체 활성도 감지 지능형 반도체 기술을 통하여 인체 동작에 의한 간섭 및 외부 환경(온습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Skin-compatible 하며 고감도, 낮은 감지 한계(LOD: Limit of Detection)를 가진 센서입니다.

 

① 산업의 특성 등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 개인의 건강, 레저·스포츠, 의료 산업 등의 관심이 증대하면서 생활환경 속에서 일상적인 건강 모니터링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에서는 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등 다양한 웨어러블 장치들이 공급되고 있으며, 기술 발전으로 인해 액세서리형 장치를 넘어서서 직물(Fabric)과 일체화 혹은 신체 부착/이식형 장치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세계적 관점에서도 아직은 연구적인 관점에서 사업화 단계로 진입하고 있는 만큼, 국내 반도체, 모바일, IT 기술을 이용하여 적극 대응한다면 충분히 시장경쟁에 동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디지털 헬스케어는 체온, 혈당수치, 심장 박동수 등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맞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영역이 성장하면서 의료영역에서 일반 소비영역까지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18년 1조 9,000억 원에서 2019년 6조 4,257억 원으로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 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 보고서)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규모는 2018년 1,272억 7,000만 달러에서 2023년 3,410억 2,0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 이 중에서 전자건강기록(EHR:Electronic Health Records) 등 기타 부문이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으며, 모바일 헬스 시장 규모가 연평균 29.6%의 성장률을 보이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출처: Technavio)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현재는 당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피부밀착형복합센서를 활용한 다양한 모듈, 제품으로 상품화 개발 기획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꾸준한 기획 개발을 통해 시장에서 요구하는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 중입니다.

 

6) Smart Watch

Smart Watch는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각종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정보와 활동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런 사용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품을 출시하였고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표준제품으로 등록을 완료하고 양산 제품 출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① 산업의 특성 등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상생활환경 속에서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센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건강 정보의 정확도도 높아져서 건강 이상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의료기 수준에 도달한 제품도 있습니다. 다양한 센서를 내장하고 휴대가 간편한 웨어러블 장치들이 많이 공급되고 있으며, 센서 기술과 이를 응용한 기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② 국내외 시장여건 등

세계 스마트워치 판매량 추이


웨어러블 시장은 모바일 및 스마트폰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 적용에 대한 인프라가 안정화되었습니다. 시계, 목걸이, 안경의 형태는 이미 대중화된 상태이며 몸에 붙이고 다니는 방식의 개발은 대부분 완료된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기기들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및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사람의 신체와 밀접한 일상생활 어디든 기술적 접목이 가능한 웨어러블 시장은 매력포인트를 충분히 갖춘 블루오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③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등

현재 고객의 요구사항을 조사 및 분석하고 있으며, 시장에서 요구하는 니즈를 충족시킬 수 제품을 기획하는 단계입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4년 3월 11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www.ranix.co.kr)에 공시된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결]

연결 재무상태표

제 21 기          2023.12.31 현재

제 20 기          2022.12.31 현재

(단위 : 원)

 

제 21기

제 20 기

자산

   

 유동자산

11,783,781,605

17,405,707,598

  현금및현금성자산

1,530,936,944

1,897,886,505

  단기금융상품

6,000,939,623

10,300,908,432

  매출채권

1,143,317,019

2,070,169,083

  기타금융자산

1,123,484,703

1,138,155,478

  재고자산

1,416,365,079

1,755,672,188

  기타유동자산

190,428,360

236,287,093

  파생상품자산

378,309,877

6,628,819

 비유동자산

17,445,524,730

24,568,992,001

  장기금융상품

-

6,000,000,000

  유형자산

17,040,765,924

17,267,764,140

  무형자산

311,721,338

409,279,729

  기타비유동자산

93,037,468

86,750,289

  이연법인세자산

-

805,197,843

 자산총계

29,229,306,335

41,974,699,599

부채

   

 유동부채

6,202,753,627

27,534,541,939

  단기차입금

5,000,000,000

-

  매입채무

197,383,914

300,585,008

  미지급금

158,228,775

32,389,609

  유동성장기부채

-

12,000,000,000

  유동 리스부채

32,415,078

44,010,848

  전환사채

-

14,148,143,186

  기타 유동부채

814,725,860

1,009,413,288

 비유동부채

12,394,594,478

118,170,311

  장기차입금

5,000,000,000

-

  신주인수권부사채

6,321,841,410

-

  전환사채

- -

  파생상품부채

879,211,981

-

  비유동 리스부채

104,752,920

50,894,693

  장기종업원급여충당부채

88,788,167

67,275,618

  이연법인세부채

- -

 부채총계

18,597,348,105

27,652,712,250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10,631,958,230

14,321,987,349

  자본금

4,906,920,000

4,906,920,000

  자본잉여금

10,940,656,185

10,940,656,185

  기타자본

5,999,547,233

4,319,846,890

  이익잉여금(결손금)

(11,215,165,188)

(5,845,435,726)

 자본총계

10,631,958,230

14,321,987,349

자본과부채총계

29,229,306,335

41,974,699,599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21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제 20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단위 : 원)

 

제 21 기

제 20 기

영업수익

11,543,221,600

10,984,971,091

매출원가

4,954,738,812

4,206,948,855

매출총이익

6,588,482,788

6,778,022,236

판매비와관리비

9,545,669,719

8,578,133,859

영업이익(손실)

(2,957,186,931)

(1,800,111,623)

금융수익

246,251,801

255,300,330

금융비용

1,911,726,544

4,429,211,248

기타수익

26,945,958

45,694,151

기타비용

130,239,260

31,525,58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725,954,976)

(5,959,853,973)

법인세비용(수익)

643,774,486

(1,029,650,729)

당기순이익(손실)

(5,369,729,462)

(4,930,203,244)

기타포괄손익

6,521,621

(6,811,835)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해외사업환산손익

6,521,621

(6,811,835)

총포괄손익

(5,363,207,841)

(4,937,015,079)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555.87)

(511.72)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555.87)

(511.72)


연결 자본변동표

제 21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제 20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지배기업 소유지분

 비지배지분

 자본 합계

자본금

 연결 자본잉여금

 연결 기타자본

연결 이익잉여금

 지배기업 소유지분 합계

2021.01.01 (기초자본)

4,874,670,000

10,446,671,995

94,668,795

1,755,169,667

17,171,180,457

-

17,171,180,457

자기주식취득

- - - - - - -

주식기준보상거래

31,500,000

483,110,860

324,372,049

-

838,982,909

-

838,982,909

당기순이익(손실)

- - -

(2,670,402,149)

(2,670,402,149)

-

(2,670,402,149)

전환사채의 발행

- -

3,990,979,376

-

3,990,979,376

-

3,990,979,376

전환사채의 감소

- - - - -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 - - - -

해외사업환산손익

- -

2,489,758

-

2,489,758

-

2,489,758

2021.12.31 (기말자본)

4,906,170,000

10,929,782,855

4,412,509,978

(915,232,482)

19,333,230,351

-

19,333,230,351

2022.01.01 (기초자본)

4,906,170,000

10,929,782,855

4,412,509,978

(915,232,482)

19,333,230,351

-

19,333,230,351

자기주식취득

- -

(12,855,000)

-

(12,855,000)

-

(12,855,000)

주식기준보상거래

750,000

10,873,330

(72,996,253)

-

(61,372,923)

-

(61,372,923)

당기순이익(손실)

- - -

(4,930,203,244)

(4,930,203,244)

-

(4,930,203,244)

전환사채의 발행

- - - - - - -

전환사채의 감소

- - - -  -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 - - - -

해외사업환산손익

- -

(6,811,835)

-

(6,811,835)

-

(6,811,835)

2022.12.31 (기말자본)

4,906,920,000

10,940,656,185

4,319,846,890

(5,845,435,726)

14,321,987,349

-

14,321,987,349

2023.01.01 (기초자본)

4,906,920,000

10,940,656,185

4,319,846,890

(5,845,435,726)

14,321,987,349

-

14,321,987,349

자기주식취득

- - - - - - -

주식기준보상거래

- -

204,063,122

 -

204,063,122

-

204,063,122

당기순이익(손실)

- - -

(5,369,729,462)

(5,369,729,462)

-

(5,369,729,462)

전환사채의 발행

- - - - - - -

전환사채의 감소

- - - - -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1,469,115,600

-

1,469,115,600

-

1,469,115,600

해외사업환산손익

- -

6,521,621

-

6,521,621

-

6,521,621

2023.12.31 (기말자본)

4,906,920,000

10,940,656,185

5,999,547,233

(11,215,165,188)

10,631,958,230

-

10,631,958,230

             

연결 현금흐름표

제 21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제 20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단위 : 원)

 

제 21 기

제 20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1,302,209,421)

(1,592,699,234)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1,443,717,187)

(1,630,635,984)

 이자수취

513,649,172

252,736,743

 이자지급

(372,141,406)

(214,799,993)

투자활동현금흐름

9,989,351,845

2,631,876,819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15,300,000,000

300,000,000

 정기예적금의 처분

5,826,595,845

3,000,000,000

 기타보증금의 회수

- -

 비품의 취득

(13,559,546)

(43,292,348)

 시설장치의 취득

(4,571,200)

(44,000,000)

 소프트웨어의 취득

(44,129,206)

(11,040,201)

 특허권의 취득

(38,048)

(2,882,200)

 회원권의 취득

- -

 정기예적금의 취득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11,000,000,000)

(300,908,432)

 보증금의 증가

(28,946,000)

-

 출자금의 증가

(46,000,000)

(266,000,000)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

재무활동현금흐름

(9,049,187,521)

(52,874,520)

 단기차입금의 증가

5,000,000,000

 -

 장기차입금의 증가

5,000,000,000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8,000,000,000

 -

 주식선택권행사로 인한 현금유입

-

10,609,000

 전환사채의 발행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

 장기차입금의 상환

(12,000,000,000)

 -

 전환사채의 상환

(15,000,000,000)

 -

 자기주식의 취득

 -

(12,855,000)

 리스부채의 지급

(49,187,521)

(50,628,520)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366,949,561)

986,713,781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897,886,505

911,172,724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4,904,464)

410,716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530,936,944

1,897,886,505


지배기업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21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제20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2022년 12월 31일 까지
처리예정일 2024년 03월 26일
처분확정일 2023년 03월 23일
회사명 : 주식회사 라닉스 (단위 : 천원)
과        목 제21(당) 기 제20(전)기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11,215,165)
(5,845,436)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5,845,436)
(915,232)
  당기순이익(손실) (5,369,729)
(4,930,203)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11,215,165)
(5,845,436)

※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별도]

재무상태표

제 21 기          2023.12.31 현재

제 20 기          2022.12.31 현재

(단위 : 원)

 

제 21 기

제 20 기

자산

   

 유동자산

11,579,618,720

17,251,703,013

  현금및현금성자산

1,333,019,749

1,747,491,226

  단기금융상품

6,000,939,623

10,300,908,432

  매출채권

1,143,317,019

2,070,169,083

  기타금융자산

1,123,240,340

1,134,546,172

  재고자산

1,410,363,752

1,755,672,188

  기타유동자산

190,428,360

236,287,093

  파생상품자산

378,309,877

6,628,819

 비유동자산

17,622,629,731

24,712,079,430

  장기금융상품

-

6,000,000,000

  장기대여금

183,303,100

-

  유형자산

17,036,376,225

17,261,935,935

  무형자산

311,721,338

409,279,729

  이연법인세자산

 -

805,197,843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153,633,074

  기타비유동자산

91,229,068

82,032,849

 자산총계

29,202,248,451

41,963,782,443

부채

   

 유동부채

6,188,171,602

27,523,624,783

  단기차입금

5,000,000,000

 -

  매입채무

190,602,414

300,585,008

  미지급금

155,241,833

25,396,222

  유동성장기부채

 -

12,000,000,000

  유동 리스부채

32,415,078

44,010,848

  전환사채

 -

14,148,143,186

  기타 유동부채

809,912,277

1,005,489,519

 비유동부채

12,394,594,478

118,170,311

  장기차입금

5,000,000,000

 -

  신주인수권부사채

6,321,841,410

 -

  전환사채

 -  -

  파생상품부채

879,211,981

 -

  비유동 리스부채

104,752,920

50,894,693

  장기종업원급여충당부채

88,788,167

67,275,618

  이연법인세부채

 -  -

 부채총계

18,582,766,080

27,641,795,094

자본

   

 자본금

4,906,920,000

4,906,920,000

 자본잉여금

10,940,656,185

10,940,656,185

 기타자본

5,997,347,689

4,324,168,967

 이익잉여금(결손금)

(11,225,441,503)

(5,849,757,803)

 자본총계

10,619,482,371

14,321,987,349

자본과부채총계

29,202,248,451

41,963,782,443


포괄손익계산서

제 21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제 20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단위 : 원)

 

제 21 기

제 20 기

영업수익

11,543,221,600

10,984,971,091

매출원가

4,954,738,812

4,206,948,855

매출총이익

6,588,482,788

6,778,022,236

판매비와관리비

9,351,324,590

8,336,811,603

영업이익(손실)

(2,762,841,802)

(1,558,789,367)

금융수익

250,656,776

254,819,649

금융비용

1,911,668,982

4,429,211,248

기타수익

24,605,789

45,681,861

기타비용

332,660,995

404,149,086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731,909,214)

(6,091,648,191)

법인세비용(수익)

643,774,486

1,029,650,729

당기순이익(손실)

(5,375,683,700)

(5,061,997,462)

기타포괄손익

- -

총포괄손익

(5,375,683,700)

(5,061,997,462)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556.49)

(525.40)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556.49)

(525.40)


자본변동표

제 21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제 20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이익잉여금

자본 합계

2021.01.01 (기초자본)

-

10,446,671,995

94,668,795

1,755,169,667

17,171,180,457

자기주식취득

 - - - - -

주식기준보상거래

31,500,000

483,110,860

324,372,049

 -

838,982,909

당기순이익(손실)

- - -

(2,542,930,008)

(2,542,930,008)

전환사채의 발행

- -

3,990,979,376

 -

3,990,979,376

전환사채의 감소

- - -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 - -

2021.12.31 (기말자본)

4,906,170,000

10,929,782,855

4,410,020,220

(787,760,341)

19,458,212,734

2022.01.01 (기초자본)

4,906,170,000

10,929,782,855

4,410,020,220

(787,760,341)

19,458,212,734

자기주식취득

- -

(12,855,000)

-

(12,855,000)

주식기준보상거래

750,000

10,873,330

72,996,253

-

61,372,923

당기순이익(손실)

- - -

(5,061,997,462)

(5,061,997,462)

전환사채의 발행

- - - - -

전환사채의 감소

- - -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 - -

2022.12.31 (기말자본)

4,906,920,000

10,940,656,185

4,324,168,967

(5,849,757,803)

14,321,987,349

2023.01.01 (기초자본)

4,906,920,000

10,940,656,185

4,324,168,967

(5,849,757,803)

14,321,987,349

자기주식취득

- - - - -

주식기준보상거래

-  -

204,063,122

 -

204,063,122

당기순이익(손실)

- - -

(5,375,683,700)

(5,375,683,700)

전환사채의 발행

- - - - -

전환사채의 감소

- - - -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 -

1,469,115,600

 -

1,469,115,600

2023.12.31 (기말자본)

4,906,920,000

10,940,656,185

5,997,347,689

(11,225,441,503)

10,619,482,371


현금흐름표

제 21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제 20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단위 : 원)

 

제 21 기

제 20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1,119,478,937)

(1,347,952,242)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1,260,986,703)

(1,385,888,992)

 이자수취

513,649,172

252,736,743

 이자지급

(372,141,406)

(214,799,993)

투자활동현금흐름

9,759,099,445

2,400,502,416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300,000,000

 정기예적금의 처분

15,300,000,000

3,000,000,000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5,826,595,845

 -

 기타보증금의 회수

 -  -

 비품의 취득

(13,559,546)

(38,506,751)

 시설장치의 취득

(4,571,200)

(44,000,000)

 소프트웨어의 취득

(44,129,206)

(11,040,201)

 특허권의 취득

(38,048)

(2,882,200)

 회원권의 취득

 -  -

 기타유형자산의 취득

 -  -

 정기예적금의 취득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11,000,000,000)

(566,908,432)

 장기대여금의 증가

(230,252,400)

 -

 보증금의 증가

(28,946,000)

 -

 출자금의 증가

(46,000,000)

 -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236,160,000)

재무활동현금흐름

(9,049,187,521)

(52,874,520)

 단기차입금의 증가

5,000,000,000

 -

 장기차입금의 증가

5,000,000,000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8,000,000,000

 -

 주식선택권행사로 인한 현금유입

 -

10,609,000

 전환사채의 발행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

 장기차입금의 상환

(12,000,000,000)

 -

 전환사채의 상환

(15,000,000,000)

 -

 자기주식의 취득

 -

(12,855,000)

 리스부채의 지급

(49,187,521)

(50,628,520)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414,471,477)

999,675,654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747,491,226

747,815,572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4,904,464)

 -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333,019,749

1,747,491,226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21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제20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2022년 12월 31일 까지
처리예정일 2024년 03월 26일
처분확정일 2023년 03월 23일
회사명 : 주식회사 라닉스 (단위 : 천원)
과        목 제21(당) 기 제20(전) 기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11,225,442)
(5,849,758)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5,849,758)
(787,760)
  당기순이익(손실) (5,375,684)
(5,061,997)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11,225,442)
(5,849,758)

※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당사는 최근 2사업연도에 배당이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최승욱 1962.12.21 미해당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서태석 1959.09.22 미해당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박의순 1966.02.08 미해당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정홍구 1969.01.31 미해당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장경희 1962.06.20 해당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총 ( 5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최승욱 (주)라닉스 대표이사 2003~현재 (주)라닉스 대표이사 해당사항없음
서태석 (주)라닉스 부사장 2015~2019 글로벌파운드리즈 한국사업본부장 해당사항없음
2020~현재 (주)라닉스 부사장
박의순 (주)라닉스 경영본부장 2006~2011 (주)자연인 대표이사 해당사항없음
2011~현재 (주)라닉스 경영본부장
정홍구 (주)라닉스 사업화혁신본부장 2004~2021 (주)라닉스 연구위원 해당사항없음
2021~2023 (주)라닉스 SCM 혁신본부장
2023~현재 (주)라닉스 사업화혁신본부장
장경희 (주)라닉스 사외이사 2018~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신산업분야
TBT 대응협의회 미래차/친환경수송분과 위원장
해당사항없음
2022~현재 국가전략기술 첨단모빌리티 부문 기술조정위원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최승욱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서태석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박의순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정홍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장경희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장경희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국가첨단교통 및 첨단모빌리티 등 관련 경제 및 정책 분야 전문가로서 당사 해당 분야의 경영 강화에 기여하는 한편, 이사회에 실질적인 조언을 해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전문적인 능력을 바탕으로 회사의 사외이사로서 독립적인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최대주주와의 독립적인 위치, 회사와의 거래 또는 겸직 등으로 인한 특정한 이해관계가 없어,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업무수행이 가능합니다.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본 후보자는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방침을 접목하여 아래 가치 제고에 노력하겠습니다.

첫째 회사의 영속성을 위한 기업 가치 제고

둘째 기업 성장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

셋째 동반 성장을 위한 이해관계자 가치 제고

넷째 기업의 역할 확장을 통한 사회 가치 제고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철저히 이해하고 있으며, 선관주의 의무,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 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 비밀 준수 의무 등을 엄격히 준수할 것입니다. 특히 회사의 핵심가치인 지속가능경영 방침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 전반에서 회사에 공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최승욱 사내이사 후보자]
자동차 및 IoT 통신 및 보안 솔루션 분야의 최고 개발 전문가로서 탁월한 경영역량을 발휘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자율주행 시장을 주도하여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동 후보자를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서태석 사내이사 후보자]
IT 분야의 전문가이자 경영인으로서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을 감독할 수 있는 역량과 함께 IT산업에 대한 통찰력과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통한 글로벌 경영 감각으로 이사회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동 후보자를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박의순 사내이사 후보자]
다년간 경영관리 보직들을 거치며 경영 리스크 관리역량을 입증하였고, 폭넓은 안목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음. 현재는 경영본부장으로서 사업 성과창출을 위해 핵심 스탭 기능과 진단 및 내부회계관리자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으며 전사 경영 이슈를 조율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동 후보자를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정홍구 사내이사 후보자]
사업화혁신본부장으로서 개발, 품질 등 다년간의 경험을 살려 제품 경쟁력 확보를 통한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판단되어 동 후보자를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장경희 사외이사 후보자]
국가첨단교통 및 첨단모빌리티 등 관련 경제 및 정책 분야 전문가로서 당사 해당 분야의 경영 강화에 기여하는 한편, 이사회에 실질적인 조언을 해줄 것으로 판단되어 동 후보자를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최승욱 확인서

서태석 확인서

박의순 확인서

정홍구 확인서

장경희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해당 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권유시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오유섭 1957.10.01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오유섭 (주)라닉스 감사 2011~2022 (주)매커스 사외이사 해당사항없음
2022~현재 (주)엠루크 대표이사
2018~현재 (주)라닉스 감사


다.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해당 후보자는 과거경력, 그 동안의 업무수행 등을 통해 충분한 경력과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의 전반적인 업무를 감사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하였습니다.
또한, 당 회사와의 거래, 겸직 등에 따른 특정한 이해관계가 없으며, 독립성 및 책임감, 윤리의식 등을 고려하였습니다.


확인서

오유섭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300(백만원)


(전 기)

사내이사의 수 5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65(백만원)
최고한도액 2,200(백만원)


사외이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0(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0(백만원)
최고한도액 2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689

라닉스 (3171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