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팩토 (235980) 공시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2023-12-05 16:4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05000444


증권발행조건확정



금융위원회 귀중 2023년      12월     05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메드팩토
대   표     이   사 : 김성진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달로 92, 보림빌딩

(전  화) 02- 6938-0200

(홈페이지) http://www.medpact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본부장        (성  명) 양동일

(전  화) 02-6938-0200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제출일자 문서명 비고
2023년 09월 12일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최초 제출
2023년 09월 26일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자진정정 (굵은 파란색)
2023년 09월 27일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1차 발행가액 확정 (굵은 빨간색)
2023년 10월 11일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특수관계인 구주매각에 따른 자진정정 (굵은 초록색)
2023년 11월 06일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3분기 분기보고서 제출에 따른 정정 (굵은 보라색)
2023년 12월 05일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최종 발행가액 확정 (굵은 주황색)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9월 12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12,5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74,125,000,000원


4. 정정사유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5. 정정사항

※ 금번 정정사항은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으로 '굵은 주황색 글씨체'를 사용하여 구분기재 하였습니다.

정정사항 확인의 편의를 위하여 2023년 11월 06일 2023년 3분기 분기보고서 제출에 따른 정정사항은 '굵은 보라색 글씨체'로 정정하였습니다. 2023년 10월 11일 특수관계인 구주매각에 따른 정정사항은 '굵은 초록색 글씨'로 정정하였습니다. 2023년 09월 27일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사항은 '굵은 빨간색 글씨'로 정정하였습니다. 2023년 09월 26일 자진정정에 의한 정정사항은 '굵은 파란색 글씨'로 정정하였습니다.

항  목 정 정 전 정 정 후
공통정정사항 모집(매출)가액 : 6,530원
모집(매출)가액 : 5,930원
모집(매출)총액 : 81,625,000,000원
모집(매출)총액 : 74,125,000,000원
요약정보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주1] 정정 전 [주1] 정정 후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1. 공모개요 [주2] 정정 전 [주2]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주3] 정정 전 [주3] 정정 후
Ⅲ. 투자위험요소
  2. 회사위험 - 가.  [주4] 정정 전 [주4] 정정 후
  2. 회사위험 - 나. [주5] 정정 전 [주5] 정정 후
  2. 회사위험 - 자.
[주6] 정정 전 [주6] 정정 후
  3. 기타위험 - 가. [주7] 정정 전 [주7] 정정 후
  3. 기타위험 - 나. [주8] 정정 전 [주8] 정정 후
Ⅴ. 자금의 사용목적
[주9] 정정 전 [주9] 정정 후


[주1] 정정 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
가액
모집(매출)
총액
모집(매출)
방법
보통주 12,500,000 500 6,530 81,625,000,000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인수(주선) 여부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인수 아니오 해당없음 해당없음
인수(주선)인 증권의
종류
인수수량 인수금액 인수대가 인수방법
대표 삼성증권 보통주 7,500,000  48,975,000,000
- 대표주관수수료: 모집총액의 0.24%
- 인수수수료: 모집총액의 1.3% 中 60%
- 실권수수료: 잔액인수금액의 15.0%
잔액인수
인수 한양증권 보통주 5,000,000  32,650,000,000
- 인수수수료: 모집총액의 1.3% 中 40%
- 실권수수료: 잔액인수금액의 15.0%
잔액인수
청약기일 납입기일 청약공고일 배정공고일 배정기준일
2023년 12월 07일 ~ 2023년 12월 08일 2023년 12월 15일 2023년 12월 12일 2023년 12월 15일 2023년 10월 05일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시작일 종료일
2023년 09월 13일 2023년 12월 04일
자금의 사용목적
구   분 금   액
운영자금 81,625,000,000
발행제비용 1,413,267,500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행사대상증권 행사가격 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보유자 회사와의
관계
매출전
보유증권수
매출증권수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부여사유 행사가능 투자자 부여수량 행사기간 행사가격
- - - - -
【주요사항보고서】 [정정]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2023.09.27
【기 타】 1) 금번 (주)메드팩토의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대표주관회사는 삼성증권(주)이며 인수회사는 한양증권(주)입니다.

2) 금번 유상증자는 잔액인수방식에 의한 것입니다.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는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후 최종실권주를 잔액인수하게 되며, 인수방법 및 인수대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상기 모집가액 및 발행제비용은 1차 발행가액으로 산정된 것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확정 발행가액은 구주주 청약 초일 전 제3거래일에 결정될 예정입니다.

4) 상기 청약기일은 구주주의 청약기일이며, 일반공모의 청약기일은 2023년 12월 12일 ~ 2023년 12월 13일(2영업일간)입니다. 일반공모 청약 공고는 2023년 12월 12일에 당사 및 대표주관회사와 인수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될 예정입니다.

5) 일반공모 청약은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주)와 인수회사인 한양증권(주)의 본ㆍ지점, 홈페이지 및 HTS, MTS에서 가능합니다. 단, 구주주 청약 결과 발생한 실권주 및 단수주가 총 50,000주 이하(액면가 500원 기준)이거나 배정하여야 할 주식의 공모금액이 1억원 이하일 경우에는 일반공모 청약을 하지 아니하고, 대표주관회사와 인수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할 수 있습니다.

6)「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0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에 의거, 2023년 09월 13일부터 2023년 12월 04일까지 당사의 주식을 공매도 하거나 공매도 주문을 위탁한 자는 금번 모집에 청약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하여 주식을 취득할 경우 동법 제429조의3 제2항에 따라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다만, 모집가액의 공정한 가격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로서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 제2항 및 「금융투자업규정」제6-34조에 해당할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주식 취득이 허용됩니다

7) 금융감독원에서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명령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명령 등에 따라 본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8) 증권신고서의 효력의 발생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후략)

[주1] 정정 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
가액
모집(매출)
총액
모집(매출)
방법
보통주 12,500,000 500 5,930 74,125,000,000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인수(주선) 여부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인수 아니오 해당없음 해당없음
인수(주선)인 증권의
종류
인수수량 인수금액 인수대가 인수방법
대표 삼성증권 보통주 7,500,000 44,475,000,000 - 대표주관수수료: 모집총액의 0.24%
- 인수수수료: 모집총액의 1.3% 中 60%
- 실권수수료: 잔액인수금액의 15.0%
잔액인수
인수 한양증권 보통주 5,000,000 29,650,000,000 - 인수수수료: 모집총액의 1.3% 中 40%
- 실권수수료: 잔액인수금액의 15.0%
잔액인수
청약기일 납입기일 청약공고일 배정공고일 배정기준일
2023년 12월 07일 ~ 2023년 12월 08일 2023년 12월 15일 2023년 12월 12일 2023년 12월 15일 2023년 10월 05일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시작일 종료일
2023년 09월 13일 2023년 12월 04일
자금의 사용목적
구   분 금   액
운영자금 74,125,000,000
발행제비용 1,294,797,500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행사대상증권 행사가격 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보유자 회사와의
관계
매출전
보유증권수
매출증권수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부여사유 행사가능 투자자 부여수량 행사기간 행사가격
- - - - -
【주요사항보고서】 [정정]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2023.12.05
【기 타】 1) 금번 (주)메드팩토의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대표주관회사는 삼성증권(주)이며 인수회사는 한양증권(주)입니다.

2) 금번 유상증자는 잔액인수방식에 의한 것입니다. 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는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후 최종실권주를 잔액인수하게 되며, 인수방법 및 인수대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상기 모집가액 및 발행제비용은 확정발행가액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4) 상기 청약기일은 구주주의 청약기일이며, 일반공모의 청약기일은 2023년 12월 12일 ~ 2023년 12월 13일(2영업일간)입니다. 일반공모 청약 공고는 2023년 12월 12일에 당사 및 대표주관회사와 인수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될 예정입니다.

5) 일반공모 청약은 대표주관회사인 삼성증권(주)와 인수회사인 한양증권(주)의 본ㆍ지점, 홈페이지 및 HTS, MTS에서 가능합니다. 단, 구주주 청약 결과 발생한 실권주 및 단수주가 총 50,000주 이하(액면가 500원 기준)이거나 배정하여야 할 주식의 공모금액이 1억원 이하일 경우에는 일반공모 청약을 하지 아니하고, 대표주관회사와 인수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할 수 있습니다.

6)「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0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에 의거, 2023년 09월 13일부터 2023년 12월 04일까지 당사의 주식을 공매도 하거나 공매도 주문을 위탁한 자는 금번 모집에 청약할 수 없으며, 이를 위반하여 주식을 취득할 경우 동법 제429조의3 제2항에 따라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다만, 모집가액의 공정한 가격형성을 저해하지 않는 경우로서 동법 시행령 제208조의4 제2항 및 「금융투자업규정」제6-34조에 해당할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주식 취득이 허용됩니다

7) 금융감독원에서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명령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명령 등에 따라 본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8) 증권신고서의 효력의 발생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후략)

[주2] 정정 전

1. 공모개요


당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 제2항 제1호에 의거 삼성증권(주)(이하 "대표주관회사"라 합니다.) 및 한양증권(주)(이하 "인수회사"라 합니다.)와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에 대한 잔액인수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12,500,000주를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모집(매출) 방법
기명식 보통주 12,500,000 500 6,530 81,625,000,000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주1) 이사회 결의일: 2023년 09월 12일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한 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발행가액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18조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시 가격산정절차 폐지 및 가격산정의 자율화에 따라 발행가액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의 산출근거

본 증권신고서의 1차 발행가액은 신주배정기준일 전 제3거래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 다음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할인율 적용에 따른 모집가액이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단위 미만은 절상)

▶ 1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 1 - 할인율(25%)】
-------------------------------------
1 +【 증자비율 × 할인율(25%)】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1차 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구주주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1차 발행가액 산정표]
기산일 : 2023년 09월 26일 (단위 : 원, 주)
일자 가중산술평균주가 거래량 거래대금
2023/09/26 9,990 122,956 1,228,322,710
2023/09/25 10,128 93,699 949,022,970
2023/09/22 10,209 103,435 1,055,939,990
2023/09/21 10,298 93,351 961,359,870
2023/09/20 10,551 95,094 1,003,330,510
2023/09/19 10,804 133,995 1,447,741,840
2023/09/18 11,275 256,936 2,897,054,600
2023/09/15 11,025 767,574 8,462,458,680
2023/09/14 10,274 383,975 3,944,772,410
2023/09/13 10,500 1,509,704 15,851,234,900
2023/09/12 14,378 205,588 2,955,979,460
2023/09/11 14,175 105,164 1,490,729,080
2023/09/08 14,068 112,066 1,576,575,630
2023/09/07 13,834 132,936 1,839,100,840
2023/09/06 13,917 83,311 1,159,474,450
2023/09/05 13,982 96,097 1,343,661,820
2023/09/04 13,938 70,488 982,435,050
2023/09/01 14,189 167,109 2,371,037,430
2023/08/31 14,892 109,556 1,631,488,930
2023/08/30 14,821 97,114 1,439,314,320
2023/08/29 14,401 142,466 2,051,722,180
2023/08/28 14,116 82,607 1,166,042,980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11,643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10,221
-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C)  9,990
-
(A), (B), (C)의 산술평균 (D)  10,618
기준주가 (E) 9,990
(C와 D중 낮은가액)
할인율 (F) 25% -
증자비율 (G) 59.07% -
1차 발행가액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함)
 6,530 기준주가 × (1-할인율)
/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후략)

[주2] 정정 후


1. 공모개요


당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 제2항 제1호에 의거 삼성증권(주)(이하 "대표주관회사"라 합니다.) 및 한양증권(주)(이하 "인수회사"라 합니다.)와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에 대한 잔액인수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12,500,000주를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주)
증권의 종류 증권수량 액면가액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모집(매출) 방법
기명식 보통주 12,500,000 500 5,930 74,125,000,000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주1) 이사회 결의일: 2023년 09월 12일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확정 발행가액 기준입니다.


발행가액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18조에 의거, 주주배정 증자시 가격산정절차 폐지 및 가격산정의 자율화에 따라 발행가액을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의 산출근거

본 증권신고서의 1차 발행가액은 신주배정기준일 전 제3거래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 다음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된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할인율 적용에 따른 모집가액이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단위 미만은 절상)

▶ 1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 1 - 할인율(25%)】
-------------------------------------
1 +【 증자비율 × 할인율(25%)】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1차 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구주주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1차 발행가액 산정표]
기산일 : 2023년 09월 26일 (단위 : 원, 주)
일자 가중산술평균주가 거래량 거래대금
2023/09/26 9,990 122,956 1,228,322,710
2023/09/25 10,128 93,699 949,022,970
2023/09/22 10,209 103,435 1,055,939,990
2023/09/21 10,298 93,351 961,359,870
2023/09/20 10,551 95,094 1,003,330,510
2023/09/19 10,804 133,995 1,447,741,840
2023/09/18 11,275 256,936 2,897,054,600
2023/09/15 11,025 767,574 8,462,458,680
2023/09/14 10,274 383,975 3,944,772,410
2023/09/13 10,500 1,509,704 15,851,234,900
2023/09/12 14,378 205,588 2,955,979,460
2023/09/11 14,175 105,164 1,490,729,080
2023/09/08 14,068 112,066 1,576,575,630
2023/09/07 13,834 132,936 1,839,100,840
2023/09/06 13,917 83,311 1,159,474,450
2023/09/05 13,982 96,097 1,343,661,820
2023/09/04 13,938 70,488 982,435,050
2023/09/01 14,189 167,109 2,371,037,430
2023/08/31 14,892 109,556 1,631,488,930
2023/08/30 14,821 97,114 1,439,314,320
2023/08/29 14,401 142,466 2,051,722,180
2023/08/28 14,116 82,607 1,166,042,980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11,643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10,221
-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C)  9,990
-
(A), (B), (C)의 산술평균 (D)  10,618
기준주가 (E) 9,990
(C와 D중 낮은가액)
할인율 (F) 25% -
증자비율 (G) 59.07% -
1차 발행가액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함)
 6,530 기준주가 × (1-할인율)
/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2차 발행가액 산출 근거

본 증권신고서의 2차 발행가액은 구주주 청약 초일 전 제3거래일을 기산일로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25%를 적용, 다음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한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하며, 1주당 발행가액이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  2차 발행가액 = 기준주가 ×【1 - 할인율(25%)】



[2차 발행가액 산정표]
(기산일 : 2023년 12월 04일) (단위: 원, 주)
일자 가중산술평균주가 거래량 거래대금
2023-12-04 7,897 547,404  4,323,037,790 
2023-12-01 8,111 397,853  3,226,863,430 
2023-11-30 8,172 1,225,782  10,017,219,720 
2023-11-29 8,481 2,703,307  22,927,004,710 
2023-11-28 7,639 214,905  1,641,705,330 
1주일 거래량 가중산술평균주가 (A) 8,279 -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B) 7,897 -
(A),(B)의 산술 평균 (C) 8,088 [(A)+(B)] ÷ 2
기준주가 (D) 7,897 (B)와 (C)중 낮은가액
할인율 25% -
2차 발행가액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함)
5,930 기준주가 × (1 - 할인율)



■ 확정 발행가액의 산출근거

확정발행가액은 1차발행가액과 2차발행가액 중 낮은 가액으로 합니다. 단,「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 및「증권의 발행 및 공시에 관한 규정」제5-15조의2에 의거, 1차 발행가액과 2차 발행가액 중 낮은 가액이 구주주 청약일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주가에서 40%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정한 가격보다 낮은 경우 청약일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주가에서 40%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정한 가격을 확정발행가액으로 합니다. 단,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하며, 그 가액이 액면가액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합니다.

▶  확정 발행가액 = Max{Min[1차 발행가액, 2차 발행가액], 청약일 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주가의 60%}


[확정 발행가액 산정표]
(기산일 : 2023년 12월 04일) (단위 : 원, 주)
일수 일자 가중산술평균주가 거래량 거래대금
1 2023-12-04 7,897 547,404  4,323,037,790 
2 2023-12-01 8,111 397,853  3,226,863,430 
3 2023-11-30 8,172 1,225,782  10,017,219,720 
3거래일 가중산술평균(A) 8,092
할인율 40%
청약일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주가의 60%(A) 4,855 -
1차 발행가액(B) 6,530 -
2차 발행가액(C) 5,930 -
확정 발행가액 5,930 Max[A,(Min(B,C)]


이에 따라 확정발행가액은 5,9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후략)

[주3]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단위 : 주, 원)
항 목 내 용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12,500,000
주당 모집가액 예정가액  6,530
확정가액 -
모집총액 예정가액  81,625,000,000
확정가액 -
청 약 단 위

(1) 구주주(신주인수권증서 보유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1주 미만은 절사)와 초과청약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 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를 합한 주식수입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2) 일반청약자의 최소 청약단위는 10주이며, 따라서 최소 10주 이상 청약 가능합니다. 청약주식수에 따른 청약단위는 아래 표에 따릅니다.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는 "일반공모 배정분"의 100% 범위 내로 하며, 청약한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청약이 없는 것으로 봅니다.

구분 청약단위

10주 이상

100주 이하

10주 단위

100주 초과 500주 이하 50주 단위

500주 초과

1,000주 이하

100주 단위

1,000주 초과

5,000주 이하

500주 단위

5,000주 초과

10,000주 이하

1,000주 단위

10,000주 초과

50,000주 이하

5,000주 단위

50,000주 초과

100,000주 이하

10,000주 단위

100,000주 초과

500,000주 이하

50,000주 단위

500,000주 초과 1,000,000주 이하 100,000주 단위
1,000,000주 초과 5,000,000주 이하 500,000주 단위

5,000,000주 초과

1,000,000주 단위


청약기일 구주주
(신주인수권증서보유자)
개시일 2023년 12월 07일
종료일 2023년 12월 08일
실권주 일반공모 개시일 2023년 12월 12일
종료일 2023년 12월 13일
청약
증거금
구주주 청약금액의 100%
초과청약 청약금액의 100%
일반모집 또는 매출 청약금액의 100%
납입기일 2023년 12월 15일
배당기산일(결산일) 2023년 01월 01일
주1) 금융감독원에서는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후략)

[주3]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단위 : 주, 원)
항 목 내 용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12,500,000
주당 모집가액 예정가액 -
확정가액 5,930
모집총액 예정가액 -
확정가액 74,125,000,000
청 약 단 위

(1) 구주주(신주인수권증서 보유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1주 미만은 절사)와 초과청약가능 주식수(보유하고 있는 신주인수권증서 1주당 0.2주를 곱하여 산정된 수, 단 1주 미만은 절사)를 합한 주식수입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비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2) 일반청약자의 최소 청약단위는 10주이며, 따라서 최소 10주 이상 청약 가능합니다. 청약주식수에 따른 청약단위는 아래 표에 따릅니다.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는 "일반공모 배정분"의 100% 범위 내로 하며, 청약한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청약이 없는 것으로 봅니다.

구분 청약단위

10주 이상

100주 이하

10주 단위

100주 초과 500주 이하 50주 단위

500주 초과

1,000주 이하

100주 단위

1,000주 초과

5,000주 이하

500주 단위

5,000주 초과

10,000주 이하

1,000주 단위

10,000주 초과

50,000주 이하

5,000주 단위

50,000주 초과

100,000주 이하

10,000주 단위

100,000주 초과

500,000주 이하

50,000주 단위

500,000주 초과 1,000,000주 이하 100,000주 단위
1,000,000주 초과 5,000,000주 이하 500,000주 단위

5,000,000주 초과

1,000,000주 단위


청약기일 구주주
(신주인수권증서보유자)
개시일 2023년 12월 07일
종료일 2023년 12월 08일
실권주 일반공모 개시일 2023년 12월 12일
종료일 2023년 12월 13일
청약
증거금
구주주 청약금액의 100%
초과청약 청약금액의 100%
일반모집 또는 매출 청약금액의 100%
납입기일 2023년 12월 15일
배당기산일(결산일) 2023년 01월 01일
주1) 금융감독원에서는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후략)

[주4] 정정 전


(생략)

당사의 금번 유상증자 대금 납입 여부에 따른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관리종목 및 상장폐지 해당 여부의 시뮬레이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본잠식등의 여부 검토]
(연결 기준,  K-IFRS) (단위 : 백만원)
구분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2020년
자기자본(연결) 77,619 -4,006 5,238 32,323 43,543 55,743
자본금(연결) 16,790 10,540 10,540 10,540 10,258 10,171
자본잠식률 -362.28% 138.01% 50.30% -206.66% -324.47% -448.03%
유예 해당 여부
유예 조항 없음
관리종목 해당
    자본잠식률 (50%) X O O - - -
    자기자본 미달 X O X
- - -
상장폐지 해당
    자본전액잠식 X O X - - -
주1) 자본잠식률 = 1-{자본총계 / 자본금}
주2) 1차 발행가액 기준 약 816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urce. 한국거래소, Dart 전자공시시스템


당사는 2023년 온기 연결기준 당사의 당기순손실을 4분기 약 92억원, 온기 기준 약 370억원으로 추정하여 금번 1차 발행가액 기준 증자대금이 전액 납입된다는 가정하에 상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후략)

[주4] 정정 후


(생략)

당사의 금번 유상증자 대금 납입 여부에 따른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관리종목 및 상장폐지 해당 여부의 시뮬레이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본잠식등의 여부 검토]
(연결 기준,  K-IFRS) (단위 : 백만원)
구분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2020년
자기자본(연결) 70,119 -4,006 5,238 32,323 43,543 55,743
자본금(연결) 16,790
10,540 10,540 10,540 10,258 10,171
자본잠식률 -317.61% 138.01% 50.30% -206.66% -324.47% -448.03%
유예 해당 여부
유예 조항 없음
관리종목 해당
    자본잠식률 (50%) X O O - - -
    자기자본 미달 X O X
- - -
상장폐지 해당
    자본전액잠식 X O X - - -
주1) 자본잠식률 = 1-{자본총계 / 자본금}
주2) 확정 발행가액 기준 741.25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urce. 한국거래소, Dart 전자공시시스템


당사는 2023년 온기 연결기준 당사의 당기순손실을 4분기 약 92억원, 온기 기준 약 370억원으로 추정하여 금번 확정 발행가액 기준 증자대금이 전액 납입된다는 가정하에 상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후략)

[주5] 정정 전


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발생 지속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 위험

(생략)

다음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 납입 후 당사의 연말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를 나타낸 표입니다.

[2023년 결산 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
(단위 : 백만원)
(연결기준)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비고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36,977 36,977 27,733 35,753
자본금 16,790 10,540 10,540 10,540
자본총계 77,619 -4,006 5,238 32,323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당기순손실) 이외의 자본 변동 없음 가정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자기자본 47.64% -922.98% 529.45% 110.61%
주1) 금번 유상증자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816.25억원이 납입될 경우 자본금으로 62.5억원, 자본잉여금으로 753.75억원이 증가하는 것을 가정하여 변동 사항을 예상하였습니다.
주2) 자본총계의 경우 당사가 제시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추정치와 이외의 자본 변동 없음을 가정하여 작성한 예상치로 실제값은 다를 수 있음을 유의바랍니다.
주3) 
1차발행가액 기준 약 816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ruce. 당사 제시


Case 1은 기존의 실적을 바탕으로 당사가 합리적으로 추정하는 2023년 결산 기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을 바탕으로 가정하였으며, Case2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 및 금번 유상증자 1차 발행가액 기준의 납입금이 납입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였습니다.

 Case1 (증자 미실시) 의 경우 2024년 기준 관리종목 지정 요건 중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 요건 첫해에 해당되나, Case2 (증자 실시) 와 같이 금번 유상증자로 납입금이 납입될 경우 상기 관리종목 지정요건 첫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경영 및 기타 영향으로 인해 당사의 실적이 예상보다 저조할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의 추정치가 증가할 수 있으며, 금번 유상증자 발행금액에 따라 실제 납입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법인세차감전순손실 요건 회피를 위해서는 당사 추정 2023년 법인세차감전순손실 약 370억원 기준 약 780억원 이상의 자본이 납입되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향후 법인세차감전순손실 규모가 커질 경우 요건 회피 필요 금액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특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만약 금번 1차 발행가액 산정 이후 주가 하락에 따라 유상증자의 확정 발행가액이 1차 발행가액 이하로 결정될 경우 해당 요건 회피를 위한 자본 확충이 부족하게 되어 법인세차감전순손실 요건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후략)

[주5] 정정 후


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발생 지속에 따른 관리종목 지정 위험

(생략)

다음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 납입 후 당사의 연말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를 나타낸 표입니다.

[2023년 결산 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
(단위 : 백만원)
(연결기준)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비고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36,977 36,977 27,733 35,753
자본금 16,790 10,540 10,540 10,540
자본총계 70,119 -4,006 5,238 32,323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당기순손실) 이외의 자본 변동 없음 가정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자기자본 52.74% -922.98% 529.45% 110.61%
주1) 금번 유상증자 확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741.25억원이 납입될 경우 자본금으로 62.5억원, 자본잉여금으로 678.75억원이 증가하는 것을 가정하여 변동 사항을 예상하였습니다.
주2) 자본총계의 경우 당사가 제시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추정치와 이외의 자본 변동 없음을 가정하여 작성한 예상치로 실제값은 다를 수 있음을 유의바랍니다.
주3) 
확정 발행가액 기준 741.25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ruce. 당사 제시


Case 1은 기존의 실적을 바탕으로 당사가 합리적으로 추정하는 2023년 결산 기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을 바탕으로 가정하였으며, Case2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 및 금번 유상증자  확정 발행가액 기준의 납입금이 납입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였습니다. 


Case1 (증자 미실시) 의 경우 2024년 기준 관리종목 지정 요건 중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 요건 첫해에 해당되고, Case2(증자 후)에도 마찬가지로 금번 유상증자로 납입금이 납입될 경우 상기 관리종목 지정요건 첫해에 해당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경영 및 기타 영향으로 인해 당사의 실적이 예상보다 저조할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의 추정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법인세차감전순손실 요건 회피를 위해서는 당사 추정 2023년 법인세차감전순손실 약 370억원 기준 약 780억원 이상의 자본이 납입되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향후 법인세차감전순손실 규모가 커질 경우 요건 회피 필요 금액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특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유상증자의 확정 발행가액 산정에 따라 해당 요건 회피를 위한 자본 확충이 부족하게 되어 법인세차감전순손실 요건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후략)

[주6] 정정 전

자. 지분변동을 수반할 수 있는 빈번한 자금조달 이력

(생략)

당사의 향후 1년간 자금수지를 예상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단의 자금수지계획에 대한 유의사항]
하단의 내용은 본 공시서류 제출 전일 현재 시점에서의 당사 자금수지계획을 참고 목적으로 기재한 것입니다. 이는 미래에 대한 당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었을 수 있고, 향후 실제 현금흐름의 발생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하단의 계획은 당사의 전망과 예상, 주관적 판단 등에 따른 것입니다.


[향후 1년간 자금수지계획]
(K-IFRS,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4분기 2024년 1분기 2024년 2분기 2024년 3분기
영업 현금흐름 수입(a) 매출대금 0 0 0 0
기타 0 0 0 0
0 0 0 0
지출(b) 원재료구입/외주가공비 2,532 4,662 10,732 4,413
급여 567 567 590 547
판관비 346 346 346 466
기타 0 0 0 0
3,445 5,575 11,668 5,426
영업수지(= (a) - (b)) -3,445 -5,575 -11,668 -5,426
투자 현금흐름 수입(c) 유형자산처분



회원권매각



투자주식처분



전환사채처분







지출(d) 유형자산취득



무형자산취득



투자주식취득



전환사채취득







투자수지(= (c) - (d))



재무 현금흐름 수입(e) 차입금&회사채증가



대여금회수



보증금반환



유상증자 115,875


이자수입 51 838 805 772
배당수입



기타수입



115,926 838 805 772
지출(f) 차입금&회사채 상환



대여금발생



보증금납입



유상감자



이자지급



배당지급



기타지급(리스부채 상환) 34 34 34 34
34 34 34 34
재무수지(= (e) - (f))        115,892              804 771          738
기초 자금 7,155 119,602 114,831 103,935
기말 자금 119,602 114,831 103,935 99,247
Source. 당사 제시


(후략)

[주6] 정정 후

자. 지분변동을 수반할 수 있는 빈번한 자금조달 이력

(생략)

당사의 향후 1년간 자금수지를 예상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단의 자금수지계획에 대한 유의사항]
하단의 내용은 본 공시서류 제출 전일 현재 시점에서의 당사 자금수지계획을 참고 목적으로 기재한 것입니다. 이는 미래에 대한 당사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었을 수 있고, 향후 실제 현금흐름의 발생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하단의 계획은 당사의 전망과 예상, 주관적 판단 등에 따른 것입니다.


[향후 1년간 자금수지계획]
(K-IFRS,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4분기 2024년 1분기 2024년 2분기 2024년 3분기
영업 현금흐름 수입(a) 매출대금 0 0 0 0
기타 0 0 0 0
0 0 0 0
지출(b) 원재료구입/외주가공비 2,532 4,662 10,732 4,413
급여 567 567 590 547
판관비 346 346 346 466
기타 0 0 0 0
3,445 5,575 11,668 5,426
영업수지(= (a) - (b)) -3,445 -5,575 -11,668 -5,426
투자 현금흐름 수입(c) 유형자산처분



회원권매각



투자주식처분



전환사채처분







지출(d) 유형자산취득



무형자산취득



투자주식취득



전환사채취득







투자수지(= (c) - (d))



재무 현금흐름 수입(e) 차입금&회사채증가



대여금회수



보증금반환



유상증자 74,125


이자수입 51 558 522 442
배당수입



기타수입



74,176 558 522 442
지출(f) 차입금&회사채 상환



대여금발생



보증금납입



유상감자



이자지급



배당지급



유상증자 발행제비용
1,295


기타지급(리스부채 상환) 34 34 34 34
1,329 34 34 34
재무수지(= (e) - (f)) 72,847 524 488 408
기초 자금 7,155 76,557 71,506 60,326
기말 자금 76,557 71,506 60,326 55,308
Source. 당사 제시


(후략)

[주7] 정정 전

가. 관리종목 및 상장폐지 위험

(생략)

다음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 납입 후 당사의 연말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를 나타낸 표입니다.

[2023년 결산 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구분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비고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연결) 36,977 36,977 27,733 35,753 -
자본금 (연결) 16,790 10,540 10,540 10,540 -
자본총계 (연결) 77,619 -4,006 5,238 32,323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이익결손금에 반영. 그외의 자본 변동 없음 가정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연결) / 자기자본 (연결)  47.64% -922.98% 529.45% 110.61% -
주1) 금번 유상증자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816.25억원이 납입될 경우 자본금으로 62.5억원, 자본잉여금으로 753.75억원이 증가하는 것을 가정하여 변동 사항을 예상하였습니다.
주2) 자본총계의 경우 당사가 제시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추정치와 이외의 자본 변동 없음을 가정하여 작성한 예상치로 실제값은 다를 수 있음을 유의바랍니다.
주3) 1차 발행가액 기준 약 816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ruce. 당사 제시


Case 1(증자 미실시)은 기존의 실적을 바탕으로 당사가 합리적으로 추정하는 2023년 결산 기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을 바탕으로 증자를 실시하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하였으며, Case2(증자 후)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 및 금번 유상증자 1차 발행가액 기준의 납입금이 납입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였습니다. Case1(증자 미실시)의 경우 관리종목 지정 요건 중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 첫해에 해당되나, Case2(증자 후)와 같이 금번 유상증자로 납입금이 납입될 경우 상기 관리종목 지정요건 첫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경영 및 기타 영향으로 인해 당사의 실적이 예상보다 저조할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의 추정치가 증가할 수 있으며, 금번 유상증자 발행금액에 따라 실제 납입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당사는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한 내 해소하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에 이를 수 있는 중대한 위험이 나타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 자본잠식등의 여부 검토

[자본잠식등의 여부 검토]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구분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2020년
자기자본 (연결) 77,619 -4,006 5,238 32,323 43,543 55,743
자본금 (연결) 16,790 10,540 10,540 10,540 10,258 10,171
자본잠식률 -362.28% 138.01% 50.30% -206.66% -324.47% -448.03%
주1) 자본잠식률 = (자본금 - 자기자본) / 자본금 × 100
주2) 1차 발행가액 기준 약 816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urce. Dart 전자공시시스템


(후략)

[주7] 정정 후

가. 관리종목 및 상장폐지 위험

(생략)

다음은 금번 유상증자 대금 납입 후 당사의 연말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를 나타낸 표입니다.

[2023년 결산 기준 재무요건의 변동 예상 시나리오]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구분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비고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연결) 36,977 36,977 27,733 35,753 -
자본금 (연결) 16,790 10,540 10,540 10,540 -
자본총계 (연결) 70,119 -4,006 5,238 32,323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이익결손금에 반영. 그외의 자본 변동 없음 가정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연결) / 자기자본 (연결)  52.74% -922.98% 529.45% 110.61% -
주1) 금번 유상증자 확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741.25억원이 납입될 경우 자본금으로 62.5억원, 자본잉여금으로 678.75억원이 증가하는 것을 가정하여 변동 사항을 예상하였습니다.
주2) 자본총계의 경우 당사가 제시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추정치와 이외의 자본 변동 없음을 가정하여 작성한 예상치로 실제값은 다를 수 있음을 유의바랍니다.
주3) 확정 발행가액 기준 741.25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ruce. 당사 제시


Case 1(증자 미실시)은 기존의 실적을 바탕으로 당사가 합리적으로 추정하는 2023년 결산 기준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을 바탕으로 증자를 실시하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하였으며, Case2(증자 후)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약 370억원 및 금번 유상증자 확정 발행가액 기준의 납입금이 납입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였습니다. Case1(증자 미실시)의 경우 관리종목 지정 요건 중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요건 첫해에 해당되고, Case2(증자 후)에도 마찬가지로 금번 유상증자로 납입금이 납입될 경우 상기 관리종목 지정요건 첫해에 해당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나아가 당사의 경영 및 기타 영향으로 인해 당사의 실적이 예상보다 저조할 경우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의 추정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당사는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한 내 해소하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에 이를 수 있는 중대한 위험이 나타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 자본잠식등의 여부 검토

[자본잠식등의 여부 검토]
(연결 기준) (단위: 백만원)
구분 2023년 말
Case2 (증자 후)
2023년 말
Case1 (증자 미실시)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2020년
자기자본 (연결) 70,119
-4,006 5,238 32,323 43,543 55,743
자본금 (연결) 16,790 10,540 10,540 10,540 10,258 10,171
자본잠식률 -317.61%
138.01% 50.30% -206.66% -324.47% -448.03%
주1) 자본잠식률 = (자본금 - 자기자본) / 자본금 × 100
주2) 확정 발행가액 기준 741.25억원 납입을 가정하였습니다.
Source. Dart 전자공시시스템


(후략)

[주8] 정정 전


(생략)

이처럼 주식매수선택권, 교환사채, 전환우선주 등이 행사될 경우 주식 희석에 따라 최대주주 지분율이 하락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 변동 시뮬레이션(구주매각, 유상증자 및 주식매수선택권 등 행사 후)]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전일) (단위 : 주)
성 명 구주매각 전 2대주주의
구주매각 후
유상증자 후  교환사채 (EB)
교환권 행사 후
전환우선주 (CPS)
전환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1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1안)
전환우선주 (CPS)
전환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2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2안)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테라젠이텍스 3,100,000 14.65% 3,100,000 14.65% 4,931,039 14.65% 4,551,533 13.52% 4,551,533 13.50% 4,551,533 13.39% 4,551,533 13.11% 4,551,533 13.00%
김성진 2,124,780 10.04% 1,835,580 8.67% 2,149,334 6.38% 2,149,334 6.38% 2,149,334 6.38% 2,149,334 6.32% 2,149,334 6.19% 2,149,334 6.14%
기타 특수관계인 1,706,982 8.07% 1,706,982 8.07% 1,706,982 5.07% 1,706,982 5.07% 1,706,982 5.06% 1,706,982 5.02% 1,706,982 4.92% 1,706,982 4.88%
소계 6,931,762 32.75% 6,642,562 31.39% 8,787,355 26.10% 8,407,849 24.98% 8,407,849 24.94% 8,407,849 24.74% 8,407,849 24.21% 8,407,849 24.02%
전환우선주 투자자 82,146 0.39% 82,146 0.39% 82,146 0.24% 82,146 0.24% 133,927 0.40% 133,927 0.39% 1,148,534 3.31% 1,148,534 3.28%
교환사채 투자자 0 0.00% 0 0.00% 0 0.00% 379,506 1.13% 379,506 1.13% 379,506 1.12% 379,506 1.09% 379,506 1.08%
주식매수선택권 보유자 0 0.00% 0 0.00% 0 0.00% 0 0.00% 0 0.00% 272,460 0.80% 0 0.00% 272,460 0.78%
기타 주주 14,148,933 66.86% 14,438,133 68.22% 24,793,340 73.65% 24,793,340 73.65% 24,793,340 73.54% 24,793,340 72.95% 24,793,340 71.39% 24,793,340 70.83%
21,162,841 100.00% 21,162,841 100.00% 33,662,841 100.00% 33,662,841 100.00% 33,714,622 100.00% 33,987,082 100.00%
34,729,229 100.00%
35,001,689 100.00%
주1) 상기 시뮬레이션의 지분율은 의결권 있는 주식을 기준으로 산정된 것으로서 전환우선주 투자자 및 교환사채 투자자, 주식매수선택권 보유자가 각각 전환권 및 교환권,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기 이전에는 상기 주식수 및 지분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주2) 2대주주의 구주매각은 2023년 10월 10일 장외대량매매 방식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주3) 2대주주의 유상증자 청약률은 25%로 가정하였으며, 기타 특수관계인 및 전환우선주 투자자, 교환사채 투자자, 주식매수선택권 보유자는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주4) 상기 시뮬레이션은 유상증자 후 행사 가능성을 고려하여 교환사채 교환권 행사, 전환우선주 전환권 행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주5) 교환사채는 교환권 전량 행사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교환대상 주식수(379,506주)의 경우 신고서 제출전일 현재 교환가액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6) 유상증자 후 전환우선주 전환가액 조정에 관하여 계약서 상 상충되는 내용이 있어 발행사와 투자자 간 협의가 진행 중입니다(본 신고서 기타위험의 '다. 주가 희석화에 따른 주가 하락 위험' 항목을 참고 바랍니다).
1) 전환가액 조정 1안의 경우, A = B x [{C + D x (E ÷ F)} ÷ G] (A: 본건 우선주식의 조정 후 전환가격, B: 본건 우선주식의 조정 전 전환가격, C: 기발행주식총수, D: 신발행주식 총수, E: 1주당 발행가액
(1차 발행가액), F: 발행시점의 보통주식의 1주당 시가 (1차 발행가액 산정일 9월 26일 종가 기준), G: 기발행주식 총수와 신발행주식 총수를 합산한 숫자)의 산식에 따른 A 56,000원(호가 절상 기준, 전환비율 우선주 1주당 보통주 약 1.6303571주)에 따라 산정되었으며,
2) 전환가액 조정 2안의 경우, 
1차 발행가액 6,530원(전환비율 우선주 1주당 보통주 약 13.9816233주)에 따라 산정되었습니다.
주7)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예정 수량은 금번 유상증자 상장예정일 기준 행사기간이 미도래한 수량은 제외하고 행사기간 중에 있는 272,460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8) 2023년 11월 3일 (주)테라젠이텍스가 당사 보통주식을 대상으로 발행한 교환사채 권면총액 100억원 중 65억원을 만기전 취득하였습니다. (주)테라젠이텍스의 '교환사채 발행후 만기전 사채 취득' 공시에 따르면, 해당 사채 취득 후 재매각 및 소각은 추후 대표이사의 결정으로 이사회에서 위임할 예정이므로 상기 시뮬레이션에는 교환사채 발행대상 주식수를 조정하지 않았습니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주)테라젠이텍스의 추후 공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Source. 당사 제시


(후략)

[주8] 정정 후

(생략)

이처럼 주식매수선택권, 교환사채, 전환우선주 등이 행사될 경우 주식 희석에 따라 최대주주 지분율이 하락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율 변동 시뮬레이션(구주매각, 유상증자 및 주식매수선택권 등 행사 후)]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전일) (단위 : 주)
성 명 구주매각 전 2대주주의
구주매각 후
유상증자 후  교환사채 (EB)
교환권 행사 후
전환우선주 (CPS)
전환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1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1안)
전환우선주 (CPS)
전환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2안)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후
(전환가액 조정 2안)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주)테라젠이텍스 3,100,000 14.65% 3,100,000 14.65% 4,931,039 14.65% 4,551,533 13.52% 4,551,533 13.50% 4,551,533 13.39% 4,551,533 13.06% 4,551,533 12.96%
김성진 2,124,780 10.04% 1,835,580 8.67% 2,149,334 6.38% 2,149,334 6.38% 2,149,334 6.38% 2,149,334 6.33% 2,149,334 6.17% 2,149,334 6.12%
기타 특수관계인 1,706,982 8.07% 1,706,982 8.07% 1,706,982 5.07% 1,706,982 5.07% 1,706,982 5.06% 1,706,982 5.02% 1,706,982 4.90% 1,706,982 4.86%
소계 6,931,762 32.75% 6,642,562 31.39% 8,787,355 26.10% 8,407,849 24.98% 8,407,849 24.94% 8,407,849 24.74% 8,407,849 24.13% 8,407,849 23.94%
전환우선주 투자자 82,146 0.39% 82,146 0.39% 82,146 0.24% 82,146 0.24% 128,203 0.38% 128,203
0.38% 1,264,743 3.63% 1,264,743
3.60%
교환사채 투자자 0 0.00% 0 0.00% 0 0.00% 379,506 1.13% 379,506 1.13% 379,506 1.12% 379,506 1.09% 379,506 1.08%
주식매수선택권 보유자 0 0.00% 0 0.00% 0 0.00% 0 0.00% 0 0.00% 272,460 0.80% 0 0.00% 272,460 0.78%
기타 주주 14,148,933 66.86% 14,438,133 68.22% 24,793,340 73.65% 24,793,340 73.65% 24,793,340 73.55% 24,793,340 72.96% 24,793,340 71.15% 24,793,340 70.60%
21,162,841 100.00% 21,162,841 100.00% 33,662,841 100.00% 33,662,841 100.00% 33,708,898
100.00% 33,981,358 100.00%
34,845,438 100.00%
35,117,898 100.00%
주1) 상기 시뮬레이션의 지분율은 의결권 있는 주식을 기준으로 산정된 것으로서 전환우선주 투자자 및 교환사채 투자자, 주식매수선택권 보유자가 각각 전환권 및 교환권,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기 이전에는 상기 주식수 및 지분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주2) 2대주주의 구주매각은 2023년 10월 10일 장외대량매매 방식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주3) 2대주주의 유상증자 청약률은 25%로 가정하였으며, 기타 특수관계인 및 전환우선주 투자자, 교환사채 투자자, 주식매수선택권 보유자는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습니다.
주4) 상기 시뮬레이션은 유상증자 후 행사 가능성을 고려하여 교환사채 교환권 행사, 전환우선주 전환권 행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순으로 진행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주5) 교환사채는 교환권 전량 행사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교환대상 주식수(379,506주)의 경우 신고서 제출전일 현재 교환가액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6) 유상증자 후 전환우선주 전환가액 조정에 관하여 계약서 상 상충되는 내용이 있어 발행사와 투자자 간 협의가 진행 중입니다(본 신고서 기타위험의 '다. 주가 희석화에 따른 주가 하락 위험' 항목을 참고 바랍니다).
1) 전환가액 조정 1안의 경우, A = B x [{C + D x (E ÷ F)} ÷ G] (A: 본건 우선주식의 조정 후 전환가격, B: 본건 우선주식의 조정 전 전환가격, C: 기발행주식총수, D: 신발행주식 총수, E: 1주당 발행가액
(확정 발행가액),F: 발행시점의 보통주식의 1주당 시가 (확정 발행가액 산정일 12월 04일 종가 기준), G: 기발행주식 총수와 신발행주식 총수를 합산한 숫자)의 산식에 따른 A 58,500원(호가 절상 기준, 전환비율 우선주 1주당 보통주 약 1.5606838주)에 따라 산정되었으며,
2) 전환가액 조정 2안의 경우, 
확정 발행가액 5,930원(전환비율 우선주 1주당 보통주 약 15.3962901주)에 따라 산정되었습니다.
주7)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예정 수량은 금번 유상증자 상장예정일 기준 행사기간이 미도래한 수량은 제외하고 행사기간 중에 있는 272,460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8) 2023년 11월 3일 (주)테라젠이텍스가 당사 보통주식을 대상으로 발행한 교환사채 권면총액 100억원 중 65억원을 만기전 취득하였습니다. (주)테라젠이텍스의 '교환사채 발행후 만기전 사채 취득' 공시에 따르면, 해당 사채 취득 후 재매각 및 소각은 추후 대표이사의 결정으로 이사회에서 위임할 예정이므로 상기 시뮬레이션에는 교환사채 발행대상 주식수를 조정하지 않았습니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주)테라젠이텍스의 추후 공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Source. 당사 제시


(후략)

[주9]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 조달 금액

(단위: 원)
구 분  금 액
 총 공모금액 (1)  81,625,000,000
 발행제비용 (2) 1,413,267,500
 순 수 입 금 [ (1)-(2) ]  80,211,732,500
주1) 상기 금액은 1차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주3) 발행제비용은 당사가 보유중인 자체 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원)
구 분 금 액 지급일자 계산근거

발행분담금

14,692,500

신고서제출일

모집총액의 0.018%(10원 미만 절사)
대표주관수수료 195,900,000 납입일 3영업일 이내 납입금액의 0.24%

인수수수료

1,061,125,000 납입일 3영업일 이내 납입금액의 1.3%
표준코드발급수수료 10,000 표준코드발급 신청일 신주인수권증서 건당 10,000원

상장수수료

10,540,000

신주상장일

910만원 + 1,0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5만원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 14)
주식발행등록수수료 1,000,000 - 1,000주당 300원(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 각각 별도 징수, 수수료 건당 상한 50만원 및 하한 4천원)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업무규정 시행세칙 별표)

등록세

25,000,000

등기일

증자 자본금의 0.4%

교육세

5,000,000

등기일

등록세의 20%

기타비용

100,000,000

-

투자설명서 인쇄 및 발송비, 표준코드발급비용 등

합 계

1,413,267,500

-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4) 발행제비용은 자체 보유현금을 통하여 지급할 계획입니다.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목적

(기준일 : 2023년 09월 26일 ) (단위 : 백만원)
시설자금 영업양수
자금
운영자금 채무상환
자금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기타
- - 81,625 - - - 81,625


나. 자금의 세부 사용내역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모집되는 자금은 파이프라인 임상개발 등에 49,381백만원, 전임상 과제에 13,490백만원, 탐색연구 500백만원, 관리비 (연구원 급여, 운영 등) 18,254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의 세부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자금용도 Project ID 합계 2024 2025 2026
1Q 2Q 3Q 4Q 1Q 2Q 3Q 4Q 1Q 2Q
운영자금 연구개발 임상개발
(A)
MP-VAC-204    2,571   530   530    251   251    250    250  250    260   -   - 
MP-VAC-301 30,000   -   5,000   5,000   5,000   2,000   2,000   2,000   3,000  3,000   3,000 
MP-VAC-209   7,033   250   250   1,035   1,035   1,035   1,040    165    178   1,029  1,016 
MP-VAC-COM    5,650        -       -      540     540      540    540  540     540  1,200   1,210 
MP-002(임상)    4,128        -       -         -   603  1,020   1,020   420   420   420   225 
소계(A)  49,381   780   5,780    6,826   7,429   4,845   4,850   3,375   4,398   5,649   5,451 
전임상
(신규타겟/ 플랫폼기술)
(B)
MP002    6,460   1,090   1,040   1,170   1,540   550    50   1,020    -      - 
MP010   4,650  300   300   300    550    550   550   550    550    500   500 
MP005 1,250  50    100  100  120    120   20   100   500   120  20 
MP007  1,130      80   70   80   110  90     40   30    500  90  40 
소계(B)  13,490   1,520   1,510  1,650   2,320   1,310   660   1,700  1,550    710    560 
탐색연구
(C)
탐색연구     500  20   170      50      90  20     40       -     50     20    40 
소계(C)    500     20    170  50    90     20      40       -     50     20     40 
관리비
(D)
연구원 급여 8,315      818    818    818   818     840    840    840   840   843    843 
연구소 운영 등 9,939  1,051   997  1,059   945   1,074    812   1,087    919   1,074   919 
소계(D)  18,254   1,868   1,814   1,877   1,763  1,914   1,652   1,927   1,759   1,917   1,762 
총합계 81,625 35,468 30,049 16,109
자료: 당사제시


1) 운영자금

(A) 임상 개발

 

1. MP-VAC-204 (MSS형 대장암, P1b/2a)


당사는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을 비롯한 유수의 국내 5개 병원에서 현미부수체 안정(Microsatellite stable, MSS)형 전이성 또는 국소 진행성 결장직장암 또는 위암/위식도 접합부 선암종 환자를 대상 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의 1b/2a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IND No. 31712, NCT No.03724851), 22년 7월 대상자 모집을 완료하고 추적 관찰 중입니다. 당사는 25년 말까지 이에 대한 임상 비용 (임상약제공, 임상환자 및 사이트관리, 임상결과 분석비용 등)과 바이오마커 탐색을 위한 혈장 및 종양조직에 대한 분석비용 (ELISA,조직면역화학분석,유전자분석 등) 으로 25.7억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최근 2018년 12월 20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등록된 환자 71명(대장암 59명, 위암 12명)에 대한 중간분석 (Interim Analysis, IA) 결과, 표준치료법(SOC)인 스티바가(Regorafenib) 대비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임상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전체 MSS형 대장암 환자군 105명에 대한 임상결과는 23년 10월 ESMO 학회에 초록이 채택되어 발표할 예정이며, 본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2b/3상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MP-VAC-204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204

임상 CRO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15.7

임상샘플 분석 비용

10.0

합계

25.7


2. MP-VAC-301 (MSS형 대장암, P2b/3)


당사는 앞선 MP-VAC-204 P1b/2a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다국가 임상개발을 위하여 올해 하반기에 미국 FDA에 IND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pre-IND 미팅/type C meeting 진행 완료).

임상2b/3상 시험의 성공을 결정짓는 primary endpoint (일차 평가변수)는 대조약물 대비 백토서팁의 전체생존기간 (median overall survival) 이며, 24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이 필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MP-VAC-204 결과 분석을 통하여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surrogate endpoint (대리 평가변수) 로써, 6 month PFS rate와 12 month OS rate를 선정하여 해당 변수에 대한 중간 분석(Interim Analysis)을 진행하여, 임상 성공율을 높이고자 합니다.

당사는 본 임상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주요한 임상 사이트인 미국 및 한국 각각에 CRO와 중앙실험실을 두어 관리할 예정입니다. 특히 2024년 2Q~4Q에는 중간분석을 진행하여 150억원의 임상비용을 지출할 예정이며, 2025년 상반기에는 중간분석결과를 확인 한 후 환자 등록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2025년에는 약 90억원, 26년 상반기에는 60억원을 지출하고자 합니다.

 

[MP-VAC-301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301

임상 CRO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230.0

임상샘플 분석 비용

70.0

합계

300.0

 

[임상3상 진행 일정]

분류

세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H

1H

2H

1H

2H

1H

2H

1H

2H

1H

2H

임상 3상
일정

FDA 미팅 등 임상준비

 

 



 

 

 

 

 

 

IND (임상시험계획) 신청





 

 

 

 

 

 

환자등록 및 투여

 







1차 GATE (중간분석)




 

 

 

 

 

 

 

2차 GATE (중간분석)

 

 

 

 

 

 

 

 

 

 

투여 완료 후 추적관찰(2년)

 

 

 

 

 

 

주) 상기 일정은 임상개발 전략의 변경,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기 일정은 전체 임상3상의 계획 중 중간분석결과를 확보하기 위한 일부 계획입니다)


[MP-VAC-301 글로벌 임상2b/3상 진행 총 예상 필요자금 규모]

2024년~2028년까지 예상되는 백토서팁 대장암 임상2b/3상 연구개발 비용 규모는 약 900~1,250억원으로예상되며, 24~26년 상반기까지는 필요한 자금은 약 300억원입니다. 당사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816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며, 본 임상연구 개발비는 전체 연구개발 비용 중 약 37%에 해당됩니다.

3. MP-VAC-209 (골육종, P1b/2a)


당사의 백토서팁은 미국에서는 2021년 8월에, 유럽에서는 2023년 7월에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고, 한국에서는 임상 2상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희귀의약품 지정을 신청할 계획입니다.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중인 임상 1상이 완료되면, 2025년에는임상 2상을 미국, 한국, 유럽에서 진행한 후, 해당 임상 2상 결과를 제출하여 미국, 한국, 유럽에서 조건부 허가를 받을 계획입니다.
골육종의 치료에는 백토서팁 단독 투약이 계획되어있고, 용량제한독성 발생여부에 따라 환자 등록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사는 우선 미국 및 한국의 임상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는 CRO 비용 및 임상 약 생산 및 제공, 임상 결과 분석 비용으로 24년 및 25년에 대해서 각각 약 25.7억원, 24.2억원 가량을 지출할 예정이며, 26년에는 임상 비용 일부와 바이오 마커 탐색을 위한 분석에 집중하여 20.4억원 가량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MP-VAC-209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209

임상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48.3

임상샘플 분석 비용

22.0

합계

70.3

 
4. MP-VAC-COM


당사는 다발성 골수종 및 위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한 연구자 주도의 임상 1상 시험을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임상적 유효성이 확인되는 질환에 대해서는 임상 2상 연구를 집중하여 진행할 예정입니다. 진행중인 임상 비용으로 2024년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56.5억원을 지출할 계획입니다.

본 임상시험의 수행을 위하여 IND 제출을 위한 10.8억원 가량이 2024년 하반기에 지출될 예정이며, 2025년에는 임상비용으로 IND승인 후 임상 진행을 위한 CRO관리비용, 임상약 생산 및 제공비용, 임상결과 분석비용으로 약 21.6억원이 지출되고, 26년 상반기에는 24.1억원 가량이 지출될 예정입니다.

[MP-VAC-COM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COM

임상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56.5

합계

56.5

 

5. MP002(임상)


당사는 전임상 연구가 진행중인 전임상 신규타겟 기술 중에서 MP002 MOART 물질(3.1항목 참조)에 대하여 24년 하반기에 임상1상을 위한 IND 제출 및 임상 준비(IND 제출 서류 준비 및 임상 사이트 선정 및 계약등)을 위하여 약 6억원이 지출될예정이며, 25년에는 IND승인 후 임상 비용(임상약 생산 및 제공, CRO운영비용, 임상결과 분석비용 등)으로 약 28.8억원 가량이 지출되고, 26년에는 6.5억원 가량이 지출될 예정입니다. 

 

[MOART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OART

IND 제출 및 임상 준비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6.0

임상 비용

35.3

합계

41.3

  

(B) 전임상 (신규타겟 / 플랫폼기술)

 

1. MP002 (Biologics)


MOART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차단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증가시켜, Th1 CD4 세포와 Th17 T 세포의 생성 및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사는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 모델에서 MP-2021-Fc-fusion protein의 투여가 관절염의 임상증상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골밀도를 개선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물질에 대하여, 임상 1상의 IND 신청에 필요한 랫드와 원숭이에서의 독성 시험을 유럽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연말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24년 1Q에 독성시험에 대한 최종보고서 수령하는 시점에 일부 비용을 지급할 예정이며, 임상 1상 시험 진행을 위한 CMO 생산비용이 24년 1Q~4Q에 순차적으로 지급될 예정입니다. 물질의 수율 개선 후 동등성 시험비용을 25년 3Q에 지급 할 예정입니다.

본 결과를 토대로 24년 말에는 IND를 신청 계획이며, 24년부터 26년 상반기까지 연구개발비용에 9.5억원과 비임상 및 CMO 생산 비용에 55.1억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MP002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02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9.5

비임상 / CMO 비용

55.1

합계

64.6

 

2. MP010 (Biologics)


당사는 과다 분비된 TGFβ만을 중성화하는 차세대 기술 고도화 전략으로 G5 물질을개발하였습니다. 췌장암 마우스 모델에 G5를 투여하여 효능을 검증한 결과, 세포독성 CD8+T cell 및 NK cell을 활성화하여 종양 미세 환경을 리프로그래밍하고, 암의 진행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결과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고, 25년 상반기에 임상1상 진행을 위한 PK 및 GLP-TOX 시험을 진행하여 25년 하반기 임상 1상을 위한 IND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하여 연구개발비용과 비임상 TOX(24년 하반기~25년 상반기) 및 CMO(2025년) / IND 준비(2025년 말) 비용으로 24년에는 14.5억원, 25년에는 22.0억원, 26년 상반기에는 10.0억원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MP010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10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10.1

비임상 TOX 및 CMO 비용,IND준비 비용

36.4

합계

46.5

 

3. MP005 (Biologics)


당사는 BAG2 물질이 다양한 악성 종양 환자의 혈청에서 과발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종양의 형성에 BAG2 단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다양한 면역결핍 마우스 모델에서 확인하였습니다. 획기적인 치료제 및 진단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현재 기술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셀로람과 치료 전략을 협의 중에 있습니다.

기술 고도화 작업을 위한 연구개발을 24년 하반기에 마칠 예정이며, 25년에는 비임상 TOX 시험 및 IND 제출을 준비할 예정입니다.

24년부터 25년까지 기술 고도화 작업을 위한 연구개발비용으로 11.1억원 가량을 지출할 예정이며, 26년 상반기에는 비임상 TOX 시험을 개시로 1.4억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MP005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05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11.1

비임상 TOX 개시

1.4

합계

12.5

 

4. MP007 (Biologics)


당사는 세포증식, 대사, 섬유증(liver, kidney and lung fibrosis) 및 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에 관여하며, 다양한 암종에서 전이를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LMCD1(LIM and cysteine-rich domains-1)를 타겟하는 항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선도물질 최적화 단계로 항체 개발 및 검증 단계에 있으며, 세포기반 유효성 평가 (in vitro)와 및 질환 기반 유효성 평가 (in vivo; 섬유증, 동맥경화, 암)를 24년부터 2년간 진행할 예정입니다. 치료제뿐만 아니라 개발된 항체를 활용하여 진단법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기술 고도화 및 선도물질 최적화 진행을 위하여 24년부터 26년 상반기까지 11.3억원을 지출할 계획입니다.

 

[MP007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07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5년 2분기

10.0

CMO 비용

1.3

합계

11.3

 

(C) 탐색연구

당사는 신규타겟 기반 플랫폼 개발 외에도 다양한 선도물질에 대한 최적화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블록버스터 신약개발을 위한 기반기술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글로벌 의약학 산업 트렌드에 따라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고 핵심적인 전략기술을 고도화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며, 2.5년간 5.0억원을 지출할 계획입니다.  

 

[탐색연구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탐색연구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2.4

재료비 등

2.6

합계

5.0

 

(D) 관리비용


임상개발, 신규타겟 기반 플랫폼 개발 및 탐색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우수한 R&D 인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건비 (R&D 인력에 대한 급여, 퇴직급여 및 4대보험료 등)를 분기별로 약 8.2억원씩 지출하여 24년부터 26년 상반기까지 약 83.1억원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연구소 운영비의 항목으로는 전략기술 고도화를 위한 노후 장비 교체 및 최신 장비 도입, 연구공간확보, 건물 관리비, 사무용품비, 데이터베이스 관리, 특허출원 및 유지비용, 논문 및 전문자료 구입비 비용 등이 포함되며 분기별로 
10억원 내외로 예산 내에서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24년도에는 40. 5억원, 25년도에는 38.9억원, 26년 상반기에는 19.9억원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관리비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탐색연구

R&D 연구원 급여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83.1

연구소 운영비 등

99.4

합계

182.5

 

다. 자금의 운용계획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시기까지의 조달금액은 국내 제 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투자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주9]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 조달 금액

(단위: 원)
구 분  금 액
 총 공모금액 (1)  74,125,000,000
 발행제비용 (2) 1,294,797,500
 순 수 입 금 [ (1)-(2) ]  72,830,202,500
주1) 상기 금액은 확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주3) 발행제비용은 당사가 보유중인 자체 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원)
구 분 금 액 지급일자 계산근거

발행분담금

13,342,500

신고서제출일

모집총액의 0.018%(10원 미만 절사)
대표주관수수료 177,900,000 납입일 3영업일 이내 납입금액의 0.24%

인수수수료

963,625,000 납입일 3영업일 이내 납입금액의 1.3%
표준코드발급수수료 10,000 표준코드발급 신청일 신주인수권증서 건당 10,000원

상장수수료

8,920,000

신주상장일

730만원+7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6만원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 14)
주식발행등록수수료 1,000,000 - 1,000주당 300원(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 각각 별도 징수, 수수료 건당 상한 50만원 및 하한 4천원)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업무규정 시행세칙 별표)

등록세

25,000,000

등기일

증자 자본금의 0.4%

교육세

5,000,000

등기일

등록세의 20%

기타비용

100,000,000

-

투자설명서 인쇄 및 발송비, 표준코드발급비용 등

합 계

1,294,797,500

-

-

주1) 상기 금액은 확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4) 발행제비용은 자체 보유현금을 통하여 지급할 계획입니다.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목적

(기준일 : 2023년 12월 04일 ) (단위 : 백만원)
시설자금 영업양수
자금
운영자금 채무상환
자금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기타
- - 74,125
- - - 74,125


나. 자금의 세부 사용내역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모집되는 자금은 파이프라인 임상개발 등에 43,882백만원, 전임상 과제에 13,490백만원, 탐색연구 500백만원, 관리비 (연구원 급여, 운영 등) 16,252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의 세부사용내역]

(단위: 백만원)
구분 자금용도 Project ID 합계 2024 2025 2026
1Q 2Q 3Q 4Q 1Q 2Q 3Q 4Q 1Q 2Q
운영자금 연구개발 임상개발
(A)
MP-VAC-204 2,571 530 530 251 251 250 250 250 260

MP-VAC-301 25,500
5,000 5,000 5,000 1,500 1,500 1,500 2,000 2,000 2,000
MP-VAC-209 6,033 250 250 785 785 1,035 1,040 165 178 779 766
MP-VAC-COM 5,650

540 540 540 540 540 540 1,200 1,210
MP-002(임상) 4,128


603 1,020 1,020 420 420 420 225
소계(A) 43,882 780 5,780 6,576 7,179 4,345 4,350 2,875 3,398 4,399 4,201
전임상
(신규타겟/ 플랫폼기술)
(B)
MP002 6,460 1,090 1,040 1,170 1,540 550 50 1,020


MP010 4,650 300 300 300 550 550 550 550 550 500 500
MP005 1,250 50 100 100 120 120 20 100 500 120 20
MP007 1,130 80 70 80 110 90 40 30 500 90 40
소계(B) 13,490 1,520 1,510 1,650 2,320 1,310 660 1,700 1,550 710 560
탐색연구
(C)
탐색연구 500 20 170 50 90 20 40
50 20 40
소계(C) 500 20 170 50 90 20 40 - 50 20 40
관리비
(D)
연구원 급여 8,315 818 818 818 818 840 840 840 840 843 843
연구소 운영 등 7,937 841 798 847 756 859 650 857 735 859 735
소계(D) 16,252 1,659 1,616 1,665 1,574 1,699 1,490 1,697 1,575 1,702 1,578
총합계 74,125 34,158 26,758 13,210
자료: 당사제시


1) 운영자금

(A) 임상 개발

 

1. MP-VAC-204 (MSS형 대장암, P1b/2a)


당사는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을 비롯한 유수의 국내 5개 병원에서 현미부수체 안정(Microsatellite stable, MSS)형 전이성 또는 국소 진행성 결장직장암 또는 위암/위식도 접합부 선암종 환자를 대상 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 병용의 1b/2a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IND No. 31712, NCT No.03724851), 22년 7월 대상자 모집을 완료하고 추적 관찰 중입니다. 당사는 25년 말까지 이에 대한 임상 비용 (임상약제공, 임상환자 및 사이트관리, 임상결과 분석비용 등)과 바이오마커 탐색을 위한 혈장 및 종양조직에 대한 분석비용 (ELISA,조직면역화학분석,유전자분석 등) 으로 25.7억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최근 2018년 12월 20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등록된 환자 71명(대장암 59명, 위암 12명)에 대한 중간분석 (Interim Analysis, IA) 결과, 표준치료법(SOC)인 스티바가(Regorafenib) 대비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임상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전체 MSS형 대장암 환자군 105명에 대한 임상결과는 23년 10월 ESMO 학회에 초록이 채택되어 발표할 예정이며, 본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2b/3상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MP-VAC-204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204

임상 CRO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15.7

임상샘플 분석 비용

10.0

합계

25.7


2. MP-VAC-301 (MSS형 대장암, P2b/3)


당사는 앞선 MP-VAC-204 P1b/2a 임상시험을 바탕으로 다국가 임상개발을 위하여 올해 하반기에 미국 FDA에 IND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pre-IND 미팅/type C meeting 진행 완료).

임상2b/3상 시험의 성공을 결정짓는 primary endpoint (일차 평가변수)는 대조약물 대비 백토서팁의 전체생존기간 (median overall survival) 이며, 24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이 필요한 지표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MP-VAC-204 결과 분석을 통하여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surrogate endpoint (대리 평가변수) 로써, 6 month PFS rate와 12 month OS rate를 선정하여 해당 변수에 대한 중간 분석(Interim Analysis)을 진행하여, 임상 성공율을 높이고자 합니다.

당사는 본 임상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주요한 임상 사이트인 미국 및 한국 각각에 CRO와 중앙실험실을 두어 관리할 예정입니다. 특히 2024년 2Q~4Q에는 중간분석을 진행하여 150억원의 임상비용을 지출할 예정이며, 2025년 상반기에는 중간분석결과를 확인 한 후 환자 등록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2025년에는 약 65억원, 26년 상반기에는 40억원을 지출하고자 합니다.

 

[MP-VAC-301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301

임상 CRO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200.0

임상샘플 분석 비용

55.0

합계

255.0

 

[임상3상 진행 일정]

분류

세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H

1H

2H

1H

2H

1H

2H

1H

2H

1H

2H

임상 3상
일정

FDA 미팅 등 임상준비

 

 



 

 

 

 

 

 

IND (임상시험계획) 신청





 

 

 

 

 

 

환자등록 및 투여

 







1차 GATE (중간분석)




 

 

 

 

 

 

 

2차 GATE (중간분석)

 

 

 

 

 

 

 

 

 

 

투여 완료 후 추적관찰(2년)

 

 

 

 

 

 

주) 상기 일정은 임상개발 전략의 변경, 규제기관의 정책변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기 일정은 전체 임상3상의 계획 중 중간분석결과를 확보하기 위한 일부 계획입니다)


[MP-VAC-301 글로벌 임상2b/3상 진행 총 예상 필요자금 규모]

2024년~2028년까지 예상되는 백토서팁 대장암 임상2b/3상 연구개발 비용 규모는 약 900~1,250억원으로예상되며, 24~26년 상반기까지는 필요한 자금은 약 300억원입니다. 당사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741억원을 조달할 계획이며, 본 임상연구 개발비는 전체 연구개발 비용 중 약 34%에 해당됩니다.

3. MP-VAC-209 (골육종, P1b/2a)


당사의 백토서팁은 미국에서는 2021년 8월에, 유럽에서는 2023년 7월에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고, 한국에서는 임상 2상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희귀의약품 지정을 신청할 계획입니다.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중인 임상 1상이 완료되면, 2025년에는임상 2상을 미국, 한국, 유럽에서 진행한 후, 해당 임상 2상 결과를 제출하여 미국, 한국, 유럽에서 조건부 허가를 받을 계획입니다.
골육종의 치료에는 백토서팁 단독 투약이 계획되어있고, 용량제한독성 발생여부에 따라 환자 등록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당사는 우선 미국 및 한국의 임상 사이트를 관리할 수 있는 CRO 비용 및 임상 약 생산 및 제공, 임상 결과 분석 비용으로 24년 및 25년에 대해서 각각 약 20.7억원, 24.2억원 가량을 지출할 예정이며, 26년에는 임상 비용 일부와 바이오 마커 탐색을 위한 분석에 집중하여 15.4억원 가량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MP-VAC-209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209

임상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43.3

임상샘플 분석 비용

17.0

합계

60.3

 
4. MP-VAC-COM


당사는 다발성 골수종 및 위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질환에 대한 연구자 주도의 임상 1상 시험을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임상적 유효성이 확인되는 질환에 대해서는 임상 2상 연구를 집중하여 진행할 예정입니다. 진행중인 임상 비용으로 2024년부터 2026년 상반기까지 56.5억원을 지출할 계획입니다.

본 임상시험의 수행을 위하여 IND 제출을 위한 10.8억원 가량이 2024년 하반기에 지출될 예정이며, 2025년에는 임상비용으로 IND승인 후 임상 진행을 위한 CRO관리비용, 임상약 생산 및 제공비용, 임상결과 분석비용으로 약 21.6억원이 지출되고, 26년 상반기에는 24.1억원 가량이 지출될 예정입니다.

[MP-VAC-COM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VAC-COM

임상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56.5

합계

56.5

 

5. MP002(임상)


당사는 전임상 연구가 진행중인 전임상 신규타겟 기술 중에서 MP002 MOART 물질(3.1항목 참조)에 대하여 24년 하반기에 임상1상을 위한 IND 제출 및 임상 준비(IND 제출 서류 준비 및 임상 사이트 선정 및 계약등)을 위하여 약 6억원이 지출될예정이며, 25년에는 IND승인 후 임상 비용(임상약 생산 및 제공, CRO운영비용, 임상결과 분석비용 등)으로 약 28.8억원 가량이 지출되고, 26년에는 6.5억원 가량이 지출될 예정입니다. 

 

[MOART 관련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OART

IND 제출 및 임상 준비 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6.0

임상 비용

35.3

합계

41.3

  

(B) 전임상 (신규타겟 / 플랫폼기술)

 

1. MP002 (Biologics)


MOART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차단하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증가시켜, Th1 CD4 세포와 Th17 T 세포의 생성 및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사는 류마티스 관절염 마우스 모델에서 MP-2021-Fc-fusion protein의 투여가 관절염의 임상증상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골밀도를 개선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물질에 대하여, 임상 1상의 IND 신청에 필요한 랫드와 원숭이에서의 독성 시험을 유럽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연말에 완료될 예정입니다.
24년 1Q에 독성시험에 대한 최종보고서 수령하는 시점에 일부 비용을 지급할 예정이며, 임상 1상 시험 진행을 위한 CMO 생산비용이 24년 1Q~4Q에 순차적으로 지급될 예정입니다. 물질의 수율 개선 후 동등성 시험비용을 25년 3Q에 지급 할 예정입니다.

본 결과를 토대로 24년 말에는 IND를 신청 계획이며, 24년부터 26년 상반기까지 연구개발비용에 9.5억원과 비임상 및 CMO 생산 비용에 55.1억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MP002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02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9.5

비임상 / CMO 비용

55.1

합계

64.6

 

2. MP010 (Biologics)


당사는 과다 분비된 TGFβ만을 중성화하는 차세대 기술 고도화 전략으로 G5 물질을개발하였습니다. 췌장암 마우스 모델에 G5를 투여하여 효능을 검증한 결과, 세포독성 CD8+T cell 및 NK cell을 활성화하여 종양 미세 환경을 리프로그래밍하고, 암의 진행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결과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고, 25년 상반기에 임상1상 진행을 위한 PK 및 GLP-TOX 시험을 진행하여 25년 하반기 임상 1상을 위한 IND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하여 연구개발비용과 비임상 TOX(24년 하반기~25년 상반기) 및 CMO(2025년) / IND 준비(2025년 말) 비용으로 24년에는
14.5억원, 25년에는 22.0억원, 26년 상반기에는 10.0억원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MP010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10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10.1

비임상 TOX 및 CMO 비용,IND준비 비용

36.4

합계

46.5

 

3. MP005 (Biologics)


당사는 BAG2 물질이 다양한 악성 종양 환자의 혈청에서 과발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종양의 형성에 BAG2 단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다양한 면역결핍 마우스 모델에서 확인하였습니다. 획기적인 치료제 및 진단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현재 기술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셀로람과 치료 전략을 협의 중에 있습니다.

기술 고도화 작업을 위한 연구개발을 24년 하반기에 마칠 예정이며, 25년에는 비임상 TOX 시험 및 IND 제출을 준비할 예정입니다.

24년부터 25년까지 기술 고도화 작업을 위한 연구개발비용으로 11.1억원 가량을 지출할 예정이며, 26년 상반기에는 비임상 TOX 시험을 개시로 1.4억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MP005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05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11.1

비임상 TOX 개시

1.4

합계

12.5

 

4. MP007 (Biologics)


당사는 세포증식, 대사, 섬유증(liver, kidney and lung fibrosis) 및 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에 관여하며, 다양한 암종에서 전이를 증가시키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LMCD1(LIM and cysteine-rich domains-1)를 타겟하는 항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선도물질 최적화 단계로 항체 개발 및 검증 단계에 있으며, 세포기반 유효성 평가 (in vitro)와 및 질환 기반 유효성 평가 (in vivo; 섬유증, 동맥경화, 암)를 24년부터 2년간 진행할 예정입니다. 치료제뿐만 아니라 개발된 항체를 활용하여 진단법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기술 고도화 및 선도물질 최적화 진행을 위하여 24년부터 26년 상반기까지 11.3억원을 지출할 계획입니다.

 

[MP007 세부 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MP007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5년 2분기

10.0

CMO 비용

1.3

합계

11.3

 

(C) 탐색연구

당사는 신규타겟 기반 플랫폼 개발 외에도 다양한 선도물질에 대한 최적화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블록버스터 신약개발을 위한 기반기술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글로벌 의약학 산업 트렌드에 따라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고 핵심적인 전략기술을 고도화하는데 집중할 계획이며, 2.5년간 5.0억원을 지출할 계획입니다.  

 

[탐색연구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탐색연구

연구개발비용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2.4

재료비 등

2.6

합계

5.0

 

(D) 관리비용


임상개발, 신규타겟 기반 플랫폼 개발 및 탐색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우수한 R&D 인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건비 (R&D 인력에 대한 급여, 퇴직급여 및 4대보험료 등)를 분기별로 약 8.2억원씩 지출하여 24년부터 26년 상반기까지 약 83.1억원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연구소 운영비의 항목으로는 전략기술 고도화를 위한 노후 장비 교체 및 최신 장비 도입, 연구공간확보, 건물 관리비, 사무용품비, 데이터베이스 관리, 특허출원 및 유지비용, 논문 및 전문자료 구입비 비용 등이 포함되며 분기별로 
8억원 내외로 예산 내에서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에따라 24년도에는 32. 4억원, 25년도에는 31.0억원, 26년 상반기에는 15.9억원을 지출할 예정입니다.

[관리비 세부지출 계획] 

구분

세부내역

기간

금액 (억원)

탐색연구

R&D 연구원 급여

2024년 1분기
~ 2026년 2분기

83.1

연구소 운영비 등

79.4

합계

162.5

 

다. 자금의 운용계획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 중 일부 자금은 조달시기와 사용시기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시기까지의 조달금액은 국내 제 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투자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3년 11월 06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05000444

메드팩토 (23598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