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18779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2 10:41: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2000117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3월     12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나노
대 표 이 사 : 신동우
본 점 소 재 지 : 경북 상주시 청리면 마공공단로 60

(전   화) 054-533-5887

(홈페이지) http://www.nanoin.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 (성  명) 김태호

(전  화) 054-533-588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1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4조에 의하여 제1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1항 및 동법 시행령 제10조 제2당사 정관 제26조에 근거하여 본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로 갈음합니다.

  

아     래 -

  

1. 일 시 : 2024년 03월 28(오전 10

2. 장 소 경북 상주시 청리면 마공공단로 60 (당사 상주본사 2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보고사항 ① 감사보고② 영업보고③ 내부회계관리실태보고

  

부의안건

1호 의안 11(2023.1.1.~2023.12.31.) 재무제표(연결별도승인의 건

(당사는 상법 제4492(재무제표등의 승인에 대한 특칙및 회사 정관 제58조에 의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이고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이사회에서 재무제표를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 보고할 예정임)

  

2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3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 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투표 전자위임장 안내 사항]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3월 18일 오전 9시 ~ 2024년 3월 27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권유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신분증

대리행사 위임장 원본


2024년 3월 12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마공공단로 60 

주식회사나노 대표이사 신 동 우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민화식
(출석률: 72.2%)
찬 반 여 부
1 2023.01.11 - 한국산업은행 시설자금  차입의 건 불참
2 2023.02.24 - 제10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및 평가 보고의 건 불참
3 2023.02.24 - 제10기(22.01.01~22.12.31)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불참
4 2023.02.24 -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보고사항]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 실태보고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0기(2022.1.1.~2022.12.31.) 재무제표(연결, 별도)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찬성
5 2023.03.21 - 제10기 연결재무제표등 승인(확정)의 건 찬성
6 2023.03.27 - 해외현지법인의 현지금융 사용을 위한 지급보증 제공의 건 찬성
7 2023.04.24 -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 및 외화지급보증한도 차입의 건 찬성
8 2023.06.05 -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 및 시설자금 재원변경의 건 찬성
9 2023.08.07 - 해외현지법인 담보제공의 건 찬성
10 2023.08.08 - 해외현지법인 자금대여의 건 찬성
11 2023.08.28 -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의 건 찬성
12 2023.08.28 - 한국산업은행 기승인 시설자금 차입 감액의 건 찬성
13 2023.10.10 -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의 건 찬성
14 2023.10.13 - 해외현지법인 자금대여의 건 찬성
15 2023.10.16 - 해외현지법인 지분투자의 건 불참
16 2023.10.25 - 해외현지법인 자금대여의 건 불참
17 2023.12.04 - 중소기업은행 운영자금 및 외화지급보증한도 차입의 건 찬성
18 2023.12.18 -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000 12,000,000 12,000,000 주총 승인금액은 전체이사 4명의 보수한도에 대한 금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매입 등 주식회사 나노엔지니어링
(관계기업)
2023.01.01.~
2023.12.31.
29 4.30

- 상기 비율은 2022년 12월말 현재 연결 매출총액의 100분의 1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건에 대하여 작성하였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NANO CHINA Co., Ltd
(종속기업)
매입 등 2023.01.01.~
2023.12.31.
54 8.01
주식회사 나노엔지니어링
(관계기업)
매입 등 2023.01.01.~
2023.12.31.
39 5.86

- 상기 비율은 2022년 12월말 현재 연결 매출총액의 100분의 5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건에 대하여 작성하였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의 사업은 환경산업 중 대기오염방지분야에 해당하며 화석연료폐기물각종 연료 등의 연소 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Nitrogen Oxides)을 저감하는 탈질촉매 관련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최근 질소산화물의 배출 규제가 대폭 강화됨에 따라 탈질설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핵심 부품인 탈질촉매를 포함한 탈질설비까지 수요고객에게 공급하고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대기오염방지분야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높아진 기후 변화 및 대기 오염물질 이슈로 인해에 전 세계적으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대표적인 대기오염 규제물질로는 황산화물(SOx, Sulfur Oxides), 먼지(Dust), 질소산화물(NOx, Nitrogen Oxides)이 있으며이중 질소산화물(NOx)은 기관지염증천식만성기관지염을 일으키며특히 급성 중독 시에는 폐수종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하는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로산성비오존의 원인물질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어 전 세계적으로 강한 배출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질소산화물 저감 기술은 연소 전처리 기술과 연소 후처리 기술이 있으며대부분 연소 후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데이 중 질소산화물 저감 효율과 경제성이 가장 높은 선택적촉매환원법(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탈질기술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이로 인해 SCR 탈질촉매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질소산화물 저감 시장의 수요 고객은 화석연료나 폐기물 등을 연소하여 에너지를 얻어내는 모든 전방위 산업의 주체로화력발전소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의 산업플랜트소각장 등의 고정식 오염원과 대형 선박어선자동차중장비 등 이동식 오염원이 있습니다.

  

  

그리고 질소산화물 저감 시장의 수요 지역은 미국캐나다일본유럽한국 등 선진국 뿐만 아니라 중국인도베트남인도네시아중동남미까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데이는 최근 전 세계적인 대기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초미세먼지(Fine Particulate Matter)의 영향으로 각 국가별산업별로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질소산화물 저감 시장은 전 세계적인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수요 고객과 수요 지역이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

 

(2) 탈질 산업의 성장성

질소산화물 저감 기술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채택되는 선택적촉매환원법(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탈질 설비와 탈질 촉매는 높은 질소산화물 저감 효율과 우수한 경제성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SCR 탈질설비 및 탈질 촉매는 연소 중 발생되는 질소산화물을 환원제(암모니아)와 반응시켜 인체에 무해한 질소와 물로 환원해 줍니다.

  

SCR 탈질의 수요는 1980년대부터 질소산화물 규제가 강화된 북미유럽일본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2000년대 중후반 한국대만을 비롯한 신흥 경제 강국까지 수요가 확대되었으며최근에는 전 세계적인 초미세먼지 영향으로 중국인도베트남인도네시아중동남미까지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그린 환경산업 분야의 핵심 성장사업 분야입니다.

  

글로벌 SCR 탈질촉매 시장의 분석에 의하면 2023년 전세계 탈질촉매의 시장규모는 약 20억 달러로 2030년까지 연평균 8.6%의 고성장을 예상하고 있으며이중 2023년 아시아 시장의 탈질촉매 규모는 약 8.8억 달러로 전세계 시장규모의 약 44%를 차지하고 있으며매년 전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도 9.8%로 전 세계 성장률 보다 높은 성장성이 예상됩니다.

  

  

Global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atalyst Market, Fact. MR 2020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나노는 1999년 나노입자 이산화티타늄 원료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설립하였으며, 2000년대 초 SCR 탈질촉매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여 해외 수입제품을 대체하였고, 2020년까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적용을 통해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3가지 상용 타입의 모든 탈질촉매의 생산기술 개발과 양산화에 성공하였습니다당사는 SCR 탈질촉매와 관련하여 원료촉매(상용 3종 하니컴플레이트레이어드 타입), 평가재생이 모두 가능한 세계적으로 유일한 SCR 탈질촉매 회사 이며최근 탈질설비 분야까지 사업분야를 확대하여 명실공히 SCR 탈질 전문업체로 우뚝 서게 되었습니다.

  

최근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의 질소산화물 규제강화와 더불어 높은 탈질 시장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2023년은 탈질촉매와 탈질설비 부문에서 전년대비 23% 이상 매출이 성장하였으며국내 시장에서는 국내 1위 탈질촉매 공급사로써의 지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해외 시장 역시 COVID-19로 인한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 전년대비 31% 이상 해외 매출이 성장 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탈질촉매 사업은 탈질촉매와 평가재생 등의 관련 제품 및 서비스를 국내외 고객에게 공급하는 사업으로 나노가 창업 이후 지속적으로 영위하고 있는 핵심 사업입니다최근에는 국내외 대기오염물질 규제가 점점 강화되면서질소산화물과 더불어 CO, VOCs, NH3 등을 함께 저감할 수 있는 탈질-산화 복합촉매로 개발하여 국내외 고객에게 공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탈질설비 수요의 증가로 소규모 산업플랜트에 SCR 탈질설비를 공급하는 사업을 2019년부터 진행하고 있으며나노는 2021년 환경전문공사업(대기분야면허를 취득 하고, 2022년에는 포스코를 비롯한 산업분야에 SCR 탈질설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SCR 탈질설비 사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상 환경설비건설업(41224)으로 분류되며대기환경오염을 예상제거감축하는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건설하는 산업 활동으로 분류 됩니다.

(2) 시장점유율

탈질 사업은 사업군의 특성상 적용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매우 다양한 경로와 방식으로 판매가 일어나므로 공급량 파악이 어려우며, 공식 통계자료의 부재로 인해 구체적인 시장점유율 산출이 불가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하지만 당사가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한국전력 전자조달시스템(https://srm.kepco.net)상에서 확인 되는 탈질촉매 입찰 결과를 집계하면, ㈜나노는 2023년 전체 입찰물량의 57.14%를 수주하였습니다. 


(3) 시장의 특성

탈질 촉매 및 설비 사업은 각 국가 및 산업분야별 질소산화물 규제에 따라 매우 큰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대기오염규제 산업분야에 속합니다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 및 초미세먼지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질소산화물을 규제하는 국가 및 산업이 증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탈질 촉매 및 설비의 시장은 급성장 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 미세먼지 문제로 인한 환경 및 국민건강 폐해에 대해 국민적 관심이 증가했고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7년 9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했으며, 2022년까지 미세먼지 국내 배출량의 30%를 감축하는 조치를 시행중에 있습니다특히 발전분야는 신규로 건설되거나 운영되는 석탄화력발전소의 경우최고 수준의 대기환경기준으로 관리함에 따라 질소산화물 배출 역시 최고 수준의 배출 기준을 적용받고 있고산업분야의 경우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에 대해 대기배출부과금 제조를 도입함으로써연간 16만톤의 질소산화물 감축을 기대하고 있으며사회적 편익이 약 7조 5천억원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질소산화물 처리를 위한 방지시설 추가 설치 및 운영비용이 연간 3천억원 발생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국내외 선박시장의 경우국제해사기구(IMO)에서 2016년 1월부터 대형 선박엔진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기존 보다 80% 감속하는 규제가 발효 중에 있으며이를 적용받는 지역이 2025년에는 확대되거나각 국가별 자체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탈질 촉매 및 설비의 수요는 더욱 더 확대될 전망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2021년 12월 정부가 발표한 2050년 탄소중립 정책은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대폭 낮추는 동시에 경제성장 및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매우 힘든 과제입니다따라서 질소산화물과 CO, VOSc, NH3 등을 동시에 저감하는 탈질-산화 복합촉매를 개발하여 현재 상용화 에 성공 하였고국내외 대기배출규제에 발맞추어 탈질-산화 복합촉매의 적용을 크게 확대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이 사업은 기존 나노의 탈질 사업 고객들을 상대로 당장 공급이 가능하므로향후 회사의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당사는 상법 제449조2(재무제표등의 승인에 대한 특칙) 및 회사 정관 제58조에 의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이고,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이사회에서 재무제표를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 보고할 예정입니다.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나노는 1999년 나노입자 이산화티타늄 원료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설립하였으며, 2000년대 초 SCR 탈질촉매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여 해외 수입제품을 대체하였고, 2020년까지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적용을 통해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3가지 상용 타입의 모든 탈질촉매의 생산기술 개발과 양산화에 성공하였습니다당사는 SCR 탈질촉매와 관련하여 원료촉매(상용 3종 하니컴플레이트레이어드 타입), 평가재생이 모두 가능한 세계적으로 유일한 SCR 탈질촉매 회사 이며최근 탈질설비 분야까지 사업분야를 확대하여 명실공히 SCR 탈질 전문업체로 우뚝 서게 되었습니다.

  

최근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의 질소산화물 규제강화와 더불어 높은 탈질 시장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2023년은 탈질촉매와 탈질설비 부문에서 전년대비 23% 이상 매출이 성장하였으며국내 시장에서는 국내 1위 탈질촉매 공급사로써의 지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해외 시장 역시 COVID-19로 인한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 전년대비 31% 이상 해외 매출이 성장 하였습니다


나. 당해 사업연도의 연결대차대조표(연결재무상태표)ㆍ연결손익계산서(연결포괄손익계산서)

하기 연결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잠정수치로서 향후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11 기 :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10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나노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 11 기 기말 제 10 기 기말

자산

 
 

  유동자산

  44,616,442,423  44,789,520,123 

    현금및현금성자산

5,6,7 8,121,378,171  11,207,552,411 
    단기금융상품 5,6,8 6,300,000,000  5,800,000,000 

    매출채권 

4,5,6,10,33 5,169,846,330  8,789,967,116 
    계약자산 25 859,237,614  313,070,827 
    기타금융자산 4,5,6,11,33 5,349,489,728  646,516,352 

    기타유동자산 

12,33 1,649,844,091  2,218,908,992 
    재고자산 13 17,114,204,089  15,771,709,055 
    당기법인세자산 21 52,442,400  41,795,370 

  비유동자산

  27,395,169,522  25,135,217,675 
    장기금융상품
5,6 7,800,000  4,2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5,6,8,9 313,605,620  313,605,620 
    기타금융자산 4,5,6,11 2,948,078,777  2,398,740,042 
    순확정급여자산 20 151,742,036 
    관계기업투자 14,33

    유형자산 

15 23,373,091,979  21,717,246,213 
    사용권자산 16 643,853,778  337,304,433 
    무형자산 17 108,739,368  212,379,331 

  자산 총계

  72,011,611,945  69,924,737,798 

부채

 

  유동부채

  39,134,382,201  44,254,524,975 

    매입채무및기타부채

4,5,6,18,33 15,678,687,455  11,601,150,810 
    계약부채 25 6,128,248,461  14,787,930,899 
    파생상품부채 5,6 1,474,633,980 
    단기차입금 4,5,6,19,31 16,466,508,000  12,547,304,000 
    유동성전환사채 4,5,6,19,31 2,552,114,056 
    유동성장기부채 4,5,6,19,31 260,000,000  260,000,000 
    유동성리스부채 4,5,6,16,31 188,540,809  136,999,611 
    기타유동부채 18,33 242,432,166  455,475,252 
    공사손실충당부채 25 39,576,280  56,889,107 
    금융보증부채 4,5,6,32,33 130,389,030  382,027,260 

  비유동부채

  2,943,098,287  961,525,552 
    장기차입금 4,5,6,19,31 1,830,000,000  39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20 340,784,819 
    비유동성리스부채 4,5,6,16,31 401,477,878  200,689,962 
    기타비유동부채 5,6 370,835,590  370,835,590 

  부채 총계

  42,077,480,488  45,216,050,527 

자본

 

  자본금 

1,22 15,420,415,000  13,709,286,000 
  주식발행초과금 22 28,574,593,356  25,268,313,104 

  기타자본

23 (2,601,218,214) (2,601,218,21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3 2,757,448,244  2,323,169,025 

  이익잉여금(결손금)

24 (14,291,014,552) (14,631,309,126)
  지배주주지분
29,860,223,834  24,068,240,789 
  비지배주주지분
73,907,623  640,446,482 

  자본 총계

  29,934,131,457  24,708,687,271 

자본과 부채 총계

  72,011,611,945  69,924,737,798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1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나노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 11 기 제 10 기
매출 25,33,34 88,076,437,797  66,804,959,543 
매출원가 27,33 77,008,466,770  60,349,806,878 
매출총이익   11,067,971,027  6,455,152,665 
판매비와관리비 26,27 9,445,192,537  10,003,999,330 
영업이익(손실)   1,622,778,490  (3,548,846,665)
기타수익 28 196,953,553  151,853,114 
기타비용 28 665,050,310  8,253,567,970 
금융수익 29 1,614,237,794  2,153,787,790 
금융원가 29 2,754,856,627  2,675,552,441 
지분법손익 14 (103,145,62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4,062,900  (12,275,471,796)
법인세비용 21  - 
당기순이익(손실)   14,062,900  (12,275,471,796)
당기순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 귀속 당기순손익
589,539,651  (9,504,299,309)
 비지배지분 귀속 당기순손익
(575,476,751) (2,771,172,487)
기타포괄손익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20 (249,245,077) (60,399,707)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해외사업환산차손익
443,217,111  854,309,170 
총포괄손익   208,034,934  (11,481,562,333)
총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 귀속 총포괄손익
774,573,793  (8,779,223,871)
 비지배지분 귀속 총포괄손익
(566,538,859) (2,702,338,462)
지배기업 지분에 대한 주당순손익:  
 
기본주당순손익 30 20  (352)
희석주당순손익 30 20  (352)

 
다.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대차대조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하기 별도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잠정수치로서 향후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재 무 상 태 표
제 11 기 :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10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나노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 11 기 기말 제 10 기 기말

자산

 
 

  유동자산

  39,955,595,893  37,431,811,793 

    현금및현금성자산

5,6,7 7,957,128,435  10,791,430,583 
    단기금융상품 5,6,8 6,300,000,000  5,800,000,000 

    매출채권 

4,5,6,10,33 3,612,890,934  4,035,985,624 
    계약자산 25 859,237,614  313,070,827 
    기타금융자산 4,5,6,11,33 4,651,200,824  182,857,831 

    기타유동자산 

12,33 1,620,293,276  2,182,615,572 
    재고자산 13 14,902,411,890  14,087,972,846 
    당기법인세자산 21 52,432,920  37,878,510 

  비유동자산

  20,218,181,689  19,527,657,088 
    장기금융상품
5,6 7,800,000  4,2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5,6,8,9 313,605,620  313,605,620 
    기타금융자산 4,5,6,11 2,948,078,777  2,349,286,401 
    순확정급여자산 20 151,742,036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 14,33 230,649,629  2,224,762,012 

    유형자산 

15 16,550,860,613  14,171,544,704 
    사용권자산 16 60,568,116  106,519,359 
    무형자산 17 106,618,934  205,996,956 

  자산 총계

  60,173,777,582  56,959,468,881 

부채

 

  유동부채

  30,106,022,497  34,307,490,647 

    매입채무및기타부채

4,5,6,18,33 10,647,417,469  9,133,548,704 
    계약부채 25 4,916,029,298  10,331,902,094 
    파생상품부채 5,6 1,474,633,980 
    단기차입금 4,5,6,19,31 13,989,000,000  9,989,000,000 
    유동성전환사채 4,5,6,19,31 2,552,114,056 
    유동성장기부채 4,5,6,19,31 260,000,000  260,000,000 
    유동성리스부채 4,5,6,16,31 47,526,840  56,036,366 
    기타유동부채 18,33 50,393,400  46,097,170 
    공사손실충당부채 25 39,576,280  56,889,107 
    금융보증부채 4,5,6,32,33 156,079,210  407,269,170 

  비유동부채

  2,557,194,045  817,003,693 
    장기차입금 4,5,6,19,31 1,830,000,000  39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20 340,784,819 
    비유동성리스부채 4,5,6,16,31 15,573,636  56,168,103 
    기타비유동부채 5,6 370,835,590  370,835,590 

  부채 총계

  32,663,216,542  35,124,494,340 

자본

 

  자본금 

1,22 15,420,415,000  13,709,286,000 
  주식발행초과금 22 28,574,593,356  25,268,313,104 

  기타자본 

23 877,347,551  877,347,551 

  이익잉여금(결손금)

24 (17,361,794,867) (18,019,972,114)

  자본 총계

  27,510,561,040  21,834,974,541 

자본과 부채 총계

  60,173,777,582  56,959,468,881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1 기 :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10 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나노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 11 기 제 10 기
매출 25,33,34 63,685,813,693  51,915,772,670 
매출원가 27,33 52,645,632,520  45,164,607,809 
매출총이익   11,040,181,173  6,751,164,861 
판매비와관리비 26,27 6,560,230,427  6,373,276,781 
영업이익   4,479,950,746  377,888,080 
기타수익 28 82,942,096  91,455,560 
기타비용 28 2,822,409,715  8,844,554,598 
금융수익 29 1,695,742,251  2,211,910,838 
금융원가 29 2,528,803,054  2,452,583,03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907,422,324  (8,615,883,151)
법인세비용 21  -   - 
당기순이익(손실)   907,422,324  (8,615,883,151)
기타포괄손익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20 (249,245,077) (60,399,707)
총포괄이익(손실)   658,177,247  (8,676,282,858)
주당순손익      
기본주당순손익 30 30  (319)
희석주당순손익 30 30  (319)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사항은 2024년 3월 20일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의 별첨자료인 '감사보고서'상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결손금처리계산서

 당기의 결손금처리계산서는 2024년 3월 28일 주주총회에서 처분될 예정입니다.(전기처분 확정일: 2023년 3월 29일).

(단위: 천원)
과     목 당  기 전  기
미처리결손금   (17,409,493)   (18,067,670)
 전기이월결손금 (18,067,670)   (10,262,556)  
 회계정책변경의 효과(*)   871,169   
 보험수리적손익 (249,245)   (60,400)  
 당기순손익 907,422    (8,615,883)  
합         계   (17,409,493)   (18,067,670)
결손금 처리액
 
차기이월 미처리결손금   (17,409,493)   (18,067,670)

(*) 회사는 전기부터 전환사채의 콜옵션을 별도의 파생상품자산으로 인식 및 평가하여, 전기초 파생상품자산 623,586천원, 파생상품부채 550,320천원 및 전환권조정계정 797,902천원을 인식하고 이익잉여금 871,169천원을 조정하였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978백만원
최고한도액 10억원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백만원
최고한도액 1억원



※ 기타 참고사항

-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20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정기주주총회 1주일 전인 2024년 3월 20일까지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s://www.nanoin.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상법시행령 제31조 제4항 4호).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당사는 주주들의 원활한 참석을 위해 주주총회 자율분산 프로그램에 참여, 2024년 3월 28일 오전 10시 주주총회 개최를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총 집중일 개최 사유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2.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안내

①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② 전자투표 행사·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4년 3월 18일 오전 9시 ~ 2024년 3월 27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2000117

나노 (18779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