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마인드 (22331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4 16:3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4000857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03   월  14   일


회   사   명 :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유병길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702, 경남제약타워 10층

(전   화) 02-3012-0033

(홈페이지)http://www.kncare.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윤재설

(전  화)070-4211-077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와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9조 제2항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9일(수) 오전 9시 00분

2. 장 소 :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 117-7 라온제나 7층 연회장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제12기 영업보고
  2) 제12기 감사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2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직접행사(본인 참석)
- 지참물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 신분증 미지참시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간접행사(대리인 참석)
- 지참물 : 위임장, 대리인의 신분증, 인감증명서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위임인의 성명, 보유주식수, 주소, 주민등록번호, 대리인의 인적사항,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위임인의 날인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기타사항    
1) 본 의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Ⅲ. 경영참고사항에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당사는 주주총회시 일체의 경비 및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년 3월 14일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대표이사 유병길(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공진석
(출석률: 94%)
전병주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1.11 대표이사 선임의 건
이사회의장 선임의 건
찬성 찬성
2 2022.02.11 온라인계약 부속합의서 체결의 건
추심을 위한 소송 제기의 건
찬성 찬성
3 2022.02.14 2021년도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4 2022.03.08 미국법인 청산에 따른 부채 탕감의 건 찬성 찬성
5 2022.03.14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의안 확정의 건
이사회규정 개정의 건
찬성 찬성
6 2022.03.17 감사규정 개정 및 감사의 상근직 전환의 건 찬성 찬성
7 2022.04.06 사무용 집기 일부 매각의 건
마스크 품목허가 양도 및 폐업신고 진행의 건
찬성 찬성
8 2022.05.10 온라인독점 판매계약 부속합의서 체결의 건
시화지점 폐지 승인의 건
찬성 찬성
9 2022.06.10 형사소송 합의의 건
기부 진행의 건
찬성 찬성
10 2022.06.15 타법인 주식 처분의 건 찬성 찬성
11 2022.07.01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찬성 찬성
12 2022.07.12 합병계약 체결의 건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찬성
13 2022.07.18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찬성 찬성
14 2022.08.16 주식회사 리마커블랩스와의 합병 승인의 건 찬성 찬성
15 2022.09.21 합병경과보고 및 공고의 건
기부 진행의 건
소송 제기의 건
지점 설치의 건
지점 폐지의 건
찬성 찬성
16 2022.10.25 영업 양수 승인의 건
지점 설치의 건
찬성 찬성
17 2022.11.03 민사소송 일부 합의의 건 찬성 찬성
18 2022.11.18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불참 찬성
19 2022.12.14 권리주주확정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투명경영위원회 활동 내역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의결현황 사외이사, 감사
공진석
(출석률:93%)
정재림
(출석률:100%)
1 2022.02.09 유휴자금 운영안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2 2022.03.08 미국법인(ESV INTERNATIONAL) 청산에 따른 부채 탕감의 건 가결 찬성 찬성
3 2022.03.14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의안 확정의 건
이사회규정 개정의 건
감사규정 개정 및 감사의 상근직 전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4 2022.04.06 사무용 집기 일부 매각의 건
마스크 품목허가 양도 및 폐업신고 진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5 2022.05.10 온라인독점 판매계약 부속합의서 체결의 건
시화지점 폐지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6 2022.06.10 형사소송 합의의 건
기부 진행의 건
가결 찬성 찬성
7 2022.06.15 타법인 주식 처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8 2022.07.01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가결 찬성 찬성
9 2022.07.12 합병계약 체결의 건 가결 찬성 찬성
10 2022.07.18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가결 찬성 찬성
11 2022.08.09 유휴자금 운영안 검토의 건 가결 찬성 찬성
12 2022.09.21 기부 진행 및 소송 제기의 건 가결 찬성 찬성
13 2022.10.07 중소기업자금회전대출 상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14 2022.10.25 영업 양수 승인의 건
지점 설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15 2022.11.03 민사소송 일부 합의의 건 가결 찬성 찬성
16 2022.11.18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가결 불참 찬성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000 30 15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포함하여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이사보수한도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유상증자 이은석
(특수관계인(계열회사등 임원))
2022-08 50 24.12%
유상증자 김다운
(특수관계인(회사 미등기 임원))
2022-11          10 4.82%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상품매입 경남제약㈜
(특수관계인(투자기업))
 2022-01~
2022-12
       67 32.46%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사업부문별 현황

당사는 현재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 판매를 통해 미디어 커머스 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력사업인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과 더불어 스마트카 부문,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부문,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하기와 같습니다.

1)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관련 된 건강기능식품과 온라인 시장의 현황은 하기와 같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생산현황과 같이 건강기능의 제품과 생산실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시대, 생활소득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지출은 꾸준히 상승하여 향후에도 건강기능식품의 성장세는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건강기능식품 생산현황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제조업체수(개소)

487

496

500

508

521

539

품목수(개)

20,699

21,500

23,891

26,342

28,197

33,456

생산량(톤)

45,060

45,649

52,771

71,681

76,696

136,915

생산액(백만원)

1,471,480

1,481,890

1,728,771

1,946,356

2,264,166

2,711,950

매출액

(백만원)

소계

2,125,996

2,237,395

2,522,108

2,950,787

3,325,388

4,032,130

국내판매액

2,017,548

2,129,739

2,396,225

2,808,103

3,098,950

3,801,498

해외수출액

108,448

107,656

125,883

142,684

226,438

230,632

생산액증가율(%)

29.9

0.7

16.7

12.6

16.3

19.8

매출액증가율(%)

16.6

5.2

12.7

17.0

12.7

21.3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2021년 12월 기준

  

또한 국내 온라인 시장의 규모도 최근 연간 두자리 숫자의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쇼핑의 활성과, 물류 인프라 및 스마트한 소비의 증가로 온라인 시장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온라인 시장 규모 추이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추정)

2023(추정)

규모(억원)

1,137,297 

1,352,640 

1,594,384 

1,928,947 

2,240,000 

2,544,000 

성장율(%)

 

18.9%

17.9%

21.0%

16.1%

13.6%

  ※출처 : 통계청 / 한국온라인쇼핑협회


2)스마트카 사업 부문

세계적인 기업과 국가의 주요 경쟁력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중 비전 엔진(Vision Engine) 기술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당사 스마트카 부문의 주력 품목인 블랙박스 (대시캠, Dash Cam)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가장 선호되는 자동차 옵션 중 하나로 크게 성장하였으며, 대부분의 보험사에서는 대시캠 장착 고객에 대해 1년간 본인이 납부하는 보험료의 3%~5%를 할인해주고 있으며 택시, 버스 등의 경우 2019년부터 블랙박스 설치가 의무화 되어 영업용, 상용차까지 장착률이 늘어가고 있는 등 국내 대시 캠 시장은 세계 어느 국가보다 높은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네비게이션의 시장은 비포마켓의 확대와 스마트폰을 통한 네비게이션 사용이 증가하면서 애프터마켓의 수요는 다소 줄었으나 네비게이션 지도공급업체의 판매 예상 수량 기준으로는 완만한 수준의 수량감소가 예상되고 있으며, 저가형 차량판매(화물차, 승합차, 경차, 렌트카 등) 시장과 국토교통부 차량등록대수 보도자료(2020)의 중고자동차 연도별 거래현황 추이에 따르면 2019년 대비 중고차 거래량이 7.2% 증가하였고, 중고차 시장은 신차 시장의 상승과 연계하여 지속적인 시장규모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보급형 네비게이션에 대한 수요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21.1.20.) 중고자동차 연도별 거래현황 추이


국내와 비교할 때 해외시장 블랙박스 보급률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글로벌 조사기관 Maximize Market Research가 2020년 실시한 글로벌 블랙박스 수요 전망에서는 캐나다와 미국을 포함한 북미시장에서의 꾸준한 블랙박스 수요 증가가 예측되고 있으며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인 Grand View Research의 블랙박스에 대한 수요가 2025년 약 60억 달러 수준에 이르는 세계적 시장 규모와 연평균 성장률 13%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통해서 국내외 블랙박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그에 따른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블랙박스 수요 전망(maximize market research, 2020)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당사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 초경을 준비하는 청소년, 가임기에 해당하여 생리주기에 속하는 여성, 출산 및 건강, 완경 등의 이유로 요실금 및 기타 분비물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 모두가 착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 위생팬티는 생리용품과 함께 사용 가능하며, 단독을 사용하여도 기능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제품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생팬티는 유사한 역할을 하는 생리팬티 및 생리대와 경쟁관계가 있습니다. 국내 생리대 산업만 구분하여 통계로 작성하고 있지 아니하여 생리대산업이 포함된 의약외품산업의 시장규모와 추세를 기준으로 생리대산업 시장 규모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당사 제품의 시장규모 판단 시 참고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12월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한 "2021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에서는 2020년도 의약외품의 생산액과 국내시장규모는 각각 3.71조원, 3.50조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20.94%, 145.83% 증가하였습니다. 동 자료에서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연도별 생산액과 국내시장규모는 다음과 같으며, 연평균성장률은 각각 12.55%, 13.90%입니다.

식품의약안전처 - 2021 식품의약품 산업동향통계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제로웨이스트 소비문화와 유해물질 파동에 따른 생리대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불안감, 입는 팬티로 여성의 일반적인 분비물과 생리기간의 분비물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생리기간에도 팬티 하나로 지낼 수 있는 문화가 점점 형성,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회용 제품(일회용생리대)의 소비자가 다회용 제품으로 넘어올 것으로 예상되며, 당사는 기존의 위생팬티 시장과 현재 형성되고 있는 생리팬티 시장 모두를 선점하여 초경부터 완경, 완경 이후까지의 여성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선도하는 브랜드로 성장함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당사는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을 영위하며 해당 산업은 화장품 산업에 해당합니다. 화장품산업의 총생산액은 2011년 6.39조에서 2020년 15.16조로 증가하였으며, Covid19로 2020년도에 전년대비 6.8% 감소하였으나,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0.4%씩 성장하였습니다.

화장품산업 총생산과 gdp대비 비중


또한 전세계 화장품 시장규모는 2011년도 2.90조달러에서 2020년 4.41조달러로 연평균 4.8% 증가하였습니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은 상대적으로 성장폭이 높아 같은 기간동안 7.1% 성장하였습니다.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는 총생산액에서 수출과 수입을 반영하며, 2010년대 초반까지는 성장하다가 2010 중반의 싸드문제 및 2010년 후반의 Covid19 등으로 성 장이 둔화되어 2011년도 83.4억달러에서 2020년 127.6억달러로 연평균 4.8%증가하였습니다.

지역별 화장품 시장규모



(2) 산업의 성장성

1)온라인 커머스 사업
영업 환경 및 트렌드의 변화는 코로나 19 사태와 같은 변수 등에 의해 유통 흐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및 비대면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카 부문 

현재 당사의 스마트카 부문의 주력 매출 품목인 대시 캠(Dash Cam) 시장은 동영상 유출에 따른 사생활 침해의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간 가장 선호되는 자동차 옵션 중 하나로 크게 성장하였습니다. 국내 대시 캠 시장은 세계 어느 국가보다 높은 보급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 단체별로 영업용 차량에 대한 의무화를 실시하여 주요 대도시 영업용 택시와 버스 등은 대시 캠을 대부분 장착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보험사에서는 대시 캠 장착 고객에 대해 1년간 본인이 납부하는 보험료의 3%~5%를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대시 캠 장착을 통해 사고의 책임 유무를 파악하기 쉽다는 점 외에도 운전자 본인의 운전 습관이 대시 캠에 기록되기 때문에 미장착 운전자보다 방어 운전을 하여 사고율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대시 캠 보급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평가와 함께 과거에 고속 성장하던 국내 내비게이션 산업의 경우도 성숙기에 접어들고, 이후 경쟁력을 가진 몇 개 업체 위주로 정리된 것과 유사하게 대시 캠 시장도 변환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기존 대시 캠 시장의 성장이 다소 주춤할 수는 있으나, 1) 대시 캠 교체 주기가 2~3년으로 지속적인 기저 수요가 존재하고, 2) 채널(카메라 수) 증가와 새로운 기능의 업그레이드로 단가 상승이 가능하며, 3) 장기적으로 해외 시장의 성장가능성이 높으며, 4)기술의 진보와 함께 대시 캠에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의 기능이 다양한 용도로의 대시 캠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어 동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보급률이 높아질수록 판매가격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시 캠은 1채널 보다는 전후방을 기록할 수 있는 2채널의 보급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현재 최신형은 4채널까지 등장하였습니다. 또한 고화소 등의 품질 향상과 새로운 기능(차선인식, 사물인식, ADAS 기능)들이 접목되면서 신제품의 판매단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중, 장기적으로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대시 캠은 내비게이션과는 다른 성장 과정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내비게이션이 서비스 국가의 지도가 기본적으로 장착된다는 측면에서 수출 등에 한계가 있는 반면, 대시 캠은 영상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로서 어느 국가에서든 사용이 가능해 수출을 통한 성장 정체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대시 캠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하는 기기로서 선진국의 경우 상용차를 중심으로 보급률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국 정부의 교통사고 예방과 사후 처리를 위한 방안으로서 차량용 대시 캠의 의무 장착에 대한 법률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WTA(World Trade Atlas)에 따르면 미국의 대시 캠 시장규모는 5,461백만달러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하지만 해당 조사자료에서 인용된 미국 대시 캠의 95% 이상은 국내의 제품과는 상이한 EDR(Event Data Recorder)를 의미합니다. EDR은 영상을 제외한 차량의 이동거리, 속도(및 가속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차량 운행정보 제공 및 유사시 사고 조사자료로 활용하는 장치입니다. 이처럼 영상을 제외한 장치를 활용하는 형태는 서구권의 사생활을 중요시 하는 문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에서도 차량 내 범죄 발생 예방, 10대 운전자들의 교통안전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영상기반의 대시 캠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따라서 미국에서도 점차 영상기반의 대시 캠 시장이 EDR 시장을 대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이외에 JEITA(일본 전자정보기술 산업협회)에 따르면 일본의 대시 캠 판매 현황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30%이상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며, Statista 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차량용 대시 캠의 시장은 2012년 10억달러 정도의 수준에서 2025년에는 59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각 국가별 요구사양에 부합하는 제품의 사용 및 장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현재 국내에는 기존의 위생팬티(공산품) 시장과 신규시장인 생리팬티(의약외품) 시장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위생팬티 시장의 기술력 향상으로 인해 출시 제품들이소형 생리대를 대체할 정도의 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현재 의약외품 카테고리 안에 생리팬티라는 새로운 제품군이 생겼으며, 위생팬티 시장과 함께 생리팬티 시장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과 경쟁관계에 있는 생리대 시장은 2017년 3월 발생한 '생리대 유해물질 검출 사건' 이후 국내 생리대에 대해 신뢰가 떨어지고,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커지면서 생리대 시장에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대기업이 주를 이뤘던 생리대 시장에서 다양한 중소기업들이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또한 유기농 생리대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아예 면 생리대만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성향도 변하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생리대 시장의 규모는 5000억원으로 다른 나라에 비해 순면 커버, 유기농 순면커버, 고기능성 제품의 선호도가 변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CU의 생리대 품목별 매출 비중을 조사한 결과를 참고하면 2018년 1~5월 순면·유기농제품의 매출 비중은 36.5%였습니다. 이는 생리대 유해물질 사건 이전인 2016년(11.8%)의 3배가 넘는 수치이며. 논란이 터지기 이전인 2014년에는 전체 생리대 매출의 2.8%였고, 2015년에는 10% 안팎이었습니다.

위와 같이 해당 산업의 시장 동향과 소비자 성향 변화로 미루어 보았을 때, 위생팬티 및 생리팬티 시장 성장과 생리대 시장에서의 소비자 유입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제품군은 여성의 필수소비재로서 경기에 따른 영향 또한 제한적이므로 산업의 안정성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반영구화장과 스킨케어, 에스테틱 사업이 속해있는 화장품산업의 총생산액은 2011년 6.39조에서 2020년 15.16조로 2배가 넘게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반영구화장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온라인커머스 부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진 가운데 언텍트(untact-비대면)소비는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오프라인 매장에서 주로 장을 보던 이들도 감염을 우려해 온라인 쇼핑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50대 이상 중장년층 마저 온라인 쇼핑 경험을 하며 온라인 쇼핑 경험은 전 연령층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각종 지표들을 살펴보며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소비 시장이 옮겨가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0년 3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17.9%감소했지만 온라인은 16.9% 상승했습니다.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등을 다양하고 거대한 플랫폼(쿠팡,네이버,카카오)을 활용하여 넓은 스펙트램을 갖추고 경남제약의 다양한 상품 구색을 갖춰 지속 가능한 사업을 해 나갈 수 있습니다.

[스마트 카 부문]

대시 캠 구매자 중 상당수는 신차 구매자이기 때문에 완성차 판매에 일부 영향을 받게 됩니다. 자동차 수요는 경기변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습니다. 자동차 보급이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해 자동차 수요의 증가세가 둔화 내지는 정체를 보이는 시기에는 그러한 관계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특히 경기 침체기에는 비교적 고가인 자동차의 수요가 다른 소비재에 비해 더 크게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시 캠 또한 완성차와 함께 일반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현재 당사가 속해있는 차량용 대시 캠 시장은 신차 출시 전 차량에 장착되어 판매되는 비포마켓(Before Market)이 아닌 차량 출시 후 선호에 따라 장착되는 애프터마켓(After Market)에 해당합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시장이 겪게 되는 완성차 시장의 변동에 따른 시장의 변화 정도는 대시 캠의 관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덜한 상황입니다. 

또한, 대시 캠 등 안전장치 관련하여 추진 및 진행하고 있는 정부정책 등인 손보업계 지원, 강력범죄 및 여성 운전자 증가, 고가의 수입차 판매 비중의 증가 현상 등으로 인해 시장의 일반적인 경기 변동 상황과는 달리 2015년까지 시장 규모가 증가하여 왔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차량용 대시 캠의 보급률 증가속도가 정체되는 시기(2010년대 후반~2020년 초반)까지는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의 대시 캠 시장 경기 변동은 차량용 대시 캠 시장의 비포마켓(Before Market) 진출 여부, 스마트카 선행기술의 대시 캠 적용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제로웨이스트 소비문화와 유해물질 파동에 따른 생리대 시장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불안감, 입는 팬티로 여성의 일반적인 분비물과 생리기간의 분비물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생리기간에도 팬티 하나로 지낼 수 있는 문화가 점점 형성,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회용 제품(일회용생리대)의 소비자가 다회용 제품으로 넘어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리대의 경우 여성의 필수소비재로서 경기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므로, 일회용 제품(일회용생리대)의 소비자가 위생팬티 시장에 유입된다면, 해당 시장 또한 경기에 따른 영향이 줄어들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최근 정서적 효용을 높일 수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소비 패턴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미용에 관한 관심이 연령과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증가하고 있고 관련 소비를 통해 심리적 만족을 추구하는 최근 추세를 볼 때 화장품시장은 타 시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이 적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케어플러스 비타민C1000, 케어플러스 프로바이오틱스 이뮨 등 자체 건강기능식품을 출시하여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카 사업 부문

세계적인 기업과 국가의 주요 경쟁력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중 비전 엔진(Vision Engine) 기술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위생팬티는 국내 여성 기능성 속옷 시장에서 약 30년 이상 형성되어 온 시장이며, 최근 약 4~5년 간 새롭게 기능성 위생팬티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여, 고기능성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미용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스킨케어 등 관련제품의 소비를 이끌어왔으며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해당분야 제품의 품질 및 기술이 발전하고있습니다. 당사는 시장내 수요 및 트렌드를 파악하여 반영구화장 관련 제품 및 스킨케어 제품 등 경쟁력있는 제품을 확보하여 유통, 판매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현재 경남제약 및 기타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에 판매하는 온라인커머스를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스마트카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또한, 2022년 위생팬티를 주력 제품으로하는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부문과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부문을 추가하여 현재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하기와 같습니다.

1) 온라인커머스 사업 부문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카 사업 부문

세계적인 기업과 국가의 주요 경쟁력이 소프트웨어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 중 비전 엔진(Vision Engine) 기술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3)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부문
위생팬티는 국내 여성 기능성 속옷 시장에서 약 30년 이상 형성되어 온 시장이며, 최근 약 4~5년 간 새롭게 기능성 위생팬티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여, 고기능성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4)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부문
반영구화장이란 바늘 등을 사용하여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색소로 눈썹이나 아이라인 등을 반영구적으로 새겨 넣는 행위로서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반영구화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국내에서도 반영구화장을 하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반영구화장 시장을 주 타겟으로 경쟁력있는 제품을 유통하여 시장의 트렌드를 이끌기 위해 노력중이며, 스킨케어/에스테틱 분야에서도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확보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산업 특성상 시장 및 경쟁회사별 시장점유율을 집계하는 기관이 없어 합리적 추정이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온라인사업 런칭이후 점진적인 매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경남제약과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계약 체결로 온라인 운영권 확보와 더불어 전문적인 온라인팀을 구축하여 메이저 온라인 채널에 입점하는 등 판매처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사 용 온라인 상품을 개발 및 확장함에 따라 당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고 관계사와 협업하여 진행하여 관계사 시너지를 낼 계획입니다.

또한 (주)리마커블랩스와의 흡수합병을 통해 위생팬티를 주력제품으로 하는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고,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산업군 내에서 경쟁력있는 영업권을 양수하여 뷰티사업본부를 신설하며 매출경로의 다각화와 타 사업부와의 시너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온라인 커머스 사업
영업 환경 및 트렌드의 변화는 코로나 19 사태와 같은 변수 등에 의해 유통 흐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및 비대면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남제약의 온라인 독점 파트너쉽, 자사 온라인 판매채널 구축, 신제품 기획 및 마케팅 등 경남제약의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통해 미디어 커머스기업으로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여성 속옷 및 의류 사업
국내 여성 기능성 속옷 시장에서 약 30년 이상 형성되어 온 시장이며, 최근 약 4~5년 간 새롭게 기능성 위생팬티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 주력 제품인 위생팬티는 여성의 신체주기에 따른 다양한 분비물들을 효과적으로 흡수, 건조, 방수할 수 있는 고기능성 원단으로 만든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여, 고기능성 위생팬티를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위생팬티는 국가가 인정한 안전기준 시험 통과를 마쳤으며, 일반 KC인증이 아닌 더 까다로운 아동용 유해 물질 안전 요건 기준의 아동용KC인증을 받아 더 안전하고 더 믿을 수 있는 제품이며, 이와 같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선점 및 성장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반영구화장 및 스킨케어/에스테틱 사업
화장품산업 시장규모의 증가와 더불어 최근 반영구화장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반영구화장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관련 재료 및 제품판매, 교육 등의 시장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빠른 시장진입을 통해 발전가능성이 있는 반영구화장품 시장을 선점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동시에 스킨케어 및 에스테틱 사업을 영위하며 경쟁력있는 제품을 확보 및 유통함으로써 화장품산업 시장과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20221231 커머스마이너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III. 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향후 주주총회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정기주주총회 개최(03월29일) 일주일 전까지 당사 홈페이지에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게재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www.kncare.co.kr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경 될 수 있습니다.


1)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 12(당)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11(전)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12(당) 기 제 11(전) 기
자산

   유동자산 22,751,695,679 23,217,042,076
   현금및현금성자산 4,914,056,393 9,037,553,262
   매출채권 2,087,353,024 3,871,223,929
   기타수취채권 10,545,832,955 5,308,745,111
   기타유동자산 161,456,766 307,019,036
   당기법인세자산 - 9,201,440
   재고자산 5,042,996,541 4,683,299,298
비유동자산 4,811,299,510 120,165,612
   장기수취채권 207,979,134 105,391,399

      유형자산

508,865,502 -

      무형자산

4,094,454,874 14,774,213
자산총계 27,562,995,189 23,337,207,688
부채

유동부채 3,255,840,734
3,116,331,205
   매입채무 1,145,715,238 1,354,460,842
   기타지급채무 675,625,162
838,543,773
   기타유동부채 1,075,721,597 673,092,298
   계약부채 1,145,280 8,411,090
      당기법인세부채 26,905,670 -
   충당부채 115,272,245 57,918,916
   리스부채 215,455,542 183,904,286
비유동부채 385,656,160 300,706,144
   순확정급여채무 201,636,515 157,929,914
   리스부채 184,019,645 142,776,230
부채총계 3,641,496,894
3,417,037,349
자본

자본금 1,573,037,100 1,333,350,600
자본잉여금 97,419,850,510 90,625,789,115
기타자본구성요소 (17,486,440) (65,547,956)
기타포괄손익누계액 (3,749,984,300) (11,227,423,585)
이익잉여금 (71,303,918,575) (60,745,997,835)
자본총계 23,921,498,295 19,920,170,339
부채와자본총계 27,562,995,189 23,337,207,688
"첨부된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2(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11(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12(당) 기 제 11(전) 기
매출액 20,726,718,540 16,677,098,599
매출원가 13,948,715,938 14,886,481,047
매출총이익(손실) 6,778,002,602 1,790,617,552
판매비와관리비 6,353,879,425 6,229,628,313
영업이익(손실) 424,123,177 (4,439,010,761)
  기타영업외수익 968,222,511 3,109,357,194
  기타영업외비용 3,395,609,870
3,507,107,380
  금융수익 308,457,663 73,476,725
  금융비용 35,678,178 654,945,71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730,484,697)
(5,418,229,933)
법인세비용(수익) 85,776,168  -
계속영업순이익(손실) (1,816,260,865)
(5,418,229,933)
중단사업영업순이익(손실) (448,869,406) (2,943,290,208)
당기순이익(손실) (2,265,130,271) (8,361,520,141)
기타포괄이익(손실) 266,460,332 (958,628,935)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266,460,332 (1,035,785,728)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67,424,541 85,280,07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199,035,791 (1,121,065,800)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77,156,793
       해외사업환산손익 - 77,156,793
총포괄손익 (1,998,669,939)
(9,320,149,076)
주당손익 -  -
   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160) (682)
   계속영업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129) (442)
   중단영업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31) (240)

"첨부된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자  본  변  동  표
제 12(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11(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자 본 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결손금 총   계
2021. 1. 1. (전기초) 1,139,646,100 86,821,245,690 (65,547,956) (10,618,471,541) (51,963,548,401) 25,313,323,892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손실) - - - - (8,361,520,141) (8,361,520,14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85,280,072 85,280,07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실
- - - (1,121,065,800) - (1,121,065,8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이익 이익잉여금 대체
- - - 434,956,963 (434,956,963) -
해외사업환산손익 - - - 77,156,793 - 77,156,793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193,704,500 3,804,543,425 - - - 3,998,247,925
기타포괄손익 재분류 - - - - (71,252,402) (71,252,402)
2021. 12. 31. (전기말자본) 1,333,350,600 90,625,789,115 (65,547,956) (11,227,423,585) (60,745,997,835) 19,920,170,339
2022. 1. 1. (당기초) 1,333,350,600 90,625,789,115 (65,547,956) (11,227,423,585) (60,745,997,835) 19,920,170,339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손실) - - - - (2,265,130,271) (2,265,130,27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67,424,541 67,424,54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실  -  -  - 199,035,791 - 199,035,79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처분에 의한 평가손익재분류  -  -  - 4,013,211,639 (4,013,211,639) -
연결범위 변동  - 1,033,750,000 48,061,516 3,265,191,855 (4,347,003,371) -
자본에 직접 반영된 주주와의 거래:
유상증자 239,686,500 5,760,311,395 - - - 5,999,997,895
2022. 12. 31. (기말자본) 1,573,037,100 97,419,850,510 (17,486,440) (3,749,984,300) (71,303,918,575) 23,921,498,295

"첨부된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현  금  흐  름  표
제 12(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11(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커머스마이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12(당) 기  제 11(전) 기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373,689,378   (1,545,644,944)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2,328,748,758   (1,578,986,657)  
    (1) 당기순손실 (2,265,130,271)   (8,361,520,141)  
    (2) 당기순손실 조정을 위한 가감 2,058,462,609   5,201,523,054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2,535,416,420   1,581,010,430  
  2. 이자수익의수취 158,641,688   62,971,313  
  3. 이자비용의지급 (28,930,540)   (29,923,440)  
  4. 법인세의환급(납부) (84,770,528)   293,840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1,002,014,799)   (2,947,613,051)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10,100,000,000   5,000,000,00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15,310,000,000)   (10,000,000,000)  
  단기대여금의 감소 571,725,134   60,000,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199,035,791   -  
  유형자산의 처분 5,550,570   2,479,082,603  
  유형자산의 취득 (47,345,061)   (1,056,123,654)  
  무형자산의 취득 (1,827,000,000)   -  
  장기대여금의 감소 776,769,917   226,757,000  
  보증금의 감소 71,300,000   366,262,000  
  보증금의 증가 (161,810,000)   (23,591,000)  
  종속회사 지배력취득에 의한 순현금유출 (5,380,241,150)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504,828,552   3,551,115,403
  유상증자 5,999,997,895   3,999,997,925  
  단기차입금의 감소 (1,306,807,786)   -  
  리스부채의 감소 (188,361,557)   (447,132,522)  
  기타자본항목의 감소 -
(1,750,000)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4,123,496,869)   (942,142,592)
Ⅴ.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 효과   -   230,086
VI.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9,037,553,262   9,979,465,768
VII.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4,914,056,393   9,037,553,262
"첨부된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0조의3(신주의 배당기산일)

①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

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배당기준일을 정하는 이사회 결의일로부터 그 배당기준일까지 발행한 신주에 대하여는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

제10조의3(신주의 배당기산일)

①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한다.

② 삭제.

코스닥협회 표준정관에 준하도록 개정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2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2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88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5백만원
최고한도액 5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1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상기 제출(예정)일은 제출 기한을 의미하며, 당사는 기한 내에 사업보고서 및 감사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인 2023년 3월 21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www.kncare.co.
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 사항 없음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관련 안내
- 질병관리청 지침에 따라 감염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 참석 시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  드립니다.
(* 질병관리청 지침: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

 - COVID-19에 따른 정부 방침이 변할 수 있어 주주총회 당일 입장 규정도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주주 여러분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4000857

딥마인드 (22331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