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3 16:1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1015
2024년 03 월 13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제놀루션 | |
대 표 이 사 : | 김 기 옥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3길 63(마곡동) | |
(전 화)02)449-8670 | ||
(홈페이지)http://www.genolution.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관리본부장 | (성 명) 김 상 훈 |
(전 화) 02)449-8670 | ||
(제18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회사 정관 제19조에 의하여 제1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03월 29일(금) 오전 10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2로 10,
코트야드 서울 보타닉 파크 2층 Maple room 4, 5호
3. 보고사항 :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4. 회의 목적사항
○ 제1호 의안 : 제18기(2023.01.01~2023.12.31)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등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 승인의 건
제2-1호 의안 : 사업의 목적 일부 변경의 건
제2-2호 의안 : 전환사채 발행한도 축소의 건
제2-3호 의안 :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한도 축소의 건
제2-4호 의안 : 교환사채 발행한도 축소의 건
제2-5호 의안 : 주주총회 소집지 추가의 건
○ 제3호 의안 : 사내이사 김기옥 선임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 송태회 선임의 건
○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6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5. 의결권 대리행사에 관한 사항
의결권 대리행사를 원하시는 경우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https://genolution.co.kr/)에 게시된 위임장을 작성하신 후 회사로 우편 송부하여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위임장 보내실 곳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8로 3길 63
제놀루션 IR팀 주주총회 담당자 앞 (우편번호 07793)
6. 주주총회 참석자 지참물 안내
가. 주주 본인 : 본인 신분증
나. 대리인 :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 위임인(주주)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 주민등록번호는 중복주주 판별을 위해 현장에서 확인 후 즉시 삭제하며,
별도 수집, 보관하지 않습니다.
- 위임인(주주)의 날인 또는 서명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함을 안내드립니다.
2024년 03월 13일
주식회사 제놀루션 대표이사 김 기 옥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 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이사의 성명 | |
사외이사 김인준 (100%) | 사외이사 이학수 (92%) | ||||
찬반여부 | |||||
1 | 2023.01.13 |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대출 신규 차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2 | 2023.02.09 | 1. 제17기(2022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2. 내부회계관리 운영실태 보고 및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
3 | 2023.02.23 | 1. 제17기(2022년도)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2. 사내이사 김민이 추천의 건 | 찬성 | 찬성 | |||
3. 사외이사 이학수 추천의 건 | 찬성 | - | |||
4. 감사 송태회 추천의 건 | 찬성 | 찬성 | |||
5. 전자투표제 도입의 건 | 찬성 | 찬성 | |||
4 | 2023.04.03 | 준비금의 자본전입(무상증자)에 관한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5 | 2023.04.17 | 준비금의 자본전입(무상증자)의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불참 |
6 | 2023.04.20 |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대출 신규 차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7 | 2023.05.15 | 리코 ORUM 벤처기업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6호 출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8 | 2023.05.16 | 송도2사옥 시설투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9 | 2023.06.15 | 중요한 사규(이사회규정,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10 | 2023.06.29 | 신영 Pre-IPO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출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11 | 2023.07.10 |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12 | 2023.10.20 | 종속회사 설립을 위한 자본금 출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13 | 2023.11.13 | 기업은행 운영자금대출 신규 차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3,000 | 24 | 12 | - |
주)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2명을 포함한 4명의 이사보수 한도액입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용어설명]
용어 | 설명 |
체외진단 | 질병의 확진 및 예후, 건강상태 판정, 질병 치료효과 판정, 예방 등의 목적으로 혈액, 체액, 조직 등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 신체 밖에서 신속하게 진단하는 기술 |
분자진단 | 대표적인 체외진단 기법으로, 인체나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DNA, RNA의 분자 수준 변화를 검출해 질병 등을 진단하는 검사방법 |
검체 | 검사 대상(인체)으로부터 체취된 검사에 필요한 재료(혈액, 체액, 조직 등) |
생검/ 액체생검 | 생검은 생체검사의 준말. 일반적으로 조직생검을 말하며, 환자의 병이 있는 부위의 조직 일부를 잘라내어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는 방법. 액체생검은 비침습적인 검사 기술로서 체액 (혈액, 소변 등)의 다양한 생체표지 (biomarker)를 분석하여, 질병의 조기검진, 동반진단 및 전 과정을 추적 관찰하는 검진법. |
바이오마커 | 세포나 혈관, 단백질이나 DNA, RNA 등을 이용해 체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로 생명체의 정상 또는 병리적인 상태, 약물에 대한 반응 정도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함 |
ccfDNA | circulating cell-free DNA, 순환 세포 유리 DNA. 혈액내 떠다니는 세포 외에 존재하는 짧은 단편 DNA으로서 액체생검의 한 바이오마커. |
ctDNA | Circulating tumor DNA, 순환 암 유래 DNA. 혈액내 떠다니는 세포외에 존재하는 암으로부터 유래한 DNA로서 액체생검의 한 바이오마커. |
GMP | 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약칭. 식품·의약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품질면에서 보증하는 기본 조건으로서의 우수식품·의약품의 제조·관리기준 |
PCR |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 효소 연쇄 반응 표적 유전자를 DNA 중합효소를 통해 반복적인 반응을 통해 증폭시켜 검출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적 방법. |
RNAi | RNA interference, RNA 간섭 기전 이중가닥 RNA (dsRNA; double-stranded RNA)가 염기서열 특이적으로 mRNA에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해당 mRNA를 분해함에 따라 표적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 |
RNA | 리보핵산. 핵산의 일종이며, 주로 생물체의 유전 정보를 담은 유전물질. DNA를 주형으로 합성되며, 유전 정보의 전달, 유전자 발현 조절 등의 역할을 수행함 |
dsRNA | Double-stranded RNA, 이중가닥 리보핵산 두 가닥의 나선 형태의 구조를 가진 리보핵산. |
(1)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현황
국내에서는 바이오산업을 의약바이오, 의료서비스부문, 의료기기부문, 산업바이오부문, 그린바이오 부문 등 5가지로 분류를 합니다. 당사의 주요사업은 의료기기 분류 내에서 체외진단의료기기 부분을 주로 연구개발,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산업분류 |
(가) 체외진단산업의 분류 및 특성
글로벌 체외진단시장의 분류 |
체외 진단검사(In Vitro Diagnostics)는 특정 질병 진단, 특정 질병 유발 가능성 평가,치료제 선정 및 용량선정, 치료제 유효성 점검, 예후예측, 환자군 분류 등 다양한 유용성을 가집니다.
분류 | 설명 |
면역화학 | 임상면역학적 분석 및 화학분석을 통한 진단 |
자가혈당측정 | 개인 당뇨관리를 위한 제품 |
현장진단의료기기 | 질병에 대학 즉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목적으로 이용 |
분자진단 | 병원체의 DNA, RNA를 검출하거나 세포의 DNA, RNA를 분석하는 방법 |
혈액진단 | 혈액 내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 혈색소 농도를 측정하여 혈액의 변화를 파악하는 방법 |
임상미생물학 | 미생물 감염을 진단하고, 적절한 항생제 및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는 진단 |
지혈진단 | 혈액 응고 진단을 의미하며, 출혈성 질환 및 혈소판 장애, 자가 면역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 |
출처 : Frost&Sullivan, Analysis of the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2014),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또한 분자진단은 체외 진단검사 방법 중 조기진단이 가능하고 다른 검사와 다르게 한번의 검사로 여러 가지 유전자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어 간단한 조기 진단을 통한 질환의 조기발견으로 의료비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분자진단은 기초의료과학 분야, 병원과 검사실간의 통신의 전산화, 의학기술 발전 및 자동화를 위한 기기의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타 분야와 유기적 협조가 필요하므로 기술파급효과가 큽니다.
사업적 측면에서는 진단 기술의 경우 기술자체가 제품화 되어 연구개발투자 대비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하나의 기술을 개발하는데 걸리는 기간과 상용화하기까지의 기간이 길고 투자비용이 높다는 점은 시장진입장벽이 될 수 있습니다.
(나) 분자진단산업의 특성
1)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
분자진단 산업은 핵심기술을 보유한 소수의 글로벌 기업이 전체 시장의 50%점유할 만큼 시장 을 과점하고 있는 상황으로 지적재산권과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세계적 분자진단기업인 R社의 경우 원천기술을 통해 20년 동안 매년 수천억 원의 매출을 기록할 정도로 분자진단사업은 고부가가치 창출 산업임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2) IT, NT 융합적 첨단산업
현재 체외진단산업의 분자진단산업은 약학, 의학, 미생물학, 유전공학, 전자공학, 화학공학 등 최첨단의 기술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첨단산업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척할 수 있는 파급효과가 큰 첨단산업입니다.
3) 국민건강을 증진시키는 국민보건산업
바이오 진단산업은 건강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둔 산업으로, 병의 원, 약국, 보건소 등 보건의료서비스산업이 포함되는 보건산업으로 분류되어지는 산업입니다. 최근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로 들어서면서 진단산업에 대한 중요성과 의료비용의 절감 및 의료 서비스의 효율성 제고측면에서 체외진단검사 산업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성장 잠재력이 높은 산업
미국 및 유럽 등 선진시장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예방과 관련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해외 유수기업들도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분자진단 관련 기업의 인수합병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도 삼성, LG, SKT 등의 대기업들도 분자진단 산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기에 시장 성장 잠재력이 높은 산업입니다.
(다) 산업의 성장성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전체 매출은 2021년 기준 992억 달러로, 연평균 6.9% 증가하여, '26년 1,383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북미 지역 국가의 지속적 성장이 예상되어 '21년 체외진단 성장률은 13.1%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유럽이 연평균 4.9%로 증가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출처 : Frost&Sullivan) 또한, 고급 유전자 테스트의 수요로 인한 분자진단의 장기적으로 영향을 줌으로써, 감염병 및 유전질환 테스트의 수요로 인해 분자진단이 헬스케어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현장현시검사의 증가, 건강진단 테스트의 수요증가로 인해 체외진단에서의 분자진단사업은 높은 성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진단시장 현황
(가) 체외진단기기 시장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규모는 2018년 600억 달러에서 연평균 6.73%로 성장하여 2023년 831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세계 경제상황이나 산업의 불황 속에서도 '치료의학' 시대에서 '예방의학' 시대로 이행하는 전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진단의학에 대한 수요와 시장이 크게 증가해가고 있습니다.
글로벌 체외진단시장전망 |
출처: TechNavio,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2018),체외진단(IVD)시장,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2021.5)
분자진단은 2018년 73억 5,57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8.7%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111억 6,62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체외진단 분야 기술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매출액 및 성장률 상위 분야] |
글로벌체외진단시장매출액및성장율상위분야 |
또 다른 자료에 따르면 2017년 80억 1,270만 달러에서 2025년에는 138억 7,36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특히 2017년 기준, 북미의 시장 (전체의 45%)이 제일 큰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감염성 질환이 해당 시장의 60%를 차지합니다.
global molecular diagnostics marker |
molecular diagnostics market |
(나) 체외진단시장의 지역별 매출
2020년 기준 북미 지역이 39.7%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글로벌 분자진단 시장의 지역별 시장 규모 및 전망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marketsandmarkets, molecular diagnostics market, 2020 |
(다) 체외진단시장 글로벌 기업별 경쟁구도
출처 프로스트앤설리번,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 outlook, 2021, 2021. 9,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은 매우 세분화 되어 있으며, 그 중 상위 2개 기업(로슈 진단, 애보트 연구소)이 전체시장 규모의 29.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규모의 체외진단기기업체, 제약업체, 신생헬스케어 업체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공급확장, 신흥시장으로의 진입, 시장점유율 확대 등을 위한 전략으로 M&A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또한, 동반 진단시험과 맞춤의료의 성공으로 다양한 체외진단 시험의 활용도를 높여 검사부분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들이 열릴 예정이며 해당분야에서 핵산추출은 필수적입니다.
(라) 핵산추출 장비 및 시약 규모
글로벌 핵산 추출 장비 시장 은 성장률 5.0%로서 2019년 $490 million에서 2024년 $620 million으로 전망이 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핵산 추출 시약 시장 은 성장률 7.31%으로서 2019년 $1.5 billion에서 2023년 $2.0 billion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핵산 추출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분자진단, 정밀의학, 유전공학 등과 같은 글로벌 유전체 시장이 2017년 147억 1천만달러에서 2023년 269억 6천만달러까지 연평균 10.6%의 빠른 성장 속도를 보임에 따라 이와 더불어 핵산 추출 시장 또한 보다 확장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유전체시장 |
출처 : 생명공학연구센타, Global Genomics Industry Outlook, 2017-2023(F&S분석)2018.8
(마) 시장경쟁 현황
분자진단사업 및 RNAi 서비스사업의 국내외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품군 | 구분 | 주요 기업 |
핵산추출시약제품 | 국내 | 바이오니아,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
해외 | Qiagen, Promega | |
핵산추출기기 | 국내 | 바이오니아 |
해외 | Qiagen, Promega | |
RNAi 서비스 | 국내 | 바이오니아 |
해외 | Life Technology, GE Dharmacon, Qiagen | |
dsRNA | 국내 | - |
해외 | Eurofines, Bio-Synthesis |
자료: 당사 자체 시장조사 결과
1) 핵산추출시약/핵산추출기기 제품 경쟁상황
RNA/DNA 추출과 정제는 Cloning, Sequenc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와 같은 분자생물의 가장 기초라고 할 수 있습니다. RNA/DNA추출은 유전공학, 생명공학연구, 분자진단과 같은 분야에 적용 가능하여, 세계 유전학 시장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핵산 추출제품의 시장규모는 2013~2018년간 8.11%의 연평균성장률(CAGR)로 성장하였으며 동 시장은 생명과학연구, 유전체학 시장의 빠른 성장으로 상당한 이익창출이 기대됩니다. 동 시장에서의 주요 경쟁사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제조사 | 제품명 |
핵산추출시약 | 바이오니아 | ExiPrepTM Dx Blood Viral DNA Kit |
QIAGEN | QIAamp Viral RNA Mini Kit | |
프로메가 | Maxwell RSC Blood DNA Kit | |
핵산추출기기 | 바이오니아 | ExiPrepTM96 Lite |
QIAGEN | QIAcube | |
프로메가 | Maxwellⓡ16 MDx |
자료: 당사 자체 시장조사 결과
2) RNAi서비스/방제 제품 경쟁상황
Small RNA (siRNA/miRNA) 합성서비스를 진행하는 국내회사는 바이오니아가 유일하며, 해외회사는 Life Technology, GE Dharmacon, Qiagen등이 있습니다. long dsRNA합성 사업의 경우, 국내에서 합성을 진행하는 회사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소수의 회사만이 합성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당사와 같이 대용량 (Kg)으로 합성이 가능한 곳은 없는것으로 확인됩니다.
(3) 경기변동의 영향
(가) 경기변동 요인
분자진단 산업은 건강 및 보건과 관련된 산업이므로 경기 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낮은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시장의 수요자들은 가격적인 요인보다는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기업인지도가 높은 제품을 사용하는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 탄력성은 낮으며 경기변동 보다는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브랜드 파워가 매우 중요한 산업입니다.
(나) 계절적인 요인
분자진단 산업은 감염성 질환 진단, 암진단, 유전성 질환 진단 등의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암진단이나 유전성 질환 진단 등의 진단과 비교하여 감염성 질환 진단 분야는 계절적요인 및 대유행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종플루&조류독감 같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전염성 질병의 경우 대유행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있지만, 성감염성 질병처럼 특수한 감염 경로를 가지고 있는 질환의 경우 계절과 상관없이 질병이 발생하기 때문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4)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유전자 진단 원천기술은 제약에 비해 라이프사이클이 짧지 않으며 또한 대부분의 유전자 진단 원천기술은 지적재산권에 의해 보호받고, 의료 행위가 의학계의 확립된 표준 가이드라인에 의해 진단/처방이 행해지는 점으로 인해 개발/확립된 원천기술의 라이프사이클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사업영역
당사는 유전자 기반으로 하는 분자진단기기 사업과 RNAi(Ribonucleic Acid Interference) 연구관련 제품생산 및 서비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현재 영위하고있는 분자진단기기 사업은 인체로부터 유래된 시료(소변, Swab시료, 객담, 혈액, 혈장, 혈청 등)로부터 핵산(RNA/DNA)를 추출 할 수 있는 핵산추출시약과 시료로부터 RNA/DNA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자동화핵산추출기기를 주요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RNAi 연구관련 제품생산 및 서비스 사업에는 다양한 생물체에 RNA를 넣어주어 유전자 발현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long dsRNA(Double Stranded RNA) 방제관련 합성제품, 다양한 RNAi연구에 사용되는 shRNA(Short hairpin RNA), siRNA(Small Interfering RNA) 합성서비스를 포함합니다.
(2) 회사의 영업 및 생산
(가) 핵산추출시약
회사의 주력사업인 체외진단사업은 인체유래물질(객담, 혈액, 혈장, 혈청, 뇌척수액, 소변 등)로부터 DNA 또는 RNA를 추출하여 병원균의 유무를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핵산추출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현재 식약처에 등록된 핵산추출제품으로는 NX-48 Bacterial DNA Kit 외 13종 등이며, 이 제품은 종합병원 및 검사수탁기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여 제품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나) 핵산추출장비
회사에서 개발한 핵산추출장비인 Nextractor는 다양하고 많은 양의 시료로부터 DNA 또는 RNA를 연구자가 직접 추출하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개발한 장비이며, 기존 핵산추출장비와 비교했을 때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식약처에 제품이 등록되어있으며, 이 제품은 종합병원 및 검사수탁기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다) RNAi
RNAi 사업은 연구자들이 생체내의 유전자 기능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보편적인 기술로 사용되는 RNAi 기술에 근간을 둔 사업입니다. 당사에서 제공하는 small RNA(siRNA, miRNA, shRNA) 를 이용한 RNAi 기술 및 관련 제품(Transfection Reagent, RNA Extraction kit 등)을 국내 학교, 연구소 그리고 일부 기업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Long dsRNA 합성서비스의 경우, 농축산분야의 차세대 작물보호제 및 개량 작물 연구개발을 위한 유전자 발굴 및 제품개발에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국외 대학, 연구소, 글로벌 농화학회사 및 벤처 농업생명회사 등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신규 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핵산 추출을 필요로 하는 신규 분야인 액체생검은 전통적인 조직생검의 한계를 보완하여 체액의 DNA등 바이오마커를 통해 초기 진단뿐 아니라 전 질병 경과 추적을 통해서 개인 맞춤 정밀의학을 구현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액체생검 시장은 2017년 $0.740 billion 규모에서 2026년 $4.74 billion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Inkwood research).
정밀의학의 목표는 개인별로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며, 이것은 초기 진단뿐만 아니라 질병의 경과 전체에 해당합니다. 전 질병 경과를 통해서 맞춤치료를 최적화하기 위해 침습적이지 않고 손쉽게 채취가 가능한 혈액, 소변 등 체액으로부터 다양한 생체표지 (biomarker)를 분석하는 액체 생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중 혈액 속에 떠다니는 circulating cell-free DNA (ccfDNA, 순환 세포 유리 DNA)를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연구 및 임상적 활용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cfDNA 추출 시장 (Global cell-free DNA isolation and extraction market)의 경우 연성장률 19.3%에 따라 2026에는 $442.8 million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출처: BIS Research). 현재 ccfDNA 추출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기술은 자성입자 기반 및 silica column기반 추출법이 있습니다. 다방면의 연구 및 임상에 적용되는 글로벌 자성 입자 시장 (Global magnetic bead market)의 경우 2014년 $974.86 million에서 2017년 $1182.46 million을로 연평균 6.65%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2022년에 $1,614.76 million 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출처: HTF market report).
이에 당사는 액체생검을 위한 핵산추출기술개발을 위해 보유중인 기술을 토대로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새로운 제품들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갈 계획입니다. 당사의 신규 사업 개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술적 측면]
● 비침습적 산전 및 암검사에 적용 가능
기존의 침습적 산전검사 및 암검사에 비해, 비침습적 산전 검사는 임상부의 혈액및 암환자의 혈액만을 이용하여 태아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기형아를 높은 정확도로 선별 가능하며, 암의 조기진단 및 동반진단이 가능합니다.
개발대상의 기술을 통해 고수율의 ccfDNA 추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 후 진행되는 NGS를 포함한 유전자 및 염색체 분석 과정의 신속화 및 보편화에 이바지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른 유전체 분석의 대량화로 인해 집결된 태아들의 유전체정보를 빅테이터로 구축할 수 있으며, 현재 분석하는 태아염색체 이상뿐 아니라, 빅테이터를 사용한 태아 및 산모의 유전적인 연계 및 그에 관련된 다른 이상증상에 대한 연구가 가능해집니다.
[경제적.산업적 측면]
● 외산의 국산화를 통한 대외 경쟁력 확보 가능
현 국내 상용화 되고 있는 ccfDNA 추출은 국외선진기업들의 기술 및 장비를 도입하고 있음에 따라, 개발되는 제품으로 국산 기술로 대체하여 국내 경제에 이바지 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대체에 따른 본 제품생산에 필요한 국내 시약 및 소모품 생산업에도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과거 범용에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맞춤형으로 진화하고 있는 헬스케어 패러다임에 각 개인의 유전체분석이 부각되고 있음에 따라, 해당기술로 국내 모든 비침습검사의 유전자 분석/검사화를 가능케 한다면 국내 의료산업 또한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의료계의 4차산업화에도 발맞춰 갈 수 있을 것입니다.
[사회적 측면]
● 질병 진단검사기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현재 범사회적 저출산 트렌드와 더불어 노산,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고위험임신 비율 증가로 의해 건강한 태아의 출산에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태아의 유전적 이상을 사전에 선별할 수 있는 선도 기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임산부의 혈액을 이용한 비침습적 검사 (NIPT)는 임신 10주부터 검사가 가능하고, 기존 침습적 검사의 불편함을 보완한 안전하며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검사임. 하지만, 현재의 비침습적 검사 또한 가격, 시간 및 사용되는 산모혈액양 등의 보완이 가능한 요소 등이 있으며, 이를 보완한 개발대상 기술로 일부의 산모들에게만이 아닌 모든 산모에게 비침습적 검사를 보편화 가능하게 하며. 이는 각 태아의 선별 및 확진 검사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또한, 액체생검을 이용한 검사의 경우, 조직생검의 위험도 및 정확도를 보완하고, 보다 더 조기에 암 확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조직생검을 대체할 수 있는 액체생검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들이 개선되어야 합니다.
- 혈액내 존재하는 극소량의 ccfDNA를 높은 순도로 추출
- 낮은 안정성의 ccfDNA를 신속히 추출
- 대량의 시료를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시스템 개발
상기의 세 가지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액체생검 특화된 핵산 추출 시약을 개발 중이며, 신속성, 정확성을 높여 질병의 조기 진단과 처방이 가능할 것입니다.
꿀벌용 동물 의약품
① 개발의 필요성
꿀벌은 생태의 핵심 수분 매개체로서 생태 및 인류의 식량 생산 약 1/3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개체입니다. 2008년 꿀벌의 바이러스 질환인 낭충봉아부패병 국내 발발 이후 약 40만통이었던 토종벌의 벌통 수가 2013년 1만여통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고있습니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통계, 한국한봉협회 추정).
해당 바이러스로 인해 매년 농가의 피해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토종꿀 산업의 약 1,000억원 이상 피해로 추정됩니다 (출처: 농촌진흥청). 현재까지 유효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억제제는 전무한 상황이며, 당국은 2011년부터 낭충봉아부패병 소독제 위주의 방제 약품을 지원하고 있으며, 2018년 국비와 지방비 총 20억원의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농촌진흥청).
[국내 토종벌 벌통수의 감소 및 벌꿀 생산량의 감소]
토종벌 사육농가와 벌통수 |
줄어드는 벌꿀 생산량 |
당사는 토종벌의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증식 억제제 및 예방제로, RNAi 기반 꿀벌용 의약품 허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동물용의약품은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의 연구과제 및 당사의 dsRNA 합성품 활용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기술 이전 후 당사에서 해당 의약품에 대한 산업화를 진행 중입니다.
② 시장의 성장성
당국은 2011년부터 낭충봉아부패병 방제 약품을 지원하고 있으며, 2018년 국비와 지방비 총 20억원의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농촌진흥청). 국가 방역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양봉농가들까지 감안한다면 낭충봉아부패병의 국내 시장은 약 20억원 이상으로 추정 가능하며, 현재 효과적인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억제제의 부재인 상황에 당사의 꿀벌의약품은 판매 시 국내 시장에서 점진적으로 100%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해당 의약품의 보급으로서 기존 낭충봉아부패병으로 인해 축소된 토종벌의 개체 수가 증가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예상됩니다. 증가되는 개체수에 따라 예방차원으로 의약품이 투여되는 개체수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점진적인 매출 증가 추이 또한 예상됩니다.
해당 제제는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추가 임상시험에 따라 바이러스 유전자가 매우 유사한 중국형, 태국형 및 베트남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억제에도 그 유효성 입증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꿀벌 사육군수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전세계 최대 양봉산업 국가로서 한국 봉군수의 5배인 약 900만 봉군이 사육 중임으로 국내보다 더 큰 규모의 매출이 전망됩니다.
[한국 및 세계 양봉사육현황]
한국 및 세계 양봉사육현황 |
(출처: 꿀 시장의 세분화 및 마케팅 전략. 한국식품유통학회 식품유통연구. 2016.)
또한, RNAi 기반 동물용의약품은 유전자 염기서열 기반 기술임으로 내성 혹은 바이러스의 자연적 변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자연적 변이가 확인될 시, 변이된 바이러스에 특화된 염기서열의 dsRNA 재제작으로서 변이되는 바이러스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입니다.
③ 기대효과
양봉산업을 통한 꿀벌의 경제적 가치는 국내 5조 9천억원이며, 꿀벌은 약 5조원의 화분매개 기능 역할을 하는 농업생태계의 필수적인 개체입니다. (출처: 농촌진흥청, 축산신문 2019.04.03)
해당 꿀벌의약품의 보급으로 인한 벌 개체수의 증가로 꿀벌의 화분 매개를 통한 생태와 농업 및 양봉 전/후방사업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나타낼 것입니다. 또한 성공적인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증식 억제제 시장 진입은 해당 의약품의 초기 시장을 장악하고, 꿀벌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타 바이러스 증식 억제제의 개발연구 및 산업화에 가속도를 붙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4) 조직도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정기 주주총회일 일주일 전 전자공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재무제표
- 연결재무상태표
연결재무상태표 | |
제 18(당)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7(전)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제놀루션과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목 | 제 18(당)기말 | 제 17 (전)기말 |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47,929,809,713 | 54,542,331,567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083,964,284 | 7,300,920,982 | ||
단기금융상품 | 35,082,790,000 | 39,078,700,000 | ||
매출채권 | 1,030,706,303 | 2,384,681,543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587,173,071 | |||
기타금융자산 | 997,780,385 | 559,026,641 | ||
기타유동자산 | 858,612,699 | 993,323,435 | ||
재고자산 | 1,957,142,481 | 4,044,062,498 | ||
당기법인세자산 | 331,640,490 | 181,616,468 | ||
Ⅱ. 비유동자산 | 64,785,566,289 | 59,911,403,322 | ||
장기금융상품 | 5,212,024 | 1,941,792 | ||
유형자산 | 46,877,062,399 | 42,473,099,107 | ||
사용권자산 | 145,860,393 | 97,536,369 | ||
무형자산 | 342,774,181 | 437,831,77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95,980,582 | 3,552,0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0,926,798,383 | 7,955,832,910 | ||
기타금융자산 | 8,165,000 | 788,165,000 | ||
이연법인세자산 | 1,162,711,976 | |||
순확정급여자산 | 558,154,103 | 424,354,204 | ||
관계기업투자주식 | 4,562,847,248 | 4,180,642,169 | ||
자 산 총 계 | 112,715,376,002 | 114,453,734,889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10,114,172,063 | 4,643,596,015 | ||
매입채무 | 65,318,315 | 191,664,176 | ||
단기차입금 | 9,000,000,000 | - | ||
전환사채 | 1,786,952,896 | |||
파생금융부채 | 1,007,175,600 | |||
리스부채 | 115,170,551 | 39,076,864 | ||
판매보증충당부채 | 23,298,955 | 32,484,808 | ||
기타금융부채 | 793,919,822 | 1,428,521,023 | ||
기타유동부채 | 116,464,420 | 157,720,648 | ||
Ⅱ. 비유동부채 | 15,666,506,631 | 15,111,338,978 | ||
리스부채 | 32,794,191 | 59,287,950 | ||
기타금융부채 | 633,712,440 | |||
장기차입금 | 15,000,000,000 | 15,000,000,000 | ||
순확정급여부채 | - | |||
이연법인세부채 | 52,051,028 | |||
부 채 총 계 | 25,780,678,694 | 19,754,934,993 | ||
자 본 | ||||
Ⅰ.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86,727,501,692 | 94,698,799,896 | ||
자본금 | 9,595,010,500 | 4,795,417,500 | ||
기타자본항목 | 17,046,896,231 | 20,913,075,595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565,740,465) | 88,870,895 | ||
이익잉여금 | 62,651,335,426 | 68,901,435,906 | ||
Ⅱ. 비지배지분 | 207,195,616 | - | ||
자 본 총 계 | 86,934,697,308 | 94,698,799,896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112,715,376,002 | 114,453,734,889 |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결포괄손익계산서 | |
제 18 (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제놀루션과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목 | 제 18 (당)기 | 제 17 (전)기 | ||
---|---|---|---|---|
Ⅰ.매출액 | 9,761,301,415 | 38,084,568,962 | ||
Ⅱ.매출원가 | 5,240,155,621 | 11,731,114,426 | ||
Ⅲ.매출총이익 | 4,521,145,794 | 26,353,454,536 | ||
판매비와관리비 | 11,612,529,660 | 11,616,753,610 | ||
Ⅳ.영업이익 | (7,091,383,866) | 14,736,700,926 | ||
기타수익 | 2,198,959,185 | 3,513,869,866 | ||
기타비용 | 5,332,395,350 | 1,441,709,610 | ||
금융수익 | 2,578,412,197 | 2,199,101,856 | ||
금융비용 | 291,897,648 | 1,624,352,660 | ||
지분법손익 | 1,285,124,150 | (144,846,083) | ||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6,653,181,332) | 17,238,764,295 | ||
법인세비용 | (380,363,379) | 2,636,890,425 | ||
Ⅵ. 당기순이익 | (6,272,817,953) | 14,601,873,870 | ||
당기순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6,234,064,553) | 14,601,873,870 | ||
비지배지분 | (38,753,400) | - | ||
Ⅶ. 기타포괄손익 | (2,625,965,287) | 822,830,341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없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8,646,073 | 765,222,09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 자산평가손익 | (2,654,611,36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 자산처분손익 | 57,608,250 | |||
Ⅷ. 총포괄이익 | (8,898,783,240) | 15,424,704,211 | ||
총포괄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8,860,029,840) | 15,424,704,211 | ||
비지배지분 | (38,753,400) | |||
Ⅸ. 주당순손익 | ||||
기본주당순손익 | (342) | 799 | ||
희석주당순손익 | (342) | 769 |
※ 연결자본변동표, 연결현금흐름표, 연결주석사항은 2024년 3월 21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연결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별도재무제표
- 별도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 |
제 18(당)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7(전)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제놀루션 | (단위 : 원) |
과목 | 제 18 (당)기말 | 제 17 (전)기말 |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47,491,559,584 | 54,542,331,567 | ||
현금및현금성자산 | 5,787,515,038 | 7,300,920,982 | ||
정부보조금 | - | - | ||
단기금융상품 | 35,082,790,000 | 39,078,700,000 | ||
매출채권 | 1,030,706,303 | 2,384,681,543 | ||
기타금융자산 | 987,780,385 | 559,026,641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587,173,071 | |||
기타자산 | 726,821,496 | 993,323,435 | ||
재고자산 | 1,957,142,481 | 4,044,062,498 | ||
당기법인세자산 | 331,630,810 | 181,616,468 | ||
Ⅱ. 비유동자산 | 64,826,127,289 | 59,911,403,322 | ||
장기금융상품 | 5,212,024 | 1,941,792 | ||
유형자산 | 46,677,062,399 | 42,473,099,107 | ||
사용권자산 | 145,860,393 | 97,536,369 | ||
무형자산 | 333,334,181 | 437,831,77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95,980,582 | 3,552,0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0,926,798,383 | 7,955,832,910 | ||
기타금융자산 | 8,165,000 | 788,165,000 | ||
순확정급여자산 | 558,154,103 | 424,354,204 | ||
이연법인세자산 | 1,162,711,976 | |||
관계기업투자주식 | 4,562,847,248 | 4,180,642,169 | ||
종속기업투자주식 | 250,001,000 | - | ||
자 산 총 계 | 112,317,686,873 | 114,453,734,889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9,880,874,824 | 4,643,596,015 | ||
매입채무 | 65,318,315 | 191,664,176 | ||
단기차입금 | 9,000,000,000 | - | ||
전환사채 | - | 1,786,952,896 | ||
파생금융부채 | - | 1,007,175,600 | ||
리스부채 | 115,170,551 | 39,076,864 | ||
판매보증충당부채 | 23,298,955 | 32,484,808 | ||
기타금융부채 | 560,622,583 | 1,428,521,023 | ||
기타부채 | 116,464,420 | 157,720,648 | ||
Ⅱ. 비유동부채 | 15,666,506,631 | 15,111,338,978 | ||
리스부채 | 32,794,191 | 59,287,950 | ||
장기차입금 | 15,000,000,000 | 15,000,000,000 | ||
기타금융부채 | 633,712,440 | |||
순확정급여부채 | - | - | ||
이연법인세부채 | - | 52,051,028 | ||
부 채 총 계 | 25,547,381,455 | 19,754,934,993 | ||
자 본 | ||||
Ⅰ. 자본금 | 9,595,010,500 | 4,795,417,500 | ||
Ⅱ. 기타자본항목 | 17,050,946,247 | 20,913,075,595 | ||
Ⅲ.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565,740,465) | 88,870,895 | ||
Ⅳ. 이익잉여금 | 62,690,089,136 | 68,901,435,906 | ||
자 본 총 계 | 86,770,305,418 | 94,698,799,896 | ||
부채와 자본총계 | 112,317,686,873 | 114,453,734,889 |
- 별도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 |
제 18 (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제놀루션 | (단위 : 원) |
과목 | 제 18 (당)기 | 제 17 (전)기 | ||
---|---|---|---|---|
Ⅰ.매출액 | 9,761,301,415 | 38,084,568,962 | ||
Ⅱ.매출원가 | 5,240,155,621 | 11,731,114,426 | ||
Ⅲ.매출총이익 | 4,521,145,794 | 26,353,454,536 | ||
판매비와관리비 | 11,534,958,561 | 11,616,753,610 | ||
Ⅳ.영업이익 | (7,013,812,767) | 14,736,700,926 | ||
기타수익 | 2,198,958,184 | 3,513,869,866 | ||
기타비용 | 5,332,395,350 | 1,441,709,610 | ||
금융수익 | 2,578,349,209 | 2,199,101,856 | ||
금융비용 | 291,897,648 | 1,624,352,660 | ||
지분법손익 | 1,285,124,150 | (144,846,083) | ||
Ⅴ.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6,575,674,222) | 17,238,764,295 | ||
법인세비용 | (380,363,379) | 2,636,890,425 | ||
Ⅵ.당기순이익 | (6,195,310,843) | 14,601,873,870 | ||
Ⅶ. 기타포괄손익 | (2,625,965,287) | 822,830,341 | ||
후속적으로당기손익으로재분류될수없는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8,646,073 | 765,222,091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 자산평가손익 | (2,654,611,36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 자산처분손익 | - | - | 57,608,250 | |
Ⅷ. 총포괄이익 | (8,821,276,130) | 15,424,704,211 | ||
Ⅸ. 주당순손익 | ||||
기본주당이익 | (338) | 799 | ||
희석주당이익 | (338) | 769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 18 (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 17 (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원) |
과목 | 당기 | 전기 | ||
---|---|---|---|---|
처분예정일 : 2024년 3월 29일 | 처분확정일 : 2023년 3월 24일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61,985,605,476 | 68,196,952,246 |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8,152,270,246 | 52,829,856,285 | ||
당기순이익 | (6,195,310,843) | 14,601,873,870 | ||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28,646,073 | 765,222,091 | ||
중간배당 | - |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44,682,000 | |||
이익준비금 | - | |||
현금배당 | - | |||
주식배당 | 44,682,000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1,985,605,476 | 68,152,270,246 |
※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사항은 2024년 3월 21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 당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11. (생략) 12. 건강기능식품 판매, 도소매 및 수출입업 13. (신설) | 제2조(목적) 당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11. (좌동) 12. (삭제) 13. 미용기기 제조, 유통, 판매업, | 미추진 신규사업 삭제,
지배회사 해외영업 판매망을 활용한 종속회사 제품 판매 증대 |
제18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 총액이 500억 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제18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 총액이 250억 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음 각호의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소액주주 권리 강화 |
제18조의 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 총액이 500억 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환사채 규정을 준용하여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제18조의 2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 총액이 250억 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환사채 규정을 준용하여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소액주주 권리 강화 |
제18조의 3 (교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 총액이 500억 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교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제18조의 3 (교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사채의 액면 총액이 250억 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교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소액주주 권리 강화 |
제19조의2 (소집지) 주주총회는 본점소재지에서 개최하되, 필요에 따라 이의 인접지역에서도 개최할 수 있다. | 제19조의2 (소집지) 주주총회는 본점소재지에서 개최하되, 필요에 따라 이의 인접지역 또는 인천광역시에서도 개최할 수 있다. | 송도사옥 준공예정에 따른 소집가능지 확대 |
부칙 이 정관은 2022년 3월 25일부터 적용한다. | 부칙 이 정관은 2024년 3월 29일부터 적용한다. | 적용 일자 변경 |
※ 기타 참고사항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기옥 | 1955.05.02 | 사내이사 | - | 최대주주의 최대주주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기옥 | 제놀루션 대표이사 | 1981~1983 1983~1989 1990~2014 2006~현재 | - 부경사 - 이원양행 - 호일바이오메드 대표이사 - 제놀루션 대표이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기옥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기옥 사내이사 후보
사내이사 후보 김기옥은 지난 임기 동안 당사의 사내이사로서 경영전반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입니다. 당사의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천합니다. |
확인서
사내이사 김기옥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송태회 | 1954.03.25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송태회 | - | 1980~1987 1988~1998 1999~2011 2011~2013 2014~2017 2018~2020 2021~2022 | 한국개발연구원 주임연구원 한국소비자보호원 정책연구실장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실장, 소비자보호센터국장 법무법인 Apex 상임고문 GS홈쇼핑 금융부문 준법감시인 제놀루션 기타비상무이사 에이원(GA) 상임고문 | 경영자문 |
※ 상기 감사후보는 상법 제542조의10 제2항에 해당되지 않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송태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경제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국책 연구기관과 금융감독원 등 다양한 근무 경험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준법감시인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상근감사 역할을 수행하는데 적임자로 판단하여 추천합니다. |
확인서
감사 송태회 확인서 |
※ 기타 참고사항
- 제18(당)기말 자산총액이 1천억원 이상으로 상법 제542조의10 제1항에 따라 상근감사를 선임할 예정입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2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75백만원 |
최고한도액 | 3,0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21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주주총회 1주전까지 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www.genolution.co.kr_ IR_공시정보)에 링크될 예정입니다.
※ 당사는 2024년 3월 29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300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