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발행실적보고서 2023-08-18 15:5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18000296
금융감독원장 귀하 | 2023년 8월 18일 |
회 사 명 : | 씨제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천 종 식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4, B동 7층 (남대문로5가, 그랜드센트럴) |
(전 화)02-6078-3456 | |
(홈페이지) http://www.cjbioscienc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지원실장 (성 명) 최 임 재 |
(전 화)02-6078-3456 | |
1. 기업개요
상장구분 | 기업규모 | 업종구분 |
---|---|---|
코스닥 | 대기업 | 연구개발업 |
2. 발행 개요
(단위 : 원) |
구분 | 발행총액 | 비고 |
---|---|---|
기타 | 45,629,341,300 | 주주배정후실권주일반공모 |
1. 청약 및 납입일정
구분 | 청약개시일 | 청약종료일 | 납입기일 |
---|---|---|---|
구주주 청약 (초과청약 포함) | 2023년 08월 09일 | 2023년 08월 10일 | 2023년 08월 18일 |
2. 인수기관별 인수금액
(단위 : 원) |
인수기관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비 율(%) | 비 고 |
---|---|---|---|---|
NH투자증권(주) | 2,317 | 32,692,870 | 0.07 | 대표주관회사 단수주 인수 |
계 | 2,317 | 32,692,870 | - | - |
주1) 초과청약 배정 후 발생한 단수주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2항 5호에 따라 대표주관회사 NH투자증권(주)가 인수하였습니다. 주2) 비율은 유상증자 신주 수인 3,233,830주를 기준으로 합니다. |
3. 청약 및 배정현황
(단위 : 원, 주, %) |
구 분 | 최초 배정 | 청약 현황 | 최종 배정 현황 | |||||||
---|---|---|---|---|---|---|---|---|---|---|
수량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
신주인수권증서청약 | 3,233,830 | 100 | 4,596 | 2,966,427 | 41,856,284,970 | 84.7 | 4,596 | 2,966,427 | 41,856,284,970 | 91.7 |
초과청약 | - | - | 3,422 | 536,782 | 7,573,994,020 | 15.3 | 2,630 | 265,086 | 3,740,363,460 | 8.2 |
단수주 | - | - | - | - | - | - | 1 | 2,317 | 32,692,870 | 0.1 |
계 | 3,233,830 | 100 | 8,018 | 3,503,209 | 49,430,278,990 | 100 | 7,227 | 3,233,830 | 45,629,341,300 | 100 |
4. 일반투자자 배정방식별 배정현황
구분 | 배정수량(주) | 비중(%) | 균등방식 유형 |
---|---|---|---|
균등방식 | - | - | - |
비례방식 | - | - | - |
계 | - | - | - |
5. 기관투자자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배정현황
(단위 : 주, %) |
확약기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ㆍ 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보험 | 기타 | 거래 실적 유 | 거래 실적 무 |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분 | 증자 전 | 증자 후 | 비고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CJ제일제당(주) | 최대주주 | 2,580,157 | 43.89% | 4,140,899 | 45.44% | - |
천종식 | 등기임원 | 390,859 | 6.65% | 462,859 | 5.08% | 대표이사 |
소계 | 2,971,016 | 50.54% | 4,603,758 | 50.52% | - | |
발행주식 총수 | 5,878,672 | 100.00% | 9,112,502 | 100.00% | - |
주1) 증자 전은 본 유상증자의 신주배정기준일인 2023년 07월 10일 기준이며, 증자 후는 납입일 익일 기준 입니다. 주2) 유상증자 이후 지분율은 유상증자 전 발행주식총수인 5,878,672주에 본건 유상증자 신주 수인 3,233,830주를 더한 9,112,502주를 기준으로 합니다. |
- 증자 등기 신청 예정일 : 2023년 08월 18일
- 주권상장 및 유통 개시 예정일 : 2023년 08월 30일
1. 공고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공고일자 | 공고방법 |
---|---|---|
신주 발행 및 배정기준일(주주확정일) 공고 | 2023년 05월 23일 |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cjbioscience.com) |
모집가액 확정의 공고 | 2023년 08월 07일 |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cjbioscience.com) |
2. 증권신고서
가.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3년 05월 22일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초 제출 |
2023년 06월 07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기재정정에 따른 정정(파란색) |
2023년 07월 06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보라색) |
2023년 08월 07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빨간색) |
3. 투자설명서
가.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서면문서 : 씨제이바이오사이언스(주)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4, B동 7층 NH투자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투자설명서 제출 및 정정 연혁]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3년 06월 22일 | 투자설명서 | 최초 제출 |
2023년 07월 06일 | [정정] 투자설명서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보라색) |
2023년 08월 07일 | [정정] 투자설명서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빨간색) |
1. 자금조달 내용
(단위 : 원, 주) |
구분 | 주식 구분 | 신고서상 발행예정총액 | 실제 조달금액 | 비고 | ||
---|---|---|---|---|---|---|
발행가액 | 수 량 | 발행총액 | ||||
모집 | 보통주 | 45,629,341,300 | 14,110 | 3,233,830 | 45,629,341,300 | - |
계 | 45,629,341,300 | 14,110 | 3,233,830 | 45,629,341,300 | - | |
매출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총 계 | 45,629,341,300 | 14,110 | 3,233,830 | 45,629,341,300 | - |
2. 자금의 사용목적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45,629,341,300 | - | - | - | 45,629,341,300 |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조달 예정인 총 약 456억원에 대하여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모집되는 자금은 파이프라인 임상개발 등에[CJRB-101(13,128백만원), CLP-105(2,954백만원),4D 파이프라인 개발(6,495백만원)]에 총 22,577백만원, 플랫폼 기술 3,831백만원, 기반기술 1,511백만원, 탐색연구 2,587백만원, 직원급여 등에 15,125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개발에 사용되는 자금은 회계상 연구개발비로 처리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우선순위]
(단위: 백만원) |
우선순위 | 구분 | 자금용도 | 23년3분기 | 23년4분기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합계 |
---|---|---|---|---|---|---|---|---|---|
1 | 운영자금 | 연구개발비 | 5,848 | 5,880 | 7,571 | 7,953 | 9,546 | 8,832 | 45,629 |
합계 | 5,848 | 5,880 | 7,571 | 7,953 | 9,546 | 8,832 | 45,629 |
자료 : 당사 제시 |
[유상증자 자금의 세부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
구분 | 자금용도 | 세부내용 | 23년3분기 | 23년4분기 | 24년1분기 | 24년2분기 | 24년3분기 | 24년4분기 | 합계 | |
---|---|---|---|---|---|---|---|---|---|---|
운영자금 | 연구 개발비 | 임상개발비 등 | CJRB-101 | 1,430 | 1,430 | 2,567 | 2,567 | 2,567 | 2,567 | 13,128 |
CLP-105 | 401 | 401 | 501 | 501 | 551 | 601 | 2,954 | |||
4D 파이프라인 전임상/임상개발 | 382 | 382 | 764 | 1,146 | 2,292 | 1,528 | 6,495 | |||
플랫폼기술 | Ez-Mx™ 고도화 및 글로벌 확장 | 529 | 529 | 495 | 495 | 892 | 892 | 3,831 | ||
Microbiome 기반 기술 | eLBP, 공정개발 | 273 | 273 | 241 | 241 | 241 | 241 | 1,511 | ||
탐색연구 | HMS 공동연구 등 | 431 | 431 | 431 | 431 | 431 | 431 | 2,587 | ||
직원급여 | 연구원 급여 | 1,975 | 1,975 | 2,113 | 2,113 | 2,113 | 2,113 | 12,403 | ||
기타 | 연구소 운영 등 | 428 | 459 | 459 | 459 | 459 | 459 | 2,722 | ||
합계 | 5,848 | 5,880 | 7,571 | 7,953 | 9,546 | 8,832 | 45,629 |
자료 : 당사 제시 |
1. 운영자금
▶ 연구개발비(임상개발비 등)
1) CJRB-101
당사가 개발중인 CJRB-101은 LBP(Live Biotherapeutic Product)로 면역항암제 불응성 고형암(면역항암제 병용 투여, 1차 타겟 폐암)을 타겟으로하는 Microbiome 신약 후보 균주입니다. LBP란 살아있는 미생물 기반의 Microbiome 치료제로서 CJRB-101은 인체 면역세포의 효능을 높여 면역항암제 병용 시, 항암 효능을 증대시키는 기전을 보유하고 있으며, 당사는 CJRB-101을 Microbiome 신약으로 개발 중입니다.
실제 폐암환자로부터 암 조직을 이식한 동물 모델에서의 평가를 통해 면역항암제와 병용 투여 시, 단독 투여 대비 우수한 항암 유효성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타겟 적응증 확장을 위해 폐암 뿐만 아니라 타 암종(두경부암, 피부암)에 대한 비임상 유효성 평가를 진행중입니다. 현재 다국가 임상개발을 위해 '23년 1월 미국 FDA 임상 1/2상 IND승인을 받았고, 6월 한국 식약처에서도 임상승인을 받아 '23년 3분기 본격 임상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CJRB-101의 성공적 임상개발을 위해 글로벌 임상개발 CRO 6,266백만원, 임상샘플 분석 1,791백만원, 임상시료 생산 1,266백만원, 병용약 구매 3,805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으로 추후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CJRB-101 관련 세부지출 계획]
(단위: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금액 |
---|---|---|---|
CJRB-101 | 글로벌 임상 CRO 비용 | 2023년 3분기 | 6,266 |
임상샘플 분석 비용 | 1,791 |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 1,266 | ||
병용약(면역항암제) 구매 비용 | 3,805 | ||
합계 | 13,128 |
자료 : 당사 제시 |
2) CLP-105
당사가 개발중인 CLP-105는 건강한 사람의 장내에서 자생하는 절대혐기성 균주로 염증성 장질환(IBD)을 타겟으로 하는 Microbiome 신약 후보 균주입니다. CLP-105는 급성 염증성 장질환 동물모델을 통한 전임상 시험에서 염증성 장질환 활성지표(DAI score)의 감소 등을 확인하였으며, 만성 염증성 장질환 동물모델(Chronic DSS Colitis)을 통한 전임상시험에서 생존율, 몸무게, DAI, 장 길이, 조직병리 및 분변/혈액 내 염증지표 개선이 확인되었습니다. 임상개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4D 파이프라인 중 MRx1233(염증성 장질환 타겟)과제와 Consortia로 개발하기 위해 추가 전임상 시험 및 '24년 하반기 임상1상 IND 신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CLP-105의 임상1상 IND 신청을 위해 글로벌 임상개발 CRO 803백만원, 절대혐기성 균주 공정개발 1,015백만원, 임상시료 생산 636백만원, 유효성 평가 260백만원, 멀티오믹스 분석 239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CLP-105 관련 세부지출 계획]
(단위: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금액 |
---|---|---|---|
CLP-105 | 글로벌 임상 CRO 비용 | 2023년 3분기 | 803 |
절대혐기성 균주 공정개발 | 1,015 |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 636 | ||
유효성 연구 비용 | 260 | ||
멀티오믹스 분석 비용 | 239 | ||
합계 | 2,954 |
자료 : 당사 제시 |
3) 4D 파이프라인 전임상/임상개발
당사는 Microbiome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해 Open Innovation 기반 외부 유망후보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23년 3월 영국 4D Pharma社의 고형암, 소화기 질환, 뇌 질환, 면역질환 등 타겟 유망후보 균주 9종의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도입 후보과제의 임상개발 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 추가 안전성, 유효성 재평가 및 임상프로토콜을 재수립 후 우선순위를 정하여 '24년 하반기 최소 2개 과제 이상 글로벌 임상1상 IND 신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임상1상 과제 확보를 위해 도입 후보균주 8종(MRx1233은 CLP-105와 consortia 개발)에 대한 안전성, 유효성 연구 3,439백만원, 임상1상 IND신청을 위한 글로벌 임상 CRO 764백만원, 임상시료 생산 2,292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4D 파이프라인 전임상/임상개발 관련 세부지출 계획]
(단위: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금액 |
---|---|---|---|
4D 파이프라인 전임상/임상개발 | 글로벌 임상 CRO 비용 | 2023년 3분기 | 764 |
임상시료 생산 관련 비용 | 2,292 | ||
안전성 및 유효성 연구 비용 | 3,439 | ||
합계 | 6,495 |
자료 : 당사 제시 |
▶ 연구개발비(플랫폼 기술)
1) Ez-Mx™ 고도화 및 글로벌 확장
당사는 글로벌 Top 수준의 미생물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기반의 데이터 플랫폼인 Ez-Mx™를 구축하였습니다. Ez-Mx™ 플랫폼 기술은 Microbiome 신약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로 당사는 세계 최대 균주 Bank(실물균주 10,000종 이상), 표준화된 Discovery & MoA 규명, 글로벌 임상개발 역량, AI/머신러닝 기반 Bioinformatics 기술, 절대혐기성 공정개발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Ez-Mx™기반 Microbiome 신약개발(약물 반응성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MoA규명, 신약 후보균주 발굴) 집중 및 신사업(프리미엄 NGS 분석 서비스, 맞춤형 디지털 헬스케어)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Ez-Mx™ 플랫폼 기술의 고도화 및 글로벌 확장을 위해 국내외 주요 대학병원 및 연구기관과 다양한 질환모델 코호트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 Mayo Clinic 등과 감염진단 플랫폼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계획 중 입니다. 이에 당사는 Ez-Mx™ 고도화 396백만원, 미국 Mayo Clinic 등 공동연구 2,774백만원, 국내 주요 대학병원 연계 코호트 연구 66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Ez-Mx™ 고도화 및 글로벌 확장 관련 세부지출 계획]
(단위: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금액 |
---|---|---|---|
Ez-Mx™고도화 및 글로벌 확장 | Ez-Mx™ 고도화 | 2023년 3분기 | 396 |
미국 Mayo Clinic 등 공동연구 | 2,774 | ||
국내 주요 대학병원 연계 코호트 연구 | 660 | ||
합계 | 3,831 |
자료 : 당사 제시 |
▶ 연구개발비(Microbiome 기반 기술)
1) Engineered LBP 및 공정개발
당사는 Microbiome 치료제 Modality 확대를 위해 eLBP(Engineered Live Biotherapeutic Producsts)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eLBP는 특정 균주를 제거하거나, 특정 대사체 생성을 감소시키는 등, 미생물을 유전적으로조작, 치료 기능을 나타내도록
한 치료제 입니다. 최근 eLBP 치료제 가능성이 증명되면서 관련 임상시험도 증가하고 있으며, '22년 eLPB 임상시험은 65건이 진행 중 입니다. 특히, eLBP 기반 임상시험은 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임상시험이 71%를 차지하며, 새로운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당사 파이프라인 중 CLP-105, 4D 파이프라인 균주 9종 모두 혐기성균으로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안정성 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절대혐기균 공정개발을 위한 50L 규모 Pilot 설비를 확보하였고, 관련 공정개발 연구로 진행 중 입니다. 이에 당사는 eLBP 연구 500백만원, Bioprocessing 900백만원, 재료비 등 111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eLBP 및 공정개발 관련 세부지출 계획]
(단위: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금액 |
---|---|---|---|
eLBP 및 공정개발 | eLBP 연구 | 2023년 3분기 | 500 |
Microbiome Bioprocessing | 900 | ||
재료비 등 | 111 | ||
합계 | 1,511 |
자료 : 당사 제시 |
▶ 연구개발비(탐색연구)
1) HMS(Harvard Medical School) 공동연구 등
당사는 Microbiome 신약 후보균주 개발을 위해 '22년 9월 미국 Harvard Medical School과 공동연구(~'25년)를 계약하였으며, 이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알츠하이머 치매 등에 대한 작용기전 연구 및 후보균주 발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기적인 세미나 및 연구원 교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HMS의 Microbiome 신약개발 핵심역량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HMS 공동연구 2,387백만원, 재료비 등 20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HMS 공동연구 관련 세부지출 계획]
(단위: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역 | 기간 | 금액 |
---|---|---|---|
HMS 공동연구 | HMS 공동연구 비용 | 2023년 3분기 | 2,387 |
재료비 등 | 200 | ||
합계 | 2,587 |
자료 : 당사 제시 |
3. 자금의 운용계획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조달로부터 사용시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신주인수권증서 발행내역
(단위 : 주) |
청구일 | 발행시기 | 청구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 | 2023년 07월 19일 | KB국민은행 증권대행부 | 명의개서 대행기관 | 3,229,990 |
계 | 3,229,990 |
신주인수권증서에 의한 청약내역
(단위 : 주) |
청약일 | 청약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2023년 08월 10일 | 한국예탁결제원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 | 2,966,427 |
2023년 08월 10일 | 한국예탁결제원 (초과청약) | - | 536,782 |
2023년 08월 10일 | 직접청약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 | - |
계 | 3,503,209 |
1.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단위 : 주)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 구주주 배정 단수주 | 실권주 및 단수주 총계 |
---|---|---|
263,563 | 3,840 | 267,403 |
주) 구주주 배정 단수주 : 구주주 최초배정주식수 3,233,830주에서 구주주들에게 실제로 배정되어 발행된 신주인수권증서의 합인 3,229,990주를 차감한 단수주
2.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처리 내역 : 초과청약 배정
(단위 : 주)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초과청약 | 초과청약배정비율 | 비고 |
---|---|---|---|
267,403 | 536,782 | 0.4981594018 | 초과청약 단수주 2,317주 발행 |
주) 초과청약으로 발생한 단수주(2,317주)는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주)이 인수함.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818000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