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브릭 (286750) 공시 - 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의결권대리행사권유참고서류 2024-03-08 10:2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8000089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4년  03월  08일
권 유 자: 성 명: 주식회사 나노브릭
주 소: 경기도 평택시 산단로 52번길 68
전화번호: 031-663-9420
작 성 자: 성 명: 정지성
부서 및 직위: 경영본부 / 본부장
전화번호: 02-6959-6440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요약>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가. 권유자 주식회사 나노브릭 나. 회사와의 관계 본인
다. 주총 소집공고일 2024년 03월 08일 라. 주주총회일 2024년 03월 27일
마. 권유 시작일 2024년 03월 13일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미위탁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가. 권유취지 제17기 정기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의결정족수를 확보
나. 전자위임장 여부 해당사항 없음 (관리기관) -
(인터넷 주소) -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관리기관) 한국예탁결제원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3. 주주총회 목적사항
□ 재무제표의승인
□ 정관의변경
□ 이사의선임
□ 감사의선임
□ 이사의보수한도승인
□ 감사의보수한도승인


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1. 권유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주식회사 나노브릭 보통주 885 0.00 본인 자기주식
(의결권이 제한된 주식)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권유자와의
관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 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주재현 최대주주 보통주 2,396,130 11.63 최대주주 대표이사
백지영 특별관계자 보통주 1,086,937 5.27 특별관계자 친인척
백승수 특별관계자 보통주 44,000 0.21 특별관계자 친인척
주은영 특별관계자 보통주 13,200 0.06 특별관계자 친인척
류제원 특별관계자 보통주 423,438 2.05 특별관계자 기타비상무이사
김한 특별관계자 보통주 100 0.00 특별관계자 사내이사
- 3,963,805 19.23 - -


2. 권유자의 대리인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
주식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정지성 보통주 0 직원 직원 -
권석한 보통주 0 직원 직원 -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성명
(회사명)
구분 주식의
종류
주식
소유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 해당사항없음 - - - - -



3. 권유기간 및 피권유자의 범위


가. 권유기간

주주총회
소집공고일
권유 시작일 권유 종료일 주주총회일
2024년 03월 08일 2024년 03월 13일 2024년 03월 26일 2024년 03월 27일

주1) 상기 권유 종료일은 제17기 정기주주총회 전일까지를 의미합니다.
주2) 전자투표 행사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4년 03월 17일 09:00 ~ 2024년 03월 26일 17:00


나. 피권유자의 범위

2023년 12월 31일 주주명부 기준 의결권 있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 전체


I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1. 의결권 대리행사의 권유를 하는 취지

주주총회의 원활한 회의진행 및 의결 정족수 확보


2. 의결권의 위임에 관한 사항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해당사항 없음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
전자위임장 수여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O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O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X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O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
(발행인에 한함)
X



- 전자우편 전송에 대한 피권유자의 의사표시 확보 여부 및 확보 계획

의결권 피권유자가 이메일 또는 전화 등 적절한 방법으로 전자우편을 통해 위임장 용지를 수령하겠다는 의사표시를 한 경우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예정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1. 위임장 접수처 : 주식회사 나노브릭 경영지원팀 앞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광교중앙로338 광교우미뉴브 C동 713호 우)16942
 - 전화번호 : 02-6959-6440
2. 우편접수 여부 : 가능
3. 접수기간 : 2024년 3월 13일 ~ 2024년 3월 26일 정기주주총회 개최 전일까지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


3.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의 직접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일 시 2024년  03월  27일    오전  10시
장 소 경기도 평택시 산단로 52번길 68 주식회사 나노브릭 본사 2층 회의실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기간 2024.03.17(일) 9시 ~ 2024.03.26(화) 17시 
전자투표 관리기관 한국예탁결제원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1)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인 3월 26일은 17시까지만 가능)
2)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본인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함)
3)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서면투표 가능 여부 서면투표 가능
서면투표 기간 2024년 03월 13일 ~ 2024년 03월 26일
(주)나노브릭 경영지원팀 도착분까지
[주소 : 16942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광교중앙로338 광교우미뉴브 C동 713호 (주)나노브릭 경영지원팀 앞]
서면투표 방법 1) 주주총회 부의안건의 세부내용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의결권표시 방법 : 의결권 대리행사 위임장의 의결권 행사양식을 출력하시어 '주주총회 목적사항 및 목적사항별 찬반여부' 란에 주주님의 의사에 따라 찬, 반 여부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작성 및 제출방법 등 문의사항은 언제든 회사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3) 서면 위임장 작성 후, 우편으로 발송해주시기 바랍니다.
4) 주주님께서 의사표시하신 서면 의결권 대리행사 위임장(법인인 경우 법인인감증명서, 개인인 경우 신분증 사본 포함)를 주주총회 개최일 전 2024년 3월 26일(화)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송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도착한 서면에 의한 의결권 행사는 모두 집계하여 주주총회 당일 직접 참석한 주주님의 의결권과 합산되어 주주총회 의안의 표결에 반영됩니다.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피권유자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 할 수 있고, 대리인은 피권유자로부터 수여받은 위임장을 수여하여 의결권을 대리행사 할 수 있습니다.

[본인 참석 시]
- 본임 지참물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대리인 참석 시]
- 대리인 지참물 :
 1) 개인주주: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본인 기명날인, 주주의 신분증 사본), 대리인의 신분증
 2) 법인주주: 위임장(법인인감날인 필), 법인인감증명서 1부,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대리인의 신분증


III.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당사의 '주주총회소집공고' 공시 내용 중  "III.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내용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독자적으로 구축한 '나노신소재 공통생산기반'인 '액티브 나노플랫폼'(Active Nano-Platform)을 토대로 다양한 '기능성 신소재' 및 이를 적용한 '응용제품' 을 개발ㆍ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1) 위조방지 보안사업 2) 핵산추출 바이오 사업 3) 기능성 디스플레이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위조방지 보안사업'은 당사가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광결정 기반의 색가변 소재를 기반으로 첨단 보안소재 및 위조방지 보안응용제품을 제조ㆍ판매하고 있으며, △'핵산추출 바이오 사업'은 나노 자성입자를 기반으로 핵산 추출시약 소재 및 응용키트 제조ㆍ판매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디스플레이 사업'은 외부 신호에 따라 색상 또는 투과도가 변화하는 나노신소재 제품개발 및 상용화를 추진 중입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보안시장 (Security Market): 브랜드보호 및 첨단 보안인쇄

 

당사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하게 양산에 성공한 독보적 자기색가변 소재기술을 기반으로 위조방지 보안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였습니다.

보안시장은 기업들의 정품보호 및 위조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브랜드보호(Brand Protection) B2B 시장'과 2) 각국 정부의 유가증권 및 보안문서 등에 적용되는 '첨단 보안인쇄(High Security Printing) B2G 시장'으로 구별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상품 물동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가품으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가 증대되고 있어,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위조품 방지를 위한 브랜드보호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브랜드보호를 위한 위조방지 기술 중 ① QR 코드, 디지털이미지 코드 등 IT 기반의 온라인 정품인증 솔루션 기술들은 복제방지에 한계가 있어 주로 마케팅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② 홀로그램으로 대표되는 가공기술 기반의 다양한 보안기술들은 다수의 유사 기술과 제품들로 인해 정품과 가품 구분에 한계가 있어, ③ 복제 난이도를 극대화한 '첨단 보안소재'를 기반으로 제품에 부착 또는 인쇄하여 복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쉽게 인증할 수 있는 보안신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습니다.


첨단 보안인쇄 시장은 주로 정부가 발행하는 각종 보안문서, 신분증, 인증서, 관세필증, 여권, 상품권, 유가증권, 지폐 등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첨단 보안제품 시장입니다. 기술적으로는 광학보안(DOVID), 보안기재(Substrate), 보안잉크(Ink), 타간트(Taggant), 워터마킹(Watermarking)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첨단 보안인쇄 시장은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고도의 보안수준을 요구하기 때문에 혁신적인 신기술로 '복제 난이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첨단 보안신소재'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습니다. 첨단보안인쇄 시장은 진입장벽이 높아 한번 채택된 기술은 지속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바이오 추출ㆍ정제 시장: 마그네틱 비드 (Magnetic Bead) 

 

당사는 보안사업의 핵심소재인 초상자성 자성입자(SPM: 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를 기반으로 엠비드(M-Bead) 제품을 출시하며 바이오 소재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당사의 엠비드(M-Bead)는 바이오 산업에서 핵산 분리ㆍ정제용 추출시약의 핵심원료인 마그네틱 비드 소재입니다.  

핵산 추출ㆍ정제 시장은 의약ㆍ바이오 시장확대와 인간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응용연구개발이 증대되면서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제약, 바이오 회사 및 관련 전문 연구기관들은 분석시간 단축 및 자동화를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컬럼방식에서 마그네틱 비드 방식으로 진단분석기기를 전환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팬데믹 확산으로 인한 대규모 신속 진단을 위해 마그네틱 비드 방식의 유전자 추출 자동화기기가 전세계에 대량 설치되었습니다. 향후 기 설치된 자동화 기기를 활용한 감염병 및 다양한 질병들의 정확한 감염여부를 빠른 속도로 진단하기 위해 마그네틱 비드 방식의 유전자 추출 시장도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바이오 시약 시장은 일반적으로 매우 보수적이지만 대규모 추출시약 구매 업체들은 우수한 특성과 안정된 품질관리 역량을 보유한 소재회사를 지속적으로 물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핵산추출 자동화장비 제조사의 경우에는 적시적 기술지원 및 차별화된 특성 구현을 위해 국산 마그네틱 비드의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기능성 디스플레이 시장: 색가변ㆍ투과도가변 소재

 

당사는 '전기 색가변' 및 '전기 투과도가변'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산업군 업체들과 함께 '기능성 디스플레이 소재' 시장 진입 및 상용화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전기 색가변 시장: E-Skin, E-Spectra]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생활가전, 인테리어, 모바일과 IT 기기, 전기자동차 산업에서 감성 중심의 고가 신제품 개발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해당 제품군에서 핵심적인 필요기술이 포화되면서 독특한 색상과 디자인이 새로운 차별화 포인트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또한,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와 탄소중립(Net Zero)등의 친환경 경영기조 및 IoT(Internet of Things) 산업 확대와 함께, 초저전력 친환경 디스플레이인 전자종이(E-Paper)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전기 색가변 소재인 E-Skin, E-Spectra 필름은 △사용자가 색조나 색상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어 감성외장재로서 혁신적인 제품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무선전파로도 구동가능할 정도의 초저전력 사용으로 모바일 및 전자가격표시기(ESL:Electronic Shelf Label)에 적합하며, △ 자연광에서도 시인성이 뛰어나 옥외 디스플레이에도 적합한 신개념 전자종이(E-Paper) 소재입니다.

 [전기 투과도가변 시장: ET-Ink, E-Tint]

스마트 유리와 스마트 창은 보통 전기, 빛 또는 열이 가해지면 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단하여 투과도가 조절되는 기술입니다. 해당 기술을 응용하면 수동 블라인드나 수동 커튼없이 자동으로 창문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고, 건물 외부에 스마트 글라스를 사용하면 난방, 냉방, 조명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기후 적응형 건물을 위한 혁신적 솔루션입니다.

당사가 개발하고 있는 전기 투과도가변 제품인 이-틴트(E-Tint)는 전기신호에 따라 광특성이 조절되는 잉크 소재(ET-Ink)를 이용해 제조하는 투과도가변 필름 제품입니다. 당사가 개발중인  전기 투과도가변 잉크(ET-Ink)와 필름(E-Tint)은 △전류나 교류전압이 아닌 직류전압(DC Voltage)으로 구동되며 △광차단 방향 및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안료입자 기반으로 높은 광차단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완전한 검정색 차단(True Black Shutter)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의 ET-Ink 잉크, E-Tint 필름 제품은 △각도에 따라 화면의 ON/OFF를 조절할 수 있는 편광 광조절 디스플레이나, △OLED 등의 투명디스플레이의 광셔터, △광량이 조절되는  윈도우 필름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기존 유사기능의 EC(Electronic Chromic)나 PDLC(Polymer Dispersed Liquide Crystal) 제품군에 비해서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당사는 독자적으로 구축한 나노신소재 공통생산 플랫폼을 이용하여 ① 세계 최초이며 유일하게 양산에 성공한 자기색가변 첨단 보안소재를 기반으로 '위조방지 보안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② 대량양산하는 보안소재용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핵산추출시약 바이오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③ 또한 다양한 산업의 수요기업들과 함께 전기 색가변과 전기 투과도가변 나노신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디스플레이 응용제품을 공동개발하며 '기능성 디스플레이 신소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위조방지 보안사업'에 이어 '핵산추출소재 바이오사업'을 확대 추진 중이며, '차세대 기능성 디스플레이 신사업' 진입 중입니다.

'위조방지 보안사업'은, 당사의 독보적 위변조방지 경쟁력을 토대로 기업향 브랜드보호시장에서 대정부향 첨단기술인쇄 시장으로 주력제품군 및 목표시장을 전환하고 있으며, 중동지역 의약품 적용사례를 시작으로 대상국가내 품목 확대와 인접국가로의 시장 확대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핵산추출 바이오사업'은, 국대 선도 바이오 진단키트 업체로부터 검증된 성능 및 품질을 토대로, 감염병 및 질병 진단용 핵심시약으로 국내외 바이오 진단업체들로의 납품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신사업으로는 전기 색가변 및 전기 투과도 가변 등 기능성 디스플레이 사업을 추진 중이며, 상용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 공격적인 연구개발 투자 및 시설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장 및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감성외장재용 전기색가변 필름인 이스킨(E-Skin)의 양산라인을 구축 후, 잠재적 고객과 응용제품 실장 적용평가를 병행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액티브 나노플랫폼(Active Nano-Platform) 기반의 기능성 나노신소재 플랫폼 사업 중 '위조방지 보안사업'과 '핵산추출소재 바이오사업' 외의 사업 부문은 현재 시장진입ㆍ확대 단계이거나 글로벌 선도기업과 함께 응용제품 실장테스트 단계에 있기에 공시 대상 사업부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2) 시장의 특성 및 시장 점유율 

 

당사 핵심사업인 '기능성 나노신소재 사업'은 바이오 신약사업과 유사하게 장기간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고위험ㆍ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 사업입니다. 새로운 첨단 소재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수년간의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양산공정 안정화와 품질검증을 위해 장기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어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군입니다. 그러나 양산품질이 검증된 신소재는 다양한 산업분야로 연쇄적으로 확대적용(One Source Multi Use)되어 지속적으로 매출이 확대되며 고수익을 유지할 수 있는 플랫폼 비지니스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독보적인 나노 신소재 공통생산 플랫폼 구축을 통해 하나의 소재가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신소재를 지속적으로 출시할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또한 상용화 개발이 완료된 하나의 신소재는 목표시장의 고객 필요에 따라 다양하고 차별화된 응용제품에 적용되거나 예측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장으로도 확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경쟁력은 독자적으로 구축한 액티브 나노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나노신소재를 지속적으로 출시하는데 있습니다. 출시된 제품군은 시장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새롭게 창출될 수 있어 당사와 동일한 사업모델의 경쟁업체를 선정하거나 예상 시장점유율 산출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수년간 연구개발을 통해 외부신호에 따라 특성이 변화되는 다양한 기능성 나노신소재들의 공통생산 기반인 '액티브 나노플랫폼(Active Nano Platform)'을 구축하였습니다. 새로운 첨단 기능성 소재가 출시되면 이종 산업에서 혁신적 응용제품 시장이 창출될 수 있어 다양한 산업분야의 선도기업들은 당사의 신소재를 선도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니즈를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잠재적 고객과 함께 첨단 나노신소재를 활용한 혁신적 응용제품 시장을 공동으로 창출해 가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업군의 글로벌 선도업체들은 당사의 독특한 나노신소재를 이용한 혁신적 신제품을 활용하여 신시장을 창출하고자 당사에 제휴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산업군의 글로벌 선도업체들과 색가변 화장품, 색가변 문구. 색가변 전자부품 등 다양한 응용제품 적용을 진행해왔으나, 시장성과 사업성 등을 고려하여 전기 색가변ㆍ전기 투과도가변 제품개발 및 상용화에 선택과 집중하며 연구개발 및 공격적인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 조직도


나노브릭_조직도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외부감사 확정 전 연결ㆍ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는 2024년 3월 19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http://www.nanobrick.co.kr)에 게재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1. 연결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17(당)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16(전)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나노브릭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주  석 제17(당)기말 제16(전)기말
자               산


I. 유동자산
10,106,167,329 15,900,881,855
  현금및현금성자산 3,4,5 3,773,883,463 2,059,210,842
  단기금융상품 3,4,6 2,000,000,000 10,000,000,000
  매출채권 3,4,7 432,162,811 932,985,692
  재고자산 9 2,986,362,455 2,412,906,927
  기타유동금융자산 3,4,7 652,335,373 293,894,525
  기타유동자산 9 217,626,297 174,827,649
  당기법인세자산
43,796,930 27,056,220
II. 비유동자산
18,661,234,347 12,234,791,303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4,7 187,726,742 827,715,217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10 621,454,224 630,346,873
  유형자산 11,13 17,687,673,197 10,600,938,011
  무형자산 12 164,380,184 175,791,202
자   산   총   계
28,767,401,676 28,135,673,158
부               채
   
I. 유 동 부 채
15,831,386,845 16,650,563,627
  매입채무 3,4,14 1,073,692,998 153,686,469
  단기차입금 3,4,15,28 3,250,000,000 3,250,000,000
  전환사채 3,4,15,28 4,161,062,339 7,271,839,122
  기타유동금융부채 3,4,16,28 907,178,146 847,318,371
  유동리스부채 13,28 82,324,840 99,139,593
  유동파생상품부채 3,4,15,16,28 5,857,797,614 4,950,736,102
  기타유동부채 18 499,330,908 77,843,970
II. 비 유 동 부 채
3,231,899,910 1,341,014,557
  기타비유동금융부채 3,4,16 26,167,630
  비유동리스부채 13,28 37,376,995 81,190,768
  퇴직급여부채 17 1,713,980,221 1,233,656,159
  이연법인세부채
1,480,542,694
부   채   총   계
19,063,286,755 17,991,578,184
자               본
   
I. 자본금 19 10,304,176,500 10,232,274,500
II. 기타자본항목 19 26,715,748,492 26,394,119,868
III.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9 5,603,393,643
IIII. 이익잉여금(결손금) 20 (32,919,203,714) (26,482,299,394)
자   본   총   계
9,704,114,921 10,144,094,974
부채및자본총계
28,767,401,676 28,135,673,158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7(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16(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나노브릭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주  석 제17(당)기 제16(전)기
I. 매출액 21 6,459,076,533 7,139,299,058
II. 매출원가 26 4,284,402,345 4,874,766,199
III. 매출총이익
2,174,674,188 2,264,532,859
   판매비와관리비 22 4,656,694,196 5,858,484,209
IV. 영업이익(손실)
(2,482,020,008) (3,593,951,350)
   기타수익 23 35,617,740 188,323,650
   기타비용 23 54,283,588 146,544,805
   금융수익
3,24 533,809,805 5,699,792,459
   금융비용 3,24 4,308,415,795 4,398,273,767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관련 손익
(8,892,649) (148,166,612)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6,284,184,495) (2,398,820,425)
VI. 법인세비용(수익) 25
VII. 당기순이익(손실)
(6,284,184,495) (2,398,820,425)
VIII. 기타포괄손익
5,450,673,818 53,729,894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5,450,673,818 53,729,894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52,719,825) 53,729,894
    유형자산 재평가이익
5,603,393,643


(833,510,677) (2,345,090,531)
IX. 총포괄이익
(833,510,677) (2,345,090,531)
X. 주당손익 27  
   보통주 기본주당이익(손실)

(304) (121)
   보통주 희석주당이익(손실)
(304) (121)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17(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16(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나노브릭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결손금) 총   계
2022.1.1(전기초) 4,651,034,000 31,896,047,236 (24,137,208,863) 12,409,872,373
 무상증자 5,581,240,500 (5,618,483,830) (37,243,330)
 자기주식 취득   (2,842,776) (2,842,776)
 주식보상비용 119,399,238 119,399,238
 당기순이익(손실) (2,398,820,425) (2,398,820,425)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53,729,894 53,729,894
2022.12.31(전기말) 10,232,274,500 26,394,119,868 (26,482,299,394) 10,144,094,974
2023.1.1(당기초) 10,232,274,500 26,394,119,868 (26,482,299,394) 10,144,094,974
 신주의 발행 71,902,000 287,608,000 359,510,000
 주식보상비용 34,020,624 34,020,624
 당기순이익(손실) (6,284,184,495) (6,284,184,495)
 유형자산 재평가이익  5,603,393,643 5,603,393,643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52,719,825) (152,719,825)
2023.12.31(당기말) 10,304,176,500 26,715,748,492 5,603,393,643 (32,919,203,714) 9,704,114,921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17(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16(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회주식회사 나노브릭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17(당)기 제16(전)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5,628,573) (1,096,399,194)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28 (128,178,331) (1,137,566,537)
  가. 당기순이익
(6,284,184,495) (2,398,820,425)
  나. 당기순이익에 대한 조정
4,907,537,868 1,167,356,229
  다. 영업활동 자산ㆍ부채의 증감
1,248,468,296 93,897,659
2. 이자 수취
283,454,845 175,720,250
3. 이자 지급
(174,164,377) (111,516,207)
4. 배당금 수취
5. 법인세 납부(환급)
(16,740,710) (23,036,700)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503,046,324 326,902,303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0,127,525,019 23,515,900,000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20,000,000,000 23,500,000,000
  임차보증금의 감소
15,500,000
  장기대여금의 감소
56,960,000
  기타보증금의 감소
4,036,664 400,000
  유형자산의 처분
52,869,818
  국고보조금의 수령
13,658,537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2,624,478,695) (23,188,997,697)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12,000,000,000) (21,500,000,000)
  임차보증금의 증가
(2,670,000) (126,500,000)
  기타보증금의 증가
(5,640,000) (1,500,000)
  유형자산의 취득
(566,712,142) (1,528,540,929)
  무형자산의 취득
(49,456,553) (32,456,768)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752,742,217) (436,761,20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59,510,000
  신주의 발행
359,510,0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6,112,252,217) (436,761,206)
  전환사채의 상환
(6,0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30,000,000)
  장기차입금의 상환
(27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112,252,217) (96,675,100)
  무상신주발행비의 지급
(37,243,330)
  자기주식 취득
(2,842,776)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2,913) 8,070,447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Ⅳ)
1,714,672,621 (1,198,187,650)
VI.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2,059,210,842 3,257,398,492
VII.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3,773,883,463 2,059,210,842


※ 상기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주주총회 1주 전인 2024년 3월 19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인 당사의 연결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17(당)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16(전)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나노브릭 (단위 : 원)
과        목 주  석 제17(당)기말 제16(전)기말
자               산


I. 유동자산
9,617,415,878 15,412,136,328
  현금및현금성자산 3,4,5 3,285,464,862 1,571,320,088
  단기금융상품 3,4,6 2,000,000,000 10,000,000,000
  매출채권 3,4,7 432,162,811 932,985,692
  재고자산 9 2,986,362,455 2,412,906,927
  기타유동금융자산 3,4,7 652,335,373 293,894,525
  기타유동자산 9 217,368,297 174,023,576
  당기법인세자산
43,722,080 27,005,520
II. 비유동자산
19,170,126,996 12,734,791,303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4,7 187,726,742 827,715,217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 10 1,130,346,873 1,130,346,873
  유형자산 11,13 17,687,673,197 10,600,938,011
  무형자산 12 164,380,184 175,791,202
자   산   총   계
28,787,542,874 28,146,927,631
부               채
   
I. 유 동 부 채
15,831,386,845 16,650,563,627
  매입채무 3,4,14 1,073,692,998 153,686,469
  단기차입금 3,4,15,28 3,250,000,000 3,250,000,000
  전환사채 3,4,15,28 4,161,062,339 7,271,839,122
  기타유동금융부채 3,4,16,28 907,178,146 847,318,371
  유동리스부채 13,28 82,324,840 99,139,593
  유동파생상품부채 3,4,15,16,28 5,857,797,614 4,950,736,102
  기타유동부채 18 499,330,908 77,843,970
II. 비 유 동 부 채
3,231,899,910 1,341,014,557
  기타비유동금융부채 3,4,16 26,167,630
  비유동리스부채 13,28 37,376,995 81,190,768
  퇴직급여부채 17 1,713,980,221 1,233,656,159
  이연법인세부채
1,480,542,694
부   채   총   계
19,063,286,755 17,991,578,184
자               본
   
I. 자본금 19 10,304,176,500 10,232,274,500
II. 기타자본항목 19 26,715,748,492 26,394,119,868
III.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9 5,603,393,643
IIII. 이익잉여금(결손금) 20 (32,899,062,516) (26,471,044,921)
자   본   총   계
9,724,256,119 10,155,349,447
부채및자본총계
28,787,542,874 28,146,927,631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7(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16(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나노브릭 (단위 : 원)
과        목 주  석 제17(당)기 제16(전)기
I. 매출액 21 6,459,045,540 7,139,299,058
II. 매출원가 26 4,284,402,345 4,874,766,199
III. 매출총이익
2,174,643,195 2,264,532,859
   판매비와관리비 22 4,656,162,282 5,846,899,982
IV. 영업이익(손실)
(2,481,519,087) (3,582,367,123)
   기타수익 23 35,597,740 188,323,650
   기타비용 23 54,283,578 146,544,805
   금융수익
3,24 533,322,950 5,699,462,705
   금융비용 3,24 4,308,415,795 4,398,273,767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손익 27 (369,653,127)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6,275,297,770) (2,609,052,467)
VI. 법인세비용(수익) 25
VII. 당기순이익(손실)
(6,275,297,770) (2,609,052,467)
VIII. 기타포괄손익
5,450,673,818 53,729,894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5,450,673,818 53,729,894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52,719,825) 53,729,894
    유형자산 재평가이익
5,603,393,643
IX. 총포괄이익
(824,623,952) (2,555,322,573)
X. 주당손익 27  
   보통주 기본주당이익(손실)

(304) (131)
   보통주 희석주당이익(손실)
(304) (131)


자  본  변  동  표
제17(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16(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나노브릭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결손금) 총   계
2022.1.1(전기초)
(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4,651,034,000 31,896,047,236 (23,915,722,348) 12,631,358,888
 무상증자 5,581,240,500 (5,618,483,830) (37,243,330)
 자기주식 취득 (2,842,776) (2,842,776)
 주식보상비용 119,399,238 119,399,238
 당기순이익(손실) (2,609,052,467) (2,609,052,467)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53,729,894 53,729,894
2022.12.31(전기말) 10,232,274,500 26,394,119,868 (26,471,044,921) 10,155,349,447
2023.1.1(당기초) 10,232,274,500 26,394,119,868 (26,471,044,921) 10,155,349,447
 신주의 발행 71,902,000 287,608,000  -   -  359,510,000
 주식보상비용 34,020,624 34,020,624
 당기순이익(손실) (6,275,297,770) (6,275,297,770)
 유형자산 재평가이익 5,603,393,643 5,603,393,643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52,719,825) (152,719,825)
2023.12.31(당기말) 10,304,176,500 26,715,748,492 5,603,393,643 (32,899,062,516) 9,724,256,119



현  금  흐  름  표
제17(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16(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나노브릭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17(당)기 제16(전)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6,156,420) (1,084,289,948)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28 (128,730,328) (1,125,178,237)
  가. 당기순이익
(6,275,297,770) (2,609,052,467)
  나. 당기순이익에 대한 조정
4,898,645,219 1,389,172,498
  다. 영업활동 자산ㆍ부채의 증감
1,247,922,223 94,701,732
2. 이자 수취
283,454,845 175,390,496
3. 이자 지급
(174,164,377) (111,516,207)
4. 배당금 수취
5. 법인세 납부(환급)
(16,716,560) (22,986,000)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503,046,324 (173,097,697)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0,127,525,019 23,515,900,000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20,000,000,000 23,500,000,000
  임차보증금의 감소
15,500,000
  장기대여금의 감소
56,960,000
  기타보증금의 감소
4,036,664 400,000
  유형자산의 처분
52,869,818
  국고보조금의 수령
13,658,537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2,624,478,695) (23,688,997,697)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12,000,000,000) (21,500,000,000)
  임차보증금의 증가
(2,670,000) (126,500,000)
  기타보증금의 증가
(5,640,000) (1,500,000)
  종속회사투자주식의 취득
(500,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566,712,142) (1,528,540,929)
  무형자산의 취득
(49,456,553) (32,456,768)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752,742,217) (436,761,20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59,510,000
   신주의 발행
359,510,0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6,112,252,217) (436,761,206)
  전환사채의 상환
(6,0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30,000,000)
  장기차입금의 상환
(27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112,252,217) (96,675,100)
  무상신주발행비의 지급
(37,243,330)
  자기주식 취득
(2,842,776)
I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2,913) 8,070,447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Ⅳ)
1,714,144,774 (1,686,078,404)
VI.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571,320,088 3,257,398,492
VII.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3,285,464,862 1,571,320,088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리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제17기 2023년  1월   1일 부터 제16기 2022년  1월   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2022년 12월 31일 까지
처리예정일 2024년 03월 27일
처리확정일 2023년 03월 30일
회사명 : 주식회사 나노브릭 (단위 : 천원)
과        목 제 17(당) 기 제 16(전) 기
1. 미처분 이익잉여금(결손금)   (32,899,062)   (26,471,044)

  전기이월이익잉여금(결손금)

(26,471,044)   (23,915,72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52,720)   53,730  

  당기순이익(손실)

(6,275,298)   (2,609,052)  
2. 이익잉여금(결손금) 처분액    -      -  
3.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32,899,062)   (26,471,044)


※ 상기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주주총회 1주 전인 2024년 3월 19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5조 (발행예정주식의 총수)
이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50,000,000주로 한다.
제5조 (발행예정주식의 총수)
이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로 한다.
- 발행예정주식 총수의 확대
- 정관 조문 정비
제14조의2 (전환사채의 발행 및 배정)
①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5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 재무구조의 개선, 신규 영업의 진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등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관(기관투자자 및 각종 연기금 포함), 국내외 법인.개인투자자 등 특정한 자(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직전사업연도 5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공모의 방식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④ (생략)
제14조의2 (전환사채의 발행 및 배정)
①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 재무구조의 개선, 신규 영업의 진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등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관(기관투자자 및 각종 연기금 포함), 국내외 법인.개인투자자 등 특정한 자(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공모의 방식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④ (현행과 같음)
- 사채 발행한도확대
- 정관 조문 정비
제15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및 배정)
①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직전사업연도5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 재무구조의 개선, 신규 영업의 진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등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관(기관투자자 및 각종 연기금 포함), 국내외 법인.개인투자자 등 특정한 자(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직전사업연도 5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공모의 방식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⑤ (생략)
제15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및 배정)
①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 재무구조의 개선, 신규 영업의 진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 등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기관(기관투자자 및 각종 연기금 포함), 국내외 법인.개인투자자 등 특정한 자(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1,0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공모의 방식으로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②~⑤ (현행과 같음)
- 사채 발행한도확대
- 정관 조문 정비
제25조 (의결권의 불통일행사)
① 2인이상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는 주주가 의결권의 불통일 행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회일의 3일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그 뜻과 이유를 통지하여야 한다.
② (생략)
제25조 (의결권의 불통일행사)
① 2이상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는 주주가 의결권의 불통일 행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회일의 3일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그 뜻과 이유를 통지하여야 한다.
②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오타 수정)
제40조 (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① 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결의를 거친 임원보수지급규정에 의한다.
② (생략)
제40조 (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① 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이를 정한다.

②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제41조의2 (감사의 수와 선임)
①~③ (생략)
제42조 (감사의 수와 선임)
①~③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1조의3 (감사의 임기)
(내용 생략)
제43조 (감사의 임기)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1조의4 (감사의 보선)
감사중 결원이 생긴 때에는 주주총회에서 이를 선임한다. 그러나 이 정관 제41조의2항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하지 아니하고 업무수행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44조 (감사의 보선)
감사중 결원이 생긴 때에는 주주총회에서 이를 선임한다. 그러나 이 정관 제42조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하지 아니하고 업무수행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1조의5 (감사의 직무 등)
①~⑦ (생략)
제45조 (감사의 직무 등)
①~⑦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1조의6 (감사록)
(내용 생략)
제46조 (감사록)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1조의7 (감사의 보수와 퇴직금)
①~② (생략)
제47조 (감사의 보수와 퇴직금)
①~②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2조 (사업연도)
(내용 생략)
제48조 (사업연도)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3조 (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 등)
①~⑤ (생략)
제49조 (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 비치 등)
①~⑤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3조의2 (외부감사인의 선임)
(내용 생략)
제50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4조 (이익금의 처분)
(내용 생략)
제51조 (이익금의 처분)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5조 (이익배당)
①~② (생략)
제52조 (이익배당)
①~②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제46조 (배당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①~② (생략)
제53조 (배당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①~② (현행과 같음)
- 정관 조문 정비
(단순 조항 정비)
<신설> 부  칙 <2024.03.27>
제1조 (시행일)
① 이 정관은 2024년 3월 27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정관 시행일 추가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
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의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주완 1967.10.28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주완 연구위원 2005-2008 과학기술부 사무관 (종합기획과) -
2008-2020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산업분석팀)
2009-2009 지식경제부 장관 자문위원 (디스플레이산업)
2020-2023 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위원 (친환경미래소재연구실)
2024-현재 포스코경영연구원 비상임 고문
- - - - -


다.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이주완 사외이사 후보자]

사외이사 후보자로서 전문성과 독립성(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음)을 기초로 아래와 같이 성실히 직무를 수행할 것을 확인합니다.

                                                 - 아     래 -

1. 회사의 경영에 관한 최고 의사결정주체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임무를
  수행한다.

2. 회사의 가치 증진과 발전을 회사경영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3. 특정주주의 이익이 아니라 주주 전체 및 회사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한다.

4. 이사회를 통하여 적법하고 윤리적이며 원칙을 준수하는 경영활동을  함으로써,
   회사가 주주뿐 아니라 제반여건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채권자, 종업원, 고객,
   거래기업, 지역사회 등 회사의 주요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

5. 회사가 생산성 향상, 고용창출, 사회공헌 등을 통하여 국가경제와 사회발전에도
   기여하도록 노력한다.

6. 전문성과 경험을 살려 이사회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되, 독립
   적인 지위에서 의사결정을 한다.

7. 이사회가 회사의 경영에 관한 감독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노력한다.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주완 사외이사 후보자]
경제 및 경영 전반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회사 결정사항의 투명성 제고와 전문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확인서

확인서_사외이사(이주완)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권유시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전영길 1952.09.07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전영길 감사 1997-2008 한국거래소 본부장보 -
2008-2011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원장대행
2011-2013 법무법인충정 경영고문
2011-2017 프리스닥 회장
2015-2018 Suning Universal Group 경영고문
2020-현재 아이비투자연구소 임원
2018-현재 나노브릭 감사
- - - - -


다.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해당분야 전문가로서 경영 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에서 감사 본연의 업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며, 감사업무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재무/회계 관리 체계 및 투명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당사의 감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_감사(전영길)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08백만원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08000089

나노브릭 (28675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