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엔티엠에스 (25737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1-05 14:0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10500020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01 월 05 일


회   사   명 :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김 준 섭
본 점 소 재 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25길 16 (갈산동)

(전   화) 053 - 582 - 3577

(홈페이지)http://www.ms-mc.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임 현 창

(전  화) 053 - 528 - 357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 23 기 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0조에 의하여 2023년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01월 25일 (수) 오전 10시

  

2. 장 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로2길 66, 

              명성티엔에스(주) 2공장 1층 회의실

  

3. 회의의 목적사항

     제1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1-1호 의안 : 사외이사 노삼식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 및 의결권 행사,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날인 및 서명, 법인 주주의
                   경우 법인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3 년 01월 05일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준섭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경민
(출석률: 66.7%)
찬 반 여 부
1 2022.1.25 임시주주총회 개최(정정)의 건 찬성
2 2022.1.25 제3자배정 신주발행유상증자(정정)의 건 찬성
3 2022.2.11 감사 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4 2022.2.18 임시주주총회 개최(정정)의 건 찬성
5 2022.3.2 임시주주총회 개최(정정)의 건 찬성
6 2022.3.14 내부회계운영실태 평가보고 찬성
7 2022.3.14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8 2022.3.25 대표이사 변경의 건 찬성
9 2022.6.9 22년 1분기 재무제표(개별)승인의 건 찬성
10 2022.8.11 20년 재감사 결과에 대한 재무제표 정정 승인 -
11 2022.8.16 22년도 반기 재무제표(개별)승인의 건 -
12 2022.8.19 21년 재감사를 위한 재무제표 확정 -
13 2022.8.23 내부회계통제제도 개선, 자금관리규정 제정, 이사회 규정 수정 외 -
14 2022.11.8 22년도 3분기 재무제표(개별)승인의 건 -
15 2022.12.12 21년도 재무제표 승인 및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이사 1 1,000,000,000 0 0 -

※ 보수 총액은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개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 지급된 금액 기준(퇴사자 지급액 포함)이고, 미등기임원은 제외 되었으며, 1인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단순히 인원수(기준일: 2022.12.31.)로 나눈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해당사항 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분리막 제조 설비


  전지의 4대 구성요소 중 하나인 2차전지 분리막을 생산하는 라인으로 고효율 리튬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고성능 PE 습식 분리막을 생산하는데 사용됩니다.
PE 고분자 파우더와 OIL을 투입하여 압출과 성형(Casting) 공정을 거처 종방향 연신과 횡방향 연신하여 필름을 만들고, MC추출기에서 OIL을 추출하여 분리막(Membrane)을 만드는 생산라인입니다. 

  

  분리막 연신설비 (MDO, TDO)는 압출과 성형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Sheet를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신하여 균일한 두께의 얇은(6~20μm) 필름으로 만드는 장비입니다. 분리막 추출기(EXTRACTION)는 습식분리막 제조의 필수 핵심 설비이며, MC용액조에서 필름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을 추출함으로써 미세 다공의 기공을 생성하는 장비입니다. 그리고 분리막 건조기(HEAT SETTING DRYER)는 추출 공정이후 MC 오일이 함유된 분리막을 건조하고 형태를 고정시켜주는 장비입니다. 

 

  분리막 코팅기(COATING MACHINE)는 생산된 필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로 분리막 필름에 세라믹 또는 불소수지 코팅 처리함으로써 내열성 향상시키고 전지 안전성을 높이는 설비로 제막 완성 이후 설치하며, PVDF코팅기와 세라믹코팅기가 있습니다.

  

  2차 전지 분리막 생산설비 라인은 설비 제작에 많은 기술력과 노하우가 요구되어 국내에서는 당사가 2차전지 분리막 생산설비 관련 설계, 제작, 설치, 시운전의 전체 풀라인(Full-line) 공정을 제작 및 핸들링 하고 있습니다.

편광필름 제조 연신 설비


  디스플레이용 설비 중 편광필름 연신설비는 TAC필름 및 PVA필름을 이용하여 편광 필름을 전처리 부터 검사까지 생산하는 설비이고, 압력용기는 LCD 및 OLED 제조공정에 사용되며 고압을 가하여 Layer 사이에 남아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장비입니다. 


1) 산업의 특성

  가) 2차전지


 2차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일반 건전지)와 달리 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말합니다. 2차전지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전기를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리튬이온(Li+)이 방전 시에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충전 시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2차전지는 크게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등 4가지 핵심소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2차전지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분리막을 제조하는 설비를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분리막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입자 크기의 미세한 구멍들이 뚫려있어 이 구멍을 통해 리튬이온이 양극, 음극을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휴대폰의 배터리 수명이 점점 줄어드는 것은 전해질 잔유물로 분리막 구멍이 하나 둘씩 막혀 전기발생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리튬이차전지 폴리올핀계열 분리막의 외관 및 sem 이미지



 
 2차전지는 산업자체가 독립적으로 수요를 창출하기 보다는 주로 휴대폰, 노트북 PC, 캠코더 등 Mobile IT 산업과 전기자동차 산업의 성장에 종속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 스마트폰,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전동공구, 하이브리드자동차 등 새로운 Mobile IT기기의 출현과 대용량 저장장치(ESS)의 수요증가 연료전지 시장 확대로 향후 시장 전망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2000년을 전후해서 휴대정보 단말기의 급격한 수요 증가는 당시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던 일본 업체들의 호황을 이끌었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와 중국 등 신규 2차전지 업체의 시장진입으로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었으며,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는 중대형 업체 위주로 업계가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리튬이차전지 구조모식도



출처: SNE Research
 
 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display)란, 다양한 정보를 인간이 볼 수 있도록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장치를 통칭하며, 디스플레이 기술은 디스플레이 개념을 적용하여 단순한 문자로부터 그래픽, 동영상 등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전달해 주는 기술을 말합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및 관련 부품/소재, 패널,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설비 및 장비의 생산에 관련한 일체의 비즈니스 활동을 지칭하는 것으로 LCD, PDP, LED, AMOLED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한 후 세트업체(TV, 데스크탑PC, 노트북, 휴대폰 제조/판매)에 납품하는 대표적인 장치 산업입니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크게 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브라운관)와 FPD(Flat Panel Display,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분되며, CRT는 1970~1990년대 초반까지의 흑백 및 컬러 TV에 활용되었던 디스플레이 장치입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TV와 컴퓨터 모니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는 FPD에 해당합니다. 현재 산업은 평판 디스플레이 이후로 플렉서블 및 3D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계속 진화 중이며, 지금까지는 경량화/소형화/고해상도 발현 등에 기술개발 초점이 맞추어 졌다면, 향후에는 형태의 자유도를 높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구조 변형이 가능하도록 만든다는 것이 산업의 기술 진화 방향입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장비/부품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장치 산업입니다. 패널 원가의 약 70%를 부품소재가 차지하며, 주요 부품으로는 백라이트(36.3%), 컬러 필터(Color Filter, 19.1%), 편광판(10.2%), 유리 기판 (8.4%) 등이 있습니다. 특히 설비 투자비용의 70%가 장비 구매 비용에 들어가며 제품 수율의 90% 이상이 장비 성능에 좌우되는 특성도 있기 때문에 기술세대와 제품 아키텍처 변화에 따른 장비 업체의 대응력 여부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패널업체들이 원재료를 공급받아 가공, 조립하는 시스템 산업인 동시에 노트북, 모니터, TV, 핸드폰 등 전방산업에 공급하는 부품산업입니다. 따라서 전방산업과 후방산업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전후방 연관 산업의 네트워크 구축이 매우 중요합니다. 패널은 전방산업인 TV, 모니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멀티미디어제품 등의 성장(시장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후방산업인 패널 생산 장비의 주요 부품과 소재는 조달능력(생산성, 공급망)과 기술력이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의 전방산업이 경기 상황에 민감한 IT제품 등이기 때문에 경기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생산규모와 수익성이 민감하게 변동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의 종류 및 전후방 연관 산업



  출처 : 산업연구원

  

  디스플레이 패널은 TV 원가의 50~60%를 차지하는 부품이므로 세트업체 입장에서는 최종 제품의 생산원가를 좌우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특성과 규모의 경제를 통한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높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간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R&D와 생산설비 등 대규모 고정 비용이 소요되는 산업으로, 한 제품이 개발되어 생산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는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장치산업입니다. 또한 초기 생산비용은 고가이나, 생산량이 확대될수록 평균생산비용이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는 산업입니다. 그러므로 규모 있는 선제 및 적기 투자를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가 시장 선점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일례로 국내 삼성 및 LG그룹이 1997~1998년 IMF 외환위기 속에서도 4세대 라인 투자를 대대적으로 단행하여 2009년 호황기의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역으로 시장의 주력 제품의 교체 속도가 점차 빨라져서 투자시기를 놓칠 경우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투자에서 생산까지 일정한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맞는 전략적인 투자 시점 선택이 매우 중요한 특성이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2차전지
 세계 리튬 2차전지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었으며, 2010년 글로벌 재정위기 등의 영향으로 성장성이 둔화되었으나, 최근 전기자동차 및 ESS시장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계획 및 정부지원정책 등이 활발하게 발표되면서 제2의 도약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점차 2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지고, 응용분야로의 파급효과가 높아짐에 따라 공급량은 향후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리튬이차전지 성장서



출처: SNE Research
 

  2차전지 산업의 발전으로 전지 가격이 낮아지면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빨라지고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90KWH의 대용량 전력 저장 설비가 늘어나게 되며 공짜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지 가격 하락은 화석연료 소비량 감소를 야기하게 되는 각 산업 간 상승작용으로 이어집니다.

2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수명주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리튬이온전지가 가장 주목받고 있으며, 실제 성장 속도가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030년 글로벌 리튬이온 2차전지(LIB) 시장 수요량




이차전지 분리막 시장 수요 전망




* 2차전지 분리막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CAGR

세계시장

1,910

2,380

2,980

3,618

4,392

5,332

21.4%

출처: 2차전지 산업분석, SNE리서치, 야노경제연구소, IBK투자증권(2018)

 

* 2차전지 분리막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억 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CAGR

국내시장

8,512

10,640

13,300

16,625

20,781

25,977

25.0%

출처: 2차전지 산업분석, SNE리서치, 야노경제연구소, IBK투자증권(2018)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IT기기에 리튬 2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전기차(EV)에 사용되는 2차전지의 수요 IT용 2차전지 규모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2차전지의 경우에는 전력저장장치(ESS)에서도 연평균 25%의 성장이 기대되며,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힘입어 글로벌 2차전지 시장규모가 2030년까지 연평균 2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2030 2차전지 산업(K-Battery) 발전전략, 2021. 7. 정부 관계부처) 한국과 중국, 일본은 2020년 EVB 시장에서 점유율 95%를 차지했습니다.
 정부는 2차전지 2022년 시장규모가 약 482억불이지만 2030년까지 약 630%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전기차용 2차전지(EVB) 시장은 2020년 304억불에서2025년 1,507억불로 성장하고 2030년 3,047억불 규모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분리막시장 점유율



  


이차전지 원가 및 점유율표



  

 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산업은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연 평균 1.0% 성장과 OLED는 LCD를 대체하면서 연평균 10.6% 성장성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요처인 TV,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고 신규 수요 창출이 부진하여 디스플레이산업의 성장률은 둔화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TV출하량은 연간 2억대, 스마트폰 출하량은 연간 15억대 내외 수준에서 정체되었으나 대형 패널 선호로 면적 기준 수요는 증가할 전망으로 보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산업 전망




 OLED가 디스플레이산업 성장을 견인하면서 디스플레이산업에서 OLED 비중은 2018년 21% 2025년 39%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OLED 패널의 주 수요처는 스마트폰과 TV이며 자동차 등의 수요는 성장성은 높으나 2025년까지 스마트폰, TV를 대체하기에는 시장규모가 작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스마트폰에 OLED를 탑재하는 주요 기업은 애플과 삼성전자이며 애플은 2021년 이후 출시되는 전모델에 OLED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스마트폰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기업 스마트폰은 중저가 제품 중심이며 LCD 대비 높은 가격 등으로 인해 OLED 탑재율 증가속도는 2019년 18%, 2020년 21%(CLSA)로 더니나 가격 하락 시 탑재율은 변동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OLED TV용 패널은 2020년도 기준 OLED TV 생산기업이 16개로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TV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OLED 출하량 전망



  

  특히 중국은 디스플레이 수요 둔화에도 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격적인 투자로 생산능력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중국내 LCD기업은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10.5세대의 LCD 공장을 건설 중이며 2018년~2025년에 5개 공장이 가동될 전망입니다. 또한 OLED 분야에도 중국은 LCD 경쟁력이 제고되자 OLED 지원으로 정책방향을 변경하여 중소형 OLED 생산능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IHS는 2021년 중국의 플렉서블 OLED 생산능력이 삼성디스플레이의 생산능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중국기업의 생산능력



 
 LCD와 중소형 OLED는 공급과잉에 직면하여 패널 가격이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중국의 LCD 생산능력 확대로 공급과잉이 지속되어 패널가격이 약세를 보일 전망이며 특히 한국, 대만기업의 노후 생산라인 폐쇄, 기존 생산라인 OLED 전환 등으로 인해 2021년부터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 플렉서블 OLED는 스마트폰 출하량 정체, 초고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율 둔화 등으로 수요 성장 속도보다 생산능력 증가 속도가 빨라 가격하락을 예상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가) 2차전지
 

  2차전지는 적용 소재에 따라 납축전지(LEAD-ACID), 리튬이온전지(LITHIUM-ION)등으로 분류되며 리튬이온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ESS(ENERGY STORAGE SYSTEM, 전기저장장치)등의 용도로 적용됩니다.
 

  리튬이온전지는 1991년 SONY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상업생산이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 1996년 각형, 1999년 파우치형 등이 차례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전지의 형태보다 소재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IT기기 보급량이 늘면서 높은 온도에도 안정성이 높고 가벼운 리튬폴리머전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에너지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물질 특성상 낮은 온도에서는 성능이 떨어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로는 리튬이온전지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산업의 발전으로 전지 가격이 낮아지면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빨라지고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90KWH의 대용량 전력 저장 설비가 늘어나게 되며 공짜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수요 역시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지 가격 하락은 화석연료 소비량 감소를 야기하게 되는 각 산업 간 상승작용으로 이어집니다.
 2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수명주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리튬이온전지가 가장 주목받고 있으며, 실제 성장 속도가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 리튬이온전지의 주 수요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등을 포함한 IT APPLICATION입니다. 이들 제품들이 소형화, 경량화 되고 성능화되는 과정에서 리튬이온전지 채택률이 확대되고 출하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며, 전체 리튬이온전지 출하에서 소형 비중은 80%를 초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은 침투율이 각 77%, 52% 수준으로 이미 그 산업이 성장기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결국 리튬이온전지의 성장 동력은 중대형 사이즈의, 크게는 전기차와 ESS(에너지저장장치)부분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대략 1,0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휴대전화의 약 7,000배, 노트북의 약 700배 용량의 2차전지를 탑재하는 전기자동차의 확산은 2차전지 시장을 폭발적으로 성장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 분리막 시장점유율 현황



출처: SK이노베이션, 키움 증권 리서치


나) 디스플레이
 

  과거 스마트폰 개발 이전에는 디스플레이 산업 전체적으로 주요 수요제품들의 빠른 세대교체에 맞춰 사이클이 바뀌는 방식이 지속되었다면, 스마트폰 개발 이후에는 이를 포함 각종 고화질 디스플레이 제품들에 대한 수요 증가가 전체적인 패널 수요증가를 이끌었습니다. 최근 중국을 위주로 대대적인 투자를 통해 그에 대응하는 공급 역시 급격히 증가하여 경쟁이 점점 심화되고 사이클 주기가 짧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TFT-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은 전통적으로 신규투자 → 공급과잉 → 가격하락 → 수요확대 → 공급부족 → 설비투자의 라이프사이클을 보여 왔으며, 이에 따라 TFT-LCD, OLED 패널생산업체들의 신규 설비투자 시기에 장비 업체들의 수주와 매출 증대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여 왔습니다. 동사 설비의 주요 납품처는 TFT-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생산업체이고 이 업체들의 가장 큰 수요처는 TV 및 PC시장입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설비제조업체들 역시 이들 전방시장의 경기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패널생산업체들의 설비 투자에서 최종 양산단계까지 최소 1.5~2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수요탄력적인 시장은 아닙니다. 모바일 제품의 급속한 성장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장도 함께 성장해왔으나 패널제조업체들의 설비 투자시기에 장비 수요가 몰리면서 호황과 불황의 주기적인 반복이라는 경기 순환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주력제품의 세대교체로 인해 대규모 투자가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고정 비용이 높고 생산 리드타임이 길다는 점은 패널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낮게 만드는 주요인입니다. 각 사이클의 주기는 2년에서 3년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호황기는 1~2년, 불황기는 약 1년 정도의 지속기간을 보여 왔습니다.


  편광필름시장은 과거 일본(후지, 코니카)등 선도 기업에서 탈피하여 국내 대기업(삼성SDI)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계 편광필름은 수분을 통과시키는 정도인 투습도에서 기존 TAC(Tri Acetyl Cellulose)계 편광필름보다 60배 가량 월등한 성능을 확보 32~55인치 TV에 적용 중이며 모니터 등 타 기종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디스플레이 관련 설비 중 오토클레이브의 주 매출처는 코스닥 상장사인 예스티 입니다. 예스티는 당사의 설비에 추가 가공 및 타사 설비와 함께 라인을 구성하여 삼성디스플레이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휴대폰 액정필름 라인의 대부분을 당사의 오토클레이브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4년부터 베트남 박닌성에 모바일용 OLED 패널 조립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 25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여 공장을 증설하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베트남 공장 누적 투자액은 65억 달러에 달하며 월 2,500만대분의 스마트폰용 OLED 모듈 생산이 가능한 설비를 구비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6년 매출 26조원에서 2017년 매출 34조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도 2017년 8월 3,600평 규모의 본사 신규공장을 준공하여 조립라인을 확대하였습니다.


  세계 편광필름 주력시장은 중국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업계에 따르면 세계 편광필름 시장 규모는 2014년 3억1,200만㎡에서 2020년 4억2,500만㎡로 연평균 6% 성장이 예상되고, 이 가운데 중국 시장성장률이 연평균 16%에 달합니다. 실제 BOE, CSOT, CEC-판다 등 중국 기업의 LCD점유율은 생산면적 기준 2014년 12.8%에서 2017년 26.8%로 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쟁요소

 가) 2차전지
 

  2차전지 분리막 생산설비 풀 라인은 국내에서 당사가 유일하게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분리막 생산설비의 일부분인 분리막 코팅기는 국내에서 소수업체가 생산하고 있지만 대부분 당사의 제품을 구매하여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그 중 피엔티, 씨아이에스에서는 당사의 2차전지 코터 및 건조기를 2015년부터 구매하고 있어 당사설비의 가격경쟁력과 납기,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최근 분리막 생산설비 시장 급성장으로 경쟁사(독일의 B사, 일본 J, S사 등)들은 더 이상 주문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호황을 누리고 있어서 수주 기회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FULL LINE 설비는 일본과 독일의 업체가 경쟁사이지만 가격경쟁력 및 총 생산기일(납기)의 측면에서 월등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일본 업체는 당사의 가격에 비해 30% 가량 높으며, 독일 업체는 당사보다 60% 가량 높은 가격에 판매하고 있어 당사의 가격경쟁력이 월등합니다.

  

  당사는 한국 최초로 각종 분리막 생산설비를 직접 설계한 핵심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리튬이온전지 분리막의 생산설비는 기술적, 경험적인 진입장벽이 높아 부분적인 설비생산 경험으로는 전체 생산라인 설비를 생산할 수 없습니다. 전 공정 설계부터 전 공정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사가 다년간의 경험으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막설비는 PP, PE분리막설비 위주로 구축되어 있고 차세대용 분리막설비는 전무한 상황에서 당사는 PI분리막설비의 핵심 유닛인 PI추출기, 온습도조절장치를 수주 생산 중에 있고 시장을 선도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분리막설비에 후가공(코팅)을 하여 안전성과 효율이 개선된 분리막의 생산을 위하여 자체 개발된 PVDF 코팅기를 생산 판매하여 후가공설비 시장을 선도해나가고 있습니다.

 
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용 생산설비 중 오토클레이브의 경우 당사 이외에도 국내 소수업체가 생산하고 있지만 최소생산기일, 단기간 납품의 시스템은 당사가 독보적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 휴대폰 디스플레이 생산설비에 사용되는 오토클레이브의 압력용기 파트 대부분을 당사의 설비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autoclave 설비




  국내에서 편광필름 생산설비를 PART UNIT으로 생산하는 업체는 일부 있으나 생산라인 전체를 제작하는 업체는 당사가 유일합니다. 당사 생산물량은 전량 수출하고 있으며, 설비제품의 진입장벽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가격, 납품일자에 있어서 일본 업체 대비 우월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추가 수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편광필름을 생산하는 업체는 LG화학, 삼성SDI가 있으며, 해당 업체의 생산설비는 일본에서 수입해서 설치운용하고 있습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성

  우리사는 주문 생산 방식으로 계약금, 중도금, 잔금 지급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계약 조건:

1. 계약금 30%, 출고전 중도금 60%, 시운전 완료 후 10%.

2. 계약금 30%, 1차 중도금 30%, 출고전 2차 중도금 30%, 시운전 완료 후 10%.

3. 출고후 세금계산서 발행.

등의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합니다.

  

  계약 후 제작 기간 장기일 경우 12개월 소요됨으로 계약 후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으로 영업이익이 다소 축소 될 우려도 있습니다.

  

  제작 단기 3개월, 중기 8개월, 장기 12개월이 소요되며, 이 기간중 원자재 가격 및 환율 변동으로 인하여 영업이익에 가감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위험성을 계약시 충분히 고려하여 계약 금액 결정에 신중을 기하고 있습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2030년 이차전지 산업(K-Battery)_2021년 7월 관계부처 합동회의에서 제시된 방안을 참조하면, 공공 및 민간 합동으로 2030년까지 지속적인 지원과 생태계 조성이 활발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비전 및 추진전략

  

세부 추진 과제


7) 기타

국내 이차전지 산업 활동 및 진단


한.중.일 이차전지 경쟁력 비교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한국 최초로 전기차용 2차전지(EVB) 분리막 생산설비 full line을 자체제작하고, 한국에서 유일하게 디스플레이용 편광필름 생산설비 full line을 자체제작할 수 있는 벤처중소기업입니다.

  당사는 2001년 10월 설립돼 섬유 생산설비를 제조하면서 축적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전기차용 2차전지 분리막을 생산에 사용되는 추출기와 연신기, 코팅기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분리막은 아주 미세한 구멍을 가진 특수고분자필름으로 양극과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면서 리륨이온만 통과시켜 전류를 발생시키게 하는 2차전지 4대 핵심소재입니다.

  당사는 정부 국책과제를 수행하면서 축적한 기술로 분리막 생산에서 핵심 생산설비인 추출기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제조하는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분리막 생산설비 full line은 첨단기술을 활용해야 하므로 당사를 비롯하여 독일 B사와 일본 J사, S사 등 극소수 업체만 생산할 수 있습니다.

  편광필름은 편광 성질을 가진 광학필터로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해 원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특수고분자필름으로 LCD와 OLED 소재로 사용됩니다. 당사는 액정표시장치 LCD(Liquid Crystal Display)용 편광필름 소재를 생산하는 설비와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생산에 필요한 후공정 설비도 전문적으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편광필름 생산설비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과 PVA(Poly Vinyl Alcohol) 필름에 요오드(Iodine) 분자를 염착시켜 편광성(Polarization)을 부여함으로써 LCD와 OLED용 편광필름을 양산하는 산업용 특수기계로 지속적인 국산화와 자체생산력으로 가격과 품질에서 국내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이밖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탈포설비도 제작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생산용 압력용기(Vessle)는 탁월한 탈포 능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고객사를 거쳐 삼성전자와 인텔이 최종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주요 제품 등의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 원)

구분

품목

매출액

제 품 설 명

2차전지

분리막

생산설비

분리막

연신설비

16,159

- 2차전지의 주요 구성요소인 분리막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 라인.

- 분리막의 원료인 폴리에틸렌 펠렛 투입 단계에서부터 최종 분리막 완성 단계까지 가능한 전체 설비 라인으로 1개 라인당 매출액 100억 원 가량의 고가 설비임

- PP, PE 분리막 연신기, PI 분리막연신기 (개발 진행 중)

분리막

추출기

63

- 습식분리막 생산시 오일을 추출해내어 기공을 생성하는 장비

- 벨트방식캐스팅 온도 습기 조절설비(PI분리막설비에서 기공을 생성하는 장비) PP, PE 분리막 추출기, PI 분리막 추출기

분리막

건조기

12

- 분리막에 코팅된 코팅액을 건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비
- 타사의 스팀 건조방식보다 우수한 히팅롤 건조방식의 설비로 고품질의 분리막 필름 생산이 가능

분리막 건조기(MDO, TDO), 양극 건조기, 음극 건조기

분리막

코팅기

41

- 분리막필름에 코팅처리를 하여 내열도를 향상시켜 전지안전성을 높이는 설비로 분리막 연신설비 라인 뒤에 추가로 설치하여 분리막 코팅공정에 사용됨

- 분리막설비 1대당 2대의 코팅기 소요됨

- PVDF코팅기, 세라믹코팅기

디스플레이용설비

Auto Clave

1,166

- LCD 또는 OLED 제조공정에서 유리와 필름, 유리와 유리 사이에 남아있는 기포를 압력을 가하여 제거하는 장비

편광필름 연신설비

730

- TAC필름 및 PVA필름을 이용하여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설비로 전처리설비부터 검사설비에 이르기까지 전체 제조설비 라인을 제조

주) 상기 매출은 주요 제품외 기타 제품에 대한 매출은 제외된 금액입니다.

 2) 시장점유율


  2차 전지 분리막 생산설비 라인은 설비 제작에 많은 기술력과 노하우가 요구되어 소수의 일본(J사, T사), 독일 업체(B사)를 제외하고 당사는 한국 최초로 전기차용 2차전지(EVB) 분리막 생산설비 full line을 자체제작하고, 한국에서 유일하게 디스플레이용 편광필름 생산설비 full line을 자체제작할 수 있는 벤처중소기업입니다. 특히 당사는 생산된 분리막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침지형 분리막 코팅기에 대한 국내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되는 오토클레이브는 가격과 생산 공기가 타사의 추종을 불허하는 제품으로 삼성디스플레이 TFT LCD공정의 대부분을 당사의 설비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타사가 만들 수는 있지만 가격과 생산 공기는 따라올 수 없을 것이라 자부합니다.

  

  편광필름 생산설비는 전체 라인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진 업체는 당사가 국내에서 유일하며, 생산경험과 운영경험이 풍부하여 검증된 설비입니다. 해외 구매처는 기계 한 대당 2백억 원 내외의 고가의 설비를 구입함에 있어 검증된 설비가 최우선이며 가격경쟁력까지 갖춘 당사의 전체 라인 설비를 매우 관심 있게 보고있습니다.

  

시장선도


 3) 시장의 특성


  국내 2차전지 시장은 연평균 14.9%씩 성장하여 25년 5.4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이 되며 당사는 이미 LG전자에 연구개발 설비를 납품 실적과 국내 분리막 생산업체인 W사의 설비 개조작업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 2차전지 분리막 코팅업체인 E사에도 분리막 풀라인(Full-line)을 공급 및 설치 예정이며, 국내 P사, C사에서는 당사의 2차 전지 건조 코터(Coater)를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국내 2차 전지 시장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당사 설비의 판매 실적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역별 이차전지 분리막 수요 및 생산 비중


  해외의 경우, 상기 도표와 같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이차전지 분리막 수요 비중이 높은편이며, 중국내 생산 비중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23년에는 63%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분리막 생산국인 중국 분리막 생산량은 2020년 37억 2천만 ㎡로 2019년 과 비교할 때 약 35.77% 증가하였고, 2차전지 시장전망으로 미루어 볼 때 2025년에 는 약 185억 4천만㎡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분리막 제조설비 관련 전공정(Full-line) 설비 제작이 가능한 일본(J사, T사)과 독일(B사)보다 가격경쟁력 및 총 생산기일(납기)의 측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가격경쟁력에서 일본은 당사 대비 가격 30% 높고, 독일은 당사 대비 가격 60%가량 높으며, 생산기일(납기)의 경우 일본과 독일은 발주 후 납품까지 통상 1년6개월~2년의 시간이 필요한 반면 당사는 발주 후 12개월 이내에 납품을 할 수 있는 시스템과 노하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력을 토대로 국내외 분리막 설비 시장에서 당사의 설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 모든 자동차 기업들이 전기차 제조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그중 안전과 가장 밀접한 핵심기술인 배터리의 분리막 기술이 매우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국,내외적으로 분리막 수요 증대가 예상되며, 국내 분리막 생산 업체와 협력하여 분리막 생산 설비 수요 업체를 확대하고 있으며, 확대된 거래처를 통하여 23년~24년까지 매출 증대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인도 업체와 지속적인 협의을 하고 있으며, 23년~24년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노삼식 1964.4.30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노삼식 대표이사 1983.3.~1985.2. 국립세무대학 내국세학과 졸업 해당사항 없음
2012.~2014. 서울국세청 조사4국 팀장
2015.~2016. 국세청 조사국 조사1과 팀장
2017 여수세무서장
2018 서울국세청 조사4국 3과장
2019 금천세무서장
2020.~현재 세무법인 이지 운영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노삼식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회사 업무집행에 관한 의사결정과 감시, 감독
- 최대주주 및 대표이사에게서 독립적인 위치에서 경영 투명성 제고
- 세무회계 전문성을 살려서 내부통제 관리제도 수시확인
- 회사 정책 결정을 위한 조언 및 전문지식 제공
- 이사회 특수결의 기능을 활용한 특수관계자 거래에 따른 리스크를 헤지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폭넓은 사회경험과 전문성은 물론이고 도덕성을 겸비하여 경영투명성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였음


확인서

사외이사 확인서_노삼식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습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재유행 관련 안내에 관한 사항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재유행으로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 및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마스크 미착용 주주님께서도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총회장 입장 시 질병 예방을 위해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총회 개최 전 총회장 방역을 실시하고, 당일 손소독제를 비치하는 등 방역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총회에 참석하는 주주분들께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105000204

피엔티엠에스 (25737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