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10-10 13:57: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10000243
2023 년 10 월 10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이엠넷 | |
대 표 이 사 : | 김 영 원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34길 27, 14층 (구로동, 대륭포스트타워3차) | |
(전 화) 02-2277-8877 | ||
(홈페이지)http://www.emnet.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이사 | (성 명) 조 유 상 |
(전 화) 02-2037-1541 | ||
(제24기 임시) |
삼가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0조의 규정에 따라 제24기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소집하고자 통지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시: 2023년 10월 25일 (수) 10:00
2. 장소: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34길 27, B1층 회의실 (구로동, 대륭포스트타워3차)
3. 회의목적사항
부의안건
제1호의안: 이사 선임의 건
- 제1-1호 의안: 사외이사 홍종일 선임의 건
* 사외이사 후보자
성명 | 생년월일 | 약력 | 추천인 | 최대주주 | 당해 법인과 최근 3년간 거래 | 비고 |
---|---|---|---|---|---|---|
홍종일 | 1965년 5월 19일 | 前)엠벤처투자 부사장 前)BK인베스트먼트 부사장 前)BNK벤처투자 부사장 現)(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감사 | 이사회 | - | - |
|
제2호의안: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제2-1호 의안: 감사위원회 위원 홍종일 선임의 건
*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자 약력은 제1호 의안 사외이사 후보자 약력 참고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KB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을 대신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 시스템
인터넷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10월 15일 09시 ~ 2023년 10월 24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 처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단, 1%이하 소액주주의 경우 주주총회 참석장이 서면으로 발송되지 않으므로 주주총회 참석장은 지참하지 아니하셔도 되며, 신분증 또는 위임장에 기재된 인적사항과 당사에 비치한 주주명부에 의하여 권리주주임을 확인하겠습니다.)
8. 기타
- 금번 주주총회시 주총기념품은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사외이사 | |||||
---|---|---|---|---|---|---|---|---|
임동규 (출석률 : 100%) | 신승훈 (출석률 : 100%) | 배상수 (출석률 : 100%) | ||||||
참석여부 | 찬반여부 | 참석여부 | 찬반여부 | 참석여부 | 찬반여부 | |||
23-01 | 2023.01.20 | 의안 : 1. 자회사 (주)이엠넷 중국법인 청산(폐쇄)의 건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 | - |
23-02 | 2023.02.27 | 의안 : 1. 제23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 | - |
의안 : 2. 현금배당 결정의 건(1주당 90원)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 | - | ||
23-03 | 2023.02.27 | 의안 : 1. 전자투표제도채택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 | - |
23-04 | 2023.03.03 | 의안 :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및 운영실태 평가보고의 건 | 참석 | - | 참석 | - | - | - |
23-05 | 2023.03.15 | 의안 : 1.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참석 | 찬성 | 참석 | 찬성 | - | - |
23-06 | 2023.03.30 | 의안 : 1. 자회사 (주)코마스인터렉티브 채무보증 결정의 건 | 참석 | 찬성 | 사임 | - | 참석 | 찬성 |
23-07 | 2023.04.06 | 의안 : 1. 타법인주식취득 결정의 건 | 참석 | 찬성 | 사임 | - | 참석 | 찬성 |
23-08 | 2023.05.24 | 의안 : 1. 자회사 (주)코마스인터렉티브 채무보증 결정의 건 | 참석 | 찬성 | 사임 | - | 참석 | 찬성 |
23-09 | 2023.09.08 | 의안 : 1.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참석 | 찬성 | 사임 | - | 참석 | 찬성 |
의안 : 2.전자투표 채택의 건 | 참석 | 찬성 | 사임 | - | 참석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위원장 임동규 위 원 신승훈 위 원 오우식 | 2023.03.03 | 의안 :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의 건 | 가결 |
의안 : 2.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 가결 | |||
의안 : 3.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의견서 | 가결 | |||
감사위원회 | 위원장 임동규 위 원 배상수 위 원 오우식 | 2023.09.26 | 의안 :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보고의 건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2,000,000 | 35,543 | 17,772 | - |
주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보수한도 총액 입니다.
주2) 지급총액은 2023.01.01 ~ 2023.09.30 기간동안 지급한 급여총액 및 퇴직금 총액을 기재하였으며, 1인평균 지급액은 지급총액에서 인원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주3) 지급총액에는 2023년 3월 29일 사임한 사외이사 1명의 지급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업계의 현황
선행 학습된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챗GPT의 출시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의 지속적인 발전 속에서, 커머스 시장은 디지털과 모바일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경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ATL 매체를 활용한 브랜딩 캠페인에서 디지털 매체를 통한 브랜딩과 퍼포먼스 캠페인을 동시에 운영하는 것이 트렌드입니다. 또한,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해 디지털화와 비대면화가 가속화되면서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는 디지털 마케팅의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더욱 효율적인 퍼포먼스 캠페인이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팬데믹의 엔데믹화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마케팅은 모바일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전체 광고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들과 미래 주요 소비 주체가 될 MZ세대는 디지털 마케팅 시장이 전체 마케팅 시장을 주도할 근간이 될 것입니다. 또한 이 사용자들의 모바일 친화적인 경향을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 시장은 온라인 광고 시장의 중심으로 더욱 더 자리 잡을 것입니다. 전체 광고 시장에서의 모바일 중심 성장은 인터넷(PC) 광고의 약세를 대체하고 온라인 광고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습니다.
(1) 코로나19 엔데믹과 경기 침체 속 성장하는 온라인 광고 시장
국내 전체 광고 시장은 코로나 19 팬데믹과 외부 요인으로 인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2023년 총 광고비 16조 8,981억원의 규모로 전년 대비 약 7.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중 전체의 52.3%를 차지하는 온라인 광고시장은 전년보다 약 10.2% 성장한 8조 8,377억원대의 규모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디지털 일상에 발맞추어 기업들의 마케팅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변화했으며, 엔데믹 이후에도 온라인 광고 시장은 더욱 성장할 전망입니다.
[국내 전체 광고 시장과 온라인 광고시장 성장 추세] | ||
(단위 : 억원)
|
(2) 모바일 광고시장의 확대와 대행사의 역할
팬데믹 이후 크게 증가하던 온라인 광고비 성장률은 19년 14.1%, 20년 15.4%에서 21년 6.3%, 22년 0.2% 로 점차적으로 그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온라인 광고비 중 모바일 광고비는, 인터넷(PC) 광고 시장의 하락세에 따라 점유율이 계속해서 증가하여 23년 전체 온라인 광고비 8조 8,377억원 중 83%인 7조 3,41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모바일 광고비 점유율 상승의 배경에는 플랫폼 사들의 모바일 퍼스트 전략이 있습니다.
기업들은 모바일 기기에 의존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변화에 대비하여 서비스를 모바일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고 있으며, 미래의 주요 소비 주체가 될 Z세대와 알파세대 역시 PC 환경 보다 모바일에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이기 때문에 온라인 광고 시장은 앞으로도 이러한 트렌드에 발 맞춰 모바일 광고 시장을 중심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바일 광고 시장이 고도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대행사는 기업의 광고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운영 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광고를 집행하는 미디어들의 최신 기술과 성공 사례를 학습하여 캠페인에 적용하는 등 대행사에게는 전반적인 모바일 광고 수립과 실행 능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에 이엠넷은 2022년 크리테오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아카데미 오브 더 이어’를 수상하였으며, 구글, 메타 등의 주요 미디어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과정 등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직원들의 모바일 광고 업무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국내 온라인 광고 시장과 모바일 광고시장 성장 추세] | ||
(단위 : 억원)
|
(3) 1st Party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검색 광고 시장의 성장
애플의 개인 데이터 사용 제한 정책과 유튜브를 포함한 구글 서비스의 3rd Party 쿠키 지원 중단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2023년에는 온드 미디어를 중심으로 파악된 고객들의 관심이 반영된 검색 기록과 이후 행동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1st Party 데이터를 중심으로한 검색 광고의 활약이 두드러질 전망입니다. 최근, 개인의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상품과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인공지능 기반의 기술이 등장하였습니다. 이렇듯 앞으로의 검색 광고는 AI와 결합되어 더욱 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 마케팅 시장 속 검색 광고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국내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도 이에 맞춰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광고주와 검색 이용자의 연결을 핵심이라고 보아, 커머스 기능을 확대하여 검색, 콘텐츠, 그리고 구매까지 이어지도록 소비자의 여정에 따른 생태계 구축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역시 검색 광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음 계정과 카카오 계정으로 구분하여 제공되었던 검색 광고 플랫폼을 '카카오 키워드 광고'로 통합하였습니다. 또한, 검색 광고 및 광고 지면을 확대하기 위해 카카오 내 오픈 채팅을 '오픈 랭크' 앱으로 분류할 예정에 있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네이버 및 카카오의 커머스 서비스 확장에 따라 구매 기회가 가능한 성과형 광고의 성장도 두드러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팬데믹을 겪은 이후 많은 브랜드들은 포털의 스마트 스토어에 입점하거나 자사몰을 구축하여 쇼핑 검색 광고를 활용해 검색에서 쇼핑, 더 나아가 결제까지 이어지는 통합프로세스를 구축했습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적극 활용한 결과, 파워링크 및 쇼핑 검색, 브랜드 검색과 같은 온라인 광고 상품에 대해 광고주는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국내 디지털 광고 시장 역시 경기 침체와 개인 정보 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것은 사실이지만, 온라인 광고 플랫폼들은 각자의 핵심 특장점을 적극 활용하고 발전시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광고 플랫폼들의 성장 경쟁 속에서 온라인 광고 시장은 2023에도 어김없이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입니다.
(4) 디지털 마케팅의 개인화 타겟팅 강화
디지털 마케팅의 주 이용자 층이 MZ세대로 바뀌어 가고 팬데믹의 영향으로 다양한 개인 취향을 충족시켜주는 커머스와 커뮤니티 성격이 접목된 버티컬 플랫폼 (당근마켓, 무신사, 오늘의 집 등)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네이버, 카카오와 같은 대형 플랫폼 역시 이용자의 관심사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오픈톡 등)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이용자의 관심사 등 온라인상의 고객 행동 정보를 타겟팅하면서 성장한 머신러닝 시장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강화 등으로 인해 정밀화된 타겟팅이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기술고도화를 통해 이를 극복하고 높은 광고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즉 기술적인 타겟팅이 고도환 된 머신러닝 광고와 이용자관심사 기반의 커뮤니티 성격의 플랫폼의 2가지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구글과 메타 중심으로 성장한 머신러닝 광고 플랫폼은 개인정보보호법 강화에 따른 맞춤 광고 제한의 영향으로 광고효과의 하락에 대한 우려도 있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와 꾸준히 새로운 상품을 런칭하면서 광고성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국내 플랫폼 (네이버, 카카오)도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축적한 자사 고유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어 머신러닝 광고 볼륨을 더욱 확장하고 있습니다
버티컬 플랫폼은 이미 비슷한 취향의 이용자가 축적되어 있으며, 자연스럽게 유사한 관심사의 이용자에게 확산되는 효과도 있습니다. 즉각적인 쇼핑까지도 유도하기 때문에 광고주에게는 새로운 커머스 채널로써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메타, 크리테오에서도 해당 플랫폼과 제휴를 통한 광고 상품(오늘의 집, 올리브영)을 런칭하고 있으며, 당근마켓은 자체 광고 상품(당근비즈니스)를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카카오 역시 커뮤니티 서비스 확대하면서 머신러닝 광고 플랫폼 연계를 통한 퍼포먼스를 최적화하였습니다.
특히 2023년은 장기적인 경기침체가 전망되어 볼륨보다는 마케팅의 효율성을 중요시하는 것이 트렌드화 되어서 퍼포먼스에 강점을 가진 머신러닝 광고 플랫폼과 버티컬 플랫폼 활용 능력이 중요합니다. 고도화되는 머신러닝 기술은 해당 플랫폼사와의 파트너쉽을 기반으로 협업을 중요시하고, 다양한 버티컬 플랫폼의 활용을 위해서도 커머스, 금융 등 다양한 광고주 풀을 보유한 대행사가 유리합니다. 더불어 다양한 플랫폼을 선택하고 분석하기 위한 자체적인 분석 솔루션과 노하우를 가진 대행사의 시장 경쟁력이 높아질 예정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디지털 마케팅 사업은 광고주 비즈니스의 목적과 마케팅 방향에 따라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며, 당사와 제휴된 온라인 매체를 통하여 디지털 환경에서의 광고를 설계하고 집행합니다. 디지털 마케팅은 노출 형태 및 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몇 가지 방식으로 광고 상품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① SA 광고 (Search Ad)
당사는 광고주들에게 국내 주요 온라인 포털 사이트의 키워드 광고 상품을 판매하고 광고의 운영 및 성과 분석을 대행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검색광고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키워드 효율 분석, 경쟁사 광고 분석, 웹 데이터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② DA 광고 (Display Ad)
DA광고의 경우 광고 캠페인 목적에 최적화된 크리에이티브 이미지 소재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사에 크리에이티브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광고를 제작하고 있으며, 광고주 비즈니스 목적에 맞는 사이트 및 게재 위치를 찾아서 광고를 노출하고, 각 소재별 광고 효과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③ 모바일 광고
스마트폰 사용 유저의 증가와 모바일 매체의 확대로 모바일광고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모바일기기 사용 환경에서 특정 광고대상의 표적화가 용이하므로, 광고도달률과 효과측면에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여행, 쇼핑등의 모바일앱 설치 및 사용 유도를 통한 광고 효과 증대에 따라 당사에서는 모바일 광고에서 높은 광고 효과를 볼 수 있는 광고주를 중심으로 모바일 광고를 집행하고 있습니다.
④ 비디오 광고
비디오 광고는 매년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으며, 그 원동력은 플랫폼 발전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단연 돋보이는 플랫폼은 유튜브라고 할 수 있으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 등 영상 친화적인 플랫폼들의 강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비디오 광고 시장에서 경쟁력과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 구글, 페이스북 등 전담팀을 신설하여 디스플레이 광고 뿐 아니라 비디오에 집중된 마케팅 인력을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영상제작팀을 구축하여 비디오 광고의 운영 능력 및 콘텐츠 제작까지 사업의 범위를 확장하였습니다.
⑤ 바이럴 마케팅
모바일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SNS 및 온라인 동영상을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바이럴 마케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와 같이 양방향의 소통이 가능한 매체를 중심으로 광고주 전체 마케팅 활동에 부합하는 강력한 콘텐츠의 생산 및 확산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⑥ 해외 광고
글로벌 소비/판매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해외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광고를 집행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에서의 성공적인 캠페인 운영 노하우 및 일본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국내외 광고주들의 글로벌 마케팅 파트너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와 종속회사의 주요사업부문은 온라인 광고대행 단일 사업부문이고, 그외 제작부문, 임대기타부문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①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당사의 주요 상품은 광고주의 예산과 요구사항의 범위 내에서 활용 가능한 디지털 마케팅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행하며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마케팅 효과를 높이기 위해 투입되는 인적자원, 솔루션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을 포괄합니다. 따라서, 정형화된 제품의 형태를 띠지 않고,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와 이에 따르는 매출이 달라지게 되어 규격화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일련의 서비스 과정에서 주요 거래처를 통한 다양한 디지털 광고 상품이 사용됩니다. 당사가 주로 다루는 디지털광고의 매체별상품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3년 상반기 광고상품 매출현황] |
(단 위: 천원) |
매체/상품 | 주요 상표 | 매출액 | 비율 | |
---|---|---|---|---|
광고대행 | 네이버 | 파워링크,비즈사이트, 쇼핑검색, 브랜드검색, 신용카드정보검색 등 | 10,923,498 | 67.02% |
카카오 | 프리미엄링크, 컨텐츠광고,모바일검색, 브랜드검색 등 | 1,856,092 | 11.39% | |
구글 | 스폰서 링크, GDN 등 | 861,722 | 5.29% | |
기타 | 미디어랩, 크리테오, 페이스북, 네이트, 기타광고대행 | 978,420 | 6.00% | |
용역, 제작, 이벤트 | 바이럴, 제작, 캠페인 | 1,292,149 | 7.93% | |
임대수익 | 386,800 | 2.37% | ||
합계 | 16,298,681 | 100.00% |
② 부문별 매출실적
(단위: 천원 ) |
부문 | 2023년 상반기 | 2022년도 | 2021년도 | |
---|---|---|---|---|
(제24기) | (제23기) | (제22기) | ||
광고대행수익 | ㈜이엠넷 | 11,844,261 | 27,815,165 | 30,688,820 |
㈜더브록스 | - | - | - | |
㈜코마스인터렉티브 | 2,775,471 | 7,780,502 | 1,693,523 | |
용역/제작/캠페인 | ㈜이엠넷 | 486,268 | 758,420 | 958,331 |
㈜더브록스 | - | - | - | |
㈜코마스인터렉티브 | 805,881 | 7,048,436 | 1,069,791 | |
임대 / 기타 | ㈜이엠넷 | 386,800 | 807,817 | 807,520 |
㈜더브록스 | - | 967 | 21,078 | |
합계 | 16,298,681 | 44,211,307 | 35,239,063 |
주1) 상기 매출실적은 新기준서인 K-IFRS 제1115호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주2) 2021년 상반기 eMnet Japan 매출은 중단영업손익으로 분류되어 제외하였습니다.
(2)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종속회사 (주)더브록스를 통해 최근 활성화 되어 있는 이커머스 시장에 진출하여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더브록스는 (주)이엠넷 고객사를 비롯한 우수한 상품력과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브랜드를 발굴해 파트너십을 맺고, (주)이엠넷의 디지털 마케팅 성공사례를 적용해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지털 유통모델 확립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2021년 중 디지털 마케팅 및 브랜드 컨설팅 전문 기업 코마스인터렉티브를 인수하여 기존 퍼포먼스 광고 뿐만아니라 브랜딩 마케팅 분야까지 확장하여 디지털 통합 마케팅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4) 조직도
조직도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홍종일 | 1965년 5월 19일 | 사외이사 | 부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홍종일 |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감사 | 2005년 ~ 2017년 2017년 ~ 2020년 2020년 ~ 2022년 2023년 ~ 현재 | 前)엠벤처투자 부사장 前)BK인베스트먼트 부사장 前)BNK벤처투자 부사장 現)(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감사 | 해당사항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홍종일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자 홍종일] 본인은 상법상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습니다. 벤처중소기업의 투자 및 자문, 외부감사대상법인의 감사 등 금융, 회계분야의 경험과 전문성을 발휘하여 이사회 중요한 의사결정과 주주와 이해관계자들과 소통에 전문적인 조언을 하고 이사와 경영진의 직무를 적절하게 진행되도록 감독하며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활동에 성실히 참여하여 주주의 권익제고와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후보 홍종일] 본 후보자는 회사가 필요로 하는 경험과 노하우가 충분한 후보자이며 회사의 업무집행에 있어 적법성 및 독립적인 위치에서 투명하고 적극적으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업무를 수행하는 데 충분한 능력과 자질이 있다고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
확인서
확인서_홍종일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홍종일 | 1965년 5월 19일 | 사외이사 | 부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홍종일 |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감사 | 2005년 ~ 2017년 2017년 ~ 2020년 2020년 ~ 2022년 2023년 ~ 현재 | 前)엠벤처투자 부사장 前)BK인베스트먼트 부사장 前)BNK벤처투자 부사장 現)(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감사 | 해당사항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홍종일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후보 홍종일] 본 후보자는 회사가 필요로 하는 경험과 노하우가 충분한 후보자이며 회사의 업무집행에 있어 적법성 및 독립적인 위치에서 투명하고 적극적으로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업무를 수행하는 데 충분한 능력과 자질이 있다고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주)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가. 전자투표관리 시스템 인터넷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3년 10월 15일 09시 ~ 2023년 10월 24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 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 처리 |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3101000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