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1-02 13:3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102000082
2023년 1월 2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케어랩스 | |
대 표 이 사 : | 박경득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2길 16, 11층 (역삼동, 케어랩스타워) | |
(전 화) 02-6929-2340 | ||
(홈페이지) http://www.carelabs.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관리실장 | (성 명) 홍 중 권 |
(전 화) 02-6929-2340 | ||
(제11기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제11기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정관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다 음 -
1. 일시: 2023년 1월 17일(화) 오전 9시
2. 장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340 경원빌딩 3층 위플레이스 강남본점 Room1
3. 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제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1-1호 의안: 사내이사 신종현 선임의 건
제1-2호 의안: 사내이사 이민경 선임의 건
제2호 의안: 감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감사 지명찬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해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1월 7일(토) ~ 2023년 1월 16일(월)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인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 동의안 처리: 주주총회 상정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원으로 처리 (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만 인정됨)
- 대리행사 :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 본 주주총회에서는 별도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 하오니 이점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1월 2일
주식회사 케어랩스
대표이사 박 경 득 (직인생략)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전태준 (출석률: 73%) | 구본웅 (출석률: 0%) | 강태환 (출석률:64 %) | |||
찬 반 여 부 | |||||
1 | 2022.02.25 | 제1호 의안: 제10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제10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제4호 의안: 사내규정 개정 및 재정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목적사항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불참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2 | 2022.03.11 | 제1호 의안: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목적사항 승인의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3 | 2022.04.29 | 제1호 의안: (주)굿닥 투자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주)바비톡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메디잡, 클레버 영업양도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 불참 | 찬성 찬성 찬성 |
4 | 제1호 의안: 신규시설투자등(사옥 신축) 철회의 건 제2호 의안: 유형자산(케어랩스타워 및 영신빌딩)매각의 건 | 찬성 찬성 | 불참 | 찬성 찬성 | |
5 | 2022.06.27 | 제1호 의안: (주)메타체인 투자 승인의 건 | 불참 | 불참 | 불참 |
6 | 2022.07.29 | 제1호 의안: 본점 소재지 변경의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7 | 제1호 의안: (주)공간소프트 차입금에 대한 지급보증의 건 | 찬성 | 불참 | 불참 | |
8 | 2022.08.23 | 제1호 의안: 제5회차 전환사채에 대한 매도청구권(콜옵션)행사의 건 | 불참 | 불참 | 찬성 |
9 | 2022.11.18 | 제1호 의안: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 제2호 의안: 유형자산(케어랩스타워 및 영신빌딩) 매각 정정의 건 제3호 의안: (주)메디잡리더스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기권 | 불참 | 찬성 찬성 반대 |
10 | 2022.12.09 | 제1호 의안: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 정정의 건 | 찬성 | 불참 | 찬성 |
11 | 2023.01.02 | 제1호 의안: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목적사항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 불참 | 불참 | 찬성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1,500,000 | 36,000 | 12,000 | -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이사 보수한도 총액임
주2) 지급총액은 2022년도 3분기까지 지급한 금액의 합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유상증자 | (주)굿닥 | 2022.01.01 ~ 2022.09.30 | 84.99 | 15.56 |
대여금 상환 | (주)굿닥 | 2022.01.01 ~ 2022.09.30 | 82.12 | 15.04 |
유상증자 | (주)메디잡리더스 | 2022.01.01 ~ 2022.09.30 | 49.45 | 9.05 |
사업양도 | (주)메디잡리더스 | 2022.01.01 ~ 2022.09.30 | 39.52 | 7.24 |
주1) | 상기 거래금액은 최근 사업연도말(2021년도말) 현재 개별재무제표기준 매출총액 (546억원)의 1%이상의 금액입니다.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주)굿닥 | 유상증자 | 2022.01.01 ~ 2022.09.30 | 84.99 | 15.56 |
(주)굿닥 | 대여금 상환 | 2022.01.01 ~ 2022.09.30 | 82.12 | 15.04 |
(주)메디잡리더스 | 유상증자 | 2022.01.01 ~ 2022.09.30 | 49.45 | 9.05 |
(주)메디잡리더스 | 사업양도 | 2022.01.01 ~ 2022.09.30 | 39.52 | 7.24 |
주1) | 상기 거래금액은 최근 사업연도말(2021년도말) 현재 개별재무제표기준 매출총액 (546억원)의 5%이상의 금액입니다. |
가. 업계의 현황
[헬스케어 미디어]
1) 산업의 특성
플랫폼 비즈니스란 사업자가 직접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제품이나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 그룹과 사용자 그룹이 플랫폼 내에서 활발하게 거래하도록 함으로써 가치를 생성하고 궁극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을 뜻합니다.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징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다양하게 연결되는 양방향구조에 있으며, 생산자와 사용자는 매우 랜덤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양면시장(TwoSided Market)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양면시장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가 필수적입니다. 네트워크 효과란 상대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보다 높은 이익이나 효용을 얻는 효과를 말합니다. 사용자 수가 높고 충성도가 높은 이용자가 많다면 네트워크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으며, 이용자 측면을 확보할 수 있다면 공급자 집단은 비교적 쉽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플랫폼 비즈니스 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구분 | 헬스케어 1.0 | 헬스케어 2.0 | 헬스케어 3.0 |
시대 | 공중보건의 시대 (18-20세기 초) | 질병치료의 시대 (20세기 초-말) | 건강수명의 시대 (21세기 이후) |
촉발시킨 기술혁신 | 인두접종(1721년) | 페니실린 발견(1928년) | 인간 지놈 해동(2001년) |
주목적 |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 | 질병 치료 | 질병의 예방 및 관리를 통한 건강한 삶 영위 |
건강지표 | 전염병 사망률 | 기대수명 | 건강수명 |
공급자 | 국가 | 제약, 의료기기, 병원 | 기존 공급자 외 IT, 건설, 자동차, 가전, 보안 등 |
수요자 | 일반인(전 국민) | 환자 | 일반인 |
산업의 변화 | - 예방접종 활성화 - 청진기, 엑스레이 발명 | - 제약/기기/서비스 산업 본격화와 보험 발달 | - 제약-서비스, 제약-진단 기기의 연계 및 통합 - 병원의 수익모델 확대 |
성과 | - 전염병 사망률 감소 - 개인별 질환치료 미흡 | - 질환 극복 - 기대수명 연장 - 의료비 증가 | - 일상 관리, 맞춤 치료 등을 통해 의료비 절감, 건강수명 연장(전망) |
자료출처: 최진영. 고유상, 이승철, 강찬구, 최우석. 헬스케어 3.0: '건강수명'
시대의 도래.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제831호)
2) 산업의 성장성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고령자의 인구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7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습니다. 이제 단순히 오래 사는 것만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삶을 중요시하게 되면서 과거 헬스케어가 공중보건과 질병의 진단 및 치료라는 개념으로만 머물렀다면, 이제는 웰에이징, 웰니스, 항노화 (Well-Aging, Wellness,Anti-Aging)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로 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보통신기술 (ICT)이 융합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새로운 부가가치와 서비스 영역을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과거 PC를 통해 이루어지던 서비스들을 이동 중에도 이용할수 있게 되었고, 근거리무선통신(NFC)등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과 함께 다양한 플랫폼 비즈니스가 출현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시장은 전자상거래뿐만 아니라 배달,택시, 숙박, 음식점업, 부동산 등 서비스용역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고 향후 교육, 의료서비스 등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글로벌 플랫폼 시장 전망 |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연결실체의 미디어플랫폼 사업부는 주로 비급여 병ㆍ의원과 그곳을 이용하는 고객을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침체로 인한 가구 소득 및 자산 감소는 개인의 의료 이용 및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경기불황으로 인한 노동시장 불안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질병발생률을 높이고 이로 인해 의료시설의 이용 및 의료비 지출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치료이외의 목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일부 과목에 대한 의료소비는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기관들의 서비스 경쟁도 매우 치열해 지고있습니다. 또한 이미지 및 동영상 중심의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외모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면서 미용 관련 의료 서비스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계절성)
미용을 목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 겨울철(겨울 방학기간, 졸업시즌)을 성수기로 볼 수 있으며, 명절 전후, 샌드위치 휴일 등의 부분적인 성수기가 존재합니다. 병ㆍ의원 대상의 마케팅과 컨설팅을 주요 타켓으로 하는 헬스케어 디지털마케팅 사업부의 월별 매출액 추이를 보면 4분기와 1분기에 성수기 효과를 누리는 계절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경쟁상황)
모바일 환경에서의 경쟁은 단순 단말 위주의 경쟁에서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위주의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기업은 초기 투자비용에서 비교적 부담이 없는 편으로, 개발을 하기 위해 특별한 설비를 구입할 필요가 없고 제품 개발에 있어서 원가가 따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처럼 거대화하거나, 카카오톡처럼 주변 사람들이 모두 사용하는 서비스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산업에 비해 브랜드 충성도가 그렇게 강하지 않습니다. 전환비용이 낮기 때문에 사람들은 지금 이용하고 있는 것보다 더 좋은 서비스가 나올 경우 옮겨갈 수 있기에 진입장벽이 높지는 않은 편입니다.
진입장벽이 낮기에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많고, 경쟁자가 엄청난 속도로 늘어날 수도 있지만 그만큼 도태되고 사라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과거와 달리 기술 기반의 서비스 보다는 아이디어 중심의 서비스가 더욱 많아지고 있고, 아이디어와기획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운영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굿닥'과 '바비톡'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광고 매체의 측면에서는 게임앱, 메신저 앱 등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과 경쟁관계에 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비교우위)
연결실체가 운영하고 있는 매체의 경우 선점 효과와 5년간의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병원 업계를 철저히 파악하고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노하우를 많이 축적하였습니다.고객이 효율을 느낄 수 있도록 상품을 운영함으로서 경쟁사 대비 높은 만족도를 주고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보호법, 의료법 등 사업영위를 위해 반드시 준수해야할 관련 법적요건을 구현하며 준법리스크에 잘 대응하고 있으며, 해킹공격, 어뷰징 등을 차단하기 위한 보안 강화를 하는 등 기술적인 면에서도 상당히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굿닥'과 '바비톡' 모두 유사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가장 많은 다운로드 수와 방문자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비즈니스의 중심이 PC에서 모바일로 옮겨가면서 1등 사업자의 독점적 영향력은 더욱 강해졌습니다. 메신저, SNS와 같은 모바일 기반의 플랫폼은 이용자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 효과가 발생하여 이용자가 누릴 수 있는 효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는 동일서비스에서 2등 앱을 사용할 유인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솔루션]
1) 산업의 특성
헬스케어 산업은 보건산업의 영역 중 의료서비스, 의료기기, 의약품 제조업을 포함하는 사업으로 정의되며, 최근 노령인구의 급증, 정부정책, 기술발전 등의 요인을 바탕으로 산업자체의 외형이 크게 확장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21세기 의료 소비자들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기대수명)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건강수명)을 추구하고있습니다. 이에 치료에서 일상관리로 헬스케어의 개념이 변하고 병원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건강관리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표준 처방에서 개인맞춤치료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또한 비 진료영역에서도 의료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헬스케어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고, 의료기술과 IT기술의 용합으로 U-헬스와 같은 일상관리 중심의 산업이 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시대 구분]
구분 | Tele-health | e-health | u-health | digital-health |
시기 | 1990년 중반 | 2000년 | 2006년 | 2010년 이후 |
서비스 내용 | 원내 치료 | 치료 및 정보제공 | 치료/예방관리 | 치료/예방/복지/안전 |
주 제공자 | 병원 | 병원 | 병원, ICT 기업 | 병원, ICT 기업, 보험사, 서비스 기업 등 |
주 이용자 | 의료인 | 의료인, 환자 | 의료인, 환자, 일반인 | 의료인, 환자, 일반인 |
주요 시스템 | 병원운영(HIS, PACS) | 의무기록(EMR) 웹사이트 | 건강기록(EHR)모니터링 | 개인건강기록 기반 맞춤형 서비스 |
자료출처: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투자증권, KT경제경영연구소 자료
2) 산업의 성장성
헬스케어 관련 산업은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의 의료서비스 변화,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글로벌 핵심 비즈니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의료와 ICT의 융합인 스마트 헬스케어뿐만 아니라 개인 의료정보 관리 등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가 등장하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1)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성장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IT기기를 말합니다. 항상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수치화하는데 최적화된 진단기기이며,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성장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도 주목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시계, 손목밴드, 의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2) 휴대용 진단기기 수요 증가
당뇨, 고혈압 등 10대 만성질환 관련 부담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휴대용 진단기기의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에 대한 진료비 부담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예방 및 관리하는 차원에서 휴대용 진단기기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3) 스마트 병원 - 의료기기의 디지털화
병원에 스마트 의료 시스템 도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스마트 의료 시스템 구축으로 환자들의 의료정보, 처방내용, 검사결과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진료 및 검사의 중복을 막을 수 있으며, 디지털 수술기기의 도입으로 수술의 오차범위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국내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스마트 의료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으며, 중소형 병원으로도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자의무기록 시장 전망 |
(4)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과 의료 서비스가 융합된 산업으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개인 건강정보, 유전체 정보 전자의무기록 등의 데이터들이 방대해짐에 따라 헬스케어 서비스가 빅데이터 기술, 인공지능 기술 등과 결합하여 정밀의료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같이 개별적으로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재탄생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글로벌 제약사 또는 글로벌 IT기업 등의 다양한 업체들이 시장 성장 잠재력에 대한 큰 기대를 가지고 참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국내시장 전망> | (단위: 억 원, %) |
구분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CAGR |
국내시장 | 19,000 | 22,000 | 25,607 | 29,805 | 34,692 | 40,380 | 47,000 | 16.3 |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2020))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연결실체의 헬스케어솔루션 사업 부문은 직접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잠재 고객에게 유용한 정보와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병ㆍ의원에 효과적인 퍼포먼스 마케팅을 대행하는 등 기존에 없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성장국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매출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경쟁상황)
병의원 시장은 다른 산업과는 달리 의사만이 병원을 운영할 수 있다는 산업의 특수성때문에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고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았기 때문에 과거에는 별도의 마케팅이나 고객관리 없이도 운영이 가능하였지만, 현재는 병원에 방문한 고객을 만족시키고 고객이 다른 고객을 소개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는 시장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병원 운영에관한 컨설팅 및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으며 그에 맞춰 경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비교우위)
병원은 아주 특수한 조직임에 따라 일반적인 산업과는 구조가 많이 다릅니다. 그렇기에 병원 내부의 프로세스를 온전히 이해하여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가 설계되어야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병원에 대한 정확한 이해도 없이 개발된 CRM 소프트웨어도 많은 반면, 지배기업은 긴 업력을 바탕으로 비급여 병ㆍ의원 시장에대한 많은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병원 내부 실무자들과 함께 CRM 관련 기획을 진행해 왔으며 병원의 시스템을 파악하기 위해 병원을 공동으로 운영한 경험 등을토대로 사용 목적, 유저 인터페이스, 보안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데이터 로딩 속도, 커스터마이징 수준의 환경설정, 서버가 해킹되어도 알아볼 수 없는 환자 정보 암호화, 컨설팅 수준의 CRM 사용자 교육 및 AS가 사용자가 만족해 하는 당사의 강점입니다. 이외에도 월 평균 2~3회 기능 개선을 위한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지속적으로 개선시키고 있습니다.
[디지털마케팅]
1) 산업의 특성
인터넷과 기술의 발달로 인해 광고시장의 무게중심이 기존 4대 매체(지상파, 라디오,신문, 잡지)에서 온라인과 뉴미디어 방송매체(케이블TV, 위성TV 등) 빠르게 이동 중에 있습니다. 과거에는 4대 매체의 광고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였었지만, 인터넷과 모바일을 활용한 통합 미디어로 이용형태가 변화되면서 공유, 공감, 확인, 참가 등 소비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광고시장의 변화]
20. 광고시장의변화 |
2) 산업의 성장성
인터넷 보급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급격하게 성장 중인 '온라인광고'는 광고주의제품(서비스)이 필요한 고객을 정확히 찾아내어 타게팅 할 수 있고, 모든 행동이 수치(Digit)로 확인되는 디지털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실시간 성과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optimization)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온라인광고의 이러한 특징으로 광고주는 광고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용자는 불필요한 광고가 아니라 본인에게 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만 보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미디어는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모든 지면을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광고주, 이용자, 미디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시장이 생겨났습니다.
2000년대 들어 급속도로 인터넷 보급이 확산되면서 이용자 수가 동반 증가함에 따라 국내 대형 포털 업체(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의 검색 광고시장이 자리매김 할 수 있었으며, 디스플레이광고시장 또한 동반 성장하면서 온라인광고 전체 시장의 규모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0년 초부터 국내 스마트폰의 본격적인 보급이 시작되면서 광고시장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한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으며, 특히 최근 들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SNS 이용율의 증가와 함께 모바일 웹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통한 동영상 시청률의 상승으로 전통 미디어 중 가장 파급력이 크다고 하는 TV를 대체할만한 미디어로 그 영향력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온라인 광고시장규모(2020~2022년)> | (단위: 백만원, %) |
구분 | 매출액 | 구성비 | ||||
2020년 | 2021년(E) | 2022년(E)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인터넷 | 1,839,362 | 1,985,465 | 2,116,754 | 24.4 | 21.4 | 19.0 |
모바일 | 5,689,016 | 7,299,120 | 8,999,800 | 75.6 | 78.6 | 81.0 |
총계 | 7,528,378 | 9,284,586 | 11,116,554 | 100.0 | 100.0 | 100.0 |
(출처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21 방송통신광고비 조사, 16p)
<주요 플랫폼 회사 광고 매출 과거 성장률> | (단위: 백만달러, 억원) |
구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CAGR |
구글(광고매출) | 59,624 | 67,390 | 79,383 | 95,577 | 116,461 | 134,811 | 17.7% |
페이스북(광고매출) | 12,466 | 17,928 | 27,638 | 39,942 | 55,013 | 69,655 | 41.1% |
네이버 | 27,585 | 32,539 | 40,226 | 46,785 | 55,869 | 65,934 | 19.0% |
네이버(광고매출 | - | - | 3,994 | 4,613 | 5,730 | 6,633 | 4.0% |
(출처 : alphabet annual reports, facebook annual reports, 네이버 사업보고서)
매체별 글로벌 광고비 |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일반적으로 광고 시장은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높은 편입니다. 다만 직접적인 매출 증대를 목표로 하는 퍼포먼스 마케팅을 진행하는 경우는 경기가 불황일 때에도 예산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늘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고객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출에 즉각적인 효과를 낼 수 있고, 광고의 효과 역시실시간 데이터로 검증된다는 강점이 있기 때문에 집행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광고주들의 선택이 많기 때문입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경쟁상황)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의 온라인광고대행업을 영위하는 사업체수는 약 841개이며 연간 평균 광고 취급액은 53억5백만원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온라인광고대행업은 업종의 특성상 대규모의 초기 투자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체 설립의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 아니며, 광고주 영업만 대행하거나 타 광고 대행사의 재대행을 통해서 미디어사에서 제공하는 커미션(Commission)을 상호 분배할 수도 있는 시장의 특성 때문에 군소 사업체가 난립 중인 상황입니다. 온라인광고대행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는 수백 개에 달하지만, 매출액이 100억원 이상이거나 연간 광고 취급고가 1,000억원 이상인 사업체는 소수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광고 세부 업종별 취급액> | (단위: 개, 억원) |
2020년 조사(19년 기준) | 2021년 조사(20년 기준) | |||||
업무 | 사업체수 | 취급액 | 평균취급액 | 사업체수 | 취급액 | 평균취급액 |
온라인종합광고대행 | 575 | 24,300 | 42.3 | 571 | 32,775 | 57.4 |
온라인광고제작대행 | 187 | 4,615 | 24.7 | 190 | 5,919 | 31.2 |
온라인광고매체대행 | 115 | 3,691 | 32.0 | 100 | 6,363 | 62.4 |
온라인광고대행업소계 | 870 | 32,606 | 37.5 | 841 | 44,956 | 53.5 |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광고산업조사, p25)
주) 주력업종 외 다른 업종에서도 취급액을 발생시키는 회사들이 존재하여 사업체 수는 중복으로 처리함에 따라, 사업체수는 각 주력업종별 사업체 수보다 클 수 있습니다.
(비교우위)
과거에는 광고주 → 대행사 → 매체로 이어지는 3단계의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취하고 있었지만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면서 광고기획자들의 역할이 일부 축소 또는 자동화 되기도 하며, 매체들은 광고주가 직접 광고 운영을 할 수 있는 솔루션들을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다만 매체가 다변화되고 광고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높은 광고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광고 전체 과정을 다루고 통합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이는 광고시장 밸류체인의 한 단계에 자리한 업체가 아닌 광고 대행사만이 구사할 수 있는 고유한 영역입니다. 또한 각종 매체와 오프라인의 전 영역을 모두 포괄하여 소통할 수 있는 작업도 대행사만이 가능하기에 광고시장의 패러다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는 그리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모바일 내에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페이스북에 광고 자동화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추가인력 없이도 광고를 대량으로 운영하고, 효율과 수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 부설 디자인연구소를 운영하여 모든 마케팅에 필요한 디자인을 직접 수행하며 캐릭터, 웹툰 영역의 디자인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 서버나 어드민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고객들을 위하여 광고 서버, 어드민 시스템 등을 제공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랜딩페이지 기획/작업, 연동, 데이터 이관, 효율 분석 시스템을 모두 제공하여 별도의 외주 작업이나 개발업체 없이 모든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광고주의 성과 달성을 위하여 모든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광고를 운영하기 때문에 광고주의 영업뿐만 아니라 매체사의 제휴도 꾸준히 확장하고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카카오(다음) 등을 비록하여 SNS, 어플, 네트워크, 카페 커뮤니티 등 모든온라인 매체와의 제휴를 통하여 광고 지면을 확보하고 운영하며 당사와 광고주, 매체모두 광고 효율을 분석하여 공유하는 등 광고주/매체사/당사 모두 win-win 할 수 있는구조를 정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주식회사 케어랩스(이하 "지배기업")는 2012년 4월에 설립되어 2018년 3월에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연결실체의 주요 서비스는 모바일 헬스케어 및 뷰티케어 플랫폼이며, 이를중심으로 온라인 및 모바일 광고 서비스인 디지털마케팅 및 의료기관용 CRM소프트웨어 사업을 영위하는 헬스케어솔루션 사업부문이 유기적으로 협업하여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은 보다 편리한 의료 서비스와 의료 정보 불균형 해소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헬스케어 미디어]
(1) 굿닥
굿닥은 국내 1위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병원과 유저를 연결하는 O2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병원 갈 때 필요한 모든 과정을 digital transformation하여 내주변 병원/약국 찾기부터 접수/예약, 비대면진료, 의약품배송까지 모바일로 간편하게 서비스를 제공 합니다. 굿닥은 이를 통해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의료정보 불균형을 해결하고 병원과 환자 양측의 편의성, 신뢰성, 경제성을 높여 상호 간의 연결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4천개 이상의 클리닉 상품 정보제공, 약 30만개 가량의 병원후기를 보유 하는 등 최대의 의료 마켓플레이스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2) 바비톡
뷰티케어 관련 정보 커뮤니티로 20~30대의 여성들이 성형 및 미용과 관련된 후기들을 공유하고 병원에 대한 정보와 비용 등의 상세 정보를 확인 하는 등 활발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투명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 제공을 위해 '클린 리뷰 캠페인', 광고성 후기 자체 필터링' 등 자제적으로 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보다 안전한 성형문화 조성을 위해 업계 최초로 '바른성형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바른성형 캠페인을 통해 최근 성형의료 업계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쉐도우 닥터에 의한 대리수술 문제, 수술실 위생 및 안전문제 등 환자의 안전과 직결된 이슈를 해결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3) 메디잡
의료분야 전문 온라인 리크루팅 플랫폼 입니다. 사용자인 병의원들이 채용 공고를 게재하면 피용자인 간호사 등 의료인들과 간호조무사, 원무과 등 기타 인력들이 공고를보고 원하는 병의원에 입사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직자들은 채용 정보를 직종별, 지역별, 업무별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으며, 병의원들은 플랫폼에 업로드 되어있는 구직자들의 프로필을 보고 선별하여 입사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솔루션]
(1) CRM 소프트웨어
'스마트 CRM', 'Jarvis CRM'은 병ㆍ의원에서 사용하는 고객관리 소프트웨어입니다. 병의원이 점차 증가하면서 병원간 경쟁이 심화되고 운영의 효율성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CRM을 통해 고객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를 통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고객 특성에 맞는 마케팅 계획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현재 약 650여개의 비급여 병의원에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즈에 맞춰서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처방전보안시스템 등
기존 병ㆍ의원에서 발행하는 종이처방전의 경우 위변조 과정을 거쳐 불법조제로 이어지는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성명, 주소 등이 표기되어 있어 개인 신상정보 노출의 우려가 있고, 약국에서는 건강보험공단에 환자의 약제비를 신청하기 위해 종이처방전의 자료를 일일이 입력해야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암호화 처리한 바코드처방전을 발급하고 이를 바코드스캐너로 스캔하였을때 약국 청구 소프트웨어에 자동으로 입력 될 수 있도록 연동시켜 고객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는 등 업무 효율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고객 입장에서도 스마트폰 등을 통해 바코드를 스캔하여 처방전에 대한 이력관리 등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국경영솔루션을 통해 처방전 입력, 조제, 재고관리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약국에서의 업무를 정확하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마케팅]
디지털마케팅 사업부는 메시지의 제작과 매체의 선정을 통한 메시지 전달의 두가지 역할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메시지의 제작에는 기획 및 크리에이티브 서비스가 포함되고 이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리서치 활동이 수반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제작된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매체의 선정이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매체 선정을 위해 목표 타겟의 매체 접촉 습관 및 빈도, 광고되는 제품의 성격, 이용 가능한 매체의 상대적 비용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광고주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진행과정을 보면 광고주의 목표에 맞춰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계획을 세운 뒤 그에 따라 다양한 매체에 노출하고 피드백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검색광고, 디스플레이광고, 바이럴 마케팅 등을 혼합하여 가장 효율적인 운영을 추구하며, 고객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하고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페이지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당사는 2018년 7월, 모바일 소셜 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퍼블리싱 기업인 주식회사 비앤케이랩을 인수하여 소셜 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당연시 1개의 소셜 데이팅 앱을 제작 및 운영하고 있으며,다양한 수요층을 공략하는 멀티 브랜드 런칭 전략으로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주요 소셜 데이팅 서비스]
서비스명 | 설명 | ||
| 1) 매일 새롭게 16명씩 이성을 소개하며, 이상형 월드컵 형식으로 16강부터 결승까지 선택해 2) 게임과 결합한 방식으로 젊은 층의 취향을 공략하며, 특히 20대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 3) 2017년 국내 Google Play + App Store 소비자 지출 합산 상위 앱 10위 랭크 |
(2) 주요 서비스별 매출 현황
(기준일 : 2022년 9월 30일) | (단위 : 천원, %) |
사업부문 | 주요 내용 | 매출액 | 비율 |
헬스케어 미디어 | 병원약국 검색 서비스, 뷰티케어 관련 커뮤니티 앱, 의료인 전문 리크루팅 플랫폼 | 21,500,740 | 32.17 |
헬스케어 솔루션 | CRM 소프트웨어, 처방전보안시스템, 약국청구프로그램 | 10,264,904 | 15.36 |
디지털 마케팅 | 마케팅 기획, 제작, 대행 등 | 32,594,063 | 48.77 |
소셜 네트워크 | 모바일 소셜 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운영 | 1,093,924 | 1.64 |
기타 | 부동산 임대, 간호 전문인력 교육 등 | 1,379,446 | 2.06 |
총합계 | 66,833,077 | 100.00 |
주) |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3) 시장의 특성
'가. 업계의 현황'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구분 | 계획 | 연구 | 기대효과 | 소요자금 (백만원) | 자금조달 방법 |
굿닥 | Real-time Ondemand 비대면진료 (Virtual healthcare) 시스템 고도화 | 굿닥 개발팀 | - 병원-환자 간 진료매칭 알고리즘 시스템 개발 - 전자처방 및 진료비 결제 등 일련의 비대면 진료과정 시스템 고도화 - 약국 어드민 시스템 전자처방전 확인 및 약제비결제, 물류시스템 등 운영체계 구축 | 900 | 자체자금 |
병원예약 컨시어지 시스템 구축 | 굿닥 개발팀 | - 병원별, 증상별, 질환별 리뷰 등을 종합해 개인별 최적화된 병원찾기 컨시어지 개발 - 모바일 통합형 모델을 통한 원내 대기시간 감축, 유저 편의성 고도화 | 600 | 자체자금, | |
병원현장 접수시스템 (Check-In) 확산 | 굿닥 개발팀 | - CRM 기능고도화를 통한 클라이언트 확장 및 시장 점유율 상승 - 굿닥 app과 현장시스템의 유기적 연결을 통한 굿닥 플랫폼 강화 | 400 | 자체자금 | |
바비톡 | CRM 및 DB 관리 프로그램 연동 | 바비톡 개발팀 | - 클라이언트 편의성 향상 및 시장 점유율 상승 | 1,000 | 자체자금 |
동남아 주요 국가 진출 | 바비톡 개발팀 | - 동남아 주요 국가 바비톡 서비스 런칭 | 7,000 | 자체자금 | |
메디잡 | 웹, 모바일(iOS, Android) 확장 | 메디잡 기술팀 | - 병원, 개인 사용자 의견 반영 및 이용 편리성 - 구인구직 시장과 동종업계 선두를 위한 플랫폼 확대 | 130 | 자체자금 |
기술 제휴 및 협약 | 메디잡 기술팀 | - 잡코리아, 워크넷, 기업은행(아이원잡), 녹십자웰빙 신규사업 및 널씽에듀(교육영상), 구인구직 및 의료업계 관련 기타 선정 업체 제휴 | 100 | 자체자금 | |
신규 사업 | 메디잡 기술팀 | - 메디잡 리더스 간호학원 지점별 간호조무사 졸업생 메디잡 구인구직 직접 연계 - 메디잡 리더스 신규 지점 확장, 신규 시스템 론칭 - 간병인 신규 사업화, 신규 플랫폼 론칭 | 500 | 자체자금 | |
신규 기술 도입 | 메디잡 기술팀 | - 빅데이터와 AI 등 신규 기술 개발 도입 | 150 | 자체자금 | |
마케팅 확대 | 메디잡 기술팀 | - 월별 프로모션과 마케팅 채널 확장, 시장조사에 따른 신규 마케팅 진행 | 100 | 자체자금 | |
경영관리실 | ISMS 인증 유지 | 경영관리실 정보보안팀 | - ISMS(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유지 및 내부 정보보안 강화를 통한 대외 신뢰도 향상 | 500 | 자체자금 |
(5) 조직도
케어랩스 조직도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신종현 | 1975.06.15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변경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이민경 | 1989.06.27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변경후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신종현 | (주)원익홀딩스 전략본부 M&A 팀장 | 2001 2004 2007 2007.08 ~ 2012.09 2012.10 ~ 2021.01 2021.02 ~ 현재 | 연세대학교 전파공학과 학사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전자공학 석사 University of Michigan - Ann Arbor 전자공학 박사 보스턴컨설팅 그룹 한화큐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업부장, 기획팀장 (주)원익홀딩스 전략본부 M&A 팀장 | - |
이민경 | (주)원익홀딩스 전략본부 M&A 부장 | 2013 2021.03 ~ 현재 2014.02 ~ 2019.02 2019.03 ~ 현재 | The University of the Arts - Fine Arts/Crafts 학사 KAIST Professional MBA 씨엠에스랩 (주)원익홀딩스 전략본부 M&A 부장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신종현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민경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성명 | 추천사유 |
신종현 | 다년간 유수 기업체에서 컨설팅, 기획, M&A등의 다양한 분야의 경력을 가지고 관리자 및 경영자로서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당사의 경영현안에 대한 의사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합니다. |
이민경 |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하여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에 추천합니다. |
확인서
사내이사 신종현 후보자 확인서 |
사내이사 이민경 후보자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지명찬 | 1960.03.01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지명찬 | - | 1981 1983 ~ 2008 2008 2011 2013 2014.01 ~ 2014.12 2015.01 ~ 2016.12 | 계명대학교 경영학과 삼성SDI 삼성SDI 본사 관리팀장/기획팀장/전무 삼성SDI 경영지원실장/CFO/부사장 삼성SDI 소형2차전지 사업부장/부사장 삼성SDI 본사 경영연구/부사장 삼성SDI 경영 자문역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지명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성명 | 추천사유 |
지명찬 | 해당 분야에 관한 전문 지식 및 실무 경험이 풍부하고 다년간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감사 업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감사로서 법령상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바가 없고 최근 3년간 당사와 거래관계가 없는 등 회사와 독립적인 지위에서 효과적으로 감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감사로 추천합니다. |
확인서
감사 지명찬 후보자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을 통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사항 1) 코로나 19 관련 방역지침에 따른 주주총회 행사진행 관련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 부탁드립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102000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