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7-12 09:5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12000037
2023 년 7 월 12 일 | ||
회 사 명 : | (주)케어젠 | |
대 표 이 사 : | 정용지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91번길 46-38 | |
(전 화) 031-420-9226 | ||
(홈페이지) http://www.caregen.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 무 | (성 명) 이 용 국 |
(전 화) 031-420-9210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대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3조에 의거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5조 제2항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7월 28일(금) 오전 9시30분
2. 장 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 91번길 16-27
케어젠 크리에이티브빌리지 5층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안건 :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www.care
gen.co.kr),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 및
전자공시(http://dart.fss.or.kr)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금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정하고, 이 두가지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 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및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3년 7월 18일 9시~ 2023년 7월 27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 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 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2023년 07월 12일
주식회사 케어젠 대표이사 정용지 [직인생략]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정용지 (참석률 : 100%) | 김은미 (참석률 : 100%) | 김대옥 (참석률 : 100%) | 김중현 (참석률 : 100%) | 최진성 (참석률 : 100%) | 허성욱 (참석률 : 50%) | 정헌주 (참석률 : 50%) | 김영준 (참석률 :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3.02.07 | 제22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자기주식 처분 승인의 건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안)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 | - |
2 | 2023.03.07 | 제22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제22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평가 보고 제22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재승인의 건 전자투표 도입의 건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보고접수 보고접수 찬성 찬성 찬성 | 보고접수 보고접수 찬성 찬성 찬성 | 보고접수 보고접수 찬성 찬성 찬성 | 보고접수 보고접수 찬성 찬성 찬성 | 보고접수 보고접수 찬성 찬성 찬성 | 보고접수 보고접수 찬성 찬성 찬성 | - | - |
3 | 2023.05.04 | 제23기 1분기(2023.01.01 ~ 2023.03.31) 재무제표 보고의 건 | 보고접수 | 보고접수 | - | 보고접수 | 보고접수 | 불참 | 보고접수 | 보고접수 |
4 | 2023.06.15 | 주식 액면분할 결정의 건 주주명부 폐쇄 기준일 결정의 건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전자투표 도입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불참 | 불참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상기 현황은 2023년 2분기말까지 개최된 이사회 현황임.
※ 2023년 3월 22일 개최된 제2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김중현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
은 등기이사직의 임기가 만료되어 재선임 되었습니다. 또한 정헌주, 김영준 이사
는 기타비상무이사로 신규 선임되었으며, 김대옥 기타비상무 이사는 임기 만료로
퇴임하였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감시위원 3인 (사외이사 김중현, 사외이사 허성욱, 사외이사 최진성) | 2023.02.07 | 제22기 재무제표 보고의 건 | -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감사실 주요 활동 보고의 건 | - | |||
내부회계관리규정(案) 개정 승인의 건 | 가결 | |||
외부감사인 선임 규정(案) 제정 승인의 건 | 가결 | |||
외부감사인 선임(案) 승인의 건 | 가결 | |||
2023.03.07 | 제22기 재무제표 보고의 건 | - |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2023.03.22 | 감사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
2023.05.04 | 제23기 1분기 (2023.01.01 ~ 2023.03.31)결산 보고의 건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등 | 5 | 4,000 | 14 | 3 | - |
- 상기 인원수는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 수입니다.
- 상기 주주총회 승인금액은 등기이사(사외이사 등 포함) 전체의 승인금액임.
- 상기 지급총액은 2023년 1월~6월까지 집계한 금액 기준이며, 사외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로 재직한 이사(퇴직임원 포함)가 지급받은 급여 총액입니다.
- 상기 1인당 평균지급액은 연간 지급총액을 현재 인원수로 나누어 산출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가. 업계의 현황
1) 의료기기
필러, 메조테라피 제품 시장은 소비자에게 직접 브랜드에 대한 마케팅을 진행하지 않고 기능성(또는 효능)을 최우선으로 검증받아 전문업체(병.의원/에스테틱숍/전문테라피숍 등) 위주로 유통되는 시장입니다. 전문테라피 제품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의 1:1의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 안면 미용
① 더말 필러(Dermal Filler)
전세계 뷰티 헬스케어 시장에서 보툴리늄 톡신(Botulinum Toxin, 보톡스)에 이어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필러(Filler)는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보톨리늄 톡신과는 달리 의료기기로 분류됩니다. 글로벌 필러 시장은 앨러간(Allergan), 갈더마(Galderma) 등 상위 기업의 히알루론산 필러가 전체 필러 시술의 약 90% 정도에 사용되고 있는데, 중국, 중동, 남미 등 신흥 개발국가의 경우 아직 시장이 성장 초기 단계이므로 향후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기존의 히알루론산 필러와 차별화된 펩타이드를 첨가하여 더욱 성능이 향상된 최초의 펩타이드 필러를 개발하였습니다. 당사의 필러는 기존 더말 필러와는 달리 지속시간을 2배로 늘려주고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 줌으로써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시켜 주는 혁신적인 필러입니다. 성장하는 기존의 더말 필러 시장에 당사가 개발한 기능성 바이오미메틱펩타이드 성분이 추가된 제품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존 시장을 잠식함은 물론 신규시장을 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② 메조테라피(Meso Theraphy)
메조테라피(Meso Theraphy)란 1952년 프랑스 의사 Pistor가 개발한 치료법으로, 효과가 검증된 약물과 미네랄, 비타민 등을 혼합하여 피부의 중간층에 주입하는 요법입니다. 메조테라피 시장은 20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하면서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최근 에너지기기(레이저, 이온·전자 영동기, 고주파기기 등)와 함께 사용하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메조테라피에 사용되는 메조솔루션 제품들은 글로벌 독점 사업자 없이 중소기업들이 경쟁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메조솔루션 제품들의 주요 성분들은 비타민류, 콜라겐, 히알루론산, 아미노산등으로 그 효과가 미미한 수준입니다.
당사는 원천기술로 개발한 21개의 성장인자와 피부, 미백, 모발의 개선을 촉진하는 바이오미메틱펩타이드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메조테라피 제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기존 제품들과 비교하여 차별화되고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한 당사의 메조테라피 제품들은 전세계 메조테라피 시장을 대표하는 글로벌 브랜드(더마힐 Dermaheal)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나) 탈모ㆍ두피 관리
탈모ㆍ두피 관리 시장은 일반적으로 식물 추출물과 의약품 원료인 Finasteride(프로페시아)와 Minoxidil(로게인) 을 주성분으로 한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식물 추출물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의약품원료인 경우 장기간 사용시 많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필러는 탈모 환자에게 유발되는 두피의 손상과 두피의 노화를 개선해 줄 수 있는 세계 최초 헤어 필러 제품으로, 자체 개발한 7종의 펩타이드(Wint, Nokkin, Keramin2, Prohairin베타4, Rehairin, Elima, Edrin)를 효능원료로 사용하여 차별화된 작용기전으로 발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해주며, 서방형 방출 제형 기술을 도입하여 유지력이 높고 부작용이 없으며 일반 의약품과 병행사용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입니다. 이를 토대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다) 바디ㆍ비만관리 시장
최근 필러 시장의 추세는 주름을 채우는 기능뿐만 아니라 손상된 피부를 복구시켜 주거나 과도한 셀루라이트로 인해 불규칙한 피부를 회복시켜주는 제품 등 다양한 기전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자체 개발한 효능원료인 펩타이드와 히알루론산을 이용한 필러에 서방형 방출 기술을 적용하여 유지력이 높고 시술이 간편하며 부작용이 없는 항비만 제품을 개발하였습니다. 전세계 비만인구의 증가와 신흥국가의 중산층 확대 및 소득 증대로 향후 시장이 더욱 확대될 전망입니다.
2) 코스메슈티컬 산업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이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단순한 기능성 화장품에 의약품의 전문적인 치료 기능을 합친 제품을 일컫는 말로서 기존 화장품이 피부 관리(Care)의 개념이라면, 코슈메슈티컬 제품은 피부 치료(Cure)에 초점을 맞춘 제품입니다.
2019년 기준 코스메슈티컬 시장 규모는 아시아 189억 달러, 유럽 178억 달러로 추산되며, 2020 ~ 2025년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아시아 7.3%, 유럽7.9%, 북미 8.2%로 전망됩니다. 또한 유럽, 미국, 일본에서의 코스메슈티컬 시장 비율은 50%를 상회하는 반면 중국은 20%대에 불과하고, 유럽 코스메슈티컬 시장은 스킨케어 비중이 압도적인 반면 아태 코스메슈티컬 시장에서 스킨케어 비중은 50%를 하회하는 수준으로, 향후 스킨케어가 아·태 코스메슈티컬 시장 성장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스메슈티컬 대륙별 시장규모 |
* 출처: 대신증권 리서치자료
3) 건강기능식품 산업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회적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현대사회가 점차 고령화 사회로 변화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노화방지 및 건강 유지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로 인해 구매력이 높은 고령층이 증가하고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강해짐에 따라 건강한 노년을 위한 고가의 항노화 제품 및 서비스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자들의 면역력 개선에 대한 높아진 소비자의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 |
* 출처: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4) 의약품 산업
펩타이드 의약품은 단백질 중에서도 뛰어난 생리활성을 가진 최소 단위를 선별해 생체 신호전달 및 기능을 조절하며, '생체 친화적', '생체 내 특이성'이라는 차별성을 가져, 부작용은 적으면서 소량으로도 강력한 약리작용 및 활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펩타이드를 이루는 아미노산의 화학적 제조/변형이 쉽기에 QC(품질관리, Quality control)가 용이하여 산업화가 쉬운 특징을 갖습니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펩타이드 의약품은 바이오 의약품의 10% 이상을 차지하며, 고분자 항체, 백신 등과 비교할 때 제조원가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펩타이드 의약품은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 질환과 항암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외 면역 치료제, 호르몬치료제 등 다양한 적응증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펩타이드 의약품 시장규모 |
* 출처: Grandviewresearch.com(단위: Billion $)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단백질(Protein)의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Peptide)를 활용한 수출용 의료기기(Dermal Filler) 제품 및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코스메틱과 메디컬) 제품, 그리고 성장인자와 펩타이드 등의 원료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건강기능식품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혈당조절 기능성 제품인 프로지스테롤을 출시하고 글로벌 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지스테롤은 미국식품의약국(USFDA)에 NDI등록을 마친 디글루스테롤을 함유된 제품으로 출시 이후부터 해외 전시회를 통해 글로벌 파트너들에게 소개해왔으며, 공급계약 체결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북미 아마존(Amazon), 중국 티몰(TMAll) 등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도 프로지스테롤이 입점되어 있어, 일반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도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당사는 기존 출시한 제품 외에도 특허 받은 600여개의 펩타이드를 포함한 방대한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수출용 의료기기와 코스메슈티컬 제품 개발 뿐만아니라, 혁신적 기능의 펩타이드 기반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 제품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인 의약품의 경우, COVID-19 치료제로 개발중인 스파이크다운이 2022년 4분기에 임상 1상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진행중에 있으며,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로 개발중인 CG-P5는 올해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 계획서 제출을 완료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및 시장의 특성
구분 | 제품 | 브랜드 |
전문테라피 - 수출용 필러 - 메조테라피 | 안면 미용 필러 안면/바디/비만/관절 케어 필러 보툴리늄톡신 기능 필러 탈모 개선 필러 안면/탈모개선 메조테라피 | Revofil Prostrolane CG Styler 600 Dr.CYJ Dermaheal |
코스메슈티컬 | 스킨 및 헤어 케어 미백 항염증 보튤리늄톡신 기능 헤어/두피 케어 | Dermaheal Purilux Pim-Pim-Paul PTx Pelo Baum |
원료 | 펩타이드 성장인자 | Caregen |
건강기능식품 | 혈당조절 | ProGsterol |
① 전문테라피
당사는 자체 개발한 기능성 펩타이드와 서방형 방출 제형 기술시스템을 도입한 의료기기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 필러 대비 지속시간을 늘려주고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켜 필러 성분 분해 후에도 주름의 개선효과를 보이는 제품과, 지속시간은 짧으나 시술의 흔적 없이 즉각적인 주름 개선 효과와 보습효과를 높여 시술 후에도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할 수 있는 제품 등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지속 출시하여 소비자별 니즈에 맞는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메조테라피 제품의 경우, 주사기 타입 제품에 대한 반감을 최소화하여 인체에 해가 없는 작은 바늘(마이크로 니들)이 있는 기구를 활용, 효능 원료가 피부에 침투할 수 있게 제작되었습니다. 탈모/두피 관리용으로도 수출용 의료기기와 메조테라피 등 다양한 제형의 헤어케어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화 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디/비만 관리용 전문테라피 제품으로 과도한 셀룰라이트로 인해 불규칙하게 형성된 피부를 회복시켜주는 펩타이드를 함유한 메조테라피 및 주사형 수출용 의료기기 제품도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② 코스메슈티컬
당사는 자체 개발한 기능성 펩타이드와 성장인자를 함유한 코스메슈티컬을 개발 판매하고 있습니다. 안면 미용 제품으로는 주름 개선 제품(자외선이나 노화로 인해 유발되는 주름을 개선하기 위해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하고, 항산화기능을 하는 펩타이드를 함유한 제품), 미백 제품(피부색소인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하는 펩타이드를 함유한 제품), 여드름성 트러블 피부개선 제품(여드름균으로부터 유발된 여드름성 염증 피부를 억제하는 펩타이드와,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펩타이드를 함유한 제품) 등이 있습니다. 탈모/두피관리 제품으로는 모발 성장 촉진 기능 및 탈모 억제 펩타이드를 함유, 모근세포를 활성화시켜 탈모 억제뿐만 아니라, 발모 촉진 기능을 하는 기능성 샴푸,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등이 있습니다.
③ 원료물질
당사는 CG-EGF를 포함한 20여종의 성장인자(Growth Factor), CG-Purilux를 포함한 300여종의 펩타이드 및 이의 혼합물 다수 종을 원료물질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성장인자는 고가의 원료물질로서 EPO (Erythropoietin) 등과 함께 고부가가치 물질로 구분되는 물질입니다. 최근 세계적 화학적 기업 BASF와 4종의 특허 펩타이드 원료에 대한 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하여 2021년 2분기부터 공급을 개시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효능을 입증받았습니다.
④ 건강기능식품
당뇨병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제2형 당뇨의 원인은 고지방식이로, 지방유리산(free fatty acid)와 염증이 생성되면서 인슐린 수용체의 내성을 증가시키고, 인슐린의 기능이 억제되면서 유발됩니다. 또한,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인 췌장의 Beta 세포의 손상으로 인슐린의 발현량이 감소하면서 유발됩니다. 당사가 개발한 펩타이드는 인슐린의 내성을 억제하고 인슐린의 민감성을 높여주는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Beta 세포의 손상을 막아줌으로써 혈당을 근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먹어서 위와 장을 통과하여 혈액까지 전달 가능한 펩타이드로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공복혈당장애, 내당성장애의 당뇨전단계 대상에게도 사용이 가능한 안전한 혈당 조절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2022년 3월에는 당사의 혈당조절 기능성 식품원료 펩타이드인'디글루스테롤(Deglusterol)이 미국식품의약국(USFDA)으로부터 기능성과 안정성을 인정받아, NDI로 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 free fatty acid(유리지방산): 지방세포가 운동 등으로 분해되어 혈액으로 방출되는 지방성분.
2) 시장점유율 및 시장의 특성
당사 매출액 대부분이 전 세계 바이어들을 통해서 직,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공식적인 시장 점유율은 추정이 불가능합니다. 당사가 속해있는 산업은 전체적으로 항노화 산업이며, 인구 노령화에 따른 안티에이징 시술 및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심미적 욕구 상승와 함께 신흥국 20~65세 중산층 여성 인구 수 및 소득 수준 상승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편입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① 코에 뿌리는 COVID-19 항바이러스/폐섬유증 치료제 개발
당사는 국내 최초 펩타이드 기반 코에 뿌리는 COVID-19 항바이러스 치료제 "스파이크다운(SpikeDown)"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코에 뿌렸을 때 펩타이드가 코 점막을 통해 혈관으로 전달되어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돌기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부위(spike receptor-binding domain)에 결합,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세포로 감염되는 것을 막는 기전으로 비강스프레이형과 정맥주사형 두가지 제품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스파이크다운의 동물 유효성 평가 결과 98%의 바이러스 소멸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현재는 이스라엘 보건국 MoH로부터 임상 1상 승인을 받아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스파이크다운은 뛰어난 안정성과 안전성을 지니고 있어 중증환자 및 경증환자와 비환자 모두 사용 가능하며, 치료제 및 예방제로서 동시에 기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실온에서 유통 및 장기 보관이 가능하며 병원 사용 이외에도 수시로 자가 사용이 가능하여 COVID-19 해결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② 노인성 안구질환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
황반변성은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에 과도한 신생혈관 생성으로 발생되는 안구질환으로 건성과 습성 황반변성이 있습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제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혈관내피성장인자) 항체를 안구 유리체 내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환자들이 매우 불편하고 빈번한 주사방식과 부작용, 그리고 비용 부담 등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당사는 비정상적인 신생혈관 생성에 관여하는 VEGF 수용체의 기능을 억제하는 습성황반변성과 안구질환 치료제로 펩타이드 기반 점안액 형태의 제품을 개발 중입니다. 당사가 개발한 습성황반변성 치료 펩타이드는 매우 안전하고 안정적이며, 안구에 떨어뜨리는 점안액 형태로 환자가 치료받는데 매우 편할뿐 아니라 부작용이 전혀 없는 혁신 신약입니다. 점안액 투여로도 펩타이드가 안구 내 유리체까지 전달되어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뿐만 아니라 안구질환 예방까지 가능하며, 부작용이 없이 매우 안전하기 때문에 수시로 누구나 쉽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기존 안구주사제의 높은 치료 비용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제품화가 가능합니다. 2023년 6월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에 임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을 완료하였습니다.
③ 항비만 효과를 갖는 펩타이드의 개발 및 제품 개발
당사가 개발한 항비만 효과 펩타이드는 축적된 지방의 형태인 triglyceride를 glycerol로 분해시켜 지방감소 효과를 갖습니다. 고지방식이 유발 모델에 투여했을 때, 체중이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는 효과가 관찰되었고, AMPK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며 지방분해 촉진 인자들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지방조직의 분석을 통해 지방의 크기가 펩타이드 투여군에서 매우 축소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기존 다이어트 약품으로 알려진 식욕억제제와는 매우 큰 차별성을 가지며, 부작용이 없는 지방 분해 촉진제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의약품으로 개발 및 제품화를 위해 현재 GLP(화학물질유해성시험연구기관) 인증 독성시험기관에서 전임상을 진행 중입니다.
※ GLP(Good Laboratory Practice) 화학물질유해성시험연구기관
※ triglyceride(트리글리세리드): 체내에 있는 지방의 일종이며, 피하지방, 즉 중성지방임. 콜레스테롤과 함께 동맥 경화를 일으키는 혈중 지방 성분.
※ glycerol(글리세롤): 지방의 구조물질로 여러 개의 알코올이 합쳐져 있는 단순한 구조의 물질. 글리세린이라고도 함.
※ AMPK: 인체의 단백질 효소로 활성화되면, 에너지를 소모함.
4)조직도
조직도 |
□ 정관의 변경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6조 (일주의 금액) 본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일주의 금액은 금 500원으로 한다. | 제6조 (일주의 금액) 본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일주의 금액은 금 100원으로 한다. | 주식 액면분할을 통한 유통주식수 확대로 주식거래 활성화 |
부칙 <신설> | 부칙 이 개정 정관은 2023년 07월 28일 시행한다. | 부칙 신설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임시주주총회 해당 사항 없음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게재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금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정하고, 이 두가지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가.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권유 관리시스템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 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 주주 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2. 주주의 주주총회 참석을 위해 회사가 조치한 내용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712000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