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씨엘 (24182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7 07:52: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700000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3    월 16     일


회   사   명 : 피씨엘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김소연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9길 99

(전   화)02-2144-3915

(홈페이지)http://www.pclchip.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무이사 (성  명) 장지운

(전  화)02-2144-391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5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 제15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또한 의결권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와 상법시행령 제10조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3년 03월 31일(금)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0길 78 지하2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1) 보고사항
가. 감사보고
나. 영업보고
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라. 외부감사인선임보고

2) 부의안건 

   제1호의안 : 제15기(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의안: 이사선임의 건
   제3-1호:  기타비상무이사 황만순 선임의 건
   제3-2호:  사외이사 김철준 선임의 건
    제3-3호: 사내이사 김인규 선임의 건
   제3-4호: 사내이사 황재희 선임의 건
   제3-5호:  사외이사 김대열 선임의 건
 제4호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5호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주주총회소집통지 및 공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 제3항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pclchip.com/)에 게재하고 당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 방법 및 준비물

가. 본인 또는 대리인의 주주총회 참석
- 본인참석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택일)
- 대리인참석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소유주식수 기재, 서명 또는 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택일)

6. 기타 사항

가. 당사는 금번 주주총회시 참석주주님들을 위한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출입 시 안내데스크 통제에 따라 ①발열체크 ②손 소독제 사용 ③마스크 착용 여부 확인 후 출입이 허용되오니  필히 마스크를 지참하시고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3 년 03 월 16일
피씨엘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 소 연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양수
(출석률: 100%)
김철준
(출석률: 0%)
찬 반 여 부
1 2022.02.25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
2 2022.03.14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일시 정정) 찬성 -
3 2022.04.19 1. 지점 설치의 건 찬성 -
4 2022.06.15 1. 단기차입금 일부 상환 후 대환의 건 찬성 -
5 2022.08.03 1. 신규차입의 건 (하나은행 외화자금대출) 찬성 -
6 2022.09.09 1. 지점 설치의 건 찬성 -
7 2022.11.04 1. 노사협의회 규정 제정의 건 찬성 -
8 2022.12.12 1. 유상증자의 건  찬성 -
9 2022.12.21 1. 유상증자의 건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0억원 23,000 11,5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체외진단의료기기의 면역진단분야에서 3차원 SG Cap™ 고민감도 다중진단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혈액선별 진단제품과  POCT 제품의 개발 및 공급, 플랫폼서비스 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체외진단 전문기업입니다.

당사는 SG Cap™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로 고위험군 바이러스 혈액 스크리닝 다중면역 진단제품의 상용화에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당사의 제품은 혈액으로 고위험군 감염병(HIV/HBV/HCV), 암(췌장암/대장암/간암/전립선암/난소암 등), 코로나19 감염증, 인플루엔자(독감/RSV), 자가면역 등을 진단할 수 있는 여러 진단키트와 분석기기, 반려동물(개, 고양이)의 질병을 진단하는 키트 및 기기 등 이며 이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가. 시장별 현황 및 규모

(1) 헬스케어 시장

의료서비스의 니즈는 질병 치료에서 예방과 관리를 통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인구의 고령화, 생활수준의 향상, 의료비 부담 증가에 따라 질병의 예방 및 일상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건강 수명 연장을 위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니즈가 확대됨에 따라 미래의 보건의료 서비스 시장은 치료 분야의 비중을 감소하고 진단, 사후관리, 예방 부분의 시장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다른 산업과의 활발한 융합하고 있는데, 특히 ICT 기술과 헬스케어 산업이 융합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있고, 정보 통신기술과 의료서비스를 접목하여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됩니다. 인구 특성의 변화(고령화), 시장 특성의 변화(진단, 사후관리, 예방중심) 기술 특성의 변화(디지털화)에 따라 ICT 기술과 융합된 헬스케어 산업이 글로벌 핵심 비즈니스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Nano 기술이 POCT에 적용되어 적은 샘플용량, 액상시약의 최소 사용량, 높은 감도의 목적으로 진단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Magnetic Nanoparticle 및 Quantum Dot 등은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미세유체를 위한 Nano-Fabrication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입니다.


(2) 체외진단 시장


체외진단은 혈액, 분뇨, 체액, 침 등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 몸 밖에서 신속하게 질병을 진단하는 분야로 영상진단, 조직 진단에 비하여 간편하고, 진단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부작용 및 환자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이 질병 스크리닝에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①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규모 및 전망


전 세계적으로 초고령화사회 진입, 출산율 저하, 영유아 감소 등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와 길어진 평균 수명에 따른 건강, 장수 등으로 의료환경은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하는 방향으로 급변하고 있습니다.

최근 의료산업의 패러다임은 질병치료의 질병중심의 의료에서 예방·예측의 환자중심으로 변하고 있으며, 혁신 속도가 빠른 첨단 기술을 적용한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을 통해 변화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있습니다.


Allied Market Research는 글로벌 체외진단기기 시장은 2019년 671억 달러 정도 이며, 2020∼2027년 동안 4.8%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여 2027년 91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만성질환의 부담 증가, 감염성 질환의 유병률 증가, 특화된 검사를 이용한 조기 질병 진단 수요 증가, 개인화된 의약에 대한 인식 증가, 실험실에서의 완전 자동화의 채택 증가, 현장진단 도입의 증가 등이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3차원 SG Cap™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다중면역진단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크게 4가지 사업군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개발된 진단 제품은 대량 스크리닝 플랫폼 HiSU 솔루션이고, 두번째는 현장신속진단(POCT) 플랫폼PCLOK솔루션입니다. 또한, 세번째는 코로나19 진단 토탈 솔루션입니다. 마지막으로는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R&D 서비스 및 기술이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 분야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량 스크리닝 플랫폼- HiSU 솔루션
당사의 원천기술인 SG Cap™ 를 기반으로 한 대량 스크리닝 플랫폼입니다. 대량의 헌혈된 혈액의 수혈 전 검사를 통해 고위험군 바이러스 질환의 동시면역진단을 검사하는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혈액선별검사는 헌혈된 혈액이 수혈되기 전에 HIV(후천성면역결핍증), HCV(C형 간염), HBV(B형 간염), HTLV(T 림프구성 바이러스) 등의 고위험 바이러스의 감염여부의 진단을 위한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당사의 HiSU 솔루션 은 대량 스크리닝이 가능하기 때문에 혈액원이나 대형병원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① HIV항체 및 HCV항체 동시 진단 Hi3-1

세계최초의 4등급(CE-IVD List A) 고위험군 바이러스 다중진단제품으로 다국가, 다기관 임상시험에서 Hi3-1은 HIV 및 HCV의 민감도(Sensitivity)는 100%를 나타내고, 특이도 (Specificity) HIV, HCV 각각 99.98%, 99.82%로 CE 인증의 CTS Guideline에서 요구하는 임상적 민감도 100%와 특이도 99.5% 이상을 만족했습니다. CE와 국내 식약처 승인을 받은 제품입니다.


② HIV-HCV-HBV 동시진단 Hi3

Hi3는Hi3-1에 비해 감염된 바이러스의 항원과 항체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어, 감지기간(Detection Window) 를 넓힐 수 있으며, Hi3-1에서HBV가 추가되는 형태로 좀 더 빠른 개발이 가능합니다. 신고서 제출일 현재 임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분석적 성능시험 등 기술문서 작성을 위한 기초Data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중진단 진단을 위한 액상시약 및 기타 포장재 등이1/3 로 감소하고, 진단 시3개의 진단을 동시에 함으로써 진단시간과 진단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 현장신속진단 (POCT) 플랫폼 - PCLOK솔루션

신속진단의 시장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으로 현재는 래터러플로우(lateral flow)기반의 래피드 키트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낮은 민감도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높은 민감도를 가지면서 30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진단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시장의 니즈는 매우 높습니다. 

 

특히, 인플루엔자와 같은 감염성 질환에서 항바이러스 제제의 처방을 위한 진단에서는 민감도는 약물의 처방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낮은 민감도는 실제로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으나 위음성의 가능성이 높아 약물을 처방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보고 따르면 통상적인 래피드 키트를 이용한 인플루엔자의 임상적 민감도는 50% 내외임이 보고되어 있어, 높은 민감도의 신속진단에 대한 사업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다중 진단 플랫폼 기술인 SG Cap™ 을 이용하여 민감도 90% 이상과 30분이내에 진단할 수 있는 Well based POCT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진단키트와 암진단 키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각각의 진단키트는 호흡기 질환과 알러지, 염증 질환에 대한 진단으로 확대 적용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① Ai : Influenza A/B 동시진단

독감은 감기와 구분되는 인플루엔자에 의한 감염에 의한 감염성 질환이며, 감염 초기진단을 통해 항바이러스 약물에 의한 적극적 치료를 위해서는 높은 민감도 및 신속한진단을 위한 기술이 요구됩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래피드 키트의 경우에는 15분이내에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낮은 민감도의 문제가 보고되고 있어, 높은 민감도와 신속한 진단이 가능한 제품 및 플랫폼에 대한 시장의 니즈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한Ai는 인플루엔자A와 B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으며, 25분내에 민감도가A type 95.5%, B type 91.7%, 특이도99.5% 로 기존의 래피드 키트의 성능보다 탁월한 민감도를 보여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② Ci-5 : 다중 암의 동시 진단
암은 영상, 조직검사 등을 주로 활용하여 확진 검사를 하지만, 병변이 육안으로 구분할 정도로 성장해야 가능하며, 검사비용이 높기 때문에 증상이 없는 일반인의 선별검사에는 적합한 검사라 할 수 없습니다. 선별검사에는 혈액에 존재하는 종양 마커를 이용한 분석이 적합합니다. 다만, 단일 종양 마커 활용의 경우 정확도가 낮은 문제로 인하여 간암, 전립선암 등을 제외하고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며, 예후 진단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다중 진단 플랫폼인 SG Cap™으로 다양한 종양 마커를 고정화하여 동시 진단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동시진단을 통하여 낮은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하며, 1차 선별 용으로 Ci-5를 개발하였습니다.


(3)코로나19 토탈 솔루션

코로나19 감염증 진단에 대한 모든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제품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항원 신속진단제품

코로나19감염 진단을 위한 항원을 정성적으로 검출하는 항원진단키트.

해당 제품: PCL COVID19 Ag Rapid FIA, PCL COVID19 Ag Gold, PCLOK II Influenza A/B, Covid-19

② 항체 신속진단제품

인체 손 끝 혈액에서 코로나19감염 진단을 위한 IgG 및 IgM 항체를 검출하는 항체진단키트.

해당 제품: PCL COVID19 IgG/IgM Rapid Gold, PCL COVID19 Total Ab EIA, PCL HiSU COVID19 Neutralizing Ab test , PCLOK II Anti-SARS-CoV-2 Dual IgG

③ 유전자 검사제품

코로나19감염 진단을 위한 유전자를 검출하는 유전자진단키트(RT-PCR)

해당 제품: PCLMD nCoV one step RT-PCR Kit, PCLMD COVID19 Speedy RT-PCR Kit, PCL 10min RNA Releasing Reagent, 30min Portable RT-PCR All-in-one Bag, PCLMD ABC multi RT-PCR Kit


(4) 플랫폼 서비스 사업

당사의 서비스 사업은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원천기술인 SG Cap™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 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서비스 사업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SolB complete kit 

SolB complete kit 사업은 당사의 원천기술인 SG Cap™ 을 이용하여 고민감도 다중 진단 마이크로어레이칩을 제작하고자 할 때 쓰이는 연구용 시약입니다, 본 제품은 진단사나 대규모 연구실에서 미세분주용 기기를 이용하여 제작을 할 수 도 있고, 또한, 손쉽게 미세분주용 기기가 없이도 매뉴얼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제품화한 것입니다. 현재는 연구용 시약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당사의 기술이전이 본격화되고, 해외 생산이 이루어지면 이에 따른 SolB complete kit의 판매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Platform 서비스

본 서비스 사업은 당사가 보유한 SG Cap™ 기술과 함께 우수한 공정/품질 개발 인력의 기술 노하우와 우수한 성능의 첨단 보유 설비들을 활용하여 우수하고 안정적인 공정개발 기술을 확립하여 고객이 요구하는 다중진단칩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당사는 KGMP 및 ISO 13485의 품질경영시스템 하에서 제조된 진단 시약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임상 시험 및 허가 신청이 가능한 생산 서비스입니다.


③ SG-ID 서비스

SG ID 서비스는 신약 후보물질의 작용기전(Mode of Action)을 확인할 수 있는 Target 단백질을 동정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통상적으로 신약 개발 시 임상 2상이 완료되기 전에 신약의 Target단백질을 동정하여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프로테오믹스기반의 신호 전달 체계를 기반으로 동정하지만, 본 서비스는 직접 결합하는 단백질을 동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실질적인 Target단백질을 동정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당사는 SG ID 서비스를 해외 및 국내 제약사에 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Global Catalog 회사들과의 협의를 통해 본격적인 서비스 출시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는 신약 스크리닝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신약 개발 시 초고속으로 후보물질을 탐색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서비스로서, 수만 ∼ 수십만개의 물질 라이브러리(Library) 를 이용하여 개발하고자 하는 Target과의 반응성을 분석하여 후보물질을 선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많은 양을 처리하기 위한 고효율 선별시스템(High Throughput Screening System)을 이용하게 되는데, 기존의 시스템은 대부분 효소 반응을 이용한 저해반응을 검사하는데, 부작용 등과 같은 반응 특이성의 분석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서비스는 단백질-단백질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저해반응을 검사하는데, 원천기술인 SG Cap™을 이용하여 고민감도, 초고속의 선별시스템 개발이 가능합니다. 라이브러리(Library)를 보유한 기업,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초고속의 선별시스템의 개발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당사에서는 EGF-EGFR, VEGF-VEGFR과 같은 항암제 개발에 이용되는 초고속 선별시스템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④ 플랫폼 서비스 사업모델의 지속적인 확장

서비스 사업은 지속적인 매출이 가능하며, 다양한 매출, 기술이전 및 로열티 등이 가능한 분야이고, 다양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한 사업모델입니다. 단지, 당사와 같이 한정된 인원을 바탕으로 제품개발에 매진해야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사업과 같이 고급인력 집약적인 사업은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왔습니다. 하지만 향후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사업모델 확장하기 위해서 국내외 산학연 잠재 고객 리스트를 꾸준히 확보해 오고 있습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코로나19 관련 진단제품의 판매에 주력하였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연결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5 기 2022 12. 31 현재
제 14 기 2021.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15(당) 기말

제 14(전) 기말

자 산

  

  

  

  

I. 유동자산

  

61,033,422,425

  

63,743,965,931

현금및현금성자산

26,031,268,099

  

38,222,168,081

  

단기금융상품

6,338,500,000

  

2,00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8,030,261,680

  

1,752,734,953

  

재고자산

20,073,012,020

  

21,715,301,612

  

기타유동자산

517,857,066

  

2,030,073,385

  

당기법인세자산

42,523,560

  

21,687,900

  

II. 비유동자산

  

29,209,389,136

  

15,551,370,964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262,805,450

  

623,573,4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00,000,000

  

관계기업투자주식

12,999,998,000

  

-

  

유형자산

13,666,010,218

  

13,759,358,049

  

무형자산

293,990,881

  

290,853,411

  

사용권자산

986,584,587

  

377,586,104

  

자 산 총 계

  

90,242,811,561

  

79,295,336,895

부 채

  

  

  

  

I. 유동부채

  

48,453,618,422

  

46,266,937,560

매입채무및기타채무

4,670,249,199

  

2,388,184,832

  

단기차입금

11,000,000,000

  

14,295,000,000

  

유동성전환사채

14,395,957,220

  

-

  

유동성전환우선주부채

-

  

3,867,176,382

  

유동성리스부채

580,655,189

  

288,832,498

  

유동성파생상품부채

16,985,275,770

  

24,827,772,184

  

기타유동부채

821,481,044

  

599,971,664

  

II. 비유동부채

  

6,003,775,602

  

16,399,737,330

매입채무및기타채무

798,192,939

  

941,809,163

  

장기차입금

4,795,000,000

  

3,820,000,000

  

전환사채

-

  

11,543,610,744

  

리스부채

410,582,663

  

94,317,423

  

부 채 총 계

  

54,457,394,024

  

62,666,674,890

자 본

  

  

  

  

자본금

5,978,618,000

  

5,184,698,500

  

기타불입자본

65,133,712,064

  

44,877,361,745

  

결손금

37,394,086,292

  

35,512,994,742

  

비지배지분

2,067,173,765

  

2,079,596,502

  

자 본 총 계

  

35,785,417,537

  

16,628,662,005

부 채 및 자 본 총 계

  

90,242,811,561

  

79,295,336,895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5기 (2022. 01. 01 부터 2022.12. 31 까지)
제 14 기 (2021.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원)




과 목

제 15(당) 기

제 14(전) 기

I. 매출액

  

37,217,226,663

  

46,147,521,837

II. 매출원가

  

28,272,577,025

  

57,325,116,477

III. 매출총이익(손실)

  

8,944,649,638

  

(11,177,594,640)

IV. 판매비와관리비

15,052,412,931

  

14,588,781,659

  

대손상각비

396,088,265

  

1,495,614,315

  

기타의판매비와관리비

14,656,324,666

  

13,093,167,344

  

V. 영업손실

  

(6,107,763,293)

  

(25,766,376,299)

금융수익

8,143,965,296

  

3,558,360,264

  

금융비용

4,220,248,616

  

10,017,737,691

  

기타수익

1,704,276,790

  

1,088,666,379

  

기타비용

1,413,744,464

  

535,134,804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1,893,514,287)

  

(31,672,222,151)

VII. 법인세비용

  

-

  

-

VIII. 당기순손실

  

(1,893,514,287)

  

(31,672,222,151)

IX. 기타포괄손익

  

-

  

-

X. 당기총포괄손익

  

(1,893,514,287)

  

(31,672,222,151)

XI.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1,881,091,550)

  

(31,669,318,653)

비지배주주지분

  

(12,422,737)

  

(2,903,498)

XII. 총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1,881,091,550)

  

(31,669,318,653)

비지배주주지분

  

(12,422,737)

  

(2,903,498)

XIII. 주당순손익

  

  

  

  

기본및희석주당순이익(손실)

  

(178)

  

(3,128)



* 별도 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5 기 2022 12. 31 현재
제 14 기 2021.12. 31 현재
(단위 :원 )



과 목

제 15(당) 기말

제 14(전) 기말

자 산

  

  

  

  

I. 유동자산

  

57,682,169,768

  

60,251,833,260

현금및현금성자산

22,689,735,186

  

34,730,035,410

  

단기금융상품

6,338,500,000

  

2,00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8,029,257,280

  

1,752,734,953

  

재고자산

20,073,012,020

  

21,715,301,612

  

기타유동자산

509,327,522

  

2,030,073,385

  

당기법인세자산

42,337,760

  

21,687,900

  

II. 비유동자산

  

30,460,612,463

  

16,965,883,464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262,805,450

  

623,573,4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00,000,000

  

관계기업투자주식

12,999,998,000

  

-

  

종속기업투자주식

1,417,500,000

  

1,417,500,000

  

유형자산

13,502,123,541

  

13,759,358,049

  

무형자산

291,600,885

  

287,865,911

  

사용권자산

986,584,587

  

377,586,104

  

자 산 총 계

  

88,142,782,231

  

77,217,716,724

부 채

  

  

  

  

I. 유동부채

  

48,410,330,714

  

46,266,937,560

매입채무및기타채무

4,626,961,491

  

2,388,184,832

  

단기차입금

11,000,000,000

  

14,295,000,000

  

유동성전환사채

14,395,957,220

  

-

  

유동성전환우선주부채

-

  

3,867,176,382

  

유동성리스부채

580,655,189

  

288,832,498

  

유동성파생상품부채

16,985,275,770

  

24,827,772,184

  

기타유동부채

821,481,044

  

599,971,664

  

II. 비유동부채

  

6,003,775,602

  

16,399,737,330

매입채무및기타채무

798,192,939

  

941,809,163

  

장기차입금

4,795,000,000

  

3,820,000,000

  

전환사채

-

  

11,543,610,744

  

리스부채

410,582,663

  

94,317,423

  

부 채 총 계

  

54,414,106,316

  

62,666,674,890

자 본

  

  

  

  

자본금

5,978,618,000

  

5,184,698,500

  

기타불입자본

65,133,712,064

  

44,877,361,745

  

결손금

37,383,654,149

  

35,511,018,411

  

자 본 총 계

  

33,728,675,915

  

14,551,041,834

부 채 및 자 본 총 계

  

88,142,782,231

  

77,217,716,724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5기 (2022. 01. 01 부터 2022.12. 31 까지)
제 14 기 (2021.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5(당) 기

제 14(전) 기

I. 매출액

  

37,217,226,663

  

46,147,521,837

II. 매출원가

  

28,272,577,025

  

57,325,116,477

III. 매출총이익(손실)

  

8,944,649,638

  

(11,177,594,640)

IV. 판매비와관리비

14,972,637,287

  

14,583,901,830

  

대손상각비

396,088,265

  

1,495,614,315

  

기타의판매비와관리비

14,576,549,022

  

13,088,287,515

  

V. 영업손실

  

(6,027,987,649)

  

(25,761,496,470)

금융수익

8,085,068,201

  

3,558,360,264

  

금융비용

4,220,248,616

  

10,017,737,691

  

기타수익

1,704,276,790

  

1,088,666,379

  

기타비용

1,413,744,464

  

535,134,804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1,872,635,738)

  

(31,667,342,322)

VII. 법인세비용

  

-

  

-

VIII. 당기순손실

  

(1,872,635,738)

  

(31,667,342,322)

IX. 기타포괄손익

  

-

  

-

X. 당기총포괄손익

  

(1,872,635,738)

  

(31,667,342,322)

XI. 주당순손익

  

  

  

  

기본및희석주당순이익(손실)

  

(178)

  

(3,127)

 
* 위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전 수치로, 감사 결과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 (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 1. 부동산 개발업  사업목적추가

제10조 (신주인수권)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 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제10조 (신주인수권)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 자본제휴 등을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배정확대

제22조 (소집통지)

② 회사는 제1항의 소집통지서에 주주가 서면에 의한 의결권을 행사하는데 필요한 서면과 참고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삭제 -

제28조 (의결권의 행사)

① 주주는 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②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주주는 의결권행사에 관한 서면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여, 회일의 전일까지 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 

삭제 -

제45조(감사의 선임)

③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하는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제45조(감사의 선임)

③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1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하는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서 감사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감사선임 전자투표제 도입

제52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가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감사의 승인을 얻어야 하고 ,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사업연도 중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제52조 (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가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감사는 감사인선임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외부감사인을 선정하여야 하고, 회사는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이후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감사인선임위원회  문구 추가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출생년월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황만순 1970년 9월 아니오 아니오 - -
김철준 1952년 9월. 아니오 - -
김인규 1974년 2월. 아니오 아니오 특수관계 -
황재희 1981년 1월. 아니오 아니오 - -
김대열 1977년 4월. 아니오 - -
총 (  5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황만순 기업인 2020.03~
2018.01~2020.02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이사
한국투자파트너스 CIO
없음
김철준 기업인 2018.09~
2013.07~2018.09
한독 부회장
한독 대표이사 사장
없음
김인규 기업인 2017.01~ 피씨엘 경영팀장 없음
황재희 기업인 2019.01~
20
피씨엘 학술팀장 없음
김대열 기업인 2023.01
2021.12~2022.12
비전에쿼티파트너스 대표
젤코바파트너스 대표이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황만순 없음 없음 없음
김철준 없음 없음 없음
김인규 없음 없음 없음
황재희 없음 없음 없음
김대열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김철준- 회사가 준법경영을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역할
김대열- 회사가 보다 훌륭한 경영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역할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황만순 - 바이오 산업 분야의 해박한 지식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경영에 기여
김철준 - 바이오 산업 및 의학 분야의  해박한 지식 및 관련 기업 경영에 풍부한 경험
김인규 - 회사 경영에 기여
황재희 - 회사 기술 발전에 기여
김대열 - 회사의 재무경영 도움 기대


확인서

확인서 김대열

확인서 황재희

확인서 김인규

확인서 김철준

확인서 황만순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6(     2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000,000,000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4,314,2000
최고한도액 1,000,000,000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5,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31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제15기 정기주주총회 1주전인 2023년 3월 23일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pclchip.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주주총회 개최일 : 2023년 3월 31일(금)

2.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1) 당사는 정기주주총회 개최를 포함한 주요경영활동 관련 일정을 연초에 확정하였습니다.
(2) 상기 일정을 조율하고자 하였으나, 당사의 주주총회 일정계획이 사전 수립된 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이 발표되어 임직원들의 업무스케쥴, 종속(관계)회사의 결산 및 이사회, 회계 법인의 감사보고서 수령일 등을 고려하여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3) 향후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을 통하여 주주총회 분산에 참여함으로 더 많은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  기타사항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7000004

피씨엘 (24182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