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03 14:5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3000321
2023 년 3 월 3 일 | ||
회 사 명 : | 샘표식품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박 진 선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중구 충무로 2 | |
(전 화) 02-3393-5500 | ||
(홈페이지)http://www.sempi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 무 | (성 명) 김 정 수 |
(전 화) 02-3393-5500 | ||
(제7기 정기) |
1. 일 시 :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이섭대천로 58 샘표식품(주) 이천공장 강당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감사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결의사항
제1호 의안 : 제7기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배당 예정 : 1주당 200원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의결권 대리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주주총회 참석장에서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위임장에 의거 간접 행사
- 전자투표방식을 통한 의결권 행사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3월 10일 9시 ~ 2023년 3월 19일 17시
- 첫날은 오전 9시부터 전자투표시스템 접속이 가능하며, 그 이후 기간 중에는
24시간 접속이 가능합니다. 단,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만 투표하실 수 있습
니다.
다. 시스템에서 본인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전자투표를 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 본인 인증 방법 : 범용/증권용 공동인증서,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됩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본인 참석 시)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대리인 참석 시) : 주주총회 참석장,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에 관한 안내
당일 발열,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ㆍ밀집ㆍ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ㆍ합창ㆍ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주총회 당일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길 '적극 권고' 드립니다.
코로나19 확산세로 인한 정부 방침 변동에 따라 주주총회 당일 입장 규정도 추후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주 여러분들의 양해 부탁 드립니다.
2023년 3월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
샘표식품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박 진 선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이명호 (출석률 : 100%) | 정명섭 (출석률 : 100%) | |||
찬 반 여 부 | ||||
1차 | 2022.02.04 | 1. 제6기 외부감사전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보고사항) 2. 제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찬성 - | 찬성 - |
2차 | 2022.02.10 | 1. 제6기 외부감사전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2. 국민은행 상생결제론 한도증액의 건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3차 | 2022.02.16 | 1. 제6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및 부의안건 승인의 건 2. 제6기 재무제표 승인 권한의 주주총회 위임 건 (보고사항) 3. 제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 보고의 건 4. 2022년 안전보건관리계획서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 찬성 | 찬성 찬성 - 찬성 |
4차 | 2022.03.14 | 한국수출입은행 수출성장자금대출 차입의 건 (차입금 : 80억원, 차입기간 : 1년) | 찬성 | 찬성 |
5차 | 2022.03.21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이사보수 결정의 건 3. 감사보수 결정의 건 | - | 찬성 찬성 찬성 |
6차 | 2022.06.07 |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 찬성 | |
7차 | 2022.08.09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글로벌 육성지원자금 차입의 건 | - | 찬성 |
8차 | 2022.08.16 | 사규관리규정 및 사규작성세칙 개정의 건 | - | 찬성 |
9차 | 2022.10.12 | 한국수출입은행 수출성장자금 차입의 건 (차입금 : USD 5,000,000, 차입기간 : 1년) | - | 찬성 |
10차 | 2022.11.24 | 한국산업은행 산업시설자금 차입의 건 (차입금액 : 90억원, 차입기간 : 1년) | - | 찬성 |
11차 | 2022.12.15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정책자금(50억원) 차입의 건 (차입금액 : 50억원, 차입기간 : 1년, 담보조건 : 샘표(주) 정기예금 50억원) | -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 | 43.5 | 43.5 | - |
* 상기 주총승인 금액은 사내이사 2인을 포함한 모든 등기이사의 보수한도임
** 인원수는 공시기준일 현재 인원수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샘표아이에스피 (기타관계회사) | 매출입 | 2023.01~12 | 205 | 5.7% |
(*) 최근(2022년) 별도재무제표(K-IFRS) 상의 매출총액(3,625.5억원) 대비 비율임
가. 업계의 현황
o 간장
(산업의 성장성) 간장시장은 소스류시장의 성장, 외식 증가 등으로 인해서 서서히 양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간장시장의 매장 내 판촉 경쟁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건강지향, 웰빙 경향에 맞춰 간장시장에서도 원재료, 성분 등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트렌드가 확대됨에 따라 용도별/기능별로 세분화 된 간장 제품의 매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o 연두
(산업의 성장성) '요리에센스 연두'는 맛내기 조미식품군에서 '요리 에센스'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창출한 제품입니다. '요리 에센스 연두'는 순식물성 콩발효 제품으로, 한식은 물론 서양식을 포함한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어 신규 카테고리로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15년 10월 100% 국산콩을 발효하고 국산야채를 사용한 프리미엄 제품 '연두 우리콩'을 출시하였고, '17년 4월 국산 청양고추를 우려낸 '연두 청양초' 출시, 21년 9월 100% 유기농 콩과 유기농 야채를 사용한 '연두 유기농'을 출시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특히 '18년 3월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유기농·자연식품 박람회인 "애너하임 국제 자연식품박람회"에서 올해의 차세대 혁신제품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미국 시장에 Yondu Vegetable Umami를 공식 런칭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는 20년 5월 미국 FABI Award에서 올해의 혁신제품상 수상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22년 8월 영국 '2022 그레이트 테이스트 어워즈(Great Taste Awards)' 최우수상 심사평에서는 '고기로 낸 육수를 대신해도 될 만큼 훌륭한 소스'로 극찬을 받기도 하는 등, 세계 무대에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산업의 계절성) '요리 에센스 연두'는 가정의 요리 필수품으로서, 경기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콩을 발효한 순식물성의 연두는 재료의 참맛을 살려주어 요리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을 바탕으로 요리에센스라는 신규 카테고리를 창출하였고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두의 열풍으로 맛내기 시장은 분말 형태에서 액상 형태로 세대 교체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큽니다.
o 된장
(산업의 성장성) 전체 장류 시장은 서서히 정체,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된장시장은 프리미엄 콩된장 및 용도 특화형 된장 시장의 확대로 매년 소폭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품질과 맛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준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기존 시판 된장과는 차별화된 프리미엄 된장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트렌드가 확대되면서 특정용도에 특화된 제품의 판매가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o 폰타나
(산업의 특성) 서양소스 시장은 소비자들의 해외 경험과 관심이 많아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서양소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과 정보가 향상 됨에 따라 직수입 되는 제품과 정통레시피를 구현한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성장하고 있는 시장 입니다.
(산업의 성장성) 식문화 발전에 따라 소비자들이 세계 각국의 이국적인 음식과 요리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외식 산업의 발달을 통해 다양하고 새로운 메뉴의 저변 확대도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소비자 욕구를 반영한 제품들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가구 내에서 조리해서 먹는 서양소스 부문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세계적인 원부자재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로 가정 식생활에서외식이 줄어 들것으로 보이며 평소 외식에서 즐기던 메뉴들을 가정에서 조리하는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그에 따라 맛과 품질력을 갖춘 제품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식문화 발달에 따라 다양한 서양식 메뉴가 소개되고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수입업체를 통해 다양한 직수입제품들이 늘어나고 있고, 국내 식품대기업들도 한국인의 입맛에 맞춘 레시피로 서양식 제품군을 확대하며 시장을 성장시켜 가고 있습니다.
o 티아시아(T'Asia)
(산업의 성장성)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외식 대신 집밥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가정간편식과 즉석조리식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SNS의 발달, 해외 경험 증가, 아시아 푸드 전문 레스토랑의 확대로 인하여 다양한 아시아 푸드 메뉴에 대한 관심과 경험 또한 증대되어 아시아 푸드 관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국내시장 여건) 아시아 푸드 시장은 특정 대기업(오뚜기, 청정원 등)이 리드하고 있으나 대부분 중소규모의 업체들이 수입 제품을 유통하거나 자체 제작하여 온라인 판매를 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2022년 전체 카레 시장은 2021년 대비 성장하였으며, 즉석카레와 조리형카레 시장 모두 성장하였습니다. 즉석카레 시장에서는 티아시아가 프리미엄 커리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청정원 및 유통사의 PB제품을 비롯해 2022년 9월 이후, 롯데 쉐푸드와 삼양 불닭, 오뚜기 오즈키친 브랜드하에 이색 카레를 출시하면서 프리미엄 커리 시장 경쟁이 심화되고 고객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o 백년동안 흑초
(산업의 특성, 성장성) 2005년에 시작된 식초음료 시장에서, 백년동안 흑초음료는 2009 년도에 성공적인 신제품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웰빙 트렌드와 함께 CJ 제일제당, 대상, 샘표식품 등 메이저 식품 기업의 제품 출시로 식초음료 시장은 2010년 50%의 큰 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12년 이후 시장은 조금씩 감소하고 있으나, 백년동안 흑초는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판매 활성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대부분의 식초음료는 물에 희석하여 마시는 건강음료로 소비되고 있습니다. 음료 매출이 증가하는 하절기에 백년동안의 희석용 흑초 제품도 매출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에 반해 백년동안 흑초 원액 제품은 계절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꾸준히 판매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우리회사는 생현미를 발효한 흑초 원액과 함께, 산머루복분자, 산수유석류, 블랙블루베리 등 다양한 과채를 더한 희석용 제품으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샘표식품뿐 아니라, 주요 제조사인 대상, CJ제일제당에서도 다양한 맛과 향을 가미한 희석용 제품을 출시 운영 중입니다.
o 백년동안 건강즙
(산업의 특성) 2019년 아이음료 시장은 닐슨기준 약 120억 시장으로, 온라인 시장까지 추산한다면 약 250억 수준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이 정체 혹은 소폭 상승 추세임을 감안했을 시, 2021년 시장규모는 300억 내외로 예상됩니다.
(산업의 성장성)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저하되는 반면, 유아식 시장의 프리미엄화가 진행되면서 개당 판매 가격 상승으로 인해 물량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반면 매출 금액은 소폭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소용량 유기농 음료 시장에 대한 니즈가 커지면서 앞으로의 시장 가능성은 유망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건강에 대한 니즈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로 인해 그 중요도가 더욱 가속화되었고 이에 따라 아이 건강즙에 대한 관심과 니즈는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건강지향 제품의 꾸준한 개발을 진행하여 유아 음료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입니다.
(국내시장 여건) 건강에 대한 트렌드는 비단 일시적인 트렌드가 아닌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까지 대부분의 식품 기업에서 건강지향 제품의 출시를 앞다투고 있을 정도로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o 새미네부엌
(산업의 성장성 / 국내시장 여건) 최근 물가 상승과 더불어 HMR, 밀키트의 유행으로 외식보다는 집에서 간편하게 요리를 하는 것이 일상화되었습니다. '편의성'이 식품산업 내 주요 키워드로 떠오르면서 간편하게 요리 할 수 있도록 돕는 양념/소스류에 대한 수요의 증대로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o HMR(통조림)
(산업의 특성) 통조림 시장은 성숙기 시장으로 매출 변동이 크지 않으며, 원물 제품들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가공 반찬류 시장은 1~2인 가구가 늘어나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편의성 추구에 따라 성장하고 있으며 주요 식품회사들 또한 보관과 취식이 편리한 포장 반찬 신제품을 지속 출시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시장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지속적인 원물가 인상과 장기적인 경기불황 예상됨에 따라 외식소비는 줄어들고 가정 내 조리와 가성비 식품의 소비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물가에 따른 생활비 절감을 위해 낭비가 적은 소포장 반찬과 가격이 저렴하고 장기 보관이 가능한 통조림에 대한 수요도 일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시장 여건) 통조림 시장 내에서는 수산물 통조림이 가장 큰 시장이며 뒤이어 과일 통조림, 반찬 통조림 순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꽁치, 고등어 등 수산 원물 수급 이슈에 따른 원가 상승과 가격 인상으로 인하여 수산 통조림 시장 정체 중이며 생물 시장으로 수요 이동하기도 하였습니다.
(해외시장 여건) 전세계적으로 내식 수요가 증가하면서 간편성과 프리미엄한 맛을 동시에 제공하는 HMR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 통조림 시장은 부가가치를 높인 조미 통조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영향으로 안주와 집밥 요리용도의 통조림 신제품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o 질러
(시장의 특성) 스낵-안주류 시장은 술안주 및 간식류 등을 포함하는 시장으로, 먹거리에 대한 관심(영양, 안전)이 높아지며 브랜드 또는 식품종합기업 제품의 종류 및 매출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스낵-안주류 시장 내에서 군소업체들은 특화된 분야(어포 및 견과류)에 집중하여 전문 영역 및 꾸준한 매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중 육포 시장은 약 1,183억(22년 12월 마켓링크 기준)의 안정적인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샘표, 동원, 코주부 등의 다양한 브랜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할인점 중심으로 판육포 및 PB육포가 출시되고 종류도 다양해 지면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더욱 넓어졌습니다.
o 국수
(산업의 성장성) 일반적인 건면(소면)은 매출의 성장과 하락 변동이 적은 저성장형 시장이며, 면과 소스(스프)가 함께 갖춰진 편의면 시장은 1~2인 가족 확대 및 건강추구 트렌드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징) 건면 제품은 대표적인 저관여, 가격민감, 시즌성 상품으로서 경기의 영향보다는 매장 내 프로모션 등에 의한 변동이 큰 제품군입니다.
(국내시장 여건) 라면을 제외한 국내 건면시장은 약 1,500억원 규모로 오뚜기가 시장점유율 약 6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위 업체인 오뚜기와 후발주자인 CJ 제일제당 등 대기업들이 주로 가격/물량으로 경쟁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약한 중소업체들은 고전하고 있습니다. 편의면은 대부분의 식품 메이저 업체들이 냉장면 시장에 진출, 약 2,000억원의 시장 규모를 이루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면류 중소업체들이 진출한 상온 편의면은 약 625억원 규모로서, 아직은 작은 수준입니다. (라면 제외) 우리 회사는 상온 편의면 시장에 진출하여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 여건) 일본 국수시장은 전체 국수 시장 규모의 변동이 없는 성숙기 시장입니다. 유통 채널 다변화 과정에서 신규 품목군(냉장류)이 활발해지며 전체 시장규모가 소폭 성장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성숙기입니다. 국내 국수 시장도 일본의 국수 시장처럼 급격한 매출 상승/하락보다는 꾸준하게 매출이 유지되는 성숙기 시장 형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우리회사는 '우리맛으로 세계인을 즐겁게'라는 핵심가치의 실현을 위해 독보적인 발효기술을 이용한 제품 개발과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간장은 2022년에도 변함없이 시장점유율 60% 이상(판매액 기준)을 기록하며 시장의 지배력을 유지 강화하고 있습니다. 된장, 고추장은 토장, 토장찌개, 쌈토장, 조선 고초장으로 프리미엄 라인업을 구축하여 매출 확대를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요리에센스 연두의 아마존 매출은 300%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즐거운 요리혁명 새미네부엌은 김치양념 2종을 출시하고 온라인 요리 커뮤니티 "새미네부엌 플랫폼"을 오픈했습니다. 새미네부엌 플랫폼에서는 레시피를 공유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며 요리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을 나눌 수 있으며, 오픈 후 한 달 만에 활성 회원 수 10만명을 기록하였습니다. 양질의 콘텐츠 제공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높게 평가 받아 "2022 웹어워드 코리아"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티 아시아 커리, 난 및 라씨 등 동남아 정통브랜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TV 광고를 활용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폰타나는 서양식 대표 브랜드로서 파스타 소스, 수프 등의 전체 매출이 연평균 30% 이상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일상에서 건강을 생각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밸런스죽, 건강면, 폰타나 컴수프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글루텐 프리 현미쌀소면과 업계 최초 고단백면(소면, 중면)도 출시하여 건강면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컴수프는 전년대비 2배 이상 성장하며 향후 수프 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한국 헤리티지 브랜드 전략으로 미국 및 유럽 아마존 내 샘표 브랜드 페이지를 개설하고 글로벌 홈페이지를 새단장했습니다. 현지에 맞는 상품으로 연두 spicy, 캔 김치, 새미네부엌 해외판 김치앳홈(Kimchi@Home)을 출시하였습니다. 해외 수출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하였습니다.
<표. 2022년 출시 신제품>
구분 | 제품 |
---|---|
간장(1) | o 한식국간장 |
폰타나(4) | o 파스타 소스 2종 (라치오 베이컨 까르보나라, 롬바르다아 생크림 갈릭 로제) |
새미네부엌(2) | o 김치양념 2종 (열무김치양념, 물김치양념) |
티아시아(12) | o 전자레인지용 커리 3종 (비프 키마, 스파이시 치킨 빈달루, 팔락 파니르 커리) o 쿠킹소스 5종 (베트남 쌀국수 소스 담백 양지, 베트남 쌀국수 소스 진한 차돌, 태국 팟타이 소스, 발리 나시고랭 소스, 탄투리 치킨 소스) o 분말요리용 커리 1종 (키마 커리 분말) o 골든 버터 난, 그릴드 갈릭 난 o 요거트 라씨 망고 파우더 |
순작(3) | o 콜드브루 (납작복숭아차) |
질러(1) | o 직화풍 BBQ 핫칠리 |
국탕찌개(4) | o 소갈비살 미역국, 나주식 맑은양지곰탕, 고사리 육개장, 4가지 햄 소시지 베이컨과 치즈 부대찌개 |
면(2) | o 현미쌀소면, 고단백면(소면 & 중면) |
밸런스 죽(4) | o 통팥 늙은호박죽, 동지 찹쌀통팥죽 |
우리회사는 구성원의 행복을 핵심가치로 추구하며 노사분규 없이 화합과 상생을 이끌어온 공로를 인정받아 제34회 한국노사협력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미래 성장기술 확보를 위해 꾸준히 연구개발(R&D)에 투자한 결과, 세계인정의날 국가기술표준원 표창과 농림축산식품과학기술대상 국무총리상을 수상했습니다.
해외에서는 요리에센스 연두가 세계적 권위의 식음료 시상식인 영국 'Great Taste Awards'에서 "고기로 낸 육수를 대신해도 될 만한 훌륭한 소스다"라는 평을 받으며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유기농 고추장은 '베지 어워드(Veggie Awards)'에서 "순식물성 제품인데도 고기와 같은 감칠맛으로 요리를 맛있게 해준다" 라는 평을 받으며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우리회사는 식품 제조 단일 사업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2) 시장점유율
해당 사항 없음
(3) 시장의 특성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중 '가. 업계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 사항 없음
(5) 조직도
회사조직도(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중 '나. 회사의 현황'의 '(1) 영업개황'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1) 연결 재무제표
- 연결대차대조표(연결재무상태표)
제 7(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6(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기말 | 제 6(전)기말 |
---|---|---|
자 산 | ||
I. 유동자산 | 162,915,218,233 | 169,591,341,072 |
현금및현금성자산 | 12,736,366,941 | 29,603,508,678 |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 40,139,315,944 | 34,024,228,976 |
단기금융상품 | 36,134,600,000 | 47,000,000,000 |
재고자산 | 71,024,428,404 | 55,167,554,883 |
기타유동자산 | 2,880,506,944 | 3,796,048,535 |
II. 비유동자산 | 187,371,289,141 | 157,940,296,248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487,050,197 | 1,500,000,000 |
기타투자자산 | 1,284,742,071 | 373,190,653 |
유형자산 | 170,992,019,322 | 143,625,217,716 |
무형자산 | 339,409,040 | 440,460,393 |
이연법인세자산 | 4,558,883,692 | 2,736,982,046 |
기타비유동자산 | 8,709,184,819 | 9,264,445,440 |
자 산 총 계 | 350,286,507,374 | 327,531,637,320 |
부 채 | ||
I. 유동부채 | 93,574,012,989 | 83,173,455,661 |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 52,152,665,179 | 42,952,423,973 |
단기차입금 | 30,336,500,000 | 15,927,5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 | 11,541,150,000 |
당기법인세부채 | 622,175,514 | 712,811,749 |
유동충당부채 | 1,851,084,281 | 1,734,462,272 |
유동리스부채 | 1,885,253,048 | 3,108,008,534 |
기타유동부채 | 6,726,334,967 | 7,197,099,133 |
II. 비유동부채 | 29,357,687,918 | 29,403,445,529 |
장기차입금 | 24,533,380,000 | 22,955,000,000 |
퇴직급여부채 | - | - |
비유동충당부채 | 1,628,331,372 | 1,946,760,000 |
비유동리스부채 | 2,984,155,746 | 4,343,455,289 |
기타비유동부채 | 211,820,800 | 158,230,240 |
부 채 총 계 | 122,931,700,907 | 112,576,901,190 |
자 본 | ||
I. 자본금 | 2,284,143,000 | 2,284,143,000 |
II. 자본잉여금 | 96,614,542,269 | 96,614,542,269 |
III. 이익잉여금(결손금) | 129,164,216,775 | 116,847,372,111 |
IV. 기타자본구성요소 | (708,095,577) | (791,321,250) |
자 본 총 계 | 227,354,806,467 | 214,954,736,130 |
부채및자본총계 | 350,286,507,374 | 327,531,637,320 |
- 연결손익계산서(연결포괄손익계산서)
제 7(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6(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기 | 제 6(전)기 |
---|---|---|
I. 매출액 | 371,198,280,962 | 348,701,054,310 |
II. 매출원가 | 236,273,431,540 | 209,214,774,708 |
III. 매출총이익 | 134,924,849,422 | 139,486,279,602 |
IV. 판매비와관리비 | 123,793,494,941 | 115,975,801,598 |
V. 영업이익 | 11,131,354,481 | 23,510,478,004 |
금융수익 | 6,790,729,127 | 5,390,181,161 |
금융비용 | 4,799,903,155 | 3,548,409,753 |
기타수익 | 1,885,030,767 | 1,103,434,192 |
기타비용 | 703,301,521 | 309,061,407 |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4,303,909,699 | 26,146,622,197 |
VII. 법인세비용 | 1,202,924,998 | 2,455,010,175 |
VII. 당기순이익 | 13,100,984,701 | 23,691,612,022 |
IX. 기타포괄손익 | 212,404,836 | (831,082)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129,179,163 | (10,471,218)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 129,179,163 | (10,471,218)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83,225,673 | 9,640,136 |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세후기타포괄손익) | 83,225,673 | 9,640,136 |
X. 총포괄손익 | 13,313,389,537 | 23,690,780,940 |
XI.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손익 | 2,869 | 5,188 |
* 위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사항 등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2023년 3월 10일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제 7(당)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 6(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기말 | 제 6(전)기말 |
---|---|---|
자 산 | ||
I. 유동자산 | 157,628,742,168 | 161,094,436,998 |
현금및현금성자산 | 10,784,040,352 | 27,122,232,470 |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 40,868,847,264 | 31,812,627,702 |
단기금융상품 | 36,134,600,000 | 47,000,000,000 |
재고자산 | 67,130,061,738 | 51,458,625,585 |
기타유동자산 | 2,711,192,814 | 3,700,951,241 |
II. 비유동자산 | 166,329,299,780 | 141,927,260,333 |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비유동채권 | - | 1,618,002,408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487,050,197 | 1,500,000,000 |
기타투자자산 | 1,284,742,071 | 373,190,653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2,591,921,047 | 926,820,065 |
유형자산 | 149,526,562,281 | 126,828,356,003 |
무형자산 | 339,409,040 | 440,460,393 |
이연법인세자산 | 2,517,651,186 | 1,093,688,786 |
기타비유동자산 | 8,581,963,958 | 9,146,742,025 |
자 산 총 계 | 323,958,041,948 | 303,021,697,331 |
부 채 | ||
I. 유동부채 | 92,825,054,545 | 80,995,125,887 |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 51,564,538,662 | 42,745,089,109 |
단기차입금 | 30,336,500,000 | 15,927,5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 | 10,000,000,000 |
당기법인세부채 | 600,846,407 | 712,811,749 |
유동충당부채 | 1,851,084,281 | 1,734,462,272 |
유동리스부채 | 1,862,668,117 | 2,800,818,532 |
기타유동부채 | 6,609,417,078 | 7,074,444,225 |
II. 비유동부채 | 15,921,414,491 | 17,547,444,695 |
장기차입금 | 11,100,000,000 | 11,100,000,000 |
퇴직급여부채 | - | - |
비유동충당부채 | 1,628,331,372 | 1,946,760,000 |
비유동리스부채 | 2,981,262,319 | 4,342,454,455 |
기타비유동부채 | 211,820,800 | 158,230,240 |
부 채 총 계 | 108,746,469,036 | 98,542,570,582 |
자 본 | ||
I. 자본금 | 2,284,143,000 | 2,284,143,000 |
II. 자본잉여금 | 96,614,542,269 | 96,614,542,269 |
III. 이익잉여금(결손금) | 117,026,977,383 | 106,375,184,064 |
IV. 기타자본구성요소 | (714,089,740) | (794,742,584) |
자 본 총 계 | 215,211,572,912 | 204,479,126,749 |
부채및자본총계 | 323,958,041,948 | 303,021,697,331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제 7(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6(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기 | 제 6(전)기 |
---|---|---|
I. 매출액 | 362,553,052,018 | 341,144,115,123 |
II. 매출원가 | 234,527,444,681 | 208,213,096,719 |
III. 매출총이익 | 128,025,607,337 | 132,931,018,404 |
IV. 판매비와관리비 | 119,382,113,119 | 112,832,821,921 |
V. 영업이익 | 8,643,494,218 | 20,098,196,483 |
금융수익 | 6,920,850,326 | 5,415,231,246 |
금융비용 | 4,480,389,271 | 3,456,436,922 |
기타수익 | 919,547,136 | 1,102,685,879 |
기타비용 | 646,355,725 | 293,373,916 |
종속기업투자손익 | 1,584,448,138 | 1,631,981,814 |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2,941,594,822 | 24,498,284,584 |
VII. 법인세비용 | 1,505,661,466 | 2,616,818,323 |
VII. 당기순이익 | 11,435,933,356 | 21,881,466,261 |
IX. 기타포괄손익 | 209,832,007 | 28,158,205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129,179,163 | (10,471,218)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 129,179,163 | (10,471,218)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80,652,844 | 38,629,423 |
지분법 적용대상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세후기타포괄손익) | 80,652,844 | 38,629,423 |
X. 총포괄손익 | 11,645,765,363 | 21,909,624,466 |
XI.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손익 | 2,504 | 4,792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7(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제 6(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7(당)기 | 제 6(전)기 |
---|---|---|
처분예정일 : 2023년 3월 20일 | 처분일 : 2022년 3월 21일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11,628,985,863 | 21,968,524,464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3,873,344 | 97,529,421 |
2. 지분법재개에 따른 조정 | - | (77,633,499) |
3.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129,179,163 | (10,471,218) |
4. 당기순이익 | 11,435,933,356 | 21,959,099,760 |
II.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 - |
III. 이익잉여금처분액 | 11,604,651,120 | 21,904,651,120 |
1. 임의적립금 | 10,600,000,000 | 20,900,000,000 |
2. 이익준비금 | 91,331,920 | 91,331,920 |
3. 현금배당 (주당배당금(율) 당기 : 200원(40%) 전기 : 200원(40%) | 913,319,200 | 913,319,200 |
IV.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4,334,743 | 63,873,344 |
* 위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사항 등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2023년 3월 10일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참고)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 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억 2,958 만원 |
최고한도액 | 20 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 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700 만원 |
최고한도액 | 2 억원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3년 03월 10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1)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3)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회사 홈페이지(http://www.sempio.com/)의 공고 사항에 게재 예정입니다.
1.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ㆍ밀집ㆍ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ㆍ합창ㆍ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주총회 당일에도 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길 '적극 권고' 드립니다.
코로나19 확산세로 인한 정부 방침 변동에 따라 주주총회 당일 입장 규정도 추후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주 여러분들의 양해 부탁 드립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030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