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2023.11) 2023-09-20 15:48: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20000338
2023년 9월 20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기업실사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3.09.15
3.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 첨부추가 | - | - |
[ 유상증자 ] |
1. 실사기간 : | 2023년 08월 30일 ~ 2023년 09월 15일 |
2. 실사참여 기관 : | (주)상상인증권 |
3. 실사참여자 |
소속기관 | 부서 | 성명 | 직책 | 실사업무분장 | 참여기간 | 주요경력 |
---|---|---|---|---|---|---|
㈜상상인증권 | 종합금융본부 | 신재영 | 이사 | 실사 총괄 | 2023.08.30 ~ 2023.09.15 | 기업금융업무 등 20년 |
㈜상상인증권 | 종합금융1팀 | 장용순 | 팀장 | 실사 책임 | 2023.08.30 ~ 2023.09.15 | 기업금융업무 등 19년 |
㈜상상인증권 | 종합금융1팀 | 이채영 | 대리 | 실사 실무 | 2023.08.30 ~ 2023.09.15 | 기업금융업무 등 4년 |
㈜상상인증권 | 종합금융1팀 | 조윤형 | 주임 | 실사 실무 | 2023.08.30 ~ 2023.09.15 | 기업금융업무 등 2년 |
4. 실사내용 |
신고서 주요내용 | 점검사항 | 결과 |
---|---|---|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주1) 참조 | (주1) 참조 |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 (주2) 참조 | (주2) 참조 |
투자위험요소 | (주3) 참조 | (주3) 참조 |
자금의 사용목적 | (주4) 참조 | (주4) 참조 |
경영능력 및 투명성 | (주5) 참조 | (주5) 참조 |
회사의 개요 | (주6) 참조 | (주6) 참조 |
사업의 내용 | (주7) 참조 | (주7) 참조 |
재무에 관한 사항 | (주8) 참조 | (주8) 참조 |
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 (주9) 참조 | (주9) 참조 |
회사의 기관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 | (주10) 참조 | (주10) 참조 |
주주에 관한 사항 | (주11) 참조 | (주11) 참조 |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 (주12) 참조 | (주12) 참조 |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등 | (주13) 참조 | (주13) 참조 |
기타 투자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 (주14) 참조 | (주14) 참조 |
(주1)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1. 당해 증권발행 관련 법규 등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
- 동사의 금번 유상증자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및 관련 규정,「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등의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2. 정관상 근거를 통해 발행결정 여부 확인
- 동사는 신주발행 시 신주배정에 관한 사항 등을 정관 제10조(신주인수권)에 기재하고 있습니다.
[동사 정관] |
---|
제 10 조(신주인수권)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 1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주주우선공모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165 조의 6 에 따라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상법 제 542 조의 3 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배정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근로복지기본법 제 39 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8. 상법 제 418 조 제 2 항의 규정에 따라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9. 주권을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10.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식예탁증서(DR)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④ 제2항 각호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⑤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3. 증권발행가액 발행조건의 적정성 검토
동사는 금번 유상증자의 1주당 예정발행가액을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16조 및 제5-18조에 기재된 일반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의 발행가액 산정 방식을 준용하여 30%의 할인율을 적용한 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향후 확정 발행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5-18조(유상증자의 발행가액 결정)의 산출근거에 의거, 청약초일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주가를 기준주가로 하여 할인율 30%를 적용하여 산정할 예정입니다.
4. 일반공모의 경우 공모기간과 청약방식, 최저청약금액 등이 일반 투자자에게 충분한 청약기회를 제공하는지 여부
금번 유상증자는 주주우선공모 방식으로 실시할 예정으로, 2023년 11월 29일과 30일 2영업일 간 구주주 청약을, 2023년 12월 4일과 5일 2영업일 간 실권주에 대한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본 건 유상증자의 인수방식 유형은 모집주선의 방식입니다.
모집주선의 방식은 증권 모집주선에 관한 사무절차 등을 금융투자회사에 위탁하며, 증권의 모집 결과 발생하는 미청약분에 대해서 인수책임을 인수기관이 부담하지 않고 발행회사가 부담합니다. 이에 따라, 일반공모 청약결과 총 청약주식수가 모집주식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청약주식수대로 배정하고, 최종 미청약된 잔여 주식은 미발행 처리합니다.
5. 주주배정의 경우 신주인수권증서 상장 등 주주보호방안이 있는지 여부
동사의 금번 신주발행은 주주우선공모 방식으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주주우선공모방식의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에게 우선청약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구주주에게 신주를 우선적으로 배정한 후 이에 대한 미청약주식이 발생한 경우 이를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모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구주주에게 우선청약기회를 부여함에 있어, 「증권인수업무에 관한 규정」' 제9조 2항 2조 등을 감안하여, 금번 유상증자의 구주주들에게는 보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우선 청약할 주식수를 배정합니다.
주주우선공모 방식은 구주주가 우선적으로 청약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우선청약권)이 부여되나 구주주들에게 신주인수권은 부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금번 유상증자는 주주배정 방식 유상증자와는 달리 구주주의 신주인수권증서 상장, 계좌간 대체 및거래가 불가합니다.
6. 우리사주조합 배정 비율 및 절차의 관련 법규 준수 여부
- 동사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7(우리사주조합원에 대한 주식의 배정 등에 관한 특례) 에서 지칭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상장(유가증권시장)법인"에 해당하지 않아 우리사주조합원에 신주의 20% 의무배정규정 의무가 없습니다. 이에, 동사는 금번 주주우선공모 유상증자에서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하지 않을 예정입니다.
7. 발행회사 주식의 최근 시세가 액면가 이하이고 발행예정가액이 액면가 이상인 때에는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의 대주주 등과 청약예정자 사이에 손실보전 등의 약정이 있는지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2)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1. 당 증권의 발행과 관련하여 신주인수권, 의결권, 배당 등의 사항이 정관에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
- 회사의 정관에 명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동사 정관] |
---|
제 4 조(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vessel21.com) 또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에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시내에서 발행되는 매일경제신문에 한다. 제 10 조(신주인수권)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 1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주주우선공모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165 조의 6 에 따라 일반공모의 방법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상법 제 542 조의 3 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배정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근로복지기본법 제 39 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8. 상법 제 418 조 제 2 항의 규정에 따라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9. 주권을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10. 발행주식총수의 100 분의 3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식예탁증서(DR)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④ 제2항 각호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⑤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제 12 조(신주의 동등배당) ①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배당 한다. ② 제 1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배당기준일을 정하는 이사회 결의일로부터 그 배당기준일까지 발행한 신주에 대하여는 배당을 하지 아니한다. 제 26 조(주주의 의결권) 주주의 의결권은 1 주마다 1 개로 한다. 제 27 조(상호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 회사, 회사와 회사의 자회사 또는 회사의 자회사가 다른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10 분의 1 을 초과하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다른 회사가 가지고 있는 이 회사의 주식은 의결권이 없다. 제 28 조(의결권의 불통일행사) ① 2 이상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는 주주가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회일의 3 일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그 뜻과 이유를 통지하여야 한다. ② 회사는 주주의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주주가 주식의 신탁을 인수하였거나 기타 타인을 위하여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 29 조(의결권의 대리행사) ① 주주는 대리인으로 하여금 그 의결권을 행사하게 할 수 있다. ② 제 1 항의 대리인은 주주총회 개시전에 그 대리권을 증명하는 서면(위임장)을 제출하여야 한다. 제 54 조(이익금의 처분) 회사는 매사업년도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1. 이익준비금 2. 기타의 법정준비금 3. 배당금 4. 임의적립금 5. 기타의 이익잉여금처분액 제 55 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제 1 항의 배당은 이사회결의로 정하는 배당기준일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 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제 56 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 월, 6 월 및 9 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 165 조의 12 의 규정에 에 의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 1 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 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 1 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 한다. ⑤ 제 8 조의 종류주식 에 대한 분기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
(주3) 투자위험요소
- 동사의 기업개요, 사업내용, 재무상태 및 주요 경쟁사와의 비교, 기타 특이사항 등을 검토한 결과 최근 동사의 사업 현황, 경영환경 및 동사 고유 리스크 등에 대한 투자위험 요소들이 적절히 기재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사의 투자위험 요소는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II. 투자위험요소"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4) 자금의 사용목적
1. 투자대상의 실재성이 있고 자금사용 예정시기, 소요자금 산출근거, 청약미달시 자금집행 우선순위, 미달자금 충원계획 등이 구체적인지 여부
-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의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V. 자금의 사용목적"에 기재된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확인결과 동사는 자금사용 예정시기, 소요자금 산출근거, 청약미달시 자금집행 우선순위, 미달자금 충원계획 등이 구체적으로 계획되어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 공모자금 사용계획
(단위: 원) |
채무상환 | 운영자금 | 기타 | 계 |
---|---|---|---|
18,000,000,000 | 17,522,453,829 | 378,463,686 | 35,900,917,515 |
주1) 상기 금액은 예정발행가액을 기준으로 기재하였으며, 모집가액 확정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2) 기타는 발행제비용으로 유상증자 대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
나. 공모자금 세부 사용목적
- 동사는 금번 유상증자로 조달하는 자금은 발행제비용을 제외하고 자금집행의 중요도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사용할 예정입니다. 다만, 모집결과 일부 불일치 되는 금액은 회사 내부의 유보자금 등을 이용하여 집행할 예정입니다.
[자금의 사용목적 개요] |
(단위: 백만원) |
구 분 | 상세현황 | 사용(예정)시기 | 금 액 | 우선순위 |
---|---|---|---|---|
채무상환 | 금융기관 차입금 | 2024년 상반기부터 | 18,000 | 1순위 |
운영자금 | 신제품 개발 등 연구개발 | 2024년 상반기부터 | 3,000 | 2순위 |
인건비 등 일반 운영자금 | 2024년 상반기부터 | 14,522 | 3순위 | |
기타 | 발행제비용 | - | 379 | - |
소 계 | 35,901 |
본 증권신고서의 "제1부의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V. 자금의 사용목적"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기존에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이 공시서류에 기재된 대로 사용되었는지 여부
- 아래와 같이 동사의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 현황 및 사용내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2023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소액공모유상증자 (코스닥시장공모) | - | 2023.07.21 | - 운영자금 1,000 | 1,000 | - 운영자금 1,000 | 1,000 | - |
코스닥상장 공모유상증자 | - | 2015.06.11 | - 시설자금 1,700 - 운영자금 1,810 - 기타 1,890 | 5,400 | - 시설자금 1,700 - 운영자금 1,810 - 기타 1,890 | 5,400 | - |
3. 과거에 횡령 등이 발생했거나, 조달자금 사용계획을 변경한 사실이 있는 경우, 조달자금의 소진시까지 신뢰할만한 자금 보관 및 운영방안이 수립되었는지 여부
- 공시서류 제출일전 최근 3년간 동사의 공모 및 사모 자금조달과 그 사용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자금조달 이력 및 자금사용내역] | (단위: 백만원) |
발행내역 | 납입일 | 조달(발행) 금액 | 주요사항보고서상의 자금사용목적 | 주요사항보고서상의 사용목적 금액 | 실제 자금사용 내용 | 실제 자금 사용 금액 |
---|---|---|---|---|---|---|
제 5회차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CB) | 2020.08.06 | 2,000 | 2회차 전환사채 조기상환 | 2,000 | 2회차 전환사채 조기상환 | 2,000 |
제4회차 무보증 사모 교환사채(EB) | 2020.08.06 | 2,000 | 2회차 전환사채 조기상환 | 2,000 | 2회차 전환사채 조기상환 | 2,000 |
제 5회차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CB) | 2021.04.28 | 6,000 | 운영자금 3,000 채무상환 900 기타자금 2,100 | 6,000 | 운영자금 3,000 채무상환 900 기타자금 2,100 | 6,000 |
제 6회차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CB) | 2021.04.28 | 4,500 | 차입금 상환 | 4,500 | 차입금 상환 | 4,500 |
제 7회차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CB) | 2023.06.14 | 3,500 | 운영자금 | 3,500 | 운영자금 | 3,500 |
제 3자배정 소액공모 유상증자 | 2023.07.21 | 1,000 | 운영자금 | 1,000 | 운영자금 | 1,000 |
(출처: 회사 제시) |
상기한 바와 같이 동사는 최근 3년간 공모 및 사모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바 있습니다. 동사는 공모 및 사모 자금 조달 내역에 대해 동사 정기보고서에 성실히 기재하고 있으며, 당해 공시서류 제출 전일까지 조달한 자금의 경우 공시에 기재한 자금사용목적 대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금번 유상증자를 포함한 향후 자금조달 활동에서 회사가 예상하지 못한 급박한 사정으로 인해 원래 계획했던 자금사용목적과 다르게 자금을 사용할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습니다.
4. 자금사용처가 신규사업진출이나 타법인주식 취득인 경우 추가적인 문제사항은 없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5) 경영능력 및 투명성
1. 최근 1년 내에 대표이사 및 감사의 변동 유무
- 2023년 02월 08일 기존 서기만 대표이사에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권현기 대표이사로 변경 되었습니다.
- 2023년 02월 08일 기존 이기명 감사에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최성팔 감사로 변경되었습니다.
2. 최근 1년 내에 등기임원의 50% 이상 변동 유무
- 동사는 2023년 2월 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권현기 대표이사를 비롯 신환률 이사, 김태규 이사 등 3명의 사내이사와 최성팔 감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의 임원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 2023년 08월 31일 | ) | (단위 : 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 여부 | 상근 여부 | 담당 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재직기간 | 임기 만료일 | |
---|---|---|---|---|---|---|---|---|---|---|---|---|
의결권 있는 주식 | 의결권 없는 주식 | |||||||||||
권현기 | 남 | 1981.12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경영 총괄 | 前 현진소재㈜ 재무팀장 現 더이앤엠㈜ 재경관리실 이사 現 ㈜베셀 대표이사 | - | - | 사내이사 | 2023.02.08 ~ 현재 | 2026.02.08 |
신환률 | 남 | 1984.12 | 사내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사내 이사 | 前 ㈜세원 대표이사 現 더이앤엠㈜ 각자대표이사 現 ㈜베셀 사내이사 | - | - | 대표이사 | 2023.02.08 ~ 현재 | 2026.02.08 |
김태규 | 남 | 1984.07 | 사내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사내 이사 | 現 더이앤엠㈜ 전략기획팀장 現 ㈜베셀 사내이사 | - | - | 팀장 | 2023.02.08 ~ 현재 | 2026.02.08 |
이명환 | 남 | 1970.07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관리 총괄 | 前 ㈜한국비엔씨 이사 前 ㈜엑트로 상무 現 ㈜베셀 경영지원본부 상무 | - | - | - | 2년 | - |
김주원 | 남 | 1972.11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제조 총괄 | 現 ㈜베셀 제조본부 상무 | - | - | - | 15년 | - |
황순성 | 남 | 1973.06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영업 총괄 | 現 ㈜베셀 영업본부 상무 | - | - | - | 3년 | - |
고석 | 남 | 1974.04 | 상무 | 미등기 | 상근 | 반도체 총괄 | 現 ㈜베셀 반도체사업부 상무 | - | - | - | 2년 | - |
최성팔 | 남 | 1974.02 | 감사 | 감사 | 상근 | 감사 | 前 삼일회계법인 근무 前 현진소재 주식회사 이사 前 성산회계법인 이사 現 태양회계법인 이사 | - | - | - | 2023.02.08 ~ 현재 | 2026.02.08 |
3. 법률대리인, 법규담당를 통해 소송 등 내역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4. 위에서 확인한 소송내역과 재무담당 부서 등을 통한 법률비용 지출내역의 일치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5. 소송 등 관련 통지를 받았거나 합의가 진행중인 사항 유무
- 해당사항 없습니다.
6. 세무대리인을 통해 확인한 미납세금 및 세무조사 진행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7. 금융 및 조세 관련 법령 위반 혐의로 자료제출요구, 소명요구 등을 받고 있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8. 중요자산의 경매 진행여부 및 경매가 예정된 경우 세부내용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9. (횡령, 배임 등 관련하여) 재판 진행상황 및 결과, 횡령자금의 환수여부, 환수를 위한 법적조치, 구상권 행사 내역 등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10. 최근 공시한 사업보고서(분/반기 보고서 포함)에 등재되어 있는 임원에 대한 대외기관으로부터 공식적 재제 유무
-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6) 회사의 개요
1. 최근 사업보고서 혹은 분/반기보고서 제출 이후 변동사항 확인
(1) 2023년 7월 3일 공시된 '최대주주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체결'에 따라, 2023년 8월 21일자로 당사의 최대주주가 더이앤엠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오앤비파트너스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이후 거래상대방의 계약사항 미이행으로 2023년 8월 21일 해당 계약이 취소되었습니다.
(2) 당사는 운영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2023년 7월 3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결정을 정정하였습니다. 신주의 발행금액과 주식수는 7,000,000천원 및 보통주 1,516,793주로 신주교부예정일은 2023년 8월 31일입니다. 본 발행결정은 2023년 9월 15일 이사회 결의로 취소할 예정입니다.
(3) 당사는 운영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2023년 7월 13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하였습니다. 신주의 발행금액과 주식수는 999,994천원 및 보통주 210,525주로 신주교부는 2023년 8월 7일로 완료되었습니다.
(4) 당사는 운영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2023년 7월 3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제8회차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의 발행을 결정하였습니다. 사채의 권면금액은 6,500,000천원이며 발행예정일은 2023년 9월 21일입니다. 본 발행결정은 2023년 9월 15일 이사회 결의로 취소할 예정입니다.
(5) 당사는 운영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2023년 7월 3일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제9회차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의 발행을 결정하였습니다. 사채의 권면금액은 6,500,000천원이며 발행예정일은 2023년 9월 22일입니다. 본 발행결정은 2023년 9월 15일 이사회 결의로 취소할 예정입니다.
(6) 당사는 2023년 6월 14일자로 발행한 제7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전환사채 중 2,000,000천원을 2023년 7월 31일 만기전 취득하여 일부인 500,000천원을 제3자에게재매각하고 나머지를 자기사채로 보유중입니다. 남은 자기사채 보유분도 추후에 재매각될 예정입니다.
2. 최근 신용평가 등급전망 하향에 관한 통보 유무
- 해당사항 없습니다.
3-1. 경영진의 불법행위가 있고 형집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 해당사항 없습니다.
3-2. 불법행위의 중요성 등에 따른 회사 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실재하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4. 최대주주 등이 법인인 경우 직접 방문하거나 국세청시스템(조회 시점의 과세유형, 휴면여부 및 폐업일자 등) 등을 확인
- 최대주주는 코스닥 상장회사인 더이앤엠(주)입니다. 전자공시에서 주주여부를 확인하였습니다.
9. 사외이사선임, 경영지배인선임, 이사의 계열회사 겸직과 관련하여 상법 준수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10. 이사회 의결정족수강화, 해임요건강화 등 경영권 보호장치 유무
- 회사의 정관상 관련 내용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으며, 이사회의 의사정족수를 강화하거나 이사의 해임요건을 강화하는 등 별도의 경영권 보호장치는 없습니다.
[동사 정관] |
---|
제 32 조(이사의 수) 회사의 이사는 3 명 이상 7 명 이내 로 한다. 제 33 조(이사의 선임) ①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② 이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 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③ 2 인 이상의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상법 제 382 조의 2 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 34 조(이사의 임기) ① 이사의 임기는 3 년으로 한다. 그러나 그 임기가 최종의 결산기 종료 후 당해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전에 만료될 경우에는 그 총회의 종결 시까지 그 임기를 연장한다. ② 법률 또는 정관에 정한 이사의 원수를 결한 경우에는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한다. 다만 정관 제 32 조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하지 아니하고, 업무수행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 38 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하며 회사 업무의 중요사항을 결의한다. ② 이사회의 의장은 이사회의 결의로 선임하며 의장의 임기는 의장의 이사 임기로 한다. ③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써 회장, 부회장, 사장, 부사장, 전무이사 및 상무이사 약간명을 선출할 수 있다. ④ 이사회는 이사회 의장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의일 1 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제 39 조(이사회의 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과반수로 한다. ② 가부동수일 경우 이사회 의장이 결정한다. ③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동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④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제 43 조(대표이사의 선임) ① 대표이사는 이사회에서 선임하며, 수명의 대표이사를 선임할 수 있다. ② 수명의 대표이사를 선임할 경우에는 이사회 결의로 각자 또는 공동으로 대표할 것을 정하여야 한다. 제 44 조(대표이사의 직무) ① 대표이사는 회사를 대표하고 회사의 업무를 총괄한다. ② 대표이사가 수명일 경우에는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회사의 업무를 분장 집행한다. |
11. 사실상 임원(고문, 회장, 부회장등)의 존재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12. 최근 최대주주 등과의 거래 유무
- 해당사항 없습니다.
13. 최근 이사가 겸직된 회사와의 거래 유무 및 관련 이사회 의결 절차를 준수하는 등 거래의 적절성이 확보되었는지 여부 검토
- 본 공시서류 제출일 기준 동사 임원의 겸직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3년 6월 30일) |
겸직자 | 겸직회사 | ||
---|---|---|---|
성명 | 직위 | 회사명 | 직위 |
권현기 | 대표이사 | ㈜에스케이씨에스 | 대표이사 |
이명환 | 상무이사 | ㈜에스케이씨에스 | 사내이사 |
- 발행회사와 겸직 회사 간 주요거래 발생시, 이사회 의결을 거치는 등 적법한 절차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주7) 사업의 내용
1. 발행회사가 속한 산업의 경쟁상황, 시장규모, 성장주기(Life Cycle), 진입장벽 등에 비추어 산업의 지속가능성 여부 검토
- 회사는 디스플레이 생산설비를 공급하는 사업부문과 종속회사인 (주)에스케이씨에스를 통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사업무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가. 디스플레이 생산설비 부문
- 디스플레이 패널 산업은 자본과 기술집약적인 산업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특성은 신규 기업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패널 산업의 경우, 팹 (Fab) 구축에 거액의 자금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 완성품의 대화면화 추세에 대한 경쟁력 제고 유지 차원에서 유리기판 대형화를 위한 설비투자가 필요하여 충분한 자금조달력이 요구됩니다. 특히, 기술진보에 따른 차세대 기술 투자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세대별 진화에 따른 양산기술 조기 수율 안정화 포함 ) 및 장비체화기술 축적 등의 상당한 공정기술력도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디스플레이산업은 유리기판 대형화를 통한 주기적인 세대별 진화, 대규모 투자, 투자에서 양산까지의 일정한 시차발생, 계단식 생산능력 확대 등으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낮은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반면 수요시장은 경기상 황에 연동되며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역사적으로 호황과 불황이 주기적으 로 반복되 는 Crystal cycle 을 나타내어 왔습니다. 이에 과거 산업 성장단계에서는 대규모 투자 및 이에 따른 제품가격 하락이 대규모 수요를 창출하는 2~3년 주기의 시황변동을 보여왔 습니다. 그러나 산업 성장성이 종전보다 약화된 이후로는 세트제품 성수기, 세트업체 재고조정 등에 의한 수급변화로 짧고 불규칙한 주기의 업황 변동성이 나타나고 있 습니다. 특히 전방산업 내 주요 아이템에 대한 보급률 상승 및 교체주기 증가로 수요가 둔화되는 한편, 2010년 이후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에 힘입어 중국패널기업들의 공격적인 투자가 지속되면서 만성적인 공급 과잉 부담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C ycle 상승과 호황기 유지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패널산업은 전방시장의 성숙기 진입으로 출하량 기준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중국기업들의 공격적인 설비증설 지속으로 경쟁강도가 심화되어 왔습니다. 과거 중국은 경제발전과 더불어 TV,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제품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세계 최대규모의 시장을 형성하였으나, 패널공급은 한국과 대만 등 해외기업들에 의존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중국 정부의 디스플레이산업 육성정책과대대적인 자금 투자 막대한 보조금 지급 로 중국 기업의 LCD 패널 생산능력이 크게 확대 되었습니다.
글로벌 TFT 패널 면적기준 생산능력에서 중국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까지 3% 내외에 불과하였으나, 공격적인 투자로 2017년부터는 생산능력이 한국 및 대만기업들을 추월하였습니다. 2022년 중국의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은 41.3%(LCD 50.8%, AMOLED 16.2%) 수준입니다. 아직까지 중국기업들의 기술력 수준은 한국과대만 기업 대비 열위한 것으로 평가되나, 기술력 향상과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등이 상당수준 진전된 가운데,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지속되어 한국, 대만 기업들과의 기술력 차이도 점차 축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LCD 부문의 구조적인 수요정체와 공급과잉을 탈피하고, 글로벌 디스플레이산업 주도권을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OLED 기술력 및 양산능력 확보를 위한 투자 또한 가속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됩니다.
- 회사는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업체들이 공정에 사용하는 In-Line 시스템 설계제작 및 고온 Oven 등을 설계 제작공급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생산업체는 세계적으로도 손에 꼽을 정도로 고객사는 제한적인 바, 당사의 영업부서는 고객사가 요구하는 생산시스템 설계역량이 필수적입니다. 당사는 다년간 쌓아올린 개발역량을 강점으로 국내외 고객사와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에 필요한 사항을 주기적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 한국 수출입은행 산하 해외경제연구소에서 2023년 5월에 발간한 이슈보고서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디스플레이산업"에서 발췌한 내용에 따르면, 한국은 중국이 LCD 주도권을 확보하면서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 하락, 기업실적 악화를 겪고 있으며 OLED도 LCD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팽배합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2012년 319억 달러에서 2022년 244억 달러로 연평균 2.6% 감소하였고, 한국의 총 수출에서 디스플레이 비중은 2012년 5.1%에서 2022년 3.1%로 하락하였습니다.
중국 정부는 중국기업이 LCD의 주도권을 확보하자 정책적 지원을 OLED에 집중하여 중국과 한국의 OLED 생산능력과 기술격차가 빠르게 좁혀지는 추세입니다.
- 이러한 시장상황에 비추어 볼 때, 디스플레이 생산 관련 공급망에 참여하는 동사의 경우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을 통하여 기존 LCD 위주의 장비에서 OLED 위주의 새로운 장비를 개발하는 등 고객의 니즈(Needs)를 충족할 수 있어야만 향후에도 성장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 개발 및 생산설비 등에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동사와 같은 재무상황이 악화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이러한 영업활동을 수행하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나. 필름소재 부문
- 플라스틱 필름·시트는 일상생활은 물론 농·수산·건축, 자동차, 전자, 문구, 완구, 스포츠 등 산업 각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새로운 소재의 개발과 가공기술의 발전으로 우리 생활을 더욱 윤택하고 편리하게 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용기와 포장재로 사용되는 필름과 시트는 식품, 화장품, 의 약품 등 포장을 필요로 하는 산업발전에도 선도적 역할을 감당하고 있으며 상품을 생산·운반·보관·판매함에 있어 내용물의 손상 방지 뿐 아니라 상품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어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플라스틱 필름은 농업용이나 포장용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나 편광판용 광학필름 등 IT, 태양광 분야 등에도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첨단소재 개발업체들 간에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 플라스틱필름은 인쇄가 가능한 광고용 필름시장에서부터 고기능성 데코레이션필름, IT소재로 사용되는 전도성 점착필름 및 보호필름과 최근에는 항균, 항바이러스기능의 차단필름까지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는 품목으로 그 기능과 성격에 따라 품목별 단가도 천차만별일 정도로 다양합니다.
- 회사의 종속회사인 (주)에스케이씨에스는 플라스틱필름의 표면에 점착가공 및 코팅가공을 하여 필름고유물성 이외의 특성을 부여하여 고기능성, 고부가가치성 필름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에스케이씨에스는 국내 유일한 최대 9층까지 동시에 코팅이 가능한 다층코팅설비 및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필름점착가공의 기본 요소기술인 점착제 설계 기술, 코팅기술, 필름구조 설계기술과 함께 당사의 특화된 광학제어기술, 표면처리기술 및 공정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주)에스케이씨에스의 주 생산 제품으로는 Air Bleed 기술을 이용한 대형 디지털 인쇄용 필름이 있으며, 가전 제품 표면재, 인테리어용 필름 등을 개발하여 양산 적용 단계에 있습니다. 기타 Board용 필름, 사진보호용 필름, 청색광차단 이점착 양면테이프(Blue Light Cut AB Film), 전자파 차폐필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에스케이씨에스의 영업조직은 국내영업 및 해외영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산된 제품은 기능성, 내구성, 안정성과 함께 이러한 제품품질의 균일성이 담보되어야만 합니다. 고객이 요구하는 새로운 기능(항균, 항바이러스, 점착성, 전도성 등)과 함께 날로 커지고 있는 친환경 제품개발을 통해 시장우위를 지속하고 또한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매출 비중이 높은 디지털 인쇄용 필름 세계시장은 매년 5%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아시아 지역에만 판매하였는데 다른 대륙의 판매 채널로 확장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발행회사가 속한 산업에 대한 기재내용이 경쟁업계가 제출한 정기보고서 등의 기재내용에 비추어 부합한지의 여부
- 회사가 제시한 경쟁현황, 시장규모, 성장주기는 동종 산업이 속한 상장법인들의 자료와 인터넷 상으로 확인 가능한 통계자료 및 기타 자료에 비추어 부합하다고 판단됩니다.
3. 기술평가가 기업의 가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외부전문기관에 기술평가를 위탁할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발행회사가 업종의 특성상 평판리스크가 중요할 경우, 평판리스크 관리방안에 대해 검토
- 동사가 영위하는 디스플레이 생산장비 제조업은 수주산업에 해당합니다. 수주산업은 발주처로부터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수주에 유리합니다. 최근 회사의 수익성 및 재무구조가 악화하여 수주 증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동사는 본 유상증자를 통하여 2023년 말까지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신제품 출시를 도모하여 회사의 평판을 회복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때문에 현재는 평판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하여 무리한 수주는 지양하고, 원자재 매입 등과 관련하여 자금관리 가 가능한 범위내에서 거래처의 발주에 임하고 있습니다.
5. 수주현황, 수주조건에 비추어 영업활동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기술
- 상기 4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회사의 수익성 및 재무구조가 악화하여 발주처로부터의 신뢰가 저하된 측면이 있으며, 이로인하여 수주 증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현재 동사의 2023년 반기말 수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0년부터 2023년 반기까지 회사의 수주잔고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주잔고 현황](별도 기준) | (단위: 백만원) |
구분 | 전기이월 | 당기수주 | 수주취소 | 당기납품 | 기말잔고 |
---|---|---|---|---|---|
2020년 | 77,062 | 9,795 | 11,451 | 68,030 | 7,377 |
2021년 | 7,377 | 17,504 | - | 10,507 | 14,374 |
2022년 | 14,374 | 27,557 | - | 26,563 | 15,367 |
2023년 반기 | 15,367 | 3,484 | - | 8,105 | 10,746 |
- 수주조건은 업계의 관례에 따라 대부분 수주금액의 70% 정도를 장비 납품 시 수취하고, 설치 이후 2~5년 정상가동 여부를 확인하면서 나머지 30% 금액을 나누어 수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 조건은 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원자재 및 인건비를 비롯한 비용의 대부분이 장비 설치 이전에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매출대금은 장비 설치이후에 2~5년 동안 나누어 받게 되므로, 수주잔고가 증가할수록 자금부담이 커질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6. 사업과 관련된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증가 추이, 주요 거래처의 신용등급 변동내역, 채권회수 추이 등에 비추어 영업활동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2020년부터 2023년 반기까지 회사의 매출채권및계약자산과 재고자산의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채권및계약자산, 재고자산 추이] | (단위: 백만원, %, 회, 일) |
구 분 | 연 결 | 별 도 | ||||||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16,144 | 44,128 | 24,634 | 69,555 | 8,285 | 27,739 | 11,398 | 68,728 |
매출액 증가율(%) (주1) | -23.9% | 79.1% | -64.6% | 64.3% | -30.5% | 143.4% | -83.4% | 70.3% |
매출채권및계약자산 (주2) | 9,459 | 10,649 | 9,180 | 11,554 | 7,896 | 9,195 | 6,680 | 11,161 |
매출채권및계약자산 증가율(%) (주3) | -11.18% | 16.01% | -20.55% | -57.87% | -14.13% | 37.65% | -40.15% | -58.01% |
매출채권및계약자산 회전율(회) (주4) | 3.21 | 4.45 | 2.38 | 3.57 | 1.94 | 3.49 | 1.28 | 3.64 |
매출채권및계약자산 회수기간(일) (주5) | 113.7 | 82.0 | 153.6 | 102.3 | 188.2 | 104.4 | 285.7 | 100.2 |
자산총계 대비 매출채권및계약자산 비중(%) | 13.1% | 12.6% | 9.8% | 18.9% | 14.0% | 13.6% | 9.4% | 19.4% |
재고자산 | 8,734 | 12,536 | 10,434 | 4,806 | 7,541 | 11,160 | 8,649 | 4,542 |
재고자산 증가율(%) (주3) | -30.3% | 20.1% | 117.1% | -78.2% | -32.43% | 29.03% | 90.43% | -79.10% |
재고자산 회전율(회) (주4) | 3.04 | 3.84 | 3.23 | 5.18 | 1.77 | 2.80 | 1.73 | 5.23 |
재고자산 회수기간(일) (주5) | 120.2 | 95.0 | 112.9 | 70.4 | 206.0 | 130.3 | 211.2 | 69.8 |
자산총계 대비 재고자산 비중(%) | 12.1% | 14.8% | 11.2% | 7.9% | 13.4% | 16.5% | 12.2% | 7.9% |
(출처: 동사 정기보고서) | |
(주1) | 연도별 증가율은 전년도 금액 대비 당해년도 금액의 증가분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다만, 반기의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당반기 금액의 증가분의 비율에 해당합니다. |
(주2) | 계약자산은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의 이전을 수행하여 그 대가를 받을 권리에 해당하지만, 대가를 받을 무조건적 권리에 해당하는 수취채권(매출채권)과 구분되는 권리입니다. 즉, 계약상 의무를 수행하고 계약에 따라 청구한 수익은 수취채권(매출채권)에 해당하며, 계약상 의무는 수행하였으나 청구시점이 미도래하여 청구하지 못한 수익은 계약자산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
(주3) | 연도별 증가율은 전년도 기말 잔액 대비 당해년도 기말 잔액의 증가분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다만, 반기의 증가율은 전년도 기말 잔액 대비 당반기말 잔액의 증가분의 비율에 해당합니다. |
(주4) | 자산의 회전율은 해당 연도의 매출액을 각 자산의 평균잔액(기초와 기말의 평균가액)으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
(주5) | 회수기간은 365일을 회전율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주6) |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1년 기업경영분석"를 참고하였습니다. 별도 기준 수치는 회사의 디스플레이 생산설비 부문만을 고려하여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제조업 중 특수목적기계(C292) 해당 수치를 적용하였으며, 연결 기준 수치는 회사의 종속회사 해당 플라스틱 필름 부문까지 고려하여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제조업 중 플라스틱 및 합성고무(C202) 해당 수치를 특수목적기계(C292) 해당 수치와 평균하여 적용하였습니다. |
- 2022년도는 매출액의 증가에 기인하여 매출채권및계약자산의 회전율이 연결 4.45회, 별도 3.49회로 전년대비 상당부분 개선되었되었습니다. 하지만, 2023년 반기 기준으로 매출액이 연결 -23.9%, 별도 -30.5%로 감소하여 매춮채권및계약자산의 회전율도 연결 3.21, 별도 1.94로 낮아졌습니다. 결과적으로 매출채권및계약자산의 회수기간도 22년 연결 82일, 별도 104.4일에서 23년 반기 연결 113.7일, 별도 188.2일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재고자산도 회전율이 22년 연결 3.84회, 별도 2.80회에서 23년 반기 연결 3.04, 별도 1.77로 낮아졌으며, 마찬가지로 재고자산의 회수기간도 22년 연결 95일, 별도 130일 정도에서 23년 반기 연결 120일, 별도 206일로 상당히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매출채권및계약자산과 재고자산의 회전율이 낮아지고 그로 인하여 회수기간이 늘어나면 회사의 운전자본 소요액이 증가되어 자금운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 특히, 매출채권 잔액 중 상당 부분은 중국 등 해외업체에 대한 것으로서, 해당 거래처의 재무상태 및 신용등급의 변화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현재의 채권회수 및 재고관리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고객을 다변화하고 거래조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7. 주된 사업의 전부 또는 상당 부분을 특정거래처에 의존하는 경우 거래기간, 조건, 마진율 및 거래의 불가피성 등을 고려할 때 거래의 지속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동사의 최근 주요 거래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매출거래처 현황] | (단위: 백만원, %) |
구 분 | 2023년 2Q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CSOT (중국) | 7,336 | 88.6% | 22,581 | 81.4% | 3,323 | 29.2% | 25,704 | 37.4% |
CTO (중국) | - | 0.0% | - | 0.0% | 5,079 | 44.6% | - | 0.0% |
BOE (중국) | - | 0.0% | - | 0.0% | - | 0.0% | 35,527 | 51.7% |
기타 거래처 | 948 | 11.4% | 5,158 | 18.6% | 2,996 | 26.3% | 7,497 | 10.9% |
합 계 | 8,285 | 100.0% | 27,739 | 100.0% | 11,398 | 100.0% | 68,728 | 100.0% |
8. 발행회사가 유전사업, 바이오사업, 대체에너지사업 등 투자기간이 길고 수익성이 불확실한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동 사업의 경제성을 입증할 수 있는 증빙자료 존재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9. 발행회사가 기존에 제출한 정기보고서나 주요사항보고서에 기재된 사업추진계획이나 신규진출사업이 있을 경우 해당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 사업에 재무적 부담 가능성 여부 검토
- 해당사항 없습니다.
10. 발행회사의 주된 사업이 해외시장에 진출되어 있는 경우인지 여부
- 회사는 중국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업체들에 대한 CS(Customer Service) 엔지니어링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2011년 2월에 중국 현지법인을 종속기업으로 설립하였으며, 현재까지 해당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당해 해외 종속회사는 제조설비를 보유하지 않으며, CS 엔지니어들을 고용하여 본사 제품이 고객의 공장등 제조설비에 설치 및 정상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상당기간 해당 설비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사의 영업활동을 조력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외 종속기업에 대한 사항] (기준: 2023년 반기) | (단위: 백만원) |
구 분 | 내 용 | |
---|---|---|
종속기업명 | Vessel Technology(Beijing) Co.,Ltd. | |
소재지 | 중국 | |
결산월 | 12월 | |
소유지분율 | 100% | |
업 종 | 엔지니어링 서비스 | |
요약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 총자산 | 792 |
총부채 | 200 | |
자 본 | 592 | |
매출액 | 850 | |
반기순이익 | (267) |
11. 발행회사의 주된 사업이 수출입 거래 규모가 크거나 파생상품계약이 체결되어 있는지 여부
- 동사의 매출 대부분이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를 통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거래처로부터 수익금을 외화(달러 및 위안화)로 수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외환의 환율 변동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과거에 통화선물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만, 2023년 반기말에는 통화선물 계약 잔액을 보유하지 아니합니다.
참고로, 2023년 반기말 현재 파생생품자산과 파생상품부채 항목은 별도의 파생상품 계약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회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수의상환권 및 전환권 등 내재파생요소에 대하여 회계상 평가 및 분류로 인하여 계상된 것입니다. 이러한 회계상 내재파생상품 항목은 그 손익과 관련하여 현금의 유출이나 유입을 수반하지 아니합니다.
[파생상품 변동내역 및 관련 손익] (별도기준) | (단위: 천원) |
구 분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비 고 | |
---|---|---|---|---|---|---|
파생상품자산 | 내재파생상품 | 471,827 | - | - | - | 전환사채의 수의상환권 |
파생상품부채 | 통화선도 | - | 7,158 | 84,671 | - | 외화선도 계약 |
내재파생상품 | 2,234,384 | - | 1,274,893 | 900,105 | 전환사채의 전환권 | |
금융수익 | 통화선도 관련 | 9,387 | - | 13,381 | - | 외화선도 계약 |
내재파생상품 관련 | 267,690 | - | 713,549 | 1,110,975 | 전환사채 내재파생상품 관련 | |
금융비용 | 통화선도 관련 | - | (216,527) | (129,463) | (366,520) | 외화선도 계약 |
내재파생상품 관련 | - | (2,273,864) | (111,568) | (76,622) | 전환사채 내재파생상품 관련 |
12. 과거 체결한 파생상품거래로 인하여 손익 변동이 큰 경우 그에 대한 대응방안이 있는지 여부
- 2023년 반기말 현재 체결된 통화선도계약 잔액은 없습니다.
- 2023년 반기말 현재 전환사채 관련된 내재파생상품은 행사대상 기초자산인 보통주 주가의 변동에 따라 그 가액이 변동합니다. 즉, 전환사채의 행사가액 대비 내재파생상품의 기초자산에 보통주 주가가 오르면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해야 하는 보통주 가치가 오르게 되므로, 회사가 부담하는 파생상품부채의 가치가 증가하는 논리입니다. 물론 기초자산의 가격 이외에도 무위험이자율, 행사만기 등 내재파생상품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있습니다.
이러한 전환사채 관련 외생변수는 주가 및 이자율 등 회사가 결정할 수 없는 요소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내재파생상품의 가치변동으로 인한 회사의 현실적인 대응 방안은 실적 및 재무구조를 개선하여 전환사채 보유자들이 최대한 이른 시기에 전환사채를 보통주 주식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회사가 전환사채를 매입하여 소각함으로써 해당 내재파생상품을 소멸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현재 동사의 재무상황으로는 전환사채 조기상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주8) 재무에 관한 사항
1. 주요 재무지표(안정성지표, 수익성지표, 성장성지표, 활동성지표 등)의 적정성 여부
가. 안전정 지표
2020년부터 2023년 반기까지의 동사의 안정성 관련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안전성 지표] | (단위: %, 배) |
구 분 | 연 결 | 별 도 | ||||||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유동비율 (주1) | 54.8% | 75.6% | 69.1% | 82.8% | 62.3% | 91.3% | 78.2% | 73.9% |
당좌비율 (주2) | 33.6% | 46.1% | 46.6% | 67.8% | 37.5% | 57.3% | 53.5% | 58.4% |
부채비율 (주3) | 196.3% | 175.6% | 141.4% | 222.5% | 161.1% | 148.9% | 128.4% | 155.6% |
유동부채비율 (주4) | 168.3% | 138.4% | 119.8% | 170.2% | 140.9% | 120.8% | 112.9% | 129.9% |
차입금의존도 (주5) | 40.0% | 37.3% | 34.9% | 37.9% | 37.7% | 35.0% | 34.4% | 37.3% |
금융비용부담율 (주6) | 5.3% | 3.6% | 6.9% | 1.9% | 7.3% | 4.2% | 11.9% | 1.8% |
이자보상비율(배) (주7) | -8.8배 | -4.1배 | -4.4배 | 3.1배 | -11.0배 | -4.2배 | -5.6배 | 2.9배 |
동종업계 부채비율(%) (주8) | - | 80.1% | 83.0% | 84.7% | - | 92.6% | 98.1% | 105.5% |
동종업계 차입금의존도(%) (주8) | - | 24.3% | 24.4% | 25.7% | - | 24.5% | 26.4% | 29.3% |
(출처: 동사의 정기보고서, 한국은행 보도자료) | |
(주1) |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주2) |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
(주3) |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주4) | 유동부채비율 = 유동부채 / 자본총계 |
(주5) | 차입금 의존도 = 차입금 / 자산총계 |
(주6) | 금융비용부담율 = 이자비용 / 매출액 |
(주7) | 이자보상비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주8) | 한국은행 보도자료 "2022년 기업경영분석"을 참고하였습니다. 별도 기준 수치는 회사의 디스플레이 생산설비 부문만을 고려하여 제조부문 중 "기타기계ㆍ장비" 해당 수치를 적용하였으며, 연결 기준 수치는 회사의 종속회사 해당 플라스틱 필름 부문까지 고려하여 "화학물질ㆍ제품" 해당 수치를 "기타기계ㆍ장비" 해당 수치와 평균하여 적용하였습니다. |
- 동사의 2023년 반기말 부채총계는 연결 479억원, 별도 347억원으로 전기말 연결 539억원, 별도 404억원 대비 각각 연결 60억원, 별도 57억원 가량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장단기차입금의 상환과 기타유동부채의 감소에 기인합니다. 같은 기간 차입금 총액은 연결 26억원 가량, 별도 25억원 가량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차입금 등 부채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부채비율은 2023년 반기말 기준 연결 196.3%, 별도 161.1%로 전기말 연결 175.6%, 별도 148.9% 대비 연결 20.6%, 별도 12.2%로 각각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로 인하여 결손금이 누적되어 자본총계의 감소폭이 부채의 감소폭에 비하여 컸던 것에 기인합니다. 2023년 반기순손실은 연결 약 88억원, 별도 약 87억원으로 2023년 반기말 결손금은 연결 약 101억원, 별도 약 133억원에 이르며, 그 결과 자본총계는 연결 약 244억원, 별도 약 216억원으로, 2022년말 연결
약 307억원, 별도 약 272억원 대비 연결 약 63억원, 별도 약 56억원 각각 감소하였습니다.
2022년 기준 동종업계 부채비율 연결 80.1%, 별도 92.6%에 비추어 회사의 2022년 말과 2023년 반기말 현재의 연결 및 별도 수치 모두 열악한 상태이며 더욱 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회사의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손실의 발생에 따라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음(-)의 수치를 나타내고 있으며,영업손실 발생액이 커짐에 따라 이자보상비율이 더욱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경우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이익으로는 금융비용도 지불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동사는「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 제11조(증권선물위원회에 의한 감사인 지정 등)에 의거 하여 3개 사업년도 이자보상배율 1미만일 경우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외부감사 지정을 받게 됩니다.
회사의 영업이 수익성을 회복하지 못하고 재무구조 개선이 지연되는 경우, 차입금 등 채무 부담의 악화로 정상적인 경영이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당해 유상증자 등 재무구조를 시급히 개선하고, 지속적으로 수익성 증대활동을 강화하여 영업이익을 시현하고 부채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합니다.
나. 수익성 지표
2020년부터 2023년 반기까지의 동사의 수익성 관련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익성 지표] | (단위: %, 배) |
구 분 | 연 결 | 별도 | ||||||||
---|---|---|---|---|---|---|---|---|---|---|
2023년 반기 | 2022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23년 반기 | 2022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16,144 | 21,210 | 44,128 | 24,634 | 69,555 | 8,285 | 11,927 | 27,739 | 11,398 | 68,728 |
매출액 증가율 (주1) | -23.9% | 67.9% | 79.1% | -64.6% | 64.3% | -30.5% | 54.0% | 143.4% | -83.4% | 70.3% |
매출원가 | 17,584 | 18,301 | 39,219 | 22,634 | 54,805 | 10,949 | 10,347 | 25,546 | 12,463 | 56,007 |
매출원가율 (주2) | 108.9% | 86.3% | 88.9% | 91.9% | 78.8% | 132.2% | 86.8% | 92.1% | 109.3% | 81.5% |
매출총이익 | (1,440) | 2,908 | 4,910 | 2,000 | 14,750 | (2,664) | 1,579 | 2,193 | (1,065) | 12,722 |
매출총이익률 (주3) | -8.9% | 13.7% | 11.1% | 8.1% | 21.2% | -32.2% | 13.2% | 7.9% | -9.3% | 18.5% |
판매비와관리비 | 5,763 | 6,386 | 11,485 | 9,461 | 10,622 | 3,754 | 4,033 | 7,056 | 6,479 | 9,096 |
판매비와관리비율 (주4) | 35.7% | 30.1% | 26.0% | 38.4% | 15.3% | 45.3% | 33.8% | 25.4% | 56.8% | 13.2% |
영업이익(손실) | (7,460) | (2,580) | (6,576) | (7,461) | 4,128 | (6,679) | (1,557) | (4,863) | (7,544) | 3,626 |
영업이익률 (주5) | -46.2% | -12.2% | -14.9% | -30.3% | 5.9% | -80.6% | -13.1% | -17.5% | -66.2% | 5.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9,234) | (4,581) | (13,478) | (7,016) | 3,513 | (8,653) | (1,279) | (8,309) | (1,962) | 3,267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률 (주6) | -57.2% | -21.6% | -30.5% | -28.5% | 5.1% | -104.4% | -10.7% | -30.0% | -17.2% | 4.8% |
당기순이익(손실) | (8,790) | (4,163) | (14,056) | 5,600 | (2,266) | (8,653) | (1,338) | (9,394) | (1,432) | 3,126 |
당기순이익률 (주7) | -54.5% | -19.6% | -31.9% | 22.7% | -3.3% | -104.4% | -11.2% | -33.9% | -12.6% | 4.5% |
동종업계 매출액증가율(%) (주8) | - | - | 15.7% | 22.1% | -4.5% | - | - | 14.5% | 12.2% | 1.3% |
동종업계 영업이익률(%) (주8) | - | - | 6.1% | 8.2% | 5.6% | - | - | 6.9% | 6.3% | 5.1% |
동종업계 세전순이익률(%) (주8) | - | - | 6.5% | 8.9% | 4.2% | - | - | 6.1% | 7.0% | 2.1% |
(출처: 동사 정기보고서) |
(주1) | 매출액증가율 = 해당 연도(반기) 매출액 / 전년(반기) 매출액 |
(주2) | 매출원가율 = 매출원가 / 매출액 |
(주3) |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주4) | 판관비율 = 판매비와관리비 / 매출액 |
(주5) | 영업이익률 = 영업이익 / 매출액 |
(주6)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률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매출액 |
(주7) | 당기순이익률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주8) | 한국은행 보도자료 "2022년 기업경영분석"을 참고하였습니다. 별도 기준 수치는 회사의 디스플레이 생산설비 부문만을 고려하여 제조부문 중 "기타기계ㆍ장비" 해당 수치를 적용하였으며, 연결 기준 수치는 회사의 종속회사 해당 플라스틱 필름 부문까지 고려하여 "화학물질ㆍ제품" 해당 수치를 "기타기계ㆍ장비" 해당 수치와 평균하여 적용하였습니다. |
- 동사의 매출은 2020년 연결 696억원, 별도 687억원을 달성한 이후 2021년 연결 246억원, 별도 114억원으로 연결 및 별도 각각 -64.6%, -83.4%로 급격히 감소하였습니다. 이후 2022년에 연결 441억, 별도 277억원으로 연결 및 별도 각각 79.1%, 143.4%로 일부 회복하는 모양을 보였으나, 2023년 반기 연결 161억, 별도 83억 가량으로 2022년 반기 대비 연결 및 별도 각각 -23.9%, -30.5%로 다시 감소하였습니다.
- 동사의 매출액은 감소하였으나, 매출원가는 2023년 반기에 2022년 반기 대비 연결 기준으로 7.2억원(-3.9%) 가량 감소하였으나, 별도 기준으로는 6억원(5.8%)가량 오히려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회사의 매출원가에 포함되는 재고자산평가손실이 25억원 가량 발생한 것에 기인합니다.
- 영업이익은 2020년 영업이익률 연결 기준 5.9%, 별도 기준 5.3%를 시현하고, 이후 2023년 반기까지 지속적으로 영업손실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2023년 반기 기준으로 영업손실률은 연결 -46.2%, 별도 -80.6%에 이르고 있습니다.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또한 영업이익과 마찬가지로 2020년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률 연결 기준 5.1%, 별도 기준 4.8%를 시현하고, 이후 2023년 반기까지 지속적으로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2023년 반기기준으로 법인세비용차감선순손실율은 연결 -57.2%, 별도 -104.4%에 이르고 있습니다.
- 당기순이익은 2020년과 2021년에 법인세비용(수익)의 효과로 인하여 영업이익 및 법인세차감전순이익과는 달리 2020년에는 연결 약 -23억원 순손실, 별도 31억원 순이익을 달성하여 당기순이익률은 연결 기준 -3.3%, 별도 기준 4.5%을 시현한 바 있습니다. 이후 2021년에는 당기순이익이 연결기준 56억원 순이익, 별도 기준 -14억원 순손실이 발생하여, 당기순이익율은 연결 기준 22.7%, 별도 기준 -12.6%를 시현하였습니다. 이후 2023년 반기까지 지속적으로 순손실을 시현하고 있으며, 2023년 반기 기준 연결 약 -88억원, 별도 -87억원으로 당기순이익율이 연결 및 별도 각각 -54.5%, -104.4%에 달하여 수익성이 지극히 악화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 활동성 지표
2020년부터 2023년 반기까지의 동사의 활동성 관련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활동성 지표] | (단위: 백만원, %, 회, 일) |
구 분 | 연 결 | 별 도 | ||||||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23년 반기 | 2022년 | 2021년 | 2020년 | |
매출액 | 16,144 | 44,128 | 24,634 | 69,555 | 8,285 | 27,739 | 11,398 | 68,728 |
매출액 증가율(%) (주1) | -23.9% | 79.1% | -64.6% | 64.3% | -30.5% | 143.4% | -83.4% | 70.3% |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 (주2) | 18,454 | 19,728 | 19,755 | 22,260 | 16,891 | 18,273 | 17,256 | 21,868 |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 증가율(%) (주3) | -6.45% | -0.14% | -11.25% | -18.83% | -7.56% | 5.90% | -21.09% | -17.73% |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 회전율(회) (주4) | 1.69 | 2.24 | 1.17 | 2.80 | 0.94 | 1.56 | 0.58 | 2.84 |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 회수기간(일) (주5) | 215.8 | 163.3 | 311.3 | 130.4 | 387.3 | 233.8 | 626.4 | 128.6 |
자산총계 대비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 비중(%) | 25.5% | 23.3% | 21.2% | 36.5% | 14.0% | 13.6% | 9.4% | 19.4% |
재고자산 | 8,734 | 12,536 | 10,434 | 4,806 | 7,541 | 11,160 | 8,649 | 4,542 |
재고자산 증가율(%) (주3) | -30.3% | 20.1% | 117.1% | -78.2% | -32.43% | 29.03% | 90.43% | -79.10% |
재고자산 회전율(회) (주4) | 3.04 | 3.84 | 3.23 | 5.18 | 1.77 | 2.80 | 1.73 | 5.23 |
재고자산 회수기간(일) (주5) | 120.2 | 95.0 | 112.9 | 70.4 | 206.0 | 130.3 | 211.2 | 69.8 |
자산총계 대비 재고자산 비중(%) | 12.1% | 14.8% | 11.2% | 7.9% | 13.4% | 16.5% | 12.2% | 7.9% |
(출처: 동사 정기보고서) | |
(주1) | 연도별 증가율은 전년도 금액 대비 당해년도 금액의 증가분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다만, 반기의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당반기 금액의 증가분의 비율에 해당합니다. |
(주2) | 계약자산은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의 이전을 수행하여 그 대가를 받을 권리에 해당하지만, 대가를 받을 무조건적 권리에 해당하는 수취채권(매출채권)과 구분되는 권리입니다. 즉, 계약상 의무를 수행하고 계약에 따라 청구한 수익은 수취채권(매출채권)에 해당하며, 계약상 의무는 수행하였으나 청구시점이 미도래하여 청구하지 못한 수익은 계약자산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참고로, 본 도표에 기재된 총계약자산은 유동성 항목과 비유동성 항목을 모두 더한 것입니다. |
(주3) | 연도별 증가율은 전년도 기말 잔액 대비 당해년도 기말 잔액의 증가분을 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다만, 반기의 증가율은 전년도 기말 잔액 대비 당반기말 잔액의 증가분의 비율에 해당합니다. |
(주4) | 자산의 회전율은 해당 연도의 매출액을 각 자산의 평균잔액(기초와 기말의 평균가액)으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반기의 매출액은 연환산하였습니다. |
(주5) | 회수기간은 365일을 회전율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주6) |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1년 기업경영분석"를 참고하였습니다. 별도 기준 수치는 회사의 디스플레이 생산설비 부문만을 고려하여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제조업 중 특수목적기계(C292) 해당 수치를 적용하였으며, 연결 기준 수치는 회사의 종속회사 해당 플라스틱 필름 부문까지 고려하여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제조업 중 플라스틱 및 합성고무(C202) 해당 수치를 특수목적기계(C292) 해당 수치와 평균하여 적용하였습니다. |
2022년도는 매출액의 증가에 기인하여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의 회전율이 연결 2.24회, 별도 1.56회로 2021년 기준 연결 1.17회, 별도 0.58회 대비 개선된 모습을 보이나, 이들 절대치가 너무 낮은 수치라서 실질적인 개선이 되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또한, 2023년 반기 기준으로 매출액이 연결 -23.9%, 별도 -30.5%로 다시 감소하여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의 회전율도 연결 1.69, 별도 0.94로 낮아졌습니다. 결과적으로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의 회수기간도 22년 연결 163.3일, 별도 233.8일에서 23년 반기 연결 215.8일, 별도 387.3일로 크게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재고자산도 회전율이 2022년 연결 3.84회, 별도 2.80회에서 2023년 반기 연결 3.04, 별도 1.77로 낮아졌으며, 마찬가지로 재고자산의 회수기간도 2022년 연결 95일, 별도 130일 정도에서 2023년 반기 연결 120일, 별도 206일로 상당히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매출채권및계약자산과 재고자산의 회전율이 낮아지고 그로 인하여 회수기간이 늘어나면 회사의 운전자본 소요액이 증가되어 자금운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매출채권 및 총계약자산 잔액 중 상당 부분은 중국 등 해외업체에 대한 것으로서, 해당 거래처의 재무상태 및 신용등급의 변화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때문에, 현재의 채권회수 및 재고관리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뿐만 아니라 고객을 다변화하고 거래조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2. 발행회사의 규모에 비추어 중요성이 있는 투자가 있었거나 있을 예정인 경우 투자의 진정성과 투자자금 사용내역이 구체적인지 확인
- 당사의 자금사용 목적상 투자 관련 내용은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입니다. 현재 회사는 신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산업통상자원부가 발주한 국책과제로서 "PIM인공지능반도체핵심기술개발(R&D)"사업에 해당하는 '몰드 웨이퍼 표면 그라인더개발'과 관련하여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연구개발비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 분 |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 참여기관 부담금 | 총 계 | |
---|---|---|---|---|
현금 | 현물 | |||
2022년 (1년차) | 660 | 17 | 149 | 825 |
2023년 (2년차) | 660 | 130 | 195 | 985 |
2024년 (3년차) | 660 | 130 | 195 | 985 |
총 계 | 1,980 | 277 | 539 | 2,795 |
- 상기 협약과제 수행을 계기로 2024년부터 관련 반도체 장비 해당 기술 및 신제품을 개발하는데 자금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연구개발에 대한 자금사용 계획은 증권신고서 상 '자금의 사용목적'에 충실히 기재하고 있습니다.
3. 차입금(회사채 포함)규모가 클 경우 차입금 만기구조, 유동성, 차입금 상환일정 등을 고려하여 채무상환 불이행 가능성 검토
- 동사의 2023년 반기말의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반기말 현재 차입금 및 담보 내역](별도) | (단위: 백만원) |
구 분 | 금융기관 | 대출명 | 계약일 | 만기일 | 이자율 | 한 도 | 사용액 | 비 고 |
---|---|---|---|---|---|---|---|---|
단기차입금 | 우리은행 | 구매자금대출 | 2022-06-02 | 2023-05-26 | 6.67~6.81% (변동) | 2,000 | 1,967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및 투자부동산 담보 제공 - 외화정기예금($500,000) 담보 제공 |
무역금융 | 2022-05-30 | 2023-06-02 | 6.82~7.06% (변동) | 3,000 | 1,786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
받을어음 | 2023-06-14 | 2023-07-31 | 5.44%(변동) | 11 | 11 | |||
국민은행 | KB 기술창조기업 우대대출 | 2022-06-29 | 2023-06-29 | 5.83%(변동) | 1,500 | 1,500 | - 투자부동산 담보제공 | |
기업은행 | 중소기업 자금대출 | 2023-05-31 | 2023-07-31 | 5.43%(고정) | 7,000 | 7,000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
2023-05-31 | 2023-07-31 | 5.87%(고정) | 1,250 | 1,250 | ||||
2023-06-15 | 2024-06-15 | 7.14%(고정) | 50 | 50 | ||||
유동성전환사채 | 제7회차 전환사채 | 2023-06-14 | 2026-06-14 | 4.0%(고정) | 3,500 | 1,675 | (주1) | |
장기차입금 | 국민은행 | KB 기술창조기업 우대대출 | 2021-12-10 | 2024-09-15 | 5.78%(변동) | 2,500 | 1,250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2022-06-29 | 2024-06-29 | 6.07%(변동) | 2,700 | 2,700 | - 투자부동산 담보제공 | |||
신한은행 | 원화온렌딩대출 | 2021-10-07 | 2024-09-15 | 2.95%(고정) | 2,000 | 2,000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
합 계 | 25,511 | 21,189 |
(주1) | 해당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
구 분 | 발행일 | 만기일 | 표면이자율(%) | 보장수익률(%) | 금 액 |
---|---|---|---|---|---|
제7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전환사채 | 2023-06-14 | 2026-06-14 | 4.0 | 4.0 | 3,500,000 |
가감 : 전환사채상환할증금 | - | ||||
차감: 전환권조정 | (1,738,440) | ||||
차감: 전환사채할인발행차금 | (86,520) | ||||
전환사채 | 1,675,040 |
- 동사의 2023년 반기말 보유 현금및 현금성자산은 99.5백만원이며, 장단기금융상품은 1,142 백만원 가량으로서, 영업손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자금수지를 예상치는 2024년 3분기 (-)9.7억, 4분기 (-)22억으로 도합 (-)31억원의 순유출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채무상환 불이행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합니다.
[예상자금수지]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3년 | 2024년 | |||||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
매출채권 회수 | 3,427 | 2,421 | 2,461 | 1,925 | 6,196 | 3,063 | |
영업외 입금 | 임대료수익 | 17 | 69 | 126 | 26 | 26 | 26 |
세금 환급 | 0 | - | - | - | - | - | |
금융상품 해지 | 69 | 1,038 | 28 | 2,312 | - | 306 | |
기타 | 123 | - | - | - | - | - | |
금융 조달 | 차입 및 증자 | 6,387 | - | - | - | - | - |
자금 수입(A) | 10,024 | 3,529 | 2,616 | 4,264 | 6,222 | 3,395 | |
자재 매입대금 | 2,588 | 1,013 | 427 | 6,349 | 6,272 | 6,690 | |
인건비 | 1,426 | 1,710 | 1,588 | 1,194 | 1,544 | 1,589 | |
경비 | 복리후생비 등 | 119 | 126 | 297 | 379 | 379 | 379 |
기타경비 | 741 | 342 | 1,035 | 1,025 | 1,025 | 1,025 | |
외주비 등 | 633 | 413 | 609 | 620 | 700 | 700 | |
금융비용 등 | 차입금 이자 | 471 | 220 | 217 | 215 | 212 | 210 |
차입금 상환 | 4,968 | 1,866 | 250 | 250 | 250 | - | |
법인세 등 납세 | 48 | - | - | - | - | - | |
자금 지출(B) | 10,995 | 5,690 | 4,423 | 10,032 | 10,382 | 10,593 | |
자금 순증감(A-B) | (971) | (2,161) | (1,808) | (5,768) | (4,160) | (7,198) |
4. 지급보증, 담보제공, 파생상품, 어음 등의 우발채무로 인한 재무안정성 악화 가능성
-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동사가 피고로 계류중인 소송 사건은 없습니다.
- 동사는 유형자산 중 토지 및 건물, 투자부동산 및 장단기금융상품(외화정기예금) 등을 은행 대출금에 대한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차입금에 대한 담보제공 내역 및 지급보증 제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3년 반기말 현재 차입금 및 담보 내역](별도) | (단위: 백만원) |
구 분 | 금융기관 | 대출명 | 계약일 | 만기일 | 이자율 | 한 도 | 사용액 | 비 고 |
---|---|---|---|---|---|---|---|---|
단기차입금 | 우리은행 | 구매자금대출 | 2022-06-02 | 2023-05-26 | 6.67~6.81% (변동) | 2,000 | 1,967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및 투자부동산 담보 제공 - 외화정기예금($500,000) 담보 제공 |
무역금융 | 2022-05-30 | 2023-06-02 | 6.82~7.06% (변동) | 3,000 | 1,786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
받을어음 | 2023-06-14 | 2023-07-31 | 5.44%(변동) | 11 | 11 | |||
국민은행 | KB 기술창조기업 우대대출 | 2022-06-29 | 2023-06-29 | 5.83%(변동) | 1,500 | 1,500 | - 투자부동산 담보제공 | |
기업은행 | 중소기업 자금대출 | 2023-05-31 | 2023-07-31 | 5.43%(고정) | 7,000 | 7,000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
2023-05-31 | 2023-07-31 | 5.87%(고정) | 1,250 | 1,250 | ||||
2023-06-15 | 2024-06-15 | 7.14%(고정) | 50 | 50 | ||||
유동성전환사채 | 제7회차 전환사채 | 2023-06-14 | 2026-06-14 | 4.0%(고정) | 3,500 | 1,675 | (주1) | |
장기차입금 | 국민은행 | KB 기술창조기업 우대대출 | 2021-12-10 | 2024-09-15 | 5.78%(변동) | 2,500 | 1,250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2022-06-29 | 2024-06-29 | 6.07%(변동) | 2,700 | 2,700 | - 투자부동산 담보제공 | |||
신한은행 | 원화온렌딩대출 | 2021-10-07 | 2024-09-15 | 2.95%(고정) | 2,000 | 2,000 | - 유형자산 중 토지, 건물 담보 제공 | |
합 계 | 25,511 | 21,189 |
(주1) | 해당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
구 분 | 발행일 | 만기일 | 표면이자율(%) | 보장수익률(%) | 금 액 |
---|---|---|---|---|---|
제7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전환사채 | 2023-06-14 | 2026-06-14 | 4.0 | 4.0 | 3,500,000 |
가감 : 전환사채상환할증금 | - | ||||
차감: 전환권조정 | (1,738,440) | ||||
차감: 전환사채할인발행차금 | (86,520) | ||||
전환사채 | 1,675,040 |
당사가 차입금의 원리금 지급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등의 사건이 발생할 경우 당사가 제공한 담보 자산의 소유권의 일부 또는 전부의 상실로 인해 정상적인 영업행위가 이루어지지 않을 위험이 존재합니다. 특히, 담보로 제공한 공장 토지 및 건물 중 당사의 주요한 생산시설인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공장 부지와 건물로서 장부가액이 약 172억원이나, 채권최고액은 약 199억원으로 추가적인 차입 여력이 높지 않습니다.
[2023년 반기말 현재 지급보증 제공 내역] | (단위: 백만원, USD) |
보증내역 | 제공하는자 | 제공받는자 | 수혜자 | 특수관계자여부 | 보증금액 |
---|---|---|---|---|---|
선급금 지급보증 | 베셀 | 서울보증보험 | 베셀에어로스페이스 | 관계기업 | 594 |
선급금 지급보증 | 베셀 | 서울보증보험 | 베셀에어로스페이스 | 관계기업 | 630 |
협약지원금 반환 지급보증 | 베셀 | 서울보증보험 | 베셀에어로스페이스 | 관계기업 | 350 |
전환사채 연대보증 | 베셀 | 산업은행 | 베셀에어로스페이스 | 관계기업 | 1,800 |
일람불수입신용장발행 연대보증 | 베셀 | 기업은행 | SKCS | 종속기업 | USD 360,000.00 |
중소기업자금대출 | 베셀 | 기업은행 | SKCS | 종속기업 | 321 |
무역금융대출 연대보증 | 베셀 | 기업은행 | SKCS | 종속기업 | 54 |
할인어음 한도약정 연대보증 | 베셀 | 기업은행 | SKCS | 종속기업 | 240 |
무보 보증서 연대보증 | 베셀 | 한국무역금융공사 | SKCS | 종속기업 | 405 |
5. 자본잠식이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될 우려가 있는 경우 자본구조의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대응방안 존재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6. 자본잠식 해소등을 위해 출자전환을 하거나 채무면제, 채무재조정 등이 발생한 경우 별도의 이면약정 존재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7. 현금흐름 구조에 비추어 유동성이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에 대한 대응방안 존재 여부
- 동사는 현재 추진하는 본건 유상증자를 통하여 2023년 말까지 자금을 조달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 본건 유상증자 이외에도 투자부동산 및 유가증권 중 일부를 매각하고자 추진 중에 있습니다. 해당 투자부동산은 2023년 반기말 현재 장부가액 57.5억원 가량이며, 79억원 이상의 매각가격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유가증권은 종속회사인 (주)에스케이씨에스의 지분이며, 2023년 반기말 현재 장부상 전액 손상처리된 상태이나, 코넥스에서 거래되는 종목으로서 실제 매각은 코넥스 시세를 고려할 때 약 25억원 가량의 금액으로 매각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매각가능 자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각 가능 자산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 분 | 매각가능자산 세부사항 | 장부가액 | 예상 매각 가능가액 | 근 거 |
---|---|---|---|---|
투자부동산 | 권선구 1100번지 토지 | 5,448 | 7,440 | 담보권 설정 채권 최고액 |
수원벤처밸리(B214호) | 309 | 450 | 동 건물 최근 부동산 거래 내역 | |
유가증권 | ㈜에스케이씨에스 주식 | - | 2,500 | 코넥스 상장기업(2,119,508주, 지분율 61.44%) |
합 계 | 5,757 | 10,390 |
8. 주채권은행과 체결한 재무구조 개선 약정서를 입수하여 자구계획 및 이행결과가 진정성이 있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9. 금번 자금조달의 목적이 기존 약정서 내용과 부합하고 다른 자구계획과의 상충 가능성은 없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10. 재무정보에 활용된 재무제표의 기준일 및 단위, 기준통화의 통일 여부
- 동사의 재무정보에 활용된 재무제표의 기준일 및 단위, 기준통화는 통일되어 있습니다.
(주9) 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최근 3개 사업년도 동안 적정 이외의 감사의견을 받은 경우가 있는지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최근 회사의 회계정책의 변경 또는 중대한 오류의 수정 여부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10) 회사의 기관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
1. 정기보고서가 연결기준으로 작성된 경우 주요 종속회사와 관련된 위험요인 등이 충실하게 기재되었는지 확인
- 동사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최근 공시된 정기보고서의 내용이 적절히 기재되어 있고, 이후 공시된 사항 및 투자판단에 중요한 변경사항이 적절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 지분을 보유중인 회사의 재무구조가 취약한 경우 손상차손 등의 예상추이에 비추어 발행회사의 재무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중대한가 여부 검토
- 동사의 2023년 반기말 현재의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의 재무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 현황](별도) | (단위: 백만원) |
구 분 | 종속회사 | 관계회사 | |
---|---|---|---|
회사명 | (주)에스케이씨에스 | Vessel Technology (Beijing) Co., Ltd. | 베셀에어로스페이스(주) |
지분율(%) | 61.44% | 100% | 33.98% |
자산 | 12,021 | 792 | 16,724 |
부채 | 14,351 | 200 | 19,602 |
자본 | (2,330) | 592 | (2,878) |
매출 | 7,726 | 850 | 570 |
순이익 | (789) | (267) | (4,693) |
- 종속회사인 (주)에스케이씨에스는 해당 지분과 대여금에 대하여 전액 손상 및 대손처리하여 이후 재무상태에 손상 등 반영할 사항이 추가로 발생할 여지는 없습니다.
- 중국 현지의 종속회사인 Vessel Technology(Beijing) Co., Ltd.는 동사의 현지 거래처에 대한 지속적인 서비스를 수행해야하는 역할을 위탁하여 맡기고 있으며, 현지 서비스 제공이라는 수익활동을 지속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수료 등 항목으로 자금이 지출될 것입니다. 현재의 영업상황으로 미루어 성장성이나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여지는 없으나, 발생 비용 규모 또한 크지 않으므로 동사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 관계회사인 베셀에어로스페이스(주)는 현재의 재무상태는 자본잠식상태이며 수익구조도 열악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다만, 2023년 회계법인으로부터 지분가치에 대한 평가를 받은 결과 자기자본가치가 40,082 백만원으로 산정되었으며, 동사의 지분율33.98%는 약 13,620백만원 가량으로서 별도기준 장부가액 3,928백만 대비 손상이 발생하지는 아니하였습니다. 만약, 당해 관계회사 지분을 매각하는 경우 재무상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합니다.
3. 타법인 출자 내역(추가 취득 등) 및 처분 현황
- 동사의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 지분에 대한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 지분 변동]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에스케이씨에스 | Vessel Technology(Beijing) Co.,Ltd | 베셀에어로스페이스㈜ | |||
---|---|---|---|---|---|---|
지분율(%) | 장부금액 | 지분율(%) | 장부금액 | 지분율(%) | 장부금액 | |
2021년 기초 | 47% | 343 | 100% | 102 | 70.90% | 6,100 |
취득 | 5.7% | 881 | - | - | - | - |
처분 | - | (55) | - | - | -24.41% | (2,005) |
손상 | - | 752 | - | - | - | - |
2021년 기말 | 52.7% | 1,921 | 100% | 102 | 46.46% | 4,095 |
취득 | - | - | - | - | - | - |
처분 | - | - | - | - | - | (167) |
손상 | 52.7% | (1,921) | - | - | - | - |
2022년 기말 | 52.7% | - | 100% | 102 | 33.98% | 3,928 |
취득 | 8.8% | 550 | - | - | - | - |
처분 | - | - | - | - | - | - |
손상 | - | (550) | - | - | - | - |
2023년 반기말 | 61.4% | - | 100% | 102 | 33.98% | 3,928 |
4. 관계회사가 비상장회사이거나 해외소재 회사인 경우 회사운영 자금의 사용내역과 재무정보에 대해 신뢰할만한 자료가 존재하는지 여부
- 종속회사 및 관계회사는 모두 회계감사를 받고 있으며 최근 감사보고서 상 적정의견을 확인하였습니다.
(주11) 주주에 관한 사항
1. 최근 공시된 정기보고서의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이후 공시된 사항 및 투자판단에 중요한 변경사항(최대주주의 지분율 변동 또는 CB전환 또는Warrant행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등)이 기재되어 있는지 여부 확인
- 동사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최근 공시된 정기보고서의 내용이 적절히 기재되어 있고, 이후 공시된 사항 및 투자판단에 중요한 변경사항이 적절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 최대주주 지분율 변동 또는 전환권 행사가 있었을 경우 이로 인하여 경영권 안정화 방안이 마련되어 있는지 여부 검토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최근 최대주주의 변경 유무
- 현재 회사의 최대주주인 더이앤엠 주식회사는 2022년 12월 28일 공시한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에 따라 기존 최대주주이자 대표이사였던 '서기만'으로부터 지분을 양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2023년 02월 06일 해당 계약의 이행을 완료하여 최대주주의 지위를 획득하였습니다.
- 상기 이외에 회사의 최대주주가 변경된 경우는 없었습니다.
4. 최대주주 지분율에 따른 경영권 불안정성이 대두될 가능성 유무
- 현재 '더이앤엠 주식회사'으로서 1,663,536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발행주식 총수 13,370,919주를 기준으로 지분율 12.44%에 해당합니다.
- 당해 최대주주는 본건 유상증자에 따른 배정주식의 100%를 청약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금번 유상증자 이후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12.52%로 0.08% 상승할 예정입니다. 이는 회사가 자기주식(168,763주)을 보유함에 따라 미배정 되는 수량에 기인합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최대주주의 지분율과 금번 유상증자 이후 예상되는 최대주주의 지분율 모두 높지 않은 편이며, 과반에 현저히 미달합니다. 따라서,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 특히, 2023년 07월 03일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나, 이후 양수인 측의 계약조건 미이행으로 2023년 08월 21일 해당 주식 양수도 계약이 해제ㆍ취소되었음을 공시하였습니다.
- 따라서, 이후에도 최대주주의 지분 매각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8월 21일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 양수도 계약 해제ㆍ취소 등 공시내역] |
1. 계약 해소 종류 | 해제(해지) | |||
2. 계약 해소 사유 | 양수인 주식회사 오앤비파트너스 外 3인의 계약조건 미이행(잔금 미지급)에 따른 계약 불성취 | |||
3. 양수도 계약 당사자 | - 양도인 | 더이앤엠 주식회사 | 회사와의 관계 | 최대주주 |
- 양수인 | 주식회사 오앤비파트너스 外 3인 | 회사와의 관계 | 변경후 최대주주 | |
4. 양수도 계약 내역 | 양수도 주식수(주) | 1,663,536 | ||
1주당 가액(원) | 8,206 | |||
양수도 대금(원) | 13,650,976,416 | |||
- 양수도 대금의 지급일정 및 지급조건 등에 관한 사항 | 1) 계약체결일: 2023년 7월 3일 2) 계약사항 (1) 양수도금액: 13,650,976,416원 ① 계약금(계약체결일 당일) - 2,600,000,000원 ② 잔 금(2023년 8월 17일) - 11,050,976,416원 (2) 주식 지급예정일 - 2023년 8월 21일 ※위 양수도금액의 잔금을 2023년 8월 21일 예정인 임시주주총회 2영업일(2023년 8월 17일)에 양도인이 지정하는 법무법인 에스크로 계좌에 입금하고, 위 주주총회가 성료된 후 양도인이 해당 주식을 양수인 주식계좌로 이체할 예정. 3) 계약당사자별 지급사항 (1) 양도인: 더이앤엠 주식회사 (2) 양수인 ① 주식회사 오앤비파트너스 - 양수주식수: 24,372주 - 양수금액: 200,000,000원 ② 다도스투자조합 - 양수주식수: 627,648주 - 양수금액: 5,150,476,416원 a.계약금: 1,800,000,000원 b.잔 금: 3,350,476,416원 ③ 주식회사 골든비 - 양수주식수: 402,206주 - 양수금액: 3,300,500,000원 a.계약금: 300,000,000원 b.잔 금: 3,000,500,000원 ④ 조성구 - 양수주식수: 609,310주 - 양수금액: 5,000,000,000원 a.계약금: 500,000,000원 b.잔 금: 4,500,000,000원 | |||
5. 양수도 계약 체결일 | 2023-07-03 | |||
6. 양수도 계약 해소일 | 2023-08-21 | |||
7.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
1) 진행 사항 위 양도인과 양수인 간의 체결한 주식 및 경영권 양수도 계약과 동일 결의한 제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주식회사 오앤비파트너스가 최대주주로 변경될 예정이었습니다. a. 양수주식수: 24,372주 b. 유증주식수: 1,516,793주 2) 해지 사유 위 양수인들이 주식 및 경영권 양수도 계약의 잔금 지급기한(8/17)에 대금 지급을 미이행함에 따라 본 계약은 해지되었습니다. 또한, 앞서 제3자배정 유상증자 대상자도 납입기한(8/14)에 지급을 미이행함에 따라 최대주주는 변경되지 않으며, 현재 동 유상증자 납입기한은 연장(11/30)되었습니다. | ||||
※ 관련공시 | 2023-07-03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2023-07-03 유상증자결정(제3자배정) |
5. 최대주주의 주식이 담보제공, 질권 설정 등으로 주주권 행사에 제한을 받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6.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에 따른 경영권 불안정성이 대두될 가능성
-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12)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급격한 인력의 변동 혹은 중요 인력의 이탈이 있었는지의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최근 사업년도 종료일 이후 주식매수 선택권을 부여한 사실이 있는지의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13)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등
1. 감사보고서에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었는지의 여부
- 동사는 감사보고서에 관련 거래 내역을 충분히 기재하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였습니다.
2. 다른 거래와 비교할 경우 해당거래에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이 있는지의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출자회사 등 관계회사와 발행회사의 특수관계인 등에게 대여금, 선급금을 지급한 경우, 지급사유와 충당금 설정 추이에 비추어 회수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동사는 종속회사인 (주)에스케이씨에스에 운영자금을 지원하고자 출자 및 자금을 대여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출자금에 대해서는 2022년 말 회계감사시 손상평가를 반영하여 전액 손상처리 하였으며, 대여금에 대해서도 2023년 반기결산시 회수가능성을 검토하여 전액 대손처리한 바 있습니다.
2023년 반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 채무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자 채권 채무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 분 | 특수관계자명 | 내역 | 2023년 반기 | 2022년 기말 |
---|---|---|---|---|
종속기업 | Vessel Technology(Beijing) Co., Ltd. | 매출채권 | 44 | 6 |
(주)에스케이씨에스 | 단기대여금(*1) | 1,910 | 1,790 | |
미수수익(*1) | 92 | 50 | ||
미수금(*1) | 33 | 21 | ||
임대보증금 | 10 | 10 | ||
관계기업 | 베셀에어로스페이스(주) | 미수금 | 33 | 17 |
매출채권 | 45 | 94 | ||
임대보증금 | 10 | 10 | ||
기타의 특수관계자 | 임직원 | 단기대여금 | - | 556 |
미수수익 | - | 11 | ||
종속기업의 임직원 | 단기대여금 | - | 550 |
(*1) | 당반기말 현재 종속기업의 단기대여금, 미수수익, 미수금에 대하여 전액 대손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당반기 중 2,034,242천원을 기타의대손상각비로 인식하였습니다 |
4. 자금 대여처가 원리금을 미상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자금대여를 하는 경우, 발행회사와 대여처 간 관계 파악 및 채권회수 방안이 적절히 수립되었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 2023년 반기말 현재 동사의 기타채권에는 단기대여금 1,500백만원(채권액: 3,710백만원, 대손충당금: 2,210백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기대여금의 당반기간 세부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기대여금 세부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 분 | 기초 | 증가 | 감소 | 당반기말 | 대여기간 | 이자율/이자 |
---|---|---|---|---|---|---|
(주)에스케이씨에스 (주1) (종속회사) | 790 | - | - | 790 | 2019.09.06~2023.09.06 | 연 4.6% |
500 | - | - | 500 | 2022.05.10~2023.12.31 | ||
500 | - | - | 500 | 2022.09.07~2023.12.31 | ||
- | 120 | - | 120 | 2023.04.14~2024.04.14 | ||
(주)신웨이 (주2) | - | 1,500 | - | 1,500 | 2023.06.16~2024.06.16 | 연 8% |
(주)비플레이엔터 (주3) | - | 1,000 | 1,000 | - | 2023.05.08~2023.05.09 | 3,000,000원 |
(주)에스케이씨에스 前 대표이사 (주4) | 550 | - | 550 | - | 2022.11.26~2023.11.26 | 연 4.7% |
임직원대여금 | 556 | - | 556 | - | 2022.04~2023.04 2022.05~2023.05 | 연 3~4.6% |
(주)비엠씨 (주5) | 300 | - | - | 300 | 2016.7.4~2017.2.28 | 연 5% |
소 계 | 3,196 | 2,620 | 2,106 | 3,710 | ||
대손충당금 | 300 | 1,910 | - | 2,210 | ||
합 계 | 2,896 | 710 | 2,106 | 1,500 |
(출처: 동사 정기보고서) | |
(주1) | 당해 종속회사 대여금 전액에 대하여 반기말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였습니다. |
(주2) | (주)신웨이는 동사와 특수관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동사는 (주)신웨이가 소유한 부동산을 담보로 설정하였습니다. 다만, 당반기말 현재 동 부동산에는 당사보다 선순위 근저당권 설정 권리자가 있으며, 압류 및 가압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
(주3) | (주)비플레이엔터의 주주 4명 중 1명이 당반기말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인 더이앤엠(주)의 사내이사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
(주4) | (주)에스케이씨에스 前 대표이사는 2023년 3월 29일자로 (주)에스케이씨에스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에서 사임하였습니다. 동사는 대여금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2023년 3월 24일자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질권 설정하였던 (주)에스케이씨에스주식 302,198주의 질권을 해제한 후 해당 주식 명의를 당사로 이전 받았습니다. 동 거래로 인하여 동사의 (주)에스케이씨에스 지분율은 52.68%에서 61.44%로 증가하였습니다. 당사는 당반기 중 취득한 (주)에스케이씨에스 투자주식에 대하여 전액 손상을 인식하였습니다. |
(주5) | (주)비엠씨 대여금 전액에 대하여 2018년 반기말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였습니다. |
(주14) 기타 투자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1. 배임, 횡령 관련 소송이 진행중인 경우 재판진행상황(또는 결과)과 횡령자금 환수여부, 환수를 위한 조치, 구상권 행사내역 등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금융당국 등으로부터 관련법령에 따른 제재조치 여부 확인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소송 등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 발행회사의 영업, 재무상황에 미치는 위험요소 검토 및 확인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발행회사의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위반행위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5. 발행회사 및 임직원의 제재현황이 존재하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6. 발행회사의 관리종목 및 상장폐지 요건 해당 가능성 확인
- 코스닥 시장의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와 관련한 주요 요건과 공시서류 제출 전일 기준 각 요건 별 검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주요 요건 및 검토 내용] |
구 분 | 분 류 | 요 건 |
---|---|---|
매출액 미달 | 관리종목 |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 30억원 미만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 매출액 미달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최근 사업연도에도 매출액이 30억원 미만인 경우 |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별도 기준) 2022년: 약 277억원 2021년: 약 114억원 2020년: 약 687억원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 관리종목 | 최근 3개 사업연도 중 2개 사업연도에 각각 10억원 이상이면서 해당 사업연도 말 자기자본(비지배지분 제외하지 않음)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최근 사업연도에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최근 사업연도에도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고 10억원 이상인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발생한 경우 |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연결 기준) 2022년 자기자본: 약 307억원,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약 (-)135억원 2021년 자기자본: 약 387억원,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약 (-)70억원 2020년 자기자본: 약 189억원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약 35억원 | |
장기 | 투자주의 환기종목 | 5년 연속 영업손실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2022년 영업이익: 약 (-)49억원 2021년 영업이익: 약 (-)75억원 2020년 영업이익: 약 36억원 | |
자본잠식 | 관리종목 | 최근 사업연도 말 기준으로 (1)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인 경우 (2) 자기자본이 10억원 미만인 경우 |
상장폐지, | (1)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 자본전액잠식 상태인 경우 (2) 자본잠식, 반기 검토(감사)의견 미달, 반기 검토(감사)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최근 반기 말/사업연도 말 자본잠식률 50% 이상인 경우 (3) 자기자본 미달, 반기 검토(감사)의견 미달, 반기 검토(감사)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최근 반기 말/사업연도 말 현재 자기자본 10억원 미만인 경우 |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2023년 반기말 자기자본(별도): 약 216억원 자본금: 약 66억원 자본잠식률: 해당사항 없음 | |
감사의견 | 관리종목 | - |
상장폐지 | 최근 사업연도의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이 부적정, 의견거절이거나 감사범위 제한에 따른 한정인 경우 | |
검토결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시가총액 | 관리종목 | 보통주 시가총액 40억원 미만인 상태가 연속하여 30일(매매거래일 기준) 동안 지속 |
상장폐지 | 시가총액 미달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90일(매매거래일 기준) 동안, (1) 보통주 시가총액이 40억원 이상인 상태가 10일 이상 지속되지 못하는 경우 (2) 보통주 시가총액이 40억원 이상인 일수가 30일 미만인 경우 |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거래량 | 관리종목 | 분기의 월평균거래량이 유동주식수의 1% 미만인 경우 |
상장폐지 | 거래량 미달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다음 분기에도 연속하여 거래량 미달 상태인 경우 |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주식분산 | 관리종목 | (1) 소액주주의 수가 200명 미만인 경우 (2) 소액주주의 주식수가 유동주식수의 20% 미만인 경우 |
상장폐지 | 주식분산 미달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1년 이내에 주식분산 미달을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 |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불성실공시 | 관리종목 | -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 1년간 불성실공시 벌점 15점 이상 | |
검토결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정기보고서 | 관리종목 | 사업보고서, 반기보고서 또는 분기보고서를 법정 제출기한까지 제출하지 않은 경우 |
상장폐지 | (1) 정기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정기보고서를 법정 제출기한까지 제출하지 않은 경우 (2) 최근 2년 동안 3회 이상 정기보고서를 법정 제출기한까지 제출하지 않은 경우 (3) 사업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상태에서 해당 사업보고서를 법정 제출기한의 다음 날부터 10일 이내에 제출하지 않은 경우 | |
검토결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회생절차 | 관리종목 | 회생절차 개시 신청 또는 파산신청 |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 개시신청기각,결정취소,회생계획 불인가등 | |
검토결과 |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기타 | 상장폐지 | 최종부도 또는 은행거래정지, 해산사유(피흡수합병, 파산선고), 정관 등에 주식양도제한 두는 경우, 유가증권시장 상장의 경우, 우회상장시 우회상장관련 규정 위반시(심사종료전 기업결합완료 및 보호예수 위반 등). |
검토결과 | - 증 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음. |
-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상기 코스닥시장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주요요건에 해당하는 사항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향후 동사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되는 등의 사정 변경이 발생할 경우 상기의 [코스닥시장 관리종목 지정 및 상장폐지 주요요건]에 해당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향후 감독기관으로부터 동사가 현재 파악하지 못한 제재가 부과될 경우 주가하락 및 유동성(환금성)제약 등으로 인해 투자금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최근 금융감독기관 등의 관리감독기준이 엄격해지고 있는 상황으로 관련 규정을 위반할 경우 주권매매정지, 관리종목지정, 상장폐지실질심사, 상장폐지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관리종목),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38조(상장의 폐지) 및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38조의2(실질심사위원회의 심사 등)"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금융관련 법규는 "국가법령정보센터(http://law.go.kr)", "금융감독원 금융감독법규정보시스템 (http://law.fss.or.kr)", "KRX법규서비스(http://law.krx.co.kr)"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동사는 2023년 9월 13일 코스닥시장 규정 제28조, 제29조 및 제32조에 근거하여 공시번복, 공시변경 등의 사유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받은 바 있으며,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 결정시한은 2023년 10월 12일까지 입니다. 최종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는 경우로서 당해 부과벌점이 8.0점 이상인 경우 1일간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으며, 동 건에 따른 부과벌점을 포함하여 최근 1년간 누계벌점이 15점 이상이 되는 경우 코스닥 시장 상장규정 제56조제1항제3호차목에 따라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7. 유통주식수 증가(전환 및 행사가능 주식 포함) 및 자기주식 처분등에 따른 주식 가치하락 가능성 검토
- 동사는 금번 유상증자로 인해 기발행주식총수 13,370,919주의 100%에 해당하는 보통주 13,370,919주가 추가로 발행 및 상장될 예정입니다. 금번 유상증자 물량은 보호예수되지 않는 관계로 신주의 추가 상장 시점에 대규모 물량이 일시에 출회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주가가 급락할 수 있습니다. 한편, 본 유상증자는 주주우선공모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일반공모를 거쳐 배정 후에도 미청약된 잔여주식에 대하여는 발행하지 아니합니다.
- 또한, 금번 유상증자 직후 소유주식 1주당 2주의 비율로 무상증자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무상증자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주의 재원 : 자본잉여금
2) 무상증자에 관한 기타사항은 이사회를 통해 대표이사에게 위임되었으며, 상기 일정은 유관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본 무상증자는 유상증자 청약자도 무상증자를 받을 수 있도록 진행되고 있습니다. 만약, 유상증자 일정이 변경되면, 본 무상증자의 일정 또한 변경될 수 있습니다.)
[무상증자 개요] |
구 분 | 내 용 |
---|---|
무상증자 신주배정 기준일 | 2023년 12월 08일 |
무상증자 신주의 주당 발행가액 | 500원 |
무상증자 신주의 종류와 수 | 보통주 53,146,150주 |
1주당 신주배정 수 | 2주 |
무상증자 신주의 재원 | 자본잉여금 |
무상증자 신주권 유통 예정일 | 2023년 12월 27일 |
무상증자 신주상장 예정일 | 2023년 12월 27일 |
주1) 무상증자 신주의 수는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에서 자기주식을 제외한 유통주식수에 금번 유무상증자 이사회 결의시 결의한 유상증자 주식수를 더한 주식수에 2을 곱한 주식수 입니다. |
-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 전환사채가 있습니다. 동사의 미상환 전환사채는 제 7회차 전환사채 35억원이며, 이 중 15억원은 회사에서 취득하여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환가액 4,750원 기준 전액 전환을 가정할 경우 발행주식수는 736,842주에 해당합니다. 이는 총발행주식수 13,370,919주 대비 5.5%에 해당하는 물량입니다. 당해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되는 되는 경우 주식수의 증가로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제 7회차 전환사채 내역] | (단위: 원, %) |
구 분 | 제 7회차 전환사채 |
---|---|
발 행 일 자 | 2023년 06월 14일 |
사채 만기일 | 2026년 06월 14일 |
발 행 금 액 | 3,500,000,000 원 |
잔 액 | 3,500,000,000 원 (자기사채 보유분 1,500,000,000 원) |
표면이자율 | 4.00% |
만기보장수익율 | 4.00% |
발행방식 | 사모 |
전환청구기간 | 2024년 06월 14일 ~ 2026년 05월 14일 |
전환가액 | 4,750원 |
조기상환청구권 행사기간 | 2024년 04월 15일 ~ 2026년 02월 12일 |
전환가능주식수 | 736,842주 |
최초 인수인 | 핸즈파트너스 유한회사, (주)비에프에이, 최승식(개인) |
8. 최근 3개년 사업년도간 특수관계자 등에 대해 발행한 주식, 주식관련증권, 주식매수선택권 등과 관련하여 별도 약정이나 옵션부여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9. 최근 3개년 사업년도간 제3자배정자가 시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유상증자에참여하는 등의 경우, 제3자배정자의 실재성 및 증자참여의 진정성 등 검토
- 해당사항 없습니다.
10. 발행회사의 정기보고서가 연결기준으로 작성된 경우 주요 종속회사와 관련된 위험요인 등이 충실하게 기재되었는지 여부
- 동사의 정기보고서 검토결과, 주요 종속회사 관련 내용이 충실히 작성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11. 기존의 공시 혹은 언론보도 등이 잘못 알려져 있거나 그 내용이 변동된 경우가 있는지 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12. 외부전문가 의견(회계사, 변호사 등)
- 해당사항 없습니다.
2023. 09. 15 . |
(대표)주관회사 주식회사 상상인증권 |
대표이사 임 태 중 (인) |
기업실사 날인본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920000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