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화금 (120240) 공시 - 주주총회소집공고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03-11 11:26:00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154



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3월     11일


회   사   명 : 대정화금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송  영  준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186 (시화공단 1다 107)

(전   화) 031-488-8822

(홈페이지)  http://www.daejungchem.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재무이사 (성  명) 석  재  화

(전  화) 031-363-2246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8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3조에 의거하여 제3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4년 03월 26일(화) 오전 09시
2. 장소 :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186(시화공단 1다 107), 시화 본사 2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
  가. 보고안건 :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38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1주당 배당금 450원)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1) 직접행사 : 신분증
   2)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2024년 3월 11일

                                              대정화금 주식회사

                                       대표이사 송 영 준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 의안내용 가결여부 사외이사 등의 성명

윤현조

(출석률 : 100%)

찬반여부
1 2023.02.20 제37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 및 이익잉여금 처분의 건 가결 찬성
2 2023.02.20 제3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찬성
3 2023.06.16 대출 연장 계약의 건 가결 찬성
4 2023.08.14 일반자금 대출의 건 가결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2,000,000,000 15,000,000 15,000,000 -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3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총 4명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시약 사업부문

시약 산업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낮은 경기 민감도
시약산업은 경기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경제적인 위기나 불경기가 도래했을 때 시약시장의 성장속도와 시장의 확장이 가속화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국내 시약시장의 경우 당사를 포함하여 S社과 D社이 독과점적으로 시약을 공급하고 있으며, 각회사들의 매출 추이를 통해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시약산업 제조사 매출 현황 ]   (단위: 백만원)
회 사 명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대정화금 96,607 88,928 80,191 79,606 73,830
D社 93,485 73,416 69,556 62,216 58,158
S社 107,391 94,401 83,245 72,629 69,117

(주1) 자료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2022년 기준 D社 및 S社) 참조


2) 기초화학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제품

당해 산업은 기간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분야로서 철강산업부터 바이오산업까지 거의 모든산업에서 사용되는 기초 산업입니다.

 

(나) 원료의약품 사업부문

1) 정부의 규제 및 정책의 역할이 큰 산업

전 세계의 모든 국가는 제약 산업이 자국민의 건강 증진에 직결된 산업이므로, 의약품 허가, 제조 및 유통에 있어서 안전성과 유효성확보 /약가규제 / 지적재산권 보장 등 각 정부의 규제 및 정책의 역할이 큰 산업분야이며, 이로 인해 정부의 허가 조건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산업입니다.  


2) BT, IT, NT 등 기술 융합을 통한 기술 혁신이 가속화 되고 있는 산업

제약산업은 품질 관리 및 생산 분야에서 최첨단 기술 장비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의약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갈수록 고도화되는 생산프로세스 및 품질 등을 위하여 BT, IT, NT등 기술융합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시약 사업부문
시약산업은 정밀화학 산업에 속해 있는 산업으로서 거의 모든 산업분야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주로 화학과 관련된 산업에서부터 철강산업까지 그 쓰임새가 매우 다양합니다전통적인 기술, 지식 집약 산업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같은 첨단 전자 시장부터 바이오 의약 및 진단 시장에 이르기까지 미래 성장산업의 핵심이 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지되고 있습니다.

 

(나) 원료의약품 사업부문
세계 의약품 시장은 인구고령화 추세에 따라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의 치료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원료의약품(API) 시장 또한 동일하게 성장하였으나 전통적으로 원천 의약품 기술을 보유한 유럽 및 미국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성장과 함께 원가경쟁 력이 생산의 주요소로 대두되며 인도 및 중국 등 신흥의약품 시장의 원료의약품 제약사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아직 국내 원료의약품 시장은 충분한 성장동력을 갖추지는 못하였으나 합성과 발효 기술 등 높은 제조기술 및 시설 인프라를 바탕으로 충분한 역량 및 발전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가) 시약 사업부문
국내 시약시장은 일반적으로 경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시약은 화학 산업을 포함하여 바이오 산업 등에 핵심적으로 필요한 소모품입니다. 경기가 좋을 경우에는 시약의 소비가 많기 때문에 매출이 증가하며, 불경기시에도 연구소 및 업체들이 시약 제조회사들
과 직거래를 하거나 또는 상대적 고가인 수입 시약의 대체재 등을 알아보기 때문에 당사의 매출의 감소는 크지않습니다.
 

(나) 원료의약품 사업부문
원료의약품은 국민의 건강을 다루는 필수재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외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지는 않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가) 시약산업의 시장여건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던 시약산업의 시장여건이 국제 및 국내 변화에 따라 불투명 해지고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된 대중 무역 관계 악화로 인해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유동성이 커지고 있고, 2024년 국내 연구개발 예산이 전년 대비 13.9% 삭감되어 기초 과학연구 및 정부출연기관 예산 감소로 인해 지속적인 시약산업의 성장세를 담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나) 원료의약품의 시장여건
제약 산업은 국민 소득의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건강 검진의 확대와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의 증가, 암 발병률 증가들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였으나 지속가능한 성장산업으로서 원료의약품 산업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 지원 및 국내 원료의약품 업체의 자급화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육성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5) 경쟁우위 요소
시약 업종은 일반 소비재의 제조업이나 대량 생산 또는 막대한 자본 및 인프라가 소요되는중공업분야와는 차별화된, 특화된 다품종 소량 생산의 고객 맞춤형 시장의 특성이 있습니다. 당사는 이런 시장의 특성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시장 경쟁 우위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 기존 시약 시장에서 시장지배력 확보

기초 시약 품목인 용매, 산, 염기, 유기 무기 시약 시장은 Red ocean market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확장성이 없고 발전가능성이 낮은 반면 안정적이며 시약 산업의 기본사업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당사의 경우, 50여년의 영업기반을 통하여 기존의 시약 산업의 시장지배력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나) 빠르게 확대,발전하고 있는 시장변화에 대응 

시약 시장은 전통적인 기초 시약시장에서부터 신규 트랜드인 바이오 신약, 전자소재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빠른 속도로 기술집약형산업으로 변화하는 중에 있고 이에 따라 시장의 확장 속도 또한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로 대표되는 기술집약형 시장의 탄생은 시약 업종에 새로운 변화 및 신규 성장 동력을 제공하였고 기존의 시약 업체들이 이러한 변화에 적응 및 대응 할 수 있는지 여부가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에 관건이 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의 시약 산업의 시장지배력을 기본으로 하여 새로운 시장 변화에 대응할수 있는 영업력, 신규 품목 개발 능력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시약사업부문 및 원료의약품사업부문

당사는 2023년도에 약 1000억원 정도 매출실적을 달성하였으며, 30,000개가 넘는 품목을 당기에 매입 또는 생산하여 판매하였고, 다양한 품목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요처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문에서부터 납기까지의 기간이 2주 내로 타 경쟁사보다 월등히 우수한 조기 공급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특수용 시약, HPLC용 시약, Solution 용액 등 다양한 제품의 제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사는 미국약전관리국(U.S Pharmacopiea)의 공식 한국대리점이며 유럽 의약품 관리국(European Pharmacopiea), 영국 약전관리국 (British Pharmacopiea), 일본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 (Japan Pharmacopiea)와 같은 일차 의약 표준품을 수입 유통하고 있으며, 의약품 개발 및 연구에 필수적인 소분자(small molecule) 및 연구용 표준품도TRC, TLC, LGC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의 한국 공식 파트너로 수입 유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글로벌 메이커들과의 협력을 통해 의약표준품 사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 장기적인 당사의 발전 계획에 따라 일본의 주요 원료의약품 메이커와 함께 국내 CDMO시장 수요에 맞는 제품의 개발 및 주요 원료의약품에 대한 supply chain을 제안하고 있으며 펩타이드, 항체, 세포주 등의 ADC(Antibody-Drug Conjugates), 바이오 원천 기술 개발 및 생산에 필수적인 제품들을 중국, 미국 등의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국내 고객에게 공급하기 시작하여 매출 다변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수입만 100% 하던 국내에서 2007년도에 국내 최초로 시약을 해외로 역 수출하는 성과를 이루었고 2021년말 음성공장의 증류탑 증설 완료로 인하여  반도체, 바이오 산업에서 요구되는 특수 목적용 고순도 약품의 생산 능력 증대 및 품질 향상이 기대됩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품목 기준에 따라 크게 시약부문과 원료의약품부문으로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회사의 사업부가 구분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시약시장의 경우 당사를 포함하여 S社과 D社이 독과점적으로 시약을 공급하고 있으며, 각 회사들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추정한 시장점유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약산업 제조사 매출 현황 ]   (단위: 백만원)
회 사 명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대정화금 96,607 88,928 80,191 79,606 73,830
D社 93,485 73,416 69,556 62,216 58,158
S社 107,391 94,401 83,245 72,629 69,117

(주1) 자료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2022년 기준 D社 및 S社) 참조


(3) 시장의 특성

(가) 시약산업의 시장여건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던 시약산업의 시장여건이 국제 및 국내 변화에 따라 불투명 해지고 있습니다. 장기간 지속된 대중 무역 관계 악화로 인해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유동성이 커지고 있고, 2024년 국내 연구개발 예산이 전년 대비 13.9% 삭감되어 기초 과학연구 및 정부출연기관 예산 감소로 인해 지속적인 시약산업의 성장세를 담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나) 원료의약품의 시장여건
제약 산업은 국민 소득의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건강 검진의 확대와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의 증가, 암 발병률 증가들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였으나 지속가능한 성장산업으로서 원료의약품 산업에 대한 정부의 체계적인 정책 지원 및 국내 원료의약품 업체의 자급화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육성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디스플레이 및 전자소재들의 산업 변화에 발맞추기 위하여
①다수 OLED 소재 기업들과 연계하여 ETL, HTL, EML 등 발광 신소재 개발에 공동 참여함으로써 연구 개발 트랜드를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신규 OLED 소재들에 대하여 발빠른 연구개발 대응 및양산화
②LCD / OLED 컬러필터용 신규 색재 제품들에 대한 경쟁력있는 제조 기술 개발을 통한 양산화
③다수 전
자재료 소재 기업들과 연계하여 요청되는 다양한 전자소재 재료들에 대한 자체합성 기술 개발 및 샘플 대응을 통한 양산화 등을 신규 사업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조직도 (2023.12.3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아래의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 또는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제 38(당)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제 37(전)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목 제 38(당) 기말 제 37(전) 기말

자산



 유동자산

89,488,914,269 74,362,558,735

  현금및현금성자산

10,822,774,235 28,406,820,302

  유동성금융상품

50,405,719,385 17,985,809,851

  매출채권

16,403,031,319 15,068,061,257

  재고자산

10,487,050,799 12,017,740,503

  기타유동채권

354,666,810 280,132,389

  기타유동자산

1,015,671,721 603,994,433

 비유동자산

106,839,617,229 99,436,855,051

  비유동금융상품

684,170,400 2,000,000

  장기수취채권

142,210,216 144,764,636

  관계기업투자주식

7,892,719,701 8,141,157,846
      장기금융상품 1,990,730,025 6,013,010,15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837,292,169 714,982,048

  유형자산

94,440,476,463 83,590,682,787

  무형자산

852,018,255 830,257,579

 자산총계

196,328,531,498 173,799,413,786

부채



 유동부채

22,721,582,843 23,139,515,774

  매입채무

9,229,742,655 8,691,181,869

  단기차입금

8,942,651,200 8,942,651,200

  기타유동지급채무

2,036,612,608 2,437,076,187

  기타유동부채

1,232,069,608 1,077,436,666

  당기법인세부채

1,280,506,772 1,991,169,852

 비유동부채

6,985,568,305 4,025,807,809

  기타비유동지급채무

352,477,237 411,043,790

  이연법인세부채

5,914,091,323 3,325,175,387

  파생상품부채

718,999,745 289,588,632

 부채총계

29,707,151,148 27,165,323,583

자본



 자본금

3,595,195,500 3,595,195,500

   자본잉여금

30,177,609,273 30,177,609,273

 이익잉여금

105,665,327,925 95,586,270,394

 기타자본구성요소

27,183,247,652 17,275,015,036

 자본총계

166,621,380,350 146,634,090,203

자본과부채총계

196,328,531,498 173,799,413,786



포괄손익계산서

제 38(당)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제 37(전) 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과목 제 38(당) 기 제 37(전) 기
I. 매출액 93,282,650,935 96,607,882,674
  제품매출 57,060,098,934 60,694,772,422
  상품매출 36,167,731,586 35,747,893,071
  기타매출 54,820,415 165,217,181
II. 매출원가 71,968,157,000 75,304,430,651
  제품매출원가 42,054,263,083 46,375,789,456
  상품매출원가 29,866,496,212 28,773,025,675
  기타매출원가 47,397,705 155,615,520
III. 매출총이익 21,314,493,935 21,303,452,023
IV. 판매비와관리비 10,318,554,034 9,711,018,968
  급여 및 퇴직급여 5,333,496,334 5,039,164,131
  복리후생비 267,468,862 261,761,774
  유무형자산상각비 277,827,148 288,637,839
  세금과공과 211,735,646 189,094,368
  경상개발비 1,757,667,654 1,568,950,918
  기타판매관리비 2,470,358,390 2,363,409,938
V. 영업이익 10,995,939,901 11,592,433,055
    금융수익 2,547,705,124 5,063,729,523
    금융원가 1,294,759,644 1,492,985,749
    기타수익 593,261,927 481,461,555
    기타비용 56,201,711 116,351,831
    관계기업투자손익 765,207,575 1,259,333,087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3,551,153,172 16,787,619,640
    법인세비용 592,025,476 3,045,350,503
VII. 당기순이익 12,959,127,696 13,742,269,137
VIII. 기타포괄손익 9,897,438,851 (19,285,88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9,858,782,143 15,277,279
      지분법이익잉여금변동 (10,793,765) -
  기타포괄손익-재평가적립금 9,869,575,908 15,277,279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38,656,708 (34,563,16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채무상품 평가손익 38,656,708 (34,563,165)
IX. 총포괄손익 22,856,566,547 13,722,983,251
X. 주당손익

 기본주당순이익 1,807 1,916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 38(당)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제 37(당) 기 :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원)


구분 당기 전기
처분예정일 : 2024년 3월 26일 처분일 : 2023년 3월 23일
Ⅰ.미처분이익잉여금
103,867,730,175
93,788,672,644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90,919,396,244
80,046,403,507
   2. 지분법이익잉여금 (10,793,765)
-
   3. 당기순이익 12,959,127,696
13,742,269,137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3,227,935,950
2,869,276,400
   1. 배당금
     주당배당금(률)
     보통주 당기 : 450원(90%)
                전기 : 400원(80%)
3,227,935,950
2,869,276,400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00,639,794,225
90,919,396,244

※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주주총회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자본변동표

제 38(당)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제 37(전) 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자본  합계

2022.01.01 (기초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83,995,958,557 17,294,300,922 135,063,064,252

당기순이익

- - 13,742,269,137 - 13,742,269,137

기타포괄손익-재평가적립금

- - - 15,277,279 15,277,27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채무상품 평가손익

- - - (34,563,165) (34,563,165)

연차배당금

- - (2,151,957,300) - (2,151,957,300)

2022.12.31 (기말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95,586,270,394 17,275,015,036 146,634,090,203

2023.01.01 (기초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95,586,270,394 17,275,015,036 146,634,090,203

당기순이익

- - 12,959,127,696 - 12,959,127,696

기타포괄손익-재평가적립금

- - - 9,869,575,908 9,869,575,90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채무상품 평가손익

- - - 38,656,708 38,656,708
연차배당금 - - (2,869,276,400) - (2,869,276,400)
지분법이익잉여금 - - (10,793,765) - (10,793,765)
2023.12.31 (기말자본) 3,595,195,500 30,177,609,273 105,665,327,925 27,183,247,652 166,621,380,350



현금흐름표

제 38(당) 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제 37(전) 기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대정화금 주식회사                                                                                                              (단위 : 원)

제 38(당) 기

제 37(전) 기

I. 영업활동현금흐름 14,365,716,203 12,776,932,705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4,610,235,202 13,533,908,594
     당기순이익 12,959,127,696 13,742,269,137
     조정 1,716,815,122 1,504,164,447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65,707,616) (1,712,524,990)
 2. 이자의수취 1,549,588,238 1,000,955,964
 3. 이자의지급 (262,123,237) (182,629,023)
 4. 법인세의납부 (1,531,984,000) (1,575,302,830)
II. 투자활동현금흐름 (29,018,991,396) (18,295,676,332)
 유동성금융상품의 처분 127,382,782,645 247,125,113,583
 유동성금융상품의 취득 (135,896,266,977) (251,036,713,339)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 1,769,768,887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20,564,007,797) (13,496,122,298)
 유형자산의 처분 - 106,545,455
 유형자산의 취득 (900,696,627) (5,014,268,620)
 무형자산의 취득 (35,770,000) -
 배당금(관계기업투자주식)의 수령 1,000,000,000 800,000,000
   장기수취채권의 취득 (362,240) -
   임차보증금의 수령 - 1,450,000,000
   퇴직보험예치금의 증가 (4,670,400) -
III. 재무활동현금흐름 (2,956,276,400) (2,763,682,749)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2,478,423,249)
   리스부채의 감소 (87,000,000) (133,302,200)
   배당금의 지급 (2,869,276,400) (2,151,957,300)
   단기차입금의 차입 - 2,000,000,000
IV.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25,505,526 (215,099)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17,584,046,067) (8,282,641,475)
VI.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28,406,820,302 36,689,461,777
VII.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0,822,774,235 28,406,820,30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제 38(당)기 제 37(전)기
가. 배당의 종류 현금배당 현금배당
나. 배당대상주식수(주)  7,173,191   7,173,191 
다. 1주당 액면금액(원) 500 500
라. 주당배당금액(원) 450 400
마. 배당금총액(원) 3,227,935,950  2,869,276,400
바. 액면배당비율(라/다) 90% 80%
사. 시가배당율 2.7% 2.3%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0 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104,955,190 원
최고한도액 2,000,000,000 원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 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000,000 원
최고한도액 200,000,000 원



※ 기타 참고사항

-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4년 03월 18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2024년 3월 18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홈페이지( http://www.daejungchem.co.kr/→ IR/PR→
 IR공시)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4년 3월 26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안      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
  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출처 :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1000154

대정화금 (120240) 메모