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파스넷 (17313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03-15 11:05: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213



주주총회소집공고


 2023년     03월     15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
대 표 이 사 : 장수현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2, 10층(대치동, 신안빌딩)

(전   화)1899-4507

(홈페이지)http://www.opasnet.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부사장 (성  명)김기준

(전  화)1899-450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9기 정기)


◎ 제19기 오파스넷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강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4조에 의하여 제1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총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 통지 및 공고를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을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03월 30일(목) 오전 0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8 섬유센터빌딩 2층 컨퍼런스홀 C1  

※ 주차가 불가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3) 영업보고
    4)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안건

     1) 제1호 의안 : 제19기(2022년 01월 01일 ~ 2022년 12월 31일) 재무제표(이익잉           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주당 현금배당금 50원)
    2) 제2호 의안 : 상근감사 황상재 선임의 건
    3)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의안의 세부내용은 'III. 경영참고사항 2.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제3항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국민은행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 관리업무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03월 20일 09시 ~ 2023년 03월 29일 17시

      - 첫날은 오전 09시부터 전자투표시스템 접속이 가능하며, 그 이후 기간 중에는
     24시간 접속이 가능합니다. (단, 마지막날은 17시까지만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다. 행사방법
   시스템에서 인증서를 이용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를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한국예탁
    결제원 전자투표서비스 이용 약관 제11조 제2항)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본인이 직접 의결권 행사시
    정기주주총회 참석장, 본인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나.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 행사시
    정기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인감증     명서(개인/법인)), 대리인의 신분증

7.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0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  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주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에 관한 안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예방을 위해 총회장 입장 전 체온측정 및 손소독제 사용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며, 발열 및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하여 주시고 당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자투표를 활용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시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밀폐, 밀집, 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항에서 함성,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주주총회 참석하시는 주주님께서는 마스크 착용 및 주총장 내 음식물 섭취 금지를 '적극 권고' 드립니다.

※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따라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나일자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9. 기타사항
금번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께 별도의 선물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2023년 03월 15일
                                            주식회사 오파스넷
                                      대표이사 장 수 현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신동훈 사외이사
(출석률: 90%)
찬 반 여 부
1 22.01.20 신한은행 근보증용 지급보증서 발급에 관한 건 찬성
2 22.01.21 하나은행 근보증용 지급보증서 발급에 관한 건 찬성
3 22.01.28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 운영실태 보고의 건 찬성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찬성
전자투표 도입의 건 찬성
영업보고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찬성
4 22.03.03 제 18기 별도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5 22.03.03 제 18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6 22.03.08 내부회계관리규정 전부 개정의 건 찬성
한국씨티은행 여신 약정에 관한 건 찬성
7 22.03.30 제18기 정기주주총회 -
8 22.03.30 대표이사 재선임의 건 -
9 22.04.08 한국씨티은행 여신 증액 약정에 관한 건 찬성
10 22.04.21 기업은행 신규 여신 약정에 관한 건 찬성
11 22.05.12 우리은행 여신 증액 약정에 관한 건 찬성
12 22.06.13 매출채권 양도 한도 약정의 건 찬성
13 22.06.30 국민은행 운전자금대출 약정의 건 찬성
14 22.07.20 한국씨티은행 여신 갱신 약정에 관한 건 찬성
15 22.08.29 우리은행 여신약정 갱신의 건 찬성
16 22.10.04 신한은행 근보증용 지급보증서 갱신에 관한 건 찬성
17 22.10.05 하나은행 포괄여신한도 약정 갱신에 관한 건 찬성
18 22.11.16 국민은행 근보증용 지급보증서 갱신에 관한 건 찬성
19 22.12.09 명부폐쇄기준일 및 이익배당기준일 설정에 관한 건 찬성
20 22.12.19 현금배당 결정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7,000 12 12 -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전체 이사보수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원재료 매입

(주)아미고넷

(관계기업)

2022.01.01 ~
2022.12.31
87 11.3%

* 상기 비율은 2021년 말 별도재무제표 자산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아미고넷
(관계기업)
원재료 매입 2022.01.01 ~
2022.12.31
108 14.0%

* 상기 비율은 2021년 말 별도재무제표 자산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국내 기업용 ICT 시장 전망

전세계 경제는 코로나19 충격여파를 벗어나기 시작했지만 러시아-우크라 전쟁 등에 따른 교역 저조, 고금리, 고물가 여파로 다시 경기침체 국면에 들어섰습니다.

이에 따른 기업 ICT시장은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펜데믹 교훈으로 인한 Cloud 인프라 구축이 전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디지털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DX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전반적인 불황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필수적인 인프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2022년 국내 기업 ICT 시장 규모는 36조 7690억원으로 작년 예상치인 3.2%를 웃도는 8%의 고성장세를 보여주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Gartner에 따르면 세계 ICT 시장은 2022년대비 6.1% 성장할 것이라고 낙관하였으며, 국내 시장조사기관인 KRG도 2022년 국내 ICT 시장이 2021년대비 8.0% 성장하는 데 이어 2023년에도 6.6%라는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 전쟁 등 교역 저조, 고금리, 고물가 여파로 인한 경기침체 국면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이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Cloud 구축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기반 인프라로 인식되면서 업종을 망라하고 Cloud 구축의 수요가 증가하며, AI고도화 및 Big Data, Block Chain, Smart Factory 등 신기술 도입에 대한 의지가 높은 것이 주요 상승 요인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2023년 국내 ICT 시장 전망 ]
(단위 : 십억원)

[2023 국내 ICT 시장 전망]

Source : KRG

(2) 국내 산업별 기업용 ICT 시장 전망

기업용 IT 시장을 구성하는 산업은 크게 공공 및 SoC, 금융, 제조업종, 인터넷/미디어, 유통/물류 및 기타 서비스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공공 및 SoC산업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축관련 공공 정보화 프로젝트가 다수 발주될 것으로 예상되며,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 분야 안전관리,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 이슈로 부각되어 2022년대비 7.0% 성장을 전망하여 10조 400억원 규모로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어서 제조업은 로봇 시스템 공정 전반에 투입되고 대기업 주도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및 협력업체로의 확대, 비용 절감 화두, 오프쇼어링, 고객 접점 부문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중대재해법에 따른 스마트 안전관리 등 전반적인 경기 둔화에 진입했지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추진 강화로 2022년대비 3.1% 성장한 8조 310억원 규모의 시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금융산업은 기간 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Metaverse, AI고도화 등 신기술을 접목하며 기존 ICT기업의 금융권 사업확대, 디지털 뱅킹 Mydata 등의 신규 사업 추진과 비대면 서비스 구현을 위한 투자 확대로 2022년대비 6.3%의 높은 성장을 통하여 8조 100억원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터넷/미디어 산업은 Cloud 도입과 데이터센터 구축, 데이터센터 이중화 및 보안 시스템 업그레이드 등 2021년에 단행된 공격적인 투자가 이어지면서 2022년대비 9.5%의 높은 성장으로 7조 3,500억원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유통/물류, 기타서비스 산업은 AI, 빅데이터, Metaverse, 서비스 로봇 등을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확대, NFT의 확산으로 2022년대비 7.8% 성장한 5조 4,000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2023년 분문별 국내 IT 시장 전망 ]
(단위 : 십억원)


[2023 산업별 기업용 ICT시장 전망]

Source : KRG

(3) 네트워크 통합(NI) 및 시스템 통합(SI) 산업의 특성

  

(가) 국가 기간산업

 

시스템통합 및 네트워크통합 산업은 직접적으로는 통신, 방송, 인터넷 및 다양한 융합 미디어 서비스 제공은 물론, 간접적으로는 전 산업과의 융합을 촉진하는 기반 조성을 위해 필요한 장비 시스템을 공급하는 산업입니다. 산업 전반에 걸쳐 산업 발전의 근간이 되는 산업이기 때문에, 국가 기간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가 단위에서 네트워크 통합 산업에 대한 육성 및 관리가 진행되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기술력 및 경험력이 요구되는 산업으로 범국가적인 지원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국가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산업입니다.

(나)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산업

  

네트워크 장비가 설치 및 운용을 시작하게 되면 짧게는 5년에서 길게는 10년 동안 무중단 서비스로 운용되게 됩니다. 장비가 중단될 경우 네트워크가 모두 단절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산업이며, 이에 따라 하나의 장비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시험을 다방면에서 거치게 됩니다. 네트워크의 안전성이 중요한 일부 대기업 또는 공공기관의 경우 별도의 자체적인 테스트 기준을 마련하여 추가적인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에 한해서 공급을 하기도 하며, 당사의 경우 이러한 테스트를 무사히 통과할 수 있도록 엄격하고 심도있는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 고객에 대한 기술 서비스 제공이 중요한 산업 

  

네트워크 장비는 국제 표준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비의 상호 연동에 대한 보장과호환성을 요구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고객인 일반 기업 및 공공기관의 네트워크 사용 환경에 따라 고객이 원활하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해 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장비 활용에 대한 검증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라) 진입장벽이 존재하는 산업

  

네트워크 장비 시장에서는 기술력과 자금, 브랜드 인지도를 갖춘 글로벌 업체들이 독과점 형태로 시장을 지배하고 있어, 경험과 자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약한 후발 업체가 시장에 진입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글로벌 선도 기업의 국내 시장 공략을 위한 저가 정책이 확대됨에 따라 가격 측면에서의 진입장벽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통합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업체 중 일정 요건을 갖춘 회사들은 글로벌 장비 업체의 파트너사로 지정되어 장비를 납품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장비 업체의 파트너사로 지정된 업체는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 보수에 필요한 장비를 유리한 조건으로 납품받고 있어, 신규 업체들에게는 가격적인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네트워크 장비가 시장에서 인정받기까지 많은 검증 및 자원이 투입되게 됩니다. 고객이 제품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스펙이나 브랜드 인지도, 제조사의 규모 및 기술 지원 여부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기 때문에, 해당 제품에 대한 기술력 및 프로젝트 실적이 부족할 경우 시장에 진입하기 어렵습니다.


(4) 수요 변동 요인 

 
IT 산업에 대한 투자는 경기 변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경기 하락 국면에 IT 투자는 비용 절감을 위한 첫 번째 고려 대상이 되는 등 선행적인 성격이 강하며 경기상승 국면에서는 IT 투자를 후순위로 생각하는 후행적인 성격이 강합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네트워크 통합 구축 및 유지보수는 기업 및 공공기관의 IT 투자에 따라 영업 활동이 발생합니다. IT에 대한 투자를 통하여 장비를 구입하거나, 증가된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등의 용역 필요성 역시 높아집니다.

(5) 경쟁상황 

  

네트워크 장비 산업은 R&D 집약적인 지식산업으로 초기 시장 선점을 통한 높은 진입장벽이 형성되어 있어 독과점 현상이 뚜렷한 산업입니다. 세계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미국의 Cisco Systems의 점유율이 60% 수준을 보이고 있고, 국내 시장 점유율 역시 50%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는 선점을 통한 고유벤더 기능을 구매 사업의 규격에 반영하여 사업의 참여를 차단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존의 독과점 업체들은 국내 시장에서 지속적인 독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저가 정책 확대 등 경쟁을 보이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통합 시장은 중소 규모의 다수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네트워킹 기술은 단순한 장비 납품이 아닌 효율적인 네트워크 제안·설계, 시스템 운용상의 신뢰성을 필요로 하고 기술력, 수행 경험, 품질관리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기업체의 네크워크 통합, 공공기관 및 금융권 네트워크 통합과 다양한 솔루션등에서 강세를 유지해온 네트워크 통합(Network Integration) 전문 기업에서 최근에는 SI(System Integration)분야 및 컨설팅 시장에 진출하는 등, Total ICT 서비스 업체를 목표로 지속적으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매출처로는 SK텔레콤, SK텔링크, SK주식회사 등 SK그룹 계열사와 삼성전자, 한국거래소, KB국민카드, 넥슨, 엔씨소프트, 쿠팡, 한화시스템등 국내 주요 대기업을 포함하고, 삼성SDS, LG CNS, 포스코ICT와 같은 그룹사의 IT 업체와 IBM, AT&T 등의 글로벌 IT 업체, 공공기관, 국방부 등 정부부처를 아우르는 다양한 고객군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객사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설계, 구축 운영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당사는 2011년 Cisco SI Gold 파트너사로 전략 선정되어 시스코시스템즈의 다양한 고사양, 고품질의 제품들을 국내외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업계 최고의 기술력과 서비스 품질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구축 및 운용에 필요한 기술력의 확보로 NI Total Solution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SI, NI시장에서 IT 자원(서버,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스위치, 라우터 등) 및 실제 비즈니스 트래픽(데이터 흐름)을 관리, 모니터링,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각 구간 및 트래픽 제어 등에 대한 요구가 매우 일반화된 상황임을 감안하여, 당사는 관련 솔루션들을 다양하게 확보하고 고객에 통합 제공함으로써, 토탈 ICT 솔루션/서비스 공급자로서 업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네트워크통합(Network Integration) 및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사업

당사는 네트워크 통합(NI, Network Integration) 및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Total ICT 서비스 업체를 목표로 지속적으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용어설명 : 네트워크 통합(NI, Network Integration)]
- 네트워크 통합의 약자 NI는, Network Integrat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뿔뿔이 흩어져있는 네트워크를 하나로 통합하여 기업 경영 환경과 고객 환경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네트워크 통합 사업은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 구축, 운영, 유지보수에 이르는 모든 제반 과정을 이르는 것으로 기업 내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과 최상의 인프라를 제공하는 사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용어설명 :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
- 시스템 통합의 약자 SI는, System Integration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객이 직면한 문제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서비스 도입에 따른 IT 인프라 시스템 구축 시 해당 업무 전체(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장비납품, 구축, 운용, 유지보수)를 위탁받아 진행하는 사업입니다. 필요한 경우 각 분야별 전문 기업과 협업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IT 인프라의 전 영역을 수행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솔루션(Solution) 사업

가) Cisco SDN(Software Defined Network)

Cisco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을 기반으로 차세대 데이터 센터의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따른 IT 인프라의 민첩성, 가상화 도입과 Hybrid환경, 표준 방식의 개방성을 통한 Devops 기반의 인프라 환경의 요구 상황에 따라 비즈니스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제공하고 있으며, 가상화 환경과 애플리케이션 중심의 설계와 정책 기반의 구성을 통해 편리하게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Flow NMS(플로우 기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Flow NMS 솔루션은 NMS의 기능적 한계와 다른 분석 Tool의 복잡성 등의 단점을 보안하여 대형 Network망이나 Critical Service를 운용하는 기업을 위한 솔루션입니다. 대규모 Network에서 End to End 실시간 IP Flow의 raw-data를 Big Data로 생성하여실시간 분석/모니터링 및 Event에 대응하고 변경 관리, 운영 최적화의 기능을 제공하는 등 차세대 Network 분석 관리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Flow NMS는 Netflow, Sflow, IPFLX, Netstream 등의 IP 흐름 정보(Flow)를 활용하여 고객 서비스 관리에 초점을 맞춘 솔루션 제품으로, 서비스 플로우 감시 및 트렌드를 분석하고 피벗 기반의 통합 플로우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 비즈니스협업 / 화상회의

Cisco의 Spark는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자간 음성, 영상을 통한 원격회의, 자료 및 파일 공유 등과 함께 기존 화이트보드의 기능을 디지털 화이트보드로제공하여 원격 회의 중에도 상호간의 판서를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솔루션으로 유지 관리에 편리함을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회의실에 모여 있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나 회의실에서 필요한 모든 기능들을 온라인으로 활용하여 기업 내의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있습니다.

IT 통합서비스 사업

1) 디지털돌봄 통합 모니터링 플랫폼

스마트 돌봄 및 노인복지 IoT 인공지능 플랫폼은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고독사방지, 노인복지 지킴이 등을 구축하는 생활안전 모니터링 서비스로,  IoT 기반 센싱 장비와 인공지능 기술 융합을 통한 AI 딥러닝, 위치, 활동 지수 및 생체신호 정보 수집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헬스케어 의료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이 결합된 다양한 스마트폰앱과 웨이러블 디바이스(IoMT)를 연계하여 환자 개인별로 특화된 질병 진단 및 치료 서비스,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질병예방 서비스를 구축하여 개인이 소유한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나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 등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중심의 의료 데이터 통합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네트워크 장비 산업은 R&D 집약적인 지식산업으로 초기 시장 선점을 통한 높은 진입장벽이 형성되어 있어 독과점 현상이 뚜렷한 산업입니다. 세계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미국의 Cisco Systems의 점유율이 60% 수준을 보이고 있고, 국내 시장 점유율 역시 50%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주요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는 선점을 통한 고유벤더 기능을 구매 사업의 규격에 반영하여 사업의 참여를 차단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존의 독과점 업체들은 국내 시장에서 지속적인 독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저가 정책 확대 등 경쟁을 보이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통합 시장은 중소 규모의 다수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네트워킹 기술은 단순한 장비 납품이 아닌 효율적인 네트워크 제안·설계, 시스템 운용상의 신뢰성을 필요로 하고 기술력, 수행 경험, 품질관리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네트워크 통합(NI) 및 시스템 통합(SI)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인터넷 접속, 연결이라는 기본적 기능을 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데이터센터, 보안 탐지 및 차단, 화상회의 등의 협업시스템 등 그 관계 분야를 넘나들며 ICT 전방위로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당사와 같은 선도적 NI, SI 업체들은 고객의 새로운 요구에 따라 시장의 규모 자체가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관계 사업의 발굴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토탈ICT솔루션/서비스 공급 업체를 목표로 인력 투자와 기술력 제고 등에 전방위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간 진행되어온장비 판매, 설치 위주의 사업 방식을 탈피하여 솔루션, 컨설팅 서비스 분야를 개척하고 확대하는 등의 경쟁력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모든 NI, SI 업체가 이러한 발전방향에 따른 변화의 노력을 경주하는 것은 아니고, 당사와 같은 일정한 고객을 확보하고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하고자 노력하는 일부 업체가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내시장 관점에서, 향후로는 전통적인 L2-L3 기반의 유선네트워크 시장 또한 안정적인 시장 규모를 유지하겠고, 이미 대세로 접어든 사물인터넷,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모바일 트래픽 증가 및 속도개선 요구가 거세짐에 따라 5G 세대를 선도할 무선랜 장비군과 Core 장비군에 대한 시장 확대가 예상되며, 어플리케이션 계층까지 아우르는 L4-L7 스위치 및 관련 솔루션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오파스넷은 국내 대기업 통신사와 5G IP백홀 납품계약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트래픽이 집중될 5G 백홀 대용량 라우터의 공급을 꾸준히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5G 구축사업은 전국망 구축 완료까지 장기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어플리케이션도 5G 구축 완료에 따라 더욱 확대 재생산 될 것으로 보이는 바, 5G 구축은 초도 구축이 완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성능개선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따라 고도화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오파스넷은 지속적인 공급 요구에 대처하고자 속도감 있는 사업 전개를 목표로 새로이 비즈니스 전략본부(Business Tranformation Divison)를 신설하고 전문인력을 배치하여 기술역량의 컨트롤타워를 강화했습니다. 이 비즈니스 전략본부(BTD)는 지속적인 기술투자와 혁신적 솔루션 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가상화(NFV), RAN 등이 융합된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궁극적으로 5G 네트워크 엔드투엔드(End-to-End) 자동화 지원을 마련하여 전략적 시장 대응을 함으로써 IT솔루션 전문업체의 선두주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솔루션 사업 - 비즈니스협업 / 화상회의

당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기업이 늘면서 재택근무나 비대면 회의가 많아지고 있어 화상회의 솔루션 관련 신규 수요에 따른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오파스넷은 Cisco 화상회의 솔루션인 "웹엑스(Cisco Webex)"를 공급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뿐만아니라 하드웨어까지 포함함으로써 단순한 화상회의를 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시스템은 기업체 회의뿐 아니라 학교 "원격 강의"로도 활발히 쓰이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모레퍼시픽, 한양사이버대학교,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 등 다양한 기업, 학교, 공공기관에 해당 시스템을 공급함으로써신규 고객사 발굴 및 매출 증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IT 통합서비스 사업 - 디지털돌봄 통합 모니터링 플랫폼

당사는 최근 들어 "센서 기반 사물인터넷(IoT) 환경 구축에 핵심이 되는 3-in-2 게이트웨이(모델명 Opas GW 1000)를 개발하기 위해 역량이 우수한 인력을 집중 투입하여 단기간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번 최초 개발한 범용 게이트웨이는 IoT 환경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센서 기술인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 무선통신 기술과 동시에 랜(LAN)을 지원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모델로써 향후 LTE/5G 모뎀 추가로 시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범용 게이트웨어 장비로 확장시킬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누리온과 공동 개발한 레이더 센서(모델명 ONDAR-NW(Z)10)는 24GHz 대역의주파수를 사용해 비접촉으로 재실 측정이 가능하고 인체의 호흡, 심박수, 활동량 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체 무해성 인증 취득과 심박수 정확도 인증 등을 통해 제품의 기능 및 성능의 우수성과 안정성을 획득하였습니다.
이번에 개발한 레이더 센서는 기존 레이더 센서 방식과 비교해 진일보한 재실, 호흡, 심박수, 활동량 등 4가지를 동시 측정이 가능하며 특히 정확도가 향상돼 고령자, 장애인 등의 응급상황에 대해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디지털 돌봄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기업, 지자체 등 관련 기관의 관심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가 개발한 3-in-2 게이트웨이와 공동 개발한 레이더 센서는 현재 디지털 돌봄 사업의 주체인 지자체, 의료기관, 보건복지 관련 분야에 적극적으로 제안할 예정이며, IoT 센서 기반의 디지털 돌봄 서비스 제공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와 같이 오파스넷은 대내외 불확실한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도 주요 고객사의 투자확대 등을 바탕으로, 산업별 핵심 추세에 특화된 IT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해 지속적인 고도성장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4) 조직도

20221231_오파스넷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19기(2022.01.01~2022.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주당 현금배당금 : 50원)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연결 및 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19(당)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18(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19(당)기 기말 제18(전)기 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100,240,728,753 64,942,596,898
 현금및현금성자산 13,004,426,345 22,555,200,036
 단기금융상품 2,493,509,550 2,278,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136,730,600 1,649,695,000
 매출채권 23,863,507,188 16,125,593,983
 기타금융자산 2,444,914,235 313,518,065
 기타유동자산 8,962,827,823 5,128,980,575
 재고자산 48,334,813,012 16,891,609,239
Ⅱ. 비유동자산 19,050,632,457 11,944,518,965
 장기금융상품 - 15,509,550
 장기매출채권 7,547,155,576 467,528,76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882,861,665 1,889,059,769
 기타비유동금융자산 4,548,643,087 4,528,799,430
 기타비유동자산 908,122,291 733,415,598
 관계기업투자주식 34,357,645 55,666,823
 유형자산 1,654,607,450 1,631,037,614
 무형자산 753,797,133 753,797,133
 이연법인세자산 1,721,087,610 1,869,704,287
자  산  총  계 119,291,361,210 76,887,115,863
부   채

Ⅰ. 유동부채 74,022,417,242 39,019,795,109
 매입채무 25,488,776,200 20,512,120,112
 단기차입금 29,833,919,026 5,338,576,541
 유동성장기차입금 531,130,500 -
 리스부채 636,549,415 632,542,396
 기타금융부채 4,372,582,868 4,859,571,728
 기타유동부채 11,855,390,356 6,575,862,484
 당기법인세부채 968,826,087 743,635,571
 충당부채(연월차) 335,242,790 357,486,277
Ⅱ. 비유동부채 9,939,620,569 8,857,269,846
 장기매입채무 215,997,372 371,142,922
 장기차입금 2,206,453,500 -
 퇴직급여부채 4,345,843,494 5,397,226,184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207,458,202 208,376,445
 장기리스부채 462,067,301 404,886,343
 기타비유동금융부채 2,190,552,280 2,190,552,280
 이연법인세부채 109,220,286 109,220,286
 판매보증충당부채 122,028,134 95,865,386
 복구충당부채 80,000,000 80,000,000
부 채 총 계 83,962,037,811 47,877,064,955
자   본

Ⅰ. 지배기업소유주지분 35,329,323,399 29,010,050,908
   자본금 5,930,215,000 5,930,215,000
   자본잉여금 7,303,117,180 7,303,117,180
   기타자본 (935,944,380) (935,944,38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72,643,680) (273,120,980)
   이익잉여금 23,304,579,279 16,985,784,088
Ⅱ. 비지배지분 - -
자 본 총 계 35,329,323,399 29,010,050,908
부채및자본총계 119,291,361,210 76,887,115,863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9(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8(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19(당)기 제18(전)기
Ⅰ. 매출액 170,585,406,981 121,756,063,316
Ⅱ. 매출원가 144,776,445,588 102,309,670,360
Ⅲ. 매출총이익 25,808,961,393 19,446,392,956
Ⅳ. 판매비와관리비 17,285,182,523 13,649,684,515
Ⅴ. 영업이익 8,523,778,870 5,796,708,441
  금융수익 285,276,902 544,135,769
  금융비용 1,629,287,633 560,440,037
  기타수익 104,255,095 345,443,869
  기타비용 10,126,633 207,568,628
  관계기업투자손익 (21,309,178) (34,333,177)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7,252,587,423 5,883,946,237
  법인세비용(이익) 1,184,045,316 (346,980,840)
Ⅶ. 당기순이익(손실) 6,068,542,107 6,230,927,077
Ⅷ. 기타포괄손익(손실) 838,319,984 211,096,571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해외사업환산손익 3,974,962 (303,370)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3,497,662)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837,842,684 211,399,941
Ⅸ. 총포괄이익(손실) 6,906,862,091 6,442,023,648
X. 당기순이익귀속 6,068,542,107 6,230,927,077
  지배기업소유주 6,068,542,107 6,230,927,077
  비지배지분 - -
XI. 총포괄이익귀속 6,906,862,091 6,442,023,648
  지배기업소유주 6,906,862,091 6,442,023,648
  비지배지분 - -
XII. 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손실) 516 530
희석주당순이익(손실) 516 530


  결  자  본  변  동  표
제19(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8(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총   계
2021.1.1(전기초) 2,012,951,000 11,249,171,260 (935,944,380) (272,817,610) 10,543,457,070 22,596,817,340
무상증자 3,917,264,000 (3,946,054,080) - - - (28,790,080)
확정급여의 재측정요소 - - - - 211,399,941 211,399,941
해외사업환산손익 - - - (303,370) - (303,370)
당기순이익 - - - - 6,230,927,077 6,230,927,077
2021.12.31(전기말) 5,930,215,000 7,303,117,180 (935,944,380) (273,120,980) 16,985,784,088 29,010,050,908
2022.1.1(당기초) 5,930,215,000 7,303,117,180 (935,944,380) (273,120,980) 16,985,784,088 29,010,050,908
배당 - - - - (587,589,600) (587,589,600)
확정급여의 재측정요소 - - - - 837,842,684 837,842,684
해외사업환산손익 - - - 3,974,962 - 3,974,96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 - (3,497,662) - (3,497,662)
당기순이익 - - - - 6,068,542,107 6,068,542,107
2022.12.31(당기말) 5,930,215,000 7,303,117,180 (935,944,380) (272,643,680) 23,304,579,279 35,329,323,399


  결  현  금  흐  름  표
제19(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8(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19(당)기 제18(전)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5,245,698,652) 8,831,593,856
1.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33,903,270,011) 8,878,178,883
    가. 당기순이익(손실) 6,068,542,107 6,230,927,077
    나. 당기순이익에 대한 조정 5,240,683,323 2,130,077,964
    다. 영업활동 자산ㆍ부채의 증감 (45,212,495,441) 517,173,842
2. 이자의 수취 49,472,947 39,136,514
3. 이자의 지급 (803,757,347) (161,068,764)
4. 법인세의 납부 (588,144,241) 75,347,223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02,345,248) (857,929,903)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10,815,188 2,035,258,045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64,055,62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1,821,524,537
대여금의 감소 155,667,188 101,082,888
보증금의 감소 155,148,000 48,595,000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613,160,436) (2,893,187,948)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2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49,290,000 2,046,278,000
대여금의 증가 90,000,000 335,495,100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90,000,000
비품의 취득 55,156,443 37,992,833
시설장치의 취득 - 53,017,015
차량운반구의 취득 63,551,593 -
보증금의 증가 155,162,400 330,405,0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5,976,630,284 4,508,061,052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62,603,915,013 20,213,660,582
단기차입금의 증가 59,845,325,013 20,213,660,582
장기차입금의 증가 2,758,590,000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36,627,284,729) (15,705,599,530)
단기차입금의 감소 35,349,982,528 14,935,689,471
배당금의 지급 587,589,600 -
리스부채의 지급 689,712,601 769,910,059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20,639,925 21,536,899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Ⅳ) (9,550,773,691) 12,503,261,904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22,555,200,036 10,051,938,132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3,004,426,345 22,555,200,036


※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 연결재무제표 주석사항은 향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연결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별도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19(당)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18(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 (단위 : 원)
과        목 제19(당)기 기말 제18(전)기 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100,152,180,563 64,874,054,880
 현금및현금성자산 12,928,551,155 22,525,371,113
 단기금융상품 2,493,509,550 2,278,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136,730,600 1,649,695,000
 매출채권 23,863,507,188 16,118,000,263
 기타금융자산 2,432,241,235 282,398,690
 기타유동자산 8,962,827,823 5,128,980,575
 재고자산 48,334,813,012 16,891,609,239
Ⅱ. 비유동자산 19,175,300,695 12,047,447,976
 장기금융상품 - 15,509,550
 장기매출채권 7,547,155,576 467,528,76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882,861,665 1,889,059,769
 기타비유동금융자산 4,548,643,087 4,528,799,430
 기타비유동자산 908,122,291 733,415,598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주식 161,418,000 161,418,000
 유형자산 1,652,215,333 1,628,215,448
 무형자산 753,797,133 753,797,133
 이연법인세자산 1,721,087,610 1,869,704,287
자  산  총  계 119,327,481,258 76,921,502,856
부   채

Ⅰ. 유동부채 74,019,381,057 39,011,740,395
 매입채무 25,495,416,852 20,512,120,112
 단기차입금 29,833,919,026 5,338,576,541
 유동성장기차입금 531,130,500 -
 리스부채 636,549,415 632,542,396
 기타금융부채 4,362,906,031 4,851,517,014
 기타유동부채 11,855,390,356 6,575,862,484
 당기법인세부채 968,826,087 743,635,571
 충당부채(연월차) 335,242,790 357,486,277
Ⅱ. 비유동부채 9,939,620,569 8,857,269,846
 장기매입채무 215,997,372 371,142,922
 장기차입금 2,206,453,500 -
 퇴직급여부채 4,345,843,494 5,397,226,184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207,458,202 208,376,445
 장기리스부채 462,067,301 404,886,343
 기타비유동금융부채 2,190,552,280 2,190,552,280
 이연법인세부채 109,220,286 109,220,286
 판매보증충당부채 122,028,134 95,865,386
 복구충당부채 80,000,000 80,000,000
부 채 총 계 83,959,001,626 47,869,010,241
자   본

Ⅰ. 자본금 5,930,215,000 5,930,215,000
Ⅱ. 자본잉여금 7,303,117,180 7,303,117,180
Ⅲ. 기타자본 (935,944,380) (935,944,380)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76,315,272) (272,817,610)
V. 이익잉여금 23,347,407,104 17,027,922,425
자 본 총 계 35,368,479,632 29,052,492,615
부채및자본총계 119,327,481,258 76,921,502,856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9(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8(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 (단위 : 원)
과        목 제19(당)기 제18(전)기
Ⅰ. 매출액 170,157,974,819 121,692,106,470
Ⅱ. 매출원가 144,606,061,310 102,296,983,536
Ⅲ. 매출총이익 25,551,913,509 19,395,122,934
Ⅳ. 판매비와관리비 17,048,754,329 13,590,609,333
Ⅴ. 영업이익 8,503,159,180 5,804,513,601
  금융수익 285,276,902 544,135,769
  금융비용 1,629,287,633 560,440,037
  기타수익 104,255,095 345,443,869
  기타비용 10,126,633 207,568,628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7,253,276,911 5,926,084,574
  법인세비용(이익) 1,184,045,316 (346,980,840)
Ⅶ. 당기순이익(손실) 6,069,231,595 6,273,065,414
Ⅷ. 기타포괄이익(손실) 834,345,022 211,399,94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3,497,662)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837,842,684 211,399,941
Ⅸ. 총포괄이익(손실) 6,903,576,617 6,484,465,355
X. 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손실) 516 534
희석주당순이익(손실) 516 534


자  본  변  동  표
제19(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8(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총   계
2021.1.1(전기초) 2,012,951,000 11,249,171,260 (935,944,380) (272,817,610) 10,543,457,070 22,596,817,340
무상증자 3,917,264,000 (3,946,054,080) - - - (28,790,080)
확정급여의 재측정요소 - - - - 211,399,941 211,399,941
당기순이익 - - - - 6,273,065,414 6,273,065,414
2021.12.31(전기말) 5,930,215,000 7,303,117,180 (935,944,380) (272,817,610) 17,027,922,425 29,052,492,615
2022.1.1(당기초) 5,930,215,000 7,303,117,180 (935,944,380) (272,817,610) 17,027,922,425 29,052,492,615
배당 - - - - (587,589,600) (587,589,600)
확정급여의 재측정요소 - - - - 837,842,684 837,842,68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 - - (3,497,662) - (3,497,662)
당기순이익 - - - - 6,069,231,595 6,069,231,595
2022.12.31(당기말) 5,930,215,000 7,303,117,180 (935,944,380) (276,315,272) 23,347,407,104 35,368,479,632


현  금  흐  름  표
제19(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18(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 (단위 : 원)
과        목 제19(당)기 제18(전)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5,269,548,127) 8,838,841,802 
1.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33,927,119,486) 8,885,426,829 
    가. 당기순이익(손실) 6,069,231,595 6,273,065,414 
    나. 당기순이익에 대한 조정 5,218,737,214 2,095,647,661 
    다. 영업활동 자산ㆍ부채의 증감 (45,215,088,295) 516,713,754 
2. 이자의 수취 49,472,947 39,136,514 
3. 이자의 지급 (803,757,347) (161,068,764)
4. 법인세의 납부 (588,144,241) 75,347,223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23,339,436) (895,375,946)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89,821,000 2,030,821,157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64,055,62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1,821,524,537 
대여금의 감소 134,673,000 96,646,000 
보증금의 감소 155,148,000 48,595,000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613,160,436) (2,926,197,103)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200,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49,290,000 2,046,278,000 
대여금의 증가 90,000,000 300,000,000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161,418,000 
비품의 취득 55,156,443 35,079,088 
시설장치의 취득 - 53,017,015 
차량운반구의 취득 63,551,593                             - 
보증금의 증가 155,162,400 330,405,000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5,976,630,284 4,508,061,052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62,603,915,013 20,213,660,582 
단기차입금의 증가 59,845,325,013 20,213,660,582 
장기차입금의 증가 2,758,590,000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36,627,284,729) (15,705,599,530)
단기차입금의 감소 35,349,982,528 14,935,689,471 
배당금의 지급 587,589,600                             - 
리스부채의 지급 689,712,601 769,910,059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19,437,321 21,906,073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Ⅳ) (9,596,819,958) 12,473,432,981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22,525,371,113 10,051,938,132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2,928,551,155 22,525,371,11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19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제18기 2021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2021년 12월 31일 까지
처분예정일 2023년 03월 30일
처분확정일 2022년 03월 30일
회사명 : 주식회사 오파스넷 (단위 : 원)
구분 제 19(당) 기 제 18(전) 기
l. 미처분이익잉여금
23,288,648,144
17,027,922,425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6,381,573,865
10,543,457,070
2. 당기순이익 6,069,231,595
6,273,065,414
3.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837,842,684
211,399,941
ll. 이익잉여금처분액
646,348,560
646,348,560
1. 이익준비금 58,758,960
58,758,960
2. 배당금 587,589,600
587,589,600
현금배당
   주당배당금(률)보통주:당기 50원(10%)
                                   전기 50원(10%)




lll.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2,642,299,584
16,381,573,865


※ 별도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 별도재무제표 주석사항은 향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황상재 1958.02.07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황상재 (주)오파스넷 감사

84.08

86.08

92.05

87.01~92.01

92.05~95.01

95.03~23.02
16.02~19.12
18.01~20.12
19.01~21.12
21.01~22.12
16.10~현재
19.01~현재
23.03~현재

연세대학교 사학 학사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방송학 박사

통신정책연구원

방송개발원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 교수
사회과학대 학장 겸 언론정보대학원 원장
방송통신규제심사 위원회 의원장
SBS시청자 위원장
국회 대한민국 의정대상 심의위원장
(주)오파스넷 감사
한양대학교 빅데이터 센터장
한양대 명예교수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황상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황상재 감사 후보자]
후보자는 현재 (주)오파스넷의 감사로서 회사에 대한 이해가 높으며, 경영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당사의 감사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충분한 자질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감사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황상재 후보자를 당사의 감사 후보자로 추천함.


확인서

20230314_감사확인서(황상재)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7,000 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901 백만원
최고한도액 7,00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 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8 백만원
최고한도액 5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03.22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감사보고서는 2023년 03월 22일 이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
 예정입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2023년 03월 22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opasnet.co.kr/ ▷ 투자정보 ▷ 기타공고)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한편 이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주주총회 개최(예정)일 : 2023년 03월 30일
-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에서 가능한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 별도 및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한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결산 일정, 외부감사인으로 부터의 감사보고서 수령 일정 및 이사회 구성원의 업무 일정 등을 고려하여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인 2023년 03월 30일(목)에 제19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주주총회에서는 주주총회 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여 개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주주들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편의성ㆍ접근성 제고를 위해 제1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주주들은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전자투표를 통해 의결권 행사가 가능합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 관리업무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03월 20일 09시 ~ 2023년 03월 29일 17시

- 첫날은 오전 09시부터 전자투표시스템 접속이 가능하며, 그 이후 기간 중에는  24시간 접속이 가능합니다. (단, 마지막날은 17시까지만 투표하실 수 있습니다.)

다. 행사방법
시스템에서 인증서를 이용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를 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개인용도제한용 인증서 등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됩니다. (한국예탁결제원 전자투표서비스 이용 약관 제11조 제2항)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안내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예방을 위해 총회장 입장 전 체온측정 및 손소독제 사용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며, 발열 및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께서는 현장 참석을 자제하여 주시고 당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자투표를 활용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시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질병관리청 가이드에 따르면, 환기가 어려운 밀폐, 밀집, 밀접 실내 환경 및 다수가 밀집한 상항에서 함성,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 행위가 많은 경우에는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주주총회 참석하시는 주주님께서는 마스크 착용 및 주총장 내 음식물 섭취 금지를 '적극 권고' 드립니다.

※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따라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나일자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0315000213

오파스넷 (173130)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