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5 10:0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092
2023 년 03 월 15 일 | ||
회 사 명 : | 압타바이오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이수진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1로 13 타워동 504호 (영덕동, 흥덕아이티밸리) | |
(전 화) 031-365-3693 | ||
(홈페이지) http://www.aptabi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 무 | (성 명) 정 준 희 |
(전 화) 031-365-3693 | ||
(제14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1조에 의거 제1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03월 30일(목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1로13 흥덕IT밸리 컴플렉스동 13층 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
제 2호 의안 : 제1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제 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 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본인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등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사항
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하고 계신 주주님들에 대하여 상법 제542조의 4 제1항, 상법 시행령 제10조 및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비상사태 발생 시 일정/장소 변경 및 기타 집행 관련 세부사항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합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성명 |
---|---|---|---|
서종남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1.25 | 1) 제13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2) 제13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4)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5) 코스닥 표준내부정보관리규정 제정의 건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신약(New Drug)은 기존 약물의 부작용과 현저한 기능 개선이 포함되어야 하며, 신물질 탐색 작업, 비임상 시험, 임상시험, 허가 신청(NDA) 등을 거쳐 제조 승인 및 시판허가를 받은 의약품을 말합니다.
한 개의 신약이 나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수행해야 하는데, 먼저 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하기 위한 탐색 과정에서 신약의 효능이나 작용기전을 기반으로 신약개발 대상 물질을 선정합니다. 유효물질(Hit), 선도물질(Lead)을 거쳐, 신약 후보물질이 선정되면 후보물질의 안정성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비임상시험(Pre-Clinical trial)을 진행합니다. 비임상시험을 통해 후보물질의 효과와 안전성이 검증되면 식약처에 임상시험 허가신청 (IND : Investigational New Drug Application)을 하고, 사람을 대상으로 약물의 효과의 부작용을 확인하는 임상시험(Clinical Trial)을 수행합니다. 임상시험을 완료한 후에는 식약처에 임상시험 결과를 제출하게 되는데, 이를 신약 허가신청(NDA : New Drug Application)이라고 합니다. 신약 허가 신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제4상 임상시험으로 분류되는 시판후안전성조사(PMS : Post- Market Surveillance)를 통해 임상시험에서 발견하기 어려웠던 부작용에 대해서 추적 조사를 수행 합니다. 이처럼 새로운 의약품이 개발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며, 시판으로 이어질 확률은 10,000분의 1 정도로 낮은 편입니다. 이렇게 성공 가능성이 낮지만, 성공했을 경우 특허법, 각 국가별 약사법 등으로 독점적 시장 보호가 가능하고 막대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는 신약개발은 여전히 매력적인 사업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2021년 기준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4,339억 달러로 전체의약품 대비 38%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8년에는 41%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7년 2,696억 달러에서 최근 5년('17년~'21년)간 연평균 12.6%로 성장하였습니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규모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비중 변화 |
한국은 2021년 기준 전체 시장의 0.7%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바이오의약품 약효군별로는 면역억제제(22%), 항암제(18%), 당뇨병치료제(18%)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국가별 시장점유율 |
합성의약품 중심이었던 제약시장은 바이오의약품이 블록버스터급 의약품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전세계 매출 상위 100대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 비중은 2028년에는 6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00대의약품 中 바이오의약품 매출 비중 |
-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21년 7조 111억 원으로 '20년 3조 3,029억 원 대비 112.3%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증가폭으로, 바이오의약품에 해당하는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항체의약품)의 신규 생산ㆍ수입실적이 추가된 데기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021년 실시된 전체 의약품 임상시험을 효능군별로 살펴보면 항암제가 321건(전체 임상시험 842건 중 38.1% 차지)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항암제 중 표적항암제 201건 및 면역항암제 64건으로 항암제 임상 건 수의 각각 63%, 2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정 표적인자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표적항암제와 면역체계를 이용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면역항암제는 부작용 우려가 적고 치료효과도 뛰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신약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항암제 임상시험 승인 현황 |
(3) 경기변동의 특성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크게 전문의약품(ETC)과 일반의약품(OTC)으로 분류됩니다. 전문의약품은 의사의 진단과 처방을 통해 약 복용이 엄격히 관리되어야 하는 의약품을 의미하며, 일반의약품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충분히 인정되어 약사나 소비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의약품을 의미합니다.
당사가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은 모두 전문의약품 분야에 속하며, 특히 당뇨합병증 치료제 및 항암제는 생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큰 영역이라경기 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삶의 질 향상과 수명연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GDP 수준 향상과 전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가 확산됨에 따라 만성질환과 치매 같은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어 이러한 추세로 인해 의약품 산업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증가가 예상됩니다.
한편 의약품 산업의 특성상 국가별 의료정책이나 약가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있을 수있으나 당사가 개발 중인 First-in-class 혁신 신약의 경우 약가 결정에 잇점이 있어 상대적으로 높고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경쟁상황
1) 산화 스트레스 조절(Oxidative stress modulation)플랫폼
산화 스트레스 조절(Oxidative stress modulation)플랫폼 테크놀로지는 염증 및 섬유화 질병의 근본 원인인 산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당뇨합병증, 혈관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난치성 암 등의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술입니다.
당사는 본 플랫폼 기술을 통해 산화스트레스를 과발현시키는 NOX 저해 후보물질 화합물을 확보하고 파이프라인 8종을 구축하였으며, 가장 앞서 진행되고 있는 APX-115는 2021년 임상 2상을 종료하였습니다. APX-115는 pan-NOX를 저해하는 신규기전의 약물로 동물실험에서 충분한 효능을 확인하였고 경쟁약물인 Genkyotex社 GKT831 보다 신장 보호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증명하여 Laboratory Investigation-Nature February, 2017 에 발표한 바 있습니다.
2) CAF Modulation 플랫폼
면역항암제는 항암제 시장에서 혁신적인 항암제로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치료율 및 항암제 내성이라는 큰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종양조직에는 다양한 면역 억제 메커니즘이 존재하는데, 종양미세환경에서 암 관련 섬유아세포(CAF)가 여러 면역억제물질을 분비하여 종양의 발달을 도울 뿐만 아니라 항종양 면역을 방해 및 암전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CAF Modulation 플랫폼은 산화스트레스 조절을 통해 CAF를 조절함으로써 항종양 면역 효과를 높이고 종양의 발달 및 전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플랫폼으로, 항암제의 내성 및 면역 회피를 해결 가능한 혁신적인 면역항암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암 관련 섬유아세포(CAF)를 저해하는 치료제를 개발중인 기업은 없습니다.
3) Apta-DC 플랫폼
당사는 세계 최초의 독창적인 개념으로 G-quadruplex 압타머와 치료용 약물을 융합시킨 Apta-DC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물질, 용도 원천특허를 확보였습니다. 압타머는 항체와 유사한 기능을 가져 'Chemical Antibody'라고도 불리어 집니다. 본 기술은 다양한 질병 영역의 First-in-class 약물 개발이 가능한 원천기반기술이며, 확장성이 용이하여 n가지의 프로젝트 개발이 가능하고 빠른 시간 내 신규 프로젝트화가 가능하도록 변형 압타머와 선택 약물과의 구조 디자인 노하우와 합성 시설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유사한 기술 분야로 Antibody와 Drug이 Conjugation된 ADC 기술을꼽을 수 있으며, 이런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으로 파멥신, 알테오젠, 레고켐바이오 등이 있으나 당사가 개발하고 있는 약물은 케미컬 물질임으로 생산성과 원가경쟁력 측면에서 훨씬 우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5)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신약개발 사업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 연구, 개발및 제조와 관련된 엄격한 윤리기준 뿐만 아니라 제품 개발을 위한 비임상, 임상시험, 인허가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국가에서 엄격히 관리하고 있으며, 약사법, 우수의약품제조관리기준(KGMP) 등의 각종 법령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습니다.
신약을 허가 받기 위해서는 각국의 의약품 관련 허가기관 (한국 KFDA, 미국 FDA, 유럽 EMA, 일본 PMDA, 중국 CFDA 등) 에 안전성, 유효성, 품질(기준 및 시험방법), GMP 생산, 원료 DMF 등에 대한 자료를 제출하여 국가별 약사법 기준에 따라 심사를 통해 의약품으로서 승인을 받아야 하며, 연구개발 각 단계의 데이타 생성도 GLP, GCP, GMP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당사는 내외부 전문가 및 전문기관을 활용하여 엄격한 감독 및 관리를 시행하여 각 국가의 관련 법령 및 정부의 규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압타바이오는 3가지 독창적인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난치성 질환 'First-in-Class'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산화 스트레스 조절(Oxidative stress modulation)플랫폼 기반으로는 신약 파이프라인 8종을 개발중입니다. 특히, 당뇨합병증은 당뇨병성 신증, 당뇨성 망막병증, 비알코올성 지방간(NASH) 등으로 당뇨병 환자의 증가와 함께 유병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전문치료제가 없는 영역입니다. 산화성 스트레스 조절로 당뇨합병증의 원인이 되는 염증과 섬유화를 동시에 억제하여 질환의 근본적인 치료제가 될 수 있습니다.
CAF Modulation 플랫폼을 기반으로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을 개발중입니다. 암 관련 섬유아세포 저해를 통해서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함으로써 면역항암제의 의학적 미충족 수요를 충족 가능한 혁신 치료제입니다.
세계 최초의 '압타머-약물 복합체(Aptamer-drug conjugate, Apta-DC) 플랫폼' 기반으로 의학적 미충족수요가 높은 난치성 항암제 파이프라인 3종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압타머와 약물을 직접 융합시킨 Apta-DC 기술로 개발 중인 췌장암,혈액암 및 간암 치료제는 압타머를 통해 암세포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현되는 뉴클레오린이라는 단백질에 결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약물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서 강력한 효능, 부작용 최소화 및 내성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치료제입니다.
당사는 신약개발 초기단계에서 이미 파이프라인 3건을 국내외 기업에 기술이전 완료하였고, 가장 앞서 개발되고 있는 당뇨병성신증 치료제는 현재 유럽 임상 2상을 종료하였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 파이프라인은 현재 임상 2상 진행중이고 황반변성,혈액암 파이프라인은 임상 1상 진행 중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난치성 질환 'First-in-Class' 혁신 신약을 개발하는 단일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가 개발하는 'First-in-Class' 혁신 신약은 치료제가 없는 난치성 질병을 대상으로 하기에 시장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백신 및 치료제의 개발이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진단키트와 K방역 수준이 높게 평가되면서, 향후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함께 경제의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신산업으로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산업 중 하나입니다.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글로벌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전략적으로 R&D와 M&A에 집중 투자 하고있습니다. 'Evaluate Pharma(2022)'에 따르면, 글로벌 R&D 투자 지출액은 2021년 2,380억달러로 향후 7년간('21~'28년) 연평균 2.6% 증가하여 2028년에는 2,8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제약 R&D 투자_Evaluate Pharma(2022) |
의약품 연구개발의 특성상 신약개발에 긴 시간이 소요되고 매출대비 R&D 투자 비중을계속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초기 임상이나 기술적 아이디어가 있으나 대규모 자본이 부족한 스타스업이나 벤처를 인수하는 전략적 M&A로 바이오의약품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의약품 중에서도 신생 분야인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연구개발에서부터 제조 및 판매승인까지 국가별로 고도의 규제 환경을 갖추고 있어 시장진입 장벽이 매우 높습니다.최근까지 국내에서는 스타트업 및 밴처캐피탈을 중심으로 한 민간 주도의 연구개발이 중심이 되었으나,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주목하고 적극적인 지원정책과 육성방안을 마련하여 추진 중에 있습니다. 2022년 정부는 신약, 의료기기,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첨단 유망기술 개발을 지원에 7000억 원 등 보건의료 R&D에 1조 5천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초고령화 시대를 맞아 성장 잠재력이 높은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R&D 투자에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독창적인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할 수 있는 난치성 질환 'First-in-Class' 혁신 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추진 중인 신규 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 5 조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주로 한다. | 제 5 조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0주로 한다. | 향후, 증자를 고려한조문 개정 |
부칙
제4조 (시행일) 본 정관은 2021년 03월 30일부터 개정 시행한다. | 부칙
제4조 (시행일) 본 정관은 2023년 03월 30일부터 개정 시행한다. | 정관 개정일 반영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를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이며, 향후 회계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변동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아래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
제 14 (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13 (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압타바이오 주식회사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당)기말 | 제 13 (전)기말 | ||
---|---|---|---|---|
자산 | ||||
1. 유동자산 | 20,419,014,895 | 23,776,984,894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989,091,824 | 6,566,400,985 | ||
단기금융상품 | 15,006,196,372 | 8,134,150,905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8,210,222,079 | ||
기타유동금융자산 | 3,066,574,002 | 608,381,178 | ||
기타유동자산 | 357,152,697 | 257,829,747 | ||
2. 비유동자산 | 35,694,717,320 | 41,133,616,293 | ||
장기금융상품 | - | 4,025,359,826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27,884,881,562 | 30,366,998,227 | ||
유형자산 | 5,476,498,196 | 4,722,221,973 | ||
투자부동산 | 1,788,163,060 | 1,812,391,256 | ||
무형자산 | 37,832,413 | 41,999,073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35,479,810 | 64,893,938 | ||
사용권자산 | 371,862,279 | 99,752,000 | ||
자산총계 | 56,113,732,215 | 64,910,601,187 | ||
부채 | ||||
1. 유동부채 | 1,040,016,820 | 787,571,785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00,156,816 | 75,965,219 | ||
기타금융부채 | 515,540,333 | 464,334,679 | ||
기타유동부채 | 214,592,180 | 192,705,560 | ||
유동리스부채 | 109,727,491 | 54,566,327 | ||
2. 비유동부채 | 2,704,214,433 | 2,457,986,131 | ||
순확정급여부채 | 2,393,326,083 | 2,365,405,582 | ||
기타장기급여부채 | 54,583,942 | 45,806,828 | ||
리스부채 | 256,304,408 | 46,773,721 | ||
부채총계 | 3,744,231,253 | 3,245,557,916 | ||
자본 | ||||
1. 납입자본 | 11,149,433,000 | 11,098,233,000 | ||
보통주자본금 | 11,149,433,000 | 11,098,233,000 | ||
2. 자본잉여금 | 109,693,285,674 | 108,769,545,005 | ||
주식발행초과금 | 109,024,651,645 | 108,169,454,379 | ||
주식매수선택권 | 668,634,029 | 600,090,626 | ||
3. 결손금 | (68,473,217,712) | (58,202,734,734) | ||
미처리결손금 | (68,473,217,712) | (58,202,734,734) | ||
자본총계 | 52,369,500,962 | 61,665,043,271 | ||
부채및자본총계 | 56,113,732,215 | 64,910,601,187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14 (당)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13 (전)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압타바이오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당)기 | 제 13 (전)기 |
---|---|---|
영업수익 | 48,352,850 | 223,676,750 |
영업비용 | 9,555,118,642 | 11,590,661,535 |
영업손실 | (9,506,765,792) | (11,366,984,785) |
금융수익 | 1,613,455,073 | 1,515,320,887 |
금융비용 | 2,713,914,395 | 989,864,483 |
기타수익 | 102,434,934 | 207,795,165 |
기타비용 | 59,947,077 | 55,329,953 |
법인세차감전순손실 | (10,564,737,257) | (10,689,063,169) |
법인세비용 | - | - |
당기순손실 | (10,564,737,257) | (10,689,063,169) |
기타포괄손익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94,254,279 | 61,877,752 |
총포괄손실 | (10,270,482,978) | (10,627,185,417) |
주당손실 | ||
기본주당손실 | (474) | (712) |
희석주당손실 | (474) | (712) |
자 본 변 동 표 |
제 14 (당)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13 (전)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압타바이오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결손금 | 총계 |
---|---|---|---|---|---|
2021.01.01 (전기초) | 5,547,616,500 | 113,719,007,449 | 349,145,987 | (47,575,549,317) | 72,040,220,619 |
총포괄손실 : | |||||
당기순손실 | (10,689,063,169) | (10,689,063,169) | |||
기타포괄손익 | 61,877,752 | 61,877,752 | |||
주식매수선택권 보통주 전환 | 3,000,000 | 37,854,000 | (22,257,000) | 18,597,000 | |
무상증자 | 5,547,616,500 | (5,587,407,070) | (39,790,570) | ||
주식매수선택권 | 273,201,639 | 273,201,639 | |||
2021.12.31 (전기말) | 11,098,233,000 | 108,169,454,379 | 600,090,626 | (58,202,734,734) | 61,665,043,271 |
2022.01.01 (당기초) | 11,098,233,000 | 108,169,454,379 | 600,090,626 | (58,202,734,734) | 61,665,043,271 |
총포괄손실 : | |||||
당기순손실 | (10,564,737,257) | (10,564,737,257) | |||
기타포괄손익 | 294,254,279 | 294,254,279 | |||
주식매수선택권 보통주 전환 | 51,200,000 | 855,197,266 | (317,947,026) | 588,450,240 | |
주식매수선택권 | 386,490,429 | 386,490,429 | |||
2022.12.31 (당기말) | 11,149,433,000 | 109,024,651,645 | 668,634,029 | (68,473,217,712) | 52,369,500,962 |
현 금 흐 름 표 |
제 14 (당)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13 (전)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압타바이오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4 (당)기 | 제 13 (전)기 | ||
---|---|---|---|---|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6,832,979,922) |
| (8,897,243,804) |
1.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8,391,707,473) |
| (10,500,733,118) |
|
2. 이자의 수취 | 1,524,714,439 |
| 1,612,887,976 |
|
3. 이자의 지급 | - |
| - |
|
4. 법인세 납부 | 34,013,112 |
| (9,398,662) |
|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1,742,900,674 |
| 1,133,090,442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8,421,702,899 |
| 7,338,012,164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 |
| 7,338,012,164 |
|
기타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8,210,222,079 |
| -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130,000,000 |
| - |
|
기타보증금의 감소 | 12,290,000 | - | ||
토지의 감소 | 69,190,820 |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6,678,802,225) | (6,204,921,722)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2,865,849,095) | - |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 | (4,036,652,718)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증가 | (12,012,000) | (1,970,235,368) | ||
토지의 취득 | (135,135,254) | - | ||
건물의 취득 | (367,143,466) | - | ||
구축물의 취득 | (194,732,000) | (74,000,000) | ||
기계장치의 취득 | (426,752,610) | (67,351,000) | ||
비품의 취득 | (52,188,000) | (20,322,636) | ||
소프트웨어의 취득 | (10,360,000) | (7,500,000) | ||
단기대여금의 증가 | (2,500,000,000) | - | ||
기타보증금의 증가 | (13,479,800) | (8,860,000)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101,150,000) | (20,000,000) | ||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496,012,926 |
| (375,684,604)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589,200,000 |
| 18,990,000 |
|
보통주의 발행 | 589,200,000 |
| 18,990,000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93,187,074) |
| (394,674,604) |
|
리스부채원금 | (87,945,639) |
| (38,412,800) |
|
리스부채이자비용 | (4,491,675) |
| (1,831,615) |
|
정부지원금 | - |
| (314,246,619) |
|
주식발행비용 | (749,760) |
| (40,183,570) |
|
Ⅳ.외화표시현금의 환율변동효과 |
| 16,757,161 |
| 20,097,140 |
Ⅴ.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 (4,594,066,322) |
| (8,119,740,826) |
Ⅵ.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 6,566,400,985 |
| 14,686,141,811 |
Ⅶ.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 1,989,091,824 |
| 6,566,400,985 |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
제 14 (당)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13 (전)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원) |
구 분 | 제 13 (당)기 | 제 12 (전)기 | ||
I. 미처리결손금 | (68,473,217,712) | (58,202,734,734) | ||
기초미처리결손금 | (58,202,734,734) | (47,575,549,317) | ||
당기순손실 | (10,564,737,257) | (10,689,063,169)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94,254,279 | 61,877,752 | ||
II. 결손금처리액 | - | - | ||
III.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68,473,217,712) | (58,202,734,734) |
※ 상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 완료 전 재무제표입니다.
※ 주석사항 및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주식매수선택권 제도는 기업의 임직원에 대하여 경영성과의 향상 등에 기여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하거나 또는 경영성과에 공로가 있는 임직원에 대한 보상제도의 하나로서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널리 확산 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당사도 이러한 경영환경 변화에 부응하여 이번에 정관 조항에 따라 2023년 1월 31일 이사회결의로써 일부 임직원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습니다.
해당 안건은 2023년 1월 31일 이사회에서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일 이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승인받기 위한 것이며, 자세한 내용은 당사가 기 공시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신고' 공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외 16명 | 직원 | - | 보통주 | 103,000 |
총( 17 )명 | 총(103,000)주 |
※「주식매수선택권부여에 관한 신고」작성 기준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만분의 10 미만에 해당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직원(미등기 임원 포함)의 성명은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교부, 자기주식교부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 103,000주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 11,700원 상법 제340조의2 제4항에 근거하여 행사가액을 산정하였으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의 규정(부여일 전일부터 과거 2개월, 1개월 및 1주간의 각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의 산술평균가격과 주식의 권면가액 중 높은 금액)을 준용하여 평가한 시가 이상으로 하여 결정하였습니다. 2. 행사기간 : 2025년 1월 31일 ~ 2030년 1월 30일 | |
기타 조건의 개요 | 기타 세부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계약서 등에 정하는 바에 따름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22,298,866 | 발행주식총수의 15% | 기명식 보통주/종류주 | 3,344,829 | 3,103,229 |
(주1) 잔여주식수는 2023년 1월 31일 부여분을 반영한 후의 주식수 입니다.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 종류 | 부여 주식수 | 행사 주식수 | 실효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2022년 | 2022.01.25 | 7명 | 보통주 | 37,000 | - | 18,000 | 19,000 |
2021년 | 2021.01.29 | 5명 | 보통주 | 40,000 | - | 10,000 | 30,000 |
2020년 | 2020.01.29 | 9명 | 보통주 | 152,000 | 22,400 | 40,000 | 89,600 |
계 | 총(22)명 | 총(229,000)주 | 총(22,400)주 | 총(68,000)주 | 총(138,600)주 |
(주1) 2020년 및 2021년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은 2021년 8월 중 실시한 100% 무상증자에 따라 주식수를 조정하였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2명 ( 1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 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2명 ( 1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935 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00 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 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 백만원 |
최고한도액 | 50 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22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이므로 향후 변동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간전 당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aptabio.com/)에 게재 될 예정입니다.
□ 주총 집중일 개최 사유 향후,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 거래소와의 사전 협의 등을 통하여 주총분산에 참여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