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권관련사채권의취득결정(자율공시) 2024-01-17 17:3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117900462
주권 관련 사채권의 취득결정(자율공시)
1. 주권 관련 사채권의 종류 | 전환사채권 | ||||
회차 | 7 | 종류 |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
2. 사채권 발행회사 | 회사명(국적) | 에이치엘비파나진 (주)(대한민국) | 대표이사 | 장인근 | |
자본금(원) | 20,502,263,500 | 회사와 관계 | - | ||
발행주식총수(주) | 41,004,527 | 주요사업 | 유전자 진단제품 개발 및 제조 판매 | ||
최근 6월 이내 제3자 배정에 의한 신주취득 여부 | 아니오 | ||||
3. 취득내역 |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원) | 2,000,000,000 | |||
취득금액(원) | 2,000,000,000 | ||||
자기자본(원) | 30,674,989,506 | ||||
자기자본대비(%) | 6.52 | ||||
대기업 여부 | 미해당 | ||||
4. 취득방법 | 현금 취득 | ||||
5. 취득목적 | 신규 컨텐츠 개발 등 협력관계 구축 | ||||
6. 취득예정일자 | 2024-01-24 | ||||
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4-01-17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1 | |||
불참(명) | 0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 ||||
8.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9. 풋옵션계약 등의 체결여부 | 아니오 | ||||
- 계약내용 | - | ||||
1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
1. 상기 "2.사채권 발행회사"에서 "자본금(원)"은 2023년 3분기 재무제표상 자본금으로 작성하였고, "발행주식총수(주)"는 공시제출일 현재 총 발행주식수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3.취득내역 > 자기자본"은 2022년 말 연결재무제표상 자본총계에서 공시제출일까지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 증감내역을 반영한 금액입니다. 3. 발행회사는 12월 결산법인으로, 하기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의 "당해연도"는 2022년도입니다. | |||||
※ 관련공시 | - |
구분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감사의견 | 외부감사인 |
당해년도 | 34,673 | 2,984 | 31,689 | 16,068 | 14,171 | 2,240 | 적정 | 삼덕회계법인 |
전년도 | 31,909 | 2,066 | 29,844 | 16,068 | 15,601 | 4,967 | 적정 | 삼덕회계법인 |
전전년도 | 27,232 | 2,162 | 25,070 | 16,068 | 16,267 | 4,916 | 적정 | 삼덕회계법인 |
【 전환사채에 관한 사항 】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0 | |
만기이자율(%) | 0 | ||
사채만기일 | 2027-01-24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비율(%) | 100 | |
전환가액(원/주) | 3,999 | ||
전환가액 결정방법 | 본 사채 발행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하여 산정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청약일(청약일이 없는 경우는 납입일) 전 제3거래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으로써 원단위 미만을 절상한 금액 | ||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의 종류 | 에이치엘비파나진(주) 보통주 | ||
전환청구기간 | 시작일 | 2025-01-24 | |
종료일 | 2026-12-24 | ||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가. 본 사채를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무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주식분할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본목에 따른 전환가격의 조정일은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으로 인한 신주발행일로 한다. 명확히 하면, 유상증자,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의 발행은 본 항의 조정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조정 후 전환가격 = 조정 전 전환가격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주가(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로 한다. 나.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발행회사는 당해 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전환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발행회사가 이러한 조치를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전환사채권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발행회사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또한, 발행회사는 전환사채권자의 권리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방식으로 합병, 분할 및 영업양수도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계속 상장을 유지할 의무를 부담한다. 다.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격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격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격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라. 위 가.목 내지 다.목에 의하여 조정된 전환가격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격으로 하며, 각 전환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마. 본호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격 중 원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 ||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117900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