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2-28 10:43: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28002072
2024 년 2 월 28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 |
대 표 이 사 : | 신 요 식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7(문정동, 문정대명벨리온) | |
(전 화) 02-6488-3128 | ||
(홈페이지)http://www.unioncomm.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김 광 표 |
(전 화) 02-6488-3128 | ||
(제24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가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19조에 의거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고자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Ⅰ. 일시 : 2024년 3월 14일(목) 오전 9시
Ⅱ. 장소 :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7 대명벨리온 12층 ㈜유니온커뮤니티 대회의실
(대중교통 : 지하철 8호선 문정역 4번출구)
Ⅲ. 회의목적사항
1) 보고사항
- 영업보고 및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보고
2) 부의안건
① 제1호 의안 : 제24기(2023.1.1~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현금배당 포함 : 주당 70원]
②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2-1호 의안 : 정관 제45조의2[분기배당] 추가의 건
③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3인 선임)
3-1호 의안 : 사내이사 신요식 선임의 건
3-2호 의안 : 사내이사 김광표 선임의 건
3-3호 의안 : 사내이사 장명훈 선임의 건
④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⑤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Ⅳ.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1주전(2024년 3월 6일)까지 본사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DART)를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unioncomm.co.kr
Ⅴ. 실질주주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 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Ⅵ.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기재 및 날인), 위임자의 신분증 사본, 대리인 신분증
Ⅶ. 기타사항
- 의결권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하고 계신 주주님들에 대해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19조 2항에 의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한 주주총회 소집공고로 주주총회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불가피한 사유로 인해 주주총회 장소 및 시간이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대표이사에게 변경 권한을 위임합니다.
2024년 2월 28일 |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 127(문정동, 문정대명벨리온) |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
대표이사 신 요 식(직인생략) |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고용준 (출석률: 40%) | |||
찬 반 여 부 | |||
1 | 2023-01-31 | 2022년(제23기)감사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불참 |
2 | 2023-02-28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불참 |
3 | 2023-04-13 | 하나은행 기업운전무역어음 대출(20억) | 불참 |
4 | 2023-05-19 | (주)타임소프트 제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의 건 | 찬성 |
5 | 2023-12-14 | 현금배당 결정 및 주주명부폐쇄기간 및 기준일 설정의 건 | 찬성 |
주) 고용준 사외이사는 제23기 정기주주총회로 신규선임 되어, 선임전 이사회 결의 사항에 대해서는 불참으로 표시하였습니다.고용준 사외이사 취임(2023년 3월 15일) 이후 출석률은 66%입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000,000 | 22,500,000 | 22,500,000 | - |
- 주총승인금액은 등기이사 6명(사외이사포함)에 대한 주주총회 승인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바이오인식 산업이 가지는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높은 기술진입장벽이 존재하는 산업
바이오인식 산업은 인간의 신체 일부 또는 행동 특성을 IT산업과 접목한 분석 시스템을 통해 본인만이 보유한 특징을 인증 수단으로써 사용하는 산업입니다. 개인별 바이오 특징에 대한 통계학적 데이터 축적 및 다양한 시행착오를 통해 기술적 신뢰성확보가 요구되는 산업이며,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 등록 등 기술적 진입장벽이 높게 구축되어 있는 산업으로, 기술적 노하우 및 연구개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소수의시장 참여자에 의해 산업이 유지/발달되고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 개발, 생산 과정의 노하우, 고객 사이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대응 능력 등은 기술적 진입장벽을 더욱 견고히 하는 요인들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성장단계의 첨단산업
바이오인식 산업은 높은 신뢰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차세대 정보보안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IT기술의 발달에 따라 성능향상을 기반으로 한 기술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소형화가 이루어지면서 편리성이 증대되고 특히 가격경쟁력이 확보되면서 급격히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바이오인식 기술을 이용한 보안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각국 정부들도 바이오인식 기술을 채택하거나 바이오인식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각종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3) 공공사업을 기반으로 확대되는 산업
바이오인식 시장은 현재 세계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바이오인식 사업화가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장의 규모도 동반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관세국경보호청을 중심으로 인근 국경에서의 검문ㆍ검색 시 생체인식 보안솔루션을 활용하고 있으며,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생체인식 기술을 공공안전, 금융서비스, 운송 및 소매 유통과 같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중입니다. 국내에서는 얼굴인식 기술 등을 활용해 실종 아동이나 치매 환자의 신원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추진중이며 범죄자 얼굴인식, 예측 치안, 강력 범죄 차단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4) 국가간 바이오인식 데이터 호환 및 표준화가 확대되고 있는 산업
국가 및 기업별로 각각의 바이오인식 알고리즘 기술에 의해 구현이 되고 있으며 국가간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ICAO(국제 민간 항공 기구) 를 중심으로 ISO 표준을 채택하여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미국의 Exit/Entry 사업의 일환으로 비자 면제 국에게 면제를 위한 기본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와 유사한 출입국 사업을 ICAO에서 제시하고 있는 LDS(Logical Data Structure)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인식 산업의 경우 수집된 DB를 기반으로 한 인프라가 구축이 되어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국가별로 바이오인식 정보의 수집 사업을 선 시행 후 인증 시스템으로의 확대를 분리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준이 되어 버린 FBI 산하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에서 바이오인식 데이터의 품질 기준을 명시하고 그에 적합함을 인정 받을 경우 국제 표준처럼 통용되어 지고 있습니다. 다만 인도, 중국 등은 자체 인증 프로세스를 도입함으로써 독립적인 시장우위를 점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을 중심으로 국내 대학병원, 스마트폰ㆍ바이오 인식 개발업체, 금융ㆍ원격의료 연구기관, TTA 등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KISA 생체신호 인증기술 표준연구회를 발족하여 TTA 바이오인식 프로젝트 그룹(PG505)을 통해 생체인증을 포함한 국내 바이오 인식 기술 관련 국내 표준을 개발 중 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당사는 지문인식기술, 위조지문 판별기술, 얼굴인식 기술, 홍채인식 기술 등의 생체인식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출입통제기와 지문인식모듈, 기타 지문인식 기술을 활용한 등록기 등의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은 모두 넓은 의미에서 보안시장 제품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보안시장은 크게 물리적보안과 정보보안 시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리적 보안이란 외부의 물리적 위협으로부터 시설, 인력 등을 보호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나타내고, 정보보안이란 개인정보나 네트워크등을 보호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일컫습니다. 2022년 기준 국내 보안 시장 규모는 약 16조 180십억원으로 추산되며, 이 중 물리적보안시장이 10조 563십억원으로 65.2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표1 보안시장 별 매출액 추이]
(단위 : 십억원) |
보안시장별 매출액 추이_2022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CAGR (2015~2022) |
---|---|---|---|---|---|---|---|---|---|
정보보안 | 2,108,659 | 2,454,024 | 2,744,940 | 3,082,926 | 3,618,773 | 3,921,387 | 4,549,734 | 5,617,174 | 15.02% |
물리보안 | 6,110,086 | 6,588,787 | 6,840,822 | 7,034,918 | 7,561,734 | 8,302,865 | 9,311,446 | 10,563,226 | 8.13% |
합계 | 8,218,745 | 9,042,811 | 9,585,762 | 10,117,844 | 11,180,507 | 12,224,252 | 13,861,180 | 16,180,400 | 10.16% |
출처) 2022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1) 물리보안 시장
위의 표에서 보듯이, 물리적 보안시장은 2022년 기준 정보보호산업 전체 매출의 65.28%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연평균 8.13%로 성장을 하였습니다. 아래의 경제적, 사회적, 인구구조적 변화는 물리적 보안 시장의 성장을 예측할 수 있게 합니다.
(가) 물리적보안 시장 성장 동력
ⅰ) 평균소득의 증가
ⅱ) 보안시스템의 가정수요 증가
ⅲ) 인구구조의 변화 :고령화와 1인 가정의 증가
ⅳ) 법인수요 증가
(나) 물리보안시장을 세분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물리보안산업 매출규모_2022 |
출처) 2022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2) 정보보안 시장
정보보안 시장은 최근 개인정보보호 사고 발생 등에 따라 콘텐츠/정보유출 방지보안 제품, 네트워크보안 제품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동 시장은 2022년 기준 약 5조 617십억원 규모입니다.
정보보안시장을 세분하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정보보안산업 매출규모_2022 |
출처) 2022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최근 국내에서 금융, 통신, 의료, 제조, 국방, 교육 분야 등 전방위적으로 개인정보 유출사건이 발생하면서 정보보안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개인 PC나 노트북에 대한 접근제어 및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의 서버 접근 제어 등에 지문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비밀번호나 토큰 방식의 보안방식보다 보안성과 편의성 측면에서 우수한 신개념 서버 접속 인증 제품을 도입하였습니다. 개인PC나 노트북뿐 아니라 근무환경에서의 사용자 접근권한 문제도 지문인식을 통한 정보보안 방식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은 물론 일반기업에서도 정보유출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당사의 지문인식 PC/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은 일반적인 PC보안 뿐만 아니라 사내 그룹웨어 접속 시 인증 및 전자결재, ERP 접속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방식의 시장을 대체함은 물론 시장 전체의 사이즈를 키울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바이오 인식 시장의 경우 세계적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 차원에서 사업화가 주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경기상황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국내 시장의 경우 공공분야에 대한 국가차원의 지원이 선진국 대비 미미한 수준이나, 최근 개인정보 유출 사례의 급증 등으로 인한 정책적 대책의 필요성 인식 및 전반적인 보안의식 향상은 바이오 인식 시장 확장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가 영위하는 사업중 각 제품군의 경기변동과의 관계 및 계절적요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
보안성이 강조되는 바이오인식 제품 및 솔루션의 경우 비인가자의 출입 및 접근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나 장소에 반드시 필요한 제품 및 솔루션이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일정한 수요가 항상 존재한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경기가 불황일 때에는 영업비밀 유출이나 범죄 등의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보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오인식 및 보안 시장은 국내외의 전반적인 경기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지문인식 Module
당사의 지문인식 Module은 주로 지문인식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단말기에 적용되는 제품으로 상기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경기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3) Live Scanner
Live Scanner는 공공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국가적 차원의 보안성 강화를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시장이 확대대고 있는 분야로서 일반적인 경기 변동에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특히 최근 전세계적으로 테러 등의 위협이 증가하면서 국가 주도의 사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4) 바이오 정보보안
최근의 사회는 인간의 경제활동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회 활동이 급속도로 온라인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향후 경기 변동과 무관하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감안할 때 바이오 정보보안은 경기 변동과 상관없이 그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4) 경쟁요소
1) 경쟁 상황
(가)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은 바이오 인식 분야 및 카드 인식 분야에서 경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제품/시스템의 성능, 가격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장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부가기능 및 시스템 연동에 대한 경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시스템이 점점 대형화됨에 따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대용량 고속 지문인식 알고리즘 기술에 대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나) 지문인식 Module
지문인식 Module 분야는 완제품이 아닌 반제품의 형태로 완제품 제조업체를 고객으로 하는 분야입니다. 제품의 특성상 공급업체와 고객의 밀착도가 상당히 강한 분야로서 고객 선점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안입니다. 고객사의 입장에서는 제품에 적용된 지문인식 Module을 교체하기에는 시간, 비용 등의 문제가 있어 쉽게 교체를 결정하기는 곤란한 상황이므로 고객과 지문인식 모듈 공급업체간의 파트너쉽이 매우 강한 분야입니다.
따라서 지문인식 모듈 업체는 밀착된 기술지원 및 성능 향상을 통한 파트너쉽을 공고히 하는 전략을 더불어 신규 고객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 Live Scanner
Live Scanner는 대부분 공공분야에서 프로젝트 수주 형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00년 중반까지는 세계적으로 소수의 업체만이 관련 제품을 보유하고 있었고 시장 규모도 그다지 크지 않은 상황이었으므로 경쟁이 치열하지는 않았으며 가격 또한 상당히 고가에 판매되었던 시기입니다.
2000년 중반 이후 공공분야에 지문인식이 확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기존 지문인식 기술 보유 업체들이 Live Scanner를 자체 개발하여 시장이 진입함으로써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Live Scanner는 가격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제품의 품질 부분은 미국 FBI의 IAFIS IQS의 품질기준인 PIV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또는 Appendix-F 기준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준용되고 있으며, 시장 진입을 위한 필수사항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런 필수사항에 충족하는 4지 스캐너를 개발 완료하여 관련 사업에 대응하고 있으며 인감스캐너 부분은 특화된 기능(오물질 제거, 국내외 특허취득) 및 활용도(Mobile Device 지원)를 바탕으로 국내 금융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본 금융시장에도 진출하여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라) 바이오 정보보안
바이오 정보보안 분야는 IT기술 및 모바일 기술의 발전 및 개인정보 보호 등 민감 정보 유출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폭되면서 최근 들어 지문인식을 비롯한 바이오인식 기술을 이용한 PC 및 네트웍 보안 및 금용 거래 등으로의 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바이오 인식 전문 업체들은 이와 같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독자적 서버 인증 솔루션을 개발하고 시장 확대를 위한 경쟁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 회사의 비교우위 사항
① 기초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포트폴리오(솔루션, 바이오, 광학, 출입, 금융)
② 특허받은 위조지문인식 기술
③ 대규모 프로젝트 레퍼런스, 정부&국방부 지정 상품
④ 전 세계에 분포되어진 안정적인 매출구조와 탄탄한 파트너쉽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당사 및 당사의 종속회사는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제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출입통제 보안, 네트워크 보안, 금융 결제, 모바일 인증, 범죄자 식별, 손가락 인지를 통한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는 핵심 기술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당사는 주로 출입 보안, 근태 관리 등 물리적 보안 분야에 주력해 왔으며, 향후 범죄자 감식, 출입국 관리, 전자 주민증 등의 공공사업 분야, 모바일 인증을 위한 서비스, 사후 감시를 위한 영상 사업 등의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여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문인식을 비롯한 바이오인식 기술이라는 용어 자체가 생소하던 2000년 이래 국내는 물론 전 세계의 지문인식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는 자부심으로 연구 개발 분야 및 마케팅 분야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미래를 선도하기 위하여 지금 이 시간에도 끊임없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지문인식 분야의 핵심 기술인 센서, 알고리즘, 하드웨어 설계 기술,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 품질 관리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광학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 및 알고리즘에 대한 원천 기술 바탕으로 지문인식 모듈, 위조 지문 방지 기능,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 통제 단말기, PC 주변 기기 및 다양한 라이브 스캐너, 지문 인증 서버까지 통합 지문인식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당사는 정부대전청사 출입통제 시스템 구축, 기타 조달청 및 한국금융안전, 육군본부 등과 같은 유사 대형 SI사업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문인식모듈의 스마트폰 탑재 확대 트랜드에 맞춰 관련된 제품과 APP의 개발 완료 및 특허등록 중에 있으며 중국 등 주요 경쟁사들의 가격 및 기술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모조지문 방지 기술 및 지문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 개발에 매진하는 한편 단순한 물리보안영역에서 탈피하여 영상보안솔루션(VMS)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한 영상감시업체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종합보안 솔루션 업체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 및 기술 개발에 끊임없이 매진해 온 결과 201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업체로 선정되었으며, 해당 사업 지원을 통해 신규 제품 및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기술 경쟁력을 견고히 할 계획입니다.
또한 회사가 보유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제품의 Line-up을 구성하고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객 만족도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회사가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분야별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출입 통제 및 근태 관리
생체인식 기술의 응용 분야 중에서 대표적인 분야가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열쇠나 비밀번호를 이용한 방식은 분실, 도난, 망각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 방식의 문제점들을 보완해줄 수 있는 대표적인 기술이 바이오인식 기술이며, 그 중에서도 지문인식 기술이 사용상의 편리성이나 경제성이 우수하여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시장 초기에는 보안성이 많이 요구되는 연구소나 일반기업의 특정 시설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었으나 최근에는 보안성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리성이 강조되면서 일반기업, 공장, 아파트 등 그 적용 분야가 매우 광범위해졌습니다.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열쇠나 카드 소지에 대한 부담이나 분실에 따른 재발급 번거로움이 없기 때문에 출입통제 및 근태 관리 분야에서 그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 PC 및 네트워크 보안
PC/네트워크 보안 분야는 개인 PC나 노트북, 공용 연구용 컴퓨터에 대한 접근제어 및 네트워크 환경하에서의 서버 접근 제어 등에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보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대면거래에서 탈피하여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환경 하에서는 무엇보다도 정확한 신원확인에 대한 요구가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비밀번호나 토큰 방식의 경우 도난, 분실, 유출, 망각 등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반면 생체인식은 이와 같은 위험성을 해결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기업 활동이 전산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사용자 접근 권한 문제도 보안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사내 전산망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 라이브 스캐너
최근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그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기존의 지문인식 센서에서 탈피하여 범죄수사, 전자여권, 전자주민증 등에 활용되는 지문인식 스캐너를 통상 라이브 스캐너라 칭합니다. 상용분야에서 이용되는 소형 센서가 지니고 있는 제한된 지문정보 획득이라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형 지문 입력창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라이브 스캐너는 1지는 물론 2지, 4지를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최근에는 특히 브라질, 멕시코를 비록한 중남미 지역이나 인도 등에서 그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도 경찰청, 법무부, 외교통상부 등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고 최근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전자주민증 사업이 추진될 경우 그 수요는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에는 범죄자 식별을 위한 도구로써 장문 인식 기술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한 개의 손가락 지문에서부터 장문 인식 까지 시장이 폭 넓게 커져 가고 있습니다.
(라) 주 제어 장치 시장
출입 통제 시장에서 주로 개별 도어의 출입문 제어를 하는 경우 보안상의 이슈 등이 발생할 수 있어서 보안의 강화를 위한 장소에는 주 제어 장치라고 불리는 ACU를 통해서 개별 출입문 제어 및 통합 모니터링을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이 주 제어 장치 시장을 분류하자면 대규모 시스템을 지원하는 ACU 서비스를 하는 회사와 당사와 같이 소규모 시장에서의 니치 마켓을 공략하기 위해서 개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구분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 시장은 높은 기술력을 요하는 시장으로서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마) 융합 시장
기존에는 보안 시장이 사전에 방지를 하는 물리적 출입 통제 보안 시장과 사후 감시를 하기 위한 영상 시장으로 구분되어 시장이 형성 되어 있었으나 카메라 등의 영상 장비의 가격 하락 및 품질 향상, Analog 및 Digital 영상의 통합 지원 등의 이슈와 함께 사전/사후 보안 시장이 통합되어 지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중국의 저가 제품 공략으로부터 제품의 질적 차별화를 통한 시장 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 동 업종에 대한 공개된 수치 또는 통계수치의 조사가 현실적으로 곤란하여 객관성 있는 자료를 제시하기가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 상기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참조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신규사업의 내용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Digital Transformation의 가속화는 재택근무, 자율좌석제, 거점오피스, 유연근무 등 업무환경의 갑작스러운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업무환경의 변화는 외부에서 근무하는 사용자들의 효율적인 업무관리와 회사자원 및 시스템에 대한 외부 접근 보안 관리가 보안서비스의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기존의 지정된 공간에 인가된 사용자만 출입을 허용하는 공간중심의 출입통제 보안 서비스를 기반으로 불특정 공간, 사용자 중심의 보안 서비스인 UBio-ezPass를 출시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도 생체인식 보안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기반의 모델을 솔루션 라인업에 추가하였습니다.
당사는 출입통제 통합 솔루션 판매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라이선스 판매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업 판매 모델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사항과 연동환경에 맞는 맞춤형 보안 서비스 솔루션을 판매할 수 있도록 보안 상품 라인업을 확대시켰습니다.
UBio-ezPass는 별도 장비 없이 소프트웨어 설치만으로 노트북의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분석하여 PC를 로그인할 수 있는 서버인증 기반의 생체인증 솔루션입니다.
UBio-ezPass 출입통제 디바이스에서 검증된 안면인식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있어 본인 인증 로그인 외에 주변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보안위험도를 스스로 판단하고 PC를 자동 잠금 하는 Face Lock기능을 기본 제공합니다.
또한 민감정보인 개인생체정보는 서버에 분산 저장되어 자동 암호화 알고리즘 업데이트 방식을 통해 관리하고 있으며, 2017.02 금융결제원 바이오 정보 분산관리인증을 취득하여 신뢰할 수 있는 보안솔루션을 증명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기반의 UBio-ezPass는 단독형, 서버통합 관리형, 출입통제 연동형, SSO (Single-Sign-On) / AD (Active Directory) 연동이 가능한 엔터프라이즈형으로 4개의 라이선스 모델을 제공하며 오피스뿐만 아니라 교육, 제조, 고객센터, 금융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 및 확장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신규사업의 전망
2023년 국내 금융회사에 UBio-ezPass를 실제로 도입하여 계열사 확대 적용 검토를 진행중에 있으며, 금융사를 시작으로 보험사 및 증권사까지 금융영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한, 국내는 통합인증 SSO 솔루션을 보유한 SI 전문업체와 엔터프라이즈 포털 개발운영 업체들과 MOU를 체결하여 공동영업을 통해 시장을 확대할 예정이며, 해외는 100여개국 150여개의 유니온커뮤니티 출입통제 솔루션 파트너사와 함께 기존 영업 및 유통망을 이용하여 출입통제 보안솔루션(UBio-Alpeta)와 소프트웨어 보안솔루션(UBio-ezPass)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보안솔루션 판매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_2023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당기 연결기준 약 514억원의 매출을 하였습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약 51억 (11.1%)증가한 수치로 주요 원인은 국내 및 해외 수주 매출건의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해외매출의 상승과 국내 매출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약 2.3억(17.3%) 증가하였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본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종료되기 이전의 정보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결의내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재무제표
- 연결 재무상태표
제 24 기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 23 기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당) 기말 | 제 23 (전) 기말 | ||
---|---|---|---|---|
자 산 | ||||
유동자산 | 38,338,183,445 | 38,193,365,689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1,285,440,928 | 5,031,798,588 | ||
매출채권 | 9,038,454,184 | 11,065,643,901 | ||
기타유동금융자산 | 3,538,982,784 | 3,348,941,056 | ||
기타유동자산 | 588,615,882 | 1,262,546,137 | ||
재고자산 | 13,886,689,667 | 17,484,436,007 | ||
비유동자산 | 21,878,627,602 | 17,966,667,555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85,866,843 | 224,134,868 | ||
기타비유동자산 | 642,833 | 30,084,953 | ||
유형자산 | 9,031,528,848 | 9,153,653,591 | ||
무형자산 | 2,468,300,877 | 1,098,643,468 | ||
투자부동산 | 1,705,855,163 | 1,750,933,393 | ||
관계기업투자주식 | 1,729,207,649 |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3,090,214,922 | 2,628,833,588 | ||
이연법인세자산 | 3,567,010,467 | 3,080,383,694 | ||
자 산 총 계 | 60,216,811,047 | 56,160,033,244 | ||
부 채 | ||||
유동부채 | 14,882,359,963 | 14,173,503,921 | ||
매입채무 | 4,829,318,438 | 4,429,967,647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371,565,536 | 1,039,297,442 | ||
기타유동부채 | 540,490,234 | 643,815,985 | ||
단기차입금 | 8,000,000,000 | 8,000,000,000 | ||
당기법인세부채 | 61,411,335 | 44,955,460 | ||
반품충당부채 | 79,574,420 | 15,467,387 | ||
비유동부채 | 5,497,365,142 | 5,042,566,578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459,910,350 | 413,576,318 | ||
순확정급여부채 | 5,037,454,792 | 4,628,990,260 | ||
부 채 총 계 | 20,379,725,105 | 19,216,070,499 | ||
자 본 | ||||
자본금 | 7,339,503,500 | 7,339,503,500 | ||
주식발행초과금 | 17,144,882,375 | 17,144,882,375 | ||
기타자본항목 | (5,797,308,631) | (5,797,308,631)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343,305) | 14,933,201 | ||
이익잉여금 | 21,161,352,003 | 18,241,952,300 | ||
비지배지분 | - | - | ||
자 본 총 계 | 39,837,085,942 | 36,943,962,745 | ||
부채와자본총계 | 60,216,811,047 | 56,160,033,244 |
- 연결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 23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당) 기 | 제 23 (전) 기 |
---|---|---|
매출액 | 51,382,692,333 | 46,253,418,625 |
매출원가 | (33,763,256,121) | (30,528,133,713) |
매출총이익 | 17,619,436,212 | 15,725,284,912 |
판매비와관리비 | (16,051,523,586) | (14,388,391,099) |
영업이익 | 1,567,912,626 | 1,336,893,813 |
금융수익 | 834,062,325 | 1,446,509,958 |
금융원가 | (858,027,450) | (1,055,808,451) |
기타수익 | 1,652,897,704 | 470,027,850 |
기타비용 | (217,731,889) | (172,382,853) |
지분법손익 | (270,792,351) |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708,320,965 | 2,025,240,317 |
법인세수익(비용) | 360,568,373 | 130,104,294 |
당기순이익 | 3,068,889,338 | 2,155,344,611 |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손익 | 3,068,889,338 | 2,155,344,611 |
비지배지분순손익 | - | - |
기타포괄손익 | (175,766,141) | 236,098,872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 요소 | (149,489,635) | 228,823,671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해외사업환산손익 | (26,276,506) | 7,275,201 |
당기총포괄이익 | 2,893,123,197 | 2,391,443,483 |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손익 | 2,893,123,197 | 2,391,443,483 |
비지배지분순손익 | - | -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238 | 166 |
희석주당이익 | 238 | 166 |
2. 별도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제 24 기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 23 기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당) 기말 | 제 23 (전) 기말 | ||
---|---|---|---|---|
자 산 | ||||
유동자산 | 38,194,361,440 | 38,147,112,809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1,210,589,740 | 5,000,208,522 | ||
매출채권 | 9,185,915,079 | 11,228,687,293 | ||
기타유동금융자산 | 3,538,982,784 | 3,348,941,056 | ||
기타유동자산 | 524,399,580 | 1,272,066,500 | ||
재고자산 | 13,734,474,257 | 17,297,209,438 | ||
비유동자산 | 22,061,465,054 | 18,044,876,002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349,279,787 | 214,444,703 | ||
유형자산 | 9,024,415,753 | 9,144,456,720 | ||
무형자산 | 2,353,059,313 | 983,401,904 | ||
투자부동산 | 1,705,855,163 | 1,750,933,393 | ||
종속기업투자주식 | 242,422,000 | 242,422,000 | ||
관계기업투자주식 | 1,729,207,649 | -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3,090,214,922 | 2,628,833,588 | ||
이연법인세자산 | 3,567,010,467 | 3,080,383,694 | ||
자 산 총 계 | 60,255,826,494 | 56,191,988,811 | ||
부 채 | ||||
유동부채 | 14,834,029,922 | 14,102,152,940 | ||
매입채무 | 4,819,370,038 | 4,422,538,946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341,189,308 | 1,014,261,578 | ||
기타유동부채 | 532,484,821 | 604,929,569 | ||
단기차입금 | 8,000,000,000 | 8,000,000,000 | ||
당기법인세부채 | 61,411,335 | 44,955,460 | ||
반품충당부채 | 79,574,420 | 15,467,387 | ||
비유동부채 | 5,497,365,142 | 5,042,566,578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459,910,350 | 413,576,318 | ||
순확정급여부채 | 5,037,454,792 | 4,628,990,260 | ||
부 채 총 계 | 20,331,395,064 | 19,144,719,518 | ||
자 본 | ||||
자본금 | 7,339,503,500 | 7,339,503,500 | ||
주식발행초과금 | 17,144,882,375 | 17,144,882,375 | ||
기타자본항목 | (5,666,433,007) | (5,666,433,007) | ||
이익잉여금 | 21,106,478,562 | 18,229,316,425 | ||
자 본 총 계 | 39,924,431,430 | 37,047,269,293 | ||
부채와자본총계 | 60,255,826,494 | 56,191,988,811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제 23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당) 기 | 제 23 (전) 기 |
---|---|---|
매출액 | 51,237,949,759 | 46,166,041,409 |
매출원가 | (33,730,744,985) | (30,526,601,534) |
매출총이익 | 17,507,204,774 | 15,639,439,875 |
판매비와관리비 | (15,981,592,560) | (14,185,905,077) |
영업이익 | 1,525,612,214 | 1,453,534,798 |
금융수익 | 833,892,566 | 1,446,125,077 |
금융원가 | (857,815,374) | (1,052,507,245) |
기타수익 | 1,652,891,106 | 468,469,251 |
기타비용 | (217,704,762) | (172,141,815) |
지분법손익 | (270,792,351) |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666,083,399 | 2,143,480,066 |
법인세수익(비용) | 360,568,373 | 130,104,294 |
당기순이익 | 3,026,651,772 | 2,273,584,360 |
기타포괄손익 | (149,489,635) | 228,823,671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 요소 | (149,489,635) | 228,823,671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당기총포괄이익 | 2,877,162,137 | 2,502,408,031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235 | 175 |
희석주당이익 | 235 | 175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4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23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 | ||
---|---|---|---|---|
처분예정일 : 2024.03.14 | 처분확정일 : 2023.03.15 | |||
Ⅰ.미처분이익잉여금 | 20,722,553,496 | 17,845,391,359 | ||
1.전기이월미처리이익잉여금 | 17,845,391,359 | 15,342,983,328 | ||
2.보험수리적손실 | (149,489,635) | 228,823,671 | ||
3.당기순이익(손실) | 3,026,651,772 | 2,273,584,360 | ||
Ⅱ.이익잉여금처리액 | 993,725,271 | - | ||
1.이익준비금 | 90,338,661 | - | ||
2.현금배당 | 903,386,610 | - | ||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9,728,828,225 | 17,845,391,359 |
※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46조의2[분기배당] <신설> | 제45조의2[분기배당]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직전결산기의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상법 시행령」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 한다. | - 분기배당 조항 신설 |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2023년 3월 15일부터 시행한다. |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2024년 3월 14일부터 시행한다. | - 부칙 신설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신요식 | 1967.04.28 | 부 | 부 | 본인 | 이사회 |
김광표 | 1968.02.07 | 부 | 부 | 해당없음 | 이사회 |
장명훈 | 1983.12.03 | 부 | 부 | 해당없음 | 이사회 |
총 ( 3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신요식 | ㈜유니온커뮤니티 대표이사 | 1990.01~1995.10 | 한국컴퓨터 기술연구소 | 해당없음 |
1995.11~1999.11 | 청호컴퓨터 사업본부장 | |||
2000.02~현재 | ㈜유니온커뮤니티 대표이사 | |||
김광표 | ㈜유니온커뮤니티 부사장 | 1998.08~2007.04 | ㈜엘렉스컴퓨터 회계팀 | 해당없음 |
2007.04 | ㈜유니온커뮤니티 입사 | |||
2023.01~현재 | ㈜유니온커뮤니티 부사장 | |||
장명훈 | ㈜유니온커뮤니티 | 2007.12~2011.03 | 디자인드림 | 해당없음 |
2011.04 | ㈜유니온커뮤니티 입사 | |||
2024.01~현재 | ㈜유니온커뮤니티 전무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신요식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김광표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장명훈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이사 후보자 신요식 - 후보자(신요식)은 현재 (주)유니온커뮤니티의 대표이사로 재직중인 당사의 창업주로서 (주)유니온커뮤니티가 지금까지 성장해오는데 기여한 주요 인사입니다. 향후 당사의 신제품 개발 및 신규사업 진출에 관련하여 오랜 경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합니다. 사내이사 후보자 김광표 - 후보자(김광표)는 현재 (주)유니온커뮤니티의 부사장으로 재직중으로 오랜기간 재무회계 담당자로 근무하며, 회계,세무,자금 및 공시 전반에 걸쳐 폭넓은 경험과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 IPO 업무 전반을 총괄하여 당사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성공시킨 인사입니다. 향후에도 재무회계 업무를 총괄하며 회사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합니다. 사내이사 후보자 장명훈 - 후보자(장명훈)는 현재 (주)유니온커뮤니티의 전무이사로 재직중으로 생산,구매,CS 등 제품 생산 및 고객서비스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주요 인사입니다. 원가절감, 고객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회사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합니다. |
확인서
확인서_제24기 정기주주총회 양식_신요식 대표이사 |
확인서_제24기 정기주주총회 양식_김광표 부사장 |
확인서_제24기 정기주주총회 양식_장명훈 전무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5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3.4억원 |
최고한도액 | 2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백만원 |
최고한도액 | 1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06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2024년 3월 6일)까지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DART)를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unioncomm.co.kr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228002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