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정정]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20 16:2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20001140
2024년 03월 20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4년 03월 13일
3.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II.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 재무제표 확정에 따른 정정 | <정정전> | <정정후> |
<정정전>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7 기 2023. 12. 31 현재 |
제 16 기 2022.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 기 | 제 16 기 |
---|---|---|
I. 유동자산 | 34,608,050,568 | 37,753,742,043 |
현금및현금성자산 | 21,737,244,651 | 18,206,490,657 |
매출채권 | 5,966,083,791 | 9,309,310,334 |
기타유동수취채권 | 1,332,193,220 | 76,680,019 |
재고자산 | 4,879,843,040 | 8,316,627,802 |
당기법인세자산 | 357,727,858 | 318,314,868 |
기타유동자산 | 334,958,008 | 1,526,318,363 |
II. 비유동자산 | 174,935,266,150 | 176,391,724,512 |
장기금융상품 | 1,094,725,470 | 1,4513,053,365 |
기타비유동수취채권 | 398,217,176 | 425,122,63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1,000 | 1,000 |
유형자산 | 156,617,328,105 | 162,128,571,770 |
사용권자산 | 1,740,857,438 | 2,916,875,456 |
무형자산 | 2,137,375,464 | 2,839,241,162 |
이연법인세자산 | 12,878,744,414 | 6,612,761,914 |
기타비유동자산 | 68,017,083 | 56,097,208 |
자 산 총 계 | 209,543,316,718 | 214,145,466,555 |
I. 유동부채 | 80,616,939,512 | 42,744,314,892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2,404,927,021 | 22,318,093,247 |
차입금 | 66,500,000,000 | 18,500,000,000 |
유동리스부채 | 1,426,625,159 | 1,558,717,065 |
기타유동부채 | 285,387,332 | 367,504,580 |
II. 비유동부채 | 30,807,802,698 | 56,628,065,138 |
장기차입금 | 30,000,000,000 | 55,000,000,000 |
비유동리스부채 | 388,221,667 | 1,369,407932 |
충당부채 | 7,112,492 | 7,330,745 |
확정급여부채 | - | - |
종업원급여부채 | 412,468,539 | 251,326,461 |
부 채 총 계 | 111,424,742,210 | 99,372,380,030 |
자본금 | 21,181,046,500 | 21,171,046,500 |
자본잉여금 | 58,490,203,832 | 58,490,203,832 |
자본조정 | (8,265,622,550) | (8,262,328,919) |
이익잉여금 | 26,712,946,726 | 43,364,165,112 |
자 본 총 계 | 98,118,574,508 | 114,773,086,525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209,543,316,718 | 214,145,466,55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13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 기 | 제 16 기 |
---|---|---|
I. 매출액 | 93,742,317,670 | 73,646,384,263 |
II. 매출원가 | 109,869,759,154 | 64,971,745,406 |
III. 매출총이익 | (16,127,441,484) | 8,674,638,857 |
IV. 판매비와관리비 | 6,753,053,737 | 4,088,727,314 |
V. 영업이익 | (22,880,495,221) | 4,585,911,543 |
VI. 기타수익 | 7,442,689,026 | 1,303,877,883 |
VII. 기타비용 | 3,936,191,641 | 2,945,921,355 |
VIII. 금융수익 | 592,083,522 | 288,469,835 |
IX. 금융원가 | 4,087,643,818 | 1,356,672,359 |
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2,869,558,132) | 1,875,665,638 |
XI. 법인세비용 | (6,267,851,569) | (1,214,302,955) |
XII. 당기순이익 | (16,601,706,563) | 3,089,968,502 |
XIII. 기타포괄손익 | (49,511,823) | 136,303,42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49,511,823) | 136,303,422 |
XIV. 총포괄이익 | (16,651,218,386) | 3,226,271,924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405) | 113 |
희석주당이익 | (405) | 113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13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당)기 | 제 16(당)기 | ||
---|---|---|---|---|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28일 |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31일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26,479,463,976 | 43,364,165,112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43,364,165,112 | 40,137,893,188 | ||
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49,511,823) | 136,303,422 | ||
3. 당기순이익 | (16,601,706,563) | 3,089,968,502 |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이익준비금 적립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6,712,946,726 | 43,364,165,112 |
<정정후>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7 기 2023. 12. 31 현재 |
제 16 기 2022.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 기 | 제 16 기 |
---|---|---|
I. 유동자산 | 34,333,961,770 | 37,753,742,043 |
현금및현금성자산 | 21,737,244,651 | 18,206,490,657 |
매출채권 | 5,966,083,791 | 9,309,310,334 |
기타유동수취채권 | 112,681,460 | 76,680,019 |
재고자산 | 4,879,843,040 | 8,316,627,802 |
당기법인세자산 | 83,639,060 | 318,314,868 |
기타유동자산 | 1,554,469,768 | 1,526,318,363 |
II. 비유동자산 | 175,171,455,902 | 176,391,724,512 |
장기금융상품 | 1,094,725,470 | 1,4513,053,365 |
기타비유동수취채권 | 398,217,176 | 425,122,63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1,000 | 1,000 |
유형자산 | 156,617,328,105 | 162,128,571,770 |
사용권자산 | 1,740,857,438 | 2,916,875,456 |
무형자산 | 2,137,375,464 | 2,839,241,162 |
이연법인세자산 | 13,114,934,166 | 6,612,761,914 |
기타비유동자산 | 68,017,083 | 56,097,208 |
자 산 총 계 | 209,505,417,672 | 214,145,466,555 |
I. 유동부채 | 80,616,939,512 | 42,744,314,892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2,421,427,021 | 22,318,093,247 |
차입금 | 66,500,000,000 | 18,500,000,000 |
유동리스부채 | 1,426,625,159 | 1,558,717,065 |
기타유동부채 | 268,887,332 | 367,504,580 |
II. 비유동부채 | 30,807,802,698 | 56,628,065,138 |
장기차입금 | 30,000,000,000 | 55,000,000,000 |
비유동리스부채 | 388,221,667 | 1,369,407932 |
충당부채 | 7,112,492 | 7,330,745 |
확정급여부채 | - | - |
종업원급여부채 | 412,468,539 | 251,326,461 |
부 채 총 계 | 111,424,742,210 | 99,372,380,030 |
자본금 | 21,181,046,500 | 21,171,046,500 |
자본잉여금 | 58,490,203,832 | 58,490,203,832 |
자본조정 | (8,265,622,550) | (8,262,328,919) |
이익잉여금 | 26,675,047,680 | 43,364,165,112 |
자 본 총 계 | 98,080,675,462 | 114,773,086,525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209,505,417,672 | 214,145,466,55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13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 기 | 제 16 기 |
---|---|---|
I. 매출액 | 93,742,317,670 | 73,646,384,263 |
II. 매출원가 | 109,869,759,154 | 64,971,745,406 |
III. 매출총이익 | (16,127,441,484) | 8,674,638,857 |
IV. 판매비와관리비 | 6,753,053,737 | 4,088,727,314 |
V. 영업이익 | (22,880,495,221) | 4,585,911,543 |
VI. 기타수익 | 7,444,378,757 | 1,303,877,883 |
VII. 기타비용 | 4,082,672,935 | 2,945,921,355 |
VIII. 금융수익 | 586,373,501 | 288,469,835 |
IX. 금융원가 | 3,941,162,524 | 1,356,672,359 |
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2,873,578,422) | 1,875,665,638 |
XI. 법인세비용 | (6,218,966,359) | (1,214,302,955) |
XII. 당기순이익 | (16,654,612,063) | 3,089,968,502 |
XIII. 기타포괄손익 | (34,505,369) | 136,303,42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4,505,369) | 136,303,422 |
XIV. 총포괄이익 | (16,689,117,432) | 3,226,271,924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407) | 105 |
희석주당이익 | - | -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13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당)기 | 제 16(당)기 | ||
---|---|---|---|---|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28일 |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31일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26,675,047,680 | 43,364,165,112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43,364,165,112 | 40,137,893,188 | ||
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4,505,369) | 136,303,422 | ||
3. 당기순이익 | (16,654,612,063) | 3,089,968,502 |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이익준비금 적립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6,675,047,680 | 43,364,165,112 |
2024 년 03 월 13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에이팩트 | |
대 표 이 사 : | 이성동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서동대로 7280-26 | |
(전 화) 031-8046-1700 | ||
(홈페이지)http://www.apact.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재무기획담당 | (성 명) 최시영 |
(전 화) 031-8046-1716 | ||
(제17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18조에 의거, 제17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 주주에 대하여는 전자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4년 03월 28일(목) 오전 9시
2. 장소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서동대로 7280-26, (주)에이팩트 본사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 사항
- 감사 보고 및 감사인 선임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보고
- 영업보고 (2023년도)
나.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17기(2023년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주주총회 소집통지, 공고사항을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전자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03월 18일~2024년 03월 27일
- 03월 18일 오전 9시부터 03월 27일 오후 5시까지 24시간 이용 가능
- 주주확인용 공동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안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주주총회 입장 시 마스크 착용을 권장드리며, 발열, 기침 및 기타 감염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최근 국내외 환자가 많이 발생한 지역을 방문하셨거나,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있으신 경우는 가급적 전자투표를 이용하시거나 의결권을 위임하여 대리인을 통해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다.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위임인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인감 날인
- 대리인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라. 위 사항이 충족되지 않을 시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할 수도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주총참석장이 없는 주주님께서는 개인 신분증만 지참하시여 주주총회에 참석하시길 바랍니다.
2024년 03월 13일
주식회사 에이팩트
대표이사 이 성 동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윤병진 (출석률: 100%) | 정기택 (출석률: 80%) | |||
찬 반 여 부 | ||||
23-1 | 2023.01.11 | 1. 운영자금 차입의 건 (신규) | 찬성 | 불참 |
23-2 | 2023.03.15 | 1. 제16기(2022년도)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2. 제16기(2022년도) 정기주주총회 의안 확정의 건 3. 운영자금 차입의 건 (연장) 4. 2023년도 사업계획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23-3 | 2023.05.09 | 1. 운영자금 차입의 건 (신규) | 찬성 | 찬성 |
23-4 | 2023.07.10 | 1. 운영자금 차입의 건 (연장) | 찬성 | 찬성 |
23-5 | 2023.10.31 | 1. 운영자금 차입의 건 (연장) 2. 운영자금 차입의 건 (신규)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공고일 현재 이사회 내에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500 | 72 | 36 | -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보수가 포함된 금액입니다.
* 지급총액은 2023년에 지급된 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반도체 후공정 시장 현황
반도체 후공정 분야의 발전은 공정의 전문화 추세로 인한 종합 반도체 제조사의 외주 비중 확대 및 팹리스 업체의 급부상으로 전문적인 파운드리 회사가 설립되면서 본격화 되었습니다. 이는 반도체의 고집적화 소형화 추세,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제품 개발로 인하여 기술난이도와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산업이 생성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대만은 파운드리 산업을 기반으로 하여 패키징, 테스트까지 One-Stop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위탁가공 클러스트를 구축함과 동시에, 인력양성, 세제혜택 등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하여 반도체 후공정 산업을 국가산업으로 성장시켰습니다. 그 결과 글로벌 반도체 후공정 업체 중 세계 상위 업체에 대만 업체가 다수 포함되며, 세계 후공정 시장에서 절반 가량의 점유율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반도체 후공정 산업은 메모리 종합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내부 Capa를 확보하여 운용하고 있었으며, 설계에 대한 노하우가 외부에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해, 외주 전문업체에 맡기는 것을 기피함에 따라 발전 속도가 느린 편이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리스크 분산과 원가절감차원에서 저가제품 위주로 외주업체들을 통한 위탁 생산이 본격화 되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후공정은 2000년대 초반 SK하이닉스가 전문 외주업체를 통해 후공정을 진행하는 방식을 도입함에 따라, 당사를 비롯하여 에이티세미콘, 윈팩 등 메모리 전문 외주업체가 설립되어 운영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단, 삼성전자의 경우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테스트는 전량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2000년 초반부터 휴대폰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국내 업체들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인해, 동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시스템 반도체(CIS, DDI 등)를 설계하는 팹리스 업체들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시장이 확대되기 시작하였습니다.
(2) 대체시장 현황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후공정 시장의 대체시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종합 반도체 제조사의 경우 후공정 전문업체를 활용하지 않고 후공정을 내재화 하여 출하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자체적으로 후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후공정 시장은 축소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합 반도체 제조사들은 투자 부담이나 핵심 공정 위주의 투자 집중으로 후공정 외주 비중을 확대하고 있어, 종합 반도체 제조사의 내재화 확대로 인한 후공정 외주시장의 대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3) 경쟁형태
현재 국내에는 다수의 후공정 전문업체들과 ASE, Amkor, STATS ChipPAC 등 글로벌 후공정 업체들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후공정 업체들은 별도의 영업활동을 진행하지 않고 본사의 전략에 의존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국내 팹리스 업체와 글로벌 팹리스 업체들의 제품에 대한 후공정 사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주요 사업은 반도체 제조공정 중 반도체 후공정으로 패키징과 테스트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주 매출처로 확보하고 있어 사업의 안정성을 확보하였을 뿐 아니라 다수의 팹리스 업체들과도 거래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당초 후공정 중 테스트 사업만 영위하다, 2022년 11월에 사업영역의 확대 및 회사의 성장, 발전을 위하여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 사업을 양수하여, 반도체 후공정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반도체 후공정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시대상으로 구분되는 사업부문은 없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반도체 후공정 사업은 소수의 업체들이 과점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생성한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이 존재하지 않아, 별도로 표기하지 아니 합니다.
(3) 시장의 특성
① 대규모 설비 투자 사업 및 규모의 경제 실현
반도체 후공정 산업은 장치산업에 속합니다. 대규모의 장비 투자를 통하여 양산이 가능하며, 양산 능력의 조절도 추가 장비 구매에 의해 가능합니다. 장치 산업의 특성상 초기 투자가 필수적이며, 어느 정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까지는 계속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또한 반도체 후공정 장비 외에 반도체 Clean Room 등 대규모 Utility 시설도 갖추어야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 및 공정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장비군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산업이 성장하면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시장의 특성상 이들 제품에 대해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제품에 맞는 제품군을 형성하여 시장을 선도해야 합니다. 자본의 축적에 의한 규모의 경제는 후발주자의 진입장벽이 됩니다.
② 기술력의 보유
반도체 후공정 산업은 반도체 후공정에 대한 기술 집약적 산업이며, 다양한 칩들에 대한 패키징 공정 개발, 테스트 프로그램 개발 능력 및 경험 등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미세공정의 발달 등 제품의 다양화는 기술적인 노하우와 다양한 제품에 대한 이해도를 가진 엔지니어의 확보는 경쟁업체 뿐만 아니라 후발 주자에게는 큰 진입장벽이 됩니다.
③ 제조 운용 능력 인프라의 구축
반도체 후공정 사업은 납기 및 품질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종합적인 분석 시스템이 있어야 실시간 모니터링과 코스트에 가장 민감한 수율(YIELD)을 관리할 수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반도체공정을 이해하고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출력이 실시간 피드백이 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년간의 인프라 구축과 반도체 제조에 대한 분석 툴이 개발 축적되어야 하며, 이런 인프라는 IDM 혹은 해외의 유수 업체 등 종합적인 제조 능력을 가진 파트너와의 장기간 교류 없이는 달성될 수 없는 부분입니다.
④ 품질 경쟁력
반도체 후공정은 반도체 공정의 마지막 공정으로 품질 경쟁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도체 후공정에서 품질 결함이 발생할 경우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Complain이 발생하기 때문에,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엄격한 품질 기준과 공정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품질 경영 시스템 구축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며, 품질 신뢰 구축을 위해 품질/환경/안전 등의 품질인증을 취득하여 품질 경영 시스템 구축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야 합니다. , 고객의 엄격한 품질 수준과 신뢰 구축은 후발주자에게는 큰 진입장벽이 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주주총회 소집 공고일 현재 신규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에이팩트 조직도 |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주요 사업은 반도체 후공정으로 패키징과 테스트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입니다.
반도체 경기가 2023년에 급격히 하락함에 따라 주요 고객사의 감산이 이루어졌고, 이에 외주물량이 대폭 감소되어, 2022년 11월 PKG 사업을 양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의 대폭 감소에 따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적자전환 하였습니다.
지난 2022년 PKG 사업 양수에 따라 최근 팹리스 고객들을 대상으로 반도체 후공정 PKG 및 TEST 일괄생산체제를 기반으로 Turn-Key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향후 반도체 경기 회복을 대비하여 신규 제품 개발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7 기 2023. 12. 31 현재 |
제 16 기 2022.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 기 | 제 16 기 |
---|---|---|
I. 유동자산 | 34,333,961,770 | 37,753,742,043 |
현금및현금성자산 | 21,737,244,651 | 18,206,490,657 |
매출채권 | 5,966,083,791 | 9,309,310,334 |
기타유동수취채권 | 112,681,460 | 76,680,019 |
재고자산 | 4,879,843,040 | 8,316,627,802 |
당기법인세자산 | 83,639,060 | 318,314,868 |
기타유동자산 | 1,554,469,768 | 1,526,318,363 |
II. 비유동자산 | 175,171,455,902 | 176,391,724,512 |
장기금융상품 | 1,094,725,470 | 1,4513,053,365 |
기타비유동수취채권 | 398,217,176 | 425,122,63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1,000 | 1,000 |
유형자산 | 156,617,328,105 | 162,128,571,770 |
사용권자산 | 1,740,857,438 | 2,916,875,456 |
무형자산 | 2,137,375,464 | 2,839,241,162 |
이연법인세자산 | 13,114,934,166 | 6,612,761,914 |
기타비유동자산 | 68,017,083 | 56,097,208 |
자 산 총 계 | 209,505,417,672 | 214,145,466,555 |
I. 유동부채 | 80,616,939,512 | 42,744,314,892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2,421,427,021 | 22,318,093,247 |
차입금 | 66,500,000,000 | 18,500,000,000 |
유동리스부채 | 1,426,625,159 | 1,558,717,065 |
기타유동부채 | 268,887,332 | 367,504,580 |
II. 비유동부채 | 30,807,802,698 | 56,628,065,138 |
장기차입금 | 30,000,000,000 | 55,000,000,000 |
비유동리스부채 | 388,221,667 | 1,369,407932 |
충당부채 | 7,112,492 | 7,330,745 |
확정급여부채 | - | - |
종업원급여부채 | 412,468,539 | 251,326,461 |
부 채 총 계 | 111,424,742,210 | 99,372,380,030 |
자본금 | 21,181,046,500 | 21,171,046,500 |
자본잉여금 | 58,490,203,832 | 58,490,203,832 |
자본조정 | (8,265,622,550) | (8,262,328,919) |
이익잉여금 | 26,675,047,680 | 43,364,165,112 |
자 본 총 계 | 98,080,675,462 | 114,773,086,525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209,505,417,672 | 214,145,466,55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13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 기 | 제 16 기 |
---|---|---|
I. 매출액 | 93,742,317,670 | 73,646,384,263 |
II. 매출원가 | 109,869,759,154 | 64,971,745,406 |
III. 매출총이익 | (16,127,441,484) | 8,674,638,857 |
IV. 판매비와관리비 | 6,753,053,737 | 4,088,727,314 |
V. 영업이익 | (22,880,495,221) | 4,585,911,543 |
VI. 기타수익 | 7,444,378,757 | 1,303,877,883 |
VII. 기타비용 | 4,082,672,935 | 2,945,921,355 |
VIII. 금융수익 | 586,373,501 | 288,469,835 |
IX. 금융원가 | 3,941,162,524 | 1,356,672,359 |
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2,873,578,422) | 1,875,665,638 |
XI. 법인세비용 | (6,218,966,359) | (1,214,302,955) |
XII. 당기순이익 | (16,654,612,063) | 3,089,968,502 |
XIII. 기타포괄손익 | (34,505,369) | 136,303,42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4,505,369) | 136,303,422 |
XIV. 총포괄이익 | (16,689,117,432) | 3,226,271,924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407) | 105 |
희석주당이익 | - | -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제 16 기 (2022. 01. 01 부터 2022. 12. 13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7(당)기 | 제 16(당)기 | ||
---|---|---|---|---|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28일 | 처분예정일: 2023년 3월 31일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26,675,047,680 | 43,364,165,112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43,364,165,112 | 40,137,893,188 | ||
2.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4,505,369) | 136,303,422 | ||
3. 당기순이익 | (16,654,612,063) | 3,089,968,502 |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이익준비금 적립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6,675,047,680 | 43,364,165,112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 사내이사 정명근은 2024년 01월 15일 퇴임하였습니다.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2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57백만원 |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1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년 03월 20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당사는 2024년 03월 20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apact.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또한,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정정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2000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