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7-17 17:4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17000367
2023년 7월 17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
대 표 이 사 : | 한상수 | |
본 점 소 재 지 : |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해안산업로 381 | |
(전 화)055-850-7700 | ||
(홈페이지)http://www.samcokorea.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부사장 | (성 명)류철현 |
(전 화)055-850-7711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5조에 의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홈페이지 공고시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5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 시 : 2023년 8월 1일 (화) 오전 10시
2. 장 소 : 경남 사천시 사남면 해안산업로 381
주식회사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3층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정관변경의 건
제2조(목적) : 목적추가
77. 광산개발 및 광물(리튬 등) 수입, 수출, 판매
-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조동우 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고석봉 선임의 건
4. 주주총회 소집공고사항 비치 및 공시
가. 상법 제542조의4 등에 의거 주주총회 소집공고사항을 우리 회사 본사, 금융위 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 또는 공시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주주총회 소집통지·공고사항은 당사 홈페이지(http://www.samcokorea.com) 에도 등재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 및 의결권 행사
주주님들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또는 대리인을 통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 직접행사(본인 참석 시) : 신분증
- 대리행사(대리인 참석 시) :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사항
코로나19 관련 제재면제 신청으로 증선위의 결정에 따라 정기주주총회가 연회 될 수 있습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이사의 성명 | |
---|---|---|---|---|
한철기 (출석률:100%) | 김경석 (출석률:100%) | |||
찬반여부 | ||||
1 | 2023-01-02 | 1. 3회차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의 건(2억원) 2. 8회차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의 건(10억원) | 찬성 | 찬성 |
2 | 2023-01-02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2.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찬성 | 찬성 |
3 | 2023-01-20 | 1. 운영자금 차입의 건(4.9억원) | 찬성 | 찬성 |
4 | 2023-01-31 | 1. 4회차 전환사채 감기전 취득의 건(5억원) 2. 7회차 전환사채 만기전 취득의 건(5억원) 3. 운영자금 차입의 건(20억원) | 찬성 | 찬성 |
5 | 2023-02-02 | 1. 임시주주총회 일정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6 | 2023-02-10 |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점검 및 평가 결과 보고 | 찬성 | 찬성 |
7 | 2023-02-13 | 1. 제21기 감사 전 재무제표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8 | 2023-02-14 | 1. 무상증자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9 | 2023-02-17 | 1. 단기차입금 10억 상환의 건 | 찬성 | 찬성 |
10 | 2023-03-15 | 1. 운전자금 차입의 건(0.3억/0.5억) | 찬성 | 찬성 |
11 | 2023-03-24 | 1.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30억) | 찬성 | 찬성 |
12 | 2023-03-27 | 1. 2023년도 제2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13 | 2023-03-30 | 1. 운전자금 차입의 건 | 찬성 | 찬성 |
14 | 2023-03-31 | 1. 임시주주총회 의안 확정의 건 | 찬성 | 찬성 |
15 | 2023-03-31 | 1. 2023년도 제2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의안 확정) | 찬성 | 찬성 |
16 | 2023-03-31 | 1.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 찬성 |
17 | 2023-04-17 | 1. 대표이사 변경의 건 2.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3.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찬성 | 찬성 |
18 | 2023-05-09 | 1. 제9회 공모전환사채 발행의 건 | 찬성 | 찬성 |
19 | 2023-05-15 | 1. 임시주주총회 일정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20 | 2023-05-17 | 1. 운영자금 차입의 건 | 찬성 | 찬성 |
21 | 2023-05-22 | 1. 제10회 사모전환사채 발행의 건 | 찬성 | 찬성 |
22 | 2023-05-23 | 1. 제10회 사모전환사채 발행금액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23 | 2023-05-24 | 1. 제4회차 전환사채 만기 전 취득의 건 | 찬성 | 찬성 |
24 | 2023-05-26 | 1. 임시주주총회 일정 변경의 건 2. 제11회 사모전환사채 발행의 건 | 찬성 | 찬성 |
25 | 2023-05-31 | 1. 제11회 사모전환사채 발행관련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 찬성 |
26 | 2023-06-08 | 1.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 찬성 |
27 | 2023-06-15 | 1. 제11회 사모전환사채 발행관련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 찬성 |
28 | 2023-06-22 | 1.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 찬성 |
29 | 2023-06-26 | 1. 제11회 사모전환사채 발행관련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 찬성 |
30 | 2023-07-05 | 1. 임시주주총회 일정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31 | 2023-07-10 | 1. 제11회 사모전환사채 발행관련 납입일 연기 및 전환가액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32 | 2023-07-13 | 1.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000 | 42 | 21 | - |
※ 2023년 반기말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항공산업은 21세기 정보산업, 신소재산업 등 각 분야의 첨단산업을 주도해 나갈 미래 유망산업으로써, 항공산업의 선도적 기술혁신은 타 산업으로 연계 파급 효과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역으로 연관 산업의 발전 없이는 항공산업의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기가 어렵습니다. 높은 수준의 기술력 및 R&D 인프라 그리고 많은 숙련인력을 필요로 하여 높은 기술진입장벽이 존재하며, 막대한 초기투자비용과 긴 투자회수기간을 갖는 장주기 산업으로 거대 다국적 기업 혹은 정부 주도로 산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항공산업은 크게 항공기를 이용한 여객 및 화물을 운송하는 항공운송산업과 군용기, 민항기, 헬기 등 항공기를 개발하고 개발된 항공기를 양산하는 항공기 제조산업과 운영되는 항공기의 정비 및 개조를 담당하는 항공정비[MRO(Maintenance, Repair, Operation, 항공정비 서비스)]산업으로 구분됩니다. 항공기 제조산업은 완제기 산업과 기체구조물, 엔진, 항공전자장비, 계통장비, 소재 등의 부품/소재 산업으로 세분됩니다. 연관산업으로는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항공운송업과 핵심기술, 인력, 생산기반을 공유하는 우주 및 방위 산업이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현재 운항 중인 항공기 대부분이 90년대 이전에 생산된 항공기로 향후 10년간 신형 항공기 대체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항공기 생산연도별 분포] |
구분 | 글로벌 항공기 생산연도 | |||
70년대 | 80년대 | 90년대 | 2000년대 | |
연대별 분포 | 2.0% | 26.0% | 63.0% | 9.0% |
출처 : IBK경제연구소 국내 항공산업 현황과 전망(2016.7) |
기체 경량화, 신소재 개발, 고연비 신형 엔진 개발 등 항공기 제조기술의 발달과 부품개발의 잇따른 성공도 신형 항공기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2011~2015년까지 신소재와 신기술 개발로 발생된 신형 항공기 주문량은 총 6,518대 규모 입니다.
유형 | 내용 및 기술개발 시기 | 경제적 효과 | 신기술 및 부품 채택 기종 |
기체 경량화 | 알루미늄, 니켈합금을 활용한 | - | Boeing B737 Airbus A320 |
탄소섬유 합성물로 | 연료 20% 절감 | Boeing B737 / B787-9 Airbus A350XWB | |
엔진 | 신규 연비절감 엔진 장착 | 연비 효율성 10~15% 개선 | Boeing B737MAX Airbus A320NEO / A350XWB MRJ |
출처 : KOTRA Global Window |
이처럼 글로벌 민간항공기의 수요는 항공교통수요의 증가와 기존 항공기의 대체 수요 및 신기술의 도입 등으로 가파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3) 경기변동과의 관계 또는 계절적 요인
항공 여객수송량은 지역간 활발한 교류 및 무역활동이나 개인소득 증가에 따른 여행수요 및 국제 항공유가 수준과 깊은 관계가 있는 만큼 세계 경기변동주기와 관계가 있습니다. 지난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와 함께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 인하여 국제여객수송량은 감소하였으나, 이후 경기회복과 저가항공사의 증가에 따른 여행수요의 견인 등으로 항공기 이용 수요는 상승하였고,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여 왔습니다. 민간부문의 항공기 수요는 경기 변동에 따른 항공운항 수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향후 20년간 생활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은 항공여객시장에서 또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캄보디아, 베트남, 스리랑카를 포함한 7개 국가의 항공여객시장은 매년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생활수준이 매우 낮은 국가들의 성장 수준 또한 매우 중요한데, 아프리카의 빈곤국의 상당수가 2035년까지 시장성숙에 도달하지 못하지만, 1인당 GDP의 빠른 성장이 지속되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항공 수요가 증가하게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1인당 GDP와 연간 항공여행 횟수] |
국가그룹 | 평균(회) | 중앙값(회) |
1인당 GDP 2만달러 미만 | 0.27 | 0.13 |
1인당 GDP 2만달러 이상 | 1.80 | 1.47 |
저소득국가 | 0.04 | 0.03 |
중소득국가 | 0.29 | 0.20 |
고소득국가 | 1.48 | 1.18 |
출처 : Airportal 항공 이슈 분석 제55호 |
(4) 진입 장벽이 높은 산업
항공기 부품 사업은 초기 투자 리스크가 높은 사업입니다. 모델 및 투입원자재, 크기 등에 따라 신규 라인 증설이 필요하고, 중도금 납입 없이 인도 후에 대금을 수령하기 때문에 중소기업들이 영위하기 어려운 산업입니다. 단,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서게 되면, 장기적으로 독점적인 공급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공산업은 폭발적인 실적 성장을 보여줄 수는 없지만 매출성장이 안정적이고 어느 산업보다도 보수적이고 높은 진입장벽을 보유하고 있어 쉽사리 공급과잉 이슈에 휘말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백조원을 상회하는 민항기 제조업체시장을 Boeing사와 Airbus사가 양분화하는 구조를 지난 50년이상 유지해왔다는 것만으로도 어떤 제조업보다도 진입장벽이 높고 보수적인 시장임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공장 증설 이후에도 Boeing사, Airbus사의 각 공정 검사를 통과해야 하며, 이러한 설비 증설 및 인증을 받는데 까지 3년 이상의 적자가 이어지게 됩니다. 공장을 증설한다고 해서 바로 가동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Boeing사와 Airbus사 등의 완제기 회사의 마스터플랜에 따라 가동됩니다.
또한, 항공기 부품은 각종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인증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중소·중견기업에게 큰 진입장벽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 탑재 기자재는 모두 미국연방항공청(FAA), 유럽항공 안전청(EASA) 등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하며, Boeing사, Airbus사 등 글로벌 항공기업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국가항공과 방위 산업 협력업체 자격인증제도인 국제항공분야 특수공정인증(NADCAP)이 필수적 입니다. 항공정비를 위해서는 국가로부터 항공 정비시설 인증 획득이 필요합니다.
국제적 품질관리시스템 중 ISO9000 시리즈의 기본 요건에 항공분야를 특화한 항공품질경영시스템인 AS9000 시리즈를 1999년부터 국제항공품질그룹(OAOG)에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후 AS9000 시리즈는 발전을 거듭하여 Boeing, Airbus, GE, LM Aero 등 주요 항공기 완제기 및 부품업체 및 국내 업체들의 항공품질경영시스템으로 채택 및 운영되고 있으며, 동일한 품질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으면 부품을 납품할 수 없도록 협력업체 품질시스템 규격으로 강제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항공기 도어시스템 분야에서 국내 유일의 제조회사로서, 세계적인 품질수준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일관생산체제를 구축한 기술혁신 선도기업입니다.
항공기 산업의 경우 초기에 들어가는 대규모 자금부터 고도의 품질 및 관리과정 그리고 새로운 기술개발까지 다양한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해 2005년 AS9100에 의거한 품질 관리 제도를 도입했으며, 고객이 만족하는 수준까지 제품의 품질을 끌어올리기 위해 협력업체의 품질관리 시스템도 함께 구축함으로써 원자재 공급처로부터 제품생산 완료 후까지 이력관리를 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추어 제품에 대한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였습니다.
당사의 주요사업은 도어시스템, 점검도어, 항공기 부품, 항공기 부품입니다. 도어시스템은 항공기 승객용도어와 화물용도어가 포함되며, 높은 안전성과 독립된 컨트롤 시스템, 비상동력장치를 요구합니다. 점검도어는 기체 내부 정비를 위한 작업자의 진입을 위한 도어로 동체 전방부 및 동체와 날개의 결합 분위에 위치합니다. 항공기 부품에는 도어부품, 날개구조물, 비행조종시스템, 항공기 부품 가공 및 판금사업이 포함됩니다. 무인항공기는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맵핑용 무인기를 개발하여 2017년 하반기에 듀오드론을 초도납품 하였습니다.
도어시스템을 개발할 당시 국내에서는 도어시스템 제조 경험이 전혀 없었으며 당사는 도어의 원천 제조사인 미국의 B/E Aerospace사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아 당사의 기술진이 20개월 동안 꾸준한 연구 끝에 국내 최초로 민항기 도어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도어시스템은 일반적인 문(Door)과는 설계부터가 다르며 출입문 1개의 압력은 약 21톤이 넘기 때문에 내구성과 안전도는 필수입니다. 항공기용 도어를 만드는 과정은 자동차 문처럼 용접을 하면 공중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특수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을 직접 깎아 부품을 만들고 볼트, 너트 또는 리벳으로만 연결하는 고숙련 작업입니다.
특히 승객용도어는 정전 등 각종 비상 상황에도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 시스템 없이 기계적 작동을 해야 하므로 10,000여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1,200 여 품종의 링키지 결합으로 부품의 조립 공차가 일반 제조산업군의 10~100배 이상의 정밀도를 요구합니다.
당사는 도어시스템과 날개구조물 조립분야에서 국내 항공 사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R&D 역량 강화, 생산역량 강화, 마케팅 확대를 통하여 항공기부품 제조회사로서 "Global Leading Company"라는 장기적인 비전을 수립하였습니다. 자체적인 기술 개발 시스템 확보 및 정부 추진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특허와 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제공하는 재화나 용역에 근거하여 사업부문을 구분하고 각 부문의 재무정보를 내부관리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바 사업부문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품목 | 주요상표 | 제품설명 |
항공기 | SSJ100 도어시스템, B737/777 점검도어, | 도어시스템은 항공기 승객용도어와 화물용 도어가 포함되며, 점검도어는 기체 내부 정비를 위한 도어 |
항공기 | B737 날개구조물, A320 SL Skin | 날개구조물, 비행조종시스템, 항공기 부품 가공 및 판금 사업이 포함 |
기타 | - | 무인항공기, 부산물 등 |
가) 항공기 도어
항공기 도어시스템은 승객용도어와 화물용도어로 구성됩니다. 승객용도어는 승객 탑승시 사용되는 출입문으로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 내의 전자기 및 제어 계통과 독립적으로 구분됩니다. 화물용도어는 화물 적재 공간에 사용되는 도어로 승객용도어와 달리 크고 무거워서 유압 추력장치를 사용하여 기계식 작동으로 개/폐 됩니다. 점검도어는 기체내부 정비를 위한 작업자의 진입을 위한 도어로 성인 1명이 출입 가능한 작은 크기이며, 동체 전방부 및 동체와 날개의 결합 부위에 위치합니다. 도어시스템은 일반적인 문(Door)과는 설계부터가 다르고, 출입문 1개의 압력은 약 21톤이 넘으므로 내구성과 안전도는 필수적입니다. 도어를 만드는 과정은 자동차 문처럼 용접을 할 경우 공중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특수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을 직접 깎아 부품을 만들고 볼트, 너트 또는 리벳으로만 연결하는 고숙련 작업입니다. 특히 승객용도어는 정전 등 각종 비상 상황에도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 시스템 없이 기계적 작동을 해야 하므로 부품만 10,000여개가 넘으며 공정 대부분을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만약 비상상황 시 랜딩기어의 파손 또는 동체가 기울어져서 사람의 힘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지 않는 상황에서도 도어가 열려야 하므로 비상동력장치(EPAS)가 탑재됩니다. 즉 비상상황시 승객의 생명과 연결되는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국내에서는 당사가 유일하게 도어시스템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도어구동구조물은 도어의 구동축 및 장치를 연결하는 부싱(Bushing), 베어링(Bearing), 기어축(Gear Shaft) 등의 부품을 제작하고 있으며, 핵심 부품은 외부 개폐장치(Outer Handle), 도어 지지 구조물(Support Arm)등으로, 도어 개/폐 시 주된 역할을 하는 도어 부품을 제작 및 조립하고 있습니다.
나) 항공기 부품
날개구조물은 운항 중 날개 표면의 유체 흐름의 제어를 위해 유선형의 공기 역학적 3차원 곡면 구조로 유체 박리의 시작점이며, 양력 발생의 주요한 기능을 합니다. 날개구조물은 진동, 인장/압축, 뒤틀림 하중을 견디게 설계 및 제작되며, 특히 꼬리날개는 공기의 흐름이 크게 변하는 부분이기에 진동에 강한 구조적 특성을 보입니다. 항공기 부품 가공사업은 5축 가공장비, 3축 가공장비, 터닝 가공장비(Turning), 기어 가공장비(Spline, Gear), 지그 보링장비(Jig Boring), 건 드릴장비 등을 이용하여 정밀 가공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판금사업은 스킨 성형장비(Skin Stretch), 구조물 성형장비(Extrusion), 압축 성형장비(Hydro Press), 절곡 성형장비(Press Brake), 열처리장비 등을 이용하여 수치화 및 구조해석을 통한 최적 성형 값을 활용하여 판금성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가) 경쟁 상황
민수항공기 시장은 양대 항공기 제조사인 미국의 Boeing사와 유럽의 Airbus사가 양분하고 있는 시장으로 세계항공기 시장 전체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Boeing사와 Airbus사의 2014년 신규 수주(민간항공기 기준)는 각각 1,551대, 1,468대를 기록하였습니다.
중거리(Regional Jet)기종은 캐나다 Bombardier사와 브라질 Embraer사가 독점하는 시장으로서 2011년 이후 연평균 19.6%의 고성장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러시아의 Sukhoi사, IRKUT사, 중국의 COMAC사, 일본의 Mitsubishi사 등이 신규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도어 시장은 국내에서 항공기 도어를 제작, 납품 중인 주요 업체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 아스트 등이 있으며 이 중 승객용도어를 포함한 도어시스템을 생산하는 업체는 당사가 유일합니다. 해외 주요업체로는 Airbus Helicopters사, Latecoere사, Spirit사, Triump사 등이 있습니다.
[항공기 도어 제작 주요 업체] |
기술(제품) | 국내시장 | 해외시장 | |
항공기 도어 | 승객용도어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Airbus Helicopters, Latecoere, Spirit, Triumph 등 |
화물용도어 | KAI, 대한항공 아스트,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출처 : 당사 추정 자료 |
(나) 시장점유율 추이
[주요 제품별 시장점유율] |
(단위 : %) |
제 품 품목명 | 2023연도 1분기 | 2022연도 | 2021연도 | |||
회사명 | 시장 | 회사명 | 시장 | 회사명 | 시장 | |
SSJ100 도어시스템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B737/B777 점검도어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A350 Bulk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100% |
B737 Leading Edge | Xian | 64% | Xian | 64% | Xian | 64%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5%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5% | 어스앤에어로스페이스 | 5% | |
율곡 | 31% | 율곡 | 31% | 율곡 | 31% |
주1) 단일 공급자(Sole Vendor)로 공급하고 있는 제품의 경우 점유율을 100%로 추정하였으며, B737 Leading Edge의 경우 월 평균생산대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추정하였습니다. |
(3) 시장의 특성
(가)) 타 산업으로 연계 파급효과가 큰 지식집약형 산업
항공 산업은 복합체계종합산업으로써 조선, 기계, 건설, 소재, 전자, 정보통신 등 첨단 기술 산업을 요소기술로 하여 타 산업으로의 기술 확산 유도, 타 산업의 기술을 한 단계 Upgrade 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산업에 심대한 기술파급효과를 유발시키게 됩니다.
| ||
[항공산업과의 연계산업] |
출처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이처럼 항공산업은 고도의 기술력, 높은 수준의 R&D, 고질의 지식이 결합된 첨단산업으로서, 많은 경험과 숙련을 요구하고 이러한 경험과 숙련을 체계적으로 문서화하고 공유하여 훈련 공유함을 통해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지식공유 전문인 양성 체계를 요구하게 됩니다. 대규모 R&D 투자만 아니라 지속적인 핵심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항공 전문인의 양성이 가능합니다. 타 제조산업과 달리 20년 이상의 기술동향과 제품동향을 예측하고 기술연구와 개발목표를 설정하여 한다는 점에서 고도로 전문화된 기술기획 및 제품기획이 매우 중요한 산업입니다.
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크며 R&D 집약 및 지식 집약형 산업임에 따라 정부주도의 안정적인 정책 기조 유지가 필수적입니다. 각종 신기술의 개발, 응용, 산업화를 선도하고 전 산업의 고도화에 미치는 파급효과, 고도로 훈련된 R&D 인력의 일자리 전문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제공 등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필수적인 공공재적 산업이자 미래창조 지식산업의 중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 정부주도 산업
항공산업은 국가 방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산업입니다. 방위산업은 국가 안위를 보장하는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과 상징성을 확보해왔습니다. 특히 산업적 측면에서는 대규모 투자와 첨단기술의 융/복합적 특성, 시장가격보다는 계약 또는 협상에 의한 가격결정 구조, 규제적 특성 등 일반산업과는 다소 상이한 측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의 수출산업화와 민군기술협력 확대 등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국민경제 기여 요구는 더욱 증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항공산업은 막대한 초기투자 비용과 매우 긴 투자회수 기간 부담이 있는 산업입니다. 또한 프로젝트의 기간이 10년 이상의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정책이 요구되는 산업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항공산업은 정부주도가 필연적인 산업입니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계획에 토대가 있어야 하고, 기초 및 응용기술의 선행 개발과 선행 검증이 가능하여 항공산업의 기술자립화가 가능합니다.
항공산업은 부가가치가 매우 높으며 고용 창출 규모가 큰 산업입니다. 항공기는 생산대수는 적으나 완제품이 매우 고가이며, 지식과 기술, 노동집약 산업으로 고부가가치산업입니다. 특히, 제조공정상 자동화 시스템이 어려운 수작업 공정이 많아 사업규모에 따라 일자리 창출이 증가되는 산업입니다. 항공산업은 국가 전략산업으로 전 산업분야로의 기술파급효과가 큰 전형적 연구 개발 집약형 산업이면서도 정밀가공과 고도 조립작업이 수반되는 특성으로 인해 첨단기술 및 노동집약형 고부가 고용창출 효과가 월등한 산업 분야 입니다.
[글로벌 항공산업과 고용] |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F) |
고용비용 (10억 달러) 전년대비 증감률(%) | 189 3.5 | 155 (18.1) | 156 1.0 |
고용 창출 (백만명) 전년대비 증감률(%) | 2.93 2.9 | 2,48 2.5 | 2.48 0.0 |
관광지출 가치 (10억 달러) 전년대비 증감률(%) | 850 (6.5) | 310 | 354 14.2 |
거래가치 (10억 달러) 전년대비 증감률(%) | 6,489 (2.6) | 5,964 | 7,467 25.2 |
출처 : IATA(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국제항공운송협회) |
이처럼 항공산업은 국가 방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산업이고 정부가 자체 육성을 하지 않으면 생산 및 기술능력의 해외 종속이 점차 심화되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 하에 육성할 수밖에 없는 국가 기간산업의 특성을 지닙니다. 또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고용창출효과도 매우 높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전세계 산업 추세상 자유무역 체제하에서의 공정한 시장경쟁을 요구하면서 정부의 산업에 대한 개입 여지가 점차 없어지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항공산업은 원자력, 우주 등과 같은 분야처럼 여전히 정부의 적극적 개입이 요구되는 산업입니다.
(다) 아웃소싱 비중이 높은 산업
항공제조업은 아웃소싱 비중이 높은 사업입니다. 항공기 기종이나 투입되는 원재료에 따라 가공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공장을 증설하기보다는 아웃소싱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Boeing사, Airbus사는 협력업체의 기술력뿐만 아니라 해당 회사의 재무구조까지 체크하여 아웃소싱을 하고 있습니다.
항공기는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장기간의 거래실적 및 신뢰관계를 사전에 확보해야만 수주가 가능하며 자본력과 기술력만으로는 단기 진입이 어려운 산업입니다. 통상 대형 민항기의 경우 10~30년의 생산기간을 가지게 되며, 한번 납품 계약을 맺으면 해당 기종이 단종 될 때까지 납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처럼 안정적인 생산 체계 확보가 중요함에 따라 원청업체가 단가인하를 요구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이처럼 글로벌 완제기 제조사는 아웃소싱의 방법을 통해 국제공동개발사업(RSP, Risk Sharing Program) 확대 및 협력업체 다변화를 통해서 신형 항공기 개발 사업비 부담을 줄이고 위험을 분산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아웃소싱 확대 정책 추진으로 부품 구매를 2차와 3차 협력업체로 확대하고 있으며, 기술력 있는 중소형 부품사를 새로운 협력관계로 확대시키고 있는 중에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무인항공기 시장 현황
1) 무인항공기 산업 발전 배경
인공지능, 스마트폰 등 기술과 수요의 급증으로 무인/자율화 기반의 무인이동체 시장이 태동하고 있습니다. 미국 다빈치 연구소에서는 미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핵심 신성장산업으로 상업용 드론과 무인자동차를 지목하였고, Teal 그룹에서는 무인항공기 시장 규모가 2016년 26억달러에서 2025년 109억달러로 연평균 1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실제로 전세계적으로 군용 무인기 시장에서 취미용, 촬영용 30kg 이하의 소형 무인항공기 시장의 급성장으로 인해 시장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2) 무인항공기 산업 특성
항공기술과 네트워크, 센서, 인공지능 등 차세대 기술이 접목되는 대표적 융합산업으로 프로세스, 카메라, 센서, 배터리, LTE 모뎀 등 스마트폰에 사용된 기술이 신속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이런 기술을 바탕으로 사람이 하기 힘들었던 장기간 영상촬영, 소규모 항공물류 배송, 농업, 건설업, 에너지산업 등 전통 산업과의 결합을 통한 신시장 및 서비스 창출이 가능합니다. 활용 분야별 대표적인 드론으로는 군수분야에 글로벌 호크(Global Hawk), 감시 분야에 스캔 이글(Scan Eagle), 농업분야에 랜케스터 호크아이(Lancaster Hawkeye), 사진 촬영에 DJI의 팬텀이 있습니다.
3) 무인항공기 시장 전망
현재 농업, 건설, 재난, 맵핑 분야가 민수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급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민수/상업용 드론 시장 급성장 전망] |
시장형태 | 과거 | 미래 |
무인기 민수시장 | 26억불(2016년) | 108억불(2025년) |
소형무인기 활용시장 | 7.6억불(2015년) | 229억불(2025년) |
소형무인기 기체 시장 | 4억불(2015년) | 70억불(2025년) |
출처 : Teal 그룹 2016, Euroconsult 2016 |
(나) 무인항공기시장 진출 세부전략
무인항공기 시스템은 비행체, 지상통제장비, 데이터링크 및 각종 지원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항공기 제어 기술은 이러한 각 장비의 통합/운용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의 무인항공기 시스템의 핵심 기술은 국방과학연구소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하여 방위산업체에 기술이전을 하는 형태로 이뤄져 왔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무인기 시장이 커짐에 따라 다양한 산업분야 및 민간분야에 무인기 적용 범위가 넓혀지고 있고 그에 따라 관련된 제품 개발 업체도 늘어나고 산업 생태계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도 이러한 미래 성장성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설계분야 엔지니어, 제어분야 엔지니어, 소프트웨어분야 엔지니어를 채용하여 관련 기술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성장 아이템으로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맵핑용 무인기 개발을 완료하여 산업용 무인기 시장에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주요 수요처로는 국토정보를 필요로 하는 국토정보공사 및 지적측량기업이 있습니다. 맵핑용 무인기시장 이외에도 방제용 무인기 시장에 적용가능한 20kg급 멀티콥터 무인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동양물산과 같은 농업장비 전문기업과 컨소시엄을 통해 개발 후 유통 및 A/S망 구축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신규사업 진출 세부전략 (무인항공기 분야)] |
목표시장 (국가명) | 목표시장 선정근거 | 단계 | 세부전략 |
맵핑용 무인기 | 정밀지도 생성에 | 단기 (~'17) | 2.2미터급 수직이착륙 무인기 개발 |
중기 ('18~'19) | 탑재화물(Payload) 5~7kg급 무인기 개발 | ||
장기 ('20~현재) | 탑재화물(Payload) 15kg급 무인기 개발 | ||
방제용 무인기 | 농업분야의 방제 | 단기 (~'17) | 최대이륙중량(MTOW) 20kg급 멀티콥터 무인기 개발 |
중기 ('18~'19) | 최대이륙중량(MTOW) 30kg급 멀티콥터 무인기 개발 | ||
장기 ('20~현재) | 최대이륙중량(MTOW) 50kg급 이상 멀티콥터 무인기 개발 |
(5) 조직도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조동우 | 1983.07.27 | 사내이사 | - | - | 이사회 추천 |
고석봉 | 1968.01.04 | 사내이사 | - | - | 이사호 추천 |
총 ( 2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조동우 | 자산관리사 | 2022.03~2023.02 2007.01~2008.01 2008.01~2010.07 2010.08~2022.01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AMP (주)세일신용정보 (주)산와머니 (주)리드코프 | - |
고석봉 | 변호사 | 1997.12 2006.05 1998.03~2003.08 2005.08~2007.04 2010.03~2017.08 2017.09~2022.12 2023.01~현재 | 하와이 주립대학 응용언어학 석사 아리조나 주립대학 법학 대학원 박사 수원대학교 전임강사 Abhyanker PC(특허변호사) 박장원 특허 사무소(미국변호사) HP Inc. (법무이사) 특허법인 정안(해외 사업부 팀장)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들은 회사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경영관리 전문 역량을 통해 회사의 의사결정 사안에 대하여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경영분야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 가치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함. |
확인서
확인서(조동우사내이사후보자) |
확인서(고석봉사내이사후보자) |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 | - | - | - |
총 ( -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 | - | - | -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 - | -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항공기 부품제조 및 판매업 2 치공구 부품제조 및 판매업 3 군용차량부품 등 제조 및 판매업 4 무역업 5 무인항공기술 개발과 기술을 활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 개발/제작 사업 6 항공기 정비업 7 드론여객기(관련모듈포함)의 제조, 판매 및 대여업, 정비, 수리 또는 개조서비스 8 항공기 및 드론관련 대체에너지 또는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제조 및 판매 9 도로차선도색공사 및 용품 유통사업 11 인공지능(AI)과 결합한 글로벌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 개발 및 판매, 운영업 12 인공지능(AI) 솔루션개발업 13 인공지능(AI)관련 제품, 서비스 개발 및 공급업 14 전자상거래 관련 서비스, 유통 및 인터넷관련사업 15 전자지급 결제대행업 및 선불 전자지급수단 관리업 16 게임 소프트웨어 자문, 개발 및 공급업 17 컴퓨터,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18 컴퓨터, 전자칠판, 광고용 디바이스 및 주변기기 제조, 판매 및 대여업 19 전기자동차 및 관련 부품의 연구, 개발, 제조 및 유통업 20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21 국내외 투자사업 및 관련업 22 사모투자전문회사의 설립 및 운용, 투자 등 기타관련업무 23 창업자에 대한 투,융자 및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대한 투자 24 미생물 및 바이오테크놀로지의 개발 연구 25 온라인아이템거래중개업 26 마스크 제조, 유통 및 판매서비스업 27 방역사업 28 의약품 및 의약외품 제조, 가공, 도소매업 29 부동산 임대, 매매, 개발업 30 건설자재 및 건설업 31 인쇄회로기판 제조업, 인쇄회로기판 부품조립업 및 도매업 32 전자부품제조 및 판매업 33 전자, 전기제품 도소매업 34 건강기능식품 수입, 제조, 판매업 35 건강기능식품 중개업 36 전자상거래업 37 프렌차이즈 창업컨설팅 38 식품관련 유통 및 무역업 39 식자재 관련 무역업 40 물류가맹 및 체인점 운영업 41 축산물, 식육판매 및 무역업 42 외식직영점 운영업 43 건설 기자재 수입, 판매 및 설치 44 건설 가설재 수입, 판매 및 설치 45 전자제품, 유무선 통신기기, 정보통신기기, 전기기기, 기계기구 및 램프 및 영상감시기 기 제조 46 광보홍보 대행업 47 광보홍보물 제작 48 옥외 및 전시 광고업 49 부동산 컨설팅, 개발, 투자 50 부동산 매매업 51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52 부동산 관리업 53 부동산 중개 및 대리업 54 부동산 투자 자문업 55 이동식 건축 구조물 제조업 56 도심항공교통사업 관련 설계, 제조, 유지보수 사업 및 부대 사업 57 신재생에너지 사업, 설비의 개발, 제조, 판매, 서비스업 58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 수출입업 59 신재생에너지 시설의 건설 및 운영 60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기타 설치, 유지보수, 임대 및 부대사업 일체 61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대한 판매 대행업 62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개발 및 운영사업 63 국내외 그린수소 시설 개발 및 유통/판매 사업 64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분산형 발전 사업 65 폐차 처리장, 고철수집 도소매업 및 중고자동차 판매업 66 폐배터리 수거 및 재생, 재사용 판매, 발전사업 67 전기차 수입, 제조, 판매 68 여객 자동차 운송사업 69 자동차 정비점검 및 수리사업 70 화물운송업 7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72 자동차 정류장 사업 73 여객 및 화물자동차 터미널 사업 74 자동차 대여업 75 주차장사업 76 각종 유류 및 가스 판매업과 주유소업 77 각호에 부수되는 사업 | 제2조(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항공기 부품제조 및 판매업 2 치공구 부품제조 및 판매업 3 군용차량부품 등 제조 및 판매업 4 무역업 5 무인항공기술 개발과 기술을 활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 개발/제작 사업 6 항공기 정비업 7 드론여객기(관련모듈포함)의 제조, 판매 및 대여업, 정비, 수리 또는 개조서비스 8 항공기 및 드론관련 대체에너지 또는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제조 및 판매 9 도로차선도색공사 및 용품 유통사업 10 반사필름 자동차 번호판 제조 및 판매사업 11 인공지능(AI)과 결합한 글로벌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 개발 및 판매, 운영업 12 인공지능(AI) 솔루션개발업 13 인공지능(AI)관련 제품, 서비스 개발 및 공급업 14 전자상거래 관련 서비스, 유통 및 인터넷관련사업 15 전자지급 결제대행업 및 선불 전자지급수단 관리업 16 게임 소프트웨어 자문, 개발 및 공급업 17 컴퓨터,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18 컴퓨터, 전자칠판, 광고용 디바이스 및 주변기기 제조, 판매 및 대여업 19 전기자동차 및 관련 부품의 연구, 개발, 제조 및 유통업 20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21 국내외 투자사업 및 관련업 22 사모투자전문회사의 설립 및 운용, 투자 등 기타관련업무 23 창업자에 대한 투,융자 및 구조조정 대상기업에 대한 투자 24 미생물 및 바이오테크놀로지의 개발 연구 25 온라인아이템거래중개업 26 마스크 제조, 유통 및 판매서비스업 27 방역사업 28 의약품 및 의약외품 제조, 가공, 도소매업 29 부동산 임대, 매매, 개발업 30 건설자재 및 건설업 31 인쇄회로기판 제조업, 인쇄회로기판 부품조립업 및 도매업 32 전자부품제조 및 판매업 33 전자, 전기제품 도소매업 34 건강기능식품 수입, 제조, 판매업 35 건강기능식품 중개업 36 전자상거래업 37 프렌차이즈 창업컨설팅 38 식품관련 유통 및 무역업 39 식자재 관련 무역업 40 물류가맹 및 체인점 운영업 41 축산물, 식육판매 및 무역업 42 외식직영점 운영업 43 건설 기자재 수입, 판매 및 설치 44 건설 가설재 수입, 판매 및 설치 45 전자제품, 유무선 통신기기, 정보통신기기, 전기기기, 기계기구 및 램프 및 영상감시기 기 제조 46 광보홍보 대행업 47 광보홍보물 제작 48 옥외 및 전시 광고업 49 부동산 컨설팅, 개발, 투자 50 부동산 매매업 51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52 부동산 관리업 53 부동산 중개 및 대리업 54 부동산 투자 자문업 55 이동식 건축 구조물 제조업 56 도심항공교통사업 관련 설계, 제조, 유지보수 사업 및 부대 사업 57 신재생에너지 사업, 설비의 개발, 제조, 판매, 서비스업 58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 수출입업 59 신재생에너지 시설의 건설 및 운영 60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기타 설치, 유지보수, 임대 및 부대사업 일체 61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에 대한 판매 대행업 62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데이터센터 개발 및 운영사업 63 국내외 그린수소 시설 개발 및 유통/판매 사업 64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분산형 발전 사업 65 폐차 처리장, 고철수집 도소매업 및 중고자동차 판매업 66 폐배터리 수거 및 재생, 재사용 판매, 발전사업 67 전기차 수입, 제조, 판매 68 여객 자동차 운송사업 69 자동차 정비점검 및 수리사업 70 화물운송업 7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72 자동차 정류장 사업 73 여객 및 화물자동차 터미널 사업 74 자동차 대여업 75 주차장사업 76 각종 유류 및 가스 판매업과 주유소업 77 광산개발 및 광물(리튬 등) 수입, 수출, 판매 | 신규사업의 추진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17000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