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이원텍 (25163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4-26 16:2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26000791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 년     04월     26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브이원텍
대 표 이 사 : 김선중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60, A-710(삼평동,유스페이스1)

(전   화) 031-607-5540

(홈페이지) http://www.v-one.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무 (성  명) 한종민

(전  화) 031-607-554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9기 임시)

주주귀하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3조에 의거 제19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오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한 개별통지는 『상법』 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3조에 의거하여 전자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래  -

 

1.  : 2024년 5월 13일(월) 오전 09:00

 

2.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660, 유스페이스1 B동 B1 컨퍼런스룸

 

3. 회의 목적 사항

. 보고사항: 감사보고

.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황인정 사외이사
/감사위원)

 

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4년 05월 03일 오전 9시 ~ 2024년 05월 12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 본인 인증 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페이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 수정 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대리행사: 위임장(주주와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주주 인감도장날인), 대리인 신분증, 주주 인감증명서

. 법인주주: 위임장(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법인인감 날인), 법인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 신분증 미지참시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4월 26일

주식회사 브이원텍

 대표이사 김 선 중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세현
(출석률: 100%)
정대원
(출석률: 100%)
김종일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4-01 2024-02-20 브이원텍 CB 매도청구권(Call Option, 약 46억원) 행사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4-02 금융기관(한국산업은행) 차입 연장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4-03 2024-03-08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4-04 제18기(2023.01.01~2023.12.31)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4-05 제18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4-06 제1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일시 및 목적사항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24-07 2024-04-02 임시주주총회 소집일시 및 목적사항 승인의 건 찬성 찬성 해당사항 없음
24-08 2024-04-22 신규 차입의 건 찬성 찬성 해당사항 없음

(*1) 상기 이사의 출석률은 해당 이사의 재직기간 동안의 출석률을 기재하였습니다.
(*2) 김종일 사외이사는 2024년 3월 28일 일신상의 사유로 인하여 사임하였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김세현 사외이사
정대원 사외이사
김종일 사외이사
2024-02-06 주식회사 브이원텍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3,000 13.3 4.4 -

(*1) 상기 인원수는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의 인원수 입니다.
(*2)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의 보수 한도 승인 금액입니다.
(*3) 상기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 지급액은 퇴임한 사외이사의 보수를 포함하였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지급보증 (주)시스콘로보틱스
(해당 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종속회사)
2023-09-01
~
2024-08-31
11,000 매출대비 13.45%
자산대비 5.39%

(*1) 상기 거래내역은 2024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 까지의 거래내역을 기재하였으며, 비율은 2023년도말 자산총액 및 2023년 매출 총액 대비 비율을 기재하였습니댜.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백만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시스콘로보틱스
(해당 상장회사의 특수관계인 / 종속회사)
지급보증 2023-09-01
~
2024-08-31
11,000 매출대비 13.45%
자산대비 5.39%

(*1) 상기 거래내역은 2024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 까지의 거래내역을 기재하였으며, 비율은 2023년도말 자산총액 및 2023년 매출 총액 대비 비율을 기재하였습니댜.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시장의 특성

당사가 생산 및 개발하고 있는 검사장비의 대부분은 디스플레이와 2차전지를 검사하는 시스템과 장비이며, 이는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전방산업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가) 디스플레이 산업 특성


① 전후방산업과의 연계가 큰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은 전형적인 시스템 산업으로 전후방산업과의 연관성이 큰 산업입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제품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비롯하여, 모니터, TV,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VR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전방산업의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산업입니다.

특히 산업사회가 정보화 사회로 전환되어 가면서 새로운 디바이스가 등장하고, 디바이스들은 소형화, 다기능화되면서 시각적/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디스플레이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후방산업 역시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② 관련 부품소재 및 장비 산업과의 협력관계의 중요성이 매우 큰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소재 및 장비가 각 공정마다 사용되어야 하며, 이러한 각 공정은 많은 기술과 노하우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패널 원가의 약 70%는 부품소재가 차지하며, 주요 부품으로는 BLU(36.3%), Color Filter(19.1%), 편광판(10.2%), 유리기판(8.4%)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설비 투자비용의 70%가 장비구매 비용이며, 제품 수율의 90% 이상이 장비 및 사용되는 소재의 성능에 의해 좌우되고 있어 부품소재 공급업체에 대한 관리가 패널업체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따라서 패널업체와 부품 및 장비 업체간에는 일종의 수직계열화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부품업체는 대부분 단일 패널업체에 연결되어 있어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구축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패널업체의 가격, 품질성능 요구 등에 적절하게 대응할 의무가 존재합니다. 각 부품소재를 공급하는 기업은 2~3개의 기업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러한 환경은 신규 진입업체에게는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③ 기술 중심으로 변화가 빠른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은 TV나 모니터 등 기존 디스플레이의 수요를 넘어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단순히 정보전달의 기능을 넘어서 사람들과의 소통, 감성적 문화와도 연계되면서 더 정밀하고 자연스러운 고화질의 디스플레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가상현실(VR)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기기의 출현과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향상됨에 따라 패널 제조사들은 새로운 공정을 도입하고, 소프트웨어 개선, 부품소재 개발 등을 통하여 고화질, 경량화, 빠른 응답속도를 통한 실감나는 화면 구현 등의 기술적 변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후방 산업인 장비/검사 업체들도 패널제조사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④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산업의 특징


디스플레이 산업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의 업체가 선도하는 산업으로서, 경쟁력 있는 생산단가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생산량을 가져야 하는 규모의 경제가 지배하는 산업입니다.


즉 생산량을 증가시켜 생산단가를 낮추고 그 경쟁력으로 생산제품을 판매하고 그 이익으로 다시 투자하는 순환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지속적인 생산라인 투자가 경쟁사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산업입니다.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산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패널에 대한 검사 및 테스트 수요 증가로 인하여 투자설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목표시장

당사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검사장비는 압흔검사장비로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시 사용하게 됩니다. 디스플레이 종류는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 당사는 LCD, OLED, 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종류]

주) 자료: 당사 자체 자료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 중심에서 OLED 중심으로 시장이 진화하고 있으며, 고객의 니즈와 Wearable Device 및 VR의 성장으로 Flexible 디스플레이의 비중도 점차 커져가고 있습니다.


(다) 산업의 연혁

디스플레이의 변화는 기존의 CRT(Cathod Ray Tube; 브라운관)와 FPD(Flat Panel Display; 평판디스플레이)로 크게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FPD는 PDP(Plasma Display Panel)에서 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LCD에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발전해왔습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산업은 CRT(브라운관)가 오랜 기간동안 시장을 지배해 왔습니다. 하지만 2000년 이후부터는 대형화 및 휴대의 어려움과 공간활용의 저조 및 높은 소비전력 등의 CRT가 갖는 단점으로 인하여 이를 극복한 FPD(평판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시장의 주역으로 자리바꿈 하였습니다.


초기 FPD에서는 LCD의 완성도가 높지 않았고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LCD의 수요가 많지 않았기에 대형TV 중심의 PDP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하지만 PDP 제품은 TV이외의 다른 Product로의 응용이 제한적이었던 반면, LCD는 휴대폰, 노트북, 모니터와 TV까지 모든 디스플레이를 커버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LCD는 기술 표준화와 범용화로 인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추게 되어 FPD 중에서도 지난 수년간 모바일용 및 TV용 디스플레이 시장을 점유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LCD 대비 화질, 응답속도 및 소비전력 등의 면에서 우수한 OLED 디스플레이로의 시장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OLED 관련 산업은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의 기술선도 하에 세계 최초로 상용화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모바일용 OLED는 이미 스마트폰 등에 상용화 되어 여러 메이커로 확산되는 등 모바일 기기의 OLED 패널 채택율이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TV용 OLED는 최근에 새로이 시장에 진입한 상황으로서, 향후 업계의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한 양산체제 정착 등에 따른 대중화를 바탕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부문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최근 기술의 발전 및 소비자들의 편의를 고려한 Flexible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와 Flexible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한 OLED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라) 수요 변동요인


디스플레이 산업의 최종 제품은 TV,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 소비재로 경기변동에 민감한 제품입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상 수요 및 관련 전방산업 경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생산라인을 증설하거나 신규투자를 수행하며, 디스플레이 부품 및 검사장비 산업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의 투자계획에 따라 영업실적이 변동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은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 패널 업황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즉, 디스플레이 장비산업은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치산업의 특징을 갖고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의 설비투자 여부에 따라 통상 30~36개월 주기로 경기변동 사이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산업은 양산을 위한 투자에서 제품생산까지 일정한 시차가 존재해, 수요 증가를 예측하고 투자를 시작하면 투자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생산물량이 급증하여 초과공급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에는 투자를 축소하게 돼 일정시점 이후 초과수요가 발생하는 양상이 반복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현재 LCD 패널은 성숙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공급과잉 상태에 있어, 과거와 같은 패턴을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최근 OLED의 경우는 공격적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LCD의 사이클을 반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OLED 산업은 현재 초기 시장형성 단계로 국내 대형 패널 양산업체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추격하는 해외업체들과의 경쟁적인 기술개발과 설비투자로 인하여 향후 상당기간 동안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 규제 환경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에 대하여 특정한 규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2) 2차전지 시장

(가) 2차전지 산업 특성

2차전지는 전기에너지와 화학에너지의 반응을 통하여 반영구적 충방전 사용이 가능한 화학전지입니다. 2차전지 산업은 휴대기기, 전기자동차, ESS에서부터 로봇에 이르는 다양한 응용분야의 핵심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산업적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어가는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 미래 자동차 산업 변화의 키워드는 연비와 친환경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요 국가들은 자동차 연비 규정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허용기준을 강화하면서 친환경 자동차 생산을 장려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를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R&D 투자, 보조금, 세제혜택 등 정책적 지원을 통해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산업의 성장은 배터리를 매개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전력시스템은 피크타임(Peak time) 전력수요에 맞춰 전력용량을 증설해야 하는 구조이기에 전력 수요와 공급간 불일치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ESS를 활용하여 전력수요가 적은 심야시간에 유휴전력을 저장하고, 수요가 급증하는 낮 시간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전력시스템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태양광,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는 기술 발전으로 발전 원가가 계속 하락하면서 설치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럽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진 지역에서는 전력망의 불안정 이슈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낮은 전력품질 문제로 산업체 가동 중단 및 화재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장비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커질것 입니다.

생산량을 증가시켜 생산단가를 낮추고 그 경쟁력으로 생산제품을 판매하고 그 이익으로 다시 투자하는 순환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지속적인 생산라인 투자가 경쟁사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산업입니다. 2차전지 검사 시스템 및 장비 산업은 2차전지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검사 및 테스트 수요 증가로 인하여 투자설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목표시장

당사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검사시스템은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등을 층층이 쌓은 뒤 전해질을 주입하는 Stack & Folding 방식으로 제작되는 파우치 타입의 2차전지 조립공정에서 사용됩니다.


Lamination 공정에서 생산된 각 Type의 Battery Cell을 magazine 형태로 적재하여 Stack & Tacking Press 설비에 투입하는데, Cell 투입시 전극 최외곽을 당사의 Vision 시스템으로 측정하여 Align 한 뒤 Cell을 적층합니다.

당사의 시스템은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아 2017년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에 'L-Shape Battery'를 공급하는 국내 대형 2차전지 제조업체로부터 첫 수주를 확보했습니다. 첫 수주 이후 회사는 꾸준한 연구ㆍ개발을 통해 2020년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에 신규 모델향 'Z-Stacking' 양산라인 수주에 성공하였으며, 파우치형 배터리 모양이 다양해짐에 따라 안정성과 품질과 관련된 검사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또한 Align 검사 뿐만 아니라 2차전지 제조 전후 공정에서 당사의 비전기술을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기존 중대형(전기차) 2차전지 생산라인 검사장비 뿐만 아니라 당사는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제조사(고객사)간 진행하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연구개발에도 같이 협력하면서 '롱셀(Long Cell)라인' 양산라인 수주도 성공하여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에너지저장시스템(ESS)를 필요로 하는 태양광, 풍력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는 설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품질 문제로 산업체 가동 중단 및 화재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사장비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커질것 입니다.

(다) 산업의 연혁

1회 충전 후 폐기해야 하는 1차전지의 한계를 극복한 2차전지는 1900년대 자동차의 발전과 함께 납축전지를 시작으로 20세기 중반 전자기기에 이동성을 부여한 니켈계 니켈-카드뮴 배터리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리고 1991년 일본 Sony는 IT산업의 에너지 고용량, 경량화, 소형화 수요에 부합하는 원통형 리튬이온전지를 전세계 최초로 상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를 시작으로 1996년 각형, 1999년 파우치형, 2003년 전동공구용 원통형 리튬이온전지의 개발을 통하여 휴대폰, 노트북, 카메라, 산업공구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를 중심으로 자동차용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단순하게 자동차의 전동화에 기여하는 소극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미래기술과 융합함으로써 산업 변혁을 주도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같은 전기자동차 시대가 빨리 올 수 있게 된 계기는 2015년 9월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 사건의 발생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로는 향후 연비개선과 배기사스 규제를 준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을 공유하게 되어 이후 많은 국가들이 내연기관차 판매 중단 발표를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브이볼룸스닷컴 자료에 의하면 2019년 226만대 규모인 글로벌 전기차(EV) 판매량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중국, 유럽, 한국, 일본, 미국 등 글로벌 주요시장의 위축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전기차 모델 출시와 그린뉴딜 정책자금, 이산화탄소 95g 제한, 전기차 성능 향상 등 영향으로 2020년에는 연간 약 324만대의 전기차가 판매되면서 전년대비 43%가 증가 했습니다. 또한 정부 규제와 경제성 확보, 기술적 진정 등으로 연평균 35% 성장하면서 2025년 약 3,600만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연간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이 1억대 수준임을 감안할 때 전기차 비중이 2025년에 32.5%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라) 수요 변동요인

2차 전지는 크게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IT기기나 전기자동차, ESS 등 전지가 탑재되는 제품의 수요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경기 호황시에는 완제품 수요 증가와 재고 비축으로 인해 세트 업체로부터 주문량이 급증하며, 불황시에는 완제품 수요 감소와 재고 감축으로 인해 수요 감소가 일어납니다. 부품 산업의 특성상, 경기 변동 영향은 완제품 실물경기의 불황이나 호황이 표면상으로 드러난 이후 뒤따라 영향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배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및 사업환경에 의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중국은 2025년까지 전기차 2000만 대 보급 계획과 함께 최대의 내수시장을 토대로 자국의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유럽과 한국 등 주요 기업들과의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기술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규모가 확대되자 완성차 업계의 배터리 시장 진출은 물론, EU에서는 정부 차원의 배터리 기술 육성책을 마력하고 있어 향후 시장경쟁은 과열될 것으로 보입니다.

(마) 규제 환경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에 대하여 특정한 규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2) 시장의 규모 및 전망

1) 디스플레이 시장 현황 및 전망

당사의 제품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시장은 디스플레이 시장이며, 고객사의 요구에 따라 기술 및 장비를 변경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및 전망을 통해 당사의 향후 매출 성장성 등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한중 기업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이 OLED로의 사업전환을 가속화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의 OLED 굴기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IHS 마킷은 중국의 BOE가 2019년 처음으로 TV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생산량 1위(TV용 LCD 패널 출하면적 3,010만㎡)를 기록하면서 생산물량 기준으로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도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이 무서운 속도로 LCD 저가공세를 펼치는 등 "국내 기업들이(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전환투자(LCD→OLED) 등에 적극적으로 움직여야할 때"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OLED 사업의 투자 확대로 대규모의 공급계약 체결이 시작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이 OLED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중화권 디스플레이 패널업체인 BOE, CSOT, Tianma, GVO 등이 OLED생산을 위한 라인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본격적인 경쟁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컨설턴트(DSCC)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7년까지 글로벌 디스플레이 생산규모(케파) 증가율은 연평균 1.4% 수준에 머물 전망이며, 2023년 LCD 팹이 가동을 중단하거나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전체 생산규모가 1% 수준 하락했습니다. 또한 2024년부터 2027년까지의 증가율도 2~3%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그러나 OLED 시장에서는 중국이 가파른 성장을 할 것이라는 분석을 하였습니다. 중국은 2018년부터 LCD 분야에서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최근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OLED 패널 시장으로도 빠르게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DSCC는 지난 2020년 30% 수준에 불과했던 중국의 OLED 시장 점유율이 2027년에는 49%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반면 2020년 70% 수준이었던 한국의 OLED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2027년에는 50% 수준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세계 OLED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2022 삼성디스플레이(SDC)  OLED  시장 점유율은  50%, LGD  23%, BOE  13%,  나머지  CSOT, Visionox, Tianma, EDO등의 합이 14%니다.

현재 OLED  시장의 대부분은 한국 업체가 장악하고 있나,  DSCC 발표한 2023 1/4분기 중국 스마트폰용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이 시장에서 중국산 OLED  디스플레이가 빠르게 성장하여,  많은 중국 내 스마트폰 브랜드들이 한국산  OLED  디스플레이 대신 중국산 플렉서블  OLED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출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히 중국의 BOE는 자국 쓰촨성 청두에 630억위안(약 11조4000억원)을 투자해 애플 IT제품 시장을 겨냥한 IT용  8.6세대(2290x2620mm)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라인을 건설하겠다고 2023년 밝히는 등 과감한 투자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장비 투자

[자료: DSCC(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컨설턴트)]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이 지난 2018년 이후 스마트폰, TV 등에 이어 자동차, 노트북 등에 투입되면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7년에는 9억3780만대를 출하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2022년 응용 제품별 폴더블폰이 차지하는 비율은 2.3%에서 2027년에는 4.5%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2018년 5%에 불과했던 중국 업체들의 중소형 OLED 패널 점유율은 올해 15%, 내년 27%로 높아질 전망입니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계는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점차 설비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애플 공급망에 진입할 경우 큰 폭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BOE 외 비전옥스, CSOT 등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적별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자료: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한편 국내 기업(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의 글로벌 OLED 점유율이 처음으로 90% 이하로 떨어졌으며, 이는 중국 대형 패널社의 OLED 생산능력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OLED 탑재 제품은 스마트폰을 넘어 태블릿PC, 노트북, 자동차에까지 빠르게 확산되면서 Flexible OLED Panel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신규 투자 계획을 볼 때 OLED의 투자 싸이클은 단기간에 끝나기 보다 중장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및 전망

[자료: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중국의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서플라이체인(공급망)은 화웨이, 오포, 샤오미, 레노보 등이 차지하고 있고, 올해 BOE가 여러 기업에 OLED 디스플레이 공급에 나설 예정으로 화웨이는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OLED 디스플레이 공급받지만, BOE와도 전략적인 관계를 구축해 폴더블을 포함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개발을 진행하는 등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중국의 이 같은 추격에 대비해 전환투자를 통한 OLED 시장 장악을 모색 중에 있습니다. 이는 10.5세대 초대형 공장을 앞세운 중국 기업들의 공세에  LCD 시장에서는 수익확대가 어렵기 문입니다.


실제 중국의 1위 기업 BOE는 10.5세대 LCD 공장인 B9에 대한 생산량 증대에 이어 두 번째 10.5세대 LCD 공장인 B17에서 생산량 증대에 나설 계획입니다.


이미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 중심에서 OLED 중심으로 변화하였으며, OLED가 LCD를 대체하는 속도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 원인은 LCD와 OLED 구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lcd의 복잡한 구조]



[oled의 간단한 구조]


[자료: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LCD는 전기신호의 종류에 따라 빛의 굴절패턴을 바꾸는 액정소자를 사용하며 액정 자체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없어 백라이트(Back Light Unit, BLU)가 필요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반면 OLED 디스플레이는 각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빛을 조절하며 발광형 소자를 사용하여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합니다. OLED는 이러한 단순한 구조 덕분에 다양한 사용처에 활용이 가능하며 공급원가 축소로 이어집니다.

또한 LCD 대비 명암비가 우수할뿐 아니라 화질 반응속도 역시 1,000배 이상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여기에 시야각이 LCD보다 뛰어나며 소비전력도 낮게 나오기에 LCD 기술이 진보한다고 하더라도 OLED의 품질은 따라 잡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러한 OLED의 강점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OLED 제품을 선도적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OLED 패널이 갖는 여러 장점 중에서 가장 큰 장점은 바로 디자인의 혁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Flexible 디스플레이 적용에서의 이점입니다. 백라이트(BLU)가 빛을 내주고, 필요한 양만큼의 빛을 통과시켜 발광하는 LCD와는 달리 소자 하나하나가 자체 발광하는 OLED는 백라이트가 필요 없으므로 구조상 더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 제조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와 더불어 TFT 기판, 커버윈도우 등을 유연한 폴리이미드(Polyimide)로 변경하고 봉지층에 박막봉지(Thin Film Encap.)을 이용하면 Flexible OLED 제조가 가능하게 됩니다.


[flexible 디스플레이 발전단계]


[자료: LG디스플레이]

이처럼 Flexible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기기의 변화는 기존 교체수요는 물론 신규수요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기존 사용중인 스마트폰 외에 VR, 웨어러블, 폴더블 기기 등에도 OLED 패널이 주력으로 채용될 수 밖에 없기에 모바일 디스플레이 트렌드는 OLED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업체뿐 아니라 중국 기업들도 OLED시장에서 후발 주자가 되지 않기 위하여 중국 정부의 막강한 지원을 업고 중소형 OLED 산업의 공격적인 신규 투자 집행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Flexible OLED에 대한 투자는 당사 압흔검사기에 대한 매출로 이어지고 있으며, Tianma, GVO의 압흔 검사기 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Flexible OLED의 경우, 당사 검사기는 독보적인 기술을 토대로 고객의 신규 사양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어 더욱 큰 매출 증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위 중국업체 신규 Fab 증설 동향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기업들이 공격적인 OLED 생산 증설 계획을 잡고 있기에, 중국 고객사의 이러한 생산 증설은 국내 장비업체들에게 기회가 되고 있으며, 당사도 잠재 고객 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한 기반 확충에 힘쓰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제작시 각 공정의 장비 제조사는 과점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압흔검사기의 경우도 디스플레이 모듈 공정에서 핵심적인 검사를 수행하며 기술력이 필요하기에 소수의 기업들과 경쟁하는 과점의 경쟁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압흔 관련 기술 보유현황]

번호

구분

내용

등록일

1

특허 제 10-0805873호

LCD패널의 자동 압흔검사장치

08.02.14

2

특허 제 10-0810581호

자동압흔검사장치 및 방법

08.02.28

3

특허 제 10-0976802호

자동압흔검사장치 및 방법

10.08.12

4

특허 제 10-1002441호

COG접합부 검사장치

10.12.13

5

특허 제 10-1021312호

본더의 얼라인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11.03.03

6

대만 특허 I-509237호

CHIP ON GLASS BONDING INSPECTION APPARATUS

15.11.21

7

특허 제 10-1619149호

칩온글래스 본딩 검사장치

16.05.02

8

대만 특허 I-582412호

CHIP ON GLASS BONDING INSPECTION APPARATUS

17.05.11

9

특허 제 10-1764345호 디스플레이모듈 전극검사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17.07.27
10

중국 출원 201410220535X

CHIP ON GLASS BONDING INSPECTION APPARATUS

18.04.17


(2) 2차전지 시장 현황 및 전망

2차전지는 최근 제품 표준화를 통한 대량생산과 기술 개발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성능을 더욱 안정화하여 점점 활용처가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소형전지는 휴대성이 강한 PC, 휴대폰, 전동공구 등 휴대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전지는 전기자동차 및 전력 수요가 적을때 저장해 두었다가 수요가 많을때 사용할 수 있는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등에 사용되며 점차 그 적용 영역을 넓혀 가고 있습니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 이후 탄소배출 감축을 위해 전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자동차 시장에도 이산화탄소 배출제한, 연비규제를 비롯해 친환경차 보급 확대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등 10개 주에서 올해부터 무공해차 의무판매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EU는 최근 2050년까지 90년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80% 감축하기로 합의하면서 자동차 탄소배출규제와 연비규제를 강화하였습니다. 중국은 2019년부터 오나성차 업계에 총 자동차 생산량의 10%를 전기차와 같은 신에너지차로 채우게 하는 신에너지차 의무생산제를 실시했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핵심부품인 배터리 수요도 급증하고 있으며, 한중일 3국의 주도권 다툼이 치열한 배터리 시장에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진입해 시장 경쟁은 더욱 심화될 전망입니다. 2016년 말 이후, 중국 정부가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제외하고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자국 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하면서 전기차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이 위축되어 있었지만, 2019년 말 국내 기업들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이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대상에 포함되기 시작하고 유럽 시장에서는 전기차 판매량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배터리 사용량 기준 상위 10개사에 포함된 국내 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와 SK 온으로 3개사의 2023년 글로벌 전기차(EVㆍPHEVㆍHEV) 배터리 시장점유율은 23.1%(162.8GWh)를 기록하여 2022년대비 1.6%p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GWh)

순위 제조사명 2022년 2023년 사용량
성장률
사용량 점유율 사용량 점유율
1 CATL 184.4 36.2% 259.7 36.8% 40.8%
2 BYD 70.5 13.9% 111.4 15.8% 57.9%
3 LG에너지솔루션 71.6 14.1% 95.8 13.6% 33.8%
4 파나소닉 35.6 7.0% 44.9 6.4% 26.0%
5 SK온 30.1 5.9% 34.4 4.9% 14.4%
6 CALB 18.5 3.6% 33.4 4.7% 80.9%
7 삼성SDI 23.9 4.7% 32.6 4.6% 36.1%
8 Guoxuan 13.9 2.7% 17.1 2.4% 23.1%
9 EVE 7.0 1.4% 16.2 2.3% 129.8%
10 Sunwoda 9.1 1.8% 10.5 1.5% 15.4%
기타 44.4 8.7% 49.4 7.0% 11.3%
합계 509.2 100.0% 705.5 100.0% 38.6%

                          2023년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
[자료: SNE리서치]


또한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에 따라 미국에서 전기차 생산뿐만 아니라 북미산 배터리를 사용해야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온전히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국내 배터리 기업의 미국 현지 투자가 이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당사의 
배터리 검사 시스템 및 장비 또한 지속적인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디스플레이 및 2차전자 검사장비 부문]


(1) 영위사업 요약

 당사는 머신비전(Machine Vision) 및 화상처리를 통한 디스플레이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하는 기업으로, 2006년 5월 설립되어 지난 2017년 7월 13일에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디스플레이 제작공정 중 패널에 부착되는 IC, FPC의 부착 상태를 검사하는 압흔검사기를 비롯하여 평판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배터리 장비에 사용되는 검사시스템 및 검사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은 LCD/OLED 압흔검사기 외에 OLED 원장 FMM(Fine Metal Mask) Align 및 검사 비전 시스템, 2차전지 검사시스템, FPR 부착 검사기, RTP(Roll to Panel) Film 부착 검사기, COG/FOG/TAB 비전 시스템, 세정 전후 검사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국내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제조업체와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의 협업을 통해 특화된 검사 기술을 개발하여 납품하고 있는 등 선도업체로서의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머신비전은 디스플레이 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검사장비에 응용될 수 있으므로, 현재 미세먼지 측정장치 등으로 그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미래성장과 수익구조 다변화를 위한 다양한 신규사업을 검토 및 추진 중에 있으며 기존 사업 또한 혁신과 변화를 통해 지속성장 가능하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2) 주요 제품

(가) 압흔검사기(LCD/OLED)


당사의 주력 제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COG/FOG/TAB 본딩 공정 후 패널과 CHIP/FPC/COF 등 자재 사이의 ACF에 분포된 도전볼의 압착 상태를 검사하는 압흔검사기입니다. 동 검사기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시 후공정인 모듈 공정 중에 사용되고 있으며, 본딩의 접착 상태 검사를 통하여 패널의 불량과 양품을 구별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압흔검사기는 고객사의 주문에 맞추어 제작이 가능하기에 일반 평판 LCD 패널 검사는 물론 Rigid OLED와 Flexible OLED 검사시 모두 이용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종류도 대형 디스플레이와 중소형 디스플레이의 검사가 모두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중소형 디스플레이 중심의 검사기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패널 제작시 검사기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① 제품의 기능

 

전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패널의 전후면에 편광판 부착 후 패널의 Lead부에 IC/FPC/COF 등을 부착하고, 대형 패널의 경우에는 COF에 PCB를 부착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공정을 COG/FOG/TAB 본딩 공정이라고 하며, 압흔검사기는 이 부착 공정 시 패널과 IC/FPC/COF 사이의 ACF에 존재하는 도전볼의 압착 상태와 압착된 얼라인먼트에 따라서 양품과 불량을 구분하게 됩니다.

즉, 압흔검사기는 (i) 압착된 도전볼의 압착상태(압흔), (ii) 패널과 칩의 Align 상태, 두 가지 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압흔검사는 유리기판과 칩, 필름의 접합이 잘 되어 전기 및 회로가 잘 구동되는지 판단하는 중요 검사과정입니다.

[chip-on glass 공정1]


[chip-on glass 공정2]


* 자료: Hitachi Chemical

일반적으로 칩온글래스(COG ; Chip On Glass) 본딩은 LCD/OLED 패널을 사용하여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 칩을 패널에 접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크게 가압착(Pre-bonding) 공정과 본압착(Main Bonding) 공정으로 나누어지며, 접합 후 접합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을 거치게 됩니다. 칩은 패널에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외부의 제어신호를 패널에 공급합니다.


구체적으로 칩온글래스(COG) 본딩은 패널의 리드 상에 도전입자가 함유되어 있는 이방성 도전필름(ACF)을 부착하고, 이 이방성 도전필름 상에 칩을 실장한 후, 적절한 열과 압력을 가하여 패널의 리드와 칩을 이방성 도전필름에 의해서 접합시키는 것입니다. 이때, 이방성 도전필름에 함유되어 있는 도전입자가 파괴되며, 이 파괴된 도전입자를 통해서 패널의 리드와 칩이 도전됩니다.

 

패널과 칩의 접합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도전볼의 압착상태와 Align 상태를 검사해야 합니다. 본 검사기는 칩온글래스(COG) 공정에서 압착된 도전볼의 압착 상태(압흔)와 패널과 칩의 Align 상태, 두 가지를 동시에 검사하는 장비입니다.

[압흔검사기로 촬영된 영상]

[COG 영상]


[FOG 영상]


[TCP 영상]


* 자료: 당사 자체 자료

압흔 검사는 도전입자가 파괴된 흔적인 압흔의 분포상태를 3차원 영상으로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본딩상태를 검사합니다. 또한 얼라인먼트 검사는 칩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마크와 패널에 마련된 얼라인먼트 마크를 각각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 내의 각각의 얼라인먼트 마크의 위치에 근거하여 칩과 패널의 서로 어긋난 정도를 검사하는 것입니다.

[도전볼의 상태에 따른 양품과 불량의 사진]

[약한 압착 흔적]


[정상적인 압착 흔적]


[과한 압착 흔적]


* 자료: 당사 자체 자료

② 제품의 용도

 

본 검사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흔과 얼라인먼트 검사를 주로 수행하고 있으며, LCD/OLED 패널 제작시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 중 OLED의 경우 패널의 특성상 하부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압흔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 LCD용 압흔검사기와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진 DIC 현미경을 장비에 장착하여 검사하게 됩니다. 본 장비의 검사항목은 ACF 도전볼의 Bump/Lead당 수량, 접합 강도, Align 정도, 이물, 깨짐 등을 검사하며, 검사 결과는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 통계적 공정 관리)를 위하여 상부에 보고되는 기능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③ 제품의 특성 및 소요기술


TFT LCD 모듈 공정의 기술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Rigid Glass 본딩 압흔검사기 시장에는 국내외 유사업체들이 다수 진입해 있는 상태이나, 당사는 특화된 광학과 영상 인식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기술력을 기반으로 경쟁사 대비 우수한 검사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압흔검사기에서 머신비전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머신비전에 사용되는 광학계는 DIC 현미경(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e, 미분간섭현미경)으로 DIC Prism(Nomarski Prism)으로 빛의 간섭을 발생시켜서 위상의 차이가 있는 부분의 Contrast를 극대화시켜 압흔이 3D 형상으로 보여지게 합니다.

당사 압흔검사기의 광학계는 고객이 요구하는 검사기의 성능과 제품 정밀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업그레이드를 통해 현재의 최적화된 광학계를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며, 특히 Flexible OLED 등 신규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하여 현재 Flexible 디스플레이 분야의 압흔검사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Flexible OLED 패널은 기존 LCD나 Rigid OLED 패널과 달리 많이 휘어지고, 패널 표면의 굴곡이 심하며, ACF의 도전볼이 패널의 리드에 눌리는 현상이 전혀 다릅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수년간 이러한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광학계와 검사 알고리즘을 생산현장의 대응과 연구소에서의 개발을 통해 현재의 Flexible OLED용 압흔검사기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Flexible OLED의 압흔 Image는 기존 Rigid Glass의 압흔 Image 대비 그 시인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현재 적용된 광학기술 이외의 특수 광학기술을 통한 지속적인 검사성능 업그레이드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OLED Mask 관련 S/W 및 검사장비


당사의 주력제품 중의 하나인 OLED Mask 관련 장비는 크게 FMM 인장기와 PPA 검사 장비로 대표할 수 있습니다.


FMM은 Fine Metal Mask의 약자로서, RGB 구조의 고해상도 OLED를 생산하기 위한 필수 부품으로 RGB 유기물을 증착하는 장비에서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FMM 인장기는 FMM을 제작하는 장비로서 Pixel Pattern Hole이 뚫려있는 Mask Sheet를 적절한 힘으로 인장하고 Pixel Pattern Hole의 위치를 정교하게 조정하여 Mask에 용접하는 장비입니다.


또한 PPA는 Pixel Position Accuracy의 약자로서, FMM의 Hole 위치의 정확성을 의미하며, PPA 검사기는 FMM 인장기에서 제작된 FMM의 Pixel Pattern Hole의 위치와 Pitch, CD(Critical Dimension) 등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장비이며 옵션으로 Touch-Probe를 이용한 Mask 초기검사와 3D Wave Sensor을 이용한 FMM 3D 검사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Initial 검사장비는 FMM 인장기에서 사용되는 Mask Sheet의 품질의 등급을 검사하는 장비이며 옵션으로 Pattern 형상이나 이물불량 등을 검사하는 Pattern AOI와 Pattern Etching을 3D 형상으로 검사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최근 APPLE 및 중국 휴대폰 업체들의 OLED 디스플레이 적용과 OLED TV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OLED 시장의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OLED 생산의 핵심 공정 중 하나인 FMM 공정에 필요한 FMM 인장기, PPA 검사기 등의 Needs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HD급의 OLED 디스플레이에서 Full HD, UHD 급으로 해상도가 올라감에 따라 고밀정도의 FMM 인장 및 PPA검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① 제품의 기능


FMM 인장기는 Inbar 재질의 FMM을 인장하여 Frame에 용접하기 위해 Mask Dot(Stripe)의 위치를 측정하여 인장방향, Force 등을 정밀 제어하는 S/W를 탑재한 장비입니다.


Flexible 및 Rigid OLED 제작의 필수 공정인 Color 유기물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FMM(Fine Metal Mask)의 제작은 모든 Stripe/Dot가 1㎛(micrometer) 이내의 고정도로 제작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매우 높은 공정입니다. 당사의 FMM 인장 및 용접 S/W는 정밀 제어기술 및 정밀 위치 측정 알고리즘, 최적화된 인장 알고리즘이 적용된 프로그램입니다.


FMM 인장 전에 사용되는 Initial 검사기는 Mask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비로서 Mask Stripe/Dot의 측정, 3D Warpage 측정, 이물 검사 등을 수행합니다. FMM 제작 후에 사용되는 PPA 검사기는 Stripe/Dot의 CD(Critical Dimension) 측정, FMM Stripe/Dot의 Total Pitch 측정, FMM 표면의 처짐량 측정을 통하여 제작된 FMM을 최종 검증하는 장비입니다.


PPA 검사기는 FMM의 주요 치수 및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을 측정하는 등 다양한 검사 항목을 측정합니다. 검사를 통해 마스크 조건 및 검사 파라미터에 따라 OK/NG 여부가 결정됩니다.


FMM 인장기에서 제작된 FMM은 증착라인으로 전달되어 PPA검사기에서 검사한 후 증착기에 사용되고, 사용이 완료된 FMM은 세정 후에 PPA 검사기에서 검사하여 이상이 없으면 재사용하게 되지만 불량이 발생되면 폐기 또는 수리하게 됩니다.


② 제품의 특성 및 소요 기술


FMM 과 PPA 등의 장비는 G4.5F (4.5세대 Full size) 또는 G6H (6세대 Half size) 크기의 FMM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Stage를 정밀하게 제작하고 고성능의 위치제어 시스템으로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또한 Master Calibration Glass 등을 이용하여 FMM의 측정영역을 2D로 Mapping하여 측정위치의 미세한 오차도 보정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LCD 및 OLED 공정에서는 하나의 유리원판을 잘라서 여러개의 액정패널을 제작하는데, 유리원판 크기에 따라 세대를 구분할 때 G4.5(4.5세대), G6.0(6세대)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또한 Mask 등의 증착 관련 장비는 유리원판이 크면 제작이 어려워서 Mask를 원판의 절반 크기로 제작하고, 유리원판에 반반씩 증착하기도 하며, 이 때를 Half Size라고 칭합니다. 현재는 G6H가 Mask 공정에서 대응 가능한 최대 크기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G4.5 : 730×920㎜, G6.0 : 1500x1850mm)


(다)  2차전지 관련 S/W 및 검사장비

배터리의 용량을 확대하기 위해 적용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기술은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등을 층층이 쌓은 뒤 전해질을 주입하는 Stack & Folding 방식입니다. 핵심 소재들을 겹친 후 돌돌 말아서 만드는 Winding 방식과는 달리, 고전율을 위한 많은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차전지 검사장비]



Lamination 공정에서 생산된 각 Type의 Battery Cell을 magazine 형태로 적재하여 Stack & Tacking Press 설비에 투입하는데, Cell 투입시 전극 최외곽을 당사의 Vision 시스템으로 측정하여 Align 한 뒤 Cell을 적층합니다.

당사의 2차전지 관련 시스템은 Cell Type별 수량에 따라 Cell Jig에 적층된 낱장의 Cell을 열압착하여 하나의 Battery 형태로 만든 후에 열압착된 Cell의 Tab 폭을 Vision 측정하여 Ailgn 수준을 확인하는 System 입니다.

(3) 경기 변동과의 관계, 계절적 요인,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디스플레이 및 2차전지 산업의 최종 제품은 TV,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자동차 등 소비재로 경기변동에 민감한 제품입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및 2차전지 제조업체는 예상 수요 및 관련 전방산업 경기에 따라 생산라인을 증설하거나 신규 투자를 수행하며, 장비산업은 전방 제조업체의 투자계획에 따라 영업실적이 변동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전방산업의 업황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의 설비투자 여부에 따라 통상 30~36개월 주기로 경기변동 사이클을 나타나고 있어 디스플레이 장비업체의 가동률 또한 이에 민감하게 변동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양산을 위한 투자에서 제품생산까지 일정한 시차가 존재해, 수요 증가를 예측하고 투자를 시작하면 투자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생산물량이 급증하여 초과공급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에는 투자를 축소하게 돼 일정시점 이후 초과수요가 발생하는 양상이 반복되어 왔습니다.

 

거시경제 요인 등 경기변동에 따른 수요 성장 변동에 따라,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시기에는 제품 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수요증가 대비 공급이 부족할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OLED 및 2차전지 산업은 현재 초기 시장형성 단계로 국내외 업체들과의 경쟁적인 기술개발과 설비투자로 인하여 향후 상당기간 동안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신규 사업 


가. 미세먼지 측정기
당사는 미세먼지 측정 사업분야 신규 기술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미세먼지 측정기



정부가 '2018년 학교 미세먼지 관리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당사는 신규사업으로 자체 광학기술과 독자적인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지난해 광산란방식 미세먼지 측정기 개발에 성공했으며 국립환경과학원의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았습니다.

당사는 미세먼지 측정기 해외사업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 대기질 측정ㆍ모니터링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본 사업은 한국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이 주관하는 국제 공동 현지 사업화 과제로 인도네시아 산업부 산하 '국립화학포장연구소’가 위탁기관으로 참여하였습니다.

2018년 7월 자카르타를 방문해 국립화학포장연구소와 제품공급을 논의했고, 양측은 하반기 당사의 미세먼지 측정기를 공급하였습니다. 당사는 또 같은 시기 메단시를 방문하여 관련 사업을 설명했고, 메단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논의했습니다. 2019년 3월 당사는 메단 시청, 지역 초등학교 등에 미세먼지 측정기를 시범 공급하였습니다.
아울러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환경 공무원 연수 및 교육, 장비 지원, 현지 유관기관 협력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자카르타는 세계에서 베이징 다음으로 대기 질이 나쁜 도시로 알려졌습니다. 인구 1000만 명에 오토바이가 주요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대기순환이 잘되지 않아 문제가 심각합니다.

국내에서는 2019년 상반기 '철도 지하역사 실내 공기질 저감을 위한 공조시스템 최적화 및 지능화'(한국철도공사) 관련 사업을 통해 미세먼지 측정기를 강남 및 인덕원 등의 지하역사에 공급하였습니다.

 

해당 역사의 실내공기질 관련 정보, 외기 정보(Air Korea)와 교통량 정보, 공기정화장치 가동정보, 공조설비 운영 정보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빅데이터'를 구축 및 공기정화장치 운영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 장기측정 데이터 기반 분석 외기 유입 영향, 물청소 효과 등 다양한 미세먼지 원인 데이터 기반 규명에 당사 미세먼지 측정기를 설치 및 운영중에 있습니다.

또한 신규로 개발한 고정밀 미세먼지 측정기를 통해 2019년 11월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국책과제에 참여기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당사가 개발한 고정밀 미세먼지 측정기는 변화 요인이 많은 도심 도로환경에서의 미세먼지 추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광학 방식의 미세먼지 센서장비를 기반으로, 실외에서 발생되거나 유입되는 초미세먼지 등을 측정하여 쾌적하고 청정한 실외 공기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성능이 검증된 시범실증단지 구축용 고정밀 미세먼지 측정기 170여대를 제공함으로써 광주광역시 내 대기오염물질이 중점적으로 발생되는 지역을 선정, 지속적인 광주시의 대기질 측정과 속도변화 대응 및 무손실 이동 측정식 센서 개발로 미세먼지 대책의 과학적 근거 마련과 동시에 환경정보 및 팩터 보정 알고리즘 기반의 신뢰성 있는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성능인증 1등급 인증 취득]


pmc-vone-2.5



최근 초미세먼지에 의한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문제는 정부가 가장 시급한 국정 현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실제로 가전제품에 적용된 센서나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판매하는 실시간 미세먼지 측정센서는 정확도가 높지 않아 공기질 분석 수치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지난해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미세먼지 특별법)」 제정 시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성능 인증제 시행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성능인증을 받지 아니한 미세먼지 간이측정기의 제작 및 수입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어길 시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한 고정밀 미세먼지 측정기는 광산란방식을 통한 초미세먼지(PM2.5)를 측정하는 측정기기로 환경부가 지정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의 시험체임버평가와 환경대기 등가성평가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실내외 시험을 통해 반복재현성, 상대정밀도, 자료획득률, 정확도, 결정계수 등 5개 항목을 평가하였고 최종적으로 성능인증 1등급을 취득함에 따라 그동안 성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없이 유통 중이던 미세먼지 측정기에 대한 시장 신뢰도를 높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편 당사는 미세먼지 간이측정기 성능인증 1등급 취득을 통한 측정기술 완성도 확보 및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사업을 교두보로 국내 지자체ㆍ기관 수요에 따라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계획이며, 국내외 대기환경산업 매출확대와 동시에 중장기적인 비즈니스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물류로봇 부문]
당사는 2021년 4월 01일 사업(자율주행 로봇) 다각화 및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주)시스콘로보틱스를 인수였습니다.


(1) 업계의 현황

  

1) 시장의 특성

시스콘로보틱스가 개발 및 생산하는 AMR(Autonomous Mobile Robot)은 안내/서비스용과 물류용으로 물류자동화를 원하는 자동화라인과 물류창고 등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가) 산업특성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로 특히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언택트 시대에 각광받고 있는 분야이며, LiDAR Sensor를 활용한 SLAM 기술과 Camera를 활용한 Visual Odometry로 로봇의 현재위치와 이동방향 등을 추정/제어합니다.

스마트 팩토리


(나) 산업의 성장성
물류환경은 물류로봇의 보급 확대에 따라 무인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을 지속하고 있으며, 최근 자율주행 기능이 추가된 자율주행물류로봇(AMR)이 출시되어 물류로봇 시장확대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Markets and markets)이 2020년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물류로봇 시장 규모는 연평균 31%씩 성장해 2024년에는 약 86억 4,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다) 주요 목표시장

기존 AGV는 물류창고와 같은 비제조환경 내 이송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여러 한계점으로 인해 제조환경에서의 도입율이 낮았습니다. 한편 유연성 및 사람과의 협업이 가능한 AMR의 장점을 활용하여 AGV가 담당하던 물류창고 뿐만 아니라 AGV가 보급되지 못한던 여러 제조현장으로 확대 적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실제적으로 물류창고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80% 이상 자동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라) 경쟁요소
국내업계 선도적인 위치에서 해외 AMR 전문기업 Omron(일본), Mir(덴마크) 등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해외 업체들은 대부분 표준형 제품(AMR)으로 생산하여 판매할 뿐, 다양한 산업(반도체, 제약, 식품 등)의 현장별 최적화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국내 판매 확대에 한계가 존재합니다.
시스콘로보틱스는 글로벌 업체의 기술에 가장 근접하면서도, 다양한 산업의 스마트팩토리솔루션 구축을 통해 현장에 대한 이해가 높아 고객별 최적화 서비스가 가능한 강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회사의 현황

1) 회사 및 영업개황

(가) 영위사업 요약

시스콘로보틱스는 LiDAR를 이용한 SLAM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로봇(AMR)을 개발 및 제작하는 기업으로 2013년 11월 설립되었습니다. 2017년 11월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이노비즈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스마트 팩토리+오토메이션 월드 2019'에 참가하여 국내기업 최초로 자율주행 로봇을 선보였습니다. 전시회 참가를 시작으로 현대모비스, LS Electric, CGV, 현대위아 등으로 판로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①-1 SR Series (SR3, SR5, SR7) :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없애 높이 1.7M, 전방 3M 까지 인식이 가능한 ADDC (Advanced Dual Depth Camera) 기술로 특허(제 10-1995344호)를 취득하여 제품에 적용하였습니다. LiDAR Sensor를 대각으로 배치하여 360° 장애물을 감지하여 회피주행이 가능합니다.

sr7p


①-2 IM Series (IM1, IM0, IM3, IM5) : 시스콘로보틱스의 서비스 로봇은 트레이, 터치 스크린등 필요 기능에 따른 커스터마이팅 하여, 비대면, 안내 로봇, 정찰, 호텔및 데스토랑 서빙 로봇, 주차 로봇등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CGV 극장용 로봇과, 인천 테크노파크 로봇타워 로비의 안내 로봇등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서비스 로봇으로 고객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im0


②-1 제품의 기술
Drive :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획합니다. 이후 생성된 경로를 추종하며, 맵 상에 존재하지 않는 동적, 정적 장애물에 대한 회피(가/감속, 정지)를 수행합니다. 원하는 도착위치와 각도를 입력해 현재 로봇의 위치에서 최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경로를 자율적으로 생성합니다. 주행 중 장애물이 감지될 경우 실시간으로 우회경로를 찾아 장애물을 회피합니다. 시스콘로보틱스 AMR 시리즈의 경우 장애물 감지 시 회피할 것인지 정지할 것인지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최적경로가 아닌 지정경로주행 역시 가능합니다.

motion-planning(경로설정)


Docking : 시스콘로보틱스의 AMR은 특정 Marker의 인식을 통해 상대물에 정밀하게 근접시키는 도킹 기술을 사용합니다.다양한 현장에서 쌓은 노하우를 통해 현장 맞춤 도킹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docking


Follw Me : 시스콘로보틱스의 AMR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특정 사람을 따라가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②-2 제품의 기능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현장 주행에 앞서 해당 공간에 대한 맵핑을 진행한 뒤 저장된 맵을 기반으로 자율 주행을 실시합니다. 맵을 생성하기 위해서 SLAM을 활용하며, 부분 맵핑 기능을 통해 부분적으로 변경된 환경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Localization : Wheel Odometry와 IMU를 융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Localization을 수행하여 미리 작성된 맵 상에서 로봇의 자세와 위치를 추정합니다.

Localization


③ 제품의 용도

차단기(NFB, ELCB)의 부품을 부품창고에서 공정라인으로 투입하는 물류시스템에 사용하거나, 배터리 모듈의 공정간에 물류와 자동창고, WMS, 그리고 출하장으로의 제품을 이동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 경기 변동과의 관계, 계절적 요인,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경기 변동 및 계절적 요인보다는 기업의 투자계획이나 모델변경등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라) 신규 사업
시스콘로보틱스는 국내 자체 로봇알고리즘 기반 제조환경 AMR 완제품 상용화에 성공하였으며, 국내 대기업 등 다수 업체로부터 다양한 용도의 제품 납품 의뢰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5월 인수한 한성웰텍(무인운반기계(AGV) 및 자동화설비 제조업)과의 흡수합병(존속회사: 시스콘로보틱스)을 통해 국내외 경영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다양한 제품 개발 Roadmap을 수립하여 사업 확대뿐 아니라 경영효율성 증대 및 다양한 시너지 창출을 통해 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경쟁력 있는 자율주행 물류로봇 기술을 활용한 제품의 다각화와 미래 신규사업의 진출을 통해 가시적인 실적이 도출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1호 의안: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황인정 사외이사/감사위원)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황인정

1972.06.28

사외이사, 감사위원

분리선출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황인정 리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2022.08~ 현재   

2016.04~2022.04 

2002.04~2016.04
2011    ~ 2014

리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한국성장금융 투자운용1본부 본부장

SK텔레콤 경영전략실 부장
연세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박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황인정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

1. 전문성
후보자 본인은 한국성장금융 투자운용1본부 본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리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로 재직중에 있으면서 자본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경영인으로서 회사를 이끈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경영 활동에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을 제시하여 성장에 기여하겠습니다.

2. 독립성
후보자 본인은 상법 제382조제3항 및 제542조의8제2항에 대한 사항을 정확하게 이해하 고 있으며, 독립적인 위치에서 경영진의 업무집행을 감독하고 견제하여 경영진이 투명한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 직무수행 및 준수사항
후보자 본인은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준수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다년간의 SK텔레콤 경영전략실의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경영 실무에 대한 이해가 높으며, 한국성장금융 투자운용1본부 본부장, 리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로 근무하면서 자본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와 전문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기업 경영의 투명성 및 건전성을 제고하여 회사 전체의 이익을 극대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후보자의 높은 직업의식, 윤리성, 전문성을 바탕으로 감사위원회의 운영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의 최근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및 당사 홈페이지(http://www.v-one.co.kr/, 고객지원 → 공지사항)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4년 05월 03일 오전 9시 ~ 2024년 05월 12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 본인 인증 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페이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 수정 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426000791

브이원텍 (25163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