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2023-05-10 12:59: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510000264
금융위원회 귀중 | 2023년 05월 10일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
대 표 이 사 : | 유 병 탁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로 155 |
(전 화) 042-879-3000 | |
(홈페이지) http://www.selvashealthcar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지원실장 (성 명) 김 재 호 |
(전 화) 042-879-3000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3년 04월 07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4,0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21,000,000,000원(1주당 5,250원)
4. 정정사유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5. 정정사항
2023년 05월 10일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증권신고서 정정사항을 초록색으로 기재하여 2022년 04월 21일 증권신고서 자진 정정사항(파란색)과 구분하여 표시하였습니다.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공통사항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8,530원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34,120,000,000원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5,250원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21,000,000,000원 |
요약정보 |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1. 공모개요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3) 정정 전 | (주3)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 | ||
1. 사업위험 - 아. 신규 사업 관련 실패 위험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2. 회사위험 -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V. 자금의 사용목적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주1) 정정 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 가액 | 모집(매출) 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보통주 | 4,000,000 | 500 | 8,530 | 34,120,0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 | 아니오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인수(주선)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보통주 | 4,000,000 | 34,120,000,000 | 인수수수료: 모집총액의 0.8% 실권수수료: 잔액인수금액의 9.0% | 잔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3년 06월 19일 ~ 2023년 06월 20일 | 2023년 06월 27일 | 2023년 06월 21일 | 2023년 06월 27일 | 2023년 05월 12일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
---|---|
시작일 | 종료일 |
2023년 04월 10일 | 2023년 06월 14일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채무상환자금 | 7,711,008,188 |
운영자금 | 26,408,991,812 |
발행제비용 | 314,521,600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
---|---|---|
행사대상증권 | 행사가격 | 행사기간 |
- | -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 ||||
---|---|---|---|---|
부여사유 | 행사가능 투자자 | 부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정정]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2023.04.21 |
【기 타】 | 1) 금번 (주)셀바스헬스케어의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대표주관회사는 케이비증권(주)입니다. 2) 금번 유상증자는 잔액인수방식에 의한 것입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후 최종실권주를 잔액인수하게 되며, 인수방법 및 인수대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1부 Ⅰ.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상기 모집가액 및 발행제비용은 예정가액으로 산정된 것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확정가액은 청약일 전 제3거래일에 결정될 예정입니다. 4) 상기 청약기일은 구주주 청약 일정이며, 일반공모 청약은 2023년 06월 22일과 2023년 06월 23일 2일간입니다. 5)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2항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벤처기업투자신탁 및 일반청약자에 대하여 배정하여야 할 주식이 50,000주(액면가 500원 기준) 이하 이거나, 배정할 주식의 공모금액이 1억원 이하인 경우에는 청약자에게 배정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 6) 금융감독원에서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주요사항의 변동으로 인한 기재 내용의 정정 등으로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7) 증권신고서의 효력의 발생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주1) 정정 후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 가액 | 모집(매출) 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보통주 | 4,000,000 | 500 | 5,250 | 21,000,000,000 |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 | 아니오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인수(주선)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케이비증권 | 보통주 | 4,000,000 | 21,000,000,000 | 인수수수료: 모집총액의 0.8% 실권수수료: 잔액인수금액의 9.0% | 잔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3년 06월 19일 ~ 2023년 06월 20일 | 2023년 06월 27일 | 2023년 06월 21일 | 2023년 06월 27일 | 2023년 05월 12일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
---|---|
시작일 | 종료일 |
2023년 04월 10일 | 2023년 06월 14일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채무상환자금 | 4,802,757,118 |
운영자금 | 16,197,242,882 |
발행제비용 | 205,680,000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
---|---|---|
행사대상증권 | 행사가격 | 행사기간 |
- | -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 ||||
---|---|---|---|---|
부여사유 | 행사가능 투자자 | 부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정정] 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2023.05.10 |
【기 타】 | 1) 금번 (주)셀바스헬스케어의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의 대표주관회사는 케이비증권(주)입니다. 2) 금번 유상증자는 잔액인수방식에 의한 것입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후 최종실권주를 잔액인수하게 되며, 인수방법 및 인수대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1부 Ⅰ.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상기 모집가액 및 발행제비용은 1차 발행가액으로 산정된 것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확정가액은 청약일 전 제3거래일에 결정될 예정입니다. 4) 상기 청약기일은 구주주 청약 일정이며, 일반공모 청약은 2023년 06월 22일과 2023년 06월 23일 2일간입니다. 5)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2항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벤처기업투자신탁 및 일반청약자에 대하여 배정하여야 할 주식이 50,000주(액면가 500원 기준) 이하 이거나, 배정할 주식의 공모금액이 1억원 이하인 경우에는 청약자에게 배정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 6) 금융감독원에서 본 증권신고서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주요사항의 변동으로 인한 기재 내용의 정정 등으로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7) 증권신고서의 효력의 발생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주2) 정정 전
1. 공모개요
당사는 2023년 04월 07일 최초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 제2항 제1호에 의거 케이비증권(주)와 주주배정후 실권주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4,000,000주를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기명식보통주 | 4,000,000 | 500 | 8,530 | 34,120,000,000 | 주주배정후실권주일반공모 |
주1) 최초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4월 07일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예정 발행가액 기준으로 한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유상증자의 발행가액 결정)에 의거, 주주배정증자시 할인율 등이 자율화 되어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모집예정가액의 산출근거
이사회결의일 직전 거래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아래의 산식에 따라 결정하며, 할인율은 25%를 적용합니다.(단,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하며, 그 가액이 액면가액 미만인 경우 액면가액으로 합니다.)
기준주가 X 【 1 - 할인율(25%) 】 | ||
▶ 모집예정가액 | = | ---------------------------------------- |
1 + 【유상증자비율 X 할인율(25%)】 |
상기 방법에 따라 산정된 예정발행가액은 참고용이며, 구주주 청약일전 3거래일에 확정발행가액을 결정될 예정입니다.
[모집예정가액 산정표] 기산일 : 2023년 04월 06일 | (단위 : 원, 주) |
일자 | 종 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2023-04-06(목) | 12,230 | 7,701,086 | 97,212,218,360 |
2023-04-05(수) | 11,820 | 1,902,457 | 21,882,601,390 |
2023-04-04(화) | 11,260 | 2,275,075 | 27,582,483,810 |
2023-04-03(월) | 11,760 | 2,764,839 | 31,543,131,490 |
2023-04-02(일) | - | - | - |
2023-04-01(토) | - | - | - |
2023-03-31(금) | 10,690 | 1,206,187 | 12,852,202,690 |
2023-03-30(목) | 11,320 | 792,676 | 9,128,261,950 |
2023-03-29(수) | 11,830 | 1,499,738 | 17,706,071,790 |
2023-03-28(화) | 12,090 | 1,336,809 | 16,257,718,250 |
2023-03-27(월) | 12,680 | 1,699,633 | 21,417,532,840 |
2023-03-26(일) | - | - | - |
2023-03-25(토) | - | - | - |
2023-03-24(금) | 12,660 | 4,954,995 | 64,612,407,860 |
2023-03-23(목) | 12,170 | 7,355,837 | 91,159,933,930 |
2023-03-22(수) | 12,390 | 25,073,733 | 313,960,572,690 |
2023-03-21(화) | 10,980 | 7,574,163 | 75,902,019,480 |
2023-03-20(월) | 8,450 | 1,355,586 | 11,350,502,730 |
2023-03-19(일) | - | - | - |
2023-03-18(토) | - | - | - |
2023-03-17(금) | 8,280 | 1,978,358 | 16,008,248,200 |
2023-03-16(목) | 7,800 | 1,647,920 | 13,210,019,060 |
2023-03-15(수) | 8,210 | 1,769,476 | 14,707,180,730 |
2023-03-14(화) | 8,160 | 1,470,882 | 11,818,252,440 |
2023-03-13(월) | 8,530 | 2,048,967 | 17,430,000,650 |
2023-03-12(일) | - | - | - |
2023-03-11(토) | - | - | - |
2023-03-10(금) | 8,670 | 4,888,182 | 41,515,712,000 |
2023-03-09(목) | 8,440 | 9,970,763 | 86,661,551,960 |
2023-03-08(수) | 8,150 | 2,404,478 | 19,809,678,870 |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 10,974원 | - |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 12,055원 | - | |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C) | 12,623원 | - | |
A,B,C의 산술평균 (D) | 11,884원 | (A+B+C)/3 | |
기준주가 (E) | 11,884원 | (C와 D중 낮은가액) | |
할인율 (F) | 25% | - | |
증자비율 (G) | 18.45% | - | |
예정발행가액 | 8,530원 | 기준주가 × (1-할인율) /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
(주2) 정정 후
1. 공모개요
당사는 2023년 04월 07일 최초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 제2항 제1호에 의거 케이비증권(주)와 주주배정후 실권주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사전에 그 실권주를 일반에 공모하기로 하여 기명식 보통주 4,000,000주를 주주배정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며, 동 증권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기명식보통주 | 4,000,000 | 500 | 5,250 | 21,000,000,000 | 주주배정후실권주일반공모 |
주1) 최초 이사회 결의일 : 2023년 04월 07일 주2) 1주의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1차 발행가액 기준으로 한 예정금액이며, 확정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유상증자의 발행가액 결정)에 의거, 주주배정증자시 할인율 등이 자율화 되어 자유롭게 산정할 수 있으나, 시장혼란 우려 및 기존 관행 등으로 (구)「유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7조를 일부 준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 1차 발행가액의 산출근거
1차 발행가액은 신주배정기준일(2023년 05월 12일) 전 3거래일(2023년 05월 09일)을 기산일로 하여 코스닥시장에서 성립된 거래대금을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하여 산정한 가액과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금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아래의 산식에 따라 결정하며, 할인율은 25%를 적용합니다.(단, 호가단위 미만은 호가단위로 절상하며, 그 가액이 액면가액 미만인 경우 액면가액으로 합니다.)
기준주가 X 【 1 - 할인율(25%) 】 | ||
▶ 1차 발행가액 | = | ---------------------------------------- |
1 + 【유상증자비율 X 할인율(25%)】 |
[1차 발행가액 산정표] 기산일 : 2023년 05월 09일 | (단위 : 원, 주) |
일자 | 종 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2023-05-09 | 7,270 | 2,796,597 | 20,447,463,840 |
2023-05-08 | 7,820 | 9,332,171 | 73,576,788,220 |
2023-05-07 | - | - | - |
2023-05-06 | - | - | - |
2023-05-05 | - | - | - |
2023-05-04 | 7,060 | 3,466,272 | 24,686,303,150 |
2023-05-03 | 6,770 | 1,311,632 | 9,063,196,170 |
2023-05-02 | 7,140 | 2,796,481 | 19,529,493,920 |
2023-05-01 | - | - | - |
2023-04-30 | - | - | - |
2023-04-29 | - | - | - |
2023-04-28 | 7,010 | 3,151,178 | 22,841,939,330 |
2023-04-27 | 7,070 | 4,558,260 | 33,713,351,510 |
2023-04-26 | 7,460 | 14,612,011 | 110,882,604,550 |
2023-04-25 | 7,240 | 21,034,195 | 150,178,582,400 |
2023-04-24 | 6,100 | 4,610,236 | 29,087,367,010 |
2023-04-23 | - | - | - |
2023-04-22 | - | - | - |
2023-04-21 | 7,350 | 26,559,135 | 198,405,732,160 |
2023-04-20 | 6,190 | 1,907,167 | 12,081,346,360 |
2023-04-19 | 6,700 | 5,183,469 | 36,367,321,500 |
2023-04-18 | 6,840 | 1,255,814 | 8,700,355,480 |
2023-04-17 | 6,970 | 1,647,394 | 11,651,357,630 |
2023-04-16 | - | - | - |
2023-04-15 | - | - | - |
2023-04-14 | 7,020 | 1,805,579 | 12,920,879,540 |
2023-04-13 | 7,180 | 2,529,704 | 18,580,149,730 |
2023-04-12 | 7,440 | 2,170,139 | 16,371,357,210 |
2023-04-11 | 7,700 | 4,826,867 | 37,480,301,620 |
2023-04-10 | 8,170 | 9,158,510 | 77,689,259,510 |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A) | 7,411원 | - | |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B) | 7,558원 | - | |
기산일 가중산술평균주가 (C) | 7,312원 | - | |
A,B,C의 산술평균 (D) | 7,427원 | (A+B+C)/3 | |
기준주가 (E) | 7,312원 | (C와 D중 낮은가액) | |
할인율 (F) | 25% | - | |
증자비율 (G) | 18.45% | - | |
1차 발행가액 | 5,250원 | 기준주가 × (1-할인율) / [1 + (유상증자비율 × 할인율 )] |
(주3)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단위 : 주, 원) |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4,000,000 | ||||||||||||||||||||||||||||||||
주당 모집가액 | 예정가액 | 8,530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34,120,000,000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 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로 합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단, 1주 미만은 절사한다).
| ||||||||||||||||||||||||||||||||
청약기일 | 구주주 | 개시일 | 2023년 06월 19일 | ||||||||||||||||||||||||||||||
종료일 | 2023년 06월 20일 | ||||||||||||||||||||||||||||||||
실권주 일반공모 | 개시일 | 2023년 06월 22일 | |||||||||||||||||||||||||||||||
종료일 | 2023년 06월 23일 |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
초 과 청 약 | 청약금액의 100% |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
납 입 기 일 | 2023년 06월 27일 |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3년 01월 01일 |
주1)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3)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조건
(단위 : 주, 원) |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4,000,000 | ||||||||||||||||||||||||||||||||
주당 모집가액 | 예정가액 | 5,250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 예정가액 | 21,000,000,000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1) "구주주"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하며, 개인별 청약한도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된 소유주식수에 신주배정비율("주주 배정분"에 해당하는 주식수를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로 나눈 비율을 말하며, 자기주식과 발행주식총수는 신주배정기준일 현재의 주식수를 말한다)을 곱하여 산정된 배정주식수로 합니다. 다만, 신주배정기준일 현재 신주배정율은 주식관련사채의 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자기주식수의 변동 등으로 인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단, 1주 미만은 절사한다).
| ||||||||||||||||||||||||||||||||
청약기일 | 구주주 | 개시일 | 2023년 06월 19일 | ||||||||||||||||||||||||||||||
종료일 | 2023년 06월 20일 | ||||||||||||||||||||||||||||||||
실권주 일반공모 | 개시일 | 2023년 06월 22일 | |||||||||||||||||||||||||||||||
종료일 | 2023년 06월 23일 | ||||||||||||||||||||||||||||||||
청약 증거금 | 구주주 | 청약금액의 100% | |||||||||||||||||||||||||||||||
초 과 청 약 | 청약금액의 100% | ||||||||||||||||||||||||||||||||
일반모집 또는 매출 | 청약금액의 100% | ||||||||||||||||||||||||||||||||
납 입 기 일 | 2023년 06월 27일 | ||||||||||||||||||||||||||||||||
배당기산일(결산일) | 2023년 01월 01일 |
주1)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정정 요구 등에 따라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유가증권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2) 상기 일정은 유관기관과의 협의 과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4) 정정 전
상기와 같이 신규 사업 확장을 위하여 금번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를 통하여 유입되는 자금 중 5,261백만원을 사용하여 AI 원격의료 신규사업을 위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한 세부 자금사용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4) 정정 후
상기와 같이 신규 사업 확장을 위하여 금번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를 통하여 유입되는 자금 중 3,247백만원을 사용하여 AI 원격의료 신규사업을 위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한 세부 자금사용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5) 정정 전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주요 재무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의 경우 당사는 2020년 81.3%에서 2021년 74.6%를 기록하며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1년 당사의 부채총계는 2020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하였지만, 2,472백만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으로 자본확충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2022년의 경우 부채비율은 37.1%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37.5%p 감소하며 재무안정성이 더욱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당사의 차입금 상환과 전환사채의 조기상환으로 인한 7,233백만원의 기타유동금융부채 감소로 부채총계가 전년대비 41.6% 감소하였고, 2,650백만원의 당기순이익 발생으로 자본확충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연결기준 당사의 총차입금은 2020년 16,140백만원, 2021년 9,000백만원, 2022년 7,483백만원을 기록하며 최근 3년간 지속적인 총차입금 상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총차입금의 감소로 인해 당사의 차입금의존도 또한 2020년 35.8%, 2021년 18.4%, 2022년 16.6%를 기록하며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당사는 최근 금리 인상에 따라 금용비용 해소를 위해 본 유상증자 대금 7,711백만원을 활용하여 상기 총차입금을 전액 상환할 예정입니다. 총차입금 상환 시 당사의 차입금의존도는 0%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세계 통화긴축 지속, 민간소비 위축 등으로 세계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당사의 사업 또한 열위해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이 지속되어 운영자금이 부족할 경우 재차 차입금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투자하기에 앞 서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략)
...
당사는 최근 금리 인상에 따라 금용비용 해소를 위해 본 유상증자 대금 7,711백만원을 활용하여 상기 총차입금을 전액 상환할 예정입니다. 총차입금 상환 시 당사의 차입금의존도는 0%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본 유상증자 대금을 활용한 채무상환자금 목적에 대한 상세 내용은 "V. 자금의 사용목적" 부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주5) 정정 후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주요 재무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의 경우 당사는 2020년 81.3%에서 2021년 74.6%를 기록하며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1년 당사의 부채총계는 2020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하였지만, 2,472백만원의 당기순이익이 발생으로 자본확충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2022년의 경우 부채비율은 37.1%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37.5%p 감소하며 재무안정성이 더욱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당사의 차입금 상환과 전환사채의 조기상환으로 인한 7,233백만원의 기타유동금융부채 감소로 부채총계가 전년대비 41.6% 감소하였고, 2,650백만원의 당기순이익 발생으로 자본확충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연결기준 당사의 총차입금은 2020년 16,140백만원, 2021년 9,000백만원, 2022년 7,483백만원을 기록하며 최근 3년간 지속적인 총차입금 상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총차입금의 감소로 인해 당사의 차입금의존도 또한 2020년 35.8%, 2021년 18.4%, 2022년 16.6%를 기록하며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당사는 최근 금리 인상에 따라 금용비용 해소를 위해 본 유상증자 대금 4,803백만원을 활용하여 총차입금 중 일부를 상환할 예정입니다. 총차입금 중 4,803백만원 상환 시 당사의 차입금의존도는 1.2%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세계 통화긴축 지속, 민간소비 위축 등으로 세계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당사의 사업 또한 열위해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이 지속되어 운영자금이 부족할 경우 재차 차입금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투자하기에 앞 서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략)
...
[연결기준 차입금 상환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차입처 | 만기일 | 이자율 | 작성일 현재 기준 | 상환예정금액 | 상환 후 잔액 |
---|---|---|---|---|---|---|
2023년 2분기 | ||||||
단기 차입금 | 신한은행 | 2023-08-23 | 1.10% | 1,266 | 358 | 908 |
소계 | 1,266 | 358 | 908 | |||
유동성 장기차입금 | 한국 산업은행 | 2025-01-26 | 5.74% | 200 | - | 200 |
2025-01-26 | 4.25% | 100 | - | 100 | ||
2025-01-26 | 4.43% | 198 | - | 198 | ||
2025-01-26 | 5.63% | 243 | - | 243 | ||
2025-01-26 | 5.79% | 260 | - | 260 | ||
2023-08-17 | 4.15% | 4,200 | 4,200 | 0 | ||
소계 | 5,200 | 4,200 | 1,000 | |||
장기 차입금 | 한국 산업은행 | 2025-01-26 | 5.74% | 200 | - | 200 |
2025-01-26 | 4.25% | 100 | - | 100 | ||
2025-01-26 | 4.43% | 198 | - | 198 | ||
2025-01-26 | 5.63% | 243 | - | 243 | ||
2025-01-26 | 5.79% | 260 | - | 260 | ||
하나은행 | 2024-10-24 | 2.29% | 245 | 245 | 0 | |
소계 | 1,245 | 245 | 1,000 | |||
합계 | 7,711 | 4,803 | 2,908 |
(출처: 당사 제공) |
당사는 최근 금리 인상에 따라 금용비용 해소를 위해 본 유상증자 대금 4,803백만원을 활용하여 상기 총차입금 중 일부 상환할 예정입니다. 총차입금 중 4,803백만원 상환 시 당사의 차입금의존도는 1.2%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본 유상증자 대금을 활용한 채무상환자금 목적에 대한 상세 내용은 "V. 자금의 사용목적" 부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주6)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34,120,000,000 |
발행제비용(2) | 314,521,600 |
순 수 입 금 [ (1)-(2) ] | 33,805,478,400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또한 상장수수료는 상장신청일 직전일 주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지급일자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6,141,600 | 신고서제출일 | 모집총액의 0.018% (10원 미만 절사) |
인수수수료 | 272,960,000 | 납입일 3영업일 이내 | 납입금액의 0.8% |
추가상장수수료 | 5,820,000 | 신주상장일 | 430만원 + 3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8만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14) |
등록세 | 8,000,000 | 등기일 | 증자 자본금의 0.4% |
교육세 | 1,600,000 | 등기일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20,000,000 | - | 구주주청약서, 투자설명서 인쇄 및 발송비 등 |
합 계 | 314,521,600 | - | -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 모집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발행제비용의 경우 자체적으로 보유한 자금을 통하여 사용할 계획입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자금의 사용내역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다만, 하기 투자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 | 2023년 04월 07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26,409 | 7,711 | - | - | 34,120 |
주1) 당사의 공모자금은 예정발행가액에 따른 금액이며, 최종발행가액 확정시 부족한 자금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자금사용 목정상 우선순위에 따라 회사의 보유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
주2) 금번 자금조달을 통한 자금 조달시기와 집행시기 간의 차이로 인하여 불일치되는 금액 발생 시 회사 내부의 유보자금 등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집행할 예정입니다. |
가. 자금 조달의 개요
당사는 금번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통한 납입자금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우선순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우선순위]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목 적 | 세부내역 | 금액 | 우선순위 | 자금 사용 시기 |
---|---|---|---|---|---|
운영자금 | 신제품개발 R&D | 보조공학부문 R&D | 7,405 | 1 | 2023년 2분기 ~ 2025년 4분기 |
AI 의료진단부문 R&D | 9,951 | ||||
신규사업 | AI 원격의료 | 5,261 | 2 | 2023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채무상환자금 | 금융기관 차입금 상환 | 7,711 | 3 | 2023년 06월 | |
운영자금 | 신제품 관련 원자재 자금 | 3,792 | 4 | 2023년 3분기 ~ 2024년 2분기 | |
총 계 | 34,120 | - | - |
주1) 상기금액은 예정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자체 보유현금을 통하여 지급할 계획입니다. |
나. 세부사용 계획
(1) 운영자금(1순위 - R&D 연구개발자금)
(중략)
...
[신제품 개발에 따른 분기별 R&D비용 상세내역] |
(단위: 백만원) |
자금용도 | 세부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연구개발비 | 보조공학부문 | 제품개발 | 점자정보단말기 | 241 | 494 | 201 | 843 | 309 | 506 | 192 | 418 | 192 | 385 | 85 | 3,866 |
제품개발 | 저시력확대기 | 22 | 7 | 295 | 291 | 579 | 554 | 332 | 384 | - | - | - | 2,464 | ||
제품개발 | 핵심부품개발 | - | 600 | 475 | - | - | - | - | - | - | - | - | 1,075 | ||
AI의료진단부문 | 제품개발 | 가정용제품 | 376 | 797 | 397 | 8 | 30 | 133 | 29 | - | - | - | - | 1,770 | |
제품개발 | 체지방측정기 | 203 | 318 | 653 | 287 | 517 | 236 | 375 | 188 | - | - | - | 2,777 | ||
제품개발 | 골밀도측정기 | 203 | 135 | 90 | 39 | 325 | 406 | 130 | 8 | - | - | - | 1,336 | ||
임상시험 | 체지방측정기 | 168 | 224 | 367 | 301 | 245 | 160 | 160 | 160 | - | - | - | 1,785 | ||
임상시험 | 자동전자혈압계 | - | - | 143 | 144 | 72 | - | 28 | 28 | 14 | - | - | 429 | ||
임상시험 | 골밀도측정기 | 14 | 5 | 743 | 246 | 246 | 360 | 120 | 120 | - | - | - | 1,854 | ||
합계 | 1,227 | 2,580 | 3,364 | 2,159 | 2,323 | 2,355 | 1,366 | 1,306 | 206 | 385 | 85 | 17,356 |
(출처: 당사 제공) |
아래는 상기표의 R&D비용 관련 산정근거 상세내용입니다.
[R&D비용 산정근거] |
구분 | 합계 | 산정근거 | ||
---|---|---|---|---|
보조공학 부문 | 제품개발 | 점자정보단말기A | 1,204 | 과거 점자정보단말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점자정보단말기 개발관련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거 평균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13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점자정보단말기B | 610 | 과거 점자정보단말기(저가형)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점자정보단말기 개발관련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거 평균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6억 및 금형제작비 1억 발생 | ||
점자정보단말기C | 610 | 해당 점자정보단말기C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기존 17년 ~ 22년까지 개발된 제품개발비용을 참고하여 반영하였습니다. | ||
점자디스플레이D | 866 | 과거 점자디스플레이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점자디스플레이 개발관련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3억 발생 (과거 개발비용과의 차이는 기존 점자디스플레이와의 차별화를 위해 신규기능을 추가예정입니다.) | ||
점자디스플레이E | 576 | 해당 점자디스플레이E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기존 점자디스플레이 제품개발비용을 참고하여 반영하였습니다. | ||
점자정보단말기 합계 | 3,866 | - | ||
제품개발 | 저시력확대기 | 2,464 | 탁상용 독서확대기(2종) 과 접이형 독서확대기(2종) 신규 개발하며, 과거 확대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1종당 약 6억의 개발비용이 발생하며, 총 4종으로 24억 정도 개발비용이 발생할것으로 추정) | |
저시력확대기 합계 | 2,464 | - | ||
제품개발 | 핵심부품개발 | 1,075 | 해당 핵심부품개발 비용으로 18년 2월 약 총 10억에 해당하는 기술권을 도입하려고 했으나, 개발중단으로 약 5억에 대한 핵심부품개발에 관련 된 기술권을 도입하였습니다. 현재 자체적으로 부품개발 및 생산공정까지 신규설계하여 개발예정 입니다. | |
핵심부품개발 합계 | 1,075 | - | ||
보조공학부문 합계 | 7,405 | - | ||
AI의료진단 부문 | 제품개발 | 가정용제품A | 783 | 과거 전자동혈압계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3억 발생 1) 팔뚝형 (Upper Arm) 자동전자혈압계 2종: 무선통신 (Wi-Fi, BT) 탑재 모델 1종, 무선통신 미지원 모델 1종 2) 손목형 (Wrist) 자동전자혈압계 2종: 무선통신 (Wi-Fi, BT) 탑재 모델 1종, 무선통신 미지원 모델 1종 3) 전문가용 이동 및 탁상형 자동전자혈압계 1종: 무선통신 (Wi-Fi, BT) 탑재 모델 1종 총 3종 가정용제품을 개발예정으로 공통으로 들어가는 개발비, 금형을 최소화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가정용제품B | 192 | 가정용제품A 모델의 파생모델로써 가정용제품A 개발비를 참고로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가정용제품C | 795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가정용 체성분분석기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가정용제품 합계 | 1,770 | - | ||
제품개발 | 체지방측정기A | 844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B | 622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C | 276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저가용 체성분분석기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D | 700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E | 335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 합계 | 2,777 | - | ||
제품개발 | 골밀도측정기A | 844 | 해당 골밀도측정기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골밀도측정기B | 491 | 해당 골밀도측정기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골밀도측정기 합계 | 1,335 | - | ||
임상시험 | 체지방측정기 | 1,785 | ● 체성분분석 (Body Composition Analyzer)의 측정자세(팔, 다리등) 변화에 대한 임상연구 1) 임상대상자 350명, 장비의 측정정밀도, 재현성의 측정 2) 임상경비 내역: 임상자 인건비 + DEXA + CT촬영비 + 연구비 + 기관 수행비 ● 체수분 분석시스템 (Body Water Analyzer)의 누운환자, 휠체어환자, 투석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1) 부위별 체수분, 부종측정과 관련한 장비의 측정정밀도, 재현성검증 2) 임상경비내역: 임상자 인건비+ DEXA + CT (MRI) + 연구비 (논문 등) + 기관수행비 + 기타비용 (이동경비등) ● 체성분 분석과 체수분 분석을 이용한 의학적 활용 연구 1) 골격근량과 골다공증과 연관성 2) 사지근육량과 치매의 연관성 3) 당뇨병환자와 근육량의 관계 4) 비만과 대사증후군 관계 ● 임상연구비 산정내역 BCA 연구임상 (한국) 350명 * 800,000원 = 280,000,000원 BCA 연구임상 (미국) 350명 * USD 900 = 425,250,000원 BWA 연구임상 (한국) 350명 * 800,000원 = 280,000,000원 Evidence (의학적 활용) 연구 4명 * 200,0000,000원 = 800,000,000원 | |
자동전자혈압계 | 429 | ● 해외임상(ISO 81060-2:2019) 1) Upper Arm (팔뚝형 제품) 2종 USD 53,000 * 2종 = 143,100,000원(원화환산) 2) Wrist (손목형 제품) 2종 USD 53,000 * 2종 = 143,100,000원(원화환산) 3) 탁상형 제품 1종 USD 53,000 * 1종 = 71,550,000원(원화환산) 4) 개선 제품 1종 USD 53,000 * 1종 = 71,550,000원(원화환산) | ||
골밀도측정기 | 1,854 | ● 골밀도 측정 기능 개발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유효성 증명에 대한 개발임상 1) 임상대상자 30명, 정밀도, 특이도, 민감도 검증을 통한 알고리즘 개발 2) 임상경비 내역: 임상자 인건비 + DEXA + 연구비 + 기관 수행비 ● 골밀도 측정 기능 상용화를 위한 연구임상 (한국, 일본, 미국) 1) 임상 대상자 국가별 350명, 골밀도 측정과 관련한 장비의 측정정밀도, 재현성 검증 2) 임상경비 내역: 임상자 인건비 + DEXA + 연구비 (논문 등) + 기관 수행비 + 기타비용 (이동경비) ●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골밀도 및 골다공증 측정의 의학적 활용 연구 1) 골밀도 및 골다공증과의 연관성 ● 임상연구비 산정내역 개발임상 30명 * 단가 800,000원 = 24,000,000원 연구임상 (한국) 350명 * 800,000원 = 280,000,000원 연구임상 (일본) 350명 * JPY 150,000 = 525,000,000원(원화환산) 연구임상 (미국) 350명 * USD 900 = 425,250,000원(원화환산) Evidence (의학적 활용) 연구 3명 * 200,0000,000원 = 600,000,000원 | ||
임상시험 합계 | 4,069 | - | ||
AI의료진단부문 합계 | 9,951 | - | ||
총 합계 | 17,356 | - |
(출처: 당사 제공)
(2) 운영자금(2순위 - 신규사업(AI원격의료))
(중략)
...
당사는 AI원격의료 신규사업 진출을 위해 외주용역비, 제품 디자인비, 제품 검증비, 제품 디자인비, 전문가의 자문비 등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본 공모자금이 납입되는 이후인 2023년 3분기부터 2025년 말까지 총 5,261백만원의 자금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AI원격의료 신규사업 지출에 대한 상세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AI원격의료 신규사업 진출 관련 상세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상품기획 외주용역비 | 제품 목적/명세 결정, 설계/기술적 타당성 검토 등 | 50 | - | - | 50 | - | - | 50 | - | - | 50 | 200 |
제품 디자인비 | 외주용역비 | 35 | - | - | - | - | - | - | - | - | - | 35 |
Mockup 제작비 | 1 | 10 | - | - | - | - | - | - | - | - | 11 | |
패키지 개발비 | - | 5 | - | - | - | - | - | - | - | - | 5 | |
전문가 자문비 | 의료 및 법률업계 전문가 자문료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0 |
검증비 | 성능, 안정성 검증 등 제품 시험비 | - | - | - | - | - | - | - | - | 100 | 100 | 200 |
외주개발 용역비 | H/W 및 S/W 개발 | 300 | - | 300 | - | 300 | - | 300 | - | 300 | - | 1,500 |
AI 원격지료 연동비용 개발 | - | - | 150 | - | - | 150 | - | - | 200 | 500 | ||
기존 체성분분석기, 혈압계 연동비용 개발 | - | - | 150 | - | - | 150 | - | - | 200 | - | 500 | |
샘플 제작비 | WS, ES, 기구 등 샘플 | - | - | - | - | - | - | - | 200 | 320 | - | 520 |
금형 개발비 | 금형 설계비 | - | - | - | - | 100 | - | - | - | - | - | 100 |
금형 제작비 | - | - | - | - | - | - | 500 | - | 500 | - | 1,000 | |
마케팅 | - | - | - | - | - | - | - | - | 145 | 145 | 290 | |
합 계 | 426 | 55 | 490 | 240 | 440 | 190 | 1,040 | 240 | 1,605 | 535 | 5,261 |
(출처: 당사 제공)
아래는 상기표의 비용에 대한 산정근거 상세내용입니다.
[AI원격의료 신규사업 비용 산정근거] |
(단위: 백만원) |
구분 | 금액 | 산정근거 |
---|---|---|
상품기획 외주용역비 | 200 | 제품컨셉 및 구체적 방향성에 대해 외부전문가 의견서, 시장조사 등 제품개발이 출시되기까지 기획검증 업무 진행예정입니다. |
제품 디자인비 | 51 | 기존 제품개발경험으로 제품디자인비는 평균 5천~8천만원사이로 책정되고 있습니다. 보조공학부문의 경우 약 5천만원대이며, 의료진단부문의 경우 약 4천만원에서 약 1억3천만원대의 디자인비를 형성합니다. |
전문가 자문비 | 400 | 원격의료 전문가 자문료(의료 및 법률업계)로써 각 전문가 2명씩 총 4명을 선임하여 의료, 법률검토 진행예정입니다. |
검증비 | 200 | CB 제품시험비, Wi-Fi, Bluetooth 시험비, 조달등록 제품시험비 및 성능, 안정성 검증비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
외주용역개발비 | 1,500 | 과거 개발된 제품(H/W 및 S/W) 바탕으로 외주용역개발비를 산정하였습니다. |
AI원격진료 연동비용 개발 | 500 | 최근 의료진단부문 서비스(모바일앱) 관련 외주용역비 3억이 발생하였고 해당 금액을 참고로 개발비 산정하였습니다. |
기존 체성분분석기, 혈압계 연동비용 개발 | 500 | 최근 의료진단부문 서비스(모바일앱) 관련 외주용역비 3억이 발생하였고 해당 금액을 참고로 개발비 산정하였습니다. |
샘플 제작비 | 520 | Working Sample(검사용 시료) 20개 * 10,000,000원 = 200,000,000원 Engineer Sample(제조용 시제품) 80개 * 4,000,000원 = 320,000,000원 |
금형 개발비 | 1,100 | 원격의료 통합진단기기를 총 2종 개발하며, 기존 전자동혈압계 및 체성분분석기의 금형개발비용을 바탕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마케팅 | 290 | 제품 홍보 및 마케팅 활동비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
합계 | 5,261 | - |
(출처: 당사 제공)
다만, 신규사업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개발이 지연되거나, 당사가 예측하지 못한 의료 및 법률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금의 사용시기 또는 목적 등이 추변동 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3) 채무상환자금(3순위 - 금융기관 차입금 상환자금)
[채무상환계획 상세내역] | |
(기준일: 본 공시서류 제출일) | (단위: 백만원) |
구분 | 차입처 | 차입목적 | 이자율 | 만기일 | 차입금액 | 담보제공 내역 |
---|---|---|---|---|---|---|
단기차입금 | 신한은행 | 수입자금 대출 | 1.10% | 2023-08-23 | 1,266 | 대표이사 연대보증 |
유동성 장기차입금 | 한국 산업은행 | 시설자금 | 4.25 ~ 5.79% | 2025-01-26 | 1,000 | 대전본사 토지,건물, 투자부동산 |
4.15% | 2023-08-17 | 4,200 | ||||
소계 | 5,200 | - | ||||
장기차입금 | 한국 산업은행 | 시설자금 | 4.25 ~ 5.79% | 2025-01-26 | 1,000 | 대전본사 토지,건물, 투자부동산 |
하나은행 | 기업운전 일반대출 | 2.29% | 2024-10-24 | 245 | - | |
소계 | 1,245 | - | ||||
합계 | 7,711 | - |
(출처: 당사 제공) |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납입금을 통하여 당사 금융권 차입금을 상환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본 유상증자 대금이 납입되는 2023년 06월 중 7,711백만원을 활용하여 상기표의 장단기차입금을 전액 조기상환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재무구조 개선 및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위험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4) 운영자금(4순위 - 신제품 관련 원재료 매입자금)
당사는 점자정보단말기 부문에서 제품개발을 위한 Mainchip 등 주요 장납기 자재와 Main보드 및 완제품에 들어가는 자재 등에 총 2,70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독서확대기 Pen Tracking 기술개발을 위한 카메라 모듈 및 기타자재 등의 확보를 위해 650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이며, 가정용혈압계의 원자재에는 26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체성분분석기의 경우에도 AP board 등의 원재료 매입을 위해 182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총 3,792백만의 자금을 신제품 개발을 위한 원재료 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기간별 원재료 사용계획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원재료 사용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용 | 예상수량 | 2023년 | 2024년 | 합계 | |||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
점자정보단말기 | 점자정보단말기A | Mainchip 등 주요 장납기 자재 | 6,000개 | - | - | - | 520 | 520 |
점자정보단말기B | ||||||||
점자디스플레이C | Main보드 및 완제품에 들어가는 자재 | 3,000개 | 690 | 690 | - | - | 1,380 | |
점자디스플레이D | Main보드 및 완제품에 들어가는 자재 | 3,000개 | - | - | 800 | - | 800 | |
독서확대기 | 탁상형 | 카메라 모듈 사전확보 1000ea 기준 기타자재 사전확보 500ea 기준 | 1,000개 | - | - | - | 650 | 650 |
전자동혈압계 | 가정용혈압계 | 전자부품에 들어가는 자재 | 10,000개 | - | - | 130 | 130 | 260 |
체성분분석기 | 체성분분석기A | AP board 신규 (각 1,000개 씩 총 2,000개) | 2,000개 | - | 91 | - | 91 | 182 |
체성분분석기B | ||||||||
체성분분석기C | ||||||||
체성분분석기D | ||||||||
체성분분석기E | ||||||||
체성분분석기F | ||||||||
합 계 | 690 | 781 | 930 | 1,391 | 3,792 |
(출처: 당사 제공) |
다만, 당사의 예상과 달리 신제품 개발이 지연 또는 중단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 경우 자금의 사용시기 또는 목적 등이 추후 변동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제품 개발이 이루어지더라도 전방산업의 불황 및 제품 생산 단계에서의 문제발생 등으로 당사의 의료기기 및 보조공학기기 부문의 실적이 부진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주6)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21,000,000,000 |
발행제비용(2) | 205,680,000 |
순 수 입 금 [ (1)-(2) ] | 20,794,320,000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상기 모집총액은 우선적으로 하단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할 예정입니다. |
주3)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실권규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재 금액은 청약 초과로 인하여 실권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또한 상장수수료는 상장신청일 직전일 주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지급일자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3,780,000 | 신고서제출일 | 모집총액의 0.018% (10원 미만 절사) |
인수수수료 | 168,000,000 | 납입일 3영업일 이내 | 납입금액의 0.8% |
추가상장수수료 | 4,300,000 | 신주상장일 | 250만원 + 1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원당 9만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별표14) |
등록세 | 8,000,000 | 등기일 | 증자 자본금의 0.4% |
교육세 | 1,600,000 | 등기일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20,000,000 | - | 구주주청약서, 투자설명서 인쇄 및 발송비 등 |
합 계 | 205,680,000 | - | - |
주1) 상기 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공모금액 및 상장신청일 직전일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당사의 보통주식 종가, 유관기관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기타비용은 예상금액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발행제비용의 경우 자체적으로 보유한 자금을 통하여 사용할 계획입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한 공모자금의 사용내역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다만, 하기 투자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 | 2023년 05월 09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16,197 | 4,803 | - | - | 21,000 |
주1) 당사의 공모자금은 1차 발행가액에 따른 금액이며, 최종발행가액 확정시 부족한 자금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자금사용 목정상 우선순위에 따라 회사의 보유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
주2) 금번 자금조달을 통한 자금 조달시기와 집행시기 간의 차이로 인하여 불일치되는 금액 발생 시 회사 내부의 유보자금 등을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집행할 예정입니다. |
가. 자금 조달의 개요
당사는 금번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를 통한 납입자금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우선순위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유상증자 자금사용의 우선순위]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목 적 | 세부내역 | 금액 | 우선순위 | 자금 사용 시기 |
---|---|---|---|---|---|
운영자금 | 신제품개발 R&D | 보조공학부문 R&D | 5,773 | 1 | 2023년 2분기 ~ 2025년 4분기 |
AI 의료진단부문 R&D | 7,177 | ||||
신규사업 | AI 원격의료 | 3,247 | 2 | 2023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
채무상환자금 | 금융기관 차입금 상환 | 4,803 | 3 | 2023년 06월 | |
총 계 | 21,000 | - | - |
주1) 상기금액은 1차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모집가액 확정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발행제비용은 자체 보유현금을 통하여 지급할 계획입니다. |
나. 세부사용 계획
(1) 운영자금(1순위 - R&D 연구개발자금)
(중략)
...
[신제품 개발에 따른 분기별 R&D비용 상세내역] |
(단위: 백만원) |
자금용도 | 세부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연구개발비 | 보조공학부문 | 제품개발 | 점자정보단말기 | 241 | 494 | 201 | 843 | 309 | 506 | 192 | 418 | 192 | 385 | 85 | 3,866 |
제품개발 | 저시력확대기 | 22 | 7 | 259 | 224 | 202 | 222 | 126 | 170 | - | - | - | 1,232 | ||
제품개발 | 핵심부품개발 | - | 400 | 275 | - | - | - | - | - | - | - | - | 675 | ||
AI의료진단부문 | 제품개발 | 가정용제품 | 376 | 797 | 397 | 8 | 30 | 133 | 29 | - | - | - | - | 1,770 | |
제품개발 | 체지방측정기 | 203 | 318 | 653 | 287 | 517 | 236 | 375 | 188 | - | - | - | 2,777 | ||
제품개발 | 골밀도측정기 | 203 | 135 | 90 | 39 | 325 | 406 | 130 | 8 | - | - | - | 1,336 | ||
임상시험 | 체지방측정기 | 48 | 63 | 105 | 80 | 65 | 40 | 40 | 40 | - | - | - | 481 | ||
임상시험 | 자동전자혈압계 | - | - | 143 | 144 | 72 | - | 28 | 28 | 14 | - | - | 429 | ||
임상시험 | 골밀도측정기 | 5 | 2 | 108 | 34 | 35 | 120 | 40 | 40 | - | - | - | 384 | ||
합계 | 1,098 | 2,216 | 2,231 | 1,659 | 1,555 | 1,663 | 960 | 892 | 206 | 385 | 85 | 12,950 |
(출처: 당사 제공) |
아래는 상기표의 R&D비용 관련 산정근거 상세내용입니다.
[R&D비용 산정근거] |
구분 | 합계 | 산정근거 | ||
---|---|---|---|---|
보조공학 부문 | 제품개발 | 점자정보단말기A | 1,204 | 과거 점자정보단말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점자정보단말기 개발관련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거 평균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13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점자정보단말기B | 610 | 과거 점자정보단말기(저가형)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점자정보단말기 개발관련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거 평균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6억 및 금형제작비 1억 발생 | ||
점자정보단말기C | 610 | 해당 점자정보단말기C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기존 17년 ~ 22년까지 개발된 제품개발비용을 참고하여 반영하였습니다. | ||
점자디스플레이D | 866 | 과거 점자디스플레이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 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최근 5개년 점자디스플레이 개발관련 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3억 발생 (과거 개발비용과의 차이는 기존 점자디스플레이와의 차별화를 위해 신규기능을 추가예정입니다.) | ||
점자디스플레이E | 576 | 해당 점자디스플레이E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기존 점자디스플레이 제품개발비용을 참고하여 반영하였습니다. | ||
점자정보단말기 합계 | 3,866 | - | ||
제품개발 | 저시력확대기 | 1,232 | 탁상용 독서확대기(1종) 과 접이형 독서확대기(1종) 신규 개발하며, 과거 확대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규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1종당 약 6억의 개발비용이 발생하며, 총 2종으로 12억 정도 개발비용이 발생할것으로 추정) | |
저시력확대기 합계 | 1,232 | - | ||
제품개발 | 핵심부품개발 | 675 | 해당 핵심부품개발 비용으로 18년 2월 약 총 10억에 해당하는 기술권을 도입하려고 했으나, 개발중단으로 약 5억에 대한 핵심부품개발에 관련 된 기술권을 도입하였습니다. 현재 자체적으로 부품개발 및 생산공정까지 신규설계하여 개발예정 입니다. | |
핵심부품개발 합계 | 675 | - | ||
보조공학부문 합계 | 5,773 | - | ||
AI의료진단 부문 | 제품개발 | 가정용제품A | 783 | 과거 전자동혈압계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3억 발생 1) 팔뚝형 (Upper Arm) 자동전자혈압계 2종: 무선통신 (Wi-Fi, BT) 탑재 모델 1종, 무선통신 미지원 모델 1종 2) 손목형 (Wrist) 자동전자혈압계 2종: 무선통신 (Wi-Fi, BT) 탑재 모델 1종, 무선통신 미지원 모델 1종 3) 전문가용 이동 및 탁상형 자동전자혈압계 1종: 무선통신 (Wi-Fi, BT) 탑재 모델 1종 총 3종 가정용제품을 개발예정으로 공통으로 들어가는 개발비, 금형을 최소화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가정용제품B | 192 | 가정용제품A 모델의 파생모델로써 가정용제품A 개발비를 참고로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가정용제품C | 795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가정용 체성분분석기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가정용제품 합계 | 1,770 | - | ||
제품개발 | 체지방측정기A | 844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B | 622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C | 276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저가용 체성분분석기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D | 700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E | 335 | 과거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체지방측정기 합계 | 2,777 | - | ||
제품개발 | 골밀도측정기A | 845 | 해당 골밀도측정기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골밀도측정기B | 491 | 해당 골밀도측정기는 과거에 제품을 개발한 경험은 없으나, 전문가용 체성분분석기 개발이력현황을 바탕으로 신제품개발금액을 산정하였습니다. - 과거 진행된 개발비용 : 개발, 인증비 등 경상연구개발비 약 2억 및 금형제작비 4억 발생 | ||
골밀도측정기 합계 | 1,336 | - | ||
임상시험 | 체지방측정기 | 481 | ● 체성분분석 (Body Composition Analyzer)의 측정자세(팔, 다리등) 변화에 대한 임상연구 1) 임상대상자 100명, 장비의 측정정밀도, 재현성의 측정 2) 임상경비 내역: 임상자 인건비 + DEXA + CT촬영비 + 연구비 + 기관 수행비 ● 체수분 분석시스템 (Body Water Analyzer)의 누운환자, 휠체어환자, 투석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1) 부위별 체수분, 부종측정과 관련한 장비의 측정정밀도, 재현성검증 2) 임상경비내역: 임상자 인건비+ DEXA + CT (MRI) + 연구비 (논문 등) + 기관수행비 + 기타비용 (이동경비등) ● 체성분 분석과 체수분 분석을 이용한 의학적 활용 연구 1) 골격근량과 골다공증과 연관성 2) 사지근육량과 치매의 연관성 3) 당뇨병환자와 근육량의 관계 4) 비만과 대사증후군 관계 ● 임상연구비 산정내역 BCA 연구임상 (한국) 100명 * 800,000원 = 80,000,000원 BCA 연구임상 (미국) 100명 * USD 900 = 121,500,000원(원화환산) BWA 연구임상 (한국) 100명 * 800,000원 = 80,000,000원 Evidence (의학적 활용) 연구 1명 * 200,0000,000원 = 200,000,000원 | |
자동전자혈압계 | 429 | ● 해외임상(ISO 81060-2:2019) 1) Upper Arm (팔뚝형 제품) 2종 USD 53,000 * 2종 = 143,100,000원(원화환산) 2) Wrist (손목형 제품) 2종 USD 53,000 * 2종 = 143,100,000원(원화환산) 3) 탁상형 제품 1종 USD 53,000 * 1종 = 71,550,000원(원화환산) 4) 개선 제품 1종 USD 53,000 * 1종 = 71,550,000원(원화환산) | ||
골밀도측정기 | 384 | ● 골밀도 측정 기능 개발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유효성 증명에 대한 개발임상 1) 임상대상자 10명, 정밀도, 특이도, 민감도 검증을 통한 알고리즘 개발 2) 임상경비 내역: 임상자 인건비 + DEXA + 연구비 + 기관 수행비 ● 골밀도 측정 기능 상용화를 위한 연구임상 (한국, 일본, 미국) 1) 임상 대상자 국가별 50명, 골밀도 측정과 관련한 장비의 측정정밀도, 재현성 검증 2) 임상경비 내역: 임상자 인건비 + DEXA + 연구비 (논문 등) + 기관 수행비 + 기타비용 (이동경비) ●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한 골밀도 및 골다공증 측정의 의학적 활용 연구 1) 골밀도 및 골다공증과의 연관성 ● 임상연구비 산정내역 개발임상 10명 * 단가 800,000원 = 8,000,000원 연구임상 (한국) 50명 * 800,000원 = 40,000,000원 연구임상 (일본) 50명 * JPY 150,000 = 75,000,000원(원화환산) 연구임상 (미국) 50명 * USD 900 = 60,750,000원(원화환산) Evidence (의학적 활용) 연구 1명 * 200,0000,000원 = 200,000,000원 | ||
임상시험 합계 | 1,294 | - | ||
AI의료진단부문 합계 | 7,177 | - | ||
총 합계 | 12,950 | - |
(출처: 당사 제공)
(2) 운영자금(2순위 - 신규사업(AI원격의료))
(중략)
...
당사는 AI원격의료 신규사업 진출을 위해 외주용역비, 제품 디자인비, 제품 검증비, 제품 디자인비, 전문가의 자문비 등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본 공모자금이 납입되는 이후인 2023년 3분기부터 2025년 말까지 총 3,247백만원의 자금이 소요될 예정입니다. AI원격의료 신규사업 지출에 대한 상세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AI원격의료 신규사업 진출 관련 상세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용 | 2023년 | 2024년 | 2025년 | 합계 | |||||||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상품기획 외주용역비 | 제품 목적/명세 결정, 설계/기술적 타당성 검토 등 | 50 | - | - | 50 | - | - | 50 | - | - | 50 | 200 |
제품 디자인비 | 외주용역비 | 35 | - | - | - | - | - | - | - | - | - | 35 |
Mockup 제작비 | 1 | 10 | - | - | - | - | - | - | - | - | 11 | |
패키지 개발비 | - | 5 | - | - | - | - | - | - | - | - | 5 | |
전문가 자문비 | 의료 및 법률업계 전문가 자문료 | 28 | 28 | 28 | 28 | 28 | 28 | 28 | 28 | 28 | 28 | 280 |
검증비 | 성능, 안정성 검증 등 제품 시험비 | - | - | - | - | - | - | - | - | 100 | 100 | 200 |
외주개발 용역비 | H/W 및 S/W 개발 | 200 | - | 200 | - | 200 | - | 200 | - | 200 | - | 1,000 |
AI 원격지료 연동비용 개발 | - | - | 90 | - | - | 90 | - | - | 120 | 300 | ||
기존 체성분분석기, 혈압계 연동비용 개발 | - | - | 90 | - | - | 90 | - | - | 120 | - | 300 | |
샘플 제작비 | WS, ES, 기구 등 샘플 | - | - | - | - | - | - | - | 100 | 120 | - | 220 |
금형 개발비 | 금형 설계비 | - | - | - | - | 100 | - | - | - | - | - | 100 |
금형 제작비 | - | - | - | - | - | - | 250 | - | 250 | - | 500 | |
마케팅 | - | - | - | - | - | - | - | - | 48 | 48 | 96 | |
합 계 | 314 | 43 | 318 | 168 | 328 | 118 | 618 | 128 | 866 | 346 | 3,247 |
(출처: 당사 제공)
아래는 상기표의 비용에 대한 산정근거 상세내용입니다.
[AI원격의료 신규사업 비용 산정근거] |
(단위: 백만원) |
구분 | 금액 | 산정근거 |
---|---|---|
상품기획 외주용역비 | 200 | 제품컨셉 및 구체적 방향성에 대해 외부전문가 의견서, 시장조사 등 제품개발이 출시되기까지 기획검증 업무 진행예정입니다. |
제품 디자인비 | 51 | 기존 제품개발경험으로 제품디자인비는 평균 5천~8천만원사이로 책정되고 있습니다. 보조공학부문의 경우 약 5천만원대이며, 의료진단부문의 경우 약 4천만원에서 약 1억3천만원대의 디자인비를 형성합니다. |
전문가 자문비 | 280 | 원격의료 전문가 자문료(의료 및 법률업계)로써 각 전문가 2명씩 총 4명을 선임하여 의료, 법률검토 진행예정입니다. |
검증비 | 200 | CB 제품시험비, Wi-Fi, Bluetooth 시험비, 조달등록 제품시험비 및 성능, 안정성 검증비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
외주용역개발비 | 1,000 | 과거 개발된 제품(H/W 및 S/W) 바탕으로 외주용역개발비를 산정하였습니다. |
AI원격진료 연동비용 개발 | 300 | 최근 의료진단부문 서비스(모바일앱) 관련 외주용역비 3억이 발생하였고 해당 금액을 참고로 개발비 산정하였습니다. |
기존 체성분분석기, 혈압계 연동비용 개발 | 300 | 최근 의료진단부문 서비스(모바일앱) 관련 외주용역비 3억이 발생하였고 해당 금액을 참고로 개발비 산정하였습니다. |
샘플 제작비 | 220 | Working Sample(검사용 시료) 10개 * 10,000,000원 = 100,000,000원 Engineer Sample(제조용 시제품) 30개 * 4,000,000원 = 120,000,000원 |
금형 개발비 | 600 | 원격의료 통합진단기기를 총 1종 개발하며, 기존 전자동혈압계 및 체성분분석기의 금형개발비용을 바탕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마케팅 | 96 | 제품 홍보 및 마케팅 활동비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
합계 | 3,247 | - |
(출처: 당사 제공)
다만, 신규사업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개발이 지연되거나, 당사가 예측하지 못한 의료 및 법률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금의 사용시기 또는 목적 등이 추변동 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3) 채무상환자금(3순위 - 금융기관 차입금 상환자금)
[채무상환계획 상세내역] | |
(기준일: 본 공시서류 제출일) | (단위: 백만원) |
구분 | 차입처 | 차입목적 | 이자율 | 만기일 | 상환금액 | 담보제공 내역 |
---|---|---|---|---|---|---|
유동성 차입금 | 신한은행 | 수입자금 대출 | 1.10% | 2023-08-23 | 358 | 대표이사 연대보증 |
한국 산업은행 | 시설자금 | 4.25 ~ 5.79% | 2025-01-26 | - | 대전본사 토지,건물, 투자부동산 | |
4.15% | 2023-08-17 | 4,200 | ||||
소계 | 4,558 | - | ||||
장기차입금 | 한국 산업은행 | 시설자금 | 4.25 ~ 5.79% | 2025-01-26 | - | 대전본사 토지,건물, 투자부동산 |
하나은행 | 기업운전 일반대출 | 2.29% | 2024-10-24 | 245 | - | |
소계 | 245 | - | ||||
합계 | 4,803 | - |
(출처: 당사 제공) |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 납입금을 통하여 당사 금융권 차입금을 상환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본 유상증자 대금이 납입되는 2023년 06월 중 4,803백만원을 활용하여 상기표의 장단기차입금을 일부 조기상환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재무구조 개선 및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위험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삭제>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3년 04월 21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510000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