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마인드 (22331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1 17:0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735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3월    11일


회   사   명 :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유병길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702, 경남제약타워 10층

(전   화)  02-3012-0033

(홈페이지)http://www.kncare.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 사 (성  명) 윤 재 설

(전  화) 070-4211-077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3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와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9조 제2항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3월 26일(화) 오전 9시 00분

 

2. 장 소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117-7 라온제나 7층 연회장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13기 영업보고

 2) 13기 감사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3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홍상혁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외이사 전병주 선임의 건 

   제3-3호 의안 : 사외이사 공진석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정재림 선임의 건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
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직접행사(본인 참석)

 - 지참물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 신분증 미지참시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간접행사(대리인 참석)

 - 지참물 : 위임장,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위임인의 성명, 보유주식수, 주소, 주민등록번호, 대리인의 인적사항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위임인의 날인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2024년 03월 16일 9시 ~ 2024년 3월 25일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기타사항

1) 본 의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별첨의 기재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당사는 주주총회 시 일체의 경비 및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4년 03월 11일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대표이사 유병길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공진석
(출석률: 100%)
전병주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3.01.31 지점 이전의 건
민사소송 일부 합의의 건
찬성 찬성
2 2023.02.14 2022년도 감사 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3 2023.03.14 2022년도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4 2023.03.14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의안 확정의 건 찬성 찬성
5 2023.04.17 온라인판매계약 부속합의서 체결의 건 찬성 찬성
6 2023.05.03 이사회규정 및 투명경영위원회 운영규칙 개정의 건
투명경영위원회 운영위원 변경의 건
찬성 찬성
7 2023.05.25 투명경영위원회 운영위원 변경의 건 찬성 찬성
8 2023.06.29 자금대여 진행의 건 찬성 찬성
9 2023.08.07 투자진행 검토의 건 찬성 찬성
10 2023.08.30 투자진행 검토의 건 찬성 찬성

11

2023.10.05

투자진행 검토의 건

찬성 찬성

12

2023.10.17

신사업 추진의 건

찬성 찬성

13

2023.11.17

신사업 추진 점검의 건

찬성 찬성

14

2023.11.24

자금대여 진행의 건

찬성 찬성

15

2023.12.08

투자진행 검토의 건

찬성 찬성

16

2023.12.14

권리주주확정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투명경영위원회 활동 내역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의결현황 사외이사 사외이사 감사
공진석
(출석률:100%)
전병주
(출석률:100%)
정재림
(출석률:100%)
1 2023.01.31 지점 이전의 건
민사소송 일부 합의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2 2023.02.09 유휴자금 운영안 검토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3 2023.02.22 공시위반제재금 납부 승인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4 2023.03.14 2022년도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의안 확정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5 2023.04.17 온라인판매계약 부속합의서 체결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6 2023.05.03 이사회규정 및 투명경영위원회 운영규칙 개정의 건 가결 찬성 - 찬성
7 2023.05.10 유휴자금 운영안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8 2023.06.29 자금대여 진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9 2023.07.06 정기예금 해지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0 2023.08.07 투자진행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1 2023.08.11 유휴자금 운영안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2 2023.08.30 투자진행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3 2023.10.05 투자진행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4 2023.10.17 신사업 추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5 2023.10.27 신사업 준비사항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6 2023.11.10 유휴자금 운영안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7 2023.11.17 신사업 추진 점검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8 2023.11.24 자금대여 진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19 2023.12.08 투자진행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20 2023.12.21 신사업 추진 점검의 건 가결 찬성 찬성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000 30 15 -

 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포함하여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이사보수한도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경남제약(주) 상품매입  2023-01~
2023-12
69 25.11%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사업부문별 현황

당사는 현재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 판매를 통해 미디어 커머스 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력사업인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과 더불어 스마트카 부문,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부문,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하기와 같습니다.

1)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며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사 브랜드인 케어플러스의 비타민C1000, 프로바이오틱스 이뮨, 리셋다이어트, 글루타치온 필름, B로날린, 참 효소답다, 비타파워샷 이뮨 등 등 자체건강기능식품을 출시하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관련된 건강기능식품과 온라인 시장의 현황은 하기와 같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생산현황과 같이 건강기능의 제품과 생산실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시대, 생활소득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지출은 꾸준히 상승하여 향후에도 건강기능식품의 성장세는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건강기능식품 생산현황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제조업체수(개소)

487

496

500

508

521

539

품목수(개)

20,699

21,500

23,891

26,342

28,197

33,456

생산량(톤)

45,060

45,649

52,771

71,681

76,696

136,915

생산액(백만원)

1,471,480

1,481,890

1,728,771

1,946,356

2,264,166

2,711,950

매출액

(백만원)

소계

2,125,996

2,237,395

2,522,108

2,950,787

3,325,388

4,032,130

국내판매액

2,017,548

2,129,739

2,396,225

2,808,103

3,098,950

3,801,498

해외수출액

108,448

107,656

125,883

142,684

226,438

230,632

생산액증가율(%)

29.9

0.7

16.7

12.6

16.3

19.8

매출액증가율(%)

16.6

5.2

12.7

17.0

12.7

21.3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2022년 12월 기준

  

또한 국내 온라인 시장의 규모도 최근 연간 두자리 숫자의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쇼핑의 활성과, 물류 인프라 및 스마트한 소비의 증가로 온라인 시장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온라인 시장 규모 추이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추정)

2023(추정)

규모(억원)

1,137,297 

1,352,640 

1,594,384 

1,928,947 

2,240,000 

2,544,000 

성장율(%)


18.9%

17.9%

21.0%

16.1%

13.6%

  ※출처 : 통계청 / 한국온라인쇼핑협회


2)스마트카 사업 부문

세계적인 기업과 국가의 주요 경쟁력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중 비전 엔진(Vision Engine) 기술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당사 스마트카 부문의 주력 품목인 블랙박스 (대시캠, Dash Cam)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가장 선호되는 자동차 옵션 중 하나로 크게 성장하였으며, 대부분의 보험사에서는 대시캠 장착 고객에 대해 1년간 본인이 납부하는 보험료의 3%~5%를 할인해주고 있으며 택시, 버스 등의 경우 2019년부터 블랙박스 설치가 의무화 되어 영업용, 상용차까지 장착률이 늘어가고 있는 등 국내 대시 캠 시장은 세계 어느 국가보다 높은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네비게이션의 시장은 비포마켓의 확대와 스마트폰을 통한 네비게이션 사용이 증가하면서 애프터마켓의 수요는 다소 줄었으나 네비게이션 지도공급업체의 판매 예상 수량 기준으로는 완만한 수준의 수량감소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저가형 차량판매(화물차, 승합차, 경차, 렌트카 등) 시장과 국토교통부 차량등록대수 보도자료(2020)의 중고자동차 연도별 거래현황 추이에 따르면 2019년 대비 중고차 거래량이 7.2% 증가하였고, 2022년도 중고차 시장규모는 약 377만대로 신차 시장규모 약 152만대와 비교해 2배가 넘는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보급형 네비게이션에 대한 수요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21.1.20.) 중고자동차 연도별 거래현황 추이


국내와 비교할 때 해외시장 블랙박스 보급률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글로벌 조사기관 Maximize Market Research가 2020년 실시한 글로벌 블랙박스 수요 전망에서는 캐나다와 미국을 포함한 북미시장에서의 꾸준한 블랙박스 수요 증가가 예측되고 있으며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인 Grand View Research의 블랙박스에 대한 수요가 2025년 약 60억 달러 수준에 이르는 세계적 시장 규모와 연평균 성장률 13%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통해서 국내외 블랙박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그에 따른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블랙박스 수요 전망(maximize market research, 2020)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당사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 초경을 준비하는 청소년, 가임기에 해당하여 생리주기에 속하는 여성, 출산 및 건강, 완경 등의 이유로 요실금 및 기타 분비물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모두가 착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 위생팬티는 생리용품과 함께 사용 가능하며,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기능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제품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생팬티는 유사한 역할을 하는 생리팬티 및 생리대와 경쟁관계가 있습니다. 국내 생리대 산업만 구분하여 통계로 작성하고 있지 아니하여 생리대산업이 포함된 의약외품산업의 시장규모와 추세를 기준으로 생리대산업 시장 규모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당사 제품의 시장규모 판단 시 참고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12월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한 "2021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에서는 2020년도 의약외품의 생산액과 국내시장규모는 각각 3.71조원, 3.50조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20.94%, 145.83% 증가하였습니다. 동 자료에서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도별 생산액과 국내시장규모는 다음과 같으며, 연평균성장률은 각각 12.55%, 13.90%입니다.

식품의약안전처 - 2021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제로웨이스트 소비문화와 유해물질 파동에 따른 생리대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불안감, 입는 팬티로 여성의 일반적인 분비물과 생리기간의 분비물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생리기간에도 팬티 하나로 지낼 수 있는 문화가 점점 형성,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회용 제품(일회용생리대)의 소비자가 다회용 제품으로 넘어올 것으로 예상되며, 당사는 위생팬티 시장을 선점하여 초경부터 완경, 완경 이후까지의 여성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성장함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당사는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을 영위하며 해당 산업은 화장품 산업에 해당합니다. 화장품산업의 총생산액은 2011년 6.39조에서 2020년 15.16조로 증가하였으며, Covid19로 2020년도에 전년대비 6.8% 감소하였으나,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0.4%씩 성장하였습니다.

화장품산업 총생산과 gdp대비 비중


또한 전세계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1년도 2.90조달러에서 2020년 4.41조달러로 연평균 4.8% 증가하였습니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은 상대적으로 성장폭이 높아 같은 기간동안 7.1% 성장하였습니다.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는 총생산액에서 수출과 수입을 반영하며, 2010년대 초반까지는 성장하다가 2010 중반의 싸드문제 및 2010년 후반의 Covid19 등으로 성 장이 둔화되어 2011년도 83.4억달러에서 2020년 127.6억달러로 연평균 4.8%증가하였습니다.

지역별 화장품 시장규모



(2) 산업의 성장성

1)온라인 커머스 사업
영업 환경 및 트렌드의 변화는 코로나 19 사태와 같은 변수 등에 의해 유통 흐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및 비대면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을 통해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과 자사브랜드 건강기능식품 제품 라인업으로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카 부문 

현재 당사의 스마트카 부문의 주력 매출 품목인 대시 캠(Dash Cam) 시장은 동영상 유출에 따른 사생활 침해의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간 가장 선호되는 자동차 옵션 중 하나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국내 대시 캠 시장은 세계 어느 국가보다 높은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 단체별로 영업용 차량에 대한 의무화를 실시하여 주요 대도시 영업용 택시와 버스 등은 대시 캠을 대부분 장착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보험사에서는 대시 캠 장착 고객에 대해 1년간 본인이 납부하는 보험료의 3%~5%를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대시 캠 장착을 통해 사고의 책임 유무를 파악하기 쉽다는 점 외에도 운전자 본인의 운전 습관이 대시 캠에 기록되기 때문에 미장착 운전자보다 방어 운전을 하여 사고율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대시 캠 보급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평가와 함께 과거에 고속 성장하던 국내 내비게이션 산업의 경우도 성숙기에 접어들고, 이후 경쟁력을 가진 몇 개 업체 위주로 정리된 것과 유사하게 대시 캠 시장도 변환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기존 대시 캠 시장의 성장이 다소 주춤할 수는 있으나, 1) 대시 캠 교체 주기가 2~3년으로 지속적인 기저 수요가 존재하고, 2) 채널(카메라 수) 증가와 새로운 기능의 업그레이드로 단가 상승이 가능하며, 3) 장기적으로 해외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높으며, 4)기술의 진보와 함께 대시 캠에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의 기능이 다양한 용도로의 대시 캠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어 동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보급률이 높아질수록 판매가격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시 캠은 1채널 보다는 전후방을 기록할 수 있는 2채널의 보급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현재 최신형은 4채널까지 등장하였습니다. 또한 고화소 등의 품질 향상과 새로운 기능(차선인식, 사물인식, ADAS 기능)들이 접목되면서 신제품의 판매단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중, 장기적으로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대시 캠은 내비게이션과는 다른 성장 과정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내비게이션이 서비스 국가의 지도가 기본적으로 장착된다는 측면에서 수출 등에 한계가 있는 반면, 대시 캠은 영상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로서 어느 국가에서든 사용이 가능해 수출을 통한 성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대시 캠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로서 선진국의 경우 상용차를 중심으로 보급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국 정부의 교통사고 예방과 사후 처리를 위한 방안으로서 차량용 대시 캠의 의무 장착에 대한 법률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WTA(World Trade Atlas)에 따르면 미국의 대시 캠 시장규모는 5,461백만달러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하지만 해당 조사자료에서 인용된 미국 대시 캠의 95% 이상은 국내의 제품과는 상이한 EDR(Event Data Recorder)를 의미합니다. EDR은 영상을 제외한 차량의 이동거리, 속도(및 가속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차량 운행정보 제공 및 유사시 사고 조사자료로 활용하는 장치입니다. 이처럼 영상을 제외한 장치를 활용하는 형태는 서구권의 사생활을 중요시 하는 문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에서도 차량 내 범죄 발생 예방, 10대 운전자들의 교통안전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영상기반의 대시 캠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따라서 미국에서도 점차 영상기반의 대시 캠 시장이 EDR 시장을 대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이외에 JEITA(일본 전자정보기술 산업협회)에 따르면 일본의 대시 캠 판매 현황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30%이상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며, Statista 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차량용 대시 캠의 시장은 2012년 10억달러 정도의 수준에서 2025년에는 59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각 국가별 요구사양에 부합하는 제품의 사용 및 장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현재 국내에는 기존의 위생팬티(공산품) 시장과 신규시장인 생리팬티(의약외품) 시장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위생팬티 시장의 기술력 향상으로 인해 소형 생리대를 대체할 정도의 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현재 의약외품 카테고리 안에 생리팬티라는 새로운 제품군이 생겼으며, 위생팬티 시장과 함께 생리팬티 시장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과 경쟁관계에 있는 생리대 시장은 2017년 3월 발생한 '생리대 유해물질 검출 사건' 이후 국내 생리대에 대해 신뢰가 떨어지고,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커지면서 생리대 시장에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대기업이 주를 이뤘던 생리대 시장에서 다양한 중소기업들이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또한 유기농 생리대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아예 면 생리대만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성향도 변하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생리대 시장의 규모는 5000억원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순면 커버, 유기농 순면커버, 고기능성 제품의 선호도가 변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CU의 생리대 품목별 매출 비중을 조사한 결과를 참고하면 2018년 1~5월 순면·유기농제품의 매출 비중은 36.5%였습니다. 이는 생리대 유해물질 사건 이전인 2016년(11.8%)의 3배가 넘는 수치이며. 논란이 터지기 이전인 2014년에는 전체 생리대 매출의 2.8%였고, 2015년에는 10% 안팎이었습니다.

위와 같이 해당 산업의 시장 동향과 소비자 성향 변화로 미루어 보았을 때, 위생팬티 및 생리팬티 시장 성장과 생리대 시장에서의 소비자 유입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제품군은 여성의 필수소비재로서 경기에 따른 영향 또한 제한적이므로 산업의 안정성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반영구화장과 스킨케어, 에스테틱 사업이 속해있는 화장품산업의 총생산액은 2011년 6.39조에서 2020년 15.16조로 2배가 넘게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반영구화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1) 온라인커머스 부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진 이후 언텍트(untact-비대면)소비는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오프라인 매장을 주로 이용하던 소비자들도 온라인 쇼핑 사용 빈도가 늘어났으며, 50대 이상 중장년층 마저 온라인 쇼핑 경험을 하며 온라인 쇼핑 경험은 전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각종 지표들을 살펴보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소비 시장이 옮겨가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년대비 2022년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 8.9% 증가, 온라인 9.5% 증가했으며 온라인시장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등을 다양하고 거대한 플랫폼(쿠팡,네이버,카카오)을 활용하여 넓은 스펙트램을 갖추고 자사브랜드 제품 출시 등을 통해 다양한 상품 구색을 갖춰 지속 가능한 사업을 해 나갈 수 있습니다.

2) 스마트 카 부문

대시 캠 구매자 중 상당수는 신차 구매자이기 때문에 완성차 판매에 일부 영향을 받게 됩니다. 자동차 수요는 경기변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자동차 보급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해 자동차 수요의 증가세가 둔화 내지는 정체를 보이는 시기에는 그러한 관계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특히 경기 침체기에는 비교적 고가인 자동차의 수요가 다른 소비재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시 캠 또한 완성차와 함께 일반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현재 당사가 속해있는 차량용 대시 캠 시장은 신차 출시 전 차량에 장착되어 판매되는 비포마켓(Before Market)이 아닌 차량 출시 후 선호에 따라 장착되는 애프터마켓(After Market)에 해당합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시장이 겪게 되는 완성차 시장의 변동에 따른 시장의 변화 정도는 대시 캠의 관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덜한 상황입니다. 

또한, 대시 캠 등 안전장치 관련하여 추진 및 진행하고 있는 정부정책 등인 손보업계 지원, 강력범죄 및 여성 운전자 증가, 고가의 수입차 판매 비중의 증가 현상 등으로 인해 시장의 일반적인 경기 변동 상황과는 달리 2015년까지 시장 규모가 증가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용 대시 캠의 보급률 증가속도가 정체되는 시기(2010년대 후반~2020년 초반)까지는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의 대시 캠 시장 경기 변동은 차량용 대시 캠 시장의 비포마켓(Before Market) 진출 여부, 스마트카 선행기술의 대시 캠 적용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제로웨이스트 소비문화와 유해물질 파동에 따른 생리대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불안감, 입는 팬티로 여성의 일반적인 분비물과 생리기간의 분비물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생리기간에도 팬티 하나로 지낼 수 있는 문화가 점점 형성,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회용 제품(일회용생리대)의 소비자가 다회용 제품으로 넘어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리대의 경우 여성의 필수소비재로서 경기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므로, 일회용 제품(일회용생리대)의 소비자가 위생팬티 시장에 유입된다면, 해당 시장 또한 경기에 따른 영향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할 수 있습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최근 정서적 효용을 높일 수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소비 패턴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미용에 관한 관심이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증가하고 있고 관련 소비를 통해 심리적 만족을 추구하는 최근 추세를 볼 때 화장품시장은 타 시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이 적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며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케어플러스 비타민C1000, 케어플러스 프로바이오틱스 이뮨, 리셋다이어트, 글루타치온 필름, B로날린, 참 효소답다, 비타파워샷 이뮨 등 자체 건강기능식품을 출시하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카 사업 부문

대시 캠 시장은 단순히 기록, 저장하는 매체가 아닌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이 부가된 지능형 대시 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즉 스마트 카 시대로의 진입 단계에 맞춰 소비자는 LCD장착, 해상도 증가, 채널수 증가, 야간/주차장 화질 개선, 번호 인식 기능 등 여러가지 기능이 부가된 고사양의 제품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우수한 영상ㆍ음성처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ISP 튜닝 등 개발부터 생산 전 과정에 대한 자체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의 개선은 물론 탁월한 원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국내 다양한 브랜드 제조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의 제품도 출시하여 납품 중이며, 향후 비즈니스 확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위생팬티는 국내 여성 기능성 속옷 시장에서 약 30년 이상 형성되어 온 시장이며, 최근 약 4~5년 간 새롭게 기능성 위생팬티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여, 고기능성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미용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스킨케어 등 관련제품의 소비를 이끌어왔으며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해당분야 제품의 품질 및 기술이 발전하고있습니다. 당사는 시장내 수요 및 트렌드를 파악하여 반영구화장 관련 제품 및 스킨케어 제품 등 경쟁력있는 제품을 확보하여 유통, 판매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현재 경남제약 및 기타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에 판매하는 온라인커머스를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스마트카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위생팬티를 주력 제품으로하는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부문과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부문을 추가하여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하기와 같습니다.

1)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며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케어플러스 비타민C1000, 케어플러스 프로바이오틱스 이뮨, 리셋다이어트, 글루타치온 필름, B로날린, 참 효소답다, 비타파워샷 이뮨 등 자체 건강기능식품을 출시하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카 사업 부문

세계적인 기업과 국가의 주요 경쟁력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중 비전 엔진(Vision Engine) 기술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위생팬티는 국내 여성 기능성 속옷 시장에서 약 30년 이상 형성되어 온 시장이며, 최근 약 4~5년 간 새롭게 기능성 위생팬티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여, 고기능성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반영구화장이란 바늘 등을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색소로 눈썹이나 아이라인 등을 반영구적으로 새겨 넣는 행위로서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반영구화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국내에서도 반영구화장을 하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반영구화장 시장을 주 타겟으로 경쟁력있는 제품을 유통하여 시장의 트렌드를 이끌기 위해 노력중이며, 스킨케어/에스테틱 분야에서도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확보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산업 특성상 시장 및 경쟁회사별 시장점유율을 집계하는 기관이 없어 합리적 추정이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온라인사업 런칭이후 점진적인 매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경남제약과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계약 체결로 온라인 운영권 확보와 더불어 전문적인 온라인팀을 구축하여 메이저 온라인 채널에 입점하는 등 판매처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사 온라인 상품을 개발 및 확장함에 따라 당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고 관계사와 협업하여 진행하여 관계사 시너지를 낼 계획입니다.

또한 (주)리마커블랩스와의 흡수합병을 통해 위생팬티를 주력제품으로 하는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고,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산업군 내에서 경쟁력있는 영업권을 양수하여 뷰티사업본부를 신설하며 매출경로의 다각화와 타 사업부와의 시너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온라인 커머스 사업
영업 환경 및 트렌드의 변화는 코로나 19 사태와 같은 변수 등에 의해 유통 흐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및 비대면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을 통해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과 자사브랜드 건강기능식품 제품 라인업으로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국내 여성 기능성 속옷 시장에서 약 30년 이상 형성되어 온 시장이며, 최근 약 4~5년 간 새롭게 기능성 위생팬티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인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위생팬티는 국가가 인정한 안전기준 시험 통과를 마쳤으며, 일반 KC인증이 아닌 더 까다로운 아동용 유해 물질 안전 요건 기준의 아동용KC인증을 받아 더 안전하고 더 믿을 수 있는 제품이며, 이와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선점 및 성장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화장품산업 시장규모의 증가와 더불어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반영구화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관련 재료 및 제품판매, 교육 등의 시장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빠른 시장진입을 통해 발전가능성이 있는 반영구화장품 시장을 선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동시에 스킨케어 및 에스테틱 사업을 영위하며 경쟁력있는 제품을 확보 및 유통함으로써 화장품산업 시장과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20231231_커머스마이너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III. 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향후 주주총회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정기주주총회 개최(03월26일) 일주일 전까지 당사 홈페이지에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게재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www.kncare.co.kr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경 될 수 있습니다.


1)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13(당)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12(전)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목 제 13(당) 기말 제 12(전) 기말
자산        
유동자산   18,862,791,321   22,751,695,679
  현금및현금성자산 2,862,832,853   4,914,056,393  
  매출채권 2,805,367,602   2,087,353,024  
  기타수취채권 6,037,142,536   10,545,832,955  
  기타유동자산 739,817,858   161,456,766  
  당기법인세자산 81,211,970   -  
  재고자산 6,336,418,502   5,042,996,541  
비유동자산   6,795,366,498   4,811,299,510
  장기수취채권 701,142,532   207,979,134  
  장기투자자산 2,897,534,118   -  
  종속회사및관계회사주식 1,281,580,461   -  
  유형자산 602,466,799   508,865,502  
  무형자산 1,312,642,588   4,094,454,874  
자산총계   25,658,157,819   27,562,995,189
부채        
유동부채   2,885,933,315   3,255,840,734
  매입채무 989,773,381   1,145,715,238  
  기타지급채무 712,602,617   675,625,162  
  기타유동부채 772,607,476   1,075,721,597  
  계약부채 5,668,319   1,145,280  
  당기법인세부채 -   26,905,670  
  충당부채 160,195,715   115,272,245  
  리스부채 245,085,807   215,455,542  
비유동부채   355,339,307   385,656,160
  장기지급채무 15,314,592   -  
  순확정급여부채 263,678,487   201,636,515  
  리스부채(비유동) 76,346,228   184,019,645  
부채총계   3,241,272,622   3,641,496,894
자본        
자본금   1,573,037,100   1,573,037,100
자본잉여금   97,419,850,510   97,419,850,510
기타자본구성요소   (17,486,440)   (17,486,44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3,902,450,182)   (3,749,984,300)
이익잉여금   (72,656,065,791)   (71,303,918,575)
자본총계   22,416,885,197   23,921,498,295
부채와자본총계   25,658,157,819   27,562,995,189



2)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3(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12(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13(당) 기 제 12(전) 기
매출액   27,520,272,873   20,726,718,540
매출원가   19,344,480,974   13,948,715,938
매출총이익   8,175,791,899   6,778,002,602
판매비와관리비   7,881,949,141   6,353,879,425
영업이익   293,842,758   424,123,177
영업외손익   (1,611,179,414)   4,707,968,222
  기타수익 939,166,411   968,222,511  
  기타비용 2,528,725,291   3,395,609,870  
  지분법손실 418,424,539   -  
  금융수익 443,950,838   308,457,663  
  금융비용 47,146,833   35,678,178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317,336,656)   (1,730,484,697)
법인세비용(수익)   -   85,776,168
계속영업순이익(손실)   (1,317,336,656)   (1,816,260,865)
중단사업영업순이익(손실)   -   (448,869,406)
당기순이익(손실)   (1,317,336,656)   (2,265,130,271)
기타포괄이익(손실)   (187,276,442)   266,460,33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187,276,442)   266,460,33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34,810,560)   67,424,54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152,465,882)   199,035,791  
총포괄이익(손실)   (1,504,613,098)   (1,998,669,939)
주당이익(손실)        
   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84)   (160)
   계속영업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84)   (128)
   중단영업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   (32)



3)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13(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12(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자 본 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구성요소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이익잉여금
(결손금)
총   계
2022년01월01일 (전기초) 1,333,350,600 90,625,789,115 (65,547,956) (11,227,423,585) (60,745,997,835) 19,920,170,339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손실) - - - - (2,265,130,271) (2,265,130,27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67,424,541 67,424,54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실
 -  -  - 199,035,791 - 199,035,79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처분에 의한 평가손익재분류
 -  -  - 4,013,211,639 (4,013,211,639)
연결범위 변동  - 1,033,750,000 48,061,516 3,265,191,855 (4,347,003,371)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239,686,500 5,760,311,395 - - - 5,999,997,895
2022년12월31일 (전기말) 1,573,037,100 97,419,850,510 (17,486,440) (3,749,984,300) (71,303,918,575) 23,921,498,295
2023년01월01일 (당기초) 1,573,037,100 97,419,850,510 (17,486,440) (3,749,984,300) (71,303,918,575) 23,921,498,295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손실) - - - - (1,317,336,656) (1,317,336,656)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34,810,560) (34,810,56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이익(손실)
      (152,465,882) - (152,465,882)
2023년12월31일 (당기말) 1,573,037,100 97,419,850,510 (17,486,440) (3,902,450,182) (72,656,065,791) 22,416,885,197



4)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13(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12(전)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13(당) 기 제 12(전) 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84,388,913)   2,373,689,378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151,579,689)   2,328,748,758  
     당기기순이익(손실) (1,317,336,656)   (2,265,130,271)  
     당기순손실 조정을 위한 가감 2,690,018,551   2,058,462,609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2,524,261,584)   2,535,416,420  
  2. 이자수익의수취 516,323,225   158,641,688  
  3. 이자비용의지급 (41,014,809)   (28,930,540)  
  4. 법인세의환급(납부) (108,117,640)   (84,770,528)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983,027,897)   (11,002,014,799)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30,310,000,000   10,100,000,00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25,310,000,000)   (15,310,000,000)  
  단기대여금의 감소 2,000,000   571,725,134  
  단기대여금의 증가 (500,000,0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199,035,79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3,050,000,000)   -  
  유형자산의 처분 -   5,550,570  
  유형자산의 취득 (84,068,897)   (47,345,061)  
  무형자산의 취득 -   (1,827,000,000)  
  관계사주식의 취득 (1,700,005,000)   -  
  투자선급금의 증가 (600,000,000)   -  
  장기대여금의 감소 -   776,769,917  
  보증금의 감소 92,491,000   71,300,000  
  보증금의 증가 (143,445,000)   (161,810,000)  
  종속회사 지배력취득에 의한 순현금 유출 -   (5,380,241,150)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83,806,730)   4,504,828,552
  유상증자 -   5,999,997,895  
  단기차입의 감소 -   (1,306,807,786)  
  리스부채의 감소 (283,806,730)   (188,361,557)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2,051,223,540)   (4,123,496,869)
VI.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4,914,056,393   9,037,553,262
IV.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 효과   -   -
VII.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2,862,832,853   4,914,056,393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조(상호)

이 회사는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라 한다. 영문으로는 Commerce miner Co., Ltd. 라 표기한다.

제1조(상호)

이 회사는 딥마인드플랫폼 주식회사라 한다. 영문으로는 DeepMind Platform Co., Ltd.라 표기한다.

사업다각화

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전자제품 및 부품 개발, 제조, 판매업

2. 소프트웨어 개발, 도·소매, 자문, 유지보수업

3. 부동산 임대 및 전대업

4.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소프트웨어 및 컨텐츠, 하드웨어 개발/제작 사업

5.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개발과 기술정보 제공업

6. 무인항공기술 개발과 기술을 활용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컨텐츠 개발/제작 사업

7. 인터넷, 모바일 컨텐츠 제작 및 서비스업

8. 영상/음성 분석기술 개발 및 기술을 활용한 영상분석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

9. /무선 정보통신사업

10. /오프라인 광고업

11. 지능형 로봇 제조,부품 제조 및 판매, 임대업

12. 홈 네트워크 관련 유무선기기 개발, 제조 및 판매업

13. 조명기기 개발, 제조 및 판매업

14. 이벤트, 문화행사의 주최, 주관, 후원업

15. 행사 기획, 연출, 알선 및 대행업

16. 부동산 개발

17. ·소매 및 유통업

18. 자율주행차 부품 개발 및 제조, 유통사업

19. 자율주행 관련 3D Mapping을 통한 위치정보 사업 및 위치기반 서비스 사업

20. 자율주행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과 기술정보 제공업

21. 사물인터넷(IoT) 등 아이티(IT) 신기술을 적용한 시스템 관련 사업

22. 스마트시티 조성 관련 아이템 개발, 제조 및 판매

23. 위 각 호에 관련된 사업의 영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사의 주식 또는 지분의 취득·소유 및 그들 회사(이하 “자회사”)의 지배 내지 경영관리업무와 그에 부수하는 업무로서 다음 각 목의 사업

24. 각호에 관련된 전자상거래업 및 부대사업 일체

25. 다양한 신규바이오마커에 적용할 수 있는 멀티 바이오센서 기술 및 플랫폼개발

26. 분자진단 및 체외진단 분야 연구, 관련장비사업

27. 바이오 천언물 소재 개발 및 신약 백신 사업, 제품 연구개발, 제조, 판매사업

28. 의료진단AI 알고리즘 연구개발 및 공급업

29. 개인건강정보관리(PHR) 인터넷 포탈 서비스업 및 소프트웨어 개발

30. 헬스케어 서비스업,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31. 정밀의료기기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개발 및 공급업

32.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 진출 및 국가전력 사업

33. 대규모 풍력발전단지 조성 및 운영, 유지보수 사업 

34. 여성 위생생리대 제조, 판매업

35. 무역업

36. 의류 내의 제조, 판매업

37. 화장지, 물 티슈, 기저귀의 제조 및 판매업

38. 위생용 타월, 물 티슈, 행주, 마스크 등 위생용 부직 포

39.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

40. 화장품 등 미용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

41. 인터넷 서비스업 및 관련 전자상거래업

42. , 소매업

43. 통신판매업

44. 인터넷 온라인 광고업

45. 인터넷 온라인 포털사업

46. 인터넷, 모바일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업

47. 컨텐츠저작권 제작업 및 유통업

48.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등의 중개 알선업

49. 브랜드 및 상표권 등 지적재산권의 관리 및 라이선스업

50. 마케팅 관련사업

51. 광고대행업

52. 광고기획 제작, 대행, 알선위탁사업

53. 패션관련 도, 소매업

54. 화장품 제조, 매매, 도.소매업 및 소분업

55. 건강기능식품,식품, 특수영양식품, 청량음료 등의 제조, 매매, 도.소매업, 유통전문판매업 및 소분업

56. 프랜차이즈사업

57. 식품 및 식자재 수출입업

58. 식품 및 식자재 도소매업

59. 기타 음식료품, 주류등의 제조,가공,운반,판매업

60. 식당, 레스토랑등의 운영업, 요식업 및 관련 컨설팅업

61. 식음료제조기, 기타 관련설비 및 장비의 설치, 임대판매 및 알선업

62. 푸드트럭을 통한 식음료 판매

63. 브랜드 및 상표권 등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스업

64. 의료기기,미용제품,위생용품 등의 제조,매매, 도.소매업 및 소분업

65. 전 각호에 관련된 수출입업
66. 전 각호에 부대되는 사업일체

2조(목적)

이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소프트웨어 및 컨텐츠, 하드웨어 개발/제작 사업

2. 인공지능(AI)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정보 제공, 판매, 컨설팅 및 공급업

3. 시스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판매, 컨설팅 및 공급업

4. 캐릭터 및 버츄얼 캐릭터 개발, 디자인, 관련상품 제조 및 판매업

5. 연예인 및 버츄얼아이돌 매니지먼트업

6. 연예대행, 보조업

7. 음악, 음반, 영상음반 등 각종 음향물 녹음, 제작 및 유통업

8. 영상(버츄어아이돌, 방송, 영화, 드라마, 광고, 전시, VR) 제작 및 배급업

9. 캐릭터(영상저작물 등) 개발 및 광고물 제작, 판매(도,소매)업

10. 뉴미디어 및 특수콘텐츠 제작업 및 그와 관련된 유통, 서비스업

11. 그래픽, 시각, 광고, 산업, 상업 디자인업

12. 인공지능기반 문화공연, 전시, 이벤트 및 부대사업

13. 가상현실, 인공지능기반, 미디어, 모바일, 방송영상, 디지털콘텐츠 개발 및 제작 유통 등 관련사업 일체

14. 이벤트, 문화행사의 주최, 주관, 후원업

15. 행사 기획, 연출, 알선 및 대행업

16. 부동산 임대 및 전대업

17. ·소매 및 유통업

18. 자율주행차 부품 개발 및 제조, 유통사업

19. 자율주행 관련 3D Mapping을 통한 위치정보 사업 및 위치기반 서비스 사업

20. 자율주행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과 기술정보 제공업

21. 사물인터넷(IoT) 등 아이티(IT) 신기술을 적용한 시스템 관련 사업

22. 스마트시티 조성 관련 아이템 개발, 제조 및 판매

23. 전자제품 및 부품 개발, 제조, 판매업

24. 소프트웨어 개발, 도·소매, 자문, 유지보수업

25. 영상/음성 분석기술 개발 및 기술을 활용한 영상분석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

26. /무선 정보통신사업

27. /오프라인 광고업

28. 지능형 로봇 제조,부품 제조 및 판매, 임대업

29. 홈 네트워크 관련 유무선기기 개발, 제조 및 판매업

30. 의료기기,미용제품,위생용품 등의 제조,매매, 도.소매업 및 소분업

31. 화장품 제조, 매매, 도.소매업 및 소분업

32. 미용기기 제조 및 판매업

33. 의약외품 제조 및 판매업

34. 여성 위생생리대 제조, 판매업

35. 무역업

36. 의류 내의 제조, 판매업

37. 화장지, 물 티슈, 기저귀의 제조 및 판매업

38. 위생용 타월, 물 티슈, 행주, 마스크 등 위생용 부직포 

39. 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

40. 화장품 등 미용제품의 제조 및 판매업

41. 인터넷 서비스업 및 관련 전자상거래업

42. , 소매업

43. 통신판매업

44. 인터넷 온라인 광고업

45. 인터넷 온라인 포털사업

46. 인터넷, 모바일 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업

47. 컨텐츠저작권 제작업 및 유통업

48.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등의 중개 알선업

49. 브랜드 및 상표권 등 지적재산권의 관리 및 라이선스업

50. 마케팅 관련사업

51. 광고대행업

52. 광고기획 제작, 대행, 알선위탁사업

53. 패션관련 도, 소매업

54. 건강기능식품,식품, 특수영양식품, 청량음료 등의 제조, 매매, 도.소매업, 유통전문판매업 및 소분업

55. 식품 및 식자재 수출입업

56. 식품 및 식자재 도소매업

57. 기타 음식료품, 주류등의 제조,가공,운반,판매업

58. 위 각 호에 관련된 사업의 영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사의 주식 또는 지분의 취득·소유 및 그들 회사(이하 “자회사”)의 지배 내지 경영관리업무와 그에 부수하는 업무관련 사업

59. 전 각호에 관련된 수출입업
60. 전 각호에 부대되는 전자상거래업 및 사업일체

사업다각화를 위한 사업목적 추가
사업목적 범위 명확화 및 개정에 따른 각호 번호 변경
미영위/중복 사업목적 삭제

4조(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ncare.co.kr)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일간 매일경제신문에 게재한다.

4조(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deepmind.im)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일간 매일경제신문에 게재한다.

홈페이지 도메인 변경
부칙
<신설>
부칙
이 정관은 2024년 3월 26일부터 개정 시행한다.
정관개정에 따른 시행일 추가신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홍상혁 1971.12.21 사내이사 해당없음 대표이사 이사회
전병주 1973.01.30 사외이사 해당없음 - 이사회(재선임)
공진석 1980.07.02 사외이사 해당없음 - 이사회(재선임)
총 (   3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홍상혁 경남제약㈜  대표이사
㈜블레이드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2022.03~현재 경남제약㈜  대표이사 -
2020.03~현재 ㈜블레이드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2006~2020 ㈜ES큐브 부사장
2004~2005 ㈜라이브코드 대표이사
전병주 법무법인 문평 대표변호사 2022.07~현재 법무법인 문평 대표변호사 -
2021.05~2022.07 법무법인 효성 변호사
2016.03~2021.05 법무법인 효명 변호사
2013.02~2016.02 수원지방검창청 검사
공진석 알더블유이 리뉴어블스 코리아
이사
2023.01~현재 알더블유이 리뉴어블스 코리아 이사 -
2019~현재 베스타스 코리아 영업 본부장
2018~2019 솔라릭 코리아 이사
2012~2018 코오롱 에코원 팀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홍상혁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전병주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공진석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자 : 전병주, 공진석]
1. 사외이사로서의 전문성 및 독립성을 기초로 직무 수행 계획
2. 후보자 본인은 사외이사로 선임되는 경우 커머스마이너의 사외이사 로서 회사의 의사결정과정의 공정성 및 투명성 제고와 준법 경영에 이바지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기업가치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실히 임무를 수행할 계획
3.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이사 후보자 : 홍상혁]
[사외이사 후보자 : 전병주, 공진석]
각 후보자는 전문성을 겸비한 후보자로 후보자의 전문성 및 역량을 바탕으로 회사의 경영 목표 달성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


확인서

확인서 (홍상혁)


확인서 (전병주)

확인서 (공진석)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정재림 1958.09.07 - 코스닥 협회(재선임)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정재림 ) 우리금융저축은행 부장
1983.01~2012.01 하나은행 지점장 -
2014.04.~2020.04 우리금융저축은행 감사실 부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정재림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회사의 업무를 감사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


확인서

확인서 (정재림)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명)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2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2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04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7백만원
최고한도액 5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18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상기 제출(예정)일은 제출 기한을 의미하며, 당사는 기한 내에 사업보고서 및 감사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인 2024년 3월 18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www.kncare.co.
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 사항 없음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2024년 03월 16일 9시 ~ 2024년 3월 25일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735

딥마인드 (22331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