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발행실적보고서 2023-09-12 13:4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12000134
금융감독원장 귀하 | 2023년 09월 12일 |
회 사 명 : | 피씨엘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김 소 연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가산동, 스타밸리) 701호 |
(전 화) 02-2144-3901 | |
(홈페이지) http://www.pclchip.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 무 (성 명) 장 지 운 |
(전 화) 02-2144-3901 | |
1. 기업개요
상장구분 | 기업규모 | 업종구분 |
---|---|---|
코스닥 | 중소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2. 발행 개요
(단위 : 원) |
구분 | 발행총액 | 비고 |
---|---|---|
기타 | 23,114,000,000 |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
1. 청약 및 납입일정
구분 | 청약개시일 | 청약종료일 | 납입기일 |
---|---|---|---|
구주주 청약 (초과청약 포함) | 2023년 09월 04일 | 2023년 09월 05일 | 2023년 09월 12일 |
2. 인수기관별 인수금액
(단위 : 원) |
인수기관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비 율(%) | 비 고 |
---|---|---|---|---|
교보증권 | 2,706 | 12,028,170 | 0.05 | 대표주관회사 |
계 | 2,706 | 12,028,170 | 0.05 | - |
주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2항 제7호에 따라 구주주 초과ㅌ청약 배정 후 발생한 단수주를 대표주관회사인 교보증권(주)가 인수하였습니다.
주2) 비율은 유상증자 모집주식 수인 5,200,000주를 기준으로 계산한 비율입니다.
3. 청약 및 배정현황
(단위 : 원, 주, %) |
구 분 | 최초 배정 | 청약 현황 | 최종 배정 현황 | |||||||
---|---|---|---|---|---|---|---|---|---|---|
수량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
구주주(신주인수권증서) | 5,193,172 | 99.87 | 6,614 | 4,716,146 | 20,963,268,970 | 85.25 | 6,614 | 4,716,146 | 20,963,268,970 | 90.70 |
구주주(초과청약) | - | - | 5,202 | 816,029 | 3,627,248,905 | 14.75 | 4,749 | 481,148 | 2,138,702,860 | 9.25 |
단수주 | 6,828 | 0.13 | - | - | - | - | 1 | 2,706 | 12,028,170 | 0.05 |
계 | 5,200,000 | 100 | 11,816 | 5,532,175 | 24,590,517,875 | 100 | 11,364 | 5,200,000 | 23,114,000,000 | 100 |
4. 일반투자자 배정방식별 배정현황
구분 | 배정수량(주) | 비중(%) | 균등방식 유형 |
---|---|---|---|
균등방식 | - | - | - |
비례방식 | - | - | - |
계 | - | - | - |
5. 기관투자자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배정현황
(단위 : 주, %) |
확약기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ㆍ 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보험 | 기타 | 거래 실적 유 | 거래 실적 무 |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준일 : 2023년 09월 12일) | (단위 : 주, %) |
주주명 | 관계 | 주식의 종류 | 증자 전 | 증자 후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김소연 | 본인 | 보통주 | 3,212,000 | 26.82 | 5,097,716 | 29.68 |
㈜올릭스 | 특수관계법인 | 보통주 | 1,163,555 | 9.72 | 1,377,555 | 8.02 |
이동기 | 배우자 | 보통주 | 221,224 | 1.85 | 328,667 | 1.91 |
김인규 | 임원 | 보통주 | 80,000 | 0.67 | 80,000 | 0.47 |
이지원 | 자녀 | 보통주 | 14,000 | 0.12 | 20,798 | 0.12 |
이승현 | 자녀 | 보통주 | 14,000 | 0.12 | 20,798 | 0.12 |
장지운 | 임원 | 보통주 | 2,300 | 0.02 | 3,298 | 0.02 |
합 계 | 4,707,079 | 39.30 | 6,928,832 | 40.34 |
주1) 증자 전 발행주식총수 : 11,976,236
주2) 증자 후 발행주식총수 : 17,176,236
- 주권 상장 및 유통 예정일 : 2023년 10월 04일(수)
1. 공고
1) 공고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일 자 | 공고 장소 |
신주 발행 및 배정기준일(주주확정일) 공고 | 2023년 05월 30일 |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pclchip.com) |
모집가액 확정의 공고 | 2023년 08월 31일 |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pclchip.com) |
2. 증권신고서
가.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내역 :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내역]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2023년 05월 30일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초제출 |
2023년 06월 27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정정신고서 제출요구에 따른 정정(파란색) |
2023년 07월 13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초록색) |
2023년 08월 16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반기보고서 제출에 따른 정정 (보라색) |
2023년 08월 31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빨간색) |
3. 투자설명서
가.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서면문서 :
피씨엘(주):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가산동, 스타밸리) 701호
교보증권(주):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7
하이투자증권(주):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66
다. 투자설명서 제출 및 정정 내역 :
[투자설명서 제출 및 정정 내역]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2023년 07월 12일 | 투자설명서 | 최초제출 |
2023년 07월 13일 | [정정]투자설명서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초록색) |
2023년 08월 16일 | [정정]투자설명서 | 반기보고서 제출에 따른 정정 (보라색) |
2023년 08월 31일 | [정정]투자설명서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빨간색) |
2023년 08월 31일 | [정정]투자설명서 | 단순 기재 정정(파란색) |
1. 자금조달 내용
(단위 : 원, 주) |
구분 | 주식 구분 | 신고서상 발행예정총액 | 실제 조달금액 | 비고 | ||
---|---|---|---|---|---|---|
발행가액 | 수 량 | 발행총액 | ||||
모집 | 보통주 | 23,114,000,000 | 4,445 | 5,200,000 | 23,114,000,000 | - |
계 | 23,114,000,000 | 4,445 | 5,200,000 | 23,114,000,000 | - | |
매출 | 보통주 | - | - | - | - | - |
계 | - | - | - | - | - | |
총 계 | 23,114,000,000 | 4,445 | 5,200,000 | 23,114,000,000 | -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공모자금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15,114,000,000 | 8,000,000,000 | - | - | 23,114,000,000 |
나.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신제품개발 및 신규사업 추진 등을 위한 운영자금과 차입금 상환 등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 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상증자 공모자금 사용목적 및 우선순위]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자금용도 | 상 세 | 사용(예정)시기 | 금액 | 우선순위 |
---|---|---|---|---|---|
운영 자금 | 신제품개발 (R&D) | 스마트 POCT 개발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350 | 1 |
진단시약개발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3,600 | 1 | ||
신규사업 추진 | 신규장비 도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3,200 | 2 | |
신규진단시약 도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5,920 | 2 | ||
일반운영자금 | 국내 및 해외 영업/마케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2,044 | 3 |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 상환 | 엠큐렉스 차입금 상환 | 2023년 4분기 | 4,000 | 4 |
차입금 상환 | 산업은행 차입금 상환 | 2023년 4분기 | 4,000 | 4 | |
합 계 | 23,114 | - |
주1) 상기 금액은 확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공모자금 사용시기는 유상증자 일정 및 실제 운영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1) 운영자금
(1) 신제품 개발(R&D)
[신제품 개발(R&D) 세부 자금사용 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스마트 POCT 개발 | PCLOK III | 100 | 50 | 50 | 50 | 50 | 50 | - | - | - | 350 |
검체 전처리장비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100 | 50 | 50 | 50 | 50 | 50 | - | - | - | 350 | |
진단시약개발 | PCLOK II | 550 | 350 | 350 | 250 | 250 | 200 | 100 | 100 | 50 | 2,200 |
HiSU | 400 | 250 | 200 | 150 | 150 | 100 | 50 | 50 | 50 | 1,400 | |
소계 | 950 | 600 | 550 | 400 | 400 | 300 | 150 | 150 | 100 | 3,600 | |
합계 | 1,050 | 650 | 600 | 450 | 450 | 350 | 150 | 150 | 100 | 3,950 |
① 스마트 POCT 개발
[스마트 POCT 개발자금 세부 산정근거]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구분 | 산정근거 | 합계 |
스마트 POCT 개발 | PCLOK III | 하드웨어 설계 제어용 펌웨어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연동 시험), TOUCH LCD 프로그램 (GUI 디자인, 구현, 프로그램 개발) Bar Code 및 프린터 연동 기구 설계 및 시스템 조립/평가 시제품 조립 및 평가 디자인 및 기구물 가공 | 350 |
검체 전처리장비 | X/Y/Z 센서 보드 (하드웨어 설계, PCB artwork, PCB SMT 및 부품, 보드 구동 프로그램 개발) 제어용 펌웨어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시스템 연동 시험) TOUCH LCD 프로그램 (GUI 디자인, UI 구현, 프로그램 개발) Bar Code 및 프린터 연동 (Bar Code 연동, 프린터 연동) 기구설계 및 시스템 조립/평가 (모델링, 기구설계, 기구부품 구매, 시제품 조립 및 평가 제품 디자인, 기구물 가공 | - |
POCT(Point of care testing) 기기는 중소형병원에서 신속 정확하게 진단 가능한 현장신속진단기기로 혈액 또는 호흡기 스왑 검체에 대한 다중진단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당사는 이미 PCLOK II를 개발하여 각급 병ㆍ의원을 대상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향후 소형진단기기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사용성 및 스마트 기능을 개선한 POLOK III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하드웨어 설계 및 관련 프로그램과 펌웨어의 개발, 시제품 생산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세부자금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총 350백만원이 개발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CLOK III 개발에는 장비개발팀 인원 2명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해당 인력에 대한 인건비로 연구개발기간(1.5년 계획)동안 약 221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과거 2019년 PCLOK II 개발당시 설계 및 디자인에 38백만원, 소프트웨어 개발에 14백만원, 시제품 구체설계 및 조립, 평가 등에 37백만원, GUI디자인에 10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팬더믹 이후 물가상승에 따른 기기제조비용 상승률(30%)을 감안하여 인건비를 제외한 개발비로 129백만원을 산정하였으며 PCLOK III 개발을 위해 총 350백만원을 사용하고자합니다.
② 진단시약 개발
당사는 혈액진단기기 PCLOK II를 개발완료 및 판매 중에 있습니다. 한편, 진단기기 사용을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진단시약 사용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PCLOK II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진단시약을 개발하여 잠재 시장을 넓히고자 합니다. 지속적인 시장확대가 예상되는 동물진단시약을 비롯 알츠하이머 등 진단시약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형진단장비인 HiSU에 대해 해외국가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열대질병 관련 진단시약 등을 추가로 개발하여 사용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원재료비 및 소모품비와 개발 후 임상 및 승인절차에 필요한 비용을 고려하여 PCLOK II용 진단시약개발에 2,200백만원, HiSU용 진단시약개발에 1,4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단시약 개발 자금 세부 산정근거]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구분 | 산정근거 | 세부내용 | 합계 |
진단시약개발 | PCLOK II | PCLOK II Anti-HIV/HCV/Syphilis PCLOK II ToRCH IgG/IgM PCLOK II Anti-HPV 16/18 알츠하이머 AD/MCI 호흡기바이러스 4/6종 골흡수/형성 표지자 CTX, P1NP 개 위장관염 (CPV, CCoV, Giardia) 고양이 위장관염 (FPV, FCoV, Giardia) 염증표지자 CRP | 1. 연구 개발비 - 원재료 및 부재료 구매비 - 비교장비 측정비(장비+시약 구매비 포함) - 소모품 구매비 2. 연구 임상시험비 - IRB 승인허가비 - 임상시험비 - 검체구매비 - 비교장비 검사비 - 기관수행비 - 임상수행 인건비 - 기타 경비 (이동경비 포함) 3. 논문제출비 | 2,200 |
HiSU | 잠복결핵검사 (Hi-TB) 열대성질환검사 (Hi-TD) 말라리아, 매독검사 | 1,400 |
상기와 같이 당사는 PCLOK II용 진단시약 9종과 HiSU용 진단시약 3종을 개발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각 진단시약의 진단대상과 개발하고자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발하고자하는 진단시약 | 진단 대상 | 개발하고자 하는 이유 |
PCLOK II Anti-HIV/HCV/Syphilis | HIV, HCV, Syphili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혈액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PCLOK II를 납품하여 헌혈 전 혈액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고위험군 바이러스 진단을 위함 |
PCLOK II ToRCH IgG/IgM | Toxoplasmosis, Rubella, Cytomegaioviurs, Herpes Simplex Viru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병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PCLOK II를 납품하여 임신 중에 있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함 |
PCLOK II Anti-HPV 16/18 | HPV 16, 18 항체 진단 | 남, 녀 모두 자궁경부암 백신주사를 맞는 추세로 국내 개인병원 및 산부인과에서 HPV 백신 접종 전/후 항체 생성 여부 확인하기 위함 |
알츠하이머 AD/MCI | 알츠하이머 마커 진단 | 고령화사회에 진입하며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 이에 따라 알츠하이머 발생 및 진행과정을 확인하기 위함 |
호흡기바이러스 4/6종 | Influenza A, Influenza B SARS-CoV-2, RSV, Adenovirus, Parainfluenza 항원 진단 | 증상이 유사한 호흡기 바이러스를 소아과 및 일반 병원에서 고위험군 호흡기 바이러스와 일반 감기 바이러스를 구분하여 항바이러스제 남용을 막기 위함 |
골흡수/형성 표지자 CTX, P1NP | 골흡수, 골형성 표지자 진단 | 골흡수 및 골형성 표지자를 진단하여 골질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함 |
개 위장관염 (CPV, CCoV, Giardia) | Canine Parvovirus Canine Corona virus Giardia 항원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의 분변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전염성 위장관염을 진단하기 위함 |
고양이 위장관염 (FPV, FCoV, Giardia) | Feline Parvovirus Feline Corona virus Giardia 항원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해 고양이의 분변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전염성 위장관염을 진단하기 위함 |
염증표지자 CRP | 염증표지자 CRP 진단 |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혈액검사의 한 종류로 체내의 CRP 양을 측정하여 체내 급성 염증이나 조직 손상 유무를 예측하기 위함 |
잠복결핵검사 (Hi-TB) | Mycobacterium tuberculosis 항원 진단 | 국내 및 해외의 결핵에 대한 시장의 관심 확대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함. 혈액 내 활동성 결핵뿐만 아니라 잠복성 결핵도 진단하기 위함 |
열대성질환검사 (Hi-TD) | Chikungunya, Dengue, Malaria, Zika viru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혈액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HiSU를 납품하여 아프리카 및 열대아 지역에서 모기를 매개로 발병률이 높은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함 |
말라리아, 매독검사 | Malaria (P.vivax), Syphilis 항체 진단 | 국내외 혈액원을 타겟으로 혈액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헌혈 전 혈액내에 존재하는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구분하기 위함 |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자금규모 3,600백만원은 당사의 과거 개발 경험에 근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시약 1개당 평균적으로 연구개발 원재료와 부수재료비로 73백만원이 소요되었으며, 분석적 성능시험을 위한 재료비로 15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또한 연구 임상과 관련하여는 주로 임상검체구입에 103백만원, 외주를 통한 임상시험비에 4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외 기타 부수비용을 포함하면 시약 1개 당 연구인력 인건비를 제외한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비로 총 198백만원 가량이 소요되었습니다.
PCLOK II용 진단시약 9종을 위한 연구개발에는총 3개 팀의 연구인력 9명이 2년여 간 참여할 예정입니다. 해당 연구인력의 진단시약 연구개발 투입시간을 고려하면 인건비 소요액은 약 400백만원으로 산정됩니다. 이외 과거 개발경험에 근거하여 시약 1개당 연구개발비 및 임상시험비로 약 2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당사는 PCLOK II용 진단시약 개발 자금으로 2,200백만원을 계획하였습니다.
HiSU용 진단시약 3종을 위한 연구개발에는 1개 팀 연구인력 3명이 2년여 간 참여할 예정입니다. 해당 연구인력의 진단시약 연구개발 투입시간을 고려하면 인건비 소요액은 약 300백만원으로 예상됩니다. 이외 과거 개발경험에 근거하여 시약 1개 당 연구개발비 및 임상시험비로 약 2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HiSU 플랫폼 전용 초고속 자동화장비 고도화 및 부품의 국산내재화 비용 500백만원을 포함하여 총 1,400백만원을 계획하였습니다. HiSU 초고속 자동화 플랫폼의 전용시약은 고도화된 자동화장비가 필수적입니다. 기존 투명한 96-well ELISA 플레이트 기반의 자동화장비 설계변경 및 HiSU 플랫폼을 위한 필수부품과 모듈 국산내재화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비용은 국책과제를 통해 HiSU 초고속자동화시스템과 소형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을 통해 비용을 산정하였습니다.
(2) 신규사업 추진
당사는 COVID-19 발생 이후 국내외 진단제품 판매를 통해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했습니다. 최근 COVID-19 엔데믹에 따라 진단제품 외 타 제품을 통해 신규매출을 창출하고자 하며, 주로 해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하기 진단장비와 관련 시약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신규사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신규사업 세부 자금사용 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신규장비 도입비용 | MACCURA | 75 | 75 | 75 | 75 | 75 | 50 | 50 | 50 | 50 | 575 |
KONSUNG | 250 | 250 | 2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1,950 | |
동물용 생화학장비 | 75 | 75 | 75 | 75 | 75 | 75 | 75 | 75 | 75 | 675 | |
소계 | 400 | 400 | 400 | 350 | 350 | 325 | 325 | 325 | 325 | 3,200 | |
신규진단시약 도입비용 | 시약(MACCURA) | 20 | 60 | 80 | 80 | 80 | 100 | 100 | 100 | 100 | 720 |
시약(KONSUNG) | 60 | 100 | 200 | 300 | 400 | 500 | 600 | 750 | 800 | 3,710 | |
시약(동물용 생화학장비) | 20 | 40 | 80 | 120 | 150 | 200 | 240 | 320 | 320 | 1,490 | |
소계 | 100 | 200 | 360 | 500 | 630 | 800 | 940 | 1,170 | 1,220 | 5,920 | |
합계 | 500 | 600 | 760 | 850 | 980 | 1,125 | 1,265 | 1,495 | 1,545 | 9,120 |
① MACCURA 장비 및 관련시약 등
MACCURA는 사람의 혈액을 통해 항원, 항체, 호르몬, 바이러스 등을 검출하여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 면역검사장비입니다. 중소형규모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빠른 처리속도와 사용자 편리성이 우수한 장비로 진단검사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ITEM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각급 병ㆍ의원에 렌탈방식으로 장비를 공급하고 관련 진단시약을 공급하는 형태로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i1000으로 중국 진단기기 전문업체 MACCURA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i1000은 2020년도에 판매개시되어 현재 중국 및 해외 3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i1000을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 하며, 2022년 10월 중 i1000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22-1702호). 2023년 5월 갑상선 기능 호르몬 검사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하였으며 2023년 9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3분기 중 당뇨질환 관련 검사시약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병ㆍ의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진단기기의 경우 별도의 유통기한은 없으나, 많은 수량을 일시에 수입하지 않고 독점공급계약에서 요구되는 최소수준의 재고를 도입하면서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주문수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진단시약의 경우에도 도입 초기 공급사와의 협의를 통해 최소 요구수량을 도입 후 진단기기의 누적판매수량 증가에 따라 시약의 수요증가가 확인되면 이에 따라 도입수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진단기기 및 진단시약의 구매수량 및 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i1000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575백만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720백만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최소도입수량과 목표하고 있는 국내 병ㆍ의원 기기도입수량을 감안하여 산정되었습니다.
한편, 제도의 변화로 각급 병ㆍ의원 자체에서 진단검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설치와 운용이 매우 쉽게 설계되어 있는 장비를 공급하면 시장에서 일정규모의 수요는 반드시 발생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장비는 렌탈형태로 부담없는 가격으로 공급할 것이며, 진단시약을 공급하는 것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될 것입니다. 진단시약은 각 병ㆍ의원의 사용 수요에 따라 공급량 및 매출액의 규모가 결정될 것이며, 장비 설치가 늘어나는 만큼 진단시약의 공급량 또한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KONSUNG 장비 및 관련시약 등
KONSUNG장비는 사람의 혈액을 통해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초간단 장비입니다. 당사는 이 장비를 전국의 한의원에 공급하고자 합니다. 최근 한의원에서 진단장비를 운용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설치와 운용이 매우 간단한 장비를 해외에서 도입하여 판매하고자 합니다. 이 장비는 혈액 한 방울로 간수치, 신장수치, 콜레스테롤 수치 등을 3분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판매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으며, 인허가 과정을 거쳐 빠르게 시장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Compass 2000-1로 중국 진단기기 전문업체 KONSUNG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Compass 2000-1은 이미 중국 및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미 등 27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하며 2023년 4월 기기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23-872호). 2023년 5월에는 임상 화학효소 검사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하였으며 2023년 9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3분기 중 기타 임상화학 검사시약 II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대한한의사협회와 함께 국내 한의원 및 한방병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compass 2000-1의 경우 대한한의사협회를 통한 사전조사를 통해 판매수요가 어느정도 확인된 기기인만큼 2025년말까지 전국 1만 5천여곳 한의원의 약 40%에 공급을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공급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Compass 2000-1의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1,950백만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3,710백만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2025년까지 목표하고 있는 시장점유율에 근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한편, 2000년대 이전까지 호황을 누려왔던 한의원이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한약의 원재료가 중금속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고객들의 불안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 장비는 한약을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간과 신장 등의 수치를 정확하게 진단해 주는 형태로 그러한 고객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장비는 매우 저렴하게 전국의 한의원에 공급될 것이며, 시약 판매를 통해 상당한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동물용 생화학장비 및 관련 시약 등
이 장비는 동물의 혈액에서 단백질, 전해질, 요소 등을 검사하여 다양한 질병 등을 진단하는 소형 생화학 장비입니다. 최근 반려동물 관련 시장의 규모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반려동물의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동물병원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당사는 이 장비를 전국의 동물병원에 공급하고자 합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Noahcali-100으로 중국에 소재한 진단기기 전문업체 LOCMEDT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Noahcali-100은 이미 중국 및 아시아, 유럽, 남미 등 3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하며 2023년 5월 기기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307-001호). 현재 면역화학 검사용 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 준비 중이며 2023년 10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4분기까지 보유한 나머지 면역화학 검사시약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국내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Noahcali-100의 경우 2025년까지 국내 동물병원의 24%에 해당하는 1,180여 곳에의 설치를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공급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Noahcali-100의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675백만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1,490백만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2025년까지 목표하고 있는 시장점유율에 근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타 장비와 마찬가지로 본 장비 마찬가지로, 장비와 진단시약을 해외에서 도입하여 장비는 전국의 동물병원에 렌탈형태로 공급하고 진단시약을 판매하는 형태로 매출을 발생시키고자 합니다. 장비가 공급되는 정도에 따라 진단시약의 판매량이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일반운영자금
[일반운영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자금용도 | 자금용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국내 영업/마케팅 | 영업팀 운영비 | 69 | 69 | 69 | 69 | 69 | 69 | 69 | 69 | 69 | 621 |
홍보/마케팅비 | 80 | 89 | 89 | 48 | 32 | 32 | 28 | 28 | 24 | 450 | |
광고선전비 | 48 | 48 | 48 | 38 | 38 | 38 | 25 | 25 | 25 | 333 | |
전시회참가비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180 | |
소계 | 217 | 226 | 226 | 175 | 159 | 159 | 142 | 142 | 138 | 1,584 | |
해외 영업/마케팅 | 학회 및 전시회참가비 | -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320 |
영업팀 해외출장비 | 20 | 20 | 20 | 20 | 20 | 10 | 10 | 10 | 10 | 140 | |
소계 | 20 | 60 | 60 | 60 | 60 | 50 | 50 | 50 | 50 | 460 | |
합계 | 237 | 286 | 286 | 235 | 219 | 209 | 192 | 192 | 188 | 2,044 |
① 국내 영업/마케팅
2024년부터 신규도입 예정인 3종 기기(i1000, Compass2000-1, Noahcali-100)의 국내판매를 위해 영업팀을 꾸려서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총 3명 가량의 영업인원을 운영하고자하며, 해당 인원에 대한 인건비 및 차량운행비와 리스료 등에 월 23백만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외 판촉물 제작비 등을 고려하여 분기별 영업팀 운영비로 69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한편, 병의원 등에 새로운 장비를 런칭하기 위해서는 홍보/마케팅비의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당사가 도입하고자하는 진단기기는 목표로하는 시장이 일반 병의원, 한의원, 동물병원으로 각각 다르며, i1000장비의 경우 전국 수천여곳의 중소병의원을 대상으로, Compass의 경우 전국 1만 5천여곳의 한의원을 대상으로, Noahcali-100은 약 5천여 곳의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도입 초기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고객 증가 및 인지도 상승에 따라마케팅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신규로 도입하는 장비는 각 분야의 전문 매체(전문지,전문잡지)와 각 협회의 홈페이지 등에 지속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계획입니다. 홈페이지 등의 광고료는 협회마다 소폭의 차이가 있으나 평균되는 기준으로 추정 시 홈페이지 상단 소형으로 진행할 경우 건당 월별 약 4백만원이며, 도입예정인 신규장비 3종에 대해 분기별 12백만원의 예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전문지 또는 전문잡지 등에 게재되는 광고료는 매체마다 차이가 있으나 통상기준되는 금액을 기준으로 추정 시 2단광고 기준 1회 약 250만원으로,신규장비 3종에 대해 분기 2~5회 광고 진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도입초기 집중적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인지도 상승에 따라 점차 광고 횟수는 줄여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와 같은 중소 의료기기 업체에게 학회 및 전시회는 매우 강력한 홍보 마케팅 기회이므로 신규진단기기 도입에도 이를 적극 활용하고자 합니다. 최근 수 년 동안의 경험으로 미루어볼 때 당사는 7~8회 이상의 국내 학회 및 전시회에 참여해왔으며, 기본참가비와 출장비 등 평균적으로 회당 1천만원 가량의 경비가 소요되었습니다. 신규기기의 마케팅 목적에서 학회 및 전시회를 꾸준히 활용하고자하며, 이를 위한 자금으로 분기별 20백만원, 2025년 4분기까지 총 180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② 해외 영업/마케팅
당사는 HiSU 및 PCLOK II 등 진단기기의 매출처 확보를 위해 해외 진단 관련 학회 또는 바이오 및 의료기기 전시회 참가를 통해 회사의 기술력과 제품을 소개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최근 수 년 동안 매년 4~6회 이상의 해외 학회 및 전시회에 적극 참가해 왔으며, 해외 학회 및 전시회의 경우 수천만원의 기본 참가비와 함께 전문 직원 4~5명의 출장비용 소요에 따라 건별로 상이하나 평균 회당 참가비용은 80백만원입니다. 향후 연 2회 이상 학회참여를 고려하여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또한 해외 신규 거래처 확보를 위해 해외 현지 마케팅 인력의 활용 등을 계획하고 있으며,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마케팅 자료 제작비용 지출 등이 예상됩니다. 최소필요금액으로 분기별 20백만원을 산정하였으며, 2025년 이후 계획에는 2024년 해외영업환경 등을 반영할 예정임에 따라 분기별 10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2) 채무상환자금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공모자금 중 80억원을 아래의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상환대상 차입금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종류 | 차입처 | 이자율 | 총 대출액 | 차입일 | 만기일 | 상환시점 | 상환액 |
---|---|---|---|---|---|---|---|---|
단기차입금 | 일반자금대출 | 산업은행 | 8.31% | 6,800 | 2023.06.29 | 2024.06.29 | 2023년 4분기 | 4,000 |
장기차입금 | 특수관계인 차입금 | 관계회사 | 8.00% | 4,000 | 2023.03.17 | 2024.06.17 | 2023년 4분기 | 4,000 |
합계 | - | 10,800 | - | - | - | 8,000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40억원을 산업은행으로부터의 단기차입금상환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2023년 1분기말 현재 산업은행으로부터 80억원의 단기차입금을 차입하고 있습니다. 해당 차입금은 2023년 6월 29일 만기가 도래하였으며, 보유자금을 활용하여 12억원을 상환하고 잔여 68억원에 대해서는 제공된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만기를 연장하였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으로 40억원을 추가로 상환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을 사용하여 2023년 반기말 현재 관계회사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차입금 40억원을 전액 상환하고자합니다. 2023년 3월 제2회 및 제3회차 전환사채의 조기상환청구에 따라 상환대금의 마련이 필요했으며,이에 관계회사인 엠큐렉스(주)로부터 40억원을 긴급하게 조달하였습니다. 한편, 엠큐렉스는 mRNA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아직은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위해 운영자금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사는 관계회사로부터의 차입금 40억원을 상환하고자합니다.
다. 자금의 운용계획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조달로부터 사용시까지 미사용 자금에 대해서는 자금 사용시점 및 금리에 따라 적격금융기관의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금융상품 또는 AA등급대(A1등급대)이상의 단기금융상품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신주인수권증서 발행내역
(단위 : 주) |
청구일 | 발행시기 | 청구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 | 2023년 08월 10일 | 국민은행 | 명의개서대리인 | 5,193,172 |
계 | 5,193,172 |
신주인수권증서에 의한 청약내역
(단위 : 주) |
청약일 | 청약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2023년 09월 05일 | 한국예탁결제원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 | 4,716,146 |
2023년 09월 05일 | 한국예탁결제원 (초과청약) | - | 816,029 |
계 | 5,532,175 |
주) 상기 청약일은 구주주 청약일의 종료일입니다(구주주 청약기간 : 2023년 09월 04일 ~ 2023년 09월 05일).
1.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단위 : 주) |
구분 | 주식 수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 477,026 |
구주주 배정 단수주 | 6,828 |
실권주 및 단수주 총계 | 483,854 |
주) 구주주 배정 단수주 : 모집 주식 수 5,200,000주 중 구주주들에게 배정되어 발행된 신주인수권증서 수량 5,193,172주를 차감한 수량입니다.
2.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처리 내역
(단위 : 주) |
구분 | 주식 수 | 비고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 483,854 | |
초과청약 주식 수 | 816,029 | |
초과청약 배정 주식 수 | 481,148 | 초과청약 배정비율 : 0.5929372608 |
초과청약 배정 후 단수주 | 2,706 | 대표주관회사가 인수 |
주) 초과청약 배정 후 단수주 2,706주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2항 제7호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인 교보증권(주)가 인수하였습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12000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