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테크놀로지 (17514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4 17:5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400127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3 월    14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인포마크
대 표 이 사 :  최   혁, 박장호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321, 8층

(전   화) 02)6205-0505

(홈페이지)http://www.infomark.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백 대 현

(전  화) 02)6205-050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1기 정기)


주주 여러분께,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회사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제2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9일 (수), 오전 9시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342번길 21 대정빌딩 6층

             세미나실  (T.02-6205-0505)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1기(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재무제표 및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정강호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신세정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 감사 신봉훈 선임의 건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 건
    제6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314조 제5항 단서규정에 의거하여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 참석장, 위임장, 대리인의 신분증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 첨부)

             (법인주주 : 법인인감날인 및 법인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사본 첨부)

 

6. 기타 사항

- 당사 정관 제23조(소집통지 및 공고)에 의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미만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전자공시 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 및 교통비는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3년  3월  14일

 

                                           주 식 회 사  인 포 마 크

                                     대 표 이 사  최 혁, 박장호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
(출석률: %)
B
(출석률: %)
C
(출석률: %)
D
(출석률: %)
찬 반 여 부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가. 웨어러블 단말 사업 

(1) 사업개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옷이나 신발, 액세서리처럼 몸에 착용하는 형태의 IT 기기를 의미합니다. 당사의 대표 제품은 셀룰러 기능이 탑재된 아이들 전용 스마트 워치(키즈폰)와 시니어 스마트 워치, 헬스케어 스마트 밴드 등이 있습니다. 

 키즈폰은 크게 ▲통화 및 문자수신 ▲위치 확인 ▲SOS 긴급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웨어러블 기기로 당사는 2014년 7월 국내 최초 어린이 전용 웨어러블 폰인 JOON을 SK텔레콤을 통해 출시했으며 ▲2015년 4월 'JOON2' ▲2016년 9월 'JOON3' ▲2017년 4월 '준 스페셜 에디션'(디즈니와 마블 캐릭터 디자인)을 출시했습니다. 

 시니어 스마트 워치는 4G LTE 기반 통신 기능에 응급 상황 통신과 노년층 맞춤 기능(일정 관리, 복약 알림, 만보계 등)을 추가한 스마트 워치로 2015년 국내 시장에 출시한 티케어(T-Care)와 2019년 호주 시장에 출시한 SPACETALK LIFE가 있습니다. 

스마트 밴드는 Cat M1 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 트래커와 헬스케어 스마트 밴드가 있으며 현재 당사의 AI 헬스케어 사업과 연계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초창기 스마트 워치 중심이었던 웨어러블 산업은 게임, 의료, 스포츠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하며 규모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히어러블(Hearable) 제품의 인기, AR 글래스 재조명도 웨어러블 산업의 성장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웨어러블 기술 시장 규모는 2019 년 기준 326억 달러에 달하며 2020 년부터 2027 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5.9 %로 예상됩니다. 

 

(3) 시장의 안정성

 코로나 19 및 고령화로 비만 및 만성 질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상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혈압, 산소포화도, 심박수 등 몸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운동량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 및 밴드의 가치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4) 경쟁상황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 형태에 따라 안경 타입, 시계 타입, 패치 타입 등으로 나뉘며 기능에 따라 건강관리, 엔터테인먼트, 의료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에 따라 IT 기업뿐 아니라 오디오, 스포츠 등 다양한 기업에서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당사도 시장의 요구에 맞춰 신사업인 AI 헬스케어 서비스와 연계, 헬스케어 트래커, 심박동 모니터링 패치, AR 글라스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개발 및 실증하고 있습니다. 

 

(5) 시장 점유율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애플, 샤오미, 삼성 등 글로벌 대기업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19년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 기준, 애플의 점유율이 31.7%에 달합니다. 당사는 타깃에 특화된 제품이라는 차별성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 키즈폰 열풍을 일으킨바 있으며 국내에서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노르웨이, 2017년 호주 시장에 웨어러블 키즈폰을 런칭한 후 현재까지 판매를 이어가고 있으며 2019년 10월에는 미국 3대 통신사 중 하나인 티모바일(T-Mobile)을 통해 미국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6)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당사는 국내 최초의 웨어러블 키즈폰을 만든 회사로 단말 집적화, 안테나 최적화, 저전력 설계, 서버/애플리케이션 직접 개발 등 웨어러블 제품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누적 50만 이상 고객에 대한 데이터 및 대량 생산을 위한 품질 관리/양산 노하우를 보유, 제품의 기능 및 성능 고도화와 고객사 요구에 맞춘 다양한 제품 제작이 가능합니다. 2020년부터는 이러한 노하우와 역량을 바탕으로 시니어용 웨어러블 단말 등 AI 헬스케어 사업과 연계하여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나. AI 디바이스 사업
(1) 사업개요
'AI 스피커'는 AI(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스피커로 음악감상 기능 외 음성인식, 음성검색, 음성번역, 음성 비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AI 스피커가 홈 IoT 허브로 부상하면서 쇼핑, 셋톱박스, 가전 제어, 통화 등 기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최초 AI 스피커는 2014년 글로벌 유통사 아마존(Amazon)이 출시한 '에코(Echo)'입니다. 이후 구글 '구글 홈(Google Home)', 애플 '홈팟(HomePod)'등 글로벌 IT기업이 연달아 AI 스피커를 출시하면서 급격하게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6년 SKT가 최초로 AI 스피커 '누구'를 출시했으며, 2017년부터는 주요 IT 대기업에서 AI 스피커를 출시하면서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풍부한 ICT 디바이스 개발 및 제조 경험과 뛰어난 제품 디자인 능력을 바탕으로 2017년 국내 최대 포털사인 네이버를 통해 AI 스피커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클로바 프렌즈 시리즈 ▲클로바 프렌즈 미니 시리즈 ▲클로바 온+ ▲U+ AI 어벤져스 ▲기가지니 LTE 2 ▲클로바 클락+▲클로바 램프 등이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AI 스피커 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AI 디바이스 시장은 기반 기술인 인공지능 산업 발달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보급되고 통신 속도가 빨라지면서 세계적으로 매일 수십억 개의 데이터가 끊임없이 쌓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가치 있는 비즈니스 재료로 만들어 주는 핵심 도구로 꼽히는 것이 AI입니다. 인공지능 산업은 기업에 다양한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AI 스피커는 음성인식 인터페이스를 활용하기 위한 최적의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업은 AI 스피커, AI 웨어러블 등 인공지능이 탑재된 새로운 기기를 판매해 얻는 일차적 수익과 보급된 기기를 바탕으로 거래나 서비스를 제공한 수수료로 이차적 이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내외 인공지능 서비스 기업들은 기반기술(API)을 외부에 무료로 공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디바이스와 서비스, 앱이 연동되면서 관련 산업 규모도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체 AI 스피커 시장 외 지역적 성장세의 경우, 시장조사업체 IHS마킷(Markit)에 따르면 초창기에는 북미 지역이 시장을 견인했으나, 앞으로는 아시아가 고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2017년 전체 시장에서 북미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했으나 2023년에는 23% 수준까지 내려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아시아 판매 비중은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성장세의 요인은 스마트홈 시대 도래로 AI 스피커가 핵심 기기로 인식되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3) 시장의 안정성
AI 스피커 시장은 과포화 상태인 스마트폰 시장과 달리 아직 초기 단계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전 세계 AI 스피커 시장 규모는 2천 530만대로 전년동기대비 167.8% 증가했습니다. 2019년 AI 스피커 세계 판매량은 1억 4천 770만대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년대비 10% 늘어난 수치입니다.

 국내 AI 스피커 시장은 다른 나라에 비해 초기 단계로 평가받고 있지만, 대기업 및 IT 업체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어 새로운 기기와 사용자는 점차 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0년 3월 기준 이동통신 3사를 통해 판매된 인공지능 스피커 대수(누적)는 861만대로 전년대비 45.7% 증가한 수치이며 포털사 등을 통해 판매된 인공지능 스피커 대수를 포함하면 전체 시장 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쟁상황
국내 AI 스피커 시장은 인공지능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와 이 사업자에게 스피커를 공급하고 있는 디바이스 개발 및 제조로 영역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솔루션 주요 사업자는 3대 통신사와 2개 포털사가 진행하고 있습니다. 스피커 디바이스 회사는 IT 기반 기술 및 통신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경쟁 중이며, 일부는 중국 회사를 통해 제품을 생산하기도 합니다. 통신사업자는 IPTV 이용자를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포털사들은 자체 캐릭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출시된 AI 스피커는 크게 ▲SKT '누구' 시리즈 ▲KT '기가지니' 시리즈 ▲네이버 '클로바' 시리즈 ▲카카오 '카카오미니' 시리즈 등이 경쟁 중입니다. 

 당사는 국내 네이버 그리고 네이버를 통해 LGU+에 AI 스피커를 공급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는 KT에 '기가지니 LTE 2' 공급을 시작하였습니다.
해외 AI 스피커 시장은 아마존 '에코'와 구글 '구글홈'이 이끌다 최근 중국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및 구글 등도 화면을 탑재하고 쇼핑몰 및 영상통화 등 다양한 기능을 담은 스피커를 출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도 7인치 화면을 탑재한 '라인 클로바 데스크'를 일본에서 출시했습니다. 


(5) 시장 점유율

 국내 AI 스피커 시장은 통신사 및 포털사, 가전사들이 진출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각 업체들은 한국어 음성비서로 국내 시장을 선점하고 각 제품 차별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의 경우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기준, 세계 AI 스피커 시장에서 각 업체의 점유율은 ▲아마존 21.7% ▲구글 18% ▲바이두 15.8% ▲알리바바 14.1% ▲샤오미 13.1% ▲애플 4.3% ▲기타 12.9%로 조사됐습니다. 


(6)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AI 디바이스 개발 및 제조 영역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당사가 보유한 경쟁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구분

상세 내용

개발 영역

 스피커 드라이버 유닛, Passive Radiator 및 인클로저 자체 설계 기술

 음성, 음향 관련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전문팀 구축
 - 자체 DSP 알고리즘 개발, 포팅 및 튜닝 가능
 - 오디오 앰프 단의 음질 튜닝을 통한 최적 음질 구현 가능
 - Mic. Array 관련 AEC 튜닝 등 음성 관련 최적화

 국내 최고의 음향 기술 설비 및 전문가 활용
 - 무향실, 스피커 유닛 측정 장비, 오디오 측정 장비 등 전문 장비 및 설비 보유로 최적의 음질 구현

 서버와 기기, 기기와 기기 간 무선 통신 기술

 제품 소형화를 위한 회로 및 단말 집적 설계 기술

제조 영역

 다양한 ICT 디바이스 기획, 제조에 따른 구매 기획 능력 

 사업자의 가변적인 공급 요청에 탄력적으로 공급 가능한 소싱 능력
 - 유연한 생산 대응, 생산 설비 및 인력 운영 고정비 증가에 효율적 대응하기 위해 자체 공장을 운영하지 않고 EMS 전문 협력사에서 생산 진행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조 품질
 - 제조 부문의 핵심역량인 품질관리, 생산기술, 생산관리 기능은 당사 전문인력 조직을 구성해 EMS 전문협력사에 파견 및 상주로 밀착 관리

 제품 품질 관리를 위한 검사 및 신뢰성에 필요한 핵심 장비 보유

기타

 End User 대상 ICT 디바이스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뛰어난 디자인 능력


다. 5G-IoT 통신 단말 사업  

(1) 사업개요 

 당사는 LTE, 5G 등 통신 기술을 활용한 단말 사업을 진행 중이며 대표 기기는 모바일 라우터와 IoT 단말이 있습니다. 모바일 라우터는 인터넷 서비스를 무선으로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로 당사는 전 세계 약 30여 개국 통신 사업자에게 제품을 공급하며 2011년에는 3천만 불 수출의 탑과 수출유공자 대통령 표창, 2013년에는 '5천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습니다. 

 2009년에는 세계 최초로 WiMAX 모바일 라우터를 개발했으며, ▲2011년, 세계에서 가장 작은 WiMAX 모바일 라우터 개발 ▲2013년, 세계에서 가장 얇은 WiMAX 모바일 라우터 개발 ▲2014년, 국내 최고 사양 모바일 라우터 출시 ▲2016년, LTE 전용 모바일 라우터 출시 ▲2019년, 국내 최초로 번역 앱 기능을 갖춘 모바일 라우터 출시 등 통신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면서 시장을 선도하는 제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퀄컴 테크놀러지 Inc.와 5G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모바일 라우터, 산업용 라우터(CPE), 웨어러블 디바이스, AI 디바이스 등 다양한 5G 통신 단말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KT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확산 사업'에 5G 단말 공급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지능형 초연결망 선도 확산 사업은 5G 네트워크를 국가기관에 우선 적용하여 유선망 기반 업무환경을 무선망 기반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인포마크는 보안성이 강화된 5G 모바일 라우터를 공급하는 역할을 맡아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IoT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의 약자로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제품 등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부가해 정보를 생성, 상호수집, 공유, 활용하는 기술을 통칭합니다. 당사의 대표적인 IoT 단말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뎀 및 공유기 기능을 수행하는 'CPE'와 IoT 단말에 탑재돼 기계와 기계 간 사물 정보를 제공하는 'M2M 모듈'이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무선데이터 통신 단말 사업의 성장은 무선 통신 산업의 발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현재 무선 통신 산업은 LTE에서 5G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2018년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를 시작한 후 글로벌 시장도 선진국을 중심으로 5G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하단의 에릭슨 모빌리티 리포트(Ericsson Mobility Report November 2020)를 참고하면 통신 시장의 경우 새로운 통신 기술이 등장할 때 마다 단일 시장의 규모는 감소할 수 있으나 전체 마켓 규모는 증가합니다. 5G 같은 신기술이 등장하더라도 산업 현장에 따라, 혹은 개도국 등 시장 상황에 따라 3G, LTE 등 기존 통신 기술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통신 기술 별 모바일 가입자 수 전망 [출처-ericsson mobility report november 2020]

 

(3) 시장의 안정성

 코로나19 이후 원격교육, 재택근무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 비대면 활동이 새로운 일상(뉴노멀)으로 자리잡으면서 기업 및 개인의 IT 제품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모도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무선 라우터 시장은 2020년에 105억 7,220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1~2026년 연평균 성장률은 8.4%로 2026년 시장규모는 170억 8,49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쟁상황

 국내 모바일 라우터 시장은 2009년에 처음 생성되면서 다수의 제조사가 제품을 출시했으나, WiMAX에서 LTE로 전환되면서 시장이 축소되어 현재 통신 3사에 LTE 라우터 제품을 공급하는 회사는 당사가 유일합니다. 해외 시장은 다른 IT 기기 시장과 마찬가지로 중국 IT 대기업의 모바일 라우터가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5) 시장 점유율

국내 모바일 라우터 전체 시장 점유율과 관련하여 발표된 자료는 없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통신 3사에 모바일 라우터 제품을 공급하는 유일한 업체로서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6)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당사는 전 세계 30여 개국의 글로벌 통신사와 협업 경험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통신 환경 변화에 따라 통신사의 다양한 기술적 요구사항에 대응하면서 새로운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국가별 인증 및 통신사업자의 망인증을 통과하는 것은 영업적/기술적 노하우가 필요하며 이는 경쟁사의 시장진입 장벽이 됩니다. 또한 당사는 5G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확보와 정부 5G 사업 수주로 독보적 5G 기술 확보하며 통신 환경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5G 상용화가 본격화되고 있지만, 국내에 5G 모듈 및 단말을 만들 수 있는 당사를 비롯, 소수에 불과합니다. 



라. AI 헬스케어 사업
(1) 사업개요
스마트 헬스케어란 다양한 생체 또는 활동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 및 분석하고 이를 헬스케어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질병 예측, 예방의학, 환자 맞춤형 관리 등 혁신적인 고부가 가치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사의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Care+’는 웨어러블 및 AI 단말 기술을 활용한 시니어 케어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크게 병원 관리 서비스와 개인 서비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병원 관리 서비스는 치매/요양 환자 및 병상 관리를 위해 BLE Mesh 디바이스, GPS 기술, 웨어러블 및 AI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환자의 실내외 위치를 추적하고 환자의 호흡/심박수/낙상 등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입니다. 치매 환자 및 요양 환자의 관리에 유용한 기술로 현재 고려대 안암병원, 인하대병원, 명지병원 등과 협력하여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개인서비스는 웨어러블 단말들을 활용한 원격 건강 모니터링 서비스와 디지털 돌봄 서비스가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18년부터 헬스케어 관련 국가 과제를 연달아 수주하여 광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등과 함께 ▲의료용 조영제를 활용한 의료수술현장용 투시형 증강현실 기기 개발 및 상용화 기술개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내외 위치추적 기반 치매환자 돌봄 서비스 구축 및 실증사업 ▲통합감각자극 쿠션형 AI 스피커 기반 치매 예방 헬스케어 콘텐츠 개발 ▲커뮤니티 헬스케어 서비스 디자인 기반 loMT 연동 유니버셜 홈 케어 제품 및 시스템 개발 ▲중장년층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개인 맞춤형 운동 디바이스 및 서비스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고령화,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IoT/웨어러블/빅데이터 등 ICT 기술의 발전으로 의료 서비스 패러다임이 치료/병원 중심에서 예방/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급격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는 2019 년 세계 스마트 헬스 케어 시장 규모는 1,363 억 달러에 달하며, 2020 년에서 2027 년까지 연 평균 16.2 %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개인의 면역력과 함께 전 세계 의료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개선 요구가 증가하면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시장의 안정성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은 특히 고령화 시대 의료비 증대의 해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령 인구는 2019년 768만 명에서 2025년 1,051만 명으로 증가, 전체 인구의 20.3%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스마트폰 등 최신 기술에 익숙하고 경제력을 갖춘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스마트 헬스케어의 핵심 소비층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쟁상황
세계 시장에서는 주요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심전도 측정 등 건강 관리 기능을 강화한 애플워치를 출시하였고 IBM은 AI 시스템 '왓슨'을 통해 암 진단 및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도 주요 전자제품 제조사와 통신사를 중심으로 정부 기관 및 병원과의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5) 시장 점유율
현재 세계 스마트 헬스케어의 시장은 디지털 헬스케어와 인프라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활성화된 북미 지역의 점유율이 가장 높습니다.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북미 지역의 시장 점유율은 34.81%이며 유럽과 아시아가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아시아 시장의 경우 선진국을 중심으로 스마트 의료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신흥국 정부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의미 있는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품 및 서비스로 나누면 2019년 기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포함된 mHealth 분야의 매출 점유율이 약 47%로 가장 높으며 원격 의료와 RFID 칸반 시스템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6)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당사는 고령층 및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AI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대중화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정부 기관 및 종합 병원, AI 솔루션 사업자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실증 및 사업화한 노화우를 바탕으로 보다 스마트하고 차별화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마. 에듀테크 사업
(1) 사업개요
에듀테크(EduTech)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을 합성한 단어로 기존 교육에 AI, AR, VR 등 ICT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교육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어린이에 특화된 음성 인식 및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AI 챗봇 알고리즘 개발 ▲어린이 어학 학습 전용 AI 디바이스 개발 및 제조 ▲로봇, 드론,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소개하는 스팀(STEAM) 교육 콘텐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스피커를 활용한 대화형 어린이 영어 학습 기기 ‘Speaking Buddy(스피킹 버디)’를 런칭하여 BtoB, BtoG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2) 산업 성장성 

2010년도부터 영국, 미국, 일본 등 선진 국가들은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 및 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필수 교육과정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AR, VR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자기 주도 학습이 학원/학교 등 공급자 중심의 오프라인 대면 교육을 대체하는 새로운 교육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에듀테크 산업의 성장이 본격화되는 추세입니다.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764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8.1%로 예상됩니다. 


(3) 시장의 안정성
국내 시장에서는 초/중/고등학교의 원격 수업이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교육 등 대규모 수요가 발생함은 물론, 비대면 수업에 따른 학력 저하를 우려하는 학부모의 홈스쿨링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공교육과 사교육 시장 전반에서 홈스쿨링 트렌드가 확대됨에 따라 앞으로도 에듀테크 플랫폼 시장은 안정적인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경쟁상황
 해외 에듀테크 시장은 공교육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교육 서비스, IT 기술을 활용한 교육 도구,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에듀테크 기업이 나오면서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 입니다. 국내 교육시장 또한 에듀테크가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으면서 기존 교육업체는 물론 스타트업, IT 대기업 등 다양한 기업이 에듀테크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됨에 따라 교육용 로봇/애플리케이션 개발, 개인 맞춤형 서비스 출시 등 다양한 형태의 에듀테크 플랫폼이 등장하였습니다.
 

(5)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에듀테크 분야는 크게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당사는 세 가지 모두를 자체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영어 외에도 수학, 중국어 등 시장의 수요에 따라 자유로운 콘텐츠 확장이 가능하며, 현재 영어 교육 콘텐츠 전문 기업 이퓨쳐, 어린이 교육 콘텐츠 전문 기업 에누마코리아 등과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스피커 및 아동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전용 기기의 기술적 완성도 및 A/S 등 일반 교육 기업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당사는 인공지능 및 5G 통신기기 전문 기업입니다. 2002년 설립 이래, 급변하는 IT 환경 속에서 기술혁신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며 성장해왔습니다. 2009년 세계 최초 WiMAX 모바일 라우터 개발을 시작으로, 2012년 세계에서 가장 작은 WiMAX 모바일 라우터 개발, 2014년 국내 최초 웨어러블 키즈폰 개발 등 혁신적인 제품을 잇달아 출시하며 무선 통신 산업의 모바일 라우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을 선도해왔습니다. 현재 5G 상용화에 맞춰 정부 및 통신사, 글로벌 대기업과 협력하여 5G 통신 단말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2017년 국내 최대 포털사를 통해 AI 스피커를 출시한 후 통신사, 교육회사 등으로 공급처 다변화에 성공,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AI 스피커 모델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업그레이드 제품을 개발 및 출시하고 있습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ㆍ현금흐름표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정기총회일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연결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2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인포마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제 21 기말 제 20 기말
자                        산



Ⅰ.유동자산   53,080,838,211   34,726,075,342
1.현금및현금성자산 24,661,212,118   18,205,370,560  
2.단기금융상품 1,267,300,000   -  
3.매출채권및기타채권  10,543,889,852   11,761,272,409  
4.재고자산 15,000,672,606   4,016,807,128  
5.기타유동자산  1,607,763,635   742,625,245  
Ⅱ.비유동자산   17,012,180,197   7,276,531,984
1.매출채권및기타채권 2,783,421,600   639,000,000  
2.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758,694,619   -  
3.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4,032,498,477   5,576,655,593  
4.유형자산  565,529,450   932,165,290  
5.무형자산 5,486,199,339   77,776,000  
   6.사용권자산 674,549,916   50,935,101  
7.순확정급여자산  711,286,796    -  
자      산     총      계   70,093,018,408   42,002,607,326
부                       채        
Ⅰ.유동부채   27,875,494,413   24,964,484,579
1.매입채무및기타채무  5,483,930,278   3,083,379,891  
2.단기차입금  8,952,704,029   7,949,140,380  
3.전환사채  -   1,500,000,000  
4.리스부채  632,381,208   41,648,022  
5.판매보증충당부채  21,048,045   70,534,487  
6.기타유동부채  12,785,430,853   12,319,781,799  
Ⅱ.비유동부채   855,963,262   2,365,947,543
1.순확정급여부채  -   2,355,063,426  
2.리스부채  414,159,937   10,884,117  
   3.복구충당부채 122,505,682   -  
   4.비지배지분부채 991,675    -  
   5.기타비유동부채  318,305,968   -  
부      채     총      계   28,731,457,675   27,330,432,122
자                       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41,361,560,733   14,672,175,204
1.자본금  7,066,172,000   3,203,915,500  
2.자본잉여금  70,550,014,395   38,107,694,451  
3.기타자본  792,947,756   240,185,058  
   4.기타포괄손익누계액 18,692,304   430,545,101  
5.이익잉여금(결손금) (37,066,265,722)   (27,310,164,906)  
비지배지분
-
-
자      본      총      계
41,361,560,733   14,672,175,204
부  채  및  자  본  총  계
70,093,018,408   42,002,607,326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1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0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인포마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제 21 기 제 20 기
 Ⅰ.매출액    35,536,737,811   46,673,243,555
 Ⅱ.매출원가    32,293,665,549   39,761,872,577
 Ⅲ.매출총이익    3,243,072,262   6,911,370,978
 Ⅳ.판매비와관리비   9,858,725,250   9,563,413,969
 Ⅴ.영업이익(손실)    (6,615,652,988)   (2,652,042,991)
 1.기타수익  37,347,085   192,498,751  
 2.기타비용 2,049,733,798   988,094,967  
 3.금융수익  1,423,271,003   612,020,637  
 4.금융비용  2,015,780,577   1,205,097,882  
 5.관계기업처분손익 (435,014)   211,448,447  
    6.관계기업투자손상차손  -
(934,299,776)
 7.지분법손익 (1,030,051,144)   (742,520,893)  
 Ⅵ.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0,251,035,433)   (5,506,088,674)
 Ⅶ.법인세비용    -   653,612,296
 Ⅷ.계속영업이익(손실)    (10,251,035,433)   (6,159,700,970)
 Ⅸ.중단영업이익(손실)    -   -
 Ⅹ.당기순이익    (10,251,035,433)   (6,159,700,970)
 당기순이익의 귀속         
  (1) 지배기업의 소유주         
   1.지배기업소유주지분계속영업이익(손실)  (10,251,035,433)   (6,159,700,970)  
   2.지배기업소유주지분중단영업이익  -   -  
   3.지배기업의 소유주 귀속 당기순이익(손실)  (10,251,035,433)   (6,159,700,970)  
  (2) 비지배지분         
   1.비지배지분계속영업이익(손실)  -    
   2.비지배지분중단영업이익(손실) -   -  
   3.비지배지분 귀속 당기순이익(손실)  -   -  
 XI.기타포괄손익    83,103,176   1,787,905,784
  (1)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411,831,441)   419,236,652  
   1.지분법자본변동  (411,831,441)   419,236,652  
  (2)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494,934,617   1,368,669,132  
  1.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606,259,973   651,585,390  
  2.지분법이익잉여금 (111,325,356)   4,520,142  
  3.기타포관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712,563,600
 XII.당기총포괄손익    (10,167,932,257)   (4,371,795,186)
   1.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손익  (10,167,932,257)   (4,371,795,186)  
   2.비지배지분순손익  -   -  
 XIII.지배기업소유주지분주당손익         
   1.계속영업기본주당손익    (1,245)   (1,199)
   2.중단영업기본주당손익    -   -
   3.계속영업희석주당손익    (1,245)   (1,199)
4.중단영업희석주당손익    -   -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21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0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인포마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비지배지분 총  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이익잉여금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소계
2021년 1월 1일(전기초) 2,198,056,000 25,690,520,677 511,372,119 11,308,449 (22,519,133,068) 5,892,124,177 5,892,124,177
총포괄손익
 1.당기순이익(손실) - - - - (6,159,700,970) (6,159,700,970) - (6,159,700,970)
 2.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 - 651,585,390 651,585,390 - 651,585,390
 3.지분법이익잉여금 - - - - 4,520,142 4,520,142 - 4,520,142
 4.지분법자본변동 - - - 419,236,652 - 419,236,652 - 419,236,652
 5.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
- -  - 712,563,600  - 712,563,600  - 712,563,600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1.유상증자 666,771,500 7,824,194,952  -  - - 8,490,966,452 - 8,490,966,452
 2.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 - 35,844,240 (78,673,436) - - (42,829,196) - (42,829,196)
 3.전환사채의 전환 339,088,000 4,557,134,582 (192,513,625) - - 4,703,708,957 - 4,703,708,957
 4.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대체 - - - (712,563,600) 712,563,600 - - -
2021년 12월 31일(전기말) 3,203,915,500 38,107,694,451 240,185,058 430,545,101 (27,310,164,906) 14,672,175,204 - 14,672,175,204
2022년 1월 1일(당기초) 3,203,915,500 38,107,694,451 240,185,058 430,545,101 (27,310,164,906) 14,672,175,204 - 14,672,175,204
총포괄손익
 1.당기순이익(손실) - - - - (10,251,035,433) (10,251,035,433) - (10,251,035,433)
 2.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 - 606,259,973 606,259,973 - 606,259,973
 3.지분법이익잉여금 - - - - (111,325,356) (111,325,356) - (111,325,356)
 4. 지분법자본변동 - - - (411,852,797) - (411,852,797) - (411,852,797)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1.유상증자 3,862,256,500 32,300,933,231 - - - 36,163,189,731 - 36,163,189,731
 2.주식선택권  - 141,386,713 (136,984,325) - - 4,402,388 - 4,402,388
 3.전환권재매입손익 - - 689,747,023 - - 689,747,023 - 689,747,023
2022년 12월 31일(당기말) 7,066,172,000 70,550,014,395 792,947,756 18,692,304 (37,066,265,722) 41,361,560,733 - 41,361,560,733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21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0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인포마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원)
과                        목 제 21 기 제 20 기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7,425,589,675)   11,147,037,243
1.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16,962,717,391)   11,642,700,381  
2.이자의 수취 98,828,671   119,433,516  
3.이자의 지급 (561,700,955)   (615,096,654)  
4.법인세의 납부(환급)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1,725,426,893)   4,359,965,325
1.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8,677,498,091   4,454,644,015  
가.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118,000,000  
나.단기대여금의 감소 -   740,000,000  
다.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4,011,397,260   -  
      라.기타포괄-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1,015,200,000
마.유형자산의 처분 -   10,600,000  
바.무형자산의 처분 -   448,000,000  
사.정부보조금의 수령 -   18,424,015  
아.임차보증금의 감소 219,000,000   104,320,000  
      자.임대보증금의 증가 342,975,000
-
차.종속기업투자의 처분 4,104,125,831   -  
카.관계기업투자의 처분 -   2,000,100,000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0,402,924,984)   (94,678,690)  
가.단기금융상품의 취득 1,411,100,000   -  
나.단기대여금의 증가 500,000,000   -  
다.유형자산의 취득 647,144,362   48,388,690  
라.무형자산의 취득 5,264,342,004   -  
마.종속기업 및 관계기업투자자산의 취득 4,113,633,026   -  
바.임차보증금의 증가 1,048,565,000   46,290,000  
      사.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6,060,000,000
-
      아.장기선급금의 증가 1,358,140,592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5,607,450,214
565,707,49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60,451,413,992   16,236,702,491
가.단기차입금의 차입 9,582,871,851   7,745,736,039
나.유상증자 36,175,948,141   8,490,966,452
다.전환사채의 발행 14,600,000,000   -  
      라.리스채권의 회수 92,594,000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4,843,963,778)   (15,670,994,995)  
가.단기차입금의 상환 8,483,682,058   11,208,952,707  
나.리스부채의 상환 260,281,720   69,642,288  
다.전환사채의 상환 16,100,000,000   4,392,400,000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592,088)   (240,574)
Ⅴ. 현금의 증가(감소)   6,455,841,558   16,072,469,490
Ⅵ. 기초의 현금   18,205,370,560   2,132,901,070
Ⅶ. 기말의 현금   24,661,212,118   18,205,370,560



(2)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인포마크   (단위: 원)
과                        목 제 21 기말 제 20 기말
자                        산



Ⅰ.유동자산   50,405,568,777   34,626,705,634
1.현금및현금성자산 23,976,091,093   18,106,060,852  
2.단기금융상품 1,267,300,000   -  
3.매출채권  7,006,266,348   3,980,396,839  
4.기타채권 2,783,149,010   7,780,815,570  
5.재고자산  14,492,986,349   4,016,807,128  
6.기타유동자산  879,775,977   742,625,245  
Ⅱ.비유동자산   14,467,880,855   7,375,901,692
1.기타채권 1,417,756,008   639,000,000  
2.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4,201,013,731   99,369,708  
3.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4,023,865,451
5,576,655,593  
   4.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658,694,619
-
5.유형자산  545,872,980   932,165,290  
6.무형자산 221,857,335   77,776,000  
7.사용권자산  674,549,916   50,935,101  
   8.순확정급여자산 724,270,815
-
자      산     총      계   64,873,449,632   42,002,607,326
부                       채        
Ⅰ.유동부채   22,656,917,312   24,964,484,579
1.매입채무및기타채무  5,180,660,062
3,083,379,891  
2.단기차입금  5,952,704,029   7,949,140,380  
3.전환사채  -   1,500,000,000  
4.리스부채  632,381,208   41,648,022  
5.유동성충당부채  21,048,045   70,534,487  
6.기타유동부채  10,870,123,968   12,319,781,799  
Ⅱ.비유동부채   854,971,587   2,365,947,543
1.순확정급여부채  -   2,355,063,426  
2.비유동리스부채  414,159,937   10,884,117  
   3.비유동복구충당부채 122,505,682    -
   4.기타비유동부채 318,305,968    -
부      채     총      계   23,511,888,899   27,330,432,122
자                       본        
Ⅰ.자본금 7,066,172,000   3,203,915,500
Ⅱ.자본잉여금 71,342,962,151   38,347,879,509
Ⅲ.기타자본구성요소 18,692,304   430,545,101
   Ⅳ.이익잉여금(결손금)  (37,066,265,722)   (27,310,164,906)
자      본      총      계
41,361,560,733   14,672,175,204
부  채  및  자  본  총  계
64,873,449,632   42,002,607,326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1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0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인포마크   (단위: 원)
과                        목 제 21 기 제 20 기
 Ⅰ.매출액    35,536,737,811   46,673,243,555
 Ⅱ.매출원가    32,293,665,549   39,761,872,577
 Ⅲ.매출총이익    3,243,072,262   6,911,370,978
 Ⅳ.판매비와관리비   9,856,162,250   9,562,349,969
 Ⅴ.영업이익(손실)    (6,613,089,988)   (2,650,978,991)
 1.기타수익  37,347,079   192,498,751  
 2.기타비용 2,049,733,798   988,094,967  
 3.금융수익  1,423,189,817   611,586,929  
 4.금융비용  2,015,780,577   1,205,097,882  
 5.관계기업투자처분손익 (435,014)   211,448,447  
    6.관계기업투자손상차손 -
(934,299,776)
 7.지분법이익(손실) (1,032,532,952)   (743,151,185)  
 Ⅵ.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0,251,035,433)   (5,506,088,674)
 Ⅶ.법인세비용    -   653,612,296
 Ⅷ.계속영업이익(손실)    (10,251,035,433)   (6,159,700,970)
 Ⅸ.중단영업이익(손실)    -   -
 Ⅹ.당기순이익    (10,251,035,433)   (6,159,700,970)
 XI.기타포괄손익    83,103,176   1,787,905,784
  (1)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411,831,441)   419,236,652  
   1.지분법자본변동  (411,831,441)   419,236,652  
  (2)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494,934,617   1,368,669,132  
   1.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606,259,973   651,585,390  
   2.지분법이익잉여금 (111,325,356)   4,520,142  
   3.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712,563,600
 XII.총포괄손익    (10,167,932,257)   (4,371,795,186)
 XIII.주당이익         
  (1)기본주당이익(손실)   (1,245)   (1,199)
   1.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손실)    (1,245)   (1,199)
  (2)희석주당이익(손실)    (1,245)   (1,199)
1.계속영업희석주당이익(손실)    (1,245)   (1,199)



자 본 변 동 표
제 21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0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인포마크 (단위: 원)
과       목 자본 총  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구성요소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이익잉여금
2021.01.01 (Ⅰ.기초자본) 2,198,056,000 25,690,520,677 511,372,119 11,308,449 (22,519,133,068) 5,892,124,177
총포괄손익
 1.당기순이익(손실) - - - - (6,159,700,970) (6,159,700,970)
 2.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 - 651,585,390 651,585,390
 3.지분법이익잉여금 - - - - 4,520,142 4,520,142
 4.지분법자본변동 - - - 419,236,652  - 419,236,652
 5.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 - - - 712,563,600 - 712,563,600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1.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 - 35,844,240 (78,673,436) - - (42,829,196)
 2.전환사채의 전환 339,088,000 4,557,134,582 (192,513,625) - - 4,703,708,957
 3.유상증자 666,771,500 7,824,194,952 - - - 8,490,966,452
 4.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대체 - - - (712,563,600) 712,563,600 -
2021.12.31 (Ⅳ.기말자본) 3,203,915,500 38,107,694,451 240,185,058 430,545,101 (27,310,164,906) 14,672,175,204
2022.01.01 (Ⅰ.기초자본) 3,203,915,500 38,107,694,451 240,185,058 430,545,101 (27,310,164,906) 14,672,175,204
총포괄손익
 1.당기순이익(손실) - (10,251,035,433) (10,251,035,433)
 2.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606,259,973  606,259,973 
 3.지분법이익잉여금 - (111,325,356) (111,325,356)
 4. 지분법자본변동 (411,852,797) - (411,852,797)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1.유상증자 3,862,256,500 32,300,933,231 - - - 36,163,189,731
 2.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 - 141,386,713 (136,984,325) - - 4,402,388
 3.전환권재매입손익 - - 689,747,023 - - 689,747,023
2022.12.31(Ⅳ.기말자본) 7,066,172,000 70,550,014,395 792,947,756 18,692,304 (37,066,265,722) 41,361,560,733



현 금 흐 름 표
제 21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0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인포마크 (단위: 원)
과                        목 제 21 기 제 20 기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7,665,572,253)   11,147,727,535
1.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17,202,618,783)   11,643,824,381  
2.이자의 수취 98,747,485   118,999,808  
3.이자의 지급 (561,700,955)   (615,096,654)  
4.법인세의 납부(환급)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9,071,255,632)   4,259,965,325
1.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4,573,372,260   4,454,644,015  
가.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118,000,000  
나.단기대여금의 감소 -   740,000,000  
다.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1,015,200,000  
라.유형자산의 처분 -   10,600,000  
마.무형자산의 처분 -   448,000,000  
바.정부보조금의 수취 -   18,424,015  
사.임차보증금의 감소 219,000,000   104,320,000  
아.임대보증금의 증가 342,975,000   -  
자.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처분 -   2,000,100,000  
      차.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4,011,397,260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3,644,627,892)   (194,678,690)  
가.단기금융상품의 취득 1,411,100,000   -  
나.단기대여금의 증가 500,000,000   -  
다.유형자산의 취득 627,487,892   48,388,690  
라.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5,960,000,000   -  
마.종속기업 및 관계기업투자자산의 취득 4,105,000,000   100,000,000  
바.임차보증금의 증가 1,041,040,000   46,290,0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2,607,450,214   565,707,49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57,451,413,992   16,236,702,491  
가.단기차입금의 차입 6,582,871,851   7,745,736,039  
나.유상증자 36,175,948,141   8,490,966,452  
다.리스채권의 회수 92,594,000   -  
      라.전환사채의 발행 14,600,000,0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4,843,963,778)   (15,670,994,995)  
가.단기차입금의 상환 8,483,682,058   11,208,952,707  
나.리스부채의 상환 260,281,720   69,642,288  
다.전환사채의 상환 16,100,000,000   4,392,400,000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592,088)   (240,574)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   5,870,622,329   15,973,159,782
Ⅵ.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8,106,060,852   2,132,901,070
Ⅶ.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3,976,091,093   18,106,060,852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21 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0 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인포마크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처리예정일 : 2023년 3월 29일) (처리확정일 : 2022년 3월 30일)
I. 미처리결손금   37,066,265   27,310,165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27,310,165)   (22,519,133)  
당기순손실 (10,251,035)   (6,159,70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606,260   651,585  
지분법이익잉여금 (111,325)   4,520  
대체  -   712,564  
II. 결손금처리액    -   -
III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37,066,265   27,310,165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제21기(2022.1.1~2022.12.31) 제20기(2021.1.1~2021.12.31)
보통주 - -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47 (생략)
<신규>






48. 각호에 관련된 부대 사업

제2조(목적)

회사는 다음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47 (좌동)
48.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49. 빅데이타 분석 서비스 및 솔루션 제공

50. 응용어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

51. 광고 대행업

52. 인터넷마케팅대행

53. 판매촉진 및 이벤트행사
54. 인터넷방송 및 미디어사업
55. 각호에 관련된 부대 사업

사업다각화

제10조(신주인수권)

① ~ ②(생략)

③ 제2항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제1호에서 제4호까지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기일의 2주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④ ~ ⑤(생략)

제10조(신주인수권)

① ~ ②(좌동)

③ 제2항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제1호에서 제4호까지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기일의 2주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9에 따라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 및 거래소에 공시함으로써 그 통지 및 공고를 갈음할 수 있다. 

④ ~ ⑤(좌동)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적용

제14조(명의개서대리인)

① ~ ③(생략)

④ 제3항의 사무취급에 관한 절차는 명의개서대리인의 증권의 명의개서대행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

제14조(명의개서대리인)

① ~ ③(좌동)

④ 제3항의 사무취급에 관한 절차는 명의개서대리인이 정한 업무규정에 따른다.

전자등록제도에 따른 변경

제16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①회사는 매년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주주의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

회사는 매 결산기 최종일의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3 월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이사회의 결의로3월 내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의 정지와 기준일 지정을 함께 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사는 주주명부 폐쇄기간 또는 기준일의2 주간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제16조(기준일)

(삭제)

 

회사는 매 결산기 최종일의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사회의 결정으로 정한 날의 2주간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전자등록제도에 따른 변경

제19조의 3(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본 회사는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한다. 다만, 사채의 경우 법령에 따라 전자등록이 의무화된 상장사채등을 제외하고는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제19조의 3(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본 회사는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한다. 다만, 사채의 경우 법령에 따라 전자등록이 의무화된 상장사채등을 제외하고는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문구를 명확히 함

제35조(이사의 임기)

①(생략)

②보궐선임된 이사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제35조(이사의 임기)

①(좌동)

②(삭제).

보궐선임된 이사의 임기 제한 삭제

부      칙

제3조 (시행일)

<신 규>

부      칙

제3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3년 3월 29일부터 개정 시행한다.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사항은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정강호 1969. 01. 28 - - - 이사회
신세정 1977. 12. 15 - - -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정강호 (주)인포마크 전무이사 2022.06 ~ 현재
2021.11 ~ 2022.06
2019.10 ~ 2021.10
- (주)인포마크 전무이사
- (주)케이웨이브 대표이사
- (주)스카이이앤엠 전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신세정 (주)코드네이처 이사 2022.06 ~ 현재
2022.03 ~ 2022.05
2011.03 ~ 2022.03
- (주)코드네이처 이사
- (주)인포마크 이사
- (주)스카이이앤엠 이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정강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신세정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정강호 사내이사 후보자 추천 사유
정강호 후보자는 (주)인포마크의 전무이사로 당사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고 전무이사로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한 바 당사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충분한 역할을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함.

○ 신세정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 추천 사유
신세정 후보자는 (주)인포마크의 미등기 이사로서 경영기획 업무를 진행한 바 있으며, 회사의 사업목적 및 현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업무를 수행하였는 바 회사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충분한 역할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신세정)

확인서(정강호)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신봉훈 1963. 11. 29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신봉훈 세무사 1984.04 ~ 2004.04
2007.01 ~ 현재
- 국세청
- 세무법인신화 대표세무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신봉훈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신봉훈 감사 후보자 추천 사유

신봉훈 후보자는 폭넓은 세무, 회계 경험을 갖춘 전문가로서 기업 세무 및 자문 등 다양한 업무 지식을 토대로 당사 경영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감사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어 감사 후보자로 추천함.


확인서

확인서(신봉훈)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0)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0)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44백만원
최고한도액 1,0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21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개최 1주 전까지(2023년 3월 21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사업보고서는 정기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사항

당사는 사업장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인의 내방시 마스크 착용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주주총회 당일 발열,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은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4001274

휴먼테크놀로지 (17514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