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2-11 13:04: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11000104
2023 년 12 월 11 일 | ||
회 사 명 : | (주) 아톤 | |
대 표 이 사 : | 김종서, 우길수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파크원타워1 26층 | |
(전 화) 02-786-4273 | ||
(홈페이지) http://www.atoncorp.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이사 | (성 명) 김인범 |
(전 화) 02-786-4273 | ||
(제25기 제2차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정관 제18조 규정에 의거하여 임시 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3년 12월 26일 (화) 오전 9시
2. 장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파크원타워2, 4층 Creator Hall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의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소 승인의 건
4. 경영 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 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12월 16일 9시 ~ 2023년 12월 25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행사방법
- 시스템에서 본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본인인증방법 : PASS인증, 공동인증, 카카오페이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 또는 전자투표를 통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 간접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사항 : 기념품은 별도 지급되지 않으니, 이 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3 년 12 월 11 일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주 식 회 사 아 톤
대 표 이 사 김 종 서, 우 길 수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윤일현 (출석률: 100%) | 강성구 (출석률: 80%) | 김승주 (출석률: 94%) | |||
찬 반 여 부 | |||||
01 | 2023.01.03 | 제 1호 의안 : 금전 차입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02 | 2023.01.19 | 제 1호 의안 : 금전 대여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03 | 2023.01.31 | 제 1호 의안 : 타법인 출자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04 | 2023.02.22 | 제 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제 2호 의안 :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05 | 2023.03.09 | 제 1호 의안 : 2022년도(제24기) 감사 전 연결재무제표(안) 및 재무제표(안)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 | - |
06 | 2023.03.31 | 제 1호 의안 : 각자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 | 찬성 |
07 | 2023.04.27 | 제 1호 의안 : 금전대여의 건 | 찬성 | - | 찬성 |
08 | 2023.05.03 | 제 1호 의안 : 해외법인 출자의 건 | 찬성 | - | 찬성 |
09 | 2023.06.20 | 제 1 호 의안 : 대여금 일부에 대한 대물 변제의 건 제 2 호 의안 : 금전소비대차 계약 변제 기한 연장의 건 | 찬성 | - | 찬성 |
10 | 2023.06.23 | 제 1호 의안 : 타법인 출자의 건 | 찬성 | - | 찬성 |
11 | 2023.07.03 | 제 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제 2호 의안 : 주식 분할의 건 제 3호 의안 : 자회사 설립의 건 제 4호 의안 : 이사회 운영 규정 개정의 건 | 찬성 | - | 찬성 |
12 | 2023.07.10 | 제 1호 의안 : 금전 대여의 건 제 2호 의안 : 채권 양도의 건 | 찬성 | - | 찬성 |
13 | 2023.07.19 | 제 1호 의안 : 사채인수계약의 건 | 찬성 | - | 찬성 |
14 | 2023.07.28 | 제 1호 의안 : 금전 대여의 건 제 2호 의안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제 3호 의안 :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 찬성 | - | 찬성 |
15 | 2023.08.18 | 제 1호 의안 : 전환사채 매수 및 옵션 계약의 건 | 찬성 | - | 찬성 |
16 | 2023.09.05 | 제 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주식수 및 행사가격 조정의 건 | 찬성 | - | 찬성 |
17 | 2023.09.25 | 제 1호 의안 : 금전 차입의 건 제 2호 의안 : 전환사채 매수 및 옵션 계약의 건 | 찬성 | - | 찬성 |
주1) 사외이사 강성구는 2023년 3월 26일에 임기만료로 퇴임하였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사외이사 3명 | 2023.03.08 | 사외이사후보 추천의 건 | 가결 |
주1) 사외이사 강성구는 2023년 3월 26일에 임기만료로 퇴임하였습니다.
주2) 2023년 6월말 기준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 수는 2명입니다.
(단위 : 벡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2,200 | 42 | 21 | - |
주1) 주총승인금액은 2023년 사외이사를 포함한 전체 등기이사에 대한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주2) 지급총액은 2023년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재직한 모든 사외이사에게 지급한 누적금액을 기재하였습니다.
주3) 사외이사 강성구는 2023년 3월 26일에 임기만료로 퇴임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핀테크(Fin Tech)는 Finance(금융)와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로, 금융서비스와 IT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합니다. (금융위원회 금융용어사전, 금융위원회)
최근 핀테크는 결제, 송금, 대출, 자산관리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IT 모바일 기술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넓은 의미에서 이러한 흐름에 해당하는 모든 서비스를 핀테크라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외에도 관련 소프트웨어나 솔루션,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기술과 의사 결정, 위험관리, 시스템 통합 등 금융 시스템의 전반을 혁신하는 기술까지 핀테크의 일부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핀테크의 성장은 특정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초기 핀테크는 플라스틱 카드, 온라인 결제 서비스, 인터넷 뱅킹과 같은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그러나 핀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2014년 이후부터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소비자들의 편의성과 활용성을 고려한 여러 금융IT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핀테크 산업 범주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핀테크 산업 분류 |
출처: World, Economic, Forum, MIT Media Lab, IBM Research Center, 당사 분석 (2019)
특히 핀테크 산업의 분류 중 '금융플랫폼' 영역은 금융 서비스가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의 서비스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대다수의 핀테크 기업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본인인증 서비스와 같은 인증 기술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금융 소비자의 중요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ㆍ관리해야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만큼 당사와 같은 금융플랫폼 회사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글로벌 핀테크 시장
글로벌 핀테크 시장 |
출처 : Statista (2022.10)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으로 4차 산업혁명은 전 영역에 걸쳐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금융산업에서도 두드러지는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기술인 ABCDIG(AI, 블록체인(Blockchain),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빅데이터(BigData), 사물인터넷(IoT), 5G)가 기존 금융 서비스에 결합되어 간편결제 등의 혁신적인 서비스가 생기거나 가상자산과 같이 새로운 분야가 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고도화된 IT 기술과 금융의 융합을 통해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기존의 금융산업과 구분 지으며 '핀테크(Fintech)' 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금융 서비스가 단순히 은행, 증권, 카드사 등의 전통적인 금융기관에서 제공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산업에 직접 연계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며 혁신적인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빅테크’로 일컬어지는 주요 IT 기업들이 금융 산업에 뛰어들면서 핀테크 시장의 성장이 더욱더 가속화되고 있는데 실제 현 국내 금융 시장의 주축을 전통적 금융기업, 빅테크기업, 핀테크기업으로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IT기업은 핀테크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기업’이 핀테크 산업에서 큰 비중으로 배출되고 있는 현상도 주목할 부분입니다. 2021년 유니콘 기업의 25%는 핀테크 스타트업이며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지속적을 등장하며 핀테크 산업 성장의 주축이 되고 있습니다. 리서치 기관인 Statista는 글로벌 핀테크 시장이 2017부터 2027년까지 10년간 연 평균 21.3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한편 리서치 기관인 Market sand Markets에 따르면,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디지털 ID(identity) 보안 솔루션 시장이 연 평균 20.4%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디지털ID 보안 솔루션 시장 |
출처 : Markets and Markets (2022.09)
실물 지갑 대신 스마트폰을 활용한 결제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오프라인 지점 대신 온라인 채널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Covid-19 이후 비대면 고객에 대한 금융서비스 접근성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금융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제공함에 있어 디지털 ID 인증과 보안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기에 금융권의 디지털전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증/보안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PSD2(Revised Payment Service Directive)나 최근 추진중인 디지털 금융패키지의 DORA(Digital Operational Resilience Act)는 금융서비스가 디지털화되고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소비자의 정보 제공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신뢰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안 관련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보안 관련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보안 기술은 고도화되고 금융기관 및 핀테크 기업들의 보안에 대한 투자는 증가할 전망입니다.
나) 국내 핀테크 시장
국내에서도 기존 금융기관들이 오프라인 지점과 인력을 투입하여 수행했던 금융서비스의 영역은 이제 온라인, 그 중에서도 모바일을 통한 정보통신 기술이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한국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와 모바일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는 각각 1억 9천만명, 1억 5천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모바일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의 연평균 증가율이 인터넷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의 연평균 증가율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모바일뱅킹 이용 고객수가 더 빠르게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단위 : 천명, %)
구분 | 2019 | 2020 | 2021 | CAGR |
인터넷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 (전년대비 증감률) | 163,941 (11.8) | 174,329 (6.4) | 190,859 (9.4) | 7.9% |
모바일뱅킹 서비스 등록고객수 (전년대비 증감률) | 121,976 (16.5) | 135,080 (10.7) | 153,369 (13.5) | 12.03% |
출처 : 2021년도 금융정보화 추진 현황 (한국은행, 2022.08)
이 같은 변화에 따라 은행, 카드, 보험사 등 각 금융기관에서의 IT 서비스는 단순한 금융거래를 위한 채널의 역할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고객에 대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통해 이체, 계좌 조회 등의 기능뿐 아니라 자산 관리, 일정 관리와 같은 금융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며 고객 접점 확대를 위한 투자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다품종, 소량의 고객 맞춤형 상품 개발이 이뤄지고, 다양한 비금융 정보를 결합해 신용평가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IT 경쟁력은 금융기관들의 핵심 차별화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비대면 거래에서의 인증 부문은 간편한 금융 서비스를 통한 고객 확보의 전략적 교두보가 되고 있습니다. 그간 널리 사용되던 공인인증서와 OTP 기기, 보안카드 등은 금융기관의 오프라인 영업점에서 발급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모바일뱅킹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뱅킹의 성장은 점차 금융기관의 영업점이 통폐합되는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 금융의 진화는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등 영업점이 존재하지 않은 인터넷 전문은행으로까지 확대된 상태입니다. 이에 모바일을 포함한 온라인뱅킹에서 고객과의 직접적인 대면 없이 발급 가능하면서 기존 금융 인증 수단 대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커져가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가) 경기 변동과의 관계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정보보호산업은 IT 산업 전반적인 경기 상황과 양의 관계를 가집니다. 이는 IT 부문에 대한 투자 시, 정보보호 부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투자를 집행하는 일반적인 흐름 때문입니다. 또한 대형 보안사고가 발생할 경우, 보안 투자에 대한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기에 일시적으로 재무성과가 좋아지는 경향 역시 존재합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체계를 뚫고자 하는 공격자들의 공격 포인트가 점차 광범위해지고, 매우 다양한 층위, 서로 다른 하드웨어에서 매우 다양한 목적의 공격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콘텐츠 산업들은 매년 불법 복제, 지적 재산권 침해, 소프트웨어 위·변조, 맬웨어(Malware) 등으로 막대한 규모의 손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늘날 컴퓨팅 시스템이 적절한 전문 지식과 도구만 있으면, 기기에서 작동 중인 소프트웨어에 대한 통제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하다 보니 개인적인 이득이나 호기심과 같은 단순한 이유를 넘어 소프트웨어 보호 체계를 분석하고 파괴하려는 시도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시도는 어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보호하려는 금융 기관들에게 지속적으로 정보보호 부문의 투자를 증대하게 합니다.
금융 산업이 정보보호 부문 투자에서 갖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 당사가 추진하는 주요 산업은 경기 변동과의 관계가 낮은 편이며, 실제로 국내 금융기관 총 예산 중 IT 예산 부문, 그 중에서도 정보보호 예산 부문은 경기 변동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료] 국내 금융기관 총 예산 중 IT 예산 부문 현황 (단위 : 십억원, %)
연중 | 총 예산 | IT 예산 | 정보보호 예산 |
2019 | 78,228 (6.6) | 7,170.3 <9.2> (10.2) | 710.4 [9.9] (13.2) |
2020 | 79,388 (1.5) | 6,976.1 <8.8> (△2.7) | 680.3 [9.8] (△4.2) |
2021 | 81,774 (3.0) | 7,974.8 <9.8> (14.3) | 852.7 [10.7] (25.3) |
주1) ( )내는 전년 대비 증감률, < >내는 총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는 IT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출처: 2021년도 금융정보화 추진 현황 (한국은행, 2022.08)
나) 계절적 요인
당사 매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금융기관의 대부분이 1년 단위로 IT부문의 예산을 편성하고, 이를 회계연도가 끝나기 전에 집중적으로 집행하는 경향이 있어 매출이 연말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공급 및 구축 프로젝트의 특성 상 제품 공급과 구축이 완료한 이후 고객사의 검수 확인 과정이 필요해 설사 프로젝트가 상반기에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매출의 인식은 하반기에 이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료] 최근 사업연도별 분기 매출 분포 (단위 : 백만원)
구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매출액 총계 | 매출액 비율 |
1분기 | 4,207 | 6,811 | 5,865 | 7,306 | 7,668 | 31,857 | 21% |
2분기 | 5,741 | 9,030 | 6,778 | 11,244 | 8,695 | 41,488 | 27% |
3분기 | 6,455 | 5,319 | 4,745 | 9,445 | 8,467 | 34,431 | 22% |
4분기 | 9,748 | 7,778 | 6,899 | 9,676 | 11,922 | 46,023 | 30% |
합계 | 26,151 | 28,938 | 24,287 | 37,671 | 36,752 | 153,799 | 100% |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아톤은 1999년에 설립되어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핀테크 보안 솔루션 및 인증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보안/인증 솔루션 기업입니다.
국내 최초 MTS 서비스, 안드로이드 모바일 뱅킹 개발, 세계 최초 보안매체 금융 솔루션 출시 등 다양한 이력을 기반으로 성장해왔으며 ATON mOTP, mPKI, mSafeBox, wSafeBox 솔루션을 금융권 등에 공급하며 기술 혁신과 금융 IT 서비스 경험을 통해 보안인증 분야를 리딩하고 있습니다.
신한, NH농협, KB국민, 하나, IBK 등 대형 은행과 신한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유수의 증권사 및 관련 금융기관에 안전하고 간편한 보안 인증 솔루션을 제공하며 국내 금융권의 레퍼런스를 통해 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아톤의 인증서비스인 PASS는 단 3초만에 빠르고 간편하게 발급, 이용할 수 있는 전자서명 서비스입니다. PASS는 아톤의 보안저장 매체 기술이 적용되어 더욱 안전한 전자서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비밀번호 대신 PASS앱을 통해 6자리 PIN이나 생체인증으로 간편하게 전자서명을 수행할 수 있고 약 300여개 이상의 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는 국내 대표 전자서명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국내에서의 보안/인증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자체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인증 솔루션 Trustin을 통해 해외 보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핀테크 보안 솔루션
핀테크 보안 솔루션이란 금융기관 및 핀테크 기업에서 간편하면서도 안전한 금융 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보안 소프트웨어를 가리킵니다. 당사는 보안매체(Secure Element)를 기반으로 모바일OTP, 사설인증서 등을 통해 고객이 숫자 6자리의 PIN 또는 지문 인증만으로도 간편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솔루션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ATON mSafeBox: 소프트웨어형 보안매체 솔루션
- ATON mOTP: 모바일OTP 솔루션
- ATON mPKI: 사설인증서 솔루션
(2)핀테크 플랫폼
핀테크 플랫폼 사업은 타 플랫폼을 활용하여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부문입니다. 당사는 SKT·KT·LG유플러스의 휴대폰 인증 플랫폼 'PASS', NH농협은행이 제공하는 종합 금융 플랫폼 'NH스마트뱅킹', '올원뱅크' 등 일정 수준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공동으로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플랫폼의 서비스를 확장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해당 플랫폼들에서 당사는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의 기획, 개발, 운영 및 마케팅을 전담하고 있으며, 통상 해당 플랫폼의 고객들이 당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출을 해당 플랫폼을 소유한 사업자에게 일정 비율 분배하고 있습니다.
(3) 티머니 솔루션
티머니 솔루션은 티머니(구. 한국스마트카드)에서 발행하는 국내 1위의 교통카드인 티머니 교통카드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부문입니다. 티머니 교통카드에는 IC(Integrated Circuit) 칩이 탑재되어 있는데, 당사는 이 IC 칩 구동을 위한 종합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4) 스마트 금융
스마트 금융은 제 1, 2 금융권 등 국내 주요 금융기관 및 모바일 보안 시스템이 필요한 일반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금융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2) 시장의 특성
가) 높은 기술력 및 특허로 인한 신규 진입 어려움
당사가 제공하고 있는 핀테크 보안 솔루션, 간편인증 서비스, 티머니 솔루션 등의 제품 및 서비스는 보안 부문에서의 높은 기술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특히 이 같은 솔루션들을 채택하는 고객사가 대부분 금융기관, 통신사 등 대형 기업으로, 고객사 자체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수준의 매우 높은 난이도의 보안 설계를 요구합니다. 이는 상시적으로 보안 위협을 받는 금융사, 통신사의 산업적 특성에도 기인합니다.
또한 당사가 제공하고 있는 핀테크 보안 솔루션, 간편인증 서비스는 모두 보안 매체를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어, 진입장벽이 더욱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안 매체는 여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보안 매체를 다양한 고객 환경(기기, 운영체제 등)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합니다. 서로 상이한 보안 매체 별 개발 방식을 변화하는 고객환경에 맞춰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나)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한 시장 선점 효과 기대
당사의 대부분의 사업 영역은 이미 검증된 회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채택하려는 성향이 강한 특징이 존재하는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시장으로, 고객이 신규 진입자의 제품을 선택할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대표적으로 금융기관에서는 첫째, 기존의 금융기관 시스템과 금융 상품에 대한 이해를 갖추고 있고, 둘째, 다른 금융기관을 통해 안정성이 검증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택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의 경우에도 핀테크 보안 솔루션 또는 간편인증 서비스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당한 비용 부담이 발생할 뿐 아니라, 기존 고객에 대해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이용 프로세스가 바뀌는 문제로 인해 타 제품으로의 전환을 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당사의 ATON mOTP를 기반으로 모바일OTP 서비스를 제공하던 금융기관에서 타 솔루션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모든 기존 모바일OTP 발급 고객에 대해 다시 타사 솔루션의 신규 모바일OTP를 발급시켜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은 물론, 신규 발급에 따라 상당한 비용을 추가 부담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국내 금융사의 해외 법인 글로벌 진출에 따라 이미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에 진출하여 현지 고객들에게 당사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현지 환경을 고려한 서비스 고도화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또한 전세계적인 핀테크 기업수의 증가와 글로벌 SaaS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대비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핀테크 보안솔루션인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의 보안 솔루션인 '트러스트인(trustin)'을 출시한바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인증서비스를 기반으로 신규시장 진입을 확대하며 신성장동력 육성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해 나갈 계획입니다.
4) 조직도
조직도 |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 제 1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소 승인의 건
가. 자본준비금 감소(이익잉여금 이입) 규모 : 200억원
나. 의안의 요지
- 본 건 자본준비금 감소 승인의 건은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여 배당가능이익을 확보하는 것으로, 당사 주주환원정책 실행의 일환입니다.
-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환으로 증가하는 배당가능이익은 200억원이며, 관련법*에 의거하여 해당 200억원은 향후 비과세 배당금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법인세법 제18조 제8호 및 소득세법 시행령 제26조의3 제6항, 법인세법 제17조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습니다.
2022년 사업보고서는 2023년 3월 31일자 공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21100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