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0-05 16:0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05000367
2023 년 10 월 05 일 | ||
회 사 명 : | 대보마그네틱(주) | |
대 표 이 사 : | 이 준 각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현대기아로 25-13 | |
(전 화) 031-354-3960 | ||
(홈페이지) http://www.daeb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박정일 |
(전 화) 031-354-3960 | ||
(제29기 임시)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6조에 의하여 제29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10월 20일(금) 오전 9시
2. 장 소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현대기아로 25-13 본사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사외이사 정기철 신규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정기철 신규선임의 건(분리선출)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주주님께서는 본인이 직접 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을 대신 참석하게 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위임인의 인감날인), 주주의 인감
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7.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10월 10일 ~ 2023년 10월 19일 (10일간)
-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단, 기간 첫날은 오전 9시부터,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
이용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2023 년 10 월 05 일
대보마그네틱주식회사
대표이사 이 준 각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이순호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김창인 (출석률: 100%) | 박용석 (출석률: 100%) | 이승선 (출석률: 66.7%) | 이회일 (출석률: 66.7%) | 장항덕 (출석률: 66.7%) | 안성재 (출석률: 66.7%) | |||
찬 반 여 부 | ||||||||
1 | 2023-03-14 | 전자투표제도 시행 건 | 찬성 | 찬성 | - | - | - | - |
제2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 | - | - | - | ||
2 | 2023-03-30 | 음성공장 추가 투자 연장의 건 | -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 | - | 찬성 | 찬성찬성 | 찬성 | 찬성 | ||
3 | 2023-06-30 | 음성공장 추가 투자 연장의 건 | - | - | 불참 | 불참불참 | 찬성 | 찬성 |
(*) 당사는 2023.03.29 제2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외이사 4명(이승선, 이회일, 장항덕, 안성재)을 신규선임 하였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이승선(위원장, 사외이사) 이회일(사외이사) 장항덕(사외이사) 안성재(사외이사) | 2023-03-30 2023-03-30 2023-06-30 | -음성공장 추가 투자 연장의 건 -대표이사 선임의 건 -음성공장 추가 투자 연장의 건 | 가결 가결 가결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4 | 2,000,000,000 | - | - | 기본급 및 상여 포함 |
(*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제2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된 2023 사업연도 금액입니다.
(*2) 상기 인원수 및 지급총액은 2023년 2분기 기준 사외이사 4명에 대한 인원수 및 지급총액입니다.
(*3) 상기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급총액을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회사의 현황
가. 사업의 개황
당사는 자석(磁石) 및 자석응용기기의 제작 및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로 자장(磁場, magnetic field)으로 철을 제거하는 자력(磁力) 선별기술을 기반으로 원료에 함유된 철(鐵, Fe) 또는 비철금속을 제거하는 탈철장치를 제조하고 이를 리튬 2차전지 소재업체 및 셀 제조업체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주력 제품은 전자석탈철기(Electro Magnetic Filter, 이하 "EMF") 및 자력선별기(Magnetic Separator, 이하 "MS") 등으로서, 특히 당사의 EMF는 리튬 2차전지의 발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양극재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을 제거하는데 매우 탁월합니다.
최근 리튬 2차전지는 환경오염과 에너지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 그 활용 범위가 핸드폰 배터리에서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및 ESS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EMF 장비에 대한 수요 또한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 상황하에서 당사는 독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EMF에 집중함에 따라 높은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45년 이상의 오랜 기간동안 자력선별기 연구개발에 집중하여 탈철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있으며, 당사가 우위인 상황에서 경쟁사와 독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탈철장비는 투여하는 원료의 특성에 따라 건식 방식과 습식 방식으로 구분되며, 이 중 습식 EMF 제조가 가능한 업체는 전세계적으로 당사가 유일합니다.
나. 회사의 특징 및 경쟁우위 요소
(1) 높은 수준의 기술력
당사는 1976년 4월에 설립된 이후 45년동안 자석응용기기에 대한 연구개발에만 집중해 왔으며, 이를 통해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탈철장비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당사는 오랜 기간동안 신규사업을 추진하기보다는 자석을 응용한 제품의 개발 및 제조에만 전념하여 탈철장비시장 내 업계 1위로서 국내 및 중국 등 대기업으로부터 인정받는 업체로 성장하였습니다. 당사는 핵심인력의 연구개발 활동을 바탕으로 향후에도 자기학을 응용한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할 계획입니다.
(2) 탈철장비 시장에서의 독점력
당사는 2차전지 산업이 크게 발달한 국내 및 중국 등 시장에서 일본 경쟁업체와 함께 독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최근 당사의 높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개량화된 모델 혹은 신기술이 적용된 신제품 출시를 통해 시장 내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3) 당사 제품의 기술적 우위
EMF 장비는 탈철이 필요한 소재에 따라 스크린이 메시스크린 또는 바스크린으로 달라지게 됩니다. 한편, 소재의 자성 크기에따라 가우스가 달라지며, 투입량에 따라 스크린 크기가 달라지고, 케니스타 크기가 달라지고, 흐름성에 따라 스크린 피치가 달라지고, 생산현장의 클리닝 상태와 온습도에 탈철에 영향을 미치므로 최적의 조건에 맞추어야 하며, 작업환경의 이물질 등이 없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현재 당사의 EMF 장비는 45년간 축적된 오랜 경험에 따른 노하우를 바탕으로 일본 경쟁업체 제품 대비 여러 측면에서 이미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4) 전세계 유일의 습식 EMF 제조기술 보유
습식 EMF는 2차전지 제조업체가 분말 상태의 리튬이 아닌 리튬, 니켈, 코발트를 Mixing한 후 슬러리 상태의 소재를 탈철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서, 전세계에서 당사만이 유일하게 제작 가능한 장비입니다. 당사의 습식 EMF는 이미 탈철된 원료를 Mixing 하는 공정 이후 슬러리 상태의 소재를 탈철하더라도 코발트, 니켈은 붙지 않고 철만 제거할 수 있는 정교한 장비입니다. 따라서, 당사의 건식 EMF와 습식 EMF를 앞뒤 공정에 모두 배치하여 이중으로 탈철할 경우 건식 EMF만으로 탈철하는 것과 비교할때 고품질의 소재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LG화학, 삼성SDI 등과 같은 메이저 리튬 2차전지 제조업체는 당사의 습식 EMF를 공정에 추가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업체들 역시 당사의 습식 EMF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5) 자체 탈철테스트 기술
리튬을 탈철할 때 리튬의 입도가 클 경우 리튬 입자 내에도 철 성분이 있어 단체 분리가 되지 않으므로, 탈철 후 ICP 측정 시 입도 내부에 철이 잔류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도 크기를 더욱 작게 분쇄하여 탈철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사의 EMF 장비를 활용하여 기술연구소에서 리튬을 탈철한 결과 ICP 측정에서 20PPB 이하의 수치를 나타내었습니다. 이에 따라 리튬 2차전지 제조업체는 당사 기술연구소에서 원료를 투입하기 전에 먼저 테스트를 한 후, 탈철만 할 것인지 분쇄하고서 탈철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 목표시장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리튬 2차전지 소재업체 및 셀 제조업체로서, 당사는 리튬 2차전지 제조공정 중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핵심 공정인 탈철에 사용되는 전자석탈철기(EMF) 장비를 제조하여 리튬 2차전지 소재업체 및 셀 제조업체에 납품하고 있는 글로벌탈철장비 시장 내 1위 업체입니다.
당사의 2022년 기준 EMF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93% 이며, 그밖에도 당사는 국내 시멘트 업체, 화력발전소 등에 자력선별기, 재활용 업체에 비철금속선별기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및 관련 소재산업의 주요 업체 현황]
종류 | 글로벌 주요 업체 | 국내 업체 |
---|---|---|
2차전지 | BYD, 삼성SDI, LG화학, Panasonic 등 | LG화학, 삼성SDI(SB LiMotive), SK이노베이션, KOKaM(Dow-KOKaM), EIG |
양극재 | Nichia, Umicore, L&F, Toda 등 | LG화학, 삼성SDI, 한국유미코아, 에코프로, 코스모신소재, L&F, 휘닉스신소재,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삼성정밀화학 |
음극재 | Hitachi Chem, Nippon Carbon, JFE Chem, Mitsubishi Chem, BTr, Shanghai Shanshan 등 | SK머티리얼즈, 포스코케미칼(舊 LS엠트론 카보닉스), 애경유화, GS칼텍스(JX Nippon Energy), 한화케미칼 |
분리막 | Celgard, Tonen, asahi Kasei, SK이노베이션, Ube, Entek Intl. | LG화학, SK이노베이션, w-Scope Korea |
전해액 | Ube, Mitsubishi Chem, 파낙스이텍 등 | 리켐, 솔브레인(舊 테크노세미켐), 파낙스이텍(욱성화학), 후성(전해질) |
생산장비 | 다수 | 피앤이솔루션, ETH, 넥스콘테크 등 |
(*1) 출처: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2) 당사는 2차전지 및 양극재 소재회사에 장비를 납품하고 있으며, 주요 거래처는 삼성SDI, LG화학, BYD, 에코프로, 코스모신소재, L&F 등이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장비산업은 그 특성상 전방산업인 2차전지 산업의 실적 및 설비투자 동향에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2차전지 제조업체들이 주된 수요자로서 2차전지수요 및 생산수량의 변동에 따라 장비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당사는 전자석탈철기(EMF)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전방산업인 리튬 2차전지 산업 및 최종수요처인 휴대폰, 전기차 및 ESS 산업과의 산업 연관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당사의 실적은 이러한 전방산업의 시장상황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에서 생산하는 EMF는 경쟁업체인 NMI와 함께 탈철장비 시장을 양분하고 있어 공급자 우위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기술력과 경험이 뒤쳐진 유사 중소기업이 진출하기에 어려운 시장상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산업은 휴대용 IT 및 모바일 기기의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신규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전기차 및 전력저장 시스템(ESS) 등 차세대 전지시장의 높은 성장성이 기대됨에 따라 2차전지 제조업체들의 설비투자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전방산업인 전기차, 전력저장, 로봇 등의 핵심부품으로서 2차전지 개발 여부가 전방산업의 존폐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라. 신규 사업
당사는 소재사업의 확장성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여 충청북도 음성군에 약 1만평의 공장 부지를 준비/준공을 하였고 시장의 수요를 고려하여 유연한 접근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주요 타겟으로 잡고 있는 부분은 수산화리튬에 대한 임가공 사업 영위입니다. 수산화리튬은 2차전지에 있어 필수 소재이며, 대체 불가한 소재입니다. 아울러 고객사들의 성능향상된 2차 전지에 대한 요구가 있음에 탄산리튬에서 수산화리튬으로 대체가 될 것 입니다.
또한 현재의 성능을 증폭시키기 위해 첨가제 또한 중점사업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기차 부분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5% 미만으로서 시장성 및 성장성은 꾸준할 것입니다. 당사는 플랫폼 형식으로 공정라인을 갖추고, 여러 회사들의 Needs에 맞게 공급하여 고객사와 함께 성장하는 회사로 발돋음 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2차전지 산업에서 확보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2차전지소재 임가공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2021년 4월, 충북 음성에 연산 8천톤 이상의 2차전지소재 임가공 공장을 완공하였습니다. 2022년 8월 83억원과 2023년 1월 120억원의 추가 투자를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2023년에 2차 증설이 완료될 것으로 기대하며, 2차 증설이 완료되었을 때 연산 4만톤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전방 산업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추가 증설을 계획 중이며, 향후 빠른 시일 내에 연산 10만톤 이상의 2차전지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하여 업계 리더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의 건조, 분쇄, 탈철을 통해 고순도의 리튬으로 탈바꿈하는 공정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수산화리튬의 경우 유수리튬 뿐만 아니라 무수리튬까지도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2차전지소재의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 중국에 DAEBO NEW ENERGY MATERIALS(WUXI) CO.,LTD.를 설립하였습니다. 폭발적인 2차전지소재 수요에 대응하고자 글로벌 진출을 추가적으로 계획 중이며, 이를 통해 2차전지소재의 품질과 납기에도 타사 대비 빠르게 대응하고자 합니다.
2. 시장의 현황
가. 시장의 특성
리튬이온 2차전지 제조공정(파우치 type 기준) |
(*) 출처: KDB대우증권
전지(Battery)는 1차전지와 2차전지로 구분됩니다. 1차전지는 한번만 사용하는 전지로써 망간, 알카라인 리튬, 현재는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생산이 중단된 수은전지 등이 있으며, 2차전지는 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연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사용할 수 있는 화학전지로서 납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2차전지, 리튬계 2차전지 등이 있습니다. 2차전지의 원료로서 기존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안정성이 높은 니켈수소전지(NiMH)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고용량 및 고전압 특성을 요구하는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리튬이온(Li-ion) 전지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리튬 2차전지는 전기차 시장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는 2차전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기술적인 문제 또는 제조관리 부실 등으로 인하여 폭발 및 화재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안전성에 대한 이슈가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리튬 2차전지 발화의 주된 원인은 양극 소재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인 철(Fe)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튬 2차전지 소재업체 및 셀 제조업체는 2차전지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Fe)을 제거하기 위해 배터리 제조공정 내 철(Fe) 제거장치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특성
장비산업은 그 특성상 전방산업인 2차전지 산업의 실적 및 설비투자 동향에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며, 2차전지 제조업체들이 주된 수요자로서 2차전지 수요 및 생산수량의 변동에 따라 장비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당사의 전자석탈철기(EMF)는 전방산업인 리튬 2차전지 산업 및 최종수요처인 휴대폰, 전기차 및 ESS 산업과의 산업 연관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당사의 실적은 이러한 전방산업의 시장상황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와 ESS는 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초기단계로서 향후 기술 실현 가능성 등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관련 2차전지 업체 또는 2차전지 장비 업체의 실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리튬 2차전지 산업은 휴대폰에서부터 전기차, ESS, 로봇에 이르는 다양한 응용분야의 핵심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산업적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어 가는 추세에 있습니다. 또한,기존의 모바일 및 IT기기용 소형 2차전지에서 전기차 및 ESS용 중대형 2차전지로의 중심축이 변화하는 과도기적 양상을 띄고 있습니다. 당사는 리튬 2차전지에 사용되는 소재의 탈철 과정을 위한 장비를 생산하고 있어 전기차 및 ESS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더라도 주요 소재의 변경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오히려 전기차와 ESS 시장이 본격적으로 도래할경우 당사 제품에 대한 수요는 급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제품 라이프사이클은 전방산업과 비교하여 상당히 긴 편입니다.
리튬 2차전지 시장은 2차전지가 갖추어야 할 주요 특성인 높은 에너지 밀도, 우수한 (입)출력 파워, 안전성, 2차전지 수명, 경제성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업체간 기술력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품질 특성은 소형 리튬 2차전지에서보다 전기차용 리튬 2차전지에서 더욱 차별화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용 2차전지 시장에서는 기술력 차이가 미미한 Top tier 업체들 중에서도 주요 고객사 수주를 선점해가는 실적에 따라원가경쟁력의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향후 전기차용 2차전지 시장 역시 10개 미만의 업체를 중심으로 과점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을 결정짓는 요인은 무엇보다 리튬 2차전지 핵심소재 개발과 적용기술에서 좌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탈철장비는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에 핵심적인 장비로서, 향후 전기차의 성패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다. 산업의 성장성
BEV와 PHEV를 포함한 전기차 시장은 2022년 872만대에서 2025년 2,014만대로 약 2.3배 성장할 전망이며, 동기간 배터리 시장규모도 402GWh에서 1,014GWh로 약 2.5 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하나증권)
ESS용 이차전지를 포함한 전세계 이차전지 업체의 총 생산능력은 2021년 994GWh에서 2030년 8,247GWh까지 연평균 2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30년 이차전지 업체의 국적별 이차전지 생산능력 비중은 중국업체(CATL, BYD, EVE, Farasis 등)가 63%로 대부분을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한국업체(LGES, 삼성SDI, SK온)의 비중은 20%로 뒤를 이을 전망입니다. Northvolt, Freyr, ACC 등 유럽 내 이차전지 업체들은 2025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을시작하며 2030년 생산능력 비중에서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연도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CAGR |
---|---|---|---|---|---|---|---|---|---|---|---|
생산능력(GWh) | 994 | 1,273 | 1,793 | 2,657 | 4,055 | 5,171 | 6,056 | 6,888 | 7,659 | 8,247 | 27% |
(출처: SNE리서치)
2차전지 장비시장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시장과 마찬가지로 IT산업이 먼저 발달했던 일본 기업 들이 주도하는 가운데 한국/중국 장비업체들이 추격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2차전지 산업이 과거 IT기기용(핸드폰, 노트북) 소형 배터리에서 전기차, ESS 시장을 전방산업으로 하는 중대형 배터리 시장으로 재편되면서 2차전지 장비업체들의 규모는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리튬 2차전지 시장의 주요 전방시장]
구분 | 특성 |
IT제품(휴대폰 등) | - 리튬 2차전지의 대표적인 사용처 - 장시간 연속사용과 소형, 경량화가 중요 |
자동차 | -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 - 고출력(노트북용 전지의 50배 이상), 내구성(15년 이상 수명), 안정성 (폭발위험 해소)이 필수요건 |
ESS | - 풍력,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저장 - 고정형이기 때문에 자동차용처럼 엄격한 요구조건이 불필요 |
(1) 휴대폰
2016년 글로벌 휴대폰시장의 79.0%에 달하는 스마트폰 분야의 성장률은 기존의 두 자리수대 성장을 마감하고 5.0%의 한자리수 대로 하락하였습니다. 휴대폰 시장의 부진은 휴대폰 시장을 주도하는 스마트폰 시장의 본격적인 성숙기 진입에 따른 성장 둔화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2) 전기차
2022년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약 1,083만대로 전년 대비 61.3% 급증하였습니다. 내연기관 자동차가 전기차로 전환되는 시점임을 고려할 때, 전기차와 동반성장하는 리튬 2차전지 산업도 아직 시작점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3년은 전기차가 전 세계에 1,478만대 보급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BEV와 PHEV를 포함한 전기차 시장은 2022년 872만대에서 2025년 2,014만대로 약 2.3배 성장할 전망이며, 동기간 배터리 시장규모도 402GWh에서 1,014GWh로 약 2.5 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SNE리서치)
(3) ESS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블룸버그 NEF가 2022년 3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기준 글로벌 누적 설치 용량이 56GWh로 집계됐으며, 2030년 전 세계 ESS 시장 규모는 연간 178GWh에, ESS시장이 연평균 30%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ESS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 후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전력망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등에서 발생하는 일관되지 못한 재생에너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많은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력용, 상업용, 가정용, UPS(무정전전원장치), 통신용 등 대규모 전력 시설이 필요한 곳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출처: 배터리인사이드)
규모는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의 규모보다 작지만 그 성장 속도는 전기차 배터리와 비슷하여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향후 기후변화와 에너지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따라 ESS 시장의 규모는 더욱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2차전지 장비산업은 IT 기기나 전기차 등 전지가 탑재되는 완제품의 수요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에 따라 경기 호황시에는 최종 수요처의 수요 증가와 재고 비축으로 인해 업체로부터 주문량이 급증하며, 불황시에는 최종 수요처의 수요 감소와 재고 감축으로 인해 수요 감소가 일어납니다. 장비 산업의 특성 상 경기변동의 영향은 최종 수요처의 실물 경기 불황이나 호황이 표면상으로 드러난 이후 뒤따라 영향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차전지 장비산업은 특별히 계절적인 요인을 나타내고 있지 않으며,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음에 따라 당사의 매출 역시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의 월별 매출액을 분석해보면, 2015년 및 2016년에는 월별 매출의 특별한 변동 양상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의 2017년 월별 매출의 경우 EMF 매출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등락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이고있으나, 이는 장비 납품 후 검수완료 시점에 따라 매출을 인식함에 따른 편차이며 그밖의 특별히 계절성을 띄는 요소는 없습니다.
마. 국내외 시장여건
발화위험이 상존한 리튬 2차전지는 어떠한 조건에서도 관리가 가능해야 하며, 배터리 제조의 기초단계에 해당하는 리튬 투입 단계에서 미량이라도 철 이물질이 있어서는 안되므로 초기부터 철성분을 PPB단위로 관리해야 합니다. 탈철 후 철이 20PPB 이하일 때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으며, 동 수준을 충족한 후에야 비로소 다른 원료들과 혼합하는 단계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리튬 2차전지 업체들은 철저한 탈철 관리를 위해 EMF 제조업체에 매우 까다로운 사양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장비사업은 2차전지 양극 소재에서 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자력선별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대상으로 입찰 또는 조달계약을 통한 경쟁구도가 형성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동 기술을 보유한 당사와 경쟁업체 2개 업체만이 참가하고 있으며, 발주사는 제품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평가하여 해당 2개 업체 내에서 계약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의 안전 문제는 인명피해로 직결되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으며, 배터리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 이물질 제거기술이 검증되지 않은 장비기업은 입찰 참가 자체가 어려운 특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규 장비기업은 탈철기술이 담보되지 않으면 안전성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실상 시장진입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당사에서 생산하는 EMF는 경쟁업체와 함께 탈철장비 시장을 양분하고 있어 공급자 우위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기술력과 경험이 뒤쳐진 유사 중소기업이 진출하기에 어려운 시장상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3. 경쟁상황
가. 경쟁업체 현황
과거 탈철장비 국내시장은 일본 경쟁업체가 2014년까지는 매우 고가로 독점 납품하였으나, 2015년부터는 당사의 높은 기술력, 품질, 납기, A/S 등으로 인해 국내시장을 70% 이상점유하고 있으며, 중국시장도 당사가 70% 이상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됩니다. 참고로 해당 시장점유율은 공신력있는 외부기관에서 산정된 자료가 없으므로, 주로 경쟁입찰로 납품이 이루어지는 당사가 속한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전체 발주물량과 당사의 낙찰 및 납품물량을 감안하여 당사가 직접 산정하였습니다.
나. 회사 경쟁우위 요소
(1) 높은 진입장벽
2차전지 장비사업은 제품의 품질, 가격, 납기, 사양변경, A/S 등이 장비 선정의 중요한 결정요소로 발주사의 요구사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장비기업이 최종공급자로 선정되고 있으며, 발주사는 장비에 대한 신뢰성, 제조공정에 대한 이해도, 보안문제, 지속적인 설비 A/S 때문에 초기 시장에 진입한 장비기업이 계속 장비를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장비시장에 진입하거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주사의 제품생산 로드맵에 맞는 장비개발과 핵심 기술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합니다. 탈철장비는 표준품이 없고 발주사의 제조공정에 적합한 주문자 생산방식으로 제작하는 시스템이고, 같은 발주사라고 하더라도 해당 라인에 따라 제품의 사양이 달라 발주사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하여 제조공정 특성에 맞는 장비를 적기에 개발할 수 있어야 하며 발주사의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한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있어야 지속 가능한 사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단납기 대응 능력
2차전지소재 사업자의 기획ㆍ영업부서와의 밀접한 관계형성 및 유지를 통해 수요정보를 입수하여 사전에 원자재를 확보, 안정적인 생산을 통한 단납기 대응시스템을 마련, 운용하고 있습니다.
(3) 2차전지소재 사업자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EMF는 리튬 2차전지의 안전에 관한 장치이므로 전지 소재업체 뿐만아니라 전지 셀 제조업체도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는 신규업체의 탈철장치를 설치하지 않습니다. 특히, 리튬 2차전지 발화사고 이후 철 이물질 제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안전관리 기준이 더욱 강화되어 신규업체의 진입은 사실상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4) 다양한 분야로 EMF 수요증가
최근에는 보다 더 정밀한 탈철과정을 위해 전극 제조공정에서 활물질, 도전재, 결착재, 용제 등으로 구성된 Mixing 슬러리를 금속 집전체 표면에 도포하기 전에 습식 EMF가 추가로설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글로벌 탈철장비 시장의 1위 업체임과 동시에 습식 EMF 장비를 제조할 수 있는 유일한 업체입니다.
다. 시장점유율 추이
당사의 높은 기술력, 품질, 납기, A/S 등의 차별화된 강점을 기반으로 국내시장 70% 이상,중국시장도 당사가 70% 이상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 해외시장에서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서 전세계적으로 시장점유 비중을 늘려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제품 등의 매출 현황
[연결재무제표 기준]
(단위 : 백만원) |
부 문 | 주요 제품 | 제29기 (2023년 반기말) | 제28기 (2022년말) | 제27기 (2021년말) |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장비사업부문 | 전자석탈철기 외 | 21,993 | 95.0% | 104,628 | 96.4% | 42,437 | 98.9% |
소재사업부문 | 2차전지소재 임가공 | 1,149 | 5.0% | 3,932 | 3.6% | 483 | 1.1% |
합 계 | 23,142 | 100.0% | 108,560 | 100.0% | 42,920 | 100.0% |
(*) 상기 매출액은 DAEBO NEW ENERGY MATERIALS(WUXI) CO.,LTD. 등 종속회사의 실적을 합산한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 추이
(단위 : 천원) |
부 문 | 구 분 | 내 역 | 제29기 (2023년 반기말) | 제28기 (2022년말) | 제27기 (2021년말) |
---|---|---|---|---|---|
장비사업부문 | 전자석탈철기(EMF) | 전자석탈철기 | 60,000 | 55,000 | 45,000 |
다. 주요 제품에 대한 설명
[주요 용어 설명]
용 어 | 설 명 |
자 석 | 쇳조각을 끌어당기거나 전류에 작용을 미치는 성질을 자성(磁性)이라 하는데, 이러한 자성을 지닌 물체입니다. |
전자석 |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磁氣化)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입니다. |
영구자석 | 강한 자화 상태를 오래 보존하는 자석입니다. |
자 장 | 자석끼리나 전류끼리 혹은 자석과 전류 사이에는 힘이 작용하는데, 이 힘이 미치는 범위를 가리킵니다. |
자 기 | 금속(강철, 니켈, 코발트 등)을 끌어당기는 힘을 자기(磁氣)라 하고, 자기를 가지고 있는 물체를 자석(磁石)이라 합니다. |
자력선별기 | 자석으로 자성물체를 분리하는 기계입니다. |
EMF | Electro Magnetic Filter(전자석탈철기), 전자석으로 철을 달라 붙게하는 장치입니다. |
SSPM | Suspended Permanent Magnetic Separator 컨베이어 위에 설치하는 영구자석 자력선별기입니다. |
SSEM | Suspended Electro Magnetic Separator 컨베이어 위에 설치하는 전자석자력 선별기 입니다. |
캐니스터 | 전자석 내부 스크린을 겹겹이 쌓아 넣을 수 있는 스테인리스 원통입니다. |
스크린 | 체로서, 혼합물을 선별하거나 모래 등을 입도(粒度)에 따라서 크고 작은 것을 걸러내는 용구를 말합니다. |
매 쉬 | 그물의 그물코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
디버터 | 스크린을 통과한 소재를 이물질과 분리하는 장치입니다. |
자 력 | 자석의 극을 가까이 하면 같은 종류의 극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다른 종류의 극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자석의 이와 같은 힘을 자기력이라 합니다. |
공심자력 | 코일 내에 철심이 들어 있는 코일을 철심코일, 철심이 들어있지 않은 코일을 공심코일이라 합니다. |
가우스 | 자기장(B)의 CGS 단위입니다 |
Wh,KWh,GWh | 전력량 표시기호로서, 전력 = 전류(w) × 시간(h), 1GWh = 1,000MWh = 1,000,000kWh = 1,000,000,000Wh입니다. |
메탈디텍터 | Metal Detector 금속검출기로서, 금속을 발견하면 음성 또는 전기신호로 위치를 알립니다. |
ESS | Energy Storage System의 약자로서, 에너지저장장치를 가리킵니다. |
양극활물질 | 2차전지 양극재물질로서,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을 말합니다. |
용 해 | 녹는다는 의미로서, 기체ㆍ액체 또는 고체 물질이 다른 기체ㆍ액체 또는 고체 물질과 혼합되어 균일한 상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현상입니다. 용해로 얻어진 용액은 녹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의 입자가 용매분자와 같이 입자 사이를 자유로이 운동하게 됩니다. |
석 출 | 액체상에서 고체상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
[주요제품 현황]
구분 | 내용 | |
전자석탈철기 (EMF) | 2차전지 양극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Fe)을 PPB단위까지 제거할 수 있는 정교한 자력선별기 | |
2차전지소재 | 2차전지 핵심소재인 리튬(수산화리튬, 탄산리튬)과 첨가제 등을 건조, 분쇄, 탈철 공정을 거쳐 고순도의 소재로 임가공 | |
기타 | 비철금속선별기 | 폐음료캔 등의 재활용 현장에서 철과 같은 자성체 종류와 폐지, 폐유리 등과 같은 비금속종류 그리고 알루미늄, 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을 동시에 3종류로 분리, 선별, 회수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는 제품 |
금속검출기 | 분체 생산라인에서 금속이 발견될 경우 불빛 혹은 음성 신호를 나타내어 금속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 |
서스펜디드 자력선별기 (SSEM) | 각종 원료 혹은 반제품 중에 함유되었거나, 공정중에 혼입된 철덩어리, 철편 등을 선별 회수하여 품질 향상, 기계 보호, 자원 재활용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제품 | |
격자형 자력선별기 (Great Magnetic Separator) | 식품 및 조미식품 등 분/입체원료 중에 함유된 철분 제거에 최적화되어 있는 제품 |
(1) 전자석탈철기(EMF)
탈철기 |
EMF는 2차전지 양극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Fe)을 PPB단위까지 제거할 수 있는 정교한자력선별기로서, 자기장의 모양과 크기, 스크린의 간격과 굵기, 극의 개수와 분포 등 자기학 이론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는 정교한 제품입니다. EMF는 분체 소재를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자기장이 형성되어 있는 스테인리스 원통 안에 격자형으로 쌓아 놓은 스크린을 통과하게 되면, 소재는 아래로 떨어지고 철은 스크린에 달라 붙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소재와 철을 분리하는 자기장 필터 장치입니다.
EMF는 건식과 습식이 있으며, 스크린 크기에 따라 다시 EMF D150, EMF D250, EMF D300으로 구분됩니다. 대부분의 업체에서 건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제조공정에 따라 습식이 추가로 사용되기도 하고 있으며 슬러리 상태에서는 입도 크기, 단체분리가 필요 없으므로 탈철 성능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EMF 구조는 외부에 바디, 바디 내부에 코일, 중심부에 원통 케니스타, 원통내부에 스크린이 있고, 코일은 절연유에 잠겨 있으며, 절연유의 열을 식히기 위한 쿨러, 절연유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 케니스타 아래 부분에 소재와 철성분을 분리하는 디버터, 스크린에 분체가 쌓이지 못하도록 흔들어 주는 바이브레이터, 이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판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MF 외부는 코일로 감겨 있으며 내부는 원통 케니스타 안에 스크린이 격자 형태로 겹겹이쌓여 있습니다. 코일에 전류를 보내면 내부 원통 케니스타 안에 있는 스크린에 강력한 자장이 발생하게 되며, 소재가 자장이 형성된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철을 제거하게 됩니다.
당사의 건식 EMF는 리튬 2차전지 소재인 리튬, 코발트, 니켈, 망간 등을 Mixing 하기 전 가루분말 형태의 리튬을 탈철하는 데 사용되거나, Mixing 한 후 자성물질인 코발트와 니켈 등은 분리하지 않으면서 순수 철분만 탈철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습식 EMF는 리튬 2차전지 소재를 Mixing한 후 슬러리 상태의 소재를 탈철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EMF 제품의 구분]
종류 | 내용 | 비고 |
건식 | - 분말 형태의 리튬 2차전지 소재를 탈철하는데 사용 - 리튬을 코발트, 니켈 망간 등과 Mixing하기 전 리튬만 존재하는 분말 소재에 대해서 | 당사와 일본 경쟁업체에서 생산 |
습식 | - 리튬 2차전지 소재를 Mixing한 후 슬러리 상태의 소재를 탈철하는 데 사용 - 소재라인에서 이미 탈철되어 슬러리 상태로 Mixing된 소재에서 극소량의 철 성분만을 - 소재에 함유된 미량의 철 성분 제거가 보다 더 확실해져 소재의 품질이 향상됨 | 전세계적으로 당사만 생산 가능 |
양극재 소재를 Mixing하기 전 리튬의 탈철에 사용되거나 Mixing 한 후 분체소재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건식 EMF는 일정한 수준의 자성을 일으키는 장비에 의해서만 정밀한 탈철 작업이 가능하므로 상당한 수준의 기술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Mixing 한 후의 혼합물은 자성물질인 코발트와 니켈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교한 탈철작업을 거치지 않을 경우 자칫 철과 함께 코발트 및 니켈 또한 전자석에 의해 걸러지게 되어 소재의 배합비율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확보한 업체는 당사와 일본 경쟁업체가 유일합니다.
한편, Mixing이 이루어진 후 슬러리 상태의 소재를 탈철하는 작업은 소재라인에서 이미 탈철된 분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슬러리에 포함되어 있는 극소량의 철 성분만 탈철해야 한다는 점, 슬러리에는 철분뿐만 아니라 자성물질인 니켈과 코발트도 포함되어 있으나 극소량 포함되어 있는 철성분만을 탈철해야 한다는 점 등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작업으로서 이러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전세계적으로 당사가 유일하며, 이에 따라 동 공정에 당사의 습식 EMF 장비만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2차전지소재
소재사업부 전경 |
당사는 2차전지 산업에서 확보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2차전지소재 임가공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2차전지소재 임가공에서는 입도, 이물 관리가 중요한 역량이며 당사는 자체 개발 및 양산 중인 EMF를 활용하여 고순도의 2차전지소재 임가공이 가능합니다.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의 건조, 분쇄, 탈철을 통해 고순도의 리튬으로 탈바꿈하는 공정을 확보하였으며, 특히 수산화리튬의 경우 유수리튬 뿐만 아니라 무수리튬까지도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였습니다. 임가공 공정은 소재에 따라 상이하며, 대체로 건조, 분쇄, 탈철, 포장을 거쳐 고객사로 납품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2021년 4월 충북 음성에 연산 8천톤 이상의 2차전지소재 임가공 공장을 1차 완공하였습니다. 2022년 8월 83억원과 2023년 1월 120억원의 추가 투자를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2023년에 2차 증설이완료될 것으로 기대하며, 2차 증설이 완료되었을 때 연산 4만톤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전방 산업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추가 증설을 계획 중이며, 향후 빠른 시일 내에 연산 10만톤 이상의 2차전지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하여 업계 리더로 자리매김 하고자 합니다.
(3) 서스펜디드 자력선별기(Suspended Magnetic Separator Model, SSEM)
자력선별기 |
서스펜디드 자력선별기(SSEM)는 각종 원료 혹은 반제품 중에 함유되었거나, 공정 중에 혼입된 철덩어리, 철편 등을 선별 회수하여 품질 향상, 기계 보호, 자원 재활용 등의 용도에 사용됩니다.
SSEM은 유냉식 혹은 공냉식을 적용하여 강력한 전자석으로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실내외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합니다. SSEM은 날카로운 철편 흡착으로 인하여 벨트의 소모나 손상 방지를 위한 특수 벨트라이닝 구조형(SSEM-LB type)도 있습니다.
SSEM은 콘베어벨트 위에 운반되는 각종 원료 및 재료나 혹은 폐기물에 섞여 있는 고철류(Fe)를 강력한 자석의 흡인력을 이용하여 자석에 부착시켜서 자동 배출하여 회수한 다음, 자원을 재활용하거나 원료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적용되고 있습니다.
(4) 격자형 자력선별기(Great Magnetic Separator)
격자형 자력선별기 |
격자형 자력선별기는 환형 혹은 각형 봉자석이 일정한 틀 내에서 상하 좌우로 여러 개가 여러 층 엇갈려 격자로 짜여져 있어 원료가 봉자석에 고르게 흩어지게 함과 동시에 직접 자석에 접촉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원료에 함유된 철분 등의 흡착에서 최고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에 따라 동 제품은 식품 및 조미식품 등 분ㆍ입체원료 중에 함유된 철분 제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5) 비철금속 선별기(Non-ferrous Metal Separator)
비철금속 선별기 |
비철금속 선별기는 와전류를 발생시켜 철과 비철을 분리하는 기계장치입니다. 자성물질인철은 자석에 붙어서 아래로 떨어지고, 비자성물질인 알루미늄캔은 도전체이므로 와전류를일으켜 멀리 보내는 원리로서, 철과 비철을 분리하는 장치입니다.
비철금속선별기는 폐음료캔 등의 재활용 현장에서 철과 같은 자성체 종류와 폐지, 폐유리 등과 같은 비금속종류 그리고 알루미늄, 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을 동시에 3종류로 분리, 선별, 회수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6) 금속검출기(Metal Detector)
금속검출기 |
금속검출기는 분체 생산라인에서 금속이 발견될 경우 불빛 혹은 음성 신호를 나타내어 금속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금속검출기는 품질관리를 위해 식품, 사료, 광물, 화공품, 프라스틱, 고무, 섬유, 약품, 유리 등 산업, 위험방지감시를 위해 공항(흉기탐지), 방적, 광업, 폐기물처리 등의 산업, 기계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고무플라스틱, 목재, 시멘트, 골재 등 산업에서 기계설비(컨베이어) 보호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주요 원재료 등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원재료 등의 매입현황
(단위 : 백만원) |
부 문 | 구 분 | 제29기 (2023년 반기말) | 제28기 (2022년말) | 제27기 (2021년말) | |
---|---|---|---|---|---|
장비사업부문 | 원재료 | 컨트롤판넬 외 | 5,216 | 13,822 | 12,753 |
소계 | 5,216 | 13,822 | 12,753 |
나. 주요 원재료 가격 변동
주요 원재료의 경우, 주요 공급업체와 안정적으로 거래하고 있으며, 제품의 사양에 따른 적정 원재료의 수급이 가능하고, 국내 매입처를 통해서 수급을 진행하여 생산차질의 가능성이 낮습니다. 한편, 당사는 매입처와 계열관계, 합작관계, 주주관계 등의 특수관계가 존재하지 아니하며, 당사의 매입처가 포함된 시장은 완전경쟁시장으로써 다수의 업체가 존재합니다.
3. 생산실적 및 설비에 관한 사항
(단위 : 대, 톤) |
부 문 | 품 목 | 구분 | 제29기 (2023년 반기말) | 제28기 (2022년말) | 제27기 (2021년말) |
---|---|---|---|---|---|
장비사업부문 | 전자석탈철기(EMF) | 생산능력 | 2,400 | 2,400 | 1,440 |
생산실적 | 589 | 2,210 | 1,138 | ||
가동률 | 24.5% | 92.1% | 79.0% | ||
기타 | 생산능력 | 780 | 780 | 780 | |
생산실적 | 167 | 672 | 548 | ||
가동률 | 21.4% | 86.2% | 70.3% | ||
소재사업부문 | 2차전지소재 | 생산능력 | 8,000 | 8,000 | 6,000 |
생산실적 | 1,588 | 3,013 | - | ||
가동률 | 19.8% | 37.7% | - |
가. 생산 설비에 관한 사항
(단위 : 천원) |
구분 | 기초 | 취득 | 처분 | 감가상각 | 대체 | 기타변동 | 기말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국고보조금 |
---|---|---|---|---|---|---|---|---|---|---|
토지 | 10,424,199 | - | - | - | - | - | 10,424,199 | 10,424,199 | - | - |
건물 | 5,181,723 | 122,827 | - | (115,202) | - | - | 5,189,348 | 6,079,162 | (709,383) | (180,431) |
구축물 | 208,428 | 22,000 | - | (6,779) | 9,500 | - | 233,149 | 309,284 | (76,135) | - |
기계장치 | 6,319,190 | 312,809 | - | (389,701) | 29,500 | - | 6,271,798 | 8,493,872 | (1,757,432) | (464,642) |
차량운반구 | 384,956 | - | (42,228) | (62,690) | - | - | 280,038 | 628,315 | (348,277) | - |
공구와기구 | 267,424 | 98,683 | - | (56,950) | 3,800 | - | 312,957 | 647,730 | (334,773) | - |
비품 | 176,495 | 27,763 | - | (29,336) | - | - | 174,922 | 636,508 | (461,586) | - |
시설장치 | 2,605,487 | 625,827 | - | (429,191) | - | - | 2,802,123 | 4,780,898 | (1,978,775) | - |
건설중인자산 | 716,756 | 18,157,286 | - | - | (42,800) | (79,161) | 18,752,081 | 18,752,081 | - | - |
사용권자산 | 1,489,934 | - | - | (164,622) | - | 659 | 1,325,971 | 1,616,438 | (290,467) | - |
계 | 27,774,592 | 19,367,195 | (42,228) | (1,254,471) | - | (78,502) | 45,766,586 | 52,368,487 | (5,956,828) | (645,073) |
사업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유형자산 중 근저당권이 설정된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공장별 | 자산별 | 2023년 반기말 설정 장부가액 | 2022년 설정 장부가액 | 담보권자 | 2023년 반기말 관련 실행액 | 비고 |
공장 | 토지 | 1,280,810 | 1,280,810 | 음성군청 | 1,100,000 | 차입금 관련 근저당권 설정 |
건물 | 554,935 | 554,935 | 기업은행 | 240,000 | ||
소계 | 1,835,745 | 1,835,745 | - | - | - |
(*1) 추가 매입한 토지에 대해서는 근저당권이 설정되지 않았습니다.
(*2) 음성군청은 국고보조금에 대한 근저당권 설정입니다.
나.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당사는 2차전지 산업에서 확보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2차전지소재 임가공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2021년 4월, 충북 음성에 연산 8천톤 이상의 2차전지소재 임가공 공장을 완공하였습니다. 2022년 8월 83억원과 2023년 1월 120억원의 추가 투자를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생산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2023년에 2차 증설이 완료될 것으로 기대하며, 2차 증설이 완료되었을 때 연산 4만톤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전방 산업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추가 증설을 계획 중이며, 향후 빠른 시일 내에 연산 10만톤 이상의 2차전지소재 생산능력을 확보하여 업계 리더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자세한 사업내용은 「II.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매출에 관한 사항
가. 사업부문별 요약 매출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제29기 (2023년 반기말) | 제28기 (2022년말) | 제27기 (2021년말) | |
---|---|---|---|---|---|---|
장비사업부문 | 제품 | 전자석탈철기 (EMF) | 내 수 | 3,234 | 8,061 | 3,142 |
수 출 | 16,730 | 93,170 | 36,927 | |||
합 계 | 19,965 | 101,231 | 40,069 | |||
기타 | 내 수 | 1,352 | 2,118 | 1,605 | ||
수 출 | 676 | 1,278 | 763 | |||
합 계 | 2,028 | 3,397 | 2,368 | |||
소재사업부문 | 임가공 | 2차전지소재 | 내 수 | 1,072 | 3,866 | 483 |
수 출 | 77 | 66 | - | |||
합 계 | 1,149 | 3,932 | 483 | |||
합 계 | 내 수 | 5,659 | 14,045 | 5,229 | ||
수 출 | 17,483 | 94,515 | 37,690 | |||
합 계 | 23,142 | 108,560 | 42,920 |
(*) 상기 매출액은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단위 : 백만원) |
부 문 | 주요 제품 | 제29기 (2023년 반기말) | 제28기 (2022년말) | 제27기 (2021년말) |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장비사업부문 | 전자석탈철기 외 | 21,993 | 95.0% | 104,628 | 96.4% | 42,437 | 98.9% |
소재사업부문 | 2차전지소재 | 1,149 | 5.0% | 3,932 | 3.6% | 483 | 1.1% |
합 계 | 23,142 | 100.0% | 108,560 | 100.0% | 42,920 | 100.0% |
(*) 상기 매출액은 DAEBO NEW ENERGY MATERIALS(WUXI) CO.,LTD. 등 종속회사의 실적을 합산한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나. 판매경로 등
(1) 판매경로
(가) 국내
부문 | 매출 유형 | 주요판매경로 |
---|---|---|
장비사업부문 | 2차전지소재 사업자 발주에 따른 직접판매 | 본사 → 최종고객 |
소재사업부문 | 2차전지소재 사업자 발주에 따른 직접판매 | 본사 → 최종고객 |
(나) 해외
구분 | 매출 유형 | 주요판매경로 |
---|---|---|
중국시장 | Distributor를 통한 간접판매 | 본사 → Distributor → 최종고객 |
미국시장 | Distributor를 통한 간접판매 | 본사 → Distributor → 최종고객 |
유럽시장 | Distributor를 통한 간접판매 | 본사 → Distributor → 최종고객 |
기타 해외시장 | Distributor를 통한 간접판매 | 본사 → Distributor → 최종고객 |
(2) 판매조직
당사의 영업부문은 국내 본사를 주축으로 하여 신속한 고객 대응 및 영업의 효율성 증대를위하여 국내영업파트, 해외영업파트, 중국영업파트로 판매 조직을 구성, 운영하고 있습니다.
(3) 판매전략
당사는 주로 NCM과 NCA 2차전지의 셀공정과 소재공정 중 탈철공정에 사용되는 탈철장비(전자석탈철기, EMF)를 공급하면서 가격 및 품질경쟁력 확보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탈철은 2차전지 셀의 수율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 공정입니다. 이에, 고객사와 지속적인 탈철 품질평가를 통하여 정밀한 탈철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회사 조직도]
조직도_대보마그네틱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43조(감사위원회의 구성) ①~⑤ (이하 생략) ⑥ (신설) | 제43조(감사위원회의 구성) ①~⑤ (이하 현행과 같음) ⑥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 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 표준정관에 따른 조문수정 |
부칙 제1조(시행일) (신설) |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2023년 10월 20일부터 시행한다. | 부칙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정기철 | 1959-06-12 | 여 | 여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정기철 | 경영자문 | 1993.08 ~ 1996.08 1997.03 ~ 2019.06 2014.01 ~ 2014.12 |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 자원경제학 박사 한국가스공사 글로벌협력추진단장, 경영연구소장 에너지경제연구원 파견관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정기철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자 정기철] 1. 전문성 : 후보자는 한국가스공사 글로벌협력추진단장, 경영연구소장, 해외사업단 자원경제팀장 등을 역임하며 쌓아온 대내외적 폭넓은 경험과 우수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동시에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기업가치 극대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을 기초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경력을 바탕으로 회사의 업무집행에 있어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이사회를 통하여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할 것입니다. 3. 이사의 기능 :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의 지녀야 할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위해 아래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① 회사의 경영전략 및 업무 집행에 관련된 중요한 사항 ② 이사진 및 경영진의 직무 집행의 감독 ③ 기타 법령 및 정관, 이사회 운영 규정에서 정하는 사항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후보자 정기철] 후보자는 한국가스공사 글로벌협력추진단장, 경영연구소장, 해외사업단 자원경제팀장 등을 역임하며 쌓아온 대내외적 폭넓은 경험과 우수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당사의 성장기반구축 및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하였습니다. |
확인서
20230904_사외이사 정기철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정기철 | 1959-06-12 | 여 | 여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정기철 | 경영자문 | 1993.08 ~ 1996.08 1997.03 ~ 2019.06 2014.01 ~ 2014.12 |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 자원경제학 박사 한국가스공사 글로벌협력추진단장, 경영연구소장 에너지경제연구원 파견관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정기철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후보자 정기철] 후보자는 한국가스공사 글로벌협력추진단장, 경영연구소장, 해외사업단 자원경제팀장 등을 역임하며 쌓아온 대내외적 폭넓은 경험과 우수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당사의 성장기반구축 및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하였습니다. |
확인서
20230904_감사위원 사외이사 정기철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게재되어 있습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10월 10일 ~ 2023년 10월 19일 (10일간) -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단, 기간 첫날은 오전 9시부터,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 이용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05000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