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앤티씨 (20427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6-13 14:4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613000129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06월   13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대 표 이 사 : 장용성, 김윤택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81-9

(전   화) 070-4050-3100

(홈페이지)http://www.thejntc.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무이사 (성  명) 변성호

(전  화) 070-4050-31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9기 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 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06월 28일(금) 오전 10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내향안길 240-5 강화유리 사업부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제1호의 안 : 사내이사 조남혁 후보자 선임의 건

4. 경영 참고사항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한 경영 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당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하실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전자 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2020년 3월 30일 제25기 정기주주총회부터 주주가 총회에 출석하지 않고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출석이사 전원의 찬성으로 결의하였습니다. 이 제도의 관리 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으며, 주주님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제도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index.do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4년 6월 18일 9시 ~ 2024년 6월 27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주주확인용 공인인증서의 종류 :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개인
    용도제한용 인증서 등)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 준비물

 - 직접 행사 : 신분증

 - 간접 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 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 신분증




                                             2024년 06월 13일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창열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024년-1회 2024-02-21 제 2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2024년-2회 2024-02-26 진우엔지니어링 신규 차입의 건 찬성
2024년-3회 2024-02-29 제 2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4년-4회 2024-03-22 신한은행 운전자금 신규차입의 건 찬성
2024년-5회 2024-03-27 JNTC VINA 운전자금 차입시 본사 지급보증의 건 찬성
2024년-6회 2024-04-19 농협 30억 운전자금 대출 연장의 건 찬성
2024년-7회 2024-04-19 농협 10억 운전자금 금리인하 조건변경의 건 찬성
2024년-8회 2024-05-13 제 29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4년-9회 2024-06-05 신한은행 운전자금 차입 연장의 건 찬성
2024년-10회 2024-06-05 우리은행 운전자금 신규차입의 건 찬성
2024년-11회 2024-06-11 JNTC VINA 운전자금 차입 연장시 본사 지급보증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내부거래위원회 사내이사 장용성
사외이사 김창열
2024-01-10 2023년12월 관계사 전월 거래 및 채권 채무 잔액 보고의 건 가결
2024-02-07 2024년 1월 관계사 전월 거래 및 채권 채무 잔액 보고의 건 가결
2024-03-06 2024년 2월 관계사 전월 거래 및 채권 채무 잔액 보고의 건 가결
2024-04-09 2024년 3월 관계사 전월 거래 및 채권 채무 잔액 보고의 건 가결
2024-05-08 2024년 4월 관계사 전월 거래 및 채권 채무 잔액 보고의 건 가결
2024-06-05 2024년 5월 관계사 전월 거래 및 채권 채무 잔액 보고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000,000 15,000,000 15,000,000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이사 보수 한도 총액 입니다.
주2) 지급총액은 2024년도  01월 01일 부터 05월 31일까지의 지급한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당사의 최대주주 및 종속법인 등과의 거래는 연중 계속하여 발생하고, 단일거래로표현하기에 부족한 점이 많아 이장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다음장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QINGDAO JNTC
Electronics Co., Ltd.
(종속기업)
매입거래 2024.01.01 ~ 2024.03.31 279 80.72
JNTC VINA Co.,LTD
(종속기업)
매출거래 2024.01.01 ~ 2024.03.31 490 141.73
(주)재우자동화
(기타)
매입거래 2024.01.01 ~ 2024.03.31 20 5.89

주1) 상기비율은 2024년 1분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 중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매출총액에 대한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연결회사는 강화유리, 커넥터 사업부문 총 2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 사업 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주요제품
강화유리 모바일용 커버글라스, 자동차용 강화글라스, 모바일용 카메라윈도우 글라스,
초박막 글라스, 웨어러블용 글라스
커넥터  C-type Interface(방수),  Interface (비방수), Sim 등


[강화유리 사업 부문]

강화유리 사업 부문의 주력 제품은 2021년까지 모바일용 커버글라스였으나, 중화권의 최종 고객사가 미.중 분쟁으로 인한 여러 가지 제재를  받음으로 당사의 강화유리 사업 부분의 매출액 감소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로 인해 2022년 기준 강화유리 사업 부문의 연간 매출액이 949억 원까지 감소되었으나, 최근 중화권 고객사가 2년여 만에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2023년 기준 당사의 강화유리 사업 부문의 매출액이 2,593억 원까지 다시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강화유리 사업 부문의 매출 성장은 모바일 중화권 고객사의 공급물량 증가 이외에도 베트남 법인 3공장을 통한 카메라윈도우, 워치용 커버글라스, 차량용 커버글라스 등 신제품의 매출도 함께기여를 한 부분입니다.


이처럼 당사는 기존에 중화권 모바일용 커버글라스에 집중된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개선하기 위하여 2022년부터 "고객 다변화"와 "제품 다변화"를 실현하기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그 결과 보다 다변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커넥터 사업 부문]

커넥터 사업 부문의 주력 제품은 C-Type 방수형 커넥터 제품으로서 2022년 매출 664억 원, 2023년에는 전기대비 3% 감소한 매출 642억 원을 달성하였습니다.

이처럼 커넥터 사업 분문의 경우, 강화유리 사업 분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매출실적을 달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공법 개발과 함께 지속적인 원가 절감 활동을 통해 보다 당사의 수익창출에도 지속적으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1) 사업의 특성

당사는 휴대폰 부품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큰 제품군으로 분리하면 강화유리 사업부문과 휴대폰용 커넥터 사업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 강화유리 산업의 특성

 

강화유리는 기존의 창유리, 병유리와 같은 전통 유리와 차별화하여 디스플레이, 반도체, 자동차, 에너지 분야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고강도 유리입니다. 이들은 기존의 전통 유리 제품이 단순한 수동적 기능을 가지고 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직접 활용된 데 비해 강화유리 제품들은 소재 자체에 열, 화학 반응을 접목하여 강도를 높여 산업용 2차 제품들의 핵심부품으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강화유리 산업


특히, 강화유리의 높은 빛 투과성과 얇고 가벼우나 강한 경도를 가진 특성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등의 디스플레이 커버에 적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4차 산업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IT 디바이스가확대되고 고품질의 디스플레이 적용이 확대되면서  성장하고 있는 산업입니다.


(나) 커넥터 산업의 특성

 

커넥터 산업


커넥터는 우리 일상생활의 휴대폰, TV를 비롯하여 자동차, 의료기기, 군용/우주 산업에 이르기까지 인간 생활의 전반에 필요한 모든 제품에 사용되어 오고 있고, 그러한 산업의 성장에 따라 커넥터 산업도 연계되어 성장이 이루어집니다.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Host 쪽 단자의 핀 수에 따라 A Type과 C Type 등으로 구분됩니다. 2015년부터 표준화된 USB C Type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 TO A Type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C TO C Type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 기존에 비해 크기가 작아 디자인 측면에서의 활용도가 높으며(슬림화, 소형화 구현), 접속 단자의 앞뒤 구분이 필요 없어 사용자가 기기를 연결함에 있어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C Type 커넥터의 데이터 전송 능력은 10Gbps, 전력 송신 능력은 최대 100W로, 보다 빠른 데이터 이송과 충전이 가능합니다.

높은 통신속도를 표준으로 하는 5G 시대에 진입하면서 속도, 사용 편의성, 범용성 등을 가진 고속 통신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요구 또한 증가하면서 꾸준히 발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업의 전망   

(가) 강화유리 시장 전망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강화유리는 디스플레이의 핵심 부품으로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며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사는 강화유리 커버글라스  전문 제조업체로서 첨단 IT, 모바일 및 디스플레이 산업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버글라스 수요 확대로 기존 스마트폰 커버글라스 제품군에서 스마트폰 카메라윈도우, 스마트워치, 전기차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영역을 확대하여커버글라스를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휴대폰, 스마트워치, 전기차 등의 전방시장 성장에 따라 당사의 강화유리 커버글라스의 수요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글로벌 연간 출하량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스마트폰 출하량(단위: 백만대) 1,331 1,391 1,225 1,171
스마트워치 출하량(단위: 백만대) 103 128 183 186
전기차 출하량(단위: 만대) 228 481 768 993
폴더블스마트폰 출하량(단위: 만대) 280 910 1,310 1,670

(출처 : 각종 언론보도자료 및 시장조사기관 등의 보도자료 참고)
- 스마트폰, 폴더블스마트폰 출하량 : Counterpoint Research
- 스마트 워치 출햐랑 : Canalys
- 전기차 출하량 : EV-Volumes


(나) 커넥터 시장 전망

커넥터 시장 규모는 2022년 798억 달러를 넘어섰고, 2032년까지 1,680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로 보았을 때 약 7.9% 정도 성장할 것으로 시장조사기관 Allied Market Research에서 추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휴대폰 커넥터 부문은 계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차량용 부문에서 빠른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컴퓨터, 휴대폰과 주변기기, 차량용 기기를 통한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의 산업 성장이 촉진될 것입니다.  


세계 휴대폰 커넥터 시장 전망

(출처: Allied Market Research(2023))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주요 제품군별 영업개황

[강화유리 주요 제품군]

당사가 현재 양산 제조하는 강화유리 주요 제품군은 1)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2) 카메라 윈도우글라스, 3) 차량용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4) 스마트워치용 커버글라스입니다.

스마트폰 커버글라스 제품군은 크게 제품의 디자인에 따라 강화유리의 곡면 가공 디자인에 따라 당사는 2D, 3D 그리고  3D 2세대  제품군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3D 디자인 커버글라스 제조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휴대폰에 적용되는 제품의 부위에 따라 휴대폰용 전면 커버글라스(Front Cover Glass), 후면 커버글라스(Back Cover Glass) 등으로 구분하며 현재는 당사는 전면 커버글라스 제품을 위주로 제조하고 있으며 향후 후면 커버글라스 등으로 제품 영역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외 휴대폰 뒷면의 휴대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커버글라스인 카메라 윈도우글라스(Camera Window Glass)도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카메라 윈도우는 곡면이 아닌 평면 커버글라스 디자인 즉, 2D 디자인으로 구현되고 있습니다.

기존 휴대폰 커버글라스 제조 기술을 응용하여, 연관 제품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여 현재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또한 양산하고 있습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최근 전기차 시장의 확대 및 자율주행 관련 기술의 발전 등으로 차량내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중요성이 커지고 스마트폰과의 연동 등으로 기술발전과 시장 확대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입니다.

당사가 현재 제조하는 차량용 커버글라스는 차량 운전석 앞쪽의 대시보드(속도계, 타코미터 및 각종 차량 이상 정보 등을 알람해주는 시그널을 확인할 수 있는 내는 부위)와 센터페시아(운전선과 조수석의 사이의 공조, 오디오 등의 조작을 하는 컨트롤 보드) 등이 기존 아날로그 버튼이나 다이얼조작 방식에서 휴대폰과 같이 디스플레이 내터치 방식으로 디지털로 구현되는 추세에 따라 차량 내 필요한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커버글라스를 제조 공급하는 분야입니다. 당사의 기존 3D 곡면 커버글라스 제조 기술을 응용하여 차량 내 최첨단 곡면 디스플레이 구현에 필요한 커버글라스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비대면 건강관리 수요 증가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소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편리성 등으로 스마트워치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빠르게 성장하는 스마트워치 분야에 필요한  커버글라스 분야로 성공적으로 진입하여 스마트워치 커버글라스 제품도 제조 공급을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초소형 카메라 윈도우 커버글라스,소형 스마트워치 커버글라스, 중형 스마트폰 커버글라스, 및 대형 자동차 디스플레이커버글라스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형태의 커버글라스를 모두 제조 생산을 할 수 있는 제조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미래 디스플레이의 시장 발전에 요구되는 다양한 커버글라스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커넥터 주요 제품군]

휴대폰에 들어가는 커넥터는 크게 Interface 커넥터, Sim 커넥터, Plug 커넥터, Camera 커넥터, Rf 커넥터 등이 있습니다. 현재 핸드폰 시장 상황이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하여 외부와 연결되어 장착되는 커넥터(Interface, Sim 커넥터)에 대한 방수, 방진 기능이 필수적으로 탑재되면서 방수, 방진 최고 등급인 IPX68 등급이 적용된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휴대폰용 커넥터의 주요 제품군은 크게 1) Interface 커넥터(방수), 2) Interface 커넥터(비방수), 3) Sim 커넥터, 4) 기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중 당사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제품이 주력 제품입니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속 데이터의 안정적이며 빠른 전송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커넥터 제품의 개발과 제조를 통해 당사 커넥터 사업을 지속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경영진은 연결회사의 영업부문에 대해 재화와 용역의 성격을 고려하여, 단일사업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가) 강화유리 시장점유율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커버글라스의 주요 제조사는 중국 업체들입니다. 중국의 주요 스마트폰 커버글라스 제조사는 Lens Technology, Biel Crystal, BYD, Shenzhen Xinhao 등  제조사 등이 있습니다. 중국기업들은 재무수치 등을 대외에 공개하지 않아 매출액 등을 파악하기 어려우나, 이중 가장 규모가 큰 Lens  Technololgy는 다양한 평면 및 곡면 커버글라스를 제조하고 있고 중국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2020년 기준으로 매출액 369억 위안 (원화 약 6.3조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가 주력으로 제조하는 커버글라스는 스마트폰 전면 디스플레이용 곡면 커버글라스이며, 3D 곡면 커버글라스는 스마트폰 모델 중에서도 고가 플래그십 디자인에 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디자인 및 기술적 차별화를 위해 곡면 커버글라스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디자인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으며, 당사의 스마트폰용 3D 2세대 제품군은 유리 곡면의 최대 각도가 90도에 근접한 제품을 양산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현재까지 출시된 3D 글라스 중에서는 가공 난이도가 가장 높은 제품으로 당사는 이와 같은 기술적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가면서 중국 제조사와 격차를 유지하면서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 강화유리 사업의 주요 매출 제품인 3D 커버글라스(휴대폰 전면 커버글라스)는 OLED 디스플레이 업체에 납품하는 기준으로 보았을 때 당사가 추정하는 시장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커버글라스는 디스플레이 업체로 공급(1차 수요자)된 후 최종적으로 휴대폰제조사(최종 수요자)로 공급되는 구조로 공급망이 구성되어 있으며,
23년의 경우 당사의 가장 큰 고객이었던, 중화권 최종 수요자의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및 중국 내수시장에서의 수요급증으로 전체적인 3D 곡면 커버글라스시장에서 당사가 차지하는 비중도 다시 증가한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업체에 공급되는 3D 곡면 커버글라스 시장 점유율 추정]

JNTC 중화권 B사 기타 중화권 업체 합계
60% 20% 20% 100%

주) 3D 커버글라스(전면 커버글라스)를 기준으로 OLED 디스플레이 업체에 판매를 하고 있는 회사를 기준으로 함. (출처: 회사 추정)

(나) 커넥터 시장점유율

휴대폰 커넥터 부품 업체는 전 세계적으로 20개 이상 국내에는 약 5개사(한국몰렉스,히로세코리아, 우주일렉트로닉, LS엠트론 등)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2004년까지는 기술력의 한계로 인하여 일본의 히로세, 쿄세라엘코, 마쓰시타만이 국내 최종 휴대폰사에 커넥터를 공급할 수 있어 소수 기업들이 과점 형태를 취하였습니다.  그러나 기술력 발전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시장에 참여하였고 이후 제조원가 경쟁력을 갖춘 중국 업체들이 등장하여 경쟁은 심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커넥터 종류별 시장점유율은 제품 및 고객사 별로 상이합니다. 당사의 주요 커넥터 제품은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방수 기능을 가진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주력 제품입니다. 이 주력 제품 기준으로 당사가 공급하고 있는 국내 최대 스마트폰 제조사에 최근 주요 경쟁사 별 시장 점유율은 자체 분석 결과 아래와 같이 추정됩니다.

[주력 제품 경쟁사별 시장점유율 추정]

제품군

2023년

회사명

점유율

Interface Connector
(방수)

JNTC

80%

경쟁사1

10%

경쟁사2

5%

기타 5%

주) 산출근거 : 고객사 휴대폰 출하량 대비, I/F(방수) 커넥터 점유율.
(출처: 회사 추정)


(3) 시장의 특성


(가) 강화유리 시장의 특성

과거 휴대폰 시장은 폴더폰 위주였으나, 스마트폰 위주의 시장으로 산업이 발달하면서 강화 유리는 휴대폰 부품으로써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시장에서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더욱더 강화유리의 중요성과 영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비자들의 휴대폰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였습니다. 초기의 스마트폰은 직사각형 형태였으나, 현재에는 모서리를 둥글게 하는 등 다양한 디자인의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휴대폰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강화유리는 평평한 2D에서부터 Edge 부분에 굴곡을 주는 3D까지 발전하여 종류가 다양해졌습니다. 강화유리 산업은 미래에 flexible 스크린 등의 발전으로 인하여 더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화유리 시장 추이


둘째,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더 높은 사양의 강화유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강화유리는 더 가볍고 얇지만 더 강한 내구성과 높은 스크래치에 대한 저항성(scratch- resistance)을 계속 요구받고 있어 미래에는 강화유리 제조에 더 높은 기술력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상당수의 휴대폰 이용자들이 스크래치 방지 필름을 추가로 구입하여 부착하는 점을 비추어 볼 때 미래에는 스크래치에 더 높은 저항성을 갖춘 강화유리 제조의 기술력도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나) 커넥터 시장 특성

최근 휴대폰 및 디스플레이 기기들이 디지털 및 스마트화되면서 대용량 고속 신호 전송 필요성이 대두되며 커넥터 시장도 동반 성장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장착되지 않았던 고기능성 커넥터가 휴대폰 사양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 장착되게 되자 휴대폰 한 대당 들어가는 커넥터의 개수는 감소 하였으나 판매단가는 증가하였습니다.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Host 쪽 단자의 핀 수에 따라 C TO A Type과 C TO C Type으로 구분됩니다. C TO A Type은 최초의 Standard 타입으로 Standard 규격두께가 5mm밖에 안되어 데스크탑과 노트북의 Host 쪽에 채택되어 오랜 시간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며 스마트폰이 컴퓨터 사용시간을 압도하고 노트북이 경량화 슬림화 되며 커넥터 Type의 사용 흐름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2015년 애플이 맥북을 선두로 노트북에 Type C를 채택하는 등 Type에 대한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2015년 최초 승인된 USB C Type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 TO A Type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C TO C Type 충전기를 사용 할 경우 기존에 비해 크기가 작아 디자인 측면에서의 활용도가 높으며(슬림화, 소형화 구현), 접속단자의 앞뒤 구분이 필요 없어 사용자가 기기를 연결함에 있어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데이터 전송 능력은 10Gbps, 전력 송신 능력은 최대 100W이며 보다 빠른 데이터 이송과 충전이 가능합니다. 속도, 사용 편의성, 범용성 등 USB C Type의 장점은 단순한 새로운 개발 품목을 넘어서 새로운 USB 표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제품 포트폴리오


당사는 과거 모바일 산업에 편중되어 있던 커버글라스 제품을 다각화하여, 안정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및 모든 사이즈 커버글라스에 대한 대량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당사 100% 자회사인 JNTC VINA에서 기존 휴대폰 커버글라스 외 웨어러블용차량용, 카메라 윈도우, IT 등 신규 제품을 양산하기 위한 제3공장이 2021년 06월 준공 완료되었습니다.

JNTC VINA의 1, 2공장은 휴대폰 커버글라스 제품 생산 전용, 3공장은 웨어러어블용, 차량용, 카메라윈도우, IT 및 향후 폴더블용 초박막유리(UTG) 등 커버글라스 신제품생산 전용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제품군은 커넥터, 휴대폰 커버글라스, 카메라 윈도우, 웨어러블, 차량용등 5개 제품군에서 IT 및 향후 폴더블용 초박막유리(UTG) 등으로 확대되며 7개 제품군으로 제품군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또한, 제품별 크기를 보면 초소형(카메라윈도우), 소형(웨러어블), 중형(휴대폰, IT, UTG), 대형(차량) 등 모든 사이즈의 커버글라스를 제조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을 확보함으로써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양산 체제를 구축하게 되어 빠른 고객 대응 및 시장 선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보호용 커버윈도우      


글로벌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추이


  (출처 : 옴디아)

차량에 도로 및 날씨 정보, 엔터테인먼트기능까지 제공하며 단순한 내비게이션기능이 아닌 다양한 정보를 담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수요 급증으로 인한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이 더욱 커지며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종류는 CID, 계기판, RSE, HUD, 룸미러, 사이드미러 등에 요구되고 있습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중 대형디스플레이 비중(전망)

                       (출처 : IHS Market)

 

자동차와 IT기술의 융합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디스플레이의 주요 수요처인 TV, 스마트폰은 이미 성숙기에 진입하여 성장률이 둔화되는 추세이지만, 차량용 커버글라스의 경우 많은 정보를 담기위해 대형화되는 추세이며, JNTC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발맞추어 차량용 3D일체형 커버글라스 제품 납품 준비를 완료하였습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개발추진전략


차량용 강화유리는 야외 시인성을 위해 반사방지 기술과 디자인 완성도를 위해 3D 곡면 유리 성형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당사는 세계 최초로 휴대폰용 3D커버글라스를 양산한 업체로 기존 스마트폰의 3D 성형기술과 반사방지, 눈부심 방지 및 3D 인쇄 기술 등 다양한 요소 기술을 적용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시장에도 진입에 성공하였고 관련 시장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jntc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 수준


당사는 세계 최초로 차량용 대형 3D 커버글라스 양산을 통해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많은 완성차 업체들과 자동차 전장 메이커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2017년부터 자동차 커버글라스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평가 장비 구축과 요소 기술  (반사방지, 눈부심 방지, 3D 성형 및 인쇄 기술 등)을 확보하여 왔으며, 2020년 하반기부터 한 개 자동차 모델에 필요한 커버글라스를 양산을 진행 중에 있으며,  2021년에 전기차 전용 차량 모델에 필요한 커버글라스 수주를 신규로 완료하였으며, 특히 2022년에 고객사 물량증가로 2028년까지 누적수주 7,000억원 이상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나) 웨어러블 커버글라스

글로벌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현황


다양한 영역에서 웨어러블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함에 따라 피트니스,헬스케어, 의료,인포테인먼트 및 산업 군사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악세사리형 디바이스가 시중에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으며혈압 및 심전도 측정의 승인, 사물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악세사리 산업이 가시적으로성장하고 있습니다.

기존 웨어러블 악세사리는 단가가 높은 사파이어 글라스 또는, 2D 커버글라스 등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파이어 글라스 단가보다 저렴하지만 실사용 하기에 무리가 없는 강한 강도를 지닌 커버글라스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당사는 JNTC VINA 3공장에서 2021년 7월부터 양산을 하고 있습니다.


(다) Flexible Display 적용을 위한 폴더블용 및 롤러블용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


utg 시장전망

(출처: UBI Research(2023))

Flexible display는 Bendable 시대를 지나 Foldable 및 Rollable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초박막유리를 적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를 상용화하기 위해 장기적인 사업화 추진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폴더블 및 롤러블용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초박막유리에 기술 개발을 위해 당사는 꾸준히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매우 얇은 초박막유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양산 제조 공정 개선 및 초박막유리의 강도 및 유연성을 강화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보호, 디자인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등을 연구개발 중이며 양산 시장 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조남혁 1973.01.13 사내이사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조남혁 제이앤티씨
사업전략본부 사장
2003.10 ~ 2021.02 삼성전자 전략마케팅 Principal Professional 해당사항 없음.
2021.03 ~ 2022.11

교원그룹 웰스사업본부 전략마케팅 상무이사

2023.02 ~ 2023.04 제이앤티씨 영업전략본부 상무이사
2023.05 ~ 2024.04 락앤락 해외사업본부 전무이사
2024.05 ~ 현재 제이앤티씨 사업전략본부 사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조남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국내 유수의 기업 및 글로벌기업에서 오랜 마케팅 경험과 해외시장 개척 근무 경력을 감안하여
당사 글로벌 영업 활성화는 물론 상장사 대표이사로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사내이사로 추천


확인서

확인서_보고자 조남혁_20240613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이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613000129

제이앤티씨 (20427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