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6-12 16:2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612000315
2024 년 06 월 12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리메드 | |
대표집행임원 : | 이 근 용 | |
본 점 소 재 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87, 301호~303호(용산동, 미건테크노월드 2차) | |
(전 화) 031-606-5755 | ||
(홈페이지) http://remed.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본부장 | (성 명) 이 정 수 |
(전 화) 031-606-5751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들의 건승과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 363조와 당사의 정관 제20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의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이하 소유 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일 시 : 2024년 06월 27일 (목) 오전 10시
2.장 소 : ㈜리메드 오송사업소 회의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2로 84)
3.회의목적사항
가.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이근용 사내이사 선임의 건
4. 주주총회 소집통지, 공고사항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4 등에 의거 주주총회 소집공고사항을 당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remed.kr)에 게재하고, 당사의 본사,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 또는 공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자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또는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만 인정)
간접행사: 위임장 원본(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위임인의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8.주주총회 참석 안내사항
주주총회의 일정 및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 없이 당사 홈페이지(http://remed.kr)에 재공시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관련 문의 : 031-606-5755)
9. 기타
본 의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Ⅲ.경영참고사항에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06월 12일 주식회사 리메드 대표집행임원 이 근 용 (직인생략) |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정성택 (출석률: 66%) | 이성온 (출석률: 83%) | |||
찬 반 여 부 | ||||
2024-01 | 2024-01-09 | 제1호 의안: 타법인 주식 취득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종속기업 증자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2024-02 | 2024-01-25 | 타법인 주식 취득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2024-03 | 2024-02-26 | 전환사채 발행의 건 | 찬성 | - |
2024-04 | 2024-02-27 | 제1호 의안: 2023 회계연도 결산 보고의 건 제2호 의안: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찬성 |
2024-05 | 2024-03-12 | 제1호 의안: 제2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2호 의안: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에 대한 평가보고의 건 제3호 의안: 전자투표제 도입 승인의 건 | - | 찬성 |
2024-06 | 2024-05-14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500 | - | - | 주) |
주) 상기 지급총액은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이익이 포함되어있으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보수한도 승인 금액입니다.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전자약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연구 및 개발되고 있습니다. 2015년 사람의 위에 직접적인신경자극을 주어 비만을 치료하는 전자약이 미 FDA승인을 받았습니다. 신경을 자극해 수면 무호흡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전자약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주목받고 있는 전자약의 분야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가시적인성과를 내고 있는 분야는 뇌와 관련된 분야입니다. 구체적으로 뇌와 관련한 전자약 연구 분야에는 미주신경에 전기 자극을 주어 코마 환자 등을 치료하는 Vagus Neuro Stimulation, 전두엽 피질에 자기 자극을 주어 난치성 우울증을 치료하는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이하 'TMS'), 뇌심부에 유치한 전극을 통해 전기 자극을 줌으로써 부분적으로 뇌의 활동을 억제하여 외과적인 파괴술과 같은 효과를 얻는 치료법으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에 적용하는 Deep Brain Stimulation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자약은 약물 부작용 및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인측면이 존재하고 기존 약물과 병용 효과 가능성도 있어 임상 도입이 빠르게 진전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념 검증 결과가 축적되고 안전성 검증이 진행되면 현재 약물 치료에 비해 부작용과 통원 빈도를 줄일 수 있어 치료비용 절감이 기대됩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최근 전자약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글로벌 전자약 시장규모는 2018년에 2조원을 넘어섰습니다. 미국 시장 조사 및 비즈니스 컨설팅 업체 리포츠 앤드 데이터(Reports and data)는 2018년 전 세계 전자약 시장 규모를 2018년 20억 달러(약 2조 4,000억원)로 평가했습니다. 연평균 8.5%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6년엔 38억 달러(약 4조 5,6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강력한 자기장을 생성시켜 비침습적인 자극으로 신경세포의 탈분극 유도를 통해 각종 질환을 치료/재활하는 의료기기를 개발 및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당사의 주요 사업으로는 정신과, 신경과, 재활의학과 등의 분야에서 비침습적방법으로 뇌질환 치료/재활 목적으로 TMS(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경두개자기자극)를 활용하는 뇌재활사업, 각종 근골격계 통증치료에 사용되는 NMS(Neuro Magnetic Stimulation, 신경자기자극)를 활용한 만성통증 치료사업, 근력 강화를 위한 CSMS(Core muscle Strengthen Magnetic Stimulation)를 활용한 에스테틱사업이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주요 사업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 중분류 | 추진현황 |
뇌재활 | 병원용 TMS 사업 | 우울증 치료에 대한 확증임상 완료 우울증 치료 국내, 중국, 일본, 유럽 출시 우울증 치료 미국 FDA 허가 |
알츠하이머 병의 기억력 및 인지기능의 변화 탐색임상 완료 | ||
뇌졸중의 상지재활 치료에 대한 확증임상 진행중 | ||
약물난치성뇌전증 치료에 대한 탐색임상 진행중 | ||
만성통증 | NMS 사업 | 통증치료 국내, 중국, 유럽 출시 통증치료 미국 FDA 허가 |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치료 탐색임상 완료 | ||
디스크 탈출증 치료 효과 탐색임상 완료 | ||
요통환자에 치료 효과 연구자 주도 임상 완료 | ||
ESWT 사업 | 통증치료 국내, 유럽 출시 | |
요통환자에 치료 효과 연구자 주도 임상 완료 | ||
뇌손상 환자의 어깨 통증에 대한 치료 탐색임상 진행중 | ||
에스테틱 사업 | CSMS 사업 | 근력강화 에스테틱용 국내, 유럽 출시 |
요실금 국내, 유럽 출시 |
2. 시장점유율
(가) 뇌재활 시장 경쟁 상황
당사는 TMS분야에서 아시아 및 국내에서 최초로 동 분야의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우울증 치료 목적의 치료 기기로 인증을 획득하여 비침습적으로 뇌 자극을 통해 난치성 뇌 질환을 치료하는 시장을 개척하였습니다. 당사는 현재까지도 국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일부 외국기업이 국내에 진출했으나 성능 대비 저렴한 가격, 고객이 원하는 빠른 납기 가능, 신속한 A/S 대응 등으로 국내에서 확고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외 TMS 시장을 확실하게 선도하고 있는 업체는 아직 없는 상황입니다. 아울러, 해외에서의 판매 증대를 위해 해외국가에서의 승인 신청을 지속적으로 시도 하는 등 시장 선도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5월, NMS분야에서 미국FDA승인을 획득한 바와 같이 TMS분야도 11월에 FDA승인 획득하였습니다. 이와함께 최근 글로벌 유통망을 보유한 해외 업체들과의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이들 업체들을 통한 TMS의 해외 시장 확대 가능성이 보이고 있습니다.한편, 우울증 치료 목적의 병원용 TMS 장비와 달리 가정용(재택용) TMS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당사만이 갖고 있는 제품입니다. 당사는 해외 경쟁사와는 달리 TMS의 주요 구성품을 모두 자체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기 때문에 핵심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가정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8kg 이내로 소형화 한 가정용(재택용) TMS제품을 개발하였습니다. 특히 뇌졸중, 치매 등의 환자가 주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TMS치료를 받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환자에게는 재택에서의 치료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와함께 당사는 기존의 재택용 TMS 제품을 한 층 더 발전시킨 제품 생산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중에 있습니다.
(나) 만성통증 치료시장 경쟁 상황
NMS기술은 당사에서 2003년 최초로 사업화한 기술입니다. 국내 시장에서 당사의 제품을 모방한 국내외의 제조사들이 경쟁하고 있으나 성능 대비 저렴한 가격, 상대적으로 빠른 납기, 신속한 품질 대응 등으로 인하여 당사는 국내 NMS 시장을 선도하고있습니다. 해외 판매는 주로 당사가 보유한 약 60여 개의 해외 대리점 및 ODM, OEM 판매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특히, 2018년부터는 독일의 Zimmer社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유럽, 미국 시장 등 선진국 시장을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당사의 제품을 모방한 소수의 제조사가 있으나 실제로는 경쟁상대가 없다 할 수 있으며, 해외시장에서는 BTL社가 가장 강력한 경쟁 상대입니다.
국내 ESWT 시장은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이 아직 없으며 외국 기업 및 국내 제조사등 다수의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ESWT 시장 점유율에 대한 공식적인 집계 자료가없어서 업체별 시장점유율을 알 수는 없지만 국내 제조사 중에는 당사의 기술수준이 가장 앞서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성능대비 높은 가격 경쟁력, 납기, 품질 대응 등으로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8년 출시된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 기기인 Salus-FSWT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어서 향후 당사의 매출 및 시장점유율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해외 ESWT 시장은 RichardWolf, Stortz社 등의 제조사를 비롯한 다수의 업체들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방사형 체외충격파 치료 기기인 Salus-RSWT에 대해서 2016년에 CE를 획득하고 유럽에 수출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국내에 출시한 초점형 체외충격파 치료 기기인 Salus-FSWT도 2021년 5월 CE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이에따라 향후 유럽 등 해외 수출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에스테틱 시장 경쟁 상황
에스테틱 시장에서 주요관심사는 CSMS(Core muscle Strengthen Magnetic Stimulation)입니다. 2018년말 독일 MEDICA에서 BTL社와 Zimmer社가 이 제품을 전시했고 미국 Denver에서 열린 에스테틱학회에서 Allergan社(AbbVie)가 당사와 Zimmer社가 개발한 CoolTone 제품을 소개하면서 본격적으로 이슈화 되었습니다. 현재는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BTL社와 Allergan社(AbbVie)가 경쟁하고 있으며 당사와 Zimmer社는 북미를 제외한 다른 시장에서 BTL社와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결국 리메드, BTL, Allergan(AbbVie), Zimmer社 제품이 경쟁하는 상황입니다.
(라) 비교우위 사항
현재 대부분의 경쟁사들은 우울증과 같은 잘 알려진 적응증 개발에도 아직 성과가 미흡한 수준이며, 첨단 네비게이션과 같이 꼭 필요한 기술 개발에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당사는 우울증, 뇌졸중, 치매와 같은 난치성 뇌질환 치료의 연구에 다각적으로 앞장서고 있으며 Brain Navigation과 같은 필요 기술 연구에도 집중하여 경쟁사들과의 차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네비게이션과 관련한 기술은 오랜 기간 TMS 제조사의 바람이었으나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경쟁사(미국의 Neuronetics사, 영국의 Magstim사 등도 포함)들은 네비게이션을 Brainsight와 같은 전문회사로부터 도입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Brainsight와 같은 1채널 Brain Navigation은 물론 치매 치료를 위한 3 채널 Brain Navigation까지 자체 개발하여 경쟁사와의 가격 경쟁력에서 상당히 유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임상 연구 분야에 있어서도 우울증 외에도 뇌졸중 치료를 위한 임상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치매와 관련한 임상연구를 5명의 임상자문연구위원과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침습적 뇌자극 치료에서의 임상 노하우를 통한 뇌졸중, 치매 등으로의 적응증 확대는 경쟁사가 단기간에 따라올 수 없는 확실한 경쟁 우위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당사는 미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판매중인 경쟁사의 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제품 경쟁력 향상에 노력해 왔으며 미국의 대표적인 Neuronetics사의 NeuroStar 제품에는 없는 Theta Burst Stimulation (I-TBS, IM-TBS, C-TBS Mode) 등의 치료 모드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등 경쟁사에 없는 기술을 제품에 탑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강남세브란스병원,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임상 연구를 수행하여 Accelerated TMS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으며, 이 프로토콜은 경쟁사에는 없는 치료 모드로서 통상적으로 15일 치료 기간을 3일, 5일, 10일로 단축시키는 고속치료 프로토콜입니다. 현재 당사 제품에는 이 프로토콜을 내장하여 경쟁사 제품 대비 기술적 우위성을 확보하였습니다. NMS 제품도 오랜 임상시험을 통하여 축적된 적응증에 따른 다양한 프로토콜 기술을 갖고 있어서 경쟁사의 제품에는 없거나 부족한 다양한 치료 모드(Auto Mode, Manual Mode, User Mode)를 제공하고 있으며, 여러 환자가 대기시에도 연속치료가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TMS장비의 트랜스듀서 효율 증대와 부피 절감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왔습니다. 대부분의 TMS 트랜스듀서는 사이즈가 크고 무거워서 핸들링이 불편성하지만, 당사는 트랜스듀서의 크기를 기존 크기 대비 60% 정도로 줄임으로써 사이즈와무게를 혁신적으로 줄이는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치매 치료를 위한 멀티채널 트랜스듀서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의 핵심 기술 중의 하나인 TMS 소형화 기술은 80kg의 TMS기를 8kg 미만으로 소형화 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개발입니다. 8kg 미만의 TMS제품은 재택으로의 이동 및 사용이 용이하고 편리한 맞춤형 헤드기어를 통해 재택에서의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현재는 우울증 외에도 뇌졸중과 치매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적응증 추가 시 즉각적인 적용이 가능합니다. 경쟁사 대비 당사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도 경쟁사는 따라올 수 없는 비교 우위 요소입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TMS 시장의 특성
① 우울증 시장
우울증은 기분 장애의 일종으로 우울한 기분, 초조, 식욕 저하, 불면증, 지속적인 슬픔, 불안, 의욕ㆍ관심ㆍ정신 활동의 저하 등을 특징으로 하고 감정을 조절하는 뇌의 기능에 변화가 생겨서 부정적인 감정이 나타나는 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3억 명 이상이 앓고 있는 질환(출처: WHO 2018)입니다.
② 뇌졸중 시장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뇌혈관의 이상 이외에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됩니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의 흐름이 막혀 뇌 신경세포가 기능을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출혈성 뇌졸중은 뇌 안에서 혈관이 터져 뇌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3대 사망원인 중의 하나로서, 전 세계 인구 6명 중 1명이 경험을 하게되며, 암, 심혈관질환과 함께 한국 전체 사망원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3대 질환입니다.(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2019년) 이는 고연령일수록 혈관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혈관 등이 퇴행으로 인해 변화가 발생함에 기인하며 특성상 치료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합병증이나 2차 질환 등을 관리해야하므로 직간접 의료비 지출이 많습니다. 따라서 65세 이상 노인 비율 추이 증가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뇌졸중과 관련된 치료 시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연령별 뇌졸중 진료인원(사업) |
출처 : 통계청 건강보험통계
(나) 만성통증 시장의 특성
만성통증은 한국성인의 10%이상이 경험하는 질환으로 환자의 약 65%가 통증으로 인해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2017년, 서울아산병원) 또한 세계적으로도 이러한 만성통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하나의 질환으로 인식하고 이에 근거한 예방, 관리, 동반 증상의 치료 및 재활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만성통증으로 인해 수반되는 증상도 다양한데, 불면증, 우울증, 호흡곤란, 심지어 사망에 이르기까지 통증을 방치할 경우 돌이키지 못할 정도의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NMS는 만성통증증후군, 디스크 통증, 대상포진, 암통증 등 만성통증 치료에 사용되며, 기존의 약물요법이나 다른 통증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들에게 보다 넓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방법입니다. 약물, 수술 등의 부작용이 없으며, 만성 및 난치성 질환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고 있어 통증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 에스테틱 시장의 특성
노화를 의학적으로 관리하고 젊음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를 뜻하는 안티에이징에 현대인들의 관심이 높아졌으며, 최근 고령화, 소득 증가 등으로 안티에이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 의료 기술 혁신이 더해지면서 안티에이징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안티 에이징 시장의 발전은 가장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에스테틱용 의료기기 등 시장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비침습적 방법의 시술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라) 규제환경
의료기기산업은 정부의 의료정책 및 관리제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의료기기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국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 등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부의 인허가 등 규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부는 의료기기 생산 및 제조, 임상시험 등 안전규제, 유통 및 판매 등 안전성·유효성 확보, 지적재산권 보장 등에 대하여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허가 측면에서 국가간 인증 허가제도가 상이하여 국제 교역에서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와 제약은 신규 업체에게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하여 당사와 같이 이미 시장에서 그 위치를 확보한 업체에게는 보호 장벽의 역할을 하기도합니다.
(마) 시장규모 및 전망
① TMS(뇌재활) 시장
당사의 주력 사업인 글로벌 TMS 시장은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라 신경질환 환자수가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2015년 679.5백만불에서 2026년까지 연평균 8.8% 수준의 성장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TMS가 현재 우울증 등 특정 질환에 사용되는 영역에서 뇌졸중, 치매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되는 경우 관련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위: 백만달러) |
글로벌 TMS 시장(사업) |
출처: Grand View Research
② 만성통증 시장
세계 통증 관련 의료기기 시장의 규모는 2017년 3조에서 2023년 4.5조로 성장하여 연평균 성장률 약 7.1%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통증 관련 의료기기 시장 전망] |
(단위: 억달러) |
구 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CAGR |
---|---|---|---|---|---|---|---|---|
북미 | 12,170 | 12,830 | 13,600 | 14,480 | 15,420 | 16,480 | 17,690 | 6.6% |
유럽 | 8,940 | 9,500 | 10,150 | 10,860 | 11,670 | 12,550 | 13,580 | 7.4% |
아시아 | 6,230 | 6,700 | 7,220 | 7,840 | 8,480 | 9,260 | 10,120 | 8.6% |
기타 | 3,310 | 3,470 | 3,630 | 3,820 | 4,030 | 4,260 | 4,510 | 5.4% |
합 계 | 30,650 | 32,500 | 34,600 | 37,000 | 39,600 | 42,550 | 45,900 | 7.1% |
출처: Orion Market Research / Global Pain Management Devices Market Research and Forecast
특히, 통증 중에서도 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과 근골격계 통증질환의 (Musculoskeletal pain) 의 시장 점유율은 2023년 각각 48.2%, 19.5%로 전체 통증관련 의료기기 시장규모의 67.7%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질환별 통증 관리 의료기기 점유율(사업) |
출처: OMR Analysis
한국 보건산업진흥원의 의료기기 산업 종합정보시스템 자료에 의하면 ESWT의 국내 시장규모는 해마다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연평균 시장 성장률 규모는 24.8%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ESWT 국내 시장 예상규모(사업) |
출처: 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정보시스템
③ 에스테틱 시장
글로벌 미용성형 시장은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최소 침습 및 비침습 시술의 확대와 더불어 미용에 대한 남성층의 관심 증가, 기술 발전에 따른 제품군 및 적응증 확대등을 바탕으로 에스테틱 관련 시장도 연평균 8%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내년 30억$ 이상의 시장으로 성장 할 것이 예상됩니다. 요실금, 발기 부전 등의 근력 악화로 인한 질환이 추가 될 경우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세계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규모 |
출처:TECHNAVIO, MEDICAL AESTHETIC MARKET
특히, 그 중에서도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시장과 직접적인 곳은 Body Contouring 시장으로 에너지기반 의료기 시술, 냉각지방분해 의료기 시술, 지방분해주사, 지방흡입주사, 지방흡입수술 등 다수 세부시장이 존재합니다. 미국은 CoolSculpting, Warmsculpting 2개 시술이 현재 성장을 주도 중이며 Zeltiq은 CoolSculpting의 글로벌 선두주자입니다. 비침습적이며 주사요법과 달리 고통이 거의 없으며 부작용이 적은 기술의 등장으로 Body Contouring시장은 2018년 60억달러에서 2024년 약 9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체형 윤곽술 시장(사업) |
출처: Research And Markets
4. 조직도
회사조직도 |
□ 정관의 변경
제1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 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1조(소집권자) ① 주주총회의 소집은 법령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대표집행임원이 소집한다. | 제21조(소집권자) ② 대표집행임원 유고시 사내이사, 사외이사 순서로 권한을 위임하며 다수일 경우 근속연수가 높은 자에게 위임한다. | 대표집행임원 유고시 정상적인 주주총회 소집을 위한 조문 신설 |
제24조(의장) ① 주주총회의 의장은 대표집행임원으로 한다. | 제24조(의장) ① 좌동 ② 대표집행임원 유고시 사내이사, 사외이사 순서로 권한을 위임하며 다수일 경우 근속연수가 높은 자에게 위임한다. | 대표집행임원 유고시 정상적인 주주총회 진행을 위한 조문 신설 |
(신설) | 제37조의 2(이사회 의장의 선임) 이사회의 의장은 이사회의 결의로 선임하며, 이사회를 대표한다. | 이사회 의장의 선임 조문 신설 |
(신설) | 제55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3월, 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 165조의 12에 의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 분기배당 조문 신설 |
부칙 | ||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2023년 11월 24일부터 시행한다. |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2024년 06월 27일부터 시행한다. | -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이근용 사내이사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근용 | 1968.01.07. | - | - | 본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근용 | 주식회사 리메드 대표집행임원 | '23.11~현재 | 주식회사 리메드 대표집행임원 | 해당사항없음 |
'21.03~'24.03 | 주식회사 리메드 사내이사 | |||
'03.07~'20.06 | 주식회사 리메드 대표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근용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2003년 당사를 창립하여 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로서 당사 제품의 품질 및 경쟁력 향상에 공헌하였으며, 다년간 당사의 대표이사로서 경영 경험과 능력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여 사내이사로 추천함. |
확인서
(주)리메드 - 이근용 확인서_2024.06.11_1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61200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