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2023-07-13 14:00: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13000122
금융위원회 귀중 | 2023년 07월 13일 |
회 사 명 : | 피씨엘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김 소 연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가산동, 스타밸리) 701호 |
(전 화) 02-2144-3901 | |
(홈페이지) http://www.pclchip.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 무 (성 명) 장 지 운 |
(전 화) 02-2144-3901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5월 30일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2023년 05월 30일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초제출 |
2023년 06월 27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정정신고서 제출요구에 따른 정정(파란색) |
2023년 07월 13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초록색) |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5,2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23,114,000,000원
4. 정정사유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5. 정정사항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요약정보는 본문의 정정사항을 반영하였으며, 정오표를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단순 오타인 경우 정오표를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
공통정정사항 | 모집 또는 매출 총액: 36,036,000,000원 모집(매출)가액: 6,930원 | 모집 또는 매출 총액: 23,114,000,000원 모집(매출)가액: 4,445원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1. 공모개요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
나.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 (주3) 정정 전 | (주3) 정정 후 |
다. 현금유동성 관련 위험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V. 자금의 사용목적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주1) 정정 전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기명식 보통주 | 5,200,000 | 500 | 6,930 | 36,036,0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주1)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5월 30일 |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발행가액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18조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시 가격산정절차 폐지 및 가격산정의 자율화에 따라 발행가액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모집예정가액의 산출근거
본 증권신고서의 예정 모집가액은 이사회 결의일 직전 거래일(2023년 05월 26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할인율 적용에 따른 모집가액이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단위 미만은 절상)
※ 모집예정가액 = [기준주가 * (1- 할인율) ] / [ 1 +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예정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구주주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 예정발행가액 산정표] | |
기산일 : 2023년 05월 26일 | (단위 : 원, 주) |
일자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2023/05/26 | 10,160 | 26,103 | 267,126,540 |
2023/05/25 | 10,390 | 50,091 | 522,271,580 |
2023/05/24 | 10,600 | 639,478 | 7,355,692,590 |
2023/05/23 | 9,660 | 10,020 | 99,305,770 |
2023/05/22 | 9,960 | 5,297 | 52,563,240 |
2023/05/19 | 9,860 | 7,692 | 75,189,250 |
2023/05/18 | 9,830 | 3,797 | 37,432,190 |
2023/05/17 | 9,830 | 4,530 | 44,502,730 |
2023/05/16 | 9,830 | 9,044 | 86,633,480 |
2023/05/15 | 9,600 | 19,700 | 191,399,380 |
2023/05/12 | 9,980 | 6,566 | 65,507,420 |
2023/05/11 | 10,030 | 11,372 | 113,749,890 |
2023/05/10 | 10,020 | 5,717 | 57,053,430 |
2023/05/09 | 10,000 | 18,399 | 182,616,540 |
2023/05/08 | 9,960 | 8,710 | 87,037,050 |
2023/05/04 | 10,000 | 12,602 | 125,965,210 |
2023/05/03 | 10,050 | 11,623 | 116,769,230 |
2023/05/02 | 10,280 | 15,972 | 163,990,940 |
2023/04/28 | 10,100 | 15,577 | 156,009,730 |
2023/04/27 | 10,000 | 37,852 | 378,006,840 |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 11,062원 | - |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 11,350원 | - | |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C) | 10,234원 | - | |
(A), (B), (C)의 산술평균 (D) | 10,882원 | (A+B+C) / 3 | |
기준주가 (E) | 10,234원 | (C와 D중 낮은가액) | |
할인율 (F) | 25% | - | |
증자비율 (G) | 43.42% | - | |
예정발행가액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함) | 6,930원 | 기준주가 × (1-할인율) /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주1) 정정 후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기명식 보통주 | 5,200,000 | 500 | 4,445 | 23,114,0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주1)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5월 30일 |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한 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발행가액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18조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시 가격산정절차 폐지 및 가격산정의 자율화에 따라 발행가액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의 산출근거
본 증권신고서의 1차 발행가액은 신주배정기준일(2023년 07월 17일) 전 3거래일(2023년 07월 12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 아래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할인율 적용에 따른 모집가액이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단위 미만은 절상)
※ 1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 (1- 할인율) ] / [ 1 +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1차 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구주주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 산정표] | |
기산일 : 2023년 07월 12일 | (단위 : 원, 주) |
일자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2023/07/12 | 6,520 | 9,342 | 61,337,410 |
2023/07/11 | 6,660 | 17,219 | 113,752,900 |
2023/07/10 | 6,670 | 11,937 | 78,149,580 |
2023/07/07 | 6,550 | 23,095 | 150,018,130 |
2023/07/06 | 6,640 | 27,681 | 183,349,510 |
2023/07/05 | 6,690 | 70,261 | 476,367,520 |
2023/07/04 | 6,970 | 37,766 | 265,757,900 |
2023/07/03 | 7,280 | 14,633 | 106,179,100 |
2023/06/30 | 7,150 | 12,918 | 92,394,080 |
2023/06/29 | 7,140 | 25,251 | 180,626,260 |
2023/06/28 | 7,370 | 8,610 | 63,166,030 |
2023/06/27 | 7,390 | 9,261 | 68,138,340 |
2023/06/26 | 7,400 | 29,933 | 224,439,510 |
2023/06/23 | 7,580 | 7,530 | 57,163,600 |
2023/06/22 | 7,580 | 7,460 | 56,701,540 |
2023/06/21 | 7,580 | 8,321 | 63,708,900 |
2023/06/20 | 7,780 | 24,221 | 187,047,460 |
2023/06/19 | 7,860 | 20,629 | 162,235,850 |
2023/06/16 | 7,660 | 22,561 | 171,863,280 |
2023/06/15 | 7,410 | 33,426 | 252,844,830 |
2023/06/14 | 7,750 | 57,923 | 453,814,030 |
2023/06/13 | 8,010 | 22,687 | 184,387,080 |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 7,268 | - |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 6,571 | - | |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C) | 6,566 | - | |
(A), (B), (C)의 산술평균 (D) | 6,802 | (A+B+C) / 3 | |
기준주가 (E) | 6,566 | (C와 D중 낮은가액) | |
할인율 (F) | 25% | - | |
증자비율 (G) | 43.42% | - | |
1차 발행가액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함) | 4,445 | 기준주가 × (1-할인율) /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주2) 정정 전
(단위 : 주, 원) |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5,200,000 | ||||||||||||||||||||||||||||||||
주당 모집가액 | 예정가액 | 6,930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36,036,000,000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신주인수권증서 보유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1주 미만은 절사)와 초과청약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 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를 합한 주식수입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청약기일 | 구주주 (신주인수권증서보유자) | 개시일 | 2023년 09월 04일 | ||||||||||||||||||||||||||||||
종료일 | 2023년 09월 05일 | ||||||||||||||||||||||||||||||||
실권주 일반공모 | 개시일 | 2023년 09월 07일 | |||||||||||||||||||||||||||||||
종료일 | 2023년 09월 08일 |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
초과청약 | 청약금액의 100% |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
납입기일 | 2023년 09월 12일 |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3년 01월 01일 |
(주2) 정정 후
(단위 : 주, 원) |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5,200,000 | ||||||||||||||||||||||||||||||||
주당 모집가액 | 예정가액 | 4,445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23,114,000,000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신주인수권증서 보유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1주 미만은 절사)와 초과청약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 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를 합한 주식수입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청약기일 | 구주주 (신주인수권증서보유자) | 개시일 | 2023년 09월 04일 | ||||||||||||||||||||||||||||||
종료일 | 2023년 09월 05일 | ||||||||||||||||||||||||||||||||
실권주 일반공모 | 개시일 | 2023년 09월 07일 | |||||||||||||||||||||||||||||||
종료일 | 2023년 09월 08일 |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
초과청약 | 청약금액의 100% |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
납입기일 | 2023년 09월 12일 |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3년 01월 01일 |
(주3) 정정 전
당사는 2023년 1분기말 현재 산업은행과 하나은행으로부터 각각 80억원과 30억원의 단기차입금이 존재하며 만기일자는 각각 2023년 6월 29일과 2023년 5월 17일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하나은행의 단기차입금 30억원은 만기가 2024년 5월 16일로 연장되었으며, 산업은행 단기차입금의 경우 만기도래 시 일부(12억원) 상환 후 제공되어있는 담보자산의 담보력을 바탕으로 68억원에 대해 만기를 연장할 예정입니다. 이후 본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으로 60억원을 추가로 상환할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3년 1분기 이후, 금번 공모를 통한 자금조달 전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나은행으로부터 48억원의 단기차입금을 추가로 조달하였습니다
2023년 1분기말 현재 당사는 우리은행과 특수관계자 등으로부터 총 127억원의 유동성 장기차입금 및 장기차입금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공모자금을 활용하여 관계회사인 엠큐렉스에 대한 차입금 40억원을 상환하고자합니다.
또한, 2023년 3분기 중 당사 보유자금을 활용하여 관계회사 임원으로부터의 차입금 39억원 중 10억원을 상환 할 계획입니다.
한편, 2023년 3월 말 현재 미상환 전환사채 잔액 20억원은 당사보유자금을 활용하여 2023년 06월 19일에 전액 상환되었습니다.
1)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당사의 장단기차입금 세부현황 및 당기 중 상환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차입금 현황 및 상환계획] | |
[연결 기준] | (단위: 백만원) |
구분 | 차입처 | 내 역 | 만기일 | 연이자율 |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 당기 중 상환 (예정) | 2023년 말 (예상) | 비고 |
단기차입금 | 산업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3.06.29 | 7.18% | 8,000 | 7,200 | 800 | (주1,5) |
단기차입금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6 | 3.97% | 3,000 | - | 3,000 | (주2,6) |
단기차입금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0 | 5.07% | 2,400 | - | 2,400 | (주3,7) |
단기차입금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2 | 6.07% | 2,400 | - | 2,400 | (주3,7) |
유동성차입금 | 우리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2.15 | 2.15% | 1,295 | - | 1,295 | (주1) |
장기차입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대출 | 2029.06.29 | 4.64% | 3,500 | - | 3,500 | (주1,5) |
장기차입금 | 관계회사 임원 | - | 2024.06.14 | 10.00% | 3,900 | 1,000 | 2,900 | - |
장기차입금 | 엠큐렉스 | - | 2024.06.17 | 8.00% | 4,000 | 4,000 | - | - |
합 계 | 28,495 | 12,200 | 16,295 | - |
출처: 당사 제시 |
(주1) 해당 차입금에 대해 당사의 유형자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주2)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만기가 연장되었으며 연장 후 만기는 2024년 5월 16일입니다. |
(주3) 2023년 1분기 말 이후 금번 유상증자 전 유동성 확보를 위해 차입하였습니다. |
(주4) 2023년말 금액은 증권신고서제출일 전일 현재 차입금에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상환계획만을 반영한 것입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상황에 따라 추가차입이 발생할 경우 2023년말 예상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5) 대표이사의 연대보증이 제공되어 있습니다. |
(주6)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
(주7) 대표이사 소유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2)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미상환 전환사채 현황 및 당기 중 상환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미상환 전환사채 현황] | |
[연결 기준] | (단위 : 백만원, 주) |
구분 | 발행일 | 만기일 | 전환가액 | 발행금액 | 최초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 조기상환 (2023.06.19) | 잔액 (2023년 6월말) |
제2회 전환사채 | 2021.03.19 | 2026.03.19 | 24,350 | 27,500 | 2,000 | 2,000 | - |
출처 : 당사 제시 |
주1) 상기 미상환사채 20억원은 2023년 06월 19일에 상환이 완료되었습니다. |
주2) 상기 전환사채와 관련하여 2023년 1분기말 현재 연결재무제표상 전환사채 873백만원(전환권조정 1,127백만원 반영)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2023년 1분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금번 유상증자 및 1분기 이후 추가차입금과 상기 계획에 따른 차입금 및 전환사채 상환만을 고려했을 때, 당사의 재무안정성 비율은 유동비율 319.78%, 부채비율 41.59%, 당좌비율 190.51%, 차입금의존도 18.79%로 개선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및 차입금 상환 후 재무비율 시뮬레이션] | |
[연결 기준]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3년 1분기 말 | 2023년 1분기 이후 추가차입 | 유상증자 공모 | 전환사채 및 차입금 상환 | 유상증자 및 차입금 등 상환 후 |
자산총계 | 58,980 | 4,800 | 36,036 | (13,073) | 86,743 |
유동자산 | 29,765 | 4,800 | 36,036 | (13,073) | 57,528 |
비유동자산 | 29,215 | - | - | - | 29,215 |
부채총계 | 33,751 | 4,800 | - | (13,073) | 25,478 |
유동부채 | 21,263 | 4,800 | - | (8,073) | 17,990 |
비유동부채 | 12,488 | - | - | (5,000) | 7,488 |
자본총계 | 25,229 | - | 36,036 | - | 61,265 |
유동비율 | 139.98% | - | - | - | 319.78% |
부채비율 | 133.78% | - | - | - | 41.59% |
당좌비율 | 53.19% | - | - | - | 190.51% |
차입금의존도 | 41.65% | - | - | - | 18.79% |
총 차입금 | 24,568 | 4,800 | - | (13,073) | 16,295 |
단기차입금 | 12,295 | 4,800 | - | (7,200) | 9,895 |
전환사채 | 873 | - | - | (873) | - |
장기차입금 | 11,400 | - | - | (5,000) | 6,400 |
출처: 당사 제시 |
(주3) 정정 후
당사는 2023년 1분기말 현재 산업은행과 하나은행으로부터 각각 80억원과 30억원의 단기차입금이 존재하며 만기일자는 각각 2023년 6월 29일과 2023년 5월 17일입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하나은행의 단기차입금 30억원은 만기가 2024년 5월 16일로 연장되었으며, 산업은행 단기차입금의 경우 일부(12억원) 상환 후 제공되어있는 담보자산의 담보력을 바탕으로 68억원에 대해 만기를 연장하였습니다. 당사는 본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으로 40억원을 추가로 상환할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3년 1분기 이후, 금번 공모를 통한 자금조달 전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나은행으로부터 48억원의 단기차입금을 추가로 조달하였습니다
2023년 1분기말 현재 당사는 우리은행과 특수관계자 등으로부터 총 127억원의 유동성 장기차입금 및 장기차입금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공모자금을 활용하여 관계회사인 엠큐렉스에 대한 차입금 40억원을 상환하고자합니다.
또한, 2023년 3분기 중 당사 보유자금을 활용하여 관계회사 임원으로부터의 차입금 39억원 중 10억원을 상환 할 계획입니다.
한편, 2023년 3월 말 현재 미상환 전환사채 잔액 20억원은 당사보유자금을 활용하여 2023년 06월 19일에 전액 상환되었습니다.
1)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당사의 장단기차입금 세부현황 및 당기 중 상환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차입금 현황 및 상환계획] | |
[연결 기준] | (단위: 백만원) |
구분 | 차입처 | 내 역 | 만기일 | 연이자율 |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 당기 중 상환 (예정) | 2023년 말 (예상) | 비고 |
단기차입금 | 산업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6.29 | 8.31% | 8,000 | 5,200 | 2,800 | (주1,5) |
단기차입금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6 | 3.97% | 3,000 | - | 3,000 | (주2,6) |
단기차입금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0 | 5.07% | 2,400 | - | 2,400 | (주3,7) |
단기차입금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2 | 6.07% | 2,400 | - | 2,400 | (주3,7) |
유동성차입금 | 우리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2.15 | 2.15% | 1,295 | - | 1,295 | (주1) |
장기차입금 | 산업은행 | 시설자금대출 | 2029.06.29 | 4.64% | 3,500 | - | 3,500 | (주1,5) |
장기차입금 | 관계회사 임원 | - | 2024.06.14 | 10.00% | 3,900 | 1,000 | 2,900 | - |
장기차입금 | 엠큐렉스 | - | 2024.06.17 | 8.00% | 4,000 | 4,000 | - | - |
합 계 | 28,495 | 10,200 | 18,295 | - |
출처: 당사 제시 |
(주1) 해당 차입금에 대해 당사의 유형자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주2)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만기가 연장되었으며 연장 후 만기는 2024년 5월 16일입니다. |
(주3) 2023년 1분기 말 이후 금번 유상증자 전 유동성 확보를 위해 차입하였습니다. |
(주4) 2023년말 금액은 증권신고서제출일 전일 현재 차입금에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상환계획만을 반영한 것입니다. 향후 예상치 못한 상황에 따라 추가차입이 발생할 경우 2023년말 예상금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5) 대표이사의 연대보증이 제공되어 있습니다. |
(주6)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
(주7) 대표이사 소유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중략)
2023년 1분기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금번 유상증자 및 1분기 이후 추가차입금과 상기 계획에 따른 차입금 및 전환사채 상환만을 고려했을 때, 당사의 재무안정성 비율은 유동비율 297.79%, 부채비율 44.85%, 당좌비율 205.46%, 차입금의존도 20.62%로 개선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및 차입금 상환 후 재무비율 시뮬레이션] | |
[연결 기준]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3년 1분기 말 | 2023년 1분기 이후 추가차입 | 유상증자 공모 | 전환사채 및 차입금 상환 | 유상증자 및 차입금 등 상환 후 |
자산총계 | 58,980 | 4,800 | 36,036 | (11,073) | 88,743 |
유동자산 | 29,765 | 4,800 | 36,036 | (11,073) | 59,528 |
비유동자산 | 29,215 | - | - | - | 29,215 |
부채총계 | 33,751 | 4,800 | - | (11,073) | 27,478 |
유동부채 | 21,263 | 4,800 | - | (6,073) | 19,990 |
비유동부채 | 12,488 | - | - | (5,000) | 7,488 |
자본총계 | 25,229 | - | 36,036 | - | 61,265 |
유동비율 | 139.98% | - | - | - | 297.79% |
부채비율 | 133.78% | - | - | - | 44.85% |
당좌비율 | 53.19% | - | - | - | 205.46% |
차입금의존도 | 41.65% | - | - | - | 20.62% |
총 차입금 | 24,568 | 4,800 | - | (11,073) | 18,295 |
단기차입금 | 12,295 | 4,800 | - | (5,200) | 11,895 |
전환사채 | 873 | - | - | (873) | - |
장기차입금 | 11,400 | - | - | (5,000) | 6,400 |
출처: 당사 제시 |
(주4) 정정 전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잔여 전환사채 2,000백만원에 대해 조기상환청구가 모두 이루어졌으며 2023년 6월 19일 모두 상환이 완료되었습니다. 한편, 2023년 1분기말 현재 단기차입금 중 2023년 5월에 만기가 도래하는 하나은행 차입금 3,000백만원은 2024년 5월 16일로 만기가 연장되었으며, 산업은행에 대한 차입금 8,000백만원은 2023년 6월 29일 만기도래시 1,200백만원을 상환 후 제공된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6,800백만원에 대해 만기를 연장하고,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공모자금으로 6,000백만원을 상환할 계획입니다. 우리은행 차입금의 경우 2024년 2월 만기도래시 일시 상환 예정입니다. 다만, 영업활동의 부진에 따라 현금 유입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제공된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만기를 연장할 계획입니다. 또한 장기차입금인 관계회사 임원으로부터의 차입금 중 1,000백만원을 금번 공모 전 보유자금을 사용하여 상환할 계획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3년 1분기 이후, 금번 공모를 통한 자금조달 전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나은행으로부터 4,800백만원의 단기차입금을 추가로 조달하였습니다. 만기는 2024년 5월 중 도래 예정이며, 만기도래시 일시상환 예정입니다. 해당 차입금에는 대표이사 소유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차입금 상세내역] | |
[연결 기준] | (단위: 천원) |
차입처 | 내 역 | 만기일 | 연이자율 | 당분기말 | 비고 |
---|---|---|---|---|---|
산업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3.06.29 | 7.18% | 8,000,000 | (*1,5)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6 | 3.97% | 3,000,000 | (*6) |
우리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2.15 | 2.15% | 1,295,000 | (*1,2)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0 | 5.07% | 2,400,000 | (*3,4)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2 | 6.07% | 2,400,000 | (*3,4) |
합계 | 17,095,000 |
출처 : 당사 제시 | |
(*1) | 상기 차입금에 대하여 연결실체의 유형자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2) | 해당 차입금은 당분기 중 단기차입금으로 유동성 분류되었습니다.. |
(*3) | 2023년 1분기말 이후 유동성확보를 위해 추가차입하였습니다. |
(*4) | 대표이사 소유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5) | 대표이사의 연대보증이 제공되어 있습니다. |
(*6) |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
(주4) 정정 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잔여 전환사채 2,000백만원에 대해 조기상환청구가 모두 이루어졌으며 2023년 6월 19일 모두 상환이 완료되었습니다. 한편, 2023년 1분기말 현재 단기차입금 중 2023년 5월에 만기가 도래하는 하나은행 차입금 3,000백만원은 2024년 5월 16일로 만기가 연장되었으며, 산업은행에 대한 차입금 8,000백만원은 2023년 6월 29일 만기가 도래하여 1,200백만원을 상환 후 제공된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6,800백만원에 대해 만기를 연장하였습니다. 이후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공모자금으로 4,000백만원을 상환할 계획입니다. 우리은행 차입금의 경우 2024년 2월 만기도래시 일시 상환 예정입니다. 다만, 영업활동의 부진에 따라 현금 유입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제공된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만기를 연장할 계획입니다. 또한 장기차입금인 관계회사 임원으로부터의 차입금 중 1,000백만원을 금번 공모 전 보유자금을 사용하여 상환할 계획입니다.
한편, 당사는 2023년 1분기 이후, 금번 공모를 통한 자금조달 전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나은행으로부터 4,800백만원의 단기차입금을 추가로 조달하였습니다. 만기는 2024년 5월 중 도래 예정이며, 만기도래시 일시상환 예정입니다. 해당 차입금에는 대표이사 소유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현재 단기차입금 및 유동성차입금 상세내역] | |
[연결 기준] | (단위: 천원) |
차입처 | 내 역 | 만기일 | 연이자율 | 당분기말 | 비고 |
---|---|---|---|---|---|
산업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6.29 | 8.31% | 6,800,000 | (*1,5)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6 | 3.97% | 3,000,000 | (*6) |
우리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2.15 | 2.15% | 1,295,000 | (*1,2)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0 | 5.07% | 2,400,000 | (*3,4) |
하나은행 | 일반자금대출 | 2024.05.12 | 6.07% | 2,400,000 | (*3,4) |
합계 | 17,095,000 |
출처 : 당사 제시 | |
(*1) | 상기 차입금에 대하여 연결실체의 유형자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2) | 해당 차입금은 당분기 중 단기차입금으로 유동성 분류되었습니다.. |
(*3) | 2023년 1분기말 이후 유동성확보를 위해 추가차입하였습니다. |
(*4) | 대표이사 소유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5) | 대표이사의 연대보증이 제공되어 있습니다. |
(*6) |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
(주5)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36,036,000,000 |
발행제비용(2) | 665,616,480 |
순 수 입 금 [ (1)-(2) ] | 35,370,383,520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지급일자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6,486,480 | 신고서제출일 | 모집총액의 0.018% (10원 미만 절사) |
인수수수료 | 540,540,000 | 납입일로부터 | 모집총액의 1.5% |
추가상장수수료 | 6,110,000 | 신주상장일 | 590만원+5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7만원 (코스닥 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 14) |
등록세 | 10,400,000 | 등기일 | 증자 자본금의 0.4% |
지방교육세 | 2,080,000 | 등기일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100,000,000 | - | 구주주청약서, 투자설명서 인쇄 및 발송비 등 |
합 계 | 665,616,480 | - | -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자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공모자금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3년 05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26,036 | 10,000 | - | - | 36,036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부족자금은 회사의 내부자금 및 금융권 차입 등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나.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신제품개발 및 신규사업 추진 등을 위한 운영자금과 차입금 상환 등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만약 금번 유상증자의 공모 금액이 당초 계획한 금액에 미달할 경우, 당사는 아래에 표기한 자금사용계획 우선순위에 따라 집행 시기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조정할 예정이며, 부족분 및 발행제비용은 당사의 자체자금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 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상증자 공모자금 사용목적 및 우선순위]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자금용도 | 상 세 | 사용(예정)시기 | 금액 | 우선순위 |
---|---|---|---|---|---|
운영 자금 | 신제품개발 (R&D) | 스마트 POCT 개발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1,000 | 1 |
진단시약개발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4,000 | 1 | ||
신규사업 추진 | 신규장비 도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5,000 | 2 | |
신규진단시약 도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10,000 | 2 | ||
일반운영자금 | 국내 및 해외 영업/마케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6,036 | 3 |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 상환 | 엠큐렉스 차입금 상환 | 2023년 4분기 | 4,000 | 4 |
차입금 상환 | 산업은행 차입금 상환 | 2023년 4분기 | 6,000 | 4 | |
합 계 | 36,036 | -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이며,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공모자금 사용시기는 유상증자 일정 및 실제 운영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3) 부족자금은 회사의 내부자금 및 금융권 차입 등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1) 운영자금
(1) 신제품 개발(R&D)
[신제품 개발(R&D) 세부 자금사용 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스마트 POCT 개발 | PCLOK III | 100 | 50 | 50 | 50 | 50 | 50 | - | - | - | 350 |
검체 전처리장비 | 200 | 100 | 100 | 10 | 20 | 110 | 110 | - | - | 650 | |
소계 | 300 | 150 | 150 | 60 | 70 | 160 | 110 | - | - | 1,000 | |
진단시약개발 | PCLOK III | 600 | 400 | 400 | 300 | 300 | 250 | 150 | 150 | 50 | 2,600 |
HiSU | 400 | 250 | 200 | 150 | 150 | 100 | 50 | 50 | 50 | 1,400 | |
소계 | 1,000 | 650 | 600 | 450 | 450 | 350 | 200 | 200 | 100 | 4,000 | |
합계 | 1,300 | 800 | 750 | 510 | 520 | 510 | 310 | 200 | 100 | 5,000 |
① 스마트 POCT 개발
[스마트 POCT 개발자금 세부 산정근거]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구분 | 산정근거 | 합계 |
스마트 POCT 개발 | PCLOK III | 하드웨어 설계 제어용 펌웨어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연동 시험), TOUCH LCD 프로그램 (GUI 디자인, 구현, 프로그램 개발) Bar Code 및 프린터 연동 기구 설계 및 시스템 조립/평가 시제품 조립 및 평가 디자인 및 기구물 가공 | 350 |
검체 전처리장비 | X/Y/Z 센서 보드 (하드웨어 설계, PCB artwork, PCB SMT 및 부품, 보드 구동 프로그램 개발) 제어용 펌웨어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시스템 연동 시험) TOUCH LCD 프로그램 (GUI 디자인, UI 구현, 프로그램 개발) Bar Code 및 프린터 연동 (Bar Code 연동, 프린터 연동) 기구설계 및 시스템 조립/평가 (모델링, 기구설계, 기구부품 구매, 시제품 조립 및 평가 제품 디자인, 기구물 가공 | 650 |
POCT(Point of care testing) 기기는 중소형병원에서 신속 정확하게 진단 가능한 현장신속진단기기로 혈액 또는 호흡기 스왑 검체에 대한 다중진단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당사는 이미 PCLOK II를 개발하여 각급 병ㆍ의원을 대상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향후 소형진단기기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사용성 및 스마트 기능을 개선한 POLOK III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하드웨어 설계 및 관련 프로그램과 펌웨어의 개발, 시제품 생산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세부자금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총 350백만원이 개발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CLOK III 개발에는 장비개발팀 인원 2명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해당 인력에 대한 인건비로 연구개발기간(1.5년 계획)동안 약 221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과거 2019년 PCLOK II 개발당시 설계 및 디자인에 38백만원, 소프트웨어 개발에 14백만원, 시제품 구체설계 및 조립, 평가 등에 37백만원, GUI디자인에 10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팬더믹 이후 물가상승에 따른 기기제조비용 상승률(30%)을 감안하여 인건비를 제외한 개발비로 129백만원을 산정하였으며 PCLOK III 개발을 위해 총 350백만원을 사용하고자합니다.
검체전처리 장비의 경우 원심분리부터 검체 용기의 뚜겅을 여는 모든 과정을 자동화해주는 장비입니다. 규모가 작은 검사실에서는 임상병리사를 충분하게 채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검체전처리 장비를 도입하여 중소형 병의원에서의 기기 활용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검체전처리 장비 개발에는 센서보드를 포함한 하드웨어의 설계 및 관련 펌웨어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총 65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검체전처리장비 개발에는 당사 장비개발팀 인원 2명 및 장비협력사인 협심의 개발인력 등을 포함하여 총 4명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해당 인력에 대한 인건비로 연구개발기간(1.75년)동안 약 457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검체전처리장비의 경우 PCLOK III와 달리 과거 개발한 적이 없는 신규 장비이므로 센서보드 및 회로기판 등 하드웨어의 최초설계 및 디자인이 필요하며 소프트웨어 또한 신규개발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검체전처리 장비 개발에 소요되는 자금규모는 PCLOK III 보다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발 초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 단계에서 이전모델이 존재하는 PCLOK III보다 최소 1.5배 이상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설계 이후 시제품을 구체 설계하고 조립 및 평가과정에서 외주가공업체와 당사 간 보다 많은 피드백 및 보완과정이 요구됨에 따라 시제품 생산 완료까지 PCLOK III보다 1.5배 이상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같이 검체전처리 장비 개발을 위한 자금 650백만원은 PCLOK II 개발 경험에 신규장비라는 점을 감안하여 산정되었습니다.
② 진단시약 개발
당사는 혈액진단기기 PCLOK II를 개발완료 및 판매 중에 있습니다. 한편, 진단기기 사용을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진단시약 사용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PCLOK II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진단시약을 개발하여 잠재 시장을 넓히고자 합니다. 지속적인 시장확대가 예상되는 동물진단시약을 비롯 알츠하이머 등 진단시약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형진단장비인 HiSU에 대해 해외국가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열대질병 관련 진단시약 등을 추가로 개발하여 사용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원재료비 및 소모품비와 개발 후 임상 및 승인절차에 필요한 비용을 고려하여 PCLOK II용 진단시약개발에 2,600백만원, HiSU용 진단시약개발에 1,4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단시약 개발 자금 세부 산정근거]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구분 | 산정근거 | 세부내용 | 합계 |
진단시약개발 | PCLOK II | PCLOK II Anti-HIV/HCV/Syphilis PCLOK II ToRCH IgG/IgM PCLOK II Anti-HPV 16/18 알츠하이머 AD/MCI 호흡기바이러스 4/6종 골흡수/형성 표지자 CTX, P1NP 개 위장관염 (CPV, CCoV, Giardia) 고양이 위장관염 (FPV, FCoV, Giardia) 갑상선질환 (T4, TSH) SDMA (신장질환) 염증표지자 CRP | 1. 연구 개발비 - 원재료 및 부재료 구매비 - 비교장비 측정비(장비+시약 구매비 포함) - 소모품 구매비 2. 연구 임상시험비 - IRB 승인허가비 - 임상시험비 - 검체구매비 - 비교장비 검사비 - 기관수행비 - 임상수행 인건비 - 기타 경비 (이동경비 포함) 3. 논문제출비 | 2,600 |
HiSU | 잠복결핵검사 (Hi-TB) 열대성질환검사 (Hi-TD) 말라리아, 매독검사 | 1,400 |
상기와 같이 당사는 PCLOK II용 진단시약 11종과 HiSU용 진단시약 3종을 개발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각 진단시약의 진단대상과 개발하고자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발하고자하는 진단시약 | 진단 대상 | 개발하고자 하는 이유 |
PCLOK II Anti-HIV/HCV/Syphilis | HIV, HCV, Syphili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혈액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PCLOK II를 납품하여 헌혈 전 혈액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고위험군 바이러스 진단을 위함 |
PCLOK II ToRCH IgG/IgM | Toxoplasmosis, Rubella, Cytomegaioviurs, Herpes Simplex Viru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병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PCLOK II를 납품하여 임신 중에 있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함 |
PCLOK II Anti-HPV 16/18 | HPV 16, 18 항체 진단 | 남, 녀 모두 자궁경부암 백신주사를 맞는 추세로 국내 개인병원 및 산부인과에서 HPV 백신 접종 전/후 항체 생성 여부 확인하기 위함 |
알츠하이머 AD/MCI | 알츠하이머 마커 진단 | 고령화사회에 진입하며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 이에 따라 알츠하이머 발생 및 진행과정을 확인하기 위함 |
호흡기바이러스 4/6종 | Influenza A, Influenza B SARS-CoV-2, RSV, Adenovirus, Parainfluenza 항원 진단 | 증상이 유사한 호흡기 바이러스를 소아과 및 일반 병원에서 고위험군 호흡기 바이러스와 일반 감기 바이러스를 구분하여 항바이러스제 남용을 막기 위함 |
골흡수/형성 표지자 CTX, P1NP | 골흡수, 골형성 표지자 진단 | 골흡수 및 골형성 표지자를 진단하여 골질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함 |
개 위장관염 (CPV, CCoV, Giardia) | Canine Parvovirus Canine Corona virus Giardia 항원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의 분변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전염성 위장관염을 진단하기 위함 |
고양이 위장관염 (FPV, FCoV, Giardia) | Feline Parvovirus Feline Corona virus Giardia 항원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해 고양이의 분변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전염성 위장관염을 진단하기 위함 |
갑상선질환 (T4, TSH) | T4, TSH 마커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함. 갑상선 기능 및 상태를 확인하기 위함 |
SDMA (신장질환) | 신장질환 인자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함. 신장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기 위함 |
염증표지자 CRP | 염증표지자 CRP 진단 |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혈액검사의 한 종류로 체내의 CRP 양을 측정하여 체내 급성 염증이나 조직 손상 유무를 예측하기 위함 |
잠복결핵검사 (Hi-TB) | Mycobacterium tuberculosis 항원 진단 | 국내 및 해외의 결핵에 대한 시장의 관심 확대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함. 혈액 내 활동성 결핵뿐만 아니라 잠복성 결핵도 진단하기 위함 |
열대성질환검사 (Hi-TD) | Chikungunya, Dengue, Malaria, Zika viru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혈액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HiSU를 납품하여 아프리카 및 열대아 지역에서 모기를 매개로 발병률이 높은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함 |
말라리아, 매독검사 | Malaria (P.vivax), Syphilis 항체 진단 | 국내외 혈액원을 타겟으로 혈액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헌혈 전 혈액내에 존재하는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구분하기 위함 |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자금규모 4,000백만원은 당사의 과거 개발 경험에 근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시약 1개당 평균적으로 연구개발 원재료와 부수재료비로 73백만원이 소요되었으며, 분석적 성능시험을 위한 재료비로 15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또한 연구 임상과 관련하여는 주로 임상검체구입에 103백만원, 외주를 통한 임상시험비에 4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외 기타 부수비용을 포함하면 시약 1개 당 연구인력 인건비를 제외한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비로 총 198백만원 가량이 소요되었습니다.
PCLOK II용 진단시약 11종을 위한 연구개발에는총 3개 팀의 연구인력 9명이 2년여 간 참여할 예정입니다.해당 연구인력의 진단시약 연구개발 투입시간을 고려하면 인건비 소요액은 약 400백만원으로 산정됩니다. 이외 과거 개발경험에 근거하여 시약 1개당 연구개발비 및 임상시험비로 약 2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당사는 PCLOK II용 진단시약 개발 자금으로 2,600백만원을 계획하였습니다.
HiSU용 진단시약 3종을 위한 연구개발에는 1개 팀 연구인력 3명이 2년여 간 참여할 예정입니다. 해당 연구인력의 진단시약 연구개발 투입시간을 고려하면 인건비 소요액은 약 300백만원으로 예상됩니다.이외 과거 개발경험에 근거하여 시약 1개 당 연구개발비 및 임상시험비로 약 2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HiSU 플랫폼 전용 초고속 자동화장비 고도화 및 부품의 국산내재화 비용 500백만원을 포함하여 총 1,400백만원을 계획하였습니다. HiSU 초고속 자동화 플랫폼의 전용시약은 고도화된 자동화장비가 필수적으로, 형광이미지 기반의 분석시스템의 성능개선을 한 기존 투명한 96-well ELISA 플레이트 기반의 형광스캐너 설계변경 및 장비서비스가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HiSU 플랫폼을 위한 고가의 필수부품 및 모듈의 국산내재화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비용은 국책과제를 통해 HiSU 초고속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한 경험과 소형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한 비용을 통해서 항목과 비용을 산정하였습니다.
(2) 신규사업 추진
당사는 COVID-19 발생 이후 국내외 진단제품 판매를 통해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했습니다. 최근 COVID-19 엔데믹에 따라 진단제품 외 타 제품을 통해 신규매출을 창출하고자 하며, 주로 해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하기 진단장비와 관련 시약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신규사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신규사업 세부 자금사용 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신규장비 도입비용 | MACCURA | 100 | 100 | 100 | 100 | 100 | 120 | 120 | 120 | 140 | 1,000 |
KONSUNG | 300 | 300 | 300 | 300 | 300 | 360 | 360 | 360 | 420 | 3,000 | |
동물용 생화학장비 | 100 | 100 | 100 | 100 | 100 | 120 | 120 | 120 | 140 | 1,000 | |
소계 | 500 | 500 | 500 | 500 | 500 | 600 | 600 | 600 | 700 | 5,000 | |
신규진단시약 도입비용 | 시약(MACCURA) | 20 | 40 | 80 | 160 | 200 | 240 | 350 | 400 | 510 | 2,000 |
시약(KONSUNG) | 60 | 120 | 240 | 480 | 600 | 720 | 1,050 | 1,200 | 1,530 | 6,000 | |
시약(동물용 생화학장비) | 20 | 40 | 80 | 160 | 200 | 240 | 350 | 400 | 510 | 2,000 | |
소계 | 100 | 200 | 400 | 800 | 1,000 | 1,200 | 1,750 | 2,000 | 2,550 | 10,000 | |
합계 | 600 | 700 | 900 | 1,300 | 1,500 | 1,800 | 2,350 | 2,600 | 3,250 | 15,000 |
① MACCURA 장비 및 관련시약 등
MACCURA는 사람의 혈액을 통해 항원, 항체, 호르몬, 바이러스 등을 검출하여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 면역검사장비입니다. 중소형규모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빠른 처리속도와 사용자 편리성이 우수한 장비로 진단검사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ITEM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각급 병ㆍ의원에 렌탈방식으로 장비를 공급하고 관련 진단시약을 공급하는 형태로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i1000으로 중국 진단기기 전문업체 MACCURA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i1000은 2020년도에 판매개시되어 현재 중국 및 해외 3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i1000을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 하며, 2022년 10월 중 i1000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22-1702호). 2023년 5월 갑상선 기능 호르몬 검사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하였으며 2023년 9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3분기 중 당뇨질환 관련 검사시약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병ㆍ의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진단기기의 경우 별도의 유통기한은 없으나, 많은 수량을 일시에 수입하지 않고 독점공급계약에서 요구되는 최소수준의 재고를 도입하면서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주문수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진단시약의 경우에도 도입 초기 공급사와의 협의를 통해 최소 요구수량을 도입 후 진단기기의 누적판매수량 증가에 따라 시약의 수요증가가 확인되면 이에 따라 도입수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진단기기 및 진단시약의 구매수량 및 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i1000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10억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20억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최소도입수량과 목표하고 있는 국내 병ㆍ의원 기기도입수량을 감안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한편, 제도의 변화로 각급 병ㆍ의원 자체에서 진단검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설치와 운용이 매우 쉽게 설계되어 있는 장비를 공급하면 시장에서 일정규모의 수요는 반드시 발생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장비는 렌탈형태로 부담없는 가격으로 공급할 것이며, 진단시약을 공급하는 것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될 것입니다. 진단시약은 각 병ㆍ의원의 사용 수요에 따라 공급량 및 매출액의 규모가 결정될 것이며, 장비 설치가 늘어나는 만큼 진단시약의 공급량 또한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KONSUNG 장비 및 관련시약 등
KONSUNG장비는 사람의 혈액을 통해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초간단 장비입니다. 당사는 이 장비를 전국의 한의원에 공급하고자 합니다. 최근 한의원에서 진단장비를 운용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설치와 운용이 매우 간단한 장비를 해외에서 도입하여 판매하고자 합니다. 이 장비는 혈액 한 방울로 간수치, 신장수치, 콜레스테롤 수치 등을 3분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판매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으며, 인허가 과정을 거쳐 빠르게 시장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Compass 2000-1로 중국 진단기기 전문업체 KONSUNG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 Compass 2000-1은 이미 중국 및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미 등 27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하며 2023년 4월 기기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23-872호). 2023년 5월에는 임상 화학효소 검사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하였으며 2023년 9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3분기 중 기타 임상화학 검사시약 II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대한한의사협회와 함께 국내 한의원 및 한방병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compass 2000-1의 경우 대한한의사협회를 통한 사전조사를 통해 판매수요가 어느정도 확인된 기기인만큼 2025년말까지 전국 1만 5천여곳 한의원의 약 40%에 공급을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공급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Compass 2000-1의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30억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90억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2025년까지 목표하고 있는 시장점유율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한편, 2000년대 이전까지 호황을 누려왔던 한의원이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한약의 원재료가 중금속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고객들의 불안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 장비는 한약을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간과 신장 등의 수치를 정확하게 진단해 주는 형태로 그러한 고객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장비는 매우 저렴하게 전국의 한의원에 공급될 것이며, 시약 판매를 통해 상당한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동물용 생화학장비 및 관련 시약 등
이 장비는 동물의 혈액에서 단백질, 전해질, 요소 등을 검사하여 다양한 질병 등을 진단하는 소형 생화학 장비입니다. 최근 반려동물 관련 시장의 규모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반려동물의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동물병원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당사는 이 장비를 전국의 동물병원에 공급하고자 합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Noahcali-100으로 중국에 소재한 진단기기 전문업체 LOCMEDT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Noahcali-100은 이미 중국 및 아시아, 유럽, 남미 등 3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하며 2023년 5월 기기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307-001호). 현재 면역화학 검사용 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 준비 중이며 2023년 10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4분기까지 보유한 나머지 면역화학 검사시약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국내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Noahcali-100의 경우 2025년까지 국내 동물병원의 24%해당하는 1,180여 곳에의 설치를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공급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Noahcali-100의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10억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20억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2025년까지 목표하고 있는 시장점유율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타 장비와 마찬가지로 본 장비 마찬가지로, 장비와 진단시약을 해외에서 도입하여 장비는 전국의 동물병원에 렌탈형태로 공급하고 진단시약을 판매하는 형태로 매출을 발생시키고자 합니다. 장비가 공급되는 정도에 따라 진단시약의 판매량이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일반운영자금
당사가 국내의료시장에 공급하고자 준비하고 있는 각 신규 의료기기 장비는 다양한 경쟁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고도로 전문화된 영업인력과 폭넓고 지속적인 마케팅 활동이 요구됩니다. 각급 병원과 의원, 한의원, 동물병원 등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광고와 홍보 이외에도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마케팅 비용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가 자체 개발하여 판매중인 대형면역검사시스템(HiSU), 현장형신속진단장비(POCT, PCLOKⅡ)의 해외 진출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도 전개하고자 합니다.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의 세부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운영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자금용도 | 자금용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국내 영업/마케팅 | 영업팀 운영비 | 219 | 219 | 219 | 219 | 219 | 219 | 219 | 219 | 219 | 1,971 |
홍보/마케팅비 | 267 | 267 | 267 | 146 | 96 | 96 | 86 | 86 | 72 | 1,383 | |
광고선전비 | 144 | 144 | 144 | 115 | 115 | 115 | 75 | 75 | 75 | 1,002 | |
전시회참가비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180 | |
소계 | 650 | 650 | 650 | 500 | 450 | 450 | 400 | 400 | 386 | 4,536 | |
해외 영업/마케팅 | 학회 및 전시회참가비 | 80 | 160 | 160 | 80 | 80 | 80 | 80 | 80 | 80 | 880 |
영업팀 해외출장비 | 170 | 90 | 90 | 120 | 70 | 20 | 20 | 20 | 20 | 620 | |
소계 | 250 | 250 | 250 | 200 | 150 | 100 | 100 | 100 | 100 | 1,500 | |
합계 | 900 | 900 | 900 | 700 | 600 | 550 | 500 | 500 | 486 | 6,036 |
① 국내 영업/마케팅
2024년부터 신규도입 예정인 3종 기기(i1000, Compass2000-1, Noahcali-100)의 국내판매를 위해 영업팀을 꾸려서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자 합니다.총 10명 가량의 영업인원을 운영하고자하며, 해당 인원에 대한 인건비 및 차량운행비와 리스료 등에 월 72백만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외 판촉물 제작비 등을 고려하여 분기별 영업팀 운영비로 219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한편, 병의원 등에 새로운 장비를 런칭하기 위해서는 홍보/마케팅비의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당사가 도입하고자하는 진단기기는 목표로하는 시장이 일반 병의원, 한의원, 동물병원으로 각각 다르며, i1000장비의 경우 전국 수천여곳의 중소병의원을 대상으로, Compass의 경우 전국 1만 5천여곳의 한의원을 대상으로, Noahcali-100은 약 5천여 곳의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도입 초기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고객 증가 및 인지도 상승에 따라마케팅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신규로 도입하는 장비는 각 분야의 전문 매체(전문지,전문잡지)와 각 협회의 홈페이지 등에 지속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계획입니다. 홈페이지 등의 광고료는 협회마다 소폭의 차이가 있으나 평균되는 기준으로 추정 시 홈페이지 상단 소형으로 진행할 경우 건당 월별 약 4백만원이며, 도입예정인 신규장비 3종에 대한 광고 진행시 분기별 36백만원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전문지 또는 전문잡지 등에 게재되는 광고료는 매체마다 차이가 있으나 통상기준되는 금액을 기준으로 추정 시 2단광고 기준 1회 약 250만원으로,신규장비 3종에 대해 월 2~5회 광고 진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도입초기 집중적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인지도 상승에 따라 점차 광고 횟수는 줄여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와 같은 중소 의료기기 업체에게 학회 및 전시회는 매우 강력한 홍보 마케팅 기회이므로 신규진단기기 도입에도 이를 적극 활용하고자 합니다. 최근 수 년 동안의 경험으로 미루어볼 때 당사는 7~8회 이상의 국내 학회 및 전시회에 참여해왔으며, 기본참가비와 출장비 등 평균적으로 회당 1천만원 가량의 경비가 소요되었습니다. 신규기기의 마케팅 목적에서 학회 및 전시회를 꾸준히 활용하고자하며, 이를 위한 자금으로 분기별 20백만원, 2025년 4분기까지 총 180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② 해외 영업/마케팅
당사는 HiSU 및 PCLOK II 등 진단기기의 매출처 확보를 위해 해외 진단 관련 학회 또는 바이오 및 의료기기 전시회 참가를 통해 회사의 기술력과 제품을 소개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최근 수 년 동안 매년 4~6회 이상의 해외 학회 및 전시회에 적극 참가해 왔으며, 해외 학회 및 전시회의 경우 수천만원의 기본 참가비와 함께 전문 직원 4~5명의 출장비용 소요에 따라 건별로 상이하나 평균 회당 참가비용은 80백만원입니다.
또한 해외 신규 거래처 확보를 위해 해외 현지 마케팅 인력의 활용 등을 계획하고 있으며,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마케팅 자료 제작비용 지출 등이 예상됩니다. 적극적인 시장 진출과 해외매출 확대를 위해 글로벌 영업/마케팅 투자는 단기적으로 다소 크게 발생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2025년 이후 계획에는 2024년 해외영업환경 등을 반영할 예정임에 따라 최소필요금액으로 분기별 20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2) 채무상환자금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공모자금 중 약 100억원을 아래의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상환대상 차입금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종류 | 차입처 | 이자율 | 총 대출액 | 차입일 | 만기일 | 상환시점 | 상환액 |
---|---|---|---|---|---|---|---|---|
단기차입금 | 일반자금대출 | 산업은행 | 7.18% | 8,000 | 2022.06.29 | 2023.06.29 | 2023년 4분기 | 6,000 |
장기차입금 | 특수관계인 차입금 | 관계회사 | 8.00% | 4,000 | 2023.03.17 | 2024.06.17 | 2023년 4분기 | 4,000 |
합계 | - | 12,000 | - | - | - | 10,000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60억원을 산업은행으로부터의 단기차입금상환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2023년 1분기말 현재 산업은행으로부터 80억원의 단기차입금을 차입하고 있습니다. 해당 차입금은 2023년 6월 29일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며, 당사는 보유자금을 활용하여 12억원을 상환하고 잔여 68억원에 대해서는 제공된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만기를 연장할 계획입니다. 이후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으로 60억원을 추가로 상환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을 사용하여 2023년 1분기말 현재 관계회사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차입금 40억원을 전액 상환하고자합니다. 2023년 3월 제2회 및 제3회차 전환사채의 조기상환청구에 따라 상환대금의 마련이 필요했으며,이에 관계회사인 엠큐렉스(주)로부터 40억원을 긴급하게 조달하였습니다. 한편, 엠큐렉스는 mRNA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아직은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위해 운영자금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사는 관계회사로부터의 차입금 40억원을 상환하고자합니다.
(주5)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23,114,000,000 |
발행제비용(2) | 467,970,520 |
순 수 입 금 [ (1)-(2) ] | 22,646,029,480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지급일자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4,160,520 | 신고서제출일 | 모집총액의 0.018% (10원 미만 절사) |
인수수수료 | 346,710,000 | 납입일로부터 | 모집총액의 1.5% |
추가상장수수료 | 4,620,000 | 신주상장일 | 430만원+3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8만원 (코스닥 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 14) |
등록세 | 10,400,000 | 등기일 | 증자 자본금의 0.4% |
지방교육세 | 2,080,000 | 등기일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100,000,000 | - | 구주주청약서, 투자설명서 인쇄 및 발송비 등 |
합 계 | 467,970,520 | - | -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자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공모자금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3년 07월 13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15,114 | 8,000 | - | - | 23,114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부족자금은 회사의 내부자금 및 금융권 차입 등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나.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신제품개발 및 신규사업 추진 등을 위한 운영자금과 차입금 상환 등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만약 금번 유상증자의 공모 금액이 당초 계획한 금액에 미달할 경우, 당사는 아래에 표기한 자금사용계획 우선순위에 따라 집행 시기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조정할 예정이며, 부족분 및 발행제비용은 당사의 자체자금으로 충당할 계획입니다.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 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상증자 공모자금 사용목적 및 우선순위]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자금용도 | 상 세 | 사용(예정)시기 | 금액 | 우선순위 |
---|---|---|---|---|---|
운영 자금 | 신제품개발 (R&D) | 스마트 POCT 개발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350 | 1 |
진단시약개발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3,600 | 1 | ||
신규사업 추진 | 신규장비 도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3,200 | 2 | |
신규진단시약 도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5,920 | 2 | ||
일반운영자금 | 국내 및 해외 영업/마케팅 | 2023년 4분기 ~ 2025년 4분기 | 2,044 | 3 |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 상환 | 엠큐렉스 차입금 상환 | 2023년 4분기 | 4,000 | 4 |
차입금 상환 | 산업은행 차입금 상환 | 2023년 4분기 | 4,000 | 4 | |
합 계 | 23,114 | -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이며,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공모자금 사용시기는 유상증자 일정 및 실제 운영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3) 부족자금은 회사의 내부자금 및 금융권 차입 등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1) 운영자금
(1) 신제품 개발(R&D)
[신제품 개발(R&D) 세부 자금사용 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스마트 POCT 개발 | PCLOK III | 100 | 50 | 50 | 50 | 50 | 50 | - | - | - | 350 |
검체 전처리장비 | - | - | - | - | - | - | - | - | - | - | |
소계 | 100 | 50 | 50 | 50 | 50 | 50 | - | - | - | 350 | |
진단시약개발 | PCLOK II | 550 | 350 | 350 | 250 | 250 | 200 | 100 | 100 | 50 | 2,200 |
HiSU | 400 | 250 | 200 | 150 | 150 | 100 | 50 | 50 | 50 | 1,400 | |
소계 | 950 | 600 | 550 | 400 | 400 | 300 | 150 | 150 | 100 | 3,600 | |
합계 | 1,050 | 650 | 600 | 450 | 450 | 350 | 150 | 150 | 100 | 3,950 |
① 스마트 POCT 개발
[스마트 POCT 개발자금 세부 산정근거]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구분 | 산정근거 | 합계 |
스마트 POCT 개발 | PCLOK III | 하드웨어 설계 제어용 펌웨어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연동 시험), TOUCH LCD 프로그램 (GUI 디자인, 구현, 프로그램 개발) Bar Code 및 프린터 연동 기구 설계 및 시스템 조립/평가 시제품 조립 및 평가 디자인 및 기구물 가공 | 350 |
검체 전처리장비 | X/Y/Z 센서 보드 (하드웨어 설계, PCB artwork, PCB SMT 및 부품, 보드 구동 프로그램 개발) 제어용 펌웨어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개발, 펌웨어 프로그램 시스템 연동 시험) TOUCH LCD 프로그램 (GUI 디자인, UI 구현, 프로그램 개발) Bar Code 및 프린터 연동 (Bar Code 연동, 프린터 연동) 기구설계 및 시스템 조립/평가 (모델링, 기구설계, 기구부품 구매, 시제품 조립 및 평가 제품 디자인, 기구물 가공 | - |
POCT(Point of care testing) 기기는 중소형병원에서 신속 정확하게 진단 가능한 현장신속진단기기로 혈액 또는 호흡기 스왑 검체에 대한 다중진단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당사는 이미 PCLOK II를 개발하여 각급 병ㆍ의원을 대상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향후 소형진단기기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사용성 및 스마트 기능을 개선한 POLOK III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하드웨어 설계 및 관련 프로그램과 펌웨어의 개발, 시제품 생산 비용 등을 고려하여 세부자금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총 350백만원이 개발에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CLOK III 개발에는 장비개발팀 인원 2명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해당 인력에 대한 인건비로 연구개발기간(1.5년 계획)동안 약 221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과거 2019년 PCLOK II 개발당시 설계 및 디자인에 38백만원, 소프트웨어 개발에 14백만원, 시제품 구체설계 및 조립, 평가 등에 37백만원, GUI디자인에 10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팬더믹 이후 물가상승에 따른 기기제조비용 상승률(30%)을 감안하여 인건비를 제외한 개발비로 129백만원을 산정하였으며 PCLOK III 개발을 위해 총 350백만원을 사용하고자합니다.
② 진단시약 개발
당사는 혈액진단기기 PCLOK II를 개발완료 및 판매 중에 있습니다. 한편, 진단기기 사용을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진단시약 사용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PCLOK II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진단시약을 개발하여 잠재 시장을 넓히고자 합니다. 지속적인 시장확대가 예상되는 동물진단시약을 비롯 알츠하이머 등 진단시약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형진단장비인 HiSU에 대해 해외국가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열대질병 관련 진단시약 등을 추가로 개발하여 사용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원재료비 및 소모품비와 개발 후 임상 및 승인절차에 필요한 비용을 고려하여 PCLOK II용 진단시약개발에 2,200백만원, HiSU용 진단시약개발에 1,4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단시약 개발 자금 세부 산정근거]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세부구분 | 산정근거 | 세부내용 | 합계 |
진단시약개발 | PCLOK II | PCLOK II Anti-HIV/HCV/Syphilis PCLOK II ToRCH IgG/IgM PCLOK II Anti-HPV 16/18 알츠하이머 AD/MCI 호흡기바이러스 4/6종 골흡수/형성 표지자 CTX, P1NP 개 위장관염 (CPV, CCoV, Giardia) 고양이 위장관염 (FPV, FCoV, Giardia) 염증표지자 CRP | 1. 연구 개발비 - 원재료 및 부재료 구매비 - 비교장비 측정비(장비+시약 구매비 포함) - 소모품 구매비 2. 연구 임상시험비 - IRB 승인허가비 - 임상시험비 - 검체구매비 - 비교장비 검사비 - 기관수행비 - 임상수행 인건비 - 기타 경비 (이동경비 포함) 3. 논문제출비 | 2,200 |
HiSU | 잠복결핵검사 (Hi-TB) 열대성질환검사 (Hi-TD) 말라리아, 매독검사 | 1,400 |
상기와 같이 당사는 PCLOK II용 진단시약 9종과 HiSU용 진단시약 3종을 개발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각 진단시약의 진단대상과 개발하고자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발하고자하는 진단시약 | 진단 대상 | 개발하고자 하는 이유 |
PCLOK II Anti-HIV/HCV/Syphilis | HIV, HCV, Syphili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혈액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PCLOK II를 납품하여 헌혈 전 혈액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고위험군 바이러스 진단을 위함 |
PCLOK II ToRCH IgG/IgM | Toxoplasmosis, Rubella, Cytomegaioviurs, Herpes Simplex Viru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병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PCLOK II를 납품하여 임신 중에 있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함 |
PCLOK II Anti-HPV 16/18 | HPV 16, 18 항체 진단 | 남, 녀 모두 자궁경부암 백신주사를 맞는 추세로 국내 개인병원 및 산부인과에서 HPV 백신 접종 전/후 항체 생성 여부 확인하기 위함 |
알츠하이머 AD/MCI | 알츠하이머 마커 진단 | 고령화사회에 진입하며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 이에 따라 알츠하이머 발생 및 진행과정을 확인하기 위함 |
호흡기바이러스 4/6종 | Influenza A, Influenza B SARS-CoV-2, RSV, Adenovirus, Parainfluenza 항원 진단 | 증상이 유사한 호흡기 바이러스를 소아과 및 일반 병원에서 고위험군 호흡기 바이러스와 일반 감기 바이러스를 구분하여 항바이러스제 남용을 막기 위함 |
골흡수/형성 표지자 CTX, P1NP | 골흡수, 골형성 표지자 진단 | 골흡수 및 골형성 표지자를 진단하여 골질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함 |
개 위장관염 (CPV, CCoV, Giardia) | Canine Parvovirus Canine Corona virus Giardia 항원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의 분변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전염성 위장관염을 진단하기 위함 |
고양이 위장관염 (FPV, FCoV, Giardia) | Feline Parvovirus Feline Corona virus Giardia 항원 진단 | 시장 규모가 커지는 동물진단분야의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해 고양이의 분변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전염성 위장관염을 진단하기 위함 |
염증표지자 CRP | 염증표지자 CRP 진단 |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혈액검사의 한 종류로 체내의 CRP 양을 측정하여 체내 급성 염증이나 조직 손상 유무를 예측하기 위함 |
잠복결핵검사 (Hi-TB) | Mycobacterium tuberculosis 항원 진단 | 국내 및 해외의 결핵에 대한 시장의 관심 확대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기 위함. 혈액 내 활동성 결핵뿐만 아니라 잠복성 결핵도 진단하기 위함 |
열대성질환검사 (Hi-TD) | Chikungunya, Dengue, Malaria, Zika virus 항체 진단 | 비싼 대형 장비를 구매하지 못하는 아프리카 및 개발도상국의 혈액원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성능이 뛰어난 HiSU를 납품하여 아프리카 및 열대아 지역에서 모기를 매개로 발병률이 높은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함 |
말라리아, 매독검사 | Malaria (P.vivax), Syphilis 항체 진단 | 국내외 혈액원을 타겟으로 혈액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헌혈 전 혈액내에 존재하는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구분하기 위함 |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자금규모 3,600백만원은 당사의 과거 개발 경험에 근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시약 1개당 평균적으로 연구개발 원재료와 부수재료비로 73백만원이 소요되었으며, 분석적 성능시험을 위한 재료비로 15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또한 연구 임상과 관련하여는 주로 임상검체구입에 103백만원, 외주를 통한 임상시험비에 4백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외 기타 부수비용을 포함하면 시약 1개 당 연구인력 인건비를 제외한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비로 총 198백만원 가량이 소요되었습니다.
PCLOK II용 진단시약 9종을 위한 연구개발에는 총 3개 팀의 연구인력 9명이 2년여 간 참여할 예정입니다. 해당 연구인력의 진단시약 연구개발 투입시간을 고려하면 인건비 소요액은 약 400백만원으로 산정됩니다. 이외 과거 개발경험에 근거하여 시약 1개당 연구개발비 및 임상시험비로 약 2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근거를 통해 당사는 PCLOK II용 진단시약 개발 자금으로 2,200백만원을 계획하였습니다.
HiSU용 진단시약 3종을 위한 연구개발에는 1개 팀 연구인력 3명이 2년여 간 참여할 예정입니다. 해당 연구인력의 진단시약 연구개발 투입시간을 고려하면 인건비 소요액은 약 300백만원으로 예상됩니다. 이외 과거 개발경험에 근거하여 시약 1개 당 연구개발비 및 임상시험비로 약 200백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HiSU 플랫폼 전용 초고속 자동화장비 고도화 및 부품의 국산내재화 비용 500백만원을 포함하여 총 1,400백만원을 계획하였습니다. HiSU 초고속 자동화 플랫폼의 전용시약은 고도화된 자동화장비가 필수적입니다. 기존 투명한 96-well ELISA 플레이트 기반의 자동화장비 설계변경 및 HiSU 플랫폼을 위한 필수부품과 모듈 국산내재화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비용은 국책과제를 통해 HiSU 초고속자동화시스템과 소형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을 통해 비용을 산정하였습니다.
(2) 신규사업 추진
당사는 COVID-19 발생 이후 국내외 진단제품 판매를 통해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했습니다. 최근 COVID-19 엔데믹에 따라 진단제품 외 타 제품을 통해 신규매출을 창출하고자 하며, 주로 해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하기 진단장비와 관련 시약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신규사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신규사업 세부 자금사용 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신규장비 도입비용 | MACCURA | 75 | 75 | 75 | 75 | 75 | 50 | 50 | 50 | 50 | 575 |
KONSUNG | 250 | 250 | 2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1,950 | |
동물용 생화학장비 | 75 | 75 | 75 | 75 | 75 | 75 | 75 | 75 | 75 | 675 | |
소계 | 400 | 400 | 400 | 350 | 350 | 325 | 325 | 325 | 325 | 3,200 | |
신규진단시약 도입비용 | 시약(MACCURA) | 20 | 60 | 80 | 80 | 80 | 100 | 100 | 100 | 100 | 720 |
시약(KONSUNG) | 60 | 100 | 200 | 300 | 400 | 500 | 600 | 750 | 800 | 3,710 | |
시약(동물용 생화학장비) | 20 | 40 | 80 | 120 | 150 | 200 | 240 | 320 | 320 | 1,490 | |
소계 | 100 | 200 | 360 | 500 | 630 | 800 | 940 | 1,170 | 1,220 | 5,920 | |
합계 | 500 | 600 | 760 | 850 | 980 | 1,125 | 1,265 | 1,495 | 1,545 | 9,120 |
① MACCURA 장비 및 관련시약 등
MACCURA는 사람의 혈액을 통해 항원, 항체, 호르몬, 바이러스 등을 검출하여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는 면역검사장비입니다. 중소형규모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빠른 처리속도와 사용자 편리성이 우수한 장비로 진단검사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ITEM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각급 병ㆍ의원에 렌탈방식으로 장비를 공급하고 관련 진단시약을 공급하는 형태로 시장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i1000으로 중국 진단기기 전문업체 MACCURA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i1000은 2020년도에 판매개시되어 현재 중국 및 해외 3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i1000을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 하며, 2022년 10월 중 i1000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22-1702호). 2023년 5월 갑상선 기능 호르몬 검사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하였으며 2023년 9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3분기 중 당뇨질환 관련 검사시약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병ㆍ의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진단기기의 경우 별도의 유통기한은 없으나, 많은 수량을 일시에 수입하지 않고 독점공급계약에서 요구되는 최소수준의 재고를 도입하면서 시장 수요에 대응하여 주문수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진단시약의 경우에도 도입 초기 공급사와의 협의를 통해 최소 요구수량을 도입 후 진단기기의 누적판매수량 증가에 따라 시약의 수요증가가 확인되면 이에 따라 도입수량을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진단기기 및 진단시약의 구매수량 및 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i1000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575백만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720백만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최소도입수량과 목표하고 있는 국내 병ㆍ의원 기기도입수량을 감안하여 산정되었습니다.
한편, 제도의 변화로 각급 병ㆍ의원 자체에서 진단검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설치와 운용이 매우 쉽게 설계되어 있는 장비를 공급하면 시장에서 일정규모의 수요는 반드시 발생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장비는 렌탈형태로 부담없는 가격으로 공급할 것이며, 진단시약을 공급하는 것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될 것입니다. 진단시약은 각 병ㆍ의원의 사용 수요에 따라 공급량 및 매출액의 규모가 결정될 것이며, 장비 설치가 늘어나는 만큼 진단시약의 공급량 또한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KONSUNG 장비 및 관련시약 등
KONSUNG장비는 사람의 혈액을 통해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진단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초간단 장비입니다. 당사는 이 장비를 전국의 한의원에 공급하고자 합니다. 최근 한의원에서 진단장비를 운용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설치와 운용이 매우 간단한 장비를 해외에서 도입하여 판매하고자 합니다. 이 장비는 혈액 한 방울로 간수치, 신장수치, 콜레스테롤 수치 등을 3분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판매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으며, 인허가 과정을 거쳐 빠르게 시장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Compass 2000-1로 중국 진단기기 전문업체 KONSUNG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Compass 2000-1은 이미 중국 및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미 등 27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하며 2023년 4월 기기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23-872호). 2023년 5월에는 임상 화학효소 검사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하였으며 2023년 9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3분기 중 기타 임상화학 검사시약 II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대한한의사협회와 함께 국내 한의원 및 한방병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compass 2000-1의 경우 대한한의사협회를 통한 사전조사를 통해 판매수요가 어느정도 확인된 기기인만큼 2025년말까지 전국 1만 5천여곳 한의원의 약 40%에 공급을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공급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Compass 2000-1의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1,950백만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3,710백만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2025년까지 목표하고 있는 시장점유율에 근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한편, 2000년대 이전까지 호황을 누려왔던 한의원이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한약의 원재료가 중금속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에 대한 고객들의 불안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 장비는 한약을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간과 신장 등의 수치를 정확하게 진단해 주는 형태로 그러한 고객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장비는 매우 저렴하게 전국의 한의원에 공급될 것이며, 시약 판매를 통해 상당한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동물용 생화학장비 및 관련 시약 등
이 장비는 동물의 혈액에서 단백질, 전해질, 요소 등을 검사하여 다양한 질병 등을 진단하는 소형 생화학 장비입니다. 최근 반려동물 관련 시장의 규모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반려동물의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동물병원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므로, 당사는 이 장비를 전국의 동물병원에 공급하고자 합니다.
당사에서 도입하고자하는 장비의 모델명은 Noahcali-100으로 중국에 소재한 진단기기 전문업체 LOCMEDT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Noahcali-100은 이미 중국 및 아시아, 유럽, 남미 등 30여개 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기기로 그 성능과 시장성이 어느정도 확인된 제품입니다. 당사에서는 국내 독점으로 공급하고자하며 2023년 5월 기기에 대한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였습니다(허가번호 체외 수신 307-001호). 현재 면역화학 검사용 시약에 대한 인허가를 신청 준비 중이며 2023년 10월 중 인허가가 완료될 예정입니다. 이후 2023년 4분기까지 보유한 나머지 면역화학 검사시약에 대해서도 인허가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진단시약에 대한 인허가가 완료되면 2023년 4분기부터 국내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본격적 마케팅을 진행하는 한편, 순차적으로 진단기기 도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Noahcali-100의 경우 2025년까지 국내 동물병원의 24%에 해당하는 1,180여 곳에의 설치를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공급단가에 대하여는 현재 공급사와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국내 인허가 절차 완료 이후 구체 계약을 체결할 예정입니다. Noahcali-100의 도입을 위한 기기도입자금 675백만원 및 진단시약 구매자금 1,490백만원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급사와 논의되고 있는 공급단가 및 2025년까지 목표하고 있는 시장점유율에 근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타 장비와 마찬가지로 본 장비 마찬가지로, 장비와 진단시약을 해외에서 도입하여 장비는 전국의 동물병원에 렌탈형태로 공급하고 진단시약을 판매하는 형태로 매출을 발생시키고자 합니다. 장비가 공급되는 정도에 따라 진단시약의 판매량이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일반운영자금
[일반운영자금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자금용도 | 자금용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국내 영업/마케팅 | 영업팀 운영비 | 69 | 69 | 69 | 69 | 69 | 69 | 69 | 69 | 69 | 621 |
홍보/마케팅비 | 80 | 89 | 89 | 48 | 32 | 32 | 28 | 28 | 24 | 450 | |
광고선전비 | 48 | 48 | 48 | 38 | 38 | 38 | 25 | 25 | 25 | 333 | |
전시회참가비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180 | |
소계 | 217 | 226 | 226 | 175 | 159 | 159 | 142 | 142 | 138 | 1,584 | |
해외 영업/마케팅 | 학회 및 전시회참가비 | -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320 |
영업팀 해외출장비 | 20 | 20 | 20 | 20 | 20 | 10 | 10 | 10 | 10 | 140 | |
소계 | 20 | 60 | 60 | 60 | 60 | 50 | 50 | 50 | 50 | 460 | |
합계 | 237 | 286 | 286 | 235 | 219 | 209 | 192 | 192 | 188 | 2,044 |
① 국내 영업/마케팅
2024년부터 신규도입 예정인 3종 기기(i1000, Compass2000-1, Noahcali-100)의 국내판매를 위해 영업팀을 꾸려서 활발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총 3명 가량의 영업인원을 운영하고자하며, 해당 인원에 대한 인건비 및 차량운행비와 리스료 등에 월 23백만원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외 판촉물 제작비 등을 고려하여 분기별 영업팀 운영비로 69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한편, 병의원 등에 새로운 장비를 런칭하기 위해서는 홍보/마케팅비의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당사가 도입하고자하는 진단기기는 목표로하는 시장이 일반 병의원, 한의원, 동물병원으로 각각 다르며, i1000장비의 경우 전국 수천여곳의 중소병의원을 대상으로, Compass의 경우 전국 1만 5천여곳의 한의원을 대상으로, Noahcali-100은 약 5천여 곳의 동물병원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도입 초기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고객 증가 및 인지도 상승에 따라마케팅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신규로 도입하는 장비는 각 분야의 전문 매체(전문지,전문잡지)와 각 협회의 홈페이지 등에 지속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계획입니다. 홈페이지 등의 광고료는 협회마다 소폭의 차이가 있으나 평균되는 기준으로 추정 시 홈페이지 상단 소형으로 진행할 경우 건당 월별 약 4백만원이며, 도입예정인 신규장비 3종에 대해 분기별 12백만원의 예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전문지 또는 전문잡지 등에 게재되는 광고료는 매체마다 차이가 있으나 통상기준되는 금액을 기준으로 추정 시 2단광고 기준 1회 약 250만원으로,신규장비 3종에 대해 분기 2~5회 광고 진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도입초기 집중적으로 광고를 진행하고 인지도 상승에 따라 점차 광고 횟수는 줄여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와 같은 중소 의료기기 업체에게 학회 및 전시회는 매우 강력한 홍보 마케팅 기회이므로 신규진단기기 도입에도 이를 적극 활용하고자 합니다. 최근 수 년 동안의 경험으로 미루어볼 때 당사는 7~8회 이상의 국내 학회 및 전시회에 참여해왔으며, 기본참가비와 출장비 등 평균적으로 회당 1천만원 가량의 경비가 소요되었습니다. 신규기기의 마케팅 목적에서 학회 및 전시회를 꾸준히 활용하고자하며, 이를 위한 자금으로 분기별 20백만원, 2025년 4분기까지 총 180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② 해외 영업/마케팅
당사는 HiSU 및 PCLOK II 등 진단기기의 매출처 확보를 위해 해외 진단 관련 학회 또는 바이오 및 의료기기 전시회 참가를 통해 회사의 기술력과 제품을 소개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최근 수 년 동안 매년 4~6회 이상의 해외 학회 및 전시회에 적극 참가해 왔으며, 해외 학회 및 전시회의 경우 수천만원의 기본 참가비와 함께 전문 직원 4~5명의 출장비용 소요에 따라 건별로 상이하나 평균 회당 참가비용은 80백만원입니다. 향후 연 2회 이상 학회참여를 고려하여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또한 해외 신규 거래처 확보를 위해 해외 현지 마케팅 인력의 활용 등을 계획하고 있으며, 온라인 마케팅을 위한 마케팅 자료 제작비용 지출 등이 예상됩니다. 최소필요금액으로 분기별 20백만원을 산정하였으며, 2025년 이후 계획에는 2024년 해외영업환경 등을 반영할 예정임에 따라 분기별 10백만원을 산정하였습니다.
2) 채무상환자금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공모자금 중 80억원을 아래의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상환대상 차입금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종류 | 차입처 | 이자율 | 총 대출액 | 차입일 | 만기일 | 상환시점 | 상환액 |
---|---|---|---|---|---|---|---|---|
단기차입금 | 일반자금대출 | 산업은행 | 8.31% | 6,800 | 2023.06.29 | 2024.06.29 | 2023년 4분기 | 4,000 |
장기차입금 | 특수관계인 차입금 | 관계회사 | 8.00% | 4,000 | 2023.03.17 | 2024.06.17 | 2023년 4분기 | 4,000 |
합계 | - | 10,800 | - | - | - | 8,000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40억원을 산업은행으로부터의 단기차입금상환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2023년 1분기말 현재 산업은행으로부터 80억원의 단기차입금을 차입하고 있습니다. 해당 차입금은 2023년 6월 29일 만기가 도래하였으며, 보유자금을 활용하여 12억원을 상환하고 잔여 68억원에 대해서는 제공된 담보자산을 바탕으로 만기를 연장하였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으로 40억원을 추가로 상환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공모자금을 사용하여 2023년 1분기말 현재 관계회사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차입금 40억원을 전액 상환하고자합니다. 2023년 3월 제2회 및 제3회차 전환사채의 조기상환청구에 따라 상환대금의 마련이 필요했으며,이에 관계회사인 엠큐렉스(주)로부터 40억원을 긴급하게 조달하였습니다. 한편, 엠큐렉스는 mRNA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아직은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위해 운영자금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사는 관계회사로부터의 차입금 40억원을 상환하고자합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1300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